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727B1 - 에어커튼 형성 장치 및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커튼 형성 장치 및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727B1
KR102075727B1 KR1020180034366A KR20180034366A KR102075727B1 KR 102075727 B1 KR102075727 B1 KR 102075727B1 KR 1020180034366 A KR1020180034366 A KR 1020180034366A KR 20180034366 A KR20180034366 A KR 20180034366A KR 102075727 B1 KR102075727 B1 KR 102075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urtain
suction
air discharge
curtai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410A (ko
Inventor
김만용
이종호
김봉주
정국현
이성호
김원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치과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치과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치과병원
Priority to KR102018003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727B1/ko
Priority to PCT/KR2019/001800 priority patent/WO2019190052A1/ko
Publication of KR2019011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6Suction control thereof
    • A61M1/964Suction control thereof having venting means on or near the dressing
    • A61M1/009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02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7Aspiration
    • A61B2218/008Aspiration for smoke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부로부터 발생된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석션기와 결합하는 석션기결합부; 및 상기 석션기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환부 주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커튼의 내부의 상기 연기를 상기 에어커튼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커튼 형성부;를 포함하는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조직을 절개할 때 발생되는 연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커튼 형성 장치 및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 {Device for forming air curtain and a medical smoke removing device}
본 발명은 에어커튼 형성 장치 및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용 전기 브레이드 사용 시 배출되는 연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다.
일반적으로 환기는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신선한 외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재실자의 쾌적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병원에서의 환기는 쾌적성의 향상 기능보다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병동부의 적정한 온습도와 실내공기질의 유지가 환자의 빠른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격리병실, 중환자실, 미숙아실 등 특수시설에서의 환기는 교차감염의 방지와 실내 청정도 확보의 중요한 수단이 된다. 특히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수술실 이나 무균병실 등은 정밀한 온습도와 청정도 제어가 필수적이다. 특히, 수술실은 의료 행위가 가장 활발한 곳으로써 각종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는 빈도가 높다. 일 예로 전기 브레이드를 이용하여 조직에 국소적인 고열을 발생시켜 조직이나 피를 태워버림에 따라 조직을 박리, 절개하거나 지혈하게 되는데 이 때 조직의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한 많은 연기와 유해물질 그리고 냄새가 발생한다. 이러한 유해 물질은 제때 그리고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면 집도의의 시선이 연기에 의해 가려져 수술 시간 지연이나 적절한 수술 행위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 환자와 의료진이 유해물질을 흡입함에 따른 건강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수술실의 청정한 공기질을 유지하고자 많은 법적 안전장치가 마련되고 있고, 환기를 위한 각종 공조 시스템 그리고 연기 석션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조 시스템이나 연기 석션기는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다량의 연기가 주변 의료진에게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이를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수술실의 청정 공기질 유지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부족함에 더하여 각종 많은 수술 장비가 사용되는 수술실 환경에서 연기 흡입을 위한 석션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데 따른 불편함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는데 있어서의 큰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0-2015-0012647호
본 발명은 의료 환경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커튼 형성 장치 및 연기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석션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의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과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부로부터 발생된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석션기와 결합하는 석션기결합부; 및 상기 석션기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환부 주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커튼의 내부의 상기 연기를 상기 에어커튼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커튼 형성부;를 포함하는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석션기결합부는 내부에는 상기 석션기의 팁이 상기 석션기결합부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석션기결합부의 타측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인출되도록 유도하는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석션기결합부는, 제1 외측면과 상기 제1 외측면에 이어지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면은 상기 석션기결합부의 상부 방향에서 상기 환부측인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둘레가 길어져 상기 제2 외측면은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에어커튼 형성부는, 에어공급부와 연결된 에어유입관, 상기 에어유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석션기결합부의 외측 상부 영역을 둘러싼 제1 에어배출관 및 상기 제1 에어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석션기결합부의 외측 하부 영역을 둘러싼 제2 에어배출관을 포함하는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2 에어배출관의 내부 폭은 상기 제1 에어배출관의 내부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외측면은 제1-1 외측면과 상기 제1-1 외측면과 이어지는 제1-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면은 제2-1 외측면과 상기 제2-1 외측면과 이어지는 제2-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배출관은 상기 제1-1 외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1-1 외측면과 제1 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에어배출관은 상기 제1-2 외측면과 제2 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제1-2 외측면과 상기 제2-1 외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2-2 외측면은 상기 경사면인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에어커튼 형성부는, 상기 제2 에어배출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에어배출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배출제어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배출제어부의 내측면이 상기 경사면의 둘러싸는 영역이 