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897B1 - 화재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897B1
KR102081897B1 KR1020190016861A KR20190016861A KR102081897B1 KR 102081897 B1 KR102081897 B1 KR 102081897B1 KR 1020190016861 A KR1020190016861 A KR 1020190016861A KR 20190016861 A KR20190016861 A KR 20190016861A KR 102081897 B1 KR102081897 B1 KR 102081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cs
unit
batter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전력
Priority to KR102019001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7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92Gaseous extinguishing substances, e.g. liquefied gases, carbon dioxide sn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6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 H01M2/1094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02H3/16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for ac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화재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실과 파워 컨트롤 시스템(PCS)을 격벽으로 분리 시공하여 화재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에 다수의 배터리가 설치된 배터리실; 타측에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파워 컨버젼 시스템(PCS)이 설치된 PCS실; 상기 배터리실과 상기 PCS실을 분리하는 격벽; 및 상기 배터리실, 상기 PCS실 및 상기 격벽이 설치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화재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capable of blocking fire risk}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화재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외부 전력원, 예를 들면, 발전소에서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여, 전력이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곳으로 전송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즉,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력 저장용 배터리를 포함한 대용량 전력 저장 시스템으로서, 전력을 저장해 필요한 장소와 시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이에 따라 현재는 신재생 에너지(태양광, 풍력에너지 등) 저장용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이용되고 있다. 보통 축전지는 자기 방전에 의하여 축전된 전기를 다소 잃게 되지만, 리튬 이온 배터리에는 그러한 현상이 없다. 단위 부피당 축전 능력도 높고, 주택의 태양광 발전에서 생기는 적은 양의 전기라도 문제없이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축전지들의 약점인 '전기가 남아있는 동안에 충전하면 축전지 용량이 감소하는 (메모리 효과)' 것과 같은 현상도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이 리튬 이온 배터리의 축전 기능을 높이는 이유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는 보통 컨테이너 안에 리튬 이온 배터리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을 적재하여 구성한다. 이 배터리 모듈은 다단으로 형성된 배터리 시스템에 일정 개수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재된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많은 수의 배터리 모듈을 서로 연결하여 집중적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발열량이 매우 많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냉각 부재가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자칫 화재가 일어날 경우 큰 대형 사고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화재 관리 시스템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컨테이너 내부에 소화설비와 제어반, 그리고 연기 감지기 등이 마련되어 있다.
화재 대처법으로, 종래에는 소화설비를 기계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사용하거나 연기 감지기로 화재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반을 통해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소화설비의 경우 이산화탄소 가스 소화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터리실과 파워 컨트롤 시스템실을 격벽으로 분리 시공하여 화재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락 검출 장치를 갖추고, 이를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 운전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조 시스템을 최적화하고 이중화하여 배터리실 온도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 발생 시 소화 장치를 통해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여 전기 화재를 신속히 소화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일측에 다수의 배터리가 설치된 배터리실; 타측에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파워 컨버젼 시스템(PCS)이 설치된 PCS실; 상기 배터리실과 상기 PCS실을 분리하는 격벽; 및 상기 배터리실, 상기 PCS실 및 상기 격벽이 설치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방화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화벽은 상기 배터리실과 상기 PCS실을 연결하는 케이블, 파이프 라인 또는 덕트가 지나가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는 방화 봉합제로 밀봉될 수 있다.
