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470B1 -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470B1
KR102056470B1 KR1020170145714A KR20170145714A KR102056470B1 KR 102056470 B1 KR102056470 B1 KR 102056470B1 KR 1020170145714 A KR1020170145714 A KR 1020170145714A KR 20170145714 A KR20170145714 A KR 20170145714A KR 102056470 B1 KR102056470 B1 KR 10205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ventilation
temperatur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879A (ko
Inventor
김송이
조동우
채창우
조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옴니벤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옴니벤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옴니벤트
Priority to KR1020170145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4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8Monitoring;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실내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유출하는 다기능 환기 유닛과, 상기 복수의 공간마다 설치되어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연결되며 전동으로 개도율의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급기 디퓨저와, 상기 복수의 공간마다 설치되어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연결된 복수의 흡기구와,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상기 복수의 급기 디퓨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내장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콘용 센서를 통해 현재 위치에서의 온도, 복사 온도, 습도, 공기질, 및 조도(照度)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한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 환경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제어 장치에 전달하는 스마트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에는 실내 온도 조절기, 조명 스위치, 및 환기 조절기 등의 각종 조절기가 거실 및 방의 내벽체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택의 내벽체에 매립 설치된 실내 온도 조절기의 온도 센서가 측정한 실내 온도를 기준으로 실내 바닥 내부의 콘크리트에 매설된 온수관을 따라 이동하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난방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내벽체는 콘크리트 등의 축열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므로, 온도 변화에 느리게 반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 온도 조절기의 온도 센서가 내벽체에 매립 설치되어 실내 온도를 측정하게 되면, 실내의 사용자가 체감하는 온도와 내벽체에 매립 설치된 온도 센서가 측정한 온도간에 큰 차이가 나타난다. 실내에 머물고 있는 사용자는 실내 공기 온도 및 주변 복사 온도에 의해 열적 체감을 느끼게 됨에도 불구하고, 난방 또는 냉방 조절을 하는 실내 온도 조절기는 체감 온도가 아닌 내벽체 부근의 온도를 측정하여 난방 또는 냉방을 제어하므로, 실내 온도 조절기에 아무리 정밀한 온도 센서가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희망하는 온도로 실내 공기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난방 또는 냉방 제어의 효율성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겨울철에 일사의 실내 유입이 증가하여 실내 온도가 올라가거나 여름철에 일사의 실내 유입이 감소하여 실내 온도가 내려가는 상황임에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난방 또는 냉방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실내가 불필요하게 난방되거나 냉방이 이루어져 에너지가 낭비되는 현상도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실내의 공기질을 조절하기 위한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환기 조절기에 의해 모든 방에 환기가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머물지 않는 공간에도 불필요하게 환기가 수행되어 에너지가 낭비된다.
또한,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근래 급증하고 있는 미세먼지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며, 사용자는 국부적인 공간에 설치된 공기 청정기에 의존하므로, 공기 청정기 부근의 미세먼지만 제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기 청정기와 환기 시스템이 분리됨에 따라, 설치 공간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설치 비용 및 운영 비용이 발생된다. 그리고 환기 시스템과 별도로 마련된 공기 청정기를 동시에 가동할 경우, 공기 청정기의 효율이 저하된다. 반면, 지나치게 공기 청정기에만 의존하는 경우, 실내 공기의 환기는 미흡한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실내 환경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제어 효율을 향상시킨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낭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실내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유출하는 다기능 환기 유닛과, 상기 복수의 공간마다 설치되어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연결되며 전동으로 개도율의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급기 디퓨저와, 상기 복수의 공간마다 설치되어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연결된 복수의 흡기구와,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상기 복수의 급기 디퓨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내장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콘용 센서를 통해 현재 위치에서의 온도, 복사 온도, 습도, 공기질, 및 조도(照度)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한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 환경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제어 장치에 전달하는 스마트콘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콘을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온도, 습도, 및 공기질의 수준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환경 정보가 상기 스마트콘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환경 정보를 추종하도록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급기 디퓨저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흡기구도 전동으로 개도율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환경 정보와 상기 스마트콘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흡기구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을 평가하는 요소는 평균 복사 온도(MRT), 상대 습도(RH), 이산화탄소(CO2), 유기화합물(VOC), 초미세먼지(PM 2.5), 및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은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상기 복수의 급기 디퓨저를 연결하는 급기 덕트와,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상기 복수의 흡기구를 연결하는 배기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은 실외 공기의 온도, 습도, 공기질, 및 실외 조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환기 유닛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은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실외로 유출되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와, 공기에 함유된 각종 유해 물질을 여과하는 종합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을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 쾌속 정화 환기 모드, 쾌속 청정 환기 모드, 실내 순환 정화 모드, 및 열교환기 해빙 모드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구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및 상기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는 실내에서 난방 또는 냉방이 수행 중인 경우 선택되며, 실외로 유출되는 실내 공기와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는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오염되거나 상대적으로 소풍량으로 환기하고자 할 경우 선택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종합 필터부를 거쳐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는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청정하거나 상대적으로 대풍량으로 환기하고자 할 경우 선택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종합 필터부를 우회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쾌속 청정 환기 모드는 실내 공기의 온도가 실외 공기 온도 보다 높고 사용자의 희망 온도보다도 높으며,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청정하거나 상대적으로 대풍량으로 환기하거나 실내 공기가 크게 오염되어 긴급 환기가 필요한 경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쾌속 청정 환기 모드에서는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종합 필터부를 우회시켜 상기 복수의 모드들 중 상대적으로 환기 풍량이 가장 높을 수 있다.
상기 쾌속 정화 환기 모드는 실내 공기의 온도가 실외 공기 온도 보다 높고 사용자의 희망 온도보다도 높지만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오염된 상태이거나 상대적으로 소풍량으로 환기하고자 할 경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쾌속 정화 환기 모드에서는 상기 열교환기를 우회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유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지만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종합 필터부를 거쳐 이동하므로 상기 쾌속 청정 환기 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환기 풍량이 낮을 수 있다.
