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168B1 - 연소기, 가스 터빈 - Google Patents

연소기, 가스 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168B1
KR102071168B1 KR1020187033604A KR20187033604A KR102071168B1 KR 102071168 B1 KR102071168 B1 KR 102071168B1 KR 1020187033604 A KR1020187033604 A KR 1020187033604A KR 20187033604 A KR20187033604 A KR 20187033604A KR 102071168 B1 KR102071168 B1 KR 102071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diameter side
tip
combustor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514A (ko
Inventor
잇세이 다무라
게이지로 사이토
겐지 미야모토
야오후아 쉬에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283Attaching or cooling of fuel injecting means including supports for fuel injectors, stems, or l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 F23R3/04Air inlet arrangements
    • F23R3/10Air inlet arrangements for primary air
    • F23R3/12Air inlet arrangements for primary air inducing a vorte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02Wall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05Combined with pressure o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 F23R3/04Air inle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 F23R3/04Air inlet arrangements
    • F23R3/10Air inlet arrangements for primary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 F23R3/16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with devices inside the flame tube or the combustion chamber to influence the air or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23R3/46Combustion chambers comprising an annular arrangement of several essentially tubular flame tubes within a common annular casing or within individual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23Transition ducts between combustor cans and first stage of the turbine in gas-turbine engines; their cooling 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35Combustors or associated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R2900/00005Preventing fatigue failures or reducing mechanical stress in gas turbine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R2900/03043Convection cooled combustion chamber walls with means for guiding the cooling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R2900/03045Convection cooled combustion chamber walls provided with turbolators or means for creating turbulences to increase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연소기(3)는, 축선(Ac)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료 노즐과, 연료 노즐을 덮는 통 형상을 이루는 내통(41)과, 내통(41)의 선단부(41S)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도입되는 냉각 공기 유로(6)를 형성하는 동시에, 내통(41)의 선단(41S)측을 향해 연장되는 통 형상을 이루는 미통(42)을 구비하고, 내통(41)의 선단의 직경 방향 위치가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이에 의해, 내통(41)의 선단(41S)의 하류측에 와류가 형성된다. 이 와류에 의해, 냉각 공기 유로(6)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소기, 가스 터빈
본 발명은 연소기, 가스 터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5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6-102331 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일반적으로, 가스 터빈에 이용되는 연소기는, 연료 노즐을 수용하는 상류측의 통체와, 이 통체의 하류측에 마련된 다른 통체를 구비하고 있다(하기의 특허문헌 1 참조). 하류측의 통체는 상류측의 통체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있다. 즉, 이들 2개의 통체끼리의 접속부에서는, 서로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직경 방향으로 벌어지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연소기의 운전 중에는, 상기 내통 및 미통이 고온이 되기 때문에, 이들 부재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가 적당히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상기와 같은 통체끼리의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도입하고, 통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유통시킴으로써 해당 통체를 냉각하는 구성이 실용화되고 있다.
일본 특허 제 3956882 호 공보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연소기에서는, 통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흐르는 냉각 공기와, 통 내의 내측을 흐르는 연소 가스가 충분히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이들 냉각 공기와 연소 가스의 혼합이 불충분한 경우, 양자 간의 온도 계면에서 화염의 온도가 저하하여, 연소 반응의 진행이 정체해 버린다(퀀치가 발생해 버림). 이러한 퀀치가 발생하면, 환경 오염 물질인 일산화탄소(CO)·미연탄화수소 등의 생성이 촉진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환경 부하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연소기, 가스 터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연소기는,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료 노즐과, 해당 연료 노즐을 덮는 통 형상을 이루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선단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도입되는 냉각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내통의 선단측을 향해 연장되는 통 형상을 이루는 미통을 구비하고, 상기 내통의 선단의 직경 방향 위치가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통의 선단의 직경 방향 위치가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 내통의 선단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흐를 때에, 내통의 내주측을 흐르는 연소 가스에는, 축선 방향의 속도가 다른 2개의 성분이 생긴다. 이들 2개의 성분이 서로 합류하는 것에 의해, 내통의 선단에서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류가 형성된다. 이 와류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냉각 공기 유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연소기에서는, 상기 내통은, 상기 선단의 직경 방향 위치가 상대적으로 직경 방향 내측인 내경측 선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 방향 외측인 외경측 선단부를 가지며, 상기 내경측 선단부와 상기 내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축선 방향 일방측(연료 노즐의 제 1 단측)으로부터 타방측(연료 노즐의 제 2 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통의 내주측을 흐르는 연소 가스 중, 경사면을 거쳐서 내경측 선단부를 통과한 성분과 외경측 선단부를 통과한 성분과의 사이에,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속도차가 생긴다. 이들 2개의 성분이 서로 합류하는 것에 의해, 내통의 선단에서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류가 형성된다. 이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냉각 공기 유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연소기는 상기 내경측 선단부 및 상기 외경측 선단부를 직경 방향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져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속부를 사이에 두고 둘레 방향 일방측의 영역과 타방측의 영역과의 사이에서, 연소 가스의 흐름에 속도차가 생긴다. 이 속도차에 의해, 접속부의 하류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류가 형성된다. 이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냉각 공기 유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원관 형상의 부재의 단부에 대해서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만에 의해서, 내경측 선단부와 외경측 선단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연소기에서는, 상기 외경측 선단부는 상기 내경측 선단부보다 축선 방향 일방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경측 선단부와 내경측 선단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한 것에 더하여,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도 상이하다. 