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049B1 -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049B1
KR102072049B1 KR1020130054471A KR20130054471A KR102072049B1 KR 102072049 B1 KR102072049 B1 KR 102072049B1 KR 1020130054471 A KR1020130054471 A KR 1020130054471A KR 20130054471 A KR20130054471 A KR 20130054471A KR 102072049 B1 KR102072049 B1 KR 10207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block
touch input
inpu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810A (ko
Inventor
채경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4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049B1/ko
Priority to US14/030,635 priority patent/US9547634B2/en
Priority to CN201310715079.1A priority patent/CN104156164B/zh
Priority to EP14153136.8A priority patent/EP2804087A3/en
Publication of KR2014013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이 제공된다. 단말은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텍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표시된 텍스트에 발생한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 중 상기 제1터치입력과 대응하는 제1부분을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에 확대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TEX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terminal)은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복합적인 기능,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은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 (stationary terminal)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다시 이동단말은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 (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채용한 단말에서 텍스트 편집(editor)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원하는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 텍스트를 편집하게 된다. 이때, 터치스크린의 크기가 작은 경우, 커서를 선택한 손가락에 의해 커서 및 글자가 가려져 커서의 정확한 위치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 커서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편을 제공하였다.
또한, 작은 화면에 많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문자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불편함은 더욱 증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각각의 단어를 확인할 때 눈에 피로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를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된 텍스트를 편리하고 쉽게 확인, 입력 및 편집할 수 있는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은, 단말의 텍스트 표시영역에 표시된 텍스트에 발생한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 중 상기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부분을 분할하여 확대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텍스트를 표시하고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텍스트에 발생한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 중 상기 제1터치입력과 대응하는 제1부분을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에 확대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편집 대상 텍스트를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확대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집 대상 텍스트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편집 대상 텍스트를 보다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는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편집방법 중 제1부분을 편집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16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단말의 텍스트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편집방법 중 제1부분을 편집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 내지 도 15는 도 2 및 도 17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단말의 텍스트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편집방법 중 제1부분을 편집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7 내지 도 30은 도 2 및 도 26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단말의 텍스트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 또는 동작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하나의 동작을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다른 동작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과 같은 이동 단말과,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이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표시부(11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단말 (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10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텍스트를 작성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다양한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1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표시장치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또한 단말(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표시부(110)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표시부(110)는 터치센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술한 표시장치와 터치센서(111)는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부(110)는 터치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고, 표시부(110)는 출력 장치의 기능뿐만 아니라 입력 장치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터치센서(111)는 표시부(11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부(11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11)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11)에 대한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질 수 있으며,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표시부(110)의 어느 영역에서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터치입력이란, 직접(real) 터치 및 호버링(hovering) 등에 의한 근겁(proximity) 터치를 포함하며, 싱글터치(터치) 및 멀티터치(더블터치, 터치&드래그, 롱터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패널,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력부(130)가 표시부(110)의 키패드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키패드로 이루어진 경우, 즉 입력부(130)가 표시부(110)에 구비된 터치센서(111)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입력부(130)가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controller, 150)는 통상적으로 단말(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말(10)이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를, 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음절, 각 숫자, 각 기호, 각 알파벳 등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은, 단말의 텍스트 작성 모드에서 텍스트 작성 중(S10), 작성된 텍스트에 제1터치입력이 발생하면(S20), 텍스트 중 제1터치입력과 대응하는 제1부분을 분할하여 블록 어레이 형태로 확대 표시하는 것(S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어레이에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확대 표시된 제1부분을 편집하는 것(S40) 및 확대 종료입력이 발생한 경우(S50), 확대 표시된 제1부분을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S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부분을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S60)한 이후에는, 별도의 텍스트 작성 모드를 종료하는 입력이 발생하는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단말의 텍스트 작성 모드에서 텍스트 작성 중(S10)인 상태로 회귀할 수 있다.
