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104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104B1
KR102063104B1 KR1020130103391A KR20130103391A KR102063104B1 KR 102063104 B1 KR102063104 B1 KR 102063104B1 KR 1020130103391 A KR1020130103391 A KR 1020130103391A KR 20130103391 A KR20130103391 A KR 20130103391A KR 102063104 B1 KR102063104 B1 KR 102063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nformation
output
rear display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616A (ko
Inventor
홍지표
신성원
김효린
이철배
이지연
장형태
원윤찬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104B1/ko
Priority to US14/274,594 priority patent/US9589542B2/en
Priority to EP14173068.9A priority patent/EP2843524B1/en
Priority to CN201410421278.6A priority patent/CN104427129B/zh
Publication of KR2015002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에 각각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면 디스플레이부 및 후면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싱부,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제1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정보와 관련된 제2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방송 수신, 게임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디자인적 형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디스플레이부가 고려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되는 조작유닛은 이동 단말기의 슬림화 및 심플한 디자인을 저해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 측면의 조작유닛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줄어드는 등의 문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입력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에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다른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다른 일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에 각각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면 디스플레이부 및 후면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싱부,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제1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정보와 관련된 제2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는 어느 하나가 온(on) 상태이면 다른 하나는 오프(off) 상태가 되며, 상기 온 상태와 상기 오프 상태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는 온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정보는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정보는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내용(contents)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정보와 관련된 상기 제2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베젤부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생한 이벤트가 메시지 수신 이벤트인 경우,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이 출력된다.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베젤부에 대한 멀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답신을 위한 입력창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2정보를 출력시킬지 여부를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에 근거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이벤트의 발생을 알려주는 상기 제1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실행된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생한 이벤트가 부재중 전화 수신 이벤트인 경우,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부재중 전화 수신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출력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부재중 전화에 대한 발신과 관련된 화면 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본체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1기능이 실행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상기 제1기능과 다른 제2기능이 실행된다.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제1기능과 상기 제2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들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면, 상기 제1정보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아이콘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서 점차 사라지며, 상기 제1정보가 기 설정된 정도 이상으로 사라지면, 상기 제1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이벤트들이 발생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기 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는 다른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는 플리킹 터치이고,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플리킹 터치에 대응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며,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사라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는 플리킹 터치가 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지는 플리킹 터치의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상기 제1방향으로의 플리킹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와 동일한 카테고리 내의 다른 하나의 이벤트가 출력되고,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상기 제2방향으로의 플리킹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 중 상기 이벤트와 다른 카테고리 내의 다른 하나의 이벤트가 출력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의 양면에 각각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디스플레이부 및 제2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싱부, 및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제1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본체가 회전된 후,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이벤트와 상기 제1정보의 관련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제2정보의 출력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2정보를 출력시킬지 여부를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에 근거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정보와 관련된 상기 제2정보의 출력은, 상기 제1정보와 관련된 상기 이벤트가 복수 회 발생하는 경우 수행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면 디스플레이부와 후면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가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면의 사용자 입력부가 기존의 전면 베젤부에 구비되었던 사용자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전면 베젤부에 사용자 입력부가 미배치되는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부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후면 디스플레이부가 터치, 푸시 입력 등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
도 4a 및 4b는 도 3에 도시된 후면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의 상세 분해도 및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2b의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들.
도 7은 조작에 의해 도 2b의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정보가 변경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 관련한 구현예를 보인 개념도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변형예를 보인 후면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 관련한 구현예들을 보인 개념도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 관련한 구현예를 보인 개념도.
도 21은 제1정보와 발생된 이벤트 간의 관련성에 따라 제2정보의 출력 여부가 제어되는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 관련한 다른 구현예를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및/또는 후면 디스플레이부(155)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자이로 센서(143), 가속도 센서(1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121)도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전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의 전면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전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센서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141)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와 대응되는 후면 디스플레이부(155)가 구비된다. 후면 디스플레이부(155)는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에 비하여 작은 크기를 가지며, 비교적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시 사용자 입력부(130)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단말기 후면에 배치되어, 전면 디스플레이가 보다 대화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입력부(130)가 후면에 배치되는 상세 구조와, 이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1), 리어 케이스(202) 및 배터리 커버(203)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소자가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모듈(252), 카메라 모듈(22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 및 리어 케이스(202)의 측면에는 마이크(222), 측면 입력부(232), 인터페이스(2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부(251)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즉, 전면 디스플레이부(251)는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전면 디스플레이부(251)를 감싸는 베젤부에서 단말기 본체의 일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모듈(252)과 카메라 모듈(221)이 배치된다.
