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267B1 -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 Google Patents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267B1
KR102067267B1 KR1020190061868A KR20190061868A KR102067267B1 KR 102067267 B1 KR102067267 B1 KR 102067267B1 KR 1020190061868 A KR1020190061868 A KR 1020190061868A KR 20190061868 A KR20190061868 A KR 20190061868A KR 102067267 B1 KR102067267 B1 KR 102067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connector
mounting devi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267B1/ko
Priority to PCT/KR2020/006038 priority patent/WO20202420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장착장치(30)가 구비된 충전커넥터(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에는 상대커넥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후면에는 부품들이 설치되는 커넥터하우징(11)과, 상기 커넥터하우징(11)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대커넥터에서 전달된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는 터미널장착장치(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장착장치(30)는 내부에 보호공간을 만드는 아우터하우징(31)과, 상기 보호공간에 조립되고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이너하우징(40)과, 상기 제1이너하우징(40) 내부에서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터미널(51) 및 제2터미널(55)과, 상기 제2터미널(55)에 고정되고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W,W')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10)의 터미널장착장치(30)는 인서트사출(오버몰딩) 방식이 아니라 조립을 통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터미널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에 충분히 빈 공간을 둘 수 있어 내열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Charging connector with terminal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의 터미널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충전커넥터에 터미널과 와이어를 장착 및 안내하기 위한 터미널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에서는 구동원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고전압 배터리가 사용되고, 배터리는 충전커넥터를 통해서 충전된다. 자동차에 설치된 충전커넥터는 인렛커넥터라고 하는데, 이러한 인렛커넥터는 충전스테이션에 설치된 플러그커넥터와 결합하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인렛커넥터에는 여러개의 터미널이 수납된다. 터미널은 플러그커넥터에 내장된 상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쪽으로는 상대터미널과 결합되고, 반대쪽에는 와이어가 결합된다. 와이어는 플러그커넥터와 인렛커넥터의 결합을 통해 공급된 외부전원을 자동차 내부의 다른 곳으로 전달해준다.
일반적으로 인렛커넥터는 자동차 내부의 좁은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터미널과 와이어를 후방으로 길게 연장하지 못하고, 'ㄱ'자로 꺾인 방향으로 터미널과 와이어가 연장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향 전환을 위해서 인렛커넥터의 뒤쪽에는 터미널과 와이어를 지지하는 안내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안내장치는 일종의 리어홀더라고 볼 수도 있다.
종래에는 안내장치를 인서트사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즉 종래에는 사출물이 터미널과 와이어를 감싸도록 하는 오버몰드 어셈블리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충전커넥터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량이 많아지고 전압이 높아지면서 터미널에서 발생하는 열도 많아지게 되어, 오버몰드 어셈블리의 내부를 녹이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오버몰드의 내부가 녹으면 공간이 생겨 안내장치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고, 방수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오버몰드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출물의 종류가 한정되기 때문에 보다 강한 내구성을 갖는 안내장치를 만드는데도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2199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커넥터에 사용되는 터미널과 와이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를 조립방식으로 만들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장착장치의 내부에 다수의 방수수단을 배치하여 방수커넥터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에는 상대커넥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후면에는 부품들이 설치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대커넥터에서 전달된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는 터미널장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장착장치는 내부에 보호공간을 만드는 아우터하우징과, 상기 보호공간에 조립되고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너하우징과, 상기 이너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에 고정되고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장착장치의 이너하우징은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터미널이 수납되는 제1안착몸체와, 상기 제1안착몸체에서 연결되되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제2터미널이 수납되는 제2안착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은 상기 제1안착몸체와 제2안착몸체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서로 조립된다.
삭제
상기 이너하우징의 제1안착몸체 전방에는 제1터미널이 삽입되는 제1조립홀이 관통되되 상기 제1조립홀은 제1방수수단에 의해 차폐되어 제1방향의 방수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와이어가 돌출되는 제2안착몸체 끝부분에는 상기 제2터미널이 삽입되는 제2조립홀이 관통되되 상기 제2조립홀은 제2방수수단에 의해 차폐되어 제2방향의 방수기능이 수행된다.
