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747B1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747B1
KR102080747B1 KR1020140037156A KR20140037156A KR102080747B1 KR 102080747 B1 KR102080747 B1 KR 102080747B1 KR 1020140037156 A KR1020140037156 A KR 1020140037156A KR 20140037156 A KR20140037156 A KR 20140037156A KR 102080747 B1 KR102080747 B1 KR 102080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user
wearer
authentic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621A (ko
Inventor
홍사윤
조은형
김종호
이도영
천시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747B1/ko
Priority to PCT/KR2014/006832 priority patent/WO2015147383A1/en
Priority to US14/467,720 priority patent/US9223956B2/en
Publication of KR20150112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 본체와 연결된 외부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의 요청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와 페어링되고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이동단말기의 착용을 감지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2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를 통해 감지되는 착용자의 생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대한 착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착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와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이나 상기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진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가 더욱 경량화 및 초소형화됨에 따라, 안경형, 시계형, 목걸이형, 팔찌형, 반지형 등과 같이 사용자 신체의 일부에 접촉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가능해졌고, 나아가 사용자의 의류에 장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단말기의 형태도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가 사용자의 사용 목적이나 의도에 따라 신체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되어 사용될 경우,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생체신호를 자연스럽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보안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현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된 외부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의 요청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와 페어링되고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이동단말기의 착용을 감지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를 통해 감지되는 착용자의 생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대한 착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착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와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이나 상기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 방식은,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의 지문 인증, 얼굴 인증, 음성 인증, 생체정보 인증, 서명 인증, 필체 인증, 패스워드 인증, 및 제스처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상기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는 상기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에 의하여 판단되는 착용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입력의 요청에 대응되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대한 착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나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나타나도록 상기 출력된 시각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가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터치가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생체신호 감지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생체신호 감지 기능의 활성화에 대응되는 화면변화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 감지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감지된 제1 생체신호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2 생체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동일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각성 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착용자가 각성 중이고 기설정된 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고, 매칭 여부에 따라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각성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착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이면, 기설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이후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에 보안 레벨이 증가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각성 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착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이면, 기설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정보에 방해신호를 합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자가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가 임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나 상기 외부서버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대한 착용자 인증이 완료되고 상기 제2 이동단말기가 착용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인증 방식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생체신호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대한 착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와 상기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매칭되지 않으면, 기설정된 인증 방식을 변경하거나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을 추가적으로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와 상기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변경된 인증 방식이나 다른 인증 방식과 관련된 시각정보가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는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와 저전력 무선통신(BLE)을 더 수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무선통신(BLE)에 따라 상기 본체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간의 이격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이격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화면을 제공할 기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이격거리가 기설정된 범위내이면, 상기 본체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이격거리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본체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이 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결과 상기 제2 이동단말기가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2 이동단말기의 착용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후 상기 제2 이동단말기의 착용 또는 착용해제에 따른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변경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하거나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시각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착용을 감지하고, 상기 본체와 연결된 외부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의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의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착용자의 각성 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이나 상기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가 달라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착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인증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기설정된 방해신호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착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인증 방식을 변경하거나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을 추가적으로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착용자가 각성 중이고 기설정된 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여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하고, 매칭 여부에 따라 결정된 인증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한 단말기의 착용 및 본인 착용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인증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이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시 단말기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착용자의 각성 여부 및 심리상태를 판단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협박 또는 강제에 의하여 정보입력을 수행한 경우 또는 수면중에 자신도 모르게 타인에 의하여 정보입력이 수행되는 경우로 판단되면 인증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의 보안이 질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외부서버 및 제2 이동단말기와 통신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b 및 도 2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d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되고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한 제2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서, 착용자 인증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 착용자가 수면 상태인 경우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 착용자가 수면 상태이거나 심리 상태가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라, 착용자 인증 후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제2 이동단말기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화면을 제공할 기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이동단말기가 착용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외부서버 및 제2 이동단말기와 통신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서버(50)과 연결되어, 외부서버(5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다시 외부서버(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서버(50)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거나 특정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하여 보안 인증을 요구하는 장치 또는 그러한 프로그램이 설치되거나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제1 이동 단말기(100)에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외부서버(50)와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이동 단말기(300)와 페어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300)는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 단말기(100)로 구현되었다.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제2 이동 단말기(300)는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제2 이동 단말기(300)가 페어링되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300)는 제1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외부서버(5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이동 단말기(3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다시 외부서버(50)에 제공해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서버(50)에 접속하기 위하여, 또는 상기 외부서버(50)를 통해 특정 기능을 실행하거나 특정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서버(50)로부터 사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을 위한 정보입력을 요청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나 상기 제2 이동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된 인증정보는 다시 외부서버(50)에 제공되어, 권한 있는 사용자 본인임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300)는 외부서버(50)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이 요청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감지된 생체신호에 따라 적합한 인증 방식을 결정하거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입력된 인증정보에 대한 처리를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생체신호를 통해 사용자 본인임이 1차 판단된 경우라면 좀 더 간편한 인증 방식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더라도 보안에 문제가 없을 것이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을 위해 입력된 정보가 기등록된 사용자 본인정보와 매칭될 수 있는 경우라도, 그러한 정보입력이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이루어진 경우라면 입력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들에 관해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하겠다.
