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908B1 -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908B1
KR102067908B1 KR1020180109976A KR20180109976A KR102067908B1 KR 102067908 B1 KR102067908 B1 KR 102067908B1 KR 1020180109976 A KR1020180109976 A KR 1020180109976A KR 20180109976 A KR20180109976 A KR 20180109976A KR 102067908 B1 KR102067908 B1 KR 10206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ront door
unit
fasten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욱
Original Assignee
이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욱 filed Critical 이광욱
Priority to KR102018010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045Hinges for the movable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고리가 잠긴 상태에서 문을 일정 각도만 열리도록 하여 외부인을 직접 확인하고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노약자, 어린이 또는 여성들이 가정에서 외부인의 강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관문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샤프트 바디, 상기 샤프트 바디의 전단에 설치되고 현관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 및 사용자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의 후단에 설치되는 회전 레버를 포함하는 걸쇠부; 및 현관문에서 상기 걸쇠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잠금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샤프트를 체결하거나 체결을 풀며, 현관문이 다수 단계의 개방각도로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를 다수 단계로 체결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REMOTE CONTROLLED FRONTDOOR AUXILIARY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고리가 잠긴 상태에서 문을 일정 각도만 열리도록 하여 외부인을 직접 확인하고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노약자, 어린이 또는 여성들이 가정에서 외부인의 강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기타 주택이나 건물의 현관 현관문에 부착되어 방범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주 도어락 장치 외에도 보조적으로 안전고리가 설치된다.
기존의 안전고리는, 외부인을 확인하거나 간단한 물건을 주고받을 용도 또는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쓰이며, 이때, 완전히 개방되지 않고 손바닥 한 뼘 정도가 방범상태를 유지한 채 개방되어 쓰이고 있다.
종래의 현관문 안전고리 장치는, 현관문 프레임(문틀)에 설치되는 안전고리, 현관문에 설치되고 현관문이 닫힌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걸쇠고정부에 체결 및 체결 해제되는 안전고리 작동을 포함하게 된다.
즉, 현관문이 닫힌 상태에서 작동부는, 회전하여 걸쇠고정부에 체결되어 약간의 개방구간을 제공하거나 또는 체결 해제되어 문이 완전히 개방되게 작동할 수 있다.
걸쇠고정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작동부는 구비된 힌지브라켓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작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는 걸쇠고정부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체결구에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가 걸쇠고정부에 체결되어 현관문을 열었을 경우, 현관문은 작동바의 길이만큼의 개방구간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종래의 현관문 안전고리 장치는, 외부인의 방문 시 안전을 위하여, 걸림돌기가 작동바에 삽입된 상태로 현관문을 열게 되는 경우 걸림돌기가 작동바의 말단까지 이동됨으로써, 외부의 안전을 확인하고 다시 문을 닫은 후 작동바를 회전시켜 체결돌기의 체결을 해제시킨 후에 현관문을 다시 열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현관문 안전고리 장치는, 외부인이 문이 벌어진 약간의 간격을 도구를 이용해 작동바를 회전시킬 수 있고, 걸쇠고정부로부터 작동부의 체결이 쉽게 해제될 수 있어 방범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76826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245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안전고리가 잠긴 상태에서 현관문이 다수 단계의 개방각도로 열리도록 하여 외부인을 직접 확인하고 대화하거나 물건을 주고받도록 하며,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안전고리의 잠금을 제어함으로써 노약자, 어린이 또는 여성들이 가정에서 외부인의 강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는, 현관문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샤프트 바디, 상기 샤프트 바디의 전단에 설치되고 현관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 및 사용자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의 후단에 설치되는 회전 레버를 포함하는 걸쇠부; 및 현관문에서 상기 걸쇠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잠금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샤프트를 체결하거나 체결을 풀며, 현관문이 다수 단계의 개방각도로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를 다수 단계로 체결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리모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샤프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바디에 설치되며, 후단에 설치된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회전 몸체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몸체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 뭉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본체부에서의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전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 설정된 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현관문에서 상기 걸쇠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본체; "U"형태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이 상기 걸쇠부와 대향하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이 회동하여 밀폐된 다른 일측까지만 상기 걸쇠부가 이동하도록 체결하는 안전고리; 및 상기 리모콘부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잠금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안전고리를 회동시켜 상기 걸쇠부를 체결하거나 체결을 푸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고리는, "U"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일측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기어가 상기 구동부에 맞물려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는 고리 본체; 상기 고리 본체의 일측 개방된 입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걸쇠부의 체결 날개를 포함한 회전 몸체의 직경보다 넓도록 형성되는 입구홈; 및 상기 입구홈으로부터 상기 고리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 날개를 포함한 상기 회전 몸체의 직경보다는 좁고, 상기 회전 몸체만의 직경보다는 넓도록 형성되는 연장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고리는, 회동된 상태로 상기 연장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체결 날개가 반대 방향으로 다시 회동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날개를 