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711B1 -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711B1
KR102082711B1 KR1020180073947A KR20180073947A KR102082711B1 KR 102082711 B1 KR102082711 B1 KR 102082711B1 KR 1020180073947 A KR1020180073947 A KR 1020180073947A KR 20180073947 A KR20180073947 A KR 20180073947A KR 102082711 B1 KR102082711 B1 KR 102082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network
user terminal
portab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0642A (ko
Inventor
변대열
Original Assignee
(주)포트러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트러시 filed Critical (주)포트러시
Priority to KR102018007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71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0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통신 패킷을 연결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에 따른 제2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여 제2 무선통신을 통해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무선통신과 제2 무선통신은 서로 상이한 무선통신 표준에 따라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기술인,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LOCATION TRACKING METHOD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본 발명은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기종 통신 기술을 적용한 휴대형 기지국을 활용하여 다수의 관리대상의 위치를 동적으로 추적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솔자는 다수의 피인솔자를 인솔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여행 가이드는 여행객들을 인솔하여 특정 관광지를 둘러보고 일정에 따라 다른 관광지로 여행객들을 인솔한다. 초등학교 또는 유치원 교사는 초등학생 또는 유치원생을 인솔하여 특정 체험을 수행할 수 있다.
인솔자는 피인솔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인솔자는 피인솔자를 지정된 시각에 모이도록 요청하고 지근거리에서 지속적으로 피인솔자들의 위치 등을 파악할 필요가 존재한다.
기존 피인솔자 관리 방법은 인솔자의 인식에 의존한다. 즉, 인솔자가 지근거리에서 지속적으로 피인솔자를 살피고 피인솔자에게 행동지침이나 모임 장소 등을 알림으로써 피인솔자를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휴대기기를 활용하여 피인솔자가 관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피인솔자는 수미터이내에서 근거리 개인 통신이 가능한 지그비나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형 기기를 구비하여 인솔자의 휴대형 단말로 피인솔자의 존재를 나타내는 무선신호를 송출한다. 인솔자는 휴대형 단말을 통해 수신된 피인솔자의 무선신호에 따라 피인솔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를 활용하는 피인솔자 관리 방법은 다양한 한계가 존재한다. 근거리 개인 통신을 사용하기에 근접거리 내에서만 피인솔자의 관리가 가능하고 위치 특정에 한계 등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인솔자 인근에 피인솔자의 존재 여부 확인용으로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 통신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IOT 통신기술은 예를 들어 NB-IOT, CatM1, LoRa 등일 수 있다. IOT 통신기술은 저전력의 광역 무선통신기술로서 최대 수 Km 이내의 통신 도달 거리를 가진다.
IOT 통신기술을 피인솔자 관리 방안에 활용할 수 있다면 좀 더 넓은 범위에서 피인솔자를 관리할 수 있으나 IOT 통신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IOT 통신망이 모든 곳에 구축되어야 하며 구축된 IOT 통신망을 통해 인솔자의 휴대형 단말기에 연결될 필요가 있으나 용이치 않고 모든 위치에 IOT 통신망을 구축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 외, IOT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동적으로 모니터링 대상자를 확인할 수 있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관리 대상자를 위한 기존에 알려진 위치 추적 방법의 여러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이 필요하다.
10-1623881(B1), 2016년05월24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형 기지국을 통해 동적으로 구축되는 IOT 통신망을 통해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OT 통신망 및 이기종의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활용하여 인솔자에 의해 피인솔자를 동적으로 위치 추적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인솔자가 피인솔자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기지국을 통해 임의의 장소에서 동적으로 구축되는 IOT 통신망 및 이기종 통신망을 통해 모니터링 대상자를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GPS 센서 및 근접 센서를 구비하여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나 상황에 따라 각종 알람을 사용자 단말과 관리 단말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은 휴대형 기지국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통신 패킷을 연결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휴대형 기지국이 제1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에 따른 제2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여 제2 무선통신을 통해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무선통신과 제2 무선통신은 서로 상이한 무선통신 표준에 따라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기술이다.
상기한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관리 단말이 제2 무선통신을 통한 제2 통신 패킷으로부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관리 단말이 인식된 각 사용자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관리 단말이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설정된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관리 단말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사용자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휴대형 기지국이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통신 패킷을 사용자 단말로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무선통신은 IOT 통신표준에 따른 무선통신 기술이고 제2 무선통신은 근거리 개인 통신망에 따른 무선통신 기술이다.
상기한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관리 단말이 제2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과의 상대적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 및 추정된 상대적 거리가 지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에, 관리 단말이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분리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분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이 분리 이벤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휴대형 기지국이 제1 통신 패킷을 분리 이벤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여 제2 무선통신을 통해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제1 무선통신은 비면허 대역에서 이용되는 협대역 IOT 기술표준에 따른 통신기술이고 제2 무선통신은 휴대폰에서 이용되는 이동통신 기술이며, 관리 단말은 제2 무선통신을 통해 복수의 휴대형 기지국과 무선통신 가능하고 각 휴대형 기지국과 접속 가능한 사용자 그룹별로 위치 확인 및 제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은 휴대형 기지국을 포함하고, 휴대형 기지국은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제1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제1 무선통신부, 제2 무선통신을 통해 제2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제2 무선통신부 및 제1 무선통신부를 통해 제1 통신 패킷에서 추출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패킷 데이터를 제2 무선통신부로 전송하여 제2 무선통신을 통해 제2 패킷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을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1 무선통신과 제2 무선통신은 서로 상이한 무선통신 표준에 따라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기술이다.
상기한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제2 무선통신을 통한 제2 통신 패킷으로부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각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관리 단말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단말은 수신된 제2 통신 패킷을 통해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설정된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고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사용자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휴대형 기지국의 제어부는 제2 통신 패킷으로부터 추출되고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패킷 데이터를 제2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신하고 알람 메시지와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패킷 데이터를 제1 무선통신부로 전송하여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제1 패킷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통신 패킷을 송출하며, 제1 무선통신은 IOT 통신표준에 따른 무선통신 기술이고 제2 무선통신은 근거리 개인 통신망에 따른 무선통신 기술이다.
