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543B1 - 바닥재 철거 장치 - Google Patents

바닥재 철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543B1
KR102077543B1 KR1020190086743A KR20190086743A KR102077543B1 KR 102077543 B1 KR102077543 B1 KR 102077543B1 KR 1020190086743 A KR1020190086743 A KR 1020190086743A KR 20190086743 A KR20190086743 A KR 20190086743A KR 102077543 B1 KR102077543 B1 KR 10207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ody member
module
drive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국
Original Assignee
이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국 filed Critical 이재국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of previously fixed floor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철거 장치는, 전, 후방으로 분할되면서 분할된 대향면이 결속되며, 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앞바퀴가 복수 설치되고, 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뒷바퀴가 복수 설치되는 몸체부재; 상기 후방 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뒷바퀴를 속도 변환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시키는 뒷바퀴 구동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닥재를 설치면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칼날이 구비되는 칼날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칼날이 교번되게 전후진과 좌우 회전이 동시에 구현되도록 구동시키는 칼날 구동모듈; 및 상기 뒷바퀴 구동모듈 및 칼날 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진 및 좌우 교번 회전되는 칼날에 의해 바닥재를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하므로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켜 장치의 부품 보호와 작업자의 어깨 통증을 줄일 수 있고, 입주민과의 마찰도 줄일 수 있고 작업자의 효율성이 상당하고, 전, 후방 몸체부재로 분할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상호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하므로 승강기가 없거나 세대가 많은 주택의 경우 이동시 분리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고, 작업시 또는 후진시 속도 변환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극대화가 가능하고, 핸들이 상하, 좌우 360° 회전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고, 작업 여건에 맞게 전, 후방 몸체부재에 소음 및 진동 감소를 위한 웨이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 가능하며, 간단한 레버 조작에 의해 이동시나 칼날 회전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닥재 철거 장치 {APPARATUS FOR REMOVING FLOOR MATERIAL}
본 발명은 바닥재 철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루나 우레탄 등과 같은 바닥재를 칼날로 긁어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바닥면에는 원목,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의 마감용 바닥재가 시공될 수 있다.
마감용 바닥재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바닥면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시공된 바닥재는 건물의 유지보수, 인테리어 등을 이유로 철거, 즉 바닥면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 바닥재 철거장치가 사용된다.
바닥재 철거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커터를 왕복 직선 운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왕복 직선 운동하는 커터는 바닥재를 연속적으로 타격하면서 절단함으로써 바닥면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재 철거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8-0003161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커터 날이 전후 왕복 이동하면서 접착 부위 앞 부분만 반복적인 가압에 의해 바닥재를 분리시키므로 바닥재 제거가 잘 안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8-0003161호(2018.11.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동시에 전진 및 좌우 교번 회전되는 칼날에 의해 바닥재를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바닥재 철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철거 장치는, 전, 후방으로 분할되면서 분할된 대향면이 결속되며, 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앞바퀴가 복수 설치되고, 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뒷바퀴가 복수 설치되는 몸체부재; 상기 후방 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뒷바퀴를 속도 변환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시키는 뒷바퀴 구동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닥재를 설치면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칼날이 구비되는 칼날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칼날이 교번되게 전후진과 좌우 회전이 동시에 구현되도록 구동시키는 칼날 구동모듈; 및 상기 뒷바퀴 구동모듈 및 칼날 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 후방 몸체부재는 이웃한 바닥면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에 제1 지지부에 의해 회전되는 결속볼트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바닥면에 체결홀이 형성된 제2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 몸체부재의 후벽에 높낮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을 위해 회전되는 핸들이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뒷바퀴 구동모듈은, 구동축에 구동 스프로켓이 설치되는 제1 구동모터;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상태로 양단이 지지된 제1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제1 체인에 의해 종동되는 제1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제1 종동 스프로킷과 이격 설치된 제2 종동 스프로켓 및 제3 종동 스프로켓; 및 상기 제1 구동축과 평행한 상태로 양측이 지지되면서 양단에 상기 뒷바퀴가 설치된 뒷바퀴축 상에 상기 제2 종동 스프로켓 및 제3 종동 스프로킷과 제2, 3 체인에 의해 각각 종동되도록 설치된 제4 종동 스프로켓 및 제5 종동 스프로킷;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제4 종동 스프로킷에 의해 동력이 상기 뒷바퀴축으로 전달되면 상기 뒷바퀴가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고, 상기 제3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제5 종동 스프로킷에 의해 동력이 상기 뒷바퀴축으로 전달되면 상기 뒷바퀴가 저속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뒷바퀴 구동모듈이 설치된 후방 몸체부재의 후벽에 기어비에 의해 변속시켜 상기 뒷바퀴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모듈은, 상기 후방 몸체부재의 후면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 레버; 및 상기 클러치 레버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에 의해 상기 제4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제5 종동 스프로킷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4 종동 스프로켓 또는 상기 제5 종동 스프로킷의 대향된 내주면에 형성된 제1, 2 내기어 중 어느 하나의 내기어와 치합되도록 양단에 제1, 2 외기어가 각각 형성된 이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모듈은, 상하 분할된 상태에서 일단에 칼날이 고정되며, 타단에 결속돌기가 형성되는 칼날 고정구; 상기 칼날 고정구가 중심부의 횡 방향의 회전축을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칼날 고정구와 이웃한 일단에 결속홈이 형성되는 칼날 지지구; 상기 칼날 지지구의 양측에 지지되며, 상기 칼날 지지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호홀이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칼날 지지구의 타단에 연결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의 일부에 편심부가 형성된 제1 레버; 및 상기 연결축의 편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레버의 회전시 상기 편심부에 의해 전진되면서 상기 회전축을 연동시켜 상기 칼날 고정구의 결속돌기를 