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608B1 - 열에 의한 단선이 가능한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소자 - Google Patents

열에 의한 단선이 가능한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608B1
KR102059608B1 KR1020140159925A KR20140159925A KR102059608B1 KR 102059608 B1 KR102059608 B1 KR 102059608B1 KR 1020140159925 A KR1020140159925 A KR 1020140159925A KR 20140159925 A KR20140159925 A KR 20140159925A KR 102059608 B1 KR102059608 B1 KR 102059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elete delete
electrical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448A (ko
Inventor
이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59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6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63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ball bond
    • H01L2224/48464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ball bond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not on the bonding area also being a ball bond, i.e. ball-to-b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7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wedge bo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7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wedge bond
    • H01L2224/48471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wedge bond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not on the bonding area being a ball bond, i.e. wedge-to-ball, reverse st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945Wire connectors having connecting portions of different types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regular and reverse st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본체; 및 상기 신호를 본체에 전달하도록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와 본체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접속부는 소정의 온도에서 절단되어,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 본체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에 의한 단선이 가능한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소자 {Electrical Element Having Coupling Part Available for Disconnection by Heat}
본 발명은 열에 의한 단선이 가능한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 상승,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며,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원자력,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력저장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사용이 실현화되고 있으며, 그리드(Grid)화를 통한 전력 보조전원 등의 용도로도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어,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각종 가연성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어서, 과충전, 과전류, 기타 물리적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발열,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안전성에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지가 과충전되는 경우에는 전극에서의 전해액 분해반응이 촉진되어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고, 내부 단락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야기된 과전류는 전지의 온도를 상승시켜 전지 구성요소의 분해반응을 유발한다. 이러한 과충전, 과전류 등으로 인해 전지는 발화하기 쉽고 경우에 따라서는 폭발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과전류가 아니더라도 기타의 원인에 의한 온도 상승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유발한다.
따라서, 이차전지에는 과충전, 과전류 등의 비정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안전소자로서 PTC, 퓨즈(Fuse), 바이메탈 등의 다양한 전기 소자들이 전기적 연결 부재에 의해 전지셀에 접속된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그 중, PTC는 과전류 등에 의한 온도 상승시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안전소자이고, 퓨즈는 역시 과전류 등에 의한 온도 상승시 절단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안전소자이다. 또한, 바이메탈은 온도 상승시 열팽창률의 차이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안전소자이다.
이러한 안전소자들은 모두 과전류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는 있지만, 과충전, 과방전 등과 같은 과전압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한다. 이차전지의 과방전은 안전성 문제를 초래하지는 않지만, 음극 재료의 붕괴를 유발하여 전지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차전지의 과전압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보호 집적회로(Protection IC),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와 같은 능동 소자들로 이루어진 보호회로 모듈(PCM)이 이차전지에 추가로 장착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전지팩을 이루는 구성 요소들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팩(100)은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하기 위한 전기 소자들로서, 보호 집적회로(110), 충전 제어용 FET 소자(120), 방전 제어용 FET소자(130) 및 메인 집적회로(14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비정상 상태에서 온도 상승시 용융 절단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퓨즈(160)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의 작동을 설명하면, 전지셀(150)의 전압이 과충전 방지 전압에 도달하면, 보호 집적회로(110)는 충전 제어용 FET 소자(120)를 오프 상태로 전환시켜 전류를 차단한다. 반대로, 전지셀(150)의 전압이 과방전 방지 전압에 도달하면, 보호 집적회로(110)는 방전 제어용 FET 소자(130)를 오프 상태로 전환시켜 전류를 차단한다. 상기 검출전압이 과충전 방지 전압 이하로 떨어지거나 과방전 방지 전압 이상으로 올라가면, 보호 집적회로(110)는 충전 제어용 FET 소자(120) 또는 방전 제어용 FET 소자(130)를 온 상태로의 재전환에 의해 통전시킨다. 과전류의 경우에, 보호 집적회로(110)는 방전 제어용 FET 소자(130)를 오프 상태로 전환시켜 전류를 차단한다. 또한, 전류가 소정값 이상으로 증가하여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퓨즈(160)가 열에 의해 용융 절단되어 차단됨으로써 안전성을 보장하게 된다.
