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810B1 -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 - Google Patents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810B1
KR102070810B1 KR1020180005256A KR20180005256A KR102070810B1 KR 102070810 B1 KR102070810 B1 KR 102070810B1 KR 1020180005256 A KR1020180005256 A KR 1020180005256A KR 20180005256 A KR20180005256 A KR 20180005256A KR 102070810 B1 KR102070810 B1 KR 102070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door
wire
cas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016A (ko
Inventor
홍영환
Original Assignee
홍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환 filed Critical 홍영환
Priority to KR102018000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8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2Ribb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또는 도어 주변에 설치되어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하고,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DOOR CLOSER}
본 발명은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또는 도어 주변에 설치되어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하고,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이 여닫이식인 사무실이나 현관 등의 출입문에는 여러 종류의 도어체크(door check)가 설치되어 문이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실 겨울철이나 실내의 난방이 필요한 경우 사람들의 출입에 의해 출입문이 열려진 채로 방치되는 경우가 허다하고 사람에 따라 출입문을 잘 닫지 않는 습관이 있는 사람이 있어 상기 도어 체크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체크는 여닫이식 출입문에만 적용되는 것으로서 미닫이식 도어에는 적용할 수가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적용되는 대부분의 장치는 센서와 모터 및 기어 등을 구비하여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한 센서에 의해 모터가 구동하여 도어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동개폐도어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그만큼 설치나 유지보수에 비용이 더 소요되고 외부의 전기를 필요로 하여 단전이 되면 도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도어를 필요한 만큼만 열기 위해서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고 손으로 문을 필요한 만큼 열고 움직이지 않도록 각종 지지물로 고여놓아야 하며, 특히 도어에 계속적으로 전기가 공급되므로 자주 사용하지 않는 도어일 경우에는 전기의 소모에 의한 경제적 낭비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미닫이 도어 장치"(출원번호 10-2012-0019882)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어를 상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에 미닫이 도어 장치를 설치하고, 이 미닫이 도어 장치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를 도어의 상단 일측 브라켓에 연결 고정하여 미닫이 도어를 슬라이딩시켜 열고, 닫을 때는 미닫이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자동으로 센서의 감지에 의해 열고 닫는 도어 장치보다 센서의 작동 오류에 의한 고장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력의 소모가 없어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미닫이 도어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여닫이 등 다양한 형태의 도어에는 적용하기가 힘들며, 또한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개폐에 큰 힘이 필요하지 않은 도어의 경우 빠른 속도로 도어가 닫히게 되어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 손 끼임이나 닫히는 도어에 부딪히게 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다양한 형태의 도어에 적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볼트부재 및 텐션조절부재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속도나, 도어의 무게, 도어가 결합된 슬라이딩부재나 힌지의 상태 및 결합방식 등에 따라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텐션조절을 위한 구성이 미닫이 도어 장치 외부로 많은 부분 노출되어, 심미성을 저하시키며, 좁은 설치 장소에서는 설치가 불가하여 특정 형태의 미닫이 도어에만 적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또는 도어의 주변에 설치되어 드럼유닛의 태엽스프링과 연동되는 와이어에 의해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가 하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단속부재를 이용하여 기어유닛의 조작이 가능함으로써, 태엽스프링의 텐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에 따른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 돌출되거나 노출되는 구성이 거의 없이 케이스의 내부에 모든 구성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설치 방향의 제약이 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미닫이, 여닫이, 상하 개폐식, 창문 등 도어의 형태나 개폐 방식, 설치 공간 등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엽스프링의 절곡부에 체결되는 기어유닛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기어유닛의 하부가 드럼유닛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찰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에 록킹부를 구비하여 와이어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어, 별도의 도어 고정부재가 없는 미닫이와 같은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는 내측에 태엽스프링(110)이 수용되도록 수용홈(120)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권취홈(130)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4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제1관통공(150)이 구비되는 드럼케이스(160)와, 상기 드럼케이스의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170)이 마련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며, 중앙에는 제2관통공(180)이 구비되는 내측커버(190)를 포함하는 드럼유닛(100); 상기 드럼유닛의 권취홈에 권취되어 형성되며, 타측단부에는 걸림부재(210)가 마련되는 와이어(200); 상기 드럼유닛의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텐션조절홈(311)이 구비되는 회전축(31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기어부재(320)가 형성되어 상기 태엽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기어유닛(300); 상기 기어유닛의 기어부재를 단속하여 상기 태엽스프링의 텐션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단속부재(400); 및 상기 드럼유닛, 와이어, 기어유닛 및 단속부재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이 외측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인출홈(51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텐션조절홈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1결합공(512)이 마련되는 케이스본체(510)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별도의 체결부재(52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공(531)이 구비되는 커버부재(530)를 포함하는 케이스(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드럼유닛은 상기 드럼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와이어의 일측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돌기(161) 및 상기 고정돌기에 일측단부가 고정된 와이어가 상기 권취홈 방향으로 진입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홈(1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엽스프링은 내측단부에 중심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절곡부(11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절곡부는 상기 기어유닛의 회전축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된 절개부(312)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기어부재에 구비된 톱니(321)의 일측에 상기 톱니의 직경보다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형태의 플랜지(3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지지홈(513)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410),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의 고정구(514)에 체결되어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클립부(420) 및 상기 클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어부재의 톱니와 치합되어 기어유닛의 단속을 도모하기 위한 