KR102084513B1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513B1
KR102084513B1 KR1020190086161A KR20190086161A KR102084513B1 KR 102084513 B1 KR102084513 B1 KR 102084513B1 KR 1020190086161 A KR1020190086161 A KR 1020190086161A KR 20190086161 A KR20190086161 A KR 20190086161A KR 102084513 B1 KR102084513 B1 KR 102084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n
document
brain region
search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강석환
박진혁
권현진
박원준
박승욱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03Data m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뇌질환 관련 문헌을 추출하여 뇌질환 관련 키워드의 포함여부에 따라 연도별 그래프를 제공하고 해당 문헌의 뇌질환 영역을 뇌 이미지에 매칭하여 제공함으로써 뇌질환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Brain Disease Research Assistance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ing Text-Mining}
본 발명은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뇌질환 관련 문헌을 추출하여 뇌질환 관련 키워드의 포함여부에 따라 연도별 그래프를 제공하고 해당 문헌의 뇌질환 영역을 뇌 이미지에 매칭하여 제공함으로써 뇌질환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생명과학 및 생물의학을 포함한 의료분야에 대한 문헌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함으로써 의미 있는 정보를 도출해 내는 작업이 중요시 되고 있다.
특히, 관심 분야에 대한 관련 논문을 검색하는 것은 연구자에게 중요한 과제이다. 관련 논문 조사는 논문을 작성할 때 필수적인 과정이며, 이 과정이 얼마나 잘 수행되었는지에 따라 이후 논문의 질이 좌우될 수 있다.
한편, PubMed는 의료분야에 대한 문헌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툴로써,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많은 연구자들이 사용하고 있고, 이에 따라 PubMed의 검색 및 분석 기능을 강화한 PubMed 관련 툴인 GoPubMed, semanticMEDLINE 등 다수의 PubMed 관련 툴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PubMed 관련 툴은 리스트 형식의 결과물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연구자는 관련된 핵심 문헌을 찾기 위해 리스트에 나열된 문헌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고, 이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많은 양의 문헌을 시간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보다 세부적인 주제의 관심문헌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리스트 형식의 결과물뿐만 아니라 검색된 문헌의 내용을 보다 직관적으로 시각화된 이미지에 매칭하여 제공해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나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기술은 전무하다.
본 발명은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뇌질환 관련 문헌을 추출하여 뇌질환 관련 키워드의 포함여부에 따라 연도별 그래프를 제공하고 해당 문헌의 뇌질환 영역을 뇌 이미지에 매칭하여 제공함으로써 뇌질환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비스서버에 의하여 구현되는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뇌질환관련문헌을 추출하고 추출한 문헌을 분석한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으로서,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뇌질환문헌을 수신하여 가공뇌질환문헌을 도출하는 문헌크롤링부; 사용자단말기에 검색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수신한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도출하는 문헌검색부;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에 기초하여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연도별결과제공부; 사용자단말기의 관심연도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관심연도에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결과제공부; 및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부가 제공한 상기 제2검색문헌리스트 중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개별문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별문헌제공부;를 포함하는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헌크롤링부는, 웹크롤링을 수행하여, 뇌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제1뇌질환문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뇌질환문헌에 기초하여 해당 문헌의 매쉬키워드, 연도, 및 초록을 포함하는 뇌질환문헌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제1뇌질환문헌의 상기 초록에 기초하여 뇌자극 및 뇌수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뇌질환문헌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제1뇌질환문헌의 상기 초록에 기초하여 뇌영역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문헌의 뇌영역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뇌질환문헌데이터, 뇌질환문헌종류 및 뇌영역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을 서비스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문헌검색부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검색어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에 상기 검색어의 포함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어가 포함된 경우, 해당 가공뇌질환문헌을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로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에 상기 검색어의 포함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어가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의 매쉬키워드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는, 서비스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에 기초하여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연도별로 분류하는 단계; 연도별로 분류한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연도별빈도수가 디스플레이된 그래프 화면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관심 연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는, 서비스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에 기초하여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매쉬키워드별 연도별로 분류하는 단계; 매쉬키워드별 연도별로 분류한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매쉬키워드에 대한 연도별빈도수가 디스플레이된 그래프 화면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관심 연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은 해당 문헌의 매쉬키워드, 연도, 및 초록을 포함하는 뇌질환문헌데이터, 뇌자극 및 뇌수술중 하나에 해당하는 뇌질환문헌종류 및 뇌영역키워드에 기초하여 도출된 뇌영역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은, 상기 관심연도에 대한 검색문헌리스트가 최신날짜순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문헌리스트레이어; 및 제1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 및 제2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를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른 커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 혹은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에서의 빈도수가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 혹은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은 해당 문헌의 매쉬키워드, 연도, 및 초록을 포함하는 뇌질환문헌데이터, 뇌자극 및 뇌수술 중 하나에 해당하는 뇌질환문헌종류 및 뇌영역키워드에 기초하여 도출된 뇌영역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문헌제공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은, 선택된 해당 개별문헌의 제목 및 초록이 디스플레이 되는 문헌정보레이어; 뇌영역 및 뇌영역별전극이 표시되는 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뇌영역이미지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는, 상기 개별문헌의 종류가 뇌자극인 경우, 제1뇌영역이미지 및 제1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의 빈도수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개별문헌의 종류가 뇌수술인 경우, 제2뇌영역이미지 및 제2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의 빈도수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뇌질환관련문헌을 추출하고 추출한 문헌을 분석한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뇌질환문헌을 수신하여 가공뇌질환문헌을 도출하는 문헌크롤링단계; 사용자단말기에 검색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수신한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도출하는 문헌검색단계;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에 기초하여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연도별결과제공단계; 사용자단말기의 관심연도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관심연도에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결과제공단계; 