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438B1 - Catheter - Google Patents

Cath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438B1
KR102074438B1 KR1020180089729A KR20180089729A KR102074438B1 KR 102074438 B1 KR102074438 B1 KR 102074438B1 KR 1020180089729 A KR1020180089729 A KR 1020180089729A KR 20180089729 A KR20180089729 A KR 20180089729A KR 102074438 B1 KR102074438 B1 KR 10207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ixed
rotating
tube member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치영
Original Assignee
이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영 filed Critical 이치영
Priority to KR102018008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4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4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4Mean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inflation or def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5Connections between catheter tubes and inflatio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7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system for expelling the air out of the balloon before inflation and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comprising a bypass path. The catheter comprises: an insertion unit to be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and a manipulatable unit connected to the insertion unit and configured to inject a drug into the human body or to drain blood or urine from the human body through the insertion unit, wherein the insertion unit of the catheter comprises: an outer tube member configured to regulate a degree of expansion of a balloon according to an injection pressure of air or saline solution; an inner tube member configured to receive a drug therein or to discharge fluid constituting the human body to the outside; a bypass tube communicating the front and back of a balloon unit; a pressure regulation tube; a fixing ring in which a first fixing groove and a second fixing groove are formed; and a rotary ring in which a first rotation groove and a second rotation groove are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bypass path, a difference in pressure between closures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balloon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scription

카테터{Catheter}Catheter {Catheter}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패스 경로를 구비하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theter having a bypass path.

최근 협심증, 심근경색증, 돌연사로 대표되는 심장혈관(관상동맥) 질환의 발생률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심혈관 질환의 치료 면에 있어서 지난 10년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어 왔다. 약물 치료 이외에도 수술적 방법으로 좁아진 혈관 부위를 이어 붙이는 관동맥 우회로술과 그물망 시술 등의 여러 치료법이 발달하여 동맥경화증으로 관상동맥이 좁아져 고통을 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으며, 심장질환의 치료에 새로운 전기가 오고 있다. Recently,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coronary) diseases such as angina, myocardial infarction and sudden death has increased rapidly. Significant advances have been made in the past decade in the treatment of these cardiovascular diseases. In addition to drug treatment, various treatments such as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nd reticulum that connect narrowed blood vessels by surgic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giving hope to patients suffering from narrowing of coronary arteries due to atherosclerosis. Electricity is coming.

구체적으로 관상동맥 협착질환의 치료는 순환기내과에서 시행하는 약물 치료와 비수술적인 확장 성형술 및 흉부외과에서 시행하는 수술적 치료(관동맥 우회로술)가 있다. 약물 치료로는 협착 부위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지속적으로 항협심증 약물을 복용해야 하고 약물 치료의 한계로 인하여 약을 복용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협심증에 의한 흉통이 있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reatment of coronary artery stenosis includes drug treatment in circulatory medicine, nonsurgical dilatation and surgical treatment (thoracic bypass surgery). Medication cannot fundamentally resolve the stenosis site,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take antianginal drug and there may be chest pain due to persistent angina even when taking medica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drug treatment.

또한 뇌졸증과 같은 대뇌질환이나 척추손상 등에 의해 일어나는 전신 또는 하반신 마비환자는 고령인구의 증가와 교통사고 또는 산업재해의 급증 등의 원인에 의해 해마다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환자에서 필연적으로 방광 마비가 동반되는데, 방광마비에 대한 치료는 환자의 예후에 전적으로 좌우하게 되며, 이러한 환자에 대한 치료법으로 폴리 카테터(Foley Catheter)를 방광 내에 유지시켜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ystemic or lower paraplegia caused by cerebral disease or spinal cord injury, such as stroke, is increasing year by year due to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traffic accidents or a sudden increase in industrial accidents. In these patients, bladder palsy is inevitably involved. Treatment for bladder palsy depends entirely on the patient's prognosis. As a treatment for these patients, Foley Catheter is maintained in the bladder to drain urine outward. .

폴리 카테터는 튜브형 카테터 본체의 말단 부분에 폴리(Foley)를 접합시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폴리가 팽창되어 풍선(Ballon)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카테터가 방광내에 유지되도록 한다.The polycatheter bonds the Foley to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catheter body, so that the poly is expanded by a fluid flowing from the outside to have a balloon shape, thereby keeping the catheter in the bladder.

