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288B1 -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 Google Patents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288B1
KR102064288B1 KR1020180032662A KR20180032662A KR102064288B1 KR 102064288 B1 KR102064288 B1 KR 102064288B1 KR 1020180032662 A KR1020180032662 A KR 1020180032662A KR 20180032662 A KR20180032662 A KR 20180032662A KR 102064288 B1 KR102064288 B1 KR 102064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uckle
outer ring
protrusion
mating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786A (ko
Inventor
임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18003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288B1/ko
Priority to US16/360,236 priority patent/US10787031B2/en
Publication of KR2019011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004Mounting arrangements for axles
    • B60B35/006Mounting arrangements for axles with mounting plates or consoles fitted to axles
    • B60B35/007Mounting arrangements for axles with mounting plates or consoles fitted to axle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to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B60B27/0089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caulking to fix outer r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6Hubs adapted to be fixed on axle
    • B60B27/065Hubs adapted to be fixed on axle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the hub to the ax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20/00Manufactur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 B60B2320/10Assembling; dis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80/00Bearings
    • B60B2380/10Type
    • B60B2380/14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80/00Bearings
    • B60B2380/90Casings or housings specially adapted to receive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50Constructional features of wheel supports or knuckles, e.g. steering knuckles, spindle 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는, 휠 베어링에 사용되는 외륜과 외륜과 현가 장치 간의 연결을 위한 너클을 포함한다. 외륜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디와 바디의 외측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와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합 돌기를 가진다. 너클은, 바디의 축방향으로 정합 돌기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단차부를 포함한다. 너클에는 복수의 제1 결합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정합 돌기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정합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ASSEMBLY OF OUTER RING AND KNUCKLE, AND WHEEL BEARING ASSEMBLY INCLUDING SAME}
본 개시는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휠은 휠 베어링을 통해 차량의 샤시(chassis)에 연결된다. 휠 베어링은 휠을 회전시키고 휠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한다. 휠 베어링은, 베어링 허브(bearing hub)와, 내륜(inner ring)과, 외륜(outer ring)과, 구름운동하는 전동체(rolling element)를 가질 수 있다. 베어링 허브에 휠이 결합되며, 휠은 베어링 허브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베어링 허브는 외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차축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휠 베어링은 너클(knuckle)을 통해 샤시에 연결될 수 있다. 너클은 휠 베어링을 샤시의 현가 장치(suspension system)에 연결시킨다. 휠 베어링의 외륜이 너클과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외륜과 너클을 포함하여 짝을 이루지 못하는 외륜과 너클 간의 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를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 측면은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는, 휠 베어링에 사용되는 외륜과 외륜과 현가 장치 간의 연결을 위한 너클을 포함한다. 외륜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디와 바디의 외측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한다. 너클은 바디의 일부를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너클에는 복수의 제1 결합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외륜은, 정합 돌기와, 바디의 축방향으로 상기 정합 돌기와 매칭될 때 정합 돌기가 삽입되는 단차부 중 하나를 포함한다. 너클은 정합 돌기와 단차부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한다. 정합 돌기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정합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을 가진다. 단차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의 축방향 정합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합 돌기는 축방향으로 단차부와 접촉하는 축방향 정합면을 가진다. 정합 돌기의 축방향 정합면은 원주방향으로 연장하고 만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륜과 너클은 정합 돌기와 단차부 사이의 틈새를 가지고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륜과 너클이 상기 축방향으로 결합될 때 복수의 제1 결합공과 복수의 제2 결합공이 정렬되도록, 정합 돌기와 단차부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디는 축방향의 단부와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부와 결합부와 삽입부에 형성된 정합 돌기를 갖는다. 너클은 삽입부를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된 너클 하우징과 너클 하우징의 축방향 단면과 너클 하우징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를 갖는다. 복수의 제2 결합공은 너클 하우징의 축방향 단면에 형성된다. 너클 하우징의 내주면은 삽입부의 외주면과 축방향으로 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는, 복수의 제1 결합공과 복수의 제2 결합공에 결합되는 복수의 볼트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또 하나의 측면은 휠 베어링 조립체에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는, 베어링 허브와, 외륜과, 베어링 허브와 외륜의 사이에 배치된 전동체와, 외륜과 현가 장치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너클을 포함한다. 베어링 허브는 휠과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휠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외륜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베어링 허브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바디와 바디의 외측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한다. 너클은 외륜의 바디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너클에는, 복수의 제1 결합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외륜은, 정합 돌기와, 바디의 축방향으로 정합 돌기와 매칭될 때 정합 돌기가 삽입되는 단차부 중 하나를 포함한다. 너클은 정합 돌기와 단차부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한다. 정합 돌기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정합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합 돌기는 축방향으로 단차부와 접촉하는 축방향 정합면을 갖고, 단차부는 정합 돌기의 축방향 정합면이 접촉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의 축방향 정합면을 갖는다. 정합 돌기의 축방향 정합면은 원주방향으로 연장하고 만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디는, 축방향의 단부와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부와 결합부와 삽입부에 형성된 정합 돌기를 갖는다. 너클은 삽입부를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된 너클 하우징과 너클 하우징의 축방향 단면과 너클 하우징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를 갖는다. 복수의 제2 결합공은 너클 하우징의 축방향 단면에 형성된다.
