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116B1 - 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concrete usage - Google Patents

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concrete us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116B1
KR102068116B1 KR1020180021119A KR20180021119A KR102068116B1 KR 102068116 B1 KR102068116 B1 KR 102068116B1 KR 1020180021119 A KR1020180021119 A KR 1020180021119A KR 20180021119 A KR20180021119 A KR 20180021119A KR 102068116 B1 KR102068116 B1 KR 10206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hollow lightweight
deck plate
lightweigh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1136A (en
Inventor
이웅균
김운겸
김민수
김민성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1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116B1/en
Publication of KR20190101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1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1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는 층간을 구성하기 위한 데크플레이트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슬래브의 자중을 감소시켜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에 숙련도에 상관없이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내부에 단열재의 추가시공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nd fixing the inside of the deck plate for constituting the interlayer after placing concre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slab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uniform quality irrespective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it is also possible to omit the additional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inside there is an advantage to shorten the air.

Description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CONCRETE USAGE}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CONCRETE USAG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시공시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의 내부 철근과 결합이 용이한 중공 경량재를 구성함으로써, 테크플레이트를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내부 철근과 중공 경량재간의 결합이 용이하여 균일한 품질의 데크플레이트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테크플레이트의 자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내부에 별도의 단열재를 추가로 포함시키지 않아도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a hollow lightweight material tha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the internal reinforcement of the deck plat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ech plate, coupling between the internal reinforcement and the hollow lightweight material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struct a deck plate of uniform quality, which can shorten the air, and also to reduce the weight of the tech plate, and to improve the insulation performance without additionally insulating the insul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n the form of a cube for reducing concrete usage.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각 구조물을 지지하는 수직기둥을 타설한 후, 층간을 구성하기 위한 슬래브나 데크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수직건축물을 시공하게 된다.In general, in order to construct a building, after placing vertical pillars supporting each structure, vertical buildings are constructed by combining slabs or deck plates for constructing floors.

이때 공기를 단축시키기 위하여 공장에서 생산되어진 PC 슬래브를 시공현장으로 이송한 후, 수직기둥과 슬래브를 결합하는 시공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At this time, after transporting the PC slab produced in the factory to shorten the air to the construction site,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mbining the vertical column and the slab is mainly used.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건축물이 20층 이상의 구조를 가지며 초고층화 됨에 따라 PC슬래브를 고층까지 이송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또한 PC구조물간의 결합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건축물의 전체적인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modern society, as the building has more than 20 floors and it becomes very high, it is difficult to transfer the PC slab to higher floors. Also, when an error occurs in the coupling between the PC structures, the overall stability of the building is deteriorated.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트러스 구조를 가지는 테크플레이트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층간을 구성하도록 수평으로 서로 설치한 후, 현장에서 테크플레이트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방법이 적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recent years, a construction method of placing concrete with a tech plate in the field after installing a plurality of tech plates having a truss structure and horizontally installing each other to form an interlayer has been applied.

이러한 시공방법은 수직기둥과 테크플레이트 간의 결합관계를 견고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초고층화된 건축물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지만, 테크플레이트 내부로 투입되는 콘크리트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어, 데크플레이트의 자중이 증가하게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This construction method is able to firmly configure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ertical column and the tech plate, and is suitable as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ultra-high rise building, but the amount of concrete injected into the tech plate is increased, and the deck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weight of the.

