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169B1 - Dipp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 Google Patents

Dipp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169B1
KR102062169B1 KR1020170122711A KR20170122711A KR102062169B1 KR 102062169 B1 KR102062169 B1 KR 102062169B1 KR 1020170122711 A KR1020170122711 A KR 1020170122711A KR 20170122711 A KR20170122711 A KR 20170122711A KR 102062169 B1 KR102062169 B1 KR 102062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inlet
opening
drink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3942A (en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to KR1020170122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169B1/en
Publication of KR2019003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9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1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는,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가 보호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를 포위하는 커버부; 상기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는 상기 제1 공간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 본체부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 여부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grounds are stored and provides a first space for the drip, and the drip coffee is produced after the drip is completed is provid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e into the second space A first body part; A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body portion to protect the first body portion; A first opening / closing part detachably mounted to the cover part to control whether the first space in which the ground coffee powder is stored is opened or closed; And an inlet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drip coffe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to the second space, wherein the inlet is disposed in a gravity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drip coffee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controlled to communicate the outlet and the inlet by interaction with the cover part.

Description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Dipp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Drip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본 발명은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pping container and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pping container and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which provides convenience to a user.

최근 들어 풍미와 고급성으로 인하여 인스턴트커피 대신 원두커피가 널리 음용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두커피 전문 매장과 원두커피 애호가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coffee beans are widely consumed instead of instant coffee due to their flavor and quality. Accordingly, coffee bean shops and coffee bean lovers are increasing.

그리고,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 등에서 원두커피를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원두를 가루로 만든 후, 이를 여과장치에 투입하여 커피액을 추출함으로써 원두커피를 마시거나, 별도의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을 구입하여 원두커피를 마실 수 있다.And, if you want to drink coffee beans in the home or general office, etc. by using a separate grinder to make the coffee powder, and then put it into a filtration device to drink coffee beans, or to drink a separate espresso coffee You can buy a machine and drink coffee beans.

그러나,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이 구비된 장소에서는 원두커피 전문매장을 이용하지 않아도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나, 상기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원두커피 전문매장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However, in a place equipped with a grinder and a filtration device 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coffee beans can be ingested without using a coffee bean specialty store, but in a place where the grinder and the filtration device or the espresso coffee machine are not provided, It is not possible to consume coffee beans without using a coffee shop.

즉, 인스턴트커피의 경우에는 인스턴트커피와 컵 및 뜨거운 물을 구비함으로서 여행시나 그 외 실외의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인스턴트커피를 섭취할 수 있으나, 원두커피는 인스턴트커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여행시나 기타 실외의 공간에서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That is, in the case of instant coffee, instant coffee, cups, and hot water can be used to easily consume instant coffee when traveling or in other outdoor spaces. It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consume coffee beans when traveling or in other outdoor spaces, since you have to have a device 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이에 따라, 근래에는 분쇄장치와 여과장치가 소형으로 제작되어 원두커피 애호가들이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시중에 판매 - 분쇄장치에 의해 분쇄된 원두분쇄물은 별도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음 - 되고 있으나, 여전히 커피 섭취자는 상기 분쇄장치와 여과장치 그리고 커피잔 및 뜨거운 물이 담겨 진 보온병을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상기 분쇄장치와 여과장치를 거친원두액을 커피잔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원두커피의 맛과 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grinding device and the filtration device are made compact so that coffee enthusiasts can carry them conveniently.-The ground coffee powder is crushed by the grinding device.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prepare and grind the grinder, the filtration device, and the thermos containing the coffee cup and hot water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ste and aroma of the loss.

그리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은 그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원두커피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mmercially available espresso coffee machin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price is expensive, and also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coffee coffe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preference.

