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391B1 - Clean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Clean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391B1
KR102071391B1 KR1020180062592A KR20180062592A KR102071391B1 KR 102071391 B1 KR102071391 B1 KR 102071391B1 KR 1020180062592 A KR1020180062592 A KR 1020180062592A KR 20180062592 A KR20180062592 A KR 20180062592A KR 102071391 B1 KR102071391 B1 KR 102071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an
air
clean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6627A (en
Inventor
현기탁
이상철
허종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391B1/en
Priority to PCT/KR2019/006175 priority patent/WO2019231170A1/en
Priority to TW108118144A priority patent/TWI723403B/en
Publication of KR20190136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3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빈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며, 길이방향축이 지면과 나란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전방으로 연장된 흡입관; 상기 제1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싸이클론형성부;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하며,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면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과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케이스;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과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상면에 연결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housing provid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 inlet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suck air; A suction tub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extending in front of the first housing such that a longitudinal axis is parallel to the ground; A cyclone forming unit provided inside the first housing and separating dust from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housing and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 fan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providing a suction force so that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housing fl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fan; A battery case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accommodating the battery; And a handle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case.

Description

청소기 {Cleaning Appliance}Cleaner {Cleaning Appliance}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팬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압을 이용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외부 공기를 흡입한 다음, 이물질을 걸러낸 후 본체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external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by using a sound pressure generated by a fan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foreign matter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청소기는 크게 본체 외부로 연장된 전선을 이용해 전원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유선청소기와, 청소기 자체에 2차 배터리가 장착된 무선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In a manner of supplying power, the cleaner may be classified into a wired cleaner that receives power from a power outlet using a wir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 wireless cleaner equipped with a secondary battery in the cleaner itself.

최근에는 무선청소기 시장이 활발해짐에 따라 관련 기술들이 함께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나, 여전히 청소기 무게에 의한 피로감이나 배출공기에 의한 사용자의 불쾌감 및 공기흡입 효율에 대한 문제 등 해결해야 할 여러 과제들이 산재해 있는 상황이다.Recently, as the market for wireless cleaners is active, related technologies are developing together, bu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fatigue caused by cleaner weight, user discomfort due to exhaust air, and problems with air intake efficiency. It is a situation.

종래의 청소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conventional cleaner is shown in FIG. 1, which describ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첫째, 종래의 청소기는 팬이 하우징(C) 내부에 구비되며, 핸들(A)이 팬의 후방에 위치하므로, 청소시 사용자의 손목이나 어깨, 팔 허리 등에 피로감이 가중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First, the conventional cleaner has a disadvantage that the fan is provided in the housing (C), the handle (A) is located behind the fan, the fatigue can be added to the user's wrist, shoulder, arm waist, etc. when cleaning.

왜냐하면, 청소기의 부품들 중 무거운 팬의 무게중심이 핸들(A)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있어, 청소기를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천장과 같은 높은 부분을 청소할 때 상대적으로 많은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eavy fan of the parts of the vacuum cleaner is relatively spaced from the center of the handle (A), it requires a relatively large force when moving the vacuum cleaner in the front and rear or up and down directions or cleaning high parts such as the ceiling to be.

둘째, 종래의 청소기는 사용자의 전방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사용자의 이동경로상에 더운 공기가 머무르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Second, the conventional cleaner is generally provided so that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front space of the user, which is a problem that causes hot air stays on the user's movement path to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셋째, 종래의 청소기는 팬하우징의 공기 유입구가 위에 위치하고 공기 배출구가 아래에 위치하므로, 불필요한 유로절곡에 의해 하우징(C)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로저항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Third, since the air inlet of the fan housing is located above and the air outlet is located below, the conventional clean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low resistance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C by the unnecessary flow path bending is large.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기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토크를 줄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that reduces the fatigue required by the user to reduce the torque required to move the clean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전방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 청소기는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that does not discharge air to the front space of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로저항을 저감시켜 팬에 의한 흡입효율이 높거나 흡입력이 강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having a high suction efficiency or a strong suction power by reducing the flow path res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내부가 빈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며, 길이방향축이 지면과 나란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전방으로 연장된 흡입관; 상기 제1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싸이클론형성부;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하며,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면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과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케이스;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과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상면에 연결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irst housing provided in the hollow cylinder shape; An inlet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suck air; A suction tub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extending in front of the first housing such that a longitudinal axis is parallel to the ground; A cyclone forming unit provided inside the first housing and separating dust from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housing and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 fan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providing a suction force so that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housing fl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fan; A battery case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accommodating the battery; And a handle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cas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바디; 및 상기 핸들바디와 상기 제1하우징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하우징의 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handle may include a handle bod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nd an extension part connecting the handle body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dle body may be positioned at a side of the second housing.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좌우폭방향 길이가 상기 제1하우징의 지름 보다 짧으며, 일측면이 상기 흡입관의 길이방향축과 나란한 상기 제1하우징의 접면상에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second housing may be formed such that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housing is shor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housing, and one side thereof is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pipe. Can b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좌우폭방향 중심이 상기 흡입관의 길이방향축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핸들은 상기 흡입관의 길이방향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하우징의 좌우폭방향 중심이 치우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housing is provided such that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is leftward or rightwar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pipe, and the handle is the second housing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pipe. Left and right width center of the may be provided to be bia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iased direc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이 치우친 방향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다수의 공기배출홀을 구비한 제2하우징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housing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iased direction, the second housing cover having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may further includ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서로 연통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하우징연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팬은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가 결합되며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임펠러회전축을 포함하는 모터; 상기 임펠러회전축에 연결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와 모터를 수용하며, 상기 제2하우징에 고정되는 팬하우징(65)을 포함하고, 상기 팬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팬하우징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팬하우징 공기유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an includes a stator, a rotor rotating by the stator, and a motor including an impeller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rotor and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 impeller connected to the impeller rotating shaft to flow air; And a fan housing 65 accommodating the impeller and the motor and fixed to the second housing, and a fan housing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fan housing on an upp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연통홀은 상기 팬하우징 공기유입구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housing communication hole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an housing air inle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후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배터리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battery case may include a battery insertion hole formed by opening a rea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전후방 길이 보다 좌우폭방향 길이가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battery case may be provid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높이방향 길이 보다 좌우폭방향 길이가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battery case may be provid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in the height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청소기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토크를 줄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user's fatigue by reducing the torque required to move the cleaner.

