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859B1 -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859B1
KR102078859B1 KR1020180044535A KR20180044535A KR102078859B1 KR 102078859 B1 KR102078859 B1 KR 102078859B1 KR 1020180044535 A KR1020180044535 A KR 1020180044535A KR 20180044535 A KR20180044535 A KR 20180044535A KR 102078859 B1 KR102078859 B1 KR 10207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et view
spot
mode
link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690A (ko
Inventor
채명석
황호철
나종채
한인규
박은영
유찬미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8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상의 도로에 위치하며 대응되는 파노라마 사진을 갖는 복수의 거리뷰 스팟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재 거리뷰 스팟을 결정하는 거리뷰 스팟 결정 단계; 상기 현재 거리뷰 스팟에 대응하는 상기 파노라마 사진에 기초하여 거리뷰 사진을 제공하는 거리뷰 사진 표시 단계; 인접한 거리뷰 스팟들을 연결하는 링크를 상기 거리뷰 사진에 표시하는 링크 표시 단계;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거리뷰 사진의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를 상기 제1 모드일 때보다 넓게 설정하는 이동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REET VIEW}
본 발명은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리뷰 사진에 스팟들을 연결하는 링크를 표시하고, 연속적인 스팟 이동 입력이 있을 때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를 넓게 설정할 수 있는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지도는 종래의 종이지도를 컴퓨터 등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정보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전자 지도는 종이지도보다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갖가지 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지리정보 시스템(GIS)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전자지도에 지리정보 시스템을 적용하면 위도, 경도, 주소 등의 위치정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기에 전자 지도의 서비스 영역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전자 지도의 서비스 영역의 하나로서, 전자 지도는 기호화된 지도 정보 외에도 온라인 지도라는 특성 상 거리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거리뷰 기능이란, 실제 공간의 촬영 사진을 획득한 후 사용자가 전자 지도 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거리뷰 사진을 요청할 경우 촬영된 사진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종이 지도와 달리 실제 공간의 사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거리뷰 기능은 기호화된 지도에 현실 세계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실제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거리뷰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지도에서 거리뷰 사진에 스팟들을 연결하는 링크를 표시하고, 스팟 이동 입력이 있을 때 링크에 강조 효과를 부가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인 스팟 이동 입력이 있을 때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를 넓게 설정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팟 이동 입력 중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거리뷰 방향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상의 도로에 위치하며 대응되는 파노라마 사진을 갖는 복수의 거리뷰 스팟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재 거리뷰 스팟을 결정하는 거리뷰 스팟 결정 단계; 상기 현재 거리뷰 스팟에 대응하는 상기 파노라마 사진에 기초하여 거리뷰 사진을 제공하는 거리뷰 사진 표시 단계; 인접한 거리뷰 스팟들을 연결하는 링크를 상기 거리뷰 사진에 표시하는 링크 표시 단계;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거리뷰 사진의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를 상기 제1 모드일 때보다 넓게 설정하는 이동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크 표시 단계는 상기 거리뷰 사진에 반투명한 링크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이동 설정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링크 영역의 반투명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링크 영역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는 상기 링크의 링크 영역 내이고,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는 상기 링크 영역을 기설정된 값만큼 좌우로 확장한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이 종료된 후 기설정된 유예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스팟 이동 입력이 종료된 후 상기 유예 시간 내에 제2 스팟 이동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팟 이동 입력의 시작부터 상기 제2 스팟 이동 입력의 종료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제2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설정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을 링크 방향의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으로 나누는 단계; 및 상기 링크 방향의 수평 성분을 스팟 이동을 위한 유효한 입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링크 방향의 수직 성분을 무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은 상기 링크의 링크 영역 내의 한 점을 터치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거리뷰 사진을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 설정 단계는,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의 길이가 기설정된 길이 이상인 경우 상기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의 속도에 대응하는 이동 시간 동안 상기 현재 거리뷰 스팟의 파노라마 사진 및 이동할 거리뷰 스팟의 파노라마 사진을 블랜딩(blending)하여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리뷰 사진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재 거리뷰 방향의 거리뷰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일 때, 방향 변경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거리뷰 스팟의 거리뷰 방향을 변경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변경 명령은, 상기 거리뷰 사진을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상의 도로에 위치하며 