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169B1 - Touch screen device - Google Patents

Touch scree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169B1
KR102068169B1 KR1020120158708A KR20120158708A KR102068169B1 KR 102068169 B1 KR102068169 B1 KR 102068169B1 KR 1020120158708 A KR1020120158708 A KR 1020120158708A KR 20120158708 A KR20120158708 A KR 20120158708A KR 102068169 B1 KR102068169 B1 KR 102068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sensing
vertical position
touch
sensing cells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7909A (en
Inventor
고성욱
채기성
송문봉
김철홍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8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169B1/en
Publication of KR2014008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9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1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제한된 수의 메탈 소재 및 단일 층 구조의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장치는 기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각각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각각에 인접하도록 나란하게 형성된 가로 위치 감지셀; n개(n은 2이상)의 세로 위치 감지셀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세로 위치 감지셀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상기 가로 위치 감지셀에 연결된 제 2 신호 배선; 및 상기 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과 상기 제 2 신호 배선에 연결되는 신호 패드를 가지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및 상기 가로 위치 감지셀 각각은 메쉬(mesh)형태를 가지도록 상기 기판의 동일층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creen device including a limited number of metal materials and a single-layered mesh; A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nd formed to be adjac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 plurality of first signal wires commonly connected to two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rranged with n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interposed therebetween; A second signal wir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And a pad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having a signal pa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signal wires and the second signal wire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nd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s is mesh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ame layer of the substrate to have a mesh) form.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장치{TOUCH SCREEN DEVICE}TOUCH SCREEN DEVICE {TOUCH SCREEN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device.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information age has entered, the display field for visually expressing electrical information signals has been rapidly developed. In response, various flat panel displays having excellent performance of thinning,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have been developed. Display Device has been developed to quickly replace the existing cathode ray tube (CRT).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 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공통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패널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는 바, 평판 표시패널은 고유의 발광 또는 광학 이방성을 갖는 물질층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투명 절연기판을 대면 합착시킨 구성을 갖는다.Specific examples of such a flat panel displ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and the like, these are common to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that implements the image as an essential component, the flat panel display panel has a material layer having a unique light emission or optical anisotropy in between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ir of transparent insulating substr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형성된 표시 장치에 최근 사람의 손이나 별도의 입력 수단을 통해 터치 부위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여 별도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부가하는 요구가 늘고 있다. 현재 이러한 터치 스크린 장치는 표시 장치의 외부 표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As such,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dding a touch screen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touch portion through a hand of a person or a separate input means and transmitting separate information in response thereto. Currently, the touch screen device is applied in the form of attaching to an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그리고, 터치 감지 방식에 따라, 저항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지 등으로 나뉘며, 제조 방식의 편이성 및 센싱력 등을 감안하여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uch sensing method, it is divided into a resistive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d an anti-infrared detection method, and the capacitive method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in view of the convenience and the sensing forc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장치는 셀프-커패시턴스(Self capacitance)방식과 상호-커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방식으로 구분된다.The capacitive touch screen device is classified into a self-capacitance type and a mutual capacitance type.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 터치 스크린 장치는 셀프-커패시턴스 방식 터치 패널에 비하여 멀티-터치 입력을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mutual-capacitance touch screen device has been widely used recently because it is easier to implement a multi-touch input than a self-capacitance touch panel.

이하에서는 상호-커패시턴스 방식을 터치 스크린 구동 방식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utual capacitanc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touch screen driving method.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터치 전극 패턴의 경우에 터치 셀들이 배치하는 형상 및 배선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 가로 위치 감지셀(11)과 세로 위치 감지 셀(14)이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에 가로 위치 감지셀(11)과 세로 위치 감지 셀(14)은 그 중첩하는 부분에서 가로 위치 감지 영역(10)을 형성하게 된다. 각각의 감지 셀은 ITO (Indume Tin Oxide)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도 1에 점선 영역으로 표시된 배선(라우팅)영역 (20)은 감지영역 (10)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영역(30)에 중첩하여 직접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외부의 센싱 회로와의 연결을 위하여 표시영역의 주변부에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등과 접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a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11 and a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 14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conventional touch electrode pattern. In this case,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11 and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 14 form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region 10 at their overlapping portions. Each sensing cell is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and the wiring (routing) area 20 indicated by a dotted area in FIG. 1 is formed in the display area 30 in which the detection area 10 is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uperimposed directly, but may be configured by bonding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lexible PCB) to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area for connection with an external sensing circuit.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도 1의 감지영역(10)에서 일어나는 터치 감지의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호 커패시턴스 방식의 터치 패널의 경우에는 X전극 터치셀과 Y전극 터치셀로 구성되어 커패시터의 기능을 하는 센서 및 센서에서의 터치 신호를 Tx 라인과 Rx 라인을 통하여 전달받는 센싱회로로 이루어진다. 센싱 회로는 커패시터에 전하를 충전하며, 외부의 터치 입력에 의하여 변화된 커패시턴스를 검출하게 된다. 2A and 2B, it can be seen that the principle of touch sensing occurring in the sensing region 10 of FIG. 1 is described in detail. That is, in the case of the mutual capacitance type touch panel, the sensor is composed of an X electrode touch cell and a Y electrode touch cell, and includes a sensing circuit that receives a touch signal from a sensor and a sensor functioning as a capacitor through the Tx line and the Rx line. The sensing circuit charges the capacitor and detects the capacitance changed by the external touch input.