단속핀(4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인출홈의 일측에 록킹홈(131)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홈을 통해 상기 인출홈 내부에서 이송되는 와이어의 선상 일측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록킹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 또는 도어의 주변에 설치되어 드럼유닛의 태엽스프링과 연동되는 와이어에 의해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가 하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단속부재를 이용하여 기어유닛의 조작이 가능함으로써, 태엽스프링의 텐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에 따른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 돌출되거나 노출되는 구성이 거의 없이 케이스의 내부에 모든 구성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설치 방향의 제약이 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미닫이, 여닫이, 상하 개폐식, 창문 등 도어의 형태나 개폐 방식, 설치 공간 등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엽스프링의 절곡부에 체결되는 기어유닛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기어유닛의 하부가 드럼유닛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찰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에 록킹부를 구비하여 와이어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어, 별도의 도어 고정부재가 없는 미닫이와 같은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과 와이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의 일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과 기어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에 기어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의 사시도,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과 와이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의 일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과 기어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유닛에 기어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의 사시도,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드럼유닛(100), 와이어(200), 기어유닛(300), 단속부재(400), 케이스(500)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드럼유닛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에 태엽스프링(110)이 수용되도록 수용홈(120)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권취홈(130)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4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제1관통공(150)이 구비되는 드럼케이스(160)와, 상기 드럼케이스의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170)이 마련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며, 중앙에는 제2관통공(180)이 구비되는 내측커버(19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태엽스프링은 상기 드럼케이스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기어유닛과 연동되어 탄성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권취홈은 후술되는 와이어가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가 여러번 감긴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내측커버의 결합홈과 결합되는 부재이며, 바람직하게는 쐐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후술되는 기어유닛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것으로, 드럼유닛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는 상기 드럼유닛의 권취홈에 권취되어 형성되며, 타측단부에는 걸림부재(210)가 마련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와이어는 도어의 개폐 시 작용하는 힘에 따라 강성 및 유연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꼬임 철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210)는 바람직하게는 도어의 주면의 벽체 또는 문틀프레임 등에 설치된 별도의 걸림구에 체결될 수 있도록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유닛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와이어의 일측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돌기(161) 및 상기 고정돌기에 일측단부가 고정된 와이어가 상기 권취홈 방향으로 진입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홈(1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와 같은 와이어는 태엽스프링과 관계없이 드럼유닛의 외부에 체결되기 때문에,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기어유닛(30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유닛의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텐션조절홈(311)이 구비되는 회전축(31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기어부재(320)가 형성되어 상기 태엽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텐션조절홈은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일자 또는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케이스의 외주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태엽스프링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단부에 중심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절곡부(11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절곡부는 상기 기어유닛의 회전축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된 절개부(312)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절곡부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도 6을 기준으로 절개부의 내측 상부면과 절곡부의 상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부재의 하부면이 상기 제2관통공의 상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에 의해 상기 드럼유닛과 기어유닛의 마찰접점을 최소화하여 드럼유닛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기어부재에 구비된 톱니(321)의 일측에 상기 톱니의 직경보다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형태의 플랜지(3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플랜지는 상기 절개부에 의해 드럼유닛과 기어유닛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바, 후술되는 단속부재가 기어부재의 톱니 사이에서 하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속부재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어유닛의 기어부재를 단속하여 상기 태엽스프링의 텐션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지지홈(513)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410),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의 고정구(514)에 체결되어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클립부(420) 및 상기 클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어부재의 톱니와 치합되어 기어유닛의 단속을 도모하기 위한 단속핀(4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는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유닛, 와이어, 기어유닛 및 단속부재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이 외측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인출홈(51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텐션조절홈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1결합공(512)이 마련되는 케이스본체(510)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별도의 체결부재(52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공(531)이 구비되는 커버부재(5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어 또는 도어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별도의 설치공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도 9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출홈의 일측에 록킹홈(131)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홈을 통해 상기 인출홈 내부에서 이송되는 와이어의 선상 일측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록킹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록킹부는 별도의 도어 고정부재가 없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와 같은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 또는 도어의 주변에 설치되어 드럼유닛의 태엽스프링과 연동되는 와이어에 의해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가 하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단속부재를 이용하여 기어유닛의 조작이 가능함으로써, 태엽스프링의 텐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에 따른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 돌출되거나 노출되는 구성이 거의 없이 케이스의 내부에 모든 구성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설치 방향의 제약이 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미닫이, 여닫이, 상하 개폐식, 창문 등 도어의 형태나 개폐 방식, 설치 공간 등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엽스프링의 절곡부에 체결되는 기어유닛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기어유닛의 하부가 드럼유닛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찰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에 록킹부를 구비하여 와이어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어, 별도의 도어 고정부재가 없는 미닫이와 같은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드럼유닛 110 ... 태엽스프링