조절되는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에어커튼 형성부는, 상기 제2 에어배출관에 결합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에어배출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에어배출제어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에어배출제어부의 내측면이 상기 경사면의 둘러싸는 영역이 조절되는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에어커튼 형성장치; 및 상기 에어커튼 형성장치와 탈부착 가능한 석션기;를 포함하는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는 전기 브레이드를 사용하여 환자의 조직을 절개할 때 발생되는 연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에어커튼 형성 장치 및 연기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병원에서 시술을 하면서 환자의 몸속으로부터 발생되는 피, 타액, 구토물 및 분비물 등의 이물질을 용기로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기존 석션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의 에어커튼 형성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높고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는 연기가 발생하는 부위에 에어 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연기의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는 에어커튼의 형성 폭과 투출되는 에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연기가 발생하는 환부의 위치나 형상에 적합한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에어커튼 형성 장치와 석션기가 결합된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상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하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a의 A, B 점선을 절단한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점선 C-D를 절단한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점선 E-F를 절단한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에어커튼 형성 장치와 석션기가 결합된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상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하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a의 A, B 점선을 절단한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 장치 (10)는 환부로부터 발생된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석션기(30)와 결합하는 석션기결합부(200) 및 환부 주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에어커튼의 내부의 연기를 에어커튼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커튼형성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20)는 석션기(30)와 석션기(30)에 결합된 에어커튼 형성 장치(10)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커튼형성부(100)와 석션기결합부(20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석션기결합부(200)는 원기둥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석션기결합부(200)의 내부는 석션기(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석션기결합부(200)는 내부에는 석션기(30)의 팁(31)이 석션기결합부(20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석션기결합부(200)의 타측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인출되도록 유도하는 결합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210)은 석션기결합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석션기결합부(200)의 내부에 형성된 홀이다.
결합홀(210)은 석션기(30)의 팁(31)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석션기(30)의 팁(31)은 결합홀(210)에 삽입될 수 있고, 팁(31)의 일 측의 일부 영역은 결합홀(210)의 일 측에 삽입되어 타 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석션기결합부(200)는 제1 외측면(101)과 제1 외측면(201)으로부터 이어지는 제2 외측면(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면(201)은 서로 동일한 길이의 둘레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측면(202)은 석션기결합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방향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둘레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제2 외측면(202)은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석션기결합부(200)는 외측면의 하단에 전방위로 돌출된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0)는 석션기결합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방향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 정도가 점점 커질 수 있으며 석션기결합부(200)의 외측면과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커튼형성부(100)는 에어유입관(110), 에어유입관(110)과 연결되고 석션기결합부(200)의 외측 상부 영역을 둘러싼 제1 에어배출관(120) 및 제1 에어배출관(120)과 연결되고 석션기결합부(200)의 외측 하부 영역을 둘러싼 제2 에어배출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배출관(120)은 석션기결합부(200)의 제1-1 외측면(201a)으로부터 제1 거리(R1)로 이격된 상태로 제1-1 외측면(201a)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에어배출관(120)의 내측면과 제1-1 외측면(201a)은 제1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에어배출관(120)은 상부측에는 에어유입관(110)이 형성되고, 에어유입관(110)에 연결된 에어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는 에어유입관(110)을 통해 제1 에어배출관(120)에 유입될 수 있다.
제2 에어배출관(130)은 석션기결합부(200)의 제1-2 외측면(201b)으로부터 제2 거리(R2)로 이격된 상태로 제1-2 외측면(201b)과 제2-1 외측면(202a)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에어배출관(130)의 내측면과 제1-2 외측면(201b)과 제2-1 외측면(202a)과 함께 제2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공간(S2)은 제1 공간(S1)에 연속된 공간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에어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어 에어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에어는 제1 에어배출관(120)을 경유하여 제2 에어배출관(130)을 통해 환부 측의 하부 방향으로 강하게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간(S1)은 제2 공간(S2)보다 더 넓은 공간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거리(R1)는 제2 거리(R2)보다 길 수 있다. 그리고, 제1 에어배출관(120)에서 제2 에어배출관(130)으로 이어지는 에어커튼형성부(100)의 외측면은 서로 단차를 형성하므로, 제1 에어배출관(120)에 대응되는 에어커튼형성부(100)의 외측면의 둘레는 제2 에어배출관(130)에 대응되는 에어커튼형성부(100)의 외측면의 둘레보다 더 길 수 있다.
한편, 제2-2 외측면(202b)는 에어커튼형성부(100)가 둘러싸지 않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에어는 제1 에어배출관(120)으로 유입되고, 에어유입관(110)을 통한 에어의 유입 압력에 따라 제1 에어배출관(120)의 에어는 제2 에어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에어배출관(130)의 내부 폭은 제1 에어배출관(120)의 에어 배출관의 폭보다 좁기 때문에 에어의 배출 속도는 제2 에어배출관(130)을 지나면서 빨리지게 된다. 또한, 석션기결합부(200)의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220)는 석션기결합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 즉 에어가 배출되는 경로를 따라 돌출 정도가 커지는 형상을 가져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소정의 경사각은 제2 에어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의 배출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제2 에어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는 전방위로 퍼지게 되면서 환부(1) 주변에 에어커튼(2)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의 환부(1)는 레이저 시술 등에 따른 피부 절개 등을 원인으로 하여 연기가 발생하는 조직의 일부 영역으로 정의된다.