한편, 도 2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2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b 및 2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2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2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2d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되고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한 제2 이동 단말기의 예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51)를 구비하는 본체(301) 및 본체(3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3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3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301a) 및 제2케이스(3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3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3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의 윈도우(351a)는 제1 케이스(3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3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1)에는 음향 출력부(352), 카메라(321), 마이크로폰(322), 사용자 입력부(3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3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3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3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3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302)는 본체(3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3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302)에는 파스너(fastener; 3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3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3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이하 '제1 이동 단말기'로 명명될 있다)는, 무선 통신부(100)를 통하여, 본체와 연결된 외부서버(50)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을 요청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되고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제2 이동단말기(300)의 인식과 착용을 감지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제2 이동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이동단말기(300)는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나 제2 이동단말기(30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해준다. 그러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수신된 응답신호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제2 이동단말기(300)에 대한 인식 및 착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단말기(300)가 인식되어 생체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생체신호를 기등록된(또는 기저장된) 생체신호와 비교하여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제1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 본인과 동일인인지를 판단하여, 착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착용자 인증의 수행결과와, 제2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적합한 인증 방식을 결정하거나 또는 제시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가 달라지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착용자 인증 결과,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제1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 본인인 경우와, 본인이 아닌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인증 방식을 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제1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 본인인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1차적 판단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보안성보다는 정보입력의 편의성이 높은 인증 방식, 예를 들어 서명 인증 방식을 선택하여 제시할 수 있다. 반면,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제1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 본인이 아닌 경우에는 보안성이 좀더 높은 인증 방식, 예를 들어 지문 인증 방식과 홍채 및 망막 인증 방식 등과 같이 복수의 인증 방식을 선택하여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착용자 인증 결과,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제1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 본인임이 확인된 경우라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착용자의 각성 여부 및 심리상태에 따라, 제공된 인증 방식에 대한 정보입력의 처리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착용자의 생체신호의 분석에 따라 위협, 협박,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이면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입력이 있더라도 실제로는 인증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이란, 패스워드 등을 이용한 인증용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허가받은 본인이라는 사실을 인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외부서버(50)에 접속하거나 외부서버(50)를 통해 특정 데이터에 접근하고자하는 사용자가 권한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확인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크게는 지식기반의 인증 방식과, 소유기반의 인증 방식과, 특징기반의 인증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식기반의 인증 방식은, 사람의 지식에 따라 사용자 본인임을 인증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패스워드(ID/Password) 인증 방식, Passphrase 인증 방식, 기등록된 문답 인증 방식, i-pin 인증 방식 등이 있다. 지식기반의 인증 방식은 사용자가 습관에 따라 패스워드를 설정하기 때문에, 유추가 되기 쉽고 보안성은 비교적 낮지만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소유기반의 인증 방식은, 소지한 별도 매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직접 제시하여 사용자 본인임을 인증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OPT 인증 방식, 보안카드 인증 방식, 공인인증서 인증 방식, HSM 인증 방식 등이 있다. 소유기반의 인증 방식은 매체의 분실 우려가 있고, 악성코드에 의한 유출가능성이 있다.
특징기반의 인증 방식은, 사용자의 신체 특성 또는 행위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본인임을 인증하는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지문 인증 방식, 홍채 또는 망막 인증 방식, 손모양 인증 방식, 얼굴 인증 방식, 그리고 음성 인증 방식, 서명 인증 방식이 있다. 특징기반의 인증 방식은 편리하고 신뢰도 및 안정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나, 신체 손상시 인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생체신호란, 제2 이동 단말기(300)를 착용한 착용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신호는 ECG(ElectroCardioGram) 신호, PPG(Photoplethymogram) 신호, 또는 GSR(Galvanic Skin Response)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겠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면 단계의 측정을 위해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신호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주요 척도들로는 뇌전도, 심전도, 근전도, 안구 전도도, 전기 피부 반응이 있으며, 신체적 주요 척도들로는 혈압, 심박수, 부정맥, 박동량, 박동결손, 신체온도, 호흡수 등이 있다. 제2 이동단말기(30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이와 같은 전기적 주요 척도들 및 신체적 주요 척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신호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이 피부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이다. 심전도 신호는 심장의 박동에 따라 심근에서 발생하는 활동 전류를 체표면의 적당한 2개소로 유도하여 측정될 수 있다.
근전도(electromyogram, EMG) 신호는 근육의 수축력, 근활성도 및 피로도가 피부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이다. 근전도는 예를 들어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을 통해 감지되는 착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힘줄들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착용자의 손목 내부의 수근관(또는 손목굴, carpal tunnel)에는 각각의 손가락 움직임을 관장하는 힘줄들의 힘줄 다발(finger flexor tendons)이 존재한다. 이러한 힘줄 다발에는 아홉 개의 힘줄과 한개의 신경이 존재하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우, 상기 힘줄 다발에 포함된 아홉 개의 힘줄들이 다양한 조합으로 움직인다. 이동 단말기의 감지부(140)는 손가락 또는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된 힘줄들의 형상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손가락들이 어떤 제스처를 취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 신호는 집중력 또는 외부 자극에 대한 뇌활성도가 피부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이다. 뇌전도 신호는 사람의 대뇌에 일어나는 전위변동, 또는 그것에 의하여 일어나는 뇌전류를 두피 상에서 유도하여 측정될 수 있다.