둘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전방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air is not discharged to the front space of the user.

셋째, 본 발명은 유로저항을 저감시켜 팬에 의한 흡입효율이 높거나 흡입력이 강한 이점이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high suction efficiency or strong suction power by reducing the flow path resistance.

도 1은 종래 청소기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청소기의 일실시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2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B'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청소기의 일실시에 따른 챔버케이스와 싸이클론형성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 싸이클론형성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청소기의 일실시에 따른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청소기의 일실시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측면의 반대편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 청소기의 배터리부에 관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leaner appearanc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ner.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 shown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shown in FIG.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amber case and a cyclone for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ner.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yclone forming unit.
7 is a top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ner.
8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ner.
FIG. 9 shows an opposite side of the side shown in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battery unit of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xamples which specifically specify the components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is only us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게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 이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specific components may be shown or described to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is is also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ure 2,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leane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1)는 내부가 빈 실린더 형상의 제1하우징(10), 상기 제1하우징(10)의 원주면에 구비된 흡입부(3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1 may include a first housing 10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suction unit 30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상기 제1하우징(10)은 실린더의 길이방향 축(A1)이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부(30)는 상기 제1하우징(10)의 원주면에는 상기 제1하우징(10)의 흡입구(12, 도 3에 도시됨)와 연통하며 길이방향 축이 지면과 나란하되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 축(A1)과 교차하도록 구비된 흡입관(3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0 may have a longitudinal axis A1 of the cylinder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suction part 30 may be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It may include a suction pipe 31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 12 (shown in FIG. 3) and provided so that the longitudinal axis is parallel to the ground and intersects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cylinder.

여기서, 이하 설명되는 청소기의 세부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방향을 정의하자면, 상기 제1하우징(10)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30)의 흡입관(31)이 연장되는 방향이 전방(Front side)으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o define the direction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leaner described below,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pipe 31 of the suction unit 30 is extended relative to the first housing 10 is the front side. Can be defined as

또한, 상기 흡입관(31)이 연장되는 방향의 정반대 방향이 후방(Rear side)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우측(Right side) 및 좌측(Left side) 방향은 상기 정의된 전후방 방향에 종속하여 자연스럽게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pipe 31 extends may be defined as a rear side, and a right side and a left side direction may be naturally defined depending 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defined above.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상기 제1하우징(10)과 연통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10)의 후방면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16), 상기 제2하우징(16)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60), 상기 팬(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housing 16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16. A fan 60 provided inside to provide suction power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unit 80 for supplying power to the fan 60.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2하우징(16)은 길이방향축이 지면과 나란한 내부가 빈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되되, 외주면 중 일부가 상기 제1하우징(10)의 후방면에 결합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econd housing 16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longitudinal axis is parallel to the ground, and an inner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다시 말해, 상기 제1하우징(10)의 길이방향축(A1)은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하우징(16)의 길이방향축은 상기 제1하우징(10)의 길이방향축(A1)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first housing 10 may b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econd housing 16 may be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irst housing 10. It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A1).

상기 제1하우징(10)의 원주면에서 상기 제2하우징(16)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하우징연통홀(13)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하우징연통홀(13)은 상기 팬(60)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2하우징(16)으로 유동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A housing communication hole 13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to which the second housing 16 is coupled, and the housing communication hole 13 is formed by the fan 60. The air inside the first housing 10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flows into the second housing 16.

상기 배터리부(80)는 상기 팬(6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83)와 상기 배터리(83)를 수용하는 배터리케이스(86)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케이스(86)는 상기 제1하우징(10)의 원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battery unit 80 may include a battery 83 for supplying power to the fan 60 and a battery case 86 accommodating the battery 83, and the battery case 86 may include the first battery. It may be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상기 배터리케이스(8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하우징(16)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하우징(16)의 하면과 상기 배터리케이스(86)의 상면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battery case 86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 housing 16, in which case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6 and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case 86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have.

이에 따라, 외형을 이루는 부품들 간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parts forming the appearance can be increased.

상기 배터리케이스(86)는 상기 제1하우징(10)의 원주면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좌우방향 길이가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The battery case 86 extends rea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left and right lengths may be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핸들(70)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핸들(70)은 상기 배터리케이스(86)의 상면과 상기 제1하우징(10)의 원주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70, the handle 70 is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86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It may be provided to connect.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핸들(70)은 상기 배터리케이스(86)의 상면에서 상기 제1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핸들바디(73), 상기 핸들바디(73)와 상기 연결하는 연장부(76)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andle 7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86, the handle body 73, the handle body 73 and the user gripping The connecting portion 76 may include.

이 경우, 상기 핸들바디(73)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팬(60)의 측방에 위치하여, 상기 팬(60)의 무게 중심이 상기 핸들바디(73)의 길이방향 중심과 가깝게 형성되게 된다.In this c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dle body 73 is located to the side of the fan 60,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an 60 is formed to be close to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handle body 73.