한편,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베젤부에서 단말기 본체의 타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전면 입력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입력부는 터치키 및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베젤부에 전면 입력부가 구비되지 않은 이동 단말기(200)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 입력부(130)의 일 구성이 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200)는 단말기 본체에 대한 입력조작이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와 후술할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를 통하여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면 입력부(232)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다른 일 예로서 구성되며, 음향출력모듈(2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202)에는 카메라 모듈(221')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1')은 카메라(2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 모듈(221)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의 카메라 모듈(22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후면의 카메라 모듈(221')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모듈들(221, 2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221')에 인접하게는 플래시(223)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223)는 카메라 모듈(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2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음향출력모듈(2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후면의 음향출력모듈(252')은 전면의 음향출력모듈(252, 도 2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290)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가 배치된다.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는,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22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는 단말기 본체의 후면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또 다른 일 예로 구성되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출력모듈(252, 2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가 후면 디스플레이(255b)를 포함하여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 대응되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를 구성하며, 터치 입력과 푸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에는 회로기판(PCB, 280)이 내장된다. 회로기판(280)은, 예를 들어 프론트 케이스(201) 또는 리어 케이스(202)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구조물은 미들 케이스(미도시)가 될 수 있다. 이하,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가 별도로 구비되는 구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스들(201, 20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280)은 이동 단말기(2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18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된다. 회로기판(280)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부(18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회로기판(280)에는 각종 전자소자가 장착된다.
리어 케이스(202)에는 배터리(291)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292)가 형성되며, 배터리 커버(203)는 배터리 수용부(292)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2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배터리(291)가 착탈 가능한 상기 구조와 달리, 배터리(291)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착탈이 불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221')은 회로기판(2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카메라 모듈(221')은 렌즈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부를 구비하며, 단말기 본체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후면의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이루어진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가 구비된다.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202)와 배터리 커버(203)에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대응되는 관통홀(202a, 203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한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는 단말기 본체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후면 디스플레이부(255)가 구비됨으로써,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면 디스플레이부(255)가 기존의 전면에 구비되었던 키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전면에 전면 입력부가 미배치되는 경우 전면의 전면 디스플레이부(2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의 상세 분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앞선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는 프레임(255a) 및 후면 디스플레이(255b)를 포함한다.
프레임(255a)은 단말기 본체의 케이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202)에 누름조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누름조작은 프레임(255a)의 중앙부분이 가압되어 프레임(255a) 전체가 아래로 이동하는 조작뿐만 아니라, 프레임(255a)의 어느 일측이 가압되어 틸팅(tilting)되는 조작을 포함한다. 프레임(255a)의 외주에는 걸림부(255a-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프레임(255a)이 리어 케이스(202)의 배면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255a)은 후면 디스플레이(255b)가 장착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부(255a-1)를 구비한다.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는 프레임(255a)의 누름조작에 따라 변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를 가림없이 바라보면서도 후면 프레임(255a)의 누름조작을 통해 전면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하여 상기 시각 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55a)이 틸팅되어 누름조작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55a)은 어느 일측이 가압되면 틸팅되어 상기 어느 일측에 대응되는 사이드 스위치(255f)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사이드 스위치(255f)는 프레임(255a)의 각 모서리 또는 두 모서리의 사이마다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255a)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각 변에 대응되는 가장자리 부분이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고, 각 가장자리 부분의 중간부분마다 사이드 스위치(255f)가 배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프레임(255a)은 틸팅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과 같이 프레임(255a)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각 변에 대응되는 가장자리 부분이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프레임(255a)은 볼륨키, 상하좌우의 방향키 등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프레임(255a)의 누름조작을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의 제어명령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검색, 문서 보기 모드 등에서는 프레임(255a)이 단말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각각 틸팅되는 경우 스크롤 기능이 수행되고, 프레임(255a)이 단말기 본체의 폭방향의 양측으로 각각 틸팅되는 경우 페이지 넘김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음악, 동영상 재생 모드 등에서는 프레임(255a)이 단말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각각 틸팅되는 경우 볼륨 조절과 관련된 기능이 수행되고, 프레임(255a)이 단말기 본체의 폭방향의 양측으로 각각 틸팅되는 경우 재생 목록의 넘김과 