블록 어레이에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확대 표시된 제1부분을 편집하는 과정(S40)은 다양한 방법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편집방법 중 제1부분을 편집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확대 표시된 제1부분을 편집하는 과정(S40a)은, 블록 어레이에 제2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S410a), 블록 어레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블록 중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는 블록의 텍스트를 삭제하는 과정(S430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텍스트가 삭제된 블록에 제3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S450), 상기 제3터치입력이 발생한 블록을 삭제하는 과정(S47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의 텍스트 편집화면을 예시로 하여 본 발명의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6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단말의 텍스트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10은 영문(English) 텍스트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1 내지 도 16은 국문(Korean) 텍스트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영문(English) 텍스트 편집 과정의 일 예시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텍스트 작성 모드에서 사용자가 표시부(110)의 키패드 표시영역(KA)에 표시된 키패드를 조작하면,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에 대응하여 제어부(150)는 키패드 조작에 대응하는 텍스트(200)를 표시부(110)의 텍스트 표시영역(TA)에 표시할 수 있다.
텍스트(200) 작성 중, 터치센서(111)가 표시부(110)에 표시된 텍스트(200)에 발생한 사용자 터치입력(이하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여 텍스트(200) 중 제1터치입력과 대응하는 제1부분을 분할하여 확대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부분이란, 텍스트(200) 중, 제1터치입력이 발생된 부분과 대응하는 하나의 단어(word)일 수 있으며, 제1부분은 텍스트(200)의 종류에 따라 각 음절(syllable), 각 기호, 각 숫자, 각 알파벳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할될 수 있다.
예컨대, 텍스트(200)가 영어로 이루어진 "Beyond"라는 하나의 단어(210), 띄어쓰기부분(230) 및 "Imagination"이라는 단어(250)를 포함하는 "Beyond Imagination"이란 문구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사용자의 제1터치입력과 대응하는 단어는 "Beyond"라는 단어(210)가 되며, 이 단어가 제1부분(210)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텍스트(200) 중 제1부분(210)에 해당하는 "Beyond"라는 단어를 "B", "e", "y", "o", "n", "d" 와 같이 각 알파벳 단위로 분할하고, 각 알파벳을 복수의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에 할당하여 블록 어레이(900) 형태로 표시부(110)에 확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제1부분(210)에 해당하는 단어가 추가적으로 숫자 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경우, 각 숫자 및 각 기호도 알파벳과 같이 분할되어 각 블록에 할당될 수 있다.
블록 어레이(900)에 포함된 각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 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제1부분(210) 각각(예컨대, 각 알파벳, 각 숫자 또는 각 기호)이 일대일로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블록들(901, 903, 905, 907, 909, 911)의 개수는 분할된 제1부분(210) 각각(예컨대, 각 알파벳, 각 숫자 또는 각 기호)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각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도 5에는 각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이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원형, 타원형, 기타 다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는 각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들이 상호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각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들이 상호 맞닿아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부분(210)을 확대 표시한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확대종료입력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1부분(210)을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0) 중 블록 어레이(900)가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이하 '제4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4터치입력을 확대종료입력으로 인식하고, 제1부분(21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도 4의 설명에서 상술한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를 입력받는 텍스트 작성모드로 회귀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블록 어레이(900)에 포함된 복수의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 중 어느 하나(903, 이하 '제1블록')을 선택하는 터치입력(이하 '제2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블록(903)에 표시된 텍스트(예컨대 "e")를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별도의 텍스트 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1블록(903)에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블록이란, 블록 어레이(900) 중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이 발생한 블록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제1블록 자체는 터치입력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블록이란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이 발생한 블록과 그 이외 블록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다.
한편, 별도로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부(110) 중 블록 어레이(900)가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제4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된 제1부분(210-1)을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편집된 제1부분(210-1)은 종래 "e"가 표시되어 있던 부분에 공백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 및 상기 제4터치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가 삭제된 제1블록(903)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이하 '제3터치입력')이 추가로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블록(901, 905) 사이에 위치하던 제1블록(도 6의 903) 그 자체를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블록(도 6의 903)이 삭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4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된 제1부분(210-2)을 확대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편집된 제1부분(210-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종래 "e"가 표시되어 있던 부분에 공백을 포함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텍스트가 영문(English)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영어 이외에도 알파벳(alphabet)을 기반으로 하는 문자 또는 알파벳(alphabet)으로 표기되는 문자 모두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은 국문(Korean) 텍스트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국문(Korean) 텍스트 편집 과정의 일 예시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표시부(110)의 키패드 표시영역(KA)에 표시된 키패드를 조작하면,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에 대응하여 제어부(150)는 키패드 조작에 대응하는 텍스트(300)를 표시부(110)의 텍스트 표시영역(TA)에 표시할 수 있다.
