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166B1 - 센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센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166B1
KR102061166B1 KR1020170089746A KR20170089746A KR102061166B1 KR 102061166 B1 KR102061166 B1 KR 102061166B1 KR 1020170089746 A KR1020170089746 A KR 1020170089746A KR 20170089746 A KR20170089746 A KR 20170089746A KR 102061166 B1 KR102061166 B1 KR 102061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sensing
sensor
sens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466A (ko
Inventor
은성배
윤지섭
정진만
윤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너
Publication of KR2018009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센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센서부가 센싱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와, 전송부의 정보 전송을 제어하며,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슬립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와,태그와 사용자 단말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태그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를 웨이크-업 모드로 동작시키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본 발명은 센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IoT 환경에서 외부 환경을 센싱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기술 및 정보처리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IoT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홈 오토매틱의 경우 집안의 가전 제품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집안 곳곳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현재의 실내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플랜트 시설 등에서 사람이 직접 측정하기 어렵거나 위험한 곳에 센서 디바이스를 부착한 후, 센서와의 무선통신으로 원격에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IoT 센서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현재 센서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경우 업체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IoT 센서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과정을 거친 후 센서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높은 구축비용과 디스플레이를 위한 베터리 소모로 인한 짧은 유지보수 기간이 문제가 된다. 또한,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경우에 업체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센서 디바이스의 MCU는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슬립 모드와 웨이크업 모드를 반복하게 되는데,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 스마트폰과의 페어링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이 짧을 경우 전력 소모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QR코드/RFID태그/NFC태그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IoT디바이스를 연동함으로서 초기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하며, 디스플레이를 스마트폰에서 구현함으로서 배터리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센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 디바이스내의 MCU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다가 스마트폰과 태그가 접촉하게되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비동기식으로 MCU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센서 디바이스와 스마트폰간의 통신 연결 속도를 유지하면서 센서 디바이스의 베터리 소모를 감소시키는 센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센싱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전송부의 정보 전송을 제어하며,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 슬립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 및 태그와 사용자 단말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태그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 모드로 동작시키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태그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태그로부터 입력되는 전하를 축적하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태그는, 상기 전송부와의 통신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인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센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필요한 정보인 UI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태그는, 상기 센서의 외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경을 센싱하는 단계; 태그와 사용자 단말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제어부의 동작모드를 웨이크-업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모드가 웨이크-업 모드로 변경되면 센싱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센서 디바이스에 부착된 태그에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서, 사용자 단말에서 태그를 접촉하는 것만으로 센서 디바이스와 쉽게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내의 제어부가 평상시에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다 태그와 사용자 단말이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전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함으로서, 센서 디바이스에서 소모하는 전력양을 절감하면서도 센서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100)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정보 획득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300)에 관한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습도 센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HTML 소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습도 센서 디바이스의 CSS 소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습도 센서 디바이스의 Javascript 함수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에서 MCU(730)와 NFC태그(740)를 확대한 그림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8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100)에 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100)는 센서부(110), 전송부(120), 제어부(130) 및 수신부(14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경을 센싱한다. 센서부(110)가 센싱하는 외부 환경은 습도, 온도, 미세먼지 농도, 가스와 같은 자연환경 뿐만아니라, PC, 세탁기등과 같은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를 포함한다.
전송부(120)는 센서부(110)가 센싱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1)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전송부(120)는 블루투스, ZigBee, Wi-Fi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부(120)가 어떠한 통신 기술을 이용할 것인지는 사용자 단말(101)과 사전에 약속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 정보가 원할하게 수집되고 관리되도록 센서부(110)를 제어하며, 수집된 정보가 사용자 단말(101)을 포함한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되도록 전송부(120)를 제어한다. 센서 디바이스(100)에서 제어부(13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하여 슬립 모드와 웨이크-업 모드 중 하나로 구동될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센싱을 위한 최소한의 기능이나 재동작시에 전력 소모가 큰 일부 기능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슬립 모드 상태에서는 전송 센싱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
웨이크-업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센서부(110)가 외부 환경을 센싱하도록 제어하며, 전송부(120)와 사용자 단말(101)간의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전송부(120)가 사용자 단말(101)에 센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수신부(140)는 태그(150)와 사용자 단말(101)이 접촉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에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태그(150)는 내부적으로 에너지원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101)이 태그(150)에 접촉할 때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전송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1)과 태그(150)의 접속시에 사용자 단말(101)로부터 태그(150)로 전송되는 전력의 일부가 태그(150)에서 수신부(140)로 전달되고, 수신부(140)는 전달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의 동작 모드를 웨이크-업 모드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100)에서 제어부(130)는 대부분의 시간을 슬립 모드로 동작하다가 사용자 단말(101)의 요청(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과 태그의 접촉)이 있으면, 웨이크-업 모드로 동작함으로서, 베터리의 소모를 절약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연결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정보 획득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정보 획득 시스템은 센서 디바이스(201), 서비스 제공자(202), 웹서버(203) 및 사용자 단말(205)를 포함한다.
