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395B1 - A pneumatic tire - Google Patents

A pneu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395B1
KR102080395B1 KR1020180063338A KR20180063338A KR102080395B1 KR 102080395 B1 KR102080395 B1 KR 102080395B1 KR 1020180063338 A KR1020180063338 A KR 1020180063338A KR 20180063338 A KR20180063338 A KR 20180063338A KR 102080395 B1 KR102080395 B1 KR 102080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neumatic tire
cuff
present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7306A (en
Inventor
천동환
김진수
최정희
홍창효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395B1/en
Publication of KR2019013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3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3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60C11/132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asymme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60C2011/1338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comprising protr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6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heavy dut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입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루브의 구조를 개량하여 그루브 및 블록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공기입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레드부(100)에 그루브(400)가 형성되는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400)의 적어도 일 측벽(410)에 1개 이상의 계단면(420)이 형성되고, 상기 계단면(420)에 인접하여 계단벽(4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neumatic tire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groove to disperse the stress concentrated in the groove and block.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ead portion 100, the side wall portion 200 and the bead portion 300, the groove 400 is formed in the tread portion 100 in the pneumatic tire, the groove 400 One or more stepped surfaces 420 are formed on at least one sidewall 410 of the c), and a stepped wall 430 is formed adjacent to the stepped surface 420 to provide a pneumatic tire.

Description

공기입타이어 {A PNEUMATIC TIRE}Pneumatic Tires {A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입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루브의 구조를 개량하여 그루브 및 블록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공기입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neumatic tire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groove to disperse the stress concentrated in the groove and block.

중하중용타이어에서는 커프(Kerf) 또는 사이프 (Sipe) 가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최근 각국의 구름저항(Rollong Resistence), 젖은노면에서의 그립(Wet Grip), 설명주행(Snow) 성능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타이어의 성능향상을 위해 커프(Kerf) 또는 사이프 (Sipe)의 형태가 점차 변화하고 있다.In heavy duty tires, kerf or sipe is usually formed. In recent years, regulations on rolling resistance, wet grip, and snow performance have been tightened in each country, resulting in the shape of kerf or sipe to improve tire performance. Is gradually changing.

현재까지 개발 및 양산되는 커프 (Kerf) 또는 사이프 (Sipe) 의 기술은 더블웨이브(Double wave ;embosse 형태), 레인드랍(Rain drop) 등의 기술을 적용시킨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커프 (Kerf) 또는 사이프 (Sipe) 들은 젖은 노면에서의 성능 향상 및 견인(Traction)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타이어 표면에서의 불규칙 마모를 제어 할 수 있게 된다. Most of the technology of kerf or sipe that has been developed and produced so far is applied to technologies such as double wave (embosse type) and rain drop. These kerfs or sipes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n wet roads, improve the traction and control irregular wear on the tire surface.

그러나, 레인드랍(Rain Drop) 기술로 인하여 타이어 제조시 사이프의 인출성이 떨어지고 불균일한 트레드의 블록강성을 유발하여 오히려 타이어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However, due to the rain drop technology, the drawability of the sipe is decreased during tire manufacturing, and the block rigidity of the non-uniform tread may be caused,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tire.