상기 칼날 지지구의 결속홈에서 이격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 구동모듈은, 구동축 상에 구동풀리가 설치된 제2 구동모터;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 종동축의 단부에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설치되는 제1 종동풀리 및 상기 제1 종동풀리와 이격된 제2 종동축 상에 설치되는 안기어; 상기 제2 종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3 종동축에 상기 안기어와 치합되도록 설치된 제1 기어; 상기 제3 종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부에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제2 종동풀리가 설치되며, 양측에 제1 편심부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크랭크축; 상기 제1 크랭크축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제1 기어에 의한 제3 종동축의 회전시 기어군에 의해 연동되며, 양측에 제2 편심부가 상호 대각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크랭크축; 상기 제1 크랭크축의 제1 편심부와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크랭크축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캠커버; 및 상기 제2 크랭크축의 제2 편심부와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칼날모듈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캠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캠커버와 이와 대향된 상기 칼날모듈의 양단에 연결된 동력전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모듈은, 상기 제2 캠커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마다 각각 연결되며, 양 단부가 상기 칼날모듈의 양단에 연결되는 출몰부; 및 상기 출몰부가 이동하도록 내부에 홀이 형성되고, 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크랭크축은 구동시 양측의 제1 편심부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캠커버에 의해 칼날을 전후 구동시키고, 상기 제2 크랭크축은 구동시 양측의 제2 편심부가 상호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캠커버에 의해 상기 칼날의 양쪽을 중심을 기점으로 좌우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크랭크축 및 상기 제2 크랭크축은 3:1의 속도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몸체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칼날모듈의 회전시 상기 전방 몸체부재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앞바퀴 회전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앞바퀴 회전모듈은, 상기 앞바퀴를 각각 지지하도록 이격 배치된 앞바퀴 지지부; 상기 앞바퀴 지지부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레버 지지축; 및 상기 제2 레버 지지축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제2 레버 지지축에 의해 상기 앞바퀴 지지부가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하는 제2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 후방 몸체부재의 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웨이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진 및 좌우 교번 회전되는 칼날에 의해 바닥재를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하므로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켜 장치의 부품 보호와 작업자의 어깨 통증을 줄일 수 있고, 입주민과의 마찰도 줄일 수 있고 작업자의 효율성이 상당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 후방 몸체부재로 분할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상호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하므로 승강기가 없거나 세대가 많은 주택의 경우 이동시 분리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시 또는 후진시 속도 변환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극대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이 상하, 좌우 360°회전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여건에 맞게 전, 후방 몸체부재에 소음 및 진동 감소를 위한 웨이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레버 조작에 의해 이동시나 칼날 회전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에서 전, 후방 웨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에서 전, 후방 몸체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에서 앞바퀴가 들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에서 뒷바퀴 구동모듈, 칼날 구동모듈, 동력전달모듈 및 칼날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에서 뒷바퀴 구동모듈, 칼날 구동모듈, 동력전달모듈 및 칼날모듈을 더욱 자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에서 동력전달모듈 및 칼날 구동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에서 칼날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에서 칼날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에서 칼날모듈의 칼날지지구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에서 칼날모듈이 좌우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철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10)는 몸체부재(100), 핸들 모듈(200), 뒷바퀴 구동모듈(300), 클러치 모듈(400), 앞바퀴 회전모듈(500), 칼날 구동모듈(600), 동력전달모듈(700), 칼날모듈(800) 및 콘트롤러(900)를 포함한다.
몸체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몸체부재(110)와 후방 몸체부재(120)로 분할되면서 분할된 대향면이 결속되며, 전방 몸체부재(110)의 하부에 앞바퀴(512)가 복수 설치되고, 후방 몸체부재(120)의 하부에 뒷바퀴(132)가 복수 설치된다.
이때, 뒷바퀴(132)는 양쪽을 연결하도록 횡방향의 뒷바퀴축(132)이 설치되며, 뒷바퀴축(132)을 지지하는 양측의 뒷바퀴 지지브래킷(134)이 바닥판(121)의 저면에 설치된다.
전방 몸체부재(110)는 바닥판(111)과, 바닥판(111)의 전방에 위치된 전벽(112)과, 전벽(112)의 상단에 연결되며 바닥판(111)에서 소정거리 상향 이격된 상판(113)과, 바닥판(111), 전벽(112) 및 상판(113)을 양측에서 연결하는 측벽(114)으로 구성된다.
후방 몸체부재(120)는 바닥판(121)과, 바닥판(121)의 양측에 직립되는 측벽(122), 측벽(122)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판(123)과, 바닥판(121), 측벽(122) 및 상판(123)을 연결하는 후벽(124)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전방 몸체부재(110)와 후방 몸체부재(120)가 상호 체결되도록 전방 몸체부재(110)의 바닥판(111) 후방 중심부에 제1 지지부(126)가 구비되고, 후방 몸체부재(120)의 바닥판(121) 전방 중심부에 결속볼트(12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2 지지부(126)가 구비된다.
이때, 결속볼트(128)는 도 8을 참조하면, 전방에 테이퍼가 형성되면서 테이퍼진 선단에 나사축(128a)이 형성되어 내부에 테이퍼홈 형상의 체결홀이 형성된 제1 지지부(126)의 내주면 선단의 나선홀과 나선 체결된다.
그리고 전방 몸체부재(110)의 전벽(112)과, 후방 몸체부재(120)의 후벽(124)에는 전, 후방 웨이트(W1, W2)가 볼트 등에 의해 탈부착된다. 이를 위해, 전벽(112)에 복수의 웨이트 체결공(112a)이 복수 형성되고, 후벽(124)에 복수의 웨이트 체결공(124b)이 복수 형성된다.
더욱이, 도 7을 참조하면, 후방 몸체부재(120)의 후벽(124)에는 종축 기준 대칭 위치된 핸들 모듈(200)의 핸들(210)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핸들(210)의 하단 고정 지점을 기준으로 동일 반경을 갖는 결속공(124a)이 설정각도만큼 형성된다.
핸들 모듈(20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10) 및 클램프(220)를 포함한다.
핸들(210)은 후방 몸체부재(120)의 후벽(124)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봉(212)과, 고정봉(212)이 하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승강봉(214)을 포함한다.
이때, 승강봉(214)의 하단은 소정 길이만큼 절개부(214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클램프(220)에 의한 조임시 고정봉(212)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봉(214)은 고정봉(212)에서 높낮이가 조절되고, 제자리에서 360°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클램프(220)는 승강봉(214)의 외주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측벽에 절개된 절개부를 볼트에 의해 조이게 되면 승강봉(214)의 외주면에 가압되면서 고정봉(212)의 외주면까지 조이게 한다.