상기한 위치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무선통신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은 구비된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분리 이벤트를 인식한 경우, 분리 이벤트 정보 및 GPS 센서를 통해 인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휴대형 기지국은 제1 통신 패킷을 분리 이벤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여 제2 무선통신을 통해 관리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은 휴대형 기지국을 통해 동적으로 구축되는 IOT 통신망을 통해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은 IOT 통신망 및 이기종의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활용하여 인솔자에 의해 피인솔자를 동적으로 위치 추적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인솔자가 피인솔자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은 휴대형 기지국을 통해 임의의 장소에서 동적으로 구축되는 IOT 통신망 및 이기종 통신망을 통해 모니터링 대상자를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GPS 센서 및 근접 센서를 구비하여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나 상황에 따라 각종 알람을 사용자 단말과 관리 단말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위치 추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휴대형 기지국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일 실시예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다른 실시예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위치 추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예와 같이, 위치 추적 시스템은 관리 단말(100), 하나 이상의 휴대형 기지국(200),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고 각각의 디바이스는 지정된 무선통신 표준에 따른 제1 무선통신망(400) 및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추적 시스템은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추적(모니터링)하고 추적(모니터링)된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의 구성요소를 간단히 살펴보면, 관리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300)을 위치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기이다. 관리 단말(100)은 통신 인터페이스, 입력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적어도 구비하여 관리 대상인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제2 무선통신망(500)으로부터의 제2 통신 패킷으로부터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를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관리 단말(100)은 거치형 단말이거나 휴대형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단말(1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하고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일 수 있다. 또는, 관리 단말(100)은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개인용 컴퓨터, 서버나 서버 터미널 등과 같은 거치형 단말일 수 있다.
휴대형 단말인 관리 단말(100)은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휴대형 기지국(200)과 1대1로 페어링되어 휴대형 기지국(200)과 함께 이동하고 휴대형 기지국(200)이나 관리 단말(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관리 대상인 사용자 단말(300)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거치형 단말인 관리 단말(100)은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휴대형 기지국(200)에 연결되어 휴대형 기지국(200)과 함께 이동하는 다수 그룹의 사용자 단말(300)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리 단말(100)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제어 흐름은 도 4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휴대형 기지국(200)은 휴대 가능한 소형(초소형) 기지국(base station)으로서 적어도 두 개의 무선통신(망) 기술 사이에서의 통신 패킷을 중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휴대형 기지국(200)은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수신되는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송출 가능한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여 제2 무선통신망(500)으로 송출할 수 있다. 휴대형 기지국(200)은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수신되는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송출 가능한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여 제1 무선통신망(400)으로 송출할 수 있다.
휴대형 기지국(200)은 소형 송출 안테나를 하나 이상(복수 개) 포함하여 제1 무선통신망(400)과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각종 무선 통신 패킷을 송출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휴대형 기지국(20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4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제1 무선통신을 통해 지정된 휴대형 기지국(2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모니터링이 가능토록 이용되는 기기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200)에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은 측정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200)으로부터 각종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은 휴대형 기지국(200)으로부터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알람 신호로 출력한다. 알람 신호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LED 신호, 부저 신호 등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에 대해서는 도 3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1 무선통신망(400)은 지정된 기술표준에 따른 무선통신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200)과 사용자 단말(300)이 무선의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망이다. 휴대형 기지국(20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300)들은 휴대형 기지국(200)을 통해 하나의 통신 셀 존을 구성하고 존 내의 사용자 단말(300)은 지정된 기술표준에 따라 각종 통신 패킷을 휴대형 기지국(200)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무선통신망(400)은 IOT(Internet Of Things) 통신표준에 따른 무선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선통신망(400)은 수 Km 범위 내의 도달 거리를 가지는 통신 셀 존 형성이 가능한 협대역-IOT(Narrow Band IOT), CatM1, Lora 통신기술 표준에 따른 무선통신망일 수 있다.
제1 무선통신망(400)은 바람직하게는 협대역 IOT 기술표준에 따른 무선통신망일 수 있다. 특히, 제1 무선통신망(400)은 허가가 필요한 면허 대역이나 허가가 필요없는 비면허 대역(예를 들어 900MHz 대역이나 2.4GHz 대역)에서 이용되는 협대역 IOT 기술표준에 따른 무선통신망일 수 있다.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들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형 기지국(200)은 수 Km 이내에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어 근거래 개인 통신망에 비해서 넓은 지역에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300)들을 모니터링 가능하다.
제2 무선통신망(500)은 지정된 기술표준에 따른 무선통신을 통해 관리 단말(100)과 휴대형 기지국(200)이 무선의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망이다.
제2 무선통신망(500)은 예를 들어 1 대 1의 페어링이 요구되고(거나) 개인 거리 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개인 통신망(Personal Area Network)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통신망(500)은 블루투스, 지그비나 현재 또는 장래에 적용 가능한 임의 표준의 무선통신 기술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기술을 적용한 통신망일 수 있다. 이 경우의 제2 무선통신망(500)은 관리 단말(100)과 휴대형 기지국(200)이 서로 인접 거리(예를 들어 2m 이내의) 이내에서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토록 한다.
제2 무선통신망(500)은 관리 단말(100)과 다수의 휴대형 기지국(200)이 원거리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광대역 통신망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통신망(500)은 휴대폰(스마트폰)에서 이용되는 이동통신 기술(예를 들어, CDMA, GSM, LTE 등)을 적용한 이동 통신망 일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추적 시스템의 다양한 설계 예에 따라, 제2 무선통신망(500)의 구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단말(100)이 다수의 휴대형 기지국(200)을 통해 각 휴대형 기지국(200)에 대응하는 그룹(셀 존)으로 사용자 단말(300)을 모니터링하는 경우, 제2 무선통신망(500)은 바람직하게는 이동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 단말(100)이 인솔자 등이 이용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이고 인솔자가 피인솔자(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는 경우, 제2 무선통신망(500)은 휴대형 기지국(200)과 관리 단말(100) 사이에 인접 거리(예를 들어, 5m, 10m 이내 등)에서 통신 가능한 근거리 개인 통신망(예를 들어, 블루투스)일 수 있다.