또한, 환부(1)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는 석션기(30)의 흡입력에 따라 석션기(30)로 유입된다. 아울러 에어커튼(2)에 의해 연기의 외부로 유출이 차단되어 환부(1)로부터 발생되는 연기가 효과적으로 석션기(30)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점선 C-D를 절단한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 장치(10)는 에어커튼형성부(100)와 석션기결합부(200)로 구성되고, 에어커튼형성부(100)는 에어유입관(110), 제1 에어배출관(120), 제2 에어배출관(130) 및 에어배출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배출제어부(140)는 제2 에어배출관(130)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2 에어배출관(130)의 외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배출제어부(140)는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에어배출제어부(140)는 관삽입홈(142)이 형성되고 관삽입홈(142)을 통해 제2 에어배출관(130)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관삽입홈(142)의 내부에는 이동유도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유도부(141)는 이동 레일 타입으로 구성되거나 돌기 형태로 구성되거나 나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동 유도부(141)가 이동 레일 타입이거나 돌기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2 에어배출관(130)의 외측면에는 이동 레일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배출제어부(14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동유도부(141)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에어배출제어부(1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이동유도부(141)가 나사 형태로 구성되는 이에 대응하여 제2 에어배출관(130)의 외측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에어배출제어부(1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화살표 방향으로 에어배출제어부(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에어배출제어부(140)의 이동에 따라 제2 에어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의 배출 속도와 에어커튼(20)이 형성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배출제어부(14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에어배출제어부(140)의 내측면과 돌출부(220)의 사이의 폭(L1)이 넓어지면서 에어 배출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넓어진 폭을 통해 에어가 출력됨에 따라 에어커튼(2)이 형성되는 폭(L2)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배출제어부(14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에어배출제어부(140)의 내측면과 돌출부(220)의 사이의 폭(L1)이 좁아지면서 에어 배출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좁아진 폭을 통해 에어가 출력됨에 따라 에어커튼(2)이 형성되는 폭(L2)이 감소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형성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점선 E-F를 절단한 에어커튼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형성장치는 제1 및 제2 에어배출제어부(160, 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에어배출제어부(160, 170)는 서로 결합하여 전술한 에어배출제어부(14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에어배출제어부(160, 170) 각각은 제2 에어배출관(130)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에어배출제어부(160)가 제2 에어배출제어부(170)보다 상부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제1 에어배출제어부(160) 측에서 배출되는 에어가 제2 에어배출제어부(170) 측에서 배출되는 에어보다 속도가 더 낮고 에어커튼의 형성 폭(L2)이 더 크게 된다.
연기가 발생하는 환부 조직은 굴곡면을 이루는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으므로 환부의 형상에 적합한 형태로 조직의 영역 별로 에어커튼의 형성 폭이나 에어의 분사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에어커튼 내부의 연기와 에어커튼 외부 공기와의 효과적인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9)

  1. 환부로부터 발생된 연기를 흡입하기 위한 석션기와 결합하는 석션기결합부; 및
    상기 석션기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환부 주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커튼의 내부의 상기 연기를 상기 에어커튼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커튼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기결합부는 내부에는
    상기 석션기의 팁이 상기 석션기결합부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석션기결합부의 타측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인출되도록 유도하는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형성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기결합부는,
    제1 외측면과 상기 제1 외측면에 이어지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면은 상기 석션기결합부의 상부 방향에서 상기 환부측인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둘레가 길어져 상기 제2 외측면은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형성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형성부는,
    에어공급부와 연결된 에어유입관, 상기 에어유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석션기결합부의 외측 상부 영역을 둘러싼 제1 에어배출관 및 상기 제1 에어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석션기결합부의 외측 하부 영역을 둘러싼 제2 에어배출관을 포함하는
    에어커튼 형성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배출관의 내부 폭은 상기 제1 에어배출관의 내부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형성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면은 제1-1 외측면과 상기 제1-1 외측면과 이어지는 제1-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면은 제2-1 외측면과 상기 제2-1 외측면과 이어지는 제2-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배출관은 상기 제1-1 외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1-1 외측면과 제1 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에어배출관은 상기 제1-2 외측면과 제2 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제1-2 외측면과 상기 제2-1 외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2-2 외측면은 상기 경사면인
    에어커튼 형성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형성부는,
    상기 제2 에어배출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에어배출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배출제어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에어배출제어부의 내측면이 상기 경사면의 둘러싸는 영역이 조절되는
    에어커튼 형성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형성부는,
    상기 제2 에어배출관에 결합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에어배출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에어배출제어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에어배출제어부의 내측면이 상기 경사면의 둘러싸는 영역이 조절되는
    에어커튼 형성장치.