한편, 클램프(220)는 볼트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가 후방 몸체부재(120)의 후벽(124)에 소정 각도만큼 방사상으로 형성된 결속공(124a)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면 핸들(210)의 사잇각 조절이 가능하다.
뒷바퀴 구동모듈(3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몸체부재(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뒷바퀴(130)를 속도 변환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시키며, 제1 구동모터(302), 제1 종동축(310), 제1 종동 스프로킷(312), 제2 종동 스프로킷(314), 제3 종동 스프로킷(316), 제4 종동 스프로켓(320) 및 제5 종동 스프로켓(324)을 포함한다.
제1 구동모터(302)는 구동축에 구동 스프로킷(304)이 설치되어, 뒷바퀴(13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1 종동축(310)은 제1 구동모터(302)의 구동축과 평행한 후방에 양단이 후방 몸체부재(120)의 양쪽 측벽(122)에 지지된다.
제1 종동 스프로킷(312)은 구동 스프로킷(304)과 이웃한 제1 종동축(310)에 설치되어 구동 스프로켓(304)의 구동력이 제1 체인(306)에 의해 종동된다.
제2 종동 스프로킷(314)은 제1 종동축(3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3 종동 스프로킷(316)은 제1 종동축(310)의 타측에 결합된다. 이때, 제2 종동 스프로킷(314)은 제3 종동 스프로켓(316) 대비 기어이 수가 많게 형성된다.
제4 종동 스프로킷(320)은 제2 종동 스프로킷(314)과 이웃한 뒷바퀴축(132)에 설치되어 제2 체인(314a)에 의해 제2 종동 스프로킷(314)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된다.
제5 종동 스프로킷(324)은 제3 종동 스프로킷(316)과 이웃한 뒷바퀴축(132)에 설치되어 제3 체인(316a)에 의해 제3 종동 스프로킷(316)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된다.
이때, 제4 종동 스프로킷(320)과 제5 종동 스프로킷(324)은 뒷바퀴축(132)과 연동되지 않는다.
한편, 제5 종동 스프로킷(324)은 제4 종동 스프로킷(320) 대비 기어이 수가 많게 형성된다.
더욱이, 제4 종동 스프로킷(320)은 도 10을 참조하면, 제5 종동 스프로킷(324)과의 대향면에 제1 내기어(322)가 형성되고, 제5 종동 스프로킷(324)은 제4 종동 스프로킷(320)과의 대향면에 제2 내기어(326)가 형성된다. 이렇게, 클러치 모듈(400)의 이동기어(420)가 이동하면서 이동기어(420)의 양단에 형성된 제1 외기어(422) 및 제2 외기어(424) 중 제1 외기어(422)가 제4 종동 스프로킷(320)의 제1 내기어(322)에 치합되면 뒷바퀴축(132)이 고속 회전되고, 제2 외기어(424)가 제5 종동 스프로킷(324)의 제2 내기어(326)에 치합되면 뒷바퀴축(132)이 저속 회전된다.
클러치 모듈(40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바퀴 구동모듈(300)이 설치된 후방 몸체부재(120)의 후벽(124)에 기어비에 의해 변속시켜 뒷바퀴(130)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회전시키며, 클러치 레버(410), 이동기어(420), 각도제한부(430) 및 스위치(440)를 포함한다.
클러치 레버(410)는 후방 몸체부재(120)의 후벽(124) 중앙에 하부가 축(412)에 의해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클러치 레버(410)는 하부에 걸림부(412a)가 제1 외기어(422)와 제2 외기어(424)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자유 회전된다.
이동기어(420)는 제4 종동 스프로킷(320)과 제5 종동 스프로킷(324)의 사이인 뒷바퀴축(132) 상에 위치되어, 양단에 제1 외기어(422)와 제2 외기어(424)가 형성된다.
더욱이, 이동기어(420)는 제1 외기어(422)와 제2 외기어(424)의 사이에 형성된 홈에 클러치 레버(410)의 하단이 연결되어 클러치 레버(410)의 회전에 따라 제4 종동 스프로켓(320) 또는 제5 종동 스프로켓(324)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클러치 레버(41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이동기어(420)의 제1 외기어(422)가 제4 종동 스프로킷(320)의 제1 내기어(322)에 치합되면서 제1 구동모터(302)의 구동력이 제2 체인(314a)에 의해 제2 종동 스프로킷(314)에서 제4 종동 스프로킷(320)으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뒷바퀴축(132)을 고속 회전시킨다. 이때, 제3 종동 스프로킷(316)은 제3 체인(316a)에 의해 제5 종동 스프로킷(324)으로 전달되지만 제5 종동 스프로켓(324)의 회전력이 뒷바퀴축(132)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클러치 레버(41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이동기어(420)의 제2 외기어(424)가 제5 종동 스프로킷(324)의 제2 내기어(326)에 치합되면서 제1 구동모터(302)의 구동력이 제3 체인(316a)에 의해 제3 종동 스프로킷(316)에서 제5 종동 스프로킷(324)으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뒷바퀴축(132)을 저속 회전시킨다. 이때, 제4 종동 스프로킷(320)은 제2 체인(314a)에 의해 제4 종동 스프로킷(320)으로 전달되지만 제4 종동 스프로켓(320)의 회전력이 뒷바퀴축(132)에 전달되지 않는다.
각도제한부(430)는 클러치 레버(41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구성으로 후방 몸체부재(120)의 후벽(124) 양측에 고정되는 지지블럭(432)과, 지지블럭(432)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홀에 나선 체결되면서 체결 정도에 따라 각각 출몰하는 각도제한부(430)를 포함한다.
스위치(440)는 후방 몸체부재(120)의 후벽(124) 양측에 고정되어 클러치 레버(410)가 회전되면서 신호를 입력하면 이를 컨트롤러(900)의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리미트 스위치 등이 적용된다.
앞바퀴 회전모듈(5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몸체부재(110)의 바닥판(111) 하부에 설치되어 칼날모듈(800)에서 마모된 칼날(802)을 회전시키기 위해 몸체부재(100) 중 전방 몸체부재(1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하며, 앞바퀴 지지부(510), 제2 레버 지지축(520) 및 제2 레버(530)를 포함한다.