및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단계에서 제공한 상기 제2검색문헌리스트 중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개별문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별문헌제공단계;를 포함하는 뇌질환 연구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뇌질환관련문헌을 추출하고 추출한 문헌을 분석한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문헌크롤링부, 문헌검색부, 연도별결과제공부, 리스트결과제공부 및 개별문헌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서비스서버의 구성요소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상기 문헌크롤링부에서,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뇌질환문헌을 수신하여 가공뇌질환문헌을 도출하는 문헌크롤링단계; 상기 문헌검색부에서, 사용자단말기에 검색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수신한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도출하는 문헌검색단계;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에서,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에 기초하여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연도별결과제공단계;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부에서, 사용자단말기의 관심연도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관심연도에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결과제공단계; 및 상기 개별문헌제공부에서,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단계에서 제공한 상기 제2검색문헌리스트 중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개별문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별문헌제공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매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판연도에 따라 뇌질환 관련 문헌을 분류하고, 검색어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에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뇌 질환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른 커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뇌영역키워드의 빈도수를 뇌영역이미지에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 대한 뇌 질환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뇌질환 관련 문헌의 초록에 포함된 뇌영역키워드를 뇌영역이미지와 매칭하여 제공함으로써, 해당 뇌질환관련문헌의 주제가 되는 뇌영역을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뇌질환 관련 문헌을 매쉬키워드별로 분류하고, 매쉬키워드별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에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 매쉬키워드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헌의 종류에 따라 뇌영역이미지를 다르게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함으로써, 많은 양의 PubMed 데이터베이스의 문헌을 보다 빠르고 직관적으로 분류하여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보조 연구 시스템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헌크롤링부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헌검색부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헌검색부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도별결과제공부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도별결과제공부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도별결과제공부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결과제공부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결과제공부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결과제공부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문헌제공부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문헌제공부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 질환 보조 연구 시스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의 사용자단말기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고, 서비스서버(1000)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뇌질환 보조 연구 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퓨팅장치는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기는 웹브라우져 프로그램을 통하여 서비스서버(1000)에 접속할 수 있다.
PubMed는 온라인을 통해 MEDLINE을 검색하는 시스템으로서, MEDLINE이란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이 개발한 의학, 간호학, 치의학, 수의학 등 보건과 임상을 망라하는 서지 색인 데이터베이스로 1944년도 이후 출판된 Biomedical 분야의 5320종 저널에서 2,000만건이 색인된 의학문헌색인 데이터베이스이다.
서비스서버(1000)는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뇌질환과 관련된 문헌인 제1뇌질환문헌(1610)을 수신할 수 있고, 제1뇌질환문헌(1610)에 기초하여 가공뇌질환문헌(1620)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뇌질환문헌(1610) 및 가공뇌질환문헌(1620)의 "문헌" 은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논문, 학술지, 서적 등 글이나 기호로 일정한 의사, 관념 또는 정보 등을 표현한 모든 것을 포함한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비스서버(1000)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0)는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뇌질환관련문헌을 추출하고 추출한 문헌을 분석한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략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서비스서버(1000)에 접속할 수 있고,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뇌질환의 키워드의 검색어를 입력하면 본 발명의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은 검색어가 포함된 뇌질환문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뇌질환문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문헌크롤링부(1100), 문헌검색부(1200), 연도별결과제공부(1300), 리스트결과제공부(1400), 개별문헌제공부(1500) 및 DB(1600)를 포함할 수 있다.
문헌크롤링부(1100)는,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뇌질환문헌(1610)을 수신하여 가공뇌질환문헌(1620)을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뇌질환문헌(1610)은 웹크롤링을 통하여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웹크롤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기술로 웹 사이트들에서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문헌크롤링부(1100)는, PubMed에서 뇌 질환과 관련된 문헌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문헌크롤링부(1100)는 수신한 제1뇌질환문헌(1610)에 기초하여 가공뇌질환문헌(1620)을 도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뇌질환문헌(1620)은 해당 문헌의 매쉬키워드, 연도, 및 초록을 포함하는 뇌질환문헌데이터(1621), 뇌자극 및 뇌수술 중 하나에 해당하는 뇌질환문헌종류(1622), 및 뇌영역키워드(1623)에 기초하여 도출된 뇌영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문헌검색부(1200)는, 사용자단말기에 검색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수신한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검색문헌리스트를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에 검색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수신한 검색어에 기초하여 검색문헌리스트를 도출한다. 사용자는 MeSH Keyword를 검색창에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고, 문헌검색부(1200)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검색어가 제1뇌질환문헌(1610)에 있는지 판별하여 해당 검색어가 포함된 문헌을 제1검색문헌리스트로 도출한다.
연도별결과제공부(1300)는, 문헌검색부(1200)의 수행으로 검색어의 포함여부를 판별하여 도출한 제1검색문헌리스트에 기초하여 검색어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연도별결과제공부(1300)는 제1검색문헌리스트에 포함된 검색어의 빈도수를 연도별로 분류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검색어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로 표시하여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한다. 또한, 빈도수가 표시된 그래프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제공받은 사용자는 자신의 관심연도를 클릭하여, 해당 연도의 검색문헌리스트인 제2검색문헌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리스트결과제공부(1400)는, 사용자단말기의 관심연도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관심연도에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리스트결과제공부(1400)는, 제1검색문헌리스트에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관심연도에 대한 입력에 따라 해당 관심연도의 검색문헌리스트인 제2검색문헌리스트를 뇌영역이미지와 함께 사용자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한다.
