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911B1 -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911B1
KR102079911B1 KR1020190064673A KR20190064673A KR102079911B1 KR 102079911 B1 KR102079911 B1 KR 102079911B1 KR 1020190064673 A KR1020190064673 A KR 1020190064673A KR 20190064673 A KR20190064673 A KR 20190064673A KR 102079911 B1 KR102079911 B1 KR 102079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ostomy
rubb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호성
한흥구
이숙
김성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유원
썬시스템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유원, 썬시스템즈(주)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6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911B1/ko
Priority to PCT/KR2020/006628 priority patent/WO20202421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47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4/0073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with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24/009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with a macromolecular matrix containing macromolecular 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3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adhesive seals for securing to the body, e.g. of hydrocolloid type, e.g. gels, starches, karaya g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9Body securing means, e.g. belts,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43Mixtures of 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환부에 높은 점착력으로 부착이 가능하고, 피부로부터 탈착이 용이하도록 기능성이 향상된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ADHESIVE FOR OSTOMY AND ADHESIVE TAP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환부에 높은 점착력으로 부착이 가능하고, 피부로부터 탈착이 용이하도록 기능성이 향상된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점착 테이프 중의 하나인 장루용 점착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운데에 구멍이 있는 얇은 두께의 원형의 테이프 형태로서 사용된다.
점착제란, 물, 용제, 빛, 열 등의 원동력 없이도 작은 압력으로 단시간 내에 다른 물체의 표면에 접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떼어낼 경우에 피착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쉽게 떨어지는 접착제를 말하며, 고무, 아크릴, 실리콘 등과 같은 점착력(adhesion)을 지니고 있는 탄성체(elastomer) 재료와; 아크릴산(acrylic acid), 스티렌 단량체(styrene monomer) 등과 같이 점착제의 응집성(cohesion)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하는 응집제; 단량체(monomer)의 가교성 향상, 수용성 향상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관능기(functional radicals); 및 로진(rosin), 터펜(terpene) 등의 점착부여제(tackifier) 등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점착제의 점착력을 결정하는 각 요소들은 상호간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 용도에 적합한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각 요소들의 잘 고려하고 배합하여 최적화 함이 필요하다.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수지 등을 기본 원료로 하고 톨루엔과 같은 솔벤트를 용제로 사용하는 용제형 점착제가 일반 산업용 및 정밀 산업용으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의료용 점착제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인체에 무해해야 함과 동시에 FDA 와 같은 국제 의약품 기준에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물을 용제로 사용하는 수용형 점착제 또는 핫-멜트(Hot melt)와 같은 무용매형 접착제가 최근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외과수술 봉합용 접착제로 임상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접착제 소재로서 순간 접착제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생체 접착제인 피브린 글루 등이 세계적인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점착제는 부착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피부착물 표면에 강한 접착력을 가지고 유지하여야 하는 반면에, 떼어낼 경우에는 쉽게 떨어져야 하는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야 하는 상호 모순적인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의료용 접착제의 경우에 점착제를 때어낼 때 발생하는 피부에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상처(MARSI, medical adhesive-related skin injuries)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알려져 있다(Wounds UK, Vol. 12, Issue 4, Nov. 2016). 구체적으로, 장루백에 사용하는 점착 테이프의 경우, 환자의 대부분이 평생 동안 장루백을 달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점착제의 빈번한 탈·부착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발진이 환자의 고통을 더욱 가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 장루백을 사용하는 환자의 수가 이미 22만명을 상회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약 3백만명 이상으로서, 상기 문제는 전세계적으로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매우 높다.