앞바퀴 지지부(510)는 하부에 이격된 앞바퀴(51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레버 지지축(520)은 한 쌍의 앞바퀴 지지부(510) 상부를 동일수평선상에 고정시키며, 양단을 지지하는 앞바퀴 지지브래킷(522)이 전방 몸체부재(110)의 바닥판(111) 하부에 고정된다.
제2 레버(530)는 제2 레버 지지축(520)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시 제2 레버 지지축(520)에 의해 앞바퀴 지지부(510)가 세워지거나(도 6 참조) 눕혀지도록(도 5 참조) 한다.
따라서, 제2 레버(530)를 작업자 방향으로 당기면 앞바퀴(512)가 눕혀지게 되고, 작업자 반대 방향으로 밀면 앞바퀴(512)가 세워지면서 몸체부재(100)의 전방이 지면으로부터 들리게 된다.
이때, 제2 레버(530)는 칼날모듈(800)의 제1 레버(844)와 간섭하지 않도록 전방기준 좌측에 설치되게 한다.
칼날 구동모듈(600)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몸체부재(110)에 설치되어 칼날(802)이 교번되게 전후진과 좌우 회전이 동시에 구현되도록 구동시키며, 제2 구동모터(602), 제2 종동축(610), 안기어(612), 제1 종동풀리(614), 제3 종동축(620), 제1 크랭크축(630), 제2 종동풀리(632), 제2 크랭크축(640), 제1 캠커버(650) 및 제2 캠커버(660)를 포함한다.
제2 구동모터(602)는 전방 몸체부재(110)의 상판(113)에 고정되며, 구동축에 구동풀리(604)가 설치되어, 칼날모듈(8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더욱이, 제2 구동모터(602)의 구동력은 벨트(606)를 통해 구동풀리(604)와, 제1 종동풀리(614) 및 제2 종동풀리(632)로 전달되며, 벨트(606)가 복수의 아이들(I)에 의해 텐션이 조절된다.
제2 종동축(610)은 제2 구동모터(602)의 구동축과 하측에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양단이 전방 몸체부재(110)의 양 측벽(114)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제2 종동축(610)은 일측이 전방 몸체부재(110)의 측벽(114)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제1 종동풀리(614)가 설치된다.
안기어(612)는 제2 종동축(610)에 설치되어 제3 종동축(620)에 설치된 제1 기어(622)와 치합된다.
제3 종동축(620)은 제2 종동축(610)과 평행하게 위치되며, 양단이 전방 몸체부재(110)의 양 측벽(114)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제3 종동축(620)에는 제2 종동축(610)의 안기어(612)와 치합되도록 제1 기어(622)와, 기어군(624) 중 제2 기어(624a)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기어군(624)은 제2 구동모터(602)의 구동력이 제1 크랭크축(630)과 제2 크랭크축(640)에 전달될 때 제1 크랭크축(630)과 제2 크랭크축(640)의 속도비가 3:1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어군(624)은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2 기어(624a), 제3 기어(624b) 및 제4 기어(624c)로 구성되면서 양측의 기어커버(626)를 통해 지지된다. 그리고 제4 기어(624c)에 제2 크랭크축(640)이 설치되어 최종적으로 제2 크랭크축(640)을 회전시킨다.
제1 크랭크축(630)은 이격된 축지지 브래킷(631)에 의해 전방 몸체부재(110)의 바닥판(111) 저면 양단에 지지되며, 동력전달모듈(700)을 통해 칼날모듈(800)을 전후로 교번 왕복 운동시킨다.
여기서, 제1 크랭크축(630)은 전방 몸체부재(110)의 측벽(114)의 외부로 관통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제2 종동풀리(632)가 설치된다.
더욱이, 제1 크랭크축(63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커버(650)와 연결되는 양측에 제1 편심부(631)가 동일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크랭크축(630)의 회전시 양측의 제1 편심부(631)에 의해 양측의 제1 캠커버(650)가 동일하게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므로 반복 과정을 통해 칼날(802)이 전후 반복 이동되는 것이다.
제2 크랭크축(640)은 제1 크랭크축(630)과 평행한 전방에 배치되어 동력전달모듈(700)을 통해 칼날모듈(800)을 좌우로 교번 회전 운동시킨다.
그리고 제2 크랭크축(64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캠커버(660)와 연결되는 양측에 제2 편심부(641)가 상호 대각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도 15를 참조하면, 제2 크랭크축(640)의 회전시 양측의 제2 편심부(641)에 의해 일측의 제2 캠커버(660)가 전진하면 타측의 제2 캠커버(660)는 후진하고, 일측의 제2 캠커버(660)가 후진하면 타측의 제2 캠커버(660)는 전진하는 반복 과정을 통해 칼날(8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회전되는 것이다.
제1 캠커버(650)는 일단이 제1 크랭크축(630)의 제1 편심부(631)에 고정된 베어링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크랭크축(640)에 각각 연결되어, 제1 크랭크축(630)의 회전시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된다.
제2 캠커버(660)는 일단이 제2 크랭크축(640)의 제2 편심부(641)에 고정된 베어링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동력전달모듈(700)의 결합부(710)에 각각 연결되어, 제2 크랭크축(640)의 회전시 일측은 전진되면서 타측은 후진되거나, 일측은 후진되면서 타측은 전진된다.
동력전달모듈(700)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캠커버(660)와 이와 대향된 칼날모듈(800)의 양단에 연결되어 칼날 구동모듈(600)의 동력을 칼날모듈(800)에 전달하며, 결합부(710), 출몰부(720) 및 안내부(730)를 포함한다.
결합부(710)는 평면 형상이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홈에 양측 제2 캠커버(660)의 선단이 축에 의해 연결된다.
출몰부(720)는 일단은 결합부(7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칼날모듈(800)의 각도조절부(830)에 수직하게 고정된 연결구(722)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일단과 타단 사이는 수평방향의 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연결구(7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모듈(800)의 각도조절부(830) 선단에 형성된 체결홀(834)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단에 나선축이 형성되어 체결홀(834)의 상측에서 너트로 체결되며, 하부에 베어링이 높이 방향으로 복수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구(722)의 하부에 구비된 베어링이 출몰부(720)의 선단에 결합되므로 출몰부(720)의 선단이 좌우 회전 가능해진다.
