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611B1 - Multi-functional outer socks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outer soc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611B1
KR102065611B1 KR1020190032276A KR20190032276A KR102065611B1 KR 102065611 B1 KR102065611 B1 KR 102065611B1 KR 1020190032276 A KR1020190032276 A KR 1020190032276A KR 20190032276 A KR20190032276 A KR 20190032276A KR 102065611 B1 KR102065611 B1 KR 102065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resent
sole
s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펀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펀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펀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9003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6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6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A41B11/04Reinforcements of the stocking to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6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having friction increa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unctional socks designed to cover only the bottom of the ankle bone of a user. The functional socks comprise: an anterior toe part surrounding the toe; a side part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foot; a rear heel part surrounding the heel of the foot; a sole part on which the sole is placed on an upper side; and an opening part into which the foot of the user is inserted.

Description

기능성 양말{MULTI-FUNCTIONAL OUTER SOCKS}Functional Socks {MULTI-FUNCTIONAL OUTER SOCKS}

본 발명은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복사뼈 밑만을 덮을 수 있도록 구현한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s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sock implemented to cover only the bottom of the ankle bone of the wearer.

최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운동을 하고자 하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운동을 할 때, 무리한 운동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성 장비 및 의류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eople who want to exercise to maintain their health is steadily increasing, and in addition, the demand for functional equipment and clothing that protects the body from excessive exercise when exercising is steadily increasing.

특히, 양말은 등산, 마라톤, 테니스 등과 같은 모든 운동을 할 때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착용하는 의류로서, 운동을 할 때 발과 양말, 양말과 신발 사이에 미끄러짐 방지가 아주 중요하다.In particular, socks are essential clothing worn by a user when performing all kinds of sports such as hiking, marathon, tennis, and the like, and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slipping between feet and socks, socks and shoes when exercising.

장시간을 달리거나 걷는 운동의 경우에는 발과 양말 또는 양말과 신발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발에 물집이 잡히는 문제가 발생하고, 민첩성을 요하는 테니스, 농구, 축구 등의 경우에는 발의 미끄러짐은 운동 효과를 떨어뜨리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플레이를 방해하는 요소로서 작용한다.In the case of running or walking for a long time, slipping between the foot and socks or socks and shoes causes a problem of blistering on the feet, and in the case of tennis, basketball, and soccer, which require agility, the slipping of the foot is an exercise effect. It acts as a factor to drop or hinder the user's desired play.

따라서, 모든 운동에는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거나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발이 신발 내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the foot from slipping inside the sho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exercise or to protect the user's body in all the exercises.

이러한 논 슬립은 운동과정에서 힘 손실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힘을 사용함은 물론 운동과정에서 발이 운동하는 힘에 의해 이쪽 저쪽으로 쏠리며 발과 발목을 피로하게 하거나 아프게 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This non-slip reduces the loss of force in the course of exercise and uses the force efficiently, and prevents the foot and ankle from fatigue or pain by being oriented over there by the force of the foot during the exercis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 발의 미끄러짐을 방지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대부분 양말의 하면과 신발의 인솔(깔창)이 접촉하는 면에서 관한 것들이 대부분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techniques for preventing slipping of the foot have been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However, these prior arts are mostly related to the contact of the insole of the shoe with the bottom of the sock.

즉, 신발의 인솔과 접촉하는 양말의 하면 또는 양말의 하면에 접촉하는 신발 인솔에 실리콘 또는 고무 등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여 양말의 하면과 신발의 인솔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기술이 대부분이다.That is, a technology for preventing slipping between the bottom of the socks and the insole of the shoes by forming a coating layer of silicon or rubber on the bottom of the socks or insoles of the sock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ocks.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양말들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서 코팅된 실리콘 또는 고무 코팅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발에서 방출되는 땀을 제대로 흡수하여 양말 밖으로 방출할 수도 없으며, 신발 내부의 땀이 실리콘 또는 고무 코팅과 신발의 인솔 사이에 수막을 형성하여 오히려 더 미끄럽게 만드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socks, due to the silicone or rubber coating coated to prevent slipping, can not properly absorb the sweat emitted from the user's feet and release it out of the sock, and the sweat inside the shoe may be combined with the silicone or rubber coating. There was a problem of forming a water film between the insole of the shoe to make it more slippery.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publicly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477324호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0477324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0082호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2018-0000082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발목 양말에 있어서, 발바닥면의 상측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패턴을 형성시키고, 발뒤꿈치의 내측면에 실리콘띠를 형성하는 기능성 양말을 제공한다.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nkle socks, to form a non-slip pattern on the upper side of the sole surface, to provide a functional socks to form a silicone strip on the inner side of the heel.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발가락을 감싸는 전방의 발가락부; 발의 둘레를 감싸는 측면부; 발의 뒤꿈치를 감싸는 후방의 뒤꿈치부; 상측에 발바닥이 안착되는 발바닥부; 및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Functional s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toe portion surrounding the toes; A side portion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foot; A rear heel portion that wraps the heel of the foot; Sole portion that the sole is seated on the upper side; And an opening into which the wearer's foot is inserted.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착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상기 발바닥부의 상측면에 복수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돌출 패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unctional s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pattern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upper side of the sole portion on which the sole of the wearer is se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는, 양말의 직조에 이용된 원사의 일부분들이 상기 발바닥부의 상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 패턴부는, 복수의 상기 돌출부가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거나, 복수의 사각형의 상기 돌출부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돌출부는, 폭 방향으로 직조되는 원사의 일부분들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뒤꿈치부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형으로 실리콘띠와 간격부가 서로 반복되게 다수 열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띠는, 그 폭이 5mm를 이루며, 상기 간격부는, 그 폭이 3mm를 이루며, 상기 실리콘띠는,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및 나노실리카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양말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에 의하여 부착되며, 제작이 완료되면 양말이 담긴 포장용기들을 상측에 적재시킨 후 다음 공정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는, 하면에 이동 수단이 구비되고, 상면에 길이가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이 배치된 하부 프레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에 안착된 물체를 승강시키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외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유압잭을 포함하며, 상기 유압잭은, 작동유체가 저장되며, 내부 실린더 및 승강 피스톤이 배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와 연통되어 밀폐 상태를 유지하고, 내부에 가압 피스톤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 피스톤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작동유체가 흡입된 후 상기 가압 피스톤이 하강함에 따라 흡입된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내부 실린더로 제공하는 외부 실린더; 상기 외부 실린더 내부에 배치된 가압 피스톤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 피스톤에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외력을 전달하는 가압 레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내부 실린더의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내부 실린더로 유입된 작동유체가 상기 본체로 회수되도록 하는 해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실린더는 복수 개로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외부 실린더는 상기 가압 레버와 동축인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제1 외부 실린더 및 상기 제1 외부 실린더의 지름 둘레를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외부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실린더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외부 실린더의 지름의 합은 상기 내부 실린더의 지름의 1/3이하이고, 상기 제1 외부 실린더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외부 실린더는 상기 본체에 저장된 작동유체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관을 통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유압잭은, 상기 제1 외부 실린더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외부 실린더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흡입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가압 피스톤의 승강력을 가변시키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yarn used for weaving the socks protrudes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portion, wherein the protruding pattern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e protruding portion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portion. The protrusions of a plurality of quadrangl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or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rotrusions are formed by protruding portions of yarn woven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non-slip portion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in which the silicon strips and the gap portions are horizontally repe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el portion, wherein the silicon strip has a width of 5 mm, and the gap portion has a width thereof. 3 mm, the silicone strip is 4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5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resin, 1 to 5 parts by weight of rosin, plasticizer 1 to 10 of Part, 1 to 10 parts by weight of filler, 0.1 to 1 part by weight of antioxidant, and 0.1 to 5 parts by weight of nano-silica are attached by an adhesive composition for attaching socks, and when the production is completed, the packaging containers containing socks are loaded on the upper side. And a movable lifting device provided with a hydraulic jack for moving to a place where the next process is performed, wherein the movable lifting device provided with the hydraulic jack includes a moving means on a lower surface and at least one column having a variable length on the upper surface. A lower frame disposed thereon; An upper frame supported by the at least one pillar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frame; And a hydraulic jack installed 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nd lifting and lowering the upper frame using an external force provided by a user to lift and lower an object seated on the upper frame. The hydraulic jack may include a working fluid. A body in which the internal cylinder and the lifting piston are disposed;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to maintain a closed state, there is a pressure piston is formed therein, the working fluid is sucked as the pressure piston is raised and the suction sucked as the pressure piston is lowered An outer cylinder providing a working fluid to the inner cylinder; A pressure lever connected to a pressure piston disposed inside the outer cylinder to transfer an external force provided from a user to the pressure piston; And a release valve for releasing pressure of the inner cylind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o recover the work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inner cylinder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outer cylinder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the plurality of outer cylinders A first outer cylinder formed along a central axis coaxial with the pressure lever and at least one second outer cylinder disposed around a diameter of the first outer cylinder, wherein the first outer cylinder and the at least one second The sum of the diameters of the outer cylinders is equal to or less than one third of the diameter of the inner cylinders, and the first outer cylinder and the at least one second outer cylinder each include a main body through a suction pipe for introducing a working fluid stored in the main body to the inside. And the hydraulic jack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outer cylinder and the at least one second outer cylinde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number of the suction pip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means for varying the strength W of the pressure piston.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양말의 바닥면 중 발 바닥에 접촉하는 내면에 복수의 돌출부로 형성되는 돌출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는 양말의 직조에 이용된 원사의 일부분들이 상기 내면의 표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이용되던 별도의 실리콘 또는 고무 코팅 공정 없이도, 저비용으로 우수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땀의 흡수 및 방출 효과가 우수한 미끄럼 방지 양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protruding pattern form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oot, the protrusions are a portion of the yarn used to weave the socks of the inner surface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nti-slip sock that exhibits excellent anti-slip effect at low cost as well as excellent sweat absorption and release effect, without a separate silicone or rubber coating process used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돌출 패턴은 복수의 사각형의 돌출부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발바닥과 밀착되어 우수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rectangular protrusions, even if a force is applied in any direction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foot can exhibit an excellent anti-slip effect.

또한, 양말 착용시 가장 벗겨지기 쉬운 발 뒤꿈치 부분에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져 안정된 착용감을 가질 수 있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어 통기성을 유지시켜줄 수 있으며, 특히, 보행중 신발과의 마찰로 인한 밀림현상을 방지하는 등 신발로부터 발바닥을 보호 및 그 착용감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se contact with the heels that are most likely to peel off when wearing socks can have a stable fit, it has a regular interval to maintain breathability, in particular to prevent the sliding phenomenon due to friction with shoes while walking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protect the sole from the shoe and improve its fit.

원단 적용시 친위생적이면서도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capable of providing an adhesive composition which is hygienic and excellent in adhesiveness in fabric application.