상기 PCS는 발전 시스템으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 또는 계통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부와, 상기 전력 변환부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직류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컨버터와, 상기 전력 변환부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계통에 교류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인버터와, 상기 발전 시스템, 상기 배터리, 상기 계통,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EM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실에 구비된 제1공조부 및 제1소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PCS실에 구비된 제2공조부 및 제2소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실의 제1공조부와 제1소화부, 그리고 상기 PCS실의 제2공조부와 제2소화부는 상기 EMS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EMS는 상기 배터리실의 제1공조부에 의한 온도 및 습도와, 상기 PCS실의 제2공조부에 의한 온도 및 습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EMS는 상기 배터리실의 제1소화부와 상기 PCS실의 제2소화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소화부 및 상기 제2소화부는 HCFC-123 가스 또는 CO2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S는 상기 계통의 지락 여부를 판단하는 지락 판단부, 상기 제1,2공조부를 제어하는 공조 제어부, 상기 제1,2소화부를 제어하는 소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와 상기 부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EMS에 의해 제어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계통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EMS에 의해 제어되는 제2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락 판단부는 상기 계통의 상별 전류를 계측하는 전류 계측부와, 상기 계측된 상별 전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으면 고장으로 감지하는 고장 감지부와, 상기 계측된 상별 전류의 합인 중성 전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으면 지락 고장으로 감지하는 지락고장 감지부와, 영상전류와 역상전류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자기구간 고장(정방향)으로 판단하고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타구간 고장(역방향)으로 판단하는 고장방향 판단부와, 상기 고장방향이 자기구간 고장일 경우 동작하고 상기 고장방향이 타구간 고장일 경우 동작하지 않는 과전류 계전기와, 상기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치와 상기 계통에 설치된 보호장치에 트립 신호를 전송하는 트립 신호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배터리실과 PCS실을 격벽으로 분리 시공하여 화재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배터리실과 PCS실이 방화벽으로 완전히 분리 시공될 수 있고, 또한 배터리실과 PCS실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지나가는 격벽의 개구도 방화 밀봉재로 밀봉 처리될 수 있음로써, 배터리실과 PCS실 사이의 화재가 옮겨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지락 검출 장치를 갖추고, 이를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 운전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지락 검출 장치가 계통의 지락 사고를 검출할 경우,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계통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이 계통의 보호장치에 트립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으로써, 계통이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공조 시스템을 최적화하고 이중화하여 배터리실 및 PCS실 온도를 독립적으로 및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배터리실에 제1공조기를 설치하고, PCS실에 제2공조기를 설치하며, 이들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실의 공조 상태 및 PCS실의 공조 상태를 각각의 환경에 최적화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화재 발생 시 소화 장치를 통해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여 전기 화재를 신속히 소화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배터리실에 제1소화부를 설치하고, PCS실에 제2소화부를 설치하며, 이들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실 및 PCS실의 화재 특성에 최적화된 소화를 할 수 있다. 일례로, 배터리실에는 배터리 화재에 최적화된 소화 가스를 구비하고, PCS실에는 전기화재에 최적화된 소화 가스를 구비하여, 각각의 화재 특성에 최적화된 소화 가스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중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중 지락 판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연계 변압기 연계 선로에서 지락 고장 발생 시 역상, 영상 전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제어부)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제어부)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제어부)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시스템(제어부)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제어부)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시스템,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은 컨테이너(110), 배터리 시스템(120), 파워 컨버젼 시스템(130)(Power Conversion System, 이하 'PCS'라 함), 공조부(141,151) 및 소화부(142,15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배터리실(140)과 PCS실(15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배터리실(140)과 PCS실(150)이 격벽(160)으로 구분됨으로써, 배터리실(140)의 화재 시 PCS실(150)로 화재가 옮겨 가지 않고, 또한 PCS실(150)의 화재 시 배터리실(140)로 화재가 옮겨 가지 않게 된다.
일례로, 격벽(160)은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실(140)과 PCS실(150)을 분리하거나 세분할 수 있으며, 특히, 내화 성능과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 방화벽일 수 있다. 일례로, 격벽(160)은 1시간 내지 3시간의 내화 성능을 갖고, 최소한 양방향에서 방화벽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0.25kPa(5 psi)의 균일한 하중을 견뎌낼 수 있는 구조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배터리실(140)과 PCS실(150) 사이의 격벽(160)을 통해서는 각종 케이블, 파이프 라인, 덕트 등(미도시됨)이 설치될 수 있다. 격벽(160)을 통과하는 케이블, 파이프 라인, 덕트 등의 통과를 위한 개구(미도시) 역시 방화 재료로 밀폐되어 화재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일례로, 격벽(160)의 개구는 방화 봉합제로 채워지거나, 실리콘 폼, 밀폐제 또는 몰탈 등으로 밀봉되어 화재의 확대가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110) 역시 격벽(160)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
배터리실(140)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시스템(120)(예를 들면, 배터리 랙)이 위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배터리 시스템(120)은 컨테이너(110)의 일측벽 및 타측벽과 인접하며, 측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실(140)에는 배터리 시스템(12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1공조부(141) 및 화재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제1소화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PCS실(150)은 PCS(130), 제2공조부(151) 및 제2소화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실(140) 및 PCS실(150)의 공조 상태(온도 및 습도 등)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또한 화재에 대한 소화 역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의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발전 시스템(201) 및 계통(202)으로부터 공급 받은 전력을 부하(203)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은 발전 시스템(201)으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계통(202)에 공급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은 계통(202)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 시스템(120)을 충전할 수도 있다.
