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564B1 - 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 Google Patents

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564B1
KR102080564B1 KR1020180117517A KR20180117517A KR102080564B1 KR 102080564 B1 KR102080564 B1 KR 102080564B1 KR 1020180117517 A KR1020180117517 A KR 1020180117517A KR 20180117517 A KR20180117517 A KR 20180117517A KR 102080564 B1 KR102080564 B1 KR 102080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verized coal
deflectors
nozzle tip
guide plate
d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화
김익수
오경택
조상필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5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5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1/00Burners adapted for particulate solid or pulverulent fuels
    • F23D2201/10Nozzle t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1/00Burners adapted for particulate solid or pulverulent fuels
    • F23D2201/20Fuel flow gui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disclosed is a nozzle tip of a pulverized coal burner equipped with a def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direction of pulverized coal and an air mixture is directed toward a flame stabilizer,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pulverized coal at the flame stabilizer side is increased. The pulverized coal is distributed toward the flame stabilizer, and a flame is pulled toward fuel observation through a vortex toward the fuel observation side of the flame stabilizer. As an ignition point moves to the fuel observation, oxygen is consumed early, and the amount of oxygen decreases compared to a conventional one during combustion near a combustion chamber, thereby reducing the discharge amount of NOx due to combustion.

Description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본 발명은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플렉터(deflector)가 장착된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tip of a pulverized coal bur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zzle tip of a pulverized coal burner equipped with a deflector.

일반적으로 접선 연소방식이 채택된 보일러에서 석탄 버너의 노즐 팁은 연소실 내부의 모서리에 배치된다. In general, in tangential combustion boilers, the nozzle tip of the coal burner is located at the corner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또한, 석탄 버너의 노즐 팁은 보일러를 가동할 때에 방향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 팁의 상, 하 방향 가변은 연소실 내부의 화염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연소실의 중심부를 벗어나 화염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가변되어 연료인 석탄이 공급되는 방향을 가변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nozzle tip of the coal burner may vary in direction when operating the boiler. For example,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nozzle tip may control the flame temperature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and may be chang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of the flame out of the center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fuel coal is supplied. It may be.

종래의 노즐 팁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nozzle ti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은 종래의 노즐 팁이 연료관의 단부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노즐 팁에 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nozzle tip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uel pip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tip of FIG.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료관(10)의 단부에는 노즐 팁(20)이 설치되고, 상기 노즐 팁(20)의 일측에는 드라이버 홀(14, 16)이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버 홀에는 액추에이터가 연결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노즐 팁이 굴절 축(12)을 중심으로 상, 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 a nozzle tip 20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fuel pipe 10, and driver holes 14 and 16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nozzle tip 20 so that an actuator is provided in the driver hole. The nozzle tip can be moved up and down about the refraction axis 12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석탄 버너의 연소실에는 노즐 팁이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노즐 팁 중에서 일부의 노즐 팁만 운용되고 나머지 노즐 팁은 예비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A plurality of nozzle tips may be arrange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coal burner, and only some nozzle tips of the plurality of nozzle tips may be operated, and the remaining nozzle tips may be used as a spare.

상기 노즐 팁(20)은 연소실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벽체가 이중으로 구성되며, 내측공간에는 석탄이 공급되고, 바깥쪽(내측과 외측 사이의 공간)에는 연소용 공기의 일부가 공급된다.Since the nozzle tip 20 is directly exposed to the combustion chamber, a wall is doubled to improve durability, coal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and a portion of the combustion air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e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ides). Supplied.

도 2를 참고하여 종래의 노즐 팁(2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노즐 팁은 내측관체(30)의 외측에 외측관체(40)가 배치되고, 내측관체(30)의 안쪽에는 가이드 플레이트(50)가 배치되며, 내측관체(30)의 내측면 한쪽에는 화염안정기(60)가 배치된다. 상기 내측관체(30)와 외측관체(40)의 사이에는 간격부재가 배치되어 공간부가 형성된다.Looking at the nozzle tip 20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nozzle tip is the outer tube 40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tube 30, the inner side of the inner tube 30 guide plate 50 Is disposed, the flame stabilizer 6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inner tube (30). A space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tube body 30 and the outer tube body 40 to form a space part.

또한, 상기 내측관체(30)의 한쪽은 연료관(10)의 단부에 굴절 축(12)으로 연결되어 연료관에서 노즐 팁의 방향이 굴절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inner tube 3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uel pipe 10 by the refraction axis 12 is assembl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nozzle tip in the fuel pipe can be refracted.

상기 내측관체(30)와 외측관체(40)는 각각 4개의 내측패널에 각 모서리가 용접되어 사각형 형상의 관체를 이룬다. The inner tubular body 30 and the outer tubular body 40 each have four corners welded to each inner panel to form a rectangular tubular body.

상기 화염안정기(60)는 공기 및 미분탄(Pulverized Coal)을 와류시켜 화염(Flame)을 노즐 팁(20) 측으로 당겨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화염안정기(60)의 일측면은 상기 내측관체(30)의 내측면(32)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관체(30)의 상측과 하측 전단부에 각각 고정결합된다.The flame stabilizer 60 vortexes air and pulverized coal to pull the flame to the nozzle tip 20 side. In addition, one side surface of the flame stabilizer 60 is welded to the inner surface 32 of the inner tube body 30 is fixed, and specifically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hear portions of the inner tube body 30, respectively.

하지만, 종래의 노즐 팁(20)을 통해 미분탄이 연소실로 공급이 될 때, 상기 미분탄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0)를 따라 유동되나 상기 노즐 팁(20)의 일 부분으로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 미분탄이 화염안정기 주변에 골고루 분포되지 않았다. However, when pulverized coal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conventional nozzle tip 20, the pulverized coal flows along the guide plate 50, but the coal dust is driven to a part of the nozzle tip 20. It is not evenly distributed around the ballast.