본원발명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09-000673호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가 있다.As a prior art doc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673 'tumbler with a sieve container' is.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p container and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ly prepare and carry a filtration device for preparing drip coffee and a container for drinking drip coffe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는,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가 보호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를 포위하는 커버부; 상기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는 상기 제1 공간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 본체부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 여부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grounds are stored and provides a first space for the drip, and the drip coffee is produced after the drip is completed is provid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e into the second space A first body part; A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body portion to protect the first body portion; A first opening / closing part detachably mounted to the cover part to control whether the first space in which the ground coffee powder is stored is opened or closed; And an inlet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drip coffe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to the second space, wherein the inlet is disposed in a gravity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drip coffee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controlled to communicate the outlet and the inlet by interaction with the cover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구현하며,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cover to implemen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mounted on the cover block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It can be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 여부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by the interaction with the cover portion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port. You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켜,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ounted on the cover part, reduces the distance between the opposing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inlet portion, It may be characterized by blocking the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모두에 접촉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losing part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pposing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part and the inflow part, wherein the closing part includes: When the cover unit is mounted, the first main body unit and the inlet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both opposite surfaces to block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port and the inlet 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상기 폐쇄부는,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losing part of the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는,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어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공간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lter unit disposed in the first space to enable dripping, wherein the filter unit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rst spac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is mounted on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필터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필터부를 가압하며,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필터부에 대한 상기 제1 개폐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안착부가 상기 단차부를 가압하여,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over part, the first opening part presses the filter part by contact with the filter part, and the first main body part is the filter part.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e seating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changed by pressing the stepped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는, 상기 필터부에 대한 상기 제1 개폐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모두에 접촉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osing part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inflow part, wherein the closing part includes the closing part for the filter part. By pressuriz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e first main body portion and the inlet portion in contact with both opposing,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is block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에 대한 상기 제1 개폐부의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lastic part disposed between the cover part and the first body part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against the filter part.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cover part, the elastic part may return the first body part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 restoring force by elastic de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상기 필터부는, 거름망이 형성되는 망제공부 및 상기 망제공부의 내부로 주입된 물이 상기 원두 분쇄물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망제공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유입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유입방지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lter part of the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provid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water injected into the mesh providing portion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ground coffee grounds It is provided with an inflow preven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net providing portion, wherein the sea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공간 내에서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방지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편심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of the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isposed in the first space,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flow preventing portion to prevent the eccentrically arranged in the first space the first body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eccentric prevention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상기 필터부는, 물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방지부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망제공부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방지부의 외면에 상기 제1 본체부와 접촉되도록 장착되는 제1 밀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of the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network providing portion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rst sealing portion moun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body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를 포위하여, 상기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2 본체부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커버부; 및 상기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는 상기 제1 공간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구현하되,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면, 상기 커버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grounds are stored and provides a first space for the drip, the drip coffee outlet is prepared for the drip coffee is discharged into the second space A first main body having a; A second main body providing the second space and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drip coffe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to the second space; A cover part surrounding the first main body part and the second main body part to allow the first main body part and the second main body part to be disposed therein; And a first opening / closing part detachably mounted to the cover part to control whether the first space in which the ground coffee powder is stored is opened or closed, wherein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cover part and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and the inlet, when mounted on the cover part,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first body part by interaction with the cover part to block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hav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 후,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본체부가 상기 제2 본체부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간에 유입된 상기 드립 커피가 음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cover to allow the drip coffee to flow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outlet and the inlet, and then the cover Is mounted on the, so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is blocked, the cover portion, the first body portion to be in a state positioned in the gravit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portion, the inflow into the second spac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p coffee can be drunk.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어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공간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lter unit disposed in the first space to enable dripping, and the filter unit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rst spac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o be mounted on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필터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필터부를 가압하며,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필터부에 대한 상기 제1 개폐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안착부가 상기 단차부를 가압하여,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ounted on the cover portion, presses the filter portion by contact with the filter portion, the first body portion, the filter The mounting portion may press the stepped portion by press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gainst the portion, and the position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는, 상기 필터부에 대한 상기 제1 개폐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대향면 모두에 접촉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losing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wherein the closing portion, the filter By pressuriz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against the part, the first main body part and the second main body part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lock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커버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에 대한 상기 제1 개폐부의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first body portion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gainst the filter portion; The elastic part may return the first body part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 restoring force caused by elastic deformation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cover par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2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공간에 유입된 상기 드립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어 음용되기 위한 음용구 및 상기 음용구로부터 상기 드립 커피가 배출되도록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밴트구를 구비하는 음용부; 및 상기 음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음용구 및 상기 밴트구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음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econd main body, and the drinking apparatus and the drink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the drip coffe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to the outside for drinking. A drinking portion having a vent port for adjusting a pressure to discharge the drip coffee from the mouth; And a drinking control unit detachably mounted to the drinking unit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rinking device and the vent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음용조절부는, 상기 음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음용구와 상기 밴트구에 밀착되어 상기 음용구와 상기 밴트구를 폐쇄하는 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착부는, 탄성을 구비하되, 상기 음용구 및 상기 밴트구와 대응되는 부분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nking control portion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nk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drinking portion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nking sphere and the vent opening, and close the drinking sphere and the vent opening, the close The part may be elastic, bu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rinking sphere and the vent sphere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상기 밀착부의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Portions of the contact portion formed of the plurality of layers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의하면,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ipping container and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ly prepare a filtration device for preparing the drip coffee and a container for drinking the drip coffee.

또한, 드립 커피를 커피잔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맛과 향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taste and aroma that may occur during the transfer of the drip coffee into the coffee cup.