자동차 조립 라인에는 여러 차종의 자동차가 조립되므로, 서로 짝을 이루지 못하는 외륜과 너클 간의 오조립이 행해질 수 있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옵션 사항에 따라 하나의 차종의 자동차에 다양한 자동차 트림이 존재하며, 자동차 트림에 따라 너클은 다양한 내경을 가질 수 있으므로,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 동일 차종의 자동차에서도 외륜과 너클 간의 오조립이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에 의하면, 외륜과 너클에 각각 마련된 정합부로 인해, 짝을 이루는 외경과 내경을 각각 갖는 외륜과 너클만이 조립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는, 짝을 이루지 않는 외륜과 너클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과, 이러한 외륜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이러한 외륜과는 다른 유형에 속하는 너클은 서로 조립될 수 없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에 의하면, 외륜과 너클은 이들에 각각 마련된 정합부로 인해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를 포함한 휠 베어링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 및 너클이 조립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정합 돌기와 단차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 및 너클이 조립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의 확대도이며, 단차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비교예에 따른 외륜 및 너클이 조립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과 비교예에 따른 너클이 조립되지 못하는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포함되는", "갖는", "가지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외측 반경방향"의 방향지시어는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한 방사상 방향(radial direction) 중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내측 반경방향"의 방향지시어는 외측반경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반경방향"의 방향지시어는 상기 외측 반경방향과 상기 내측 반경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외측 축방향"의 방향지시어는 회전축을 따라서 휠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내측 축방향"의 방향지시어는 회전축을 따라서 외측 축방향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축방향"의 방향지시어는 상기 외측 축방향과 상기 내측 축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은, 휠 베어링에 사용되는 외륜과 외륜을 현가 장치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너클의 조립체(이하 간단히 '외륜-너클 조립체'라고 함) 및 외륜-너클 조립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에 관련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는, 구동 휠 또는 종동 휠과 결합되는 휠 베어링에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를 포함한 휠 베어링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10)는, 베어링 허브(11)와, 내륜(14)과, 전동체(15)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20)를 포함한다. 외륜-너클 조립체(20)는 외륜(100)과 너클(200)을 포함한다. 외륜(100)과 너클(200)은 복수의 볼트(300)에 의해 결합된다.
베어링 허브(11)는 구동 휠 또는 종동 휠과 같은 차량의 휠(미도시)과 결합되어 회전축(RA)을 중심으로 하여 휠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베어링 허브(11)는 구동 휠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허브(11)에는 외측 축방향(AD1)으로 연장된 플랜지(12)가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허브(11)는 플랜지(12)에 체결된 휠 볼트(13)에 의해 휠과 결합될 수 있다.
내륜(14)은 베어링 허브(11)의 외주면과 결합되며, 베어링 허브(11)와 함께 회전된다. 베어링 허브(11)의 외주면에 내륜(14)의 내주면이 억지끼워맞춤되어, 내륜(14)이 베어링 허브(11)에 고정된다.
외륜(100)은 휠 베어링의 고정 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다. 외륜(100)은 베어링 허브(11)의 일부와 내륜(14)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바디(110)를 포함한다. 외륜(100)은 너클(200)과 결합되며, 너클(200)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된다. 너클(200)은 샤시의 현가 장치와 휠 베어링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너클(200)은 외륜(100)과 현가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을 연결시킨다. 외륜(100)과 너클(200)은 스플래시 쉴드(splash shield, 18)를 매개로 하여 결합될 수 있다. 스플래시 쉴드(18)는 우수, 니수와 같은 이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복수의 전동체(15)가 베어링 허브(11)와 외륜(100)의 사이 및 내륜(14)과 외륜(1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체(15)는 테이퍼드 롤러(tapered roller)가 될 수 있다. 복수의 전동체(15)는 2열로 원주방향(CD)으로 배열된다. 1열의 복수의 전동체(15)가 베어링 허브(11)와 외륜(100)의 사이에 배열되고, 또 하나의 1열의 복수의 전동체(15)가 내륜(14)과 외륜(100)의 사이에 배열된다.