이러한 ITO 재질로 이루어진 터치 감지 셀의 경우 저항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터치 RC 상수값(Resistance Capacitance Constant Value)으로 좌우되는 터치 센서의 감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ase of the touch sensing cell made of such an ITO material, since the size of the resistor is relatively large,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sensor which is influenced by the touch resistance constant value.

따라서 최근에는 터치 센서의 RC 상수 값을 줄이기 위해 ITO 대신에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X축 방향의 터치 전극들과 Y축 방향의 터치 전극들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Therefore, recently, a method of forming touch electrodes in the X-axis direction and touch electrodes in the Y-axis direction by using a metal material instead of ITO has been proposed to reduce the RC constant value of the touch sensor.

그러나, 터치 전극으로 금속재료를 사용할 경우, 금속 재료 자체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표시장치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시인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선 폭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설계를 해야 하나 이 경우에도 터치 감지를 위한 정전용량 확보가 충분치 않은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했었다.However, when the metal material is used as the touch electro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device is lowered due to the opacity of the metal material itself, and in order to solve the visibility problem, the design should be conducted in a direction of reducing the wiring width. Another problem has arisen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secure the capacitance for detection.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을 채용하고 배선 폭은 얇게 형성하여 특정한 형상을 구성하는 메쉬 패턴(mesh pattern)으로 X축 및 Y축 터치 전극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메쉬 패턴의 전극 구조를 제작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X축 전극 및 Y축 전극 사이에 절연 기능을 하는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디스플레이의 두께는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메쉬 패턴의 X축 전극 터치 감지 셀 및 Y축 전극 터치 감지셀을 동일한 평면 상에 나란히 배치하여야 하나 그에 따른 센싱 회로와의 연결 배선을 구성하기 위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큰 문제로 대두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structur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metal material and a thin wiring width are formed to function as X-axis and Y-axis touch electrodes in a mesh pattern constituting a specific shape. In fabricating 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mesh pattern, conventionally, since the method of forming an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X-axis electrode and the Y-axis electrode was used, there was a limit in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overall display.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X-axis electrode touch sensing cell and the Y-axis electrode touch sensing cell of the mesh pattern should b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same plane, but the efficient use of space for configuring the connection wiring with the sensing circuit is large. It was a problem.

즉, X축 전극 터치 셀 및 Y 축 전극 터치 셀을 동일한 평면에 배치하는 단일 층 방식의 금속 재질의 메쉬 패턴 전극 구조에서는 터치 스크린을 제작하기 위하여 각각의 터치 셀에서 센싱 회로까지 연결하기 위한 배선의 개수 및 그러한 배선들이 차지하는 영역이 넓어질 수 밖에 없게 된다.That is, in the single-layer metal mesh pattern electrode structure in which the X-axis electrode touch cell and the Y-axis electrode touch cell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the wiring for connecting the touch cell to the sensing circuit in order to fabricate the touch screen is described. The number and area occupied by such wirings are inevitably widened.

특히, 메탈 소재의 메쉬 패턴 구조를 대형 인치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확장하여 적용할 때 보다 많은 터치 감지 셀과의 연결을 위해서는 터치 영역 내의 배선 형성 영역이 지나치게 넓게 차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터치 영역 내에서 터치 센싱이 불가능한 영역이 생기는 등 터치 센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데드존 (Dead Zone)영역으로 작용하는 문제점도 생기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mesh pattern structure made of a metal material is extended to a large-inch display device, the wiring forming area in the touch area is overly large for connection with more touch sensing cells.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acts as a dead zone (Dead Zone) to reduce the performance of the touch sensor, such as an area that can not be sensed.