따라서, 상기 핸들바디(73)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팬(60)의 관성모멘트가 감소되어,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청소기(1)를 움직일 수 있다.Thus, the moment of inertia of the fan 60 bas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handle body 73 is reduced,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cleaner 1 with less force.

또한, 상기 핸들바디(73)의 상단과 상기 연장부(76) 사이에는 길이방향 축이 상기 흡입관(31)의 길이방향축(A2)과 나란한 연결부(74)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portion 7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73 and the extension portion 76 such that the longitudinal axis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 suction pipe 31.

상기 연결부(74)와 상기 연장부(76)는 접점을 중심으로 각각의 길이방향 축이 이루는 각도가 180°미만이 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각각의 길이방향 중심이 연속된 곡선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74 and the extension portion 76 may be provided such that an angle formed by each longitudinal axis of the contact point is less than 180 °, or may be provided so that each longitudinal center forms a continuous curve. have.

아울러, 상기 핸들바디(73)의 상단부에는 청소기(1)의 ON/OFF를 위한 조작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73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150 for the ON / OFF of the cleaner (1).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핸들바디(73)를 파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으로 자연스럽게 상기 조작부(15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body 73, the user can naturally operate the manipulation unit 150 with a thumb.

다음으로 도3 내지 5를 참조하여, 상기 제1하우징(10) 및 제2하우징(16)의 내ㆍ외부에 배치된 청소기(1)의 세부구성들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cleaner 1 dispose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16 will be described.

먼저 도2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상기 제1하우징(10)의 하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커버(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2, a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housing 10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housing cover 23 to be coupled.

상기 제1하우징커버(23)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10)에 힌지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하우징(10)의 하부 개방면을 개폐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cover 23 may be provided in a disc shape and may be hinged to the first housing 1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lower opening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이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10) 내부에 먼지가 적체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하우징커버(23)를 개방하여 먼지를 상기 제1하우징(10)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Accordingly, when dust is accumulated in the first housing 10, the user opens the first housing cover 23 to discharge the dus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10.

상기 제1하우징커버(23)가 상기 제1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하우징(10) 하측에는 힌지결합부(232)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커버(23)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힌지결합부(232)에 결합되는 하부커버 연결힌지(101)가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first housing cover 23 to be hinged to the first housing 10, a hinge coupling portion 232 is provided below the first housing 10, and an edge of the first housing cover 23 is provided. It may be provided with a lower cover connection hinge 101 is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232.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상기 제2하우징(16)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커버(26, 도 9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In addition, the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ousing cover 26 (refer to FIG. 9) coupled to the side of the second housing 16. It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싸이클론 현상을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와 관련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the dust from the air sucked by using the cyclone phenomenon,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하우징(10) 내부에는 상기 제1하우징(10)보다 작은 실린더 형상의 챔버케이스(4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챔버케이스(43)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10) 내부 공간은 상기 챔버케이스(43) 외측의 제1챔버(431)와 상기 챔버케이스(43) 내측의 제2챔버(433)로 구분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0 may be provided with a chamber case 43 having a smaller cylindrical shape tha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housing 10 may be defined by the chamber case 43. The first chamber 431 outside the chamber case 43 and the second chamber 433 inside the chamber case 43 may be divided.

상기 챔버케이스(43) 원주면에는 다수의 챔버케이스관통홀(4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챔버(431) 내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2챔버(433)로 유입시키는 경로가 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hamber case through holes 435 may b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case 43, and a path for filtering air in the first chamber 431 into the second chamber 433 may be provided. Can be.

상기 제1챔버(431) 내부에서는 1차 싸이클론 현상이 일어나며, 상기 제2챔버(433) 내부에서는 2차 싸이클론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A primary cyclone phenomenon may occur in the first chamber 431, and a secondary cyclone phenomenon may occur in the second chamber 433.

우선, 도 3 및 도 3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제1챔버(431)에서 일어나는 1차 싸이클론 현상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imary cyclone phenomenon occurring in the first chamber 43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illustrates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in FIGS. 3 and 3.

상기 흡입구(12)의 중심은 상기 흡입관(31)의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범위 치우치게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431)로 유입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상기 챔버케이스(43)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center of the suction port 12 is located to the left or the right side in a predetermined range biased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pipe 31,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hamber 431 naturally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case 43. Can be rotated accordingly.

또한, 상기 흡입부(30)는 상기 흡입관(31)을 상기 제1하우징(10)에 연결하는 흡입관연결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관연결부(32)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12)로 공기를 안내하는 회전가이더(33)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part 30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ipe connection part 32 connecting the suction pipe 31 to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uction hole 12 is inside the suction pipe connection part 32. A rotary guider 33 for guiding air to the furnace may be installed.

상기 회전가이더(33)는 상기 제1하우징(10)의 외주면에서 상기 흡입구(12)를 형성하는 부분 중 상기 흡입관 길이방향 축에 가장 인접한 일측과, 상기 흡입관연결부(32) 내벽 중 상기 흡입구(12)가 치우친 방향의 반대편 내벽을 잇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otary guider 33 has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10 that is closest to the suction pipe longitudinal axis of the portion forming the suction port 12 and the suction port 12 of the inner wall of the suction pipe connection part 32. )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inner wall opposite to the biased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제1챔버(431) 내부에서는 공기가 상기 챔버케이스(43)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1차 싸이클론 현상이 발생되고, 공기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먼지들은 상기 제1챔버(431)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Accordingly, a primary cyclone phenomenon in which air rotat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case 43 is generated in the first chamber 431. The first chamber 431 falls down.