또한 건축물의 내부단열을 위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된 테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공기가 증가하게 되며, 또한 작업자의 실력에 따라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is increased by additionally configuring a heat insulator on the concrete plate in which concrete is poured for the internal insul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quality is not uniform according to the worker's abilit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770호에 따르면, 상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지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의 양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지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경량체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량체와, 상기 경량체의 상하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부를 덮는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경량체에 체결되어 상기 중공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하에 설치되는 철근을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덮개에 일체로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덮개를 연결하도록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정점의 양측에 설치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경량체 유닛의 사이 부분에서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부 사이의 거리는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일끝단에서의 한 쌍의 상기 연결지지부 사이의 거리는 타끝단에서의 한 쌍의 상기 연결지지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철근일체형 데크플레이트용 중공 경량체 모듈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 to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21770,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the support wall is formed therein,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wall has a rectangular pillar shap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light body composed of a pair of light weight units, and a cover part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light body and covering the hollow part, wherein the cover part is fastened to the light body and covers the hollow part; It is integrally installed and h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on the cover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cover, the connection suppor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cover and is formed long to connect the pair of the cover, the projection portion It is installed in pairs so as to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apex, and the pair of edges between the pair of lightweight body unit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the connecting support at one end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the connecting support at the other end to provide a hollow lightweight body module for the reinforced integral deck plate do.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각 구성요소간의 공정이 복잡하며, 특히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하여 형성한 구멍에 콘크리트가 온전히 스며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process between each component is complicated, in particular, concrete does not fully penetrate the hole formed in order to cast concrete.