이에 따라, 화염안정기(60)에 의한 연료관측 안쪽으로의 착화가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노즐 팁 내 산소소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연소실 부근에서의 충분한 산소량으로 질소산화물(NOx)의 감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가 존재했다.As a result, the ignition to the inside of the fuel observation by the flame stabilizer 60 did not proceed efficiently, so that the oxygen consumption in the nozzle tip was not made smoothly, and the reduction of the nitrogen oxides (NOx) with the sufficient amount of oxygen near the combustion chamber was effective. There was an unfulfilled proble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1181호 (2012.01.04)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01181 (2012.01.04)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디플렉터(deflector)를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내부에 장착함으로써 화염안정기 측으로 연료를 균일하게 분포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distribute fuel uniformly to the flame stabilizer by mounting a deflector inside the nozzl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분탄이 유입되어 이동하는 제1 통로를 갖는 내측관체와, 상기 내측관체의 외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외측관체와, 상기 제1 통로를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관체 내부의 상, 하측 각각에 배치되는 화염안정기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 통로의 내부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디플렉터를 포함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inner tube having a first passage in which pulverized coal is introduced and moved, an outer tu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and the first passage Pulverized coal burner including at least one guide plate for partitioning, a flame stabilizer dispos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tube, and a plurality of deflector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assage partitioned by the guide plate. To provide a nozzle ti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eflector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eflectors may be arrang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uide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 중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디플렉터는, 상기 제1 통로 내에서 미분탄이 유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화염안정기에 가까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deflector of the plurality of deflectors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uide plate, may be arranged to approach the flame ballas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lverized coal flows in the first passag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 중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디플렉터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40도 이상 6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lector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uide plate among the plurality of deflectors may form an angle of 40 degrees or more and 65 degrees or less with the guide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디플렉터는 서로 대칭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deflector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deflectors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는 각각 마주보는 상기 내측관체의 내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lurality of deflectors may be formed convexly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facing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플렉터를 형성하는 각 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urface forming the deflector may be formed in a pla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제2면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제1 통로 내에서 미분탄이 유동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제3면 및 제4면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lector connects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guide plate, the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respectively, and connects the first surface. It may include a third surface and a fourth surface inclin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lverized coal flows in the pass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면과 제4면은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may be formed symmetric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면은 상기 제3면보다 상기 제1 통로로 미분탄이 유입되는 측에 더 가깝게 형성되며,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면과 제4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urface is formed closer to the side where the pulverized coal flows into the first passage than the third surface, and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is the second surface. I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angle formed by the fourth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면은 상기 제3면 및 제4면과 각각 120도 이상 15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rface may form an angle of 120 degrees or more and 150 degrees or less with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플렉터를 형성하는 각 면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each surface forming the deflector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마주보며 상기 내측관체의 내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deflector may include a first surface facing the guide plate and a second surface made of a curved surface convex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facing the first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rface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of the first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면에서 최정점은 상기 제1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로로 미분탄이 유입되는 측에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ex at the second surface may be formed closer to the side where the pulverized coal flows into the first passag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first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복수 개가 상기 제1 통로에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 중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디플렉터는 상하대칭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uide plates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irst passage, and a deflecto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among the plurality of deflectors may be vertically symmetric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 통로의 내부공간을 각각 균등하게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eflectors may be arranged to equally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passage partitioned by the guide plat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에서 연소실 인접부근 화염안정기 측으로 연료를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venly distribute the fuel from the nozzl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to the flame ballast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그에 따라, 화염안정기의 연료관측 방면으로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의 와류에 의해 화염이 연료관측으로 당겨져 착화지점을 연료관측으로 보다 당길 수 있다.Accordingly, the flame is pulled toward the fuel side by the vortex of the pulverized coal and the air mixture toward the fuel side of the flame stabilizer, and the ignition point can be pulled to the fuel side.

나아가, 착화지점 당김으로 인해 산소소모를 조기에 이루어 연소실 인접부근에서 산소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연소시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Furthermore, by pulling the ignition point, oxygen consumption can be made early,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oxygen in the vicinity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reby reducing NOx emissions during combus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he effects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발명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발명의 노즐 팁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서 디플렉터를 제외한 모든부분을 점선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노즐 팁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일러를 가동했을 때의 노즐 팁 정면에서의 미분탄 농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일러를 가동했을 때의 노즐 팁 측면에서의 미분탄 농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nozzle tip of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dotted lines of all parts except the deflector in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tip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ulverized coal concentration at the nozzle tip front when the boiler is opera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pulverized coal concentration at the nozzle tip side when the boiler is opera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zzl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3.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mponents set forth in the claim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종래의 노즐 팁(20)의 경우 내부에 가이드 플레이트(50) 외에 미분탄의 공급방향을 조절하는 장치가 없었다. 그에 따라 종래의 노즐 팁(20)을 통해 미분탄이 연소실로 공급이 될 때, 상기 미분탄이 노즐 팁(20)의 정가운데로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 미분탄이 화염안정기(60) 주변에 골고루 분포되지 않았다. 그럼으로써 화염안정기(60)에 의한 연료관(10)측 안쪽으로의 착화가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노즐 팁(20) 내 산소소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연소실 부근에서의 충분한 산소량으로 질소산화물(NOx)의 감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가 존재했다. In the conventional nozzle tip 20, there was no device for adjusting the supply direction of pulverized coal in addition to the guide plate 50 therein. Accordingly, when the pulverized coal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conventional nozzle tip 20, the pulverized coal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nozzle tip 20, so the pulverized coal is not evenly distributed around the flame stabilizer 60. As a result, the ignition into the fuel pipe 10 side by the flame stabilizer 60 did not proceed efficiently, so that the oxygen consumption in the nozzle tip 20 was not made smooth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duction of NOx) was not effective.

이하,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들을 바탕으로 서술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디플렉터(deflector)에 대한 도면번호는 500으로 정하고, 디플렉터 500은 디플렉터 500a 내지 500m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such a problem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In addi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reference numeral for the deflector (def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500, the deflector 500 includes the deflector 500a to 500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2000)은 개략적으로 내측관체(100), 외측관체(200), 가이드 플레이트(300), 화염안정기(400) 그리고 디플렉터(500)를 포함한다.The nozzle tip 2000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tube 100, an outer tube 200, a guide plate 300, a flame stabilizer 400, and a deflector 500. .