또한, 세척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청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clean it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and cleanliness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는 드립핑을 위해 제1 개폐부가 커버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0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해 제2 개폐부가 음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8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ploded dri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cover portion for dripping.
10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drinking portion for drinking drip coffee.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1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plode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iorate other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modify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ther embodiment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readily proposed, but they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with the same func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assembled drip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는, 원두 분쇄물(P)에 뜨거운 물을 부어 드립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일종의 드립퍼로, 원두 분쇄물(P, 도 6 참조)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S1)을 제공하는 제1 본체부(110), 상기 제1 본체부(110)가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110)를 포위하는 커버부(130), 상기 커버부(1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140) 및 상기 드립 커피가 제2 공간(S2, 도 6 참조)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dripp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nd of dripper which can prepare drip coffee by pouring hot water into the ground coffee grounds P. (P, see FIG. 6) is stored in the first body portion 110 to provide a first space (S1) for the dripping, the first body portion 110 so that the first body portion 110 is protected from the outside ( Cover portion 130 surrounding the 110,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40 detachably mounted to the cover 130 and the inlet for the drip coffe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S2, see Fig. 6) 150,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제2 공간(S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의 외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드립핑 용기(100)로부터 배출되는 드립 커피를 수용하는 일종의 컵(C, 도 5 참조)의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space (S2) may mean an external space of the dripp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drip coffee discharged from the dripping container 100 It may mean an inner space of a kind of cup C (see FIG. 5).

상기 제1 본체부(110)는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S2)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H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구(H1)는 상기 제1 본체부(110)의 저면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ain body 110 may include an outlet H1 for discharging the drip coffee manufactured by the completion of the dripping to the second space S2, and the outlet H1 may be the first body. It may be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portion 110.

상기 유출구(H1)는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H1 is not limited in number, but preferably a plurality of outlets may be radially formed.

한편, 상기 제1 본체부(110)의 저면은 상광하협의 형상, 예를 들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는 자연스럽게 유출구(H1)를 통과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1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ordinary light bottom narrow, for example, a funnel shape, so that the drip coffee produced by the dripping is completed to naturally pass through the outlet (H1) do.

상기 커버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개폐부(1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cover unit 130 may provide an appearance of the dripp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 component to which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40 is detachably mounted.

상기 제1 개폐부(140)는 상기 커버부(1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원두 분쇄물(P)이 저장되기 위한 상기 제1 공간(S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cover part 130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space S1 for storing the ground coffee grounds P may be controlled.

상기 제1 개폐부(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30)에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may be mounted to the cover part 130 by a screw fastening method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unted on the cover part 130 by an interference fit method. It may be mounted.

상기 유입부(150)는 유출구(H1)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는 유입구(H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let 150 may include an inlet H2 through which the drip coffe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H1 flows into the second space S2, based on the first main body 110. It may be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o allow the drip coffee to flow into the second space (S2).

여기서, 상기 유입부(150)는 상기 커버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Here, the inlet 15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13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는 상기 제1 공간(S1)에 배치되어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필터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160)는 상기 제1 공간(S1)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본체부(110)의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112)에 안착되는 안착부(162)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pp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lter unit 160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to enable the dripping, the filter unit 160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162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rst space S1 and seated on a stepped portion 112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

상기 필터부(160)는 드립핑을 위한 거름망(164)이 형성되는 망제공부(166), 상기 망제공부(166)의 내부로 주입된 물이 원두 분쇄물(P)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망제공부(166)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유입방지부(168)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160 has a mesh providing unit 166 in which a filtering net 164 for dripping is formed, and the water injected into the mesh providing unit 166 does not pass through the ground coffee powder P.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into the space (S2) may be provided with an inflow preventing portion 168 extending from the network providing portion 166.

여기서, 상기 안착부(162)는 상기 유입방지부(168)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ating portion 16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168.

상기 망제공부(166)는 상광하협의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유입방지부(168)는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et providing part 166 may be in the shape of a light-emitting sub-single, and the inflow preventing part 168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필터부(160)는 상기 제1 공간(S1)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공간(S1) 내에서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방지부(168)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본체부(110)의 내면에 접촉되는 편심방지부(169)를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filter unit 160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the filter unit 160 protrudes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inflow preventing unit 168 so as to prevent the filter unit 160 from being eccentrically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It may be provided with an eccentric prevention portion 169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상기 편심방지부(169)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eccentric prevention portion 169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may be formed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한편, 상기 필터부(160)는 상기 원두 분쇄물(P)에 주입된 뜨거운 물이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유입방지부(168)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나, 제1 밀폐부(161)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망제공부(166)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unit 16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168 due to inadvertent hot water injected into the ground coffee (P), The first sealing part 161 may not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network providing part 166.

상기 제1 밀폐부(161)는 상기 유입방지부(168)의 외면에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접촉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탄성을 구비하는 고무 재질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part 161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flow preventing part 168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body part 110 and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는 제1 개폐부(140)와 상기 커버부(1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 여부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pp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40 and the cover 130. It may be adjus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5 to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드립 커피의 제조를 위해 커버부(130)로부터 제1 개폐부(140)를 분리하고, 필터부(160)를 제1 본체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제1 공간(S1)에 삽입한다.Referring to FIG. 5, in order to manufacture the drip coffee, the first opening part 140 is separated from the cover part 130, and the filter part 160 is provided in the first space S1 provided by the first body part 110. ).