상기 실내 순환 정화 모드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고자 할 때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 순환 정화 모드에서는 실내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종합 필터부를 거쳐 다시 실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해빙 모드는 상기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또는 상기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로 동작 중에 실내의 공기가 배기되는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면의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미만이 되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콘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강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콘은 현재 위치에서의 실내 온도, 습도, 기류 속도, 복사 온도, 및 사용자의 착의 상태를 고려하여 열적 쾌적성을 나타낸 예측 평균 온열감(Predicted Mean Vote, PMV) 지표 또는 온도 및 습도를 고려한 불쾌 지수 지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공간마다 독립적으로 난방이 가능한 난방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콘을 통해 사용자가 희망 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온도가 상기 스마트콘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온도를 추종하도록 상기 난방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난방 장치의 가동 중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복사 온도의 상승 기울기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간 중에서 상기 스마트콘이 위치한 공간의 난방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에서는 상기 복수의 공간에 마련된 창문에 전동 블라인드가 설치되거나 상기 창문이 일렉트로크로매틱 글래스(Electro-Chromatic Glass)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콘을 통해 사용자가 희망 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온도가 상기 스마트콘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온도를 추종하도록 상기 전동 블라인드를 제어하거나 상기 창문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된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콘을 통해 사용자가 실내의 희망 조도(照度)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조도가 상기 스마트콘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조도를 추종하도록 상기 전동 블라인드를 제어하거나 상기 창문의 투과율을 조절하거나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복사 온도의 상승 기울기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간 중에서 상기 스마트콘이 위치한 공간의 상기 창문에 설치된 상기 전동 블라인드를 제어하거나 상기 창문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일사열을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에서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복사 온도, 이산화탄소(CO2), 유기화합물(VOC) 중 하나 이상의 지표가 기설정된 특정 수준 이상이거나 가파르게 상승하는 기울기를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콘은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실내 환경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제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은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낭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콘의 조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의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기능 환기 유닛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세부 구성도들이다.
도 11은 도 3의 다기능 환기 유닛에 사용된 열교환기의 일 태양(態樣)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3의 다기능 환기 유닛이 열교환기 해빙 모드로 전환되는 시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들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1)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1)은 복수의 공간(200)으로 구획된 실내의 환경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1)은 다기능 환기 유닛(301), 급기 디퓨저(510), 흡기구(520), 제어 장치(400), 및 스마트콘(7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101)은 급기 덕트(610) 및 배기 덕트(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기능 환기 유닛(301)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유출한다. 또한, 다기능 환기 유닛(301)은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기능 환기 유닛(301)은 열교환기(350)와 종합 필터부(360)를 포함한다. 또한, 다기능 환기 유닛(301)은 하나 이상의 환기 유닛용 센서(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350)는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실외로 유출되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종합 필터부(360)는 공기에 함유된 각종 유해 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종합 필터부(360)는 실내 공기의 공기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각종 필터를 내장할 수 있다. 환기 유닛용 센서(322)는 다기능 환기 유닛(301)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실외 공기의 온도, 습도, 공기질, 및 실외 조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질을 평가하는 요소는 평균 복사 온도(MRT), 상대 습도(RH), 이산화탄소(CO2), 유기화합물(VOC), 초미세먼지(PM 2.5), 및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종합 필터부(360)는 최소한 유기화합물(VOC), 초미세먼지(PM 2.5), 및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중 하나 이상을 여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급기 디퓨저(510)는 복수의 공간(200)마다 각각 설치되어 다기능 환기 유닛(301)과 연결되며 전동으로 개도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즉, 급기 디퓨저(510)는 복수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급기 디퓨저(510)는 후술할 제어 장치(400)의 제어를 받아 개도율이 조절되며 급기 디퓨저(510)가 설치된 공간에 토출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선형적 또는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흡기구(520)는 복수의 공간(200)마다 각각 설치되어 다기능 환기 유닛(301)과 연결된다. 즉, 흡기구(520)도 복수개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흡기구(520)도 전동으로 개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흡기구(520)는 후술할 제어 장치(400)의 제어를 받아 개도율이 조절되며, 흡기구(520)가 설치된 공간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을 선형적 또는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급기 덕트(610)는 다기능 환기 유닛(301)과 복수의 급기 디퓨저(51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다기능 환기 유닛(301)으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급기 덕트(610)를 따라 이동하여 급기 디퓨저(51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배기 덕트(620)는 다기능 환기 유닛(301)과 복수의 흡기구(52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흡기구(520)를 통해 흡입된 실내 공기는 배기 덕트(620)를 따라 이동하여 다기능 환기 유닛(301)을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 장치(400)는 다기능 환기 유닛(301)과, 복수의 급기 디퓨저(5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경우에 따라 흡기구(5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스마트콘(700)은 복수의 공간들(20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내장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콘용 센서(770)를 통해 현재 위치에서의 온도, 복사 온도, 습도, 공기질, 및 조도(照度)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한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 환경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제어 장치(400)에 전달한다. 즉, 스마트콘(700)은 제어 장치(400)가 다기능 환기 유닛(301) 및 급기 디퓨저(51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명령을 제어 장치(4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콘(700)을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온도, 습도 및 공기질의 수준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하면, 제어 장치(400)는 스마트콘(700)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환경 정보가 스마트콘(700)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환경 정보를 추종하도록 다기능 환기 유닛(301)을 제어하고 복수의 급기 디퓨저(510)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흡기구(520)가 전동으로 개도율의 조절이 가능한 경우, 제어 장치(400)는 스마트콘(700)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환경 정보와 스마트콘(700)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환경 정보에 따라 복수의 흡기구(520)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스마트콘(700)에 마련된 조작부(750)를 일례로 나타낸다. 사용자는 스마트콘(700)의 조작부(750)를 통해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희망하는 환경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스마트콘(700)으로부터 전달받은 실내 환경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 환경 정보에 따라, 다기능 환기 유닛(301)을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 쾌속 정화 환기 모드, 쾌속 청정 환기 모드, 실내 순환 정화 모드, 및 열교환기 해빙 모드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구분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복수의 모드 중 선택된 모드로 구분 동작하기 위하여 다기능 환기 유닛(301)은 열교환기(350)와 종합 필터부(360), 그리고 하나 이상의 환기 유닛용 센서(322) 이외에, 케이싱(390), 제1 바이패스 유로(311), 제2 바이패스 유로(312), 제1 바이패스 댐퍼(341), 제2 바이패스 댐퍼(342), 제1 환기 댐퍼(331), 제2 환기 댐퍼(332), 종합 필터부(360), 필터 우회 유로(316), 절환 댐퍼(370), 급기팬(381), 배기팬(382), 온도 센서(357), 배수판(358), 배수관(359), 프리 필터(365, 366), 및 격벽부(3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390)은 실외와 연결되는 제1 외기구(391) 및 제2 외기구(392) 그리고 실내와 연결되는 제1 내기구(393) 및 제2 내기구(394)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싱(390)은 아연 도금 강판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결로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내부를 보온시키고, 내부 및 외부 누기율이 3% 이하가 되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케이싱(39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350)와 종합 필터부(360)가 배치된다. 환기 유닛용 센서(322)는 케이싱(390)의 제2 외기구(392)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기 유닛용 센서(322)는 실외의 환경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50)는 케이싱(390) 내 배치되어 실내로 유입될 실외 공기와 실외로 유출될 실내 공기를 서로 열교환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열교환기(35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세정식으로 85% 정도의 열교환율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교환기(350)는 공기가 유출입되는 네 측면을 갖는다. 열교환기(350)의 네 측면 중에서, 제1 측면(351)은 제1 외기구(391)를 향하고, 제2 측면(352)은 제2 외기구(392)를 향하며, 제3 측면(353)은 제1 내기구(393)를 향하고, 제4 측면(354)은 제2 내기구(394)를 향한다. 그리고 제1 측면(351)은 제3 측면(353)과 연결되고 제2 측면(352)은 제4 측면(354)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측면(351)과 제3 측면(353)을 통과하는 공기와 제2 측면(352)과 제4 측면(354)을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기(350) 내부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열교환기(350)는 케이싱(390)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공기 저항을 갖는다.