이후, 공기는 상기 챔버케이스관통홀(435)을 통해 필터링되어 상기 제2챔버(433)로 유입되게 된다.Thereafter, air is filtered through the chamber case through-hole 435 to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chamber 433.

다음으로는, 상기 제2챔버(433)에서 일어나는 2차 싸이클론 현상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secondary cyclone phenomenon occurring in the second chamber 433 will be described.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분해사시도인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보다 세부 결합관계에 관해서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with reference to FIG. 5,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detailed coupling relationship.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제2챔버(433)에 구비되는 싸이클론형성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yclone forming unit 50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433.

또한, 상기 싸이클론형성부(50)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길이방향 축이 상기 제1하우징커버(23) 또는 지면과 수직한 원통형으로 구비되되,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콘형상으로 구비된 다수의 유로바디(5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yclone forming part 50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ylindrical shape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using cover 23 or the ground,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in a cone shape that becomes smaller in diameter downwards. A plurality of flow path body 51 may be included.

상기 다수의 유로바디(51)는 상기 제1하우징커버(23) 또는 지면과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공기가 회전하면서 유동하는 먼지분리유로(51a)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유로바디(51) 내측에는 상기 팬(60)에 의해 상승기류가 형성되는 상승관(53)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assage bodies 51 respectively form a dust separation passage 51a through which air i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using cover 23 or the ground, and the plurality of passage bodies 51. Inside) may be provided with a rising pipe 53, each of which is formed by the fan 60, the air flow.

상기 상승관(53) 역시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바디(51)의 상면과 상기 상승관(53) 사이에는 상기 먼지분리유로(51a)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51b, 또는 상부개방면)가 형성될 수 있다.The rising pipe 53 may also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 and an inlet 51b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ion passage 51a between an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body 51 and the rising pipe 53. , Or an upper open surface)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상승관(53)과 상기 유로바디(51) 사이에는 상기 상승관(53)의 외주면과 상기 유로바디(51)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베인(55)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vane 5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ift pipe 53 and the flow path body 51 to conne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se pipe 53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low path body 51.

상기 베인(55)은 지면과 나란한 면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51b)로 유입되는 공기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vane 55 is provid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parallel to the ground, and serves to rotate the air flowing into the inlet 51b.

아울러, 상기 다수의 유로바디(51)의 하면에는 개방면으로 형성된 먼지토출구(51c)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dust discharge port 51c formed as an open surface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assage bodies 51.

상술한 구조하에, 싸이클론형성부(50)에서는 상기 유입구(51b)로 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먼지분리유로(51a)를 따라 상기 베인(55)에 의해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2차 싸이클론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이후 공기는 상기 상승관(53)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Under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fter the air flows into the inlet 51b, the cyclone forming unit 50 rotates by the vane 55 along the dust separation passage 51a and then descends while the secondary cyclone phenomenon occurs. This happens, and then air rises along the riser (53).

이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먼지들은 그 무게에 의해 상기 상승관(53)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먼지토출구(51c)를 통해 상기 유로바디(51)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not introduced into the riser 53 by the weight thereof,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low path body 51 through the dust discharge port 51c.

상기 다수의 유로바디(51)는 연결판(57)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판(57)은 상기 챔버케이스(43)의 내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low path bodies 5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plate 57, and the connecting plate 57 may be provided in a disc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case 43.

상기 연결판(57)의 하면에는 상하면이 개방된 콘 형태의 먼지분리부(4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먼지분리부(46)는 상기 싸이클론형성부(5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57 may be provided with a cone-shaped dust separator 46 having an open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dust separator 46 stores dust separated from the cyclone forming unit 50. Function.

또한, 상기 먼지분리부(46)는 상기 먼지토출구(51c)로 상기 제1챔버(431)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먼지분리부(46)의 상면은 상기 연결판(57)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먼지분리부(46)의 하면은 상기 제1하우징커버(23)와 상기 제1하우징커버(23)의 상면에 구비된 환형의 패킹리브(23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separator 46 serves to prevent the air inside the first chamber 431 to be sucked into the dust discharge port 51c, for this purpose,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separator 46 is the connec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separator 46 is covered by a plate 57, and an annular packing rib 233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cover 23 and the first housing cover 23. Can be shielded.

이때, 상기 패킹리브(233)는 상기 먼지분리부(46) 하면의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acking rib 233 is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n order to increase the sealing property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46.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상기 제2챔버(433)의 상면을 차폐하는 격벽(59)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 및 4를 참조하면 관련 구성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wall 59 for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433,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related configuration more easily I can understand.

상기 격벽(59)은 상기 챔버케이스(43) 상측에 구비되되, 하면이 상기 제2챔버(433) 상부를 차폐하는 컵(Cup)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59 may be provided above the chamber case 43, and may have a lower surface having a cup shape that shields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433.

상기 격벽(59)의 하면에는 상기 상승관(53)의 돌출된 부분과 결합하는 다수의 상승관삽입홀(591)이 구비될 수 있다.A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59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iser tube insertion holes 591 to be coupled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riser 53.

상기 상승관(53)은 상기 먼지분리유로(51a)로의 공기 유입을 위해 상기 유로바디(51) 상면에서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구비되며, 돌출된 부분 중 일부분이 상기 격벽(59) 하면에서 상기 상승관삽입홀(591)을 형성하는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The rising pipe 53 is provid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body 51 for the inflow of air into the dust separation passage 51a, and a part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59. It may be combined with a portion forming the riser insertion hole 591.