대응되는 파노라마 사진을 갖는 복수의 거리뷰 스팟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재 거리뷰 스팟을 결정하는 거리뷰 스팟 결정부; 상기 현재 거리뷰 스팟에 대응하는 상기 파노라마 사진에 기초하여 거리뷰 사진을 제공하는 거리뷰 사진 표시부; 인접한 거리뷰 스팟들을 연결하는 링크를 상기 거리뷰 사진에 표시하는 링크 표시부;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및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거리뷰 사진의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를 상기 제1 모드일 때보다 넓게 설정하는 이동 설정부; 를 포함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크 표시부는 상기 거리뷰 사진에 반투명한 링크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이동 설정부는,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링크 영역의 반투명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링크 영역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이 종료된 후 기설정된 유예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스팟 이동 입력이 종료된 후 상기 유예 시간 내에 제2 스팟 이동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팟 이동 입력의 시작부터 상기 제2 스팟 이동 입력의 종료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제2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팟 이동 입력이 있을 때 링크에 강조 효과를 부가함으로써, 링크를 따라 스팟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적인 스팟 이동 입력이 있을 때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를 넓게 설정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정밀하게 링크를 선택하지 않아도 연속적인 스팟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팟 이동 입력 중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거리뷰 방향 변경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스팟을 이동하는 동안에는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게 거리뷰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도의 거리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뷰 스팟 및 거리뷰 방향에 대응하는 거리뷰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의 거리뷰 사진을 예시한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거리뷰 사진을 예시한 것이다.
도 9 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거리뷰 사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 서버(15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단말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1(110)은 서버(15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접근 요청을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접근 요청에 대응하는 거리뷰 정보를 사용자 단말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거리뷰 정보를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5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120, 130, 14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라우팅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예로서 사용자 단말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들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5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사용자 단말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단말(일례로 사용자 단말 2(120))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사용자 단말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사용자 단말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사용자 단말 1(11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사용자 단말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121)는 전자 지도를 제공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온라인으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 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뷰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뷰 스팟 결정부(310), 거리뷰 사진 표시부(320), 링크 표시부(330), 모드 선택부(340) 및 이동 설정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1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1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프로세서(212)의 구성들은 서버(150)의 프로세서(222) 내에서 구현되고,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212)는 서버(15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전자 지도를 구현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 1(1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1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도 4 의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1 내지 S62)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 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거리뷰 스팟 결정부(310)는 대응되는 파노라마 사진을 갖는 복수의 거리뷰 스팟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재 거리뷰 스팟을 결정한다(S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거리뷰 제공 서비스는 지도 상의 특정 지점들, 특히 도로 상의 거리뷰 스팟들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파노라마 사진은 실제로 도로를 이동하면서 획득한 사진으로서, 광각의 파노라마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거나 연속된 여러 장의 사진을 합성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사진은 도로 상에서 수직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곳에서 촬영한 파노라마 사진일 수 있다. 이때 파노라마 사진을 획득한 위치를 지도상의 거리뷰 스팟이라 본 명세서에서 칭할 수 있다. 