이에 의해, 외경측 선단부를 통과한 연소 가스의 성분과 내경측 선단부를 통과한 연소 가스의 성분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속도차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즉, 내통의 선단에서 보다 강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 공기 유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연소기에서는, 상기 내통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외경측 선단부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 타방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축선 방향 타방측의 선단이 상기 내경측 선단부인 경사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원관 형상의 부재의 단부에 대해서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만에 의해서, 내경측 선단부와 외경측 선단부를 내통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 의하면, 상기 경사부에서는, 상기 축선 방향 타방측을 향해 상기 둘레 방향의 폭 치수가 점감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축선 방향 일방측에서 타방측에 비해 경사부의 둘레 방향의 폭 치수가 커져서 경사부의 축선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서의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부의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경사부의 축선 방향 타방측의 선단에서 경사부의 폭 치수가 작아진다. 이 때문에, 보다 고온이 되는 위치에서 경사부에의 연소 가스의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부의 내열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 의하면, 상기 경사부에서는 상기 둘레 방향을 향하는 면이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사부의 축선 방향 일방측의 단부와 내통의 외경측 선단부를 매끄럽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이 위치에서의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태양에 의하면, 상기 경사부에서는, 상기 내경측 선단부가 첨예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경측 선단부가 첨예 형상을 이루고 있음으로써, 내경측 선단부보다 축선 방향 타방측, 즉, 내경측 선단부보다 하류측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류의 형성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따라서 와류가 형성되며, 이들 측면에서의 와류가 내경측 선단부에서 합성됨으로써 직경 방향으로 강한 와류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냉각 공기 유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태양에 의하면, 상기 내통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도입되는 냉각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컨대 내부가 중공인 판상 부재, 즉 MT 핀 구조를 갖는 부재로 형성한 내통에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경사부를 형성하면, 필연적으로 경사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 구멍이 경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부를 적극적으로 냉각하기 위한 구조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제 10 태양에 의하면, 가스 터빈은, 고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와, 상기 고압 공기에 연료를 혼합하고, 연소시킴으로써 연소 가스를 생성하는 상기의 연소기와, 상기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환경 부하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연소기, 가스 터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 부하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연소기, 가스 터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내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내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내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내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내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따른 내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에 따른 내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제 5 변형예에 따른 내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에 따른 내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내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내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내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100)은, 고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1)와, 고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고, 연소시킴으로써 연소 가스를 생성하는 연소기(3)와,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2)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1)는, 중심축선(Am)을 따라서 연장되는 압축기 로터(11)와, 압축기 로터(11)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는 압축기 케이싱(12)을 가지고 있다. 압축기 로터(11)는 중심축선(Am)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압축기 로터(11)의 외주면에는, 중심축선(Am)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압축기 동익렬(13)이 마련되어 있다. 각 압축기 동익렬(13)은 중심축선(Am)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압축기 동익(14)을 가지고 있다.
압축기 케이싱(12)은 중심축선(Am)을 중심으로 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압축기 케이싱(12)의 내주면에는, 상기의 압축기 동익렬(13)과 중심축선(Am)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하여 배열된 복수의 압축기 정익렬(15)이 마련되어 있다. 각 압축기 정익렬(15)은, 압축기 케이싱(12)의 내주면 상에서, 중심축선(Am)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압축기 정익(16)을 가지고 있다.
연소기(3)는 압축기 케이싱(12)과 후술하는 터빈 케이싱(22)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연소기(3)는, 압축기 케이싱(12)의 내부와 연통됨으로써, 그 내부에 압축기(1)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가 도입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연소기(3) 내에서는, 이 고압 공기와 연료와의 혼합 연소에 의해서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가 생성된다.
터빈(2)은, 중심축선(Am)을 따라서 연장되는 터빈 로터(21)와, 터빈 로터(21)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는 터빈 케이싱(22)을 가지고 있다. 터빈 로터(21)의 외주면에는, 중심축선(Am)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터빈 동익렬(23)이 마련되어 있다. 각 터빈 동익렬(23)은 중심축선(Am)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터빈 동익(24)을 가지고 있다.
터빈 케이싱(22)은 중심축선(Am)을 중심으로 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터빈 케이싱(22)의 내주면에는, 상기의 터빈 동익렬(23)과 중심축선(Am)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하여 배열된 복수의 터빈 정익렬(25)이 마련되어 있다. 각 터빈 정익렬(25)은, 터빈 케이싱(22)의 내주면 상에서, 중심축선(Am)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터빈 정익(26)을 가지고 있다.
압축기 로터(11)와 터빈 로터(21)는 중심축선(Am) 상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가스 터빈 로터(91)를 형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압축기 케이싱(12)과 터빈 케이싱(22)은 중심축선(Am)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가스 터빈 케이싱(92)을 형성하고 있다. 즉, 가스 터빈 로터(91)는 가스 터빈 케이싱(92)의 내부에서, 중심축선(Am) 주위로 일체로 회전한다. 일 예로서, 가스 터빈 로터(91)의 일단에는, 해당 가스 터빈 로터(91)의 회전에 수반하여 발전하는 발전기(G)가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연소기(3)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3)는 중심축선(Am)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소기 축선(Ac)(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연소기(3)는,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노즐(3N)과, 연료 노즐(3N)을 수용하는 통 형상의 내통(41)과, 내통(41)의 하류측에 연결된 미통(42)을 구비하고 있다.