다만, 상기 제1 개폐부(140)를 상기 커버부(130)로부터 분리하기 이전부터 상기 제1 공간(S1)에 필터부(160)가 이미 배치된 경우라면, 상기 필터부(160)의 삽입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However, if the filter unit 160 is already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before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140 is separated from the cover unit 130, an insertion step of the filter unit 160 is performed. May be omitted.

상기 필터부(160)는 안착부(162)가 상기 제1 본체부(110)의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112)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공간(S1)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입방지부(168)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편심방지부(169)에 의해 상기 제1 공간(S1) 내에서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filter part 160 may have a seating part 162 seated on a stepped part 112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part 110 a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rst space S1. Eccentricity prevention unit 169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flow prevention unit 168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ccentrically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160)가 상기 제1 공간(S1)에 삽입되고 상기 안착부(162)가 상기 단차부(112)에 안착되고 나면, 상기 필터부(160)에 원두 분쇄물(P)을 적정량 투입하고 뜨거운 물(W)을 상기 원두 분쇄물(P)에 주입한다.Referring to FIG. 6, after the filter part 1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ating part 162 is seated in the stepped part 112, ground coffee is ground in the filter part 160.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P) is added and hot water (W) is injected into the ground coffee grounds (P).

이때, 유출구(H1)와 유입구(H2)는 서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컵(C)에 의해 제공되는 제2 공간(S2)에 드립 커피(DC)가 저장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s time passes, the drip coffee DC is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provided by the cup C.

드립핑 공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드립 커피(DC)를 음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을 차단할 필요가 있게 된다.When the dripping process is completed, the user may drink the drip coffee DC, and the user needs to block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유출구(H1)와 유입구(H2)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해 제1 개폐부(140)를 회전시켜 커버부(130)에 장착한다.Referring to FIG. 7, the user rotates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140 and mounts the cover 130 to block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여기서, 상기 제1 개폐부(140)는 상기 커버부(1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 여부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40 may be controlled to communicat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by the interaction with the cover 13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이 구현되며,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된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is separated from the cover part 130,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is realized,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is the cover part 130. When mounted on th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is blocked.

이는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110)의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osition of the first body part 110 is changed by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140 interacting with the cover part 130.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유입부(150)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D)은 감소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유입부(150)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폐쇄부(170)가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유입부(150)의 대향면 모두에 접촉되게 되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is mounted to the cover part 130, the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main body part 110 and the opposing surface of the inlet part 150 is reduced. As a result, the closing part 170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inlet part 150 is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inlet part 150. It is in contact with all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communication is to be blocked.

상기 폐쇄부(170)는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구현되는 일종의 고무링일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다.The closure portion 170 may be a kind of rubber ring implemented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it should be apparent that the closure part 170 should be formed of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상기와 같이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어 유출구(H1)와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되는 원리에 대해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is mounted to the cover part 130 to explain the principle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면, 상기 제1 개폐부(140)는 필터부(16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필터부(160)를 가압하게 된다.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is mounted on the cover part 130,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presses the filter part 160 by contact with the filter part 160.

상기 필터부(160)와 접촉되는 상기 제1 개폐부(140)에는 탄성을 구비하는 고무 재질의 링부재(1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는 경우 부드럽게 상기 필터부(160)를 가압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40 in contact with the filter unit 160 may be provided with a ring member 142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which i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40 is the cover portion 130 ), The filter unit 160 may be gently pressed.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필터부(160)를 가압하면, 상기 필터부(160)의 안착부(162)는 제1 본체부(110)의 단차부(112)를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본체부(110)는 위치가 변하게 된다.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pressurizes the filter part 160, the seating part 162 of the filter part 160 presses the stepped part 112 of the first main body part 110. Due to this, the position of the first main body 110 is changed.

상기 제1 본체부(110)가 상기 필터부(160)에 의해 위치가 변하게 되면,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유입부(150)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D)은 더욱 감소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본체부(110)에 장착되는 폐쇄부(170)는 상기 유입부(150)를 향하여 이동되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유입부(150)에 접촉되게 된다.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main body 110 is changed by the filter 160, the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opposing surface of the inlet 150 is further reduced. Through this, the closing part 170 mounted on the first body part 110 is moved toward the inlet part 150 and final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let part 150.

상기 유입부(150)에 접촉되는 상기 폐쇄부(170)는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를 구획하는 일종의 격벽으로 작용하게 되며, 결국,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는 연통이 차단되게 된다.The closing part 170 in contact with the inlet 150 acts as a sort of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and eventually,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Communication is block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는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필터부(160)에 대한 상기 제1 개폐부(140)의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E)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pp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40 is mounted to the cover portion 130, the pressing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40 against the filter unit 160 It may include an elastic portion (E)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by.

상기 탄성부(E)는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커버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에 장착되기 전에는 정상 상태(도 5 및 도 6 참조)를 유지하여 상기 제1 본체부(110)를 상기 커버부(130) 내에서 지지할 수 있다.The elastic part 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cover part 130, and befor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is mounted on the cover part 130, the normal state ( 5 and 6) to support the first body 110 within the cover 130.