상기 이너하우징의 제1안착몸체와 제2안착몸체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이 중첩되는 부분이 노출되는 체결구삽입홀이 관통되되 상기 체결구삽입홀은 체결구방수수단에 의해 차폐되어 제1방향의 방수기능을 수행된다.
상기 이너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아우터하우징이 조립되면,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면은 상기 제1방수수단, 제2방수수단 또는 체결구방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압축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체결구삽입홀에 위치하는 제1터미널의 끝부분에는 제1체결홀이 있고, 상기 제2터미널의 끝부분에 위치한 제2체결홀은 상기 제1체결홀에 중첩되며,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이 중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이 체결구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면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을 동시에 통과해서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을 이너하우징 내부에 조립한다.
상기 체결구방수수단은 상기 체결구삽입홀의 입구에 조립되어 상기 체결수단을 감싼다.
상기 제1방수수단은 상기 체결수단이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터미널에서 직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와 상기 제1조립홀의 입구 가장자리 사이에서 압축된다.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상기 이너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조립되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 및 상기 와이어는 각각 적어도 그 일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아우터하우징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이너하우징은 다수개로 구성되되 다수개의 제1터미널들을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시켜 제1터미널들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제1충전부에 안착되고,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다수개의 이너하우징들이 적층되는 방향을 안내한다.
다수개의 이너하우징들은 제1안착몸체가 서로 중첩되면서 적층되고, 상대적으로 커넥터하우징 방향으로 더 돌출된 이너하우징에 내장된 제1터미널은 이웃한 다른 이너하우징의 제1터미널 보다 짧게 만들어져 다수개의 이너하우징에 각각 내장된 다수개의 제1터미널들은 돌출된 정도가 같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의 터미널장착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의 터미널장착장치는 인서트사출(오버몰딩) 방식이 아니라 조립을 통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터미널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에 충분히 빈 공간을 둘 수 있어 내열성이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충전커넥터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터미널장착장치는 조립방식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각 부품들을 보다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다. 특히, 내부에 위치하는 이너하우징의 재질을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질로 하여, 내열성과 내진동성 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미널장착장치는 수분의 유입이 예상되는 입구 부분에 방수수단들을 배치하여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수수단이 손상되거나 사용기한이 지난 경우에 이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장착장치의 방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터미널장착장치에서는 서로 결합되는 두 개의 터미널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좁은 자동차 내부공간에서 터미널과 와이어의 분기방향을 효과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공간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미널장착장치에 사용되는 두 터미널은 먼저 이너하우징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된 후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너하우징 내부로 삽입하여 두 터미널을 체결할 수 있다. 이것은 이너하우징에 체결구의 삽입을 위한 별도의 구멍(체결구삽입홀)이 만들어져 있기 때문인데, 이를 통해서 두 터미널의 조립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체결구가 삽입되는 구멍을 막고 있는 방수수단을 제거하면 두 터미널의 조립상태나 손상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미널장착장치는 두 터미널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방수수단(제1방수수단)이 터미널과 이너하우징의 입구 가장자리에 사이에서 강하게 압축된다. 따라서 두 터미널의 조립과정에서 방수수단의 방수성능이 자연스럽게 함께 높아질 수 있고, 조립성과 방수성이 모두 좋아지게 된다.
그리고, 아우터하우징이 이너하우징을 감싸면서 조립되면, 아우터하우징은 방수수단들을 가압해서 방수성을 더욱 높여주게 되므로, 하우징의 조립과정에서도 방수수단의 방수성능이 자연스럽게 함께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의 터미널장착장치가 적용된 충전커넥터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다른 각도에서 충전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터미널장착장치가 충전커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터미널장착장치의 하우징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하우징의 부품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2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배수기능을 갖는 충전커넥터(이하 '충전커넥터(10)'라 한다)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에 설치된다. 여기서 충전커넥터(10)는 인렛커넥터로, 배터리 충전시에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코드 단부에 마련된 플러그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충전커넥터(1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충전커넥터(10)의 골격은 커넥터하우징(11)이 만드는데, 커넥터하우징(11)은 대략 육면체이고 전방으로는 충전부(20)가 돌출되고, 후방으로는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W,W')들이 연장된다. 정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홀더들이 커넥터하우징(11)의 후방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1)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브라켓(12)이 돌출되어서 충전커넥터(10)가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커넥터하우징(11)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진다.
