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105B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105B1
KR102069105B1 KR1020157007958A KR20157007958A KR102069105B1 KR 102069105 B1 KR102069105 B1 KR 102069105B1 KR 1020157007958 A KR1020157007958 A KR 1020157007958A KR 20157007958 A KR20157007958 A KR 20157007958A KR 102069105 B1 KR102069105 B1 KR 102069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upport
support element
front wheel
seat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118A (ko
Inventor
마사시 다니자키
다케시 데라우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4Carriages supporting a hammock-styl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4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to hold in the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6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head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유모차는, 사용 상태와 절첩(折疊)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다. 유모차는, 전륜을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와,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며 또한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 지지 요소와,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주(主) 링크 요소와, 주 링크 요소와 후륜 지지 요소 사이를 연장하고 또한 주 링크 요소와 후륜 지지 요소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연결 링크 요소를 갖는다.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
본 발명은, 사용 상태와 절첩(折疊)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간이한 구성을 가짐과 함께, 절첩해서 보관할 때에 시트가 더러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EP 1972522A2(CN 101269667A)에는,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유모차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유모차는, 후각(後脚)(6)과, 후각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핸들바(4)와, 핸들바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전각(前脚)(2)과, 전각(2)과 후각(6)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재(8, 9)를 갖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유모차는,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핸들바가 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후각에 대해서 회동한다.
그런데, 통상, 유유아(乳幼兒)가 착석하는 시트는, 핸들바나, 절첩 동작시에 핸들바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핸들바가 후방측으로 쓰러지는 절첩 상태에서, 시트의 유유아에 접촉하게 되는 면이 바깥쪽으로 노출된다. 이 때문에, 유모차를 절첩해서 보관할 때에, 이물 등이 시트에 부착되거나 하여 시트가 더러워지기 쉬워진다.
EP 1972522A2(CN 101269667A)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간이한 구성을 가짐과 함께, 절첩해서 보관할 때에 시트가 더러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EP 1972522(CN 101269667)에 개시된 유모차는, 절첩 상태에서, 전륜 및 후륜이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유모차는, 절첩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자립(自立)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절첩한 유모차의 취급성이 나쁘고, 또한, 절첩한 유모차에 필요로 되는 보관 스페이스가 넓게 되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의해, 이러한 문제가 해소되면 더욱 편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는,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한 유모차로서,
전륜(前輪)을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며, 또한 후륜(後輪)을 지지하는 후륜 지지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주(主) 링크 요소와,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사이를 연장하고, 또한,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후륜 지지 요소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연결 링크 요소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 요소는,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보다 상기 사용 상태에서 하방이 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보다 상기 후륜으로부터 이간하는 측이 되는 연장 돌출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가,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을 더 구비해도 된다. 혹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서, 상기 주 링크 요소가 핸들을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 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상기 주 링크 요소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에 대해서 회동하여,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던 부분이 상기 전륜 지지 요소에 접근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이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가 상대 회동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주 링크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위치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주 링크 요소의 상대 회동 중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과 걸어 맞출 수 있고,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기 부분이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주 링크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과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위치 사이를 적어도 연장하는 전각 부재와, 상기 전각 부재에 설치된 접속 부재를 갖고,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접속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주 링크 요소는, 상기 접속 부재에 걸어 맞출 수 있으며,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둔부(臀部)에 대면하게 되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링크 요소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방에 한 쌍의 상기 주 링크 요소가 설치되고,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방에 한 쌍의 상기 후륜 지지 요소가 설치되고,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방에 한 쌍의 상기 전륜 지지 요소가 설치되고,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측부가, 각각, 상기 연결 링크 요소를 구성하고,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 및 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며,
각 전륜 지지 요소가,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 및 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둔부에 대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면해서 유지체가 배치되고, 상기 유지체와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유모차의 전개(展開) 상태에서 적어도 후방으로 개구된, 수용(收容)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부분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에 짐 걸이 훅(hook)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가,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와 접속된 등받이부와,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방에 설치된 측벽부를 갖는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을 넘어, 상기 후륜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
상기 시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와,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2 유모차는,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유모차로서,
전륜을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와,
후륜을 지지하고,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한 후륜 지지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상기 핸들이 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상기 전륜 지지 요소에 대해서 회동하여, 상기 핸들 및 상기 전륜 지지 요소가 서로 접근하고, 또한,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이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가 상대 회동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2 유모차가,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와 접속된 등받이부와,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방에 설치된 측벽부를 갖는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을 넘어, 상기 후륜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
상기 시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와, 상기 핸들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 또는 제 2 유모차는,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와 접속된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을 넘어, 상기 후륜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
상기 연장 돌출부에 상기 시트가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시(側面視)에서, 상기 연장 돌출부의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는,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중 상기 후륜을 지지하는 위치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보다 작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연장 돌출부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시에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가 전방측에서 작아지도록 구부러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절첩 상태의 측면시에서,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이 접지면에 접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의 상대 회동 중심은, 상기 접지면을 따른 방향에서 상기 전륜의 접지 위치와 상기 후륜의 접지 위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유모차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유모차가 자립 가능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모차가 간이한 구성을 갖고, 또한, 유모차를 절첩해서 보관할 때에, 시트가 더러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사용 상태에 있는 도 1의 유모차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사용 상태에 있는 도 2의 유모차 본체를 측방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변형 중인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5의 VIII-V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의 구성 요소를 측방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선도(線圖).
도 10은,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의 구성 요소를 측방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선도.