다만, 드립핑 공정이 완료되어 유출구(H1)와 유입구(H2)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 개폐부(140)를 커버부(13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부(160)에 의한 가압에 의해 위치 변화되는 제1 본체부(110)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However, when the dripping process is completed and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140 is mounted on the cover unit 130 to block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the filter unit 160 is pressurized by the filter unit 160. It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first main body 110, which is changed in position by.

여기서, 드립 커피의 제조를 반복하거나 세척을 위해 제1 개폐부(140)를 커버부(13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E)는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1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유출구(H1)와 유입구(H2)는 연통이 구현되게 된다.Here, when the drip coffee is repeated or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is separated from the cover part 130 for washing, the elastic part E is the first body part 110 by a restoring force by elastic deformation. )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by naturally communicating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상기 탄성부(E)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개폐부(140)가 커버부(130)에 장착되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1 개폐부(140)가 상기 커버부(130)로부터 분리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1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면 형상에 제한 없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E may be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40 is mounted to the cover portion 130, the elastic portion E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firs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40 is separated from the cover part 130, all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s 140 may be applicable without limitation to the shape if the first body part 110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 restoring force by elastic deformation.

한편, 상기 제1 본체부(110)는 드립 커피 이외의 불순물 등이 유입구(H2)를 통해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을 구비하는 제2 밀폐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main body 110 may include a second sealing part 114 having elasticity to prevent impurities, such as drip coffe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S2 through the inlet port H2. Can be.

상기 제2 밀폐부(114)는 상기 제1 본체부(110)가 상기 커버부(13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130)의 내면 또는 유입부(150)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The second sealing part 114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3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art 150 when the first body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cover part 130. .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9는 드립핑을 위해 제1 개폐부가 커버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해 제2 개폐부가 음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다.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cover for the dripp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nd FIG. 10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is separated from a drinking part for drinking drip coffee. Perspective view.

또한, 도 11은 도 8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ure 8, Figure 1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를 이용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8 to 13,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pp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In the followin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e drip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do.

상기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는, 원두 분쇄물(P, 도 15 참조)에 뜨거운 물을 부어 걸러낸 후 제조되는 드립 커피(DC, 도 15 및 도 16 참조)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로, 드립퍼와 음용용기가 구현된 신개념의 텀블러일 수 있다.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200 is a container for drinking drip coffee (DC, see FIGS. 15 and 16), which is prepared after pouring hot water to ground coffee grounds (P, see FIG. 15). It may be a new concept tumbler in which a dripper and a drinking vessel are implemented.

즉, 상기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는 원두 분쇄물(P)에 물이 주입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DC)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로, 제1 본체부(210), 제2 본체부(220), 커버부(230), 제1 개폐부(240) 및 필터부(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200 is a container capable of drinking drip coffee (DC) manufactured by injecting water into the ground coffee grounds (P). The first body part 210 and the second body part ( 220, the cover part 230,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240, and the filter part 260 may be included.

상기 제1 본체부(210)는 원두 분쇄물(P)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S1)을 제공할 수 있으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DC)가 제2 공간(S2)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H1)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main body 210 may store the ground ground powder P and provide a first space S1 for dripping, and the drip coffee DC manufactured after the dripping is completed is the second space. It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H1) for discharging to (S2).

상기 제2 본체부(220)는 상기 제2 공간(S2)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구(H1)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DC)가 상기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H2)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main body 220 may provide the second space S2, and an inlet for the drip coffee DC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H1 to enter the second space S2. (H2) can be provided.

상기 유출구(H1)는 상기 제1 본체부(2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H2)는 상기 제2 본체부(2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H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210, and the inlet port H2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220.

상기 제1 본체부(210) 및 상기 제2 본체부(220)는 상기 커버부(230)에 의해 포위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본체부(210) 및 상기 제2 본체부(220)는 상기 커버부(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ody part 210 and the second body part 220 may be surrounded by the cover part 230, that is, the first body part 210 and the second body part 220. )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ver part 230.

상기 커버부(230)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폐부(2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The cover unit 230 may provide an appearance of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200, and may be a component to which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240 is detachably mounted.

여기서, 상기 제1 개폐부(2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상기 제1 개폐부(240)가 커버부(230)에 장착되면 유출구(H1)와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concrete configura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40 and the principle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is blocked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40 is mounted on the cover 230, Figs. Sinc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7,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는 상기 제2 공간(S2)에 저장된 드립 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용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vessel 200 may include a drinking portion 280 to drink the drip coffee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상기 음용부(280)는 상기 제2 본체부(220)에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상기 제2 본체부(220)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drinking portion 280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second main body 220 by a screw fastening metho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main body 220 by an interference fit method. It may be mounted.