그러나 이러한 벌룬을 이용한 카테터의 경우 상시 개방하지 않는 한 폐쇄지점을 기준으로하는 원위부와 근위부 사이의 압력 조절을 하기 어렵고, 특히 방광에 삽입되는 경우 벌룬의 크기에 비하여 축소 과정에서 벌룬의 일정한 모양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pressure between the distal part and the proximal part based on the closed point unless the catheter is used at all times. In particular, when the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bladder, the balloon maintains a constant shape during the reduction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do.

본 발명은 벌룬의 전후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경로를 통한 폐쇄 양측의 압력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theter that can facilitate pressure regulation on both sides of the closure through a bypass path communicating back and forth of the balloon.

또한 본 발명은 벌룬의 축소 시 최대한 일정한 모양으로 축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theter that can be reduced to a certain shape as possible when the balloon is reduced.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부재를 포함하여 인체내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를 통하여 인체 내로 약물을 주입하거나 인체 내의 혈액 또는 소변 등을 유출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카테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삽입부는,In the catheter comprising an insertion unit including at least one tube member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and an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insertion unit for injecting drugs into the human body or outflowing blood or urine in the human body through the insertion unit, Insertion portion of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인체 내로 삽입되고, 단부 측에 벌룬부를 구비하여 에어 또는 식염수의 주입 압력에 따라 상기 벌룬의 팽창 정도를 조절하는 외 튜브부재; 상기 외 튜브부재 내에 수용되고, 상기 외 튜브부재의 단부측을 통하여 외부와 인체 내를 연통시키고, 약물이 주입되거나 인체를 구성하는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내 튜브부재; 상기 외 튜브부재 내에 수용되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벌룬부의 전후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튜브; 상기 내 튜브부재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단부가 폐쇄된 튜브형으로 형성되는 압력조절 튜브; 상기 내 튜브부재가 관통되도록 외삽되고, 상기 내 튜브부재의 일 지점에 고정되며, 상기 바이패스 튜브 및 상기 압력조절 튜브가 각각 관통되도록 수용하는 고정 제1홈 및 고정 제2홈이 형성되는 고정링; 및 상기 내 튜브부재가 관통되도록 외삽되고, 상기 고정링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 튜브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바이패스 튜브 및 상기 압력조절 튜브가 각각 관통되도록 수용하는 회전 제1홈 및 회전 제2홈이 형성되는 회전링;을 포함하고,An outer tube member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and having a balloon at an end side to adjust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balloon according to the injection pressure of air or saline; An inner tube member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tube member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the human body through an end side of the outer tube member, and injects a drug or outflows the fluid constituting the human body to the outside; A bypass tube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ccommodated in the outer tube memb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and rear of the balloon portion; A pressure regulating tube formed in a closed tubular end portion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member; The inner ring is extrapolated to penetrate the inner tube member, is fixed to a point of the inner tube member, the fixing ring is formed with a fixed first groove and a fixed second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bypass tube and the pressure control tube respectively through ; And an extrapolated to penetrate the inner tube member and provided to be adjacent to the fixing ring to rotate about the inner tube member, and to receive the bypass tube and the pressure control tube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groove and the rotation. Includes; a rotary ring formed with a second groove,

상기 고정 제1홈 및 고정 제2홈의 간격과 상기 회전 제1홈 및 회전 제2홈의 간격이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압력조절 튜브 내에 유체가 공급되거나 양압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압력조절 튜브가 직선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상기 회전링이 회전하여 상기 고정 제1홈 및 상기 회전 제1홈이 어긋나고 상기 배이패스 튜브 내 공간의 단면적이 감소된다.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fixed first groove and the fixed second groov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rotating first groove and the second rotating groove are formed differently so that the fluid is supplied or posi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pressure regulating tube, the pressure regulating tube Is aligned in a linear direction so that the rotating ring rotates so that the fixed first groove and the rotating first groove are shifted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ace in the bypass tube is reduced.

또한 상기 고정 제1홈, 상기 고정링의 중심축 및 상기 고정 제2홈이 형성하는 제1 중심각은, 상기 회전 제1홈, 상기 회전링의 중심축 및 상기 회전 제2홈이 형성하는 제2 중심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enter angle formed by the fixed first groove, the central axis of the fixing ring, and the fixed second groove is a second shaft formed by the rotating first groove,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ring, and the rotating second groove. It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center angle.

또한 상기 고정 제2홈과 상기 회전 제2홈은 각각 상기 고정링과 상기 회전링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장된 제1 확장부 및 제2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second groove and the rotating second groove may be formed with a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extending in a direction facing the fixed ring and the rotation ring, respectively.