관련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사이드 스위치(255f)의 상단부에는 프레임(255a)의 어느 일측의 가압시 사이드 스위치(255f)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사이드 액추에이터(255g)가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 스위치(255f)에 사이드 액추에이터(255g)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프레임(255a)의 틸팅시 사이드 스위치(255f)의 정확한 지점이 가압되지 않아 사이드 스위치(255f)가 눌리지 않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사이드 액추에이터(255g)는 프레임(255a)과의 접촉시 미끄럼(slip)이 방지될 수 있도록 러버, 실리콘,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255a)이 틸팅되면서 사이드 액추에이터(255g)를 가압하는 경우, 사이드 액추에이터(255g)에는 사이드 스위치(255f)를 가압하는 수직방향의 힘뿐만 아니라 측방향의 힘도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프레임(255a)의 잦은 틸팅조작에 의해 사이드 액추에이터(255g)의 내구성이 떨어질 염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임(255a)은 사이드 스위치(255f)와 대향하는 배면에서 리세스되어 사이드 액추에이터(255g)의 외측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지지부(255a-3)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255a-3)는 프레임(255a)의 틸팅시 사이드 액추에이터(255g)가 측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후면 디스플레이(255b)는 안착부(255a-1)에 장착되며, 이동 단말기(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근거한 시각정보를 단말기 본체의 후면을 향하여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후면 디스플레이(255b)는 전면의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작은 크기를 가지며, 비교적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디스플레이(255b)는 시간,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수신 전화, 수신 메시지 등과 관련된 정보를 간단히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면 디스플레이(255b)는 윈도우(255c) 등의 다른 구성을 포함하여,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 대응되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를 구성한다.
후면 디스플레이(255b)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와 연동된 시각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디스플레이(255b)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서 표시되는 시각정보의 일부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전화번호 및 경우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정보(이름, 사진 등)가 출력되고, 후면 디스플레이(255b)에는 이름만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255c)는 후면 디스플레이(255b)를 덮도록 프레임(255a)에 장착될 수 있다. 윈도우(255c)는 후면 디스플레이(255b)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불투명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투명 물질이 인쇄, 증착 등의 방법으로 후면 디스플레이(255b)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윈도우(255c)의 배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255c)와 후면 디스플레이(255b) 사이에는 터치센서(255d)가 배치되어, 후면 디스플레이(255b)에 대한 윈도우(255c) 상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터치센서(255d)는 커넥터에 의하여 회로기판(2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정전식 또는 정압식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누름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버튼부(234)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버튼부(234)는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와 중첩되게 배치된다. 버튼부(234)는 누름조작에 의해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의 온/오프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버튼부(234)는 누름조작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이동 단말기(200)의 온/오프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버튼부(234)는 관통홀(202b, 203b)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버튼부(234)의 외주에는 걸림부(234a)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버튼부(234)가 리어 케이스(202)의 배면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버튼부(234)의 배면 상에는 버튼부(234)의 누름조작시 버튼 액추에이터(234c)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 스위치(234b)가 구비된다. 버튼 스위치(234b)는 앞서 설명한 연성회로기판(255e) 또는 별도의 연성회로기판에 구비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255e)은 지지 가능한 내부 구조물에 지지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280) 상에 설치되는 쉴드캔(28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쉴드캔(281)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를 덮도록 배치되어 EMI를 차폐하도록 이루어지며, 회로기판(280)의 강성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카메라 모듈(221')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21'), 후면 디스플레이부(255) 및 버튼부(234)는 단말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관계에 의하면, 통일감을 주어 보다 고급화된 후면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2b의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전면 디스플레이부(251)뿐만 아니라,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를 구비하여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는, 이동 단말기(200)가 전면 디스플레이부(251)가 바닥을 향하도록 놓였을 때,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이벤트의 발생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 이벤트에 대한 내용 정보, 실행되고 있는 기능의 화면 정보, 이동 단말기(200)의 상태 정보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도 상기 정보들이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정보와 제2정보는 상기 정보들을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 중 어느 하나가 온(on) 상태이면 다른 하나는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선이 온 상태의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를 향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을 벗어난 전면 디스플레이부(251)는 오프 상태가 되어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 모두에 정보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이벤트의 발생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가 출력되는 일 예를 보이고 있다. 전화가 수신되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상기 전화 수신에 대응되는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화면 정보는 전화가 수신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 발신자와 관련한 내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호 수신 아이콘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내용 정보는 발신자의 이름, 사진,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실행되고 있는 기능의 화면 정보가 출력되는 일 예를 보이고 있다. 