피부전도도(galvanic skin reflex, GSR) 신호는 교감신경 활성에 대한 피부 저항의 변화가 피부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이다. 피부전도도 신호는 생체의 피부에서 외적인 자극이나 정서적인 흥분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저항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거나 활동전위가 발생하거나 하는 현상을 측정하여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2 이동단말기(300)를 통해 감지된 착용자의 생체신호가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이동단말기(10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접촉(예, 손가락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를 인가하는 경우)에 따라 감지되는 생체신호를 직접 제공받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이동단말기(100)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본체(100)와 연결된 외부서버(50, 도 1)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310).
여기서 외부서버(50)는 상기 본체(100)와 무선통신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거나 특정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하여 보안 인증을 요구하는 장치 또는 그러한 프로그램이 설치되거나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의 모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서버(50)는 사용자 인증과 일치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와 연동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이란, 패스워드 등을 이용한 인증용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허가받은 본인이라는 사실을 인증하는 것이고,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은 그러한 사용자 인증의 처리를 위해 기등록된 인증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단말기(100)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외부서버(50)에 접속하기 위한 요청신호를 전송한 경우, 상기 외부서버(50)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의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제1 이동단말기(100)가 접속된 외부서버(50)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거나 특정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요청신호를 전송한 경우, 상기 외부서버(50)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의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서버(50)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의 요청이 수신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정보입력의 요청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를 시작합니다'와 같은 프로세스의 시작을 안내하는 메시지(401)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정보입력의 요청이 수신되면, 기설정된 인증방식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ID/Password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바로 팝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입력의 요청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기(100)는 본체(100)와 페어링되고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제2 이동단말기(300, 도 1)의 착용을 감지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전송한다(S320).
여기서, 제2 이동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와치 타입의 이동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사용자의 팔뚝에 착용가능한 밴드타입의 이동단말기나, 또는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가능한 글래스 타입의 이동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2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상기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그리고/또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300)를 통해 감지된 생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300)에 대한 착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330).
여기서, 착용자 인증이란,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 여부와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이동단말기(300)는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예를 들어 PPG 센서, GSR 센서, SKT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단말기(300)에 구비된 센서는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활성화되어,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신호란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로서, 예를 들어, 상기 생체신호는 ECG(ElectroCardioGram) 신호, PPG(Photoplethymogram) 신호, 또는 GSR(Galvanic Skin Response)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겠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면 단계의 측정을 위해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신호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착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300)의 상대적 위치와,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와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생체신호를 비교하여,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본인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의 생체신호는, 일정시간 동안 누적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일반 패턴의 형태로 저장되거나, 그리고/또는 특정 조건(예, 수면 상태, 운동 중)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를 기록한 특정 패턴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의 생체신호는 일정 주기마다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1 이동단말기(100)는 이와 같이 제2 이동단말기(200)에 대한 착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증에 대한 1차적 판단이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제2 이동단말기(300)가 착용된 경우, 착용자가 제1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와 동일인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이동단말기(100, 300)는 페어링을 위해 일정거리 범위내에 존재해야하므로, 사용자가 양 기기를 모두 소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이동 단말기(300)에 대한 착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이를 기초로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본체(100)의 디스플레이부(151)나 제2 이동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51)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착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 인증이 완료되었습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402)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착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및 제2 이동단말기(100, 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착용자 인증 완료에 대응되는 효과음(예, '삐' 소리음)이 출력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제1 이동단말기(100)는 상술한 착용자 인증의 수행결과와 상기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제시될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을 결정하거나 또는 제시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가 다르게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40).