보호 집적회로(110)의 작동 상태는 메인 집적회로(140)에 의해 감시 및 제어된다.
그러나, 이러한 소자들은 이차전지의 비정상 상태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이차전지 내에서 전기 회로의 저항을 시키므로, 이차전지의 발열 및 열화를 유발할 수 있고, 전압의 갑작스러운 저하에 따른 시스템 셧다운(shutdown)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기적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일부 전기 소자의 접속부가 소정의 온도에서 절단되어, 상기 전기 소자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차전지의 과전압, 과전류 등의 비정상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별도의 퓨즈를 설치할 필요 없으므로, 전지 회로 내부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로에서의 발열 및 전력 손실을 최소화해, 전체적인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소자는,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본체; 및
상기 신호를 본체에 전달하도록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와 본체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부;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접속부는 소정의 온도에서 절단되어,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 본체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의 비정상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소자는 전지셀을 비롯하여, 서로간 또는 다양한 부재들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 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전기 소자는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출입하는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본체 및 상기 신호를 본체에 전달하도록 전기적 연결 부재와 본체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접속부는 전기적 연결 부재와 본체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금 또는 구리와 같은 도전성이 있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또는 클립 본딩(clip bonding)에 의해 전기적 연결 부재와 전기 소자의 본체를 연결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소자는 상기 접속부가 소정의 온도에서 절단되어, 상기 전기 소자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키도록, 금 또는 구리가 아닌, 퓨즈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이차전지의 과전압, 과전류 등의 비정상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별도의 퓨즈를 설치할 필요 없으므로, 전지 회로 내부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로에서의 발열 및 전력 손실을 최소화해, 전체적인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소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경우, 과전류로 인한 내부 단락을 유발시키기 위해, 별도의 퓨즈를 포함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전기 소자의 접속부가 본체와 전기적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동시에, 소정의 온도에서 절단되어,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 본체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키기 위한 퓨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또는 클립 본딩(clip bonding)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소자의 접속부는 종래의 전기 소자의 접속부와 동일한 와이어 본딩 또는 클립 본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반면, 종래의 금 또는 구리가 아닌, 퓨즈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소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기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종래의 공정 및 장치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비용 없이, 소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는 섭씨 50도 내지 250도의 범위에서 적어도 일 부위가 용융 절단되는 구조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접속부는 이차전지의 전기 회로 내에서 종래의 퓨즈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기 회로 내에 흐르는 과전류로 인한 발열로 인해, 적어도 일 부위가 용융 절단됨으로써, 상기 회로를 단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가 섭씨 50도 미만의 온도에서 용융 절단되는 경우, 이차전지의 비정상 상태가 아닌, 정상 상태에서 내부 단락을 일으킬 수 있고, 섭씨 250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용융 절단되는 경우, 섭씨 250도 이내에서 발생하는 이차전지의 비정상 상태에서, 확실하게 회로를 단락시킬 수 없으므로, 소망하는 퓨즈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접속부는 퓨즈와 동일한 소재, 또는 이들 소재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로서,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 절단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하게는, 납, 주석, 아연,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차전지의 비정상 상태는 과전압 내지 과전류에 의한 발열 이외에 전압의 갑작스러운 하락과 같이, 이차전지의 온도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차전지의 발열 이외에 온도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 비정상 상태에서도 내부 회로를 단선시킴으로써, 상기 비정상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에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소자의 본체는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부를 절단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는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의 특정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상기 전기 소자의 본체의 외관 또는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기 접속부를 용융 절단시킬 수 있는 온도로 가열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열부를 포함하는 본체 역시 가열되며, 상기 본체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부가 가열부로부터의 열에 의해 적어도 일 부위가 용융 절단됨으로써,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 본체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속부가 용융 절단되는 부위는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 본체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킬 수 있는 부위라면, 그 부위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하게는,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본딩 또는 클립 본딩의 단부이거나, 상기 가열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일 부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열부는 온도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 