도 11은, 도 2에 대응하는 사시도로서, 유모차 본체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2에 대응하는 사시도로서, 유모차 본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9에 대응하는 선도로서, 도 12의 유모차 본체의 구성 요소를 측방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에 대응하는 사시도로서, 유모차 본체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2에 대응하는 사시도로서, 도 14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9에 대응하는 선도로서, 도 15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5에 대응하는 측면도로서, 절첩 상태에 있는 도 15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6에 대응하는 사시도로서, 절첩 상태에 있는 도 15의 유모차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 도 1~도 10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시된 유모차(10)는, 전륜(21) 및 후륜(31)을 갖는 유모차 본체(15)와, 유모차 본체(15)에 장착된 시트(시트 유닛)(70)와, 유모차 본체(15)에 부착된 어닝(awning; 75)을 갖고 있다. 이 유모차(10)에서는, 시트(70) 위에 유유아가 앉거나 자게 된다. 도 1, 도 9, 도 10, 도 14 및 도 16 이외의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상, 시트(70)를 분리한 상태에서 유모차(10)를 나타내고 있다. 시트(70)는, 앉음부(71)와, 앉음부(71)와 접속되어 앉음부(71)의 후방에 위치하는 등받이부(72)와, 앉음부(71) 및 등받이부(72)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 돌출된 좌우의 측벽부(73)를 갖고 있다.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체로 대칭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유모차(10)는, 도 1~도 3, 도 5, 도 6,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상태(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의 유모차(10)는, 보관 등에 적합한 치수가 되도록, 사용 상태의 유모차(10)와 비교해서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형화된다. 유모차 본체(15)의 많은 구성 요소는, 절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시트(70)는, 유연성을 갖는 포재(布材)나 메시(mesh)재 등을 사용해서 형성되어 있고, 유모차 본체(15)의 동작에 따라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된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유모차(10) 및 유모차 본체(15)에 대한 「전」, 「후」, 「상」 및 「하」의 용어는, 특별한 지시가 없는 경우, 사용 상태(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및 「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좌측 하방과 우측 상방을 잇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 하방측이 「전방측」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유모차(10)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접지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가로 방향」 및 「폭 방향」이란, 「전후 방향」및 「상하 방향」 중 어느 것에나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우」 및 「좌」에 대해서도, 각각,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가로 방향 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우」 및 「좌」를 의미한다.
우선, 유모차 본체(15)에 대해서 상술하고, 그 후에, 유모차 본체(15)에 부착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전륜(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20)와, 전륜 지지 요소(20)와 상대 회동 가능하며, 또한 후륜(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후륜 지지 요소(30)와,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핸들(50)을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2~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은,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주부(主部; 51)와, 한 쌍의 주부(51)를 연결하는 연결부(52)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각 주부(51)는, 유모차 본체(15)가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될 때에 링크재로서 기능하는 주 링크 요소(40)를 구성하고 있다. 즉,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주 링크 요소(40)가 핸들(50)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에는,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40)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전륜 지지 요소(20)와, 대응하는 측의 전륜 지지 요소(20)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모차(10)는,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40) 및 후륜 지지 요소(30) 사이를 연장하며, 또한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40) 및 후륜 지지 요소(30)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연결 링크 요소(60)를 더 갖고 있다.
도 3 및 도 9로부터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전륜 지지 요소(20)는, 하방 부분에서,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하단에서, 전륜(2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각 전륜 지지 요소(20)는, 전륜(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각으로서 기능하는 전각 부재(23)와, 전각 부재(23)의 중간부에 부착된 제 1 접속 부재(25)를 갖고 있다. 전각 부재(23)는, 전륜(21)을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 중심(RC2)까지의 사이를 적어도 연장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전각 부재(23)는, 하단에서 전륜(21)을 지지함과 함께, 상단에서 주 링크 요소(40)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전각 부재(23)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와, 당해 파이프의 일단(一端)에 고정되며, 또한 차륜을 회전 가능하고 또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스터 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접속 부재(25)는, 전각 부재(23)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륜 지지 요소(20)는, 제 1 접속 부재(25)에 의해,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후륜 지지 요소(30)와 회동 가능하게 피벗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접속 부재(2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 내를 따라 전각 부재(23)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한편, 후륜 지지 요소(30)는,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 부재(25) 및 후륜 지지 요소(30)는, 축 부재(28)에 의해 관통됨으로써, 피벗 부착되어 있다. 즉, 도시된 예에서는,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가,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도 3 및 도 9로부터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후륜 지지 요소(30)는, 하방 부분에서,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하단에서, 후륜(3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각 후륜 지지 요소(30)는, 후륜(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각으로서 기능하는 후각 부재(33)를 갖고 있다. 후각 부재(33)는, 후륜(31)을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전륜 지지 요소(20)와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회동 중심(RC1)까지의 사이를 적어도 연장하고 있다. 후각 부재(33)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 파이프와, 당해 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되며 또한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후각 부재(33)는, 하단에서 후륜(31)을 지지함과 함께, 전륜 지지 요소(20)와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회동 중심(RC1)을 넘어 후륜(31)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즉, 후각 부재(33)는, 후륜(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지 기구를 포함하는 후각부(34)와, 전륜 지지 요소(20)와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회동 중심(RC1)을 사이에 두고 후각부(3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연장 돌출부(35)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연장 돌출부(35)에는, 시트(70)의 앉음부(71)가 부착되어 있다. 즉, 도시된 형태에서는, 후륜 지지 요소(30)에 의해, 시트(70)의 앉음부(71)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70)의 앉음부(71)를 지지하기 위한 전용 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모차(10)를 구성하는 부품 개수를 감소시켜 유모차(10)의 구성을 간략화 및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측면시에서, 연장 돌출부(35)의 시트를 지지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θa)는, 후륜 지지 요소(30) 중 후각부(34)가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θb)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장 돌출부(35)가 앉음부(71)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하여, 앉음부(71)를 적절한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 도 9로부터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장 돌출부(35)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측면시에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가 전방측에서 작아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특히 도시된 형태에서는, 연장 돌출부(35)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측면시에서 굴곡되어 있고, 굴곡 개소를 사이에 두고 연장 돌출 단부(端部)(36) 및 연장 돌출 기부(基部)(37)를 갖고 있다. 연장 돌출 기부(37)는, 후각부(34)에 연결되어 있다. 연장 돌출 단부(36)는, 연장 돌출 기부(37)에 전방에서 연결되어 있다. 시트(70)의 앉음부(71)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θa)가 작은 연장 돌출 단부(36)에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핸들(50)의 주부(51)를 구성하는 주 링크 요소(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 링크 요소(40)는, 핸들(50)의 주부(51)의 하방 부분을 구성하는 주 링크부(41)와, 주 링크부(41)에 부착된 제 2 접속 부재(43)를 갖고 있다. 