이하, 관련된 선행기술들을 살펴본다. 하기 선행기술에 기재된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Hereinafter, the related prior art will be described. The identification code describ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is irrelevant to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3362호 '스노우 타이어용 커프 구조' 는 반 실린더형 기둥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된 단위 구조가 연속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단위 구조는 지그재그 형태로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차로 배치되는 스노우 타이어용 커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커프 구조는 블록이 적정 수준으로 쓰러져 커프(kerf)로 구획된 트레드부의 작은 블록들에 의한 마찰력도 확보하면서 커프 본연의 기능인 긁는 힘도 유지할 수 있는 강성 최적화와 더불어 마모 말기에도 트레드 블록의 강성을 떨어뜨리고 설상에서의 커프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0-1513362호의 구성을 살펴보면 반 실린더형 기둥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된 단위 구조가 연속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단위 구조는 지그재그 형태로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차로 배치되고, 상기 반 실린더형 기둥의 지름은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타이어용 커프구조를 취한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13362 'Cuff structure for a snow tire' is formed in the unit structure formed with a spiral proj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mi-cylindrical column continuously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inuously formed unit structure is zigzag for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ff structure for a snow tire having a convex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intersect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o stiffness optimization that can maintain the scratching force, which is a function of the tread block, even at the end of wear, the tread block stiffness can be reduced and the cuff function on snow can be secured.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No. 10-1513362, the unit structure in which the spiral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mi-cylindrical column is continuously spac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ontinuously formed unit structure is arranged in a zigzag form at the intersection of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The diameter of the semi-cylindrical pillar takes the cuff structure for snow tires, characterized in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downward direc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7406호 '스노우 타이어용 커프 구조'는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커프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트레드 블록의 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에지 효과를 최적화시키고 접지 선단의 접지 면적을 감소시켜 접지압을 증대시킴으로써 스노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노우 타이어용 커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커프 구조는 산 모양 기본구조의 정상부를 복수개의 피치로 나누어 뾰쪽한 부분이 스노우 노면과 닿는 부분을 증대시켜 타이어가 회전할 때 리딩부의 접지압을 증가시키며, 뾰족한 부분이 노면과 많이 닿아 마찰력이 증대되어 스노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두께가 얇은 3D 커프 사이에 삼각형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리딩부의 압력을 증대시키고 블록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67406 'Cuff structure for snow tires' by forming a cuff pattern having a specific shape, while improving the stiffness of the tread block, while optimizing the edge effect and reducing the ground area of the ground end to increase the ground press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ff structure for a snow tire that can improve snow performance. The cuff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top portion of a mountain-shaped basic structure into a plurality of pitches to increase a portion where the sharp portion contacts the snow road surface, thereby rotating the tire. When increasing the grounding pressure of the leading part, and the sharp part is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the friction force is increased to improve the snow performance, and also by forming a triangular protrusion between the thin 3D cuff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shape To increase negative pressure and maintain block rigidity. It has disclosed a technique that is effective ba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3362호 '스노우 타이어용 커프 구조' 공고일자 2015년04월17일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13362 'Cuff Structure for Snow Tire' Announcement Date April 17, 201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7406호 '스노우 타이어용 커프 구조' 공개일자 2015년06월18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67406 Publication 'Cuff Structure for Snow Tire' Publication Date June 18, 201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출시 타이어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레인드랍(Rain Drop) 등의 구조를 배제하면서도 안정적인 블록 및 그루브의 내구성을 확보하는 공기입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tire to ensure the durability of the stable block and groove while removing the structure (Rain Drop) that may damage the tire at the time of withdrawa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레드부(100)에 그루브(400)가 형성되는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400)의 적어도 일 측벽(410)에 1개 이상의 제1계단면(4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계단면(420)에 인접하여 제1계단벽(430)이 형성되는 공기입타이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ead portion 100, the side wall portion 200 and the bead portion 300, the groove 400 in the tread portion 100 In the pneumatic tire formed, one or more first stepped surfaces 420 are formed on at least one sidewall 410 of the groove 400, and the first stepped walls are adjacent to the first stepped surfaces 420. It provides a pneumatic tire 430 is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루브(Groove)에 다면 커프(Kerf)를 구비하여 그루브(Groove) 및 블록에 전해지는 응력을 분산시켜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그루브크랙(Groove Crack)이 자주 발생하는 그루브 걸리는 수직하중 분포를 다른 부위로 유도 함에 따라 그루브(Groove)내의 변형률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faceted kerf may be provided in the groove to disperse and minimize the stress transmitted to the groove and the block. That is, the effect of lowering the strain in the groove can be expected by inducing the groove load vertical load distribution, which frequently causes groove cracks, to other site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he effects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블록에 국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타이어표면에 크랙이 발생한 것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2는 블록에 국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불규칙 마모가 발생한 것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공기입타이어의 요부발췌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공기입타이어의 그루브의 요부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공기입타이어의 그루브의 구조를 설명하는 요부발췌사시도이다.
도6은 스톤이젝터를 적용한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응력분산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응력분포그래프이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cracks are generated on a tire surface due to local concentration of stress in a block.
2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irregular wear occurred due to local concentration of stress in a block.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groove of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groove of 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of an embodiment to which the stone ejector is applied.
7 is a stress distribution graph for explaining the stress dispersio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es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블록에 국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타이어표면에 크랙이 발생한 것을 도시한 사진이고, 도2는 블록에 국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불규칙 마모가 발생한 것을 도시한 사진이다.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cracks on a tire surface due to local concentration of stress in a block, and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irregular wear due to local concentration of stress in a block.

현재의 트럭버스타이어(TBR)의 발전방향은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저연비, 고하중 및 견인(Traction) 성능을 요구하는 시장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이런 성능향상을 위하여 하나의 방법인 커프(Kerf) 형성기술이 발전되어 왔다.The current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ruck bus tires (TBR) has been developed into a market requiring low fuel consumption, high load, and tractive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Technology has advanced.