또한, 상기 격벽(59)의 상측 테두리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격벽플랜지(59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하우징(10) 내측의 격벽 지지리브(102)에 결합되어 상기 격벽(59)을 상기 제1하우징(10)에 고정시키게 된다.In addition, a partition flange 593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partition 59, which is coupled to the partition support rib 102 inside the first housing 10 to form the partition wall. The 59 is fixed to the first housing 10.

상기 팬(60)에 의해 상기 상승관(53)에서 상승한 공기는 필터부(90)의 제1필터(93)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연통홀(13)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16)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부(90)에 관한 세부설명은 구조의 보다 수월한 이해를 위해 후술한다.Air raised from the riser 53 by the fan 60 passes through the first filter 93 of the filter unit 90 and flows into the second housing 16 through the housing communication hole 13. Can be. Details of the filter unit 90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상기 팬(60)은 크게 상기 팬(6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팬(60)이 상기 제2하우징(16)에 장착되도록 하는 팬하우징(65), 상기 팬하우징(65)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임펠러(63), 상기 팬하우징(65)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임펠러(63)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61)로 구성될 수 있다.The fan 60 is formed inside the fan housing 65 and the fan housing 65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fan 60 and to allow the fan 60 to be mounted to the second housing 16. Impeller 63 for flowing air, it may be composed of a motor 61 provided in the fan housing 65 to provide a rotational power to the impeller (63).

또한, 상기 임펠러(63)와 상기 모터(61) 사이에는 상기 임펠러(63)에 의해 형성된 공기 흐름은 고르게 분산시키는 디퓨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diffus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mpeller 63 and the motor 61 to evenly distribute the air flow formed by the impeller 63.

먼저, 상기 모터(61)는 스테이터(611), 스테이터(611)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612), 상기 로터(612)와 상기 임펠러(63)를 연결하며 길이방향 축이 지면 또는 상기 제1하우징커버(23)의 상면과 수직한 임펠러회전축(613)으로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motor 61 connects the stator 611, the rotor 612 which rotates by the electromagnetic action with the stator 611, the rotor 612 and the impeller 63, and the longitudinal axis is ground or It may be composed of an impeller rotating shaft 613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cover 23.

상기 임펠러회전축(613)은 상기 팬하우징(65)에 연결된 회전축지지부(6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회전축(613)과 상기 회전축지지부(617) 사이에는 상기 임펠러회전축(613)이 회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614)이 구비될 수 있다.The impeller rotation shaft 613 may be supported by a rotation shaft support part 617 connected to the fan housing 65, and the impeller rotation shaft 613 is rotated between the impeller rotation shaft 613 and the rotation shaft support part 617. A bearing 614 may be provided to facilitate this.

또한, 상기 회전축지지부(617)에는 상기 스테이터(611)를 고정하는 스테이터장착부(616)와, 상기 모터(61)를 보호하는 모터가드(618)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ator mounting part 616 fixing the stator 611 and a motor guard 618 protecting the motor 61 may be coupled to the rotary shaft support part 617.

이에 따라, 상기 모터(61)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모터(61)에 의해 상기 임펠러(63)는 상기 제2하우징(16)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61, the impeller 63 may rotate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16 by the motor 61.

상기 하우징연통홀(13)은 상기 격벽(59)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공기는 복잡하게 절곡된 유로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2하우징(16)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The housing communication hole 13 is located above the partition 59, in which cas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housing 16 without passing through a complicatedly curved flow path.

따라서, 본 발명의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61)의 주변부의 복잡하게 절곡된 유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로 저항이 감소되어, 흡입력 또는 흡입효율이 탁월하게 증대되는 효과를 가져갈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resistance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complicated bent flow path of the periphery of the motor 61 is reduced, so that the suction force or the suction efficiency can be excellently increased.

이에 더해, 상기 팬하우징(65)의 팬하우징 공기유입구(651)는 상기 팬하우징(65)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연통홀(13)으로 유입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상기 팬하우징(65)을 거쳐 상기 제2하우징커버(26)의 공기배출홀(261)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n housing air inlet 651 of the fan housing 6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65,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communication hole 13 naturally flows into the fan housing 65. It may be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hole 261 of the second housing cover 26 via.

이때, 상기 팬하우징 공기유입구(651)의 지름은 상기 팬하우징의 길이방향 중심 지름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팬(60)의 흡입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fan housing air inlet 651 is formed smaller than the longitudinal center diameter of the fan housing, the suction force of the fan 60 can be maximized.

아울러, 상기 제2하우징(16)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하우징(16)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팬하우징 지지리브(16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팬하우징(65)을 상기 제2하우징(16)에 고정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6 may be provided with a fan housing support rib 165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housing 16, which is the fan housing 65 to the second housing It is fixed at (16).

앞서 잠시 언급했던 상기 필터부(90)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필터부(90)는 상기 격벽(59)에 고정되는 제1필터(93)와, 상기 팬하우징(65)과 상기 제2하우징커버(26)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제2필터(95)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lter unit 90 described above in detai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ilter unit 90 includes a first filter 93 fixed to the partition 59, the fan housing 65, and the second filter 90. The second filter 95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housing covers 26.

상기 제1필터(93)는 상기 격벽(59)의 제1필터 지지리브(595)에 의해 상기 상기 격벽(59)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필터(9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하우징연통홀(13)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16)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The first filter 93 may b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tition 59 by the first filter support rib 595 of the partition 59,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93 may be It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housing 16 through the housing communication hole (13).

상기 제2필터(95)는 상기 제2하우징(16)의 제2필터 지지리브(164)와 상기 제2하우징커버(26)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filter 95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10 by the second filter support rib 164 of the second housing 16 and the second housing cover 26.

