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444B1 - 형광 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 Google Patents

형광 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444B1
KR102071444B1 KR1020170184456A KR20170184456A KR102071444B1 KR 102071444 B1 KR102071444 B1 KR 102071444B1 KR 1020170184456 A KR1020170184456 A KR 1020170184456A KR 20170184456 A KR20170184456 A KR 20170184456A KR 102071444 B1 KR102071444 B1 KR 102071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icrocapsule
fluorescent
multilayer
microcaps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715A (ko
Inventor
김현수
이도건
최원균
서범준
김수동
강주희
김홍건
김에덴
최혜준
김영석
박금환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17018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4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5Applications of microcapsule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cl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2Luminous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3Magnetisable or magnetic paints or lacqu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층을 포함하고, 형광 물질이 코팅된 다층 안료 박편 및 유동성 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보안 요소에 관한 것으로, 자기장과 같은 외부 자극에 따라 다층 안료에 의한 간섭색과 형광 물질에 의한 다양한 색상 변화를 유도할 수 있고, 인쇄면의 은폐 및 노출이 용이한 우수한 보안 효과를 가지는 마이크로캡슐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형광 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Microcapsule comprising fluorescent material}
본 발명은 보안 잉크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캡슐로서, 형광 물질과 자성 층을 포함하는 다층 안료를 포함하고 있어 새로운 색상을 발현할 수 있는 마이크로캡슐에 관한 것이다.
유가증권을 비롯한 화폐, 문서, 물품 등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소재와 보안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유가증권의 경우 직접적인 재산 가치를 담보하는 것으로 특히 위조 방지의 필요성이 높은데, 유가증권의 위조 방지를 위해 보안 잉크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안 잉크는 보안 소재를 포함한 잉크로서 자성을 가지는 물질이나, 형광 물질, 광결정을 이용한 위치 변화에 의한 색변화를 발생시키는 물질 등이 보안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95408호에서는 자성 입자를 포함한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보안 소재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62698호에서는 외부 자극에 의해 입자들이 형성하는 광결정을 활용한 보안 소재를 개시하고 있다.
보안 잉크를 이용한 위조 방지는 보안 잉크 제조시 사용하는 소재에 의해 보안성이 달라질 수 있는데, 잉크에 함유된 보안 소재가 가지는 특성에 의해 위조 방지 및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주로 사용하는 보안 잉크로 보안 잉크에 형광 소재나 자성 소재를 포함한 것이 있는데, 외부 자기장에 의해 일어나는 자성 소재의 변화나 UV광이나 가시광 조사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체의 변화를 통해 위조 방지가 가능하다. 그러나, 보안 잉크에 함유된 자성 소재는 자성 엉김이나 불규칙한 분산에 의한 규칙적인 보안 효과가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형광 소재는 일반적으로 화학물질에 대한 내성이 좋지 않아 잉크를 제조하는 과정이나 인쇄 면에 적용 시 광학 성질이 쉽게 변질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95408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62698호
본 발명은 자성 소재 및 형광 소재를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주요 보안 소재로 하는 우수한 보안 잉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층(magnetic layer)을 포함하는 다층 안료 박편 및 유동성 물질을 포함하고, 다층 안료 박편의 윗면, 아랫면 및 복수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중에서 하나 이상의 면에 형광 물질로 코팅된 형광 층이 형성된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성 소재 및 형광 소재를 마이크로캡슐에 포함시켜 자성 소재 및형광 소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한 우수한 보안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자성 층을 포함한 다층 안료 박편에서 형광 층이 코팅 층의 일 면에 형성된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는 형광 층이 코팅 층의 일 면에 형성된 다층 안료 박편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에서 자기장의 인가에 따른 다층 안료 박편의 변화 모습을 보여준다.
도 3은 자성 층을 포함한 다층 안료 박편에서 형광 층이 코팅 층의 일 측면에 형성된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형광 층이 코팅 층의 일 측면에 형성된 다층 안료 박편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에서 자기장의 인가에 따른 다층 안료 박편의 변화 모습을 보여준다.
도 5는 형광 층이 코팅 층의 일 면에 형성된 다층 안료 박편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에서 자기장의 인가 및 소멸에 따른 다층 안료 박편의 변화 모습을 보여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따로 정의하지 않는 경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내용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도면 및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고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 및 실시예에서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도면 및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보안 소재인 마이크로캡슐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캡슐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층(magnetic layer)를 포함하고 형광 물질이 코팅된 다층 안료 박편 및 유동성 용매를 포함한다.
