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692B1 - 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microbubble - Google Patents

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microbub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692B1
KR102076692B1 KR1020130112987A KR20130112987A KR102076692B1 KR 102076692 B1 KR102076692 B1 KR 102076692B1 KR 1020130112987 A KR1020130112987 A KR 1020130112987A KR 20130112987 A KR20130112987 A KR 20130112987A KR 102076692 B1 KR102076692 B1 KR 102076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ipe
microbubble
flus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9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3794A (en
Inventor
김상홍
김진웅
김상철
임창호
허만주
김성엽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692B1/en
Publication of KR20150033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7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6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8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by purging the pipe with a gas or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3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관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플러싱부; 상기 오일 플러싱부에 접속되어 상기 오일 플러싱부에서 공급되는 오일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버블생성부;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 플러싱부에 의한 배관 세척 작업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배관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되고, 오일의 순환상태 및 배관 세척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t relates to a 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Oil flushing unit for supplying oil to the pipe; A bubble gen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oil flushing unit to generate microbubbles in oil supplied from the oil flushing unit; Through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monitoring unit is installed on the pipe to monitor the pipe washing operation by the oil flushing unit;
The pipe can be washed efficiently, and the oil circulation and pipe washing can be easily checked.

Figure R1020130112987
Figure R1020130112987

Description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 { 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MICROBUBBLE }Pipe flushing device using microbubbles {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MICROBUBBLE}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버블생성기를 통해 생성한 마이크로버블이 배관의 세척을 위한 오일에 포함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a microbub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bubble generated through the bubble generator is included in the oil for cleaning the pipe.

일반적으로 선박, 해양구조물, 해양플랜트, 원전 등의 각종 산업설비를 건조한 후에는 산업설비의 각종 배관들에 대해 가동 전에 배관 내부 세정작업(Flushing)을 실시하는 것이 보통이다.In general, after the construction of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ships, offshore structures, offshore plants, and nuclear power plants, it is common to perform internal cleaning of the pipes before operation.

현재 선박, 해양 구조물 등의 배관 오일 플러싱 작업 수행에 있어서 많은 작업 시수와 인력, 비용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로 인해 공정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Currently, a lot of work hours, manpower, and costs are being put into performing the oil flushing of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resulting in process delays.

또한, 배관 세정 작업 종료 후에도 배관 내부에 금속성, 비금속성 이물질들이 잔존해 실제 시스템 구동 후 장비 내부로 들어와 2차 사고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even after completion of the pipe cleaning operation, metallic and non-metallic foreign matters remain in the pipes, which may cause a second accident to enter the equipment after the actual system operation.

이에 배관 세정 작업에 필요한 작업 시수와 인력을 줄일 필요가 있으며, 작업 후 배관 세정 품질 향상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work hours and manpower required for pipe cleaning work, and the situ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pipe cleaning after work.

본 발명은 청수, 오일 등의 세정 물질에 공기 또는 질소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나노 또는 마이크로 크기의 버블을 발생시켜 플러싱 장비를 통해 배관 내부를 순환하며 세정 작업을 진행하는 배관 플러싱 장치에 관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flushing device for generating micro-nano or micro-sized bubbles by using air or nitrogen in a cleaning material such as fresh water or oil to circulate the inside of the pipe through a flushing device and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상기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버블은 세정 물질 내에서 발생되어 배관 내부를 순환하며 오일의 점도를 낮추고, 배관 표면의 이물질과 충돌에 의해 버블이 터지면서 이물질을 움직일 수 있게 운동에너지를 발생시켜주며, 이물질 표면에 버블이 달라붙어 부력을 증가하여 먼 거리까지 이동되도록 한다.In the pipe flushing device using the microbubble, the microbubble is generated in the cleaning material, circulates in the pipe, lowers the viscosity of the oil, and the kinetic energy is used to move the foreign matter while the bubble bursts by the collision with the foreign matter on the pipe surface. And bubbles stick to the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increasing the buoyancy and moving to a long distance.