텍스트(200) 작성 중, 터치센서(111)가 표시부(110)에 표시된 텍스트(300)에 발생한 사용자 터치입력(예컨대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입력에 대응하여 텍스트(300) 중 상기 제1터치입력과 대응하는 제1부분을 분할하여 확대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부분이란, 텍스트(300) 중, 상기 제1터치입력이 발생된 부분과 대응하는 하나의 단어(word) 또는 어절일 수 있으며, 제1부분은 텍스트(300)의 종류에 따라 각 음절(syllable), 각 기호, 각 숫자, 각 알파벳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할될 수 있다.
예컨대, 텍스트(300)가 국어로 이루어진 "오전11시에 만나자."라는 문장인 경우, 텍스트(300)는 "오전11시에"라는 어절(310), 띄어쓰기부분(330) 및 "만나자."라는 어절(350)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사용자의 제1터치입력과 대응하는 어절은 "오전11시에"라는 어절(310)이 되며, 이 어절이 제1부분(210)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어절이란, 한 문장 내에서 띄어쓰기를 단위로 구분되는 문장의 각 부분을 의미한다.
제어부(1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텍스트(300) 중 제1부분(310)에 해당하는 "오전11시에"라는 어절을 "오", "전", "1", "1", "시", "에" 와 같이 각 음절 및 각 숫자로 분할하고, 각 음절 및 각 숫자를 복수의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에 할당하여 블록 어레이(900) 형태로 표시부(110)에 확대 표시할 수 있다.
블록 어레이(900)에 포함된 각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 내에는 제1부분(310)에 포함된 각 음절 및 각 숫자가 일대일로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블록들(901, 903, 905, 907, 909, 911)의 개수는 제1부분(210)에 포함된 음절의 개수 및 숫자의 개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각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의 형상 및 배열에 대한 설명은 도 5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제1부분(310)을 확대 표시한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확대종료입력(예컨대 제4터치입력)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1부분(310)을 확대 전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표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0) 중 블록 어레이(900)가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제4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4터치입력을 확대종료입력으로 인식하고, 제1부분(310)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블록 어레이(900)에 포함된 복수의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 중 어느 하나(905, 이하 '제1블록')을 선택하는 터치입력(예컨대 '제2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블록(905)에 표시된 텍스트(예컨대 "1")를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별도의 텍스트 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1블록(905)에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터치입력이 발생한 상태에서 확대종료입력(예컨대 '제4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편집된 제1부분을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편집된 제1부분은 "오전 1시에"일 수 있으며, "오전"이라는 텍스트와 "1시에"라는 텍스트 사이에는 빈칸이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 및 상기 제4터치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가 삭제된 제1블록(905)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예컨대 '제3터치입력')이 추가로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블록(903, 907) 사이에 위치하던 제1블록(도 14의 905) 그 자체를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블록(도 14의 905)이 삭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4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된 제1부분(310-1)을 확대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편집된 제1부분(310-1)은 "오전1시에"일 수 있으며, 제1블록(도 14의 905)이 삭제된 바, "오전"이라는 텍스트와 "1시에"라는 텍스트 사이에는 빈칸이 위치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한된 크기의 표시부(110)에 편집 대상 텍스트(200)를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확대 표시하게 되는 바, 사용자가 편집 대상 텍스트를 시각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텍스트 편집과정에서 확대된 블록을 터치입력으로 선택하여 텍스트 편집을 수행하는 바, 커서이동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편집하는 경우에 비해 정확한 선택 및 제어가 가능한 이점을 갖게 된다.
아울러, 텍스트 편집 과정에서 편집 대상 텍스트를 각 알파벳, 각 음절, 각 숫자 또는 각 기호 중 어느 하나로 분할하여 확대 표시하는 바, 편집대상을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을 추가적으로 갖게 된다.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편집방법 중 제1부분을 편집하는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확대 표시된 제1부분을 편집하는 과정(S40b)은, 블록 어레이에 제2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S410a), 블록 어레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블록 중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는 블록(예컨대, '제1블록')을 편집상태로 활성화하는 과정(S43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집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블록에 표시된 텍스트를 편집하는 과정(S45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의 텍스트 편집화면을 예시로 하여 본 발명의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5는 도 2 및 도 17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단말의 텍스트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8 내지 도 21은 영문(English) 텍스트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2 내지 도 25는 국문(Korean) 텍스트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 도 4 내지 도 5 및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영문(English) 텍스트 편집 과정의 일 예시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텍스트 작성 모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가 입력부(130)(예컨대, 표시부(110)의 키패드 표시영역(KA)에 표시된 키패드)를 조작하면,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에 대응하여 제어부(150)는 키패드 조작에 대응하는 텍스트(200)를 표시부(110)의 텍스트 표시영역(TA)에 표시할 수 있다.