발전 시스템(201)은 에너지원에 따라서 전력을 생산한다. 발전 시스템(201)은 생산한 전력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에 공급한다. 발전 시스템(201)은,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 시스템, 풍력 발전 시스템, 조력 발전 시스템, 지열 발전 시스템 등일 수 있다. 발전 시스템(201)은 태양열이나 지열 등,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모든 종류의 발전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가 발전 시스템(201)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을 사용하여 발전 시스템(201)의 전력이 가정이나 공장에 분배될 수 있다. 발전 시스템(201)은 다수의 발전 모듈을 구비하고 발전 모듈별로 전력을 생산하는 대용량 에너지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계통(202)은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계통(202)은 정상 상태인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부하(203) 및/또는 배터리 시스템(120)(예를 들면, 상술한 배터리 랙)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계통(202)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계통(202)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예를 들면, 지락 고장 또는 정전 발생 시), 계통(202)으로부터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으로의 전력 공급은 중단될 수 있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으로부터 계통(202)으로의 전력 공급 또한 중단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부하(203)는 발전 시스템(201)에서 생산된 전력, 배터리 시스템(120)에 저장된 전력, 및/또는 계통(202)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가정이나 공장 등이 선택적으로 부하(203)에 포함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은 발전 시스템(201)에서 생산한 전력을 배터리 시스템(120)에 저장하고, 생산한 전력을 계통(20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은 배터리 시스템(120)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202)으로 공급하거나, 계통(202)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 시스템(1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은 계통(202)이 비정상 상태일 경우, 예를 들면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동작을 수행하여 부하(203)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은 계통(202)이 정상인 상태에서도 발전 시스템(201)이 생산한 전력이나 배터리 시스템(120)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을 부하(203)로 공급할 수 있다.
PCS(130)는 발전 시스템(201), 계통(202), 배터리 시스템(12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계통(202), 부하(203), 배터리 시스템(120)에 적절한 형태로 변환한다. PCS(130)는 입력/출력 단자로의 전력 변환 및 입력/출력 단자로부터의 전력 변환을 수행하며, 이때 상기 전력 변환은 DC/AC 변환 및 제1전압과 제2전압 사이의 변환일 수 있다. PCS(130)는 변환된 전력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의 제어에 의해 동작 모드에 따라서 적절한 목적지로 공급한다.
PCS(130)는 전력 변환부(131), DC 링크부(132), 인버터(133), 컨버터(134),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31)는 발전 시스템(201)과 DC 링크부(132)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 변한 장치일 수 있다. 전력 변환부(131)는 발전 시스템(201)에서 생산한 전력을 DC 링크부(132)로 전달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31)로부터의 출력 전압은 직류 링크 전압일 수 있다.
전력 변환부(131)는 발전 시스템(201)의 종류에 따라서 컨버터, 정류회로 등의 전력 변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 시스템(201)이 생산하는 전력이 직류인 경우, 전력 변환부(131)는 발전 시스템(201)의 직류 전력의 전압 레벨을 DC 링크부(132)의 직류 전력의 전압 레벨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발전 시스템(201)이 생산하는 전력이 교류인 경우, 전력 변환부(131)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회로일 수 있다. 특히, 발전 시스템(201)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인 경우, 전력 변환부(131)는 일사량, 온도 등의 상태 변화에 따라서 발전 시스템(201)에서 생산하는 전력을 최대로 얻을 수 있도록 최대 전력 포인트 추적(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를 수행하는 MPPT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31)는 발전 시스템(201)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없을 때에는 소비 전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동작을 중지할 수도 있다.