포함한 상기 회전 몸체의 직경보다 넓도록 상기 연장홈의 기 설정된 부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모콘부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구동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일측에 설치된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부; 상기 구동 모터부의 기어로부터 상기 안전고리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동 모터부의 기어와 맞물린 일측이 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이동함에 따라 다른 일측에 맞물린 상기 안전고리의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안전고리를 회동시키는 렉기어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잠금 요청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안전고리가 상기 걸쇠부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렉기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구동 모터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잠금 해제 요청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걸쇠부로부터 상기 안전고리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렉기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구동 모터부로 전달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샤프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바디에 설치되며, 후단에 설치된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회전 몸체; 상기 회전 몸체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몸체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 뭉치; 상기 본체부에서의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전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 설정된 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날개; 및 상기 회전 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탄성 수단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으며, 상기 회전 몸체의 일측에서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탄성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탄성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 몸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U"형태의 안전고리에 형성된 연장홈의 입구 부분으로부터 상기 안전고리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중간홈까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방문자 확인 시 현관문이 다수 단계로 개방됨으로써, 방문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인하여 외부인의 강제 출입을 방지하고, 개방된 공간으로 물건을 주고받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현관문의 잠금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거실이나 안방 등에 있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현관문의 체결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현관문까지 직접 이동하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걸쇠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샤프트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본체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안전고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3의 샤프트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안전고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10)는, 걸쇠부(100) 및 본체부(200)를 포함한다.
걸쇠부(100)는, 현관문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샤프트 바디(110), 샤프트 바디(110)의 전단에 설치되고 현관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120) 및 사용자가 샤프트(1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샤프트(120)의 후단에 설치되는 회전 레버(13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걸쇠부(100)의 각각의 구성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샤프트 바디(110)는, 현관문의 프레임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되며, 전단에 샤프트(120)가 설치된다.
샤프트(120)는, 본체부(200)와 대향하는 샤프트 바디(110)의 전단에 설치되며, 본체부(2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본체부(2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후단에 설치된 회전 레버(130)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 레버(130)는, 도 3의 (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사용자가 엄지손가락 등으로 누르거나 두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샤프트(1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어 샤프트(120)의 후단에 샤프트(120)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체부(200)는, 현관문에서 걸쇠부(100)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리모콘부(30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잠금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샤프트(120)를 체결하거나 체결을 풀며, 현관문이 다수 단계의 개방각도로 열릴 수 있도록 샤프트(120)를 다수 단계로 체결하여 현관문이 다수 단계로 열리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10)는, 리모콘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200)는, 건물의 시공 단계에서 도어락 등의 제어를 위해 설치되는 월패드 등에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접근하고 제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리모콘부(300)는, 와이파이망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본체부(200)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10)는, 방문자 확인 시 현관문이 다수 단계로 개방됨으로써, 방문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인하여 외부인의 강제 출입을 방지하고, 개방된 공간으로 물건을 주고받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리모콘부(300)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현관문에 설치된 본체부(200)의 잠금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거실이나 안방 등에 있는 경우에도 간편하게 현관문의 체결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현관문까지 직접 이동하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샤프트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샤프트(120)는, 회전 몸체(121) 및 체결 뭉치(122)를 포함한다.
회전 몸체(121)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샤프트 바디(110)에 연결 설치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후단에 설치된 회전 레버(13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며, 전단에 체결 뭉치(122)가 형성되고,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체결 날개(123)가 돌출 형성된다.