주 링크부(41)는, 핸들(50)의 주부(51) 및 연결부(52)를 이루는 대략 U자 형상의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접속 부재(43)는, 주 링크 요소(40)의 주 링크부(41)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주 링크 요소(40)는, 제 2 접속 부재(43)에 의해,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전륜 지지 요소(20)와 회동 가능하게 피벗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2 접속 부재(43)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 내를 따라 주 링크부(41)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접속 부재(43)를 통해 접속된 주 링크부(41) 및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각 부재(23)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접속 부재(43)는, 주 링크부(41)에 고정된 본체부(44)와, 본체부(44)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한 쌍의 지지벽부(45)를 갖고 있다.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각 부재(23)가, 한 쌍의 지지벽부(4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축 부재(46)가, 제 2 접속 부재(43)의 지지벽부(45) 및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각 부재(23)를 관통함으로써,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가 피벗 부착되어 있다. 즉, 도시된 예에서는,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가,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전각 부재(23)의 상단 부분이, 한 쌍의 지지벽부(45) 사이에 배치되고, 축 부재(46)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 부재(23)의 상단 부분에는 단(端) 부재(24)가 끼워 넣어져 있고, 단 부재(24)는, 전각 부재(23)와 함께, 축 부재(46)에 의해 관통 유지되어 있다. 단 부재(24)는 측면시에서 호(弧) 형상의 윤곽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 부재(24)는, 측면시에서, 전각 부재(23)의 축 부재(46)에 의해 관통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한 원호, 바꿔 말하면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 중심(RC2)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연장되는 윤곽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 부재(24)는, 전각 부재(23)의 상단과 제 2 접속 부재(43)의 본체부(44) 사이의 극간을 메워,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시에, 전각 부재(23)의 상단과 제 2 접속 부재(43)의 본체부(44) 사이에 의류 등이 끼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형태에서는,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주 링크 요소(40)는, 전륜 지지 요소(20) 중,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륜(21)을 지지하는 위치와,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 중심(RC2) 사이가 되는 부분과 걸어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주 링크 요소(40)와 전륜 지지 요소(20)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주 링크 요소(40)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방 부분과, 주 링크 요소(40)의 하방 부분이,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영역의 양단에서,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가 서로 접속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가 서로 접속됨으로써, 주 링크 요소(40)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각 구성 요소를 상대 회동시킴으로써,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 링크 요소(40) 및 전륜 지지 요소(20) 중 서로를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간된 2개소에서 접속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 링크 요소(40) 및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을 안정적으로 규제하여, 유모차(10)를 사용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주 링크 요소(40)의 하방 부분, 특히 주 링크 요소(40)의 하단 부분이, 전륜 지지 요소(20)의 제 1 접속 부재(25)에 걸어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주 링크 요소(40)와 전륜 지지 요소(20)가 걸어 맞춰진 경우, 주 링크 요소(40)의 제 2 접속 부재(43) 및 전륜 지지 요소(20)의 제 1 접속 부재(25)에 의해,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가 2개소에서 접속되어,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이 규제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륜 지지 요소(20)의 제 1 접속 부재(25)가, 후륜 지지 요소(20)와의 접속 및 주 링크 요소(40)와의 걸어 맞춤의 양쪽을 담당하게 된다. 이 때문에, 유모차(10)를 구성하는 부품 개수를 감소시켜, 유모차의 구성을 간략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링크 요소(40)의 주 링크부(41)의 하단에는, 돌출부(42)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42)는, 주 링크부(4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 돌출부(42)는, 주 링크부(41)의 하단 부분에 설치된 조작편(操作片)(41a)과 연결되어 있고, 조작편(41a)을 주 링크부(41)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돌출부(42)를 주 링크부(41) 내에 몰입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 지지 요소(20)의 제 1 접속 부재(25)에는, 통(筒) 형상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부(26)는, 선단이 개방되어, 돌출부(42)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27)을 구획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주 링크 요소(40)의 돌출부(42)가, 제 1 접속 부재(25)의 수용 구멍(27)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이 규제된다.
또,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가 걸어 맞춰지기 위한 구성은, 여기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작편(41a)은, 돌출부(42)를 조작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일례에 불과하고, 적당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들(50)의 연결부(52)에, 돌출부(42)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조작 수단을 설치하고, 핸들(50)의 연결부(52) 및 주부(51) 내에, 원격 조작 수단의 동작을 돌출부(42)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예를 들면, 와이어)이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연결 링크 요소(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측의 연결 링크 요소(60)는, 우측에 배치된 주 링크 요소(40) 및 후륜 지지 요소(30) 사이를 연장하고, 또한, 주 링크 요소(40)와 후륜 지지 요소(30)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의 연결 링크 요소(60)는, 좌측에 배치된 주 링크 요소(40) 및 후륜 지지 요소(30) 사이를 연장하고, 또한, 주 링크 요소(40)와 후륜 지지 요소(30)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주 링크 요소(40)는, 연결 링크 요소(60)를 통해 간접적으로, 후륜 지지 요소(3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연결 링크 요소(60)는, 예를 들면 금속제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연결 링크 요소(60)는, 우선, 후륜 지지 요소(30) 중, 후륜 지지 요소(30)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 중심(RC1)보다 후륜(31)으로부터 이간되는 측이 되는 연장 돌출부(35)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링크 요소(60)는, 연장 돌출부(35)의 연장 돌출 단부(36)의 후방 부분과, 축 부재(61)를 통해 피벗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시에서, 후륜 지지 요소(30)와 연결 링크 요소(60)의 상대 회동 중심(RC3)은, 후륜 지지 요소(30)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 중심(RC1)보다 전방인 동시에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연결 링크 요소(60)는,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시에서, 주 링크 요소(40)의 주 링크부(41) 중,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 중심(RC2)보다 하방이 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링크 요소(60)는, 주 링크부(41)의 제 2 접속 부재(43)가 부착된 위치보다 하방이 되는 부분과, 축 부재(62)를 통해 피벗 부착되어 있다.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측면시에서, 주 링크 요소(40)와 연결 링크 요소(60)의 상대 회동 중심(RC4)은, 후륜 지지 요소(30)와 연결 링크 요소(60)의 상대 회동 중심(RC3)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유모차 본체(15)는, 가로 방향(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한 쌍의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각 부재(23)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전방측 연결 부재(65) 및 제 2 전방측 연결 부재(66)와,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의 후각부(34)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측 연결 부재(67)를 갖고 있다. 이 중, 제 2 전방측 연결 부재(66)는, 풋레스트(footrest)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부재에 의해, 한 쌍의 전륜 지지 요소(20),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 한 쌍의 주 링크 요소(40) 및 한 쌍의 연결 링크 요소(60)가, 각각,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될 때, 일정 간격으로 이간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갖는 유모차 본체(15)는, 각 구성 요소를 상대 회동시킴으로써,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절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조작편(41a)을 조작함으로써, 주 링크 요소(40)의 돌출부(42)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수용 구멍(27)이 걸어 맞춰진 것을 해제한다. 이 조작에 의해,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링크 요소(40) 중 전륜 지지 요소(20)와의 상대 회동 중심(RC2)으로부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 즉 이 상대 회동 중심(RC2)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이 전방측으로 쓰러지게 되는 방향으로, 주 링크 요소(40)를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회동시킨다. 이 회동 조작에 의해, 주 링크 요소(40) 중 전륜 지지 요소(20)와의 상대 회동 중심(RC2)으로부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던 부분이, 후륜 지지 요소(20)에 접근한다. 바꿔 말하면, 사용 상태에서 전륜(21)으로부터 떨어져 있던 측이 되는 주 링크 요소(40)의 단부(상방측 단부)가, 전륜(21)에 접근한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유모차(10)의 측면시에서, 핸들(50)의 연결부(52)가, 전방측으로부터,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륜(21)에 접근하게 된다.