구체적으로, 상기 착용자 인증의 수행결과, 제1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 본인와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자가 동일인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1차적 인증과정을 통과한 것이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높은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착용자 인증의 수행결과, 제1 이동단말기(100)와 제2 이동단말기(300)가 다른 경우에는, 기설정된 인증 방식이나 보안성이 좀더 높은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즉, 1차적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사용자입력이 좀더 편리한 인증방식이 선택되도록 제어하고, 1차적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보안이 강화된 인증방식이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1차적 인증 결과를 상기 외부서버(50)로 제공하거나 또는 1차적 인증 결과에 따라 선택된 인증방식(또는, 복수의 선택가능한 인증방식들)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외부서버(50)에 제공해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서버(50)는 제공받은 정보에 따라 선택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나 제2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b)에서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가 동일인으로 확인된 경우, 도 4의 (c)와 같이 지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03)이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4의 (b)에서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본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보안성이 높은 인증 방식, 예를 들어 홍채 및 망막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시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가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상태, 예를 들어 착용자의 각성 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단말기(100)는 판단된 착용자의 현재 상태에 따라, 상기 제시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입력의 처리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된 착용자의 현재 상태가 수면 중이거나, 강압, 협박, 긴장 상태인 경우로 인식되면, 사용자 의사에 반하여 정보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고, 실질적으로 그러한 정보입력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거나 다른 인증 방식을 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c)에서,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03) 입력된 지문 정보가 사용자 본인에 의한 것이라도, 제2 이동 단말기(300)를 통해 감지된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사용자의 심리상태가 비정상적(예, 지나치게 흥분, 긴장한 경우)이거나 또는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도 4의 (d)에서 외부서버(50)에 의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도 4의 (c)에서,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03)에 지문 정보가 입력되는 동안, 제2 이동 단말기(300)를 통해 감지된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사용자의 심리상태가 정상(예,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긴장지수 등이 정상범위내에서 변화하는 경우)이고 각성 중이면, 입력된 지문 정보를 그대로 외부서버(50)에 전송해준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1차적 판단 결과, 제2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제2 이동단말기(300)가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라면, 제2 이동단말기(100)에 구비된 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이동 단말기는, 제1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감지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각성 여부 및 심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된 정보를 기초로 제시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제2 이동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된 인증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매칭을 위해, 외부서버(50)로 전송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서버(50) 또는 외부서버(50)와 연동된 인증 서버(미도시)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2차적 인증이 수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2차적 인증이 수행되는 동안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서는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 중임을 나타내는 화면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중' 메시지(404)가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한 단말기의 착용 및 본인 착용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인증 방식으로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시 단말기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착용자의 각성 여부 및 심리상태를 판단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질적으로 보안이 더욱 강화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서, 제2 이동단말기(300, 도 1)에 대한 착용자 인증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방식에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 및 상기 제2 이동 단말기(2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의 지문 인증(예, 지문 인식 센서), 얼굴 인증(예, 카메라), 음성 인증(예, 마이크), 생체정보 인증, 서명 인증, 필체 인증, 패스워드 인증, 및 제스처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복수의 인증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시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는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판단된 착용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1차적 인증 결과, 제2 이동단말기(300)가 착용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제1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일치하는 않는 경우에는 제1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300)가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신체 특정 부위(예, 착용자의 손)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자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된 터치의 수행자가 동일인인지, 그리고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본인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1 이동단말기(100)와 제2 이동단말기(300)를 동시에 소지하였는지 여부와 동일인인지 여부가 좀더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이동단말기(300)가 착용된 상태에서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터치가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생체신호 감지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생체신호 감지 기능의 활성화에 대응되는 화면변화가 나타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모드에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이동 단말기(300)를 착용한 쪽의 손을 이용하여, 페어링된 바 형태의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를 인가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생체신호 감지 중임을 나타내는 화면정보, 예를 들어텍스트 및 이미지(501)가 출력된다.
그러면,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생체신호 감지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감지된 제1 생체신호와, 제2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생체신호를 비교하여, 동일인 여부를 판단한다. 그에 따라, 도 5의 (b)와 같이 동일인 인증중임을 나타내는 화면정보(502)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80)는 수신된 또는 감지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각성 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2 이동단말기(200)의 착용자가 각성 중이고 기설정된 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인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또는 감지된 생체신호와 제1 이동 단말기(100)에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고, 매칭 여부에 따라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착용자의 각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착용자의 생체 신호(예, 맥박 신호, 심전도 신호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NREM(Non-REM) 상태인지 또는 각성하기에 용이한 수면상태인 REM 수면 상태인지, 또는 이미 기상한 상태(즉, 각성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수면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수면 또는 각성 여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의 경계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기설정된 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 상태란,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의 자극신호만이 감지되거나, 생체신호의 변화에 대응되는 착용자의 긴장지수, 흥분지수 등이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한편, 생체신호의 분석에 의하여 판단되는 심리 상태가 정상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나 제2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된 다른 센서를 통해 착용자의 심리 상태의 판단을 위한 보조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의 변화에 대응되는 착용자의 긴장지수가 임계치 근처인 경우, 제2 이동 단말기(300)에 구비된 카메라(321)를 활성화하여 착용자의 얼굴 데이터, 예를 들어 얼굴 표정, 눈의 깜빡임, 미소, 눈살 찌뿌림, 곁눈질, 눈썹움직임, 머리동작 등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되 얼굴 데이터는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에 전달되어 착용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자와 제1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동일인임이 확인되고, 착용자의 생체신호에 의해 판단되는 현재 상태가 각성 중이고 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인 경우, 사용자 편의성이 높은 인증 방식을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 도 5의 (c)와 같이 서명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503)이 출력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일치하면서 등록된 사용자 본인으로 확인되면, 1차적 인증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보다 간단한 인증 방식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503)에 서명 정보가 입력되면, 제1 이동 단말기(100)를 입력된 서명정보를 외부서버(50)에 전송하여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가 출력될 때까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사용자 인증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504)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매칭(착용자 인증)한 결과,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보안성이 강한 인증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인증 방식을 변경하거나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을 추가적으로 요청하도록 제어하여, 외부서버(50)로부터 요청받은 사용자 인증의 보안 레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변경된 인증 방식과 관련된 시각정보나 다른 인증 방식과 관련된 시각정보가 제2 이동단말기(300)에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본인이 