이상 설명한 배경기술의 내용에서, 메쉬 패턴의 전극 구조는 본건 출원의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In the context of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structure of the mesh pattern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ust be appli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not known to the public.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제한된 수의 메탈 소재 및 단일 층 구조의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screen device having a limited number of metal materials and a single layer mesh form.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technical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or from such description and descrip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장치는 기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각각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각각에 인접하도록 나란하게 형성된 가로 위치 감지셀; n개(n은 2이상)의 세로 위치 감지셀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세로 위치 감지셀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상기 가로 위치 감지셀에 연결된 제 2 신호 배선; 및 상기 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과 상기 제 2 신호 배선에 연결되는 신호 패드를 가지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및 상기 가로 위치 감지셀 각각은 메쉬(mesh)형태를 가지도록 상기 기판의 동일층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cree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a substrate; A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nd formed to be adjac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 plurality of first signal wires commonly connected to two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rranged with n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interposed therebetween; A second signal wir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And a pad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having a signal pa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signal wires and the second signal wire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nd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s is mesh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ame layer of the substrate to have a mesh) form.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과 상기 제 2 신호 배선 각각은 메쉬(mesh)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ignal wires and the second signal wires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은 화상 표시 영역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터치 감지 트레이스를 형성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image display area to form a touch sensing trace.

상기 세로 위치 감지셀 및 가로 위치 감지셀 각각은 복수의 금속 라인들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 and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is formed by crossing a plurality of metal lines with each other.

상기 터치 감지 트레이스는 가로 위치 감지셀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표시 영역에 복수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sensing trace may include a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and is arranged in plural in the image display area.

상기 터치 감지 트레이스는 가로 위치 감지셀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표시 영역에 복수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sensing trace may include a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and is arranged in plural in the image display area.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일측에 배선되는 상기 제1 신호 배선 각각은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상측 및 하측 비표시 영역을 경유하여 해당 신호 패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first signal wires wired to one side of the image display area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ignal pad via the upper and lower non-display areas of the image display area.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중 어느 한 세로 위치 감지셀은 다른 세로 위치 감지셀과 다른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y on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has a different area from the other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탈 소재 및 메쉬 형태의 단일층 터치 스크린을 제작함에 있어서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의 수 많은 세로 위치 감지셀들에서 연결되어 나가는 내부 배선 영역에서 n개(n은 2이상)의 감지셀을 사이에 두고 배선으로 연결을 형성한 후 신호 패드부 또는 터치 센싱 회로부에 연결함으로써 종래에 차지했던 터치 영역 내의 배선 영역을 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manufacturing a single-layer touch screen of the metal material and mesh form n (n is 2 or more) in the internal wiring area connected from a number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of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 Since the connection is formed by wiring with the sensing cells of th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wiring area in the touch area,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occupied, can be reduced by half by connecting to the signal pad part or the touch sensing circuit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탈 메쉬 형태인 단일층의 터치 스크린을 대화면에 적용하는 경우에 특히 급격하게 증가하는 FPCB 본딩부의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단위 터치 감지 셀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어져서 터치 감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size of the unit touch sensing cell in ord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FPCB bonding part which is particularly rapidly increased when a single layer touch screen having a metal mesh shape is applied to a large screen, thereby maintaining touch sensitivity. There are advantages to it.

왜냐하면, 셀의 크기가 줄어들면 액티브 영역안에 들어가는 셀의 개수가 증가하여 FPCB 본딩부의 두께가 증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s the size of the cell decreases, the number of cells entering the active area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FPCB bonding part.

또한, 터치 셀들의 소재를 기존의 ITO(Indume Tin Oxide)등에서 금속 재료로 채택하고 그 형상을 벌집모양의 단일층의 메쉬 패턴으로 구성하여 터치 감도가 좋으면서도 시인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screen devic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visibility and good touch sensitivity by adopting the material of the touch cells as a metal material in the existing Indume Tin Oxide (ITO), etc. and forming the shape into a honeycomb single layer mesh pattern Can provide.