상하 높낮이가 조절되는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제작이 완료된 양말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Socks can be moved freely by using a moving device that is adjusted up and down he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돌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압잭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유압잭의 내부 구성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외부 실린더 및 연결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은 도 15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3의 하중 분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unctional s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unctional s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protrusion of FIG.
4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unctional s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lifting device equipped with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hydraulic jack shown in FIG.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describ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and an operating principle of the hydraulic jack illustrated in FIGS. 5 and 6.
8 is a view showing the outer cylinder and the connecting por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lifting device equipped with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lifting device equipped with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support of FIG.
15 and 16 are views showing the support pillar of FIG.
17 is a view illustrating the cross elastic part of FIG. 15.
18 is a view illustrating the vertical elastic part of FIG. 16.
FIG. 19 is a view illustrating a load distribution part of FIG. 13.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rang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unctional s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10)은, 착용자의 복사뼈 밑만을 덮을 수 있도록 구현한 발목 양말에 관한 것으로, 발가락부(110), 측면부(120), 뒤꿈치부(130), 발바닥부(140) 및 개구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functional sock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kle socks implemented to cover only the bottom of the ankle bone of the wearer, the toe portion 110, the side portion 120, the heel portion 130, the sole 140, and the opening 150.

발가락부(110)는, 착용자의 발가락 부분을 감싼다.The toe portion 110 surrounds the toe portion of the wearer.

측면부(120)는, 착용자의 발의 둘레(즉, 발등, 발의 양측)를 감싼다.The side part 120 wraps around the wearer's foot (that is, the instep and both sides of the foot).

다만, 측면부(120)는, 발목 양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착용자의 복사뼈 밑 부분만을 감싸도록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However, the side portion 120, should be made to wrap only the bottom portion of the ankle bone of the wear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ankle socks.

뒤꿈치부(130)는, 측면부(120)로부터 이음새 없이 연결되어 착용자 발의 뒤꿈치를 감싼다.The heel portion 130 is connected seamlessly from the side portion 120 to surround the heel of the wearer's foot.

발바닥부(140)는, 개구부(150)를 통해 삽입된 착용자의 발바닥이 상측에 안착된다.The sole 140 has a sole of the wearer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50 seated on the upper side.

개구부(150)는, 측면부(120)와 뒤꿈치부(130)에 상측에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도록 한다.The opening 150 is a hole formed in the upper side in the side portion 120 and the heel portion 130, and allows the wearer's foot to be inserted.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unctional s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10a)은, 발가락부(110), 측면부(120), 뒤꿈치부(130), 발바닥부(140), 개구부(150) 및 돌출 패턴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가락부(110), 측면부(120), 뒤꿈치부(130), 발바닥부(140) 및 개구부(15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2, the functional socks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e portion 110, the side portion 120, the heel portion 130, the sole portion 140, the opening 150 and the protrusion The pattern unit 210 is included. Here, the toe part 110, the side part 120, the heel part 130, the sole part 140, and the opening part 150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FIG. 1,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돌출 패턴부(210)는, 착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발바닥부(140)의 상측면에 복수의 돌출부(211)에 의하여 구성된 패턴으로 구성된다.The protruding pattern portion 210 is formed of a pattern formed by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1 on the upper side of the sole portion 140 on which the sole of the wearer is seated.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211)는, 양말(100)의 직조에 이용된 원사의 일부분들이 착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발바닥부(140)의 상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211 may be formed such that portions of the yarn used to weave the socks 100 protrude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sole 140 where the sole of the wearer rests.

일 실시예에서, 돌출 패턴부(210)는, 복수의 돌출부(211)가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거나, 복수의 사각형의 돌출부(211)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pattern portion 210,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1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or the plurality of rectangular protrusions 211 is the length It can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211)는, 폭 방향으로 직조되는 원사의 일부분들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211 may be formed by protruding portions of the yarn woven in the width direction.

발의 미끄러짐 발생이, 양말과 신발의 인솔 사이에서 발 생하는 것보다, 발바닥과 양말의 내면, 즉, 발바닥부(140)의 내측면 사이에서 일어나는 정도가 더 심각하다.The degree of slipping of the foot occurs more severely between the sole of the sock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 ie, the inner side of the sole 140, than occurs between the sock and the insole of the shoe.

따라서, 본 발명은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는 발바닥부(140)의 내측면에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는 돌출부(211)를 형성함으로써, 양말과 발바닥 사이의 미끄러짐을 최대한 방지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rotrusion 211 in direct contact with the sole on the inner side of the sole 140 in direct contact with the sole, thereby preventing slippage between the socks and the sol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수의 돌출부(211)가 형성하는 돌출 패턴은 돌출부(211)들이 서로 나란하게 제 1 방향과,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rotrusion patterns formed b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with the protrusions 211 parallel to each other. .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의 길이 방향이 제 1 방향이 되고, 발바닥의 폭 방향이 제 2 방향이 되어, 복수의 돌출부(211)는 마치 바둑판 모양의 패턴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바닥을 대각선으로 가로지를 방향이 제 1 방향이 될 수도 있고,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대각선 방향이 제 2 방향이 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ole become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le become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1 may be arranged to form a checkered pattern. have. Although not shown, the skilled person will appreciate that the direction across the soles diagonally may be the first direction, and another diagon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may be the second direction.

이렇게, 본 발명은 복수의 돌출부(211)를 복수의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어 떤 방향으로부터 발바닥에 힘이 인가되더라도 안정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rrang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1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thereby stably preventing slippage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ole from any direction.

예컨대, 돌출부(211)를 발바닥 길이 방향의 선형으로 형성하고, 복수의 돌출부(211)를 서로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한 경우에는, 발바닥의 폭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대해서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으나, 발바닥에 길이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발바닥이 돌출 패턴을 따라서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otrusions 211 are formed linearly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ole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1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nti-slip function is faithfully applied to the force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le. However,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s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ole may slip along the protruding pattern.

마찬가지로, 돌출부(211)를 발바닥 폭 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하고, 복수의 돌출부(211)를 서로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한 경우에는, 발바닥의 길이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대해서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으나, 발바닥에 폭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발바닥이 돌출 패턴을 따라서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protrusions 211 are formed linearly in the sole width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1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anti-slip function is faithfully applied to the force appl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le. However,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sole in the width direction, the sole may slip along the protruding pattern.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출부(211)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원형 또는 그 밖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shape of the protrusion 211 is formed in a squar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ircular or other shape.

본 발명의 돌출부(211)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돌출부(211)는 별도의 실리콘층이나 고무층을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양말의 직조 과정에서, 돌출부(211)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직조되는 원사(212)의 일부분들이 발바닥부(140)의 내측면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직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돌출부(211)는 양말과 동일한 원사(212)로 형성된다.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otrusion 21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211 is not formed by coating a separate silicon layer or rubber layer, in the process of weaving socks, yarns woven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211 A portion of 212 weave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medial side of the sole 140. Thus, the protrusion 2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he same yarn 212 as the sock.

참고로, 본 발명의 양말을 직조하는데 이용되는 원사(212)는 폴리에스터사, 면사, 폴리우레탄사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양말 직조에 이용되는 원사들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as the yarn 212 used to weave the s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yarns generally used for weaving socks, such as polyester yarn, cotton yarn, and polyurethane yarn, may be used.

본 발명에서, 돌출부(211)를 형성하는 원사(212)의 일부분들은 양말의 발바닥부(140)의 내측면 표면으로부터 약 1mm 내지 3mm 정도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말의 사이즈에 따라서 그 길이의 변경이 가능하며, 양말이 특정 스포츠 종목 전용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해당 종목의 특성을 반영하여 돌출부(211)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of the yarns 212 forming the protrusions 211 preferably protrude about 1 mm to 3 mm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ole 140 of the sock, and change its length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ock. When this is possible, when the socks are made for a specific sports item,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211 may be chang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sport.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말의 폭 방향으로 직조되는 원사(212)의 일부분들이 발바닥부(140)의 내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돌출부(211)가 형성되었다. 다만, 폭 방향과 길이 방향 중 어느 방향의 직조 원사들(121)이 돌출부(211)를 형성하는지 여부는 비용과 미끄럼방지 성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portion of the yarn 212 wove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cks protrudes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ole portion 140 protruding portion 211 Was formed. However, whether the woven yarns 121 in either the width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 the protrusion 211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cost and anti-slip performance.

이렇게, 양말을 직조할 때 이용되는 원사(212)를 이용하여 돌출부(211)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양말은 발에서 발생하는 땀의 흡수 및 배출이 용이하고, 원사(212)로 형성된 돌출부(211)를 통해서 발바닥에 부분적으로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착용으로 인한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us, by forming the protrusion 211 by using the yarn 212 used when weaving the socks, the s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bsorb and discharge the sweat generated from the foot, the protrusion formed of the yarn 212 ( By providing a cushioning part to the sole partially through 211), it can exhibit the effect of reducing fatigue caused by long time wearing.

또한, 본 발명은 돌출부(211)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고무 코팅 또는 실리콘 코팅 등이 불필요하므로, 그 만큼, 양말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rubber coating or silicone coating for forming the protrusion 211,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ocks can be reduced accordingly.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unctional s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10b)은, 발가락부(110), 측면부(120), 뒤꿈치부(130), 발바닥부(140), 개구부(150), 돌출 패턴부(210) 및 미끄럼 방지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가락부(110), 측면부(120), 뒤꿈치부(130), 발바닥부(140), 개구부(150) 및 돌출 패턴부(210)는,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4, the functional socks 1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e portion 110, the side portion 120, the heel portion 130, the sole portion 140, the opening 150, It includes a protruding pattern portion 210 and the slip prevention portion 220. Here, the toe part 110, the side part 120, the heel part 130, the sole part 140, the opening part 150, and the protruding pattern part 210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FIG. 1 or 2. Omit the description.

미끄럼 방지부(220)는, 뒤꿈치부(130)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형으로 실리콘띠(221)와 간격부(222)가 서로 반복되게 다수 열 형성된다.The anti-slip unit 22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so that the silicon strip 221 and the spacer 222 are horizont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el unit 1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때, 실리콘띠(221)는, 그 폭이 5mm를 이루게 구성하고, 간격부(222)는, 그 폭이 3mm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착용자가 본 발명을 착용시 그 뒤꿈치의 피부와 접촉시 그 밀착 거부감을 줄여줌과 동시에 간격부(222)에 의해 통기성을 유지시켜주게 구성된 것이다.At this time, the silicon strip 221, the width is made of 5mm, the spacing portion 222, the width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orm 3mm, which is the wearer when wear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kin of the heel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breathability by the gap portion 222 while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contact rej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능성 양말(10b)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열 형성된 실리콘띠(221)에 의해 착용자의 발뒤꿈치를 긴밀하게 조여 밀착력이 부여되는 것이며, 이로 인한 미끄럼 없는 안정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Functional socks 10b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ightly tightened by the heel of the wearer by a plurality of rows of silicone bands 22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reby providing a close fit, thereby obtaining a stable wearing feeling without slipping. It can be.

