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58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585B1
KR102072585B1 KR1020180045251A KR20180045251A KR102072585B1 KR 102072585 B1 KR102072585 B1 KR 102072585B1 KR 1020180045251 A KR1020180045251 A KR 1020180045251A KR 20180045251 A KR20180045251 A KR 20180045251A KR 102072585 B1 KR102072585 B1 KR 102072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fting
stirring
drum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654A (ko
Inventor
정재용
김근주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5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585B1/ko
Priority to EP19169869.5A priority patent/EP3556927B1/en
Priority to US16/387,812 priority patent/US11131054B2/en
Publication of KR2019012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585B1/ko
Priority to US17/402,128 priority patent/US1200007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되, 바닥면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드럼,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와 상기 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교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교반부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부를 상기 드럼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기준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교반부에 분리되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를 함께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교반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회전축과 분리되어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A laundry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교반부가 드럼과 함께 회전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수위에 따라 드럼의 회전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기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를 여러 번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종래 대형 의류처리장치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의류처리장치가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었다. 근자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보조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 소형 탑로트 타입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상기 탑로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필요에 따라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구비될 수 있어,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으면서 공간활용도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물 또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소량의 세탁물을 수시로 세탁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하였다.
이때, 종래 탑로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여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드럼의 바닥면에 교반부(교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드럼과 교반부는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의 구성으로 인해 어느 하나만 회전하거나, 상기 드럼과 교반부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에 강한 물리력을 가함으로써 세탁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그런데, 보조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되는 탑로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물과 의류의 부피비는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의 구성을 설치하게 되면 그만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높이가 상승하여 사용자의 접근성을 방해하거나, 세탁용적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근자에는 터브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며 교반부와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부력식 클러치가 등장하였다. 상기 부력식 클러치는 능동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수위에 따라 수동적으로 승강하며 드럼의 회전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었다. 이로써, 클러치를 별도로 제어하는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터브의 부피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부력식 클러치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회전축이 결합된 모터에 터브의 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실링처리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부력식 클러치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실링을 위해 회전축 부근에 포집된 공기와 충돌 및 교반하여 상기 공기가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부력식 클러치가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회전축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상기 부력식 클러치를 수용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말단에 결합되는 교반부의 중앙부가 과도하게 돌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부력식 클러치를 구비하기 위해, 드럼 바닥면에 구비되는 허브 등의 복수의 구성이 추가로 필요하여 이를 조립하는 공정이 과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 교반부를 상기 드럼에서 분리할 때, 상기 부력식 클러치가 상기 교반부에 분리되어 상기 부력식 클러치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낮을 때 세탁수의 쏠림현상으로 인해 수위가 일시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부력식 클러치가 드럼 바닥면에 결합되는 등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부력식 클러치(이하, 승강부)를 적용한 의류처리장치에서, 터브의 물이 공급되어도 회전축 부근에 공기를 파지 또는 수집하여, 상기 공기로 인해 물이 구동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기가 포집되어 실링 역할을 수행하는 에어 갭(air gap)을 유지할 수 있는 승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강부가 회전축과 분리되어, 승강부 자체의 부피 또는 높이를 축소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강부의 부피가 축소되어 교반부의 높이까지 축소하여 세탁용적을 확장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교반부와 승강부가 한 세트로 구비되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이 소량 터브에 공급되어도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되, 바닥면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드럼,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와 상기 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교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교반부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부를 상기 드럼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기준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교반부에 분리되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를 함께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교반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회전축과 분리되어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부는 상기 교반부의 하부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바디와, 상기 승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승강홀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홀은 상기 회전축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부는 상기 승강홀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승강바디의 승강을 안내하고 상기 교반부 하부의 공기를 가두어(air gap) 상기 구동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 있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관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홀의 하단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가 상기 안내관에서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와 상기 드럼의 바닥면을 연결시티도록 구비되는 축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축관통부을 포함하는 허브와, 상기 허브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고정암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내관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허브와 결합되어 상기 상기 안내관을 따라 승강하여 상기 허브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관은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1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홀은 내주면에 상기 제1요철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요철부와 대응되는 제2요철부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부는 상기 교반부에 전달된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허브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링은 상기 허브에서 이격되어 상기 안내관에 결합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요철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3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홀에서 상기 승강바디의 외주면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승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원주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승강리브는 상기 복수의 원주리브 사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부는 상기 승강홀보다 더 직경이 크게 구비되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바디의 승강 방향을 결정하는 기준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기준관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여 승강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홈은 상기 승강홀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리브, 상기 제1관에서 상기 기준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제2리브, 