한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배관을 세척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que of washing a pipe using a microbubble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to 3 below.

특허문헌 1에는 미세버블을 이용한 배관세척장치 및 배관세척방법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pipe washing apparatus and a pipe washing method using a microbubble.

특허문헌 1의 미세버블을 이용한 배관세척장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입력밸브, 에어의 압력을 표시하기 위한 에어압력계, 상기 에어입력밸브 및 에어압력계가 위치하며 공급되는 에어가 이동되는 제1에어공급라인, 상기 제1에어공급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제2에어공급라인과 제3에어공급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에어제공수단과;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세척수입력밸브와 세척수가 이동되는 세척수공급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수제공수단과; 세척을 위한 배관이 연결되는 혼합공급라인에 형성되며, 미세버블이 혼합된 세척수에 세척용 세제를 제공하기 위한 세제공급탱크 및 상기 세제공급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세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세제입력밸브로 이루어지는 세제제공수단; 상기 에어제공수단, 세척수제공수단 및 세제제공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패널;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pipe washing apparatus using the microbubble of Patent Document 1 is an air input valv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an air pressure gauge for displaying the pressure of the air, the air input valve and the air pressure gauge is located and the air to be supplied Air providing means comprising: an air supply line, a second air supply line branched from the first air supply line, and a third air supply line; Washing water providing means comprising a washing water input valv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ashing water and a washing water supply lin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moved; It is formed in the mixing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pipe for washing, consisting of a detergent supply tank for providing a cleaning detergent to the washing water mixed with fine bubbles and a detergent input valve for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detergent supplied from the detergent supply tank Detergent providing means; And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air providing means, the washing water providing means, and the detergent providing means.

특허문헌 2에는 진공 및 버블을 이용한 배관 세척방법과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pipe washing method using vacuum and bubbles and a device thereof.

특허문헌 2의 진공 및 버블을 이용한 배관 세척장치는 세정조 내부의 바닥면에 산기관이 위치하는 버블가스 공급관; 세정조의 내부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관; 메인흡입관으로부터 진공펌프의 흡입력을 전달받아 기포가 포함된 세정조 내부의 세정액을 파이프를 통하여 흡입하는 벨로우즈관; 상기 메인흡입관과 진공펌프의 사이에 구비되어 흡입된 세정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이물질 수집기; 상기 이물질 수집기의 상측 메인흡입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서브흡입관; 상기 배수조와 진공펌프 사이의 액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기포와 세정액을 분리하여 기포를 공기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액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이다Pipe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vacuum and bubble of Patent Document 2, the bubble gas supply pipe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A cleaning liquid supply pipe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tank; Bellows pipe for receiving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pump from the main suction pipe to suck the cleaning liquid inside the cleaning tank containing bubbles through the pipe; A foreign matter collector provided between the main suction pipe and the vacuum pump to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uction liquid; A sub suction pipe branching from the upper main suction pipe of the foreign matter collector; And a gas-liquid separator installed on the liquid discharge tube between the drainage tank and the vacuum pump to separate the bubbles and the cleaning liquid and discharge the bubbl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tube.

특허문헌 3에는 오존수와 공기방울을 이용한 배관세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pipe washing apparatus using ozone water and air bubbles.