직류 링크 전압은 발전 시스템(201) 또는 계통(202)에서의 순시 전압 강하, 부하(203)의 급격한 변화나 높은 부하량 요구 등으로 인하여 불안정해 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직류 링크 전압은 컨버터(134) 및 인버터(133)의 정상 동작을 위하여 안정화되어야 한다. DC 링크부(132)는 전력 변환부(131)와 인버터(133) 사이에 연결되어 직류 링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DC 링크부(132)로서, 예를 들어 대용량 커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133)는 DC 링크부(132)와 제1스위치(171)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 변환 장치이다. 인버터(133)는 방전 모드에서 DC 링크부(132)로부터의 직류 출력 전압을 계통(202)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133)는 충전 모드에서 계통(202)의 전력을 배터리 시스템(120)에 저장하기 위하여, 계통(202)의 교류 전압을 정류하고 직류 링크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버터(133)는 입력과 출력의 방향이 변할 수 있는 양방향 인버터(133)일 수 있다.
인버터(133)는 계통(202)으로 출력되는 교류 전압에서 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133)는 무효 전력 손실을 억제하기 위하여 인버터(133)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의 위상과 계통(202)의 교류 전압의 위상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위상 동기 루프(PLL)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인버터(133)는 전압 변동 범위 제한, 역률 개선, 직류 성분 제거, 과도현상(transient phenomena)에 대한 보호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버터(133)는 사용되지 않을 때,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작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컨버터(134)는 DC 링크부(132)와 배터리 시스템(120)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 변환 장치일 수 있다. 컨버터(134)는 방전 모드에서 배터리 시스템(120)으로부터 출력된 전력의 전압을 인버터(133)를 위한 직류 링크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134)는 충전 모드에서 전력 변환부(131)나 인버터(133)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전압을 배터리 시스템(120)용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버터(134)는 입력과 출력의 방향이 변할 수 있는 양방향 컨버터(134)일 수 있다. 컨버터(134)는 배터리 시스템(120)의 충전 또는 방전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동작을 중지시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은 발전 시스템(201), 계통(202), 배터리 시스템(120) 및 부하(203)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서 전력 변환부(131), 인버터(133), 컨버터(134), 배터리 시스템(120), 제1스위치(171), 제2스위치(17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은 계통(202)에 정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 또는 지락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 발전 시스템(201)에서 전력이 생산되는지 여부, 발전 시스템(201)에서 전력을 생산하는 경우 그 생산량, 배터리 시스템(120)의 충전 상태, 부하(203)의 소비 전력량, 시간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은, 예를 들어 계통(202)에 정전이 발생하는 등, 부하(203)로 공급할 전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부하(203) 내에 포함된 전력 사용 기기들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정하고, 우선 순위가 높은 전력 사용 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부하(203)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스위치(171) 및 제2스위치(172)는 인버터(133)와 계통(20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의 제어에 따라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여 발전 시스템(201)과 계통(202)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제1스위치(171)와 제2스위치(172)는 발전 시스템(201), 계통(202) 및 배터리 시스템(120)의 상태에 따라서 온/오프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전 시스템(201) 및/또는 배터리 시스템(120)의 전력을 부하(203)로 공급하기 위하여, 계통(202)의 전력을 배터리 시스템(120)에 공급하기 위하여, 제1스위치(171)를 온 상태로 한다. 발전 시스템(201) 및/또는 배터리 시스템(120)의 전력을 계통(202)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또는 계통(202)의 전력을 부하(203) 및/또는 배터리 시스템(120)에 공급하기 위하여 제2스위치(172)를 온 상태로 한다. 제1스위치(171) 및 제2스위치(172)로는 큰 전류에 견딜수 있는 릴레이(relay) 등의 스위칭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계통(202)에서 지락 또는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2스위치(172)를 오프 상태로 하고 제1스위치(171)를 온 상태로 한다. 즉, 발전 시스템(201) 및/또는 배터리 시스템(120)으로부터의 전력을 부하(203)에 공급하는 동시에, 부하(203)로 공급되는 전력이 계통(202)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이 지락 고장 또는 정전이 발생한 계통(202)과 단절되어 계통(202)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하여 계통(202)의 전력선 등에서 작업하는, 예를 들어 계통(202)의 정전을 수리하는 인부가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감전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배터리 시스템(120)은 발전 시스템(201) 및/또는 계통(202)의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부하(203) 또는 계통(202)에 저장하고 있는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 시스템(120)은 전력을 저장하는 부분과 이를 제어 및 보호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이 공조부(141,151) 및 소화부(142,152)를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 배터리 시스템(120)의 일측에 공조부(141,151) 및 소화부(142,152)가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실(140) 및 PCS실(15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공조부(141,151)는 온도 센서, 결로 센서, 습도 센서, 에어콘,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부(141,151)에 의해 배터리실(140) 및 PCS실(150)이 각각 최적 공조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소화부(142,152)는 불꽃 센서, 열 센서, 연기 센서, 소화장치(예를 들면, HCFC-123 가스, CO2 가스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소화부에 의해 배터리실(140) 및 PCS실(150)이 각각 화재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이 지락 판단부(135a), 공조 제어부(135b), 소화 제어부(135c) 및 통신부(135d)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이 인터넷망(203)을 통하여 중앙 관리 서버(204) 및 모바일 단말기(205)에 연결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지락 고장 또는 정전이 발생하거나, 공조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화재 발생 시,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이 이를 중앙 관리 서버(204) 및 모바일 단말기(205)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중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은 지락 판단부(135a), 공조 제어부(135b), 소화 제어부(135c) 및 통신부(135d)를 포함할 수 있다.