연료 노즐(3N)은 연료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내통(41) 내부를 향해 분사한다. 연료 노즐(3N)은 예혼합 연소 화염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노즐(51)과, 제 1 노즐(51)로부터 분사되는 연료에 착화하기 위한 제 2 노즐(52)을 가지고 있다. 제 2 노즐(52)은 연소기 축선(Ac)을 따라서 1개 마련되어 있다. 제 1 노즐(51)은 연소기 축선(Ac)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열되어 있다.
제 2 노즐(52)은 확산 연소 화염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노즐(51)로부터 분사된 예혼합 가스에 대해서 착화한다. 제 1 노즐(51)에 의한 예혼합 연소 화염의 형성에 수반하여, 내통(41) 및 미통(42) 내에서는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가 생성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이 연소 가스가 흘러가는 방향을 하류 방향, 하류측(축선 방향 타방측, 연료 노즐(3N)의 제 2 단측)이라 하고, 하류 방향과 반대의 방향을 상류 방향, 상류측(축선 방향 일방측, 연료 노즐(3N)의 제 1 단측)이라 한다.
내통(41)은 상기의 연료 노즐(3N)(제 1 노즐(51), 제 2 노즐(52))을 연소기 축선(Ac)의 외주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노즐(3N)은 내통(41) 내부의 상류측의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통(41) 내부에 있어서의 연료 노즐(3N)보다 하류측의 영역은, 연료가 연소하는 연소 공간(Vc)으로 되어 있다. 내통(41)은 연소기 축선(Ac)을 중심으로 하는 원관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통(41)의 직경 방향의 치수는 연소기 축선(Ac)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미통(42)은 내통(41)의 하류측에 접속되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통(42)은 일정한 직경 방향 치수를 갖는 미통 상류부(42U)와, 이 미통 상류부(42U)에 일체로 접속되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축경하는 미통 하류부(42D)를 가지고 있다. 미통 상류부(42U)는 내통(41)보다 큰 내경 치수를 가지고 있다.
미통(42)의 내주측의 공간은 상술한 연소 가스를 후속의 터빈(2)으로 도입하기 위한 연소 가스 유로(Vg)로 되어 있다. 내통(41)의 하류측 단부(41D)를 포함한 일부의 영역은 미통(42)(미통 상류부(42U))의 내주측에 삽입되어 있다. 내통(41)이 미통(4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통(41)의 외주면과 미통(4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연소기 축선(Ac)의 직경 방향으로 벌어지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은 연소기(3)의 외부(가스 터빈 케이싱(92) 내의 공간)를 유통하는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냉각 공기 유로(6)로 되어 있다. 냉각 공기 유로(6) 상에는, 내통(41)과 미통(42)을 서로 탈락 불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스프링 클립(Sc)이 마련되어 있다.
나아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소기 축선(Ac) 방향에서 본 경우, 내통(41)의 선단(41S)(하류측의 단연)에는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선단(41S)의 직경 방향 위치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통(41)에는, 기단부(Sp)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부(A)와, 경사부(A)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한 연재부(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단부(Sp)란, 선단(41S)보다 상류측인 한편 스프링 클립(Sc)보다 하류측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다.
경사부(A)는 기단부(Sp)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으로, 연재부(B)는 기단부(Sp)로부터 연소기 축선(Ac)을 따라서 하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연재부(B)의 외주면 및 내주면은 내통(41)의 외주면 및 내주면과 각각 연속하고 있다.
경사부(A)와 연재부(B)는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즉, 1개의 경사부(A)는 둘레 방향 양측에 인접한 한 쌍의 연재부(B)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하류측에서 본 경우, 경사부(A)는 연소기 축선(Ac)의 직경 방향에 교차하는 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으로, 연재부(B)는 내통(41)의 외주면과 동일한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경사부(A)의 하류측의 단연은 상대적으로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내경측 선단부(S1)로 되어 있다. 연재부(B)의 하류측의 단연은 내경측 선단부(S1)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경측 선단부(S2)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경측 선단부(S1)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다른 영역(외측 선단부(S2)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비해, 내통(41)의 개구 직경이 부분적으로 작아져 있다.
경사부(A)의 내주측의 면은 경사면(P)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P)은 내경측 선단부(S1)와 내통(41)의 내주면(기단부(Sp))과의 사이에서, 연소기 축선(Ac)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사면(P)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부(A)와 연재부(B)는 접속부(C)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부(C)는 경사부(A)의 둘레 방향 양측의 단부와 연재부(B)의 둘레 방향의 단부를 직경 방향으로 접속하고 있다. 연소기 축선(Ac)의 둘레 방향에서 본 경우, 이 접속부(C)는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접속부(C)는 경사부(A) 및 연재부(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얻을 때에는, 예컨대 원관 형상의 부재의 단부에 대해서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스 터빈(100) 및 연소기(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가스 터빈(100)을 운전할 때에는, 우선 외부의 구동원에 의해 압축기 로터(11)(가스 터빈 로터(91))를 회전 구동한다. 압축기 로터(11)의 회전에 수반하여 외부의 공기가 순차 압축되어, 고압 공기가 생성된다. 이 고압 공기는 압축기 케이싱(12) 내의 공간을 통해서 연소기(3) 내에 공급된다. 연소기(3) 내에서는, 연료 노즐(3N)로부터 공급된 연료가 이 고압 공기에 혼합되어 연소하여,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가 생성된다. 연소 가스는 터빈 케이싱(22) 내부의 공간을 통해서 터빈(2)에 공급된다. 터빈(2) 내에서는, 터빈 동익(24) 및 터빈 정익(26)에 연소 가스가 순차 충돌함으로써, 터빈 로터(21)(가스 터빈 로터(91))에 대해서 회전 구동력이 부여된다. 이 회전 에너지는 축단에 연결된 발전기(G)의 구동에 이용된다.