아닌 경우에는 사생활 보호 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에서,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자 또는 제1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의해 판단된 현재 상태가 수면 중이거나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인 경우의 처리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a 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 착용자가 수면 상태인 경우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 착용자가 수면 상태이거나 심리 상태가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1 이동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수신된(또는, 감지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착용자(또는, 사용자)의 각성 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착용자(또는, 사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외부서버(50)로 전송되면,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자(또는, 사용자)가 수면 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착용자(또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예, 맥박 신호, 심전도 신호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NREM(Non-REM) 상태인지 또는 각성하기에 용이한 수면상태인 REM 수면 상태인지, 또는 이미 기상한 상태(즉, 각성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수면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또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란,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자극신호가 감지되거나, 또는 생체신호의 변화에 대응되는 착용자(또는, 사용자)의 긴장지수, 흥분지수 등이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한편,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생체신호의 분석을 통해 판단된 심리 상태가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나 제2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된 다른 센서를 통해 착용자(또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판단 결과, 상기 착용자(또는, 사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에 보안 레벨이 증가된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를 인가하여 동일인임이 확인된 경우라도(a), 감지된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착용자가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사용자가 수면중입니다'와 같이 착용자의 상태를 알려주는 메시지(602)가 출력될 수 있다(b). 그리고, 기설정된 인증 방식(예, 지문 인증 방식) 대신에 다른 인증 방식(예, 패스워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603)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수면 중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상기 다른 인증 방식에는 사용자의 신체특징을 이용한 특징 기반의 인증 방식(예, 지문 인증 방식, 얼굴 인증 방식, 손 모양 인증 방식 등)은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착용자(또는, 사용자)의 각성 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착용자(또는, 사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이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정보에 방해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를 인가하여 동일인임이 확인되고, 그에 따라 도 6b의 (a)와 같이 지문 정보가 입력되더라도, 감지된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서버(50)로 전송되기 전에, 입력된 지문정보에 기설정된 '방해신호'를 합성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지문인증에 실패하였습니다'와 같은 메시지(604)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지문정보에 방해신호가 합성되면,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매칭 실패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80)는 수신된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상기 착용자가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벗어나는 정도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는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가 극심한 정도로서, 착용자가 극도의 흥분 상태, 긴장 상태, 분노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벗어난 상태가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도록 유지되거나, 또는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시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나 상기 외부서버(50)에 경고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착용자의 수면 및 심리상태 확인은 1차적 인증의 수행시부터 최종 사용자 인증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편의 측면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방식이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의 간단한 입력(예,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 음성명령, 기설정된 횟수의 터치입력)을 통해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 도 7은 제2 이동 단말기(300)에 대한 착용자 인증 수행 후,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이동단말기(300)에 대한 착용자 인증이 완료되고, 제2 이동단말기(300)가 착용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되면,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인증 방식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증 방식의 변경은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기기가 변경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a)와 같이 제2 이동 단말기(300)에 대한 착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 도 7의 (b)와 같이 제2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51)를 소정횟수 두드리는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도 7의 (c)와 같이, 지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02)이 터치입력이 감지된 제2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51)에 출력된다. 착용자가 제2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51)에 지문정보를 입력하면, 도 7의 (d)와 같이 입력된 지문정보가 제1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외부서버(50)에 제공된다.
한편, 제2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착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에도, 제시된 인증 방식에 대한 입력은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인증 정보의 입력시, 사용자는 제1 이동단말기(100)와 제2 이동단말기(200)의 이격된 정도에 따라, 양기기 모두를 이용하여 인증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기기만을 이용하여 인증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인증 정보의 입력시에 양기기 모두를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 본인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데는 유리하지만, 양기기간의 이격된 정도가 먼 경우(예, 단말을 가방에 집어넣은 경우)에도 양기기를 모두 이용해야한다면 불편을 초래한다.
이에,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제2 이동단말기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화면을 제공할 기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제1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된 제2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통신, 특히 저전력 무선통신(BLE)을 수행하여 양 기기간의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BLE 통신을 수행하면, 블루투스의 장점인 안정성 및 보안성은 유지하면서 저전력(예, 블루투스 통신 규격의 약 1~5%의 전력)으로 무선통신으로 양기기간의 이격거리를 비교적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전력 무선통신(BLE)은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제2 이동 단말기(300)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과는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이와 같은 저전력 무선통신(BLE)에 따라 본체(100)와 제2 이동 단말기(300)간의 이격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격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화면을 제공할 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된 이격거리가 기설정된 범위내이면, 상기 제어부(180)는,본체(100)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b)와 같이 반드시 제2 이동단말기(300)를 착용한 손으로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지문 인증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2)에 지문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때, 착용자가 제2 이동단말기(300)를 착용한 손으로 지문 정보를 입력했는지 여부는 입력된 손가락을 통해 감지되는 생체신호의 변화값을 분석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착용자가 제2 이동단말기(300)를 착용하지 않은 손으로 지문 정보를 입력하면 인증 처리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된 이격거리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80)는 본체(100)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300)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이 제공되도록 제어할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b")와 같이, 제2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51)를 통해서만 지문 정보가 입력되도록, 지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803)이 제2 이동 단말기(300)에만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이동 단말기(100)는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시각정보를 제2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해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이동 단말기(300)가 어느 누구에 의해서도 착용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9 및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이동단말기가 착용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가 실행되면, 제1 이동단말기(100)가 페어링된 제2 이동의 착용을 감지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제2 이동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러한 무선신호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이동단말기(300)로부터 응답신호가 없거나 또는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결과 상기 제2 이동단말기(300)가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2 이동단말기의 착용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시지는 소리, 진동, 안내음성과 같은 다른 형태의 알람으로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의 (a)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가 페어링된 제2 이동 단말기(300)에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제2 이동 단말기(300)의 미착용이 감지된 경우,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착용을 유도하는 메시지(902), 예를들어 'Watch를 착용해주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제2 이동 단말기(300)를 착용하면, 도 9의 (c)와 같이 착용자 인증 과정이 수행되고, 착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도 9의 (d)와 같이 제2 이동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51)에 지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904)이 출력된다.