따라서, 데크플레이트와 결합되어 내부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슬래브를 구성할 시 자중을 감소시켜 시공비용 및 공기를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of the new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air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slab when combined with the deck plate to improve the internal insulation effect It still exist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770호 (2016.05.11.)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21770 (2016.05.1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1630호 (2016.03.03.)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01630 (2016.03.0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데크플레이트 내부에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절감하여 슬래브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내부단열 작업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lab by reducing the amount of concrete that is placed inside the deck plate in the field, it is possible to omit the internal insulation work It is to provide a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n the form of a cube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of the new structure that can shorten the ai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100)와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에 있어서, 상기 중공 경량재는 건축물의 수직기둥과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어 층간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0)와,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중공 경량부재(200) 및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의 중심축과 결합되어 중공 경량부재(200)가 회전되어지는 축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with the deck plate 100 used to configure the interlayer of the building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that can be used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In the hollow hollow lightweight material of the cube,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is coupled to the vertical pillars of the building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o form a deck plate 100 and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that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deck plate 100 ( 200 and the shaft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a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rota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크플레이트(100)는 지면과 수평으로 구성되는 기초판(110)과, 상기 기초판(110)의 상측단부에는 기초판(110)의 폭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하현부재(120)와, 상기 복수개의 하현부재(120)의 상측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현부재(140)와, 상기 하현부재(120)와 상현부재(130)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가 안착되어지기 위한 지지부재(130)와, 상기 하현부재(120)와 상현부재(140)를 서로 연결하며 트러스구조로 구성되어지는 래티스 부재(lattice, 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k plate 100 is the base plate 110 is configured to be horizontal to the ground, and the upper end of the base plate 110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base plate 110 It consists of a length, a plurality of lower member 120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lower member 120, the upper member 140 is formed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member 120 and the upper member 130, the support member 130 for mounting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the lower member 120 and the upper member 1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attice member (lattice, 150) is composed of a truss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는 상측단부에 구성되어지는 제1 경량부재(210)와, 하측단부에 구성되어지는 제3 경량부재(230)와, 상기 제1 경량부재(210)와 제3 경량부재(230)의 사이에 구성되어 축 부재(300)를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제2 경량부재(220)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제1,2,3 경량부재(210, 220, 230)은 축 부재(300)와 결합되어지도록 중심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지는 관통공(211, 221, 231)이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the first lightweight member 210 is configured in the upper end, the third lightweight member 230 is configured in the lower end, and the first It is composed of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is configured between the lightweight member 210 and the third lightweight member 230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bout the shaft member 300, the first, second The light weight members 210, 220, and 230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s 211, 221, and 231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coupled to the shaft member 300 are configur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100)와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에 있어서, 상기 중공 경량재는 건축물의 수직기둥과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어 층간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0)와,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중공 경량부재(200) 및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의 중심축과 결합되어 중공 경량부재(200)가 회전되어지는 축 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축 부재(300)는 상하로 분리되어 중공 경량부재(200)의 관통공(211, 221, 231)에 결합되어지는 하부 축 부재(310) 및 상부 축 부재(320)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하부 축 부재(310)의 소정의 위치에는 축 부재(300)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회전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llow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n the form of a cube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deck plate 100 used to form the floor of the building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the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s coupled to the vertical column of the building perpendicular to each other deck plate 100 and constituting the interlayer,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and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deck plate 100 and 200 It comprises a shaft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rotated, the shaft member 300 is vertically separated through the through-holes (211, 221,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t is composed of a lower shaft member 310 and the upper shaft member 320 coupled to 231, and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bout the shaft member 3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shaft member 310. Beco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member (33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축부재(310)는 데크플레이트(100)의 기초판(110)에 안착되어지는 지지부(311)와, 상기 지지부(311)의 상측단부에는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지는 수직축(312)과, 상기 수직축(312)의 소정의 위치에는 수직축(312)의 외경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며 수직축(312)의 지름을 가로지르는 지지핀(313)과, 상기 지지핀(313)의 상측단부에 안착되어지는 탄성재질의 탄성부재(314)와, 상기 수직축(312)의 소정의 위치에는 외경을 따라 구성된 나사산(315)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haft member 310 is supported on the base plate 110 of the deck plate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311, the upper direction The vertical axis 312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support pin 313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axis 31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rtical axis 312 and crosses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axis 312. ), An elastic member 314 of an elastic material seated on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in 313, and a screw thread 315 formed along an outer diamet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rtical axis 312. It is don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재(330)는 중공 경량부재(200)의 제2 경량부재(220)와 결합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회전키(311)와, 중공 경량부재(200)의 제3 경량부재(230)가 안착되어지기 위한 안착판(332)과, 하부 축 부재(310)의 외경에 구성된 나사산(315)과 결합되어지는 나사결합부(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member 330 is combined with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the rotary key 311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hollow lightweight It includes a seating plate 332 for mounting the third lightweight member 230 of the member 200, and a screw engaging portion 333 is engaged with the thread 315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shaft member 310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재(330)는 하부 축 부재(310)의 지지핀(313)과 탄성부재(314)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성하며,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가 하측방향으로 가압되어지면, 탄성부재(314)가 압축되어지며, 이에 대응하여 회전부재(330)의 회전키(331)가 나사산(315)의 형상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며, 상기 회전키(3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 경량부재(220)가 함께 회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member 330 constitutes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pin 313 and the elastic member 314 of the lower shaft member 310, the hollow lightweight When the member 200 is pressed downward, the elastic member 314 is compressed, and correspondingly, the rotary key 331 of the rotating member 330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hread 315.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is rotated toge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key 33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수직기둥의 소정의 위치에는 지면과 수평되어 기초판을 설치하는 단계(S100), 설치되어진 기초판의 상측단부에는 데크플레이트(100)를 설치하는 단계(S200), 기초판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는 중공 경량부재(200)가 설치되어지는 단계(S300),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와 중공 경량부재(200)의 상측단부에는 상부 철근이 서로 교차되어 배근되어지는 단계(S400), 상부 철근이 배근되어진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로 현장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ollow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n the form of a cube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the construction method is based on the ground horizontal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rtical column to form the floor of the building Installing the plate (S100), the step of installing the deck plate 100 on the upper end of the base plate is installed (S200),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installed inside the deck plate 100 installed on the base plate Step (S300), the deck plate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the step of the upper reinforcement crosses each other (S400), the interior of the deck plate 100 is the upper reinforcemen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S500) of pouring the field concrete (C).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중공 경량부재(200)가 설치되어질 시에,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의 제2 경량부재(220)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며, 상기 제2 경량부재(220)의 회전으로 인해 형성되는 중공 경량부재(200)의 홈에 데크플레이트(100)의 지지부재(130)가 안착되어지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installed in the deck plate 100,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t is rotate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so that the support member 130 of the deck plate 100 is seated in the groove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for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disclosed technology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and thu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s a second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parts thereof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는 층간을 구성하기 위한 데크플레이트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슬래브의 자중을 감소시켜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에 숙련도에 상관없이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내부에 단열재의 추가시공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nd fixing the inside of the deck plate for constituting the interlayer after placing concre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slab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uniform quality irrespective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it is also possible to omit the additional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inside there is an advantage to shorten the 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가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가 적용된 평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가 적용된 측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가 적용된 정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s applied in the form of a cube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planar portion applied to the hollow lightweight material of the cube shape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ide portion to which the hollow lightweight material of the cube shape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applied to the hollow lightweight material of the cube shape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hollow hollow lightweight cube-shaped material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hollow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n the form of a cube for reducing the amount of concrete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ollow hollow lightweight cube-shaped material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hollow lightweight material of the cube shape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5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ollow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n the form of a cube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가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rst, Figure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s applied in the form of a cube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100), 중공 경량재(200) 및 축 부재(300)가 결합되어지는 것을 기본적 구성요소로 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component that the deck plate 100,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and the shaft member 300 is coupled.