도 1은 종래의 메탈 메쉬 패턴의 경우에 터치 셀들이 배치되는 형상 및 배선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다.
도 2a는 상기 도 1의 메탈 메쉬 패턴의 터치 셀들 중 한 개의 센서와 센싱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b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의 한개의 센서와 센싱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ITO 소재의 X,Y 터치전극을 동일 층에 위치시키는 경우에 터치 면과 터치 전극셀의 관계를 모식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메쉬 패턴과 이를 적용한 X 전극 및 Y 전극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셀의 배치 및 배선 연결 상태를 전체 터치 전극면 중 일부를 확대하여 도식화한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A 부분에 대하여 실제 메탈 배선이 연결된 형태를 위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터치 셀들간의 배치 상태 및 패드부와 연결되는 전체적인 배선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터치 셀들간의 배치 상태 및 패드부와 연결되는 전체적인 배선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터치 셀들간의 배치 상태 및 패드부와 연결되는 전체적인 배선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touch cells are disposed and a connection structure of a wir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etal mesh pattern.
FIG. 2A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and a sensing circuit of one of the touch cells of the metal mesh pattern of FIG. 1.
2B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one sensor and a sensing circuit when a user's touch input is applied.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touch surface and a touch electrode cell when X and Y touch electrodes of ITO material are positioned on the same layer.
4A and 4B are plan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mesh patter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an X electrode and a Y electrode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FIG. 5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and schematic view of a part of all touch electrode surfaces in a layout and a wiring connection state of a touch cell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B is a plan view mainly showing a form in which metal wires are actually connected to portion A of FIG. 5A.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between neighboring touch cells and an overall wiring structure connected to the pad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between neighboring touch cells and an overall wiring structure connected to a pad uni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between neighboring touch cells and an overall wiring structure connected to a pad unit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herein will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scope of the rights shall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comprises" or "having"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mbinations which can be presented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two items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as well as two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respectively.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term " on " means to include not only when a configuration is formed directly on top of another configuration but also when a third configura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se configuration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메쉬형 터치 스크린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 mesh type touch scree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6.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메탈 소재의 가는 금속 라인들의 연결 및 단선의 반복을 통하여 터치 감지 영역을 형성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종래의 기술에서 메탈 소재의 금속 라인으로 메쉬 형태의 터치 전극을 별도로 만들어 그 사이에 절연층을 개재한 것과는 확연히 차별화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구조에서 필요한 절연층을 삭제함으로써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체 표시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it can be seen that a touch sensing region is formed through repetition of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in metal lines of a metal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uch a structure, the touch electrode of a mesh type is separately made of a metal line of a metal material in the prior art, and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an intervening insulating layer therebetween. The thickness of the entir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또한 종래의 구조와 같이 절연층을 포함할 경우 최소 3개의 마스크 공정을 통하여 터치 센서 전극을 형성하여야 하나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전극은 메탈 소재를 이용하여 단일 층의 구조이기 때문에 단 한번의 마스크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insulating layer as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 touch sensor electrode should be formed through at least three mask processes. However, since the touch sensor electr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ngle layer structure using a metal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oduced in a single mask process.

상기 도 5a 내지 도 6에서 화상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터치 감지 영역 (501)이라고 정의한다.5A to 6,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 area is defined as the touch sensing area 501.

상기의 터치 감지영역(501)의 바깥 영역에서 위치 감지셀(1100, 1200)과 외부의 터치 센싱 회로(미도시)를 연결하는 배선들이 형성되는 부분을 외부 배선 영역(201)이라고 칭한다. 또한, 상기 터치 감지영역 (501)의 내부에서 상기 가로 위치 감지 셀(1100)과 세로 위치 감지셀(1200)의 사이에서 세로 위치 감지셀(1200)들과 외부의 터치 센싱 회로(미도시)간을 연결하는 배선부가 형성되는 영역을 내부 배선 영역(401)이라고 정의한다. A portion in which wires connecting the position sensing cells 1100 and 1200 and an external touch sensing circuit (not shown) are form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touch sensing region 501 is called an external wiring region 201. In addition, between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 1200 and the external touch sensing circuit (not shown) between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1100 and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 1200 in the touch sensing area 501. An area in which the wiring portion connecting the wires is formed is defined as an internal wiring region 401.

또한, 도 5a에서 TS101 내지 TS114의 터치 감지셀의 연결을 이루어 1개의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를 이루게 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5A, it can be seen that one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 is formed by connecting the touch sensing cells of TS101 to TS114.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에서 표시한 메탈 소재 금속 라인들을 이용하여 단일층의 메쉬 형태로 구현한 터치 전극의 각 감지 셀에서 외부의 터치 센싱 회로 또는 신호 패드로 연결되는 배선이 분기하는 구조를 상세히 표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a structure in which wires connected to external touch sensing circuits or signal pads branch from each sensing cell of a touch electrode implemented in a single layer mesh form using the metal material metal lines shown in FIG. 5A is described in detail. You can see the expression.

또한,도 5b에서 외부 배선 영역(201)및 내부 배선 영역(401)에서 진한 색으로 표시된 배선의 연결로 표현되는 금속 라인들 이외에 나머지 배선 영역도 실제로는 가는 금속 라인들(연한 색의 메쉬 패턴)로 채워져 있다. 도 5b의 일부 확대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지 배선들의 연결 및 단선을 통하여 외부 센싱회로와의 신호적 연결 배선이 구현될 뿐임을 유의하여야 한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metal lines represented by the connection of the wirings shown in dark colors in the external wiring region 201 and the internal wiring region 401 in FIG. 5B, the remaining wiring regions are actually thin metal lines (light colored mesh pattern). Filled with. As can be seen in some enlarged views of FIG. 5B,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ignal connection wiring with the external sensing circuit is implemented through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wirings.