이러한 주 링크 요소(40)의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한 동작에 따라, 연결 링크 요소(60)를 통해 주 링크 요소(40)에 접속된 후륜 지지 요소(30)도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 동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링크 요소(60)는, 주 링크 요소(40) 중,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 중심(RC2)보다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하방이 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후륜 지지 요소(30) 중, 후륜 지지 요소(30)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 중심(RC1)보다 후륜(31)으로부터 이간되는 측이 되는 연장 돌출부(35)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주 링크 요소(4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전륜 지지 요소(30)에 대해서 회동해서 전륜 지지 요소(20)에 접근할 때, 도 5 및 도 10에 나타난 측면시에서, 주 링크 요소(40)와 연결 링크 요소(60)의 상대 회동 중심(RC4)이, 상방으로 끌어 올려진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10에 나타난 측면시에서, 연결 링크 요소(60)와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회동 중심(RC3)도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도록, 후륜 지지 요소(30)가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회동한다. 즉, 후륜 지지 요소(30)는, 연결 링크 요소(60)에 의해, 전후 방향을 따라 후륜(31)이 전륜(21)에 접근하도록,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회동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주 링크 요소(60),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40)가 서로 접근하도록, 유모차 본체(15)를 절첩할 수 있다. 이렇게 유모차 본체(15)를 절첩함으로써, 유모차 본체(15)의 치수를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양쪽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절첩할 때에,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가, 전후 방향을 따라 전륜(21) 및 후륜(31)이 서로 접근하도록 상대 회동하기 때문에,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21) 및 후륜(22)을 접지시켜 절첩 상태의 유모차 본체(15)(유모차(10))를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모차(10)가 절첩 상태에서 자립 가능한 경우, 보관 스페이스 등의 관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전술한 유모차 본체(15)의 구성에 의하면,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 본체(15)의 측면시에서, 전륜(21) 및 후륜(31)이 접지면에 접지한 상태에서,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회동 중심(RC1)이, 접지면을 따른 방향(즉, 전후 방향)에서 전륜(21)의 접지 위치(즉, 전륜(21)의 회전 중심)와 후륜(31)의 접지 위치(즉, 후륜(31)의 회전 중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절첩 상태의 유모차 본체(15)(유모차(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자립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형태에서는, 좌측이 되는 제 2 접속 부재(43)의 일부분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걸어 맞춤 클로(claw)(걸어 맞춤편)(4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 클로(47)는,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제 2 접속 부재(43)의 본체부(44)의 상방에 위치하고, 전륜 지지 요소(20)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한편, 주 링크 요소(40)가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회동한 유모차(10)의 절첩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 맞춤 클로(47)는, 제 2 접속 부재(43)의 본체부(44)의 하방에 위치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 지지 요소(20)의 전각 부재(23)의 상방 부분과 걸어 맞춰진다. 도 8에 나타난 걸어 맞춤 클로(47)와 전각 부재(23)의 걸어 맞춤에 의해,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회동이 규제되어, 유모차(10)가 절첩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 유모차 본체(15)를 절첩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 순서를 밟으면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 본체(15)에는, 즉, 어닝(75) 및 시트(70)가 설치되어 있다. 어닝(75)은, 유모차 본체(15)에 부착된 1개 이상의 어닝 파이프(awning pipe; 76)와, 어닝 파이프(76)에 부착된 어닝 클로스(awning cloth; 77)를 갖고 있으며, 차양으로서 기능한다. 도시된 예에서, 어닝 파이프(76)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략 U자의 양단이 핸들(50)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어닝 파이프(76)가 핸들(50)에 대해서 요동함으로써, 어닝(75)이 개폐된다.