격벽부(395)는 케이싱(390) 내부에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공기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격벽부(395)는 제1 외기구(391)와 제2 외기구(392) 사이의 케이싱(390)에서 열교환기(350)까지 형성되거나, 제1 내기구(393)와 제2 내기구(394) 사이의 케이싱(390)에서 열교환기(350)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격벽부(395)는 전술한 양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3에서는, 격벽부(395)가 열교환기(350)의 제3 측면(353) 및 제4 측면(354)의 경계로부터 제1 내기구(393) 및 제2 내기구(394) 사이의 케이싱(390)까지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환기 댐퍼(331)는 제1 외기구(391)를 개폐하고, 제2 환기 댐퍼(332)는 제2 외기구(392)를 개폐한다. 일례로, 제1 환기 댐퍼(331)와 제2 환기 댐퍼(332)는 원형으로 동기식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 유로(311)는 열교환기(350)와 케이싱(390)의 일측 내벽 사이에 마련된다. 제1 바이패스 유로(311)는 열교환기(350)를 우회하여 제1 외기구(391)와 제1 내기구(393)를 연결한다.
제2 바이패스 유로(312)는 열교환기(350)와 케이싱(390)의 타측 내벽 사이에 마련된다. 제2 바이패스 유로(312)는 열교환기(350)를 우회하여 제2 외기구(392)와 제2 내기구(394)를 연결한다.
제1 바이패스 댐퍼(341)는 제1 바이패스 유로(311)를 개폐하고, 제2 바이패스 댐퍼(342)는 제2 바이패스 유로(312)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바이패스 댐퍼(341)는 열교환기(350)의 제1 측면(351)과 제3 측면(353)의 경계와 케이싱(390) 사이의 공간을 개폐한다. 즉, 제1 바이패스 댐퍼(341)가 열교환기(350)의 제1 측면(351)과 제3 측면(353)의 경계와 케이싱(39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 공기는 해당 공간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제2 바이패스 댐퍼(342)는 열교환기(350)의 제2 측면(352)과 제4 측면(354)의 경계와 케이싱(390) 사이의 공간을 개폐한다. 즉, 제2 바이패스 댐퍼(342)가 열교환기(350)의 제2 측면(352)과 제4 측면(354)의 경계와 케이싱(39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 공기는 해당 공간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일례로, 제1 바이패스 댐퍼(341)와 제2 바이패스 댐퍼(342)는 원형으로 동기식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종합 필터부(360)는 제1 바이패스 유로(311) 및 열교환기(350)와 제1 내기구(393) 사이의 일영역에 마련된다. 종합 필터부(360)는 공기에 함유된 각종 유해 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종합 필터부(360)는 실내 공기의 공기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각종 필터를 내장할 수 있다. 일례로, 종합 필터부(360)는 세정식 프리 필터, 미세분진 필터, 탈취 필터, 제균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합 필터부(360)는 일정 기간 사용되면 유지 보수가 요구된다. 즉, 종합 필터부(360)에 내장된 필터를 교체하거나 세척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필터는 실외 공기의 질이나 필터의 오염 정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주기로 교체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필터가 급속히 오염되어 제 성능을 내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계속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진의 실내 유입, 환기 효율 저하, 및 급기팬(393)의 소비 전류 증가 등의 여러 문제점들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아직 필터를 교체할 필요가 없음에도 교체하는 일도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어 장치(400)가 종합 필터부(360)의 교체 시점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급기팬(393)의 회전수 및 소비 전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종합 필터부(360)에 내장된 필터의 오염 정도를 추정하고 필터의 교체 시점을 판단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필터가 오염되어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저항이 증가되면, 즉 정압이 커지면 급기팬(393)의 소비 전류량이 감소되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필터의 교체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종합 필터부(360)에 내장된 필터가 교체해야 할 정도로 오염이 된 상태일 때의 급기팬(393)의 회전수와 소비 전류량을 교체 기준으로 정하고, 측정된 급기팬(393)의 회전수 및 소비 전류량이 전술한 교체 기준에 도달하면, 제어 장치(400)는 필터 교체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종합 필터부(360)에 내장된 주요 필터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해 오염되지 않은 초기 필터 상태에서 급기팬(393)의 회전수(N■)와 소비 전류량(A■)에서 현재 측정된 급기팬(393)의 회전수(N₁)와 소비 전류량(A₁)을 뺀 값이 일정 범위를 넘어서면 필터 교체 시점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오염되지 않은 초기 필터 상태에서 급기팬(393)의 소비 전류량과 교체 기준이 되는 급기팬(393)의 소비 전류량은 다기능 환기 유닛(301)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필터의 오염에 따른 정압 손실 증감에 따라 소비 전류량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필터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필터의 오염 정도가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서도 급기팬(393)의 전류량이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교체 시점이 아님에도 제어 장치(400)가 필터 교체 시점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필터 교체 시점의 판단에 대한 정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한 주기로 다기능 환기 유닛(301)의 모든 구성을 동일한 조건에서 가동하여 필터 교체 시점을 판단하게 된다. 이에, 다른 변수에 의해 필터 교체 시점의 판단이 부정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일정한 주기는 1일 1회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필터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모드 이외에 모드로 다기능 환기 유닛(301)이 동작할 경우에는 급기팬(393)의 소비 전류량이 필터 교체 기준에 도달하더라도 이를 필터 교체 시점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즉, 일정한 주기로 필터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정된 모드로 다기능 환기 유닛(301)이 동작하면서 급기팬(393)의 소비 전류량을 측정한 경우에만 측정된 소비 전류량이 교체 기준에 도달하면 제어 장치(400)는 필터 교체 신호를 스마트콘(7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필터 우회 유로(316)는 종합 필터부(360)를 우회하여 제1 내기구(393)와 연결되고, 절환 댐퍼(370)는 필터 우회 유로(316)를 개폐한다. 따라서, 절환 댐퍼(370)가 열리면, 종합 필터부(360)는 공기 저항이 상대적으로 강하므로, 공기는 필터 우회 유로(316)를 통해 제1 내기구(393)로 향하게 된다. 반대로 절환 댐퍼(370)가 닫히면, 공기를 종합 필터부(360)를 거쳐 제1 내기구(393)로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환 댐퍼(370)는 제1 내기구(393)로 향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절환 댐퍼(37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제1 내기구(393)로 향하는 공기는 선택적으로 종합 필터부(360)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을 수 있다. 공기가 종합 필터부(360)를 거쳐 이동할 경우 공기질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나, 배압(背壓)이 상승하여 공기의 이동 속도가 저하된다. 이와 같이, 다기능 환기 유닛(301) 내부의 정압이 상승하면 급기팬(381)과 배기팬(382)의 부하가 증가하여 에너지가 더 소모될 뿐만 아니라 소음도 증가된다. 반면, 공기가 종합 필터부(360)를 거치지 않고 이동할 경우 공기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종합 필터부(360)를 우회하여 공기를 이동시킴으로써 급속 환기가 가능하다.