즉, 본 발명의 터치 감지 셀에서 분기되는 배선 구조의 경우는 실재 외부 신호 패드와 터치 감지셀을 연결하는 신호 배선 이외에 나머지 배선 영역에 공백을 남겨두지 않고 메탈 소재의 가는 금속 라인들의 연결 및 단선의 반복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터치 센싱 전극과 함께 형성되는 배선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외부에서 덜 시인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wiring structure branched from the touch sensing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signal wiring connecting the actual external signal pad and the touch sensing cell,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thin metal lines of the metal material without leaving a blank in the remaining wiring area Since it is made through the repetition has a relatively less visible from the outside compared to the wiring structure formed with the conventional touch sensing electrode.

도 6은 이러한 메쉬형 터치 센서가 3 개의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와 그에 대응한 3개의 가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로 형성된 것을 가정하여 도식화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mesh type touch sensor is formed of three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s and thre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traces corresponding thereto.

도 6을 참조하면, 화상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가 3열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 사이의 영역에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가 평면적으로 마주하여 배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three vertical position detection traces are arranged in three rows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 area, and vertical position detection traces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are disposed in a plane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horizontal position detection traces. .

이때,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세로 위치 감지셀(1200)의 일측 방향으로만 그리고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의 모든 감지셀로부터 신호 배선을 분기시키는 방법으로 외부의 터치 센싱 회로와 연결시켰으므로 전체 패널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세로 위치 감지셀들(1200)을 외부의 센싱 회로(미도시)와 연결시키기 위해 액티브 영역 및 외곽 영역에서 배치되는 연성회로 기판(FPCB)과의 본딩부의 넓이가 지나치게 커지고 액티브 영역 내에서 데드존(dead zone)이 넓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At this time, in the related art, the size of the entire panel is connected to an external touch sensing circuit only in one direction of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 1200 and by branching signal wires from all sensing cells of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 As is increased, the area of the bonding portion with the flexible circuit board FPCB disposed in the active region and the outer region becomes excessively large to connect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1200 with an external sensing circuit (not shown). In the dead zone (dead zone) there was a problem of widening.

이에, 도 5a 및 도 6에 나타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세로 위치 감지셀의 좌우 측 방향으로 상기 라우팅 배선을 분기하여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와 상기 터치 센싱 회로를 연결하는 배선 연결 구조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Thus, as shown in FIGS. 5A and 6, a wiring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 and the touch sensing circuit by branching the routing lines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 is applied. In this way, the conventional problems can be solved.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세로 위치 감지셀(1200)은 좌측에서부터 TS101 내지 TS114 로 표시되는 각각의 세로 위치 감지셀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로 위치 감지셀(1100)은 상기 세로 위치 감지셀(1200)들의 모든 배열 구간에 해당되는 만큼의 길이로 평면적으로 인접하여 중첩되어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6, in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1200,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represented by TS101 to TS114 are arranged in a line from the left side. In addition,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s 1100 overlap each other in planar length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all the arrangement intervals of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1200.

여기서 상기 세로 위치 감지셀(1200)들 간의 배선 연결 관계를 살펴보면 TS101 감지셀과 가장 인접한 TS202 및 TS203을 건너뛰고 TS204와 상호간에 일측 방향으로 신호 배선을 형성한 후에 해당 연결 배선에서 단일 배선을 추가로 분기시켜 외부의 배선영역으로 연장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배선 연결이 이루어진 방향과 반대인 타측 방향으로 상기 배선 연결에서 건너뛴 TS202 및 TS203을 상호간에 연결을 형성하여 해당 연결 배선에서 단일 배선을 추가로 분기시켜 터치 감지 영역의 외부 배선 영역 또는 인접하여 형성된 추가의 단일 배선과 연결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the wiring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1200, a signal wiring is formed in one direction between TS202 and TS203 closest to the TS101 sensing cell, and a single wiring is additionally formed in the corresponding connecting wiring. It takes a structure to branch and extend to an external wiring area. In addition, a connection between TS202 and TS203 skipped in the wiring connection is formed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ing connection is made. It may take the structure of connecting with the additional single wiring formed.

상기와 같이 첫 번째와 네 번째의 셀을 하나의 채널로 연결함으로써 동일한 터치 성능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채널의 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the first and fourth cells to one channel, the number of required channels can be reduced in half while maintaining the same touch performance.