또한 상기 고정 제1홈 및 상기 회전 제1홈이 일직선상에 정렬되는 경우,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회전 제2홈측으로 확장되고,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고정 제2홈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xed first groove and the rotating first groove are aligned in a straight line, the first expansion part may extend toward the rotating second groove side,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may extend toward the fixed second groove side.

또한 상기 압력조절 튜브 내에 유체가 공급되지 않거나 음압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튜브의 재질 및 단면 형상에 기인하는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 제1홈 및 상기 고정 제2홈이 일직선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no fluid is supplied to the pressure regulating tube or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the fixed first groove and the fixed second groove may be aligned in a straight direction by a restoring force due to the material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ypass tube. have.

또한 상기 벌룬부는 내측면에 상기 내 튜브부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나선형상으로 두께가 보강되는 두께 보강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lloon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ckness reinforcing portion is reinforced in a spiral shape on the basis of 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tube member.

또한 상기 두께 보강부는 상기 벌룬부의 중앙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balloon portion.

또한 상기 두께 보강부는 종단면 기준으로 두께의 증감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thickness on the basis of the longitudinal s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바이패스 경로의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벌룬을 기준으로 폐쇄 양측 간의 압력차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ypass path by providing a pressur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closed sides based on the ballo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벌룬에 양압을 가한 후 다시 음압을 가한 경우 벌룬의 수축상태의 모양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osi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balloon and the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again, the shape of the contracted state of the balloon may be uniformly 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카테터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삽입측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 및 고정링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 및 고정링의 상호 위치에 따른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 지점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ertion side of th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rotating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fixing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the rotating ring and the fixed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mutual position of the rotary ring and the fixed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ballo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point of FIG. 7.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Unless otherwise defined or mentioned, terms indicating directions used in the present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states shown in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dica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thickness or dimensions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mean that actually should be configured by the ratio between the dimensions or configuration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카테터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삽입측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ertion side of th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0)는 일반적인 카테터나 스텐트 시술에 이용되는 직경이 큰 카테터(catheter), 폴리 카테터, 케뉼라(cannula)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각 부재들은 특정 목적의 의료 기구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사한 구성을 갖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한 명칭에 상관없이 다양한 의료 기구들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The cathet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a large diameter catheter, polycatheter, cannula, or the like used in a general catheter or stent procedure. Each memb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medical device for a specific purpose, and various medical devices may correspond to any name as long as they have a similar configuration or perform similar functions.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0)는 조작부(111, 112) 및 이에 연결되는 삽입측 구성부들로 구분될 수 있다. 조작부(111, 112)들은 삽입측에 포함되는 각각의 튜브 부재와 연결되어 약물을 인체내로 주입하거나 인체 내의 혈액이나 소변 등의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cathet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vided into the manipulation units 111 and 112 and the insertion side components connected thereto. The operation units 111 and 112 are connected to respective tube members included in the insertion side to inject drugs into the human body or to discharge fluid such as blood or urine from the human body to the outside.

삽입측에는 외 튜브부재(12)와 벌룬부(13)를 포함한다. 외 튜브부재(12)는 일정 길이를 갖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 튜브부재(10)는 환자의 혈관이나 요도 및 방광 등으로 삽입되는 구성부이다. 벌룬부(13)는 상황에 따라 혈관을 폐쇄하거나, 방관 내에 삽입되어 요도를 패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The insertion side includes an outer tube member 12 and a balloon portion 13. The outer tube member 12 is formed in a tub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outer tube member 10 is a component that is inserted into a patient's blood vessels, urethra and bladder. The balloon portion 13 may function to close the blood vessel or insert the urethra to block the urethra depending on the situation.

