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348B1 - 듀얼 매스 플라이휠 - Google Patents

듀얼 매스 플라이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348B1
KR102066348B1 KR1020180049887A KR20180049887A KR102066348B1 KR 102066348 B1 KR102066348 B1 KR 102066348B1 KR 1020180049887 A KR1020180049887 A KR 1020180049887A KR 20180049887 A KR20180049887 A KR 20180049887A KR 102066348 B1 KR102066348 B1 KR 10206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spline hub
edge portion
contact
mass fly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5723A (ko
Inventor
김건우
임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18004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3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F16F15/315Flywheels characterised by their supporting arrangement, e.g. mountings, cages, securing inertia member to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이머리 파트와 세컨더리 파트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안정적인 조립구조의 제공과 함께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하고, 프라이머리 파트와 세컨더리 파트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기밀한 접촉상태를 구현하여 히스테리시스 발생의 안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내부에 봉입되는 그리스의 누설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개시한다.
전술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엔진의 출력측과 연결되는 프라이머리 파트(1), 변속기의 입력측과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파트(2), 및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1)의 커버 플레이트(12)와 상기 세컨더리 파트(2)의 스플라인 허브(20) 사이의 연결부위에 기밀한 접촉상태로 설치되는 조립구조물(30)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구조물(30)은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연부와 접촉 가능하게 절곡되는 외측 절곡부(31), 스플라인 허브(20)의 외연부와 접촉 가능하게 절곡되는 내측 절곡부(32), 및 상기 외측 절곡부(31)와 상기 내측 절곡부(32)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몸체부(3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듀얼 매스 플라이휠{Dual mass flywheel}
본 발명은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라이머리 파트와 세컨더리 파트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안정적인 조립구조를 제공하고 히스테리시스 발생의 안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하고 내부에 봉입되는 그리스의 누설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은 동작시 연료의 연소에 의한 팽창(폭발)행정에서만 동력을 발생하고, 나머지 흡입과 압축 및 배기행정에서는 동력을 발생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크랭크 축에 전달되는 회전력과 회전속도는 주기적인 증감을 반복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내연기관은 출력측인 크랭크 축의 선단에 플라이휠을 적용하여 불균일한 회전력에 의한 맥동을 감소시켜 변속기 측으로의 원활한 동력 전달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클러치는 엔진의 크랭크축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선택적으로 변속기의 입력축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클러치는 플라이휠과의 접촉 또는 비접촉을 통해 동력을 단속하게 된다.
일례로, 등록특허 제1350175호에 개시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엔진의 크랭크축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의 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 충격이나 진동을 질량체가 가지는 관성력과 코일 스프링이 구현하는 완충력을 이용하여 감쇠시키게 된다.
즉, 종래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크게 엔진의 출력측과 연결되고 제1질량체와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리 파트와, 변속기의 입력측과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설정하며 스플라인 허브와 드라이브 플레이트 및 제2질량체를 포함하는 세컨더리 파트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을 참조로 하면, 프라이머리 파트의 커버 플레이트(112)와 세컨더리 파트의 스플라인 허브(120)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접시 스프링 형태로 절곡된 판 스프링(130)이 설치되어 있어, 엔진의 동작중 커버 플레이트(112)와 판 스프링(13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접촉에 의한 마찰을 매개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판 스프링(130)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2)의 내연부(112a)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120)의 외연부(120a)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예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즉, 상기 판 스프링(130)은 상기 스플라인 허브(120)에 대한 드라이브 플레이트(121)의 결합부위에서 리벳팅에 의해 내연부가 고정되는 구조이면서 외연부측 자유단부는 내연부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일체로 절곡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2)의 내연부(112a)의 내측면에 대해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서는 상기 판 스프링(130)의 예압축된 상태로의 설치를 위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2)의 내연부(112a)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120)의 외연부(120a) 사이에 적정한 거리의 축방향 간격(A)이 확보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적정한 수준의 히스테리시스 발생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축방향 간격(A)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므로 많은 설계적 제약이 초래될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130)이 적정의 탄성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2)의 내연부(112a)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120)의 외연부(120a) 사이에 적정한 거리의 반경방향 간격(B)이 확보되어야만 한다.