이차전지의 비정상 상태에서 임의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용융 절단되며, 이에 따라,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 본체를 단선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의 동작은 온도 이외에 이차전지의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에 의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가열부가 작동하도록 구성하기 위해, 보다 복잡한 시스템 내지 구조가 추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소자의 가열부는 상기 온도 이외에 이차전지의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조작자가 직접 고려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조작자가 가열부를 직접 조작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되므로, 자동적으로 가열부가 작동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복잡한 시스템 내지 구조가 필요 없으므로, 전체적인 시스템 내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소자가 상기 가열부를 포함하더라도, 상기 가열부의 별도 작동 없이, 이차전지의 비정상 상태에서 온도 상승에 따른 열에 의해, 상기 접속부가 스스로 용융 절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전기 소자는 상기 소자를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 소자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바, 상기 전지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지셀;
상기 전지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작동 이상 상태를 검사하는 보호 집적회로(Protection IC);
상기 보호 집적회로 및 전기 소자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집적회로(Main IC); 및
상기 전기 소자, 전지셀, 보호 집적회로, 및 메인 집적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기 소자는 전기적 연결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온도에서 절단됨으로써,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 전기 소자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키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지팩은 과전압 또는 과전류에 의한 비정상 상태에서 열화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접속부의 일 부위가 용융 절단됨으로써,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 전기 소자를 전기적으로 단선시켜, 전지팩 내부의 전기 회로에 단락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의 손상 내지 화재를 예방함으로써, 전체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보호 집적회로는 전지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작동 이상 상태를 검사하는 다수의 회로들을 집적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과충전 검출 회로, 과방전 검출 회로, 충전 과전류 검출 회로, 방전 과전류 검출 회로를 집적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소자는 상기 소자를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상기 보호 직접회로의 과충전 검출 회로에 의해 과충전이 검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충전 과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충전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에 오프(OFF)됨으로써 전지셀의 충전을 제어하거나, 상기 과방전 검출 회로에 의해 과방전이 검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방전 과전류 검출 회로에 의해 방전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에 오프됨으로써, 전지셀의 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 소자는 전기절연성의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소자를 포함하여 보호 집적회로, 및 메인 집적회로는 전기적 연결 부재에 의해 전지셀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전지팩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 소자, 보호 집적회로, 및 메인 집적회로는 전기적 연결 부재에 의한 연결 이외에,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이에 따라, 전기절연성의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전지셀의 전극단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예방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기 소자는 전기적 연결 부재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부를 절단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가열부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파워 툴, 웨어러블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 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소자는, 전기적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접속부가 소정의 온도에서 절단되어, 상기 전기 소자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차전지의 과전압, 과전류 등의 비정상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별도의 퓨즈를 설치할 필요 없으므로, 전지 회로 내부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로에서의 발열 및 전력 손실을 최소화해, 전체적인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팩을 이루는 구성 요소들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을 이루는 구성 요소들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소자(200)의 본체(210)는 전기절연성의 프레임(22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전기 소자(200)는 전기적 연결 부재들(231, 232)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본체(210) 및 상기 신호를 본체(210)에 전달하도록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들(231, 232)과 본체(210)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부들(241, 242)을 포함하고 있다.
접속부들(241, 242)은 와이어 본딩(243) 또는 클립 본딩(244)에 의해 본체(210)와 전기적 연결 부재들(231, 232)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접속부들(241, 242)은 종래의 퓨즈와 동일한 소재로서, 납, 주석, 아연,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접속부들(241, 242)은 이차전지의 비정상 상태에서 온도 상승시 열에 의해 용융 절단되어, 전기적 연결 부재들(231, 232)로부터 본체(210)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소자(300)는 본체(310)에 별도의 가열부(350)를 포함하고 있다.
가열부(350)는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연결 부재들(331, 332)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본체(310)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부들(341, 342)의 일 부위를 열에 의해 용융 절단시킴으로써, 전기적 연결 부재들(331, 332)로부터 본체(310)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킨다.