프리 필터(365)는 열교환기(350)의 제2 측면(352)과 제4 측면(354)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프리 필터(365)는 열교환기(350)에 공기가 유입되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프리 필터(365)는 필터 우회 유로(316)에도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프리 필터(365, 366)는 분리해서 세척이 가능하며 털, 보푸라기, 머리카락, 큰 먼지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프리 필터(365, 366)로는 다기능 환기 유닛(301)의 내부에서 정압을 상승시키지 않는 수준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리 필터(365, 366)는 물세척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프리 필터(365, 366)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며, 생략될 수도 있다.
급기팬(381)은 제1 내기구(393)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 내기구(393)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공급한다. 배기팬(382)은 제2 내기구(394)에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2 내기구(394)를 통해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급기팬(381)과 배기팬(382)의 설치 위치는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일례로, 급기팬(381)과 배기팬은 양흡입식 시로코팬일 수 있다.
온도 센서(357)는 제1 외기구(391)와 대향하는 열교환기(350)의 일측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온도 센서(357)는 열교환기(350)의 결빙 시점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스마트콘(700)으로부터 전달받은 실내 환경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 환경 정보, 그리고 실외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제1 바이패스 댐퍼(341), 제2 바이패스 댐퍼(342), 제1 환기 댐퍼(331), 제2 환기 댐퍼(332), 절환 댐퍼(370), 급기팬(381), 및 배기팬(38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1)에 사용되는 다기능 환기 유닛(301)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살펴본다.
복수의 모드 중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는 실내에서 난방 또는 냉방이 수행 중인 경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는 실내에서 난방 또는 냉방이 수행 중이면서 동시에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오염된 상태이거나 상대적으로 소풍량으로 환기하고자 할 경우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소풍량 환기라 함은 후술할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보다 환기 풍량이 적은 경우 또는 시간당 환기 회수가 적은 경우를 의미한다. 일례로,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에서 환기 회수는 시간당 0.5회 이하일 수 있다.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에서는 실외로 유출되는 실내 공기와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열교환기(350)에서 열교환시키고,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종합 필터부(360)를 거쳐 이동시키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400)는 제1 환기 댐퍼(331)와 제2 환기 댐퍼(332)를 열고, 제1 바이패스 댐퍼(341)와 제2 바이패스 댐퍼(342) 그리고 절환 댐퍼(370)를 닫는다. 또한, 제어부(400)는 급기팬(381)과 배기팬(382)을 모두 가동시킨다. 그러면, 제2 내기구(394)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350)를 거쳐 제1 외기구(39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제2 외기구(392)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열교환기(350)를 거쳐 제1 내기구(393)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열교환기(350)에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도 3에서 점선으로 표기한 화살표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는 가장 일반적인 표준 환기 방식으로 난방 또는 냉방 시 환기 운전할 경우 배기로 배출되는 열에너지를 80% 이상 회수하여 급기를 통하여 실내에 재공급하며 환기하는 에너지 절약형 환기 운전 방식이다. 또한, 외기 전열 환기 모드는 실내의 공기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선택되어 시간 당 0.5회의 소풍량 환기가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모드 중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도 실내에서 난방 또는 냉방이 수행 중인 경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는 실내에서 난방 또는 냉방이 수행 중이면서 동시에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청정한 상태이거나 상대적으로 대풍량으로 환기하고자 할 경우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대풍량 환기라 함은 전술한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보다 환기 풍량이 큰 경우 또는 시간당 환기 회수가 많은 경우를 의미한다.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에서는 실외로 유출되는 실내 공기와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열교환기(350)에서 열교환시키고,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종합 필터부(360)를 우회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400)는 제1 환기 댐퍼(331)와 제2 환기 댐퍼(332) 그리고 절환 댐퍼(370)를 열고 제1 바이패스 댐퍼(341)와 제2 바이패스 댐퍼(342)를 닫는다. 또한, 제어부(400)는 급기팬(381)과 배기팬(382)을 모두 가동시킨다. 그러면, 제2 내기구(394)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350)를 거쳐 제1 외기구(39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제2 외기구(392)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열교환기(350)를 거쳐 제1 내기구(393)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이때, 제1 내기구(393)로 향하는 공기는 종합 필터부(360)를 우회하여 필터 우회 유로(316)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절환 댐퍼(370)가 열리면 종합 필터부(360)가 갖는 공기 저항으로 인하여 공기는 종합 필터부(360)를 거치지 않고 필터 우회 유로(316)를 따라 제1 내기구(393)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열교환기(350)에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도 4에서 점선으로 표기한 화살표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는 실외 공기가 청정하여 정화시킬 필요가 없을 때 효과적인 운전 방식이다.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종합 필터부를 거치지 않으므로, 공기 저항이 감소하여 급기팬의 부하와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보다 상대적으로 대풍량의 환기가 가능하다.