음악이 재생되는 경우,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재생 기능(재생, 앞/뒤 이동 등)과 관련된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조작에 의해 재생 기능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는 상기 선택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의 재생 기능에 대응되는 '▷' 형상의 그래픽 객체에 터치가 가해지면, 음악이 재생되며, '▷' 형상의 그래픽 객체는 음악의 재생을 멈추는 기능에 대응되는 'II' 형상의 그래픽 객체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대한 조작의 일 예로서,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터치 입력(싱글 터치, 멀티 터치, 플리킹 등을 포함한다)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대한 조작은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푸시 입력도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조작에 의해 도 2b의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출력되는 정보가 변경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기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가 가해지면, 화면 정보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는 플리킹 터치, 더블 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대한 플리킹 터치 방향에 따라,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서로 다른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이동 단말기(200)의 설정 모드 중 하나인 알림 모드와 관련하여 무음 알림이 설정됨을 나타내는 화면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상/하 방향으로의 플리킹 터치가 가해지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다른 알림 설정(소리, 진동 등)과 관련된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좌/우 방향으로의 플리킹 터치가 가해지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다른 설정 모드(화면 밝기 조정, GPS on/off 설정 등)와 관련된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감지부(140)를 이용하여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정보를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200)의 일 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제1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S810). 제어부(180)는 감지부(140)를 통하여 센싱되는 이동 단말기(200)의 상태에 따라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가 전면 디스플레이부(251)가 바닥을 향하도록 놓였을 때,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사용자에게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상기 제1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면(S820),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상기 제1정보와 관련된 제2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S830). 상기 회전은, 예를 들어, 전면이 일방향을 향하던 상태에서 후면이 상기 일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회전 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단말기 본체의 회전을 센싱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센싱을 위하여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자이로 센서(143), 가속도 센서(144)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가 전면 디스플레이부(251)가 바닥을 향하도록 놓였을 때,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이용하여 후면 디스플레이부(255)가 위를 향하고 있음을 감지하고, 자이로 센서(143), 가속도 센서(144)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기 본체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감지부(140)는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단말기 본체의 회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단말기 본체 전면 및 후면의 카메라 모듈(221, 221')을 통해 촬영된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단말기 본체의 어느 면을 항하고 있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는 어느 하나가 온 상태이면 다른 하나는 오프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온 상태와 오프 상태는 단말기 본체의 회전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상기 제1 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전면 디스플레이부(251)는 오프 상태에 놓이며,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는 것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부(251)는 온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제2정보를 출력하고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는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제2정보가 출력되더라도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는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상기 제1정보 또는 변경된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정보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는 것에 대응하여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제2정보를 출력시킬지 여부를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버튼부(234)에 대한 푸시 입력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의 회전 전에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터치가 가해지는 경우에만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제2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터치가 가해진 상태로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터치가 가해진 후 소정 시간 내에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상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전면 디스플레이부(251)가 오프 상태에 놓이고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상기 제1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터치가 가해지지 않고 회전되면, 전면 디스플레이부(251)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만 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이전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동작에 따라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 대기화면(홈스크린)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200)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가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구현예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과 관련한 구현예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벤트가 발생하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제1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도면의 (a)에서는, 이동 단말기(200)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가 위를 향하도록 바닥(10)에 놓인 상태에서, 메시지가 수신되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알리기 위하여, 위의 시각적인 방식에 더하여 소리, 진동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면,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내용 정보(제2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를 터치하고, 단말기 본체를 들어서 전면 디스플레이부(251)가 위를 향하도록 돌리면,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이 출력된다. 이때,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는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 상기 제1정보와 관련된 상기 제2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전면 디스플레이부(251)를 감싸는 베젤부(B)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도면의 (b) 및 (c)를 참조하면,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이 출력된 상태에서, 전면 디스플레이부(251)를 감싸는 베젤부(B)에 멀티 터치가 가해지면,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답신을 위한 입력창(K)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창(K)은, 예를 들어, 문자,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하는 키패드가 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이벤트의 발생을 알려주는 제1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면,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실행된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 정보인 제2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한 이벤트가 부재중 전화 수신 이벤트인 경우,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부재중 전화 