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813B1 - 전동 유모차 - Google Patents

전동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813B1
KR102082813B1 KR1020180104632A KR20180104632A KR102082813B1 KR 102082813 B1 KR102082813 B1 KR 102082813B1 KR 1020180104632 A KR1020180104632 A KR 1020180104632A KR 20180104632 A KR20180104632 A KR 20180104632A KR 102082813 B1 KR102082813 B1 KR 102082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r
handle
power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이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완 filed Critical 이재완
Priority to KR1020180104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46Vehicles with auxiliary ad-on propulsions, e.g. add-on electric motor kits for bicy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자가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유모차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 운행 시에 속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전동 유모차는 시트가 안착되며 한 쌍의 전방 바퀴부 및 한 쌍의 후방 바퀴부가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며, 전동 유모차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원부로부터의 전원이 속도 조절부로의 공급 및 차단되도록 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한 쌍의 전방 바퀴부나 한 쌍의 후방 바퀴부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모터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되, 자성체로부터의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제 1 및 제 2 모터로 구동 전원의 공급 차단과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크기의 조절을 수행하여 제 1 및 제 2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 유모차{ELECTRIC STROLLER}
본 발명은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호자가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유모차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 운행 시에 속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전동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영아나 유아가 탑승하는 좌석과, 영아나 유아의 보호자가 유모차를 밀거나 끌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와 손잡이가 구비된 이동수단으로서, 주로 영아나 유아를 데리고 보호자가 외출할 시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유모차는 외출 시 사용되는 것임에 따라, 아직까지 신체와 정신의 발달이 미숙한 영아나 유아의 보호를 위하여 안전의 확보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그런데, 유모차 이동시 충돌이나 보호자의 부주위로 손잡이를 놓치게 되면, 유모차가 보호자로부터 이탈하여 통제 없이 이동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유모차가 넘어지거나, 유모차가 차량을 포함하는 각종 물체와 충돌하면서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었다. 특히, 경사진 길에서는 보호자가 조심스럽게 운행하지 않으면 중력의 영향으로 유모차의 손잡이를 놓칠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경사진 길에서 유모차가 보호자로부터 이탈되면, 유모차가 미끄러지면서 곧바로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유모차에 브레이크와 같은 제동장치를 설치하여 유모차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10-1995-0014630호 "유모차의 제동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유모차의 제동장치"는 단순히 유모차의 바퀴에 브레이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보호자가 직접 브레이크를 조작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한 기술로서, 유모차의 손잡이를 놓을 때에는 브레이크 상태가 되고, 손잡이 잡을 때에만 브레이크 상태가 해제되어 운행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9384호 "유모차"로 안출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른 유모차는 손잡이가 마련된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는 탑승부, 프레임에 설치되며 지면과 접촉되어 구동하는 전,후방 바퀴로 구성된 유모차에 있어서, 손잡이에 설치되어 손으로 손잡이를 잡을 때 압입되어 온(on)되는 압력 감지 스위치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압력 감지 스위치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될 때 바퀴의 스포크로부터 벗어나 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바퀴의 스포크로 진입되어 바퀴가 회전될 수 없도록 하는 걸림쇠를 가지는 전기식 브레이크를 구비함으로써, 손잡이를 잡을 때에만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유모차"는 손잡이의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는 압력 감지 스위치를 지속적으로 일정압으로 누르고 있어야만 유모차가 운행되는 구성이어서 유모차의 운행을 위해서 보호자는 1)압력감지스위치가 설치되는 손잡이부위를 반드시 잡아야 했고, 2)압력감지스위치가 설치되는 손잡이 부위를 힘을 주어서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10-1995-0014630호 "유모차의 제동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9384호 "유모차"