상기 제1관에서 상기 기준관의 외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바디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제3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리브는 상기 제3리브의 외주면에서 상기 승강바디의 내주면까지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링은 상기 제1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안내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부는 본체를 이루는 교반부 바디와, 상기 교반부 바디의 중심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암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는 하부에 상기 승강부 또는 상기 구동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air gap)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부는 하부에 상기 안내관에 수용되어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되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허브의 축 관통부에 결합되는 축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관통부는 상기 허브의 상부에서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허브링과, 상기 허브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허브돌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원주리브는 상기 허브돌출판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력식 클러치(이하, 제1승강부)를 적용한 의류처리장치에서, 터브의 물이 공급되어도 회전축 부근에 공기를 파지 또는 수집하여, 상기 공기로 인해 물이 구동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기가 포집되어 실링 역할을 수행하는 에어 갭(air gap)을 유지할 수 있는 승강부를 구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승강부가 회전축과 분리되어, 승강부 자체의 부피 또는 높이를 축소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승강부의 부피가 축소되어 교반부의 높이까지 축소하여 세탁용적을 확장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교반부와 승강부가 한 세트로 구비되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이 소량 터브에 공급되어도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 승강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승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승강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승강부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탑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1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하고,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로 정의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수용하는 터브(120)와, 상기 터브(1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1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20)는 상부 또는 상부면에 의류가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121)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드럼(140)은 상기 투입구(121)와 연통하여 의류가 투입될 수 있는 드럼투입구(14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보조의류처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고, 메인의류처리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의류처리장치의 접근성 또는 보조의류처리장치의 접근성을 강화하고자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터브(120)와 드럼(140)는 너비보다 높이가 더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120)와 드럼(140)은 높이가 직경보다 더 짧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부에 메인의류처리장치 또는 다른 보조의류처리장치 등을 배치할 수 있도록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방에 개구부(111)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11)를 통해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는 드로워(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120)는 상기 드로워(190)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190)가 인출되거나 삽입될 때 상기 드로워(19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190)는 상기 캐비닛(110)의 개구부(111)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전방패널(191)과 상기 전방패널(191)의 후방에 부착되어 상기 터브(120)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1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93)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93)은 상부면에 상기 투입구(121)와 연통할 수 있는 개방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처리장치의 세탁,헹굼, 탈수 등을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명령을 입력받거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1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92)은 상기 전방패널(192)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드로워(19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92)에는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92a)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92b)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2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92a)는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고,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92a)는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알림사항이 있을 때 알람을 울릴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상기 터브(120)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너비에 비해 낮게 구비되므로 상기 터브(120)에 공급되는 물이나 의류, 세제가 상기 투입구(121)로 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투입구(121)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30)는 상기 하우징(193) 또는 상기 터브(120)의 상부면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은 상기 투입구(1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120)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윈도우(133)와, 상기 프레임 및 윈도우가 상기 투입구(121)를 폐쇄하였을 때 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5)에는 상기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핸들(134)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30)는 상기 프레임(131)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투입구(121)의 폐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도어바디(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120)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160)와, 상기 터브(120)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60)는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61)과, 상기 급수관(161)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급수밸브(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70)는 상기 터브(130)의 하부와 연통하여 상기 터브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관(173)과, 상기 배수관(173)의 물을 상기 캐비닛(110) 외부로 배수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171)와, 상기 배수펌프(171)와 연통하여 상기 터브이 물을 캐비닛(110)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7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120)를 상기 캐비닛(110) 또는 상기 드로워(190)에서 지지하고, 상기 터브(1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캐비닛(11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을 감쇄하는 지지감쇄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80)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고,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댐퍼와 스프링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도 있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80)는 상기 터브(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상부와 하부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보조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높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180)는 상기 터브(12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80)는 상기 캐비닛(110) 또는 상기 드로워(19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181)와, 상기 터브(12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182)와, 상기 제1지지부(181)와 상기 제2지지부(182)를 연결하는 연결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81)는 상기 제2지지부(182)보다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83)는 일단이 상기 제1지지부(18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지지부(182)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터브(120)는 상기 캐비닛(110) 또는 상기 드로워(190)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81)는 상기 캐비닛(110) 또는 드로워(190)에서 돌출되어 구비된 제1브라켓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182)는 상기 터브(120)에서 돌출되어 구비된 제2브라켓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183)는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연결하다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83)는 지면 또는 상기 드럼(140)의 바닥면(144)을 기준으로 상기 드럼(140)의 높이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83)를 포함한 지지부(180)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 하여 상기 터브(120)의 세탁용적을 더 확장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부(183)는 상기 제1지지부(281)를 관통하여 안착되는 제1연결부(183a)와 상기 제2지지부(182)를 관통하여 지지하는 제2연결부(183b)와 상기 제1연결부(183a)와 상기 제2연결부(183b)을 연결하는 연결바(18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83a)와 상기 제2연결부(183b)는 상기 연결바(183c)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원판, 