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521B1 - Rovingness type soup cart - Google Patents

Rovingness type soup c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521B1
KR102075521B1 KR1020180004457A KR20180004457A KR102075521B1 KR 102075521 B1 KR102075521 B1 KR 102075521B1 KR 1020180004457 A KR1020180004457 A KR 1020180004457A KR 20180004457 A KR20180004457 A KR 20180004457A KR 102075521 B1 KR102075521 B1 KR 102075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lid
receiving portion
valve
in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6211A (en
Inventor
이향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to KR102018000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521B1/en
Publication of KR20190086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2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5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이동식 국 배식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국 배식대는, 국을 수용하기 위한 국 수용부가 상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세척수나 국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밸브를 구비하여 바닥에 구비되는 내부체 및 단열재 또는 단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내부체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저면에는 이동용 바퀴들이 구비된 외부체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국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내부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밸브의 손잡이가 상기 외부체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 중심에서 어느 한쪽 벽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거나 어느 한쪽 벽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방향의 상기 외부체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상기 내부체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내부체의 저면 중앙 영역을 격리시켜 상기 손잡이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격리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국 보관부의 바닥에 배출구가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밸브 손잡이가 외부체의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밸브 조작을 위한 구조체가 삭제되어 구조체에 의한 기타 부품들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밸브 손잡이가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자와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 mobile station dispatcher is disclosed. The mobile station serv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ation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a station is opened upward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or the station is provided with a valve and has an inner body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or a heat insulating space provided on the floor. It is coupled to surround the inner body between the body and the bottom is composed of an outer body provided with wheels for moving, and the lid member which is selectively seated at the inlet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the discharge port, The sta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mponent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and to smoothly discharge the station or the wash water contained in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handle of the valve does not protrude more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It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one wall from the bottom center of the receiving part or in contact with one wall. And a separator for isolating the bottom edge of the inner body in which the outlet is located and the central area of the bottom of the inner body to expose the handle to the outside. It is d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tation storage portion to one side, the valve handle is provid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to eliminate the structure for the valve operation to generate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by the structure Not only that, it is possible to smoothly discharge the station or the wash water accommodated in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the valve handle is provid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malfunction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operator. It becomes possible.

Description

이동식 국 배식대{ROVINGNESS TYPE SOUP CART}Mobile soup board {ROVINGNESS TYPE SOUP CART}

본 발명은 이동식 국 배식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 보관부의 부분 개폐가 가능하고, 국자의 거치가 용이하며, 잔여 국물 배출용 밸브를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부품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고장율을 낮출 수 있는 이동식 국 배식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oup table,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partially open and close the station storage portion, easy to mount the ladle, and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by forming a valve for draining the remaining soup to one sid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soup stand that can reduce the failure rate 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between components.

일반적으로 학교, 병원, 군시설, 호텔 등과 같이 대량급식을 하는 식당에서는 상당한 시간동안 음식물을 공급하여야 하며, 특히 한국과 같이 주식이 쌀인 경우에는 밥과 함께 거의 필수적으로 국이 제공된다. 그러나 한꺼번에 많은 양을 조리해서 끓이는 것은 가능하지만, 조리가 끝난 후에는 바로 식기 시작하고, 계속 가열을 하여 끓은 상태를 유지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너무 농도가 높아져서 짜게 되는 등 급식에 있어서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부식의 하나이다.In general, large-scale restaurants such as schools, hospitals, military facilities, and hotels have to provide food for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Especially when rice is a staple food like Korea, soup is almost always provided with rice. However, it is possible to cook a large amount and boil at a time, but if cooking is finished, it starts to cool immediately, and if it keeps boiling by heating continuously, the concentration becomes too high and squeezes over time. It is one of the corrosion.

따라서 식당에서 배식을 하는 경우에도, 국은 주로 조리실에서 조리하여 이를 배식이 이루어지는 식당으로 옮겨가서 그곳에서 배식을 하게 되는데, 운반 또는 배식 동안에 국이 식지 않도록 보온 및 히팅이 가능하게 구성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사용하였다.Therefore, even when serving in a restaurant, the soup is mainly cooked in the cooking room and moved to the restaurant where the food is to be served there, where the soup is a mobile soup kitchen configured to keep warm and heating so that the soup does not cool during transportation or serving. Used.