개별문헌제공부(1500)는, 리스트결과제공부(1400)가 제공한 해당 관심연도에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 중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한 개별문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개별문헌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가공뇌질환문헌(1620)에 포함된 문헌의 제목, 초록, 뇌영역키워드(1623) 및 뇌영역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문헌제공부(1500)는 사용자단말기에 선택된 개별문헌의 제목 및 초록을 제공하고, 개별문헌의 초록의 각각의 뇌영역키워드(1623)를 뇌영역이미지에 매칭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해당 키워드에 대한 빈도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서버(1000)의 DB(1600)에는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제1뇌질환문헌(1610), 제1뇌질환문헌(1610)에 기초하여 도출된 해당 문헌의 매쉬키워드, 연도, 및 초록을 포함하는 뇌질환문헌데이터(1621), 뇌자극 및 뇌수술중 하나에 해당하는 뇌질환문헌종류(1622) 및 뇌영역키워드(1623)에 기초하여 도출된 뇌영역정보를 포함하는 가공뇌질환문헌(1620)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서비스서버(1000)는 도시된 구성요소 외의 다른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뇌질환관련문헌을 분석한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뇌질환 연구보조 시스템과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표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헌크롤링부(1100)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헌크롤링부(1100)는, 웹크롤링을 수행하여, 뇌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제1뇌질환문헌(1610)을 수신하는 단계(S100); 상기 제1뇌질환문헌(1610)에 기초하여 해당 문헌의 매쉬키워드, 연도, 및 초록을 포함하는 뇌질환문헌데이터(1621)를 도출하는 단계(S110); 상기 제1뇌질환문헌(1610)의 상기 초록에 기초하여 뇌자극 및 뇌수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뇌질환문헌종류(1622)를 판별하는 단계(S120); 상기 제1뇌질환문헌(1610)의 상기 초록에 기초하여 뇌영역키워드(1623)를 추출하고 해당 문헌의 뇌영역정보를 도출하는 단계(S130); 및 상기 뇌질환문헌데이터(1621), 뇌질환문헌종류(1622) 및 뇌영역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공뇌질환문헌(1620)을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40);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S100단계에서는, 웹크롤링을 수행하여,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뇌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제1뇌질환문헌(1610)을 수신한다. 웹크롤링이란, 컴퓨터 소프트웨어 기술로서, 웹 사이트들에서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문헌크롤링부(1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PubMed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웹크롤링을 수행하여 뇌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제1뇌질환문헌(1610)을 획득할 수 있다.
S110단계에서는,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제1뇌질환문헌(1610)에 기초하여 해당 문헌의 매쉬키워드(MeSH Keyword), 연도, 및 초록을 포함하는 뇌질환문헌데이터(1621)를 도출한다. 제1뇌질환문헌(1610)으로부터 각각의 뇌질환문헌에 포함된 매쉬키워드, 연도, 및 초록이 도출되고, 각각의 매쉬키워드, 연도 및 초록이 구분되어 뇌질환문헌데이터(1621)가 저장된다. MeSH(Medical Subject Headings) keyword는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에서 제작하는 통제 어휘로서 의학 분야의 정보와 문헌의 색인, 목록, 검색을 위해 사용한다. MeSH는 계층적 구조로 해당 분야의 연구 주제가 잘 반영되어 있고, 해당분야의 연구자에게 익숙한 용어로 구성된다. 해당분야의 연구자는 이러한 매쉬키워드를 검색어로 활용하여, 본 발명의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출한 매쉬키워드는 제1뇌질환문헌(1610)의 매쉬키워드별 클러스터링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데 기초가 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S120단계에서는, 제1뇌질환문헌(1610)의 초록에 기초하여 뇌자극 및 뇌수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뇌질환문헌종류(1622)를 판별한다. 뇌질환관련문헌은 뇌질환과 관련된 수술에 대한 문헌 및 뇌에 전극 등을 통해 자극을 주는 내용에 대한 문헌으로 나뉠 수 있고, 이에 따라 뇌질환문헌종류(1622)는 뇌자극 및 뇌수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문헌크롤링부(1100)는 제1뇌질환문헌(1610)의 초록에 기초하여 뇌영역키워드(1623)를 추출하고, 추출한 뇌영역키워드(1623)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뇌자극 및 뇌수술 중 어느 하나인 뇌질환문헌종류(1622)를 판별한다. 판별된 뇌질환문헌종류(1622)는 이후 후술하는 리스트결과제공부(1400) 및 개별문헌제공부(1500)에서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뇌영역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S130단계에서는, 제1뇌질환문헌(1610)의 초록에 기초하여 뇌영역키워드(1623)를 추출하고 해당 문헌의 뇌영역정보를 도출한다. 뇌영역키워드(1623)는 상기 초록에 언급되는 뇌에 자극을 주기 위해 부착하는 전극의 명칭, 즉, 뇌파의 전극이름 F,C,P,T,O에 해당 위치의 번호가 부여된 뇌부위별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뇌영역키워드(1623)는 Posterior temporal, temporal-lobe와 같은 뇌부위와 관련된 키워드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뇌영역키워드(1623)는 뇌부위키워드 및 뇌부위별전극키워드를 포함하고, 상기 뇌영역정보는 뇌부위 및 뇌부위별전극을 포함한다.