자성 층을 포함하는 다층 안료 박편은 자성 층의 표면에 다층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 광 간섭에 의한 색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광 간섭에 의한 색 변화는 입사되는 빛의 각도나 안료 박편을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명도, 채도 또는 색상이 다양하게 변화는 것으로, 이러한 광학적 효과는 보안 효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에 포함된 다층 안료 박편은 윗면, 아랫면 및 복수의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층 안료 박편에는 윗면, 아랫면 및 복수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면에 형광 물질로 코팅된 형광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다층 안료 박편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층 안료 박편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일 예로 다층 안료 박편의 형태가 직사각형 형태인 경우 다층 안료 박편의 면은 윗면, 아랫면 그리고 4개의 서로 다른 측면을 포함한 총 6개의 면이 존재할 수 있다. 6개의 면에서 적어도 한 면에 형광 물질을 코팅한 형광 코팅 층을 형성할 수 있고, 형광 코팅 층에 의해 나타나는 형광과 다층 안료 박편에 포함된 다층 코팅 층에 의한 간섭 색 변화에 의해 다양하고 새로운 색상의 발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에 포함된 다층 안료 박편은 자성 층을 기재(substrate)로 하고, 자성 층의 양면에 광 간섭이 일어날 수 있는 다층 코팅 층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성 층의 제1 면과 제1 면과 반대 면인 제2 면에 각각 광 간섭에 의한 색 변화가 나타날 수 있는 제1 다층 코팅 층 및 제2 다층 코팅 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자성 층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만 다층 코팅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안료 박편에서 자성 층에 형성된 제1 면과 제2 면에 형성된 다층 코팅 층은 서로 질량이 상이할 수 있다. 제1 면과 제2 면에 형성된 다층 코팅 층의 질량을 서로 다르게 하고, 제1 면 및 제2 면 중 더 질량이 큰 면에 형광 층을 형성하여 형광 층에서 나타나는 형광의 노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형광의 노출 감소는 간섭 효과에 의해 나타나는 색 변화와 함께 새로운 색상을 발현시키거나 명도, 채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색상의 변화 효과는 본 발명의 다층 안료 박편이 자성 층을 포함하고 유동성 물질로 채워진 마이크로캡슐 내에서 유동성 물질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캡슐에 외부 자극인 자기장을 가하면 유동성 물질에 분산되어 있던 안료 박편이 자기장의 세기, 방향 등에 의해 마이크로캡슐 내에서 위치가 변하게 된다. 자기장을 조절하여 안료 박편을 회전 또는 정렬시켜 인쇄 면을 노출시킬 수 있고, 안료 박편의 회전 또는 정렬에 의해 형광 층에서 나타나는 형광(UV나 가시광선 등의 조사 필요)과 안료 박편에 형성된 다층 코팅층에 의한 간섭색에 의해 자기장을 인가하기 전과 다른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 후 자기장을 소멸시키게 되면 유동성 물질 내에서 정렬되어 있던 안료 박편이 자기장이 인가되기 전의 모습으로 자유롭게 분산되게 되는데, 마이크로캡슐의 하부로 가라 앉으면서 질량이 더 큰 코팅 층이 우선적으로 마이크로캡슐의 하부로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기장의 인가 및 소멸의 반복에 따라 질량이 더 큰 코팅 층에 코팅되어 있는 형광 층은 마이크로캡슐 하부(바닥)을 향하게 되어 형광에 의한 색 변화를 감소 또는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층 안료 박편에서 제1 면 및 제2 면에 형성된 코팅 층이 서로 동일하면 제1 면 및 제2 면 각각에 형성된 코팅 층의 두께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형광 층에 의해 나타나는 형광 효과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안료 박편에서 형광 층은 다층 안료 박편의 복수의 측면 중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층 안료 박편에 형성된 형광 층은 마이크로캡슐에 외부 자기장이 가해졌을 때 다층 안료 박편이 회전하고 정렬되면서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각에 노출될 수 있다. 자기장의 인가와 함께 UV 램프 등을 마이크로캡슐에 비추어 다층 안료 박편에 의해 나타나는 간섭색과 형광 층에서 나타나는 형광색의 혼합에 의해 새로운 색상이 나타날 수 있어 새로운 보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색상에 대하여 도면을 통해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안료 박편(100)의 일 예를 보여준다. 자성 층(104)의 제1 면(105) 및 제2 면(106)에 코팅 층(102, 103)이 형성되고, 제1 면(105)에 형성된 제1 코팅층(102)에 형광 층(101)이 형성될 수 있다. 형광 층(101)은 UV 램프 등에 의해 형광을 나타낼 수 있고, UV 램프를 외부 자극으로 가하기 전에는 다층 안료 박편(100)에 의해 간섭색만이 나타나지만, UV 램프를 외부 자극으로 가하면 형광 층(101)에 의해 나타나는 형광색과 다층 안료 박편의 간섭색에 의해 새로운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다층 안료 박편(100)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의 일 예를 보여준다. 