최근에는 의료용 점착제와 관련하여 카복실기와 수산기를 갖지 않고 N-비닐환상락탐을 함유하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되는 피부 접착용 점착제(일본 특허 공개 2011-006352), 카복실기를 갖지 않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N-하이드록시알킬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로 되는 점착제(일본 특허 공개 2011-126864), 폴리옥시알킬렌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가경화형 점착제(일본 특허 공개 2011-072437) 조성물 등이 공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점착제들은 피부로부터 떼어내는 힘을 저감시킬 수는 있으나 결과적으로 점착제 자체의 점착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일정한 기간 동안 환자 피부에 견고하게 밀착해야 함이 일차적으로 요구되는 장루형 점착제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피부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기능성이 향상된 의료용 점착제, 더욱 상세하게는, 장루용 점착제가 피부에 부착할 때에는 강한 점착력을 유지하고 있으나, 탈착이 요구될 때에는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고 이를 용이하게 탈착 시킬 수 있는 점착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피부에 부착 시에는 높은 부착력을 가지고, 피부에서 떼어내는 경우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또는 방법 및 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장루용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수지 및 고무계 수지를 포함하고, 하기 일반식 1에 의하여 정의되는 점착력 감소율(ΔF)이 적어도 20 %인, 장루용 점착제를 제공한다:
[일반식 1]
Figure 112019056289666-pat00001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상온 점착력은 25 ℃에서 ASTM D3330에 준하여 측정된 값이고, 저온 점착력은 0 ℃에서 ASTM D3330에 준하여 측정된 값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상에 구비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전술한 장루용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장루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루용 점착제는 아크릴 수지 및 고무계 수지를 동시에 포함하여, 피부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고, 나아가 저온 처리 시 부착력이 크게 떨어져 피부로부터 탈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루용 점착제는 피부로부터 탈착 시 저온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점착제 내부 응집에 따른 점착력 감소율이 매우 크므로, 환자의 피부 트러블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장루용 점착 테이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상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기능성이 향상된 장루용 점착제에 대한 연구를 지속한 결과, 본 발명과 같이 아크릴계 점착제 성분과 고무계 점착제 성분을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 환부에 높은 점착력으로 부착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피부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점착제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루용 점착제는 탈착이 요구될 시점에 점착제를 저온 분위기에 노출하여 내한성이 좋지 못한 고무계 수지의 응집성을 한시적으로 증가시켜 점착제 자체의 점착력을 크게 떨어뜨려 피부로부터의 탈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장루용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수지 및 고무계 수지를 포함하고, 하기 일반식 1에 의하여 정의되는 점착력 감소율(ΔF)이 적어도 20 %인, 장루용 점착제를 제공한다:
[일반식 1]
Figure 112019056289666-pat00002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상온 점착력은 25 ℃에서 ASTM D3330에 준하여 측정된 값이고, 저온 점착력은 0 ℃에서 ASTM D3330에 준하여 측정된 값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루용 점착제는 상온(25 ℃)에서의 점착력과 저온(0 ℃)에서의 점착력이 크게 차이가 있으므로, 환부에 부착시에는 높은 점착력을 유지하는 반면, 탈착 시에는 저온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력 감소율은 적어도 40 %, 적어도 45 % 또는 적어도 50 %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루용 점착제는 상온에서의 점착력도 매우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장루용 주머니에 적용하는 경우 피부와 높은 부착력으로 부착되어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장루용 점착제의 상온 점착력은 적어도 0.25 kgf/㎜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루용 점착제의 상온 점착력은 적어도 0.30 kgf/㎜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장루용 점착제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부터 유래된 아크릴계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상기 고무계 수지가 분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루용 점착제는 1종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아크릴계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고무계 수지가 분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장루용 점착제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와 고무계 수지가 물리적으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장루용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아크릴계 수지와 고무계 수지를 별도로 중합한 후, 이들을 물리적으로 혼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장루용 점착제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 및 상기 고무계 수지의 복합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루용 점착제는 아크릴계 수지와 고무계 수지의 화학적 결합에 의한 복합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루용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1종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 및 이와 가교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지는 고무계 수지를 공중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무계 수지의 함량은 1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무계 수지의 함량은 5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상 66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 27 중량부 이상 66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또는 2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에 대한 고무계 수지의 함량 범위 내에서, 상기 장루용 점착제는 상온에서의 점착력을 크게 높일 수 있고, 또한 저온에서의 점착력 하락폭을 매우 크게 구현하여, 피부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무계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에는 아크릴계 수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상온 