안내부(730)는 전방 몸체부재(110)의 바닥판(111)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내부에 횡방향의 홀(732)이 형성되어 출몰부(720)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칼날모듈(80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몸체부재(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바닥재를 설치면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칼날(802)이 구비되며, 칼날 고정구(810), 칼날 지지구(820), 각도 조절부(830) 및 연결축(840)을 포함한다.
칼날 고정구(810)는 칼날 상부 고정구(816)와 칼날 하부 고정구(812)로 분할된 상태에서 칼날 상부 고정구(816)와 칼날 하부 고정구(812)의 대향면 선단에 칼날(802)이 고정되며, 후면에 길이방향의 결속돌기(814)가 형성된다.
칼날 상부 고정구(816)의 상면에는 다수의 볼트삽입공(816a)이 형성되어 볼트를 통해 칼날 하부 고정구(812)와 결합된다.
이때, 칼날 하부 고정구(812)의 후면 중심부에 홈이 형성되고 홈에 회전축(818)이 설치브래킷(818a)에 의해 고정된다.
회전축(818)은 머리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볼트 형태로 형성되고, 설치브래킷(818a)은 반구 형상의 홈이 홀의 선단에 형성되어 회전축(818)의 머리를 기준으로 칼날 고정구(810)의 회전이 가능하다.
칼날 지지구(820)는 칼날 상부 고정구(816)의 배면과 양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형성된 슬릿홀(824)을 관통한 횡 방향의 회전축(818)을 통해 칼날 고정구(816)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더욱이, 칼날 지지구(820)는 칼날 고정구(810)의 후면에 형성된 결속돌기(814)와 대응되도록 전면에 길이방향의 결속홈(822)이 형성된다. 이는 칼날 고정구(810)의 결속돌기(814)가 칼날 지지구(820)의 결속홈(822)에 결합되면 칼날 고정구(810)와 칼날 지지구(820)가 일체화되고, 칼날 고정구(810)의 결속돌기(814)가 칼날 지지구(820)의 결속홈(822)에서 이격되면 칼날 고정구(810)와 칼날 지지구(820)가 분리되면서 칼날 고정구(81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슬릿홀(824)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축(818)이 세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칼날 고정구(810)가 상향 또는 하향 회전 가능해진다.
각도 조절부(830)는 칼날 지지구(820)의 양측에 지지되며, 칼날 지지구(8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일측에 기준홀(832a)이 형성되고, 기준홀(832a)을 기준으로 설정 반경을 갖도록 원호홀(832b)이 형성된다.
즉, 각도 조절부(830)는 기준홀(832a)을 통해 제1 볼트(B1)가 칼날 지지구(820)의 양측벽에 각각 체결되고, 원호홀(832b)을 통해 제2 볼트(B2)가 칼날 지지구(820)의 양측벽에 각각 체결되어 기준홀(832a)을 기준으로 원호홀(832b)의 거리만큼 칼날 지지구(820)가 회전 가능하다.
더욱이, 각도 조절부(830)는 선단에 체결홀(834)이 형성되어 동력전달모듈(700)의 연결구(722)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격된 각도 조절부(830)는 연결바(836)에 의해 지지되어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연결축(840)은 칼날 지지구(820)의 후면에 브래킷(848)에 의해 횡방향으로 지지되며 단부에 제1 레버(844)가 설치된다. 이때, 제1 레버(844)는 앞바퀴 회전모듈(500)의 제2 레버(530)와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축(840)은 슬릿홀(824)의 후방에 편심부(842)가 형성되어 회전시 편심부(842)에 의해 편심부(842)에 결합된 가압부(846)의 전면을 전후 이동시킨다.
가압부(846)는 전면 중심부에 회전축(818)의 단부가 고정되면서 전진시 회전축(818)을 전진시킴으로써 칼날 고정구(810) 중 칼날 하부 고정구(812)의 결속돌기(814)를 칼날 지지구(820)의 결속홈(822)에서 이격시킬 수 있게 하고, 후진시 회전축(818)을 후진시킴으로써 칼날 고정구(810) 중 칼날 하부 고정구(812)의 결속돌기(814)를 칼날 지지구(820)의 결속홈(822)에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콘트롤러(900)는 후방 몸체부재(120)의 상판(123)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뒷바퀴 구동모듈(300)에 의한 뒷바퀴(13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등을 제어하게 하고, 칼날 구동모듈(600)에 의한 칼날(802)의 구동 속도 및 시간 등을 제어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10)에 의해 바닥재를 철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부재(100)가 전방 몸체부재(110)와 후방 몸체부재(120)로 분리 가능하므로 승강기가 없거나 세대가 많은 주택의 경우 이동시 분리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방 몸체부재(110)와 후방 몸체부재(120)의 결합시 전방 몸체부재(110)와 후방 몸체부재(120)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결속볼트(128)를 통해 전방 몸체부재(110)의 바닥판(111) 후방에 구비된 제1 지지부(126)와 후방 몸체부재(120)의 바닥판(121) 전방에 구비된 제2 지지부(126)를 서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핸들 모듈(200)의 핸들(210) 위치를 조절한다. 즉, 핸들(210)의 위치 조절이 요구되면 클램프(220)에서 볼트를 분리시켜 승강봉(214)을 고정봉(212)으로부터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승강봉(214)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이웃한 핸들(210)의 사잇각 조절이 요구되면 클램프(220)에서 볼트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후벽(124)에 형성된 복수의 결속공(124a) 중 어느 하나와 체결시키게 된다.
이렇게, 분리된 전방 몸체부재(110)와 후방 몸체부재(120)를 상호 결합시키고, 핸들(210)의 위치조절이 완료되면 바닥재 철거를 시작하게 된다.
이는 콘트롤러(900)를 조작하여 바닥재 철거 조건을 맞춘 상태에서 클러치 모듈(400)의 클러치 레버(41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클러치 레버(410)의 하단이 이동기어(420)를 뒷바퀴축(132)의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구동모터(302)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킷(304)이 구동되면서 제1 체인(306)에 의해 제1 종동 스프로킷(312)이 종동되고 제1 종동 스프로킷(312)과 함께 제1 종동축(310)에 설치된 제2 종동 스프로킷(314)과 제3 종동 스프로킷(316)이 같이 회전된다.