특허문헌 3의 오존수와 공기방울을 이용한 배관세척장치는 상기 펌프를 통해 공급되어지는 물과 오존발생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동시에 유입시키기 위한 인젝터; 상기 인젝터에 연결되어 물과 오존을 균일하게 혼합하는 혼합기; 상기 혼합기와 건축물 배관 사이에 장착되는 기포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pipe washing apparatus using ozone water and air bubbles of Patent Document 3 includes an injector for simultaneously introducing ozone generated from the ozone generator and water supplied through the pump; A mixer connected to the injector to uniformly mix water and ozone; It includes; a bubble generating unit mounted between the mixer and the building pipe.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의 배관세척장치들은 버블의 특성을 이용하여 배관을 세척하는 공통점이 있다.Pipe washing apparatuses of Patent Documents 1 to 3 have a common point of washing the pip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bbl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1316호(2013년 5월 10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61316 (announced May 10, 20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4157호(2012년 1월 12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04157 (published January 12, 201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89135호(등록일 2005년 06월 29일)Republic of Korea Registration No. 20-0389135 (Registration date June 29, 2005)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의 기술은 배관 세척 작업 과정을 확인할 수 없어 배관 세척 과정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가동 부품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에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technology of Patent Literatures 1 to 3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pipe washing process, it is not easy to know whether the pipe cleaning process is progressing properly, and can take prompt ac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moving parts. There was a problem of disappearing.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배관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배관 세척 과정을 간편하게 확인하여 이상 발생시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make it possible to efficiently clean the pipe using the microbubble, and to easily check the pipe cleaning process to take the necessary measures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To provide a pipe flushing device us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는 배관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플러싱부; 상기 오일 플러싱부에 접속되어 상기 오일 플러싱부에서 공급되는 오일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버블생성부;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 플러싱부에 의한 배관 세척 작업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il flushing unit for supplying oil to the pipe; A bubble gen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oil flushing unit to generate microbubbles in oil supplied from the oil flushing unit; And a monitoring unit installed on the pipe to monitor the pipe washing operation by the oil flush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는 상기 오일 플러싱부가 마이크로버블이 포함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 상기 오일탱크의 오일을 배관에 공급하는 제1오일순환펌프; 배관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배관을 통과한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기; 배관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배관을 통과한 오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il tank in which the oil flushing unit is stored oil containing microbubbles; A first oil circulation pump for supplying oil from the oil tank to the pipe; A foreign material remov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ip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oil passing through the pipe; And a moisture remov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ipe to remove water contained in the oil passing through the pipe.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는 상기 버블생성부가 상기 오일 플러싱부의 오일탱크 및 버블생성기와 접속되고, 오일탱크의 오일을 유입하여 버블생성기로 공급하는 제2오일순환펌프; 상기 제2오일순환펌프를 통해 공급된 오일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버블생성기; 상기 버블생성기에 공기 또는 질소를 주입하는 공기 또는 질소 주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oil circulating pump that is connected to the oil generating unit and the bubble generator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the oil in the oil tank to supply to the bubble generator; A bubble generator for generating microbubbles in oil supplied through the second oil circulating pump; And an air or nitrogen injector for injecting air or nitrogen to the bubble generator.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부가 오일의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계; 오일의 순환속도를 표시하는 유속계; 오일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unit flow meter for displaying the flow rate of oil; A flow meter for displaying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oi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ure gauge to display the pressure of the oil.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부가 작업자가 육안으로 오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육안확인용 감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itoring unit further comprises a visual confirmation monitor for the operator to check the state of the oil with the naked eye.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부가 배관을 순환하는 오일을 추출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추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il extraction valve for allowing the monitoring unit to extract and inspect the oil circulating the pipe.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는 상기 육안확인용 감시기가 배관에 접속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 마련되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ual confirmation monitor comprises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pipe, a transparent window provid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하는 오일을 사용하여 배관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ipe flushing device using the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lean the pipe using the oil containing the microbub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모니터링부를 통해 오일의 순환상태 및 배관 세척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ipe flushing device using the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oil circulation state and the pipe washing state through the monitoring uni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에 의하면, 배관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어 배관 세척 작업을 더욱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ipe flushing device using the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ake the necessary measures when the pipe cleaning is not properly performed,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pipe cleaning work more stab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에 의하면, 배관 세척 시간 단축과 작업 인력 절감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배관 세척 품질 개선을 통해 2차 사고 예방 및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ipe flushing device using the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pipe washing time and reducing the workforce, and to prevent secondary accidents and improve the reliability by improving the pipe cleaning quality. You can do i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의 육안확인용 감시기의 사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sual confirmation monitor of the 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Hereinafter, "upward", "downward", "forward" and "rear" and other directional terms are defined based on the state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의 구성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100)는 오일 플러싱부(110), 버블생성부(120), 모니터링부(130)를 포함한다.Pipe flushing device 100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il flushing unit 110, bubble generation unit 120, monitoring unit 130.