점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계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고무계 수지의 함량이 지나지게 적어 저온에서 점착력 하락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수지의 함량은 아크릴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한 고무계 수지 고형분의 함량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1종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에 의하여 형성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계 수지와 화학적으로 가교된 경우, 고무계 수지 부분을 제외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중합 방법은 용액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등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구조를 가지는 단량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i-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소닐(메타)아크릴레이트, i-소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디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의 탄소수 1 ~ 18의 직쇄 혹은 분지 알킬에스테르, 및 이의 유도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 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를 가교하기 위하여,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수산기 함유 단량체,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N-치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및/또는 3급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무계 수지는 폴리 아이소부틸렌 (poly-isobutylene) 및 아이소부틸렌-아이소프렌(isobutylene-isoprene) 등과 같은 부틸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및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무계 수지는 상기 고무계 수지는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일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의 스티렌 함량은 35 중량% 내지 4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0 ℃ 이하, -2 ℃ 이하, -10 ℃ 이하, 또는 -1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높을 수록 상기 장루용 점착제의 저온 점착력은 크게 낮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장루용 점착제의 겨울철 보관 시에 불필요한 응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무계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는 -10 ℃ 이하, 또는 -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장루용 점착제는 응집제, 점착부여제, 산화방지제, 분산안정제, 커플링제, 증점제 및 건조 조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제는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초산비닐(vinyl acetate) 및 스티렌 단량체(styrene monomer)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장루용 점착제의 응집 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수소화 로진 수지, 수소화 및 에스테르화 로진 수지 및 수소화 테르펜 수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장루용 점착제의 점착 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장루용 점착제의 특성을 저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상에 구비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전술한 장루용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장루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기재층은 PEN(Polyethylene naphthalate) 필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필름 또는 PC(polycarbonate)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PP(polypropylene) 필름, PE(polyethylene) 필름 또는 COP(cycloolefin film)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PEEK(polyether ether ketone) 필름 또는 아크릴 필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재층(또는 기재 필름)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은 금속 나노 입자,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및 팽창화 흑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전달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의 타면 상에 배면처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면처리층은 당 기술분야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배면 처리가 적용된 층일 수 있다. 상기 배면처리층은 상기 기재층과 마찬가지로 전술한 열전달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입자는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순도가 98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 입자의 함량은 상기 기재층 또는 배면처리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재층 또는 배면처리층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입자의 평균 직경이 10 ㎛ 이내, 바람직하게는 0.1 ㎛ 내지 6 ㎛ 인 경우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열전달 입자의 평균 직경이 0.1 ㎛ 미만인 경우 열전달율에 영향을 미치기 곤란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6 ㎛ 초과인 경우 소재의 결합력이 약해지거나 점착제와의 접착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입자는 피부에 부착된 상기 장루용 점착 테이프의 탈착 시 저온 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소독용 알코올과 같은 휘발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얼음 주머니를 접촉하는 경우에 상기 점착제층의 빠른 온도 강하를 유도하여 효과적으로 상기 점착제층의 응집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루용 점착 테이프의 탈착 시 소독용 알코올을 분무하는 경우, 장루용 점착 테이프 내의 모세관 구조 내에 소독용 알코올이 침투하여 점착력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휘발에 따른 온도 강하에 의한 점착제층의 응집을 유도하며, 환부 소독도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
라디칼 용액중합 방법에 의해 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물 100 중량부에 과산화물인 라디칼 개시제 약 0.2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약 3 중량부를 용해시켰다. 그리고 나서, MMA(methyl methacrylate), BA(butyl acrylate)와 EHA(ethyl hexyl acrylate)의 단량체 혼합물 약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마이셀(micelle) 결정핵을 형성하였다. 이때의 온도는 70 ℃ 내지 80 ℃를 유지하였다. 마이셀 결정핵이 형성된 혼합액에 약 150 중량부의 단량체 혼합물을 교반하며 분당 약 100 방울(drops)의 속도로 적가하며 유화시켰다. 또한 라디칼 개시제는 단량체 혼합물 약 10 중량부가 들어갈 때 약 0.2 중량부가 추가로 첨가되었다.