복수의 모드 중 쾌속 청정 환기 모드는 실내 공기의 온도가 실외 공기 온도 보다 높고 사용자의 희망 온도보다도 높은 경우 선택될 수 있다. 즉, 쾌속 청정 환기 모드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간의 열교환이 필요 없을 때 효과적인 환기 운전 방식이다. 또한, 쾌속 청정 환기 모드는 봄, 가을과 같은 환절기에 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희망하는 온도가 현재의 실내 온도보다 실외 온도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울 때 유용하다. 여기서, 쾌속 청정 환기 모드가 선택되는 기준이 되는 환절기는 실외 공기의 온도가 섭씨 15도 이상 섭씨 25도 이하이고, 실내 온도가 실외 온도보다 높은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온도 범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쾌속 청정 환기 모드는 환절기이면서 동시에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청정한 경우 선택되거나 상대적으로 대풍량으로 환기하고자 할 경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쾌속 청정 환기 모드는 실내 공기가 크게 오염되어 긴급 환기가 필요한 경우 선택될 수 있다. 쾌속 청정 환기 모드는 복수의 모드 중에서 가장 큰 풍량으로 환기가 가능하다. 일례로, 쾌속 청정 환기 모드에서 환기 회수는 시간당 6회 이상일 수 있다. 쾌속 청정 환기 모드에서는 열교환기(350)를 우회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유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종합 필터부(360)를 우회하여 필터 우회 유로(316)를 따라 이동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쾌속 청정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400)는 제1 환기 댐퍼(331)와 제2 환기 댐퍼(332)와 제1 바이패스 댐퍼(341)와 제2 바이패스 댐퍼(342) 그리고 절환 댐퍼(370)를 모두 연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급기팬(381)과 배기팬(383)을 모두 가동시킨다. 그러면, 제2 내기구(394)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350)를 우회하여 제2 바이패스 유로(312)를 통과하여 제2 외기구(39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제1 외기구(391)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열교환기(350)를 우회하여 제1 바이패스 유로(311)를 통과하여 제1 내기구(393)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이때, 제1 바이패스 댐퍼(341)와 제2 바이패스 댐퍼(342)가 열리면, 열교환기(350)가 갖는 공기 저항으로 인하여 공기는 열교환기(350)를 거치지 않고 제1 바이패스 유로(311)와 제2 바이패스 유로(31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제1 내기구(393)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종합 필터부(360)를 우회하여 이동한다. 도 5에서 점선으로 표기한 화살표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쾌속 청정 환기 모드에서는 공기가 열교환기(350) 및 종합 필터부(360)를 모두 우회하여 이동하므로, 복수의 모드들 중 상대적으로 환기 풍량이 가장 높다. 즉, 쾌속 청정 환기 모드에서는 공기가 열교환기(350)와 종합 필터부(360)를 거쳐지 않고 이동하기 때문에 다기능 환기 유닛(301) 내부의 정압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다. 이와 같이, 다기능 환기 유닛(301)을 통과하는 공기 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급기팬(381)과 배기팬(382)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전체적인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당 6회 이상의 대풍량의 급속 환기가 가능해진다.
복수의 모드 중 쾌속 정화 환기 모드도 실내 공기의 온도가 실외 공기 온도 보다 높고 사용자의 희망 온도보다 높은 경우 선택될 수 있다. 즉, 쾌속 정화 환기 모드도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간의 열교환이 필요 없을 때 효과적인 환기 운전 방식으로 봄, 가을과 같은 환절기에 주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쾌속 정화 환기 모드가 선택되는 기준이 되는 환절기도 실외 공기의 온도가 섭씨 15도 이상 섭씨 25도 이하이고, 실내 온도가 실외 온도보다 높은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온도 범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쾌속 정화 환기 모드는 환절기이면서 동시에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오염된 경우 선택되거나 상대적으로 소풍량으로 환기하고자 할 경우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소풍량 환기라 함은 쾌속 청정 환기 모드보다 환기 풍량이 작은 경우 또는 시간당 환기 회수가 적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외 공기가 오염된 경우로는 황사 또는 미세먼지가 심한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쾌속 정화 환기 모드에서는 열교환기(350)를 우회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유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종합 필터부(360)를 거쳐 이동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쾌속 청정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400)는 제1 환기 댐퍼(331)와 제2 환기 댐퍼(332)와 제1 바이패스 댐퍼(341) 그리고 제2 바이패스 댐퍼(342)를 열고 절환 댐퍼(370)를 닫는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급기팬(381)과 배기팬(383)을 모두 가동시킨다. 그러면, 제2 내기구(394)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350)를 우회하여 제2 바이패스 유로(312)를 통과하여 제2 외기구(39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제1 외기구(391)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열교환기(350)를 우회하여 제1 바이패스 유로(311)를 통과하여 제1 내기구(393)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1 내기구(393)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는 종합 필터부(360)를 거쳐 이동한다. 즉, 오염된 실내 공기는 종합 필터부(360)를 거치면서 정화된 후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도 6에서 점선으로 표기한 화살표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쾌속 정화 환기 모드에서는 공기가 열교환기(350)를 우회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유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지만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종합 필터부(360)를 거쳐 이동하므로 쾌속 청정 환기 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환기 풍량이 낮다.
복수의 모드 중 실내 순환 정화 모드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고자 할 때 선택되며, 실내 순환 정화 모드의 경우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는 않는다. 실내 순환 정화 모드에서는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350) 및 종합 필터부(360)를 거쳐 다시 실내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실내 순환 정화 모드는 겨울철 열교환기(350)의 동파를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순환 정화 모드에서 제어부(400)는 제1 환기 댐퍼(331)와 제2 환기 댐퍼(332) 그리고 절환 댐퍼(370)를 닫고 제1 바이패스 댐퍼(341)와 제2 바이패스 댐퍼(342)를 연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급기팬(381)과 배기팬(383)을 모두 가동시키거나 급기팬(381)과 배기팬(383) 중 어느 하나만 가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2 내기구(394)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350)와 제1 바이패스 유로(311) 그리고 제2 바이패스 유로(312)를 자유롭게 이동하여 종합 필터부(360)를 거친 후 제1 내기구(393)를 통해 다시 실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도 7에서 점선으로 표기한 화살표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청정기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마련할 필요없이 다기능 환기 유닛(301)만으로 환기를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환기를 하지 않는 경우에도 실내 공기질을 높일 수 있다.
복수의 모드 중 열교환기 해빙 모드는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또는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로 동작 중에 제1 외기구(391)와 대향하는 열교환기(350)의 일측면, 즉 제1 측면(351)의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미만이 되면 선택된다.