상기 중공 경량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삽입된 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되어진다.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deck plate 100 as shown in FIG. 2 and then rotated and fix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삽입고정된 중공 경량재(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fixed to the inside of the deck plate 100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3 to 5.

상기 데크플레이트(100)는 건축물의 수직기둥과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어 층간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100)는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어질 수 있다.The deck plate 100 is coupled to the vertical pillar of the building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rlayer. In this case, the deck plate 100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but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in a range capable of achieving the same purpose and function.

상기 데크플레이트(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에 지지부재(130)가 추가로 구성되어진다. The deck plate 100 has a support member 130 is further configured to the deck plate is generally used.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데크플레이트(100)는 지면과 수평으로 구성되어 설치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기초판(110)과, 상기 기초판(110)의 상측단부에는 기초판(110)의 폭길이에 대응되는 방향과 길이로 구성된 하현부재(120)가 구성되어진다.In detail, the deck plate 100 is install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has a base plate 11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upper end of the base plate 110 at the width of the base plate 110. The lower part member 120 having a corresponding direction and length is configured.

상기 하현부재(12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2개가 한쌍으로 구성되어지도록 복수개로 구성된다.The lower port member 120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is configured in plural so that two are configured in pairs.

상기 복수개의 하현부재(120)의 상측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상현부재(140)가 구성되어진다.An upper end portion 140 of the plurality of lower end members 120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이때 상기 상현부재(140)는 2개가 한쌍으로 구성된 상기 복수개의 하현부재(120)의 중앙부분에 위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꼭지점 위치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어진다.At this time, the top member 140 is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urality of lower member 120 is composed of two pairs, as shown in Figure 5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triangle vertex position.

상기 복수개의 하현부재(120)와 상현부재(130)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가 안착되어지기 위한 지지부재(130)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30)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urality of lower member 120 and the upper member 130, the support member 130 for mounting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configured. The support member 1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상기 복수개의 하현부재(120)와 상현부재(140)의 사이에는 트러스구조로 구성되는 래티스 부재(lattice, 150)가 연결되어 구성되어짐으로써 데크플레이트(100)의 구조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A lattice member (lattice) 150 having a truss structure is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lower members 120 and the upper members 140 to improve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deck plate 100.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는 중공 경량부재(200)가 삽입되어 고정되어지는데,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 경량부재(210, 220, 230)가 3등분되어 축 부재(30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진다.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deck plate 100.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lightweight members 210, 220, as shown in FIG. 230 is divided into three and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shaft member (300).

이때 상기 제1 경량부재(210)는 상측단부에 구성되어지며, 제3 경량부재(230)는 하측단부에 구성되어진다. In this case, the first lightweight member 210 is configured at the upper end, and the third lightweight member 230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상기 제1 경량부재(210)와 제3 경량부재(230)의 사이에는 제2 경량부재(220)가 구성되어 상기 축 부재(300)를 중심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진다.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is configured between the first lightweight member 210 and the third lightweight member 230, and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bout the shaft member 300.