외 튜브부재(12) 및 벌룬부(13)는 실리콘에 탄소나노튜브 중합체(CNT Polymer)가 배합된 소재로 구성되어, 별도의 항생 물질의 도포 또는 코팅 없이 세균 감염의 근윈인 생물막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The outer tube member 12 and the balloon part 13 are made of a material in which a carbon nanotube polymer (CNT polymer) is blended in silicon, thereby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a biofilm that is the root of bacterial infection without applying or coating a separate antibiotic. can do.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탄소원자가 만드는 원통형의 결정으로 직경 2~20nm(1nm는 1/1,000,000m), 길이는 수백~수천nm로 이루어진다. 또한, 탄소나노튜브 중합체(CNT Polymer)는 탄소나노튜브(CNT)와 징크옥사이드(ZnO)가 결합된 중합체이며, 탄소나노튜브(CNT)와 징크옥사이드(ZnO)가 서로 동일한 비율로 중합되거나, 또는 징크옥사이드(ZnO)가 탄소나노튜브(CNT) 보다 높은 비율로 중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Carbon nanotubes (CNTs) are cylindrical crystals made of carbon atoms, with diameters of 2-20 nm (1 nm is 1 / 1,000,000 m) and lengths of hundreds to thousands of nm. In addition, the carbon nanotube polymer (CNT Polymer) is a polymer in which carbon nanotubes (CNT) and zinc oxide (ZnO) are combined, and carbon nanotubes (CNT) and zinc oxide (ZnO) are polymerized in the same ratio, or Zinc oxide (ZnO) may be polymerized at a higher ratio than carbon nanotubes (CNT), and vice versa, if necessar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구성하는 외 튜브부재(12)는 예를 들어 실리콘 100 중량부 대비 탄소나노튜브 중합체 1.0 내지 2.2 중량부로 배합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outer tube member 12 constituting th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blended with 1.0 to 2.2 parts by weight of carbon nanotube polymer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silicon.

탄소나노튜브 중합체는 삽관된 인체 내 전위에 반응하여 일정한 정전용량을 가지게 됨으로써, 인체에는 무해하나 세균과 생물막에는 치명적인 정전효과(Galvanic effect)를 가지게 되어 생물막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탄소나노튜브의 특성인 높은 열전도성으 로 인하여 인체 삽입 과정에서 해당자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carbon nanotube polymer has a constant capacitance in response to the intubation potential of the human body,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but has a fatal galvanic effect on bacteria and biofilms, thereby minimizing biofilm formation. Due to its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rejection of the person can be minimized during the insertion process.

또한, 기존 항생 물질을 도포 또는 코팅한 카테터의 경우 생물막 형성과 세균 감염으로 인해 1주 이상 사용이 불가하나, 탄소나노튜브 중합체(CNT ploymer)가 실리콘에 내첨됨에 따라 최소 4~5주의 사용연한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atheter coated or coated with existing antibiotics cannot be used for more than 1 week due to biofilm formation and bacterial infection.However, at least 4 to 5 weeks of service life may be required as CNT ploymer is embedded in silicon. Can have.

삽입부, 즉 삽입측 구성부로는 앞서 설명한 외 튜브부재(12) 및 벌룬부(13) 이외에도 외 튜브부재(12) 내에 내 튜브부재(14), 바이패스 튜브(15), 압력조절 튜브(151),회전링(16) 및 고정링(17)을 포함한다.In addition to the insertion portion, that is, the insertion-side configuration portion, the inner tube member 14, the bypass tube 15, the pressure control tube 151 in the outer tube member 12, in addition to the outer tube member 12 and the balloon portion 13 described above. ), A rotary ring 16 and a fixed ring (17).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 튜브부재(12)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튜브부재(12)의 내측에는 일정한 공간부(1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측에서는 폐쇄된 상태가 된다. 외튜브부재(12)의 내측 공간부(125)를 통하여 에어 또는 생리식염수가 투입되는 경우 압력이 증가되어 벌룬부(13)가 팽창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uter tube member 12 is formed in a tube shape.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member 12 is formed with a constant space portion 125, the end side is in a closed state. When air or physiological saline is introduced through the inner space 125 of the outer tube member 12, the pressure is increased to inflate the balloon 13.

내 튜브부재(14)는 앞서 설명한 조작부로부터 외 튜브부재(12)의 단부에 이르기까지 관통하는 형상의 튜브 부재로서 구비된다. 내 튜브부재(14)는 외부와 인체의 내측 일정 영역을 소통하여 약물을 주입하거나 혈액 또는 소변 등의 인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로서 기능한다.The inner tube member 14 is provided as a tube member having a shape that penetrates fro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portion to the end of the outer tube member 12. The inner tube member 14 functions as a passage for injecting drugs or discharging the fluid of the human body, such as blood or urine, to the outside by communicating a certain area inside the human body with the outside.