이러한 이동식 국 배식대는 다중 이용식당에서 조리된 국을 담아 배식장소 이동하여 배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 국을 담을 수 있게 구비한 국 수용부와, 상기 국 수용부를 감싸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이동할 수 있게 구비한 바퀴와, 국 수용부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한 뚜껑으로 구성된 것이다.Such a mobile soup kitchen table is to allow the soup to be cooked by moving to the serving place containing the soup cooked in the multi-use dining room, the soup receiving portion provided to hold the soup inside, and the body made of a box shape surrounding the soup receiving portion and And, the wheel is provided to mov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it is composed of a lid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1705호(공고일 : 2006.11.24)에는 급식용 국 운반 서비스카가 개시되어 있다. 급식용 국 운반 서비스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복수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이루는 이동수단(2)을 가지며 외부몸체(3)가 원통체로 형성된 운반카(1)와, 운반카(1)의 내측 중앙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부가 개방된 대형 용기형의 국솥(4)과, 운반카(1) 상부의 국솥(4) 외측에 링형상으로 설치되며 다수의 국그릇(8)을 수용하는 재치대(7)를 가진 선반(9)과, 국솥(4)의 하부에 설치되어 국이 식지 않도록 일정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히팅장치(10)와, 국솥(4)의 하부에 설치한 배수구(11)의 밸브(12)를 개폐하는 레버장치(13)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As a prior art,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1705 (Announcement Date: November 24, 2006) discloses a national transport service car for a meal. As shown in FIG. 1, the feed station transport service car has a transport means 2 formed by a plurality of wheel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transport car 1 having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outer body 3, and a transport car ( 1) It is fixed to the inner center of the inside and a large container-type soup pot (4) with an open top, and installed in a ring shape outside the soup pot (4) of the upper transport cart (1) accommodates a plurality of soup bowls (8) A shelf 9 having a mounting table 7 to be installed, a heating device 1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oup pot 4 to heat to a constant temperature so that the soup does not cool, and a drain hol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oup pot 4 It is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lever device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12 of 11).

이러한 급식용 국 운반 서비스카는, 국솥에 담긴 국을 전기적 히팅장치로 가열하여 국이 식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방에서 조리된 국을 필요한 장소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었다.The soup service service car for feeding, by heating the soup in the soup pot with an electric heating device to prevent the soup from cooling, it was possible to safely and easily transport the cooked soup to the necessary place in the kitchen.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급식용 국 운반 서비스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of the above-mentioned soup transport service car for feeding.

첫째, 배수구가 내부 솥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고, 배수구에 결합되는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레버장치가 외부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와의 간섭으로 레버장치가 오작동하여 국물이 배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First, the drain port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inner pot, the lever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coupled to the drain port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body, the lever device malfunction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operator can drain the soup There was this.

둘째, 배수구가 국솥의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잔여 국물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Second, since the drai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oup po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rainage of the remaining soup is not easily made.

셋째, 배수구와 밸브가 외부몸체의 저면에 위치함으로써, 국솥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한 가열장치 및 냉각장치의 배선들과 간섭이 발생하여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레버장치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레버로드와 전선 들이 간섭되면서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Third, since the drain and the valve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outer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frequent failure occurs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wiring of the heating device and the cooling device for heating or cooling the soup pot. In particula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ailure occurs a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ever rod and the wire rotated by the lever device.

넷째, 국솥을 덮는 뚜껑을 분할하여 개폐할 수 없음으로써 불필요한 개방으로 인한 이물질 유입이 발생하였고, 보온 및 냉장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는 국자를 보관할 수 없는 구조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국자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그릇을 준비하거나, 국자를 국솥에 넣은 상태에서 뚜껑을 닫음으로써 보온 또는 냉장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Fourth, the inflow of foreign matters due to unnecessary opening occurred because the lid covering the soup pot could not be opened and closed,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arming and refrigeration effect was lowered. In particular, the user could not store the ladle while the lid was closed. Preparing a separate bowl for storing the scoop, or by closing the lid in the state put the ladle in the pot was a problem that the warming or refrigeration effect falls.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1705호(공고일 : 2006.11.24).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1705 (Notification Date: 2006.11.24)

본 발명의 목적은, 국 보관부의 부분 개폐가 가능하고,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국자의 거치가 용이하며, 잔여 국물 배출용 밸브를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부품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고장율을 낮출 수 있는 이동식 국 배식대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ation storage portion, easy to mount the ladle in the state of covering the lid,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by forming a valve for the remaining soup discharge to one side of course between parts It is to provide a mobile station stand that can minimize the interference and lower the failure rat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국을 수용하기 위한 국 수용부가 상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세척수나 국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밸브를 구비하여 바닥에 구비되는 내부체 및 단열재 또는 단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내부체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저면에는 이동용 바퀴들이 구비된 외부체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국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내부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밸브의 손잡이가 상기 외부체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 중심에서 어느 한쪽 벽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거나 어느 한쪽 벽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방향의 상기 외부체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상기 내부체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내부체의 저면 중앙 영역을 격리시켜 상기 손잡이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격리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station is formed in an upwardly open structure and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or the station is provided with a valve provided on the bottom and the inner body or heat insulating material or heat insulation space It is coupled to surround the inner body between the body and the bottom is composed of an outer body provided with wheels for moving, and the lid member which is selectively seated at the inlet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the discharge port, The sta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mponent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and to smoothly discharge the station or the wash water contained in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handle of the valve does not protrude more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It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one wall from the bottom center of the receiving portion or in contact with one wall.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bod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is locat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or is provided to expose the handle to the outside by separating the bottom edge region of the inner body and the bottom center of the inner body where the outlet is located It is achieved by a mobile soup kitchen stand.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은,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 또는 세척수가 상기 배출구로 모이도록 상기 배출구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let so that the station or washing water received in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is collected at the outlet.