체결 뭉치(122)는, 회전 몸체(121)의 전단에 형성되며, 회전 몸체(121)가 본체부(2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즉, 체결 뭉치(122)는, 회전 몸체(121)가 후술하는 연장홈(223, 도 6을 참조)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단의 지름이 연장홈(223)의 너비보다 넓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샤프트(120)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날개(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날개(123)는, 본체부(200)에서의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몸체(12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전후 길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높이로 형성된다.
이때, 체결 날개(123)의 높이는, 후술하는 연장홈(223)의 너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몸체(121)와 체결 날개(123)를 포함한 직경이 연장홈(223)의 너비보다 넓도록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연장홈(223)의 너비가 10mm이고, 회전 몸체(121)의 두께가 8mm라고 할 경우, 체결 날개(123)의 높이는 2mm를 초과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본체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200)는, 본체(210), 안전고리(220) 및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본체(210)는, 본체부(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형성하며, 현관문에서 걸쇠부(100)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일측에 안전고리(220)가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구동부(230)가 설치된다.
안전고리(220)는, "U"형태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이 걸쇠부(100)와 대향하는 본체(2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구동부(230)에 의해 일측이 회동하여 밀폐된 다른 일측까지만 걸쇠부(100)가 이동하도록 걸쇠부(100)를 체결한다.
구동부(230)는, 리모콘부(30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잠금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안전고리(220)를 회동시켜 걸쇠부(100)를 체결하거나 체결을 푼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체부(200)는, 안전고리(220)가 회동하여 걸쇠부(100)를 체결하거나 다시 회동하여 체결이 풀릴 경우 LED 램프 등과 같은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어, 4초 내지 6초 등)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본 발명의 작동을 통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체부(200)는, 본체(210)에 충격 감지 센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현관문의 닫힘에 의해 본체(210)에 충격이 감지될 경우 충격 감지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한 후, 침입 등과 같은 위급한 경우가 아닌 경우 문이 자동으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고리(220)가 걸쇠부(100)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체(210)에 일정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30초 이내 등) 동안 복수 번(예를 들어, 3회 이상 등)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침입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고리(220)를 걸쇠부(100) 방향으로 회동시켜 현관문을 잠근 후,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LED 램프 등과 같은 표시 수단을 지속적으로 발광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침입을 알아차리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자동 모드는, 후술하는 잠금 감지부(232)의 센싱에 따른 구동 또는 리모콘부(300)를 통한 구동 요청에 따른 구동 모드로써, 양자 모두 사용자가 손으로 안전고리(220)를 회동시키지 않는 경우에도 구동부(230)에 의해 안전고리(220)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체결되는 경우이다.
다음으로, 수동 모드는, 리모콘부(300)를 통한 구동 요청이 없는 경우로서, 사용자가 안전고리(220)를 손으로 파지한 후 수동으로 회동시켜 체결시키는 경우이다.
따라서, 구동부(230)는 수동 모드의 경우,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안전고리(220)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5의 안전고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안전고리(220)는, 고리 본체(221), 입구홈(222) 및 연장홈(223)을 포함한다.
고리 본체(221)는, "U"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일측이 본체(2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기어가 구동부(230)에 맞물려 구동부(230)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며, 입구 부분에 입구홈(222)이 형성되고, 내측에 연장홈(223)이 형성된다.
입구홈(222)은, 고리 본체(221)의 일측 개방된 입구 부분에 형성되며, 걸쇠부(100)의 체결 날개(123)를 포함한 회전 몸체(121)의 직경보다 넓도록 형성되며, 고리 본체(2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연장홈(223)과 대향하며 형성된다.
연장홈(223)은, 입구홈(222)으로부터 고리 본체(221)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체결 날개(123)를 포함한 회전 몸체(121)의 직경보다는 좁고, 회전 몸체(121)만의 직경보다는 넓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전고리(220)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홈(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홈(224)은, 회동된 상태로 연장홈(223)을 따라 이동하는 체결 날개(123)가 반대 방향으로 다시 회동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날개(123)를 포함한 회전 몸체(121)의 직경보다 넓도록 연장홈(223)의 기 설정된 부분(예를 들어, 연장홈(223)의 중간 부분 또는 연장홈(223)의 말단 부분 등)에 형성된다.