거리뷰 스팟은 일반적으로 도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지도 거리뷰 제공 서비스는 지도 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실제 사진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기호로 이루어진 지도의 한계를 벗어나 보다 실제에 가까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거리뷰 스팟을 현재 거리뷰 스팟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뷰 스팟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지도 상에 거리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거리들에 하이라이트 표시(52)가 된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파노라마 사진에 각각 대응하는 거리뷰 스팟(51)들이 지도 상에 존재하고, 거리뷰 스팟(51)들이 존재하는 도로에는 거리뷰 사진을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하이라이트 표시(52)가 될 수 있다. 도 5 의 실시예에서는 거리뷰 스팟(51)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거리뷰 스팟(51)은 생략되고 하이라이트 표시(52)만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거리뷰 플래그(53)의 위치를 조정하여 거리뷰 사진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가 거리뷰 플래그(53)의 위치를 지정하면, 거리뷰 플래그(53)는 거리뷰 스팟(51)들 중 가장 가까운 거리뷰 스팟에 위치되고, 해당 거리뷰 스팟이 현재 거리뷰 스팟(54)이 된다. 또한, 현재 거리뷰 스팟(54)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사진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다음으로, 거리뷰 사진 표시부(320)는 현재 거리뷰 스팟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사진에 기초하여 거리뷰 사진을 제공한다(S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리뷰 제공 서비스에서는 거리뷰 스팟에 대응하는, 해당 거리뷰 스팟에서 실제 촬영한 파노라마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거리뷰 사진은 파노라마 사진의 일부 영역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향 혹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지정된 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거리뷰 스팟에 의해 어떤 파노라마 사진을 제공할 것인지 결정되고, 현재 거리뷰 방향에 의해 파노라마 사진의 어느 영역을 제공할 것인지 결정된다. 즉, 파노라마 사진의 어느 영역을 거리뷰 사진으로 할지를 결정하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현재 거리뷰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현재 거리뷰 방향을 조정하여 마치 현재 거리뷰 스팟에 설치된 팬-틸트-줌(pan-tilt-zoom)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파노라마 사진의 표시 영역, 즉 거리뷰 사진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된 거리뷰 사진 상의 일 점을 왼쪽으로 드래그(drag)함으로써, 현재 거리뷰 사진을 찍고 있는 카메라를 오른쪽으로 패닝(panning)하는 것과 같은 동일한 효과로 거리뷰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링크 표시부(330)는 거리뷰 스팟들을 연결하는 링크를 거리뷰 사진에 표시한다(S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란, 거리뷰 사진에서 인접한 거리뷰 스팟이 어디에 존재하는지, 도로가 어느 방향으로 따라 생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거리뷰 사진에 합성된 도식이다. 또한, 사용자가 링크를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방향으로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링크는 거리뷰 스팟 이동 입력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서, 링크 표시부(330)는 거리뷰 사진에 반투명한 링크 영역을 합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링크가 거리뷰 사진의 도로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된 느낌을 주도록 링크 영역을 생성 및 합성할 수 있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뷰 스팟 및 거리뷰 방향에 대응하는 거리뷰 사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의 실시예에 계속하여, 도 6 은 현재 거리뷰 스팟(54)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사진(61)을 예시한 것이다. 도 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노라마 사진(61)은 가상의 구 형상의 360도 파노라마 사진을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 각도만을 제한적으로 제공하는 파노라마 사진 역시 거리뷰 스팟(51)들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 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거리뷰 플래그(63)에 의해 지정된 현재 거리뷰 스팟(64)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사진(61) 중 거리뷰 사진으로 표시되는 표시 영역(62)이 지정될 수 있다. 표시 영역(62)은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혹은 시스템에 의해 지정된 현재 거리뷰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즉, 파노라마 사진 중 사용자가 지정한 현재 거리뷰 방향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62)이 거리뷰 사진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현재 거리뷰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서 표시 영역(62)을 이동시켜 다른 방향의 거리뷰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현재 거리뷰 방향을 변경하여, 현재 거리뷰 스팟(64)에 설치된 카메라를 팬-틸트하여 원하는 방향의 사진을 획득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모드 선택부(340)는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S4)하여,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S51)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모드를 선택(S61)한다. 본 발명에서, 현재 거리뷰 스팟이 정지된 상태를 제1 모드라 하며, 사용자로부터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드 선택부(340)는 제1 모드를 선택한다. 또한, 모드 선택부(340)는 제1 모드의 상태에서 스팟 이동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하고, 제2 모드의 상태에서 스팟 이동 입력이 종료되면 기설정된 유예 시간 후에 다시 제1 모드를 선택한다. 스팟 이동 입력에 대해서는 제2 모드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방향 변경부(350)는 제1 모드일 때 방향 변경 입력을 감지하여 거리뷰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S62). 보다 상세히, 방향 변경부(350)는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 밖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거리뷰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는, 해당 범위 내의 지점을 터치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가 존재하는 경우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는 거리뷰 사진 내의 링크 영역 범위일 수 있다. 즉, 방향 변경부(350)는 링크 영역 밖의 지점을 터치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 입력을 방향 변경 입력으로 해석할 수 있고, 방향 변경 입력에 따라 거리뷰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의 거리뷰 사진을 예시한 것이다.