상기 밸브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는 세척수나 국을 상기 배출구와는 반대 방향의 상기 내부체의 저면 중앙 영역 쪽 수평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엘보관이 결합될 수 있다. The lower part of the valve, an elbow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or the station discharged through the val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bottom central region of the inner body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charge port may be coupled.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국 수용부의 상부를 부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뚜껑과 제2 뚜껑으로 분할되어 경첩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뚜껑 또는 제2 뚜껑의 한쪽에는 상기 제1 뚜껑 및 제2 뚜껑을 펼쳐 상기 국 수용부를 닫은 상태에서 국자의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걸리도록 하기 위한 국자 걸림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lid member is divided into a first lid and a second lid so as to partially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ortion, and is coupled to be folded or unfolded by a hinge, and the first lid or the second lid is connected to the first one. A ladle catching hole may be formed to extend the lid and the second lid so that the handle of the ladl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he lid is closed.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 각 변 가장자리에는, 상기 국 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단이진 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재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이 상기 국 수용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저면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단에 안착될 수 있다.At the edge of each side of the inlet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a seating end which is stepped inwar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and the bottom edge of the lid member is provided at the seating end so that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id member flow into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Can be seated on

상기 안착단은, 상기 뚜껑부재로부터 흘러내린 물방울을 상기 국 수용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ating e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to guide the water droplets flowing down from the lid member to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에 형성된 상기 안착단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뚜껑 및 제2 뚜껑이 펼쳐진 상태의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안착단을 기준으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안착단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ating end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the lid memb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are unfolded is seated on the seating en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ating end. It can be made square.

상기 제1 뚜껑과 제2 뚜껑의 길이방향 각 측면에는, 상기 제1 뚜껑과 상기 제2 뚜껑을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상기 국 수용부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On each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a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by selectively rotating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around the hinge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상기 국자 걸림공은, 상기 국 수용부에 위치한 상기 국자의 위치 변경없이 상기 제1 뚜껑 또는 제2 뚜껑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뚜껑 또는 제2 뚜껑의 가장자리 수직단과 수평단에 연이어 형성되어 외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The ladle catching hole is formed in succession to the vertical end and the horizontal end of the edge of the first lid or the second lid so as to rotate the first lid or the second lid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coop located in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It can be opened outward.

상기 내부체와 외부체 사이 또는 상기 내부체의 저면에는,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을 보온하거나 냉장하기 위한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체에는 상기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이 마련될 수 있다. Between the inner body and the outer body or on the bottom of the inner body, a heating device or a cooling device for insulating or refrigerating the station housed in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and the outer body electrically connects the heating device or the cooling device.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국 보관부의 바닥에 배출구가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밸브 손잡이가 외부체의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밸브 조작을 위한 구조체가 삭제되어 구조체에 의한 기타 부품들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tation storage portion to one side, the valve handle is provid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to eliminate the structure for the valve operation to generate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by the structure Not only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discharge of the station or wash water accommodated in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can be made smoothly.

또한, 밸브의 손잡이가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자와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andle of the valve is provid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from malfunction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operator.

또한, 뚜껑부재가 안착단에 안착되므로 뚜껑부재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이 국 수용부로만 흐르도록 함으로써 결로로 인한 몸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lid member is seated at the seating end,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member may flow only to the station accommodating portion,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body due to condensation.

또한, 뚜껑부재로 국 수용부를 닫은 상태에서 국자를 뚜껑부재에 보관할 수 있는 국자 걸이공이 뚜껑부재에 구비됨으로써, 음식 조리 위치에서 배식위치로 국 배식대를 이동시킬 때 또는 배식이 시작되기 전에 국자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불필요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d member is provided with a scoop hook hole for storing the scoop in the lid member while the soup container is closed with the lid member, thereby storing the scoop when the soup serving table is moved from the food cooking position to the serving position or before serving is started. A separate tool for doing so can provide the effect of becoming unnecessary.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의 국자 걸이공에 국자를 걸어 보관하는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7의 (a), (b), (c)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에 뚜껑부재를 이용하여 몸체의 국 수용부를 개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bile station serving t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station serv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station serving table shown in FIG.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state showing the mobile station serving table shown i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bile station serving table shown in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adle is hanged on a ladle hanger of the mobile soup bowl shown in FIG. 4.
(A), (b), (c)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of the body using a lid member to the mobile station serving table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국 배식대의 국자 걸이공에 국자를 걸어 보관하는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station serv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station serving table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mobile station shown in Figure 2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nded state showing the serving tabl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bile state serving table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adle is stored in a ladle hanger of the mobile station serving table shown in FIG. 4.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국 배식대는, 국을 수용하기 위한 국 수용부(122)가 상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세척수나 국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4)가 밸브(126)를 구비하여 바닥에 구비되는 내부체(120) 및 단열재 또는 단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내부체(120)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저면에는 이동용 바퀴(142)들이 구비된 외부체(140)로 이루어진 몸체(100)와, 국 수용부(122)를 개폐하도록 국 수용부(122)의 입구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뚜껑부재(2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2 to 6, the mobile station serv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for accommodating the sta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open upward and the outlet 124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or the station ) Is provided with a valve 126 coupled to the inner body 120 provided on the bottom and the inner body 120 with an insulating or insulating space therebetween, and the outer body having moving wheels 142 on the bottom thereof. 140 includes a body 100 and a lid member 200 that is selectively seated at the inlet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to open and close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내부체(120)는, 상향으로 개방된 구조의 국 수용부(122)를 형성하는 것으로, 바닥에는 배출구(124)가 형성된다. 이 배출구(124)는 배식 후 남은 국이나 세척시 발생하는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The inner body 120 forms a station accommodating portion 122 having an upwardly open structure, and an outlet 124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This outlet 124 is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water after washing and the washing water generated during washing.