[고무계 수지 1의 제조]
스티렌 함량이 38 중량%이고 부타디엔 함량이 62 중량%이며, 유리전이 온도가 -16 ℃인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고형분 약 60 중량부로 물에 유화 분산시켜 고무계 수지 1를 제조하였다.
[고무계 수지 2의 제조]
스티렌 함량이 43 중량%이고 부타디엔 함량이 57 중량%이며, 유리전이 온도가 -2 ℃인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고형분 약 60 중량부로 물에 유화 분산시켜 고무계 수지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90 중량부의 상기 제조된 아크릴계 수지와 10 중량부의 상기 제조된 고무계 수지 1을 상온(25 ℃)에서 약 200 rpm의 속도로 약 3분간 물리적으로 혼합하여 장루용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그리고나서, 이를 스테인리스 판 위에 도포기를 이용하여 20 ㎛ 두께로 도포하고, 80 ℃에서 20분간 건조시킨 후에, 25 ℃에서 3시간 숙성하여 점착제층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 때의 아크릴계 수지의 고형분과 고무계 수지 1의 고형분의 중량비는 93:7이었다.
상기 점착제층 시편의 점착력 측정은 ASTM D3330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판(PET 필름)에 폭(20 ㎜) × 길이(100 ㎜)의 시편을 20 ㎛로 도포 한 후에, 2 kg의 롤을 사용하여 300 mm/min의 속도로 PET 필름을 압착한 후, 25 ℃에서 인장시험기(Oriental 사, UTM 180° peel tester)를 이용하여 10 mm/min의 속도로 180°의 박리강도(kgf/mm)를 측정하여 상온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얼음 주머니로 0 ℃의 분위기를 만든 후, 인장시험기(Oriental 사, UTM 180° peel tester)를 이용하여 10 mm/min의 속도로 180°의 박리강도(kgf/mm)를 측정하여 저온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70 중량부의 아크릴계 수지와 30 중량부의 고무계 수지 1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제층 시편을 제조하고, 이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이 때의 아크릴계 수지의 고형분과 고무계 수지 1의 고형분의 중량비는 78.3:21.7이었다.
[실시예 3]
50 중량부의 아크릴계 수지와 50 중량부의 고무계 수지 1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제층 시편을 제조하고, 이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이 때의 아크릴계 수지의 고형분과 고무계 수지 1의 고형분의 중량비는 60.4:39.6이었다.
[실시예 4]
90 중량부의 아크릴계 수지와 10 중량부의 고무계 수지 2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제층 시편을 제조하고, 이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이 때의 아크릴계 수지의 고형분과 고무계 수지 2의 고형분의 중량비는 93:7이었다.
[실시예 5]
70 중량부의 아크릴계 수지와 30 중량부의 고무계 수지 2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제층 시편을 제조하고, 이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이 때의 아크릴계 수지의 고형분과 고무계 수지 2의 고형분의 중량비는 78.3:21.7이었다.
[실시예 6]
50 중량부의 아크릴계 수지와 50 중량부의 고무계 수지 2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제층 시편을 제조하고, 이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이 때의 아크릴계 수지의 고형분과 고무계 수지 2의 고형분의 중량비는 60.4:39.6이었다.