120 ... 수용홈 130 ... 권취홈
140 ... 결합돌기 150 ... 제1관통공
160 ... 드럼케이스 170 ... 결합홈
180 ... 제2관통공 190 ... 내측커버
200 ... 와이어 210 ... 걸림부재
300 ... 기어유닛 310 ... 회전축
320 ... 기어부재 400 ... 단속부재
500 ... 케이스 510 ... 케이스본체
520 ... 체결부재 530 ... 커버부재

Claims (6)

  1. 내측에 태엽스프링(110)이 수용되도록 수용홈(120)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권취홈(130)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4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제1관통공(150)이 구비되는 드럼케이스(160)와, 상기 드럼케이스의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170)이 마련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며, 중앙에는 제2관통공(180)이 구비되는 내측커버(190)를 포함하는 드럼유닛(100); 상기 드럼유닛의 권취홈에 권취되어 형성되며, 타측단부에는 걸림부재(210)가 마련되는 와이어(200); 상기 드럼유닛의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텐션조절홈(311)이 구비되는 회전축(31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기어부재(320)가 형성되어 상기 태엽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기어유닛(300); 상기 기어유닛의 기어부재를 단속하여 상기 태엽스프링의 텐션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단속부재(400); 및 상기 드럼유닛, 와이어, 기어유닛 및 단속부재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이 외측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인출홈(51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텐션조절홈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1결합공(512)이 마련되는 케이스본체(510)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별도의 체결부재(52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공(531)이 구비되는 커버부재(530)를 포함하는 케이스(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드럼유닛은 상기 드럼케이스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와이어의 일측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돌기(161) 및 상기 고정돌기에 일측단부가 고정된 와이어가 상기 권취홈 방향으로 진입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홈(16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엽스프링은 내측단부에 중심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절곡부(11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절곡부는 상기 기어유닛의 회전축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된 절개부(312)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절곡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부재의 하부면이 상기 제2관통공의 상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기어부재에 구비된 톱니(321)의 일측에 상기 톱니의 직경보다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형태의 플랜지(3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지지홈(513)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410),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의 고정구(514)에 체결되어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클립부(420) 및 상기 클립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어부재의 톱니와 치합되어 기어유닛의 단속을 도모하기 위한 단속핀(4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인출홈의 일측에 록킹홈(131)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홈을 통해 상기 인출홈 내부에서 이송되는 와이어의 선상 일측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록킹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05256A 2018-01-15 2018-01-15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 KR102070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256A KR102070810B1 (ko) 2018-01-15 2018-01-15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256A KR102070810B1 (ko) 2018-01-15 2018-01-15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016A KR20190087016A (ko) 2019-07-24
KR102070810B1 true KR102070810B1 (ko) 2020-01-29

Family

ID=6748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256A KR102070810B1 (ko) 2018-01-15 2018-01-15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6929A (zh) * 2020-06-28 2021-12-28 肇庆市喜来得科技有限公司 一种中空门闭门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612Y1 (ko) * 2000-02-18 2000-07-15 김태성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KR101390363B1 (ko) * 2012-02-27 2014-04-30 홍영환 미닫이 도어 장치
KR101616943B1 (ko) * 2014-02-24 2016-05-02 고경돈 3중 연동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0034A (ko) * 2009-05-04 2010-11-12 김송연 미닫이 도어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612Y1 (ko) * 2000-02-18 2000-07-15 김태성 미닫이도어 자동닫힘장치
KR101390363B1 (ko) * 2012-02-27 2014-04-30 홍영환 미닫이 도어 장치
KR101616943B1 (ko) * 2014-02-24 2016-05-02 고경돈 3중 연동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016A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83075A1 (en) Pinch-preventing safety hinge for hinged door
AU676366B2 (en) Security device for roll-up blinds assembled from slats
US20080005971A1 (en) Single Rail No Pulley Window Regulator
US20090019776A1 (en) Cable guide and sliding door drive mechanism using the same
KR102070810B1 (ko) 텐션 조절 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저
US6561252B2 (en) Cord-driven drum
KR101795365B1 (ko) 도어 클로저
RU2580784C2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закрытия для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KR101390363B1 (ko) 미닫이 도어 장치
US20060230577A1 (en) Multi-coil spring window counterbalance assembly
US20060200940A1 (en) Multi-coil spring window counterbalance assembly
KR200487213Y1 (ko) 문 급속 닫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기구
JP2007332760A (ja) 引戸の自閉装置
KR20110011174U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도어닫힘 방지장치
JP4590338B2 (ja) クローザ内蔵型引戸
KR20220065294A (ko) 도어 클로저가 부설된 실외용 쉼터
JP4372794B2 (ja) ペット用ケージ
KR200224343Y1 (ko) 출입문의 손가락 끼임방지장치
JP2601691Y2 (ja) スラットカーテンの出入口構造
JPH07122386B2 (ja) シャッタ、主にローラシャッタのための駆動装置
KR200463601Y1 (ko) 자동 미닫이문 장치
KR101436783B1 (ko) 미닫이문 개폐장치
KR20000019120U (ko) 자동문의 비상 개방장치
JPH08177350A (ja) ロール式網戸
KR101124464B1 (ko) 도어 회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