휠 베어링 조립체(10)는 전동체(15)가 구름운동하는 공간으로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외측 씨일(16)과 내측 씨일(17)을 구비할 수 있다. 외측 씨일(16)은 베어링 허브(11)와 외륜(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환상 간극에 끼워맞춤되고, 내측 씨일(17)은 내륜(14)의 외주면과 외륜(100)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환상 간극에 끼워맞춤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휠 베어링 조립체(10)는 하나 이상의 열의 전동체(15)가 내륜(14)과 외륜(100)에만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휠 베어링 조립체는 내륜(14)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휠 베어링 조립체는, 베어링 허브(11)와 외륜(100)의 사이에 배치된 전동체(15)를 포함할 수 있다.
휠의 크기, 휠에 걸리는 하중 등에 따라 휠 베어링의 부품들은 다양한 치수를 가지며, 외륜의 외경 치수 또한 다양하다. 차량의 사양에 따라, 너클 또한 다양한 치수의 내경을 가진다. 외륜과 너클의 조립 현장에는 다양한 치수의 외경을 가지는 외륜들과 다양한 치수의 내경을 가지는 너클들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짝을 이루는 외륜과 너클이 조립되지 않으면, 후속 공정에서의 조립이 불가능해 지거나 그러한 외륜과 너클을 갖춘 차량의 정상 작동이 보증될 수 없다. 외륜과 너클의 조립 현장에서, 작업자의 착오로 인하여 짝을 이루지 못하는 외륜과 너클이 오조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외륜 및 너클에 구조적으로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20)는 조립 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오류 예방(error proofing)의 구성을 가진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20)에 있어서, 외륜(100)과 너클(200)에는 이들과는 다른 유형에 속하는 외륜 또는 너클과의 조립을 방지하는 오류 예방의 구성이 구비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20)는 동일 유형에 속하고 짝을 이루는 외륜과 너클만의 조립을 실현하여 외륜과 너클의 오조립을 방지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20)는 동일 유형에 속하고 짝을 이루는 외륜과 너클이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정렬되고 조립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륜(100)은, 바디(110)와, 복수의 제1 결합공(122)이 형성된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외륜(100)의 바디(11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축방향(AD)으로 뚫린 중공(111)을 가진다. 따라서, 바디(110)는 중공(111)의 중심을 통해 축방향(AD)으로 연장하는 중심축(CA1)과, 중공(111)의 표면인 내주면(112)과, 바디(110)의 외측 표면인 외주면(114)을 가진다. 중심축(CA1)은 휠 베어링 조립체의 회전축(RA)과 동축이 될 수 있다.
바디(110)는 내주면(112)에서 도 1에 도시된 전동체(15)와 접촉할 수 있다. 내주면(112)은 전동체와 접촉하는 한 쌍의 궤도면(raceway surface)(113)을 가진다. 궤도면(113)은 환상으로 연장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테이퍼드 롤러(tapered roller)와 같은 전동체와 밀착되어 접촉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외륜(100)과 너클(200)의 결합을 위한 구조물로서 기능한다. 결합부(120)는 바디(110)의 외측 반경방향(RD1)과 원주방향(CD)으로 연장한다. 도 2를 참고하면, 결합부(120)는 둥근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120)의 내측 축방향(AD2)의 표면이 너클(200)과 결합되는 결합면(121)으로 작용한다.
복수의 제1 결합공(122)은 바디(110)의 원주방향(CD)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결합공(122)은 균일하지 않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공(122)은 결합부(120)에 중심축(CA1)과 평행하게 관통될 수 있다. 제1 결합공(122)은 결합부(120)의 삼각형 형상의 각 꼭지점 부근에 위치한다. 제1 결합공(122)의 표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300)의 수나사가 제1 결합공(122)의 암나사와 나사결합되어, 외륜(100)과 너클(200)이 축방향(AD)과 반경방향(RD)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디(110)는 너클(200)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삽입부(115)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115)는 바디(110)의 내측 축방향(AD2)에서의 단부와 결합부(1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삽입부(115)와 결합부(120)는 서로 접하게 될 수 있다.