기존의 양말을 착용 후 신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착용 후 보행을 하게 되면, 보행시 착용자의 양말과 신발의 뒤꿈치와는 마찰이 발생하는 것으로 통상의 양말은 그 마찰에 의해 밀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인 바,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능성 양말(10b)은, 그 미끄럼 방지부(220)에 의해 발뒤꿈치에 긴밀하게 밀착 형성된 것으로, 마찰이 발생하더라도 그 뒤꿈치부(130)가 밀려 본 발명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When walking after wearing conventional socks and wearing shoes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riction occurs between the wearer's socks and the heel of the shoe during walking. The phenomenon occurs, at this time, the functional socks 10b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eel by the non-slip portion 220, even if friction occurs, the heel ( 130 is pushed to prevent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ing peeled off.

또한, 실리콘의 특성상 그 우수한 밀도로 인한 통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인 바,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부(220)는 실리콘띠(221)와 간격부(222)를 연속되게 반복 형성함으로, 각열의 실리콘띠(221)의 사이 간격부(222)를 통해 통풍이 유지되게 하며, 이로 인해 밀착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그 착용감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licon is not ventilated due to its excellent density, the anti-slip unit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peatedly forming the silicon strip 221 and the spacer 222, each row of silicon Ventilation is maintained through the gaps 222 between the belts 221, thereby maintaining the adhesion and improving the fi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10b)의 실리콘띠(221)는,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및 나노실리카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양말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Silicone strip 221 of the functional socks 1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4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rmoplastic resin, 5 to 40 parts by weight of tackifying resin, 1 to 5 parts by weight of rosin, It can be attach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socks attachment comprising 1 to 10 parts by weight of plasticizer, 1 to 10 parts by weight of filler, 0.1 to 1 parts by weight of antioxidant, and 0.1 to 5 parts by weight of nanosilic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말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은, 양말 내측면에 형성되어 양말이 발에서 이탈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실리콘 밴드, 즉 실리콘띠(221)의 양말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열용융 접착제 조성물로서, 일반적으로 이형제와 실리콘 밴드 사이에 접착된 상태로 제조되어, 원단에 적용시 이형제를 제거한 후 프레스 작업을 수행하여 원단에 실리콘 밴드가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각 성분을 자세히 살펴본다.The adhesive composition for socks attach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licone ban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s to prevent the socks from falling off from the feet, that is,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socks attachment of the silicone strip 221, the thermoplastic resin 40 80 parts by weight, 5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tackifier resin, 1 to 5 parts by weight of rosin, 1 to 10 parts by weight of plasticizer, 1 to 10 parts by weight of filler and 0.1 to 1 parts by weight of antioxidant.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generally manufactured in a state of being bonded between the release agent and the silicone band, it serves to make the silicone band attached to the fabric by performing a press operation after removing the release agent when applied to the fabric.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serves as a main component of the composition to control adhesion and cohesion. If the type includes a vinyl group or a hydroxyl group,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olyvinylacetate, polyvinyl alcohol,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and ethylene-methacrylic acid copolymer, and polyurethane. It may be composed of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s preferably 40 to 8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40 parts by weight, the melt viscosity is high and the melt flow index is low, the workability is very poor, if the content is more than 80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ert sufficient adhesive force to be applied directly to the fabric.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The tackifier resin is a low molecular weight resin, lowers the melt viscosity to improve workability, improves the initial wettability of adhesion and adhesion of the adhesive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and enables control of the solidification time.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ackifying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kind, but is preferably a petroleum resin. More specifically, the tackifier resin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phatic hydrocarbon resins, alicyclic hydrocarbon resins, aromatic hydrocarbon resins, aromatic hydrocarbon-modified aliphatic hydrocarbon resins, and hydrogenated hydrocarbon resins.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The aliphatic hydrocarbon resins are commercial products such as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and the like. In addition, alicyclic hydrocarbon resins include hydrocarbon resins containing dicyclopentadiene (DCPD) as monomers, and aromatic hydrocarbon resin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rom Kolon Oil Co., Ltd. of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In addition, aromatic hydrocarbon-modified aliphatic hydrocarbon resins include Hikorez T-1080, Hikorez T-1100, etc. of Kolon Oils. Hydrogenated hydrocarbon resins can also be subdivided into hydrogenated aliphatic hydrocarbon resins, hydrogenated aromatic hydrocarbon resins, and the like, and commercially available from Kolon Oil,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and Sukorez SU-90.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tackifier resin is preferably a hydrocarbon resin having 4 to 10 carbon atoms in the monomer, and specifically, a C5 aliphatic resin, a C9 aromatic resin, a C5 / C9 aliphatic / aromatic copolymer resin,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In addition, the tackifying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carbon hydrocarbon resin containing dicyclopentadiene as a monomer, commercially available from Sukorez D-300, Sukorez D-390, Kolon Emulsifier (Korea),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and Sukorez SU-90.

한편, 본 발명의 양말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에 적용되는 만큼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attaching s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irritation as much as applied to the par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skin,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ture of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in the above-described various petroleum resin.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may be prepared by melt-mixing a monomer of a polymer into a biodegradable polymer, and polylactic acid is preferably used as the biodegradable polymer.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또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The polylactic acid is a polyester synthesized by polycondensation of lactic acid or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lactide, and has a medium physical property between polyamid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is mainly composed of natural vegetable sugar components obtained from potatoes and corn. Biodegradability is high, but generally has high hardness, low elasticity, and poor durability.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melt-mixed with the same polymer monomer,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partially bonded with the monomer to cause chain breakage, thereby lowering the overall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As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falls, the physical properties that can be used as an adhesive are exhibited, and the workability is increased.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lactic acid, the lactic acid monomer may be mixed 20 to 30 parts by weight. When the monomer is mixed in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is high and hard to be used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when the monomer exceeds 40 parts by weight migration may occur on the surface and may also be difficult to use as an adhesive.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ixing ratio of the petroleum resin and the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is 1 to 2: 1 (w / w).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petroleum resin is too high, the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effect is less likely to occur. If the mixing ratio is too high, economic efficiency may be lowered and the overall adhesive effect may be lowered.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tackifying resin is preferably 5 to 4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lowering the melt viscosity due to the addition of the tackifying resin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increase in the melt flow index is not so large that the workability may not be satisfactorily reached, and the content is more than 30 parts by weight. If the melt flow index increase rate due to the excess of the tackifier resin is not large,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is relatively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상기 송진은 양말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rosin serves to improve the overall adhes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attaching sock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acts as a natural preservative. The content of the rosin is preferably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effect of improving the adhesive strength, and if the content exceeds 5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hesion is increased during processing and processing into the product becomes difficult.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asticizer is used to impart flexibility and adhesion to the polymer, and the type of plastic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sorbitol, ethylene glycol, glycerin, glycerin diacetate, and pentaerythritol It may consist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The amount of the plasticizer is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the plasticizer is insignificant.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economical efficiency may be reduced by excessive use of the plasticizer,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may be lowered.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filler is used to control the reinforcement and flow of the composition. The type of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calcium carbonate, clay, bentonite, calcium stearate or the like can be used.

한편, 본 발명의 양말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은 양말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적용 환경상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양말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socks atta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s, odor and bacteria are likely to occur in the application environmen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odor and bacteria generation while controlling the reinforcement and flow of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attaching socks,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ture of stone powder and pulp powder as a filler. Stone powder can achieve high strength without using additives due to the compactness of the particles, and the cracking of the adhesive hardly occurs even when the temperature change is large due to low volumetric strai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ne powder may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 of various rocks such as loess, marble, ganban stone, granite, jadeite,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loess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antibacterial, anti-fungal, UV emission.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lp powder serves to agglomerate the stone powders while sucking the liquid components, to improve the miscibility and improve the cohesion between the components. At this time, the stone powder and the pulp powder is preferably mixed in a ratio of about 7: 3 to 8: 2 (w / w).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The content of the filler is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adding the filler is insignificant, and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may be lowered.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antioxidant is intended to improve the change in viscosity, yellowing, deterioration of adhesion and degradation of durability due to oxidation and decomposition, and the ty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specifically, phenols, aromatic amines, citric acid, or ascorbic acid may be used. Can be.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The content of the antioxidant is preferably 0.1 to 1 parts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the antioxidant is insignificant, and if the content exceeds 1 part by weight, not only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adhesive is lowered but also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may be lowered.

한편, 본 발명의 양말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은 원단 상에서 프레스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원단 내 홀의 존재로 인하여 조성물의 양이 치우치거나 하는 이유로 접착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attaching s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jected to a press operation on the fabric, at this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oor adhesion due to the amount of the composition is biased due to the presence of holes in the fabric.

이에, 본 발명의 양말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이 원단 표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us,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sock atta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nano-silica to improve the adhesion by allow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o be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fabric surface.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nano silica is preferably 0.1 to 5 parts by weight, and the size of the nano silica (primary particles) is preferably 100 nm or less.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content of the nano-silica is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nano-silica is insignificant, and if the content exceeds 5 parts by weight, not only the adhesive force is lowered but also a bad phenomenon that blooming (blooming)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over time May occur.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ffects through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60 parts by weight of 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 25 parts by weight of Sukorez D-300, 3 parts by weight of rosin, 5 parts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4 parts by weight of ocherite, 2 parts by weight of pulp powder and 1 part by weight of ascorbic acid. Melt kneading at ° C to prepare an adhesive composition and then molded into pellets. At this time, the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was prepared by melt-mixing 2.5 parts by weight of lactic acid monomer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at 160 ° C. for 5 minutes.

[실시예 2] Example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60 parts by weight of 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 15 parts by weight of Sukorez D-300, 10 parts by weight of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3 parts by weight of rosin, 5 parts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4 parts by weight of loess, 2 parts by weight of pulp powder and ascorb 1 part by weight of acid was mixed and melt kneaded at 170 to 180 ° C. to prepare an adhesive composition, and then molded into pellets. At this time, the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was prepared by melt-mixing 2.5 parts by weight of lactic acid monomer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at 160 ° C. for 5 minutes.

[실시예 3]Example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Except for adding 1 part by weight of nanosilica,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was made as Example 3.

[비교예] [Comparative Example]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It was used after removing the backing paper from the conventional TPU hot melt film.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메쉬접착강도 (1) Mesh adhesive strength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두 장의 양말 원단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mesh adhesive strength of the hot melt adhesive, the adhesive pellet quantified between two sock fabrics was melt-coated at 170 ° C., and then pressed at 60 kgf / cm 2 for 30 seconds at 130 ° C. Adhesive strength (kgf / cm 2) was measured.