한편, 다른 예에서는 사용자가 제2 이동 단말기(200)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도중에 사용자가 제2 이동 단말기(200)를 착용하거나 또는 착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전에 제2 이동 단말기(200)를 착용해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에 출력된 후에도, 제2 이동단말기(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2 이동단말기의 착용 또는 착용해제에 따른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변경에 근거하여, 기출력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에서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가 개시되고, 제2 이동 단말기(300)의 미착용이 감지되면, 도 10의 (b)에서와 같이 대응되는 인증 방식, 예를 들어 패스워드 인증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02)이 제1 이동 단말기(100)에만 출력된다.
이때,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02)에 패스워드의 입력이 완료되기 전에 사용자가 제2 이동 단말기(300)를 착용하게 되면 착용자 인증이 수행되어, 도 10의 (c)와 같이 착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 대응되는 시각정보(1003)가 출력된다. 그리고, 새로운 인증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04)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다. 그러면, 제2 이동 단말기(300)의 착용자는 도 10의 (d)와 같이, 상기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04)에 지문 정보를 입력하여서 사용자 인증이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단말기(300)의 착용 또는 착용해제에 따른 변경을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변경에 근거하여, 기출력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시각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단말기(300)가 도중에 착용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 이동단말기(100)가 아닌 제2 이동단말기(300)를 통해 인증 정보를 입력하려는 의도인 것으로 판단하여, 기출력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시각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타입으로 구현된 경우, 다른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 없이 단독으로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신체의 두부에 착용가능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 또는 목걸이형, 반지형 등의 이동 단말기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 단말기(100, 도 2a)의 착용을 감지할 수 있다(S1101). 예를 들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밴드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거나 밴드의 일 단에 구비된 파스터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여서, 이동 단말기(100) 본체의 착용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 본체의 착용이 감지되면, 이동 단말기 본체와 연결된 외부서버(50, 도 1)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의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본체의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S1103).
그리고, 감지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착용자의 각성 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한다(S1104). 이와 같은 판단은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이와 같은 판단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이나 상기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감지된 생체신호를 이동 단말기(100)에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고, 매칭 결과에 따라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생체신호가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에는 본인 인증에 대한 1차적 판단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사용자가 입력하기 편리한 인증 방식(예, 지문 인증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감지된 생체신호가 기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타인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 보안 레벨이 강화된 인증 방식(예, 패스워드 인증 방식과 OPT 인증 방식의 추가입력 등)으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감지된 생체신호의 분석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착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로 판단되면, 인증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기설정된 방해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생체신호의 분석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착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인증 방식을 다른 인증 방식으로 변경하거나,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을 추가적으로 요청하여, 보안 레벨을 질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한 단말기의 착용 및 본인 착용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인증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이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시, 단말기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착용자의 각성 여부 및 심리상태를 판단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협박 또는 강제에 의하여 정보입력을 수행한 경우 또는 수면중에 자신도 모르게 타인에 의하여 정보입력이 수행되는 경우로 판단되면 인증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의 보안이 질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된 외부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의 요청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와 페어링되고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이동단말기의 착용을 감지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를 통해 감지되는 착용자의 생체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대한 착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착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와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이나 상기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후 상기 제2 이동단말기의 착용 또는 착용해제에 따른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변경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하거나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시각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방식은,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의 지문 인증, 얼굴 인증, 음성 인증, 생체정보 인증, 서명 인증, 필체 인증, 패스워드 인증, 및 제스처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는 상기 생체신호의 분석 결과에 의하여 판단되는 착용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입력의 요청에 대응되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대한 착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나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나타나도록 상기 출력된 시각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가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터치가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생체신호 감지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생체신호 감지 기능의 활성화에 대응되는 화면변화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신호 감지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감지된 제1 생체신호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2 생체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동일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각성 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착용자가 각성 중이고 기설정된 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고, 매칭 여부에 따라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각성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착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이면, 기설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 이후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거나,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에 보안 레벨이 증가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각성 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착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이면, 기설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정보에 방해신호를 