바이패스 튜브(15)는 외 튜브부재(12)의 단부로부터 벌룬부(13)의 내측을 관통하는 튜브 부재로서 구비된다. 바이패스 튜브(15)는 벌룬부(13)의 양측에 추가적인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바이패스 튜브(15)는 바이패스 입구(151) 및 바이패스 출구(152)를 구비한다. 한편, 바이패스 입구(151)는 외 튜브부재(12)의 단부측에 구비되나, 바이패스 출구(152)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며, 조작부 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bypass tube 15 is provided as a tube member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balloon portion 13 from the end of the outer tube member 12. The bypass tube 15 functions to provide additional passages on both sides of the balloon portion 13. Bypass tube 15 has a bypass inlet 151 and a bypass outlet 152. On the other hand, the bypass inlet 151 is provided on the end side of the outer tube member 12, the position of the bypass outlet 152 is not limited, it may be formed on the operation unit side.

한편, 바이패스 튜브(15)는 벌룬부(13)와 바이패스 출구(152) 사이에서 회전링(16)과 고정링(17)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bypass tube 15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rotary ring 16 and the fixed ring 17 between the balloon portion 13 and the bypass outlet 152.

압력조절 튜브(151)는 고정부(152)를 통하여 내 튜브부재(14)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회전링(16)과 고정링(17)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단부가 폐쇄되어 주입되는 유체에 따라 또는 양압이나 음압을 가해줌에 따라 내측의 압력을 변동시킴으로써 직선도, 즉 직선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하거나 외부의 힘에 의하여 휘어진 형태가 된다.The pressure control tube 151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member 14 through the fixing part 152, is provided through the rotating ring 16 and the fixing ring 17, the end is closed, the fluid injected By changing the inner pressure according to or by applying a positive pressure or a negative pressure, the straightness, that is, the shape close to the straight line or bent by an external force is obtained.

고정링(17)은 내 튜브부재(14)가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외삽된다. 고정링(17)은 내 튜브부재(14)의 외측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에 비하여 회전링(16)은 내 튜브부재(14)가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외삽되며, 고정링(17)에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회전링(16)은 내 튜브부재(14)의 길이 방향으로는 고정된 상태이나, 내 튜브부재(14)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fixing ring 17 is extrapolated so that the inner tube member 14 penetrat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Fixing ring 17 is provided in a fixed state so as not to move outside the inner tube member (14). In contrast, the rotary ring 16 is extrapolated so that the inner tube member 14 penetrat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nd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ixed ring 17. The rotary ring 16 i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member 14, but is provided to rotate the inner tube member 14 as the rotation axis.

회전링(16) 및 고정링(17)은 압력조절 튜브(151) 내의 압력에 따라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바이패스 튜브(15)를 조이거나 릴리즈 시킴으로써 바이패스 튜브(15)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The rotary ring 16 and the fixed ring 17 rotate relative to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ontrol tube 151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tube 15 by tightening or releasing the bypass tube 15. .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링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 및 고정링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링 및 고정링의 상호 위치에 따른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rotating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fixing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ddi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otating ring and the fixed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mutual position of the rotating ring and the fixed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링(16)은 내 튜브부재(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심축이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에는 유체 또는 에어가 소통될 수 있도록 관통된 유로(165)가 형성되며, 일 지점에는 회전 제1홈(161)과 회전 제2홈(163)이 형성된다. 회전 제2홈(163)은 고정링(17) 측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대된 제1 확장부(1631)가 형성된다. 제1 확장부(1631)는 회전 제1홈(161) 방향으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내부 공간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추후 압력조절 튜브가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3, the rotary ring 16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central axis penetrates to accommodate the inner tube member 14, and a flow path 165 penetrated so that fluid or air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 Is formed, and the rotating first groove 161 and the rotating second groove 163 are formed at one point. The rotating second groove 163 is formed with a first extension portion 1163 having an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in the fixing ring 17 side direction. The first expansion part 163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internal space is extend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groove 161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pressure control tube can be bent later.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링(17)은 내 튜브부재(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심축이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에는 유체 또는 에어가 소통될 수 있도록 관통된 유로(175)가 형성되며, 일 지점에는 고정 제1홈(171)과 고정 제2홈(173)이 형성된다. 고정 제2홈(173)은 회전링(16) 측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대된 제2 확장부(1731)가 형성된다. 제2 확장부(1731)는 고정 제1홈(171) 방향으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내부 공간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추후 앞서 설명한 제1 확장부(1631)와 함께 압력조절 튜브가 휘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 확장부(1731)과 제1 확장부(1631)는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fixing ring 17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central axis penetrates to accommodate the inner tube member 14, and a flow path 175 penetrated so that fluid or air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 Is formed, and the fixed first groove 171 and the fixed second groove 173 are formed at one point. The fixed second groove 173 is formed with a second extension portion 1731 having an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in the rotation ring 16 side direction. The second expansion part 173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internal space is extend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xed first groove 171 direction, and the pressure control tube may be bent together with the first expansion part 1631 described above. To provide space.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731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631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제1홈(171), 고정링(17)의 중심축 및 고정 제2홈(173)이 형성하는 제1 중심각은, 회전 제1홈(161), 회전링(16)의 중심축 및 회전 제2홈(163)이 형성하는 제2 중심각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first center angle formed by the fixed first groove 171, the central axis of the fixed ring 17, and the fixed second groove 173 is a rotary first groove 161 or a rotary ring. It is to be formed smaller than the central axis of the (16) and the second central angle formed by the rotating second groove 163.