오일 플러싱부(110)는 배관을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물질제거기(111), 수분제거기(112), 오일탱크(113), 제1오일순환펌프(114)를 포함한다.The oil flushing unit 110 is for cleaning the pipe, and includes a foreign material remover 111, a water remover 112, an oil tank 113, and a first oil circulation pump 114.

상기 오일 플러싱부(110)의 제1오일순환펌프(114)는 오일탱크(113) 및 배관(200)과 접속되고, 오일탱크(113)의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하는 오일을 배관(2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oil circulating pump 114 of the oil flushing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oil tank 113 and the pipe 200, and supplies oil including the microbubbles of the oil tank 113 to the pipe 200. It plays a role.

또한, 상기 오일 플러싱부(110)의 이물질제거기(111)는 배관(200)을 통과한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수분제거기(112)는 배관(200)을 통과한 오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debris remover 111 of the oil flushing unit 110 serves to remove debris contained in the oil passing through the pipe 200, the moisture remover 112 to the oil passed through the pipe 200. It removes the moisture contained.

버블생성부(120)는 배관 플러싱에 사용되는 오일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2오일순환펌프(121), 버블생성기(122), 공기 또는 질소 주입기(123)를 포함한다.The bubble generator 120 is used to generate microbubbles in oil used for flushing pipes, and includes a second oil circulation pump 121, a bubble generator 122, and an air or nitrogen injector 123.

버블생성부(120)의 제2오일순환펌프(121)는 상기 오일 플러싱부(110)의 오일탱크(113) 및 버블생성기(122)와 접속되고, 오일탱크(113)의 오일을 유입하여 버블생성기(122)로 공급한다.The second oil circulating pump 121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oil tank 113 and the bubble generator 122 of the oil flushing unit 110, and inflows oil from the oil tank 113 to bubble. Supply to generator 122.

버블생성부(120)의 버블생성기(122)는 공기 또는 질소 주입기(123)로부터 주입된 공기 또는 질소를 이용하여 오일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한다.The bubble generator 122 of the bubble generator 120 generates microbubbles in oil using air or nitrogen injected from the air or nitrogen injector 123.

상기 버블생성기(120)에서 만들어진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하는 오일은 오일 플러싱부(110)의 오일탱크(113)로 공급된다.The oil including the microbubbles made by the bubble generator 120 is supplied to the oil tank 113 of the oil flushing unit 110.

모니터링부(130)는 배관(200)에 설치되어 배관(200)의 플러싱 작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유량계(131), 유속계(132), 압력게이지(133), 다수의 육안확인용 감시기(134), 오일추출밸브(135)를 포함한다.The monitoring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pipe 200 to check the flushing operation state of the pipe 200, the flow meter 131, the flow meter 132, the pressure gauge 133, a plurality of visual check monitor 134, an oil extraction valve 135.