(2) 융융흐름지수 (2) Melt Flow Index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The heating cylinder of the melt flow rate meter was filled with a pellet type adhesive and melted at 160 ° C. for about 5 minutes. The weight (g) of the adhesive passed through the cylinder for 10 minutes was measured by putting a weight of 3 kg.

Figure 112019029091061-pat00001
Figure 112019029091061-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양말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socks atta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adhesion and flow index than the existing product, even when using a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on and flow index does not fall significantly there was. Also, when the nano-silica is mixed, the flow index can be seen to increase significantly.

본 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능성 양말(10, 10a, 10b)이 담긴 포장용기(50)에 담긴 후,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20, 30, 40)의 상측에 적재되어 다음 공정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Functional so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being contain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50 containing the functional socks (10, 10a, 10b)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lifting device 20 equipped with a hydraulic jack 30 and 40 may be loaded on the upper side and moved to a place where the next process is per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lifting device equipped with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20)는 하부 프레임(310), 상부 프레임(320) 및 유압잭(40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vable lifting device 20 provided with the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wer frame 310, an upper frame 320, and a hydraulic jack 400.

하부 프레임(310)은 이동형 리프팅 장치(20)의 하부면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하부 프레임(310)의 하부면에는 이동 수단(330)이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20)는 이동성이 보장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310 is a member constitu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lifting device 20.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310 is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330, the movable lifting device 20 equipped with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uaranteed mobility.

하부 프레임(310)의 상부면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340)이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pillar 34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310.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340)은 하부 프레임(310)의 모서리 부분에 네 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설치 개수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As shown, four pillars 340 may be provid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310, but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installation.

기둥(340)은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기둥(340)은 제1 지름을 갖는 외부 기둥 및 제1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며, 외부 기둥에 삽입되어 외부 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내부 기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 기둥이 외부 기둥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기둥(340)의 전체적인 길이가 단축되며, 내부 기둥이 외부 기둥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기둥(340)의 전체적인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하지만, 기둥(340)이 상술한 구성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외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될 수만 있으면 종래의 다른 구성들로도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illar 34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length may vary. For example, the pillar 340 may include an outer pillar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n inner pillar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nd inserted into the outer pillar and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illar. In this case, the overall length of the pillar 340 is shortened when the inner pillar is sli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outer pillar,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pillar 340 may be increased when the inner pillar is slid in the direction that protrudes from the outer pillar. However, the pillar 340 nee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may be replaced with other conventional configurations as long as the length can be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상부 프레임(320)은 적어도 하나의 기둥(340)에 의해 하부 프레임(310)으로부터 지지되어 하부 프레임(3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20)의 상부면에는 들어 올리고자 할 물체, 즉 포장용기(50)가 안착될 수 있으며, 기둥(34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상부 프레임(320)이 지면으로부터 승강하면서 상부 프레임(320)에 안착된 포장용기(50)가 들어 올려지게 된다.The upper frame 320 may be supported from the lower frame 310 by at least one pillar 340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frame 310. An object to be lifted, that is, a packaging container 50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320. When the length of the pillar 340 increases, the upper frame 320 is lifted from the ground while the upper frame 320 is raised. The packaging container 50 seated in the) is lifted.

유압잭(400)은 이러한 기둥(340)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유압잭(400)은 하부 프레임(310) 및 상부 프레임(320)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 프레임(320)에 안착된 물체를 승강시키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외력을 이용하여 기둥(340)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상부 프레임(32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ydraulic jack 400 is a device for providing a lifting force to such a pillar (340). Hydraulic jack 400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frame 310 and the upper frame 320, in order to lift the object seated on the upper frame 320, variable length of the column 340 by using an external force provided by the user. By doing so, the upper frame 320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together.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압잭(4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유압잭(400)의 내부 구성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hydraulic jack 400 shown in Figure 5,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hydraulic jack 400 shown in Fig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은, 본체(410), 외부 실린더(420), 가압 레버(430) 및 해제 밸브(4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hydraulic jack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410, the outer cylinder 420, the pressure lever 430 and the release valve 440.

본체(410)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 작동유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내부 실린더(411) 및 승강 피스톤(412)이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410 is a cylindrical member and has a space in which a working fluid can be stored, and an inner cylinder 411 and a lifting piston 412 may be disposed therein.

내부 실린더(411)는 본체(4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 본체(410)와 내부 실린더(411) 사이에는 작동유체가 저장될 수 있다. The inner cylinder 411 is a cylindrical member formed inside the main body 410, and a working fluid may be stored between the main body 410 and the inner cylinder 411.

승강 피스톤(412)은 내부 실린더(411)에 설치되어 내부 실린더(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을 하는 부재이다. 즉, 내부 실린더(411)에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승강 피스톤(412)이 상승하면서 기둥(34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 피스톤(412)의 상부에 접촉된 상부 프레임(320)은 지면으로부터 상승할 수 있다.The lifting piston 412 is a member installed in the inner cylinder 411 to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cylinder 411. That is, when the working fluid is supplied to the inner cylinder 411, the length of the column 340 is increased while the lifting piston 412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thereby conta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piston 412 The upper frame 320 may rise from the ground.

외부 실린더(420)는 내부 실린더(411)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부재로, 본체(410)와 밀폐 상태가 유지되도록 체결 브라켓(415)을 통해 본체(41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압 피스톤(421) 내부에는 가압 피스톤(4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 피스톤(421)은 가압 레버(43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The outer cylinder 420 is a member for supplying a fluid to the inner cylinder 41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410 through the fastening bracket 415 so that the outer cylinder 410 is maintained in a sealed state. The pressure piston 421 is formed in the pressure piston 421, and the pressure piston 421 may be raised or lowered by the pressure lever 430.

가압 레버(430)는 가압 피스톤(421)과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외력을 가압 피스톤(421)에 전달하는 부재이다. The pressure lever 430 is a member connected to the pressure piston 421 to transfer the external force provided from the user to the pressure piston 421.

도 8은 유압잭(400)을 구성하는 외부 실린더(420) 및 외부 실린더(420)의 가압 피스톤(421)과 가압 레버(430)가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422)가 도시된 도면으로, 외부 실린더(420) 내부에 형성된 가압 피스톤(421)은 연결부(422)를 통해 가압 레버(430)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가압 피스톤(421)은 가압 레버(430)를 통해 제공받은 사용자의 외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8 is a view illustrating an outer cylinder 420 constituting the hydraulic jack 400 and a connecting portion 422 for coupling the pressure piston 421 and the pressure lever 430 of the outer cylinder 420. The pressure piston 421 formed inside the 420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pressure lever 430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422, and due to this structural feature, the pressure piston 421 is provided by the user provided through the pressure lever 430. Can receive external force.

가압 레버(43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이프 등과 같은 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파이프가 가압 레버(4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이프를 위/아래로 이동시킴에 따라 가압 레버(430)에 외력이 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압 레버(430)는 상술한 파이프를 포함하거나 파이프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pressure lever 430 has a through hole for coupling a member such as a pipe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and thus the user moves the pipe up and down while the pipe is coupled to the pressure lever 430. Accordingly,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pressure lever 43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lever 430 may include the pipe described above or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pipe.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의 구체적인 동작 원리를 살펴보면, 유압잭(400)이 상승시키고자 하는 물체가 상부 프레임(3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 레버(430)를 들어올리게 되면, 가압 피스톤(421)이 상승하면서 외부 실린더(420)에 부압(負壓)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410)와 내부 실린더(411) 사이에 저장되어 있던 작동유체는 흡입관(451)을 따라 외부 실린더(420)에 유입될 수 있다.Looking at the specific operation principle of the hydraulic jack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lifts the pressure lever 430 in a state in which the object to be raised by the hydraulic jack 400 is seated on the upper frame 320. When raised, the pressure piston 421 is raised to form a negative pressure in the outer cylinder 420. Accordingly, the working fluid stored between the main body 410 and the inner cylinder 411 may flow into the outer cylinder 420 along the suction pipe 451.

이후, 사용자가 가압 레버(430)를 누르게 되면, 가압 피스톤(421)이 하강하면서 외부 실린더(420)로 흡입된 작동유체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외부 실린더(420)로 흡입된 작동유체는 공급관(452)을 따라 내부 실린더(411)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실린더(420)측과 연결된 흡입관(451)의 일단에는 역류 방지 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작동유체가 공급관(452)을 따라서만 압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내부 실린더(411)로 유입된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승강 피스톤(412)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사용자가 가압 레버(430)를 승하강시킴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내부 실린더(411)의 압력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면서 승강 피스톤(412)이 점차적으로 상승하여 승강 피스톤(412) 상단에 얹어진 물체를 들어올리게 된다.Then,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lever 430, the pressure piston 421 is lowered to apply pressure to the working fluid sucked into the outer cylinder 420. Thus, the working fluid sucked into the outer cylinder 420 may move to the inner cylinder 411 along the supply pipe 452.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uction pipe 451 connected to the outer cylinder 420 side is provided with a non-return valve so that the working fluid can be pumped only along the supply pipe (452). The lifting piston 412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inner cylinder 411. This process is repeated as the user raises and lowers the pressure lever 430, and as a result, as the pressure of the inner cylinder 411 gradually increases, the lifting piston 412 gradually rises to raise the lifting piston ( 412) The object on the top is lifted.

해제 밸브(440)는 이러한 공급관(452)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내부 실린더(411)의 압력을 해제하는 밸브 형태의 부재이다. 즉, 사용자가 물체를 원래 위치로 하강시키고자 할 때, 해제 밸브(440)를 개방시키게 되면 내부 실린더(411)로 유입된 고압 충전된 작동유체가 회수관(530)을 통해 물체의 중력을 받는 승강 피스톤(412)의 압력에 의해 본체(410)로 회수되어, 내부 실린더(411)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승강 피스톤(412)이 물체의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물체는 원래의 위치로 하강할 수 있다.The release valve 44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ly pipe 452, and is a valve type member that releases the pressure of the inner cylinder 411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lower the object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release valve 440 is opened, the high pressure charged work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inner cylinder 411 receives gravity of the object through the recovery pipe 530. As the pressure of the lifting piston 412 is recovered to the main body 410, the lifting piston 412 is lowered by the gravity of the object while the pressure of the inner cylinder 411 is lowered, and the object may be lowered to its original position.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은 사용자로부터 가압 레버(430)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작은 힘을 이용하여 중량이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ydraulic jack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ift or lower a heavy object by using a small force repeatedly applied to the pressure lever 430 from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물체의 종류 및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승강 피스톤(412)에 제공되는 압력의 크기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just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provided to the lifting piston 412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bject and the type of work to be performed.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9 to 12 together.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lifting device equipped with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30)는 하부 프레임(310), 상부 프레임(320) 및 유압잭(400a)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movable lifting device 30 provided with the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rame 310, an upper frame 320, and a hydraulic jack 400a.