S140단계에서는, 상기 S100 내지 S130단계에서 추출한 뇌질환문헌데이터(1621), 뇌질환문헌종류(1622) 및 뇌영역정보를 포함하는 가공뇌질환문헌(1620)을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서버(1000)에 저장된 가공뇌질환문헌(1620)은 이후 후술하는 리스트결과제공부(1400) 및 개별문헌제공부(1500)가 사용자단말기에 해당 문헌의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초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헌검색부(1200)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문헌검색부(1200)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검색어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200); 복수의 상기 가공뇌질환문헌(1620)에 상기 검색어의 포함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210); 및 상기 검색어가 포함된 경우, 해당 가공뇌질환문헌(1620)을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로 도출하는 단계(S220);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S200단계에서는, 문헌검색부(1200)는, 사용자단말기에 검색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검색어의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매쉬키워드를 검색어로 입력할 수 있다.
S210단계에서는, 가공뇌질환문헌(1620)에 검색어의 포함 여부를 판별한다. 검색어의 입력을 수신한 문헌검색부(1200)는,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뇌질환문헌(1620)들에 입력 수신한 검색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S220단계에서는, S210단계에서 가공뇌질환문헌(1620)에 검색어가 포함된 경우, 검색어가 포함된 해당 가공뇌질환문헌(1620)을 제1검색문헌리스트로 도출한다.
한편, 상기 가공뇌질환문헌(1620)에 상기 검색어의 포함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210)에서, 문헌검색부(1200)는 검색어가 가공뇌질환문헌(1620)의 매쉬키워드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뇌질환 연구보조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매쉬키워드를 검색어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사용자가 매쉬키워드를 인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매쉬키워드가 아닌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헌검색부(1200)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 수신한 검색어가 가공뇌질환문헌(1620)의 매쉬키워드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별하고, 검색어의 매쉬키워드 판별여부에 따라 이후 후술하는 연도별결과제공부(1300)가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화면은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헌검색부(1200)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문헌검색부(1200)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해당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매쉬키워드를 검색어로 활용할 수 있고, 문헌검색부(1200)는 입력 수신한 검색어에 기초하여 해당 검색어가 포함된 가공뇌질환문헌(1620)을 제1검색문헌리스트로 도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도별결과제공부(1300)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1300)는,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베이스 저장된 상기 가공뇌질환문헌(1620)에 기초하여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연도별로 분류하는 단계(S310); 연도별로 분류한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하는 단계(S320);를 수행하고,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1300)에 의하여 제공되는 연도별빈도수가 디스플레이 된 그래프 화면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관심 연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310단계에서는,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뇌질환문헌(1620)에 기초하여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분류한다. 가공뇌질환문헌(1620)은 연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에 기초하여, 연도별결과제공부(1300)는 연도별로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분류한다.
S320단계에서는, S310단계에서 연도별로 분류한 제1검색문헌리스트에 포함된 검색어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 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한다.
또한, 연도별빈도수를 표시한 그래프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관심연도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받은 그래프상에서 예를 들어, 마우스를 사용하여 해당 관심연도를 클릭하면 이후, 리스트결과제공부(1400)가 제공하는 해당 연도에 대한 검색문헌리스트인 제2검색문헌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 수신한 검색어가 매쉬키워드인 경우, 연도별결과제공부(1300)는 상기 S310단계 및 S320단계를 수행하여, 검색어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 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1300)는,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가공뇌질환문헌(1620)에 기초하여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매쉬키워드별 연도별로 분류하는 단계(S330); 매쉬키워드별 연도별로 분류한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하는 단계(S340);를 수행하고,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1300)에 의하여 제공되는 매쉬키워드에 대한 연도별빈도수가 디스플레이된 그래프 화면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관심 연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 수신한 검색어가 매쉬키워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는, 1 이상의 매쉬키워드에 대한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330단계에서는, 연도별결과제공부(1300)는,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매쉬키워드별 및 연도별로 분류한다.
문헌마다 부여되는 매쉬키워드는 1 이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매쉬키워드별 및 연도별로 분류한다.
바람직하게는, S330단계에서는, 논문에 부여된 1 이상의 매쉬키워드 중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매쉬키워드를 판별하는 단계(S330-1); 및 상기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매쉬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문헌리스트를 매쉬키워드별 연도별로 분류하여 도출하는 단계(S330-2);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와 매쉬키워드의 연관성을 판단하는 매쉬키워드의 빈도수 일 수 있다.
S340단계에서는, 매쉬키워드별 연도별로 분류한 제1검색문헌리스트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한다. 연도별빈도수가 표시된 그래프는 S330단계에서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매쉬키워드의 수만큼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에는 매쉬키워드별 연도별빈도수가 표시된 그래프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이 제공된다.