외부 자기장을 가하기 전 다층 안료 박편은 유동성 매질이 채워져 있는 마이크로캡슐 내부의 아랫면에 가라앉은 채로 있고, 형광 층이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각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에서 마이크로캡슐에 자기장을 가하게 되면 다층 안료 박편이 자기장에 의해 회전 및 정렬하게 되고 형광 층의 전면이 외부에서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형광 층에 의한 형광 색이 은폐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또는 형광 층의 전면이 외부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다층 안료 박편이 시야에서 은폐되어 간섭색에 의한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에 의한 다층 안료 박편의 움직임과 형광 층의 위치 변화에 의해 다양한 색상이 나타나거나, 시각 방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인지할 수 있어 새로운 보안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층 안료 박편(200)의 다른 일 예를 보여준다. 자성 층(204)의 제1 면 및 제2 면에 코팅 층(202, 203)이 형성되고, 다층 안료 박편(200)의 복수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205)에 형광 층(20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다층 안료 박편(200) 포함한 마이크로캡슐의 일 예를 보여준다. 외부 자기장을 가하기 전 다층 안료 박편은 유동성 매질이 채워져 있는 마이크로캡슐 내부의 아랫면에 가라앉은 채로 있고, 형광 층과 다층 안료 박편이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각에 모두 노출될 수 있다. 외부에서 마이크로캡슐에 자기장을 가하게 되면 다층 안료 박편이 자기장에 의해 회전 및 정렬하게 되고 형광 층이 외부에서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형광 층에 의한 형광 색이 은폐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또는 형광 층의 전면이 외부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다층 안료 박편이 시야에서 은폐되어 간섭색에 의한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에 의한 다층 안료 박편의 움직임과 형광 층의 위치 변화에 의해 다양한 색상이 나타나거나, 시각 방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인지할 수 있어 새로운 보안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다층 안료 박편에서 자성 층에 형성된 제1 면과 제2 면에 형성된 다층 코팅 층은 서로 질량이 상이하고, 형광 층이 제1 면과 제 2면 중 질량이 더 큰 면에 형성된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다층 안료 박편의 모습의 일 예이다. 마이크로캡슐에 외부 자기장이 인가되어 다층 안료 박편이 회전 및 정렬한 후 자기장이 소멸되면 다층 안료 박편에서 질량이 더 큰 면이 마이크로캡슐 내부에서 아래로 향하게 되고, 형광 층이 인쇄면을 향하여 은폐될 수 있다. 이러한 형광 층의 위치 변화에 의해 자기장이 인가되기 전, 인가되었을 때 및 자기장이 소멸되었을 때 모두 서로 상이한 다양한 색상변화가 나타날 수 있어, 본 발명의 다층 안료 박편에 의해 새로운 보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안료 박편에서 자성 층에 형성되는 제1 코팅 층 및 제2 코팅 층은 유전체 층 및 반사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코팅 층일 수 있다. 반사 층은 바람직하게는 반사률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된 층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성 층은 자성 성질을 가지는 물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자성 층으로 Fe, Co, Ni, Mn, Mo, Si, Gd 및 T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이들의 합금 또는 산화물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유전체 층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진 다층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유전체 층은 굴절률 1.60 이상의 고 굴절률을 가지는 유전체 층과, 굴절률 1.60 미만의 저 굴절률을 가지는 유전체 층을 포함한 다층일 수 있다. 유전체 층을 형성하는 다층 중 고 굴절률을 가지는 층은 SnO2, SiO, ZnS, ZnO, TiO2, ZrO2, In2O3, Y2O3, CeO2, Fe3O4, Fe2O3, MgO 및 Sb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소재가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전체 층을 형성하는 저 굴절률을 가지는 층은 Al2O3, AlF3, SiO2, LiF, MgF2 및 Nd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소재가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반사 층은 반사률이 높은 금속 층이 바람직하며, Al, Ag, Pt, Au, Ti, Pd, Ni, Co 및 C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소재가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형광 층은 공지의 유기 형광 물질 및 무기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형광 층일 수 있고, 형광 층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기 형광 물질(형광체)로 페닐렌(phenylene)계 고분자 물질, 티오펜(thiophene)계 고분자 물질 또는 플루오렌(fluorene)계 고분자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분자 물질 외에 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파라-디메틸아미노스틸릴)-4H-피란(DCM1), 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줄로리딘-4-일-비닐)-4H-피란(DCM2), 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1,1,7,7-테트라메틸줄로리딜-9-에닐)-4H-피란(DCJT), 4-(디시아노메틸렌)-2-터셔리부틸-6-(1,1,7,7-테트라메틸줄로리딜-9-에닐)-4H-피란(DCJTB), 루브린(Rubrene), 4-디시아노메틸렌)-2-아이소프로필-6-(1,1,7,7-테트라메틸줄로리딜-9-에닐)-4H-피란)(DCJTI), 나일레드(Nilered), 트리스(1-페닐이소퀴놀린)이리듐(III), 비스(2-벤조[b]티오펜-2-일-피리딘)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이리듐(III), 