상기 내측관체(100)와 내측관체(100)의 외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외측관체(200)가 이중으로 벽체를 구성하고, 내측관체(100)와 외측관체(200)의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상호 간 이격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The inner tube 100 and the outer tube 200 spaced apart from the inner tube body 100 are formed to double the wall, a spacer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tube 100 and the outer tube 200 It is possible to maintai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내측관체(100)와 외측관체(200)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모든 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내측관체(100)가 복수개의 내측패널이 용적되어 사각형 관체를 이루고, 상기 외측관체(200)는 복수개의 외측패널이 용적되어 사각형 관체를 이룬다.The inner tube 100 and the outer tube 2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ll the tubes formed with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mov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tube 100 is a plurality of inner panels The volume forms a rectangular tube, and the outer tube 200 has a plurality of outer panels to form a rectangular tube.

이하, 내측관체(100)로 미분탄이 유입되는 측을 연료관(1000)측, 미분탄이 유입되어 내측관체(100)에서 배출되는 측을 연소실측으로 정하여 서술한다.Hereinafter, the side into which the pulverized coal flows into the inner side pipe | tube 100 is made into the fuel pipe 1000 side, and the side from which the pulverized coal flows in and is discharged from the inner side pipe | tube 100 is described as a combustion chamber side.

상기 내측관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통로(120)를 통해 미분탄이 유입되어 배출되며, 배출된 미분탄이 원활하게 연소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내측관체(100)와 외측관체(2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통로(220)를 통해 화염 방향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Pulverized coal is introduced into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passageway 120 formed in the inner tube body 100, and between the inner tube body 100 and the outer tube body 200 to help the discharged pulverized coal to be smoothly burned. Air may be supplied in the flame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passage 220 formed in the flame.

굴절 축(112)은 내측관체(100)의 외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연소실 내의 온도 상황에 따라 미분탄 배출방향을 상하로 전환되도록 하여 연소실 내의 화염을 조절할 수 있다.The refraction shaft 112 may be installed at on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100 and may adjust the flame in the combustion chamber by switching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direction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itua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가이드 플레이트(300)는 내측관체(100)를 통하여 배출되는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의 유동흐름을 고르게 하고, 또한 노즐 팁(2000)의 미분탄 배출 방향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전환되는 경우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이 상기 제1 통로(12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guide plate 300 evens the flow flow of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tube 100, and when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tip 2000 is chang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is It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first passage 120 is pulled to the upper side or lower side.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는 상기 내측관체(10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제1 통로(120)를 복수의 내부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The guide plate 300 may be installed at least one inside the inner tube 100 to partition the first passage 120 into a plurality of internal spaces.

화염안정기(400)는 미분탄과 산화제의 활발한 혼합 및 advanced ignition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제1 통로(120)를 통해 미분탄이 배출되는 연소실측에 인접한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염안정기(400)는 공기 및 미분탄을 와류시켜 화염을 연료관(1000)측으로 당겨주는 작용을 한다.The flame stabilizer 400 is installed for active mixing and advanced ignition of pulverized coal and oxidant, and may be installed at an en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side through which the pulverized coal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passage 120. In addition, the flame stabilizer 400 acts to vortex air and pulverized coal to pull the flame toward the fuel pipe (1000).

상기 화염안정기(400)는 상기 내측관체(100) 내부의 상, 하측에 각각 배치되되,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염안정기(400)에서 상기 제1 통로(120)를 따라 유동되는 미분탄과 충돌하는 측, 즉 연료관(1000) 측에는 경사면(4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420)은 미분탄이 화염안정기(400)의 연료관(1000)측에서 수직으로 충돌하지 않고 비스듬히 충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럼으로써 화염안정기(400)의 부서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flame stabilizer 400 is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inner tube body 100,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flame stabilizers 400 may be arranged in a line. In this case, an inclined surface 42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flame stabilizer 400 colliding with the pulverized coal flowing along the first passage 120, that is, the fuel pipe 1000, and the inclined surface 420 is pulverized coal. The fuel ball 1000 of the flame ballast 400 is allowed to collide at an angle without colliding verticall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me ballast 400 from being broken.

디플렉터(500)는 가이드 플레이트(30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 통로(120)의 내부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디플렉터(500)가 상기 제1 통로(120) 내에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 개의 디플렉터(500)가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아래의 각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The deflectors 500 ar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s of the first passage 120 partitioned by the guide plates 300, and the plurality of deflectors 500 are guide plates 300 in the first passage 120. It can be arranged along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urality of deflectors 500 may be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uide plate 30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each embodiment below.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플렉터(50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 통로(120)의 내부공간을 각각 균등하게 분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균등의 의미는 디플렉터(500)에 의해 공간이 나뉘었을 때 양 공간의 부피가 유사함을 의미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flector 500 may be arranged to equally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passage 120 partitioned by the guide plate 300. The equal meaning means that the volume of both spaces is similar when the space is divided by the deflector 500.

상기 디플렉터(500)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내부공간 내 임의의 위치이나,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디플렉터(500)와 내측관체(100) 및 가이드 플레이트(300) 사이에 적절한 거리를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각 내부공간에는 디플렉터(500)가 1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2개 혹은 3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각 내부공간에 복수 개의 디플렉터가 설치되는 경우 배치 구조 및 순서는 다양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상기 흐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디플렉터가 설치될 수 있다.The position where the deflector 500 is installed may be any position within the internal space, but an appropriate distance between the deflector 500 and the inner tube 100 and the guide plate 300 for smooth movement of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It would be desirable to. In addition, not only one deflector 500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internal spaces, but also two or three or more deflectors 500 may be installed in some cases. Furthermore, when a plurality of deflectors are installed in each of the internal spaces, the arrangement structure and order may vary, but in general, the plurality of deflectors are sequentially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low for smooth flow of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Can be.

상기 디플렉터(500)는 가이드 플레이트(30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 통로(120)의 내부공간들에 설치되되, 상기 내측관체(10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접 등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디플렉터(500)를 상기 내측관체(100)의 내부에 융착시킬 수도 있겠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200)의 조립 혹은 해체를 보다 쉽게하기 위하여 상기 디플렉터(500)를 상기 내측관체(10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탈착구조는 볼트체결 방식뿐만 아니라, 내측관체(100) 및 디플렉터(500)에 슬라이딩 레일을 설치한 슬라이딩 방식 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The deflector 50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s of the first passage 120 defined by the guide plate 300,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tube 100. In general, the deflector 500 may be fus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tube body 100 in a manner such as welding, but in some cases, the deflector may be easier to assemble or dismantle the nozzle tip 200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5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tube (100). The detachable structur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sliding method in which a sliding rail is installed on the inner tube body 100 and the deflector 500 as well as the bolt fastening method.