도 3을 보면, 상기 커넥터하우징(11)의 후면이 표현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장착장치(30)가 분리되어 있어서 커넥터하우징(11)의 후면 아래쪽이 드러나있는 상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1)의 후면에는 터미널장착장치(30)가 조립되는 조립부(15)가 돌출되고, 조립부(15)에는 터미널삽입홀(16,16')이 있다. 상기 터미널삽입홀(16,16')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장착장치(30)의 제1터미널(51) 앞부분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관통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삽입홀(16,16')을 아래에서 설명될 제2충전부(25)의 제2터미널안착홀(27)과 연결된다. 즉, 제1터미널(51)은 터미널삽입홀(16,16')을 통해 삽입되어서 제2터미널안착홀(27)에 위치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17은 조립부(15)의 외면에 돌출된 조립돌기(17)로, 여기에는 터미널장착장치(30)의 아우터하우징(31)에 있는 조립후크(33a)가 걸린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립부(15)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상기 충전커넥터(10)의 중심에는 충전부(20)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충전부(20)는 상대커넥터인 플러그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충전부(20)에는 별도의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어서 충전을 할 때만 충전부(20)가 노출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충전부(20)는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로 구성되는데, 서로 높이를 달리해서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1충전부(21)는 교류전류로 충전되고, 제2충전부(25)는 직류전류로 충전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각각 별개의 플러그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들 제1충전부(21) 및 제2충전부(25)는 동시에 또는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둘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충전부(21)에는 제1충전블록(23)이 그 골격을 만드는데, 제1충전블록(23)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충전블록(23)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만들어져서 수분이 그 외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제1충전블록(23)에는 다수개의 제1터미널안착홀(24)이 있고, 여기에는 플러그커넥터의 상대터미널이 삽입된다. 제1터미널안착홀(24)의 내부에는 터미널(도면부호 미부여)들이 있는데, 이들 터미널이 플러그커넥터의 상대터미널과 결합하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터미널안착홀(24)은 제1충전부(21)에 총 5개가 있는데, 이들 중 일부에는 터미널이 위치하고 일부에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대물인 플러그커넥터가 결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장치(80)를 작동시켜 충전커넥터(10)와 플러그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해준다.
상기 제1충전부(21)의 아래에는 제2충전부(25)가 위치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충전부(25)의 골격은 제2충전블록(26)이 만들고, 제2충전블록(26)은 제1충전블록(23)과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충전블록(26)에는 두개의 제2터미널안착홀(27)이 있고, 여기에도 터미널이 수납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제1터미널(51)이 제2터미널안착홀(27)에 위치한다. 도 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터미널(51)의 앞부분(54,54')이 노출되어 있다.
제1충전블록(23)과 제2충전블록(26)은 그 외곽구조가 서로 구별되도록 만들어져 있는데, 도 1에서 보듯이 대략 2개의 원형구조가 적층된 모습이어서 작업자가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를 구별해서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1)의 후면에는 부품들이 설치된다. 여기서 부품들은 상기 제1충전부(21)에 삽입된 터미널을 장착하기 위한 상부의 터미널장착장치(70)와, 제2충전부(25)에 삽입된 터미널을 장착하기 위한 하부의 터미널장착장치(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하부의 터미널장착장치(30)를 터미널장착장치(30)라 칭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터미널장착장치(30)는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W,W')는 외부로 연장된다. 터미널장착장치(30)는 그 내부에 터미널과 와이어(W,W')가 조립된 상태로 커넥터하우징(11)에 조립됨으로써 터민널과 와이어(W,W')의 조립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또한 터미널과 와이어(W,W')를 설치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를 커넥터하우징(11)에서 가져옴으로써 충전커넥터(10)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는 터미널장착장치(30)가 커넥터하우징(11)에서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터미널장착장치(30)를 살펴보면,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터미널장착장치(30)는 대략 두 방향으로 연장된 터미널과 와이어(W,W')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X방향, 즉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이와 다른 방향인 Y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미널이 터미널장착장치(30)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X방향은 제1방향이고 Y방향은 제2방향으로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직교한데, 반드시 직교할 필요는 없고 서로 다양한 상대각을 가지면서 연결될 수 있다. 제1방향과 제2방향이 다르므로, 어느 한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것에 비하여 자동차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서 설치하기 용이하다.