이러한 배출구(124)는, 내부체(120)의 저면에 배치되는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고 국 수용부(122)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밸브(126)의 손잡이(127)가 외부체(140)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국 수용부(122)의 바닥 중심에서 어느 한쪽 벽(121)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거나 어느 한쪽 벽(121)에 접하여 형성된다. 즉, 배출구(124)는, 종래기술과 같이 국 수용부(122)의 바닥의 중심에 형성되지 않고, 어느 한쪽 벽(121)에 접하거나 벽(121)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다. The outlet 124,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mponent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120 to smoothly discharge the station or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and the handle 127 of the valve 126 ) Is formed so as to be biased toward either wall 121 at the bottom center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so as not to protrude more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40 or in contact with either wall 121. That is, the discharge port 124 is no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as in the prior art, but is formed in contact with one of the walls 121 or shifted toward the wall 121.

다시 설명하면, 배출구(124)는 내부체(120)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형성되는 것이다. 즉, 배출구(124)는 내부체(120)의 저면 중앙 영역(122C)에서 벗어난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형성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outlet 124 is formed in the bottom edge region 122B of the inner body 120. That is, the discharge port 124 is formed in the bottom edge region 122B deviating from the bottom center region 122C of the inner body 120.

이와 같이, 배출구(124)를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형성하는 것은, 배출구(124)가 저면 중앙 영역(122C)에 형성될 경우에 밸브(126)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개폐작동 구성품이 내부체(120)의 저면에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발생되는 타 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고장 등을 방지하기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124)가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설치됨으로써 밸브(126)를 원거리에서 개폐 조작하기 위한 개폐작동 구성품이 불필요하게 된다. As such, forming the outlet 124 in the bottom edge region 122B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componen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126 when the outlet 124 is formed in the bottom center region 122C. To prevent failure due to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generated by being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120, as described above, the outlet 124 is installed in the bottom edge region 122B so that the valve 126 is remotely located. There is no need for an opening / closing component for opening and closing.

한편, 배출구(124)를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형성할 때, 배출구(124)의 하단에 결합되는 밸브(126)의 손잡이(127)가 외부체(140)의 외측면(144)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손잡이(127)가 외부체(140)의 외측면(144)보다 더 돌출되는 경우에, 배식 작업자가 국 배식대를 옮기거나 배식을 하는 등의 행위를 할 때 간섭되어 오동작할 수 있으므로, 밸브(126)의 중심과 손잡이(127) 외측면과의 거리를 감안하여, 손잡이(127)가 격리판(148)에 의해 형성된 밸브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출구(124)의 형성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밸브(126)의 중심과 손잡이(127) 외측면과의 거리가 10cm인 경우에, 외부체(140)의 외측면(144)와 배출구(124) 중심간의 거리가 11 - 15cm가 되도록 배출구(124)를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형성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utlet 124 is formed in the bottom edge region 122B, the handle 127 of the valve 126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utlet 124 is more than the outer surface 144 of the outer body 140. Do not protrude. That is, when the handle 127 is protruded more than the outer surface 144 of the outer body 140, since the catering operator may interfere with and act when the soup serving station, such as serving, the valve, the valve In view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12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127, it is preferable to set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outlet 124 so that the handle 127 is located in the valve space formed by the separator 148. .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valve 12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127 is 10 cm,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144 of the outer body 140 and the center of the outlet 124 is 11-15 cm. The outlet 124 is formed in the bottom edge region 122B as much as possible.

이러한 배출구(124)는, 국 수용부(122)의 바닥(122A)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직하방으로 가압하면서 내부체(120)의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배출공에 중공관을 결합한 후 이 중공관에 밸브(126)를 결합할 수도 있다. The discharge port 124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120 while pressing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bottom 122A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directly below, and to form a hollow tube in the discharge hole. After coupling, the valve 126 may be coupled to the hollow tube.

그리고, 국 수용부(122)의 바닥(122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 수용부(122)에 수용된 국 또는 세척수가 배출구(124)로 모여 배출되도록 배출구(124) 쪽으로 소정각도(a2)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바닥(122A)이 배출구(124)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잔여 국물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이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바닥(122A)이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배출구(124)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 쪽의 이동용 바퀴(142)의 높이를 높이는 등의 작업을 통하여 국물이나 세척수가 배출구(124) 쪽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배출구(124)가 저면 가장자리 영역(122B)에 형성되므로 몸체(100)를 배출구(124) 쪽으로 기울어지게 들어 올림으로써 바닥(122A)에 고인 국물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5, the bottom 122A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122 has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outlet 124 such that the station or wash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122 is collected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124. It is formed obliquely to a2). As such, the bottom 122A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let 124 so that the remaining broth or the washing water may be discharged. At this time, when the bottom 122A is not formed to be inclined, the soup or the washing water is collected toward the outlet 124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raising the height of the wheel 142 for mov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124 is not formed. can do. In particular, since the outlet 124 is formed in the bottom edge region 122B, the body 100 is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outlet 124 so that the soup or wash water accumulated on the bottom 122A can be easily and quickly discharged.