도 2는 휴대형 기지국(2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휴대형 기지국(200)은 제1 무선통신부(201), 제2 무선통신부(203), 저장부(205), 연결부(207) 및 제어부(209)를 포함한다. 설계 예에 따라 휴대형 기지국(200)은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을 더 포함하거나 도 2의 임의의 블록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2를 통해 휴대형 기지국(200)을 살펴보면, 제1 무선통신부(201)는 지정된 무선통신 표준에 따른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 패킷을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통신부(201)는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과 각종 통신 패킷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무선통신부(201)는 제1 무선통신망(400)으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회로와 무선신호로 출력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를 안테나로 출력하고 안테나와 회로를 통해 무선신호를 캡쳐링하기 위한 통신 칩셋을 포함한다.
통신 칩셋은 무선신호로 출력되거나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제어부(209)에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무선통신부(201)는 수 Km 도달 거리를 가지는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IOT 무선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고 협대역-IOT(Narrow Band IOT), CatM1 또는 Lora 통신기술 표준에 따르는 안테나와 통신 칩셋을 구비한다.
제2 무선통신부(203)는 제1 무선통신부(201)와는 상이한 지정된 무선통신 표준에 따른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 패킷을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통신부(203)는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단말(100)과 각종 통신 패킷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무선통신부(203)는 제2 무선통신망(500)으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회로와 무선신호로 출력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를 안테나로 출력하고 안테나와 회로를 통해 무선신호를 캡쳐링하기 위한 통신 칩셋을 포함한다.
통신 칩셋은 무선신호로 출력되거나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제어부(209)에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무선통신부(203)는 설계 유형에 따라 지정된 무선통신 표준에 따른 근거리 개인 통신망(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등)에 연결되기 위한 안테나와 통신 칩셋을 구비한다. 또는, 제2 무선통신부(203)는 지정된 무선통신 표준에 따른 이동통신망(예를 들어, CDMA, GSM, LTE 등)에 연결되기 위한 안테나와 통신 칩셋을 구비한다. 또는, 제2 무선통신부(203)는 근거리 개인 통신망 및 이동통신망을 각각을 위한 안테나 및 통신 칩셋을 구비하여 두 통신망 사이를 스위칭하거나 두 통신망 중 하나의 통신망을 제2 무선통신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무선통신부(201)에서 이용되는 무선통신 기술과 제2 무선통신부(203)에서 이용되는 무선통신 기술은 서로 상이한 무선통신 표준에 따라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기술이다.
저장부(205)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05)는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들 각각의 식별 정보와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본 휴대형 기지국(200)이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이거나 식별자를 포함한다. 식별자는 예를 들어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사용자 단말(300)의 통신 주소(address)를 포함한다. 식별자는 제1 무선통신망(400)의 통신 패킷 헤더에 소스나 목적지 주소로 포함 가능하다. 식별자는 물리계층 및/또는 데이터 링크 계층상의 통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어 무선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관리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본 휴대형 기지국(200)이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관리 단말(100)의 식별자이거나 식별자를 포함한다. 식별자는 예를 들어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관리 단말(100)의 통신 주소를 포함한다. 식별자는 제2 무선통신망(500)의 통신 패킷 헤더에 소스나 목적지 주소로 포함 가능하다. 식별자는 물리 계층 및/또는 데이터 링크 계층상의 통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되어 무선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05)는 제어부(209)에서 이용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은 제어부(209)에 로딩되어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추적에 관련된 각종 제어나 중계 기능을 제공한다.
연결부(207)는 휴대형 기지국(200) 내의 블록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부(207)는 병렬 버스, 시리얼 버스 및/또는 GPIO 등을 포함하여 제어부(209)의 제어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제어부(209)로 전달하거나 해당 블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휴대형 기지국(200)을 제어한다. 제어부(209)는 휴대형 기지국(200)을 제어하기 위한 하드웨어 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9)는 프로그램 명령어 코드를 수행하기 위한 실행 유닛이나 특정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이나 하드웨어 블록 등을 구비하여 다른 블록들을 제어하여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209)는 프로그램 명령어 코드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포함하여 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휴대형 기지국(200)에 지정된 기능(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209)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마이컴, CPU, MPU 등을 나타내거나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09)에서 수행되는 몇몇 제어를 살펴보면, 제어부(209)는 제1 무선통신부(201)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 패킷 데이터는 제1 무선통신부(201)에 의해서 인식된 통신 패킷으로부터 추출되는 데이터이다. 패킷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1 무선통신의 표준에 따른 데이터 링크 계층의 패킷 데이터일 수 있다.
패킷 데이터의 헤더(header)는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소스 주소로서)를 포함하고 패킷 데이터의 페이로드(payload)는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위치 정보와 나아가 분리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관리 단말(100)의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패킷 데이터 헤더의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가 등록된 식별자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9)는 패킷 데이터의 식별자가 저장부(205)의 사용자 단말(300)들의 식별 정보에 검색되는 지로 등록된 식별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등록된 식별자인 경우, 제어부(209)는 수신된 위치 정보와 나아가 분리 이벤트 정보와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페이로드에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구성한다. 구성된 패킷 데이터의 헤더는 목적지 주소로서 저장부(205)의 관리 단말(100)의 식별자나 수신된 패킷 데이터의 관리 단말(100)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구성된 패킷 데이터를 제2 무선통신부(203)로 전송하고 제2 무선통신부(203)는 제어부(209)의 제어에 따라 이 패킷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제2 무선통신망(500)으로 송출한다.
이와 같이, 휴대형 기지국(200)은 제1 무선통신망(400)으로부터의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으로의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여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변환되어 전송되는 통신 패킷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분리 이벤트 정보 및/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통신부(203)는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송출된 통신 패킷을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부(209)로 전송한다. 제어부(209)는 패킷 데이터의 헤더의 소스 주소가 관리 단말(100)의 식별자인지를 저장부(205)의 관리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관리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경우에, 제어부(209)는 패킷 데이터의 유형을 결정한다. 유형의 결정은 약속된 포맷에 따라 이루어지고 관리 단말(100)과 제어부(209) 사이의 약속된 데이터 포맷에 따라 결정된다.