지락 판단부(135a)는 계통(202)으로부터 전류를 계측하여, 지락으로 판단될 경우 통신부(135d)를 통하여 계통(202)의 보호장치에 트립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트립 신호는 인터넷을 통하여 중앙 관리 서버(204) 및 모바일 단말기(205)에도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더불어,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은 트립 신호의 출력 시 제2스위치(172)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의 전원이 계통(202)에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공조 제어부(135b)는 배터리실(140) 및 PCS실(150)에 각각 설치된 공조부(141,151)를 제어한다. 일례로, 배터리실(140)의 공조부(141)로부터 온도 및 습도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온도 및 습도가 미리 설정된 배터리실(140)의 기준 범위 내에 있도록 에어컨 또는 히터를 동작시킨다. 다른예로, PCS실(150)의 공조부(151)로부터 온도 및 습도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온도 및 습도가 미리 설정된 PCS실(150)의 기준 범위 내에 있도록 에어컨 또는 히터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배터리실(140)의 기준 범위 및 PCS실(150)의 기준 범위는 상호간 다르게 설정됨으로써, 배터리실(140) 및 PCS실(150)이 각 환경에 최적화되어 공조 제어되도록 한다.
소화 제어부(135c)는 배터리실(140) 및 PCS실(150)에 각각 설치된 소화부(142,152)를 제어한다. 일례로, 배터리실(140)의 소화부(142)로부터 불꽃 및 연기 등의 데이터가 획득되는지 판단하여, 불꽃 및 연기 등의 데이터가 획득될 경우 소화부(142)를 동작시켜 배터리실(140)을 소화시킨다. 다른예로, PCS실(150)의 소화부(152)로부터 불꽃 및 연기 등의 데이터가 획득되는지 판단하여, 불꽃 및 연기 등의 데이터가 획득될 경우 소화부(152)를 동작시켜 PCS실(150)을 소화시킨다.
여기서, 배터리실(140) 및 PCS실(150)의 소화 약재는 상호간 다르게 구비됨으로써, 배터리실(140) 및 PCS실(150)이 각 환경에 최적화되어 소화되도록 한다. 일례로, 배터리실(140)에 구비된 소화부(151)는 HCFC-123 가스 방식으로서 배터리 내의 양극 활물질, 음극 활물질, 세퍼레이터, 액체 전해질 등의 소화에 최적화될 수 있다. 다른예로, PCS실(150)에 구비된 소화부(152)는 CO2 가스, 증발성 액체 및/또는 소화분말 등으로서 전기 화재에 최적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중 지락 판단부(135a)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지락 판단부(135a)는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35)과 연동됨으로써, 계통(202)의 지락 발생 시 제2스위치(172)를 오프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의 전원이 계통(202)에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밖에도 지락 판단부(135a)는 계통(202)의 보호장치(202a)와 연동됨으로써, 더욱 정교하게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과 계통(202) 사이의 관계를 제어할 수 있다.