수신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후,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를 터치하고, 단말기 본체를 들어서 전면 디스플레이부(251)가 위를 향하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에 대응하여 부재중 전화에 대한 발신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상기 발신과 관련된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어플리케이션, 이벤트 등 관련된 그래픽 객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출력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의 좌우 영역 각각에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음표 형상의 그래픽 객체 및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과 관련된 편지 봉투 형상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악을 듣고자 음표 형상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터치를 가하고, 전면 디스플레이부(251)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단말기 본체를 회전시키게 되면, 음악이 재생되면서 전면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음악의 재생과 관련된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의 움직임만으로도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감지부(140)는 단말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제어부(180)는 이벤트가 발생하여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가 움직이면,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가 수신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후면 디스플레이부(255)에는 전화가 수신됨을 알리는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앞선 도 10에 관한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를 터치하고, 전면 디스플레이부(251)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단말기 본체를 회전시키면, 이동 단말기(200)는 통화 가능한 수신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사정상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 도 1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후면 디스플레이부(255)를 터치한 상태로 단말기 본체를 살짝 들어 올리게 되면,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마이크(122)를 활성화시키고, 마이크(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을 텍스트 메시지로 변환한 후 전화의 발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300)의 변형예를 보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후면 디스플레이부(355)는 거의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데에 비하여, 본 변형예의 후면 디스플레이부(355)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가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 한 번에 보다 많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후면 디스플레이부(355)는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예들은 후면 디스플레이부(355)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경우, 시각적으로 보다 효과적인 것일 뿐, 다른 형태의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서 구현이 불가능한 것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구현예들은 본 변형예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정보가 출력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복수의 이벤트들이 발생하여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복수의 이벤트들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대한 기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는 다른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는 부재중 전화 목록(Cindy로부터 한 번의 부재중 전화 수신 및 John으로부터 두 번의 부재중 전화 수신), 메시지 수신 목록(Mom으로부터 한 번의 메시지 수신 및 John으로부터 한 번의 메시지 수신), 현재 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방식에 대응되는 터치는 플리킹 터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플리킹 터치에 대응하여 후면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며,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사라지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가해지는 플리킹 터치의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출력될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부재중 전화 개수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방향(본 도면에서는 상측 방향)으로의 플리킹 터치가 가해지면, John 및 Cindy로부터 수신된 부재중 전화와 관련된 정보가 차례로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Cindy로부터 수신된 부재중 전화는 John으로부터 수신된 부재중 전화보다 먼저 발생한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리킹 터치에 대응하여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는 최근 발생한 이벤트 순서대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리킹 터치에 대응하여 John으로부터 수신된 부재중 전화와 관련된 정보는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서 점차적으로 사라질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사라짐에 대응하여 Cindy로부터 수신된 부재중 전화와 관련된 정보는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점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플리킹 터치 방향에 따라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출력되는 정보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변경은 같은 카테고리에 속하는 정보간의 변경 및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정보간의 변경을 모두 포함한다.
일 예로,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대한 제1방향으로의 플리킹 터치가 가해지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와 동일한 카테고리 내의 다른 하나의 이벤트가 출력되고,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대한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의 플리킹 터치가 가해지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상기 복수의 이벤트들 중 상기 이벤트와 다른 카테고리 내의 다른 하나의 이벤트가 출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제2방향(본 도면에서는 좌측 방향)으로의 플리킹 터치가 가해지면, 부재중 전화와 관련된 정보는 메시지 수신과 관련된 정보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John으로부터 수신된 부재중 전화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플리킹 터치가 가해지면, 수신된 메시지의 개수가 표시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의 플리킹 터치가 가해지면, John과 Mom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가 차례로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출력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가 기울어지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출력되는 정보는 단말기 본체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단말기 본체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자이로 센서(143), 가속도 센서(144) 등이 상기 감지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단말기 본체가 우측으로 회전되면서 기울어지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출력되는 정보가 우측 단부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때,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출력되는 정보는 우측 단부에 도달하면 점차 사라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출력되는 정보가 단말기 본체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지부(140)를 이용하여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와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정보를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3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300)의 동작과 관련한 구현예들을 보인 개념도들이다.