특정 사용자 단말(300)로 알람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유형인 경우, 제어부(209)는 패킷 데이터의 페이로드의 지정된 위치에서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추출하여 추출된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9)는 추출된 식별자를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 정보 내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가 저장부(205)의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 정보들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제어부(209)는 페이로드의 알람 메시지와 추출된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9)는 알람 메시지를 신규로 구성되는 페이로드에 포함시키고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패킷 데이터의 헤더(의 목적지 주소)에 포함시킨다. 그 외 제어부(209)는 관리 단말(100)의 식별자를 페이로드에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209)는 구성된 패킷 데이터를 제1 무선통신부(201)를 전달하고 제1 무선통신부(201)는 수신된 패킷 데이터의 통신 패킷을 안테나를 통해 제1 무선통신망(400)으로 송출한다.
도 3은 사용자 단말(3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제1 무선통신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300)은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301), GPS 센서(303), 근접 센서(305), 메모리(307), 출력 인터페이스(309) 및 프로세서(311)를 포함한다. 설계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은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을 더 포함하거나 도 3의 임의의 블록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3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을 살펴보면,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301)는 지정된 무선통신 표준에 따른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 패킷을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301)는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200)과 각종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301)는 제1 무선통신망(400)으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회로와 무선신호로 출력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를 안테나로 출력하고 안테나와 회로를 통해 무선신호를 캡쳐링하기 위한 통신 칩셋을 포함한다.
통신 칩셋은 무선신호로 출력되거나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프로세서(311)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301)는 수 Km 도달 거리를 가지는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IOT 무선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고 협대역-IOT(Narrow Band IOT), CatM1 또는 Lora 통신기술 표준에 따르는 안테나와 통신 칩셋을 구비한다.
GPS 센서(303)는 GPS 위성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캡쳐링한다. GPS 센서(303)는 GPS 신호 수신 칩셋 및 안테나를 구비하여 다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를 캡쳐링하고 캡쳐링된 다수의(예를 들어 3개 이상의) GPS 신호의 수신 시각과 각 GPS 위성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 데이터를 프로세서(311)로 출력한다.
근접 센서(305)는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300) 사이의 근접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이다. 근접 센서(305)는 사용자 단말(300)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나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근접센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307)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나아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307)는 GPS 센서(303)를 통해 추정된 현재 위치 정보,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300)이 현재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이벤트 정보 등을 영구히 또는 임시로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307)는 프로세서(311)에서 실행 가능하고 사용자의 위치 추적에 이용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 외 메모리(307)는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와 휴대형 기지국(200)이나 관리 단말(100)의 식별자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는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액세스 되는 본 사용자 단말(300)의 통신 주소 데이터이고 휴대형 기지국(200)의 식별자는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서 직접 액세스 가능한 휴대형 기지국(200)의 통신 주소 데이터일 수 있다. 관리 단말(100)의 식별자는 본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추적에 이용되는 관리 단말(100)의 제2 무선통신망(500)에서 액세스 가능한 통신 주소 데이터일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309)는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 인터페이스(309)는 스피커, 부저, LED 등을 구비하여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LED 신호 및/또는 부저 신호 등을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11)는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실행 유닛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300)을 제어한다. 프로세서(311)는 마이컴, CPU, MPU, 중앙 처리 장치 등을 나타내거나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311)는 메모리(307)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각 블록에 지정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병렬 버스, 시리얼 버스, GPIO 등)를 이용하여 블록들을 제어하여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1)에서 이루어지는 몇몇 제어를 살펴보면, 프로세서(311)는 GPS 센서(303)를 통해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메모리(307)에 임시 저장한다. 프로세서(311)는 하나 이상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메모리(307)에 저장한다. 위치 정보는 위도 데이터 및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고 나아가 고도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1)는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생성한다. 패킷 데이터는 생성된 위치 정보를 페이로드에 포함하고 본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소스 주소)와 휴대형 기지국(200)의 식별자(목적지 주소)를 패킷 데이터의 헤더에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1)는 생성된 패킷 데이터를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301)로 전달하고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301)는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제1 무선통신망(400)으로 패킷 데이터에 대응하는 통신 패킷을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서(311)는 근접 센서(305)로부터 근접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근접센싱 데이터를 메모리(307)에 임시 저장한다. 프로세서(311)는 메모리(307)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근접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300) 사이에 분리 상태가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분리 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근접센싱 데이터와 지정됨 임계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분리 이벤트를 인식한 프로세서(311)는 분리 이벤트를 나타내는 정보와 GPS 센서(303)를 통해 인식된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패킷 데이터의 헤더는 본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소스 주소)와 휴대형 기지국(200)의 식별자(목적지 주소)를 포함하고 분리 이벤트 정보와 위치 정보는 페이로드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311)는 패킷 데이터를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301)로 전달하고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301)는 패킷 데이터에 대응하는 통신 패킷을 무선 안테나를 통해 제1 무선통신망(400)으로 전송한다. 전송되는 통신 패킷은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통신 패킷에 지정된 휴대형 기지국(200)으로 전송 가능하다.
그 외, 사용자 단말(300)은 배터리 및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예를 들어 리튬이온, 리튬폴리머 배터리이거나 알려져 있거나 알려질 임의의 전원 저장매체일 수 있다. 충전 모듈은 유선이나 무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배터리 및 충전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은 프로세서(311),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301), GPS 센서(303), 근접 센서(305) 및 출력 인터페이스(309) 등에 필요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추적하는 일 실시예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예는 관리 단말(100)과 하나의 휴대형 기지국(200)이 근거리 개인 통신망(예를 들어, 블루투스)에 연결되어 관리 단말(100)이 하나의 휴대형 기지국(200)과 근접 위치에서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추적하는 흐름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예는 예를 들어 인솔자가 스마트폰과 휴대형 기지국(200)을 휴대하고 특정 위치에서나 이동중에 스마트폰(관리 단말(10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는 예를 나타낸다.