이 결과, 종래에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설계 및 제작시 상기 커버 플레이트(112)의 내연부(112a)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120)의 외연부(120a) 사이에 적정 거리의 축방향 간격(A)과 반경방향 간격(B)이 각각 확보되어야 하므로, 종래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서는 축방향 부피의 증대와 함께 반경방향 부피의 증대까지 초래될 수밖에 없었고, 이러한 제약은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컴팩트한 설계와 제작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종래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2)의 내연부(112a)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120)의 외연부(120a)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판 스프링(130)이 예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운반이나 조립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세컨더리 파트에 한정되어 축방향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판 스프링(130)의 외연부측 자유단부는 반대방향[도 7에 빨간 점선으로 도시]으로 꺾여 커버 플레이트(112)의 내연부(112a)로부터 이격되고, 이러한 변형 상태는 제2질량체(122)와 커버 플레이트(112)를 순차적으로 분해하여 재조립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는 정상적인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지 않게 되는 데, 이러한 상기 판 스프링(130)의 비정상적인 변형은 정상적인 히스테리시스의 발생을 구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프라이머리 파트와 세컨더리 파트 사이의 연결부위에 위치한 수용공간 내에 봉입된 그리스의 외부 누설을 초래하게 되므로, 내구 성능에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등록특허 제135017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라이머리 파트와 세컨더리 파트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안정적인 조립구조의 제공과 함께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프라이머리 파트와 세컨더리 파트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기밀한 접촉상태를 구현함으로써 히스테리시스 발생의 안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내부에 봉입되는 그리스의 누설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프라이머리 파트와 세컨더리 파트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안정적인 조립구조의 제공과 함께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하고, 프라이머리 파트와 세컨더리 파트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기밀한 접촉상태를 구현하여 히스테리시스 발생의 안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내부에 봉입되는 그리스의 누설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출력측과 연결되고 제1질량체와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리 파트, 변속기의 입력측과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설정하며 스플라인 허브와 드라이브 플레이트 및 제2질량체를 포함하는 세컨더리 파트, 및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의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세컨더리 파트의 스플라인 허브 사이의 연결부위에 기밀한 접촉상태로 설치되는 조립구조물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조립구조물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연부와 접촉 가능하게 절곡되는 외측 절곡부, 상기 스플라인 허브의 외연부와 접촉 가능하게 절곡되는 내측 절곡부, 및 상기 외측 절곡부와 상기 내측 절곡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연부 내측면과 상기 스플라인 허브의 외연부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조립구조물은 내마모성 소재(PTFE; Polytetrafluoroethylene)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연부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의 외연부는 상기 스플라인 허브의 축중심에 대해 반경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 가능한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대해 각각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세컨더리 파트의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에서 상기 세컨더리 파트로 전달되는 비규칙성 진동을 감쇠하는 펜듈럼 댐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프라이머리 파트와 세컨더리 파트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안정적인 조립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플라이휠의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보다 컴팩트한 플라이휠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라이머리 파트와 세컨더리 파트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안정적인 조립구조에 의한 상시적 접촉을 통해 마찰에 의한 상대 회전속도 차이를 흡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히스테리시스의 발생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라이머리 파트와 세컨더리 파트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기밀한 접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내부에 봉입된 그리스의 누설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외관을 엔진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외관을 변속기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1차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2차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조립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크게 엔진의 출력측과 연결되는 프라이머리 파트(1), 및 변속기의 입력측과 연결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와 사이에 수용공간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파트(2)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1)는 엔진의 크랭크 축(미도시)과 동축상으로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메인 허브(10), 상기 메인 허브(10)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질량체(11), 및 상기 제1질량체(11)의 외연부와 결합되어 회전하고 내부에 그리스를 봉입하도록 소정 용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12)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허브(10)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축중심에 위치하는 중공형상의 원통부재로서, 엔진측 크랭크축과의 결합을 통해 회전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질량체(11)는 상기 메인 허브(10)의 외주면 전 둘레에 걸쳐 결합되는 원판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허브(10)와의 결합을 통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2)는 상기 제1질량체(11)의 외연부와 용접으로 결합되고 중앙부위가 개구되는 원판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질량체(11)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12)는 상기 제1질량체(11)와 축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내부에 소정 용적의 수용공간을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컨더리 파트(2)는 변속기의 입력축(미도시)과 동축상으로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스플라인 허브(20),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21),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에 대해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1)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외측부위와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질량체(22), 및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1)와의 회전방향 접촉을 통해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23)을 구비한다.
상기 스플라인 허브(20)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축중심에 위치하는 중공형상의 원통부재로서, 변속기측 입력축과의 스프라인 결합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1)는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에 대해 다수의 리벳(21b)을 매개로 결합되는 원판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와의 결합을 통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1)는 가장자리 부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23)과 회전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외측 돌출부(21a)를 구비한다.