상기 터미널장착장치(3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보면, 상기 터미널장착장치(30)는 외부 골격을 만드는 아우터하우징(31)과, 그 내부에 설치되는 제1이너하우징(40)을 포함한다. 제1이너하우징(40) 안에는 다시 터미널들과 와이어(W,W')의 일부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아우터하우징(31)과 제1이너하우징(40)은 모두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하우징을 구성한다.
도 4를 보면 아우터하우징(31)은 제1이너하우징(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조립되는 상부하우징(32) 및 하부하우징(3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제1터미널(51) 및 와이어(W,W')는 아우터하우징(3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데, 그 돌출되는 방향이 서로 다르다. 제1터미널(51)은 커넥터하우징(11) 방향으로 돌출되고, 와이어(W,W')는 이와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부하우징(32)과 하부하우징(32')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걸이후크(35)와 걸이턱(35')으로 서로 조립된다. 상부하우징(32)과 하부하우징(32')이 조립되면 그 사이에 보호공간이 만들어진다.
상부하우징(32)과 하부하우징(32')의 구조는 서로 대칭이고, 상부하우징(32)의 구조와 대응하는 하부하우징(32')의 구조에는 도면부호에 '를 추가하였다. 상부하우징(32)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부하우징(32)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몸체(33)와,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몸체(36)로 구성된다. 제1몸체(33)에는 조립후크(33a)가 있어서 앞서 설명한 커넥터하우징(11)의 조립부(15)에 있는 조립돌기(17)와 조립된다. 아우터하우징(31)을 커넥터하우징(11)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조립돌기(17)가 조립후크(33a)에 걸리면서 터미널장착장치(30)가 커넥터하우징(11)과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33)의 전면(34)은 커넥터하우징(11)의 조립부(15) 외면을 감싸면서 전진하여 커넥터하우징(11)의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몸체(36)의 끝 부분에는 와이어가이드(37)가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37)는 와이어(W,W')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와이어(W,W')의 연장방향으로 돌출되고, 와이어(W,W')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와이어(W,W')는 두 개로 구성되므로 와이어가이드(37)도 2개가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32)과 하부하우징(32')이 서로 조립되면 제1이너하우징(40)을 감싸 보호함과 동시에, 제1이너하우징(40)의 적층도 가이드해준다. 본 실시례에서 이너하우징(40,40')은 다수개로 구성되되 다수개의 제1터미널(51)들을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서로 적층된다. 도 4를 보면 2개의 이너하우징(40,40')이 서로 포개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아우터하우징(31)은 이러한 이너하우징(40,40')의 적층을 돕기 위해서 2개의 이너하우징(40,40')이 적층되는 방향을 안내해주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너하우징(40,40')을 보면, 상기 이너하우징(40,40')은 아우터하우징(31)의 내부에 설치되고, 터미널과 와이어(W,W')가 실질적으로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이너하우징(40,40')은 사출을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 대략 ㄱ자 형상으로 꺾인 형태다. 상기 이너하우징(40,40')의 내부에는 제1터미널(51)과 제2터미널(55)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터미널(51)과 제2터미널(55)이 이너하우징(40,40')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다수개의 이너하우징(40,40')은 서로 적층된 상태로 아우터하우징(3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이너하우징(40,40') 중에서 제1이너하우징(4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5를 보면, 제1이너하우징(4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리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제1이너하우징(40)은 그 내부에서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터미널(51) 및 제2터미널(55)과, 상기 제2터미널(55)에 고정되고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W,W')를 내장한다. 이러한 제1이너하우징(40)은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터미널(51)이 수납되는 제1안착몸체(42)와, 상기 제1안착몸체(42)에서 연결되되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제2터미널(55)이 수납되는 제2안착몸체(45)로 구성된다. 물론 제1안착몸체(42)와 제2안착몸체(45)는 서로 일체로 만들어진 것으로,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구분한 것이다.