이때,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30)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310) 및 상부 프레임(320)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20)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310) 및 상부 프레임(320)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lower frame 310 and the upper frame 320 constituting the movable lifting device 30 equipped with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9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5 Since it is the same as the lower frame 310 and the upper frame 320 constituting the movable lifting device 20 provided with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the exampl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30)는 도 5에 도시된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20)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으로 대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ydraulic lifting device 30 equipped with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hydraulic lifting device 20 equipped with a hydraulic jack shown in FIG. 5, the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00 may be replaced with a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together.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이 도시된 사시도이다.10 to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유압잭(400a)을 구성하는 외부 실린더를 비교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유압잭(400a)의 내부 구성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comparing an outer cylinder constituting the hydraulic jack 400a of FIG. 10, and FIG. 12 is a hydraulic jack (shown in FIG. 10). It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400a).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은, 본체(410),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 620d, 620e, 620f), 가압 레버(430) 및 해제 밸브(4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410, the outer cylinder (420a, 420b, 420c, 620d, 620e, 620f), the pressure lever 430 and the release valve 440 Include.

이때,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을 구성하는 본체(410), 가압 레버(430) 및 해제 밸브(440)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을 구성하는 본체(410), 가압 레버(430) 및 해제 밸브(440)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410, the pressurizing lever 430 and the release valve 440 constituting the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7,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5 Since the main body 410, the pressure lever 430 and the release valve 440 constituting the hydraulic jack 400 according to the example, the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은 도 5에 도시된 외부 실린더(420)가 복수 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은 가압 레버(430)에 복수의 외부 실린더(420a, 620b, 420c, 420d, 420e, 420f, 420g)가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은 가압 레버(430)과 동축인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제1 외부 실린더(420a)를 중심으로 여섯 개의 외부 실린더(420b, 420c, 420d, 420e, 420f, 420g)가 제1 외부 실린더(420a)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실린더가 두 개 이상이기만 하면 그 개수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uter cylinder 420 shown in FIG. That is, in the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outer cylinders 420a, 620b, 420c, 420d, 420e, 420f, and 420g may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lever 430. 9, the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ix outer cylinders 420b and 420c around the first outer cylinder 420a formed along a central axis coaxial with the pressure lever 430. 420d, 420e, 420f, and 420g are expressed as being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outer cylinder 420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the outer cylinders is not limited.

각각의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420g)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부에는 가압 피스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가압 레버(430)를 조작하여 유압잭(400a)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가압 레버(430)는 제공받은 외력을 각각의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420g)로 분산시켜 전달할 수 있다. Each of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and 420g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ressure piston is formed therein, respectively. That is, when a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hydraulic jack 400a by operating the pressure lever 430, the pressure lever 430 applies the external force provided to each of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and 420g. Can be distributed by).

이때,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420g)가 모두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설계되는 경우, 각각의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420g)로 전달되는 외력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420g)가 서로 다른 지름을 갖도록 설계되는 경우, 외력은 지름의 크기에 비례하여 분산 전달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and 420g are all designed to have the same diameter,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and 420g are delivered to each other. The external force may be uniformly distribut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and 420g are design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the external force may be transmitt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diameter.

또한, 유압잭(400a)을 구성하는 모든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420g)의 지름의 총합은 내부 실린더(411)의 지름보다 작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420g)의 지름의 총합은 내부 실린더(411)의 지름보다 1/3이하가 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실린더의 지름이 내부 실린더(411)의 지름보다 커지게 되면, 외부 실린더로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보다 작은 힘이 내부 실린더(411)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sum of the diameters of all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and 420g constituting the hydraulic jack 400a may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cylinder 411. Is preferably designed such that the sum of the diameters of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420c, 420d, 420e, 420f, 420g is one third or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cylinder 411. When the diameter of the outer cylinde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cylinder 411, a force smaller than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uter cylinder can be transmitted to the inner cylinder 411.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의 구체적인 동작 원리를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A detailed operation principle of the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이 세 개의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은 도 8의 유압잭(400a)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두 개의 외부 실린더 또는 네 개 이상의 외부 실린더가 구비되는 경우도 후술하는 동작 원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In FIG. 12, the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having three outer cylinders 420a, 420b, and 420c, but as described above, FIG. 10 illustrates the hydraulic jack 400a of FIG. 8. A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ng principle, two outer cylinders or four or more outer cylinders may als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following operating principles.

유압잭(400a)이 상승시키고자 하는 물체 하부에서 물체와 접촉된 상태로 사용자가 가압 레버(430)를 들어올리게 되면, 각각의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의 가압 피스톤(421a, 421b, 421c)이 상승하면서 외부 실린더(420)에 부압(負壓)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410)와 내부 실린더(411) 사이에 저장되어 있던 작동유체는 흡입관(451a, 451b, 451c)을 따라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에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user lifts the pressure lever 430 while the hydraulic jack 400a is in contact with the object under the object to be raised, the pressure pistons 421a, 421b, and 421c of the respective outer cylinders 420a, 420b, and 420c. As the) rises,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outer cylinder 420. Accordingly, the working fluid stored between the main body 410 and the inner cylinder 411 may flow into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and 420c along the suction pipes 451a, 451b, and 451c.

이후, 사용자가 가압 레버(430)를 누르게 되면, 가압 피스톤(421a, 421b, 421c)이 하강하면서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로 흡입된 작동유체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로 흡입된 작동유체는 공급관(452a, 452b, 452c)을 따라 내부 실린더(411)로 이동할 수 있다. 내부 실린더(411)로 유입된 작동유체의 압력에 의해 승강 피스톤(412)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사용자가 가압 레버(430)를 승하강시킴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내부 실린더(411)의 압력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면서 승강 피스톤(412)이 점차적으로 상승하여 승강 피스톤(412) 상단에 얹어진 물체를 들어올리게 된다.Then,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lever 430, the pressure piston (421a, 421b, 421c) is lowered to apply pressure to the working fluid sucked into the outer cylinder (420a, 420b, 420c). Accordingly, the working fluid sucked into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and 420c may move to the inner cylinder 411 along the supply pipes 452a, 452b, and 452c. The lifting piston 412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inner cylinder 411. This process is repeated as the user raises and lowers the pressure lever 430, and as a result, as the pressure of the inner cylinder 411 gradually increases, the lifting piston 412 gradually rises to raise the lifting piston ( 412) The object on the top is lifted.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은 흡입관(451a, 451b, 451c) 일단에 설치된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 및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off valves 4511a, 4511b, 4511c and the shutoff valves 4511a, 4511b, 4511c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uction pipes 451a, 451b, 451c.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means (not shown).

제어 수단(미도시)은 체결 브라켓(415)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 회로 형태로 마련되어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 수단(미도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각의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를 개폐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means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trol circuit disposed inside the fastening bracket 415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hutoff valves 4511a, 4511b, and 4511c. In this case, the control means (not shown) may open and close the respective shutoff valves 4511a, 4511b, and 4511c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Figure 112019029091061-pat00002
Figure 112019029091061-pat00002

상술한 수학식 1은 승강 피스톤(412)에 작용되는 힘(W)을 나타내는 수학식으로, 승강 피스톤(412)에 작용되는 상승력(W)은 승강 피스톤(412)의 지름(D)에 대한 가압 피스톤(421a, 421b, 421c)의 지름의 합(d)의 비율 및 가압 피스톤(421a, 421b, 421c)에 가해지는 외력(w)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Equation 1 is a formula representing a force (W) applied to the lifting piston 412, the lifting force (W) acting on the lifting piston 412 is pressed against the diameter (D) of the lifting piston 412 It may be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sum d of the diameters of the pistons 421a, 421b, and 421c and the external force w applied to the pressure pistons 421a, 421b, and 421c.

즉, 사용자가 가압 레버(430)를 통해 일정한 크기의 외력(w)을 유압잭(400)에 전달하게 되면 승강 피스톤(412)의 상승력은 승강 피스톤(412)의 지름(D)에 대한 가압 피스톤(421a, 421b, 421c)의 지름(d)의 비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 피스톤(412)의 지름(D)은 내부 실린더(411)의 지름에 따라 결정되고, 가압 피스톤(421a, 421b, 421c)의 지름의 합(d)은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의 지름의 합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승강 피스톤(412)에 작용되는 상승력(W)은 내부 실린더(411)의 지름에 대한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의 지름 합의 비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transmits the external force w of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the pressure lever 430 to the hydraulic jack 400, the lifting force of the lifting piston 412 is the pressure piston (D) for the diameter D of the lifting piston 412.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ratio of the diameter d of the 421a, 421b, and 421c. Here, the diameter D of the lifting piston 412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cylinder 411, and the sum d of the diameters of the pressure pistons 421a, 421b, and 421c is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and 420c. As a result, the lifting force W acting on the lifting piston 412 depends on the ratio of the diameter sum of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and 420c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cylinder 411. Can be variabl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은 제어 수단(미도시)에 의해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로 유입되는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가 개방된 가압 피스톤(421a, 421b, 421c)을 통해서만 작동유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승강 피스톤(412)의 승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off valves 4511a, 4511b, and 4511c by a control means (not shown) to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and 420c.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the working fluid flows in, and to increase the lifting force of the lifting piston 412 by applying pressure to the working fluid only through the pressure piston (421a, 421b, 421c) isolating valve (4511a, 4511b, 4511c) is open. It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어 수단(미도시) 조작에 따라 제1 차단 밸브(4511a)만 폐쇄된 경우, 작동유체에 가해지는 외력은 모든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가 개방되었을 때 작동유체에 가해지는 외력(w)의 2/3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외부 실린더(420a, 420b, 420c)의 지름이 가변되어 승강 피스톤(412)의 승강력(W)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사용자는 들어 올리고자 할 물체의 종류 또는 물체를 들어올린 후 수행할 작업의 종류 등에 따라 가압 레버(430)의 1회 조작에 따른 유압잭(400)의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only the first shut-off valve 4511a is closed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means (not show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working fluid is the working fluid when all the shut-off valves 4511a, 4511b, and 4511c are opened. Only two thirds of the external force w applied to it can be transmitted. In other words, the diameters of the outer cylinders 420a, 420b, and 420c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not shown) to have the effect of adjusting the lifting force W of the lifting piston 41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ifting height of the hydraulic jack 400 according to the one-time operation of the pressure lever 43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bject to be raised or the type of work to be performed after lifting the object.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수단(미도시)은 개폐할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some other embodiments, control means (not shown) may automatically determine the shutoff valves 4511a, 4511b, 4511c to open and close.