너클(200)은 휠 베어링 조립체를 지지하며, 외륜(100)과 샤시의 현가 장치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외륜(100)과 너클(200)의 결합을 위해 복수의 제2 결합공(223)이 너클(20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공(223)은 외륜(100)의 복수의 제1 결합공(122)에 각각 대응한다. 제1 결합공(122)에 체결되는 볼트(300)는 서로 대응하는 제1 결합공(122)과 제2 결합공(223)을 각각 관통하여, 외륜(100)과 너클(2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너클(200)은 복수의 너클 아암(210)과 너클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너클 아암(210)은 너클 하우징(220)으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된다. 너클(200)은 너클 아암(210)의 자유 단부에서 현가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예컨대, 서스펜션 아암(suspension arm))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너클 하우징(220)은 원통형의 너클 보어(221)를 가져, 너클(220)은 외륜(100)의 바디(110)의 일부(예컨대, 삽입부(115))를 너클 보어(221) 내에 축방향(AD)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너클 하우징(220)의 내주면(222)(예컨대, 너클 보어(221)의 내주면)은 바디(110)의 외주면(114)(예컨대, 삽입부(115)의 외주면)과 축방향(AD)으로 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된다. 너클 하우징(220)의 내주면(222)과 삽입부(115)의 외주면은 중간 끼워맞춤 또는 틈새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115)의 외경과 너클 보어(221)의 내경은 중간 끼워맞춤 또는 틈새 끼워맞춤을 허용하는 치수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부(115)의 외주면과 너클 하우징(220)의 내주면(222)의 사이에 환상 간극이 형성되도록, 삽입부(115)와 너클 보어(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너클 하우징(220)은 외측 축방향(AD1)의 단부에 축방향 단면(端面)(224)을 가진다. 축방향 단면(224)은 결합부(120)의 결합면(1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축방향 단면(224)은 둥근 삼각형을 가지며, 이러한 삼각형의 각 꼭지점 부근에 제2 결합공(223)이 위치한다. 복수의 제2 결합공(223)은 축방향 단면(224)에서 내측 축방향(AD2)으로 너클 하우징(220)에 관통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에 있어서, 외륜과 너클은 서로 정합되도록 구성된 정합부를 각각 구비하여, 정합부를 구비하는 외륜과 정합부를 구비하지 않는 너클 간의 조립 또는 정합부를 구비하지 않는 외륜과 정합부를 구비하는 너클 간의 조립을 방지한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는, 짝을 이루지 못하며 각기 다른 유형에 속하는 외륜과 너클이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륜의 정합부와 너클의 정합부는 상호 보완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축방향으로 행해지는 외륜과 너클의 결합을 허용한다. 외륜의 정합부는 정합 돌기와 단차부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고, 너클의 정합부는 정합 돌기와 단차부 중 다른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정합 돌기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정합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복수의 정합 형상은, 육면체 형상, 원기둥 형상, 다각 기둥 형상, 반구 형상, 돔 형상, 반원통 형상, 피라미드 형상, 프리즘 형상 등 축방향(AD)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의 형상은 상기 정합 형상 중 하나와 상호 보완되는 형상, 즉 축방향(AD)으로 상기 정합 돌기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합 돌기는 도 2에 도시된 정합 돌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단차부는 도 2에 도시된 단차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20)에 있어서, 외륜(100)은 바디(110)의 외주면(11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합 돌기(130)를 포함하고, 너클(200)은 정합 돌기(130)와 바디(110)의 축방향(외측 축방향(AD1) 또는 내측 축방향(AD2))으로 정합되도록 구성된 단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는,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가 축방향(AD)으로 매칭될 때 정합 돌기(130)가 단차부(230)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는, 단차부(230)가 정합 돌기(130)를 수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정합 돌기(130)는 결합부(120)와 삽입부(115)의 사이에(결합부(120)와 삽입부(115)의 경계에) 위치하며, 내측 축방향(AD2)과 외측 반경방향(RD1)으로 돌출한다. 단차부(230)는 너클 하우징(220)의 축방향 단면(224)과 내주면(222)의 사이에 위치하며, 내측 축방향(AD2)과 외측 반경방향(RD1)으로 오목하다. 또한, 단차부(230)는 원주방향(CD)으로 연장하는 환상을 가져, 너클(200)은 축방향 단면(224)과 내주면(222)의 사이에서 원주방향(CD)으로 연장하는 하나의 단차부(230)를 가진다.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가 축방향(AD)으로 매칭되면, 정합 돌기(130)가 단차부(230)에 내측 축방향(AD2)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가 축방향(AD)으로 정합될 수 있다.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가 서로 정합되면서, 결합부(120)의 결합면(121)이 너클(200)의 축방향 단면(224)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가 서로 정합되면서, 제1 결합공(122)의 중심축(CA3)과 제2 결합공(223)의 중심축(CA4)이 볼트(300)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 간의 축방향(AD)의 매칭 및 정합에 의해, 짝을 이루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100)과 너클(200)만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가 축방향(AD)으로 매칭될 때 정합 돌기 및 단차부 중 하나가 다른 하나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외륜-너클의 조립체는, 동일 유형에 속하지 않아 짝을 이루지 못하는 외륜(100)과 너클이 오조립되는 것, 또는 동일 유형에 속하지 않아 짝을 이루지 못하는 너클(200)과 외륜이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합 돌기(130)는 단차부(230)와 접촉하는 축방향 정합면(131)과 반경방향 정합면(132)을 구비한다. 