상기 제2질량체(22)는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에 대해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1)와 함께 다수의 리벳(21b)을 매개로 결합되는 원판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외측부위에서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23)은 상기 제1질량체(11)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1)의 외측 돌출부(21a)와 회전방향으로 접촉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1)의 커버 플레이트(12)와 상기 세컨더리 파트(2)의 스플라인 허브(20)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환상형 조립구조물(30)이 설치되는 바, 상기 조립구조물(30)은 커버 플레이트(12)와 스플라인 허브(20) 사이의 연결부위를 기밀한 접촉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조립구조물(3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20) 사이에 설치되는 종래의 판 스프링을 대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조립구조물(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연부(12a)와 접촉 가능하게 수용공간의 외부를 향해 외측으로 대략 90도 정도로 절곡되는 외측 절곡부(31),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의 외연부(20a)와 접촉 가능하게 수용공간의 내부를 향해 내측으로 대략 90도 정도로 절곡되는 내측 절곡부(32), 및 상기 외측 절곡부(31)와 상기 내측 절곡부(32)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이들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연부(12a)의 내측면과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의 외연부(20a)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몸체부(33)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연부(12a)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의 외연부(20a)는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의 축중심에 대해 반경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 가능한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33)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대해 각각 긴밀한 상태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조립구조물(3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연부(12a)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의 외연부(20a)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대 회전속도 차이에 따른 마찰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마모성 소재, 예컨대 PTFE(Polytetrafluoroethylene)와 같은 소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립구조물(30)은 외측 절곡부(31)와 내측 절곡부(32) 및 몸체부(33)를 일체로 갖춘 단면 구조로서, 단일의 링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원주상으로 다수로 분할되어 상호 긴밀하게 조립될 수 있는 분할형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조립구조물(30)이 분할형 부재로 구성될 경우에도 단면 구조로 볼 때 외측 절곡부(31)와 내측 절곡부(32) 및 몸체부(33)는 동일한 형태로 구비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조립구조물(30)이 다수의 분할형 부재로 이루어질 경우, 각 분할형 부재의 조립면은 두께방향이나 폭방향으로 단차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각 분할형 부재의 조립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요철지게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매칭부위가 형성됨으로써 상호간의 긴밀한 결합관계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상기 세컨더리 파트(2)의 드라이브 플레이트(21)에 설치되어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1)에서 상기 세컨더리 파트(2)로 전달되는 비규칙성 진동을 감쇠하는 펜듈럼 댐퍼(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펜듈럼 댐퍼(40)는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1)의 전 둘레에 걸쳐 원주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중량 구조물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펜듈럼 댐퍼(40)는 특허출원 제10-2016-0053513호에 개시된 바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1)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경사 내주면에 대해 구름 접촉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저면부를 지지하는 오목면을 상부에 갖추고서 상기 개구부 내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저면부를 지지하고 상기 개구부의 파형 저면부와 구름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스토퍼에 의해 고정 지지되면서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펜듈럼(이상 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1)와 상기 세컨더리 파트(2)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구조 변경, 즉 기존의 판 스프링을 대체하는 상기 조립구조물(30)의 설치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조립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플라이휠의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컴팩트한 플라이휠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조립구조물(3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연부(12a)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의 외연부(20a) 사이의 축방향 간격을 상기 몸체부(33)가 설정하는 두께 만큼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연부(12a)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의 외연부(20a) 사이를 반경방향으로 상호 중첩 가능한 상태로 연장시켜 배치함에 따라, 반경방향으로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1)와 상기 세컨더리 파트(2)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구조 변경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안정적인 조립구조에 의한 상시적 접촉을 통해 마찰에 의한 상대 회전속도 차이를 흡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히스테리시스의 발생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조립구조물(30)은 상기 외측 절곡부(31)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연부(12a)측 내주면 사이의 상시적 접촉, 상기 내측 절곡부(32)의 내주면과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의 외연부(20a)측 외주면 사이의 상시적 접촉, 상기 몸체부(33)의 외측면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연부(12a)측 내측면 사이의 상시적 접촉, 및 상기 몸체부(33)의 내측면과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의 외연부(20a)측 외측면 사이의 상시적 접촉을 통해 상시적으로 이루어지는 마찰을 매개로,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1)와 