상기 제1,2,3 경량부재(210, 220, 230)는 축 부재(300)와 결합되어지도록 중심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211, 221, 231)이 구성되어진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weight members 210, 220, and 230 have through-holes 211, 221, and 231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shaft member 300.

상기에서는 중공 경량부재(200)가 3개의 부재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기재하고 있으나,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이하이거나 그 이상으로 부재가 구성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In the above it is described that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composed of three members, but the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less than or more within the range that can achieve the same purpose and fun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공 경량부재(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다각형으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중공 경량부재(200)를 삽입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부재(300)를 중심으로 제2 경량부재(220)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중공 경량부재(200)를 고정시키게 된다.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polygon of a hexahedron as shown in FIG. 7, and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deck plate 100, as shown in FIG. 8. 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deck plate 100 by rotating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around the shaft member 30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도시한 도면이다.Next, Figures 9 and 10 is a view showing a hollow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n the form of a cube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 부재(300)는 상하로 분리되어 중공 경량부재(200)의 관통공(211, 221, 231)에 결합되어지는 하부 축 부재(310) 및 상부 축 부재(320)로 구성되어진다.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shaft member 300 is vertically separated into the lower shaft member 310 and the upper shaft member 320 which are coupled to the through holes 211, 221, 231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t is constructed.

상기 하부 축 부재(310)의 소정의 위치에는 회전부재(330)가 구성되어, 축 부재(300)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진다.The rotation member 330 is configur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shaft member 310, and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bout the shaft member 300.

상기 하부 축부재(310)는 데크플레이트(100)의 기초판(110) 상측단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311)가 구성되어지며, 상기 지지부(3110)의 상측단부에는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수직축(312)이 구성되어진다.The lower shaft member 3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311 that is seated and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plate 110 of the deck plate 100, the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3110. The vertical axis 312 protrudes as much as is configured.

상기 수직축(312)은 소정의 위치에 지지핀(313)이 구성되어진다. 상기 지지핀(313)은 수직축(312)의 외경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며 수직축(312)의 지름을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진다.The support shaft 312 is configur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rtical axis 312. The support pin 313 protrudes from the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axis 312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nfigured in a shape that crosses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axis 312.

상기 지지핀(313)의 상측단부에는 탄성재질의 탄성부재(314)가 수직축(312)의 외경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진다.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pin 313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axis 312 of the elastic member 314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수직축(312)의 소정의 위치에는 외경을 따라 구성된 나사산(315)이 구성되며, 상기 나사산(315)에 의해 회전부재(330)가 결합되어진다.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rtical axis 312 is formed a thread 315 formed along the outer diameter, the rotating member 330 is coupled by the thread 315.

상기 회전부재(330)의 내부에는 지지핀(313)과 탄성부재(314)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성되어진다.An interior of the rotating member 330 has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pin 313 and the elastic member 314 therein.

상기 회전부재(330)는 중공 경량부재(200)의 제2 경량부재(220)와 결합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키(311)가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회전키(311)의 단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The rotary member 330 is coupled to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composed of a rotary key 311 for rot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otary key 311 is shown in a trapezoidal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within a range capable of achieving the same purpose and function.

상기 제2 경량부재(220)는 상기 회전키(311)와 결합되어지기 위하여, 회전키(311)의 형상과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홈이 형성되어진다.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rotary key 311,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hape of the rotary key 311.

한편, 상기 제3 경량부재(230)가 축 부재(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지기 위하여 회전부재(330)의 하측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안착판(332)이 구성되어진다.Meanwhile, in order to stably fix the third lightweight member 230 to the shaft member 300, a mounting plate 332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rotating member 330.