센서 디바이스(201)는 센서(210), 블루투스 모듈(220), MCU(230), NFC 태그(250), 저장공간(260)을 포함한다.
센서(2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경을 센싱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환경은 온도,습도와 같은 자연 환경을 포함할 뿐만아니라, 세탁기/냉장고와 같은 모니터링 중인 장치의 상태를 포함한다.
센서(210)에서 센싱된 정보는 저장공간(260)에 저장될 수 있다. 센서(210)는 MCU(230)의 지시없이 계속적으로(또는 주기적으로)외부 환경을 센싱할 수도 있으며, MCU(230)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외부 환경을 센싱할 수도 있다.
NFC 태그(250)에는 사용자 단말(205)이 블루투스 모듈(220)과 페어링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센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데 필요한 UI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20)은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5)과 통신을 수행한다.
서비스 제공자(202)는 센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데 필요한 UI를 제공하며, UI는 센서 디바이스(201)내의 저장공간(260)에 저장되거나, 웹서버(203)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센싱 정보 획득 시스템(201)의 각 모듈의 동작을 시간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205)은 센서 정보를 요청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MCU(230)는 슬립모드로 동작한다. 센서(210)는 MCU(230)가 슬립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도 외부 환경을 센싱할 수도 있고, MCU(230)가 웨이크-업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만 외부 환경을 센싱할 수도 있으나, 이번 실시예에서는 센서(210)가 계속적으로 외부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저장공간(260)에 저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 단말(205)은 센싱 정보가 필요할 경우, NFC 리더를 이용하여 NFC 태그(250)를 터치한다. 이 때, 125KHz와 같은 전자기파가 사용자 단말(205)에서 NFC 태그(250)로 전달되며, NFC 태그(250)는 전자기파의 일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5)에 네트워크 정보와 UI의 링크 정보를 전송하고, 나머지 일부를 이용하여 MCU(230)에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한다.
MCU(230)는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모드를 웨이크-업 모드로 변경하고, 블루투스 모듈(220)을 ON시켜 사용자 단말(205)과의 페어링을 준비한다.
NFC태그(250)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205)은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모듈(220)과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이 완료되면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205)은 UI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웹서버(203)에 접속한 후 UI 정보를 획득하며, 센싱 정보와 UI 정보를 결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300)에 관한 일 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300)는 네트워크 정보(310)와 UI 정보(32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정보(310)는 센서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로, 센서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간에 블루투스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MAC 주소(311)와 PIN번호(312), 디바이스 식별 정보(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UI 정보(320)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는 UI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UI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름 역할
HTML UI에 필요한 컴포넌트들의 이름과 아이디 등을 정의
CSS UI에 포함되어 있는 컴포넌트들의 외형과 위치 등을 정의
Javascript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UI에 반영하는 역할
실시예에 따라서는, UI 정보(320)에 템플릿 주소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템플릿 주소로부터 템플릿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센싱 정보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습도 센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HTML 소스이다. HTML은 CSS와 Javascript 파일의 위치와 UI 구성에 필요한 요소들을 정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습도 센서 디바이스의 CSS 소스이다. CSS는 UI 구성요소들의 위치나 크기등을 지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습도 센서 디바이스의 Javascript 함수이다. 사용자 단말에서는 해당 함수를 호출하여 온습도계의 바늘을 회전시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에서 MCU(730)와 NFC태그(740)를 확대한 그림이다.
MCU(730)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다, NFC 태그(74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업 모드로 동작한다.
NFC 태그(740)는 사용자 단말이 태그(740)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전력을 생산하고(또는 전달받고), 생산된 전력을 MCU(730)로 보내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킨다.
캐패시터(750)는 NFC 태그(740)의 일단에 연결되어 태그(740)로부터 전달되는 전하를 축적하며, 사용자 단말이 태그(740)를 스캔하지 않았음에도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8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800)은 웹뷰(810), NFC 리더(820), 블루투스 매니저(830) 및 디바이스 매니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800)의 각 모듈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웹뷰(810)는 웹서버 또는 IoT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얻어온 UI를 표시한다.
NFC 리더(820)는 NFC태그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파싱한다. NFC 태그에 포함된 정보 중 네트워크 정보는 블루투스 매니저(830)로 전달되고, UI 정보 및 탬플릿 정보는 디바이스 매니저(840)에 전달되어 사용자 단말(800)에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때 사용될 수 있다.
블루투스 매니저(830)는 NFC 리더(820)로부터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페어링을 시도하며, IoT 센서 디바이스와 페어링이 완료된 후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디바이스 매니저(840)는 UI에서 안드로이드의 내장 디바이스(카메라, 마이크 등)을 사용할 때 호출되며, 자바스크립트에서 안드로이드의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API를 제공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단계 s910에서, 센서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경을 센싱한다.
단계 s920에서, 사용자 단말이 센서 디바이스의 외부에 부착된 태그에 접촉함으로서 발생하는 신호를 태그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s930에서, 단계 s920에서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의 동작 모드를 웨이크-업 모드로 변경한다.