본 발명은 그루브(Groove)에 다면 커프(Kerf)를 구비하여 그루브(Groove)에 전해지는 응력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면 커프(Kerf)로 인해 각 커프에 전해지는 단위면적당 힘의 크기를 분산시킴으로써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은 그루브크랙(Groove Crack),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은 불규칙 마모 및 ?컷(Chip-cut)등에 의한 타이어 표면 손상을 줄이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inimizing the stress transmitted to the groove (groove) by providing a multi-faceted kerf (groove) in the groove (Groove). By spreading the magnitude of the force per unit area transmitted to each cuff due to the multi-faced kerf, Groove Crack as shown in Fig. 1, irregular wear and chip-cut as shown in Fig. 2, etc. To reduce the tire surface damage caused by.

이에, 본 발명은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레드부(100)에 그루브(400)가 형성되는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400)의 적어도 일 측벽(410)에 1개 이상의 제1계단면(4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계단면(420)에 인접하여 제1계단벽(430)이 형성되는 공기입타이어를 제공한다.3 to 5,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portion 100, a side wall portion 200, and a bead portion 300, and grooves 400 are formed on the tread portion 100. In the pneumatic tire is formed, one or more first stepped surface 420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wall 410 of the groove 400, the first stepped adjacent to the first stepped surface (420) It provides a pneumatic tire in which the wall 430 is formed.

상기 제1계단면(420)의 폭(w)은 2~3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계단면(420)의 말단부에서 모따기가공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계단면(420)의 말단부가 모따기 가공이 된 경우, 상기 모따기 가공에서의 모따기된 곡면의 반지름은 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dth w of the first stepped surface 420 is preferably 2 to 30 mm, and if necessary, chamfering may be per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tepped surface 420. When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tepped surface 420 is chamfered, the radius of the chamfered curved surface in the chamfering is preferably 1 to 2 mm.

상기 제1계단벽(430)에 커프(4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프(440)의 폭은 0.3~0.7mm로 형성시킨다. 상기의 커프는 필요에 따라 도5의 커프(441)과 같이, 상단의 제1계단벽(430)의 커프(440)와 하단의 제1계단벽(430)의 커프(440)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cuff 440 is formed on the first staircase wall 430, and the width of the cuff 440 is 0.3 to 0.7 mm. As described above, the cuff is formed such that the cuff 440 of the upper first staircase wall 430 and the cuff 440 of the lower first staircase wall 4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the cuff 441 of FIG. 5. It may be.

즉,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400)의 일측벽(410)을 다단계의 계단형상으로 형성시키고, 각 계단마다 커프(440)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wall 410 of the groove 400 is formed in a multi-step step shape, and the cuff 440 is formed for each step.

이 때 각 계단층은 횡단력 및 주행방향에서 각 각 독립적인 움직임 갖게 되어 종래의 그루브 및 각각의 리브(Rib)의 단일 움직임을 분산시키게 된다. 즉 그루브에 인접한 블록에서, 단위 면적당의 응력이 분산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기존 대비 타이어 수명을 길게 해줄 뿐만 아니라 그루브크랙(Groove crack), 불규칙마모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staircase has independent movements in the transversal force and the driving direction, thereby distributing a single movement of the conventional groove and each rib. In other words, in the block adjacent to the gro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ess per unit area is dispersed, which not only extends the tire life compared to the existing, but also prevents problems such as groove cracks and irregular wear.

그루브(400)의 깊이는, 타이어의 유형 및 설계목적에 따라 설정이 가능하며, 그루브(400)에 형성된 계단은 총 3계단 이상의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각 계단에 형성되는 커프(440)의 수는 각 계단마다 같거나, 다를 수 있다.The depth of the groove 400 can be set according to the type and design purpose of the tire, and the stairs formed in the groove 400 have a total of three steps or more. In addition, the number of cuffs 440 formed in each step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or each step.