한편, 시트(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에 지지된 앉음부(71)와, 앉음부(7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등받이부(72)와, 앉음부(71) 및 등받이부(72)의 측방에 설치된 한 쌍의 측벽부(73)를 갖고 있다. 앉음부(71)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둔부를 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등받이부(72)는, 유유아의 등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측벽부(73)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양 측방에 위치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70)의 앉음부(71)의 전단(前端) 부분이,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에 부착되고, 시트(70)의 등받이부(72)의 상단 부분이, 주 링크 요소(40)에 의해 구성되는 핸들(50)의 주부(51)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유모차(10)를 변형시킬 때, 주 링크 요소(40) 중 전륜 지지 요소(30)와의 상대 회동 중심(RC2)으로부터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 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주 링크 요소(40)가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회동한다. 이때, 유유아가 착석 또는 눕는 장소가 되는 시트(70) 중 등받이부(72)가, 주 링크 요소(40)에 지지되어 주 링크 요소(40)와 함께 동작함으로써, 시트 등받이부(72)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이, 시트의 앉음부(71)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을 향해 이동한다. 이 결과, 절첩된 유모차(10)에서, 시트(70)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보다, 시트(70)의 유유아에 대면하지 않는 이면이, 보다 노출되게 된다. 특히 도 10에 나타난 형태에서는, 시트의 앉음부(71)의 표면이 시트 등받이부(72)의 표면과 접근해서 직면할 수 있고, 또한 시트 등받이부(72)의 그 밖의 표면은, 전후 방향에서 절첩 상태의 유모차(10)의 안쪽을 향하며, 또한, 상하 방향에서 약간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된다. 이 때문에 유유아에 대면하는 시트(70)의 표면에 먼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이 부착되는 것, 또한, 시트(70)의 표면 중 시트(70)의 등받이부(72)와 앉음부(71) 사이에 먼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이 쌓이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모차(10)를 절첩해서 보관할 때에 시트(70)가 더러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형태에서, 시트(70)의 측벽부(73)가, 연장 돌출부(35)와, 주 링크 요소(40) 중 전륜 지지 요소(20)와의 상대 회동 중심(RC2)으로부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 즉 핸들(50)의 주부(51)에 부착되어 있다. 유모차(10)의 시트(70) 위에 유유아가 승차하면, 후륜(31)이 전륜(21)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후륜 지지 요소(30)를 상대 회동시키는 힘이 유모차(10)에 가해진다. 여기에서 설명한 형태에서는, 이러한 외력을, 연결 링크 요소(60) 뿐만 아니라, 시트(70)의 측벽부(73)에 의해서도 받을 수 있다. 즉, 시트(70)의 측벽부(73)가,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주 링크 요소(40) 및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한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기능하여, 유모차(10)에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트(70)의 측벽부(73)에 의하면, 유모차(10)의 주행 중의 휘어짐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73)는, 앉음부(71) 및 등받이부(72)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벨트 형상 부재(73a)를 갖고 있다. 벨트 형상 부재(73a)는, 측벽부(73)의 그 밖의 부분보다 인장 강도가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잘 나타나 있듯이, 이 벨트 형상 부재(73a)가,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 및 주 링크 요소(40)에 의해 이루어지는 핸들(50)의 주부(51)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10)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핸들(50)이 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전륜 지지 요소(20)에 대해서 회동하여, 핸들(50) 및 전륜 지지 요소(20)가 서로 접근하고, 또한, 전륜(21) 및 후륜(31)이 서로 접근하도록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가 상대 회동한다. 따라서, 또한, 주 링크 요소(40), 전각으로서 기능하는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각으로서 기능하는 후륜 지지 요소(30)가 서로 접근하도록 해서, 유모차(10)를 절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유모차(10)의 절첩 치수를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양쪽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유유아가 착석 또는 눕는 시트(70) 중 등받이부(72)가, 주 링크 요소(40)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주 링크 요소(40)와 함께 동작함으로써, 시트 등받이부(72)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이, 시트 앉음부(71)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을 향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절첩 상태의 유모차(10)에서, 시트(70)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표면보다, 시트(70)의 유유아에 대면하지 않는 이면이, 보다 노출되게 된다. 또한, 시트 앉음부(71)의 표면이 시트 등받이부(72)의 표면과 접근해서 직면하게 되고, 또한, 시트 등받이부(72)의 그 밖의 표면이, 전후 방향에서 절첩 상태의 유모차(10)의 안쪽을 향한다. 이 때문에 유유아에 대면하는 시트(70)의 표면에 먼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이 부착되는 것, 또한, 시트(70)의 표면 중 시트(70)의 등받이부(72)와 앉음부(71) 사이에 먼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이 쌓이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륜(21) 및 후륜(31)이 서로 접근하도록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가 상대 회동하므로, 전륜(21) 및 후륜(31)을 접지시켜서 절첩 상태의 유모차(10)를 안정적으로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모차(10)의 보관 스페이스를 스페이스 절약화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여러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핸들(50)이, 한 쌍의 주부(51)와, 한 쌍의 주부(51)를 연결하는 연결부(52)를 갖고,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핸들(50)이, 한 쌍의 주부(51)와, 각 주부(51)의 단부에 부착된 파지부로 이루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가,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중간 부분 또는 하방 부분에서, 후방측 연결 부재(67)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가, 그 상방 부분에서, 바꿔 말하면 그 전방 부분에서, 연결부(39)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연결부(39)는, 유모차 본체(15)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시트(70)의 앉음부(71)를 지지하는 부위로서도 기능한다. 이에 따라, 유모차(10)의 주행을 보다 안정시키는 것, 및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난 예에서는, 연결부(39)는,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방 단부(전방 단부) 사이를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39)는, 예를 들면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파이프로부터, 후륜 지지 요소(30)의 후각 부재(3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난 예에서는, 전륜 지지 요소(20)와 주 링크 요소(40)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원격 조작 수단(54)이, 핸들(50)의 연결부(52)에 설치되어 있다.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 사이에서의 걸어 맞춤을 실현하기 위한 부재, 예를 들면 전술한 돌출부(42)와, 이 원격 조작 수단(54) 사이에, 원격 조작 수단(54)의 동작을 돌출부(42)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예를 들면, 와이어)이 설치되어, 원격 조작 수단(54)에 의해 돌출부(42)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원격 조작 수단(54)을 사용함으로써, 유모차 본체(15)의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의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바깥쪽에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가 배치됨과 함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안쪽에 후륜 지지 요소(30)가 배치되고, 폭 방향에 있어서의 후륜 지지 요소(30)와 주 링크 요소(40) 사이가 되는 위치에 연결 링크 요소(60)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바깥쪽에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가 배치됨과 함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안쪽에 연결 링크 요소(60)가 배치되고, 폭 방향에 있어서의 주 링크 요소(40)와 연결 링크 요소(60) 사이가 되는 위치에 후륜 지지 요소(30)가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난 예에서는, 연결 링크 요소(60)는, 주 링크 요소(40)의 하방 부분으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연장 돌출된 접속 연장 돌출부(60b)와, 접속 연장 돌출부(60b)와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에 접속된 본체부(60a)를 갖고 있다. 