반구 및 구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183)가 상기 제1지지부(181) 및 상기 제2지지부(182)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20)의 일측에는 상기 터브(12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S)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터브(120)의 내주면에는 상기 터브(2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위센서(S)는 상기 터브(120)의 일측과 연통하여 상기 터브(120)의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센서관(S1) 및 상기 센서관이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다이오드(S2)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터브(120)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수위센서(S)는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상기 드럼의 바닥면(144)에 대응될 수 있는 제1수위(I)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교반부(600)의 상부로 물이 노출될 수 있는 제2수위(II)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위(I)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127)과 상기 드럼의 바닥면(144) 사이의 수위와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수위(II)는 상기 드럼의 바닥면(144)과 상기 교반부(600)의 가장 높은 곳 사이의 수위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140)을 상기 터브(120)에서 회전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터브(120)의 바닥면(127)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310)와, 상기 스테이터의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0),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로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회전축(3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140)은 상기 투입구(121)와 연통하는 드럼투입구(141)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드럼투입구(14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140)의 편심을 방지하는 밸런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140)은 내주면에 상기 터브(120)의 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다수의 중공(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140)은 상기 구동부(30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드럼(140)에 수용된 의류에 기계력을 가하여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140)은 상기 구동부(30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의류에 함유된 수분을 상기 중공(145)으로 배출하는 탈수행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바닥면(144)은 관통홀(144a)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144a)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교반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드럼(140)와 별도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의류를 교반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드럼(140)과 별도로 상기 드럼(140)에 수용된 의류에 기계력을 가함으로써 의류를 세탁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30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드럼(140) 내부에 강력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00)는 터브(120)에 물과 의류가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120)에 물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교반부(600)가 회전하면 상기 의류가 상기 교반부(60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과 세제를 통해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행정에서는 상기 교반부(600)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터브(120)에 물이 수용되지 않거나,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드럼(140)과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심력을 발생시켜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에서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드럼(14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부(600)를 여러 상황에 따라 상기 드럼(140)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드럼(140)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구비되면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가 차지하는 부피로 인해 상기 캐비닛(110)의 높이가 상승하거나, 터브(120)의 세탁용적이 축소될 수 있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를 능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되어 제어부의 부하가 필요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클러치나 브레이크 등의 추가적인 구성이나 별도의 제어가 필요한 구성을 생략하더라도 상기 교반부(600)와 드럼(140)의 회전의 제어가 가능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브(120)의 수위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드럼(140)의 회전여부가 결정되어 상기 브레이크 또는 클러치 등의 구성을 생략하고, 추가적인 상기 교반부(600) 및 드럼(140)의 회전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생략할 수 있는 승강부(S)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3은 승강부(S)를 포함하는 드럼(140) 내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교반부(600)는 본체를 이루는 교반부바디(610)와, 상기 교반부바디의 중심에 구비되는 중심부(611)와, 상기 중심부(611)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암(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140)은 본체를 이루는 드럼바디(143)와, 상기 드럼바디(143)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140)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드럼바닥면(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143)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바닥면(144)은 내주면에 전술한 관통홀(144a)를 구비하여 상기 교반부(60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회전축(330)과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140)은 상기 회전축(330)과 직접적으로 결합된다면 상기 교반부(600)와 별개로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드럼(140)은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330)과 간접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로터(320)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하는 축바디(331)와, 상기 교반부(600)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축기어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축바디(331) 또는 상기 축기어부(332)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축수용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축수용부(340)는 상기 회전축(330) 중 적어도 일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되, 상기 회전축(330)과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수용부(340)는 상기 회전축(330)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수용부(340)는 상기 드럼(140)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30)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축수용부(340)는 상기 회전축(330)의 일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관(341)과, 상기 수용관(341)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드럼(1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용고정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축수용부(340)와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동력을 상기 드럼(140)에 직접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구동부(300)사이 또는 상기 드럼(140)의 바닥면(14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1승강부(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 (S)은 상기 회전축(331)에 결합되어 상기 상기 회전축(331)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 (S)은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시키고,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드럼(14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 (500)은 물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강성보강을 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120)에 물이 급수되면 상기 교반부(600)를 향하여 상승할 수 있고, 상기 터브(120)의 물이 배수되면 상기 교반부(6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에 기계력을 가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과정은 상기 터브(220)의 수위가 상기 제2수위(II)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드럼(140)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의류의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은 상기 제2수위(II) 또는 상기 제1수위(I) 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5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S)은 상기 세탁과정에서는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탈수과정에서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드럼(140)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120)의 수위에 따라 상기 교반부(600)의 독자적인 회전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축수용부(330)가 결합되고 상기 드럼(140)의 관통홀(144a)의 둘레에 결합되는 축고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스테이터(310)와 상기 로터(320)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축수용부(340)로 인해 상기 축고정부(400)를 직접적으로 회전시키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축수용부(340)에서 자유 회전하며, 상기 축고정부(400)의 허브(410) 및 상기 축관통부(411)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회전축(330)의 말단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3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에서 발생된 동력은 상기 교반부(600)에 직접 전달될 수 있으나, 상기 축고정부(400)는 상기 구동부(300)에서 발생된 동력이 직접 전달되지는 않는다.