지락 판단부(135a)는 전용 통신선 또는 인터넷을 통해 계통(202)의 보호장치(202a)와 연동하며 보호장치(202a)로 트립 신호를 보내거나 보호장치(202a)로부터 전류 계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락 판단부(135a)는 보호장치(202a)의 CT(Current Transformer)로부터 전류를 계측하여 지락고장 여부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고장 방향까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장 방향이 정방향으로 판정되는 경우 과전류 계전기(135a5)(OCGR)을 동작시켜서 보호장치(202a)에 트립 신호를 전송하여 보호장치(202a)가 동작하도록 하고, 고장 방향이 역방향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과전류 계전기(135a5)(OCGR)을 동작시키지 않도록 한다.
지락 판단부(135a)는 전류 계측부(135a1), 고장 감지부(135a2), 지락고장 감지부(135a3), 고장방향 판단부(135a4), 과전류 계전기(135a5) 및 트립신호 발생부(135a6)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계측부(135a1)는 보호장치(202a)의 CT와 연동하여 상별 전류를 계측한다. 또한, 전류 계측부(135a1)는 계측된 3상 입력 전류를 합하여 중성선 전류를 계산한다.
고장 감지부(135a2)는 계측된 상별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여부를 감지한다. 즉, 고장 감지부(135a2)는 계측 전류가 사전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보다 높으면 고장으로 감지/판단한다.
지락고장 감지부(135a3)는 상기 계측된 상별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의 종류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지락고장 감지부(135a3)는 상별 전류(Ia + Ib + Ic)의 합인 중성선 전류(In)가 기 설정된 설정값보다 낮은지를 판단하여 고장의 종류가 지락 고장인지 또는 상고장인지를 판단한다.
고장방향 판단부(135a4)는 상기 판단된 고장의 종류가 지락고장인 경우에 소정 방법으로 고장 방향을 판단한다. 일례로, 고장방향 판단부(135a4)는 영상전류와 역상전류의 비율을 분석하여, 그 크기가 기 설정치보다 높을 경우 자기구간 고장(정방향)으로 판단하고 그 크기가 기 설정치보다 작을 경우 타구간 고장(역방향)으로 판단한다.
또한, 고장방향 판단부(135a4)는 고장 방향이 정방향인 경우에는 과전류 계전기(135a5)(OCGR)가 동작되도록 지시하고, 고장 방향이 역방향인 경우에는 과전류 계전기(135a5)(OCGR)에 동작 지시를 보내지 않고 전류를 계측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과전류 계전기(135a5)는 고장방향 판단부(135a4) 또는 지락고장 감지부(135a3)로부터 동작 지시를 받아서 동작한다.
이러한 과전류 계전기(135a5)는 단락과전류 계전기(135a5)(일반적인 과전류 계전기, OCR) 및 지락과전류 계전기(135a5)(OCGR)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립신호 발생부(135a6)는 과전류 계전기(135a5)의 동작에 기초하여 트립 신호를 발생시키고 보호장치(202a) 및 제2스위치(172)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지락 판단부(135a)가 연동되는 보호장치(202a)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분산전원)이 연계되어 있는 접지 계통에 설치함으로써, 보호장치(202a)가 자기 보호구간(즉, 보호장치(202a)의 설치점을 기준으로 부하(203)측)에서만 동작하게 하여 자기 보호구간 이외 구간(즉, 보호장치(202a)의 설치점을 기준으로 전원측 및 타 선로)에 대한 고장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오동작을 막을 수 있다.