그리고 제2 종동 스프로킷(314)과 제3 종동 스프로킷(316)에 제2 체인(314a)과 제3 체인(316b)에 의해 각각 제4 종동 스프로킷(320) 및 제5 종동 스프로킷(324)이 종동된다.
다음으로, 이동기어(420)가 뒷바퀴축(132)의 우측으로 이동되어 우측에 형성된 제2 외기어(424)가 제5 종동 스프로킷(324)의 제2 내기어(326)에 치합되면서 제3 종동 스프로킷(316)과 제5 종동 스프로킷(324)의 기어비에 맞게 뒷바퀴축(132)이 저속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뒷바퀴축(132)이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바닥재 철거 장치(10)가 전진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클러치 모듈(400)의 클러치 레버(410)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클러치 레버(410)의 하단이 이동기어(420)를 뒷바퀴축(132)의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구동모터(302)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킷(304)이 구동되면서 제1 체인(306)에 의해 제1 종동 스프로킷(312)이 종동되고 제1 종동 스프로킷(312)과 함께 제1 종동축(310)에 설치된 제2 종동 스프로킷(314)과 제3 종동 스프로킷(316)이 같이 회전된다.
그리고 제2 종동 스프로킷(314)과 제3 종동 스프로킷(316)에 제2 체인(314a)과 제3 체인(316b)에 의해 각각 제4 종동 스프로킷(320) 및 제5 종동 스프로킷(324)이 종동된다.
다음으로, 이동기어(420)가 뒷바퀴축(132)의 좌측으로 이동되어 좌측에 형성된 제1 외기어(422)가 제4 종동 스프로킷(320)의 제1 내기어(322)에 치합되면서 제2 종동 스프로킷(314)과 제4 종동 스프로킷(320)의 기어비에 맞게 뒷바퀴축(132)이 고속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뒷바퀴축(132)이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바닥재 철거 장치(10)가 고속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외에도 바닥재 철거 장치(10)의 후진시에도 저속 또는 고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구동모터(602)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풀리(604)이 구동되면서 벨트(606)에 의해 제1 종동풀리(614) 및 제2 종동풀리(632)가 각각 종동되면서 제2 종동풀리(632)가 설치된 제1 크랭크축(630)이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제1 종동풀리(614)가 설치된 제2 종동축(610)이 회전되면서 제2 종동축(610)에 설치된 안기어(612)가 이와 치합된 제1 기어(622)를 동작시키고 제1 기어(622)가 설치된 제3 종동축(620)이 회전되며, 제3 종동축(620)의 회전시 제3 종동축(620)과 제2 크랭크축(640)을 연결한 기어군(624)에 의해 제2 크랭크축(640)이 회전된다.
다음으로, 제1 크랭크축(630)의 회전시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 양측의 제1 편심부(631)에 의해 양측의 제1 캠커버(650)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므로 반복 과정을 통해 양쪽의 동력전달모듈(700)이 전후 반복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2 크랭크축(640)의 회전시 상호 대각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양측의 제2 편심부(641)에 의해 양측의 제2 캠커버(660) 중 일측이 전진하면 타측은 후진하게 되므로 반복 과정을 통해 칼날(8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제1 크랭크축(630)과 제2 크랭크축(640)은 3:1의 속도비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제2 캠커버(660)의 선단에 설치된 결합부(710)가 제1 크랭크축(630)과 제2 크랭크축(640)의 회전에 의해 출몰부(720)를 전후 왕복 이동시키면서 출몰부(720)의 선단에 연결구(722)를 통해 연결된 칼날모듈(800)을 이동시킨다.
이렇게, 칼날모듈(800)이 제1 크랭크축(630)의 회전에 의한 반복적인 전후진과, 제2 크랭크축(640)의 회전에 의한 반복적인 좌우 회전에 의해 지면에 부착된 바닥재를 용이하게 제거하게 된다.
더욱이, 칼날(802)에 의해 제거된 바닥재는 칼날 상부 고정구(816)의 상면에 부착된 바닥재가이드(G)에 의해 방향이 안내된다.
한편, 지면으로부터 칼날(802)의 세워짐 각도 조절이 요구되면 각도조절부(830)에 체결된 제1 볼트(B1)와 제2 볼트(B2)를 약간 풀어 각도조절부(830)와 칼날지지구(820)의 결속력을 일부 해제한 상태에서 칼날지지구(820)의 각도를 각도조절부(830)의 원호홀(832b)의 범위 내에서 조절한 다음 제1 볼트(B1)와 제2 볼트(B2)를 조이면서 가능해진다.
한편, 반복적인 바닥재의 제거 과정에서 칼날(802)이 마모되어 반대쪽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은, 먼저, 제2 레버(530)를 작업자 위치 반대쪽으로 밀게 되면 제2 레버(530)에 연결된 제2 레버 지지축(520)이 회전되면서 제2 레버 지지축(520)에 이격 설치된 앞바퀴 지지부(510)가 세워지고, 지면으로부터 전방 몸체부재(110)가 들리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제1 레버(844)를 작업자 위치 반대쪽으로 밀게 되면 제1 레버(844)에 연결된 연결축(840)이 회전되고, 연결축(8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압부(846)가 편심부(842)에 의해 전진하면서 가압부(846)에 연결된 회전축(818)을 전진시킨다.
다음으로, 회전축(818)이 전진되면서 회전축(818)의 선단에 연결된 칼날 고정구(810)의 칼날 하부 고정구(812)를 칼날 지지구(820)로부터 전진시킨다. 이렇게, 칼날 하부 고정구(812)가 칼날 지지구(820)에서 전진하게 되면 칼날 하부 고정구(812)의 후면에 형성된 결속돌기(814)가 칼날 지지구(820)의 전면에 형성된 결속홈(822)에서 이격되면서 칼날 고정구(810)의 자유 회전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칼날 고정구(810)를 수동으로 180° 회전시킨 후 작업자가 제1 레버(844)를 작업자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칼날 하부 고정구(812)의 후면에 형성된 결속돌기(814)가 칼날 지지구(820)의 전면에 형성된 결속홈(822)에 결합되면서 칼날 고정구(810)가 칼날 지지구(820)에 위치 고정된다.