이어서, 연소기(3)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1)에서 생성된 고압 공기는 연소기 축선(Ac)의 일방측(상류측)으로부터 내통(41) 내에 공급된다. 내통(41) 내에 도입된 고압 공기는 연료 노즐(3N)로부터 분사된 연료와 혼합됨으로써, 예혼합 가스를 형성한다. 이 예혼합 가스에 대해서, 착화기(도시 생략)에 의한 착화를 실시함으로써, 예혼합 연소 화염이 형성된다. 이 예혼합 연소 화염은 내통(41) 내에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동시에,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를 생성한다. 연소 가스는, 미통(42) 내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흐른 후, 상기의 터빈 케이싱(22) 내에 도입되어 터빈(2)을 구동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내통(41)의 외주면과 미통(42)의 내주면 사이에는 냉각 공기 유로(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냉각 공기 유로(6)를 통해서, 연소기(3)의 외부를 유통하는 고압 공기가 연소기(3) 내부에 유입한다. 냉각 공기는 미통(42)의 내주면을 따라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흐른다. 한편으로, 미통(42)의 내주면 근방에서는, 내통(41) 내에서 생성된 연소 가스도 유통하고 있다. 연소기(3)의 효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들 냉각 공기와 연소 가스가 충분히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이들 냉각 공기와 연소 가스의 혼합이 불충분한 경우, 양자 간의 온도 계면에서 화염의 온도가 저하하여, 연소 반응의 진행이 정체해 버린다(퀀치가 발생해 버린다). 퀀치가 발생하면, 일산화탄소(CO)나 미연탄화수소 등의 생성이 촉진되어, 연소기(3)의 환경 부하가 높아져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3)에서는, 내통(41)의 선단(41S)에 상기의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단(41S)에는, 경사부(A), 연재부(B) 및 접속부(C)가 형성되어 있다. 즉, 내통(41)의 선단(41S)의 직경 방향 위치가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 선단(41S)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흐를 때에, 내통(41)의 내주측을 흐르는 연소 가스에는, 연소기 축선(Ac) 방향의 속도가 상이한 2개의 성분이 생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통(41)의 내주측을 흐르는 연소 가스 중, 경사면(P)을 거쳐서 내경측 선단부(S1)를 통과한 성분(상대적으로 유속이 큰 성분)과, 외경측 선단부(S2)를 통과한 성분(상대적으로 유속이 작은 성분)과의 사이에, 연소기 축선(Ac) 방향에 있어서의 속도차가 생긴다. 이들 2개의 성분이 서로 합류하는 것에 의해, 선단(41S)의 하류측에는, 연소기 축선(Ac)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류가 형성된다.
이러한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냉각 공기 유로(6)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 부족에 기인하는 화염의 퀀치 및 CO나 미연탄화수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기(3) 및 가스 터빈(100)의 환경에 대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구성에 의하면, 미리 원관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의 단부에 대해서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만에 의해서, 경사부(A), 연재부(B) 및 접속부(C)를 갖는 내통(41)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통(41)의 선단(41S)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경사부(A) 및 연재부(B)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이들 경사부(A)와 연재부(B)의 사이에 접속부(C)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경사부(A)와 연재부(B)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얻을 때에는, 미리 원관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의 단부에 대해서 클리핑(clipping) 가공을 실시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내통(41)의 선단(41S)의 직경 방향 위치가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 선단(41S)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흐를 때에, 내통(41)의 내주측을 흐르는 연소 가스에는, 연소기 축선(Ac) 방향의 속도가 다른 2개의 성분이 생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통(41)의 내주측을 흐르는 연소 가스 중, 경사면(P)을 거쳐서 내경측 선단부(S1)를 통과한 성분(상대적으로 유속이 큰 성분)과, 외경측 선단부(S2)를 통과한 성분(상대적으로 유속이 작은 성분)과의 사이에, 연소기 축선(Ac) 방향에 있어서의 속도차가 생긴다. 이들 2개의 성분이 서로 합류하는 것에 의해, 선단(41S)의 하류측에는, 연소기 축선(Ac)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류가 형성된다.
이러한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냉각 공기 유로(6)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 부족에 기인하는 화염의 퀀치 및 CO나 미연탄화수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기(3) 및 가스 터빈(100)의 환경에 대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구성에 의하면, 미리 원관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의 단부에 대해서 클리핑 가공을 실시하는 것만에 의해서, 경사부(A), 연재부(B)를 갖는 내통(41)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내통(41)에서는, 상술한 연재부(B)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이 내통(41)에서는, 기단부(Sp) 상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경사부(A)만이 형성되어 있다. 각 경사부(A)는 기단부(Sp)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제 3 실시형태에 관해서는, 내통(41)의 선단(41S)의 직경 방향 위치가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상이하지 않아도, 기단부(Sp)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흐를 때에, 돌출되어 있는 경사부(A)의 유무에 따라, 내통(41)의 내주측을 흐르는 연소 가스에는, 연소기 축선(Ac) 방향의 속도가 다른 2개의 성분이 생긴다.
