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322B1 -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322B1
KR102058322B1 KR1020190094765A KR20190094765A KR102058322B1 KR 102058322 B1 KR102058322 B1 KR 102058322B1 KR 1020190094765 A KR1020190094765 A KR 1020190094765A KR 20190094765 A KR20190094765 A KR 20190094765A KR 102058322 B1 KR102058322 B1 KR 10205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jewel
shape
region
jewel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형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쥬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쥬에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쥬에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7Special types of ge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5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otatably or pivotably arrange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과제] 대좌와 보석과의 결합에 의한 장신구에 있어서, 보석의 하측 영역을 대좌 표면에 반영하는 것에 의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대좌(2)의 광택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1)과 결합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보석(1)은,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10)의 하측 영역(12)에서 순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는 경사모양, 또는 동일 폭에 의해서 기둥모양을 나타내고 있고, 대좌(2)에 장착되어 있는 지주(3)로부터 분기하고, 또한 상단측에 고리부(41)를 돌출 형성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4)이 보석(1)의 하측 영역(12)을 둘러싼 상태로 보존 유지하고, 상기 고리부(41)에 의해서 보석(1)의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10)의 상측 영역(11)을 유착하거나, 또는 대좌(2)에 보석(1)의 하단 부분(13)을 끼워 넣는 구멍(5)의 내벽과 상기 하단 부분(13)을 납땜재(6)를 거쳐 고착하고 있고, 또한 상기 표면에 있어서, 난반사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흐림을 수반하는 광택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있는 장신구.

Description

장신구{ACCESSORIES}
본 발명은, 표면 및 이면을 가지는 대좌(台座) 중,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의 일부 영역과 보석을 결합하고, 또한 상기 표면이 보석 주위를 둘러싼 상태를 형성하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표면과 이면을 가지는 대좌와 결합하고 있는 보석은, 대부분의 경우,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의 상측 영역은 순차적으로 솟아올라 있는 만곡 형상, 또는 소정의 각도 변화를 수반하는 각형(角型) 형상을 나타내는 한편, 상기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면에 이르는 하측 영역은, 순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는 경사모양 또는 동일 폭에 의한 기둥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하측 영역은, 상측 영역과 유사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는 경우가 많음에도, 대좌와 결합하고 있는 보석에서 장식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은 기본적으로 상측 영역이며, 하측 영역에 대해서는 장식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는 각별한 궁리가 거의 행해져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용기모양을 형성하고, 또한 바닥부에 구멍을 가지는 대좌(5)에 대해, 순차적으로 좁은 폭 상태를 나타내는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보석(8)을, 하단부에서 상기 구멍에 삽입 관통시킨 다음, 또한 대좌(5) 상단의 고리(爪)(6)에 의해서 상기 보석(8)의 상측 영역에서 유착(留着)하고 있다. (제9도 및 1페이지 오른쪽 하측란∼2페이지 왼쪽 상측란의 설명문).
그렇지만,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보석의 바닥면은, 「바닥면은 대좌에 의해서 거의 덮여」있고 (2페이지 왼쪽 상측란 6행∼7행), 보석(8)의 하측 영역은 전혀 장식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원통모양의 귀금속을 소재로 하는 보존유지구(2)에 의한 대좌와 특허문헌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보석(1)을 납땜재(3)를 거쳐 결합하고 있다. (1페이지의 「요약」부분).
그런데 특허문헌 2의 구성은, 보석(1)의 상측 영역에서 상기 보석(1)을 주의해서 살펴보면, 하측 영역은 아무런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또한, 최대폭을 나타내고 있는 가로방향 측에서 보석(1)을 주의해서 살펴 보아도, 하측 영역의 대부분이 보존유지구(2)에 의해서 덮여있어, 장식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특허문헌 3은, 요업 제품 본체(30)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유약층(32)을 도포함과 동시에, 양면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는 대좌와 특허문헌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보석(11)을 유약층(32)의 개재 영역에 끼움 장착하여 결합하고 있다. (1페이지의 요약 부분).