[비교예]
상기 제조한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제층 시편을 제조하고, 이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상온 점착력 및 저온 점착력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점착제의 성능 시험
시험방법: 점착력 시험 (ASTM D3330)
점착제 주요 조성 (wt%) 코팅 두께
(㎛)
상온 점착력
kgf/mm (25 ℃)
저온 점착력
kgf/mm (0 ℃)
점착력 감소율 (ΔF %)
실시예 1 아크릴계(93)
고무계 1(7)
20 0.55 0.42 23.6
실시예 2 아크릴계(78.3)
고무계 1(21.7)
20 0.34 0.15 55.9
실시예 3 아크릴계(60.4)
고무계 1(39.6)
20 0.27 0.21 22.2
실시예 4 아크릴계(93)
고무계 2(7)
20 0.39 0.23 41.0
실시예 5 아크릴계(78.3)
고무계 2(21.7)
20 0.34 0.12 64.7
실시예 6 아크릴계(60.4)
고무계 2(39.6)
20 0.28 0.09 67.9
비교예 아크릴계(100) 20 0.19 0.14 26.3
상기 표 1의 결과에 따르면,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를 이용한 비교예 1의 상온 점착력은 0.19 kgf/mm이고 저온 점착력은 0.14 kgf/mm로서, 점착력 감소율은 26.3 %에 불과하였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와 고무계 수지를 동시에 적용한 실시예 1 내지 6는 모두 비교예 1에 비하여 상온 점착력이 매우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은 점착력 감소율이 모두 20 %를 초과하고, 특히 고무계 수지의 함량이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7.7 중량부인 실시예 2 및 실시예 5는 상온 점착력이 0.3 kgf/mm를 초과하고, 점착력 감소율이 50 %를 크게 상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무계 수지의 함량이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5 중량부인 실시예 1 및 실시예 4는 각각 실시예 2 및 실시예 5에 비하여, 아크릴계 수지의 함량이 높아 상온 점착력은 상대적으로 우수하였으나, 점착력 감소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무계 수지의 함량이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65.6 중량부인 실시예 6은 실시예 5에 비하여 고무계 수지의 함량이 높아 점착력 감소율은 증가하였으나, 상온 점착력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리전이온도가 -2 ℃인 고무계 수지 2를 적용한 실시예 4 내지 6은 유리전이온도가 - 16 ℃인 고무계 수지 1을 적용한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하여 낮은 저온 점착력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보다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짐으로 인하여 0 ℃ 분위기에서 보다 응집이 잘 이루어진 것에 의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성능적인 이점에도 불구하고, 겨울철 장루용 점착 테이프 제품의 유통, 보관을 고려하면 환부에 적용되기 전에 점착제층의 응집이 발생하지 않는 실시예 1 내지 3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 실시예 중 제품의 성능 및 상품성을 고려하였을 때에, 실시예 2가 가장 적합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비하여 상온 점착력이 상대적으로 낮으나, 장루용 점착제의 설계 시에 점착제 테이프의 폭을 증가시키면 점착력 저하 요인을 상쇄할 수 있을 정도의 상온 점착력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들은 아크릴계 수지와 고무계 수지를 각각 제조한 후 일정 비율로 혼합 및 교반한 예시 만을 개시하고 있으나, 아크릴 수지와 고무계 수지를 동시에 제조, 즉 공중합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보다 균일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될 것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장루용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수지 및 고무계 수지를 포함하고,
    25 ℃에서 ASTM D3330에 준하여 측정된 상온 점착력은 적어도 0.3 kgf/mm이며,
    하기 일반식 1에 의하여 정의되는 점착력 감소율(ΔF)이 적어도 50 %이고,
    상기 고무계 수지는 스티렌 함량이 35 중량% 내지 45 중량%인 카르복시 변성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계 수지의 함량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인, 장루용 점착제:
    [일반식 1]
    Figure 112019105608453-pat00003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상온 점착력은 25 ℃에서 ASTM D3330에 준하여 측정된 값이고, 저온 점착력은 0 ℃에서 ASTM D3330에 준하여 측정된 값이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부터 유래된 아크릴계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상기 고무계 수지가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용 점착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루용 점착제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 및 상기 고무계 수지의 복합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용 점착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루용 점착제는 응집제, 점착부여제, 산화방지제, 분산안정제, 커플링제, 증점제 및 건조 조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용 점착제.