경사부(A)의 하류측의 단연은 내경측 선단부(S1)로 되어 있다. 한편으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경사부(A)끼리의 사이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연은 외경측 선단부(S2)로 되어 있다. 즉, 이들 내경측 선단부(S1)와 외경측 선단부(S2)에서는, 연소기 축선(Ac)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경측 선단부(S1)는 외경측 선단부(S2)보다 연소기 축선(Ac)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내통(41)의 선단(41S)의 직경 방향 위치가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 선단(41S)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흐를 때에, 내통(41)의 내주측을 흐르는 연소 가스에는, 연소기 축선(Ac) 방향의 속도가 다른 2개의 성분이 생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통(41)의 내주측을 흐르는 연소 가스 중, 경사면(P)을 거쳐서 내경측 선단부(S1)를 통과한 성분(상대적으로 유속이 큰 성분)과, 외경측 선단부(S2)를 통과한 성분(상대적으로 유속이 작은 성분)과의 사이에, 연소기 축선(Ac) 방향에 있어서의 속도차가 생긴다. 이들 2개의 성분이 서로 합류하는 것에 의해, 선단(41S)의 하류측에는, 연소기 축선(Ac)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류가 형성된다.
이러한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냉각 공기 유로(6)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 부족에 기인하는 화염의 퀀치 및 CO나 미연탄화수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기(3) 및 가스 터빈(100)의 환경에 대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구성에 의하면, 외경측 선단부와 내경측 선단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한 것에 더하여,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도 상이하다. 이에 의해, 외경측 선단부를 통과한 연소 가스의 성분과 내경측 선단부를 통과한 연소 가스의 성분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속도차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즉, 내통의 선단에서 보다 강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 공기 유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여기서, 외경측 선단부와 내경측 선단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지 않은 경우라도, 외경측 선단부와 내경측 선단부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면, 외경측 선단부를 통과한 연소 가스의 성분과 내경측 선단부를 통과한 연소 가스의 성분과의 사이에 속도차는 생긴다. 즉, 내통의 선단에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 공기 유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부(A1)는 상류 측에 배치된 기부(A1a)와, 기부(A1a)와 일체로 형성되어 기부(A1a)의 하류측에 배치된 단부(A1b)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기부(A1a)는 외경측 선단부(S2)에 연속하며,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동시에, 하류측을 향해 둘레 방향의 폭 치수가 점감한다. 이에 의해, 기부(A1a)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며 둘레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측면(60A)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근접하도록 오목 형상으로 만곡하는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60A)은 외경측 선단부(S2)에 매끄럽게 모서리가 없는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단부(A1b)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단부(A1b)는 도 6에 도시하는 경사부(A)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단부(A1b)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 측부에 위치하며 둘레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측면(61A)은 평면 형상을 이루며 측면(60A)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연속하고 있다. 단부(A1b)의 하류측의 단연은 평면 형상을 이루는 내경측 선단부(S11)로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기부(A1a)의 측면(60A)에 의해서 경사부(A1)의 기단부(Sp)에서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고, 기단부(Sp)측에서 경사부(A1)의 둘레 방향의 폭 치수가 커져서, 기단부(Sp)에서의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내통(41)의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부(A2)가 대략 반원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즉, 둘레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측면(62A)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는 곡면 형상을 이루며, 내경측 선단부(S12)에서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경사부(A2)의 둘레 방향의 폭 치수는 기단부(Sp)로부터 내경측 선단부(S12)까지 하류측을 향해 점감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보다 고온이 되는 경사부(A2)의 하류측의 부분에서, 상류측의 부분과 비교하여 경사부(A2)의 둘레 방향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고온이 되는 상류측의 위치에서 연소 가스와 경사부(A2)와의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내경측 선단부(S12)에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경사부(A2)의 내열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부(A3)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측면(63A)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곡면 형상을 이루며, 내경측 선단부(S13)에서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각의 측면(63A)은 외경측 선단부(S2)에 모서리가 없는 상태로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측면(63A)은 외경측 선단부(S2)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서로 둘레 방향으로 근접하도록 오목 형상으로 만곡한 후에 둘레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는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측면(63A)에 의해 경사부(A3)의 기단부(Sp)에서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고, 경사부(A3) 둘레 방향의 폭 치수가 커져서, 기단부(Sp)에서의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보다 고온이 되는 경사부(A3)의 하류측의 부분에서, 상류측의 부분과 비교하여 경사부(A3)의 둘레 방향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내경측 선단부(S13)에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경사부(A3)의 내열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부(A4)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등간격으로 복수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각의 경사부(A4)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측면(64A)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곡면 형상을 이루며, 내경측 선단부(S14)에서 서로 모서리가 없는 상태로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각의 측면(64A)은 외경측 선단부(S2)에 모서리가 없는 상태로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측면(64A)은 외경측 선단부(S2)와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서로 둘레 방향으로 근접하도록 오목 형상으로 만곡한 후에, 둘레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는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나아가,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경사부(A4)에 있어서의 측면(64A)끼리는 모서리가 없는 상태로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경사부(A4)의 둘레 방향의 폭 치수는 기단부(Sp)로부터 내경측 선단부(S14)까지 하류측을 향해 점감한다. 