텍스트(200) 작성 중, 터치센서(111)가 표시부(110)에 표시된 텍스트(200)에 발생한 사용자 터치입력(예컨대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텍스트(200) 중 제1부분(210)에 해당하는 "Beyond"라는 단어를 "B", "e", "y", "o", "n", "d" 와 같이 각 알파벳 단위로 분할하고, 각 알파벳을 복수의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에 할당하여 블록 어레이(900) 형태로 표시부(110)에 확대 표시할 수 있다.
제1부분(210)을 확대 표시한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확대종료입력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1부분(210)을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0) 중 블록 어레이(900)가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예컨대 '제4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4터치입력을 확대종료입력으로 인식하고, 제1부분(21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도 4의 설명에서 상술한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를 입력받는 텍스트 작성모드로 회귀할 수 있다.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블록 어레이(900)에 포함된 복수의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 중 어느 하나(903, 이하 '제1블록')을 선택하는 터치입력(예컨대 '제2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블록(903)을 편집상태로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편집상태란 제1블록(903)에 포함된 텍스트(예컨대 "e")를 삭제(delete), 복사(copy), 또는 잘라내기(cut)를 하거나 다른 텍스트로 변경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제1블록(903)은 이외의 블록(901, 905, 907, 909, 911)과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블록(903)을 하이라이트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블록을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후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제1블록(903)에 표시된 텍스트(예컨대 "e")는 사용자의 편집입력에 따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텍스트(예컨대 "o")로 수정될 수 있다.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제1블록(903)의 텍스트를 편집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제1블록(903)의 텍스트(예컨대 "e")는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삭제입력(예컨대, backspace 입력)이 발생한 경우, 삭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입력(예컨대 알파벳 "o"에 대한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텍스트 입력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예컨대 알파벳 "o")가 제1블록(903)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제1블록(903)의 텍스트(예컨대 "e")를 별도로 삭제하는 과정이 없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입력(예컨대 알파벳 "o"에 대한 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1블록(903)에 표시되는 텍스트는 상기 텍스트 입력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 (예컨대 "o")로 바로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제1블록(903)이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o"를 입력하는 텍스트 입력이 발생한 경우, 이전에 제1블록(903)에 표시되었던 텍스트(예컨대 "e")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예컨대 "o")로 대체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확대종료입력(예컨대 '제4터치입력')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된 제1부분(210-3)을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5은 국문(Korean) 텍스트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 도 11 내지 도 12 및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국문(Korean) 텍스트 편집 과정의 일 예시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30)(예컨대, 표시부(110)의 키패드 표시영역(KA)에 표시된 키패드)를 조작하면, 사용자의 입력부(130) 조작에 대응하여 제어부(150)는 텍스트(300)를 표시부(110)의 텍스트 표시영역(TA)에 표시할 수 있다.
텍스트(200) 작성 중, 터치센서(111)가 표시부(110)에 표시된 텍스트(300)에 발생한 사용자 터치입력(이하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텍스트(300) 중 제1부분(310)에 해당하는 "오전11시에"라는 어절을 "오", "전", "1", "1", "시", "에" 와 같이 각 음절 및 각 숫자로 분할하고, 각 음절 및 각 숫자를 복수의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에 할당하여 블록 어레이(900) 형태로 표시부(110)에 확대 표시할 수 있다.