정합 돌기(130)의 내측 축방향(AD2)의 표면이 축방향 정합면(131)을 형성하고, 정합 돌기(130)의 외측 반경방향(RD1)의 표면이 반경방향 정합면(132)을 형성한다. 축방향 정합면(131)은 내측 축방향(AD2)으로 단차부(230)와 접촉할 수 있거나 단차부(230)와 내측 축방향(A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반경방향 정합면(132)은 외측 반경방향(RD2)으로 단차부(230)와 접촉할 수 있거나, 외측 반경방향(RD2)으로 단차부(230)와 이격될 수 있다. 축방향 정합면(131)과 반경방향 정합면(132)은 원주방향(CD)으로 연장하며,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있다. 반경방향 정합면(132)은 중심축(CA1)에 평행할 수 있다. 또는, 반경방향 정합면(132)은 중심축(CA1)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부(230)는, 정합 돌기(130)와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는 축방향 정합면(231)과 반경방향 정합면(232)을 구비한다. 단차부(230)의 외측 축방향(AD1)의 환상 표면이 축방향 정합면(231)을 형성하고, 단차부(230)의 내측 반경방향(RD2)의 환상 표면이 반경방향 정합면(232)을 형성할 수 있다. 축방향 정합면(231)과 반경방향 정합면(232)은 원주방향(CD)으로 연장하는 환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반경방향 정합면(232)은 중심축(CA2)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반경방향 정합면(232)은 반경방향 정합면(132)보다 큰 경사각으로 중심축(CA2)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륜(100)과 너클(200)의 너클 하우징(220)이 축방향(AD)으로 결합될 때,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 간의 정합에 의해, 복수의 제1 결합공(122)의 중심축(CA3)과 복수의 제2 결합공(223)의 중심축(CA4)은 중심축(CA1)과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는, 중심축(CA3)과 중심축(CA4)이 중심축(CA1)에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배치되거나 위치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축방향 정합면(131)과 반경방향 정합면(132) 간의 경계와 축방향 정합면(231)과 반경방향 정합면(232) 간의 경계는, 중심축(CA3)과 중심축(CA4)이 중심축(CA1)에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중심축(CA1) 또는 중심축(CA2)에 대하여, 배치되거나 위치결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외륜(100)은 1개의 정합 돌기(130)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외륜(100)에는 2개의 정합 돌기들이 삽입부(115)의 반원형 구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외륜(100)에는, 3개 이상의 정합 돌기들이 삽입부(115)의 원형의 구간 내에 균일하거나 균일하지 않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단차부(230)는 내주면(222)과 축방향 단면(224)의 사이에 환상으로 연장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단차부(230)는 원호 형상으로 연장할 수 있고, 정합 돌기(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차부(230)의 원주방향(CD)에서의 길이는 정합 돌기(130)의 원주방향(CD)에서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이에 따라, 이러한 단차부는 원주방향(CD)에서의 틈새를 가지고 정합 돌기(130)와 정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차부는 정합 돌기(130)의 원주방향(CD)에서의 길이에 정확히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륜(100)의 정합부는 정합 돌기(130)를 포함하고, 너클(200)의 정합부는 단차부(23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외륜의 정합부가 단차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너클의 정합부가 정합 돌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외륜(100)은 삽입부(115)와 결합부(120)의 사이에, 상세하게는 삽입부(115)와 결합부(120) 간의 경계에 단차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너클(200)은 축방향 단면(224)으로부터 축방향(AD)으로 돌출하는 정합 돌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결합부(120)는 둥근 삼각형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결합부(120)의 다른 예로서, 결합부는 링 형상, 사각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외륜(100)의 결합부는 제1 결합공(122)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돌기물로서 바디(1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외륜(100)은 결합부(120)의 주면으로부터 바디(110)의 내주면(112)까지 관통되어 있는 센서 삽입공(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삽입공에는, 휠 스피드, 휠의 가속도, 휠 베어링의 하중 등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의 검지부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의 검지부는 외륜을 통해 휠 베어링 조립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검지부와 상호 작용하는 센서 타겟(미도시)이 휠 베어링 조립체의 베어링 허브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3개의 제1 결합공(122)이 외륜(100)에 형성되고 3개의 제2 결합공(223)이 너클 하우징(22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외륜(100)은 4개 이상의 제1 결합공(122)을 구비할 수 있고, 너클(200)은 4개 이상의 제2 결합공(22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볼트(300)는 제2 결합공(223)을 통해 제1 결합공(122)으로 삽입되어, 제1 결합공(122)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결합공(122)은 암나사를 구비하지 않고, 제2 결합공(223)이 암나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볼트(300)는 제1 결합공(122)을 통해 제2 결합공(223)으로 삽입되어, 제2 결합공(223)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궤도면(113)은 중심축(CA1)에 대해 경사진 평면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볼과 같은 전동체와 접촉하도록, 외륜(100)의 궤도면은 환상으로 연장하고 중심축(CA1)에 대해 구부러진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휠 베어링 조립체는 전동체로서 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가 조립된 예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로서, 정합 돌기와 단차부를 도시한다. 