상기 디플렉터(500)는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을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2000) 내 화염안정기(400)측으로 쏠리게 만들고 상기 노즐 팁(2000) 정면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퍼지도록 만든다. 그럼으로써, 미분탄의 분포를 상기 화염안정기(400)측에서 보다 균일하게 만들어 착화지점을 연료관(1000)측으로 당길 수 있다. 이는, 화염안정기(400)에서 연료관(1000)측을 바라보는 방면에서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의 와류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화염안정기(400)측에서의 미분탄 분포농도는 도 12의 (b)에서 빨간부분으로 나타내고 있다.The deflector 500 causes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to be directed toward the flame stabilizer 400 in the nozzle tip 2000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and spread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nozzle tip 2000.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of pulverized coal can be made more uniform on the flame stabilizer 400 side, and the ignition point can be pulled toward the fuel pipe 1000 side. This is because the pulverization of the pulverized coal and the air mixture is generated from the flame ballast 400 facing the fuel pipe 1000 side. The pulverized coal distribution concentration at the flame stabilizer 400 side is indicated by a red portio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각 실시예들은 상기 디플렉터(500)의 형상 및 배치구조만 상이할 뿐 상기에서 살펴본 나머지 구조는 모두 동일한 바,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embodiment is different only in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deflector 500, the rest of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re all the same bar, only to focus on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플렉터(500a, 500b)를 살펴보도록 한다. First, the deflectors 500a and 500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통로(120)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 통로(120)의 2개의 내부공간(120a, 120b)에 2개의 디플렉터(500a, 500b)가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2개의 디플렉터(500a, 500b)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의 양측에서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2개의 디플렉터(500a, 500b)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설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plate 300 is composed of one plate an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passage 120, and the two guide plates 300 are divided by the guide plate 300. Two deflectors 500a and 500b are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s 120a and 120b, respectively. That is, the two deflectors 500a and 500b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plate 300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300. In this case, the two deflectors 500a and 500b are symmetrical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guide plate 30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플렉터(500a, 500b)는 각각 마주보는 상기 내측관체(100)의 내면을 향해 볼록한 형상의 입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체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플렉터(500a, 500b)의 단면은 모든 모서리가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면은 디플렉터(500a, 500b)를 가로지르는 모든 경우의 수들에 대한 단면으로써, 단순히 디플렉터(500a, 500b)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 단면 혹은 세로 단면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flectors 500a and 500b may each have a three-dimensional convex structure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100 facing each other, and each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may have a flat surface. That is, the cross sections of the deflectors 500a and 500b may have straight edges. In this case, the cross section is a cross section for all cases crossing the deflectors 500a and 500b, and is not limited to a horizontal cross section or a vertical cross s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s of the deflectors 500a and 500b.

구체적으로, 상기 디플렉터(500a, 500b) 각각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마주보는 제1면(501a), 상기 내측관체(100)의 내면과 마주보는 제2면(502a), 상기 제1면(501a)과 제2면(502a)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제1 통로(120) 내 미분탄의 유동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제3면(503a) 및 제4면(504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면(501a)과 제2면(502a)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면(503a) 및 제4면(504d)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detail, each of the deflectors 500a and 500b has a first surface 501a facing the guide plate 300, a second surface 502a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100, and the first surface. And a third surface 503a and a fourth surface 504a which connect the 501a and the second surface 502a to be inclin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pulverized coal in the first passage 120. In this case, the first surface 501a and the second surface 502a may be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guide plate 300, and the third surface 503a and the fourth surface 504d may be symmetric with each other. It may be made to have the same slope.

이는, 미분탄의 흐름을 노즐 팁(2000)의 정중앙으로부터 가급적 멀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is is to keep the flow of pulverized coal as far from the center of the nozzle tip 2000 as possibl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면(502a)이 제3면(503a) 및 제4면(504a)과 각각 이루는 각도는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미분탄이 균일하게 분포되기 위한 효과를 고려하여 120도 이상 150도 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surface 502a with the third surface 503a and the fourth surface 504a may vary according to embodiments, but in consideration of an effect for uniformly dispersing pulverized coal, 120 degrees or more and 150 degrees.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following ranges.

또한, 상기 디플렉터(500a, 500b)가 일정 두께를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면(501a)과 제3면(503a) 및 제4면(504a)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flectors 500a and 500b may further include side surfaces for connecting the first surface 501a, the third surface 503a, and the fourth surface 504a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플렉터(500c, 500d)를 살펴보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디플렉터(500c, 500d)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살펴본 디플렉터(500a, 500b)에서 무게중심을 연료관(1000)측으로 이동시킨 것이다. 무게중심이 연료관(1000)측으로 이동되었다는 의미는, 도 6에 도시된 좌우대칭 디플렉터(500a, 500b)의 형상이 연료관(1000)측으로 편향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무게중심이 연료관(1000)측으로 이동된 디플렉터(500c, 500d)의 경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재질의 디플렉터(500c, 500d)를 전제로 한 것이므로, 오직 형상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을 고려한 것이고 복수의 재질사용에 따른 무게중심이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다.Next, referring to FIG. 7, the deflectors 500c and 500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eflectors 500c and 500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 the deflectors 500a and 500b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n 500b), the center of gravity is moved toward the fuel pipe 1000. The fact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moved toward the fuel pipe 1000 means that the shapes of the left and right symmetric deflectors 500a and 500b shown in FIG. 6 are deflected toward the fuel pipe 1000. In addition, since the deflectors 500c and 500d whose center of gravity are moved to the fuel pipe 1000 side are based on the deflectors 500c and 500d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center of gravity shifting according to the shape is considered. The center of gravity movement according to the use of a plurality of materials is not includ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디플렉터(500c, 500d)는 도 6에 도시된 디플렉터(500a, 500b)와 마찬가지로 제1면(501c), 제2면(502c), 제3면(503c) 및 제4면(504c)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상기 제3면(503c)과 제4면(504c)이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제4면(504c)의 경사가 제3면(503c)의 경사보다 가파르게 형성되고 있다. 즉, 상기 제2면(502c)과 제3면(503c)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2면(502c)과 제4면(504c)이 이루는 각도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면(502c)이 제1면(501c)의 가운데에 형성되지 않으며 연료관(1000)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deflectors 500c and 500d illustrated in FIG. 7 are similar to the deflectors 500a and 500b illustrated in FIG. 6, and may include the first surface 501c, the second surface 502c, the third surface 503c, and the first surface 503c. Four sides 504c are included. However, the third surface 503c and the fourth surface 504c are not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nd the inclination of the fourth surface 504c is steep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third surface 503c. That is,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surface 502c and the third surface 503c is greater than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surface 502c and the fourth surface 504c. Accordingly, the second surface 502c is no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urface 501c and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fuel pipe 1000.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플렉터(500e, 500f)를 살펴보도록 한다. Next, the deflectors 500e and 500f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플렉터(500e, 500f)는 각각 마주보는 상기 내측관체(100)의 내면을 향해 볼록한 형상의 입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제1 실시예와 상이하게 입체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면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플렉터(500e, 500f)의 단면은 모든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가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곡선은 일반적인 유선 혹은 곡선을 기본으로 하여 복수 개의 변곡점을 갖는 곡선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eflectors 500e and 500f may each hav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nvex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100 facing each other, but each surface form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differently from the firs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may be made of a curved surface. That is, the cross sections of the deflectors 500e and 500f may have at least one of the corners curved. The curve includes a curve having a plurality of inflection points based on a general streamline or curve.