일 예로, 제어 수단(미도시)은 유압잭(400a)의 최초 작동 시점으로부터 가압 레버(430)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작동될 때 까지는 하나의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만 개방시킨 후, 가압 레버(430)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으로 작동되는 시점부터는 복수의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 제어 수단(미도시)은 가압 레버(430)가 최초 5회 작동될 때까지는 제1 차단 밸브(4511a)만 개방되도록 하고, 가압 레버(430)가 6~10회 작동될 때까지는 제1 차단 밸브(4511a) 및 제2 차단 밸브(4511b)가 개방되도록 하며, 11회 이상부터는 모든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압잭(400a)을 이용하여 물체를 들어올리고자 하는 경우 낮은 높이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작업의 종류는 많지 않기 때문에, 초반에는 빠른 속도로 물체를 상승시킨 후 적당한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물체의 상승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해야될 필요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에 따르면, 하나의 차단 밸브만 개방된 상태에서는 물체는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빠른 속도로 상승된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개방되는 차단 밸브의 개수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승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압잭(400a)을 항상 일정한 크기의 힘으로 조작하더라도 물체의 상승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For example, the control means (not shown) opens only one shutoff valve 4511a, 4511b, 4511c from the initial operation time of the hydraulic jack 400a until the pressure lever 430 is oper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n pressurizes it. From the time when the lever 430 is oper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plurality of shutoff valves 4511a, 4511b, and 4511c may be controlled to be opened.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means (not shown) allows only the first shut-off valve 4511a to be opened until the pressure lever 430 is operated for the first five times, and until the pressure lever 430 is operated for 6 to 10 times. The first shutoff valve 4511a and the second shutoff valve 4511b may be opened, and at least 11 times, all the shutoff valves 4511a, 4511b, and 4511c may be controlled to open. In general, when lifting an object using the hydraulic jack 400a, there are not many kinds of tasks that cannot be performed at a low height. Therefore, if the object is initially raised at a high speed and then rises to an appropriate height, the height of the object is raised. It needs to be finely adjusted.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where only one shutoff valve is opened, the object is raised at a high speed within a relatively fast time, and then gradually increases as the number of shutoff valves that are opened increases as time passes. The rate of ascent may decrease. Therefore, even if the user always operates the hydraulic jack 400a with a constant magnitude of force, the user has the effect of varying the rising height of the object.

다른 예로, 제어 수단(미도시)는 유압잭(400a)의 상부에 배치된 물체의 무게에 따라 개폐할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means (not shown) may automatically determine the shut-off valves 4511a, 4511b, and 4511c to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object disposed above the hydraulic jack 400a.

이를 위해,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은 중량 감지 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weight sensing means (not shown).

중량 감지 수단(미도시)는 유압잭(400a)의 상부에 배치된 물체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 수단(미도시)로 전달하고, 제어 수단(미도시)은 감지된 무게의 크기를 미리 정해진 임계 구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각각의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의 개폐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weight sensing means (not shown) detects the weight of the object disposed above the hydraulic jack 400a and transmits the weight to the control means (not shown), and the control means (not shown) transfers the size of the detected weight to a predetermined critical sec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hutoff valves 4511a, 4511b, and 4511c are opened or clo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제어 수단(미도시)은 물체의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제1 임계구간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 모든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를 개방시켜 사용자의 가압 레버(430)의 1회 조작에 따른 유압잭(400)의 승강 높이가 비교적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 수단(미도시)은 물체가 비교적 무거운 제2 임계구간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하나의 차단 밸브(4511a, 4511b, 4511c)를 개방시켜 사용자의 가압 레버(430)의 1회 조작에 따른 유압잭(400)의 승강 높이가 비교적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물체의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경우, 상승 과정에서 물체가 유압잭(400a)을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며, 물체의 무게가 비교적 무거운 경우 상승 과정에서 유압잭(400a)을 이탈할 가능성이 비교적 낮을 뿐만 아니라 더욱 많은 상승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means (not shown) is included in the first critical section in which the weight of the object is relatively light, all of the shutoff valves 4511a, 4511b, and 4511c are opened to open the pressure lever 430 of the user. The lifting height of the hydraulic jack 4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can be controlled to be relatively low.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means (not shown) is included in the second critical section where the object is relatively heavy, one operation of the pressure lever 430 of the user by opening the at least one shutoff valves 4511a, 4511b, and 4511c. The lifting height of the hydraulic jack 400 can be controlled to be relatively low. This is because when the weight of the object is relatively light, the object may leave the hydraulic jack 400a in the ascending process, and when the weight of the object is relatively heavy, the possibility of leaving the hydraulic jack 400a in the ascending process is relatively low as well. This is because it requires a lot of lif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400a)은 물체의 종류 또는 작업의 종류 등에 따라 승강 피스톤(412)의 상승력을 가변시킴으로써 유압잭(400a)을 이용한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such, the hydraulic jack 4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efficient work using the hydraulic jack 400a by varying the lifting force of the lifting piston 412 according to the type of object or the type of work. .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lifting device equipped with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40)는 하부 프레임(310), 상부 프레임(320), 유압잭(400) 및 낙하 방지부(70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movable lifting device 40 provided with the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rame 310, an upper frame 320, a hydraulic jack 400, and a drop preventing unit 700.

이때,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40)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310), 상부 프레임(320) 및 유압잭(400)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20)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310) 및 상부 프레임(320)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lower frame 310, the upper frame 320 and the hydraulic jack 400 constituting the movable lifting device 40 provided with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Since the same as the lower frame 310 and the upper frame 320 constituting the movable lifting device 20 provided with a hydraulic j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낙하 방지부(700)는, 유압잭(4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320)이 낙하할 경우 상부 프레임(320)를 지지하여 유압잭(4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drop prevention unit 700 i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hydraulic jack 400 to support the upper frame 320 when the upper frame 320 falls to prevent the hydraulic jack 400 from being damaged.

일 실시예에서, 낙하 방지부(700)는, 탄성 지지부(500) 및 하중 분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all prevention part 700 may include an elastic support part 500 and a load distribution part 600.

도 14는 도 13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support of FIG.

도 14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elastic support part 500 includes a support frame 540, four support plates 510, four pairs of support frames 520, and a support column 530.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부 프레임(320)이 낙하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프레임(320)를 지지한다.The supporting frame 540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late 510 installed at the lower side, and supports the upper frame 320 by using an elastic force when the upper frame 320 falls.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The supporting plate 510 supports the supporting frame 540 seated on the upper side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illar 530 by the supporting frame 520 connected to the lower side.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upporting plate 510 seats the supporting frame 540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in response to th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supporting frame 540, the supporting plate 510 is orie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e, the first frame 521a). Alternatively, vibration or shock may be attenuated by being absorbed by the support frame 520 sli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e, the second frame 521b).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first frame (521a) or the second frame (521b),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lastic body that can reduce the impact by simply adjusting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position by the plate 510 can be freely adjusted no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The support frame 520 is connected to rotatably two frames of the first frame 521a and the second frame 521b at each lower portion of the four support plates 510 to support the plate 510.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osition of the support frame 540 by the plate 510 is determin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frame 521a or the second frame 521b.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rame 521a and the second frame 521b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510, and the lower part of the first frame 521a is rot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column 530.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521b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enable horizontal sliding movement,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rame 521b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illar 530 so as to allow rotational and vertical sliding movement.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That is, the first frame 521a or the second frame 521b may be subjected to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support plate 510 through a pivoting or sliding movement by elastic force on the upper surface or one side of the support pillar 530. The support pillar 530 is transferred.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The support pillar 5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521a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so as to be rotated and horizontally slidably mov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521b is one side. I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and vertical sliding movement in the installation, and the elastic force (ie, the cross-elastic portion 533 or vertical elastic portion 535)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irst frame (521a) or the second frame (521b) Absorbs vibrations or shocks through.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Each of the supporting plate 510 or the supporting frame 520 is driven by the same method as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each other, and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ne supporting plate 510 or the supporting frame 520 as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other support plate 510 or the other support frame 520,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14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lastic support 5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a vertically symmetrical structure, in the case of Figure 14 is shown that each configuration is formed on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530 The configuration associated with four support plates 510 and four pairs of support frames 520 as one would be equally applicable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pillars 53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부(500)는 작업자가 작업하는 도중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가 파손되어 상부 프레임(320)이 낙하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프레임(320)를 지지함으로써,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의 핵심 구성이라고 할 수 있는 유압잭(400, 400a)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 5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upports the upper frame 320 by using an elastic force when the movable lifting device equipped with the hydraulic jack is damaged and the upper frame 320 falls while the worker is working. The hydraulic jacks 400 and 400a, which can be referred to as core components of the movable lifting device provided with the hydraulic jack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15 and 16 are views showing the support pillar of FIG.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16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16 참조)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5, the support pillar 530 includes a pillar body 531, a cross groove 532, a cross elastic portion 533, four vertical grooves 534 (see FIG. 16), and four vertical elastic portions. 535 (see FIG. 16).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The pillar body 53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a cross groove 532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he vertical groove 534 is formed on each side.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The cross grooves 532 are recessed and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body 531 in a "+" shape, and a cross elastic portion 533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The cross resilient portion 533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ross groove 532 and is inserted into the cross groove 532,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rame 521a is rotatable on the upper ends of the four branches. It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absorb th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first frame 521a by using the elastic force to attenuate the vibration or shock.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The vertical groove 534 is formed in each of the surface of the pillar body 53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elastic portion 535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space.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The vertical elastic portion 53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vertical groove 534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groove 534,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rame 521b is connected to the upper outer side so as to be rotatable and elastic force By absorbing th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second frame 521b to reduce the vibration or shock.

도 17은 도 15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7 is a view illustrating the cross elastic part of FIG. 15.

도 17을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7, the cross elastic part 533 includes a cross case part 5313, an upper support part 5332, four upper elastic parts 5333, four upper elastic support parts 5534, and four upper connecting links. A part 5335 is included.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The cross case portion 5313 has an inner space formed in an empty " + "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cross groove 532, and includes an upper support portion 5332, four upper elastic portions 5333, and four which are described later in the inner space. Top elastic support parts 5340 are installed.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each branch of the cross case portion 5311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each branch of the cross groove 532, as shown in Figure 17, the upper portion in the spac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ross case portion (5331) The connecting link portion 5335 may be disposed and may form a space for sliding movement.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The upper support part 5332 is formed of a cube, an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ross case part 5311, so that the upper elastic part 5333 is disposed outside each of the four surfaces, and supports the upper elastic part 5333. do.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The upper elastic part 5333 is disposed on each side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art 5332 to support the upper elastic support part 5340 by elastic force, thereby absorbing vibrations or shocks transmitted from the upper elastic support part 5344.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The upper elastic support part 5340 is disposed at each end of each branch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ross case part 5313, is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upper elastic part 5333, and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link parts 5335. The upper connecting link portion 5335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ar 5336.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The upper link link portion 5335 is disposed at each end of each branch of the cross groove 532, and is provided between the side of the cross case portion 5313 and the support bar 5336 provided between the upper elastic support portion 5340. It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y a),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rame 521a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so as to be rotatable, and each branch of the cross groove 532 meets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late 510. Sliding along the groove of the cross groove 532 in the center direction.