상기 음용부(280)는 상기 제2 공간(S2)에 유입된 드립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어 음용되기 위한 음용구(282) 및 상기 음용구(282)로부터 상기 드립 커피가 배출되도록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밴트구(284)를 구비할 수 있다.The drinking portion 280 is to adjust the pressure so that the drip coffee is discharged from the drinking sphere 282 and the drinking sphere 282 for the drip coffe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S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vent port 284 may be provided.

상기 음용구(282) 및 상기 밴트구(284)는 상기 음용부(28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음용조절부(290)에 의해 개폐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The drinking apparatus 282 and the vent port 284 may be opened or closed by a drinking control unit 290 detachably mounted to the drinking unit 280.

상기 음용조절부(290)가 상기 음용부(280)에 삽입되면,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상기 음용구(282)와 상기 밴트구(284)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음용구(282)와 상기 밴트구(284)는 폐쇄될 수 있다.When the drinking control unit 290 is inserted into the drinking unit 280, the drinking control unit 29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nking apparatus 282 and the vent port 284, thereby the drinking apparatus 282 and the vent port 284 may be closed.

구체적으로,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상기 음용구(282)와 상기 밴트구(284)에 밀착되어 상기 음용구(282)와 상기 밴트구(284)를 폐쇄하는 밀착부(292) 및 상기 밀착부(292)를 지지하는 지지부(294)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inking control unit 29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nking sphere 282 and the vane 284 close contact with the drinking sphere 282 and the vent (284) 292 and the It may include a support 294 for supporting the contact portion 292.

상기 밀착부(292)는 탄성을 구비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용구(282) 및 상기 밴트구(284)와 대응되는 부분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lose contact portion 292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drinking sphere 282 and the vent sphere 284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여기서, 상기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상기 밀착부(292)의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portions of the contact portion 292 formed of the plurality of layers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음용조절부(290)를 상기 음용부(280)에 삽입하는 경우, 이격되어 형성되는 밀착부(292)로 인해 상기 음용구(282) 및 상기 밴트구(284)는 안정적으로 폐쇄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rinking control unit 290 is inserted into the drinking unit 280, the drinking sphere 282 and the vent port 284 due to the close contact portion 292 is formed to be stably closed It becomes possible.

한편,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상기 음용부(280)에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개폐부(295)와 연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nking adjustment unit 29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95 that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drinking portion 280 by a screw fastening method or the like.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상기 제2 개폐부(295)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2 개폐부(295) 및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각각 걸림부(296) 및 피걸림부(297)를 구비할 수 있다.The drinking control unit 290 may maintain a state connected to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95, and for this purpos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95 and the drinking control portion 290 are hooked portion 296 and caught blood, respectively. The part 297 may be provided.

상기 걸림부(296)와 살기 피걸림부(297)는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고, 그 외 연결을 위한 공지의 수단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The catching part 296 and the live catching part 297 may be implemented with a groove and a protrusion structure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vice versa, and all other known means for connection may be applied. Can be.

따라서, 상기 제2 개폐부(295)가 상기 음용부(280)에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장착되면, 상기 음용조절부(290)도 상기 음용부(280)에 삽입되어 자연스럽게 상기 음용구(282) 및 상기 밴트구(284)를 폐쇄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95 is mounted to the drinking portion 280 by a screw fastening method or the like, the drinking adjusting portion 290 is also inserted into the drinking portion 280 and the drinking tool 282 and The vent port 284 is closed.

여기서, 상기 제2 개폐부(295)를 상기 음용부(280)에 나사 체결하는 경우, 상기 음용조절부(290)도 상기 제2 개폐부(295)와 동시에 회전될 수 있으며, 이는 지지부(294)에 형성된 돌출부(291)가 제2 개폐부(295)에 형성된 함입부(293)에 삽입되기 때문이다.Here, when screwing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95 to the drinking portion 280, the drinking adjustment portion 290 may also be rotated at the same time with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95, which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294 This is because the formed protrusion 291 is inserted into the recess 293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ortion 295.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200)의 사용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8.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14 to 1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드립 커피의 제조를 위해 커버부(230)로부터 제1 개폐부(240)를 분리하고, 필터부(260)를 제1 본체부(210)에 의해 제공되는 제1 공간(S1)에 삽입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first opening part 240 is separated from the cover part 230 to prepare the drip coffee, and the filter part 260 is provided in the first space S1 provided by the first body part 210. ).

다만, 상기 제1 개폐부(240)를 상기 커버부(230)로부터 분리하기 이전부터 상기 제1 공간(S1)에 필터부(260)가 이미 배치된 경우라면, 상기 필터부(260)의 삽입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However, if the filter unit 260 is already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before the first opening / closing unit 240 is separated from the cover unit 230, the filter unit 260 may be inserted. May be omitted.