감지부(140)는 단말기 본체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방향은, 예를 들어, 단말기 본체가 단말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이하, 제1방향이라고 한다) 또는 반시계 방향(이하, 제2방향이라고 한다)으로 회전되는 경우와, 폭 방향에 대응되는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이하, 제3방향이라고 한다) 또는 반시계 방향(이하, 제4방향이라고 한다)으로 회전되는 경우로 나뉠 수 있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벤트와 관련된 제1기능이 실행되고, 단말기 본체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되되 상기 제1기능과는 다른 제2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는 상기 제1기능과 상기 제2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John으로부터 부재중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출력된 경우,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에 각각 편지 봉투 형상의 그래픽 객체와 전화기 형상의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편지 봉투 형상의 그래픽 객체는 부재중 전화에 대한 메시지 전송 기능(제1기능)에 대응하며, 상기 전화기 형상의 그래픽 객체는 부재중 전화에 대한 발신 기능(제2기능)에 대응한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어부(180)는 감지부(140)를 통해 회전 방향을 감지하여 John에게 전화를 발신하게 되며,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는 상기 발신과 관련된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을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에 맞게 단말기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6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출력되는 정보는 단말기 본체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편지 봉투 형상의 그래픽 객체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편지 봉투 형상의 그래픽 객체를 향하여 이동되면서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서 점차 사라지며, 상기 정보가 기설정된 정도 이상으로 사라지면,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는 John에게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입력창(K)이 출력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7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가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출력되는 정보는 단말기 본체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전화기 형상의 그래픽 객체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전화기 형상의 그래픽 객체를 향하여 이동되면서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서 점차 사라지며, 상기 정보가 기설정된 정도 이상으로 사라지면, John에 대한 전화 발신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는 상기 기능의 실행과 관련된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앞서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는 틸팅되어 제어 명령을 입력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대한 터치 입력 대신, 누름 조작에 의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의 일측이 틸팅됨에 의해, 상기 일측에 출력되는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John으로부터의 부재중 전화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가 제3방향으로 회전되면,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는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이 없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는 홈 스크린 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 이전에 출력되었던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본체는 음향출력모듈(352)이 아래를 향하는 위/아래가 뒤바뀐 상태가 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다시 회전시키지 않고도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 정보를 회전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베젤부(B)에 전면 입력부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단말기 본체의 위/아래를 구분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한편,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는 John으로부터의 부재중 전화를 포함한 미확인된 정보가 간략하게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미확인된 정보는 이전에 출력되었던 화면 또는 홈 스크린에 오버랩되어 출력되거나, 홈 스크린에서 해당 기능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에 간략하게 숫자 또는 기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본체가 제4방향으로 회전되어도 제3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와 동일한 효과를 일으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John으로부터의 부재중 전화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가 제4방향으로 회전되면,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는 John으로부터의 부재중 전화를 포함한 미확인된 정보가 비교적 상세하게 출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감지부(140)를 이용하여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와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정보를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300)의 다른 일 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하의 설명에서, 앞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300)의 특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말기 본체의 양면에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가 각각 배치된다.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는 서로 다른 크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의 구현예들에서는 제1디스플레이부가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고, 제2디스플레이부가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는 앞서 설명한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와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 본체의 후면과 전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디스플레이부에는 제1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S1910). 이때, 제2디스플레이부는 오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의 카메라 모듈(321)를 통하여 제1디스플레이부 상의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디스플레이부가 오프 상태에 놓이도록 제2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면, 감지부(140)는 이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S1920). 이후,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발생한 이벤트와 상기 제1정보의 관련성을 이용하여 제2디스플레이부에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제2정보의 출력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S1930). 즉, 발생한 이벤트가 제1정보와 관련성이 있으면, 제2디스플레이부에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제2정보를 출력하고, 발생한 이벤트가 제1정보와 관련성이 없으면, 제2디스플레이부에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제2정보를 미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S1940). 