연도별결과제공부(1300)에 의하여 제공되는 매쉬키워드에 대한 연도별빈도수가 디스플레이된 그래프 화면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관심 연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340단계의 수행에 의해 사용자단말기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은, 해당 검색어가 포함된 제1검색문헌리스트에서 각각에 문헌에 부여된 매쉬키워드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하여 도출된 매쉬키워드별 연도별그래프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매쉬키워드별 연도별그래프를 제공하여 보다 사용자가 키워드에 따라 분류된 정보를 제공받아 뇌질환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도별결과제공부(1300)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ADHD를 검색하였는데, 예를 들어, ADHD가 매쉬키워드에 포함되는 경우, 서비스서버(1000)는 사용자가 검색한 ADHD가 포함된 제1뇌질환문헌(1610)을 제1검색문헌리스트로 추출하여 해당 제1검색문헌리스트에 대한 검색어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에 표시한다.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제공받은 사용자는 검색어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를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제공받은 사용자는 마우스 등으로 자신의 관심연도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관심연도에 대한 선택입력이 수신되면, 서비스서버(1000)는 사용자단말기로 해당연도의 검색문헌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해당연도의 검색문헌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도별결과제공부(1300)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ADHD를 검색하였는데, 예를 들어, ADHD가 매쉬키워드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서버(1000)는 검색한 ADHD가 포함된 제1뇌질환문헌(1610)을 제1검색문헌리스트로 추출하여 해당 제1검색문헌리스트 대한 매쉬키워드별 및 연도별로 분류한 제1검색문헌리스트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DHD가 포함된 제1검색문헌리스트 중 Adult, Attention, 및 Emotions의 매쉬키워드별 각각의 그래프가 디스플레이 된다. 연도별결과제공부(1300)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수신한 검색어의 범위내의 뇌질환과 관련된 문헌에 기초하여 문헌에 부여된 매쉬키워드별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해당 매쉬키워드별 연도별빈도수를 표시하는 그래프를 각각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Adult, Attention 및 Emotions는 연도별결과제공부(1300)가 해당 논문에 부여된 1 이상의 매쉬키워드 중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매쉬키워드를 판별하는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한 매쉬키워드이다. 바람직하게는, 기설정된 기준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와 매쉬키워드의 연관성을 판단하는 매쉬키워드의 빈도수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매쉬키워드별 클러스터링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관심키워드에 따라 문헌을 분류하여 확인할 수 있어, 보다 많은 문헌을 리뷰 해야 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결과제공부(1400)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리스트결과제공부(1400)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연도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로부터 해당 연도의 제2검색문헌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S400); 및 추출한 상기 제2검색문헌리스트 및 뇌영역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410);를 수행하고, 상기 제2검색문헌리스트는 최신날짜순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구체적으로, S400단계에서는, 리스트결과제공부(1400)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관심연도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제1검색문헌리스트로부터 해당 연도의 검색문헌리스트인 제2검색문헌리스트를 추출한다. 연도별결과제공부(1300)에 의하여 사용자단말기에 제공되는 연도별빈도수가 표시된 그래프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연도를 선택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관심연도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제2검색문헌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S410단계에서는, 리스트결과제공부(1400)는 추출한 제2검색문헌리스트 및 뇌영역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리스트결과제공부(1400)가 제공하는 뇌영역이미지는 제1뇌영역이미지 및 제2뇌영역이미지가 모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리스트결과제공부(1400)가 제공하는 제2검색문헌리스트는 12월부터 1월까지의 최신날짜 순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결과제공부(1400)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은, 상기 관심연도에 대한 검색문헌리스트가 최신날짜순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문헌리스트레이어(L1); 및 제1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L2); 및 제2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L3);를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른 커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 혹은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에서의 빈도수가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L1) 혹은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L2)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문헌리스트레이어(L1)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 ADHD가 포함된 사용자의 관심연도에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된다. 제공된 제2검색문헌리스트 중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싶은 문헌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한 개별문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L2)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L3)에는 제2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는 10-20시스템이미지 일 수 있다. 뇌파를 이용한 치료 혹은 진단을 하는 경우, 뇌의 부위별로 자극을 전달하거나, 혹은 그 부위의 뇌파를 수신하는 전극을 붙이게 된다. 10-20시스템이란, 이러한 부위별 전극들의 명칭을 알파벳과 숫자를 붙여서 부여한 국제규격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뇌에 자극을 가하는 연구 혹은 치료와 관련된 문헌의 뇌부위별전극의 빈도수가 10-20시스템이미지에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는 3D브레인이미지 일 수 있다. 뇌의 이미지를 3D로 디스플레이 하고, 뇌의 수술에 관한 연구와 관련된 문헌의 뇌부위의 빈도수는 3D브레인이미지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은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른 커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 혹은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에서의 빈도수가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L2) 혹은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L3)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관심 있는 뇌부위 혹은 뇌부위별전극을 제공된 뇌영역이미지 상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L2)에서 뇌의 전극 중 하나를 커서를 통해 선택하였고, 사용자가 선택한 전극이 표시됨이 나타난다. 또한, 제2검색문헌리스트에 포함된 검색어의 빈도수가 함께 디스플레이 됨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L2)에서 뇌부위별전극을 선택하여 해당 뇌부위별전극이 제2검색문헌리스트에서 언급되는 빈도수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L2)에는 각각의 뇌부위별전극에 대한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하고, 문헌리스트레이어(L1)에는 제2검색문헌리스트에 포함된 뇌부위별전극의 텍스트 색상이 제1뇌영역이미지에 표시된 색상과 동일하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2영역이미지레이어(L3)에서 뇌부위 중 하나를 커서를 통해 선택하였고, 사용자가 선택한 뇌부위는 다른 부위와 차별화되어 표시됨이 나타난다. 또한, 제2검색문헌리스트에 포함된 검색어의 빈도수가 함께 디스플레이 됨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2뇌영역이미지에서 뇌부위를 선택하여 해당 뇌부위가 제2검색문헌리스트에서 언급되는 빈도수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L3)에는 각각의 뇌부위에 대한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하고, 문헌리스트레이어(L1)에는 제2검색문헌리스트에 포함된 뇌부위의 텍스트 색상이 제2뇌영역이미지에 표시된 색상과 동일하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리스트결과제공부(1400)는, 해당 연도의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에서 언급되는 뇌부위키워드 및 뇌부위별전극키워드를 포함하는 뇌영역키워드(1623)와 뇌영역이미지를 매칭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는 문헌을 전부 읽어보지 않더라도 뇌영역이미지를 통해 해당 문헌의 주제가 되는 뇌영역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문헌제공부(1500)의 수행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표시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개별문헌제공부(1500)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개별문헌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500); 및 상기 가공뇌질환문헌(1620)에 기초하여 선택된 해당 개별문헌에 대한 제목, 초록, 뇌영역이미지, 및 뇌영역키워드(1623)의 빈도수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510);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S500단계에서는, 관심연도에 대한 검색문헌리스트에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개별문헌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한다.