그렇지만,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보석(11)의 하측 영역이 완전히 대좌 내에 끼워 넣어져 있어, 장식 효과를 전혀 발휘하고 있지 않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4-10240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53911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97089호
본 발명은, 대좌의 표면과 보석을 결합하고 있는 장신구에 있어서, 보석의 상측 영역뿐만 아니라, 하측 영역에도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1) 대좌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 중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과 결합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보석은,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면에 이르는 하측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는 경사모양, 또는 동일 폭에 의해서 기둥모양을 형성하고 있고, 대좌의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대좌에 장착되어 있는 지주로부터 분기하고, 또한 상단측에 고리부를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이 보석의 상기 하측 영역을 둘러싼 상태로 보존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고리부에 의해서 보석의 상기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에 대한 상측 영역을 유착하고 있고, 상기 표면에 있어서, 난반사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 흐림(曇, clouding)을 수반하는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장신구,
(2) 대좌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 중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과 결합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보석은,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면에 이르는 하측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는 경사모양, 또는 동일 폭에 의해서 기둥모양을 형성하고 있고, 대좌에 보석의 하단 부분을 끼워 넣는 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구멍의 내벽과 상기 하단 부분을 납땜재를 거쳐 상호 고착(fixing)하고 있고, 상기 표면에 있어서, 난반사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 흐림을 수반하는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장신구
로 이루어진다.
기본 구성(1) 및 (2)에 있어서는, 보석과 결합하고 있는 대좌의 광택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과 결합하고 있고, 그 결과, 상기 광택 표면의 폭이 보석의 최대폭보다도 큰 상태에 있고, 평면에서 보아 상기 표면이 보석 주위를 둘러싸는 상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보석의 하측 영역에 있어서의 경사모양 면 또는 기둥모양 면을 반사한 광이 상기 광택 표면에 재반사하고, 상기 각 면의 형상 및 색채를 반영한 것에 의한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원인으로 해서, 장신구를 상측 방향으로부터 주의해서 살펴 본 경우, 하측 영역에 있어서의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광택 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반짝이는 상태에 난반사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흐림(그늘(陰))이 발생한 광택 상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모양」이란, 표면 형상에 나타나는 선도(線圖), 색채분류(color classification), 또는 바림(shading)이라는 디자인 상의 개념에 입각하고 있다.
게다가, 보석의 최대폭을 나타내고 있는 가로방향 측으로부터 주의해서 살펴 본 경우에도, 보석의 하측 영역의 거의 모두가 지지 프레임에 의해서 보존 유지되어 있거나(기본 구성(1)의 경우), 또는 하단 부분 이외의 하측 영역이 대좌에 있어서의 표면의 상측으로 융기되어 있고(기본 구성(2)의 경우), 보석의 하측 영역의 대부분의 스페이스에 대해,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본 구성(1)의 실시예 1을 도시하고 있고, 지주의 방향을 따른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기본 구성(2)의 실시예 2를 도시하고 있고, 대좌의 표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3a는 기본 구성(1)의 측단면도이고, 도 3b는 기본 구성(2)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대좌의 보석을 둘러싸는 표면에서 규칙적인 기복 형상에 의한 장식 모양을 부가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a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측면도이다.
도 5는 판모양의 대좌를 채용한 다음, 대치하고 있는 보석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표면이 순차적으로 융기하는 만곡 형상을 나타내는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지주가, 대좌에 대해 회동(回動) 자유롭게 하고 있는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로서, 도 6a는 대좌의 이면측 및 표면측에 지주와 끼워 맞추는 와셔를 구비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6b는 상기 와셔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기본 구성(1) 및 (2)에 있어서는,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좌(2)에 있어서,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1)과 결합하고 있고, 그 결과 상기 표면의 폭이 보석(1)의 최대폭보다도 큰 상태에 있고, 평면에서 보아 표면이 보석(1) 주위를 둘러싼 상태를 형성하고 있다.