합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자가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가 임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나 상기 외부서버에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대한 착용자 인증이 완료되고 상기 제2 이동단말기가 착용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되는 인증 방식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생체신호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 대한 착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와 상기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매칭되지 않으면, 기설정된 인증 방식을 변경하거나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을 추가적으로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와 상기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변경된 인증 방식이나 다른 인증 방식과 관련된 시각정보가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는 전송되지 않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2 이동단말기와 저전력 무선통신(BLE)을 더 수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무선통신(BLE)에 따라 상기 본체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 간의 이격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이격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화면을 제공할 기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이격거리가 기설정된 범위내이면, 상기 본체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이격거리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본체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이 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결과 상기 제2 이동단말기가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2 이동단말기의 착용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삭제
  17. 신체의 특정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착용을 감지하고, 상기 본체와 연결된 외부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입력의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의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착용자의 각성 여부와 심리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인증의 인증 방식이나 상기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대한 처리가 달라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착용자가 각성 중이고 기설정된 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여 대응되는 알람을 출력하고, 매칭 여부에 따라 결정된 인증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착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정보입력에 기설정된 방해신호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착용자가 수면 중이거나 기설정된 비정상조건을 만족하는 심리상태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인증 방식을 변경하거나 다른 인증 방식에 대응되는 입력을 추가적으로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삭제
KR1020140037156A 2014-03-28 2014-03-28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80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156A KR102080747B1 (ko) 2014-03-28 2014-03-28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CT/KR2014/006832 WO2015147383A1 (en) 2014-03-28 2014-07-25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4/467,720 US9223956B2 (en) 2014-03-28 2014-08-25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156A KR102080747B1 (ko) 2014-03-28 2014-03-28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621A KR20150112621A (ko) 2015-10-07
KR102080747B1 true KR102080747B1 (ko) 2020-02-24

Family

ID=5419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156A KR102080747B1 (ko) 2014-03-28 2014-03-28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23956B2 (ko)
KR (1) KR102080747B1 (ko)
WO (1) WO2015147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1869B2 (en) * 2013-08-13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Identifying device associated with touch event
US10073578B2 (en) 2013-08-13 2018-09-1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detection
US10141929B2 (en) 2013-08-13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Proces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using machine learning
US9870138B2 (en) * 2013-09-04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859311B1 (ko) * 2014-02-24 2018-05-18 소니 주식회사 출력을 최적화하기 위한 스마트 착용형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US9826400B2 (en) * 2014-04-04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s a wearable identity manager
US20150304851A1 (en) * 2014-04-22 2015-10-22 Broadcom Corporation Portable authorization device
CN104050402A (zh) * 2014-06-12 2014-09-17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安全认证的方法、***与移动终端
KR102277097B1 (ko) * 2014-09-12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086405A1 (en) * 2014-09-19 2016-03-24 Beijing Lenovo Software Lt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electronic devices and wearable electroinc devices
US9876792B2 (en) * 2014-10-30 2018-01-23 Dell Products, Lp Apparatus and method for host abstracted networked authorization
US9674700B2 (en) * 2014-11-04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ing biometric authentication between devices in an ad hoc network
US10051111B2 (en) * 2014-11-20 2018-08-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parating sensitive data from mobile devices for theft prevention
CN104702792A (zh) * 2015-03-20 2015-06-1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终端屏幕的状态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10263982B2 (en) * 2015-03-31 201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60328576A1 (en) * 2015-05-08 2016-11-10 YC Wellness, Inc. Integration platform and application interfaces for remote data management and security
US9561866B2 (en) 2015-05-27 2017-02-07 The Boeing Company Wearable electronic display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a pilot
KR101657005B1 (ko) * 2015-06-11 2016-09-12 전문석 심전도 생체 인증 방법
US9639685B2 (en) * 2015-06-26 2017-05-02 Intel Corporation Authentication of gesture input through RFID scans
KR101696602B1 (ko) * 2015-08-11 2017-01-23 주식회사 슈프리마 제스처를 이용한 생체 인증
US9871546B2 (en) * 2015-09-11 2018-01-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earable terminal mountable on part of body of user
WO2017049598A1 (zh) * 2015-09-25 2017-03-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认证的方法及设备
US9646470B1 (en) * 2015-10-15 2017-05-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ircraft systems and methods with operator monitoring
US10011370B2 (en) * 2015-10-22 2018-07-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ircraft systems and methods with wearable device alerts
JP6060240B1 (ja) * 2015-10-27 2017-01-1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GB2544739A (en) 2015-11-24 2017-05-3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setup
KR102437106B1 (ko) * 2015-12-01 2022-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찰음을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
US10277595B2 (en) * 2015-12-11 2019-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ty recognition with living signatures from multiple devices