상기 필터부(260)는 안착부(262)가 상기 제1 본체부(210)의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212)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공간(S1)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입방지부(268)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편심방지부(269)에 의해 상기 제1 공간(S1) 내에서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260 may have a seating portion 262 seated on a stepped portion 212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210 a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rst space S1. Eccentricity prevention portion 269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268 may be prevented from being eccentrically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도1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260)가 상기 제1 공간(S1)에 삽입되고 상기 안착부(262)가 상기 단차부(212)에 안착되고 나면, 상기 필터부(260)에 원두 분쇄물(P)을 적정량 투입하고 뜨거운 물(W)을 상기 원두 분쇄물(P)에 주입한다.Referring to FIG. 15, after the filter part 2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ating part 262 is seated in the stepped part 212, ground coffee is ground in the filter part 260.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P) is added and hot water (W) is injected into the ground coffee grounds (P).

이때, 유출구(H1)와 유입구(H2)는 제1 개폐부(240)가 커버부(230)에 분리된 상태이므로, 서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제2 본체부(220)에 의해 제공되는 제2 공간(S2)에 드립 커피(DC)가 저장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may be in a stat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becaus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40 is separated from the cover 230, and after a time, the second body part 220 The drip coffee DC is stored in the provided second space S2.

드립핑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을 차단한 후, 제2 공간(S2)에 저장된 드립 커피를 음용하게 된다.When the dripping process is completed, afte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is blocked, the drip coffee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is drunk.

여기서,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개폐부(240)를 회전시켜 커버부(230)에 장착한다.Here, in order to block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240 is rotated as shown in FIG. 16 and mounted on the cover part 230.

상기 제1 개폐부(240)가 상기 커버부(230)에 장착되면, 상기 제1 개폐부(240)는 상기 커버부(2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된다.When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240 is mounted to the cover part 230,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240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by interaction with the cover part 230. Is blocked.

상기 제1 개폐부(240)가 상기 커버부(230)에 장착됨으로 인하여,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되는 원리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Since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240 is mounted on the cover part 230, the principle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Omit from.

상기 제1 개폐부(240)가 상기 커버부(230)에 장착되어 상기 유출구(H1)와 상기 유입구(H2)의 연통이 차단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30)를 회전시켜 제1 본체부(210)와 제2 본체부(220)의 위치를 서로 바꾸게 된다.When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240 is mounted to the cover part 230 to prevent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H1 and the inlet H2, as shown in FIG. 17, the cover part 230 is rotated. The positions of the first main body 210 and the second main body 220 are changed to each other.

즉, 상기 커버부(230)는 상기 제1 본체부(210)가 상기 제2 본체부(22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간(S2)에 유입된 상기 드립 커피가 음용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cover part 230 is such that the first main body 210 is located in the gravit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main body 220, and the flow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S2. Drip coffee can be drunk.

상기 제1 본체부(210)가 상기 제2 본체부(22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되면, 제2 개폐부(295)를 음용부(280)로부터 분리한 후 사용자는 음용구(282)를 통해 드립 커피(DC)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first main body 210 is positioned in the gravit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main body 220, after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295 is separated from the drinking part 280, the user may remove the drinking tool 282. Through drip coffee (DC) can be drinking.