본체부(60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본체부(60a)와 접속된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는, 연결 링크 요소(60)의 본체부(60a)와, 전륜 지지 요소(20) 및 주 링크 요소(4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 연장 돌출부(60b)는, 주 링크 요소(40)로부터, 적어도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의 두께분의 길이만큼, 폭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연결 링크 요소(60)의 본체부(60a)와 주 링크 요소(40) 사이에 충분한 극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모차 본체(15)의 변형시에 시트(70)나 의복 등이 가장 말려들어가기 쉬워지는 연결 링크 요소(60)의 본체부(60a)와 주 링크 요소(40) 사이에, 당해 시트(70)나 의복 등이 끼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모차 본체(15)의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의 변형을 보다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도 11에 나타난 예에서는, 후륜 지지 요소(30)의 후각 부재(33)가, 후각부(34)의 중간부에서 만곡하거나 굴곡되어 있다. 이 결과, 후각부(34) 중 후륜(31)을 유지하는 부위는, 연장 돌출부(35)보다 폭 방향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 의하면, 유모차(10)의 주행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도 11에서는, 유모차 본체(15)에 부착되는 바구니(85)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주 링크 요소(40)가, 핸들(50)의 주부(51)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예와 같이, 주 링크 요소(40)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핸들(55)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유모차(10)의 유모차 본체(15)는, 전륜 지지 요소(20), 후륜 지지 요소(30), 연결 링크 요소(60), 제 1 전방측 연결 부재(65), 제 2 전방측 연결 부재(66) 및 후방측 연결 부재(67)를 갖는 본체 프레임(16)과, 본체 프레임(16)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55)을 갖고 있다. 핸들(55)은,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55)은, 대략 U자의 양단이 되는 부분에서, 본체 프레임(16)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핸들(55)은, 본체 프레임(16)에 대해서 요동하고, 도 12 및 도 1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대면 가압 위치(전방 위치)와, 도 12 및 도 13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배면 가압 위치(후방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본체 프레임(16)에는, 핸들(55)과 걸어 맞춰지고, 핸들(55)을 대면 가압 위치에 걸기 위한 수단(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체 프레임(16)의 주 링크 요소(40)에, 핸들(55)과 걸어 맞춰, 핸들(55)을 배면 가압 위치에 걸기 위한 수단(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핸들(55)을 배면 가압 위치에서 주 링크 요소(40)와 고정함으로써,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핸들(55)을 주 링크 요소(40)와 함께, 전륜 지지 요소(20) 및 후륜 지지 요소(30)에 대해서 회동시킴으로써, 유모차(10)를 사용 상태와 전개 상태 사이에서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절첩 상태의 유모차(10)가 보관될 때에 시트(70)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유모차(10)의 절첩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는, 핸들(55)은, 그 하방 부분, 특히 그 하단 부분을, 사용 상태의 유모차(10)의 측면시에서, 주 링크 요소(40) 중 전륜 지지 요소(20)와의 상대 회동 중심(RC2)보다 하방이 되는 부분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핸들(55)과 주 링크 요소(40)의 회동 중심은, 주 링크 요소(40)와 연결 링크 요소(60)의 상대 회동 중심(RC4)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후륜 지지 요소(30)와 연결 링크 요소(60)를 피벗 부착하는 축 부재(62)가, 핸들(55)을 더 관통함으로써, 주 링크 요소(40) 및 연결 링크 요소(60)에 핸들(55)을 피벗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시트(70)가,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 및 주 링크 요소(40)에 지지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에 시트 유지 기구(80)가 설치되고, 시트 유지 기구(80)에 의해, 시트(70)의 등받이부(72)가 지지되도록 해도 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 시트 유지 기구(80)는, 유모차 본체(15)에 접속된 주 지지 프레임(81)과, 주 지지 프레임(81)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상방 지지 프레임(82)과, 주 지지 프레임(81)의 양 측방에 배치된 한 쌍의 측방 지지 프레임(83)을 갖고 있다. 상방 지지 프레임(82)은, 주 지지 프레임(81) 중 유모차 본체(15)에의 접속 개소와는 반대측이 되는 상방측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주 지지 프레임(81)은, 양단이 유모차 본체(15)에 접속된 대략 U자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는, 주 지지 프레임(81)의 유모차 본체(15)에 대한 회동 중심은, 주 링크 요소(40)와 연결 링크 요소(60)의 상대 회동 중심(RC4)과 일치하고 있다.
측방 지지 프레임(83)은, 링크재로서 기능하고, 주 지지 프레임(81)이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에 대해서 쓰러져 있는 경우에 상방 지지 프레임(82)을 주 지지 프레임(81)으로부터 기립시킨다. 한편, 주 지지 프레임(81)이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에 대해서 기립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방 지지 프레임(82)이 주 지지 프레임(81)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면을 대체로 따라 연장되도록, 상방 지지 프레임(82)을 기울인다. 각 측방 지지 프레임(83)은, 유모차 본체(15) 및 상방 지지 프레임(82) 각각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예에서는, 측방 지지 프레임(83)의 유모차 본체(15)에 대한 회동 중심은, 주 링크 요소(40)와 전륜 지지 요소(20)의 상대 회동 중심(RC2)과 일치하고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지지 프레임(81)의 배면측에는, 좌우의 주 링크 요소(40)에 고착된 리클라이닝(reclining) 조절 벨트(84)가 배설(配設)되어 있다(도 12에서는,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84)를 생략하고 있음). 그리고,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84)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시트(70)의 등받이부(72)를 지지하는 주 지지 프레임(81)의, 시트(50)의 앉음면부(55)를 지지하는 후륜 지지 요소(30)의 연장 돌출부(35)에 대한 각도, 즉,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예에 의하면, 사용 상태에서 절첩 상태로 유모차(10)를 변형시킬 때에, 시트 유지 기구(80)에 지지된 시트(70)의 등받이부(72)는, 리클라이닝 익스텐션 벨트(84) 등을 통해 시트 유지 기구(80)를 지지하는 주 링크 요소(40)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절첩 상태의 유모차(10)가 보관될 때에, 시트(70)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시트 유지 기구(80) 대신에, 도 15에 나타난 유모차 본체(15)와 같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주 지지 프레임(81) 및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84)만이 유모차 본체(15)에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절첩 상태의 유모차(10)가 보관될 때에, 시트(70)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4~도 18은, 동일한 유모차 본체(15)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해의 편의상, 주 지지 프레임(81)은, 도 17 및 도 18에서 생략되고,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84)는 도 15에만 나타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연결 링크 요소(60)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둔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가 설치되고,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가 연결 링크 요소(60)를 형성한다.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유아의 둔부를 하방에서 면에 의해 지지한다. 단, 경량화나 통기성 확보의 관점에서,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는, 한 쌍의 주 링크 요소(40), 한 쌍의 전륜 지지 요소(20) 및 한 쌍의 후륜 지지 요소(30) 사이를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 15 및 도 16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의 양측부가, 각각, 연결 링크 요소(60)를 구성하고,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40)의 주 링크부(41)에 축 부재(62)를 사용해서 피벗 부착되며, 또한, 대응하는 측의 후륜 지지 요소(30)의 후각 부재(33)에 축 부재(61)를 사용해서 피벗 부착되어 있다.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는, 그 후방 부분에서, 주 링크 요소(40)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는,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63a)와, 유모차 본체(15)의 전개 상태에서 본체부(63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지지부(63b)를 갖고 있다.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는, 이 돌출 지지부(63b)에서, 후륜 지지 요소(30)와 접속되어 있다.