구체적으로, 상기 제2필터(95)는 상기 팬하우징(65)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하우징(16)의 좌우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하우징커버(26) 측으로 치우치게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filter 95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an housing 65, and may be biased toward the second housing cover 26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second housing 16. It may be provided.

상기 제2필터(95)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2하우징커버(26)와 마주보는 면이 상기 제2하우징커버(26)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하우징커버(26)의 크기보다 커도 무방할 것이다.The second filter 95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surface facing the second housing cover 26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econd housing cover 26. Of course, it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housing cover 26.

상기 제2필터(95)는 상술한 유로 구성에 의해,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팬하우징 공기배출구(653)와 마주보게 구비되어, 필터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The second filter 95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ortion facing the fan housing air outlet 653 by the above-described flow path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filter effect.

상기 제1필터(93)의 메쉬(Mesh)가 형성하는 홀의 크기는 상기 제2필터(95)의 메쉬가 형성하는 홀의 크기 보다 크도록 구비되어, 사이즈가 큰 먼지에서 작은 먼지로 순차적으로 필터링 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hole formed by the mesh of the first filter 93 is provid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hole formed by the mesh of the second filter 95, so that the size of the holes may be sequentially filtered from large dust to small dust. Can be.

또한, 상기 제2필터(95)는 배출공기의 질을 높이기 위해, 헤파(HEPA)필터로 구비될 수 있으며, 헤파(HEPA)필터는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95 may be provided as a HEPA filt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HEPA filter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유로바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another embodiment of the flow path body will be described.

상기 유로바디(51)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제1파이프(513)와, 개방된 상부면과 하부의 먼지토출구(51c)를 구비한 제2파이프(523)로 구분될 수 있다.The flow path body 51 may be divided into a cylindrical first pipe 513 having an upper and lower part opened, and a second pipe 523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and a lower dust discharge port 51c.

또한, 상기 상승관(53)과 상기 베인(55)은 상기 제1파이프(513)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ser 53 and the vanes 55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pipe 513.

상기 유로바디(51)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일체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사출방식으로 쉽게 제조하기 위해 상기 제1파이프(513)와 상기 제2파이프(523)로 분리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flow path body 51 may be provided integrally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but it may be preferable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first pipe 513 and the second pipe 523 in order to easily manufacture the injection body. .

이하, 도 7 및 8 를 참조하여, 상기 핸들(70)과 상기 제2하우징(16) 및 상기 배터리케이스(86)의 배치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handle 70, the second housing 16, and the battery case 8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먼저, 상기 청소기(1)의 상면도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16)은 내부가 빈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되되, 그 지름이 상기 제1하우징(10)의 지름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7, which is a top view of the cleaner 1, the second housing 16 is provided in a hollow cylinder shape,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housing 16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housing 10. Can be.

또한, 상기 제2하우징(16)은 좌우폭방향 중심이 상기 흡입관(31)의 길이방향축(A2)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도록 일측으로 치우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하우징(16)이 치우친 방향의 그 측면은 상기 제1하우징(10)의 외주면의 접면상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ousing 16 may be provided to be biased to one side such that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is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 suction pipe 31, and the second housing 16 The side surface of this biased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이때, 상기 핸들(70)은 상기 제2하우징(16)이 치우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치우치게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andle 70 may be provided to be bia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housing 16 is biased.

나아가, 상기 핸들(70)의 연장부(76) 중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의 파지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흡입관(31)의 길이방향축(A2)과 나란한 상기 제1하우징(10)의 접면 외측으로 치우치게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76 of the handle 7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 suction pipe 31 to secure the user's holding space. Can be provided biased.

이 경우, 상기 연장부(76)의 길이방향축은 상기 흡입관(31)의 길이방향축(A2)과 90°이하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In this case,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extension portion 76 forms an angle of 90 ° or less with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 suction pipe 31.

사용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팔과 상기 흡입관(31)의 길이방향축(A2)이 나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핸들바디(73)의 측면이 상기 흡입관(31)의 길이방향축(A2)과 나란한 상기 제1하우징(10)의 외주면의 접면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For ease of use, the user's arm and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 suction pipe 31 ne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For this purpose, the side surface of the handle body 73 is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 suction pipe 31. It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contact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parallel to the ().

물론, 위에서 설명한 구조와 달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공간만 형성될 수 있다면, 상기 핸들바디(73)는 상기 흡입관(31)의 길이방향 축(A2)과 상기 제1하우징(10)의 길이방향 축(A1)을 지나는 면과 교차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Of course, unlike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if only the space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can be formed, the handle body 73 is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 suction pipe 31 and the length of the first housing 10 It may be provided so as to intersect the surface passing through the direction axis A1.

상기 배터리케이스(86)는 상기 제1하우징(10)의 접선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흡입관(31)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battery case 86 may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ction pipe 31 to be parallel to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0.

상술한 배치관계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팬(60)의 무게중심이 상기 핸들바디(73) 중 사용자가 파지하는 지점 바로 옆에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83)의 무게중심이 사용자의 손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청소기(1)를 움직임에 따라 손에 가해지는 토크가 종래기술들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relationship,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an 60 is located next to the point where the user grips the handle body 73,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ttery 83 is under the user's hand. Since it is located in, the torque applied to the hand as the user moves the cleaner 1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의 측면도인 도 8을 참조하여, 이하 위에서 설명한 배치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8, which is a side view of the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제2하우징(16)의 높이방향 길이는 상기 제1하우징(10)의 높이방향 길이보다 짧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하우징(16)의 상면은 상기 제1하우징(10)의 상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height direction length of the second housing 16 is provided to be shorter than the height direction length of the first housing 10,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6 is the sam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It can be located at a height.