실외 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에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또는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로 동작하면, 열교환기(350)의 제1 측면(351)에서부터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실외 공기의 온도가 매우 낮은 영하의 온도에서 환기가 이루어질 경우,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열교환기(350)에서 결로가 발생되고 결로는 실외 공기의 낮은 온도로 인하여 실외에 인접한 부위에서부터 결빙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결로가 결빙되면 열교환기(350) 내부의 기류 통로가 막혀 배기 풍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고, 이에 열교환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면서 실내에 매우 찬 공기가 유입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환기 유닛(3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결로와 결빙이 발생되는 상황에서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열교환기(350)의 제1 측면(351)의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또는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에서 열교환기 해빙 모드로 전환 동작하게 된다. 이때, 기설정된 기준 온도는 다기능 환기 유닛(301)의 설치 위치와 크기 그리고 성능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시험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350)의 제1 측면(350)의 온도는 온도 센서(357)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 해빙 모드로 동작하여 해빙이 완료되면 다시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또는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로 반복적으로 전환하여 구분 동작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열교환기 해빙 모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각각 다양한 열교환기 해빙 모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도 8에 도시된 방법을 제1 열교환기 해빙 모드라 하고, 도 9에 도시된 방법을 제2 열교환기 해빙 모드라 하며, 도 10에 도시된 방법을 제3 열교환기 해빙 모드라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기 해빙 모드에서는 제어부(400)가 제1 환기 댐퍼(331)만 열고 제2 환기 댐퍼(332)와 제1 바이패스 댐퍼(341)와 제2 바이패스 댐퍼(342) 그리고 절환 댐퍼(370)를 닫는다. 또한, 제어부(400)는 급기팬(381)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배기팬(382)만 가동시킨다. 그러면, 제2 내기구(394)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350)를 거쳐 제1 외기구(39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면서, 실내의 상대적으로 따듯한 공기가 열교환기(350)의 결빙을 녹이게 된다. 도 7에서 점선으로 표기한 화살표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제1 열교환기 해빙 모드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지만 실외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지는 않으므로, 제1 열교환기 해빙 모드의 동작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에 부압이 발생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열교환기 해빙 모드에서는 제어부(400)가 제1 환기 댐퍼(331)와 제2 환기 댐퍼(332)를 닫고 제1 바이패스 댐퍼(341)와 제2 바이패스 댐퍼(342) 그리고 절환 댐퍼(370)를 연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급기팬(381)과 배기팬(383)을 모두 가동시키거나 급기팬(381)과 배기팬(383) 중 어느 하나만 가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2 내기구(394)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350)의 결빙을 녹인 후 다시 실내로 공급된다. 도 8에서 점선으로 표기한 화살표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제2 열교환기 해빙 모드는 빠르게 열교환기(350)의 결빙을 녹일 수 있으나, 열교환기(350)의 결빙을 녹이는 과정에서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또는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로 동작시 열교환기(350)에서 결로가 발생되는 면의 반대면에도 새로운 결로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제2 열교환기 해빙 모드로 동작시 실내에 차가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열교환기 해빙 모드에서는 제어부(400)가 제1 환기 댐퍼(331)와 제2 환기 댐퍼(332) 그리고 제2 바이패스 댐퍼(342)를 닫고 제1 바이패스 댐퍼(341)와 절환 댐퍼(370)를 연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급기팬(381)과 배기팬(383)을 모두 가동시키거나 급기팬(381)과 배기팬(383) 중 어느 하나만 가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2 내기구(394)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기(350)의 결빙을 녹인 후 다시 실내로 공급된다. 도 9에서 점선으로 표기한 화살표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제3 열교환기 해빙 모드도 역시 실내에 차가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열교환기 해빙 모드, 제2 열교환기 해빙 모드, 및 제3 열교환기 해빙 모드는 각각 장단점이 상이하므로, 실외 온도와 다기능 환기 유닛(301)의 현재 상황 및 결빙 정도에 따라 적절한 열교환기 해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350)의 결로와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전기 히터를 사용하여 외기를 가열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기능 환기 유닛(301)의 전반적인 가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다기능 환기 유닛(301)의 내부에 전기 히터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초기 설치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히터로 인한 화재 발생의 위험도 제거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 해빙 모드로 동작시 열교환기(350)에서 생성된 결로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판(358)과 배수관(359)이 열교환기(35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배수관(359)을 통해 배수되고 남은 잔여 수분은 해빙 운전시 열교환기(350)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열교환기(350)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온도 또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저항 성능에 근거하여 해빙 운전의 전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또는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와 열교환기 해빙 모드의 전환 시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또는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로 동작시 결로가 발생되고 결로가 결빙되기 시작하면 열교환기 해빙 모드로 전환되고, 결빙과 결로가 모두 제거되면 다시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또는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1)에 사용되는 다기능 환기 유닛(301)은 열교환기(350)의 동결을 억제하고 에너지 효율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실외 환경과 실내 환경을 분석하여 환경 변화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환기를 수행하므로 환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환기시 소모되는 에너지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다기능 환기 유닛(301)은 실내 공기를 정화시켜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기시 미세먼지와 같은 외부 오염 물질을 정화시켜 실내에 급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건물 내부의 공간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설치 비용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400)는 스마트콘(700)으로부터 전달받은 실내 환경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 환경 정보에 따라, 다기능 환기 유닛(301)을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 쾌속 정화 환기 모드, 쾌속 청정 환기 모드, 실내 순환 정화 모드, 및 열교환기 해빙 모드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구분 동작시키지만, 사용자가 스마트콘(700)을 통해 현재의 실내 환경 정보와 무관하게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강제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콘(700)은 현재 위치에서의 실내 온도, 습도, 기류 속도, 복사 온도, 및 사용자의 착의 상태를 고려하여 열적 쾌적성을 나타낸 예측 평균 온열감(Predicted Mean Vote, PMV) 지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콘(700)은 현재 위치에서의 실내 온도, 습도를 고려하여 불쾌 지수 지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스마트콘(700)은 복수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택에 거주하는 인원의 수만큼 스마트콘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각자가 현재 위치하는 공간을 희망하는 실내 환경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1)은 복수의 공간(200)으로 구획된 실내 환경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제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1)은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낭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온도, 복사 온도, 습도, 공기질, 및 조도(照度)등을 사용자와 동일 또는 근접한 위치에서 측정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쾌적한 실내 환경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머물고 있는 공간만 환기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공간을 환기하여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1)은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상황을 분석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환기를 수행하므로, 환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1)은 환기와 동시에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설치 비용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2)을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2)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1)에 