트리스(디벤조일메탄)펜안트롤린 유로퓸(III), Eu(삼불화테노일아세톤:thenoyltrifluoroacetone)3, 부틸-6-(1,1,7,7-테트라메틸 줄로리딜-9-에닐)-4H-피란)(butyl-6-(1,1,7,7-tetramethyljulolidyl-9-enyl)-4H-pyran: DCJTB), (1,10-페난트롤린)-트리스-(4,4,4-트리플루오로-1-(2-티에닐)-부탄-1,3-디오네이트)유로퓸(III)(1,10-Phenanthroline)tris[4,4,4-trifluoro-1-(2-thienyl)-1,3-butanedionato]europium(III) 등의 유기 형광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형광체 외에도 ZnS:Sm, Gd2O3:Eu, ZnS:Tb, CaS:Eu, ZnS:Cu, Y2O3: Tb, GaN:Mg, SrS:Ce와 같은 무기 형광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 내부를 채우는 유동성 물질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나 점도의 조절이 자유롭고 자성 안료 박편 및 형광 물질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유동성 물질은 실리콘 오일, 글리콜계 오일 및 탄화수소계 고분자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안료 박편은 간섭색에 의해 색변화가 나타나는 박편으로서, 다양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웹(web) 형태의 소재에 층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소재를 순서대로 증착해 박막 구조를 형성하고 파쇄하고 용매로 세척하여 다층 박막 형태의 박편을 얻는 증착 및 웹 코팅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자성 층에 필름을 형성하고 파쇄 및 그라인딩하는 방법으로 다층 안료 박편을 제조할 수도 있다.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공지의 제조방법을 본 발명의 다층 안료 박편 제조에 적합하게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은 물에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교반 후 우레아 및 산성물질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자성 안료 박편이 분산된 오일을 첨가하는 단계, 우레아와 반응하는 포름알데히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온도를 상승시켜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축합반응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 제조방법에서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무수말레산(ethylene maleic anhydride)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 제조방법에서 온도 상승은 0.5 내지 1.5℃/min, 바람직하게는 1℃/min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에 유동성 물질에 추가로 형광체나, 안료 물질 등을 더 분산시켜 새로운 색상 효과를 더 가지는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 외부 껍질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광 코팅 층이나 안료 물질로 이루어진 색상 층을 더 형성하여 새로운 색상 효과를 더 가지는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하여 보안 잉크를 제조할 수 있고, 마이크로캡슐에 포함된 안료 박편의 특징, 자기장의 변화 및 시각의 방향 등을 조절하여 새로운 효과를 가지는 보안 잉크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자성층(magnetic layer)을 포함하는 다층 안료 박편; 및
    유동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다층 안료 박편의 윗면, 아랫면 및 측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형광 물질로 코팅된 형광 층이 형성되고,
    상기 다층 안료 박편은 자성 층을 기재(substrate)로 하고, 자성 층의 제1 면 및 제1 면과 반대 면인 제2 면에 광의 간섭에 의한 색변화가 나타날 수 있는 다층 코팅 층이 형성된 마이크로캡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제1 코팅 층과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2 코팅 층 서로 질량이 상이한 마이크로캡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제1 코팅 층과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2 코팅 층은 서로 동일하고, 두께가 상이한 마이크로캡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코팅층과 제2 면의 코팅층은 유전체 층 및 금속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층은 굴절률 1.60 이상의 고 굴절률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층 및 1.60 미만의 저 굴절률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된 마이크로캡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 굴절률을 가지는 소재는 SnO2, SiO, ZnS, ZnO, TiO2, ZrO2, In2O3, Y2O3, CeO2, Fe3O4, Fe2O3, MgO 및 Sb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마이크로캡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 굴절률을 가지는 소재는 Al2O3, AlF3, SiO2, LiF, MgF2 및 NdF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마이크로캡슐.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층은 Al, Ag, Pt, Au, Ti, Pd, Ni, Co 및 C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소재로 형성되는 마이크로캡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 막에 형광체를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물질에 형광체가 분산되어 있는 마이크로캡슐.