상기 제1터미널(51)과 제2터미널(55)은 상기 제1안착몸체(42)와 제2안착몸체(45)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서로 조립된다. 제1터미널(51)의 끝부분에는 제1체결홀(52)이 있고, 상기 제2터미널(55)의 끝부분에 위치한 제2체결홀(57)은 상기 제1체결홀(52)에 중첩된다. 제1체결홀(52)과 제2체결홀(57)이 중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B)이 체결구삽입홀(43)을 통해 삽입되면 제1체결홀(52)과 제2체결홀(57)을 동시에 통과해서 제1터미널(51) 및 제2터미널(55)을 제1이너하우징(40) 내부에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이너하우징(40)의 제1안착몸체(42) 후방에는 상대커넥터를 향한 제1터미널(51)의 한쪽 끝의 반대쪽 일부가 노출되는 체결구삽입홀(43)이 관통되어 있어서 체결구삽입홀(43)을 통해 체결수단(B)과 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W,W')가 돌출되는 제2안착몸체(45) 끝부분에는 제2조립홀(45a)이 관통되어서 상기 제2터미널(55)이 삽입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이너하우징(40)에는 총 3개의 구멍이 있는데, 제1안착몸체(42) 끝 부분에 개구되어서 제1터미널(51)이 삽입되는 제1조립홀(42a)과, 제1안착몸체(42)와 제2안착몸체(45)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1방향으로 개구된 체결구삽입홀(43), 그리고 제2안착몸체(45) 끝에서 제2방향으로 개구된 제2조립홀(45a)이 그것이다.
상기 제1조립홀(42a)을 통해 일부가 삽입되는 제1터미널(51)은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터미널(51)의 한쪽 끝(54)은 터미널삽입홀(16,16')을 통해 삽입되어 제2충전부(25)의 제2터미널안착홀(27)에 위치하고, 반대쪽 끝에는 제1체결홀(52)이 요입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에는 직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53)가 있다. 스토퍼(53)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방수수단(62)이 걸린다.
상기 제2터미널(55)은 제2조립홀(45a)을 통해서 삽입되는데, 제1터미널(51)과 마찬가지로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터미널(55)에는 제2체결홀(57)이 있는데, 상기 제2체결홀(57)은 대략 링형상의 링부(56)에 관통된다. 제2터미널(55)의 끝에 있는 연결부(58)에는 와이어(W,W')가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2체결홀(57)은 제1체결홀(52)과 중첩되어 체결수단(B)에 의해 서로 조립된다.
본 발명의 터미널장착장치(30)는 다수개의 부품이 조립되므로 방수성을 높이기 위해서 조립부(15)위와 개구부위에 다수개의 방수수단이 조립된다. (i) 상기 제1이너하우징(40)의 제1안착몸체(42) 전방에있는 제1조립홀(42a)은 제1방수수단(62)에 의해 차폐되어 제1방향의 방수기능이 수행되고, (ii) 상기 와이어(W,W')가 돌출되는 제2안착몸체(45) 끝부분에 위치한 제2조립홀(45a)은 제2방수수단(63)에 의해 차폐되어 제2방향의 방수기능이 수행된다. 그리고 (iii) 상기 제1이너하우징(40)의 제1안착몸체(42)와 제2안착몸체(45)에 연결되는 부분을 노출시키는 체결구삽입홀(43)은 체결구방수수단(61)에 의해 차폐되어 제1방향의 방수기능을 수행된다.