상기 축고정부(400)는 상기 드럼(140)의 관통홀(144a)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고정부(400)가 회전하면 상기 드럼바디(143)가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축고정부(400)가 정지하면 상기 드럼바디(143)가 정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500)은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II) 이하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에 결합하여 상기 구동부(300)의 동력을 상기 드럼(140)에 전달하며,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와 분리되어 상기 동력이 상기 드럼(14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5,도8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S)은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II) 이상일 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에서 분리되어 상기 교반부(600)를 향하여 상승하고, 상기 승강부(S)는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II) 이하 일때는 하강하여 상기 축고정부(4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500)은 직접 상기 구동부(300)에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 이상일때는 상기 교반부(600)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부(600)만을 회전시키고,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 이하일때는 상기 축고정부(400)에 결합하여 상기 축고정부(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5,도8 참조)
상기 축고정부(400)는 하부에 상기 축수용부(340)가 결합되는 허브(410)와, 상기 허브(41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144)에 결합되는 고정암(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고정부(400)는 상기 허브(410)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축기어부(33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축기어부(311)의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축관통부(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4는 승강부의 일실시예인 제1승강부(500)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승강부(500)은 상기 회전축(33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510)는 상기 회전축(330)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30)과 함께 회전하되 외주면에 기어가 구비되는 제1승강부기어(5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30)은 상기 허브(410)에서 상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의 내주면과 결합할 수 있는 제1기어(332a)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관통부(411)는 상기 축기어부(33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상기 축기어부(322)의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내주면에 제2기어(411b)를 구비하는 허브기어(41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는 내주면에 상기 제1기어(332a)와 치합되며 상기 축기어부(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제3기어(511a)를 구비하고, 외주면에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11a)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제2기어(411b)와 치합되는 제4기어(51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는 상기 터브(120)에 물이 유입되면 상기 축기어부(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상승하고, 상기 터브(120)에 물이 배수되면 상기 축기어부(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하강하여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11a)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는 상기 제3기어(511a)가 상기 축기어부(332)의 상기 제1기어(322a)에 치합되므로 상기 회전축(330)의 동력을 직접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는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41a) 사이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터브(120)에 물이 급수되어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41a)에서 이탈하여 상승할 수 있다. (도5 참조)
따라서, 상기 축기어부(332)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허브기어(441a)는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축고정부(400)와 상기 드럼(140)도 회전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가 상기 교반부(600)의 하부에 접촉하면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회전축(330)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을지라도 상기 제1승강부(500)이 상기 교반부(60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축기어부(332)의 상단에 고정된다면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고정회전축(330)과 함께 지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과정 등에 있어서, 상기 드럼(140)은 고정되고,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하므로 상기 드럼(140) 내부의 수류가 형성되어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120)의 물이 배수되어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는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허브기어(441a)에 삽입될 수 있다.(도5 참조)
이때, 상기 제1승강부기어의 제4기어(551b)가 상기 허브기어의 제2기어(411b)와 치합되므로 상기 제1승강부(500)이 상기 축기어부(332)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허브기어(411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는 상기 구동부(300)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허브기어(411a)를 통해 상기 축고정부(400)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드럼(1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축기어부(332)와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드럼(140)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탈수 과정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600)와 드럼(140)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의류 꼬임 정도가 완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승강부(500)은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12)는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의 상부에 연장되어 상기 제1승강부기어가 고정되는 이동판(512a)과, 상기 허브기어(411a)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상기 이동판(512a)의 말단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이동리브(51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리브(512b)와 상기 이동판(512a)은 하부에 상기 허브기어(411a)를 수용하도록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판(512a)은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보다 상부에 