먼저, 관리 단말(100), 휴대형 기지국(20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은 위치 추적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설정(① 참조)한다. 설정 과정에서, 관리 단말(100)과 휴대형 기지국(200)은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통해 서로 1 대 1로 페어링할 수 있고 휴대형 기지국(200)은 관리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관리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관리 단말(100)의 식별자(예를 들어, 주소)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형 기지국(200)은 위치 추적이 요구되는 각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저장부(205)에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예를 들어, 주소)를 포함한다. 그 외, 휴대형 기지국(200)은 제1 무선통신이나 제2 무선통신상에서 설정되는 통신 채널에 대한 설정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설정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300)에서의 위치 정보의 전송 주기, 분리 이벤트의 인식 설정 등 각종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셋팅된다. 관리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300) 역시, 휴대형 기지국(200)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제1 무선통신망(400)이나 제2 무선통신망(500)에서 인식 가능한 주소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설정 과정은 휴대형 기지국(200), 관리 단말(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300)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설정 과정에서 관리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가 허용되는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단말(100)은 관리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반경 100m , 300m, 500m 등과 같은 특정 반경을 관리 대상인 각각의 사용자 단말(300)의 허용 위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휴대형 기지국(200)과 통신 채널이 설정됨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 단말(300)(1:N, N은 1 이상의 정수)은 구비된 GPS 센서(303)를 통해 위치 정보(위도 경도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200)으로 전송 주기에 따라 전송하고 휴대형 기지국(200)은 이를 수신(② 참조)한다. 제1 무선통신망(400)은 IOT 통신망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면허 대역에서 이용가능한 NB-IOT 기술표준에 따른 무선통신망일 수 있다.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제1 무선통신망(400)으로부터의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에서 이용 가능한 통신 패킷으로 변환(③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수신된 통신 패킷의 헤더의 소스(source) 주소와 사용자 단말(300)의 설정된 식별 정보의 주소를 비교한다. 동일한 주소가 인식되는 경우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수신된 통신 패킷의 페이로드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 정보(식별자)를 포함하는 페이로드를 구성하고 제2 무선통신망(500)에 따른 통신 패킷을 생성한다. 생성되는 통신 패킷은 소스 주소로 휴대형 기지국(200)의 주소가 설정되고 목적지 주소로 관리 단말(100)의 주소가 설정될 수 있다.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단말(100)로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변환된 통신 패킷을 전송(④ 참조)한다. 제2 무선통신망(500)은 근거리 개인 통신망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블루투스 무선표준에 따른 무선통신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무선통신과 제2 무선통신은 서로 상이한 무선통신 표준에 따라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통신기술이다.
휴대형 기지국(200)에 연결된 관리 단말(100)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수신하고 통신 패킷의 페이로드에서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각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인식(⑤ 참조)한다.
또한, 관리 단말(100)은 관리 단말(100) 자신의 위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관리 단말(100)은 구비된 GPS 모듈을 통해 GPS 신호로부터 관리 단말(100)의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인식 가능하다.
관리 단말(100)은 구비된 지도 이미지상에 관리 단말(100)의 인식된 위치와 관리 단말(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각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표시하고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출력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⑥ 참조)한다. 또한, 관리 단말(100)은 설정된 반경 범위 표시(예를 들어 관리 단말(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를 나타내는 원형 표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
관리 단말(100)은 관리 대상인 사용자 단말(300)들 각각이 설정된 범위 내인지를 결정(⑦ 참조)한다. 예를 들어, 관리 단말(100)은 자신의 위치와 각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차를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300)이 설정된 범위 내인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사용자 단말(300)이 존재하는 경우, 이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알람 메시지와 이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주소)를 페이로드에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200)으로 전송(⑧ 참조)한다. 전송되는 알람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300)의 출력 인터페이스(309)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통신 패킷을 수신하는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통신 패킷의 헤더에서 소스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소스 주소가 관리 단말(100)의 식별자(주소)인지를 저장부(205)의 관리 단말(100)의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결정한다.
소스 주소가 관리 단말(100)의 식별자인 경우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수신된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 패킷으로 변환(⑨ 참조)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수신된 통신 패킷의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변환되는 통신 패킷의 헤더의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고 소스 주소를 휴대형 기지국(200)의 주소로 설정하고 페이로드에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생성한다.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생성된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헤더의 목적지 주소로 지정되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⑩ 참조)한다.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311))은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통신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자신의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출력 인터페이스(309)를 통해 통신 패킷의 알람 메시지를 오디오 신호 등의 알람 신호로 출력한다.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통해 1 대 1 로 통신 채널이 설정되어 있는 관리 단말(100)은 휴대형 기지국(200)과의 상대적 거리를 추정(⑪ 참조)한다. 상대적인 거리의 추정은 휴대형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된 제2 무선통신망(500)의 통신 패킷으로부터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통신 패킷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단말(100)은 휴대형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패킷의 신호세기(또는 수신된 일련의 복수의 통신 패킷의 신호세기 평균)가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지를 결정한다. 만일 수신된 통신 패킷의 신호세기가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신호세기인 경우에, 관리 단말(100)은 휴대형 기지국(200)과의 상대적인 거리가 설정된 임계치에 따른 설정 거리 이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설정된 임계치 미만의 신호세기인 경우에, 관리 단말(100)은 설정 거리 이상으로 휴대형 기지국(200)이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정된 상대적 거리가 지정된 거리 이상인(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 관리 단말(100)은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설정된 임계치 미만의 신호세기를 인식한 경우에 관리 단말(100)은 구비된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로 휴대형 기지국(200)이 임계 거리 이상으로 떨어져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오디오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나아가 휴대형 기지국(200)으로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구성하여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통신 패킷을 수신한 휴대형 기지국(200)은 포함된 알람 메시지를 오디오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구비된 스피커나 부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휴대형 기지국(200)과 관리 단말(100)은 일정한 거리 이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각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휴대형 기지국(200)의 거리 추정에 이용되는 통신 패킷은 휴대형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통신 패킷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패킷은 예를 들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예를 들어 ④의 통신 패킷)이거나 관리 단말(100)과 휴대형 기지국(200) 사이에서 통신 채널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전용의 통신 패킷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311))은 구비된 근접 센서(30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300)의 분리 이벤트의 발생을 인식(⑫ 참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311))은 근접 센서(305)로부터의 근접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300) 사이의 분리 상태의 발생을 인식 가능하다.