상기 세컨더리 파트(2) 사이의 상대 회전속도 차이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기존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구성 대비 안정적인 히스테리시스의 발생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1)와 상기 세컨더리 파트(2)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기밀한 접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내부에 봉입된 그리스의 누설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조립구조물(30)은 상기 외측 절곡부(31)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연부(12a) 사이의 긴밀한 접촉, 상기 내측 절곡부(32)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의 외연부(20a) 사이의 긴밀한 접촉, 및 상기 몸체부(33)의 외측면과 내측면이 각각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내연부(12a)의 내측면과 상기 스플라인 허브(20)의 외연부(20a)의 외측면에 대한 긴밀한 접촉을 통해, 수용공간 내부에 봉입된 그리스의 외부 누설을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함으로써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내구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프라이머리 파트 2-세컨더리 파트
10-메인 허브 11-제1질량체
12-커버 플레이트 12a-내연부
20-스플라인 허브 20a-외연부
21-드라이브 플레이트 22-제2질량체
23-코일 스프링
30-조립구조물 31-외측 절곡부
32-내측 절곡부 33-몸체부
40-펜듈럼 댐퍼

Claims (5)

  1. 엔진의 출력측과 연결되는 프라이머리 파트;
    변속기의 입력측과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파트; 및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의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세컨더리 파트의 스플라인 허브 사이의 연결부위에 기밀한 접촉상태로 설치되는 조립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구조물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연부와 접촉 가능하게 절곡되는 외측 절곡부;
    상기 스플라인 허브의 외연부와 접촉 가능하게 절곡되는 내측 절곡부; 및
    상기 외측 절곡부와 상기 내측 절곡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연부 내측면과 상기 스플라인 허브의 외연부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연부와 상기 스플라인 허브의 외연부는 상기 스플라인 허브의 축중심에 대해 반경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 가능한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대해 각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조물은 내마모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파트의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프라이머리 파트에서 상기 세컨더리 파트로 전달되는 비규칙성 진동을 감쇠하는 펜듈럼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20180049887A 2018-04-30 2018-04-30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206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87A KR102066348B1 (ko) 2018-04-30 2018-04-30 듀얼 매스 플라이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87A KR102066348B1 (ko) 2018-04-30 2018-04-30 듀얼 매스 플라이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723A KR20190125723A (ko) 2019-11-07
KR102066348B1 true KR102066348B1 (ko) 2020-01-14

Family

ID=6857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887A KR102066348B1 (ko) 2018-04-30 2018-04-30 듀얼 매스 플라이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3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608B1 (ko) * 2010-10-15 2012-06-13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토션 댐퍼
JP2014066360A (ja) * 2012-09-24 2014-04-17 Valeo Embrayages 自動車用のトルク伝達装置
KR101770063B1 (ko) 2016-04-29 2017-08-21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밀봉형 펜듈럼을 갖춘 듀얼 매스 플라이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175B1 (ko) 2012-05-31 2014-01-09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히스테리시스 부재를 이중 구비한 이중질량 플라이휠
FR3039240B1 (fr) * 2015-07-20 2017-07-28 Valeo Embrayages Double volant amortisseur comportant une rondelle d'obturation apte a assurer l'etancheite du volant primai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608B1 (ko) * 2010-10-15 2012-06-13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토션 댐퍼
JP2014066360A (ja) * 2012-09-24 2014-04-17 Valeo Embrayages 自動車用のトルク伝達装置
KR101770063B1 (ko) 2016-04-29 2017-08-21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밀봉형 펜듈럼을 갖춘 듀얼 매스 플라이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723A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739B2 (en) Damper device and starting device
JP2730942B2 (ja) 弾性カップリング
US3479907A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US7426984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JP2014066360A (ja) 自動車用のトルク伝達装置
JPH09280317A (ja) フライホイール
WO2015166828A1 (ja) ダンパ装置
US20160195157A1 (en) Damper device and starting device
KR101195945B1 (ko) 비선형 특성을 가지는 직렬 연결 토션 댐퍼
JPWO2018199325A1 (ja) 振動減衰装置
US11619270B2 (en) Lock-up device for torque converter
JP2008039113A (ja)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スプリング組立体
KR102066348B1 (ko)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1376783B1 (ko) 트윈 매스 댐퍼를 구비한 토크 컨버터
WO2017159776A1 (ja) ダンパ装置
KR102141858B1 (ko) 축정렬형 듀얼매스 플라이휠
KR101072610B1 (ko) 차량용 토션 댐퍼
JPH08177874A (ja) ねじり振動ダンパー一体型ねじり弾性継手
CN113898699B (zh) 双质量飞轮
EP1176338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US20190264775A1 (en) Centrifugal pendulum absorber including springs fixed to circumferential edges of masses
KR20190142087A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JP2004108528A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KR101868699B1 (ko)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펜듈럼 조립체
KR101035113B1 (ko) 차량용 토션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