그 결과, 직경 방향으로부터 경사부(A4)를 보았을 때에는, 모든 측면(64A)은 일체가 되어 사인 커브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측면(64A)에 의해 경사부(A4)의 기단부(Sp)에서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고, 둘레 방향의 폭 치수가 커져서, 기단부(Sp)에서의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보다 고온이 되는 경사부(A4)의 하류측의 부분에서 상류측의 부분과 비교하여 경사부(A4)의 둘레 방향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음으로써 연소 가스와의 접촉 면적을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내경측 선단부(S14)에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경사부(A4)의 내열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제 5 변형예]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부(A5)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등간격으로 복수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각의 경사부(A5)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측면(65A)이 평면 형상을 이루며, 내경측 선단부(S15)가 모서리가 있는 첨예 형상을 이루도록, 한 쌍의 측면(65A)끼리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측면(65A)은 외경측 선단부(S2)에 모서리가 없는 상태, 또는 모서리가 있는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나아가,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경사부(A5)에 있어서의 측면(65A)끼리는 모서리가 없는 상태, 또는 모서리가 있는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경사부(A5)의 둘레 방향의 폭 치수는 기단부(Sp)로부터 내경측 선단부(S15)까지 하류측을 향해 점감한다. 즉, 각각의 경사부(A5)는 직경 방향으로부터 보아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직경 방향으로부터 경사부(A5)를 보았을 때에는, 모든 측면(65A)은 일체가 되어 톱니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내경측 선단부(S15)가 첨예 형상을 이루고 있음으로써, 내경측 선단부(S15)의 하류측에서, 연소기 축선(Ac)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류의 형성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65A)을 경계로 하여 압력차에 의해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흐름이 생긴다. 그리고, 측면(65A) 부근에서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와류가 형성되며, 측면(65A)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와류 직경만큼 떨어진 위치에서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와류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측면(65A)을 따라서 흐르는 각각의 와류는, 하류측에서 보면 일방의 측면(65A)에서는 반시계 회전의 와류가 되고, 타방의 측면(65A)에서는 시계 회전의 와류가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한 쌍의 측면(65A)에서의 와류가 내경측 선단부(S15)에서 합성됨으로써, 직경 방향 외향의 흐름 성분이 커지므로, 직경 방향으로 강한 와류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냉각 공기 유로(6)(도 3 참조)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어서, 연소기(3) 및 가스 터빈(100)의 환경에 대한 부하를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부(A6)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즉, 둘레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측면(66A)은 평면 형상을 이루며, 하류측을 향해 서로 근접하여,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평면 형상을 이루는 내경측 선단부(S16)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경사부(A6)의 둘레 방향의 폭 치수는 기단부(Sp)로부터 내경측 선단부(S16)까지 하류측을 향해 점감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측면(66A)에 의해서 경사부(A6)의 기단부(Sp)에서 형성되는 모서리, 즉, 측면(66A)과 외경측 선단부(S2)와의 접속 부분의 모서리가 둔각이 되어, 기단부(Sp)에서의 응력 집중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내통(41)의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제 1 변형예 내지 제 6 변형예를 포함하는 제 3 실시형태는, 외경측 선단부와 내경측 선단부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외경측 선단부와 내경측 선단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지 않은 경우여도 좋다. 즉, 경사부(A, A1, A2, A3, A4, A5, A6)가 내통(41)의 벽면으로부터 경사져 있지 않아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연소기가,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료 노즐과, 연료 노즐을 덮는 통 형상을 이루는 내통과, 내통의 선단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도입되는 냉각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내통의 선단측을 향해 연장되는 통 형상을 이루는 미통을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 이 내통은, 외경측 선단부로부터 축선 방향 타방측인 하류측으로 돌출하며, 축선 방향 타방측의 선단이 내경측 선단부인 경사부(A, A1, A2, A3, A4, A5, A6)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경측 선단부를 통과한 연소 가스의 성분과 내경측 선단부를 통과한 연소 가스의 성분과의 사이에 속도차가 생겨, 내통의 선단에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 공기 유로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소 가스와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외경측 선단부와 내경측 선단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지 않은 경우, 프레스 가공을 실행하지 않고, 레이저 커트 등의 절단 가공만으로 내통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이 용이해진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내통(71)은, 내부에 냉각 공기 구멍(75)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내통(71)은 MT 핀이라고 칭해지는 중공으로 된 유로를 갖는 판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냉각 공기 구멍(75)은 내경측 선단부(S1) 및 외경측 선단부(S2)에 개구하는 동시에, 연소기 축선(Ac)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냉각 공기 구멍(75)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냉각 공기 구멍(75)에 냉각용의 공기가 외부로부터 도입됨으로써, 내통(71) 전체가 냉각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MT 핀 구조를 갖는 내통(71)에 프레스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경사부(A7)를 형성하면, 필연적으로 경사부(A7)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 구멍(75)이 경사부(A7)에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부(A7)를 적극적으로 냉각하기 위한 구조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는 이점이 있다.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경사부(A)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경사부(A8)에 냉각 공기 구멍(75)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부(A6)와 같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경사부(A9)에 냉각 공기 구멍(75)을 형성해도 좋다. 경사부(A9)에서는 측면(69A)에 냉각 공기 구멍(75)이 노출함으로써, 측면(69A)의 부분의 냉각을 복수의 냉각 유로로 실행하게 되어, 냉각 공기 구멍(75)이 측면(68A)과 평행한 도 14의 경사부(A8)와 비교하여, 내열성(냉각성)이 뛰어나다고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상기의 각 경사부(A1, A2, A3, A4, A5)에 냉각 공기 구멍(75)을 형성해도 좋다.