제1부분(310)을 확대 표시한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확대종료입력(예컨대 제4터치입력)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1부분(310)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블록 어레이(900)에 포함된 복수의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 중 어느 하나(903, 이하 '제1블록')을 선택하는 터치입력(예컨대 '제2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블록(903)을 편집상태로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제1블록(903)은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제1블록(903)은 이외의 블록(901, 905, 907, 909, 911)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하이라이트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블록을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후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제1블록(903)에 표시된 텍스트(예컨대 "전")는 사용자의 편집입력(예컨대 "후"에 대한 입력)에 따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텍스트(예컨대 "후")로 수정될 수 있다.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제1블록(903)의 텍스트를 편집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제1블록(903)의 텍스트(예컨대 "전")는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삭제입력(예컨대, backspace 입력)이 발생한 경우, 삭제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의 텍스트 삭제입력에 대응하여 제1블록(903)의 텍스트는 음소(phonemes) 단위로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블록(903)이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이라는 텍스트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백스페이스 입력이 1회 발생하면 제1블록(903)은 "저"라는 텍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백스페이스 입력에 대응하여 "전"에서 하나의 음소(예컨대 "ㄴ")가 삭제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백스페이스 입력이 한번 더 발생하면 제1블록(903)은 "저"에서 하나의 음소(예컨대 "ㅓ")가 삭제된 "ㅈ"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백스페이스 입력이 또 한번 더 발생하면, 제1블록(903)은 하나의 음소(예컨대 "ㅈ")가 삭제된 공란(blank)을 표시하게 된다. 즉, 제1블록(903)은 블랭크 블록(blank block)이 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ㅎ"과 "ㅜ"의 텍스트 입력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면, 제1블록(903)은 "ㅎ" 및 "후"라는 텍스트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편집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음소단위로 세분화하여 수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되며, 텍스트 수정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사항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는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제1블록(903)의 텍스트(예컨대 "전")를 별도로 삭제하는 과정이 없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입력(예컨대 "후"에 대한 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1블록(903)에 표시되는 텍스트는 상기 텍스트 입력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 (예컨대 "후")로 바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블록(903)이 편집상태로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ㅎ"과 "ㅜ"의 텍스트 입력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면, 이전에 제1블록(903)에 표시되었던 텍스트(예컨대 "전")는 "ㅎ" 및 "후"라는 텍스트로 순차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확대종료입력(예컨대 제4터치입력)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된 제1부분(310-2)을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은 도 2에 도시된 텍스트 편집방법 중 제1부분을 편집하는 과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확대 표시된 제1부분을 편집하는 과정(S40c)은, 블록 어레이에 드래그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S410a), 상기 드래그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 어레이에 블랭크 블록을 추가하는 과정(S430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랭크 블록(blank block)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텍스트를 표시하지 않는 공란의 블록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단말의 텍스트 편집화면을 예시로 하여 본 발명의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7 내지 도 30은 도 2 및 도 26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단말의 텍스트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27 및 도 28은 영문(English) 텍스트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9 및 도 30은 국문(Korean) 텍스트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 도 4 내지 도 5,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영문(English) 텍스트 편집 과정의 일 예시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텍스트 작성 모드에서, 표시부(110)의 키패드 표시영역(KA)에 발생한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에 대응하여, 제어부(150)는 키패드 조작에 대응하는 텍스트(200)를 표시부(110)의 텍스트 표시영역(TA)에 표시할 수 있다.
텍스트(200) 작성 중, 터치센서(111)가 표시부(110)에 표시된 텍스트(200)에 발생한 사용자 터치입력(예컨대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텍스트(200) 중 제1부분(210)에 해당하는 "Beyond"라는 단어를 "B", "e", "y", "o", "n", "d" 와 같이 각 알파벳 단위로 분할하고, 각 알파벳을 복수의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에 할당하여 블록 어레이(900) 형태로 표시부(110)에 확대 표시할 수 있다. 제1부분(210)을 확대 표시한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확대종료입력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1부분(210)을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는, 상기 제4터치입력이 발생하지 않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블록 어레이(900)에 포함된 복수의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에 드래그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드래그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어레이(900) 내에 블랭크 블록(902)을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 어레이(900)에 드래그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드래그 터치입력의 시작지점과 대응하는 블록(903, 예컨대 '제1블록')과 최인접하는 위치에 블랭크 블록(902)을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랭크 블록(902)이 추가되는 위치는, 드래그 터치입력의 방향과 대응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터치입력이 좌측 방향을 향하여 발생한 경우, 블랭크 블록(902)은 상기 제1블록(903)의 좌측에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드래그 터치입력이 우측 방향을 향하여 발생한 경우, 블랭크 블록은 제1블록(903)의 우측에 삽입될 수도 있다.