또한 상기 배터리케이스(86)의 높이는 상기 제1하우징(10)과 상기 제2하우징(16)의 높이 차이만큼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battery case 86 may be set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ousing 10 and the second housing 16.

한편, 상기 핸들바디(73)는 상기 흡입관(31)의 길이방향 축(A2)과 상기 핸들바디의 길이방향 축(A3)을 지나는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α)가 90°보다 작도록 상기 핸들바디(73)의 일단을 축으로 전방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body 73 is at least one (α) of the angle formed by the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 suction pipe 31 and the longitudinal axis (A3) of the handle body is less than 90 °. One end of the handle body 73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axis.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바닥 청소를 위해 상기 흡입관(31)을 전방으로 기울일 때, 청소기를 과도하게 기울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tilts the suction pipe 31 forward to clean the floor, the cleaner may be naturally cleaned without excessively tilting the cleaner.

한편, 상기 연장부(76)는 제1하우징(10)에 연결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핸들바디(73)의 타단과 상기 제1하우징(10)의 외주면 간 최단경로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portion 76 may be provided in any form if it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0, but is connected in the shortest path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handle body 73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Is preferred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2하우징커버(26)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cond housing cover 2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상기 제2하우징커버(26)는 상기 제2하우징(16)의 측면 중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하우징(16)의 측면 중 일부분을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16)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cover 26 is provided to form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second housing 16, and hinged to the second housing 16 to open and close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second housing 16. Can be combined.

또한, 상기 제2하우징커버(26)에는 상기 제2하우징커버(26)를 관통하는 다수의 공기 배출홀(261)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공기배출홀(261)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16)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261 penetrating the second housing cover 26 are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cover 26, and the second housing (2) is provided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261. 16) The air insid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아울러, 상기 제2하우징커버(26)는 상기 제2하우징(16) 내부에서의 원활한 공기 유동을 위해 상기 팬(60)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ousing cover 26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fan 60 for smooth air flow in the second housing 16.

나아가, 상기 제2하우징커버(26)는 상기 제2하우징(16)에서 상기 제2하우징(16)이 치우친 방향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housing cover 26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housing 16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housing 16 is bias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핸들바디(73)를 파지하여 상기 청소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측방으로만 더운공기가 배출되므로 사용자의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body 73 to use the cleaner, hot air is discharged only to the side of the user, thereby reducing discomfort of the user.

이하, 도 10를 참조하여, 배터리(83)의 배터리케이스(86) 삽입구조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of inserting the battery case 86 of the battery 8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상기 배터리(83)는 상기 배터리케이스(86)에 삽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battery 83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battery case 86.

이를 위해, 상기 배터리케이스(86)는 상기 배터리(83)가 삽입되는 배터리수용부(861)를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케이스(86)의 후면에는 개방면인 배터리삽입구(863)가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battery case 86 forms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861 into which the battery 83 is inserted, and a battery insertion hole 863 which is an open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86. .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83)는 상기 배터리삽입구(863)를 통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배터리수용부(861)에 수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ttery 83 may be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861 by sliding forward from the rear through the battery insertion hole 863.

상기 배터리(83)는 외관을 형성하는 배터리프레임(831), 상기 모터(61)에 전력을 전달하는 단자(835) 및 상기 단자가 구비된 돌출부(833)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ttery 83 may include a battery frame 831 forming an exterior, a terminal 835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motor 61, and a protrusion 833 having the terminal.

상기 배터리프레임(831) 후면에는 좌측 또는 우측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삽입구(863)를 차폐시키는 차폐부(839)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frame 831 may be provided with a shielding portion 839 exten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o shield the battery insertion hole 863.

상기 배터리케이스(86)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배터리(83)는 필요에 따라 대용량과 소용량 배터리로 다양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The battery case 86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but the battery 83 may be provided in various sizes as a large capacity and a small capacity battery as necessary.

소용량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상기 배터리삽입구(863)의 일부분은 계속해서 개방된 상태가 된다.When a small capacity battery is used, a portion of the battery insertion hole 863 remains open.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삽입구(863)의 개방된 부분을 상기 차폐부(839)가 차폐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수용부(861)로의 먼지유입을 방지하고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는 효과를 도모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ielding part 839 shields the open portion of the battery insertion hole 863, thereby preventing dust from entering the battery receiving part 861 and making the appearance more beautiful. Promote.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과 다른 새로운 효과를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Even if the effects are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dditional effects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elements, and may have new effec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organic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mentioned elements. Of course.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r equivalent to the configura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제1하우징 10 제2하우징 16 제1하우징커버 23
제2하우징커버 26 흡입부 30 흡입관 31
챔버케이스 43 먼지분리부 46 싸이클론형성부 50
유로바디 51 상승관 53 베인 55
연결판 57 격벽 59 팬 60
모터 61 임펠러 63 팬하우징 65
핸들 70 핸들바디 73 연장부 76
배터리부 80 배터리케이스 86 배터리 83
필터부 90 제1필터 93 제2필터 95
조작부 150
1st housing 10 2nd housing 16 1st housing cover 23
Second housing cover 26 Suction part 30 Suction tube 31
Chamber Case 43 Dust Separator 46 Cyclone Formation 50
Eurobody 51 Upward Tube 53 Bain 55
Connecting plate 57 bulkhead 59 fan 60
Motor 61 Impeller 63 Fan Housing 65
Handle 70 Handle Body 73 Extension 76
Battery compartment 80 Battery case 86 Battery 83
Filter section 90 First filter 93 Second filter 95
Control Panel 150

Claims (11)