전술한 내부체(120)의 국 수용부(122) 입구는 가로 가장자리와 세로 가장자리의 길이가 같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국 수용부(122)의 입구 각 변 가장자리에는, 국 수용부(122)의 내측 방향으로 단이진 안착단(122D)이 형성된다. 이 안착단(122D)에는, 뚜껑부재(200)의 저면 가장자리, 즉 제1 뚜껑(210)과 제2 뚜껑(220)의 각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직단(211)이 안착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이 뚜껑부재(200)의 수직단(211)이 안착단(122D)에 안착되면, 뚜껑부재(200)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이 외부로 흐르지 않고 국 수용부(122)로 유입된다. The entrance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of the inner body 120 described above has a square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horizontal edge and the vertical edge. At the edge of each inlet side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122, a seating end 122D which is stepp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122 is formed. The seating end 122D has a bottom edge of the lid member 200, that is, a vertical end 211 formed at each edge of each of the first lid 210 and the second lid 220. When the vertical end 211 of the member 200 is seated on the seating end 122D,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member 200 flow into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122 without flowing to the outside.

이때, 안착단(122D)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재(200)의 저면에 맺쳐 흘러내린 물방울을 국 수용부(122)로 유도하도록 국 수용부(122)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각도(a1)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안착단(122D)이 국 수용부(122)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뚜껑부재(200)로부터 흘러내린 물방울이 안착단(122D)에 머무르지 않고 국 수용부(122)로 유입되므로 안착단(122D)의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ating end (122D), as shown in Figure 5,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so as to guide the water droplets flowing dow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member 200 to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 (a1). As such, the seating end 122D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122, so that water droplets flowing from the lid member 200 flow into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122 without remaining in the seating end 122D. Contamination of the seating end 122D can be minimized.

한편, 배출구(124)에는 손잡이(127)를 구비한 밸브(126)가 결합된다. 밸브(126)는 내부체(120)의 저면으로 돌출된 배출구(124)의 단부에 결합되어 손잡이(127)의 조작에 의해 배출구(124)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밸브(126)를 통하여 배출되는 세척수나 국을 저면 중앙 영역(122C) 쪽 수평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엘보관(300)이 결합된다. 이 엘보관(300)은, 밸브(126)를 통하여 배출되는 국물이나 세척수가 수직으로 배출됨으로써 배출되는 국물이나 세척수가 사방으로 퍼져 조리실 전체를 오염시키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 엘보관(300)에 의해 밸브(126)를 통하여 배출되는 국물이나 세척수가 일방향, 즉 배출구(124)가 형성되지 않은 내부체(120)의 저면 중앙 영역(122C) 쪽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잔여 국물이나 세척수는 작업자가 의도한 방향 또는 작업자가 지정한 장소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utlet 124 is coupled to the valve 126 having a handle 127. The valve 126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outlet 124 protruding to the bottom of the inner body 120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124 by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127. Then, the elbow tube 300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or the station discharged through the valve 12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bottom center region 122C is coupled. The elbow tube 300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the soup or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valve 126 is discharged vertically to spread out everywhere to contaminate the whole cooking chamber, this elbow tube The broth or wash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valve 126 by the 300 may be discharged in one direction, that is, toward the bottom center area 122C of the inner body 120 in which the outlet 124 is not formed, and thus the remaining broth However, the washing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direction intended by the operator or to the place designated by the operator.

이와 같은 엘보관(300)은 밸브(126)에 체결되어 결합되므로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엘보관(30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Such elbow tube 300 is coupled to the valve 126 is coupled can be easily removable. This means that the elbow 300 may be selectively used.

한편, 외부체(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도시되지 않음) 또는 단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내부체(120)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외부체(140)가 내부체(120)와 결합됨으로써 몸체(100)가 완성된다. 그리고 내부체(120)의 저면 공간은 외부체(140)에 의해 외부과 격리된다. 따라서 내부체(120)의 저면에 도시되지 않은 가열장치나 냉각장치 등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장치가 냉각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 외부체(140)에는 가열장치나 냉각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이 마련된 수 있다. 그리고, 냉각장치나 가열장치는 내부체(120)와 외부체(14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body 140, as shown in Figure 5, is coupled while wrapping the inner body 120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or a heat insulating space therebetween. The outer body 140 is combined with the inner body 120 to complete the body 100. The bottom space of the inner body 120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by the outer body 140. Therefore, a heating device or a cooling device,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body 12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ea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the external body 140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heating device or the cooling device. In addition, the cooling device or the heating devic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inner body 120 and the outer body 140.

한편, 배출구(124)가 위치한 방향의 외부체(140)의 하부에는, 배출구(124)가 위치한 내부체(120)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120A)과 내부체(120)의 저면 중앙 영역(122C)을 격리시켜 손잡이(127)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격리판(148)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under the outer body 14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124 is located, the bottom edge region 120A of the inner body 120 where the outlet 124 is located and the bottom center region 122C of the inner body 120. The separator 148 is provided to isolate the handle 127 to the outside.