다시 말하면 액티브 영역 내에서 상기와 같이 터치 셀들을 적절하게 공통으로 묶어서 외부의 배선 영역으로 연장시키는 구조를 채택하면 도 1 과 같은 종래의 구조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배선 폭을 줄일 수 있고 기존의 배선 구조에서 발생했던 터치 감도를 저감시키는 데드 존(Dead zone)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adop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touch cells are appropriately grouped in common in the active region and extended to an external wiring region as described above, the wiring width can be relatively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as shown in FIG. The dead zone problem that reduces the touch sensitivity that occurred in the can be solved.

상기의 새로운 배선 연결 구조에서의 효과들은 메탈 메쉬 패턴의 터치 스크린을 대형 화면의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경우에 더 극대화될 수 있다.Effects of the new wire connection structure may be further maximized when the touch screen of the metal mesh pattern is applied to the display of a large screen.

정리하면,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세로 위치 감지셀(1200)의 양 측면 방향으로 배선을 분기시킴으로써 종래의 구조에서 소요되었던 배선의 영역의 넓이보다 훨씬 좁게 연결이 가능해지므로 터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지나친 배선부로 인한 터치 성능 감소 현상의 원인인 데드 존(Dead zone)의 크기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In summary, as shown in FIG. 6, branching the wires in both side directions of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 1200 enables the connection to be much narrower than the area of the wiring area required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 size of the dead zone, which causes touch performance reduction due to excessive wiring, can also be minimized.

도 7 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조에서 각 세로 위치 감지 셀과 신호 패드 부 간의 연결 배선 구조의 변형예를 도식화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connection wiring structure between each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 and the signal pad portion in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메탈 소재를 적용한 단일층 구조의 메쉬형 터치 센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 mesh type touch sensor having a single layer structure to which a metal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즉, 세로 위치 감지셀의 집합으로 구성된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들 상호 간의 배선 연결 구조 및 각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와 신호 패드부 간의 연결 구성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의 그것과 비교하여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와 가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 사이의 영역 부분의 배선부 넓이를 좀 더 축소시키는데 중점을 둔 구조라고 할 수 있다.That is, in the wiring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s composed of a set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nd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each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 and the signal pad unit,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 and the horizontal position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It can be said that the structure focuses on further reducing the width of the wiring part in the area between the sensing traces.

상기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감지 트레이스와 신호 패드부간의 배선 연결에 있어 가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의 외곽 영역을 경로로서 활용하지 않고 있으나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최외곽의 가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의 최외곽 영역(601)도 배선 연결 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터치 액티브 영역 중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와 가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에서의 배선 영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area of the horizontal position detection trace is not used as a path in the wiring connection between the detection trace and the signal pad unit. 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The outermost region 601 of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trace of L is also used as the wiring connection region, which serves to relatively reduce the wiring position in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 and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trace among the touch active regions.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와 같이 가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의 외곽부인 비표시 영역의 최외곽 영역(601)까지 활용하기 위하여 각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감지 셀은 좌측으로 분기시켜 상기 최외각 영역(601)을 경유하여 감지 패드와 연결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반대로 상기 각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감지 셀들은 우측 방향으로 배선을 분기시켜 직접 감지 패드부와 연결시키는 구조를 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each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 of each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 is utilized to utilize the outermost region 601 of the non-display area, which is the out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trace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center, the left sensing cell branches to the left and connects to the sensing pad via the outermost region 601. On the contrary, the sensing cells locat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each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 are in the right direction. As a result, the wiring is branched to directly connect with the sensing pad unit.

정리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의 일측 영역 중 패드부와 가까운 감지셀은 패드 부와 직접 배선으로 연결하고 패드부와 먼 쪽의 감지 셀은 최외곽의 비표시부를 통하여 패드부와 배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다.
In summary,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cell close to the pad portion of one side area of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ad portion, and a sensing cell far from the pad portion is the outermost non-display portion. The main feature is to connect to the pad portion and the wiring through.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터치 셀들간의 배치 상태 및 패드부와 연결되는 전체적인 배선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between neighboring touch cells and an overall wiring structure connected to a pad unit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메탈 소재를 적용한 단일층 구조의 메쉬형 터치 센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8, a mesh type touch sensor having a single layer structure to which a metal materi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세로 위치 감지셀(3200)은 좌측에서부터 TS101 내지 TS112로 표시되는 각각의 세로 위치 감지셀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로 위치 감지셀(3100)은 상기 세로 위치 감지셀(3200)들의 모든 배열 구간에 해당되는 만큼의 길이로 평면적으로 인접하여 중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in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3200,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represented by TS101 to TS112 are arranged in a row from the left side. In addition,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s 3100 overlap each other in planar length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all of the arrangement periods of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3200.