광택 표면을 가지는 대좌(2)의 소재로서는, 금속, 특히 광택을 발휘하기 쉬운 귀금속, 수정을 포함하는 보석, 나아가서는 표면 연마에 의해서 평활화한 플라스틱, 특히 근래 새로운 소재로서 개발되고 있는 금속광택을 발휘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택을 가지는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1)과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보석(1)의 하측 영역(12)에 반사된 광선은,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연적으로 대좌(2)와 보석(1) 주위를 둘러싸는 표면에 재반사되고, 보석(1)의 하측 영역(12)에 있어서의 경사모양 또는 기둥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각 면도 역시, 대좌(2)의 광택 표면에 반영하는 것에 의한 모양을 형성하고, 사용자는 보석(1)의 상측 영역(11)뿐만 아니라, 하측 영역(12)에 대해서도, 상기 재반사에 의해서, 장식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은, 상기와 마찬가지다(또한, 도 3a는 하측 영역(12)이 기둥모양인 경우를 도시하고, 도 3b는 하측 영역(12)이 경사모양인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표면에서 형성되는 광택이란, 표면이 난반사를 나타내지 않고 반짝이는 상태를 가리키며, 경면 반사와 같이, 전반사 광이 동일 방향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
나아가서는, 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반짝이는 상태에 다소의 흐림(그늘)이 발생했다고 해도, 난반사 상태에 이르지 않은 한, 광택 상태에 변함은 없다.
기본 구성(1)에 있어서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좌(2)에 대해 관통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지주(3)로부터 분기한 지지 프레임(4)에 의해서, 보석(1)의 하측 영역(12)을 보존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 프레임(4)의 상단측에 있어서의 고리부(爪部)(41)에 의해서, 보석(1)의 상단측을 유착하여, 충분히 안정된 보존 유지를 실현하고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4)은, 보존 유지하고 있는 하측 영역(12)에 있어서의 보석(1)으로서의 색채 및 광택을 부분적으로 차폐하고 있지만, 지지 프레임(4) 자체에 특징 있는 형상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서, 이와 같은 차폐를 거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실시예 1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다.
기본 구성(2)에 있어서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좌(2)에 마련한 구멍(5)에 보석(1)의 하단 부분(13)을 끼워넣고, 상기 구멍(5)의 내벽과 상기 하단 부분(13)을, 납땜재(6)를 거쳐 고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납땜재(6)를 거친 고착에 의해서, 기본 구성(2)에 있어서는, 보석(1)의 하측 영역(12) 중 하단 부분(13) 이외의 모든 영역이, 상기 재반사를 원인으로 해서 대좌(2)의 광택면에 반영되게 된다.
도 4a, 도 4b는 기본 구성(1) 및 (2)에 있어서, 대좌(2)의 보석(1)을 둘러싸는 표면에서 규칙적인 기복 형상에 의한 장식 모양(21)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기복 형상에 의한 장식 모양(21)을 규칙적으로 대좌(2)의 표면에 부가하는 것에 의해서, 표면의 일부 영역과 결합하고 있는 보석(1)과의 콘트라스트에 의해서, 장식 효과를 한층 더 조장할 수 있다.
상기 기복 형상에 의한 장식 모양(21)으로서, 표면에 의해서 주위가 둘러싸여 있는 보석(1) 이외에, 기본 구성(1) 및 (2)와 동일한 구성인 보석을 주위에 배열하는 것도 실현할 수 있다.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좌(2)로서는, 판모양, 또는 평면 형상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판모양의 대좌(2)가 결코, 평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모양의 대좌(2) 표면이, 보석(1)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융기하는 만곡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형태를 채용한 경우, 보석(1)의 하측 영역(12)으로부터의 반사광에 대한 재반사와, 융기한 만곡면에 있어서의 추가적인(다른) 반사에 의해서, 중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기본 구성(1) 및 (2)에 있어서, 대좌(2)의 표면 방향의 형상은 원형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상기 형상이 결코,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 별형, 하트형, 원고리형 중 어느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기본 구성(1) 및 (2)에 있어서는, 대좌(2)의 표면에 모양, 즉 선도, 색채분류, 또는 바림 영역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장식 효과를 더욱 조장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표면에 부가한 모양에 대해서는, 광택면에 대한 재반사에 의해서 형성되는 모양과의 조화를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 구성(1) 및 (2)에 있어서는, 대좌(2)의 소재로서, 보석 또는 플라스틱을 선택한 다음, 대좌(2)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을 투명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 상태의 형성에 의해서, 광택면으로의 재반사에 의한 모양이, 표면으로부터 이면에 이르는 입체적인 인상을 주어,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일부 영역을 투명 상태로 한 경우, 투명 상태에 대해 소정의 형상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형상 자체에 의한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a, 도 6b는 기본 구성(1)에 있어서, 대좌(2)를 관통하고 있는 지주(3)가, 대좌(2)에 회동 자유롭게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통상, 지주(3)는 장착구멍(22)을 관통한 다음, 대좌(2)의 뒤쪽면(裏側面)에 구비하고 있는 돌출 형성 단부(31)를,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 상기 뒤쪽면에 고착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반해,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지주(3)의 지름을 장착구멍(22)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설정한 다음, 상기 돌출 형성 단부(31)를 상기 뒤쪽면에 대해 고착하지 않고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서, 회동자유로운 상태를 실현하고 있다.