구체적으로, 상기 디플렉터(500e, 500f) 각각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마주보는 제1면(501e) 및 상기 내측관체(100)의 내면과 마주보는 제2면(502e)을 포함하되, 상기 제2면(502e)은 상기 내측관체(100)의 내면을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상기 제1면(501e)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면(502e)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each of the deflectors 500e and 500f includes a first surface 501e facing the guide plate 300 and a second surface 502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100. The second surface 502e is made of a curved surface that is convex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100. In this case, the first surface 501e may be form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guide plate 300, and the second surface 502e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또한, 상기 디플렉터(500e, 500f)가 일정 두께를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면(501e)과 제2면(502e)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flectors 500e and 500f may further include side surfaces for connecting the first surface 501e and the second surface 502e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또한,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플렉터(500g, 500h)를 살펴보면, 제4 실시예에 따른 디플렉터(500g, 500h)는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살펴본 디플렉터(500e, 500f)에서 무게중심을 연료관(1000)측으로 이동시킨 것이다. 무게중심이 연료관(1000)측으로 이동되었다는 의미는, 도 8에 도시된 좌우대칭 디플렉터(500e, 500f)의 형상이 연료관(1000)측으로 편향되었음을 의미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the deflectors 500g and 500h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eflectors 500g and 500h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 the deflectors 500e and 500f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In the center of gravity is moved to the fuel pipe (1000) side. The fact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moved toward the fuel pipe 1000 means that the shapes of the left and right symmetric deflectors 500e and 500f shown in FIG. 8 are deflected toward the fuel pipe 1000.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디플렉터(500g, 500h)는 도 8에 도시된 디플렉터(500e, 500f)와 마찬가지로 제1면(501g) 및 제2면(502g)을 포함하며, 상기 제2면(502g)은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상기 제2면(502g)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지 않으며, 연료관(1000)측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곡면(502g)은 이와 마주보는 상기 내측관체(100)의 내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되, 볼록한 부분이 연료관(1000)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Specifically, the deflectors 500g and 500h illustrated in FIG. 9 include the first surface 501g and the second surface 502g, similar to the deflectors 500e and 500f illustrated in FIG. 8, and the second surface ( 502g) is made of curved surfaces. However, the second surface 502g is not formed to be symmetrical, and is formed to be deflected toward the fuel pipe 1000. That is, the second curved surface 502g is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100 facing the same, and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fuel pipe 1000 side.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디플렉터(500i, 500j)를 살펴보도록 한다. Next, the deflectors 500i and 500j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본 실시예에 따른 디플렉터(500i, 500j)는 상기에서 살펴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디플렉터(500c, 500d)와 형상이 동일하며, 다만 배치구조에 차이점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 복수의 디플렉터가 모두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과 상이하게, 복수의 디플렉터 중 적어도 하나가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2개의 디플렉터(500i, 500j) 중 상측에 배치되는 디플렉터(500i)가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하측에 배치되는 디플렉터(500j)는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2개의 디플렉터(500i, 500j)가 가이드 플레이트(300)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지 않는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디플렉터(500i, 500j) 모두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deflectors 500i and 500j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e the same shape as the deflectors 500c and 500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rrangement structure. Unlike the plurality of deflectors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ll of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plate 300,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eflectors may be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uide plate 3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flector 500i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wo deflectors 500i and 500j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uide plate 300, and the deflector 500j disposed on the lower side is the guide plate 300. Installed side by side). That is, the two deflectors 500i and 500j are not symmetrical about the guide plate 3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wo deflectors 500i and 500j may be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uide plate 300.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상측 디플렉터(500i)는 도 7에 도시된 디플렉터(500c, 500d)와 마찬가지로 제1면(501i), 제2면(502i), 제3면(503i) 및 제4면(504i)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제1면(501i)은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고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면(501i)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면(502i)도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면(501i)이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이루는 각도는 40도 이상 65도 이하의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pper deflector 500i illustrated in FIG. 10 is the first surface 501i, the second surface 502i, the third surface 503i and the fourth surface similarly to the deflectors 500c and 500d illustrated in FIG. 7. Face 504i. However, the first surface 501i is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out being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plate 300. Accordingly, the second surface 502i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first surface 501i also forms an angle with the guide plate 300. In this case, an angle between the first surface 501i and the guide plate 300 may be in a range of 40 degrees to 65 degrees.

상기 제1면(501i)은 연료관(1000)측이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가깝고 연소실측이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멀어지도록, 즉 미분탄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화염안정기(400)에 가까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의 이동방향을 화염안정기(400)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The first surface 501i is such that the fuel pipe 1000 side is close to the guide plate 300 and the combustion chamber side is far from the guide plate 300, that is, the flame ballast 400 is clos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pulverized coal. Can be arranged. Accordingl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ulverized coal and the air mixtur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me ballast 400.