본 발명은 보호자가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유모차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 운행 상태에서 속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전동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인 프레임을 지니면서 접철 기능을 구비한 전동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동 유모차는 시트가 안착되며 한 쌍의 전방 바퀴부 및 한 쌍의 후방 바퀴부가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며, 전동 유모차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원부로부터의 전원이 속도 조절부로의 공급 및 차단되도록 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한 쌍의 전방 바퀴부나 한 쌍의 후방 바퀴부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모터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되, 자성체로부터의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제 1 및 제 2 모터로 구동 전원의 공급 차단과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크기의 조절을 수행하여 제 1 및 제 2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로 구성되며, 프레임은 한 쌍의 전방 바퀴부가 이격되어 결합되는 전방 휠 프레임과, 한 쌍의 후방 바퀴부가 이격되어 결합되는 후방 휠 프레임과, 일단이 전방 휠 프레임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보다 높으며 시트 안착부가 형성된 전방 프레임과, 일단이 후방 휠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전방 프레임을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과, 일단이 전방 휠 프레임의 중앙에 연결되며 타단이 핸들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과, 일단이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며 타단이 핸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링크 보호부에 연결되는 링크부로 구성되며, 하부 프레임은 일단이 후방 휠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대칭인 한 쌍의 상방 프레임과 한 쌍의 상방 프레임의 타단을 각각 연결하며 관통홀이 형성된 관통 연결부와 한 쌍의 상방 프레임의 하방에서 양 단부가 한 쌍의 상방 프레임 각각 연결되는 하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전방 프레임이 관통 연결부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링크부는 관통 연결부에 연결되고, 핸들 프레임이 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크부에 연결된 관통 연결부가 전방 프레임을 따라 전방 하향 이동하며 전방 프레임이 하방 회전하여 시트 안착부의 위치가 낮아진다.
또한, 손잡이부는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 프레임과,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 가능한 속도 조절 시프트가 장착된 핸들로 구성되며, 속도 조절부는 핸들 내부에 고정 장착되며, 속도 조절 시프트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속도 조절 시프트의 회전에 의해 자성체도 회전됨으로써, 자성체와 속도 조절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전방 휠 프레임은 그 중앙이 상방향으로 볼록하고 양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부 프레임은 일단이 후방 휠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대칭인 한 쌍의 상방 프레임과 한 쌍의 상방 프레임의 타단을 각각 연결하며 관통홀이 형성된 관통 연결부와 한 쌍의 상방 프레임의 하방에서 양 단부가 한 쌍의 상방 프레임 각각 연결되는 하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방 프레임과 관통 연결부 및 상방 프레임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방 프레임은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전방 프레임이 관통 연결부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지지 프레임은 그 중간 부분이 하방으로 볼록하며 양 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며, 링크부는 하방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링크 보호부보다 더 높은 관통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보호자가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유모차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 운행 상태에서 속도 조절이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인 하중 지지력을 지니면서 용이한 접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의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의 접철 과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의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제어 장치는 제 1 및 제 2 모터(M1, M2)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와, 전원부(1)로부터의 전원이 속도 조절부(5) 및 표시부(3)로 공급 및 차단되도록 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로 구성된 스위치부(SW)와, 전원부(1)의 전원 상태(전원의 크기 또는 세기)를 표시하는 표시부(3)와, 전원부(1)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제 1 및 제 2 모터(M1, M2)로 구동 전원의 공급 차단과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크기(또는 세기)의 조절을 수행하여 제 1 및 제 2 모터(M1, M2)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5)와, 속도 조절부(5)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제 1 및 제 2 모터(M1, M2)로 구성된다.
제어 장치는 직렬로 연결된 전원부(1)와, 스위치부(SW)와, 속도 조절부(5) 및 표시부(3)로 구성된 제 1 전기적 경로와, 직렬로 연결된 속도 조절부(5)와 제 1 및 제 2 모터(M1, M2)로 구성된 제 2 전기적 경로로 구성된다. 제 1 전기적 경로와 제 2 전기적 경로는 속도 조절부(5)를 공통적으로 포함한다.