도 7 에는 도 5 및 도 6 의 실시예에서 계속하여, 현재 거리뷰 스팟(64)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사진(61)에서 현재 거리뷰 방향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62)의 거리뷰 사진(도 7 의 (a))이 도시되어 있다. 도 7 의 (a) 내지 (e) 와 같은 거리뷰 사진에는 도로 상의 거리뷰 스팟들을 연결하는 링크르 표시한 링크 영역(71)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도 7 의 (a) 내지 (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영역(71)은 거리뷰 사진 상의 도로에서 일정 간격 위로 이격된 모양으로 반투명하게 도시되므로, 거리뷰 사진이 회전되더라도 도로를 따라 마찬가지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도 7 은 거리뷰 스팟이 이동하지 않는 상태인 제1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6 및 도 7 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재 거리뷰 스팟 및 거리뷰 방향을 결정하여 대응하는 거리뷰 사진을 제공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선택된 현재 거리뷰 스팟이 정지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제1 모드는 후술하는 거리뷰 스팟이 이동하는 경우인 제2 모드와 비교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는, 거리뷰 사진에서 일 지점(링크 영역을 제외한 지점)을 선택하여 드래그하는 경우, 도 6 에 도시된 현재 거리뷰 스팟(64)의 파노라마 사진(61)의 표시 영역(62)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표시 영역(62)이 이동됨에 따라 거리뷰 사진이 변경되더라도, 이는 동일 파노라마 사진 내에서의 표시 영역(62)이 이동한 것뿐이므로, 표시되는 링크는 동일 링크이고 따라서 링크 영역(71)의 반투명도 정도는 변화가 없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7 에 나타난 바와 같은 거리뷰 사진은 제1 모드의 거리뷰 사진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7 과 같은 제1 모드, 즉 거리뷰 스팟이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현재 거리뷰 스팟이 고정되며,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의해 파노라마 사진(61)의 표시 영역(62)이 패닝(panning) 및 틸팅(tilting)될 수 있다. 도 6 과 함께 설명하면, 도 6 과 같이 거리뷰 플래그(63)가 현재 거리뷰 스팟(64)에 위치하고, 현재 거리뷰 스팟(64)에 대응하는 파노라마 사진(61)이 존재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거리뷰 사진 상의 일 지점(링크 영역(71)를 제외한 지점)을 드래그하여 파노라마 사진(61) 상의 표시 영역(6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7 의 (a) 사진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거리뷰 사진 상의 한 점을 찍은 후 왼쪽으로 드래그(7(c))하는 경우, 표시 영역은 도 6 의 (c)로 이동하고, 대응하는 도 7 의 (c) 거리뷰 사진이 표시되어, 현재 거리뷰를 비추는 카메라를 오른쪽으로 패닝(panning)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거리뷰 사진 상의 한 점을 찍은 후 아래쪽으로 드래그(7(b))하는 경우, 도 6 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이 도 6 의 (b)로 이동하고, 대응하는 도 7 의 (b) 거리뷰 사진이 표시되어, 현재 거리뷰를 비추는 카메라를 틸팅(tilting)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드 선택부(340)는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S51)할 수 있다. 제2 모드는 거리뷰 현재 스팟이 이동되고 있는 상태로서, 사용자는 링크를 드래그하는 것, 스팟 이동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 거리뷰 플래그를 이동시키는 것 등의 입력을 통해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는 스팟 이동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모드 선택부(340)는 제2 모드를 선택하고, 현재 거리뷰 스팟을 스팟 이동 입력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S5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드 선택부(340)는 사용자가 링크를 드래그하는 경우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 단말에 거리뷰 사진이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거리뷰 사진 상에 표시된 링크 영역 내의 일 점을 터치 시작점으로 하여 드래그하는 경우 링크를 드래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드래그하는 동안 링크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터치가 종료되지 않는 이상 계속하여 링크를 드래그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터치는 터치 패널을 직접 터치하는 것이거나, 혹은 마우스로 선택하는 것 이 될 수 있다. 링크는 도로를 따라 거리뷰 스팟을 연결하는 표식이므로, 사용자가 링크를 드래그하는 경우 링크를 따라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의도의 입력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일 예로, 거리뷰 사진에 링크가 수직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링크를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현재 거리뷰 방향으로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는 스팟 이동 입력이 있다고 판단하고, 윗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현재 거리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는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선택부(340)는 스팟 이동 입력이 종료된 후에도 기설정된 유예 시간 동안 제2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선택부(340)는 스팟 이동 입력이 종료된 후(S54) 유예 시간 내에 다음 스팟 이동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S4), 연속하여 제2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51).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거리뷰 사진 상에 표시된 링크 영역을 드래그하여 스팟 이동 입력을 입력할 수 있으며, 터치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드래그를 하나의 스팟 이동 입력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모드 선택부(340)는 하나의 스팟 이동 입력이 종료된 후, 즉 드래그가 종료된 후 유예 시간 동안 제2 모드를 유지하고, 유예 시간 내에 드래그가 다시 시작되는 경우, 이전 스팟 이동 입력의 시작부터 다음 스팟 이동 입력의 종료까지 연속적으로 제2 모드가 유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설정부(360)는 제2 모드 동안 링크 영역에 강조 효과를 부여하고,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를 제1 모드일 때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S53). 