마지막으로,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디플렉터(500k, 500l, 500m)를 살펴보도록 한다. Finally, the deflectors 500k, 500l, and 500m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는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통로(120)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있으며, 상기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30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 통로(120)의 3개의 내부공간(120c, 120d, 120e)에 3개의 디플렉터(500k, 500l, 500m)가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3개의 디플렉터(500k, 500l, 500m)는 상기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300) 외측과 사이에서 이와 나란하게 배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plate 300 is composed of two plates and is disposed side by side in the first passage 120, and the guide plate 300 is divided by the two guide plates 300 of the first passage 120. Three deflectors 500k, 500l, and 500m are installed in the three inner spaces 120c, 120d, and 120e, respectively. That is, the three deflectors 500k, 500l, and 500m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etween the outside and the two guide plates 300.

이때, 상기 3개의 디플렉터(500k, 500l, 500m)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디플렉터(500k ,500m)는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살펴본 한 쌍의 디플렉터(500c, 500d)와 동일하다. 즉, 상기 한 쌍의 디플렉터(500k, 500m)는 제2 실시예의 디플렉터(500c, 500d)와 마찬가지로 제1면(501k), 제2면(502k), 제3면(503k) 및 제4면(504k)을 포함하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pair of deflectors 500k and 500m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among the three deflectors 500k, 500l and 500m is the same as the pair of deflectors 500c and 500d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at is, the pair of deflectors 500k and 500m are similar to those of the deflectors 500c and 500d of the second embodiment, such as the first surface 501k, the second surface 502k, the third surface 503k and the fourth surface ( 504k),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300) 사이에, 즉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 통로(120)의 내부공간들 중 가운데 공간(120d)에 설치되는 디플렉터(500l)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의 흐름방향을 노즐 팁(2000)의 정중앙으로부터 가급적 멀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디플렉터(500l)는 상하대칭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디플렉터(500l)에서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각각 인접한 단면이 평평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만약 상기 디플렉터(500l)의 단면이 평평하다면,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이 평평한 단면을 따라 이동하여 노즐 팁(2000) 정중앙으로의 이동방향을 유지시키기 때문이다.The deflector 500l installed between the two guide plates 300, that is, the center space 120d among the inner spaces of the first passage 120 partitioned by the guide plate 300 may have various shapes. Can have. In particular, in order to move the flow direction of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as fa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nozzle tip 2000 as possible, the deflector 500l may have a vertically symmetrical shape. This means that the sections adjacent to the guide plates 300 in the deflector 500l are not flat. If the cross section of the deflector 500l is flat, it is because the pulverized coal and the air mixture move along the flat cross section to maintain the moving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nozzle tip 2000.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플렉터(500l)는 최외측에 배치된 한 쌍의 디플렉터(500k ,500m)를 제1면(501k)을 중심으로 상하로 합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플렉터(500l)에서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300)를 각각 마주보는 면이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지되, 각 면은 상기 한 쌍의 디플렉터(500k, 500m)와 마찬가지로 제2면(502l), 제3면(503l) 및 제4면(504l)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flector 500l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air of deflectors 500k and 500m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are vertically comb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501k. That is, the surfaces facing each of the two guide plates 300 in the deflector 500l are made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nd each surface is similar to the pair of deflectors 500k and 500m and has a second surface 502l and a first surface. It consists of three sides 503l and the fourth surface 504l.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에 작용하는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Hereinafter, the manner in whic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t on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미분탄과 공기가 혼합된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은 연료관(1000)을 통해 이동되고 노즐 팁(2000)을 통과하여 연소실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1 통로(120) 내부에 설치된 디플렉터(500)에 상기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이 충돌하게 되어 상기 디플렉터(500)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mixed with the pulverized coal and air is moved through the fuel pipe 1000 and passed through the nozzle tip 2000 to the combustion chamber. At this time, the pulverized coal and the air mixture collide with the deflector 500 installed in the first passage 120 to move along the shape of the deflector 500.

이와 같이, 상기 디플렉터(500)를 따라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이 이동하면서, 상기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이 상기 화염안정기(400) 측으로 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플렉터(500)에서 상기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이 접촉하는 접촉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4면(504a, 504c, 504i, 504k, 504l) 또는 제2면(502e, 502g)을 기준으로 상기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 이동방향과 상기 접촉면과의 각도만큼 상기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의 향후이동경로가 변경된다. As such, while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moves along the deflector 500,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may be distributed to the flame stabilizer 400. Specifically, the contact surface that the pulverized coal and the air mixture is in contact with the deflector 500, in the embodiment based on the fourth surface (504a, 504c, 504i, 504k, 504l) or the second surface (502e, 502g) The future movement path of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is changed by the angle betwee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and the contact surface.

이를 위해, 상기 제2 및 제4 내지 제6 실시예와 같이 상기 디플렉터(500c, 500d, 500g, 500h, 500i, 500j, 500k, 500l, 500m)의 무게중심이 연료관(1000)측으로 이동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 또는 상기 제5 실시예와 같이 상기 디플렉터(500i)가 가이드 플레이트(300)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To this end, as in the second and fourth to sixth embodiment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flectors 500c, 500d, 500g, 500h, 500i, 500j, 500k, 500l, and 500m is moved toward the fuel pipe 1000.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deflector 500i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uide plate 300 as in the fifth embodiment.

또한, 상기 디플렉터(500)는 노즐 팁(2000) 양측에 연결되도록 노즐 팁(2000)을 가로지르므로, 디플렉터(500)와 충돌된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은 화염안정기(400)측으로 분포되면서 노즐 팁(2000) 양측으로 퍼지게 된다. 만약 상기 디플렉터(500)가 노즐 팁(2000) 양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다면,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은 노즐 팁(2000) 양측으로 퍼지는 것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deflector 500 crosses the nozzle tip 2000 so as to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nozzle tip 2000,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collided with the deflector 500 are distributed to the flame stabilizer 400 and the nozzle tip ( 2000) It spreads to both sides. If the deflector 500 does not have a sufficient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both sides of the nozzle tip 2000,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may be limited to spread to both sides of the nozzle tip 2000.