또,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결 링크 요소(60)와 후륜 지지 요소(30)의 상대 회동 중심(RC3), 및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결 링크 요소(60)와 주 링크 요소(40)의 상대 회동 중심(RC4)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도 18에 나타난 유모차(10)에서도,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와 마찬가지로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도 14~도 18에 나타난 유모차(10)에서는, 후륜 지지 요소(30)를 이루는 후각 부재(33)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와의 피벗 부착 개소보다 전방으로는 연장 돌출되어 있지 않다. 즉, 도 14~도 18에 나타난 유모차(10)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달리, 시트(70)의 앉음부(71)를 지지하는 연장 돌출부(35)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도 14~도 18에 나타난 유모차(10)에서는, 시트(70)의 앉음부(71)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의 본체부(63a)의 전방 부분에 의해 지지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70)의 등받이부(72)는, 주 지지 프레임(81)에 지지되어 있다.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면, 유모차 본체(15)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모차 본체(15)의 구성이 단순화되므로, 유모차 본체(15)의 절첩 동작 및 유모차 본체(15)의 전개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유아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구조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유유아를 적절한 자세로 안정적으로 유모차(10)에 승차시킬 수 있다. 또한, 폭 방향에 걸친 영역에서, 시트(70)의 앉음부(71)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의 시트(70)의 변형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도 14~도 18에 나타난 변형예에서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면해서 유지체(86)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체(86)는, 유연성을 갖는 포재나 메시재 등을 사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유지체(86)와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 사이에, 유모차(10)의 전개 상태에서 적어도 후방으로 개구되는, 수용 스페이스(87)가 형성된다. 수용 스페이스(87)는, 모포나 타월 등의 소품을 수용하는 스페이스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유지체(86)는 신장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유지체(86)는, 양측 가장자리와, 유모차(1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 또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에 장착된 시트(7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용 스페이스(87)에 수용된 물건이, 수용 스페이스(87)로부터 의도치 않게 낙하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체(86)와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 사이에 형성된 수용 스페이스(87)의 개구(87a)는, 유모차(10)의 절첩 상태에서, 상방을 향해 개방된다. 따라서, 유모차(10)가 절첩 상태로 자립할 수도 있어서, 유모차(10)의 절첩 상태에서도 수용 스페이스(87)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4~도 18에 나타난 변형예에서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의 후방 부분에 손잡이(8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88)는, 절첩한 유모차(10)를 운반할 때에, 유모차(10)를 드는 손잡이가 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88)는, 유모차(10)의 절첩 상태에서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손잡이(88)를 사용해서, 절첩 상태로 자립 가능한 유모차(10)의 취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첩 상태에서 자립한 유모차(10)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 1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63)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짐 걸이 훅(89)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당히 조합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1)

  1. 사용 상태와 절첩(折疊)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한 유모차로서,
    전륜(前輪)을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며, 또한 후륜(後輪)을 지지하는 후륜 지지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주(主) 링크 요소와,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사이를 연장하며, 또한,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후륜 지지 요소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연결 링크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주 링크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과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위치 사이를 적어도 연장하는 전각(前脚) 부재와, 상기 전각 부재에 고착되어 상기 전각 부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접속 부재를 갖고,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접속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주 링크 요소는, 상기 접속 부재에 걸어 맞출 수 있고,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 요소는,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보다 상기 사용 상태에서 하방이 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보다 상기 후륜으로부터 이간하는 측이 되는 연장 돌출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을 더 구비하는 유모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링크 요소가 핸들을 구성하는 유모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 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상기 주 링크 요소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에 대해서 회동하여,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던 부분이 상기 전륜 지지 요소에 접근하는 유모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이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가 상대 회동하는 유모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링크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위치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주 링크 요소의 상대 회동 중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과 걸어 맞출 수 있고,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기 부분이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의 상대 회동이 규제되는 유모차.
  8. 삭제
  9. 사용 상태와 절첩(折疊)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한 유모차로서,
    전륜(前輪)을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며, 또한 후륜(後輪)을 지지하는 후륜 지지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주(主) 링크 요소와,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사이를 연장하며, 또한, 상기 주 링크 요소와 상기 후륜 지지 요소 각각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연결 링크 요소와,
    앉음부 및, 상기 앉음부와 접속되는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를 구비하고,
    유모차에 승차하는 유유아(乳幼兒)의 둔부(臀部)에 대면하게 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는, 유연성을 갖는 상기 시트의 상기 앉음부를 지지하고,
    상기 연결 링크 요소는,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유모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방(側方)에 상기 주 링크 요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방에 상기 후륜 지지 요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 측방에 상기 전륜 지지 요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양측부가, 각각, 상기 연결 링크 요소를 구성하며,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 및 대응하는 측의 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 전륜 지지 요소가, 대응하는 측의 주 링크 요소 및 대응하는 측의 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유모차.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유유아에 대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면해서 유지체가 배치되고,
    상기 유지체와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유모차의 전개(展開) 상태에서 적어도 후방으로 개구된, 수용(收容)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유모차.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의 후방 부분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유모차의 절첩 상태에서 상기 앉음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유모차.