S510단계에서는, 가공뇌질환문헌(1620)에 기초하여 선택된 해당 개별문헌에 대한 제목, 초록, 뇌영역이미지, 및 뇌영역키워드(1623)의 빈도수를 디스플레이 한다.
바람직하게는, 개별문헌제공부(1500)가 디스플레이하는 뇌영역이미지는, 선택된 해당 개별문헌의 뇌질환문헌종류(1622)에 따라 제1뇌영역이미지 혹은 제2뇌영역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별문헌제공부(1500)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은, 선택된 해당 개별문헌의 제목 및 초록이 디스플레이 되는 문헌정보레이어(L4); 뇌부위 및 뇌부위별전극이 표시되는 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뇌영역이미지레이어(L5);를 포함하고, 상기 뇌영역이미지레이어(L5)에는, 상기 개별문헌의 종류가 뇌자극인 경우, 제1뇌영역이미지 및 제1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의 빈도수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개별문헌의 종류가 뇌수술인 경우, 제2뇌영역이미지 및 제2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의 빈도수가 디스플레이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문헌정보레이어(L4)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개별문헌의 제목 및 초록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뇌영역이미지레이어(L5)에는 뇌부위별전극이 표시되는 제1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됨이 도시되어 있다. 개별문헌제공부(1500)는,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뇌질환문헌(1620)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개별문헌의 뇌질환문헌종류(1622)를 판별하고, 뇌질환문헌종류(1622)에 기초하여 뇌영역이미지레이어(L5)에 제1뇌영역이미지 혹은 제2뇌영역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12에서 선택된 개별문헌은 뇌자극에 관한 문헌이고, 이에 따라 뇌영역이미지레이어(L5)에는 제1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문헌정보레이어(L4)에는 해당 문헌의 초록에 언급되는 뇌부위별전극의 텍스트가 강조되어 표시되고, 해당 뇌부위별전극이 제1뇌영역이미지에 매칭되어 뇌부위별전극의 빈도수와 함께 뇌영역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뇌영역이미지레이어(L5)에는 각각의 뇌부위별전극에 대한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하고, 문헌정보레이어(L4)에는 제2검색문헌리스트에 포함된 뇌부위별전극의 텍스트 색상이 뇌영역이미지레이어(L5)에 표시된 색상과 동일하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서는, 문헌정보레이어(L4)에는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다른 개별문헌의 제목 및 초록이 디스플레이 됨이 도시되고, 뇌영역이미지레이어(L5)에는 뇌부위가 표시되는 제2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됨이 도시된다. 개별문헌제공부(1500)는, 서비스서버(10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뇌질환문헌(1620)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개별문헌의 뇌질환문헌종류(1622)를 판별하고, 뇌질환문헌종류(1622)에 기초하여 뇌영역이미지레이어(L5)에 제1뇌영역이미지 혹은 제2뇌영역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13에서 선택된 개별문헌은 뇌수술에 관한 문헌이고, 이에 따라 뇌영역이미지레이어(L5)에는 제2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문헌정보레이어(L4)에는 해당 문헌의 초록에 언급되는 뇌부위의 텍스트가 강조되어 표시되고, 해당 뇌부위가 제2뇌영역이미지에 매칭되어 뇌부위별전극의 빈도수와 함께 뇌영역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뇌영역이미지레이어(L5)에는 각각의 뇌부위에 대한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하고, 문헌정보레이어(L4)에는 해당 개별문헌의 초록에 포함된 뇌부위의 텍스트 색상이 뇌영역이미지레이어(L5)에 표시된 색상과 동일하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개별문헌제공부(1500)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별문헌에서 언급되는 뇌부위키워드 및 뇌부위별전극키워드를 포함하는 뇌영역키워드(1623)와 뇌영역이미지를 매칭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는 개별문헌의 내용을 전부 읽어보지 않더라도 뇌영역이미지를 통해 해당 문헌의 주제가 되는 뇌영역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서비스서버에 의하여 구현되는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뇌질환관련문헌을 추출하고 추출한 문헌을 분석한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으로서,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뇌질환문헌을 수신하여 가공뇌질환문헌을 도출하는 문헌크롤링부;
    사용자단말기에 검색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수신한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도출하는 문헌검색부;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에 기초하여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연도별결과제공부;
    사용자단말기의 관심연도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관심연도에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결과제공부; 및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부가 제공한 상기 제2검색문헌리스트 중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개별문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별문헌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은 해당 문헌의 매쉬키워드, 연도, 및 초록을 포함하는 뇌질환문헌데이터, 뇌자극 및 뇌수술중 하나에 해당하는 뇌질환문헌종류 및 뇌영역키워드에 기초하여 도출된 뇌영역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은,
    상기 관심연도에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가 최신날짜순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문헌리스트레이어; 및
    제1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 및 제2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를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른 커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 혹은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에서의 빈도수가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 혹은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개별문헌제공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은,
    선택된 해당 개별문헌의 제목 및 초록이 디스플레이 되는 문헌정보레이어;
    뇌부위 및 뇌부위별전극이 표시되는 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뇌영역이미지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는,
    상기 개별문헌의 종류가 뇌자극인 경우, 제1뇌영역이미지 및 제1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의 빈도수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개별문헌의 종류가 뇌수술인 경우, 제2뇌영역이미지 및 제2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의 빈도수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는,
    각각의 상기 뇌부위 및 상기 뇌부위별전극에 대한 색상이 다르게 표시되고,
    상기 문헌정보레이어에는,
    해당 문헌의 초록에 언급되는 상기 뇌부위 및 상기 뇌부위별전극에 상응하는 텍스트가 강조되어 표시되고, 해당 개별문헌의 초록에 포함된 상기 뇌부위 및 상기 뇌부위별전극의 텍스트 색상이 상기 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 표시된 색상과 동일하게 표시되는,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헌크롤링부는,