외륜과 너클에 마련되는 오류 예방의 구성에 관한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외륜 및 너클은 도 2의 1-1 선과 2-2 선을 따라 취한 단면 형상으로 도시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륜(100)과 너클(200)은,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가 실현하는 정합을 통해, 원활하게 조립될 수 있다.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가 축방향(AD)으로 정합함에 따라, 정합 돌기(130)의 축방향 정합면(131)이 단차부(230)의 축방향 정합면(231)과 틈새를 두고 축방향(AD)으로 이격된다. 즉, 외륜(100)과 너클(200)은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 사이의 틈새를 갖고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정합 돌기(130)의 축방향 정합면(131)이 단차부(230)의 축방향 정합면(231)과 접촉될 수도 있다. 정합 돌기(130)의 반경방향 정합면(132)은 단차부(230)의 반경방향 정합면(23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정합 돌기(130)와 단차부(230)가 축방향(AD)으로 정합함에 따라, 외륜(100)의 제1 결합공(122)과 너클(200)의 제2 결합공(223)은 그 중심축들(CA3, CA4)이 정렬된다. 이에 따라, 외륜(100)과 너클(200)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는 제2 결합공(223)을 통해 제1 결합공(122)에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가 조립된 예를 도시하며, 도 2의 3-3선과 4-4선을 따라 취한 단면 형상을 포함한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단차부(230)는 삽입부(115)와 결합부(120) 간의 경계 부분과 대면한다.
비교예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를 가정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너클 조립체의 조립 오류 예방에 관해 설명한다. 짝을 이루는 외경과 내경을 각각 갖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 및 너클은 제1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또 하나의 짝을 이루는 외경과 내경을 각각 가지며, 비교예에 따른 외륜 및 너클은 제2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제2 유형에 속하는 외륜과 너클은 전술한 정합 돌기와 단차부를 갖지 않는다. 제1 유형의 외륜 및 너클과 제2 유형의 외륜 및 너클이 외륜과 너클의 조립 현장에 함께 제공되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형과 제2 유형을 가정하는 경우, 외륜과 너클 간의 조립에 관해 제1 내지 제4 조립예가 고려된다. 제1 조립예는, 도3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과 너클의 조립에 관련된다. 제2 조립예는, 제2 유형에 속하는 외륜과 너클의 조립에 관련된다. 제3 조립예는 제1 유형에 속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과 제2 유형에 속하는 비교예에 따른 너클간의 조립에 관련된다. 제4 조립예는 제2 유형에 속하는 비교예에 따른 외륜과 제1 유형에 속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간의 조립에 관련된다.
도 7은 비교예에 따른 외륜과 너클이 조립된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상기 제2 조립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제2 유형에 속하는 비교예에 따른 외륜(100C)과 너클(200C)은 전술한 정합 돌기와 단차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제2 유형의 외륜(100C)에서의 삽입부(115C)의 외경은 제1 유형의 외륜의 삽입부의 외경보다 크고, 제2 유형의 너클(200C)에서의 너클 하우징(220C)의 너클 보어(221C)의 내경은 제1 유형의 너클의 너클 보어의 내경보다 크다. 짝을 이루는 외경과 내경을 각각 갖는 외륜(100C)과 너클(200C)은 원활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과 비교예에 따른 너클이 조립되지 못하는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상기 제3 조립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D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외륜은 도 2의 1-1 선을 따라 취한 단면 형상으로 도시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조립예는, 제1 유형에 속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100)과 제2 유형에 속하는 비교예에 따른 너클(200C)간의 조립에 관련된다. 제1 유형의 외륜(100)에서의 삽입부(115)의 외경이 제2 유형의 너클(200C)에서의 너클 보어(221C)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짝을 이루지 못하는 외경과 내경을 각각 갖는 제1 유형의 외륜(100)과 제2 유형의 너클(200C)이 오조립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 유형에 속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100)과, 외륜(100)의 외경(삽입부(115)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지만 단차부(230)를 갖추지 않은 제2 유형에 속하는 너클(200C)이 조립 중에 있다. 삽입부(115)의 외경이 너클 하우징(220C)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삽입부(115)가 너클 하우징(220C)의 너클 보어(221C)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정합 돌기(130)가 너클 보어(221C)로 삽입되면서, 외륜(100)의 중심축(CA1)과 너클(200C)의 중심축(CA5)은 정렬될 수 없다. 또한, 제1 결합공(122)의 중심축(CA3)과, 제1 결합공(122)에 대응할 수 있는 너클(200C)의 결합공(223C)의 중심축(CA6)은 정렬될 수 없다. 즉, 정합 돌기(130)로 인해, 중심축(CA3)과 중심축(CA6)은 반경방향(RD)으로 이격된다.