상기 회전부재(330)는 축 부재(310)의 외경에 구성된 나사산(315)과 결합되어지기 위하여, 나사산(315)의 형상과 모양에 대응되는 나사결합부(333)가 회전부재(330)의 내경에 구성되어진다.The rotary member 330 is coupled to the screw thread 315 form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member 310, the screw coupling portion 333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hape of the screw thread 315 is the It is configured in the inner diamet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부재(330)는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로 중공 경량부재(200)가 삽입되어진 후, 하측방향으로 가압되면 탄성부재(314) 또한 하측방향으로 압축되어진다.The rotating member 3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deck plate 100,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inserted, and when pr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314 is also compr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상기 탄성부재(314)가 하측방향으로 가압되어지면, 이에 대응하여 회전부재(330) 또한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나사산(315)의 형상에 따라 회전부재(330)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진다.When the elastic member 314 is pr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rotating member 330 is also moved downward in response to this, wherein the rotating member 330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screw thread 315 Is rotated.

상기 회전부재(330)가 회전되어지면 이에 대응하여 회전키(331)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며, 상기 회전키(3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 경량부재(220)가 함께 회전되어짐으로써, 중공 경량부재(200)를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중공 경량부재(200)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별도의 설치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rotary member 330 is rotated correspondingly, the rotary key 331 is also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is rotated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key 331, Just by pressing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t is possible to fix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n the interior of the deck plate 100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omitted additional installation work.

또한 중공 경량부재(200)를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nside the deck plate 1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poured in the field.

또한 중공 경량부재(200)로 인하여 별도의 단열시공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공비용의 절감 및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mit a separate heat insulation construction due to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shorten the air.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Next, Figures 11 to 15 are views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ollow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n the form of a cube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의 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수직기둥의 소정의 위치에는 지면과 수평되어지는 기초판을 설치하는 단계(S100), 설치되어진 기초판의 상측단부에는 데크플레이트(100)를 설치하는 단계(S200), 기초판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중공 경량부재(200)가 설치되어지는 단계(S300),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와 중공 경량부재(200)의 상측단부에는 상부 철근이 서로 교차되어 배근되어지는 단계(S400), 상부 철근이 배근되어진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로 현장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S500)로 구성되어진다.In detail, the step of installing a base plate horizontal to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rtical column in order to configure the floor of the building (S100), the deck plate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installed base plate Step (S200), the step of installing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nside the deck plate 100 installed on the base plate (S300), the upper end of the deck plate 100 and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upper Reinforcing bars are cross-reinforced with each other (S400), the upper reinforcement is composed of the step (S500) of pouring the site concrete (C) into the interior of the deck plate 100.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중공 경량부재(200)가 설치되어질 시에,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의 제2 경량부재(200)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진다.At this time, when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installed inside the deck plate 100,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00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제2 경량부재(200)의 회전으로 인하여 중공 경량부재(200)의 중단부에는 소정의 홈이 형성되어지는데, 상기 소정의 홈에는 데크플레이트(100)의 지지부재(130)가 안착되어 고정되어진다.Du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00, a predetermined groove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the support member 130 of the deck plate 100 is fixed to the predetermined groove It is done.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130)에 의해 중공 경량부재(200)가 고정되어 안착되어짐으로써, 데크플레이트(100) 내부로 타설되어지는 현장콘크리트(C)로 인해 중공 경량부재(200)가 부유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현장콘크리트(C)를 타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the hollow light weight member 200 is fixed and seated by the support member 130 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light weight member 200 is suspended due to the site concrete (C) being poured into the deck plate 1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liably cast on-site concrete (C) by preven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이용함으로써 현장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절감시켜 층간을 구성하는 슬래브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using the hollow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n the form of a cu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on-site concrete to reduce the load of the slab constituting the interlayer, thereby reducing the air.

또한 중공 경량부재(200)의 사용이 간편하여 숙련도가 미숙한 작업자가 작업을 하여도 균일한 품질의 시공이 가능하여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easy to use, even if an inexperienced worker works, construction of uniform quality is possible, thereby maintaining excellent qualit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can be done.