여기서 상기 세로 위치 감지셀(3200)들 간의 배선 연결 관계를 살펴보면 TS101 감지셀은 자신과 가장 인접하며 그 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TS102 및 그와 인접한 TS103을 건너뛰고 TS104와 상호간에 일측 방향으로 배선 연결을 형성한 후에 해당 연결 배선에서 단일 배선을 추가로 분기시켜 외부의 배선영역으로 연장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Here, referring to the wiring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3200, the TS101 sensing cell skips TS102 and its adjacent TS103, which are closest to each other and whose size is relatively large, and is wired in one direction with TS104. After the connection is formed, a structure in which a single wiring is further branched from the connection wiring to extend to an external wiring area.

상기의 감지셀 크기 조절과 관련하여 커패시턴스의 값은 전극의 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상기 TS102 및 TS103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거나 또는 반대로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면 TS201과 TS204가 신호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와 관련하여 모든 세로 위치 감지셀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와는 다른 터치 성능 변화를 야기하게 된다.In relation to the sensing cell size control, the capacitance value is proportional to the area of the electrode, so that when the size of the TS102 and TS103 is made relatively large or, on the contrary, is made relatively small, the TS201 and TS204 are connected by signal wiring. In relation to the above, it causes a different touch performance change than the case where all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have the same size.

왜냐하면, 세로 위치 감지셀인 TS201과 TS204가 신호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로 위치 감지셀인 RS1 이나 RS2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값은 세로 위치 감지셀 TS202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커패시턴스 값보다 크게 되고, 터치의 인식은 커패시턴스의 변화값으로 측정하는데 이 경우 RS1와 TS103 사이를 터치하는 경우는 총 면적의 반을 터치하는 것이지만 TS102의 경우는 총면적을 모두 터치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커패시턴스의 변화값이 크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Because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TS201 and TS204 are connected by signal wires, the capacitance value generated between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s RS1 or RS2 is greater than the capacitance value generated between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TS202 and the touch. Recognition is measured by the change in capacitance. In this case, when touching between RS1 and TS103, touch half of the total area, but in case of TS102, the total change of capacitance can occur because the total area is touched. Because.

즉, 터치 감지셀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터치 감지 성능의 향상을 꽤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size of the touch sensing cell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ouch sensing performance.

또한 상기 제 3 실시예의 구조에서도 상기 배선 연결이 이루어진 방향과 반대인 타측 방향으로 상기 배선 연결에서 건너뛴 상기 TS202 및 TS203을 상호간에 연결을 형성하여 해당 연결 배선에서 단일 배선을 추가로 분기시켜 터치 감지 영역의 외부 배선 영역 또는 인접하여 형성된 추가의 단일 배선과 연결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third embodiment, a connection between the TS202 and TS203 skipped in the wiring connection is formed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ing connection is made, thereby further branching a single wiring in the connection wiring to detect touch. It may take a structure to connect with an external wiring region of the region or with a further single wiring formed adjacently.

상기와 같이 첫 번째와 네 번째의 셀을 하나의 채널로 연결함으로써 동일한 터치 성능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채널의 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상기 연결된 첫 번째와 네 번째의 세로 감지셀의 사이에 위치하는 세로 감지셀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게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세로 감지셀 간에 발생되는 상호 커패시턴스의 용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By connecting the first and fourth cells to one channel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required channels can be reduced by half while maintaining the same touch performance. By forming a relatively large or small size of the vertical sensing cells located therebetwee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capacitance of the mutual capacitance generated between adjacent vertical sensing cells.

정리하면 상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액티브 영역 내에서 상기와 같이 터치 셀들을 적절하게 묶고 세로 위치 감지 트레이스를 구성하는 일부의 감지 셀의 크기를 다르게 하면서 외부의 배선 영역으로 연장시키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도 1 과 같은 종래의 구조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배선 폭을 줄일 수 있고 기존의 배선 구조에서 발생했던 터치 감도를 저감시키는 데드 존(Dead zone)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셀의 연결 관계로 인한 센싱 감도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In summary,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touch cells are properly bundled in the active area as described above and extended to an external wiring area while varying the size of some sensing cells constituting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trace. As a resul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as shown in FIG. 1, the wiring width can be relatively reduced and the dead zone problem of reducing the touch sensitivity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wiring structure can be solv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ensing sensitivity problem.

상기의 새로운 배선 연결 구조에서의 효과들은 메탈 메쉬 패턴의 터치 스크린을 대형 화면의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경우에 더 극대화될 수 있다.Effects of the new wire connection structure may be further maximized when the touch screen of the metal mesh pattern is applied to the display of a large screen.