전원부(1)는 전동 유모차에 고정 장착되는 제 1 서브 전원부와, 전동 유모차에 탈착 가능하며 외부 전원을 공급 받아 충전되며 제 1 서브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된 전원을 제 1 서브 전원부로 공급하는 제 2 서브 전원부로 구성된다. 제 1 서브 전원부는 제 1 전기적 경로에 포함되며, 제 2 서브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제 1 전기적 경로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 각각은 보호자(또는 사용자)의 양 손 각각에 의해 온 및 오프 동작이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동 유모차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는 손잡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표시부(3)는 예를 들면, LED 등으로 구현되어, 전원부(1)의 전원 상태(전원의 크기 또는 세기)를 표시하여, 보호자가 제 2 서브 전원부에 대한 충전을 적절한 시기에 할 수 있도록 알린다.
제 1 및 제 2 모터(M1), (M2)는 전동 유모차의 한 쌍의 전방 바퀴부나 한 쌍의 후방 바퀴부에 장착되어, 전동 유모차를 전방 및 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병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모터(M1), (M2)는 속도 조절부(5)로부터 동일한 크기의 구동 전원을 인가 받는다.
속도 조절부(5)는 전원부(1)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며, 자성체(M)로부터의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제 1 및 제 2 모터(M1, M2)로의 구동 전원의 공급 차단을 수행하거나, 제 1 및 제 2 모터(M1, M2)로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크기(또는 세기)의 조절한다. 예를 들면, 속도 조절부(5)는 자성체(M)로부터의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크기를 지닌 구동 전원들(예를 들면, 10V, 12V 등)을 제 1 및 제 2 모터(M1), (M2)에 각각 인가할 수 있다. 속도 조절부(5)는 크기가 서로 상이한 구동 전원들을 제 1 및 제 2 모터(M1), (M2)에 인가하여, 제 1 및 제 2 모터(M1, M2)의 속도를 조절한다. 속도 조절부(5)는 예를 들면,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홀 센서를 구비하며, 속도 조절부(5)와 자성체(M) 간의 상대적인 거리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가 전동 유모차에 적용된다.
전동 유모차의 정지에 대한 설명이 기재된다.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전원부(1)의 전원이 제 1 전기적 경로를 따라 속도 조절부(5)에 인가되지 않아 제 1 및 제 2 모터(M1), (M2)가 동작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가 모두 온 상태인 경우도 전원부(1)의 전원이 제 1 전기적 경로를 따라 속도 조절부(5)에 공급되더라도, 자성체(M)와 속도 조절부(5) 간의 간격에 의해서 자성체(M)로부터의 자기장의 크기가 구동 전원의 공급 차단에 해당될 경우, 속도 조절부(5)는 제 1 및 제 2 모터(M1, M2)로 구동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킨다.
다음으로, 전동 유모차의 동작에 대한 설명이 기재된다.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가 모두 온 상태이어서 전원부(1)의 전원이 제 1 전기적 경로를 따라 속도 조절부(5)에 공급되고, 자성체(M)와 속도 조절부(5) 간의 간격에 의해서 자성체(M)로부터의 자기장의 크기가 복수의 크기의 구동 전원들 중의 어느 하나의 크기의 구동 전원에 대응할 경우, 속도 조절부(5)는 제 1 및 제 2 모터(M1, M2)로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구동 전원을 공급하며, 전동 유모차가 이동(또는 운행) 동작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의 접철 과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전동 유모차는 시트(400)가 안착되며 한 쌍의 전방 바퀴부(150a, 150b) 및 한 쌍의 후방 바퀴부(200a, 200b)가 장착되는 프레임(100)과, 한 쌍의 전방 바퀴부(150a, 150b)와 한 쌍의 후방 바퀴부(200a, 200b)와,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손잡이부(300)와, 프레임(100)에 안착되는 시트(400)로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한 쌍의 전방 바퀴부(150a, 150b)가 이격되어 결합되는 전방 휠 프레임(10)과, 한 쌍의 후방 바퀴부(200a, 200b)가 이격되어 결합되는 후방 휠 프레임(20)과, 일단이 전방 휠 프레임(10)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보다 높으며 시트 안착부(35)가 형성된 전방 프레임(30)과, 일단이 후방 휠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전방 프레임(30)을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40)과, 일단이 전방 휠 프레임(10)의 중앙에 연결되며 타단이 핸들 프레임(310)에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50)과, 일단이 하부 프레임(44)에 연결되며 타단이 링크 보호부(55)에 연결되는 링크부(60)로 구성된다.