US11159509B2 (en) * 2015-12-21 2021-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s for extending log-in to multiple communication devices
KR102447501B1 (ko) * 2015-12-24 2022-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262123B2 (en) * 2015-12-30 2019-04-16 Motorola Mobility Llc Multimodal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photoplethysmography (PPG) bulk absorption biometric
WO2017144768A1 (en) * 2016-02-26 2017-08-31 Nokia Technologies Oy Behavioural biometric authentication
US10015567B2 (en) * 2016-03-22 2018-07-03 Michel Y. Roy Mobile health system
US10127366B2 (en) * 2016-04-04 2018-11-13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aired device authentication
US10977352B2 (en) * 2016-04-05 2021-04-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accessing target application, and terminal
JP6618416B2 (ja) 2016-04-18 2019-12-1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セキュリティ制御方法及びセキュリティ制御プログラム
JP6095191B1 (ja) 2016-07-15 2017-03-15 ブレイニー株式会社 仮想現実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0188346B2 (en) 2016-10-27 2019-01-29 Focal Wellness, Inc. Cubital tunnel infomatic monitor
US9808208B1 (en) * 2016-10-27 2017-11-07 Focal Wellness, Inc. Carpal tunnel infomatic monitor
US10667134B2 (en) * 2016-11-21 2020-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share credential management on multiple devices
CN107066079A (zh) 2016-11-29 2017-08-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虚拟现实场景的业务实现方法及装置
CN106406809B (zh) * 2016-12-21 2023-06-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声音信号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20180225435A1 (en) * 2017-02-08 2018-08-09 All Now Corp Portable device with biometric activation
US10758801B1 (en) 2017-02-11 2020-09-01 Focal Wellnes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per kicking technique
US10874347B1 (en) 2017-03-02 2020-12-29 Focal Wellness, Inc. Multiple plane sensors
CN106951800B (zh) * 2017-03-23 2020-04-21 亳州学院 一种应用程序加密的方法及移动终端
CN107329780B (zh) * 2017-06-21 2021-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相关产品
US10958639B2 (en) * 2018-02-27 2021-03-2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secure information systems using multi-factor, hardware based and/or advanced biometric authentication
US20190268331A1 (en) * 2018-02-27 2019-08-2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Secure Information Systems Using Multi-Factor, Hardware Based and/or Advanced Biometric Authentication
KR102510543B1 (ko) * 2018-04-26 2023-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GB2579567A (en) * 2018-12-03 2020-07-01 Arm Ip Ltd Biometri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WO2020236553A1 (en) * 2019-05-17 2020-11-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iometric identification through intra-body communication
US11394706B2 (en) * 2019-09-03 2022-07-19 Seagate Technology Llc Password-less login
GB2588958B (en) * 2019-11-15 2023-02-08 Prevayl Innovations Ltd Method of authenticating the identity of a user wearing a wearable device
JP7434987B2 (ja) * 2020-02-12 2024-02-2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66697B1 (ko) * 2020-02-28 2020-10-16 (주)파워엔지니어링 머리 착용형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10294881A1 (en) * 2020-03-23 2021-09-23 Capital One Services, Llc WEARABLE DEVICES AND RELATED SYSTEMS FOR AUTHENTICATING A USER WITH SURFACE ELECTROMYOGRAM (sEMG)-SIGNALS
KR102316881B1 (ko) * 2020-03-26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R3108750A1 (fr) * 2020-03-27 2021-10-01 Orange Procédé et dispositif de fourniture à un terminal d’un premier utilisateur d’une signature biométrique d’un deuxième utilisateur.
GB2604597B (en) * 2021-03-05 2023-04-19 British Telecomm Authentication mechanism
CN113180617A (zh) * 2021-04-20 2021-07-30 歌尔股份有限公司 健康数据的共享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010577A1 (en) * 2021-07-06 2023-01-12 Capital One Services, Llc Computer-Based System for Locking User Account Access
WO2023054839A1 (ko) * 2021-09-28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상황에 기반하여 서비스의 인증 방식을 적응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20240054196A1 (en) * 2022-08-11 2024-02-15 Cisco Technology, Inc. Transparent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fac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6188A1 (en) 2005-06-14 2012-04-19 Cohen Alexander L Device pairing via intermediary device
US20140068744A1 (en) 2012-09-06 2014-03-06 Plantronics, Inc. Surrogate Secure Pairing of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101B1 (ko) * 2011-09-09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140266624A1 (en) * 2013-03-15 2014-09-18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Authent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6188A1 (en) 2005-06-14 2012-04-19 Cohen Alexander L Device pairing via intermediary device
US20140068744A1 (en) 2012-09-06 2014-03-06 Plantronics, Inc. Surrogate Secure Pairing of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78498A1 (en) 2015-10-01
US9223956B2 (en) 2015-12-29
WO2015147383A1 (en) 2015-10-01
KR20150112621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74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3558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EP2953106B1 (en) Handling vehicle accidents using a mobile terminal
KR102204553B1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5373219B (zh) 可穿戴装置及其操作方法
US9789878B2 (en) Driver rest recommendation
US997448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462633B2 (en) Mobile terminal operation controlled by proximity sensors and heart rate monitor
EP3001714B1 (en) System for releasing a lock state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wearable device
EP3101577B1 (en) Watch 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90083034A1 (en) Watch-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6033815A (ja) 指輪型移動端末機
US20180220923A1 (en) Watch-type terminal
US1018275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70119262A1 (en) Mobile terminal
US20180249056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60320839A1 (en) Wearable terminal and system including same
KR2016001278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3403A (ko) 스마트 워치 및 그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1600861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3307A (ko) 근력 증진을 위한 모바일 피트니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312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700256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6839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4589A (ko)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