    웹크롤링을 수행하여, 뇌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제1뇌질환문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뇌질환문헌에 기초하여 해당 문헌의 매쉬키워드, 연도, 및 초록을 포함하는 뇌질환문헌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제1뇌질환문헌의 상기 초록에 기초하여 뇌자극 및 뇌수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뇌질환문헌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제1뇌질환문헌의 상기 초록에 기초하여 뇌영역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문헌의 뇌영역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뇌질환문헌데이터, 뇌질환문헌종류 및 뇌영역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을 서비스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문헌검색부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검색어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에 상기 검색어의 포함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어가 포함된 경우, 해당 가공뇌질환문헌을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로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에 상기 검색어의 포함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어가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의 매쉬키워드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별하는,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는,
    서비스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에 기초하여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연도별로 분류하는 단계;
    연도별로 분류한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연도별빈도수가 디스플레이된 그래프 화면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관심 연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는,
    서비스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에 기초하여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매쉬키워드별 연도별로 분류하는 단계;
    매쉬키워드별 연도별로 분류한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의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매쉬키워드에 대한 연도별빈도수가 디스플레이된 그래프 화면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관심 연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뇌질환관련문헌을 추출하고 추출한 문헌을 분석한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문헌크롤링부; 문헌검색부; 연도별결과제공부; 리스트결과제공부; 및 개별문헌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헌크롤링부에 의하여,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뇌질환문헌을 수신하여 가공뇌질환문헌을 도출하는 문헌크롤링단계;
    상기 문헌검색부에 의하여, 사용자단말기에 검색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수신한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도출하는 문헌검색단계;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에 의하여,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에 기초하여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연도별결과제공단계;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부에 의하여, 사용자단말기의 관심연도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관심연도에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결과제공단계; 및
    상기 개별문헌제공부에 의하여,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단계에서 제공한 상기 제2검색문헌리스트 중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개별문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별문헌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은 해당 문헌의 매쉬키워드, 연도, 및 초록을 포함하는 뇌질환문헌데이터, 뇌자극 및 뇌수술중 하나에 해당하는 뇌질환문헌종류 및 뇌영역키워드에 기초하여 도출된 뇌영역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은,
    상기 관심연도에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가 최신날짜순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문헌리스트레이어; 및
    제1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 및 제2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를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른 커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 혹은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에서의 빈도수가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 혹은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개별문헌제공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은,
    선택된 해당 개별문헌의 제목 및 초록이 디스플레이 되는 문헌정보레이어;
    뇌부위 및 뇌부위별전극이 표시되는 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뇌영역이미지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는,
    상기 개별문헌의 종류가 뇌자극인 경우, 제1뇌영역이미지 및 제1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의 빈도수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개별문헌의 종류가 뇌수술인 경우, 제2뇌영역이미지 및 제2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의 빈도수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는,
    각각의 상기 뇌부위 및 상기 뇌부위별전극에 대한 색상이 다르게 표시되고,
    상기 문헌정보레이어에는,
    해당 문헌의 초록에 언급되는 상기 뇌부위 및 상기 뇌부위별전극에 상응하는 텍스트가 강조되어 표시되고, 해당 개별문헌의 초록에 포함된 상기 뇌부위 및 상기 뇌부위별전극의 텍스트 색상이 상기 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 표시된 색상과 동일하게 표시되는, 뇌질환 연구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서비스서버에서 수행되는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뇌질환관련문헌을 추출하고 추출한 문헌을 분석한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문헌크롤링부, 문헌검색부, 연도별결과제공부, 리스트결과제공부 및 개별문헌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서비스서버의 구성요소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상기 문헌크롤링부에서, PubMed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뇌질환문헌을 수신하여 가공뇌질환문헌을 도출하는 문헌크롤링단계;
    상기 문헌검색부에서, 사용자단말기에 검색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수신한 상기 검색어에 기초하여 제1검색문헌리스트를 도출하는 문헌검색단계;
    상기 연도별결과제공부에서, 상기 제1검색문헌리스트에 기초하여 연도별빈도수를 그래프 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연도별결과제공단계;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부에서, 사용자단말기의 관심연도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관심연도에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결과제공단계; 및
    상기 개별문헌제공부에서,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단계에서 제공한 상기 제2검색문헌리스트 중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개별문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별문헌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뇌질환문헌은 해당 문헌의 매쉬키워드, 연도, 및 초록을 포함하는 뇌질환문헌데이터, 뇌자극 및 뇌수술중 하나에 해당하는 뇌질환문헌종류 및 뇌영역키워드에 기초하여 도출된 뇌영역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결과제공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은,