전방 휠 프레임(10)은 그 중앙이 상방향으로 볼록하고 양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전방 휠 프레임(10)의 중앙 부분에서 전방 프레임(30)의 일단과 지지 프레임(50)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다. 전방 휠 프레임(10)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전방 바퀴부(150a, 150b)가 각각 고정 장착된다.
후방 휠 프레임(20)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후방 바퀴부(200a, 200b)가 각각 고정 장착된다.
하부 프레임(40)은 일단이 후방 휠 프레임(20)(후방 바퀴부(200a), (200b)에 인접하된 후방 휠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대칭인 한 쌍의 상방 프레임(41a, 41b)과, 한 쌍의 상방 프레임(41a), (41b)의 타단을 각각 연결하며 관통홀이 형성된 관통 연결부(42)와, 한 쌍의 상방 프레임(41a), (41b)의 하방에서 양 단부가 한 쌍의 상방 프레임(41a), (41b) 각각 연결되는 하방 프레임(44)을 포함한다. 상방 프레임(41a), 관통 연결부(42) 및 상방 프레임(41b)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방 프레임(44)은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하중 지지력이 강화된다. 전방 프레임(30)이 관통 연결부(42)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일단이 전방 휠 프레임(10)의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시트 안착부(35)에 연결된다. 관통 연결부(42)의 상측에는 걸림부(520)가 걸릴 수 있는 돌출 형태의 걸림턱(42a)이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50)은 그 중간 부분이 하방으로 볼록하며 양 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된 구조이며, 일단이 전방 휠 프레임(10)의 중앙에 연결되며 타단이 핸들 프레임(3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 프레임(50)의 상면에 전원부(1)의 제 2 서브 전원부(1-2)에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1a)가 구비되며, 내부에 제 1 서브 전원부(1-1)가 내장된 보호 케이싱(1b)이 장착된다. 보호 케이싱(1b)에는 하방 프레임(44)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하방 프레임(44)은 관통홀에 의해 보호 케이싱(1b)에 의해 지지되며 회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링크 보호부(55)에는 링크부(60)의 타단이 고정 장착되는 돌출부(55a)와, 핸들 프레임(310)의 일단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부(55b)를 구비한다. 삽입부(55b)의 양 측면(55c)이 핸들 프레임(3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부(60)는 하방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링크 보호부(55)보다 더 높은 관통 연결부(42)에 연결된다. 전동 유모차가 펴쳐진 상태에서, 링크부(60)가 관통 연결부(42)를 상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관통 연결부(42)에 접촉되는 전방 프레임(30)이 상방향으로 회전되며 전방 프레임(30)의 시트 안착부(35)가 가장 높은 위치로 지지된다.
상술된 프레임(100)의 구성 요소들과 각 구성 요소들 간의 결합 구조에 의해 전동 유모차는 상당한 하중을 견딜 수 있다.
한 쌍의 전방 바퀴부(150a, 150b)는 전방 휠 프레임(10)의 양 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회전 가능한 바퀴를 각각 구비한다.
한 쌍의 후방 바퀴부(200a, 200b)는 후방 휠 프레임(20)의 양 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회전 가능한 바퀴를 각각 구비한다. 후방 휠 프레임(20)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후방 바퀴부(200a, 200b) 각각의 바퀴를 회전시키는 제 1 및 제 2 모터(M1), (M2) 각각 장착된다. 제 1 및 제 2 모터(M1), (M2)는 한 쌍의 전방 바퀴부(150a, 150b) 각각의 바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손잡이부(300)는 핸들 프레임(310)과, 핸들 높이 조정부(320), 핸들(330) 등으로 구성된다.
핸들 프레임(310)은 일단이 지지 프레임(5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는 핸들 높이 조정부(320)가 연결된다.