결과적으로, 노즐 팁(2000) 양측으로 퍼지고 화염안정기(400)측으로 분포된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은 연소실 인접부근에서 착화되고, 상기 화염안정기(400)로 인해 착화지점이 연료관(100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종래에는 화염안정기(400)측으로 편중되지 않은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에서의 착화시작지점이 노즐 팁(2000) 내 연료관(1000)측으로 충분히 당겨지지 않아 연소실부근에서 충분한 산소량으로 질소산화물(NOx) 감소가 원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분탄 및 공기 혼합물이 화염안정기(400)측 및 노즐 팁(2000) 양측으로 편중됨으로써 착화시작지점을 노즐 팁(2000) 내 연료관(1000)측으로 충분히 당길 수 있으며, 조기에 산소를 소모하여 연소실 인접부근에서의 미분탄 연소 시 산소량을 기존대비 감소시킴으로써 질소산화물(NOx) 배출을 종래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spread to both sides of the nozzle tip 2000 and distributed to the flame stabilizer 400 side is ignited near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flame stabilizer 400 causes the ignition point to move toward the fuel pipe 1000 side. do. Conventionally, the start point of ignition in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that is not biased toward the flame stabilizer 400 is not sufficiently pulled toward the fuel pipe 1000 in the nozzle tip 2000, so that the reduction of nitrogen oxides (NOx) with a sufficient amount of oxygen near the combustion chamber is reduced. Although not smoo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verized coal and air mixture may be biased toward both sides of the flame stabilizer 400 and the nozzle tip 2000, thereby sufficiently pulling the ignition start point toward the fuel pipe 1000 in the nozzle tip 2000. Nitrogen oxide (NOx) emission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by reducing the amount of oxygen in the pulverized coal combustion in the vicinity of the combustion chamber by early oxygen consump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도 12 내지 도 13에 대해서 서술한다. 상기 도면들의 x축 및 y축은 노즐 팁(2000)의 세로 및 가로길이를 의미하고, 도면상 색은 미분탄의 농도를 의미한다. 빨간색은 고농도의 미분탄을, 파란색은 저농도의 미분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도면들은 디플렉터(500)의 다양한 형상에 대한 실험결과 중 도 7에 도시된 디플렉터(500c, 500d) 형상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FIGS. 12-13 which show the result of experiment based on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are described. The x-axis and the y-axis of the drawings indicate the length and width of the nozzle tip 2000, and the color in the drawing means the concentration of pulverized coal. Red means high concentration of pulverized coal and blue means low concentration of pulverized coal. In addition, the figures show the results of experimenting with the shape of the deflector (500c, 500d) shown in Figure 7 of the test results for the various shapes of the deflector (500).

도 12에서 (a)는 종래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20)을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의 미분탄 농도를 표시한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2000)을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의 미분탄 농도를 표시한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pulverized coal concentration when the nozzle tip 20 of the conventional pulverized coal burner is viewed from the front, and (b) is the nozzle tip 2000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to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pulverized coal concentra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종래의 경우, 미분탄이 노즐 팁(20) 정중앙으로 몰려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미분탄이 화염안정기(400)측으로 분포되면서 노즐 팁(2000) 양측으로 퍼져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case, it can be seen that pulverized coal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nozzle tip 20.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ulverized coal is spread to both sides of the nozzle tip 2000 while being distributed to the flame stabilizer 400 side.

도 13에서 (a)는 종래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20)을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의 미분탄 농도를 표시한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2000)을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의 미분탄 농도를 표시한 도면이다.In Figure 13 (a) is a view showing the pulverized coal concentration when the nozzle tip 20 of the conventional pulverized coal burner viewed from the side, (b) is a nozzle tip 2000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to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figure shows the pulverized coal concentra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종래의 경우, 연소실 측으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와류가 생기는 영역인 재순환영역(600)이 존재함에 따라 화염안정기(400)의 연료관(1000)측 방면공간에서 미분탄의 농도가 옅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디플렉터(500)로 인해 미분탄이 화염안정기(400)측으로 편중되어 이동함에 따라 재순환영역(600)에서 미분탄 농도가 진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염안정기(400) 부근으로 미분탄이 편중됨을 알 수 있다.In the related art, the concentration of pulverized coal is light in the space toward the fuel pipe 1000 side of the flame stabilizer 400 as the recirculation region 600, which is a region where vortices occur as air moves to the combustion chamber, is pres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eflector 500 is pulverized coal is moved toward the flame ballast 400, it can be seen that the fine coal concentration in the recycle zone 600.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pulverized coal is biased near the flame ballast 400.

위와 같이, 화염안정기(400)측에서의 미분탄 농도를 높임으로써, 착화지점을 보다 연료관(1000)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보다 이른 착화에 따른 산소소모로 연소실 인접부근에서의 산소량을 줄임으로써 미분탄 연소에 따른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increasing the pulverized coal concentration at the flame stabilizer 400 side, the ignition point can be pulled more toward the fuel pipe 1000 side. Accordingly, by reducing the amount of oxygen in the vicinity of the combustion chamber due to the oxygen consumption due to the ignition earlier than b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itrogen oxide (NOx) emissions due to pulverized coal combustion.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add, change, delete or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etc.,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내측관체 112 : 굴절 축
120 : 제1 통로 200 : 외측관체
220 : 제2 통로 300 : 가이드 플레이트
400 : 화염안정기 420 : 경사면
500 a, 500b, 500c, 500d, 500e, 500f, 500g, 500h, 500I, 500g, 500k, 500l, 500m : 디플렉터
501a, 501c, 501e, 501g, 501i, 501k : 제1면
502a, 502c, 502e, 502g, 502i, 502k, 502l : 제2면
503a, 503c, 503i, 503k, 503l : 제3면
504a, 504c, 504i, 504k, 504l : 제4면
600 : 재순환공간
1000 : 연료관 2000 : 노즐 팁
100: inner tube 112: refractive axis
120: first passage 200: outer tube
220: second passage 300: guide plate
400: flame stabilizer 420: slope
500a, 500b, 500c, 500d, 500e, 500f, 500g, 500h, 500I, 500g, 500k, 500l, 500m: deflector
501a, 501c, 501e, 501g, 501i, 501k: front page
502a, 502c, 502e, 502g, 502i, 502k, 502l: second page
503a, 503c, 503i, 503k, 503l: third page
504a, 504c, 504i, 504k, 504l: fourth page
600: recirculation space
1000: fuel pipe 2000: nozzle tip