정렬되지 않는 중심축(CA3)과 중심축(CA6)으로 인해, 외륜(100)과 너클(200C)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는 결합공(223C)을 통해 제1 결합공(122)에 체결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제1 유형에 속하는 외륜(1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지만 전술한 단차부를 갖추지 않은 제2 유형의 너클(200C)은, 제1 유형의 외륜(100)과 조립될 수 없다. 또한, 작업자가 외륜(100)의 삽입부(115)를 너클 하우징(220C)에 어느 정도 삽입할지라도, 작업자는 정렬되지 않는 외륜의 제1 결합공(122)과 너클(200C)의 결합공(223C)에 볼트가 삽입될 수 없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짝을 이루지 못하는 외륜과 너클이 조립되고 있는 상황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4 조립예는, 제2 유형에 속하는 비교예에 따른 외륜과 제1 유형에 속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간의 조립에 관련된다. 제2 유형의 외륜에서의 외경이 제1 유형의 너클에서의 내경보다 크므로, 제2 유형의 외륜과 제1 유형의 너클은 서로 조립될 수 없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휠 베어링 조립체, 11: 베어링 허브, 14: 내륜, 15: 전동체, 20: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외륜-너클 조립체), 100, 100A, 100B, 100C: 외륜, 110: 바디, 112: 바디의 내주면, 114: 바디의 외주면, 115: 삽입부, 120: 결합부, 122: 제1 결합공, 130: 정합 돌기, 131: 축방향 정합면, 200: 너클, 220: 너클 하우징, 222: 너클 하우징의 내주면, 223: 제2 결합공, 224: 너클 하우징의 축방향 단면, 230 단차부, 231: 축방향 정합면, 300: 볼트, CA1: 바디의 중심축, CA2: 너클 하우징의 중심축, RA: 회전축, CD: 원주방향, RD: 반경방향, RD1: 외측 반경방향, RD2: 내측 반경방향, AD: 축방향, AD1: 외측 축방향, AD2: 내측 축방향

Claims (14)

  1. 휠 베어링에 사용되는 외륜과 외륜과 현가 장치 간의 연결을 위한 너클의 조립체에 있어서,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측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외륜; 및
    상기 바디의 일부를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결합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된 너클을 포함하고,
    상기 외륜은, 정합 돌기와 상기 바디의 축방향으로 상기 정합 돌기와 매칭될 때 상기 정합 돌기가 삽입되는 단차부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너클은 상기 정합 돌기와 상기 단차부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을 갖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의 축방향 정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정합 돌기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단차부와 매칭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고 만곡된 축방향 정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의 상기 원주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정합 돌기의 상기 원주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원주방향에서의 틈새를 가지고 상기 정합 돌기와 정합되는,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돌기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정합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과 상기 너클은 상기 정합 돌기와 상기 단차부 사이의 틈새를 가지고 결합되는,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축방향의 단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상기 정합 돌기를 갖고,
    상기 너클은 상기 삽입부를 상기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된 너클 하우징과 상기 너클 하우징의 축방향 단면과 상기 너클 하우징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2 결합공은 상기 너클 하우징의 축방향 단면에 형성된,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너클 하우징의 내주면은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과 상기 축방향으로 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된,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결합공과 상기 복수의 제2 결합공에 결합되는 복수의 볼트를 더 포함하는,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7. 휠과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휠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베어링 허브;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허브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측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외륜;
    상기 베어링 허브와 상기 외륜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전동체; 및
    상기 바디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외륜과 현가 장치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결합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된 너클을 포함하고,
    상기 외륜은, 정합 돌기와 상기 바디의 축방향으로 상기 정합 돌기와 매칭될 때 상기 정합 돌기가 삽입되는 단차부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너클은 상기 정합 돌기와 상기 단차부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을 갖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의 축방향 정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정합 돌기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단차부와 매칭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고 만곡된 축방향 정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의 상기 원주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정합 돌기의 상기 원주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원주방향에서의 틈새를 가지고 상기 정합 돌기와 정합되는,
    휠 베어링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돌기의 상기 축방향 정합면은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단차부의 상기 축방향 정합면과 접촉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축방향의 단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된 상기 정합 돌기를 갖고,
    상기 너클은 상기 삽입부를 상기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된 너클 하우징과 상기 너클 하우징의 축방향 단면과 상기 너클 하우징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결합공은 상기 너클 하우징의 축방향 단면에 형성된,
    휠 베어링 조립체.