100 : 데크플레이트 200 : 중공 경량부재
300 : 축 부재
100: deck plate 200: hollow lightweight member
300: shaft member

Claims (9)

건축물의 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100)와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에 있어서,
상기 중공 경량재는 건축물의 수직기둥과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어 층간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100)와,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중공 경량부재(200) 및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의 중심축과 결합되어 중공 경량부재(200)가 회전되어지는 축 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축 부재(300)는 상하로 분리되어 중공 경량부재(200)의 관통공(211, 221, 231)에 결합되어지는 하부 축 부재(310) 및 상부 축 부재(320)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하부 축 부재(310)의 소정의 위치에는 축 부재(300)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회전부재(33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축부재(310)는 데크플레이트(100)의 기초판(110)에 안착되어지는 지지부(311)와, 상기 지지부(311)의 상측단부에는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지는 수직축(312)과, 상기 수직축(312)의 소정의 위치에는 수직축(312)의 외경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며 수직축(312)의 지름을 가로지르는 지지핀(313)과, 상기 지지핀(313)의 상측단부에 안착되어지는 탄성재질의 탄성부재(314)와, 상기 수직축(312)의 소정의 위치에는 외경을 따라 구성된 나사산(315)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In the hollow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n the form of a cube for reducing the amount of concret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deck plate 100 used to configure the floor of the building to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is coupled to the vertical pillar of the building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o form a deck plate 100,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and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deck plate 100 and 200 Combin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comprises a shaft member 300,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rotated,
The shaft member 300 is composed of a lower shaft member 310 and the upper shaft member 320 which is separated up and down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s 211, 221, 231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shaft member 310 includes a rotating member 330 that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bout the shaft member 300,
The lower shaft member 310 has a support 311 which is seated on the base plate 110 of the deck plate 100 and a vertical shaft protru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311. 312, a support pin 313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axis 31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rtical axis 312 and crossing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axis 312, and the support pin 313. Elastic member 314 of the elastic material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and the predetermined shape of the vertical axis 312 of the cube-shaped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crew thread 315 configured along the outer diameter Hollow lightweight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330)는
중공 경량부재(200)의 제2 경량부재(220)와 결합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회전키(311)와,
중공 경량부재(200)의 제3 경량부재(230)가 안착되어지기 위한 안착판(332)과,
하부 축 부재(310)의 외경에 구성된 나사산(315)과 결합되어지는 나사결합부(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member 330 is
A rotary key 311 coupled to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and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seating plate 332 for seating the third lightweight member 230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rew coupling portion 333 is coupled to the thread 315 configured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shaft member (3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330)는 하부 축 부재(310)의 지지핀(313)과 탄성부재(314)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성하며,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가 하측방향으로 가압되어지면, 탄성부재(314)가 압축되어지며, 이에 대응하여 회전부재(330)의 회전키(331)가 나사산(315)의 형상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며,
상기 회전키(3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 경량부재(220)가 함께 회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member 330 constitutes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pin 313 and the elastic member 314 of the lower shaft member 310,
When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pressed downward, the elastic member 314 is compressed, and correspondingly, the rotary key 331 of the rotating member 330 i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hread 315. Rotate in the direction,
The hollow lightweight material of the cube shape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is rotated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key 331.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수직기둥의 소정의 위치에는 지면과 수평되어 기초판을 설치하는 단계(S100),
설치되어진 기초판의 상측단부에는 데크플레이트(100)를 설치하는 단계(S200),
기초판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는 중공 경량부재(200)가 설치되어지는 단계(S300),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와 중공 경량부재(200)의 상측단부에는 상부 철근이 서로 교차되어 배근되어지는 단계(S400),
상부 철근이 배근되어진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로 현장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In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ollow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n the form of cubes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struction method is
In order to configure the floor of the building step of installing a base plate horizontal to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rtical column (S100),
Installing the deck plate 100 on the upper end of the base plate is installed (S200),
In step S300,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installed inside the deck plate 100 installed on the base plate.
In the upper end of the deck plate 100 and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the upper reinforcing bars are crossed with each other (S400),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ollow hollow lightweight material in the form of a cube for reducing the amount of concrete, comprising the step (S500) of pouring the site concrete (C) into the interior of the deck plate 100 is the upper reinforcement.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중공 경량부재(200)가 설치되어질 시에, 상기 중공 경량부재(200)의 제2 경량부재(220)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며, 상기 제2 경량부재(220)의 회전으로 인해 형성되는 중공 경량부재(200)의 홈에 데크플레이트(100)의 지지부재(130)가 안착되어지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installed inside the deck plate 100,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220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second lightweight member is rotated. 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the concrete us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so that the support member 130 of the deck plate 100 is seated in the groove of the hollow lightweight member 200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220 Construction method 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21119A 2018-02-22 2018-02-22 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concrete usage KR1020681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19A KR102068116B1 (en) 2018-02-22 2018-02-22 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concrete u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19A KR102068116B1 (en) 2018-02-22 2018-02-22 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concrete usag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452A Division KR102102433B1 (en) 2020-01-10 2020-01-10 Construction method using smart hollowweight materials for reducing concrete us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136A KR20190101136A (en) 2019-08-30
KR102068116B1 true KR102068116B1 (en) 2020-01-20