즉,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세로 위치 감지셀(TS101,TS104)을 하나로 연결하는 구성에서 그 사이의 연결되지 못하는 세로 위치 감지셀(TS102,TS202,TS302)로 인하여 커패시턴스 용량 값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는 해당되는 세로 위치 감지셀(TS102,TS202,TS302)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커패시턴스 용량을 증감시키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wo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TS101 and TS104 are connected as one as shown in FIG. If a problem occurs, the size of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TS102, TS202, and TS302 may be adjust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capacitanc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감지영역 11, 1100,3100: 가로 위치 감지셀
14, 1200,3200: 세로 위치 감지셀 20: 배선 영역
30: 표시영역 201: 외부 배선 영역
401: 내부 배선 영역 501: 터치 감지영역
601: 최외곽 영역
10: detection area 11, 1100, 3100: horizontal position detection cell
14, 1200, 3200: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 20: wiring area
30: display area 201: external wiring area
401: internal wiring area 501: touch detection area
601: outermost region

Claims (8)

기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각각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각각에 인접하도록 나란하게 형성된 가로 위치 감지셀;
n개(n은 2이상)의 세로 위치 감지셀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세로 위치 감지셀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상기 가로 위치 감지셀에 연결된 제 2 신호 배선; 및
상기 기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과 상기 제 2 신호 배선에 연결되는 신호 패드를 가지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및 상기 가로 위치 감지셀 각각은 메쉬(mesh)형태를 가지도록 상기 기판의 동일층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 장치.
A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bstrate;
A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nd formed to be adjac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 plurality of first signal wires commonly connected to two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rranged with n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interposed therebetween;
A second signal wir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And
A pad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having a signal pa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signal wires and the second signal wir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nd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s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of the substrate to have a mesh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과 상기 제 2 신호 배선 각각은 메쉬(mesh)형태를 갖는, 터치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ignal wires and the second signal wires has a mesh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은 화상 표시 영역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터치 감지 트레이스를 형성하는, 터치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image display area to form a touch sensing tr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위치 감지셀 및 상기 가로 위치 감지셀 각각은 복수의 금속 라인들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된, 터치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 and the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is formed by crossing a plurality of metal lines with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 트레이스는 가로 위치 감지셀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표시 영역에 복수로 배열된, 터치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touch sensing trace comprises a horizontal position sensing cell and arranged in plurality in the image display are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 배선 각각은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배선되어 해당하는 신호 패드에 접속된, 터치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ignal wires is wir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f the image display area and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signal pa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일측에 배선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신호 배선 각각은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상측 및 하측 비표시 영역을 경유하여 해당하는 신호 패드에 접속된, 터치 스크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signal wires wired to one side of the image display area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signal pad via upper and lower non-display areas of the image display area.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로 위치 감지셀 중 어느 한 세로 위치 감지셀은 다른 세로 위치 감지셀과 다른 면적을 갖는, 터치 스크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touch screen devic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has an area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vertical position sensing cells.
KR1020120158708A 2012-12-31 2012-12-31 Touch screen device KR102068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708A KR102068169B1 (en) 2012-12-31 2012-12-31 Touch scree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708A KR102068169B1 (en) 2012-12-31 2012-12-31 Touch scree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909A KR20140087909A (en) 2014-07-09
KR102068169B1 true KR102068169B1 (en) 2020-01-20

Family

ID=5173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708A KR102068169B1 (en) 2012-12-31 2012-12-31 Touch scree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1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252B1 (en) * 2015-08-31 2022-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rray substrate for touch sensor in-cell typ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210B1 (en) * 2010-04-28 2016-10-06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65513B1 (en) * 2011-02-18 2017-08-09 (주)멜파스 Touchscreen panel including electrode-integrated window
KR101299847B1 (en) * 2011-04-01 2013-08-28 (주)멜파스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touch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909A (en)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390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10983631B2 (en) Touch panel
KR200480701Y1 (en) In-cell touch display panel system using metal wires to connect with sensing electrodes
CN109696998B (en) Touch display device and panel
US8730191B2 (en) Touch screen panel protected against failure due to static electricity
US8659558B2 (en) Touch sensing display panel
US9354756B2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250750B2 (en) Flat panel display with built-in touch panel
US8982078B2 (en) Touch screen panel
KR101322998B1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US20110291994A1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GB2570757A (en) Touch display device and panel
US9436336B2 (en) In-cell touch display structure
JP2018206390A (en)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
KR20100095400A (en) Capacitive touch panel
CN109725780A (en) Touch screen panel and touch display unit including the touch screen panel
CN103902091A (en) Touch control panel
WO2016106849A1 (en) Touch liquid crystal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068169B1 (en) Touch screen device
CN103970311A (en) Touch pad
KR102305463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26515B1 (en) Touch Screen
US20200192511A1 (en) Narrow border touch display apparatus
CN115543121A (en) Touch display panel and mobile terminal
KR102156771B1 (en) Touch scree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