도 6a는, 대좌(2)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지주(3)와 끼워 맞추는 와셔를 구비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6b는 상기 와셔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좌(2)에 보존 유지된 보석(1)이, 외부로부터의 영향에 의해서 회동하고, 대좌(2)의 광택 표면에 반영되는 하측 영역(12)의 형상 및 색채에 기초한 모양의 다이나믹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보석(1)의 하측 영역(12)이, 소정의 각뿔, 또는 각뿔대(角錐台) 형상, 또는 각기둥인 경우에는, 하측 영역(12)에 있어서의 반사광의 방향이 변화하여, 상기 다이나믹한 장식 효과를 한층 더 조장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구성(1)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4)의 하측은 넓은 폭이고, 상측이 좁은 폭인 하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하트형의 지지 프레임(4)의 채용에 의해서,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지지 프레임(4) 자체에 의한 장식 효과, 나아가서는, 상기 하트형에 의한 대좌(2)의 면에 반영한 모양에 기초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구성(2)에 있어서, 보석(1)의 하단 부분(13)을 고착하는 구멍(5)에 있어서, 납땜재(6) 유입용의 틈새(51)를 구멍(5)의 내벽으로부터 방사모양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2의 경우에는, 납땜재(6)를 미리 구멍(5)에 유입시키고, 또한 보석(1)의 하단 부분(13)이 구멍(5)에 끼워 넣어진 경우에는, 납땜재(6)는, 그 상당 부분이 상기 방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틈새(51) 부분으로 유입하는 한편, 유입하지 않고 구멍(5) 내에 잔류하고 있는 납땜재(6)가, 보석(1)의 하단 부분(13)과 내벽 사이에 개재하는 것에 의해서, 얇은 두께 상태의 납땜재(6)에 의해 구멍(5)과 보석(1)의 하단 부분(13)의 견고한 고착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와 같이, 기본 구성(1) 및 (2)에 입각하고 있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석의 하측 영역을 대좌의 광택 표면에 반영시킨 모양의 형성에 의해서, 종래 기술의 경우와는 질이 다른(異質) 장식 효과를 발휘하고 있으며, 그 이용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다.
1: 보석
10: 보석의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
11: 보석의 상측 영역
12: 보석의 하측 영역
13: 보석의 하단 부분
2: 대좌
21: 기복 형상에 의한 장식 모양
22: 장착구멍
3: 지주
31: 돌출 형성 단부
4: 지지 프레임
41: 지지 프레임의 고리부
5: 대좌에 있어서의 구멍
51: 방사모양으로 마련한 틈새
6: 납땜재

Claims (12)

  1. 대좌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 중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과 결합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보석은,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면에 이르는 하측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는 경사모양, 또는 동일 폭에 의해서 기둥모양을 형성하고 있고, 대좌의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관통한 상태로 대좌에 장착되어 있는 지주로부터 분기하고, 또한 상단측에 고리부를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는 지지 프레임이 보석의 상기 하측 영역을 둘러싼 상태로 보존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고리부에 의해서 보석의 상기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에 대한 상측 영역을 유착(留着)하고 있고, 상기 표면에서, 난반사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흐림(曇, clouding)을 수반하는 광택을 형성하는 장신구.