  14.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유모차로서,
    전륜을 지지한 전륜 지지 요소와,
    후륜을 지지하며,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 상대 회동 가능한 후륜 지지 요소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에 대해서 상대 회동 가능한 핸들과,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와 접속된 등받이부와,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방에 설치된 측벽부를 갖는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을 넘어, 상기 후륜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
    상기 시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와, 상기 핸들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시킬 때, 상기 핸들이 전방측으로 쓰러지도록 상기 전륜 지지 요소에 대해서 회동하여, 상기 핸들 및 상기 전륜 지지 요소가 서로 접근하고, 또한,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이 서로 접근하도록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가 상대 회동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핸들,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의 동작에 따라 변형하는, 유모차.
  15. 제 1 항, 제 9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와 접속된 등받이부를 갖는 시트(seat)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을 넘어, 상기 후륜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
    상기 연장 돌출부에 상기 시트가 지지되어 있는 유모차.
  16.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시(側面視)에서, 상기 연장 돌출부의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는, 상기 후륜 지지 요소 중 상기 후륜을 지지하는 위치와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보다 작은 유모차.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돌출부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시에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가 전방측에서 작아지도록 구부러져 있는 유모차.
  18. 제 1 항에 있어서,
    앉음부와, 상기 앉음부와 접속된 등받이부와, 상기 앉음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방에 설치된 측벽부를 갖는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륜 지지 요소는,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을 넘어, 상기 후륜을 지지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갖고,
    상기 시트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연장 돌출부와, 상기 주 링크 요소 중 상기 전륜 지지 요소와의 상대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19. 삭제
  20. 제 1 항, 제 9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상태의 측면시에서,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이 접지면에 접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륜 지지 요소 및 상기 후륜 지지 요소의 상대 회동 중심은, 상기접지면을 따른 방향에서 상기 전륜의 접지 위치와 상기 후륜의 접지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유모차.
  21. 제 1 항, 제 9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유모차가 자립(自立) 가능한 유모차.
KR1020157007958A 2012-10-15 2013-04-04 유모차 KR102069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7875 2012-10-15
JP2012227875 2012-10-15
PCT/JP2013/060356 WO2014061296A1 (ja) 2012-10-15 2013-04-04 乳母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118A KR20150070118A (ko) 2015-06-24
KR102069105B1 true KR102069105B1 (ko) 2020-01-22

Family

ID=5048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958A KR102069105B1 (ko) 2012-10-15 2013-04-04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44270B2 (ko)
KR (1) KR102069105B1 (ko)
CN (1) CN104718122B (ko)
WO (1) WO20140612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4141B2 (ja) * 2011-11-07 2016-07-05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FR3010682B1 (fr) * 2013-09-13 2015-10-23 Babyzen Poussette pliable adaptable au transport des nouveau-nes
EP3172110A1 (de) * 2014-07-23 2017-05-31 Endepro GmbH Kinderwagen
JP6957045B2 (ja) * 2019-05-31 2021-11-02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278B2 (ja) * 1989-07-14 1997-01-16 株式会社マンテン 乳母車
JP2001114111A (ja) * 1999-10-15 2001-04-24 Satsuki:Kk 手動推進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1774A (en) * 1966-12-05 1969-01-14 Herschal F Garhan Baby strollers
JPH0732977Y2 (ja) * 1989-07-22 1995-07-31 株式会社マンテン 関節部のロック装置
JPH08213Y2 (ja) * 1990-10-23 1996-01-10 株式会社マンテン 乳母車に於ける手摺りの取付け装置
JP2524370Y2 (ja) * 1993-12-08 1997-01-29 株式会社マンテン 乳母車に於ける手摺りの取付け装置
JP2537980Y2 (ja) * 1993-12-08 1997-06-04 株式会社マンテン 乳母車
JP3602867B2 (ja) * 1994-06-22 2004-12-15 株式会社サッポロ巻本舗 たれの製造方法
JP3178769B2 (ja) * 1994-08-26 2001-06-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子供乗員シート支持構造
JPH09193810A (ja) * 1996-01-19 1997-07-29 Manten:Kk 乳母車
CN2428383Y (zh) * 2000-01-03 2001-05-02 好孩子集团公司 童车
JP2002019617A (ja) * 2000-07-07 2002-01-23 Manten Co Ltd 日除け付き乳母車
CN200945872Y (zh) * 2006-09-21 2007-09-12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推车
ES1065105Y (es) 2007-03-21 2007-09-16 Jane Sa Coche-silla plegable para niños
US8240698B2 (en) * 2009-09-16 2012-08-14 Bumbleride Inc. Collapsible structure for baby strol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278B2 (ja) * 1989-07-14 1997-01-16 株式会社マンテン 乳母車
JP2001114111A (ja) * 1999-10-15 2001-04-24 Satsuki:Kk 手動推進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61296A1 (ja) 2016-09-05
WO2014061296A1 (ja) 2014-04-24
CN104718122A (zh) 2015-06-17
CN104718122B (zh) 2018-05-29
JP6144270B2 (ja) 2017-06-07
KR20150070118A (ko)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4943B2 (ja) 乳母車
JP6599158B2 (ja) 折り畳み式の乳母車
JP4757594B2 (ja) ベビーカー
KR102069105B1 (ko) 유모차
EP2857279B1 (en) Stroller and seat unit
WO2016060256A1 (ja) 車両用シート
WO2018051807A1 (ja) ベビーカー
JP2000000131A (ja) 自動乗物用シ―トクッションの配置構成
CN102448792B (zh) 手推童车或手推车
JP2015013566A (ja) 乳母車
JP6009221B2 (ja) シートおよびベビーカー
TWI752337B (zh) 嬰兒車
JP2020019363A (ja) 乳母車
JP5052372B2 (ja) 移乗介助機能を備えた車椅子
JP2020121662A (ja) シート構造
TWI642578B (zh) Baby carriage
JP2020019368A (ja) 手押しカート
JP2020019366A (ja) 乳母車および座席
CN113501044B (zh) 婴儿车
JP6923930B2 (ja) 乳母車
JP2020019359A (ja) 乳母車
WO2024013941A1 (ja) 乳母車
JP2020019365A (ja) 乳母車
JP4566856B2 (ja) 低床式車両の荷物固定部構造
JP2006103410A (ja) 幌付乳母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