난방 장치(810)를 더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3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급기 디퓨저(510), 흡기구(520), 및 다기능 환기 유닛(301) 등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난방 장치(810)는 복수의 공간(200)마다 독립적으로 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난방 장치(810)는 제어 장치(400)의 제어를 받아 동작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콘(700)을 통해 희망 온도를 입력하면, 제어 장치(400)는 스마트콘(700)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온도가 스마트콘(700)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온도를 추종하도록 난방 장치(81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난방 장치(810)의 가동 중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스마트콘(700)이 측정한 복사 온도의 상승 기울기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제어 장치(400)는 복수의 공간(200) 중에서 스마트콘(700)이 위치한 공간의 난방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과 기준치는 해당 공간의 크기와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2)도 복수의 공간(200)으로 구획된 실내 환경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제어 효율을 향상시키고,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낭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와 동일 또는 근접한 위치에서 온도를 측정하여 실내 온도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실내 온도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머물고 있는 공간만 난방을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공간을 난방하여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3)을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1)에서 창문에 전동 블라인드(860)가 설치되거나 창문이 일렉트로크로매틱 글래스(Electro-Chromatic Glass)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창문은 복수의 공간(200)마다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4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급기 디퓨저(510), 흡기구(520), 및 다기능 환기 유닛(301) 등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전동 블라인드(860) 또는 일렉트로크로매틱 글래스(Electro-Chromatic Glass)로 만들어진 창문은 제어 장치(400)의 제어를 받아 동작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콘(700)을 통해 희망 온도를 입력하면, 제어 장치(400)는 스마트콘(700)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온도가 스마트콘(700)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온도를 추종하도록 전동 블라인드(860)를 제어하거나 창문의 투과율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실내 공간은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일사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희망 온도 보다 실내 온도가 높은 경우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일사열을 차단하고, 사용자의 희망 온도 보다 실내 온도가 낮은 경우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일사열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스마트콘(700)이 측정한 복사 온도의 상승 기울기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제어 장치(400)는 복수의 공간(200) 중에서 스마트콘(700)이 위치한 공간의 창문에 설치된 전동 블라인드(860)를 제어하거나 창문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일사열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과 기준치는 해당 공간의 크기와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3)은 복수의 공간(200)에 각각 설치된 조명 장치(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조명 장치(870)는 제어 장치(400)의 제어를 받아 동작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콘(700)을 통해 실내의 희망 조도(照度)를 입력하면, 제어 장치(400)는 스마트콘(700)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조도가 스마트콘(700)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조도를 추종하도록 전동 블라인드(860)를 제어하거나 창문의 투과율을 조절하거나 조명 장치(8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3)에서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스마트콘(700)이 측정한 복사 온도, 이산화탄소(CO2), 유기화합물(VOC) 중 하나 이상의 지표가 기설정된 특정 수준 이상이거나 가파르게 상승하는 기울기를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콘(700)은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콘(700)이 자체적으로 경고음과 경고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무선 통신으로 경보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3)도 복수의 공간(200)으로 구획된 실내 환경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제어 효율을 향상시키고,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낭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겨울철에 일사의 실내 유입이 증가하여 실내 온도가 올라가거나 여름철에 일사의 실내 유입이 감소하여 실내 온도가 내려가는 상황 등을 고려하여 실내 환경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실내가 불필요하게 난방되거나 냉방되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희망 조도에 따라 복수의 공간(200)을 각각 차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조명 장치(870)가 동작하여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103)을 통해 화재의 발생 여부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가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102, 103: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200: 복수의 공간
301: 다기능 환기 유닛
322: 환기 유닛용 센서
331: 제1 환기 댐퍼
332: 제2 환기 댐퍼
341: 제1 바이패스 댐퍼
342: 제2 바이패스 댐퍼
350: 열교환기
351: 제1 측면
352: 제2 측면
353: 제3 측면
354: 제4 측면
360: 종합 필터부
365: 교환부용 프리 필터
366: 보조 프리 필터
370: 절환 댐퍼
381: 급기팬
382: 배기팬
390: 케이싱
391: 제1 외기구
392: 제2 외기구
393: 제1 내기구
394: 제2 내기구
395: 격벽부
400: 제어 장치
510: 급기 디퓨저
520: 흡기구
610: 급기 덕트
620: 배기 덕트
700: 스마트콘
750: 조작부
770: 스마트콘용 센서
810: 난방 장치
860: 전동 블라인드
870: 조명 장치

Claims (21)

  1.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실내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유출하는 다기능 환기 유닛;
    상기 복수의 공간마다 설치되어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연결되며 전동으로 개도율의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급기 디퓨저;
    상기 복수의 공간마다 설치되어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연결된 복수의 흡기구;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상기 복수의 급기 디퓨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공간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내장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콘용 센서를 통해 현재 위치에서의 온도, 복사 온도, 습도, 공기질, 및 조도(照度)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한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 환경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제어 장치에 전달하는 스마트콘
    을 포함하며,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은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와 실외로 유출되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을 열교환기 해빙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구분 동작시키되,
    상기 열교환기 해빙 모드는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의 동작 중에 실내의 공기가 배기되는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면의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미만이 되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콘을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온도, 습도, 및 공기질의 수준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환경 정보가 상기 스마트콘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환경 정보를 추종하도록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급기 디퓨저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기구도 전동으로 개도율의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환경 정보와 상기 스마트콘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흡기구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을 평가하는 요소는 평균 복사 온도(MRT), 상대 습도(RH), 이산화탄소(CO2), 유기화합물(VOC), 초미세먼지(PM 2.5), 및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상기 복수의 급기 디퓨저를 연결하는 급기 덕트와;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과 상기 복수의 흡기구를 연결하는 배기 덕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은 실외 공기의 온도, 습도, 공기질, 및 실외 조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환기 유닛용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환기 유닛은 공기에 함유된 각종 유해 물질을 여과하는 종합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 쾌속 정화 환기 모드, 쾌속 청정 환기 모드, 및 실내 순환 정화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 및 상기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는 실내에서 난방 또는 냉방이 수행 중인 경우 선택되며, 실외로 유출되는 실내 공기와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시키고,