분리 이벤트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311))은 GPS 센서(303)를 통해 결정되는 현재 위치 정보와 분리 이벤트를 나타내는 분리 이벤트 정보를 페이로드에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구성한다. 생성되는 통신 패킷의 헤더는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소스 주소)와 휴대형 기지국(200)의 식별자(목적지 주소)를 포함하고 분리 이벤트 정보와 위치 정보는 페이로드에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311))은 분리 이벤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200)으로 전송(⑬ 참조)한다.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통신 패킷을 수신한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통신 패킷의 소스 주소와 저장부(205)의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비교하여 소스 주소가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인 경우 수신된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전송될 통신 패킷으로 변환(⑭ 참조)한다. 변환되는 통신 패킷은 페이로드에 분리 이벤트 정보,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목적지 주소를 관리 단말(100)의 주소로 설정되고 소스 주소를 휴대형 기지국(200)의 주소로 설정된다.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분리 이벤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변환된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단말(100)로 전송(⑮ 참조)한다.
관리 단말(100)은 수신된 분리 이벤트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대응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휴대형 기지국(20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관리 단말(100), 휴대형 기지국(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위치 인식과 관리를 위한 설정 이후의 제어 흐름(② 내지 ⑮)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의 수신 이벤트(② 참조)는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형 예로서, 관리 단말(100)로부터의 위치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다.
그 외, 관리 단말(100)은 설정 범위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동적으로 변경된 설정 범위에 따라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출력할 수 있다. 알람 메시지는 관리 단말(100)에 구비되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이거나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그 외 관리 단말(100)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로 각종 음성이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는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추적하는 다른 실시예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예는 관리 단말(100)이 하나 이상의 휴대형 기지국(200)별로 사용자 단말(300)을 그룹핑하여 위치를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예는 예를 들어 대규모의 인원들을 원격에서 그룹별로 관리할 수 있는 예로서 넓은 지역에서 관리 대상자를 위치 인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낸다. 각각의 휴대형 기지국(200)과 관리 단말(100)은 광대역 통신망(예를 들어,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5의 예는 관리 단말(100)과 휴대형 기지국(200) 사이의 제2 무선통신망(500)이 CDMA, GSM, LTE 등의 이동통신망의 예를 나타낸다.
이미 도 4를 통해 주요한 흐름을 상세히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관리 단말(100), 하나 이상의 휴대형 기지국(200)(M, M은 1 이상의 정수)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은 각종 데이터를 설정(① 참조)한다. 설정 과정에서, 휴대형 기지국(200)은 관리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관리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관리 단말(100)의 식별자(예를 들어, IP 주소 및/또는 휴대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휴대형 기지국(200)은 위치 추적이 요구되는 각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저장부(205)에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예를 들어, 주소)를 포함한다. 그 외, 휴대형 기지국(200)은 제1 무선통신이나 제2 무선통신상에서 설정되는 통신 채널에 대한 설정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설정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300)에서의 위치 정보의 전송 주기, 분리 이벤트의 인식 설정 등 각종 필요한 설정 데이터가 셋팅된다. 관리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300) 역시, 휴대형 기지국(200)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제1 무선통신망(400)이나 제2 무선통신망(500)에서 인식가능한 주소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설정 과정은 휴대형 기지국(200), 관리 단말(100) 및/또는 사용자 단말(300)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설정 과정에서 관리 단말(100)은 휴대형 기지국(200)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300) 그룹별 허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단말(100)은 각 휴대형 기지국(200)의 위치로부터 반경 100m , 300m, 500m 등과 같은 특정 반경을 관리 대상인 각각의 사용자 단말(300)의 허용 위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단말(100)은 휴대형 기지국(200)이나 사용자 단말(300)의 경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경계 범위는 특정 위치 범위로 이루어지고 임의의 중심 지점으로부터 반경으로 설정되거나 직사각형의 위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경계 범위는 모든 휴대형 기지국(200) 및 사용자 단말(300)이 벗어나지 않아야 하는 한계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허용 범위는 설정된 휴대형 기지국(200)과 사용자 단말(300) 사이의 거리를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설정 과정을 통해, 하나의 휴대형 기지국(200)에는 특정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이 맵핑되고 다른 휴대형 기지국(200)에는 다른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이 맵핑될 수 있다. 이러한 맵핑 관계는 관리 단말(100)이 기록하여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 및 휴대형 기지국(2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기지국) 그룹 내의 특정 사용자 단말(300)을 관리 단말(100)이 특정할 수 있다.
지정된 휴대형 기지국(200)과 통신 채널이 설정됨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 단말(300)(1:N, N은 1 이상의 정소)은 구비된 GPS 센서(303)를 통해 위치 정보(위도 경도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200)으로 전송 주기에 따라 전송하고 휴대형 기지국(200)은 이를 수신(② 참조)한다.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제1 무선통신망(400)으로부터의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에서 이용 가능한 통신 패킷으로 변환(③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수신된 통신 패킷의 헤더의 소스(source) 주소와 사용자 단말(300)의 설정된 식별 정보의 주소를 비교하고 동일한 주소가 인식되는 경우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수신된 통신 패킷의 페이로드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 정보(식별자)와 나아가 휴대형 기지국(200)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페이로드를 구성하고 제2 무선통신망(500)에 따른 통신 패킷을 생성한다. 생성되는 통신 패킷은 소스 주소로 휴대형 기지국(200)의 주소가 설정되고 목적지 주소로 관리 단말(100)의 주소가 설정될 수 있다.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단말(100)로 사용자 단말(300)과 휴대형 기지국(2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변환된 통신 패킷을 전송(④ 참조)한다. 제2 무선통신망(500)은 광대역의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휴대형 기지국(200)에 제2 무선통신망(500)으로 연결된 관리 단말(100)(예를 들어 거치형 관리 단말(100))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의 위치 정보 및 휴대형 기지국(2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수신한다. 관리 단말(100)은 통신 패킷의 페이로드에서 두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추출하고 휴대형 기지국(200)의 식별자를 통신 패킷에서 추출하여 휴대형 기지국(200)별 각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인식(⑤ 참조)한다.