본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도,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내통의 외경측 선단부와 내경측 선단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지 않은 경우, 프레스 가공을 실행하지 않고, 레이저 커트 등의 절단 가공만으로 내통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이 용이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상기의 구성에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통(41)(71)의 선단(41S)의 둘레 방향 전역에 걸쳐서 경사부(A)(A1, A2, A3, A4, A5, A6, A7, A8, A9)가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그렇지만, 내통(41)의 태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통(41)의 하류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일부 영역에만 경사부(A)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내통(41)의 외주면과 미통(42)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간극의 직경 방향 치수(연소기 축선(A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내통(41)의 둘레 방향에 걸쳐서 일정하지 않은 경우, 환언하면, 내통(41)과 미통(42)의 간극이 국소적으로 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화염의 퀀치가 발생하기 쉬운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적어도 이러한 영역에 상기의 경사부(A)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퀀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상기의 연소기 및 가스 터빈에 의하면, 환경 부하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압축기
2: 터빈
3: 연소기
3N: 연료 노즐
6: 냉각 공기 유로
11: 압축기 로터
12: 압축기 케이싱
13: 압축기 동익렬
14: 압축기 동익
15: 압축기 정익렬
16: 압축기 정익
21: 터빈 로터
22: 터빈 케이싱
23: 터빈 동익렬
24: 터빈 동익
25: 터빈 정익렬
26: 터빈 정익
41, 71: 내통
41S: 내통의 선단
42: 미통
42D: 미통 하류부
42U: 미통 상류부
51: 제 1 노즐
52: 제 2 노즐
60A, 61A, 62A, 63A, 64A, 65A, 66A, 68A, 69A: 측면
75: 냉각 공기 구멍
91: 가스 터빈 로터
92: 가스 터빈 케이싱
100: 가스 터빈
A, A1, A2, A3, A4, A5, A6, A7, A8, A9: 경사부
A1a: 기초부
A1b: 단부
Ac: 연소기 축선
Am: 중심축선
B: 연재부
C: 접속부
G: 발전기
P: 경사면
S1, S11, S12, S13, S14, S15, S16: 내경측 선단부
S2: 외경측 선단부
Sp: 기단부
Vc: 연소 공간
Vg: 연소 가스 유로

Claims (10)

  1.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료 노즐과,
    상기 연료 노즐을 덮는 통 형상을 이루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선단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도입되는 냉각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내통의 선단측을 향해 연장되는 통 형상을 이루는 미통을 구비하고,
    상기 내통의 선단의 직경 방향 위치가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상이하고,
    상기 내통은, 상기 선단의 직경 방향 위치가, 상대적으로 직경 방향 내측인 내경측 선단부와, 상대적으로 직경 방향 외측인 외경측 선단부를 가지며,
    상기 내경측 선단부와 상기 내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축선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연소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측 선단부 및 상기 외경측 선단부를 직경 방향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연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측 선단부는 상기 내경측 선단부보다 축선 방향 일방측에 위치되어 있는
    연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외경측 선단부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 타방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축선 방향 타방측의 선단이 상기 내경측 선단부인 경사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연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서는, 상기 축선 방향 타방측을 향해 상기 둘레 방향의 폭 치수가 점감하는
    연소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서는, 상기 둘레 방향을 향하는 면이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는
    연소기.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서는, 상기 내경측 선단부가 첨예 형상을 이루고 있는
    연소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도입되는 냉각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소기.
  10. 고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와,
    상기 고압 공기에 연료를 혼합하고, 연소시킴으로써 연소 가스를 생성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연소기와,
    상기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을 구비하는
    가스 터빈.
KR1020187033604A 2016-05-23 2017-05-23 연소기, 가스 터빈 KR102071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2331 2016-05-23
JPJP-P-2016-102331 2016-05-23
PCT/JP2017/019278 WO2017204229A1 (ja) 2016-05-23 2017-05-23 燃焼器、ガスタービ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514A KR20180136514A (ko) 2018-12-24
KR102071168B1 true KR102071168B1 (ko) 2020-01-29

Family

ID=60412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604A KR102071168B1 (ko) 2016-05-23 2017-05-23 연소기, 가스 터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85642B2 (ko)
JP (1) JP6639063B2 (ko)
KR (1) KR102071168B1 (ko)
CN (1) CN109154440B (ko)
DE (1) DE112017002620B4 (ko)
WO (1) WO2017204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13342A1 (en) * 2021-10-12 2023-04-13 General Electric Company Additive single-piece bore-cooled combustor do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2611A1 (en) 2004-02-09 2005-08-11 James Blodgett Keith E. Sinuous chevron exhaust nozzle
JP2016065678A (ja) 2014-09-25 2016-04-2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器、及びこれを備えるガスタービン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2931C (ko) * 1948-02-21
US2689457A (en) * 1949-03-15 1954-09-21 Hermann Oestrich Burner, particularly for gas turbines
BE521636A (ko) 1952-07-25
US3064425A (en) * 1959-10-05 1962-11-20 Gen Motors Corp Combustion liner
US3359724A (en) * 1965-08-03 1967-12-26 Bristol Siddeley Engines Ltd Cooling means in combustors for gas turbine engines
US3307354A (en) * 1965-10-01 1967-03-07 Gen Electric Cooling structure for overlapped panels
US3751910A (en) * 1972-02-25 1973-08-14 Gen Motors Corp Combustion liner