  8. 삭제
  9. 삭제
  10.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상에 구비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은 청구항 1에 따른 장루용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장루용 점착 테이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금속 나노 입자,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및 팽창화 흑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전달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KR1020190064673A 2019-05-31 2019-05-31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KR102079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673A KR102079911B1 (ko) 2019-05-31 2019-05-31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PCT/KR2020/006628 WO2020242128A1 (ko) 2019-05-31 2020-05-21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673A KR102079911B1 (ko) 2019-05-31 2019-05-31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911B1 true KR102079911B1 (ko) 2020-02-19

Family

ID=6967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673A KR102079911B1 (ko) 2019-05-31 2019-05-31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9911B1 (ko)
WO (1) WO20202421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128A1 (ko) * 2019-05-31 2020-12-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WO2022197168A1 (ko) 2021-03-19 2022-09-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온도감응형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90A (ja) * 1988-01-27 1990-01-09 Raychem Sa:Nv 接着剤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H03127727A (ja) * 1989-10-13 1991-05-30 Sekisui Chem Co Ltd 貼付剤
JPH10151185A (ja) * 1996-11-21 1998-06-09 Nichiban Co Ltd 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
KR19990076587A (ko) * 1995-12-22 1999-10-1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피부용으로 적합한 감압성 접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70179461A1 (en) * 2006-02-02 2007-08-0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ot-melt silicone based ostomy and wound care skin attachment adhesives
KR101675452B1 (ko) * 2015-08-17 2016-11-14 태영화학공업 주식회사 내한성이 우수한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911B1 (ko) * 2019-05-31 2020-02-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90A (ja) * 1988-01-27 1990-01-09 Raychem Sa:Nv 接着剤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H03127727A (ja) * 1989-10-13 1991-05-30 Sekisui Chem Co Ltd 貼付剤
KR19990076587A (ko) * 1995-12-22 1999-10-1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피부용으로 적합한 감압성 접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JPH10151185A (ja) * 1996-11-21 1998-06-09 Nichiban Co Ltd 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
US20070179461A1 (en) * 2006-02-02 2007-08-0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ot-melt silicone based ostomy and wound care skin attachment adhesives
KR101675452B1 (ko) * 2015-08-17 2016-11-14 태영화학공업 주식회사 내한성이 우수한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128A1 (ko) * 2019-05-31 2020-12-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WO2022197168A1 (ko) 2021-03-19 2022-09-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온도감응형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KR20220130962A (ko) * 2021-03-19 2022-09-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온도감응형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KR102568697B1 (ko) * 2021-03-19 2023-08-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온도감응형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2128A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0463B2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KR100413983B1 (ko) 블렌딩된감압접착제
EP0269421B1 (en) Polyalkyloxazoline-reinforc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6632522B1 (en) Blen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S6441092B1 (en) Wet-stick adhesives
US6518343B1 (en) Wet-stick adhesives, articles, and methods
KR102079911B1 (ko)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CA2101629A1 (en) Temperature zone specif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and adhesive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associated therewith
CA2303262A1 (en) Blen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EP0888412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comprising tacky microspheres
JP3145742B2 (ja) ゴム系感圧性接着剤とその接着シ―ト
EP1194496B1 (en) Wet-stick adhesives
JPH10158621A (ja) 医療用粘着剤組成物
KR102568697B1 (ko) 온도감응형 장루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루용 점착 테이프
US20240182754A1 (en) Temperature-sensitive adhesive for stoma and adhesive tape for stoma comprising same
JP3751046B2 (ja) 感圧接着剤組成物
KR20210065014A (ko) 저온형 점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5052081A2 (en) Single-coated adhesive tape
JP4380806B2 (ja) 医療用途用粘着剤とそれを用いた医療用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JP2023519252A (ja) 極性基を有しない医療用感圧接着剤
JP4592251B2 (ja) エマルジョン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医療用外用材
KR20060073805A (ko) 폴리올레핀용 수성 에멀젼 점착제
JP2002030156A (ja) 粘着シートが貼着された樹脂成型物
JPH0282974A (ja) オムツの固定方法
JPH04320474A (ja) ポリオレフィン用接着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