KR1020170184456A 2017-12-29 2017-12-29 형광 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KR10207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456A KR102071444B1 (ko) 2017-12-29 2017-12-29 형광 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456A KR102071444B1 (ko) 2017-12-29 2017-12-29 형광 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15A KR20190081715A (ko) 2019-07-09
KR102071444B1 true KR102071444B1 (ko) 2020-03-02

Family

ID=6726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456A KR102071444B1 (ko) 2017-12-29 2017-12-29 형광 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4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701B1 (ko) * 2010-12-31 2012-03-20 한국조폐공사 마이크로 광학 구조를 포함한 연속된 색상 변화를 갖는 은선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0194A1 (en) * 2001-04-27 2002-10-31 Flex Products, Inc. Multi-layered magnetic pigments and foils
KR101042263B1 (ko) 2010-08-02 2011-06-21 주식회사 나노브릭 자성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조절 방법, 필름 및 표시 장치
US9568749B2 (en) 2012-11-14 2017-02-14 Nanobrick Co., Ltd. Forgery and falsification prevention device
KR20150063309A (ko) * 2014-12-03 2015-06-09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701B1 (ko) * 2010-12-31 2012-03-20 한국조폐공사 마이크로 광학 구조를 포함한 연속된 색상 변화를 갖는 은선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15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9222B2 (ja) 有機又は無機蛍光体を含む保安用真珠光沢顔料
US6666991B1 (en)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composition
US6565770B1 (en) Color-shifting pigments and foils with luminescent coatings
DE60114156T2 (de) Pigment mit vom betrachungswinkel abhängiger farbigkeit,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sowie zusammensetzung diese enthaltend
US6572784B1 (en) Luminescent pigments and foils with color-shifting properties
CN101802111B (zh) 油墨或调色剂组合物、使用方法和由其得到的制品
CN1229656C (zh) 磁性薄膜干涉器件或颜料及其制造方法、含这种磁性薄膜干涉器件的印刷油墨或涂料组合物、秘密文件以及应用
EP2207854B1 (en) Security element
RU2333230C2 (ru) Прочные многослойные магнитные пигменты и фольга
CN105283602B (zh) 包括干涉颜料和纳米填料的安全元件
TW201512317A (zh) 磁性或可磁化色料顆粒及光學效應層
UA52807C2 (uk) Композиція фарби (варіанти), суміш лусочок оптично змінних пігментів для композиції фарби та захищений документ, в якому використана композиція фарби
JP5760468B2 (ja) 偽造防止印刷物
KR102071444B1 (ko) 형광 물질을 포함한 마이크로캡슐
JP3829019B2 (ja) 蓄光性多層膜被覆粉体
JP2000087103A (ja) 蛍光性多層膜被覆粉体
US11926747B2 (en) UV curable and heat sealable ink
JP3578318B2 (ja) 蓄光顔料組成物
US10328738B2 (en) Security element comprising a masking structure containing a mixture of nanometric fillers
US986221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arking
RU2711192C1 (ru) Магнитный люминесцентный пигмент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CN113913031B (zh) 一种安全单元及其应用
KR102274099B1 (ko)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보안 요소
EP1489151A1 (en)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