압력조절 튜브(151) 내에 유체가 공급되지 않거나 음압이 형성되는 경우, 바이패스 튜브(15)의 재질 및/또는 단면 형상에 기인하는 복원력에 의하여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제1홈(171) 및 회전 제1홈(161)이 일직선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바이패스 튜브(15)가 직선형상으로 펴진 상태가 되며, 이 경우 바이패스 튜브(15)의 최대 단면적을 통하여 혈액 또는 소변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When no fluid is supplied to the pressure control tube 151 or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the fixing agent is shown in FIG. 6A by restoring force due to the material and / o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ypass tube 15. By arranging the first groove 171 and the rotating first groove 161 in a straight line, the bypass tube 15 is straightened, and in this case, blood or urine is passed through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of the bypass tube 15. The back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반면, 압력조절 튜브(151) 내에 유체 또는 에어가 공급되는 등 양압이 형성되는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절 튜브(151)가 일직선 형상으로 곧게 뻗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링(16)이 회전하여 회전 제1홈(161)과 고정 제1홈(171)이 어긋나게 된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 튜브(15)가 압박되어 단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 경우 혈액 또는 소변 등의 배출양이 줄어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positive pressure is formed such that fluid or air is supplied into the pressure regulating tube 151, the pressure regulating tube 151 extends straight in a straight line shape as shown in FIG. The rotation 16 displaces the rotating first groove 161 and the fixed first groove 171. Accordingly, the bypass tube 15 is pressed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is case, the discharge amount of blood or urine is reduced.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압력조절 튜브(151)에 걸리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바이패스 튜브(15)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ypass tube 15 by adjust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adjusting tube 15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부를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 지점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A ballo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ballo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point of FIG. 7.

본 실시예에 따른 벌룬부(13)는 내측면에 내 튜브부재(1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나선형상으로 두께가 보강되는 두께 보강부(139)가 형성될 수 있다. 요도를 통하여 카테터가 삽입된 후 방광을 폐쇄하는 경우 벌룬부(13)의 원위부(Ra)측이 방광의 입구측을 폐쇄하는 형태가 된다. 두께 보강부(139)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벌룬부(13)의 팽창 시의 형상면에서 두께 보강부(139)가 미세하게 덜 팽창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두께 보강부(139)의 경우 벌룬부(13)의 중앙측 또는 근위부(Rb)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두께 보강부(139)는 벌룬부(13)의 원위부측 단부로부터 전체 벌룬부 길이의 약 20% 내지 35%의 범위 내에서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머지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lloon part 13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thickness reinforcing part 139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oon part 13 in a spiral shape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tube member 14. When the bladder is closed after the catheter is inserted through the urethra, the distal portion Ra side of the balloon portion 13 closes the inlet side of the bladder. In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reinforcement portion 139 is formed, the thickness reinforcement portion 139 may be slightly less expanded in shape when the balloon portion 13 is inflate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thickness reinforcement portion 139,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reinforcement portion 139 is formed at the center side or the proximal portion Rb side of the balloon portion 13. For this reason, the thickness reinforcing portion 139 is preferably not formed within the range of about 20% to 35% of the total length of the balloon from the distal end of the balloon portion 13, and is preferably formed at the remaining point. .