Family

ID=6777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19A KR102068116B1 (en) 2018-02-22 2018-02-22 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concrete us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11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0571A (en) * 2004-02-04 2005-08-18 Kurimoto Ltd Two-way concrete void slab
JP2009167604A (en) 2008-01-11 2009-07-30 Trade Jun:Kk Hollow-portion form embedment material for hollow slab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975327T3 (en) * 2013-09-18 2018-03-10
KR101718050B1 (en) * 2015-06-02 2017-03-20 이기장 The hollowcore slab type-deck plate structure without anti-floating devic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01630B1 (en) 2015-08-04 2016-03-09 (주)덕신하우징 Hollow Core Insulation Deck Plate with Light Weight Body
KR101621770B1 (en) 2016-01-15 2016-05-17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Light weight body module for deck-plate slab with truss girg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0571A (en) * 2004-02-04 2005-08-18 Kurimoto Ltd Two-way concrete void slab
JP2009167604A (en) 2008-01-11 2009-07-30 Trade Jun:Kk Hollow-portion form embedment material for hollow sla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136A (en)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76246A1 (en) Construction components having embedded internal support structures to provide enhanced structural reinforcement for, and improved ease in construction of, walls comprising same
KR102263295B1 (en) Double wall structure with flip type stopper and construction method
CN109505368B (en) Wallboard connecting node for assembled building
KR100779900B1 (en) Hollow member for the deck plate using the same a hollow form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CA2331237C (en) Partially prefabricated waffle slab
KR20210038684A (en) Precast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KR100521647B1 (en) Panel assembly for construction and wall structure thereof
KR102068116B1 (en) Cube-shaped hollow lightweight material for reducing concrete usage
JP5869717B1 (en) Existing concrete structure reinforcement structure
JP6388840B2 (en)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102433B1 (en) Construction method using smart hollowweight materials for reducing concrete usage
US20180044918A1 (en) Pre-fabricated structures and methods
US20180044916A1 (en) Pre-fabricated structures and methods
KR102120426B1 (en) The prefabricated double wall precast concrete
KR101697361B1 (en) Prefabricated columns and beams and slabs connecting structure
KR102255700B1 (en) Truss footboard table apparatus
US20100162651A1 (en) Concrete roof panel
KR101108283B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beam mold and suppor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954752B1 (en)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with the same
JP5056534B2 (en)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for water gradient floor
KR100240137B1 (en) A panel for construction
JP6453116B2 (en) Building floor structure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WO2016204228A1 (en) Building
JP7182383B2 (en)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JP3109877U (en) Base isola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