상기 모니터링부(130)의 유량계(131)는 오일의 유량을 표시하며, 유속계(132)는 오일의 순환속도를 표시하며, 압력게이지(133)는 오일의 압력을 표시한다.The flow meter 131 of the monitoring unit 130 displays the flow rate of the oil, the flow rate meter 132 displays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oil, the pressure gauge 133 displays the pressure of the oil.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130)의 육안확인용 감시기(134)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오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오일추출밸브(135)는 배관(200)을 순환하는 오일을 추출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isual monitoring monitor 134 of the monitoring unit 130 allows the operator to check the state of the oil with the naked eye, the oil extraction valve 135 is to extract and inspect the oil circulating in the pipe 200. To help.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의 육안확인용 감시기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sual confirmation monitor of the 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100)에 있어서 육안확인용 감시기(134)는 배관(200)에 접속되는 사각기둥형의 본체(134a), 상기 본체(134a)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마련되는 투명창(134b)을 포함한다.In the pipe flushing device 100 using the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 monitoring monitor 134 may include a main body 134a and a main body 134a having a rectangular column connected to the pipe 200. It includes a transparent window (134b)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상기 투명창(134b)은 투명 아크릴판이나 유리, 그 밖의 다른 투명 재질의 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오일의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transparent window 134b may use a transparent acrylic plate,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 plate, and allows the operator to visually check the flow of o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육안확인용 감시기(134)는 배관(200)의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pipe flushing device 100 using the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visual monitoring monitors 134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f the pipe 200.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육안확인용 감시기(134)는 도시된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ipe flushing device 100 using the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 monitoring monitor 134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 but may be modified to another predictable for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100)는 오일 플러싱부(110)에서 공급되는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하는 오일을 통해 배관(200) 내부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Pipe flushing device 100 using a microbub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wash the inside of the pipe 200 through the oil including the microbubble supplied from the oil flushing unit (11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100)에서 버블생성부(120)는 공기 또는 질소 주입기(124)에서 주입되는 공기 또는 질소를 이용하여 버블생성기(122)에서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고, 마이크로버블이 포함된 오일을 오일 플러싱부(110)의 오일탱크(113)로 공급한다.In the pipe flushing apparatus 100 using the microbubbl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bble generator 120 may use the air or nitrogen injected from the air or nitrogen injector 124 in the bubble generator 122 in the microbubble. It generates and supplies the oil containing the microbubbles to the oil tank 113 of the oil flushing unit (110).

따라서 오일 플러싱부(110)의 제1오일순환펌프(114)를 통해 배관(200)으로 공급되는 오일에는 마이크로버블이 포함되며, 상기 마이크로버블이 포함된 오일이 배관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배관 표면의 이물질과 충돌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이 터지면서 이물질을 움직일 수 있도록 운동에너지를 발생시켜주고, 이물질 표면에 마이크로버블이 달라붙어 부력을 증가하여 먼 거리까지 이동되도록 한다.Therefore, the oil supplied to the pipe 200 through the first oil circulation pump 114 of the oil flushing unit 110 includes a microbubble, and the surface of the pipe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inside of the pipe oil containing the microbubble When the microbubbles are blown by collision with foreign matters, the kinetic energy is generated to move the foreign matters, and the microbubbles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s to increase buoyancy and move to a long distanc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100)는 배관(200)에 마련되는 모니터링부(130)를 통해 작업자가 배관 세척 과정을 확인하여 이상 발생시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pe flushing device 100 using a microbubbl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monitoring unit 130 provided in the pipe 200, the operator checks the pipe cleaning process to take the necessary measures in case of abnormality It becomes possible.

즉, 유량계(131) 및 유속계(132), 압력게이지(133)를 통해 오일을 유량 및 유속, 압력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오일의 흐름에 이상이 있을 때에 제1오일순환펌프(114)의 유지보수를 실시함으로써 항상 안정적인 오일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oil through the flow meter 131, the flow meter 132, the pressure gauge 133 continuously checks the flow rate, flow rate, and pressure, and maintains the first oil circulation pump 114 when there is an error in the flow of oil. By performing a repair, it is possible to ensure a stable oil circulation at all times.

또한, 작업자가 육안확인용 감시기(134)를 통해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하는 오일이 배관(200)을 정상적으로 세척하고 있는 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배관(200)의 오염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oil including the microbubble is normally washing the pipe 200 through the visual check monitor 134,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pipe 200. .