이와 같이 제1이너하우징(40)에 체결구의 삽입을 위한 별도의 구멍인 체결구삽입홀(43)이 만들어져 있기 때문인데, 이를 통해서 제1터미널(51)과 제2터미널(55)의 조립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체결구삽입홀(43)을 막고 있는 체결구방수수단(61)을 제거하면 제1터미널(51)과 제2터미널(55)의 조립상태나 손상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면부호 59는 와셔를 나타낸다.
본 실시례에서 이너하우징(40,40')은 2개로 구성되는데, 제1이너하우징(40)과 제2이너하우징(40')은 거의 같은 형상이다. 다만 제1이너하우징(40)과 제2이너하우징(40')이 서로 중첩되었을 때 제1터미널(51)의 돌출길이가 같도록 제1이너하우징(40)의 제1터미널(51)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다. 제2이너하우징(40')에서 제1이너하우징(40)과 동일한 부분에는 '도면부호를 추가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장착장치(30)가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1이너하우징(40)의 제1조립홀(42a) 방향으로 제1터미널(51)이 삽입된다. 제1터미널(51)에는 제1방수수단(62)이 끼워진 상태로 제1조립홀(42a)에 삽입되는데, 제1터미널(51)의 일부만 제1조립홀(42a)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바깥쪽에 돌출된다. 즉 제1터미널(51)은 제1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제1터미널(51)이 삽입되면 제2터미널(55)이 제2방향으로 제2조립홀(45a)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제2터미널(55)이 제2조립홀(45a) 내부로 삽입되면, 제2터미널(55)의 일부만 제2조립홀(45a)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바깥쪽에 돌출된다. 상기 제2터미널(55)에는 제2방수수단(63)이 결합되는데, 제2방수수단(63)은 와이어(W,W') 쪽에 걸린 상태에 있다가, 제2터미널(55)이 완전히 삽입되면 전진해서 제2조립홀(45a)의 입구에 압입된다.
한편, 제2터미널(55)이 끝까지 삽입되면 제2터미널(55)의 링부(56)에 있는 제2체결홀(57)이 제1터미널(51)의 제1체결홀(52)과 중첩된다. 그 상태는 아직 체결수단(B)과 체결구방수수단(61)으로 막히지 않은 체결구삽입홀(43)을 통해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체결구삽입홀(43)을 통해서 체결수단(B)을 삽입해서 조이면 제1터미널(51)과 제2터미널(55)이 서로 조립된다.
이때, 앞서 조립되었던 상기 제1방수수단(62)은 상기 체결수단(B)이 제1체결홀(52)과 제2체결홀(57)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압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방수수단(62)은 상기 제1터미널(51)에서 직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53)와 상기 제1조립홀(52a)의 입구 가장자리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이다. 제1터미널(51)과 제2터미널(55)의 조립과정에서 제1방수수단(62)의 방수성능이 자연스럽게 함께 높아질 수 있고, 조립성과 방수성이 모두 좋아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체결구방수수단(61)을 체결구삽입홀(43) 입구에 끼우면 제1이너하우징(40)의 조립이 완성된다. 총 3개의 방수수단이 모든 구멍들을 차폐하여 방수성을 높이게 되고,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거나 낡으면 제1이너하우징(40)을 분해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제1이너하우징(40)의 조립이 완성되면, 다수개의 이너하우징(40,40')을 아우터하우징(31)에 조립하는 과정이 이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이너하우징(40)은 두 개로 구성되는데, 각각에 수납된 서로 다른 두 개의 제1터미널(51)들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서로 다른 제1터미널(51)들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1)의 제1충전부에 안착되고, 상기 아우터하우징(31)은 다수개의 이너하우징(40,40')들이 적층되는 방향을 안내해주는 것이다.