구비되거나,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의 상부로 더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판(512a)은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보다 더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이동리브(512b)는 상기 이동판(512a)의 양단에서 더 높이방향으로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기어(411a)는 상기 제2기어(411b)보다 상부로 더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허브기어(411a) 중 상기 제2기어(411b)보다 상부에 구비된 영역은 내주면에 기어이가 없는 별도의 관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판(512a), 상기 이동리브(512b), 상기 허브기어(411a), 상기 교반부(600)의 하부가 형성하는 제1공간(A)에 구비된 공기는 물이 유입되더라도 교반부(600) 외부 또는 제1승강부(5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A)에 구비된 공기는 air gap을 형성하여 축기어부(322) 또는 축바디(331)를 포함하는 회전축에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공간(A)에 구비된 공기는 터브(120)에 교반부(600)의 상부까지 물이 공급되어도 상기 이동판(512a), 이동리브(512b), 허브기어(411a)로 인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축실링(axis sealing)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가 생략되어도 물이 구동부(3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공간(A)의 높이가 커지면 커질수록, 상기 제1공간(A)에 위치한 공기가 이탈하는 것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허브기어(411a)와 상기 이동리브(512b)는 더 높게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교반부(600)는 중심부(610)의 높이가 더욱 높아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512)는 상기 이동리브(512b)에서 연장되는 연장리브(512c)와 상기 연장리브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6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교반결합부(51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결합부(512d)와 상기 연장리브(512c)는 하부에 물과 접촉하거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제1승강부(500)이 물에 더 잘 부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중심부(611)의 하부에 상기 제1승강부(500))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611)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를 수용하도록 상기 연장리브(512c)에 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기준관(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제1승강부(500)과 접촉력이 강화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달리, 상기 교반부(600)가 상기 회전축(33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회전축(330)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승강부(500)의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 및 교반결합부(512d), 연장리브(512c)에 접촉되어 상기 제1승강부(500)이 회전할 때 상기 교반부(60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수용부(340)는 상기 수용관(341)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30)의 동력이 상기 축수용부(34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330)의 자유회전을 유도하는 수용베어링(3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관통부(411)는 상기 허브(410)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허브(4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허브기어(411)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상기 허브(410)에 결합되는 허브결합부(4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허브(410)의 형상이 복잡하므로 상기 축관통부(411)까지 한번에 성형 또는 제작하는데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5는 상기 터브(120)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1승강부(500)의 위치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를 참조하면, 상기 터브(120)에 물이 급수되어 수위가 제2수위(II) 이상이 되면 상기 제1승강부(500)의 하부에 물이 유입되어 상기 제1승강부(500)은 상승한다. 이때, 상기 제1승강부(500)의 상부가 상기 교반부의 중심부(610)의 하부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1승강부(500)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부(500)은 상기 축기어부(332)에 의해 회전하므로 상기 교반부(6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승강부(500)은 상기 허브기어(411)에서 이탈하였으므로 상기 축고정부(400)는 회전시키지 않는다.
이로써, 상기 터브(220)의 수위가 제2수위(II) 이상이 되면,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세탁행정이 진행된다면 상기 드럼(140)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고 상기 의류를 적당한 강도로 충돌시켜 세척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터브(2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제1승강부(500)의 하부에 물이 배출되므로 상기 제1승강부(500)은 하강한다. 이때, 상기 제1승강부(500)의 동력전달부(510)가 상기 허브기어(411a)와 상기 축기어부(332) 사이에 삽입될 때까지 하강한다.
이때, 상기 제1승강부(500)은 상기 축기어부(33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제1승강부(500)은 상기 허브기어(411a)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승강부(500)의 교반결합부(512d)가 충분히 돌출되고, 상기 교반부(600)의 기준관(620)가 상기 제1승강부(500)의 상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면, 상기 제1승강부(500)은 회전하면서 상기 교반부(600)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의 중심부(611)가 상기 축기어부(332)의 상단에 고정된다면 상기 축기어부(332)의 회전과 함께 상기 교반부(600)도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축기어부(332)와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 상기 허브기어(411a)는 같은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고정부(400)와 상기 교반부(600)는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탈수행정이 진행중이라면, 상기 드럼(140)과 상기 교반부(600)가 동시에 일체로 회전하므로 의류의 꼬임이 완화되어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승강부(500)가 승강하여 상기 드럼(14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승강부기어(511)가 상기 허브기어(411a)의 제2기어(411b)에 완전히 분리되어야 한다. 다시말해, 상기 제1승강부(500)가 드럼(14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여, 교반부(600)만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승강부(500가 적어도 상기 제2기어(411b)의 높이만큼 상승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1승강부(500)가 상기 드럼(140)에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최소수위(a)는 상기 허브(410)에서 상기 제2기어(411b)의 높이와 대응되는 수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도6은 상기 승강부(500)의 다른 실시예인 제2승강부(800)를 도시한 것이다.