도 5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연계 변압기 연계 선로에서 지락 고장 발생 시 역상, 영상 전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F1 지점에서 지락 고장 발생 시 정방향 고장 전류는 I2 ≥ I0인 관계를 갖고, 역방향 고장 전류는 I2 < I0인 관계를 갖는다. 즉, 자기 구간 지락 고장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역상 전류가 영상 전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거나 유사한 값을 보이나, 타구간 고장에 대해서 반대로 역상 전류가 영상 전류에 비해 작은 값을 보인다. 따라서, 지락 고장 발생시 자기 구간 판단을 영상분 전류와 역상분 전류의 비율로 구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같은 분산전원 연계용 변압기 결선 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Grounded Y-△ 결선의 고장 특성에 기인한다. 즉, Grounded Y-△ 결선을 사용하는 경우, 분산 전원의 종류 또는 고장 발생 시의 분산 전원의 발전 상태와 관계없이, 역방향 고장 발생 시 영상 회로를 구성하여 작은 영상 저항으로 인하여 고장 회로에서 정상 전류나 역상 전류에 비하여 영상 전류가 크게 형성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영상 전류가 크게 형성된다는 것은 각 상의 전류 벡터가 일정 위상각차 이내에서 한 방향으로 모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고장 방향을 판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 R1, R2, R3는 보호장치의 위치를 의미하고, F1은 고장 위치를 나타낸다. 만약 F1 지점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R1의 보호장치는 자기구간이므로 동작하되 R2의 보호장치는 자기구간이 아니므로 동작하면 안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110; 컨테이너 120; 배터리 시스템
130; 파워 컨버젼 시스템(PCS) 131; 전력 변환부
132; DC 링크부 133; 인버터
134; 컨버터 135;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EMS)
135a; 지락 판단부 135a1; 전류 계측부
135a2; 고장 감지부 135a3; 지락 고장 감지부
135a4; 고장 방향 판단부 135a5; 과전류 계전기
135a6; 트립 신호 발생부 202a; 보호장치
135b; 공조 제어부 135c; 소화 제어부
135d; 통신부 140; 배터리실
150; PCS실 141,151; 제1,2공조부
142,152; 제1,2소화부 160; 격벽
171; 제1스위치 172; 제2스위치
201; 발전 시스템 202; 계통
203; 부하 203; 인터넷망
204; 중앙 관리 서버 205; 모바일 단말기

Claims (10)

  1. 일측에 다수의 배터리가 설치된 배터리실;
    타측에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파워 컨버젼 시스템(PCS)이 설치된 PCS실;
    상기 배터리실과 상기 PCS실을 분리하는 격벽; 및
    상기 배터리실, 상기 PCS실 및 상기 격벽이 설치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PCS는 발전 시스템으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 또는 계통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부와, 상기 전력 변환부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직류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컨버터와, 상기 전력 변환부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계통에 교류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인버터와, 상기 발전 시스템, 상기 배터리, 상기 계통,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인버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EMS)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와 부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EMS에 의해 제어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계통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EMS에 의해 제어되는 제2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EMS는 상기 계통의 지락 여부를 판단하는 지락 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락 판단부는 상기 계통의 상별 전류를 계측하는 전류 계측부와, 상기 계측된 상별 전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으면 고장으로 감지하는 고장 감지부와, 상기 계측된 상별 전류의 합인 중성 전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으면 지락 고장으로 감지하는 지락고장 감지부와, 영상전류와 역상전류의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자기구간 고장(정방향)으로 판단하고 상기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타구간 고장(역방향)으로 판단하는 고장방향 판단부와, 상기 고장방향이 자기구간 고장일 경우 동작하고 상기 고장방향이 타구간 고장일 경우 동작하지 않는 과전류 계전기와, 상기 과전류 계전기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치와 상기 계통에 설치된 보호장치에 트립 신호를 전송하는 트립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방화벽을 포함하며, 상기 방화벽은 상기 배터리실과 상기 PCS실을 연결하는 케이블, 파이프 라인 또는 덕트가 지나가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방화 봉합제로 밀봉되며, 상기 격벽은 1시간 내지 3시간의 내화 성능을 갖고, 양방향에서 상기 격벽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0.25kPa의 균일한 하중을 견디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실에 구비된 제1공조부 및 제1소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PCS실에 구비된 제2공조부 및 제2소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실의 제1공조부와 제1소화부, 그리고 상기 PCS실의 제2공조부와 제2소화부는 상기 EMS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EMS는 상기 배터리실의 제1공조부에 의한 온도 및 습도와, 상기 PCS실의 제2공조부에 의한 온도 및 습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EMS는 상기 배터리실의 제1소화부와 상기 PCS실의 제2소화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화부 및 상기 제2소화부는 HCFC-123 가스 또는 CO2 가스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EMS는 상기 제1,2공조부를 제어하는 공조 제어부, 상기 제1,2소화부를 제어하는 소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16861A 2019-02-13 2019-02-13 화재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081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861A KR102081897B1 (ko) 2019-02-13 2019-02-13 화재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861A KR102081897B1 (ko) 2019-02-13 2019-02-13 화재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897B1 true KR102081897B1 (ko) 2020-02-27