관리 단말(100)은 구비된 지도상에 휴대형 기지국(200)별 각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⑥ 참조)한다. 또한, 관리 단말(100)은 설정된 반경 범위 표시(예를 들어 휴대형 기지국(2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를 나타내는 원형 표시)와 경계 범위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
관리 단말(100)은 관리 대상인 사용자 단말(300)들 각각이 설정된 범위 내인지를 결정(⑦ 참조)한다. 예를 들어, 관리 단말(100)은 각 휴대형 기지국(200)의 사용자 그룹별 사용자 단말(300)들 각각이 설정된 허용 범위내에 위치하는 지를 결정한다. 관리 단말(100)은 휴대형 기지국(200)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휴대형 기지국(200)을 중심으로 설정된 허용 범위 내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또는), 관리 단말(100)은 각 사용자 단말(300)과 휴대형 기지국(200)이 설정된 경계 범위 내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관리 단말(100)은 각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나 휴대형 기지국(200)의 위치 정보가 설정된 경계 범위(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위치영역 범위) 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임의의 사용자 단말(300)이 설정된 허용 범위 내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알람 메시지와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페이로드에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300)에 대응하는 휴대형 기지국(200)으로 전송(⑧ 참조)한다. 전송되는 알람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300)의 출력 인터페이스(309)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임의의 사용자 단말(300)이나 휴대형 기지국(200)이 경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300)이나 휴대형 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알람 메시지와 나아가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페이로드에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200)으로 전송(⑧ 참조)한다. 전송되는 알람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300)이나 휴대형 기지국(200)을 통해 알람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통신 패킷을 수신하는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본 휴대형 기지국(200)을 대상으로 전달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본 휴대형 기지국(20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되는 알람 메시지임을 인식한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수신된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 패킷으로 변환(⑨ 참조)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수신된 통신 패킷 페이로드의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변환되는 통신 패킷의 헤더의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고 소스 주소를 휴대형 기지국(200)의 주소로 설정하고 페이로드에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는 저장부(205)의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 정보와 비교되어 본 휴대형 기지국(200) 내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300)로만 알람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생성된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헤더의 목적지 주소로 지정된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⑩ 참조)한다.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311))은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통신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자신의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출력 인터페이스(309)를 통해 통신 패킷의 알람 메시지를 오디오 신호 등의 알람 신호로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311))은 구비된 근접 센서(30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300)의 분리 이벤트의 발생을 인식(⑪ 참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311))은 근접 센서(305)로부터의 근접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300) 사이의 분리 상태의 발생을 인식 가능하다.
분리 이벤트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311))은 GPS 센서(303)를 통해 결정되는 현재 위치 정보와 분리 이벤트를 나타내는 분리 이벤트 정보를 페이로드에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구성한다. 생성되는 통신 패킷의 헤더는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소스 주소)와 휴대형 기지국(200)의 식별자(목적지 주소)를 포함하고 분리 이벤트 정보와 위치 정보는 페이로드에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300)(의 프로세서(311))은 분리 이벤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200)으로 전송(⑫ 참조)한다.
제1 무선통신망(400)을 통해 통신 패킷을 수신한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통신 패킷의 소스 주소와 저장부(205)의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비교하여 소스 주소가 사용자 그룹 내의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인 경우 수신된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전송될 통신 패킷으로 변환(⑬ 참조)한다. 변환되는 통신 패킷은 페이로드에 분리 이벤트 정보,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목적지 주소를 관리 단말(100)의 주소로 설정되고 소스 주소를 휴대형 기지국(200)의 주소로 설정된다.
휴대형 기지국(200)(의 제어부(209))은 분리 이벤트 정보,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3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변환된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500)을 통해 관리 단말(100)로 전송(⑭ 참조)한다.
관리 단말(100)은 수신된 분리 이벤트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대응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휴대형 기지국(20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관리 단말(100), 휴대형 기지국(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위치 인식과 관리를 위한 설정 이후의 제어 흐름(② 내지 ⑭)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의 수신 이벤트(② 참조)는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형 예로서, 관리 단말(100)로부터의 위치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다.
도 5의 예에서, 관리 단말(100)은 제2 무선통신을 통해 복수의 휴대형 기지국(200)과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관리 단말(100)은 각 휴대형 기지국(200)과 접속 가능한 사용자(기지국) 그룹별 사용자 단말(300)들과 휴대형 기지국(200)에 대한 위치 확인이 가능하고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관리 단말
200 : 휴대형 기지국
201 : 제1 무선통신부 203 : 제2 무선통신부
205 : 저장부 207 : 연결부
209 : 제어부
300 : 사용자 단말
301 :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303 : GPS 센서
305 : 근접 센서 307 : 메모리
309 : 출력 인터페이스 311 : 프로세서
400 : 제1 무선통신망
500 : 제2 무선통신망

Claims (10)

  1. 인솔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기지국이 근거리 개인 통신망인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솔자가 휴대하여 상기 휴대형 기지국과 함께 이동하는 휴대형 단말과 1 대 1 페어링을 설정하고 IOT 통신표준에 따른 제1 무선통신망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과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기지국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통신 패킷을 통신 채널이 설정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기지국이 상기 제1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에 따른 제2 통신 패킷으로서, 상기 제1 통신 패킷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통신 패킷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1 대 1 페어링된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단말이 GPS 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형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의 위치와 상기 제2 통신 패킷으로부터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위치 사이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형 단말의 인식된 위치로부터 각 사용자 단말이 설정된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단말이 상기 휴대형 기지국과의 상대적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휴대형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 통신 패킷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설정된 임계치에 따른 설정 거리 이내로 판단하는, 상기 휴대형 기지국과의 상대적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패킷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휴대형 단말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휴대형 기지국으로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망은 협대역-IOT(Narrow Band IOT) 통신기술표준에 따른 무선통신망이고,
    상기 제2 무선통신망은 블루투스 무선통신 기술을 적용한 통신망이며,
    상기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기 휴대형 기지국은 상기 알람 메시지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위치 추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휴대형 단말의 위치로부터 허용되는 반경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범위를 나타내는 반경 범위 표시와 상기 제2 통신 패킷의 수신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각 사용자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각 사용자 단말이 상기 휴대형 단말의 위치로부터 설정된 반경 범위 내인지 결정에 따라, 상기 휴대형 단말이 설정된 반경 범위를 벗어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알람 메시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형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추적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구비된 근접 센서를 통해 분리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
    분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분리 이벤트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센서로부터 결정되는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형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기지국이 상기 제1 통신 패킷을 분리 이벤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여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형 단말이 분리 이벤트가 발생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상기 휴대형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추적 방법.