이때, 중간홈(224)은, 연장홈(223)과 수평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이동하는 체결 날개(123)가 연장홈(223)으로부터 넘어온 후 직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체결 날개(123)를 포함한 회전 몸체(121)의 직경보다 넓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장홈(223)의 너비가 10mm이고, 회전 몸체(121)의 두께가 8mm라고 할 경우, 체결 날개(123)의 높이는 3mm인 경우, 중간홈(224)의 너비는 11mm를 초과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즉, 체결 날개(123)가 연장홈(223)과 수평 방향이 되도록 회전 몸체(121)가 회전한 경우에는 회전 몸체(121)의 두께가 연장홈(223) 보다 작아 연장홈(223)을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을 것이나, 중간홈(224)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121)가 90° 회전한 경우에는 회전 몸체(121)와 체결 날개(123)를 합한 두께가 연장홈(223)보다 두껍게 되어 연장홈(223)을 통해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고 중간홈(224)에 체결되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전고리(220)는, 현관문이 열릴 경우에 걸쇠부(100)가 안전고리(220)의 전단에 위치한 입구홈(222)에 일차적으로 걸려 현관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개방된 현관문의 틈을 이용하여 절단도구 등을 넣어 안전고리 등을 절단시키고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 단계로 현관문이 개방되도록 하여 개방된 현관문의 틈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물건을 전달받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중간홈(224-1)까지 걸쇠부(100)가 이동한 후 체결되는 1단계 개방을 통해 우유나 신문 등과 같은 작은 물건을 외부로부터 전달받도록 하거나, 제2 중간홈(224-2)까지 걸쇠부(100)가 이동한 후 체결되어 1단계 개방시보다 현관문이 더 개방되는 2단계 개방을 통해 보다 큰 물품인 택배박스 등을 전달받거나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걸쇠부(100)가 입구홈(222), 제1 중간홈(224-1) 또는 제2 중간홈(224-2)에 체결되는 각각의 경우, 체결 날개(123)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홈에 체결됨으로써 사용자가 현관문을 손으로 잡지 않아도 개방된 현관문이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부(230)는, 통신부(231), 구동 모터부(233), 렉기어부(234) 및 구동 제어부(235)를 포함한다.
통신부(231)는, 리모콘부(300)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리모콘부(300)로부터 잠금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이 수신될 경우 이를 구동 제어부(235)로 전달한다.
도 8a을 참조하면, 구동 모터부(233)는, 구동 제어부(235)로부터 전달되는 구동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일측에 설치된 기어(2331)를 회전시킨다.
렉기어부(234)는, 구동 모터부(233)의 기어(2331)로부터 안전고리(220)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2211)까지 연장 형성되며, 구동 모터부(233)의 기어(2331)와 맞물린 일측이 기어(2331)의 회전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다른 일측에 맞물린 안전고리(220)의 기어(2211)를 회전시켜 안전고리(220)를 회동시킨다.
즉, 렉기어부(234)와 구동 모터부(233)의 기어(2331) 또는 안전고리(220)의 기어(2211)는, 각각 렉 기어(rack gear)와 피니언 기어(pinion gear)의 역할을 수행하며, 렉기어부(234)의 수평 운동에 의해 구동 모터부(233)의 기어(2331) 또는 안전고리(220)의 기어(2211)의 회전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35)는, 통신부(231)를 통해 잠금 요청이 전달되는 경우 안전고리(220)가 걸쇠부(100)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렉기어부(234)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구동 모터부(233)로 전달하며, 통신부(231)를 통해 잠금 해제 요청이 수신될 경우 걸쇠부(100)로부터 안전고리(22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렉기어부(234)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구동 모터부(233)로 전달한다.
즉, 구동 모터부(233)는, 구동 제어부(235)로부터 전달되는 제1 구동 제어 신호 또는 제2 구동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기어(23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렉기어부(234)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제어부(235)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a은 안전고리(220)가 회동하기 전 상태로서, 통신부(231)를 통해 잠금 요청이 전달될 경우 구동 모터부(233)에 의해 기어(2331)가 회전하여 렉기어부(234)가 좌측 방향(도 8b를 기준으로)으로 이동하면서 기어(2211)를 회전시켜 안전고리(220)가 회동하여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방향으로 기립하게 된다.