또한, 필요한 경우 오일추출밸브(135)를 열어 오일의 일부를 추출하여 검사함으로써 배관 오염 상태 및 배관 세척 상태 등에 관련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oil extraction valve 135 may be opened to extract and inspect a part of the oil, thereby obtaining data related to a pipe contamination state and a pipe washing stat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100 : 배관 플러싱 장치
110 : 오일 플러싱부
120 : 버블생성부
130 : 모니터링부
100: pipe flushing device
110: oil flushing unit
120: bubble generation unit
130: monitoring unit

Claims (7)

배관(200)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플러싱부(110);
상기 오일 플러싱부(110)에 접속되어 상기 오일 플러싱부(110)에서 공급되는 오일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버블생성부(120);
배관(200)에 설치되어 상기 오일 플러싱부(110)에 의한 배관 세척 작업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 플러싱부(110)는,
마이크로버블이 포함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113); 상기 오일탱크(113)의 오일을 배관(200)에 공급하는 제1오일순환펌프(114); 배관(200)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배관(200)을 통과한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기(111); 및 배관(200)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배관(200)을 통과한 오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기(112);를 포함하며,
상기 버블생성부(120)는,
상기 오일 플러싱부(110)의 오일탱크(113) 및 버블생성기(122)와 접속되고, 오일탱크(113)의 오일을 유입하여 버블생성기(122)로 공급하는 제2오일순환펌프(121); 상기 제2오일순환펌프(121)를 통해 공급된 오일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버블생성기(122); 및 상기 버블생성기(122)에 공기 또는 질소를 주입하는 공기 또는 질소 주입기(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
An oil flushing unit 110 for supplying oil to the pipe 200;
A bubble generation unit 120 connected to the oil flushing unit 110 to generate microbubbles in oil supplied from the oil flushing unit 110;
And a monitoring unit 130 installed in the pipe 200 to monitor the pipe washing operation by the oil flushing unit 110.

The oil flushing unit 110,
An oil tank 113 in which oil containing microbubbles is stored; A first oil circulation pump 114 for supplying the oil of the oil tank 113 to the pipe 200; A foreign material remover 111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ipe 200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oil passing through the pipe 200; And a water remover 112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ipe 200 to remove water contained in the oil passing through the pipe 200.
The bubble generator 120,
A second oil circulating pump 121 connected to the oil tank 113 and the bubble generator 122 of the oil flushing unit 110 to supply the oil of the oil tank 113 to the bubble generator 122; A bubble generator 122 generating microbubbles in oil supplied through the second oil circulating pump 121; And an air or nitrogen injector (123) for injecting air or nitrogen into the bubble generator (122).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130)는,
오일의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계(131);
오일의 순환속도를 표시하는 유속계(132);
오일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nitoring unit 130,
A flow meter 131 which displays the flow rate of the oil;
A flow meter 132 for displaying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oil;
Pressure gauge 133 for displaying the pressure of the oil; 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130)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오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육안확인용 감시기(1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nitoring unit 130,
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or further comprises a naked eye monitor (134) to check the state of the oil with the naked ey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130)는,
배관(200)을 순환하는 오일을 추출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추출밸브(1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nitoring unit 130,
Pipe flushing device using a microbub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il extraction valve 135 to extract and inspect the oil circulating through the pipe (20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육안확인용 감시기(134)는 배관(200)에 접속되는 본체(134a), 상기 본체(134a)의 전면 또는 후면에 마련되는 투명창(13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배관 플러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visual confirmation monitor 134 is a pipe using a microbub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body 134a connected to the pipe 200, a transparent window 134b provid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body 134a. Flushing device.
KR1020130112987A 2013-09-24 2013-09-24 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microbubble KR1020766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987A KR102076692B1 (en) 2013-09-24 2013-09-24 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microbub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987A KR102076692B1 (en) 2013-09-24 2013-09-24 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microbub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794A KR20150033794A (en) 2015-04-02
KR102076692B1 true KR102076692B1 (en) 2020-02-14