도 18은 도 16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8 is a view illustrating the vertical elastic part of FIG. 16.

도 18을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탄성 지지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8, the vertical elastic portion 535 may include a vertical case portion 5331, a side support portion 5332, a side elastic portion 5343, a side elastic support portion 5344, and a side connection link portion 5345. do.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탄성 지지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The vertical case portion 533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vertical groove 534 in which the inner space is empty,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5332, the side elastic portion 5431, and the side elastic support portion 5344 are form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 Are installed in order.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The side support part 5332 is formed of a cube, is disposed in a lower space of the vertical case part 5331, and a side elastic part 5435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to support the side elastic part 5435.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탄성 지지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탄성 지지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The side elastic part 5343 is disposed above the side support part 5332, and supports the side elastic support part 5344 disposed above by the elastic force, thereby preventing vibration, shock, and the like transmitted from the side elastic support part 5344. Will be absorbed.

측면 탄성 지지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The side elastic support part 5344 is disposed above the inner space of the vertical case part 5331, is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ide elastic part 5435, and is provided between the side connecting link parts 5345. It supports the side link link portion 5345 by.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탄성 지지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The side link link portion 5345 is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groove 534 and is provided between a lower side facing the vertical case portion 5331 and an upper side of the side elastic support portion 5344. It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y a),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rame 521b is connected to the outer side so as to be rotatable, and slides along the groove of the vertical groove 534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vertical groove 534. .

도 19를 참조하면, 하중 분산부(600)는, 탄성 지지부(50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630)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615)가 마련되는 볼 하우징(610), 중공부(615)에 안치된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 및 상부에 접지평면(645)과 접지평면(645)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볼트(646)를 갖는 접지볼(6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9, the load dispersing part 600 is installed below the support part 630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support part 500, and has a hollow housing 610 therein and a hollow part 615. Ground ball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small balls 620 placed in the portion 615, and a fixing bolt 646 extending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ground plane 645 and the ground plane 645 on the top ( 640).

하중 분산부(6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P) 보다 작은 하중(q)을 전달할 수 있다. The load spreading part 600 may disperse and partially absorb the load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 a load q smaller than the load P applied from the outside.

하중 분산부(600)는 볼 하우징(6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볼 하우징(610)의 내부에서 분산시키고, 최종적으로 볼 하우징(610)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보다 작은 하중을 전달하도록 한다. 볼 하우징(6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은 중공부(615)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 및 접지볼(640)에 의해 분산되는데, 하중의 일부는 볼 하우징(610)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분산되고, 나머지 하중이 볼 하우징(61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The load distribution unit 600 distributes the load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ball housing 610 inside the ball housing 610 and finally transmits a load smaller than the load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ball housing 610. . The load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ball housing 610 is distribu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ing small balls 620 and the ground ball 640 located in the hollow part 615, and a part of the load is distributed to the ball housing 610. The inner wall may be dispersed while pressing, and the remaining load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ball housing 610.

볼 하우징(610)은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표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 및 접지볼(640)이 수용되는 중공부(615)가 구비될 수 있다.The ball housing 610 may be fixed to the surface by using concrete, etc., and a hollow portion 615 i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ing small balls 620 and ground balls 640 are accommodated may be provided therein. .

볼 하우징(610)은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 및 접지볼(640) 간의 작용에 의해 분산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철, 콘크리트, 목재, 플라스틱 등이 일정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ll housing 610 is a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of iron, concrete, wood, plastic, etc. to support the load distributed by the a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ing small balls 620 and the ground ball 640 disposed therein It may be made of.

볼 하우징(610)의 형태는 다면체, 구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중공부(615)는 접지볼(640)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ll housing 6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hedron or a sphere, and the hollow part 615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round ball 640.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 및 접지볼(640)은 중공부(615)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구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upporting small balls 620 and the ground ball 640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low part 615 and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은 중공부(615)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접지볼(640)은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에 올려진 상태로 중공부(615) 내에 수용되어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에 점접촉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ing small balls 620 may be regularly arranged and receiv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art 615. The ground ball 640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low part 615 in a state in which the ground ball 640 is placed on the plurality of small balls for support 620, and may be supported in a point contact state with the plurality of small balls for support 620.

이처럼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 및 접지볼(640)은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는데,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 및 접지볼(640) 간의 접촉점에 의해 외부의 하중이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최외측에 위치하는 중공부(615) 즉, 볼 하우징(610)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외부 하중의 분산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을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접지볼(640)을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에 올려진 상태로 배열함으로써,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 및 접지볼(640) 간의 접촉점 개수를 높이고 하중 전달을 규칙화 하여 서로 간의 하중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접지볼(640)은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에 의해 점접촉 상태로 지지되는 것으로,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supporting small balls 620 and the ground ball 640 are regularly arrang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external load is caused by the contact points between the plurality of the supporting small balls 620 and the ground balls 640. Dispersion of the external load may occur while pressing the inner wall of the hollow portion 615, ie, the ball housing 610, which is transmitted and finally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mall balls for support 620 are regularly arranged, and the ground balls 640 are arranged on the plurality of small balls for support 620, there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small balls for support.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between the 620 and the ground ball 640 may be increased, and load transfer may be regulated to increase the load transfer effect between each other. In addition, the ground ball 640 is supported in a point contact state by the plurality of supporting small balls 62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ear.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620) 및 접지볼(640)은 서로 간의 접촉점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철, 콘크리트, 목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ing small balls 620 and the ground ball 64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strength to withstand the load due to the contact point with each other, for example, may be made of iron, concrete, wood, plastic, etc. have.

한편, 접지볼(640)은 상부에 접지평면(645)을 구비할 수 있다. 접지평면(645)의 중심 부분에는 고정볼트(646)가 설치되어 지지부(630)의 하측에 삽입되어 접지볼(640)에 지지부(63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round ball 640 may be provided with a ground plane 645 on the top. A fixing bolt 646 is install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ground plane 645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630 so that the support portion 630 is fixed to the ground ball 640.

이때, 고정볼트(646)는, 외측에 별도의 돌기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민무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즉, 피스못과 같은 형태 등)함으로써, 지지부(630)의 하측을 보다 강하게 체결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fixing bolt 646 may be formed in a flat pattern without forming a separate protrusion on the outside, but by forming a thread along the outer surface (that is, a shape such as a piece of nail),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630 It would be desirable to tighten more strongly.

이처럼, 하중 분산부(600)는, 탄성 지지부(500)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 지지부(500)를 지지함으로써, 탄성 지지부(500)에 의한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프레임(320)의 지지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As such, the load distribution unit 600 is installed below the elastic support part 500 to support the elastic support part 500, thereby ensuring the support stability of the upper frame 320 by the elastic support part 500 as described above. can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양말은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nctional so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position for repairing a building structure including an acrylic binder for filling and repairing where cracks occur when a crack occurs in the structure.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20, 30, 40)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제작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장치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Here, the structure, the lifting device 20, 30, 40 provided with a hydraulic jack may correspond to this, it is not limited to this may correspond to the device required to manufacture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자들은 종래 존재하던 건축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모두 향상된 조성물 중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여, 예의 노력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there is no composition exhibiting a satisfactory effect among th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water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crack resistance in a composition for repairing a conventionally existing building structure. The inventors have invented a composition which exhibits a satisfactory effect of water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crack resistance.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rylic binder may be an acrylic ester copolymer. The acrylic ester copolymer may be an acrylic ester copolymer having a CAS number of 30445-28-4. The present inventors are exploring various compounds that can be added to the composition for repairing building structures, the composition that can achieve both the water resistance and crack resistance 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when the composition comprises the acrylic ester copolymer Confirmed.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may include 10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binder, preferably 15 to 40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20 to 30 parts by weight.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in particular, EVA binder, butyl cellosolve, rosin, texanol and propylene glycol in order to achieve particularly waterproof and water resistant among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 binder is preferably ethylene vinyl acetate, and the CAS number may be a compound having 24937-78-8.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The butyl cellosolv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ound having CAS number 111-76-2.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sin refers to a natural resin obtained by distilling rosin, and any type of rosin may be included as a constitution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anol (TEXANOL) may be a compound having CAS number 25265-77-4.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ylene glycol may be a compound having CAS No. 57-55-6.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effect of water resistance is particularly improved when EVA binder, butyl cellosolve, rosin, texanol and propylene glycol are further included as a composition of a building structure repair composition including an acrylic binder. .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position is 0.01 to 10 parts by weight of EVA binder, 0.01 to 5 parts by weight of butyl cellosolve, 0.01 to 5 parts by weight of rosin, 0.01 to 5 parts by weight of texanol and 0.01 to 3 parts by weight of propylene glycol. It may include.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More specifically, the inventor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water resistance is remarkably improved when the composition further includes 2-amino-2-methyl-1-propanol and 2-methylamino-2-methyl-1-propanol. It was. That is, EVA binder, butyl cellosolve, rosin, texanol and propylene glycol, and 2-amino-2-methyl-1-propanol and 2-methylamino in the building repair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rylic binder. When the 2-methyl-1-propanol is further include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through improved water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may include the 2-amino-2-methyl-1-propanol and 2-methylamino-2-methyl-1-propanol in a weight ratio of 15 to 20: 1, preferably 16 to 20 I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 1, and more preferably in a weight ratio of 17 to 20: 1.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The 2-amino-2-methyl-1-propanol and 2-methylamino-2-methyl-1-propanol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0.1 to 5 parts by weight.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can improve water resistance, particularly among the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repairing the building structure containing the acrylic binder may further comprise ethylene glycol, butyl cellosolve (butyl cellosolve), calcium carbonate, titanium dioxide and water.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If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has an excellent waterproof and water resistance effect, the present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ck resistance is improved. The butyl cellosolve i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thylene glycol (ethylene glycol) means a compound having a CAS number 107-21-1.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ium carbonate means a compound having a CAS number of 1317-65-3.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tanium dioxide means a compound having a CAS number of 13463-67-7.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position is 0.01 to 5 parts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0,01 to 5 parts by weight of butyl cellosolve, 20 to 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0.01 to 5 parts by weight of titanium dioxide and 0.01 to 10 parts of water It may include parts by weight.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inventors came to embody the idea in natural extracts while exploring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crack resistance.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when the flaxseed slime or flaxseed slime extract is further included in the composition, the effect of crack resistance is significantly improved. That is, when the acrylic repair-containing composition for building repair includes ethylene glycol, butyl cellosolve, calcium carbonate, titanium dioxide and water, and flaxseed slime or flaxseed slime extract, improved crack res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through confirm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x (flax) is a perennial herb of the dicotyledonous rat Rat Asteraceae, the seeds are flat, long oval, yellowish brown.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The flaxseed mucu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through a variety of methods, for example by scraping the mucus from flaxseed using a scraper (scraper) can be prepared flaxseed mucus.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xseed slime extract may be prepared as follows.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1 g of flaxseed was poured into 50 L of purified water, stirred at 25 ° C. for 5 hours, filtered through a 300 mesh filter cloth, and precipitated by addition of the same amount of alcohol, preferably ethanol, to the filtrate, and then Whatman filter paper, for example, Watts. Bay filter paper NO. After filtration using 5 to dry to obtain a white powder form.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Conventionally, various uses are known as the use of flaxseed, bu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rack resistance by including them in a composition for repairing building structure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not been known to date, and studies are insignificant.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position may include 1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flaxseed slime or flaxseed slime extract.