안전고리(220)가 기립하게 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부(100)의 샤프트(120)가 안전고리(220)의 입구홈(222)에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현관문이 열리면 샤프트(120)가 연장홈(223)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구동부(230)는, 잠금 감지부(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감지부(232)는, 마그넷 센서(magnet sensor, 도어나 창 등 개폐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침입자를 감지하는 방범 감지기로서, 자석부와 스위치부로 이루어지며, 양자가 접근하든가 떨어지든가 하면 전기 접점이 열려서(닫혀서) 작동) 등으로 형성되며, 현관문의 잠금이 감지될 경우 잠금 감지 신호를 생성시켜 이를 구동 제어부(235)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235)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잠김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현관문이 닫히면 걸쇠부(100)를 체결하여 현관문이 잠기도록 하는 자동 잠김 모드가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감금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잠금 감지부(232)로부터 전달되는 잠금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구동 모터부(233)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샤프트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120)는, 회전 몸체(121), 체결 뭉치(122), 체결 날개(123) 및 탄성 돌기(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 몸체(121), 체결 뭉치(122) 및 체결 날개(123)는, 도 4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탄성 돌기(124)는, 회전 몸체(12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탄성 수단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으며, 회전 몸체(121)의 일측에서 기 설정된 높이(예를 들어, 2mm 내지 10mm 등)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회전 가이드홈(22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200)는, 탄성 돌기(124)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 몸체(121)가 회전할 수 있도록 "U"형태의 안전고리(220)에 형성된 연장홈(223)의 입구 부분으로부터 안전고리(22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중간홈(224)까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홈(225)을 형성할 수 있다(도 10을 참조).
즉, 도 8c에서와 같이 고리 본체(221)가 기립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121)가 연장홈(223)에 진입하면 탄성 돌기(124)가 가이드홈(22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되는데,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25)에 의해 탄성 돌기(124)가 해당 홈을 따라 사선 방향(즉,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 몸체(121)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 몸체(121)가 연장홈(223)에 처음 진입 시에는 체결 날개(123)가 연장홈(223)과 수평 방향이 되도록 회전된 상태였다가, 회전 몸체(121)가 연장홈(223)을 통과하여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게 되어 중간홈(224)에 도달하게 되면 체결 날개(123)가 연장홈(223)과 직각 방향을 이루도록 회전 몸체(121)가 회전하여 중간홈(224)에 체결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100: 걸쇠부
110: 샤프트 바디 120: 샤프트
121: 회전 몸체 122: 체결 뭉치
123: 체결 날개 124: 탄성 돌기
130: 회전 레버 200: 본체부
210: 본체 220; 안전고리
221: 고리 본체 222: 입구홈
223: 연장홈 224: 중간홈
225: 회전 가이드홈 230: 구동부
231: 통신부 232: 잠금 감지부
233: 구동 모터부 234: 렉기어부
235: 구동 제어부 300: 리모콘부

Claims (10)

  1. 현관문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샤프트 바디, 상기 샤프트 바디의 전단에 설치되고 현관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 및 사용자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의 후단에 설치되는 회전 레버를 포함하는 걸쇠부; 및
    현관문에서 상기 걸쇠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잠금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샤프트를 체결하거나 체결을 풀며, 현관문이 다수 단계의 개방각도로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를 다수 단계로 체결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바디에 설치되며, 후단에 설치된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회전 몸체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몸체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 뭉치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리모콘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본체부에서의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전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 설정된 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날개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현관문에서 상기 걸쇠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본체;
    "U"형태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이 상기 걸쇠부와 대향하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이 회동하여 밀폐된 다른 일측까지만 상기 걸쇠부가 이동하도록 체결하는 안전고리; 및
    상기 리모콘부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잠금 요청 또는 잠금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안전고리를 회동시켜 상기 걸쇠부를 체결하거나 체결을 푸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는,
    "U"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일측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기어가 상기 구동부에 맞물려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는 고리 본체;
    상기 고리 본체의 일측 개방된 입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걸쇠부의 체결 날개를 포함한 회전 몸체의 직경보다 넓도록 형성되는 입구홈; 및
    상기 입구홈으로부터 상기 고리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 날개를 포함한 상기 회전 몸체의 직경보다는 좁고, 상기 회전 몸체만의 직경보다는 넓도록 형성되는 연장홈을 포함하는,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는,