두께 보강부(13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 기준으로 두께의 증감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완만하게 두께가 증가하는 지점(Pa)과 최대 두께 형성지점(Pb)와 두께가 급격히 감소하는 지점(Pc)와 같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 상태에서 벌룬부(13) 내에 에어 등의 유체가 빠져나가거나 음압이 형성되는 경우 두께가 급격히 감소하는 지점(Pc)의 외측이 내측으로 상대적으로 급격히 수축하게 되며, 이러한 작용으로 인하여 해당 지점(Pc) 부근에 폴딩선이 형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지점에서 접혀야 하는 부재의 경우 두께를 라인을 따라 감소시킴으로써 해당 라인을 따라 폴딩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으나, 벌룬부(13)의 경우 두게 감소로 인하여 체내에서 파손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일종의 폴딩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인 폴딩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thickness reinforcing part 139 is preferably form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thickness asymmetrically bas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symmetrically, such as a point Pa that gradually increases in thickness, a point where the maximum thickness is formed, and a point Pc that decreases in thickness. When the fluid such as air escapes or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balloon portion 13 in the expanded state, the outer side of the point Pc whose thickness decreases rapidly contracts relatively rapidly to the inside, and due to this action,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folding lin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Pc). In general, the member to be folded at a certain point is formed to be folded along the line by reducing the thickness along the line, but in the case of the balloon portion 13, there is a risk of damage in the body due to the reduction in thickness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kind of folding line through the stable folding effect can be obtained.

본 실시예의 경우 방광의 폐쇄와 같이 벌룬부(13)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야하는 카테터에 더욱 의미가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uch as the closure of the bladder, the size of the balloon portion 13 is more meaningful to the catheter to be formed relatively larg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d in the claims. have.

10: 카테터
12: 외 튜브부재
14: 내 튜브부재
15: 바이패스 튜브
16: 회전링
17: 고정링
151: 압력조절 튜브
10: catheter
12: outer tube member
14: inner tube member
15: Bypass tube
16: rotating ring
17: retaining ring
151: pressure control tube

Claims (8)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부재를 포함하여 인체내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를 통하여 인체 내로 약물을 주입하거나 인체 내의 혈액 또는 소변 등을 유출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인체 내로 삽입되고, 단부 측에 벌룬부를 구비하여 에어 또는 식염수의 주입 압력에 따라 상기 벌룬의 팽창 정도를 조절하는 외 튜브부재;
상기 외 튜브부재 내에 수용되고, 상기 외 튜브부재의 단부측을 통하여 외부와 인체 내를 연통시키고, 약물이 주입되거나 인체를 구성하는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내 튜브부재;
상기 외 튜브부재 내에 수용되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벌룬부의 전후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튜브;
상기 내 튜브부재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단부가 폐쇄된 튜브형으로 형성되는 압력조절 튜브;
상기 내 튜브부재가 관통되도록 외삽되고, 상기 내 튜브부재의 일 지점에 고정되며, 상기 바이패스 튜브 및 상기 압력조절 튜브가 각각 관통되도록 수용하는 고정 제1홈 및 고정 제2홈이 형성되는 고정링; 및
상기 내 튜브부재가 관통되도록 외삽되고, 상기 고정링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 튜브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바이패스 튜브 및 상기 압력조절 튜브가 각각 관통되도록 수용하는 회전 제1홈 및 회전 제2홈이 형성되는 회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제1홈 및 고정 제2홈의 간격과 상기 회전 제1홈 및 회전 제2홈의 간격이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압력조절 튜브 내에 유체가 공급되거나 양압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압력조절 튜브가 직선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상기 회전링이 회전하여 상기 고정 제1홈 및 상기 회전 제1홈이 어긋나고 상기 바이패스 튜브 내 공간의 단면적이 감소되는 카테터.
In the catheter comprising an insertion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tubula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and an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insertion unit for injecting drugs into the human body or outflowing blood or urine in the human body through the insertion unit,
The insertion unit,
An outer tube member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and having a balloon on an end side to adjust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balloon according to the injection pressure of air or saline;
An inner tube member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tube member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the human body through an end side of the outer tube member, and injects a drug or outflows the fluid constituting the human body to the outside;
A bypass tube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ccommodated in the outer tube memb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and rear of the balloon portion;
A pressure regulating tube formed in a closed tubular end portion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member;
The inner ring is extrapolated to penetrate the inner tube member, is fixed to a point of the inner tube member, the fixing ring is formed with a fixed first groove and a fixed second groove for receiving the bypass tube and the pressure control tube through ; And
The inner tube member is extrapolated so as to penetrate, and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ixing ring to rotate around the inner tube member, the rotating first groove and the rotating agent to receive the bypass tube and the pressure control tube respectively through Rotation ring is formed; two grooves;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fixed first groove and the fixed second groov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rotating first groove and the second rotating groove are formed differently so that the fluid is supplied or posi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pressure control tube, the pressure control tube Is aligned in a linear direction, the rotating ring is rotated so that the fixed first groove and the rotating first groove is displaced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ace in the bypass tube is redu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제1홈, 상기 고정링의 중심축 및 상기 고정 제2홈이 형성하는 제1 중심각은, 상기 회전 제1홈, 상기 회전링의 중심축 및 상기 회전 제2홈이 형성하는 제2 중심각보다 작게 형성되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enter angle formed by the fixed first groove, the central axis of the fixing ring, and the fixed second groove is a second center angle formed by the rotating first groove,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ring, and the rotating second groove. Catheter formed smal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제2홈과 상기 회전 제2홈은 각각 상기 고정링과 상기 회전링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장된 제1 확장부 및 제2 확장부가 형성되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ed second groove and the rotating second groove is a catheter formed with a first expansion portion and a second expansion portion has a cross-sectional area is extended in a direction facing the fixed ring and the rotation ring,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제1홈 및 상기 회전 제1홈이 일직선상에 정렬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회전 제2홈측으로 확장되고,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고정 제2홈측으로 확장되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extends toward the rotating second groove side,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extends toward the fixed second groove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fixed first groove and the rotating first groove are aligned in a straight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튜브 내에 유체가 공급되지 않거나 음압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튜브의 재질 및 단면 형상에 기인하는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 제1홈 및 상기 회전 제1홈이 일직선방향으로 정렬되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luid is not supplied to the pressure control tube or the negative pressure is formed, the catheter in which the fixed first groove and the rotating first groove is aligned in a straight direction by the restoring force due to the material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ypass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부는 내측면에 상기 내 튜브부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나선형상으로 두께가 보강되는 두께 보강부가 형성되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balloon portion is a cathet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ckness reinforcing portion is reinforced in a spir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tube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보강부는 상기 벌룬부의 중앙부 측에 형성되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6,
The thickness reinforcement portion is a catheter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balloon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보강부는 종단면 기준으로 두께의 증감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6,
The thickness reinforcement portion is a catheter is formed asymmetrically increased or decreased thickness based on the longitudinal section.
KR1020180089729A 2018-08-01 2018-08-01 Catheter KR1020744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729A KR102074438B1 (en) 2018-08-01 2018-08-01 Cath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729A KR102074438B1 (en) 2018-08-01 2018-08-01 Cathe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438B1 true KR102074438B1 (en) 2020-02-06