이 격리판(148)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4)의 하부와 밸브(126) 및 손잡이(127)는 외부로 노출시키고 내부체(120)의 저면 공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밸브(126)의 조작과 기타 부품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내부체(120)의 저면에는 이 격리판(148)에 의해 밸브(126)가 위치하는 밸브 공간과 기타 부품들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으로 구분되므로, 밸브(126)만 외부로 노출되고,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 및 부품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S. 2 to 5, the separator 148 exposes the lower portion of the outlet 124, the valve 126, and the handle 127 to the outside, and the bottom space of the inner body 120 to the outside. It is to prevent exposure, and to block the operation of the valve 126 and other components. That is, since the separator plate 148 is divided into a valve space in which the valve 126 is positioned and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other parts are installed, the valve 126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bottom of the inner body 120. Various devices and components installed in the space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뚜껑부재(200)는, 국 수용부(122)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국 수용부(122)의 상부를 부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뚜껑(210)과 제2 뚜껑(220)으로 분할되어 경첩(또는 회전축)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된다.The lid member 200 i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122, and the first lid 210 and the second lid 220 to partially open and close the upper part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122. It is divided into and coupled to be folded or unfolded by a hinge (or a rotating shaft).

이러한 제1 뚜껑(210) 또는 제2 뚜껑(220)는 수평단(213)의 사방 가장자리를 수직으로 각각 절곡하여 가장자리에 수직단(211)을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The first lid 210 or the second lid 220 has a structure in which vertical edges 211 are formed at the edges by vertically bending the four edges of the horizontal ends 213, respectively.

그리고, 제1 뚜껑(210) 또는 제2 뚜껑(220)의 한쪽에는 제1 뚜껑(210) 및 제2 뚜껑(220)을 펼쳐 국 수용부(122)를 닫은 상태에서 국자(400)의 손잡이(41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걸리도록 하기 위한 국자 걸림공(212)이 형성된다.Then, the handle of the scoop 40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id 210 and the second lid 220 are extended to one side of the first lid 210 or the second lid 220 and the soup container 122 is closed. A scoop catching hole 212 is formed to be caught in the state in which the 410 is exposed to the outside.

국자 걸림공(212)은, 국 수용부(122)에 위치한 국자(400)의 위치 변경없이 제1 뚜껑(210) 또는 제2 뚜껑(22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제1 뚜껑(210) 또는 제2 뚜껑(220)의 가장자리 수직단(211)과 수평단(213)에 연이어 형성되어 외측으로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뚜껑(210)에 국자 걸림공(212)이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ladle catching hole 212 may rotate the first lid 210 or the second lid 220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ladle 400 located in the station receiving part 122. The edges of the second lid 220 are formed in succession to the vertical end 211 and the horizontal end 213 to be opened to the out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that the ladle fastening hole 212 is formed in the first lid (210).

이와 같이, 국자 걸림공(212)이 수직단(211)과 수평단(213)에 외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국자 걸림공(212)에 국자(400)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뚜껑(210) 또는 제2 뚜껑(220)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ladle catching hole 212 is formed to open outward in the vertical end 211 and the horizontal end 213, the first lid 210 in the state where the ladle 400 is located in the ladle catching hole 212 Alternatively, the second lid 220 may be opened and closed.

즉, 국자 걸림공(212)에 국자(400)의 손잡이(410)가 걸린 상태에서, 손잡이(410)를 국자 걸림공(212)의 입구 쪽에 위치시킨 후 제1 뚜껑(210)을 경첩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국자(400)의 손잡이(410)가 국자 걸림공(212)을 통하여 회피되므로 제1 뚜껑(210)의 열림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제1 뚜껑(210)을 닫을 때에도 손잡이(410)가 국자 걸림공(212)의 입구에 위치하도록 한 후 제1 뚜껑(210)을 하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410)와 제1 뚜껑(210)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국자 걸림공(212)의 한쪽이 개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국자(400)와의 간섭없이 제1 뚜껑(210)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That is, in a state where the handle 410 of the ladle 400 is caught in the ladle catching hole 212, the handle 410 is positioned at the inlet side of the ladle catching hole 212, and the first lid 210 is centered on the hinge. Even if it rotates upward, the handle 410 of the ladle 400 is avoided through the ladle catching hole 212,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ning rotation of the first lid 210. Of course, on the contrary, even when the first lid 210 is closed, the handle 410 is positioned at the inlet of the ladle catching hole 212, and when the first lid 210 is rotated downward, the handle 410 and the first The interference of the lid 210 is not generated. As such, since one of the ladle catching holes 212 is opened, the first lid 210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ladle 400.

한편, 제1 뚜껑(210)과 제2 뚜껑(220)의 길이방향 각 측면에는, 제1 뚜껑(210)과 제2 뚜껑(220)을 경첩(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국 수용부(122)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216,226)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뚜껑부재(200)의 제1 뚜껑(210)에 구비된 손잡이(216) 또는 제2 뚜껑(220)에 구비된 손잡이(226)를 이용하여 국 수용부(122)의 일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on each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d 210 and the second lid 220, the first lid 210 and the second lid 220 is selectively rotated around the hinge (or rotation axis) to accommodate the station Handles 216 and 22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rt 122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refore, the user may easily part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by using the handle 216 provided on the first lid 210 or the handle 226 provided on the second lid 220 of the lid member 200. I can open and close it.