핸들 높이 조정부(32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을 관통하여 핸들(3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330)은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막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전방을 향하는 부분에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가 외부로 노출되어 장착되며, 속도 조절부(5)가 핸들(330) 내부에 고정 장착된다. 핸들(330)에는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 가능한 속도 조절 시프트(340)가 구비된다. 속도 조절 시프트(340)에는 자성체(M)가 구비되며, 속도 조절 시프트(340)의 회전에 의해 자성체(M)도 회전됨으로써, 자성체(M)와 속도 조절부(5) 사이의 간격이 변화된다. 자성체(M)와 속도 조절부(5) 사이의 간격이 변화됨에 따라, 속도 조절부(5)에서 감지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가변된다. 속도 조절 시프트(340)의 양단부에는 각각 요철부(340a)가 형성되어, 보호자가 속도 조절 시프트(34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시트(400)는 시트 안착부(35)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며, 시트 안착부(35)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도 가능하다.
전동 유모차는 핸들 프레임(310)의 타단에 형성되어 잠금 상태에서는 핸들 프레임(310)이 지지 프레임(50)의 타단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부(미도시)와, 핸들 프레임(3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잠금부에 와이어 방식으로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잠금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조작부(510)를 구비한다.
핸드 프레임(310)에는 걸림부(520)가 구비되며, 걸림부(520)는 전동 유모차가 접철된 상태에서 관통 연결부(42)의 걸림턱(42a)에 걸림으로써, 보호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접철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부(520)에는 탄성에 의해 걸림턱(42a)으로 전진하여 걸림턱(42a)에 걸리며, 탄성의 해제의 의해 걸림턱(42a)으로부터 이격되는 걸림턱(42a)에서 분리 가능한 걸림 돌기와, 외력에 의해 걸림 돌기에 대한 탄성 유지 및 탄성 해제를 수행하는 탄성 해제부를 구비한다.
잠금부와 해제 조작부(510)는 내부에 구비된 탄성 소자(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서 초기 상태가 잠금 상태로 유지되며, 해제 조작부(510)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 제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잠금 상태로 복귀된다.
먼저 전동 유모차가 펴쳐진 상태이면서 잠금 상태에 대한 설명이 기재된다. 해제 조작부(510)에 대한 상방향의 외력이 없을 경우(해제 조작부(510)의 잠금 상태 또는 초기 상태), 잠금부에 의해 핸들 프레임(310)이 지지 프레임(5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자가 제 1 및 제 2 스위치(SW1)과 (SW2)에 대한 누름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 모두 온 상태로 유지되면, 전원부(1)의 전원이 접속 커넥터(1a)를 통하여 제 1 전기적 경로에 공급된다. 제 1 전기적 경로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보호자가 속도 조절 시프트(340)를 회전시킴으로써, 자성체(M)와 속도 조절부(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며, 속도 조절부(5)는 그 간격에 따라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크기를 조절한다. 속도 조절부(5)에 의해 제 1 및 제 2 모터(M1), (M2)에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전동 유모차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러한 전동 유모차의 이동 중에, 보호자가 제 1 및 제 2 스위치(SW1), (SW2)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면, 전원부(1)에서의 전원이 제 1 전기적 회로에 공급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제 1 및 제 2 모터(M1), (M2)가 동작 정지되어 전동 유모차가 정지된다. 또는, 이러한 전동 유모차의 이동 중에, 보호자가 속도 조절 시프트(340)를 회전시켜, 자성체(M)가 전원의 공급 차단 상태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여 정지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와 관련해서, 전동 유모차의 접철 과정에 대한 설명이 기재된다. 전동 유모차의 접철을 위해, 보호자가 시트(400)를 시트 안착부(35)로부터 분리하고, 해제 조작부(510)를 상방으로 당기면 잠금부가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변경된다. 잠금부의 해제 상태에서, 보호자가 핸들 프레임(310)을 지지 프레임(50)의 타단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시켜 링크 보호부(55)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링크부(60)도 전방으로 이동되며, 링크부(60)의 전방 이동에 의해 관통 연결부(42)도 전방 프레임(3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며,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진다. 