가열부(350)를 포함하더라도, 상기 가열부(350)의 별도 작동 없이, 이차전지의 비정상 상태에서 온도 상승에 따른 열에 의해, 접속부들(341, 342)의 일 부위가 스스로 용융 절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기 소자(300)의 나머지 구조는 도 2의 전기 소자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을 이루는 구성 요소들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지팩(400)은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하기 위한 전기 소자들로서, 보호 집적회로(410), 충전 제어용 FET 소자(420), 방전 제어용 FET소자(430) 및 메인 집적회로(440)를 포함하고 있다.
충전 제어용 FET 소자(420) 및 방전 제어용 FET소자(430) 중 적어도 하나의 FET 소자에는 종래의 퓨즈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100)은, 종래의 전지팩과 달리, 충전 제어용 FET 소자(420) 및 방전 제어용 FET소자(430) 중 적어도 하나의 FET 소자에 포함되어 있는 접속부가 전지팩의 비정상 상태에서, 온도 상승에 따른 열에 의해 일 부위가 절단됨으로써, 상기 FET 소자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퓨즈를 설치할 필요 없으므로, 회로 내부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로에서의 발열 및 전력 손실을 최소화해, 전체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지셀;
    상기 전지셀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는 보호 집적회로(Protection IC);
    상기 전지셀의 충/방전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및 보호 집적회로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집적회로(Main IC);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는,
    상기 전지셀, 보호 집적회로 및 메인 집적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지셀의 전류가 흐르는 전기적 연결부재;
    상기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와 본체 사이에 연결되고,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접속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부는,
    전지셀의 비정상 상태에서 흐르는 과전류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및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의해 본체가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스스로 용융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는 가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부에 의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부의 일 부위를 열에 의해 용융 절단시킴으로서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로부터 상기 본체를 전기적으로 단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8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파워 툴, 웨어러블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 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40159925A 2014-11-17 2014-11-17 열에 의한 단선이 가능한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소자 KR102059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925A KR102059608B1 (ko) 2014-11-17 2014-11-17 열에 의한 단선이 가능한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925A KR102059608B1 (ko) 2014-11-17 2014-11-17 열에 의한 단선이 가능한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448A KR20160058448A (ko) 2016-05-25
KR102059608B1 true KR102059608B1 (ko) 2019-12-26

Family

ID=5611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925A KR102059608B1 (ko) 2014-11-17 2014-11-17 열에 의한 단선이 가능한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6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8920B2 (ja) * 1998-04-02 2005-12-2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池保護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8920B2 (ja) * 1998-04-02 2005-12-2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池保護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448A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4540B2 (ja) 安全性の向上した電池パック
KR101383167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CN102208593B (zh) 二次电池组
CN105264689B (zh) 用于二次电池的电路板和包括该电路板的电池组
CN101091297B (zh) 保护电路以及电池组件
US9444088B2 (en) Overcurrent shut-off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370264B1 (ko) 솔더링 커넥터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180091446A (ko) 배터리팩 및 이에 적용되는 버스바
KR101715695B1 (ko) 배터리 팩 및 이에 적용되는 인터 버스 바
CN101002359A (zh) 一种防止二次电池过度充电的安全器件以及具有该安全器件的二次电池
JP2015202029A (ja) 二次電池用保護装置
KR101738104B1 (ko) 과전류 방지 기능을 갖는 전지 모듈
JP6412152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保護器
US20170077725A1 (en) Battery system with overcharge and/or exhaustive-discharge protection
KR101608694B1 (ko) 2차 전지용 과충전 방지 장치
KR102259215B1 (ko) 배터리 보호 장치
KR20150038990A (ko) 이중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에너지 저장 장치
KR102059608B1 (ko) 열에 의한 단선이 가능한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 소자
KR101787633B1 (ko)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팩
JP2010011574A (ja) 充放電制御回路
JP2015165735A (ja) 電池モジュール
CN220796636U (zh) 一种高压熔断器组合
CN209766594U (zh) 电池组和笔记本电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63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22

Effective date: 201911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