하에서는, 상기 제1승강부(500)가 적용되었을 때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같은 구조이거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제1승강부(500)와 달리 상기 회전축(330)에 결합되거나 접촉되는 것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회전축(330)와 분리되어 구비되어 승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6에서는 상기 회전축(330)이 후술할 교반부(600)의 결합부(650)에 결합되도록 회전축기어(331)가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회전축(330)에서 동력을 전달받지 않는 구조로 구비되므로, 상기 회전축(330)은 회전축기어(331)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관통부(411)에서 허브기어(411a)가 완전히 생략되거나, 상기 허브기어(411a)의 원형만 남고 상기 제2기어(411b)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관통부(411)에 복잡한 구조가 생략되어 별도의 성형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축관통부(411)는 상기 허브(41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410)에서 상기 고정암(420)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드럼의 바닥면(144)까지 연장되므로 상기 고정암(420)과 상기 축관통부(411)도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축고정부(400)는 전체가 하나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승하면 상기 교반부(600)의 하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바디(810)와, 상기 승강바디(810)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승강홀(8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홀(830)은 상기 회전축(330)보다 직경이 더 크게 되어 상기 회전축(330)에 접촉되지 않고 항상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승강홀(830)의 내주면(840)에 접촉되도록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승강바디(810)의 승강을 안내하고 상기 교반부(600) 하부의 공기를 가두어(air gap) 상기 구동부(330)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 있는 안내관(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회전축(330)과 접촉하여 승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교반부(600)에 접촉되어 승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회전축(330)에 의해 안내되지 않더라도, 상기 교반부(60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교반부(600)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더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제2승강부(800)를 하나의 모듈로 생산이 가능하여 구조가 더욱 단순화될 수 있고, 상기 제2승강부(800)가 오작동 할 가능성을 최대한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회전축(330)과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접촉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안내관(640) 내주면에 별도의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다시말해, 상기 제2승강부(800)는 제1승강부(500)와 같이 승강부기어(511), 이동판(512a), 이동리브(512b)의 구성 등 상기 회전축(330)에 접촉하거나 인접한 구성 전체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안내관(640) 내부에 대응되는 부분을 전부 승강홀(830)로 구비하여 전부 빈 공간으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안내관(640) 내부의 공간을 전부 공기가 수집될 수 있는 제2공간(B)으로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안내관(640)은 상기 교반부(600)의 중심부(611)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안내관(640) 내주면에 있는 공기가 물이 유입되어도 유출되지 않도록 붙들어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이동판(512a), 이동리브(512b)의 구성 및 상기 허브기어(411a)가 제2기어(411b)의 상부로 연장되는 구성을 전부 생략하여도 상기 제2공간(B)의 공기는 터브(120)에 물이 유입되어도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안내관(640)은 상기 제2공간(B)의 공기가 상기 회전축(33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 갭(air gap) 또는 축실링(axis sealing)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승강부(500)의 전체적인 높이는 낮아질 수 있고, 이를 수용하는 교반부(600)에서 도출된 중심부(611)의 높이도 낮아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공간(B)은 상기 승강홀(830)이 구비됨에 따라 제1공간(A)보다 너비가 더욱 확장되므로 상기 제1공간(A)에 수집될 수 있는 공기 만큼 또는 그 이상의 공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승강부(800)를 구비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에어 갭(air gap) 또는 축실링(axis sealing)의 효과를 그대로 도출하거나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의 중심부(611)는 하부에 상기 승강부 또는 상기 구동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air gap)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중심부(611)은 하부에 후술할 안내관(640)에 수용되어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30)과 결합하는 결합부(6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650)는 상기 회전축(330)의 동력을 그대로 전달받기 위해, 상기 회전축기어(331)와 대응되는 기어를 내주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 제2승강부(800)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a)는 상기 교반부(600)를 아래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7(b)는 상기 제2승강부(600)가 상기 축고정부(410)에 안착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안내관(640)의 말단에 결합되는 고정링(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관(640)의 외주면에 상기 승강홀(830)이 접촉되어 상기 제2승강부(800)가 상기 교반부(600)에 결합된 후, 상기 고정링(900)상기 안내관(640)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링(900)의 상단에 상기 승강홀(830)이 하강하여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링(900)은 상기 안내관(640)에 단단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제2승강부(800)가 상기 교반부(600)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교반부(600)를 상기 드럼(140)에 설치할 때, 상기 고정링(900)으로 인해 상기 교반부(600)와, 제2승강부(800)를 결합하여 한꺼번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600)를 상기 드럼(140)에서 분리할 때, 상기 제2승강부(800)와 상기 교반부(600)를 한꺼번에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수리 등 상기 교반부(600)를 상기 드럼(140)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제2승강부(800)가 상기 안내관(640)에서 분리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900)은 탄성력이 있는 고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관(640)의 직경보다 더 작게 구비되어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드럼(140) 및 축고정부(400)와 별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안내관(640)은 상기 교반부(600)의 하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축고정부(400)와는 일정거리 이격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링(900)도 상기 안내관(640)에 결합되면 상기 축고정부(400)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링(900)은 상기 안내관(64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안내관(640)의 말단 또는 자유단도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안내관(640)과 상기 축고정부(400)가 충돌할 경우에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고정링(900)은 평상시 상기 축고정부(400)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안내관(640)은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1요철부(641)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홀(830)은 