상기의 커프(440) 삽입됨으로서 각 계단(Step)의 한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커프(440)의 간격은 타이어의 주행 조건 및 시장 조건에 따라 개발자가 설정 할 수 있으며, 커프의 두께(Kerf Thickness)는 일반적으로 0.3mm ~ 0.7mm 의 범위내에서 설정한다.The cuff 440 may be inserted to prevent the stress from being concentrated at one part of each step. At this time, the interval of the cuff 440 can be set by the developer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s and market conditions of the tire, the thickness of the cuff (Kerf Thickness) is generally set within the range of 0.3mm ~ 0.7mm.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형상들은 타이어 Groove 배면에 커프를 삽입하거나 벽면에 삽입하여 제안하는 방법이었다면, 본 발명에서는 기존 TBR 타이어 Groove에 다단계 Multi-layer를 형성하고, 각 Layer마다의 Kerf를 삽입함으로써 각 Layer에서 타이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힘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 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다. Multi-Layer에서는 단위면적당 힘을 분산 시키고 이때 각 Layer에 삽입된 Kerf는 기존 Kerf의 효과를 내게 되어 균일한 마모진행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기존 TBR 타이어에서 발생하던 Chip-cut과 같은 뜯김현상에 있어서도 고른 힘의 분산을 통해 기존 Block 형상 대비 높은 안전율을 가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xisting shapes were proposed by inserting a cuff on the rear surface of the tire groove or by inserting it into the wall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ulti-level multi-layer in the existing TBR tire groove and inserts Kerf for each layer It is characterized by more efficient control of the force coming from outside the tire in each layer. In Multi-Layer, the force per unit area is distributed, and the Kerf inserted in each layer has the effect of the existing Kerf to ensure uniform wear progress, and the tearing phenomenon like the chip-cut that occurred in the existing TBR tires Even in the distribution of the force evenly it can have a high safety factor compared to the existing block shape.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스톤이젝터를 구비한 공기입타이어를 제공한다. 도6은 스톤이젝터를 적용한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6에서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그루브(400)의 저면에 스톤이젝터(450)가 형성되며, 상기 스톤이젝터(450)의 적어도 일 측벽에 1개 이상의 제2계단면(4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계단면(451)에 인접하여 제2계단벽(452)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계단벽(452)에는 상기 그루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커프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스톤이젝터(450)의 응력집중에 따른 파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pneumatic tire having a stone ejector. 6 is a sectional view of principal parts of an embodiment to which the stone ejector is applied. In the embodiment of FIG. 6, a stone ejector 45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400, and at least one second step surface 451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wall of the stone ejector 450. A second stepped wall 452 is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stepped surface 451. A cuff is formed on the second staircase wall 452 as in the case of the groove. This configuration can effectively prevent damage due to the stress concentration of the stone ejector 450.

도7은 본 발명의 응력분산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응력분포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핵심기술은 타이어(특히, 트럭버스용타이어)에서 자주 발생하는 두 가지 형태의 그루브크랙(Groove Crack) 방지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그루브크랙(Groove Crack)이 자주 발생하는 숄더그루브(Shoulder Groove)에 걸리는 수직하중 분포를 다른 부위로 유도 함에 따라 그루브(Groove)내의 변형률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7 is a stress distribution graph for explaining the stress dispersio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preventing two types of groove cracks that frequently occur in tires (especially truck bus tire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strain in the groove (groove) by inducing the vertical load distribution to the shoulder groove (Shoulder Groove) where groove cracks (Groove Crack) often occurs.

수직 하중에 큰 영향을 받는 최대주변형(MAX Principal Strain)이 그루브(Groove) 배면에서 발생하는 크랙(Crack)을 유발하는 원인인 바,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 도7의 그래프의 첫 번째 컬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수준이 현용대비 78%로 감소하였다. 변형률이 22% 감소함으로 그루브(Groove) 배면에서 발생하는 크랙(Crack)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MAX Principal Strain, which is greatly affected by the vertical load, is the cause of cracks occurring at the rear surface of the groov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the first column of the graph of FIG. As can be seen, the level has dropped to 78% from the current level. The 22% reduction in strain can effectively suppress cracking at the back of the grooves.

그루브(Groove) 배면과 트레드블록(Tread Block)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발행하는 크랙(Crack)은 원주방향의 변형율에 의하여 발생하며 본 발명을 적용하였을시 그 수준이 도7의 두 번째 컬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현용대비 88%로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의 계단 형태의 Groove 외벽이 모서리에서 집중되던 변형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Cracks issued at the corner where the groove back and the tread block meet are generated by the strai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level is shown in the second column of FIG. As a result, the rate dropped to 88% from the current level. That is, the Groove outer wall of the step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distribute the deformation concentrated at the corner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트레드부
110: 블록
200: 사이드월부
300: 비드부
400: 그루브
410: 측벽
420: 제1계단면
430: 제1계단벽
440: 커프
450: 스톤이젝터
451: 제2계단면
452: 제2계단벽
100: tread section
110: block
200: sidewall
300: bead part
400: groove
410: sidewall
420: first step cross section
430: first staircase
440: cuff
450: stone ejector
451: second section
452: second staircase