  10.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측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유형의 외륜; 및
    상기 바디의 일부를 상기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결합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제1 유형의 너클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륜과 복수의 너클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외륜은, 정합 돌기와 상기 바디의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정합 돌기와 매칭될 때 상기 정합 돌기가 삽입되는 단차부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형의 너클은 상기 정합 돌기와 상기 단차부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을 갖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의 축방향 정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정합 돌기는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단차부와 매칭되고,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고 만곡된 축방향 정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의 상기 원주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정합 돌기의 상기 원주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원주방향에서의 틈새를 가지고 상기 정합 돌기와 정합되고,
    상기 복수의 외륜과 복수의 너클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정합 돌기 및 상기 단차부를 갖지 않는 제2 유형의 외륜; 및
    상기 제2 유형의 외륜의 상기 바디의 일부를 축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유형의 너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유형의 외륜은 상기 제2 유형의 외륜의 상기 바디의 외측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유형의 너클에는 상기 제2 유형의 외륜의 상기 복수의 제1 결합공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상기 제1 유형의 외륜과 상기 제2 유형의 너클을 서로 조립할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외륜의 중심축과 상기 제2 유형의 너클의 중심축이 정렬될 수 없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유형의 외륜과 상기 제1 유형의 너클은 서로 조립될 수 없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외륜과 복수의 너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032662A 2018-03-21 2018-03-21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KR102064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662A KR102064288B1 (ko) 2018-03-21 2018-03-21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US16/360,236 US10787031B2 (en) 2018-03-21 2019-03-21 Assembly of outer ring and knuckle, and wheel bearing assembly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662A KR102064288B1 (ko) 2018-03-21 2018-03-21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786A KR20190110786A (ko) 2019-10-01
KR102064288B1 true KR102064288B1 (ko) 2020-01-10

Family

ID=6798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662A KR102064288B1 (ko) 2018-03-21 2018-03-21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87031B2 (ko)
KR (1) KR1020642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2225A (ja) * 2007-08-03 2008-02-14 Ntn Corp 車輪軸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9557A1 (de) * 1989-03-23 1990-09-27 Skf Gmbh Waelzlagerung
JP5196254B2 (ja) * 2008-08-05 2013-05-1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がり軸受装置
JP5469497B2 (ja) * 2010-03-26 2014-04-16 Ntn株式会社 車輪用軸受装置
JP2014040861A (ja) * 2012-08-22 2014-03-06 Jtekt Corp 転がり軸受及び車輪用軸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2225A (ja) * 2007-08-03 2008-02-14 Ntn Corp 車輪軸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91510A1 (en) 2019-09-26
US10787031B2 (en) 2020-09-29
KR20190110786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3914A1 (en) Wheel Bearing Device
CN110481315B (zh) 与车轮轮毂装置一体的等速万向节组件
US6921137B2 (en) Wheel-use bearing apparatus
US6857786B2 (en) Constant velocity joint integrated to wheel bearing and to axially adjustable hub
CN110116579B (zh) 轮子及其组装方法
KR102064288B1 (ko) 외륜과 너클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CA1310352C (en) Unitary hub assembly
CN111853063A (zh) 滚动轴承,尤其是大直径滚动轴承
KR102601146B1 (ko) 휠 베어링 조립체
JP7472463B2 (ja) アンギュラ玉軸受及び車輪用軸受装置
JP2021088235A (ja) 車輪用軸受装置及び車輪の取付方法
KR101899652B1 (ko) 트라이포드 타입 등속조인트를 구비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 조인트 모듈
KR101826201B1 (ko) 너클 및 휠 베어링 조립체
WO2020255613A1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07062628A (ja) 懸架装置の支持構造
US20240159270A1 (en) Integrated hub bearing unit
KR102532781B1 (ko) 허브 볼트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휠베어링
JP7383916B2 (ja) 車輪用軸受装置
US20240110596A1 (en) Wheel bearing device
JP7440349B2 (ja) 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2022154871A (ja) ハブユニット軸受
JP7383909B2 (ja) アンギュラ玉軸受及び車輪用軸受装置
WO2020153419A1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02362101A (ja) 回転体支持装置及び車輪用軸受ユニット
WO2019235661A1 (ko) 휠베어링 및 휠베어링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