즉, 관통 연결부(42)의 전방 하향 이동에 의해 하부 프레임(40)의 상방 프레임(41a, 41b)과, 하방 프레임(44)이 후방 휠 프레임(20)을 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되며, 링크부(60)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되며, 링크부(60)가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관통 연결부(42)를 상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관통 연결부(42)에 접촉되는 전방 프레임(30)이 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전방 프레임(30)의 시트 안착부(35)가 가장 낮은 위치로 지지된다. 따라서, 전동 유모차의 전체 높이가 낮아진다. 보호자가 걸림부(520)(걸림 돌기)가 걸림턱(42a)에 걸릴 때까지 핸들 프레임(310)을 회전시킴으로써, 접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보호자는 핸들(330)을 핸들 높이 조정부(320) 내에서 회전시켜 핸들 프레임(310)에 접촉시켜 접철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전동 유모차가 접철된 상태에서 펼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 기재된다. 보호자가 걸림 해제부를 동작시켜 걸림돌기가 걸림턱(42a)에서 이격시킨 후, 핸들 프레임(310)을 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며, 후방 프레임(40)이 후방으로 회전된다. 즉, 핸들 프레임(310)에 링크 보호부(55)를 통하여 연결된 링크부(6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그 높이가 높아진다. 링크부(60)의 이동에 의해 관통 연결부(42)의 높이가 높아지며, 그에 따라 전방 프레임(30)이 상방향으로 회전되며, 관통 연결부(42)가 시트 안착부(35)에 밀착될 때까지 상승 이동된다. 또한, 핸들 프레임(310)이 회전되어 잠금부가 탄성에 의해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경되어, 전동 유모차가 펼쳐진 상태가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유모차를 펼치는 동작과 접는 동작을 보호자가 쉽게 수행하도록 하며, 해당 상태(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프레임 300: 손잡이부
400: 시트

Claims (5)

  1. 시트가 안착되며 한 쌍의 전방 바퀴부 및 한 쌍의 후방 바퀴부가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 전동 유모차에 있어서, 전동 유모차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원부로부터의 전원이 속도 조절부로의 공급 및 차단되도록 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한 쌍의 전방 바퀴부나 한 쌍의 후방 바퀴부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모터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되, 자성체로부터의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제 1 및 제 2 모터로 구동 전원의 공급 차단과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크기의 조절을 수행하여 제 1 및 제 2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로 구성되며,
    프레임은 한 쌍의 전방 바퀴부가 이격되어 결합되는 전방 휠 프레임과, 한 쌍의 후방 바퀴부가 이격되어 결합되는 후방 휠 프레임과, 일단이 전방 휠 프레임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보다 높으며 시트 안착부가 형성된 전방 프레임과, 일단이 후방 휠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전방 프레임을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프레임과, 일단이 전방 휠 프레임의 중앙에 연결되며 타단이 핸들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과, 일단이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며 타단이 핸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링크 보호부에 연결되는 링크부로 구성되며,
    하부 프레임은 일단이 후방 휠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대칭인 한 쌍의 상방 프레임과 한 쌍의 상방 프레임의 타단을 각각 연결하며 관통홀이 형성된 관통 연결부와 한 쌍의 상방 프레임의 하방에서 양 단부가 한 쌍의 상방 프레임 각각 연결되는 하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전방 프레임이 관통 연결부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링크부는 관통 연결부에 연결되고,
    핸들 프레임이 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크부에 연결된 관통 연결부가 전방 프레임을 따라 전방 하향 이동하며 전방 프레임이 하방 회전하여 시트 안착부의 위치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손잡이부는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 프레임과, 제 1 및 제 2 스위치와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 가능한 속도 조절 시프트가 장착된 핸들로 구성되며, 속도 조절부는 핸들 내부에 고정 장착되며, 속도 조절 시프트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속도 조절 시프트의 회전에 의해 자성체도 회전됨으로써, 자성체와 속도 조절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유모차.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 휠 프레임은 그 중앙이 상방향으로 볼록하고 양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상방 프레임과 관통 연결부는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하방 프레임은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지지 프레임은 그 중간 부분이 하방으로 볼록하며 양 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며,
    링크부는 하방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링크 보호부보다 더 높은 관통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유모차.