Claims (9)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레드부(100)에 그루브(400)가 형성되는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400)의 적어도 일 측벽(410)에 1개 이상의 제1계단면(4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계단면(420)에 인접하여 제1계단벽(430)이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400)의 저면에 스톤이젝터(450)가 형성되며,
상기 스톤이젝터(450)의 적어도 일 측벽에 1개 이상의 제2계단면(4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계단면(451)에 인접하여 제2계단벽(45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계단벽(452)에 커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In the pneumatic tire comprising a tread portion 100, the side wall portion 200 and the bead portion 300, the groove 400 is formed in the tread portion 100,
At least one first stepped surface 420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wall 410 of the groove 400,
A first stepped wall 430 is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stepped surface 420,
Stone ejector 450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groove 400,
One or more second stepped surfaces 451 are formed on at least one sidewall of the stone ejector 450,
A second stepped wall 452 is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stepped surface 451,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ff is formed on the second staircase wall (45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단면(420)의 폭(w)은 2~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w) of the first stepped surface (420) is 2 ~ 30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단면(420)의 말단부는 모따기 가공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tepped surface 420 is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mfering proces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 가공에서의 곡면의 반지름은 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3,
Radius of the curved surface in the chamfering process is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1 ~ 2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단벽(430)에 커프(4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ff 440 is formed on the first staircase wall (43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440)의 폭은 0.3~0.7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5,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cuff 440 is formed to 0.3 ~ 0.7mm.
제5항에 있어서,
상단의 제1계단벽(430)의 커프(440)와 하단의 제1계단벽(430)의 커프(440)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입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5,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ff 440 of the first step wall 430 of the upper end and the cuff 440 of the first step wall 430 of the bottom is formed to be conn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63338A 2018-06-01 2018-06-01 A pneumatic tire KR1020803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38A KR102080395B1 (en) 2018-06-01 2018-06-01 A pneumatic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38A KR102080395B1 (en) 2018-06-01 2018-06-01 A pneumatic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306A KR20190137306A (en) 2019-12-11
KR102080395B1 true KR102080395B1 (en) 2020-02-21

Family

ID=6900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338A KR102080395B1 (en) 2018-06-01 2018-06-01 A pneumatic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3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817B1 (en) * 2021-02-15 2023-03-17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Tire with improved traction performance on off-roa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6052A (en) * 2007-08-21 2009-03-05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KR101840689B1 (en) * 2016-11-02 2018-03-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Heavy duty pneumatic tire with stone ej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362B1 (en) 2013-10-23 2015-04-1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Kerf structure for snow tire
KR20150067406A (en) 2013-11-21 2015-06-1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Kerf structure for snow ti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6052A (en) * 2007-08-21 2009-03-05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KR101840689B1 (en) * 2016-11-02 2018-03-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Heavy duty pneumatic tire with stone e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306A (en)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038B1 (en) Heavy duty tire
EP2308697B1 (en) Tire
JP2008074346A (en) Pneumatic tire for off-road run
US20070151644A1 (en) Tire with tread pattern
JP4736698B2 (en) Pneumatic tire
JPH06239107A (en) Pneumatic tire with projection preventing stone from jamming
KR102080395B1 (en) A pneumatic tire
KR101268894B1 (en) Tire with lamelle in bridge
JP2006264455A (en) Pneumatic tire
JPH1035223A (en) Pneumatic tire
JP5698622B2 (en) tire
JP2006051836A (en) Pneumatic tire
KR100592061B1 (en) Pneumatic tire for heavy vehicle
TW201406570A (en) Stone-clipping prevention structure of tire grooves
JPH06297917A (en) Pneumatic radial tire
CN211364169U (en) Tread capable of inhibiting partial abrasion of tire
KR20070055872A (en) Pneumatic vehicle tire
KR20070010560A (en) Pneumatic tire for heavy vehicle
KR100728541B1 (en) Pneumatic vehicle tire
KR100792973B1 (en) Pneumatic vehicle tire
KR20240031653A (en) A heavy-duty tire including anti-distortion ribs to prevent groove wear
KR100441938B1 (en) Tire
KR100785499B1 (en) Pneumatic radial tire
KR100473249B1 (en) Tread Pattern for a Heavy Duty Pneumatic Radial Tire
KR101992427B1 (en) Tire with sipe on the ri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