    회동된 상태로 상기 연장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체결 날개가 반대 방향으로 다시 회동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날개를 포함한 상기 회전 몸체의 직경보다 넓도록 상기 연장홈의 기 설정된 부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홈을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모콘부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구동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일측에 설치된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부;
    상기 구동 모터부의 기어로부터 상기 안전고리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동 모터부의 기어와 맞물린 일측이 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이동함에 따라 다른 일측에 맞물린 상기 안전고리의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안전고리를 회동시키는 렉기어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잠금 요청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안전고리가 상기 걸쇠부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렉기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구동 모터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잠금 해제 요청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걸쇠부로부터 상기 안전고리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렉기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구동 모터부로 전달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바디에 설치되며, 후단에 설치된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회전 몸체;
    상기 회전 몸체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몸체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 뭉치;
    상기 본체부에서의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전후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 설정된 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날개; 및
    상기 회전 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탄성 수단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으며, 상기 회전 몸체의 일측에서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탄성 돌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탄성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 몸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U"형태의 안전고리에 형성된 연장홈의 입구 부분으로부터 상기 안전고리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중간홈까지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KR1020180109976A 2018-09-14 2018-09-14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KR102067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76A KR102067908B1 (ko) 2018-09-14 2018-09-14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76A KR102067908B1 (ko) 2018-09-14 2018-09-14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908B1 true KR102067908B1 (ko) 2020-01-17

Family

ID=6936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976A KR102067908B1 (ko) 2018-09-14 2018-09-14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9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641A (ja) * 1998-08-31 2000-03-07 Shibutani:Kk 扉装置
JP2004257216A (ja) * 2003-02-26 2004-09-16 Hiroyuki Wad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アーム式玄関任意錠
KR20100076826A (ko) 2008-12-26 2010-07-06 이지행 안전고리가 결합 된 보조 도어락
KR200452453Y1 (ko) 2010-04-24 2011-03-02 최하웅 출입문 안전고리
KR101024304B1 (ko) * 2010-12-13 2011-03-29 이용신 출입문용 안전 고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641A (ja) * 1998-08-31 2000-03-07 Shibutani:Kk 扉装置
JP2004257216A (ja) * 2003-02-26 2004-09-16 Hiroyuki Wad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アーム式玄関任意錠
KR20100076826A (ko) 2008-12-26 2010-07-06 이지행 안전고리가 결합 된 보조 도어락
KR200452453Y1 (ko) 2010-04-24 2011-03-02 최하웅 출입문 안전고리
KR101024304B1 (ko) * 2010-12-13 2011-03-29 이용신 출입문용 안전 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206B2 (en) System for presence detection in a door assembly
US4685316A (en) Window guard latch with emergency release
US20140338151A1 (en) Automatic door controller and door actuation equipment
AU2007219056A1 (en) Door locking/unlocking unit
KR101552829B1 (ko) 화재시 개폐가능한 방범창
KR100734925B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JP2016142110A (ja) ドアの衝突防止装置
KR102067908B1 (ko)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EP1871964B1 (en) Securing mechanism for windows and doors
JP3841466B2 (ja) サッシ
JP2005248452A (ja) 施錠システム
KR101926998B1 (ko) 방범창용 안전 잠금장치
JP5992687B2 (ja) 錠システム
KR200401735Y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101242164B1 (ko) 도어 잠금장치
JP2000008679A (ja) クレセント
KR102626311B1 (ko)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연동 창호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6416A (ko) 창문의 잠금장치
JP2004137851A (ja) 引き違い戸用ロック装置
KR100510980B1 (ko) 전자 도어록
US20180094454A1 (en) Sliding window and door lock
KR20200093791A (ko) 방범기능을 갖는 창호시스템
KR200372729Y1 (ko) 세대간 발코니 격벽을 이용한 방화문
KR102463903B1 (ko)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JP5789066B1 (ja) 錠用装置及び錠用装置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