보다 상세히, 이동 설정부(360)는 제2 모드일 때 링크 영역에 강조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강조 효과의 예로서, 제2 모드일 때 거리뷰 사진 상의 링크 영역의 투명도를 제1 모드일 때보다 낮게 설정하여, 거리뷰 사진상의 링크가 보다 잘 보이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제2 모드일 때 거리뷰 사진 상의 링크 영역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여하여 제1 모드일 때보다 링크의 시인성이 좋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설정부(360)는 제2 모드일 때 거리뷰 사진의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를 제1 모드일 때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일 때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는 링크 영역으로서, 터치 시작점이 링크 영역 내에 존재한다면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일 때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는 링크 영역 및 확장 영역으로서, 터치 시작점이 링크 영역 뿐만 아니라 확장 영역에 존재한다면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확장 영역은 링크 영역의 두께를 일정 비율 확장하여 생긴 영역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 동안은 사용자가 정밀하게 링크 영역을 터치하지 않아도, 확장 영역을 터치하는 것 만으로도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스팟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유예 시간 동안 링크 영역 주변의 확장 영역을 터치하여 보다 용이하게 연속적인 스팟 이동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설정부(360)는 사용자의 드래그 길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만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고 기설정된 값보다 짧은 드래그가 입력되는 경우 현재 거리뷰 스팟을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를 드래그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스팟 이동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링크를 따라 거리뷰 스팟이 이동하는 효과를 제공하지만, 드래그 길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만 현재 거리뷰 스팟을 다른 거리뷰 스팟으로 이동시키고, 드래그 길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드래그가 종료되었을 때 현재 거리뷰 스팟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다. 또한, 이때, 드래그 길이는 스팟 이동 입력의 터치 시작점으로부터 터치 종료점까지의 링크 방향의 길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설정부(360)는 현재 거리뷰 스팟을 다음 거리뷰 스팟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거리뷰 사진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팟 이동 입력이 감지되면, 현재 거리뷰 스팟의 파노라마 사진 데이터와 이동할 거리뷰 스팟의 파노라마 사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거리를 이동하는 듯한 느낌을 받도록 합성된 사진을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드래그 속도에 따라 이동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길이 이상의 링크 방향 드래그가 존재하는 경우 드래그 방향의 거리뷰 스팟으로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 설정부(360)는 기설정된 길이 이상의 링크 방향 드래그가 감지될 때 즉각적으로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드래그 길이 또는 속도에 대응하는 이동 시간 동안 현재 거리뷰 스팟의 파노라마 사진 및 이동할 거리뷰 스팟의 파노라마 사진을 블랜딩(blending)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거리뷰 스팟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현재 스팟에서 이동할 스팟으로 이동 시 0.2 초의 이동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듯한 효과를 줄 수 있도록 양 스팟의 파노라마 사진을 블랜딩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드래그 속도가 더 빠를 수록 이동 시간 간격은 더 짧아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기설정된 길이보다 훨씬 큰 값의 링크 방향 드래그를 입력하는 경우 2 개 이상의 거리뷰 스팟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 길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개의 거리뷰 스팟을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설정부(360)는 제2 모드일 때 스팟 이동 입력을 링크 방향의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으로 나누고, 수평 성분은 스팟 이동을 위한 유효한 입력으로 결정하고, 수직 성분은 무시할 수 있다. 즉, 이동 설정부(360)는 스팟 이동 입력의 링크 방향 성분만 유효한 스팟 이동 입력으로 취급하고, 링크 방향에 수직되는 성분에 의한 거리뷰 방향 변경은 없도록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2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거리뷰 사진을 드래그 하였을 때 스팟 이동만 발생하고 거리뷰 방향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제2 모드일때 발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은 시선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스팟 이동을 위한 것일 확률일 높으므로, 사용자의 입력 의도를 반영하여 방향 변경 없이 스팟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거리뷰 방향이 변경될 수 있으며, 거리뷰 사진을 패닝 혹은 틸팅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설정부(360)는 제2 모드일 때 링크 방향이 거리뷰 사진에서 수직 방향에 위치하도록 거리뷰 방향을 먼저 정렬한 후, 그 후에 스팟 이동 입력 중 수직 성분을 스팟 이동을 위한 유효한 입력으로 결정하고, 수평 성분을 무시할 수 있다. 즉, 스팟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할 스팟이 존재하는 방향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링크가 수직이 될 수 있게 거리뷰 방향을 정렬한 후, 드래그 입력을 수평 및 수직 방향 성분으로 나누어 수직 방향 성분만 유효한 스팟 이동 입력으로 결정한다. 이로 인해, 상하 드래그는 틸팅 입력이 아닌 스팟 이동 입력으로 결정되고, 좌우 드래그는 패닝 입력이 아닌 아무 입력이 없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거리뷰 사진을 예시한 것이다.