또한,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a dispersant, an antifoaming agent, an antimicrobial agent, a preservative, and a cryoprotectan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the building structure repair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S1) 건축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1) removing the degradation of the surf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And S2) the crack repairing of the structure may be performed by forming a crack repairing film by applying and drying the building structure repairing com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from which the deterioration part is removed.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ffects through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재료 준비Material preparation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Information on the main raw materials used in the building structure repair composition for the following Examples and Evaluation Examples is as follows.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1) Acrylic Binder: 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2) EVA Binder: 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3) 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4) 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5) 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6) 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8) 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9) 2-amino-2-methyl-1-propanol: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10) 2-methylamino-2-methyl-1-propanol: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11) Flaxseed Mucus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Flaxseed mucus was obtained by scraping mucus from flaxseed using a scraper.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12) Flaxseed Mucus Extract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1 g of flaxseed was poured into 50 L of purified water, stirred at 25 ° C. for 5 hours, filtered through a 300 mesh filter cloth, and precipitated by adding the same amount of ethanol to the filtrate. Filtration using 5 followed by drying yielded about 0.2 g of a white powder.

실시예 1Example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5 parts by weight of EVA binder, 1 part by weight of butyl cellosolve, 0.5 part by weight of rosin, 0.5 part by weight of texanol, 0.1 part by weight of propylene glycol and other thickening aids, with 3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binder and stirring at 600 rpm. After slowly adding a pH adjuster, etc. in order, 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was added thereto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t a speed of 300 rpm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repairing building structures.

실시예 2Example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5 parts by weight of EVA binder, 1 part by weight of butyl cellosolve, 0.5 part by weight of rosin, 0.5 part by weight of texanol, 0.1 part by weight of propylene glycol, 1 part by weight, while putting 3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binder into a mixing stirring vessel and stirring at a speed of 600 rpm. 2-amino-2-methyl-1-propanol, 0.06 parts by weight of 2-methylamino-2-methyl-1-propanol and other thickening aids, pH adjusters, etc. were gradually added in order, and then 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 filler, was added. Put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t a speed of 300rpm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building structure repair.

실시예 3Example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Put 3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binder into the mixing agitation vessel and stir at a speed of 600 rpm, followed by 1 part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1 part by weight of butyl cellosolve, 0.5 part by weight of titanium dioxide, 5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other thickening aids, and pH adjusting agent. After slowly adding as much as 50 parts by weight of a filler calcium carbonate was stirred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at a speed of 300rpm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building structure repair.

실시예 4Example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3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binder was added to the mixing agitator and 1 part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1 part by weight of butyl cellosolve, 0.5 part by weight of titanium dioxide, 5 parts by weight of water, 5 parts by weight of flaxseed slime and flaxseed slime extract After slowly adding a mixture and other thickening aids, pH regulators and the like in order to add 50 parts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filler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t a speed of 300rpm to prepare a building construction composition.

평가예 1Evaluation example 1

건축 토목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건축 구조물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After the deterioration part of 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was removed, the composition for repairing the building structures of Examples 1 to 4 was coated and dried on the surface to form a crack repair film. The adhesive strength, crack resistance and slip resistance of the crack repair film thus obtained and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crack repair agent composition were evaluated based on the test method of the KS standard and KSL 1593,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in the case of water resistance, the degree of water absorption inside the crack repair film was evaluated by a five-point scale method. Product X in Table 1 represents a product for repairing the build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structure of Company B,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it was evaluated as a comparison target with the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4.

[표 1]TABLE 1

Figure 112019029091061-pat00003
Figure 112019029091061-pat00003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building structure repair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4 can be confirmed that the water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crack resistance is improved compared to the product X,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problem in storage stability and slip resistance It became. In particular, Examples 1 and 2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that the better evaluation in water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Examples 3 and 4 can be confirmed that the better evaluation in crack resistance.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may easily change 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 can understan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by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기능성 양말
20, 30, 40: 유압잭이 구비된 이동형 리프팅 장치
100: 양말 110: 발가락부
120: 측면부 130: 뒤꿈치부
140: 발바닥부 150: 개구부
210: 돌출 패턴부 211: 돌출부
220: 미끄럼 방지부 221: 실리콘띠
222: 간격부 310: 하부 프레임
320: 상부 프레임 400: 유압잭
500: 탄성 지지부 600: 하중 분산부
700: 낙하 방지부
10: functional socks
20, 30, 40: movable lifting device with hydraulic jack
100: socks 110: toes
120: side portion 130: heel portion
140: sole portion 150: opening
210: protrusion pattern portion 211: protrusion portion
220: slip prevention portion 221: silicone strip
222: gap 310: lower frame
320: upper frame 400: hydraulic jack
500: elastic support 600: load dispersion
700: drop prevention unit

Claims (2)

발가락을 감싸는 전방의 발가락부;
발의 둘레를 감싸는 측면부;
발의 뒤꿈치를 감싸는 후방의 뒤꿈치부;
상측에 발바닥이 안착되는 발바닥부; 및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되,
착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상기 발바닥부의 상측면에 복수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돌출 패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양말의 직조에 이용된 원사의 일부분들이 상기 발바닥부의 상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 패턴부는, 복수의 상기 돌출부가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거나, 복수의 사각형의 상기 돌출부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돌출부는, 폭 방향으로 직조되는 원사의 일부분들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뒤꿈치부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형으로 실리콘띠와 간격부가 서로 반복되게 다수 열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띠는, 그 폭이 5mm를 이루며,
상기 간격부는, 그 폭이 3mm를 이루며,
상기 실리콘띠는,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1중량부, 및 나노실리카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양말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에 의하여 부착되는,
기능성 양말.

An anterior toe part surrounding the toe;
A side portion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foot;
A rear heel portion that wraps the heel of the foot;
Sole portion that the sole is seated on the upper side; And
An opening into which the wearer's foot is inserted,
Protruding pattern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upper side of the sole portion on which the sole of the wearer is seated;
The protrusion is formed such that portions of the yarn used for weaving the socks protrude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of the sole,
The protruding pattern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protruding portions arranged side by sid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or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quadrangl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The protrusion is formed by protruding portions of the yarn woven in the width direction,
It further comprises a non-slip unit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to be repeated with each other in a horizontal form at a horizontal interval on the inner side of the heel portion,
The silicon strip is 5mm in width,
The gap portion, the width is 3mm,
The silicone strip, 4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rmoplastic resin, 5 to 40 parts by weight of tackifying resin, 1 to 5 parts by weight of rosin, 1 to 10 parts by weight of plasticizer, 1 to 10 parts by weight of filler, 0.1 to 1 parts by weight of antioxidant And is attach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socks attachment comprising 0.1 to 5 parts by weight of nano silica,
Functional socks.

삭제delete
KR1020190032276A 2019-03-21 2019-03-21 Multi-functional outer socks KR1020656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276A KR102065611B1 (en) 2019-03-21 2019-03-21 Multi-functional outer so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276A KR102065611B1 (en) 2019-03-21 2019-03-21 Multi-functional outer soc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611B1 true KR102065611B1 (en) 2020-01-13

Family

ID=6915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276A KR102065611B1 (en) 2019-03-21 2019-03-21 Multi-functional outer soc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611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2764A (en) * 2007-10-23 2009-05-14 Okamoto Kk Sock
KR20130058003A (en) * 2010-04-20 2013-06-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containing reactive, surface-modified nanoparticles
JP2014521482A (en) * 2011-08-18 2014-08-28 ミナム リ Non-slip footwear
KR200477324Y1 (en) 2014-10-31 2015-06-02 신선필 Outer socks type slippers with spring
KR20160000138U (en) * 2014-07-04 2016-01-13 안성준 Socks for preventing slip in shoes
KR20170006877A (en) * 2015-07-10 2017-01-18 손광태 fake socks
KR20180000082U (en) 2016-06-28 2018-01-05 김신준 A comfortable outer sock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2764A (en) * 2007-10-23 2009-05-14 Okamoto Kk Sock
KR20130058003A (en) * 2010-04-20 2013-06-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containing reactive, surface-modified nanoparticles
JP2014521482A (en) * 2011-08-18 2014-08-28 ミナム リ Non-slip footwear
KR20160000138U (en) * 2014-07-04 2016-01-13 안성준 Socks for preventing slip in shoes
KR200477324Y1 (en) 2014-10-31 2015-06-02 신선필 Outer socks type slippers with spring
KR20170006877A (en) * 2015-07-10 2017-01-18 손광태 fake socks
KR20180000082U (en) 2016-06-28 2018-01-05 김신준 A comfortable outer so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8646B1 (en) Outsole and outsole manufacturing method
CN102549217A (en) Artificial turf infill and artificial turf including the same
EP3868955B1 (en) Artificial turf having olive pit particles
KR102065611B1 (en) Multi-functional outer socks
KR102065619B1 (en) Multi-functional outer socks
CN107325341A (en) A kind of formula for making anti-slip rubber sole
KR102039937B1 (en) Lift for vehicle repair
KR102020770B1 (en) Panel for covering track
KR102029418B1 (en) Composite deck-road system
CN205030602U (en) Antibiotic sports shoes
CN106263269B (en) Shoe-pad structure
KR102036760B1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wall sound absorbing agent
CN219306144U (en) Sole and shoes are protected to heart
CN107556626A (en) A kind of Yoga ground cushion
CN205456439U (en) Shock attenuation component, has sole of this kind of shock attenuation component
CN219146807U (en) High wear-resisting thickening sport socks
CN216315952U (en) Shoe sole plate with good wear resistance
CN215958590U (en) Wet-type limited slip rubber sole
CN207118654U (en) A kind of healthcare shoe with strengthened heel for children
CN218773426U (en) Wear-resisting antiskid type children's shoes
CN105968420A (en) Preparation method of biodegradable mosquito-repelling slipper sole material
CN210621392U (en) Artificial turf bed course and artificial turf thereof
CN207995979U (en) A kind of outdoor mountain-climbing Special shoe pad
CN201878853U (en) Waterproof anti-fatigue shoe
KR102058118B1 (en) A deck load system having a slip prevention function and containing microorg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