  5. 삭제
KR1020180104632A 2018-09-03 2018-09-03 전동 유모차 KR102082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632A KR102082813B1 (ko) 2018-09-03 2018-09-03 전동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632A KR102082813B1 (ko) 2018-09-03 2018-09-03 전동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813B1 true KR102082813B1 (ko) 2020-02-28

Family

ID=6963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632A KR102082813B1 (ko) 2018-09-03 2018-09-03 전동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8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2986A (zh) * 2020-03-25 2021-09-28 Lg电子株式会社 推车单元及其控制方法
EP3889003A1 (en) * 2020-04-01 2021-10-06 LG Electronics Inc.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630A (ko) 1993-11-25 1995-06-16 전성원 동력 전달용 벨트의 장력 자동 조절장치
KR200189384Y1 (ko) 2000-02-15 2000-07-15 장영기 낚시받침대의 각도조절장치
KR20160020575A (ko) * 2013-06-19 2016-02-23 텐트 게엠베하 앤 코. 카게 피동 휠을 갖는 롤러, 피동 휠 을 갖는 롤러를 포함하는 화물 트럭 및 작동 장치
KR101632185B1 (ko) * 2014-07-01 2016-06-21 (주)한스이엔지 접이식 전동 유모차
WO2017176202A1 (en) * 2016-04-05 2017-10-12 Kyttinge Investment Ab Self-propelling trolley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630A (ko) 1993-11-25 1995-06-16 전성원 동력 전달용 벨트의 장력 자동 조절장치
KR200189384Y1 (ko) 2000-02-15 2000-07-15 장영기 낚시받침대의 각도조절장치
KR20160020575A (ko) * 2013-06-19 2016-02-23 텐트 게엠베하 앤 코. 카게 피동 휠을 갖는 롤러, 피동 휠 을 갖는 롤러를 포함하는 화물 트럭 및 작동 장치
KR101632185B1 (ko) * 2014-07-01 2016-06-21 (주)한스이엔지 접이식 전동 유모차
WO2017176202A1 (en) * 2016-04-05 2017-10-12 Kyttinge Investment Ab Self-propelling trolley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2986A (zh) * 2020-03-25 2021-09-28 Lg电子株式会社 推车单元及其控制方法
EP3885235A1 (en) * 2020-03-25 2021-09-29 LG Electronics Inc. Cart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10300451A1 (en) * 2020-03-25 2021-09-30 Lg Electronics Inc. Cart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889003A1 (en) * 2020-04-01 2021-10-06 LG Electronics Inc.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3492901A (zh) * 2020-04-01 2021-10-12 Lg电子株式会社 智能手推童车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949B1 (en) Safety brake device for infant stroller
CA2736129C (en) Collapsible stroller
KR102082813B1 (ko) 전동 유모차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KR101841879B1 (ko) 전동식 스마트 유모차
CN107072410A (zh) 面向后骑倒安全座椅
JP5320572B2 (ja) 介護支援装置
KR20160068615A (ko) 휠체어 브레이크 시스템
KR102208824B1 (ko) 유모차
JP2024069629A (ja) 歩行車
KR101382632B1 (ko) 접이식 전동 보행 보조차
KR101362390B1 (ko) 성인 및 어린이 겸용 자동차시트
GB2502878A (en) Stroller carrying rear-facing child safety seat
US9290196B1 (en) Shopping cart brake
KR20130020711A (ko)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20170022475A (ko) 이동장치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41000B1 (ko) 회전시트를 탈부착할 수 있고 비상시 자동으로 제동하는 유모차
US11110990B2 (en) Brake system for baby or child vehicle
KR20110133734A (ko) 후방 시야의 확보가 가능한 유모차
JP3193361U (ja) 歩行補助器
WO2016019446A1 (pt) Disposição introduzida em assento para carrinho de bagagem com acionamento do sistema de freios
KR20160138803A (ko) 탑승 감지 제동 제어형 전동 유모차
KR101585045B1 (ko) 휠체어 이동보조장치
JP6074273B2 (ja) 車両用昇降装置における自動起立後フラッパー緊急ロック装置
CN108928381A (zh) 一种便携式的婴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