내주면(840)에 상기 제1요철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요철부와 대응되는 제2요철부(8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요철부(641)는 육면체 돌기와 홈이 교대로 구비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기어이 처럼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요철부(841)는 상기 제1요철부(641)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승강부(800)가 회전축(330)과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없으므로, 상기 교반부(600)에서 상기 구동부(300)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교반부(600)에 전달된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안내관(640)을 통해 전달받고, 상기 축고정부(4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교반부(60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같은 회전수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14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면 상기 드럼(140)도 상기 교반부(600)와 같은 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교반부(600)에서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차단되어 임의로 승강하거나 하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허브(410)에서 이격되어 상기 안내관(640)에 결합될 때 상기 고정링(900)은 내주면(940)에 상기 제1요철부(641)와 결합될 수 있는 제3요철부(94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링(900)과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안내관(640)에 완전히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7(a)와 도7(b)를 모두 참조하면,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승강홀(830)에서 상기 승강바디(810)의 외주면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승강리브(8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브(410)는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원주리브(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승강리브(850)는 상기 복수의 원주리브(411) 사이에 안착 또는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내관(640) 및 제1요철부(841)로 전달된 구동부(300)의 동력은 상기 승강리브(850)와 상기 원주리브(411)에 전달되어 상기 드럼(1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교반부(600)는 상기 승강홀(830)보다 더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승강바디(640)의 승강방향을 결정하는 기준관(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승강부(800)는 상기 기준관(620)을 수용하는 수용홈(8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승강부(800)가 상기 터브(120)의 수위 변화에 따라 승강시 기울어져 승강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6 참조)
상기 수용홈(820)은 상기 승강홀(830)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관(823)와, 상기 제1관(823)에서 상기 기분관(620)의 직경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제2리브(822)와, 상기 제1관(823)에서 상기 기준관(620)의 외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바디(810)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제3관(8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823)과 상기 제2리브(822), 상기 제3관(831)의 하부면은 상기 허브(41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리브(850)는 상기 제3관(831)의 외주면에서 상기 승강바디(810)의 내주면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900)은 상기 제1관(823)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안내관(8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링(900)이 수류 등에 의해 마찰되어 이탈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관통부(410)은 상기 허브(410)의 상부에서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허브링(411a)과, 상기 허브링(411a)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허브돌출판(411c)을 포함하고, 상기 원주리브(430)는 상기 허브돌출판(411c)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8은 상기 제2승강부(800)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서 수위에 따라 제2승강부가 승강하여 드럼(140)에 회전력을 차단하거나 전달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a)를 참조하면,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제2승강부(800)의 하부에 물이 배출되므로 상기 제2승강부(800)은 하강한다. 이때, 상기 제2승강부(800)의 승강리브(850)는 상기 원주리브(430)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승강홈(820)은 상기 허브(410)의 상부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제2승강부(800)가 상기 안내관(640)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원주리브(430)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허브(410)를 회전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드럼(1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제2승강부(800)가 일체로 회전하므로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드럼(120)은 일체로 회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탈수행정이 진행 중이라면, 상기 드럼(140)과 상기 교반부(600)가 동시에 일체로 회전하므로 의류의 꼬임이 완화되어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8(b)를 참조하면, 상기 터브(120)에 물이 급수되어 수위가 제2수위(II) 이상이 되면 상기 제2승강부(800)의 하부에 물이 유입되어 상기 제2승강부(800)은 상승한다. 이때, 상기 제2승강부(800)의 상부가 상기 교반부의 중심부(611)의 하부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2승강부(800)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부(800)은 상기 안내관(64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승강부(800)는 회전할 수 있지만, 상기 승강리브(850)는 상기 원주리브(430)에서 이탈되었으므로 상기 축고정부(400)는 회전시키지 않는다.이로써, 상기 터브(120)의 수위가 제2수위(II) 이상이 되면,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세탁행정이 진행 중이라면, 상기 드럼(140)은 고정되고,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하여 상기 드럼(140)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고 상기 의류를 적당한 강도로 충돌시켜 세척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20)에 제2수위(II)까지 물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제2공간(B)에는 공기가 포집되어 있으므로 상기 물이 제2공간(B)으로 침투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공간은 에어 갭(AIR GAP)으로서 축을 실링하는(AXIS SEALING)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300)에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승강부(800)가 승강하여 상기 드럼(14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승강리브(850)는 상기 원주리브(430)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다시말해, 상기 제2승강부(800)가 드럼(14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여 교반부(600)만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승강부(800)가 적어도 상기 원주리브(430)의 높이 이상으로 상승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2승강부(800)가 상기 드럼(140)에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최소수위(b)는 원주리브(430)의 높이와 대응되는 수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도9는 제1승강부(500)와 제2승강부(800)의 차이점을 도시한 것이다.