US3826082A (en) * 1973-03-30 1974-07-30 Gen Electric Combustion liner cooling slot stabilizing dimple
US4050241A (en) * 1975-12-22 1977-09-27 General Electric Company Stabilizing dimple for combustion liner cooling slot
US4773593A (en) * 1987-05-04 1988-09-27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oolable thin metal sheet
US4929088A (en) 1988-07-27 1990-05-29 Vortab Corporation Static fluid flow mixing apparatus
US5259182A (en) * 1989-12-22 1993-11-09 Hitachi, Ltd. Combustion apparatus and combustion method therein
JP2852110B2 (ja) * 1990-08-20 1999-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焼装置及びガスタービン装置
US5761900A (en) 1995-10-11 1998-06-09 Stage Iii Technologies, L.C. Two-stage mixer ejector suppressor
JPH09133046A (ja) * 1995-11-10 1997-05-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ジェットエンジンの流体混合装置
JPH1061495A (ja) 1996-08-26 1998-03-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航空機エンジンのフレームホルダ
US6360528B1 (en) 1997-10-31 2002-03-26 General Electric Company Chevron exhaust nozzle for a gas turbine engine
JP3924136B2 (ja) * 2001-06-27 2007-06-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4709433B2 (ja) * 2001-06-29 2011-06-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3956882B2 (ja) 2002-08-22 2007-08-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改造方法
US7143583B2 (en) 2002-08-22 2006-12-05 Hitachi, Ltd. Gas turbine combustor, combustion method of the gas turbine combustor, and method of remodeling a gas turbine combustor
US7096668B2 (en) * 2003-12-22 2006-08-29 Martling Vincent C Cooling and sealing design for a gas turbine combustion system
US7421842B2 (en) * 2005-07-18 2008-09-09 Siemens Power Generation, Inc. Turbine spring clip seal
US8079219B2 (en) 2008-09-30 2011-12-20 General Electric Company Impingement cooled combustor seal
US20100107645A1 (en) * 2008-10-31 2010-05-06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liner cooling flow disseminator and related method
US9957893B2 (en) 2011-03-30 2018-05-01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Combustor and gas turbine provided with same
US20130091847A1 (en) * 2011-10-13 2013-04-18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liner
JP5975487B2 (ja) 2013-03-11 2016-08-23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料噴霧ノズル
JP6082287B2 (ja) * 2013-03-15 2017-02-1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器、ガスタービン、及び燃焼器の第一筒
US20140331678A1 (en) * 2013-05-08 2014-11-13 Solar Turbines Incorporated System for distributing compressed air in a combustor
US20150159878A1 (en) 2013-12-11 2015-06-11 Kai-Uwe Schildmacher Combustion system for a gas turbine engine
EP2952812B1 (en) 2014-06-05 2018-08-08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Annular combustion chamber of a gas turbine and liner segment
JP6485942B2 (ja) * 2014-09-25 2019-03-20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器、ガスタービン
JP2016102331A (ja) 2014-11-28 2016-06-02 三協立山株式会社 組立建物
JP6779098B2 (ja) * 2016-10-24 2020-11-04 三菱パワー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2611A1 (en) 2004-02-09 2005-08-11 James Blodgett Keith E. Sinuous chevron exhaust nozzle
JP2016065678A (ja) 2014-09-25 2016-04-2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器、及びこれを備えるガスタービ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93292A1 (en) 2019-09-26
WO2017204229A1 (ja) 2017-11-30
US11085642B2 (en) 2021-08-10
DE112017002620B4 (de) 2023-01-26
JPWO2017204229A1 (ja) 2019-03-22
JP6639063B2 (ja) 2020-02-05
CN109154440A (zh) 2019-01-04
KR20180136514A (ko) 2018-12-24
CN109154440B (zh) 2021-03-23
DE112017002620T5 (de)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0363B2 (en) Premixing nozzle, combustor, and gas turbine
KR102056044B1 (ko) 연소기 노즐, 가스 터빈 연소기, 가스 터빈, 커버 링, 및 연소기 노즐의 제조 방법
JP5842311B2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で使用するための静翼なしタービンを備えた接線方向燃焼器
JP4369370B2 (ja) バーナ
US8973369B2 (en) Gas-turbine burner having inflow guide means
JP6647924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KR20120041741A (ko)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가스 터빈
WO2017154821A1 (ja) バーナアセンブリ、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JP2015105766A (ja) ノズル、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KR102075901B1 (ko) 연소용 통,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102071168B1 (ko) 연소기, 가스 터빈
JP2020041524A (ja) ガスタービンの1段静翼及びガスタービン
KR20220151688A (ko) 버너 집합체,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102452772B1 (ko) 가스 터빈의 연료 노즐 및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102288561B1 (ko) 가스터빈 연소기, 가스터빈
WO2021215023A1 (ja) バーナー集合体、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EP3296640A1 (en) A pilot burner assembly with central pilot fuel injection for a gas turbine engine combustor
KR20210124423A (ko) 터빈 날개 및 가스 터빈
KR102164621B1 (ko) 연료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용 연소기
KR20240099892A (ko) 터빈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CN115200040A (zh) 用于燃气涡轮发动机燃烧器的稀释喇叭对
CN115507382A (zh) 用于燃烧器的具有凹口尖端和开槽尾部的稀释空气入口
KR20230058129A (ko) 가스 터빈 연소기 및 가스 터빈
CN117646913A (zh) 用于减少排放的空气动力学燃烧器衬套设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