도 8 은 상단에 도시된 타임라인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화하는 거리뷰 사진들을 예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도 8 의 상단 타임라인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터치 시작부터 제1 터치 종료까지 제1 드래그를 입력하고, 제2 터치 시작부터 제2 터치 종료까지 제2 드래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8 의 실시예에서는 제1 드래그 및 제2 드래그의 링크 방향 드래그 길이가 모두 스팟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길이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가정한다. 도 8 의 예시는 사용자의 스팟 이동 입력에 의해 현재 거리뷰 스팟이 제1 스팟에서 제2 스팟, 제2 스팟에서 제3 스팟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 예이다.
보다 상세히, 도 8 의 터치 타임라인 및 (a)의 거리뷰 사진(81)을 참조하면, 제1 터치 시작으로부터 제1 터치 종료까지 사용자의 제1 드래그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8 의 (a)와 같이 제1 터치 시작점(812)이 링크 영역(811) 내인 경우, 모드 선택부(340)는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제2 모드를 선택한다. 즉, 제1 모드일 때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는 링크 영역(811)이다. 또한, 제1 드래그가 종료될 때 현재 거리뷰 스팟은 제1 스팟에서 제2 스팟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의 터치 타임라인 및 (b)의 거리뷰 사진(82)을 참조하면, 제2 터치 시작으로부터 제2 터치 종료까지 사용자의 제2 드래그 입력이 존재할 수 있다. 모드 선택부(340)는 제1 드래그가 종료된 후에도 바로 제2 모드를 종료하지 않고, 유예 시간 내에 제2 터치가 시작되면 제2 모드를 연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터치 종료 시점에 바로 제2 모드를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유예시간까지 제2 모드를 유지하고, 유예 시간 내에 다른 터치가 존재하는 경우 연속적으로 제2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 동안에는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영역이 링크 영역(821)에서 확장 영역(823)으로 확장될 수 있다. 즉, 도 8 의 (b)와 같이 모드 선택부(340)는 제2 터치 시작점(822)이 확장 영역(823) 내인 경우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 모드를 유지한다. 또한, 제2 드래그가 종료될 때 현재 거리뷰 스팟은 제2 스팟에서 제3 스팟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의 터치 타임라인 및 (c)의 거리뷰 사진(83)을 참조하면, 제2 터치 종료로부터 유예 시간 동안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모드 선택부(340)는 제2 터치 종료 시점, 즉 제2 드래그가 끝난 때로부터 유예 시간이 경과하면 제1 모드를 선택한다. 한편, 이동 설정부(360)는 제1 모드일 때의 링크 영역(831)에 비해 제2 모드일 때의 링크 영역(811, 821)에 강조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도 9 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의 거리뷰 사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 의 (a) 내지 (e)는 거리뷰 사진을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f)는 (a)의 거리뷰 사진의 링크 영역(911)을 사용자가 드래그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의 (a) 및 (f)를 참조하면, (a)의 거리뷰 사진(91)에 링크 영역(911)이 링크 방향(913)으로 존재하며, 제1 모드에서 링크 영역(911)에 강조 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팟 이동 입력을 입력하기 위해, 링크 영역(911) 내의 일 점을 터치 시작점(912)으로 하는 드래그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스팟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면서 링크 영역에 강조 효과가 부가된다. 더불어, 도 9 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팟 이동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스팟 이동을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링크 영역의 방향이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9 의 (b) 의 거리뷰 사진(92)은 (a)의 거리뷰 사진(91)을 (f)의 9b 방향으로 사용자가 드래그한 경우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도 9 의 (c), (d), (e) 의 거리뷰 사진(93, 94, 95)은 (a)의 거리뷰 사진(91)을 각각 (f)의 9c, 9d, 9e 방향으로 사용자가 드래그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9의 (b)에서 알 수 잇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9b 방향으로 링크를 드래그하면, 현재 거리뷰 방향으로 현재 거리뷰 스팟이 이동하며, 링크 영역(921)이 수직이 되도록 거리뷰 사진(92)의 방향이 정렬되고, 더불어 링크 영역(921)에 강조 효과가 더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드래그의 링크 방향의 길이가 기설정된 길이 이상일 때 스팟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드래그의 링크 방향(93) 성분이 기설정된 길이 이상인 경우에 스팟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9 의 (a) 의 거리뷰 사진(91)에서 링크 영역(911) 내의 한 점(912)을 터치 시작점으로 하는 드래그가 존재하는 경우 제2 모드가 실행되고, 거리뷰 사진은 도 9 의 (b) 내지 (e) 와 같이 링크 방향이 거리뷰 사진에 수직되도록 거리뷰 방향이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제2 모드의 실행 중에는 사용자가 9c 혹은 9e 방향으로 드래그, 즉 링크 방향에 수직하게 드래그하여도 거리뷰 사진(92)의 거리뷰 방향은 변경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사용자가 9b 혹은 9d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즉 링크 방향에 수평하게 드래그 입력을 하는 경우 각각 9(b) 및 9(d) 의 거리뷰 사진(92, 94)과 같이 스팟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드래그 길이가 스팟 이동을 위한 기준 길이를 만족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모드에서 링크 영역의 방향이 거리뷰 사진에 수직으로 정렬된 후 드래그의 수직 혹은 수평 성분을 판단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서는 9b 내지 9e 입력의 링크 방향(93) 성분을 참조하여 드래그의 수직 및 수평 성분의 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 150: 서버