두 개의 이너하우징(40,40')들은 제1안착몸체(42)가 서로 중첩되면서 적층되고, 상대적으로 커넥터하우징(11) 방향으로 더 돌출된 제2이너하우징(40')에 내장된 제1터미널(51)은 이웃한 제1이너하우징(40)의 제1터미널(51) 보다 짧게 만들어져 결과적으로 두 개의 제1이너하우징(40)에 각각 내장된 다수개의 제1터미널(51)들은 돌출된 정도가 같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립이 완료된 터미널장착장치(30)를 커넥터하우징(11)에 조립하면 조립이 완성된다. 터미널장착장치(30)가 커넥터하우징(11)에 조립되기 전의 상태가 도 3에 표현되어 있다. 터미널장착장치(30)를 밀어넣으면 자연스럽게 조립부(15)의 외면에 돌출된 조립돌기(17)에 터미널장착장치(30)의 아우터하우징(31)에 있는 조립후크(33a)가 걸려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도 6, 도 7을 참조해서 조립된 상태의 터미널장착장치(30)의 방수기능을 보면, 먼저 도 6은 도 2의 I-I'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에 보듯이 제1방향인 X방향의 방수는 총 2군데서 이루어지는데, 먼저 제1조립홀(42a) 입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분의 유입은 제1방수수단(62)이 막고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제1방수수단(62)은 상기 체결수단(B)이 제1체결홀(52)과 제2체결홀(57)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압축되므로 강하게 압축되어 높은 방수성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체결구방수수단(61)은 체결구삽입홀(43)을 차폐해서 체결수단(B) 주변의 수분유입을 막아준다. 체결구방수수단(61)은 체결수단(B)과 밀착되므로 체결구방수수단(61)의 삽입정도를 보다 확실하게 제한할 수 있고, 주변부의 방수성을 높일 수도 있다.
도 7은 도 2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에 보듯이 제2방향인 Y방향의 방수는 제2방수수단(63)이 한다. 상기 제2방수수단(63)은 제2조립홀(45a)의 입구를 막아서 주변의 수분유입을 막고 있다. 따라서 수분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든 구멍들이 확실하게 차폐되어 방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아우터하우징(31)이 제1이너하우징(40)을 감싸면서 조립되면, 아우터하우징(31)은 방수수단들을 가압해서 방수성을 더욱 높여준다. 도 6을 보면, 아우터하우징(31)은 제1방수수단(62)의 상부와 하부를 눌러 제1방수수단(62)을 더욱 밀착시키고, 또한 체결구방수수단(61)의 후방을 가압해서 체결수단(B) 방향으로 밀착시켜준다. 도 7을 보면 아우터하우징(31)은 제2방수수단(63)의 측면을 눌러서 제2터미널(55) 방향으로 밀착시켜 방수성능을 높여주고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충전커넥터 11: 커넥터하우징
20: 충전부 30: 터미널장착장치
31: 아우터하우징 40.40': 이너하우징
42: 제1안착몸체 45: 제2안착몸체
51: 제1터미널 55: 제2터미널
61: 체결구방수수단 62: 제1방수수단
63: 제2방수수단

Claims (11)

  1. 전면에는 상대커넥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후면에는 부품들이 설치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대커넥터에서 전달된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는 터미널장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장착장치는
    내부에 보호공간을 만드는 아우터하우징과,
    상기 보호공간에 조립되고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너하우징과,
    상기 이너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에 고정되고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장착장치의 이너하우징은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터미널이 수납되는 제1안착몸체와,
    상기 제1안착몸체에서 연결되되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제2터미널이 수납되는 제2안착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은 상기 제1안착몸체와 제2안착몸체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서로 조립되는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의 제1안착몸체 전방에는 제1터미널이 삽입되는 제1조립홀이 관통되되 상기 제1조립홀은 제1방수수단에 의해 차폐되어 제1방향의 방수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와이어가 돌출되는 제2안착몸체 끝부분에는 상기 제2터미널이 삽입되는 제2조립홀이 관통되되 상기 제2조립홀은 제2방수수단에 의해 차폐되어 제2방향의 방수기능이 수행되는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의 제1안착몸체와 제2안착몸체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이 중첩되는 부분이 노출되는 체결구삽입홀이 관통되되 상기 체결구삽입홀은 체결구방수수단에 의해 차폐되어 제1방향의 방수기능을 수행되는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아우터하우징이 조립되면,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면은 상기 제1방수수단, 제2방수수단 또는 체결구방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압축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삽입홀에 위치하는 제1터미널의 끝부분에는 제1체결홀이 있고, 상기 제2터미널의 끝부분에 위치한 제2체결홀은 상기 제1체결홀에 중첩되며,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이 중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이 체결구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면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을 동시에 통과해서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을 이너하우징 내부에 조립하는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방수수단은 상기 체결구삽입홀의 입구에 조립되어 상기 체결수단을 감싸는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수단은 상기 체결수단이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터미널에서 직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와 상기 제1조립홀의 입구 가장자리 사이에서 압축되는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상기 이너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서로 조립되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 및 상기 와이어는 각각 적어도 그 일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아우터하우징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10. 