Claims (18)

미분탄이 유입되어 이동하는 제1 통로를 갖는 내측관체;
상기 내측관체의 외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외측관체;
상기 제1 통로를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내측관체 내부의 상, 하측 각각에 배치되는 화염안정기;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 통로의 내부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디플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는 각각 마주보는 상기 내측관체의 내면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디플렉터를 형성하는 각 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An inner tube having a first passage through which pulverized coal flows;
An outer tu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tube body;
At least one guide plate partitioning the first passageway;
A flame stabilizer dispos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tube; And
And a plurality of deflectors, each of which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first passage defined by the guide plate.
The plurality of deflectors are formed convexly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tube facing each other,
The nozzl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surface forming the deflector is a pla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lurality of deflectors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pl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eflector nozzl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t an angle with the guide plat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 중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디플렉터는, 상기 제1 통로 내에서 미분탄이 유동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화염안정기에 가까워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flector of the plurality of deflectors arrang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uide plate, the nozzl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close to the flame stabiliz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lverized coal flows in the first passag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 중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디플렉터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40도 이상 6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flector of the plurality of deflectors arrang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uide plate, the nozzl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n angle of 40 degrees or more and 65 degrees or less with the guide pl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디플렉터는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According to claim 1,
The nozzl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deflector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deflectors are symmetric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제1면;
상기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
상기 제1면과 제2면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제1 통로 내에서 미분탄이 유동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제3면 및 제4면;
을 포함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According to claim 1,
The deflector,
A first surface facing the guide plate;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Third and fourth surface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respectively, and are inclined along a direction in which pulverized coal flows in the first passage;
Including, the nozzl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과 제4면은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The method of claim 9,
The third and fourth surfaces of the nozzl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ymmetrically.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면은 상기 제3면보다 상기 제1 통로로 미분탄이 유입되는 측에 더 가깝게 형성되며, 상기 제2면과 제3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면과 제4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The method of claim 9,
The fourth surface is formed closer to the side where the pulverized coal flows into the first passage than the third surface, and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is greater than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Nozzl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상기 제3면 및 제4면과 각각 120도 이상 15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surface of the nozzl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to form an angle of more than 120 degrees to less than 150 degrees,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복수 개가 상기 제1 통로에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 중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디플렉터는 상하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irst passage, the deflecto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of the plurality of deflect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down symmetry, the tip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플렉터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 통로의 내부공간을 각각 균등하게 분할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버너의 노즐 팁.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deflectors are nozzle tips of the pulverized coal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equally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passageway partitioned by the guide plate.

KR1020180117517A 2018-10-02 2018-10-02 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KR1020805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517A KR102080564B1 (en) 2018-10-02 2018-10-02 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517A KR102080564B1 (en) 2018-10-02 2018-10-02 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564B1 true KR102080564B1 (en) 2020-02-24

Family

ID=6963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517A KR102080564B1 (en) 2018-10-02 2018-10-02 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5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9813B1 (en) 2022-12-16 2024-01-02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Pulverized solid fuel nozzle tip assembly with low contact fr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3875A (en) * 1973-08-24 1974-07-16 T Bauer Burner nozzle tip for pulverized coa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H11281009A (en) * 1998-03-26 1999-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Pulverized coal burner
KR20000045131A (en) * 1998-12-30 2000-07-15 윤영석 Pulverized coal burner for reducing nox
KR20120001181A (en) 2010-06-29 2012-01-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The nozzle tip of the coal burner
KR20150068499A (en) * 2011-04-01 2015-06-19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Combustion burner, solid-fuel-fired burner, solid-fuel-fired boiler, boiler, and method for operating boiler
KR101773297B1 (en) * 2016-05-24 2017-08-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3875A (en) * 1973-08-24 1974-07-16 T Bauer Burner nozzle tip for pulverized coa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H11281009A (en) * 1998-03-26 1999-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Pulverized coal burner
KR20000045131A (en) * 1998-12-30 2000-07-15 윤영석 Pulverized coal burner for reducing nox
KR20120001181A (en) 2010-06-29 2012-01-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The nozzle tip of the coal burner
KR20150068499A (en) * 2011-04-01 2015-06-19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Combustion burner, solid-fuel-fired burner, solid-fuel-fired boiler, boiler, and method for operating boiler
KR101773297B1 (en) * 2016-05-24 2017-08-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9813B1 (en) 2022-12-16 2024-01-02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Pulverized solid fuel nozzle tip assembly with low contact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56494A1 (en) Combustion burner, solid-fuel-combustion burner, solid-fuel-combustion boiler, boiler, and method for operating boiler
EP1495263B1 (en) IMPROVED BURNER WITH LOW NOx EMISSIONS
KR101327570B1 (en) Solid fuel burner and solid fuel boiler
US9127836B2 (en) Combustion burner and boiler including the same
US20110053105A1 (en) Bunsen burner using lean-rich combustion type
US9664381B2 (en) Staged oxy-fuel burne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20110000572A (en) Solid fuel burner, combustion apparatus using solid fuel bur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ombustion apparatus
JP5386230B2 (en) Fuel burner and swirl combustion boiler
KR102080564B1 (en) 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CN111853775A (en) Burner head with internal recirculation and burner comprising such a burner head
KR101773297B1 (en) Nozzle tip of pulverized coal burner
US6902390B2 (en) Burner tip for pre-mix burners
JP5344897B2 (en) Swirl combustion boiler
JP5778499B2 (en) Solid fuel fired burner and solid fuel fired boiler
EP3896337A1 (en) Combustion system for a boiler with fuel stream distribution means in a burner and method of combustion
JP6049814B2 (en) Solid fuel fired burner and solid fuel fired boiler
JP2010139182A (en) Turning combustion boiler
JP4264003B2 (en) Burner system using improved flue gas circulation
JP5344898B2 (en) Swirl combustion boiler
JP3358866B2 (en) Liquid fuel burner
EP3361155B1 (en) Gas mixer
JP5878420B2 (en) Wall radiant burner
JP2000179809A (en) Thick and thin fuel combustion equipment
RU2009395C1 (en) Furnace
JPH0953810A (en) Bu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