여기에서 미출력은 단지 제2디스플레이부에 제2정보를 출력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즉,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는 추후 이동 단말기(300)가 다시 회전되었을 때 제1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등의 다른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정보가 제1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가 회전된 후,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2디스플레이부에 제2정보를 출력시킬지 여부를 제1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의 회전 전에 제1디스플레이부에 터치가 가해지는 경우에만 제2디스플레이부에 제2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는 어느 하나가 온 상태이면 다른 하나는 오프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온 상태와 오프 상태는 단말기 본체의 회전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제2디스플레이부는 오프 상태에 놓이며, 단말기 본체가 회전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2디스플레이부는 온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제2정보를 출력하고 제1디스플레이부는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2정보가 출력되더라도 제1디스플레이부는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1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제1정보 또는 변경된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하, 구현예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300)의 동작과 관련한 구현예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21은 제1정보와 발생된 이벤트 간의 관련성에 따라 제2정보의 출력 여부가 제어되는 예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20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 John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 터치를 가한 후(또는 가하면서) 단말기 본체를 뒤집어 놓게 되면, 이후 발생하는 이벤트가 John과 관련된 이벤트인 경우에만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이벤트와 관련된 제2정보가 출력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300)가 선택적 방해 금지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는 상기 모드가 실행됨을 알리는 정보가 일정 시간동안 출력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는 대상(통신 상대방)과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이벤트가 제1정보와 관련된 이벤트인지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정보와 이벤트 간의 관련성은 기능의 관련성(예를 들어, 메시지 기능의 관련성에 근거하여,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는 John뿐만 아니라 수신되는 모든 메시지에 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음. 즉, 이러한 관련성에 의하면, John으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알림 정보는 출력되지 않음)에 의해서도 결정될 수 있다.
도 2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를 뒤집어 놓은 후, Cindy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더라도,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는 전화가 수신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출력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알림 정보는 추후 이동 단말기(300)가 다시 회전되었을 때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 출력되는 등의 다른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John으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면,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는 John에게 전화가 수신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출력된다. 이 경우,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벤트와 관련된 제1기능이 실행되고, 단말기 본체가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되되 상기 제1기능과는 다른 제2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는 상기 제1기능과 상기 제2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John으로부터 전화가 수신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출력된 경우,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에 각각 수신 제한 기능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와 전화 연결 기능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출력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정보와 관련된 제2정보의 출력은 제1정보와 관련된 이벤트가 복수 회 발생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면 디스플레이부(351)를 통하여 John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 정보를 확인하고, 회의 시작 전에 상기 내용 정보가 출력된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 터치를 가한 후(또는 가하면서), 단말기 본체를 뒤집어 놓게 되면, 이후 John과 관련된 이벤트가 복수 회(본 실시예에서는 2회를 가정) 발생하는 경우에만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이벤트와 관련된 제2정보가 출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벤트의 발생 회수는 제1정보와 관련된 이벤트라면 이벤트의 종류를 막론하고 카운팅될 수 있다. 테이블에 나타난 바와 같이, John으로부터의 전화 수신과 메시지 수신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는 John으로부터 전화가 수신됨을 알리는 알림 정보는 출력되지 않고(추후 다른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음), John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벤트의 발생 회수는 제1정보와 관련된 이벤트이면서 발생되는 이벤트가 동일한 종류의 것일 경우에만 카운팅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300)의 동작과 관련한 다른 구현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 John과의 메시지 대화창이 출력된 상태에서,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 터치를 가한 후(또는 가하면서) 단말기 본체를 뒤집어 놓게 되면, 이후 John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 출력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후면 디스플레이부(355)에는 전면 디스플레이부(351)에서 실행되고 있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화면 정보는 단말기 본체가 회전된 이후 발생된 이벤트에 근거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에 따른 수신된 새로운 메시지의 내용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3)

  1.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에 각각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면 디스플레이부와 후면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의 방향이 변경되면,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으로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제1정보를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입력이 가해지고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제1정보와 관련된 제2정보를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입력이 가해지지 않고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이전 출력된 화면정보 또는 대기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메시지 수신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제1정보를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입력이 가해지고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제2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2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베젤부에 대한 멀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메시지에 대한 답신을 위한 입력창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부재중 전화 수신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재중 전화 수신을 알리는 상기 제1정보를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입력이 가해지고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부재중 전화에 대한 발신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보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정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입력이 가해지고 상기 단말기 본체가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제1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입력이 가해지고 상기 제1 회전방향과 다른 제2 회전방향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가 회전하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제1 기능과 다른 제2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플리킹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이벤트 중 다른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정보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리킹 터치의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상기 다른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리킹 터치가 제1 방향으로 가해지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수의 이벤트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와 동일한 카테고리 내의 다른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플리킹 터치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가해지면,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수의 이벤트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와 다른 카테고리 내의 다른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30103391A 2013-08-29 2013-08-29 이동 단말기 KR102063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91A KR102063104B1 (ko) 2013-08-29 2013-08-29 이동 단말기