Family

ID=6964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861A KR102081897B1 (ko) 2019-02-13 2019-02-13 화재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89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951B1 (ko) * 2020-07-10 2020-12-02 알파시스템창호(주)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13611973A (zh) * 2021-08-13 2021-11-05 山东精工电源科技有限公司 圆柱锂电池制作的集装箱储能电站
CN115117532A (zh) * 2022-08-27 2022-09-27 京广能源有限公司 一种储能集装箱的箱体结构
KR20220159153A (ko) * 2021-05-25 2022-12-02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보호장치 및 방법
WO2023204382A1 (ko) * 2022-04-19 2023-10-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접지구조 제어 장치
KR102624555B1 (ko) * 2023-01-03 2024-01-11 신석주 이동식 스마트 냉동 컨테이너
KR102690292B1 (ko) 2022-01-19 2024-07-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에너지 저장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778B1 (ko) * 2008-07-22 2009-02-09 주식회사 동보 지하 전력구 방화벽
KR101381592B1 (ko) * 2013-09-04 2014-04-04 채재훈 에너지 저장 장치용 컨테이너
JP2016189317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Gsユアサ コンテナ型蓄電ユニット
KR20180003052A (ko) * 2016-06-30 2018-01-09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전력 저장 장치
KR20180014957A (ko) * 2016-08-02 2018-0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180084350A (ko) * 2017-01-17 2018-07-25 (주)에이피이씨 친환경 es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778B1 (ko) * 2008-07-22 2009-02-09 주식회사 동보 지하 전력구 방화벽
KR101381592B1 (ko) * 2013-09-04 2014-04-04 채재훈 에너지 저장 장치용 컨테이너
JP2016189317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Gsユアサ コンテナ型蓄電ユニット
KR20180003052A (ko) * 2016-06-30 2018-01-09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전력 저장 장치
KR20180014957A (ko) * 2016-08-02 2018-0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180084350A (ko) * 2017-01-17 2018-07-25 (주)에이피이씨 친환경 es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951B1 (ko) * 2020-07-10 2020-12-02 알파시스템창호(주)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220159153A (ko) * 2021-05-25 2022-12-02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보호장치 및 방법
KR102539978B1 (ko) * 2021-05-25 2023-06-07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보호장치 및 방법
CN113611973A (zh) * 2021-08-13 2021-11-05 山东精工电源科技有限公司 圆柱锂电池制作的集装箱储能电站
KR102690292B1 (ko) 2022-01-19 2024-07-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에너지 저장 장치
WO2023204382A1 (ko) * 2022-04-19 2023-10-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접지구조 제어 장치
CN115117532A (zh) * 2022-08-27 2022-09-27 京广能源有限公司 一种储能集装箱的箱体结构
KR102624555B1 (ko) * 2023-01-03 2024-01-11 신석주 이동식 스마트 냉동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897B1 (ko) 화재 위험을 차단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RU2756839C2 (ru) Модульная и масштабируемая система проточной батареи
CA2997414C (en) Fuel cell system ride-through of electric grid disturbances
KR102229278B1 (ko) 그룹화 관리 및 차단기 이원화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412742B1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97259B1 (ko) 전력 저장을 위한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298006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228090B1 (ko) 이상 상태의 신속한 차단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30105616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1042779A1 (ja) 直流配電システム
US20120235492A1 (en) Power supply system
US20090021963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nnected to a grid
JP6104626B2 (ja) 試験システムおよび試験方法
CN107370168B (zh) 电能存储设备
US10855197B2 (en) Power supply system
Kim et al. The operation experience of KEPCO UPFC
JP2007043802A (ja) 無停電電源装置及び分電盤
CN115498671A (zh) 一种集装箱式储能***
US20190013676A1 (en) Apparatus of Controlling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for Grid
JP2005245136A (ja) 逆潮流防止型系統連系システム
KR102582181B1 (ko) Ac차단과 dc차단을 연동한 효율유지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218874B1 (ko) Ess의 화재 예방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에너지소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286629B1 (ko) 화재 예측 알고리즘 및 차단 기능을 겸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WO2019107017A1 (ja) 電力管理システム
KR20220008793A (ko) 에너지 저장시스템(ess),무정전 전원공급 장치(ups) 전환 태양광 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