여기서,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상기 제2 개폐부(295)를 상기 음용부(280)로부터 분리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음용부(28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Here, the drinking control unit 290 is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drinking part 280 whe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295 is separated from the drinking part 280.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드립핑 용기
200: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210: 제1 본체부
220: 제2 본체부
230: 커버부
240: 제1 개폐부
260: 필터부
295: 제2 개폐부
100: drip container
200: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210: first body portion
220: second body portion
230: cover part
240: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260: filter unit
295: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laims (22)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제2 공간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를 구비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제2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가 보호되도록, 상기 제1 본체부를 포위하는 커버부;
상기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는 상기 제1 공간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를 구비하는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 본체부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 여부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구현하며,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며,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 여부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A first main body having a first outlet for storing coffee grounds and providing a first space for dripping, and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drip coffee produced after the dripping is completed into the second space;
A second main body providing the second space and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drip coffe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to the second space;
A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body portion to protect the first body portion;
A first opening / closing part detachably mounted to the cover part to control whether the first space in which the ground coffee powder is stored is opened or closed; And
And an inlet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drip coffe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nto the second space.
The inlet portion,
It is disposed in the gravit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portion, so that the drip coffe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By the interaction with the cover portion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t is separated from the cover to implemen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mounted on the cover to block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e dripp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by the interaction with the co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켜,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When mounted to the cover portion, the dripp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body portion and the inflow portion facing the inle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모두에 접촉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closing part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inflow part.
The closure is,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mounted to the cover portion, the dripp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ontact with both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portion and the inlet portion to block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는,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closure is,
A dripp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by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어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공간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filter unit disposed in the first space to enable the dripping,
The filter unit,
And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rst space and seated on a stepped port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필터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필터부를 가압하며,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필터부에 대한 상기 제1 개폐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안착부가 상기 단차부를 가압하여,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When the cover unit is mounted, the filter unit is pressed by contact with the filter unit,
The first body portion,
A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ing portion presses the stepped portion by press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gainst the filter portion, thereby changing the 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폐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는,
상기 필터부에 대한 상기 제1 개폐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부의 대향면 모두에 접촉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8,
And a closing part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inflow part.
The closure is,
A dripp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pressed against the filter unit to contact both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inflow portion to block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에 대한 상기 제1 개폐부의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본체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9,
An elastic part disposed between the cover part and the first main body part and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against the filter part;
The elastic portion,
Wh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cover portion, the dripp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o return the first body portio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de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거름망이 형성되는 망제공부 및 상기 망제공부의 내부로 주입된 물이 상기 원두 분쇄물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망제공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유입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유입방지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lter unit,
It is provided with a mesh providing portion forming the mesh and the inlet preven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mesh providing portion to prevent the water injected into the mesh providing portion does not pass into the second spac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ground mill,
The seating portion,
A dripp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공간 내에서 편심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방지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편심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lter unit,
When disposed in the first space, to prevent the eccentrically arranged in the first space to prevent the eccentric preven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flow prevent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Vess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물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유입방지부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망제공부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입방지부의 외면에 상기 제1 본체부와 접촉되도록 장착되는 제1 밀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lter unit,
Is mounted to contact the first body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network providing portion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A dripping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first sealing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드립 커피가 상기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 후,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의 연통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본체부가 상기 제2 본체부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간에 유입된 상기 드립 커피가 음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e drip coffee is separated from the cover to allow the drip coffee to flow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outlet and the inlet, and is mounted on the cover to block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The cover part,
The drip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p coffe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can be consumed by allowing the first main body to be positioned in the gravit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main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공간에 유입된 상기 드립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어 음용되기 위한 음용구 및 상기 음용구로부터 상기 드립 커피가 배출되도록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밴트구를 구비하는 음용부; 및
상기 음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음용구 및 상기 밴트구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음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15,
It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econd main body, and the drink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the drip coffe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to the outside for drinking and the vent hole for adjusting the pressure to discharge the drip coffee from the drinking apparatus Drinking portion having a; And
And a drinking control unit detachably mounted to the drinking unit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rinking apparatus and the vent por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조절부는,
상기 음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음용구와 상기 밴트구에 밀착되어 상기 음용구와 상기 밴트구를 폐쇄하는 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착부는,
탄성을 구비하되, 상기 음용구 및 상기 밴트구와 대응되는 부분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20,
The drinking control unit,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drinking portion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nking sphere and the vent sphere, and close the drinking sphere and the vent sphere,
The close contact portion,
A dripping container having elasticity, where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rinking sphere and the vent spher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상기 밀착부의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The method of claim 21,
The part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formed of the plurality of layers,
A dripp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part from each other.
KR1020170122711A 2017-09-22 2017-09-22 Dipp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KR102062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11A KR102062169B1 (en) 2017-09-22 2017-09-22 Dipp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11A KR102062169B1 (en) 2017-09-22 2017-09-22 Dipp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42A KR20190033942A (en) 2019-04-01
KR102062169B1 true KR102062169B1 (en) 2020-01-03

Family

ID=6610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711A KR102062169B1 (en) 2017-09-22 2017-09-22 Dipp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1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396B1 (en) * 2019-04-02 2021-03-02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Dripper and portable drinking tumbl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377Y1 (en) * 2001-07-04 2001-11-17 황성철 Density-controllable coffee ma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377Y1 (en) * 2001-07-04 2001-11-17 황성철 Density-controllable coffee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42A (en)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4100B1 (en) Hand drip coffee tumbler
US10542837B2 (en) Multipurpose infuser filter strainer
EP1906798B1 (en) Portafilter system
US8012523B2 (en) Permanent filtering pod for brewing beverages
KR200470218Y1 (en) A thermos bottle
US20060169149A1 (en) Basket for holding coffee grounds in coffee brewing machine
CN105962713B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Rocking cup
KR101011692B1 (en) a hand mill with all-in-one fillter
KR102062169B1 (en) Dipp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KR102071046B1 (en) Dripp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KR101919108B1 (en) Tumbler for extracting tea
EP1582127B1 (en) Device for adapting an express coffee machine to the use of coffee single-dose capsules
KR101787271B1 (en)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KR101804326B1 (en) Portable dripping set of coffee
KR102221396B1 (en) Dripper and portable drinking tumbler
CN106136777B (en) A kind of reusable capsule drink reconstitutes cup
CN213993167U (en) Double-drinking cup and cup cover thereof
KR102057924B1 (en) Portable hand drip extraction equipment of bottle type
KR20180002552A (en)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KR101584181B1 (en) Hand drip coffe tumbler
KR20180129043A (en)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JP7303569B2 (en) Extraction beverage preparation strainer
CN218832551U (en) Multipurpose brewing device
KR20180001987U (en) drink manufacturing apparatus
TWM647961U (en) Portable coffee machine and water outlet cove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