  9. 제1 항, 제3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에어커튼 형성장치; 및
    상기 에어커튼 형성장치와 탈부착 가능한 석션기;를 포함하는,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
KR1020180034366A 2018-03-26 2018-03-26 에어커튼 형성 장치 및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 KR102075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366A KR102075727B1 (ko) 2018-03-26 2018-03-26 에어커튼 형성 장치 및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
PCT/KR2019/001800 WO2019190052A1 (ko) 2018-03-26 2019-02-14 에어커튼 형성 장치 및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366A KR102075727B1 (ko) 2018-03-26 2018-03-26 에어커튼 형성 장치 및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10A KR20190112410A (ko) 2019-10-07
KR102075727B1 true KR102075727B1 (ko) 2020-02-10

Family

ID=68062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366A KR102075727B1 (ko) 2018-03-26 2018-03-26 에어커튼 형성 장치 및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5727B1 (ko)
WO (1) WO201919005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381A (ja) 1999-10-26 2001-05-11 Daikin Ind Ltd 給排気装置
JP2003501133A (ja) 1999-06-07 2003-01-14 アスクレピオン−メディテック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生体組織のアブレーションにおける廃棄物の吸引除去
US20040236392A1 (en) 2001-06-15 2004-11-25 Manfred Dick Method and system for the removal of material
US20170014559A1 (en) 2015-07-13 2017-01-19 Integrated Surgical LLC Surgical suction device that uses positive pressure ga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371A (ja) * 1997-04-16 1998-10-27 Shinpo Kk 排気装置
JP2001311542A (ja) * 2000-04-28 2001-11-09 Daikin Ind Ltd 吸気・送風装置
KR101297637B1 (ko) * 2011-12-05 2013-08-19 신형섭 기체의 흡입수단과 분사수단을 모두 구비한 전기소작기
KR101492602B1 (ko) 2013-07-26 2015-02-11 주식회사 앤트테크놀로지 의료용 연기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1133A (ja) 1999-06-07 2003-01-14 アスクレピオン−メディテック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生体組織のアブレーションにおける廃棄物の吸引除去
JP2001124381A (ja) 1999-10-26 2001-05-11 Daikin Ind Ltd 給排気装置
US20040236392A1 (en) 2001-06-15 2004-11-25 Manfred Dick Method and system for the removal of material
US20170014559A1 (en) 2015-07-13 2017-01-19 Integrated Surgical LLC Surgical suction device that uses positive pressure 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0052A1 (ko) 2019-10-03
KR20190112410A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0307B1 (en) Self positioning tracheal tube clearance mechanism using skives
KR102200873B1 (ko) 배연을 포함하는 복강경 외과적 처치를 위한 분기 다중-루멘 튜브 세트
US9351772B2 (en) Method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nasal sinus disorders
US20070089748A1 (en) Tracheal catheter with closeable suction lumen
EP2311367A1 (en) Flow guide
US20160081857A1 (en) Low Profile Eustachian Tube Dilation System
BRPI0208298B1 (pt) dispositivo para purificação de ar em ambientes sensíveis
MX2013003942A (es) Dispositivo de implante, herramienta y metodos relacionados con el tratamiento de senos paranasales.
ATE509647T1 (de) Katheter
MX2014001145A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dilatar una estenosis de la via aerea.
US6830556B2 (en) Debridement extension providing irrigation and mechanical scrubbing for removal of dead, devitalized, or contaminated tissue from a wound
KR20170028502A (ko) 병원균 감염을 막는 에어커튼
KR102075727B1 (ko) 에어커튼 형성 장치 및 의료용 연기 제거 장치
JP5015004B2 (ja) 乳突洞換気チューブ
JP2023535314A (ja) 眼科手術のためのエアロゾル軽減カラー
KR20150012647A (ko) 의료용 연기흡입장치
JP4809329B2 (ja) 生物学的組織を切除する際に副産物を除去するための装置
Tambwekar et al. Supernumerary nostril in association with incomplete naso-ocular cleft
CN214484599U (zh) 电外科***和电外科器械
CN106456249A (zh) 消融导管和带***体的套件
CN210170649U (zh) 泪道引流管防脱落盘及其内置结构
CN202397600U (zh) 激光手术装置
RU2402287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эпифоры
CN205360042U (zh) 一种手术室两用灭毒杀菌柜
TWM568115U (zh) Shadowless lamp device with air suction filter device and surgical instru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