그리고, 제1 뚜껑(210) 및 제2 뚜껑(220)이 펼쳐진 상태의 뚜껑부재(200)는, 안착단(122D)을 기준으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안착단(122D)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펼쳐진 상태의 뚜껑부재(200)는 가로 및 세로 길이가 같도록 형성되어 국 수용부(122)의 입구와 같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뚜껑부재(200)의 크기는 수직단(211)이 안착단(122D)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안착단(122D)의 폭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펼쳐진 상태의 뚜껑부재(200)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id member 200 in a state where the first lid 210 and the second lid 220 are unfolded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end 122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seating end 122D. It is made of squares. That is, the lid member 200 in an unfolded state is formed to have the sam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and is formed in the same square as the inlet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ortion 122, and the size of the lid member 200 is mounted on the vertical end 211. It is formed to a size that can be seated on the stage (122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et the size of the lid member 200 in the unfolded state within the allowable width of the seating end (122D).

이와 같이, 안착단(122D)과 뚜껑부재(200)가 정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뚜껑부재(200)를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손잡이를 기준으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방향을 바꿔서 안착단(122D)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배식자(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뚜껑부재(200)를 이용하여 국 수용부(122)를 부분 개폐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As such, the seating end 122D and the lid member 200 are formed in a square shape, so that the lid member 200 is based on the handle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S. 7A and 7B. By changing the direction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seated on the seating end (122D). This means that the caterer (user) can partially open and close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using the lid member 200 at a desired position.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뚜껑부재(200)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뚜껑(210) 또는 제2 뚜껑(220)을 접은 후 안착단(122D)에서 들어올려 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뚜껑부재(200)를 몸체(100)로부터 분리하면 국 수용부(122)를 완전 개방할 수 있게 된다.And, the lid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folding the first lid 210 or the second lid 220, as shown in Figure 7 (c) lifts from the seating end (122D) body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100). As such, when the lid member 200 is separated from the body 100,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can be completely opened.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부재(200)가 분할 구성됨으로써, 국 수용부(122)를 부분 개폐하거나 전부 개폐가 가능하게 되고, 뚜껑부재(200)가 안착단(122D)에 안착됨으로써, 음식물에 의해 뚜껑부재(200)의 저면에 맺힌 물방울이 몸체(100)의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고 국 수용부(122)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id member 200 is divided into parts, thereby partially opening or closing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122, and fully opening and closing the lid member 200, and the lid member 200 is seated on the seating end 122D.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member 2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122 without flowing down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또한, 국 수용부(122)의 바닥(122A) 한쪽에 배출구(124)가 형성됨으로써, 잔여 국물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밸브(126)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개폐작동 구성품이 불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개폐작동 구성품과 기타 부품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고장율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12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122A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122, which facilitates the discharge of the remaining broth or wash water, as well as a separat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omponent for operating the valve 126. This becomes unnecessary, and hence no interference between the actuation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s can be generated and the failure rat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밸브(126)의 하부에 엘보관(300)가 구비됨으로써, 배출구(124)로 배출되는 국물이나 세척수를 수평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서 수직으로 배출되는 국물 등에 의해 작업자의 발이 젖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elbow tube 30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alve 126,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soup or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2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uch that the worker's feet wet by the soup discharged vertically, etc. This can be solved.

또한, 밸브(126)의 손잡이(127)가 외부체(140)의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자와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andle 127 of the valve 126 is provid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140,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operator.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embodiments will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몸체 120 : 내부체
122 : 국 수용부 124 : 배출구
126 : 밸브 140 : 외부체
200 : 뚜껑부재 210 : 제1 뚜껑
212 : 국자 걸림공 220 : 제2 뚜껑
300 : 엘보관
100: body 120: inner body
122: station receiving unit 124: outlet
126 valve 140 external body
200: lid member 210: first lid
212: ladle fastening hole 220: second lid
300: elbow tube

Claims (10)