170: 네트워크 212: 프로세서
310: 거리뷰 스팟 결정부 320: 거리뷰 사진 표시부
330: 링크 표시부 340: 모드 선택부
350: 방향 변경부 360: 이동 설정부

Claims (16)

  1. 지도 상의 도로에 위치하며 대응되는 파노라마 사진을 갖는 복수의 거리뷰 스팟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재 거리뷰 스팟을 결정하는 거리뷰 스팟 결정 단계;
    상기 현재 거리뷰 스팟에 대응하는 상기 파노라마 사진에 기초하여 거리뷰 사진을 제공하는 거리뷰 사진 표시 단계;
    인접한 거리뷰 스팟들을 연결하는 링크를 상기 거리뷰 사진에 표시하는 링크 표시 단계;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거리뷰 사진의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를 상기 제1 모드일 때보다 넓게 설정하는 이동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표시 단계는 상기 거리뷰 사진에 반투명한 링크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이동 설정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링크 영역의 반투명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링크 영역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가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는 상기 링크의 링크 영역 내이고,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는 상기 링크 영역을 기설정된 값만큼 좌우로 확장한 영역인,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이 종료된 후 기설정된 유예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를 유지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스팟 이동 입력이 종료된 후 상기 유예 시간 내에 제2 스팟 이동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팟 이동 입력의 시작부터 상기 제2 스팟 이동 입력의 종료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제2 모드를 유지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설정 단계는,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을 링크 방향의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으로 나누는 단계; 및
    상기 링크 방향의 수평 성분을 스팟 이동을 위한 유효한 입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링크 방향의 수직 성분을 무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은 상기 링크의 링크 영역 내의 한 점을 터치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거리뷰 사진을 드래그하는 입력인,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설정 단계는,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의 길이가 기설정된 길이 이상인 경우 상기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는,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의 속도에 대응하는 이동 시간 동안 상기 현재 거리뷰 스팟의 파노라마 사진 및 이동할 거리뷰 스팟의 파노라마 사진을 블랜딩(blending)하여 제공하는 것인,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뷰 사진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재 거리뷰 방향의 거리뷰 사진을 표시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일 때, 방향 변경 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거리뷰 스팟의 거리뷰 방향을 변경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변경 명령은, 상기 거리뷰 사진을 드래그하는 입력인,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지도 상의 도로에 위치하며 대응되는 파노라마 사진을 갖는 복수의 거리뷰 스팟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현재 거리뷰 스팟을 결정하는 거리뷰 스팟 결정부;
    상기 현재 거리뷰 스팟에 대응하는 상기 파노라마 사진에 기초하여 거리뷰 사진을 제공하는 거리뷰 사진 표시부;
    인접한 거리뷰 스팟들을 연결하는 링크를 상기 거리뷰 사진에 표시하는 링크 표시부;
    현재 거리뷰 스팟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팟 이동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및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거리뷰 사진의 스팟 이동 입력의 감지 범위를 상기 제1 모드일 때보다 넓게 설정하는 이동 설정부;
    를 포함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표시부는 상기 거리뷰 사진에 반투명한 링크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이동 설정부는,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링크 영역의 반투명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링크 영역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가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스팟 이동 입력이 종료된 후 기설정된 유예 시간 동안 상기 제2 모드를 유지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스팟 이동 입력이 종료된 후 상기 유예 시간 내에 제2 스팟 이동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팟 이동 입력의 시작부터 상기 제2 스팟 이동 입력의 종료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제2 모드를 유지하는, 거리뷰 정보 제공 장치.