내부가 빈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며, 길이방향축이 지면과 나란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전방으로 연장된 흡입관;
상기 제1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싸이클론형성부;
상기 제1하우징과 연통하며, 상기 제1하우징의 후방면에 상기 흡입관의 길이방향축을 기준으로 좌우폭방향 중심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결합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과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케이스;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과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흡입관의 길이방향축을 기준으로 좌우폭방향 중심이 상기 제2하우징이 치우친 반대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연결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 first housing provid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 inlet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suck air;
A s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extending in front of the first housing such that a longitudinal axis is parallel to the ground;
A cyclone forming unit provided inside the first housing and separating dust from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being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so that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is biased to the left or righ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pipe;
A fan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providing a suction force so that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housing flow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fan;
A battery case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accommodating the battery; And
And a handle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such that a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pipe is bia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ich the second housing is bi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바디; 및
상기 핸들바디와 상기 제1하우징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하우징의 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le is
A handl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And
And an extension part connecting the handle body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dle body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econd housing clea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좌우폭방향 길이가 상기 제1하우징의 지름 보다 짧으며, 일측면이 상기 흡입관의 길이방향축과 나란한 상기 제1하우징의 외주면 접면상에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housing is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pi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이 치우친 방향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다수의 공기배출홀을 구비한 제2하우징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housing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iased direction, the second housing cover having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이 서로 연통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원주면에 형성되는 하우징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housing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such that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가 결합되며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임펠러회전축을 포함하는 모터;
상기 임펠러회전축에 연결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와 모터를 수용하며, 상기 제2하우징에 고정되는 팬하우징(65)을 포함하고,
상기 팬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팬하우징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팬하우징 공기유입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fan is
A motor including a stator, a rotor rotating by the stator, and an impeller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rotor and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An impeller connected to the impeller rotating shaft to flow air; And
A fan housing 65 accommodating the impeller and the motor and fixed to the second hou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And a fan housing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fan ho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연통홀은
상기 팬하우징 공기유입구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ousing communication hole is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osition higher than the fan housing air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후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배터리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ase
And a battery insertion hole formed by opening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cas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전후방 길이 보다 좌우폭방향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battery case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length is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높이방향 길이 보다 좌우폭방향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battery case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KR1020180062592A 2018-05-31 2018-05-31 Cleaning Appliance KR1020713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92A KR102071391B1 (en) 2018-05-31 2018-05-31 Cleaning Appliance
PCT/KR2019/006175 WO2019231170A1 (en) 2018-05-31 2019-05-23 Cleaner
TW108118144A TWI723403B (en) 2018-05-31 2019-05-24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92A KR102071391B1 (en) 2018-05-31 2018-05-31 Cleaning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627A KR20190136627A (en) 2019-12-10
KR102071391B1 true KR102071391B1 (en) 2020-01-30

Family

ID=6869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592A KR102071391B1 (en) 2018-05-31 2018-05-31 Cleaning Applian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71391B1 (en)
TW (1) TWI723403B (en)
WO (1) WO2019231170A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37364A1 (en) 2012-11-20 2014-05-22 Dyson Technology Limited Cleaning appliance
JP2014176567A (en) * 2013-03-15 2014-09-25 Makita Corp Cleaner
US20160066757A1 (en) * 2014-07-18 2016-03-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684166B1 (en) * 2015-09-03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Suction unit
JP6228856B2 (en) 2014-02-04 2017-11-08 シャープ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CN107802206A (en) * 2017-11-13 2018-03-16 苏州睿梵工业设计有限公司 Modified wireless dust collector
CN108030440A (en) 2017-11-29 2018-05-15 浙江亿力清洁电器有限公司 Hand-held rechargeable dust coll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12B1 (en) * 2014-06-05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Motor Assembly and Clean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37364A1 (en) 2012-11-20 2014-05-22 Dyson Technology Limited Cleaning appliance
JP2014176567A (en) * 2013-03-15 2014-09-25 Makita Corp Cleaner
JP6228856B2 (en) 2014-02-04 2017-11-08 シャープ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US20160066757A1 (en) * 2014-07-18 2016-03-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684166B1 (en) * 2015-09-03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Suction unit
CN107802206A (en) * 2017-11-13 2018-03-16 苏州睿梵工业设计有限公司 Modified wireless dust collector
CN108030440A (en) 2017-11-29 2018-05-15 浙江亿力清洁电器有限公司 Hand-held rechargeable dust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1170A1 (en) 2019-12-05
TWI723403B (en) 2021-04-01
TW202002871A (en) 2020-01-16
KR20190136627A (en)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5452B2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EP1674019B1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EP1857032B1 (en) Vacuum cleaner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cyclone units
RU2325836C2 (en) Dust control unit for vacuum-cleaner (options)
EP1728459A2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with means for reducing inlet pressure loss
EP1676638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dust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U2004202417B2 (en) Moto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JP6175560B2 (en) Vacuum cleaner
KR102074288B1 (en) Cleaning Appliance
US20140359966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EP3653096B1 (en) Vacuum cleaner
KR102071392B1 (en) Cleaning Appliance
KR102073618B1 (en) Cleaning Appliance
EP1676514A2 (en) Vacuum cleaner
KR102124487B1 (en) Cleaning Appliance
US20180160871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EP1676517A2 (en) Apparatus for collecting dust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2081941B1 (en) Cleaning Appliance
KR102071391B1 (en) Cleaning Appliance
EP3005924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CN111281264A (en) Household dust collector
KR102344069B1 (en) Cleaning Appliance
KR102124488B1 (en) Cleaning Appliance
KR102081942B1 (en) Cleaning Appliance
KR20190140274A (en) Clean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