  2. 대좌에 있어서의 표면 및 이면 중 광택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의 영역 내에서 보석과 결합하고 있는 장신구로서, 보석은, 최대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면에 이르는 하측 영역에서 순차적으로 좁은 폭으로 되는 경사모양, 또는 동일 폭에 의해서 기둥모양을 형성하고 있고, 대좌에 보석의 하단 부분을 끼워 넣는 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구멍의 내벽과 상기 하단 부분을 납땜재를 거쳐 상호 고착(fixing)하고 있고, 상기 표면에서, 난반사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미소한 요철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흐림을 수반하는 광택을 형성하는 장신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좌가 금속, 보석, 플라스틱의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좌의 보석을 둘러싸는 표면에서 규칙적인 기복 형상에 의한 장식 모양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좌가 판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6. 제 5 항에 있어서,
    판모양 대좌의 표면이, 보석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융기하는 만곡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좌의 표면측 형상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별형, 하트형, 원고리형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대좌의 표면에 모양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석 또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는 대좌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이 투명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주가, 대좌에 대해 회동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은, 하측이 넓은 폭이고, 상측이 좁은 폭인 하트형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석의 하단 부분을 고착하는 구멍에서, 납땜재 유입용의 틈새를 상기 구멍의 내벽으로부터 방사모양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KR1020190094765A 2019-02-18 2019-08-05 장신구 KR102058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26746 2019-02-18
JP2019026746A JP6548846B1 (ja) 2019-02-18 2019-02-18 装身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322B1 true KR102058322B1 (ko) 2019-12-20

Family

ID=6739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765A KR102058322B1 (ko) 2019-02-18 2019-08-05 장신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48846B1 (ko)
KR (1) KR102058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56906A (zh) 2020-07-31 2023-05-02 富士胶片株式会社 机上显影型平版印刷版原版、平版印刷版的制作方法及平版印刷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8917A (ja) 2011-12-07 2013-06-17 Keiko Murakami 装飾台座
KR101971171B1 (ko) 2019-01-10 2019-04-22 최정호 장식보석의 심미감이 개선된 난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8917A (ja) 2011-12-07 2013-06-17 Keiko Murakami 装飾台座
KR101971171B1 (ko) 2019-01-10 2019-04-22 최정호 장식보석의 심미감이 개선된 난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48846B1 (ja) 2019-07-24
JP2020130529A (ja)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7651B2 (ja) 時計部品、及びこのような時計部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20090235689A1 (en) Gemstone jewelry with enhanced appearance
US20110056242A1 (en) Visible setting
US20140075990A1 (en) Shape Memory Alloy Mounting Collet With Grooved Gemstone
KR102058322B1 (ko) 장신구
JP6663980B2 (ja) ダイアモンドを切削し組み立てて輝き及び色合いを高めた複合ダイアモンドを形成する工程
US20140102140A1 (en) Multi-gemstone mounting that creates illusion of a single large gemstone
US8359883B2 (en) Gemstone setting
JP2012161564A (ja) 装身具
US20060086143A1 (en) Round cut gemstone
CN216147385U (zh) 首饰
US20100242540A1 (en) Gemstone having a mirror-coated front
CN1167368C (zh) 饰石
US20170311686A1 (en) Brilliant Cut Gemstone Cluster
CN210809577U (zh) 一种内镶细宝石的车花片宝石座及其戒指
KR101905545B1 (ko) 복층 난집 구조를 가지는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2951B1 (ko) 장신구
KR200425708Y1 (ko) 장신구용 보석 고정부재
JP2024529164A (ja) 宝飾品類
JP2007167395A (ja) 宝石の支持構造
CN118401140A (en) Jewelry article
JP2007037653A (ja) 宝飾品および宝飾用宝石の取付方法
GB2315982A (en) Gemstone mounting
JPH073929Y2 (ja) 二重宝石
KR20230057531A (ko) 금속제품에 단결정 다이아몬드를 장식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