US14/274,594 US9589542B2 (en) 2013-08-29 2014-05-0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EP14173068.9A EP2843524B1 (en) 2013-08-29 2014-06-1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CN201410421278.6A CN104427129B (zh) 2013-08-29 2014-08-25 移动终端和控制移动终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91A KR102063104B1 (ko) 2013-08-29 2013-08-29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616A KR20150025616A (ko) 2015-03-11
KR102063104B1 true KR102063104B1 (ko) 2020-02-11

Family

ID=5106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391A KR102063104B1 (ko) 2013-08-29 2013-08-29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89542B2 (ko)
EP (1) EP2843524B1 (ko)
KR (1) KR102063104B1 (ko)
CN (1) CN1044271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39B1 (ko) * 2013-11-05 2020-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52619B1 (ko) * 2015-02-03 2021-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9936138B2 (en) * 2015-07-29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37466A (ko) 2015-09-25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7343375B (zh) * 2016-04-29 2021-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后壳和移动终端
CN106210279A (zh) * 2016-06-30 2016-1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显示屏切换装置及方法
KR102597036B1 (ko) * 2016-10-11 2023-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JP2020514855A (ja) * 2016-12-28 2020-05-21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CN106582007A (zh) * 2016-12-30 2017-04-26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保护壳、移动终端应用的控制方法及装置
JP2018159886A (ja) * 2017-03-24 2018-10-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7880415A (zh) * 2018-05-28 2024-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操作方法和电子设备
CN110602273B (zh) * 2019-08-05 202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显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857526B (zh) * 2020-07-16 2022-06-03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装置、控制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EP4227794A1 (en) * 2022-02-14 2023-08-16 Nokia Technologies Oy User device
CN115640561B (zh) * 2022-11-15 2023-03-14 季华实验室 屏幕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6393B2 (en)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FR2854900B1 (fr) 2003-05-16 2007-07-27 Nexans Composition pour couche adherente, conducteur electrique revetu d'une telle couche adherent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onducteur electrique
KR100677329B1 (ko) 2004-06-19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보호장치
KR101512768B1 (ko) * 2008-08-22 2015-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788977B2 (en) * 2008-11-20 2014-07-22 Amazon Technologies, Inc. Movement recognition as input mechanism
CN101867631A (zh) * 2010-06-17 2010-10-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WO2012078079A2 (en) 2010-12-10 2012-06-14 Yota Devices Ipr Ltd Mobile device with user interface
US9159293B2 (en) * 2011-03-16 2015-10-13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JP5874279B2 (ja) 2011-09-30 2016-03-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携帯端末
US20130169545A1 (en) * 2011-12-29 2013-07-04 Research In Motion Corporation Cooperative displays
KR101916741B1 (ko) * 2012-01-25 2018-1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체 핸들러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397B1 (ko) * 2006-04-04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3524B1 (en) 2019-02-27
CN104427129B (zh) 2017-10-10
US20150062181A1 (en) 2015-03-05
EP2843524A1 (en) 2015-03-04
CN104427129A (zh) 2015-03-18
US9589542B2 (en) 2017-03-07
KR20150025616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104B1 (ko) 이동 단말기
KR1018524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77639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43591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0296165B2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display on front surface and rear input unit on rear surface and method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based on first input applied to rear input unit and second input applied to display
KR20100054369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31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4240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KR20110055265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KR2013000532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8666A (ko) 사이드 터치 입력 수단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201300909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6178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42405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98171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3551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66676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2754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스티커 기능 수행방법
KR2011000236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69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퀵 액세스 동작 제어 방법
KR20100059585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3198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399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무선 통신 채널 변경 방법
KR2011000543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6968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