청구항 1항 및 청구항 3항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은 다수개로 구성되되 다수개의 제1터미널들을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시켜 제1터미널들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제1충전부에 안착되고,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다수개의 이너하우징들이 적층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다수개의 이너하우징들은 제1안착몸체가 서로 중첩되면서 적층되고, 상대적으로 커넥터하우징 방향으로 더 돌출된 이너하우징에 내장된 제1터미널은 이웃한 다른 이너하우징의 제1터미널 보다 짧게 만들어져 다수개의 이너하우징에 각각 내장된 다수개의 제1터미널들은 돌출된 정도가 같은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KR1020190061868A 2019-05-27 2019-05-27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KR102067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68A KR102067267B1 (ko) 2019-05-27 2019-05-27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PCT/KR2020/006038 WO2020242079A1 (ko) 2019-05-27 2020-05-07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68A KR102067267B1 (ko) 2019-05-27 2019-05-27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267B1 true KR102067267B1 (ko) 2020-01-16

Family

ID=6936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868A KR102067267B1 (ko) 2019-05-27 2019-05-27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7267B1 (ko)
WO (1) WO20202420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079A1 (ko) * 2019-05-27 2020-1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WO2023048443A1 (ko) *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내열성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자동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666U (ko) * 1994-12-28 1996-07-22 현대정공주식회사 전선 배관용 유니버설 휫팅
KR20080086581A (ko) * 2007-03-23 2008-09-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90021992A (ko) 2017-08-24 2019-03-06 주식회사 경신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실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2148B1 (en) * 2009-02-18 2009-12-15 J.S.T. Corporation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nd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234338B1 (ko) * 2011-10-31 2013-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터락 기능을 가진 레버타입 커넥터
JP6370210B2 (ja) * 2014-12-24 2018-08-08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KR102067267B1 (ko) * 2019-05-27 2020-0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666U (ko) * 1994-12-28 1996-07-22 현대정공주식회사 전선 배관용 유니버설 휫팅
KR20080086581A (ko) * 2007-03-23 2008-09-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90021992A (ko) 2017-08-24 2019-03-06 주식회사 경신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의 실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079A1 (ko) * 2019-05-27 2020-1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WO2023048443A1 (ko) *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내열성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2079A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2868B2 (ja) コネクタ
US9312626B2 (en) Shield connector
JP5797283B2 (ja) 高電圧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061148B2 (ja) コネクタ
US20140120763A1 (en) Connector
JP636443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KR102067267B1 (ko) 터미널장착장치가 구비된 충전커넥터
WO2015005436A1 (ja) コネクタ
EP2775581B1 (en) Cable branching structure
JPWO2015060113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5005432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839619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2463691B1 (ko) 커넥터
JP5170013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151901B1 (ko) 커넥터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048040B (zh) 配线模块及蓄电模块
US20220416478A1 (en) Shielded connector
KR102008527B1 (ko) 차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CN117693868A (zh) 充电连接器
JP5742602B2 (ja) シールド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6807025B2 (ja) コネクタ
JP7016716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CN209822968U (zh) 一种电连接器及包括该电连接器的电动汽车
WO2022190948A1 (ja) コネクタ
KR101872840B1 (ko) 통합형 방수씰을 구비한 방수 조인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