국을 수용하기 위한 국 수용부가 상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 각 변 가장자리에는 상기 국 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단이진 안착단이 형성되며, 세척수나 국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밸브를 구비하여 바닥에 구비되는 내부체 및 단열재 또는 단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내부체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저면에는 이동용 바퀴들이 구비된 외부체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국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저면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단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내부체의 저면에 배치되는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고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이나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밸브의 손잡이가 상기 외부체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 중심에서 어느 한쪽 벽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거나 어느 한쪽 벽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방향의 상기 외부체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상기 내부체의 저면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내부체의 저면 중앙 영역을 격리시켜 상기 손잡이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격리판이 마련되며,
상기 국 수용부의 바닥은,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 또는 세척수가 상기 배출구로 모이도록 상기 배출구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밸브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는 세척수나 국을 상기 배출구와는 반대 방향의 상기 내부체의 저면 중앙 영역 쪽 수평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엘보관이 결합되며,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국 수용부의 상부를 부분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뚜껑과 제2 뚜껑으로 분할되어 경첩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뚜껑 또는 제2 뚜껑의 한쪽에는 상기 제1 뚜껑 및 제2 뚜껑을 펼쳐 상기 국 수용부를 닫은 상태에서 국자의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걸리고 상기 국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뚜껑 또는 제2 뚜껑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국자 걸림공이 형성되되, 상기 국자 걸림공은, 상기 제1 뚜껑 또는 제2 뚜껑의 가장자리 수직단과 수평단에 연이어 형성되어 외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안착단은,
상기 뚜껑부재로부터 흘러내린 물방울을 상기 국 수용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국 수용부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국 수용부의 입구에 형성된 상기 안착단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뚜껑 및 제2 뚜껑이 펼쳐진 상태의 상기 뚜껑부재는, 상기 안착단을 기준으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안착단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뚜껑과 제2 뚜껑의 길이방향 각 측면에는,
상기 제1 뚜껑과 상기 제2 뚜껑을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상기 국 수용부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
The receiving station for accommodating the station is formed in an upwardly open structure, and each seat edge of the inlet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with a seating end that is stepped inwar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or the station is provided. The body is provided with a valve and the inner body provided on the bottom and the insulating material or the insulating space interposed between the body consisting of an outer body with wheels for movement and coupled to the bottom, and the bottom edge to open and close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It includes a lid member that is selectively seated on the seating end,
The outlet,
The station so as to smoothly discharge the station or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component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body, so that the handle of the valve does not protrude more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The bottom center of the inner body where the outlet is locat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body are formed below the outer bod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is located and formed to be biased toward one wall from the bottom center of the receiving portion. A separator is provided to isolate the central area and expose the handle to the outside.
The bottom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the station or washing water received in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port so that the discharge port,
Under the valve,
Elbows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or the station discharged through the val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bottom central region of the inner body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scharge port is coupled,
The lid member,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is divided into a first lid and a second lid so as to be partially opened and closed, and coupled to be folded or unfolded by a hinge, and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lid or the second lid. Spread the handle of the ladle in the state of opening the state receiving portion closed to open and the ladle catching ho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lid or the second lid in the state where the ladle is located, the ladle jam The ball is formed in succession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ends of the edge of the first lid or the second lid and opened to the outside,
The seating end,
It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to guide the water droplets flowing from the lid member to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The seating end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station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the lid memb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are unfolded is seated on the seating en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ating end. To make it square,
On each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is selectively rotated around the hinge, characterized in that each handle is provid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Mobile soup bo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와 외부체 사이 또는 상기 내부체의 저면에는,
상기 국 수용부에 수용된 국을 보온하거나 냉장하기 위한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체에는 상기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국 배식대.

The method of claim 1,
Between the inner and outer body or on the bottom of the inner body,
A heating device or a cooling device for insulating or refrigerating the station housed in the station accommodating portion is provided, and the outer body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heating device or the cooling device,
Mobile soup kitchen stand.

KR1020180004457A 2018-01-12 2018-01-12 Rovingness type soup cart KR1020755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457A KR102075521B1 (en) 2018-01-12 2018-01-12 Rovingness type soup c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457A KR102075521B1 (en) 2018-01-12 2018-01-12 Rovingness type soup c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211A KR20190086211A (en) 2019-07-22
KR102075521B1 true KR102075521B1 (en) 2020-02-10

Family

ID=6746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457A KR102075521B1 (en) 2018-01-12 2018-01-12 Rovingness type soup c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5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101B1 (en) 2022-09-20 2023-03-20 (주) 아시안룩스 Docking type soup car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125Y1 (en) * 2005-02-28 2005-05-24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Soup carrying car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682Y2 (en) * 1991-11-27 1997-04-23 三洋電機株式会社 Liquid storage device
KR200431705Y1 (en) 2006-08-09 2006-11-24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Vehicular serice car for din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125Y1 (en) * 2005-02-28 2005-05-24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Soup carrying ca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101B1 (en) 2022-09-20 2023-03-20 (주) 아시안룩스 Docking type soup car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211A (en)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591A (en) Combination service table, drain, and conveyer
US10470609B2 (en) Steaming accessory comprising a receptacle for collecting condensates designed to rest on a mixing bowl of a household appliance
US5458050A (en) Multi-purpose cooker
US7827906B1 (en) Deep fryer cooking apparatus
US6571686B1 (en) Brew basket with overflow channel
US3694046A (en) Space saving kitchen unit
CN106175477B (en) Oil-free air fryer
US20120031278A1 (en) Liquid overflow platform and container for small appliances
JP2005500217A (en)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comprising a drip tray assembly
US8176843B2 (en) Multi-compartment grease tray
KR102075521B1 (en) Rovingness type soup cart
EP2497397B1 (en) A milk container associable to a dispenser of a flow of steam and/or water of a coffee machine
US2630813A (en) Spray manifold for washing machines
US8616121B1 (en) Cooktop drain
WO2008128609A1 (en) Highly flexible coffeepot for the production of a coffee based beverage
US1183721A (en) Glass coffee-urn.
CN214712128U (en) Easy abluent multi-functional utensil of baking of frying in shallow oil
US6832492B1 (en) Outdoor buffet cooler
CN212326110U (en) Combined pot
KR200431705Y1 (en) Vehicular serice car for dining
WO1995019112A1 (en) Multi-purpose cooker
CN113345161B (en) Constant-temperature self-service fast food machine
US2291090A (en) Refrigerator
AU2019225392B2 (en) A compact kitchen assembly
JP3684923B2 (en) Citir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