  6. 삭제
  7. 인솔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기지국; 및 상기 인솔자가 휴대하여 상기 휴대형 기지국과 함께 이동하는 휴대형 단말;을 포함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형 기지국은,
    IOT 통신표준에 따른 제1 무선통신망을 통해 제1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제1 무선통신부;
    근거리 개인 통신망인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제2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제2 무선통신부; 및
    상기 휴대형 기지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무선통신망에 연결되는 휴대형 단말과 1 대 1 페어링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무선통신망에서 액세스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과 통신 채널을 설정하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통신 패킷을 통신 채널이 설정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에 따른 제2 통신 패킷으로서, 상기 제1 통신 패킷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통신 패킷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무선통신부를 통해 1 대 1 페어링된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휴대형 단말은 GPS 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형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의 위치와 상기 제2 통신 패킷으로부터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의 위치 사이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형 단말의 인식된 위치로부터 각 사용자 단말이 설정된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형 단말이 상기 휴대형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 통신 패킷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설정된 임계치에 따른 설정 거리 이내로의 판단을 통해 상기 휴대형 기지국과의 상대적 거리를 추정하고,
    상기 제2 통신 패킷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휴대형 단말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로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휴대형 기지국으로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을 전송하며,
    상기 제1 무선통신망은 협대역-IOT(Narrow Band IOT) 통신기술표준에 따른 무선통신망이고,
    상기 제2 무선통신망은 블루투스 무선통신 기술을 적용한 통신망이며,
    상기 알람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기 휴대형 기지국은 상기 알람 메시지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형 기지국에 연결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휴대형 단말의 위치로부터 허용되는 반경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범위를 나타내는 반경 범위 표시와 상기 제2 통신 패킷의 수신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에 대응하는 각 사용자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각 사용자 단말이 상기 휴대형 단말의 위치로부터 설정된 반경 범위 내인지 결정에 따라, 설정된 반경 범위를 벗어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알람 메시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을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형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구비된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분리 이벤트를 인식한 경우, 분리 이벤트 정보 및 GPS 센서를 통해 인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통신 패킷을 제1 무선통신망을 통해 휴대형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휴대형 기지국은 상기 제1 통신 패킷을 분리 이벤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통신 패킷으로 변환하여 제2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은 분리 이벤트가 발생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상기 휴대형 기지국을 통해 전송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0180073947A 2018-06-27 2018-06-27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08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947A KR102082711B1 (ko) 2018-06-27 2018-06-27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947A KR102082711B1 (ko) 2018-06-27 2018-06-27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642A KR20200010642A (ko) 2020-01-31
KR102082711B1 true KR102082711B1 (ko) 2020-02-28

Family

ID=6936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947A KR102082711B1 (ko) 2018-06-27 2018-06-27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985B1 (ko) * 2021-02-17 2022-06-13 주식회사 피에스티텍 위치정보기반 사물인터넷 위치 추적 시스템
WO2023014067A1 (ko) * 2021-08-02 2023-0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712B1 (ko) * 2009-03-17 2012-07-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아추적시스템 및 그의 방법
WO2017034375A1 (ko) * 2015-08-27 2017-03-02 (주)삼성정보통신 이동식 교통 단속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579B1 (ko) * 2009-03-17 2010-12-17 (주) 파이시스네트윅스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23881B1 (ko) 2015-11-30 2016-05-24 주식회사 플랜투스 무선신호 송출기를 이용한 이동체 모니터링 방법, 시스템 및 단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712B1 (ko) * 2009-03-17 2012-07-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아추적시스템 및 그의 방법
WO2017034375A1 (ko) * 2015-08-27 2017-03-02 (주)삼성정보통신 이동식 교통 단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642A (ko) 202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903B1 (ko) 영역 진입/이탈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714260B (zh) 一种基于lora的定位及通信***、方法
EP34325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a beacon device
US20240196174A1 (en) Remote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remote identification of an object
CN111186331A (zh) 具有对接管理的电动充电站及其使用方法
EP2891897A1 (en) Localiza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radio signal parameters
KR102082711B1 (ko)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US20100265062A1 (en)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16067786A1 (ja) プログラム、無線端末及び情報収集装置
CN108551525B (zh) 一种移动轨迹的状态确定方法和移动终端
KR100738333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원격제어용 센서 노드, 및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센서노드 원격 제어 방법
WO2019031571A1 (ja) 通信方法、通信装置、及び管理装置
KR101409824B1 (ko) 블루투스 통신 기반 위급 상황 관리 시스템
KR102009973B1 (ko) 고정용비콘을 이용한 보호대상자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1334656B1 (ko) 스마트 폴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CN112866909B (zh) 设备交互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16024795A2 (ko) 휴대폰 분실 방지 시스템
KR101188538B1 (ko) 위치 기반의 알람 시스템, 위치 기반의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 및 위치 기반의 알람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88386B1 (ko) 씨씨티브이 연동 무선 에이피 시스템망을 이용한 지피에스 위치추적시스템
KR101540060B1 (ko) 스마트 양방향 무선 태그를 이용한 위치 추적 서비스 시스템
KR102009964B1 (ko) Ble송수신기를 이용한 보호대상자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780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실내외 응급호출 구현 방안
CN105911577A (zh) 一种网络定位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智能终端
KR101831250B1 (ko) 고정단말과 이동단말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3881B1 (ko) 무선신호 송출기를 이용한 이동체 모니터링 방법, 시스템 및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