KR1020180044535A 2018-01-22 2018-04-17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78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7898 2018-01-22
KR1020180007898 2018-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690A KR20190089690A (ko) 2019-07-31
KR102078859B1 true KR102078859B1 (ko) 2020-02-18

Family

ID=674741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108A KR102136855B1 (ko) 2018-01-22 2018-04-16 거리뷰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44535A KR102078859B1 (ko) 2018-01-22 2018-04-17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108A KR102136855B1 (ko) 2018-01-22 2018-04-16 거리뷰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36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267A (ko) 2019-07-24 202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리관리장치, 및 다리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94329B1 (ko) * 2020-11-13 2022-05-04 김형식 영상 재생 시스템 및 영상 재생 방법
WO2024101776A1 (ko) * 2022-11-09 2024-05-16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3차원 빌딩 모델 및 도로 모델을 이용한 3차원 거리뷰 모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4365A2 (en) 2011-04-12 2012-11-15 Google Inc. Integrating maps and street views
US20130321431A1 (en) 2012-06-05 2013-12-05 Billy P. Ch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transition animation for a map view change
KR101756946B1 (ko) 2017-01-20 2017-07-11 장수진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5336B2 (en) 2004-03-24 2006-12-26 A9.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llecting images of objects at geographic locations and displaying same in online directories
JP5514038B2 (ja) 2010-08-16 2014-06-04 株式会社 ミックウェア ストリートビュー自動出力装置、地図自動出力装置、ストリートビュー自動出力方法、地図自動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20975B1 (ko) * 2010-08-23 2017-04-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화면 처리 방법
KR20170094030A (ko) * 2016-02-05 2017-08-17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실내 내비게이션 및 파노라마 사진 맵핑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4365A2 (en) 2011-04-12 2012-11-15 Google Inc. Integrating maps and street views
US20130321431A1 (en) 2012-06-05 2013-12-05 Billy P. Ch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transition animation for a map view change
KR101756946B1 (ko) 2017-01-20 2017-07-11 장수진 경도선/위도선을 기반으로 교통로를 구성하고, 지도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690A (ko) 2019-07-31
KR20190089689A (ko) 2019-07-31
KR102136855B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5578B2 (ja) 地図メタデーターの3dレイヤリング
US8428873B2 (en) Panoramic images within driving directions
US9122382B2 (en) Method for selecting target at touch point on touch screen of mobile device
US8490025B2 (en)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electronic mapping systems
US9273979B2 (en) Adjustable destination icon in a map navigation tool
US87670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panoramic imagery
TW200821874A (en) Popularity based geographical navigation
KR20170046675A (ko) 경로 중단이 감소된 내비게이션 검색 결과의 제공 기법
EP3004803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adaptively visualizing location based digital information
KR102078859B1 (ko)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06957B1 (ko) 관심 지점의 자동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603131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optimizing map destination routing performance
KR20140024005A (ko) 단거리에서 다중 회전을 수행하기 위한 지원을 갖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US20160116296A1 (en) Providing instant routing options
US201501870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obtrusively changing imagery supplementing a map display
JP6038099B2 (ja) 検索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該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091172B1 (ko) 거리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88592B1 (ko) 스팟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47500B1 (ko) 거리뷰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1681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KR102133472B1 (ko) 거리뷰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101916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and displaying content and list of contents on dual screen
KR20200033242A (ko) 거리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40020742A (ko) 실사 지도를 이용한 부동산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210000140A (ko) 공간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