그 후에 제2 레버(530)를 작업자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제2 레버(530)에 연결된 제2 레버 지지축(520)이 회전되면서 제2 레버 지지축(520)에 이격 설치된 앞바퀴 지지부(510)가 눕혀지고, 전방 몸체부재(110)가 하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 장치(10)는 정해진 규격의 면적을 크랭크 속도비 3:1 비율과 지그재그 형식으로 최대 1/3으로 나누어 바닥재를 제거할 수 있는 이중 크랭크 방식과, 지렛대 원리는 포함하여 소음과 진동을 줄임으로써 기계의 부품 보호와 작업자의 어깨 통증을 줄일 수 있고, 입주민과의 마찰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도 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칼날(802)이 최대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는 구동 꼭짓점이 최대한 칼날(802)과 근접해 있는 위치까지 오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 후방 몸체부재(110, 120)가 결속볼트(128) 1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승강기가 없는 빌라나 다세대 같은 경우 이동시 분리해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시와 후진시 속도를 변환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후진시 빨리 이동하여 작업의 극대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체형에 맞게 핸들(210)이 상하좌우 360°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여건에 따라 전, 후방 몸체부재(110, 120)에 전, 후방 웨이트(W1, W2)를 탈,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한 레버 조작으로 이동시나 칼날 회전시 앞바퀴(51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재가 지면에서 제거가 잘 안될 경우 바퀴의 공회전(헛돎)으로 인한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날(802)의 회전시 간편한 원터치 방식의 편심 고정방식을 채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빠른 크랭크 행정으로 인한 기계의 진동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바닥재 철거 장치 100: 몸체부재
110: 전방 몸체부재 120: 후방 몸체부재
128: 결속볼트 130: 뒷바퀴
132: 뒷바퀴축 200: 핸들 모듈
210: 핸들 212: 고정봉
214: 승강봉 220: 클램프
300: 뒷바퀴 구동모듈 302: 제1 구동모터
310: 제1 종동축 312: 제1 종동 스프로켓
314: 제2 종동 스프로켓 316: 제3 종동 스프로켓
320: 제4 종동 스프로켓 322: 제1 내기어
324: 제5 종동 스프로켓 326: 제2 내기어
400: 클러치 모듈 410: 클러치 레버
420: 이동기어 422: 제1 외기어
424: 제2 외기어 430: 각도제한부
440: 스위치 500: 앞바퀴 회전모듈
510: 앞바퀴 지지부 512; 앞바퀴
520: 제2 레버 지지축 530: 제2 레버
600: 칼날 구동모듈 602: 제2 구동모터
610: 제2 종동축 612: 안기어
614: 제1 종동풀리 620: 제3 종동축
630: 제1 크랭크축 632: 제2 종동풀리
640: 제2 크랭크축 650: 제1 캠커버
660: 제2 캠커버 700: 동력전달모듈
710: 결합부 720: 출몰부
730: 안내부 800: 칼날모듈
810: 칼날 고정구 820: 칼날 지지구
830: 각도 조절부 840: 연결축
900: 콘트롤러 W1, W2: 전, 후방 웨이트

Claims (12)

  1. 삭제
  2. 전, 후방으로 분할되면서 분할된 대향면이 결속되며, 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앞바퀴가 복수 설치되고, 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뒷바퀴가 복수 설치되는 몸체부재;
    상기 후방 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뒷바퀴를 속도 변환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시키는 뒷바퀴 구동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닥재를 설치면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칼날이 구비되는 칼날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칼날이 교번되게 전후진과 좌우 회전이 동시에 구현되도록 구동시키는 칼날 구동모듈; 및
    상기 뒷바퀴 구동모듈 및 칼날 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전, 후방 몸체부재는 이웃한 바닥면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에 제1 지지부에 의해 회전되는 결속볼트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바닥면에 체결홀이 형성된 제2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몸체부재의 후벽에 높낮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을 위해 회전되는 핸들이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 구동모듈은,
    구동축에 구동 스프로켓이 설치되는 제1 구동모터;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상태로 양단이 지지된 제1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스프로킷과 제1 체인에 의해 종동되는 제1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제1 종동 스프로켓과 이격 설치된 제2 종동 스프로켓 및 제3 종동 스프로켓; 및
    상기 제1 구동축과 평행한 상태로 양측이 지지되면서 양단에 상기 뒷바퀴가 설치된 뒷바퀴축 상에 상기 제2 종동 스프로켓 및 제3 종동 스프로킷과 제2, 3 체인에 의해 각각 종동되도록 설치된 제4 종동 스프로켓 및 제5 종동 스프로킷;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제4 종동 스프로킷에 의해 동력이 상기 뒷바퀴축으로 전달되면 상기 뒷바퀴가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고, 상기 제3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제5 종동 스프로킷에 의해 동력이 상기 뒷바퀴축으로 전달되면 상기 뒷바퀴가 저속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 구동모듈이 설치된 후방 몸체부재의 후벽에 기어비에 의해 변속시켜 상기 뒷바퀴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 모듈은,
    상기 후방 몸체부재의 후면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 레버; 및
    상기 클러치 레버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에 의해 상기 제4 종동 스프로킷과 상기 제5 종동 스프로킷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4 종동 스프로켓 또는 상기 제5 종동 스프로킷의 대향된 내주면에 형성된 제1, 2 내기어 중 어느 하나의 내기어와 치합되도록 양단에 제1, 2 외기어가 각각 형성된 이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 장치.
  6. 전, 후방으로 분할되면서 분할된 대향면이 결속되며, 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앞바퀴가 복수 설치되고, 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뒷바퀴가 복수 설치되는 몸체부재;
    상기 후방 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뒷바퀴를 속도 변환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시키는 뒷바퀴 구동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닥재를 설치면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칼날이 구비되는 칼날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칼날이 교번되게 전후진과 좌우 회전이 동시에 구현되도록 구동시키는 칼날 구동모듈; 및
    상기 뒷바퀴 구동모듈 및 칼날 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칼날모듈은,
    상하 분할된 상태에서 일단에 칼날이 고정되며, 타단에 결속돌기가 형성되는 칼날 고정구;
    상기 칼날 고정구가 중심부의 횡 방향의 회전축을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칼날 고정구와 이웃한 일단에 결속홈이 형성되는 칼날 지지구;
    상기 칼날 지지구의 양측에 지지되며, 상기 칼날 지지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호홀이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
    상기 칼날 지지구의 타단에 연결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의 일부에 편심부가 형성된 제1 레버; 및
    상기 연결축의 편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레버의 회전시 상기 편심부에 의해 전진되면서 상기 회전축을 연동시켜 상기 칼날 고정구의 결속돌기를 상기 칼날 지지구의 결속홈에서 이격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 장치.