제2승강부(800)는 상기 승강홀(830)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3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결합되지 않고, 교반부(600)에 의해서만 승강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승강부(800)가 상기 회전축(330)과 결합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2승강부(800)는 상기 제1승강부 보다 높이 (L)만큼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부(600)의 중심부(611)도 상기 승강부(500)를 수용하기 위한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교반부(600)의 높이도 (L)만큼 낮아질 수 있다. 이로써, 세탁용적이 더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승강부(500)는 회전축(33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하면서 상기 중심부(611)의 하부, 즉 제1공간(A)을 침범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승강부(800)는 회전축과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므로 승강하더라도 상기 제2공간(B)에 포집된 공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고, 상기 AIR GAP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보조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 특성상, 수위가 낮은 상태에서 세탁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세탁행정에서는 상기 교반부(600)와 상기 드럼(140)이 반대로 회전되거나 상기 교반부(600)만 회전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교반부(600)의 회전이 심화됨에 따라, 일시적인 물빠짐 수위가 더 낮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승강부(800)는 수위가 일시적으로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상기 드럼(140)의 바닥면보다 b만큼 높은 수위, 즉 상기 원주리브(430) 보다 수위가 높기만 하면 상기 드럼(140)과 분리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500)의 오작동의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드럼(140)에 동력을 차단할 수 있는 상기 제2승강부(800)의 최저수위(b)는 상기 제1승강부(600)의 최저수위(a) 보다 낮고 작으므로 더 정교하고, 정확하게 드럼(140)의 회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20 터브 140 드럼
300 구동부 400 축고정부 500 제1승강부
600 교반부 800 제2승강부 900 고정링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되, 바닥면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드럼;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와 상기 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교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일 때는 상기 교반부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부를 상기 드럼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터브의 수위가 기준수위 이하일 때는 상기 교반부에 분리되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를 함께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승강부;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교반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회전축과 분리되어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교반부의 하부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바디와,
    상기 승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승강홀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홀은 상기 회전축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승강홀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승강바디의 승강을 안내하고 상기 교반부 하부의 공기를 가두어(air gap) 상기 구동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 있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홀의 하단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가 상기 안내관에서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드럼의 바닥면을 연결시티도록 구비되는 축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축관통부을 포함하는 허브와, 상기 허브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고정암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안내관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허브와 결합되어 상기 상기 안내관을 따라 승강하여 상기 허브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1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홀은 내주면에 상기 제1요철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요철부와 대응되는 제2요철부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부는 상기 교반부에 전달된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허브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상기 허브에서 이격되어 상기 안내관에 결합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요철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3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홀에서 상기 승강바디의 외주면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승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원주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승강리브는 상기 복수의 원주리브 사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승강홀보다 더 직경이 크게 구비되어 상기 승강바디의 승강 방향을 결정하는 기준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기준관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여 승강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승강홀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관,
    상기 제1관에서 상기 기준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제2리브,
    상기 제1관에서 상기 기준관의 외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바디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제3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리브는 상기 제3관의 외주면에서 상기 승강바디의 내주면까지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상기 제1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안내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본체를 이루는 교반부 바디와,
    상기 교반부 바디의 중심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암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는 하부에 상기 승강부 또는 상기 구동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air gap)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는
    하부에 상기 안내관에 수용되어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되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허브의 축 관통부에 결합되는 축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관통부는
    상기 허브의 상부에서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허브링과,
    상기 허브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허브돌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원주리브는 상기 허브돌출판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80045251A 2018-04-18 2018-04-18 의류처리장치 KR102072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251A KR102072585B1 (ko) 2018-04-18 2018-04-18 의류처리장치
EP19169869.5A EP3556927B1 (en) 2018-04-18 2019-04-17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6/387,812 US11131054B2 (en) 2018-04-18 2019-04-18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402,128 US12000077B2 (en) 2018-04-18 2021-08-13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251A KR102072585B1 (ko) 2018-04-18 2018-04-1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654A KR20190121654A (ko) 2019-10-28
KR102072585B1 true KR102072585B1 (ko) 2020-02-03

Family

ID=6842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251A KR102072585B1 (ko) 2018-04-18 2018-04-1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58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452A (ko) * 2004-05-29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부력 클러치 장치
US20130276483A1 (en) * 2012-04-18 201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20170016686A (ko) * 2015-08-04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654A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88377B (zh) 衣物处理装置
US20130276483A1 (en) Washing machine
CN108796985B (zh) 一种洗衣机及控制方法
KR101054408B1 (ko) 세탁기
KR100985293B1 (ko) 세탁물을 바구니에 내장하고 세탁하는 전자동세탁기
CN107675421B (zh) 一种环保节水型洗衣机的进水量控制方法
KR10207258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4006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1479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03565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140064285A (ko) 수위/도어개폐감지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190121655A (ko) 의류처리장치
JP6637824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362369B1 (ko)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CN214694729U (zh) 一种工业及家用洗衣机
CN219195418U (zh) 洗衣机
KR10254503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411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315772B1 (ko) 원심 배수형 세탁기
KR10248721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271167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0132543Y1 (ko) 세탁기용 투웨이펌프
KR20000013794U (ko) 드럼세탁기의 드럼
WO2021022388A1 (zh) 超声波鞋衣一体全自动活筒洗涤甩干机
KR200358901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프론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