Family

ID=6956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729A KR102074438B1 (en) 2018-08-01 2018-08-01 Cathe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43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385A (en) * 2003-12-26 2006-12-01 니혼메딕스캄파니리미티드 Heating-type balloon catheter device, and elastic tube device and vibrator device for the catheter device
KR20140079847A (en) * 2011-10-20 2014-06-27 우로파르마 리미티드 Improvements in catheters
JP2015501681A (en) * 2011-11-16 2015-01-19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onvatec Technologies Inc Device for preventing overexpansion of balloon for fixing medical catheter and airw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3385A (en) * 2003-12-26 2006-12-01 니혼메딕스캄파니리미티드 Heating-type balloon catheter device, and elastic tube device and vibrator device for the catheter device
KR20140079847A (en) * 2011-10-20 2014-06-27 우로파르마 리미티드 Improvements in catheters
JP2015501681A (en) * 2011-11-16 2015-01-19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onvatec Technologies Inc Device for preventing overexpansion of balloon for fixing medical catheter and airw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0373B2 (en) catheter
KR102595041B1 (en) Catheter system for continuous irrigation
US8211055B2 (en) Drug eluting balloon
US8088103B2 (en) Occlusion perfusion catheter
US20040236365A1 (en) Low thermal resistance elastic sleeves for medical device balloons
US94687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l bioactive material delivery
AU2019352594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caffolding
JP2009539504A (en) Selective renal intubation and infusion system and method
US20220072284A1 (en) An improved tube for a urethral catheter and catheter comprising it
KR102074438B1 (en) Catheter
KR102390728B1 (en) Urination Catheter of Liquid Medicine Injection Type
US201501419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argeted Delivery of Fluid Therapeutics
WO2021185931A2 (en) Improved continuous flushing catheter
JP2006043351A (en) Catheter with double balloon for perfusion
US20120259316A1 (en) Catheter
CN117679614A (en) Pressure-controlled balloon for supporting, compressing and drug delivery
JPH0356063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