    상기 열교환 정화 환기 모드는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오염되거나 상대적으로 소풍량으로 환기하고자 할 경우 선택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종합 필터부를 거쳐 이동시키고,
    상기 열교환 청정 환기 모드는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청정하거나 상대적으로 대풍량으로 환기하고자 할 경우 선택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종합 필터부를 우회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 청정 환기 모드는 실내 공기의 온도가 실외 공기 온도 보다 높고 사용자의 희망 온도보다도 높으며,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청정하거나 상대적으로 대풍량으로 환기하거나 실내 공기가 크게 오염되어 긴급 환기가 필요한 경우 선택되며,
    상기 쾌속 청정 환기 모드에서는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종합 필터부를 우회시켜 상기 복수의 모드들 중 상대적으로 환기 풍량이 가장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 정화 환기 모드는 실내 공기의 온도가 실외 공기 온도 보다 높고 사용자의 희망 온도보다도 높지만 실외 공기가 실내 공기보다 오염된 상태이거나 상대적으로 소풍량으로 환기하고자 할 경우 선택되며,
    상기 쾌속 정화 환기 모드에서는 상기 열교환기를 우회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유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지만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종합 필터부를 거쳐 이동하므로 상기 쾌속 청정 환기 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환기 풍량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순환 정화 모드는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고자 할 때 선택되며,
    상기 실내 순환 정화 모드에서는 실내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종합 필터부를 거쳐 다시 실내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콘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강제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콘은 현재 위치에서의 실내 온도, 습도, 기류 속도, 복사 온도, 및 사용자의 착의 상태를 고려하여 열적 쾌적성을 나타낸 예측 평균 온열감(Predicted Mean Vote, PMV) 지표 또는 온도 및 습도를 고려한 불쾌 지수 지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마다 독립적으로 난방이 가능한 난방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콘을 통해 사용자가 희망 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온도가 상기 스마트콘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온도를 추종하도록 상기 난방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장치의 가동 중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복사 온도의 상승 기울기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간 중에서 상기 스마트콘이 위치한 공간의 난방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에 마련된 창문에 전동 블라인드가 설치되거나 상기 창문이 일렉트로크로매틱 글래스(Electro-Chromatic Glass)로 만들어지며,
    상기 스마트콘을 통해 사용자가 희망 온도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온도가 상기 스마트콘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온도를 추종하도록 상기 전동 블라인드를 제어하거나 상기 창문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된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콘을 통해 사용자가 실내의 희망 조도(照度)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현재의 실내 조도가 상기 스마트콘에 입력된 사용자의 희망 조도를 추종하도록 상기 전동 블라인드를 제어하거나 상기 창문의 투과율을 조절하거나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복사 온도의 상승 기울기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간 중에서 상기 스마트콘이 위치한 공간의 상기 창문에 설치된 상기 전동 블라인드를 제어하거나 상기 창문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일사열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콘이 측정한 복사 온도, 이산화탄소(CO2), 유기화합물(VOC) 중 하나 이상의 지표가 기설정된 특정 수준 이상이거나 가파르게 상승하는 기울기를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콘은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21. 삭제
KR1020170145714A 2017-11-03 2017-11-03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KR102056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714A KR102056470B1 (ko) 2017-11-03 2017-11-03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714A KR102056470B1 (ko) 2017-11-03 2017-11-03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879A KR20190050879A (ko) 2019-05-14
KR102056470B1 true KR102056470B1 (ko) 2019-12-17

Family

ID=6658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714A KR102056470B1 (ko) 2017-11-03 2017-11-03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575B1 (ko) * 2019-05-22 2021-03-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스마트 미세먼지 제거 및 필터 재생시스템
KR102103022B1 (ko) * 2019-08-09 2020-04-21 주식회사 필터솔루션 공조기 성능 측정용 디퓨저
KR102278546B1 (ko) * 2019-08-29 2021-07-19 이중훈 판형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개량형 공기청정 병행 환기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N112524727A (zh) * 2019-09-02 2021-03-19 中洁环境科技(西安)集团有限公司 高效节能的智能化风感度新风***
CN110779184B (zh) * 2019-11-12 2021-10-22 广州华凌制冷设备有限公司 运行控制方法、装置、空调器以及存储介质
KR102307343B1 (ko) * 2019-12-27 2021-09-29 현대건설(주) 전동 디퓨저를 이용한 실별 환기 시스템
KR102170829B1 (ko) 2020-05-14 2020-10-27 손성덕 건축물의 공기 순환 시스템
KR102187347B1 (ko) * 2020-07-28 2020-12-07 주식회사 유니트 다기능 컨테이너 찜질방
KR102277573B1 (ko) * 2020-10-11 2021-07-19 김도영 스탠드형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제거 장치
KR102256116B1 (ko) * 2020-10-11 2021-05-25 김도영 살균및탈취공조장치
KR102464040B1 (ko) * 2021-05-10 2022-11-04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실내 환기 장치 제어 방법
KR102520873B1 (ko) * 2021-06-14 2023-04-12 주식회사 휴앤텍 각 방 개별 환기시스템
CN115079743A (zh) * 2022-04-11 2022-09-20 中国石油天然气管道工程有限公司 一种适用于无外电综合设备间智能节能控温方法
CN115334841B (zh) * 2022-08-22 2023-10-24 新疆华奕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空调***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301B1 (ko) * 2010-08-24 2012-11-05 (주)대우건설 환기 기능이 포함된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 시스템
KR101280661B1 (ko) * 2013-01-24 2013-07-05 (주)새한공조 하이브리드 공조 방식을 갖는 실내기, 그리고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KR101679840B1 (ko) * 2008-07-18 2016-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765454B1 (ko) * 2016-11-30 2017-08-23 주식회사 비쥬드림 스마트 환경 센서 시스템
JP2017167580A (ja) * 2016-03-14 2017-09-21 Tdk株式会社 火災検知装置
KR101790696B1 (ko) * 2015-12-23 2017-10-2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840B1 (ko) * 2008-07-18 2016-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197301B1 (ko) * 2010-08-24 2012-11-05 (주)대우건설 환기 기능이 포함된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 시스템
KR101280661B1 (ko) * 2013-01-24 2013-07-05 (주)새한공조 하이브리드 공조 방식을 갖는 실내기, 그리고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KR101790696B1 (ko) * 2015-12-23 2017-10-2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JP2017167580A (ja) * 2016-03-14 2017-09-21 Tdk株式会社 火災検知装置
KR101765454B1 (ko) * 2016-11-30 2017-08-23 주식회사 비쥬드림 스마트 환경 센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879A (ko) 201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470B1 (ko)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KR102059727B1 (ko) 다기능 환기 유닛
CN107152744B (zh) 换气装置
KR101034936B1 (ko)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101866B2 (en) Room air purifier
KR102026341B1 (ko)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101238958B1 (ko) 공기 청정 및 에너지 저감 시스템
RU2604584C2 (ru)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0928047B1 (ko) 에너지 절약형 전자동 공기조화기
CN202229344U (zh) 一种智能通风装置
CN108302685B (zh) 具有内部空气的循环、排出和吸入功能的空气循环***
KR102287901B1 (ko) 환기장치
KR100623526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및 환기 제어 방법
KR101808120B1 (ko) 실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 시스템
JP2016084962A (ja) 空気調和換気装置及び建屋内の空気調和換気方法
CN209763398U (zh) 供气***
JP2005221101A (ja) 自然エネルギ利用の換気システム
RU185494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JPH11125450A (ja) 熱交換式換気扇及び換気方法
JP2014009823A (ja) 空気調和装置
KR101162973B1 (ko) 제습기능이 구비된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0728339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2371835B1 (ko) 퍼지모드를 갖는 환기장치
KR100698516B1 (ko) 창문형 열교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