블랭크 블록(902)이 추가된 후 사용자가 블랭크 블록(902)을 선택함으로써, 블랭크 블록(902) 내에 추가적인 텍스트를 삽입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텍스트 추가 없이 확대종료입력(예컨대 제4터치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부분을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별도의 텍스트 추가 없이 확대종료입력이 발생한 경우, 블랭크 블록(902)이 삽입된 부분은 공란, 즉 띄어쓰기 부분으로 표시부(110)에 표시되며, 텍스트는 "B eyond Imagination"일 수 있다. 즉, 텍스트 "B"와 텍스트"eyond" 사이에는 공란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5는 도 2 및 도 17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단말의 텍스트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8 내지 도 21은 영문(English) 텍스트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2 내지 도 25는 국문(Korean) 텍스트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9 및 도 30은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국문(Korean) 텍스트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 도 11 내지 도 12, 도 16,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국문(Korean) 텍스트 편집 과정의 일 예시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표시부(110)의 키패드 표시영역(KA)에 표시된 키패드를 조작하면,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에 대응하여 제어부(150)는 키패드 조작에 대응하는 텍스트(300)를 표시부(110)의 텍스트 표시영역(TA)에 표시할 수 있다.
텍스트(200) 작성 중, 터치센서(111)가 표시부(110)에 표시된 텍스트(300)에 발생한 사용자 터치입력(이하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텍스트(300) 중 제1부분(310)에 해당하는 "오전11시에"라는 어절을 "오", "전", "1", "1", "시", "에" 와 같이 각 음절 및 각 숫자로 분할하고, 각 음절 및 각 숫자를 복수의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에 할당하여 블록 어레이(900) 형태로 표시부(110)에 확대 표시할 수 있다.
제1부분(310)을 확대 표시한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확대종료입력(예컨대 '제4터치입력')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1부분(310)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확대종료입력이 발생하지 않고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블록 어레이(900)에 포함된 복수의 블록(901, 903, 905, 907, 909, 911)에 드래그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상기 드래그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어레이(900) 내에 블랭크 블록(902)을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 어레이(900)에 드래그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50)는 드래그 터치입력의 시작지점과 대응하는 블록(903), 즉 제1블록과 최인접하는 위치에 블랭크 블록(902)을 추가할 수 있으며, 여기서, 블랭크 블록(902)이 추가되는 위치는 드래그 터치입력의 방향과 대응할 수 있음은 도 27 및 도 28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블랭크 블록(902)이 추가된 후 사용자가 블랭크 블록(902)을 선택함으로써, 블랭크 블록(902) 내에 추가적인 텍스트를 삽입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텍스트 추가 없이 확대 종료 입력(예컨대 '제4터치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부분을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랭크 블록이 삽입된 부분은 띄어쓰기부분으로 표시부(110)에 표시되며, 텍스트는 "오전 11시에 만나자."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단말 및 단말의 텍스트 편집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 각각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즉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드래그 터치입력을 통해 블랭크 블록을 추가하는 과정과, 블록 내에 표시된 텍스트를 편집하는 과정은 상호 조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단말
110: 표시부
111: 터치센서
130: 입력부
150: 제어부
200: 영문텍스트
300: 국문텍스트
900: 블록 어레이

Claims (20)

  1.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텍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표시된 텍스트에 발생한 제1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 중 상기 제1터치입력과 대응하는 제1부분을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에 확대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부분을 분할하고 분할된 상기 제1부분을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어레이 형태로 상기 표시부에 확대 표시하되 분할된 상기 제1부분 각각을 상기 블록 각각에 할당하여 표시하고,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블록 어레이에 발생하는 제2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제1블록의 텍스트를 삭제하고 상기 제1블록을 제1 블랭크 블록으로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터치입력 이후 새로운 텍스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블랭크 블록에 상기 새로운 텍스트 입력에 대응하는 새로운 텍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2터치입력 이후 상기 새로운 텍스트 입력이 수신되지 않고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제1 블랭크 블록에 발생하는 제3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블랭크 블록을 삭제하도록 구성된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부분을 각 음절, 각 숫자, 각 기호 및 각 알파벳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할하는 단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블록을 편집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텍스트 편집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텍스트 편집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블록의 텍스트를 편집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블록 어레이에 발생하는 드래그 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드래그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 어레이에 블랭크 블록을 추가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터치입력의 시작지점과 대응하는 블록과 최인접한 위치에 상기 블랭크 블록을 추가하는 단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표시부 중 상기 블록 어레이가 표시된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발생하는 제4터치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4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부분을 확대 전 상태로 축소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말.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54471A 2013-05-14 2013-05-14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 KR102072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471A KR102072049B1 (ko) 2013-05-14 2013-05-14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