    상기 관심연도에 대한 제2검색문헌리스트가 최신날짜순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문헌리스트레이어; 및
    제1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 및 제2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를 포함하고,
    사용자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른 커서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 혹은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에서의 빈도수가 상기 제1뇌영역이미지레이어 혹은 상기 제2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개별문헌제공단계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단말기에서의 화면은,
    선택된 해당 개별문헌의 제목 및 초록이 디스플레이 되는 문헌정보레이어;
    뇌부위 및 뇌부위별전극이 표시되는 뇌영역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뇌영역이미지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는,
    상기 개별문헌의 종류가 뇌자극인 경우, 제1뇌영역이미지 및 제1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의 빈도수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개별문헌의 종류가 뇌수술인 경우, 제2뇌영역이미지 및 제2뇌영역이미지의 세부영역의 빈도수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는,
    각각의 상기 뇌부위 및 상기 뇌부위별전극에 대한 색상이 다르게 표시되고,
    상기 문헌정보레이어에는,
    해당 문헌의 초록에 언급되는 상기 뇌부위 및 상기 뇌부위별전극에 상응하는 텍스트가 강조되어 표시되고, 해당 개별문헌의 초록에 포함된 상기 뇌부위 및 상기 뇌부위별전극의 텍스트 색상이 상기 뇌영역이미지레이어에 표시된 색상과 동일하게 표시되는, 컴퓨터-판독가능매체.
KR1020190086161A 2019-07-17 2019-07-17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84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61A KR102084513B1 (ko) 2019-07-17 2019-07-17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161A KR102084513B1 (ko) 2019-07-17 2019-07-17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513B1 true KR102084513B1 (ko) 2020-03-04

Family

ID=6978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161A KR102084513B1 (ko) 2019-07-17 2019-07-17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5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9461A (zh) * 2020-04-08 2020-08-28 深圳市领治医学科技有限公司 肠道菌群干预方式作用原理分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016A (ko) * 2009-05-29 2010-12-08 (주)바텍이우홀딩스 의료정보 검색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6833A (ko) * 2012-08-23 2014-03-0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경쟁자 논문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5576B1 (ko) * 2013-12-20 2015-06-09 성승주 주제별로 연계된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0063A (ko) * 2016-01-28 2017-08-07 (주)중외정보기술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016A (ko) * 2009-05-29 2010-12-08 (주)바텍이우홀딩스 의료정보 검색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6833A (ko) * 2012-08-23 2014-03-0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경쟁자 논문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5576B1 (ko) * 2013-12-20 2015-06-09 성승주 주제별로 연계된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0063A (ko) * 2016-01-28 2017-08-07 (주)중외정보기술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9461A (zh) * 2020-04-08 2020-08-28 深圳市领治医学科技有限公司 肠道菌群干预方式作用原理分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599461B (zh) * 2020-04-08 2024-01-05 深圳市领治医学科技有限公司 肠道菌群干预方式作用原理分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aga et al. EmoFinder: The meeting point for Spanish emotional words
US20080215570A1 (en) Medical literature database search tool
KR20170090063A (ko) 의료 학술연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Ndumbaro Understanding user-system interactions: An analysis of OPAC users’ digital footprints
Arya et al. Practical guide to meta-analysis
JP2023052700A (ja) 創薬プラットフォーム
Oertelt-Prigione et al. GenderMedDB: an interactive database of sex and gender-specific medical literature
Menzen et al. Using biometric data in software engineering: a systematic mapping study
Vošner et al. Nursing informatics: a historical bibliometric analysis
Hewitt Data, information, and knowledge
Costagliola et al. Visual languages: A graphical review
Dao et al. Latent sentiment topic modelling and nonparametric discovery of online mental health-related communities
KR102084513B1 (ko)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뇌질환 연구 보조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Gülkesen et al.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trends in medical informatics
Cserni et al. Twenty years of Men and Masculinities by the numbers: An analysis of publications and article keywords
Sillitoe et al. Using CATH‐Gene3D to analyze the sequence, structure, and function of proteins
Karisani et al. Probabilistic and machine learning-based retrieval approaches for biomedical dataset retrieval
Menin et al. Covid-on-the-Web: Exploring the COVID-19 scientific literature through visualization of linked data from entity and argument mining
Porter et al. The long COVID research literature
Golder et al. Best practices on big data analytics to address sex-specific biases in our understanding of the etiology, diagnosis, and prognosis of diseases
Alzahrani et al. An investigation into various visualization tools for complex biological networks
Denecke Chapter 6 Diversity-Aware Search: New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for Web Search
US11269937B2 (en) System and method of presenting information related to search query
US201702937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telligent health content based on a user profile
Busis et al. Neurologists and the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