Family

ID=5303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987A KR102076692B1 (en) 2013-09-24 2013-09-24 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microbub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6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368B1 (en) 2021-03-10 2021-11-09 이경희 Pipe clena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953B1 (en) * 2015-04-06 2018-03-09 주식회사 삼영필텍 Flushing system of pipe using micro bubble
CN115301651B (en) * 2022-07-13 2023-07-21 江苏博汇纸业有限公司 Paper pigment pipe residual pigment clean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3437A (en) * 2004-04-16 2007-11-22 ノーマンド ラウゾン Cleaning method and cleaning device
JP2013056326A (en) * 2011-08-12 2013-03-28 Yoshihide Nishikawa Method for washing pip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403698D0 (en) * 1994-10-28 1994-10-28 Astra Ab Reactor system cleaning
KR20000001773U (en) * 1998-06-30 2000-01-25 추호석 Nitrogen bubble injection oil flushing device
KR20010047746A (en) * 1999-11-23 2001-06-15 도시에이 가스마 washing apparatus of distributing pipe
KR200389135Y1 (en) 2005-04-25 2005-07-07 주식회사 엘케이크린 Apparatus for cleaning a pipe using ozone and air bubbles
NO325124B1 (en) * 2006-08-22 2008-02-04 Fjerdingstad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rudders and rudder systems
KR101127097B1 (en) * 2009-06-19 2012-03-23 주식회사 성락종합배관 Pipe for cleaning
KR20120004157A (en) 2010-07-06 2012-01-12 원영식 The pipe cleann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KR101261316B1 (en) 2012-11-06 2013-05-10 이주형 Device and method for pipe-cleaning using fine-bub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3437A (en) * 2004-04-16 2007-11-22 ノーマンド ラウゾン Cleaning method and cleaning device
JP2013056326A (en) * 2011-08-12 2013-03-28 Yoshihide Nishikawa Method for washing pi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368B1 (en) 2021-03-10 2021-11-09 이경희 Pipe clena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794A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692B1 (en) Pipe flushing apparatus using microbubble
US10029219B2 (en)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and contaminated water purifying system provided with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KR101261316B1 (en) Device and method for pipe-cleaning using fine-bubble
CN209953487U (en) Contaminated soil leaching and repairing system
CN105084786A (en) Lime slaking and chemical feeding device
JP5191243B2 (en) How to clean piping using ice blocks
US20160334165A1 (en) Apparatus for slag removal during metal processing
CN102626695A (en) Base board cleaning system
FI126348B (en) Procedure and instrument for downtime in a soda boiler
JP2013056326A (en) Method for washing pipe
CN108405588B (en) Flotation equipment for ex-situ leaching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JP2017166194A (en) Modification method by injection for concrete structure
CN203908813U (en) Clear liquid suction filtration device for phytoplankton water sample
CN203582570U (en) Aerobic tank spraying anti-foaming device
KR200389135Y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pipe using ozone and air bubbles
CN109092568A (en) A kind of flotation column automatic control system
CN208341356U (en) A kind of floatation equipment repaired for contaminated soil heterotopic elution
CN204247683U (en) A kind of pollution of chromium place in-situ immobilization dedicated water treating apparatus
JP2005069898A (en) Decontamination device for facility in nuclear power plant and its decontamination method
RU2241742C1 (en) Industrial detergent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cleansing tanks to remove petroleum products, sediments, and deposits
CN204247080U (en) A kind of dissolving tank with apparatus for eliminating sludge
RU2569339C2 (en) Device for washing residue and mixing
JP6449130B2 (en) Immersion detector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EP3988220A1 (en) Flushing apparatus and flushing method for liquid circuits
JP2014023983A (en) pH TREATMENT DEVICE FOR ALKALINE RAW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