US14/030,635 US9547634B2 (en) 2013-05-14 2013-09-18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text using the same
CN201310715079.1A CN104156164B (zh) 2013-05-14 2013-12-23 终端
EP14153136.8A EP2804087A3 (en) 2013-05-14 2014-01-29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tex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471A KR102072049B1 (ko) 2013-05-14 2013-05-14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810A KR20140134810A (ko) 2014-11-25
KR102072049B1 true KR102072049B1 (ko) 2020-02-03

Family

ID=5011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471A KR102072049B1 (ko) 2013-05-14 2013-05-14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47634B2 (ko)
EP (1) EP2804087A3 (ko)
KR (1) KR102072049B1 (ko)
CN (1) CN1041561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6911A1 (ja) * 2013-01-04 2014-07-10 株式会社ユビキタス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更新プログラム
KR102138515B1 (ko) 2013-10-01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104876A1 (ko) * 2014-12-23 2016-06-30 김규리 문자 편집 장치 및 방법
CN106406687A (zh) * 2015-07-31 2017-02-15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输入控制方法及装置
CN108664201B (zh) * 2017-03-29 2021-12-28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文本编辑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9189303B (zh) * 2018-08-30 2021-02-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文本编辑方法及移动终端
TWI811789B (zh) * 2021-09-10 2023-08-11 宏碁股份有限公司 智能放大方法及應用其之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8525A (ja) * 1991-01-22 1992-08-26 Sony Corp 文字入力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7526737B2 (en) * 2005-11-14 2009-04-28 Microsoft Corporation Free form wiper
KR100813062B1 (ko) * 2006-05-03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표시 방법
EP2053497A1 (en) 2007-10-26 2009-04-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Text selection using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116569B2 (en) * 2007-12-21 2012-02-14 Microsoft Corporation I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and correction
US20110035209A1 (en) * 2009-07-06 2011-02-10 Macfarlane Scott Entry of text and selections into computing devices
KR20110104620A (ko) * 2010-03-17 2011-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169424B1 (ko) 2010-08-26 2012-07-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잠금/해제 장치 및 방법
KR101677636B1 (ko) * 2010-08-30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편집 방법
KR20120020730A (ko) * 2010-08-31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8640026B2 (en) 2011-07-11 2014-0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ord correction in a multi-touch environment
US10838513B2 (en) * 2012-08-06 2020-11-17 Nokia Technologies Oy Responding to selection of a displayed character string
US8656296B1 (en) * 2012-09-27 2014-02-18 Google Inc. Selection of characters in a string of charac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47634B2 (en) 2017-01-17
CN104156164A (zh) 2014-11-19
CN104156164B (zh) 2019-01-18
EP2804087A3 (en) 2015-02-25
KR20140134810A (ko) 2014-11-25
EP2804087A2 (en) 2014-11-19
US20140344678A1 (en)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2049B1 (ko)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
US9645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US8656296B1 (en) Selection of characters in a string of characters
US8949743B2 (en) Language input interface on a device
CN106415446B (zh) 通过触觉交互对内容属性的可访问性检测
EP3005066B1 (en) Multiple graphical keyboards for continuous gesture input
US20140139440A1 (en) Touch oper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96904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 using key inputs or combination thereof
CN103309606A (zh) 操作与音频录制功能配合的备忘录功能的***和方法
US9507516B2 (en) Method for presenting different keypad configurations for data input and a portable device utilizing same
US8816966B2 (en) Touchscreen japanese character selection through sliding input
US20190050115A1 (en) Transitioning between graphical interface element modalities based on common data sets and characteristic of user input
US20130050098A1 (en) User input of diacritical characters
WO2009074278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ombined characters
KR20140014510A (ko) 음성 인식에 의하여 형성된 문자의 편집 방법 및 그 단말
CN10580851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40006937A1 (en) Character function user interface
US201403311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ssage in portable terminal
KR20140099832A (ko) 휴대 장치에서 플로팅 키들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292140A1 (en) Associative input method and terminal
US20150347004A1 (en)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US10908697B2 (en) Character editing based on selection of an allocation pattern allocating characters of a character array to a plurality of selectable keys
CN105808067A (zh) 一种图标移动方法及终端
KR102250609B1 (ko) 한자 목록 우선순위 설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1115035B1 (ko) 터치스크린에서 한글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