  7. 전, 후방으로 분할되면서 분할된 대향면이 결속되며, 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앞바퀴가 복수 설치되고, 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뒷바퀴가 복수 설치되는 몸체부재;
    상기 후방 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뒷바퀴를 속도 변환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시키는 뒷바퀴 구동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닥재를 설치면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칼날이 구비되는 칼날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칼날이 교번되게 전후진과 좌우 회전이 동시에 구현되도록 구동시키는 칼날 구동모듈; 및
    상기 뒷바퀴 구동모듈 및 칼날 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칼날 구동모듈은,
    구동축 상에 구동풀리가 설치된 제2 구동모터;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 종동축의 단부에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설치되는 제1 종동풀리 및 상기 제1 종동풀리와 이격된 제2 종동축 상에 설치되는 안기어;
    상기 제2 종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3 종동축에 상기 안기어와 치합되도록 설치된 제1 기어;
    상기 제3 종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부에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제2 종동풀리가 설치되며, 양측에 제1 편심부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크랭크축;
    상기 제1 크랭크축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제1 기어에 의한 제3 종동축의 회전시 기어군에 의해 연동되며, 양측에 제2 편심부가 상호 대각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크랭크축;
    상기 제1 크랭크축의 제1 편심부와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크랭크축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캠커버; 및
    상기 제2 크랭크축의 제2 편심부와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칼날모듈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캠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캠커버와 이와 대향된 상기 칼날모듈의 양단에 연결된 동력전달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모듈은,
    상기 제2 캠커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마다 각각 연결되며, 양 단부가 상기 칼날모듈의 양단에 연결되는 출몰부; 및
    상기 출몰부가 이동하도록 내부에 홀이 형성되고, 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랭크축은 구동시 양측의 제1 편심부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캠커버에 의해 칼날을 전후 구동시키고,
    상기 제2 크랭크축은 구동시 양측의 제2 편심부가 상호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캠커버에 의해 상기 칼날의 양쪽을 중심을 기점으로 좌우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랭크축 및 상기 제2 크랭크축은 3:1의 속도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 장치.
  11. 전, 후방으로 분할되면서 분할된 대향면이 결속되며, 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앞바퀴가 복수 설치되고, 후방 몸체부재의 하부에 뒷바퀴가 복수 설치되는 몸체부재;
    상기 후방 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뒷바퀴를 속도 변환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시키는 뒷바퀴 구동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닥재를 설치면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칼날이 구비되는 칼날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칼날이 교번되게 전후진과 좌우 회전이 동시에 구현되도록 구동시키는 칼날 구동모듈;
    상기 뒷바퀴 구동모듈 및 칼날 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전방 몸체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칼날모듈의 회전시 상기 전방 몸체부재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앞바퀴 회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앞바퀴 회전모듈은,
    상기 앞바퀴를 각각 지지하도록 이격 배치된 앞바퀴 지지부;
    상기 앞바퀴 지지부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레버 지지축; 및
    상기 제2 레버 지지축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제2 레버 지지축에 의해 상기 앞바퀴 지지부가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하는 제2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 장치.
  12. 제2항, 제6항, 제7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 후방 몸체부재의 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웨이트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 장치.
KR1020190086743A 2019-06-13 2019-07-18 바닥재 철거 장치 KR102077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220 2019-06-13
KR20190070220 2019-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543B1 true KR102077543B1 (ko) 2020-02-14

Family

ID=6951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743A KR102077543B1 (ko) 2019-06-13 2019-07-18 바닥재 철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5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481B1 (ko) * 2000-03-24 2003-12-06 응도기술 주식회사 바닥장식재 박리기
US20070007814A1 (en) * 2003-12-05 2007-01-11 Scheffe Willi U Device for the removal of coverings laid on flat surfaces
KR20120126185A (ko) * 2011-05-11 2012-11-21 박성일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바닥재 철거장치
KR20180003161A (ko) 2016-06-30 2018-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481B1 (ko) * 2000-03-24 2003-12-06 응도기술 주식회사 바닥장식재 박리기
US20070007814A1 (en) * 2003-12-05 2007-01-11 Scheffe Willi U Device for the removal of coverings laid on flat surfaces
KR20120126185A (ko) * 2011-05-11 2012-11-21 박성일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바닥재 철거장치
KR20180003161A (ko) 2016-06-30 2018-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74511A1 (en) Planetary grinder
CN108481466B (zh) 一种可实现多向调节的木材用切割装置
CN110666857B (zh) 兼具筛选与调姿功能的西兰花二次切块装置及其切块方法
EP0205620B1 (en) Chain saw
CN1265950C (zh) 工具单元、切割或锯割设备以及切割或锯割的方法
CN113211612B (zh) 一种蒸压加气混凝土砌块aac-b生产用可防切缝粘连的分切装置
KR102077543B1 (ko) 바닥재 철거 장치
CN1250068C (zh) 旋转式植物刈割机
CN108307704B (zh) 一种大棚免掉头往复起垄机
EP4186622A1 (en) Four-hole core drilling machine
CN212736575U (zh) 一种水利水电施工用开槽设备
KR101129066B1 (ko) 다기능 통나무 가공기
CN211645871U (zh) 推料装置及具有其的整平机
CA2357123A1 (en) Wide multiple-chain trenching machine
KR101349481B1 (ko) 잔디 뜨는 기계
RU2219003C2 (ru) Машина для очистки наруж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193148B1 (ko) 바닥재 제거장치의 스크래퍼 각도조절장치 구조
CN2794783Y (zh) 一种切割瓷砖的机器
EP2294906B1 (en) An agricultural device
KR20200117349A (ko) 화장지 자동 포장장치와 연계가능한 화장지 자동 재단장치
CN215702369U (zh) 角度可调型木板切断锯
CN221203343U (zh) 一种小型大葱拔起收获装置
CN1034319C (zh) 复合带锯机
CN214024983U (zh) 脚踏式打磨工具
US4398360A (en) Pole excav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