단계 s940에서, 제어부의 동작모드가 웨이크-업 모드로 변경되면 센싱된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센서 디바이스
110 : 센서부
120: 전송부
130: 제어부
140: 수신부
150: 태그
101: 사용자 단말

Claims (5)

  1. 사용자 단말;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근함에 따라 동작하여 외부 장치 또는 환경을 센싱하고 센싱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센서 디바이스; 및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 UI 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센서의 센싱 정보를 전달하는 블루투스 모듈;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ON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을 준비시키는 MCU;
    상기 사용자 단말이 터치됨에 따라 전달받은 전자기파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페어링을 위한 네트워크 정보와 UI 링크 정보를 전송하고, 전자기파 중 나머지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MCU에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NFC 태그; 및
    상기 센서에서 센싱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UI 링크 정보를 이용해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UI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부터 획득하며,
    상기 UI 정보는 UI에 필요한 컴포넌트의 이름과 아이디에 대한 정보, UI에 포함되어 있는 컴포넌트의 외형과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센싱 정보를 UI에 반영하기 위한 정보, 템플릿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통신을 위한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PIN번호,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정보 획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웨이크-업 동작모드로 변경된 후,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ON시키는 센싱 정보 획득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센싱 정보와 상기 UI 정보를 결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센싱 정보 획득 시스템.
  5. (a) 사용자 단말이 NFC 태그가 형성된 센서 디바이스와 터치하는 단계;
    (b) 상기 NFC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NFC 태그가 수신한 전자기파 중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페어링을 위한 네트워크 정보와 UI 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NFC 태그가 수신한 전자기파 중 나머지 일부를 이용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MCU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MCU가 블루투스 모듈을 ON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을 준비시키는 단계;
    (f) 상기 블루투스 모듈이 센서가 실시간으로 센싱한 센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및
    (g)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UI 링크 정보를 이용해 웹서버로 접속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UI 링크 정보에 기반하여 UI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센싱 정보와 상기 UI 정보를 결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I 정보는 UI에 필요한 컴포넌트의 이름과 아이디에 대한 정보, UI에 포함되어 있는 컴포넌트의 외형과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센싱 정보를 UI에 반영하기 위한 정보, 템플릿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센서 디바이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간의 통신을 위한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PIN번호,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정보 획득 시스템에 의한 센싱방법.
KR1020170089746A 2017-02-21 2017-07-14 센싱 방법 및 장치 KR102061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23041 2017-02-21
KR1020170023041 2017-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466A KR20180096466A (ko) 2018-08-29
KR102061166B1 true KR102061166B1 (ko) 2020-02-11

Family

ID=6343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746A KR102061166B1 (ko) 2017-02-21 2017-07-14 센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1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0868A (zh) * 2019-05-28 2019-08-30 高新兴物联科技有限公司 唤醒电路及IoT装置
KR102223430B1 (ko) * 2019-11-20 2021-03-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무선 공유기 네트워크 설정 방법, loT 장치 및 시스템
KR102267492B1 (ko) * 2020-02-14 2021-06-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팜 이미지 획득을 위한 무선 공유기 네트워크 설정 방법, IoT 카메라 및 IoT 시스템
KR102251629B1 (ko) * 2020-12-03 2021-05-13 주식회사 노드톡스 다양한 센서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초저전력 무선 센서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394B1 (ko) * 2009-04-16 2011-09-06 주식회사 휴메이트 안전모 착용 인식 센서모듈 및 그 정상 착용 여부 판단 방법
KR101453975B1 (ko) * 2012-11-28 2014-11-03 김준열 근접장 자기 커플링을 활용한 무배터리 장치 연동 기법
KR102047496B1 (ko) * 2012-12-03 2019-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Ble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KR20150028501A (ko) * 2013-09-06 2015-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466A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166B1 (ko) 센싱 방법 및 장치
US9578446B2 (en) Method as well as system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EP3229409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external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03305B1 (ko)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047899B1 (ko)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동 생성과 이를 이용한 설비 제어시스템
KR20190079917A (ko) 산업용 IoT 기반 설비데이터와 센서데이터 취득 시스템 및 장치
US9331749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program and electric device
KR2016006311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CN104094584A (zh) 通知***以及通知方法
JP6602212B2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90838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meter configuring and data collection
JP6323331B2 (ja) 情報端末、情報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US20150004905A1 (en) Mobile device using information acquired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80067777A (ko) 원격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제어대상 에어컨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39526B1 (ko) 지그비와 rfid를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와그 시스템
CN106162811B (zh) 建立网络连接的方法及装置
CN106101990B (zh) 蓝牙设备搜索方法及装置
CN104637290A (zh) 一种遥控方法与移动终端
JP2016157433A (ja) プラント機器状態収集システム
JP202001792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7069909A (ja) 電気機器の状態通知装置及び電気機器の状態通知システム
JP7041849B2 (ja) 状態収集システム
CN112987597A (zh) Fsu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969031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JP2019029679A (ja) リモコン装置および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