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369B1 - 저유량 영역 조절 성능 개선을 위한 유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 - Google Patents

저유량 영역 조절 성능 개선을 위한 유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369B1
KR102056369B1 KR1020180071924A KR20180071924A KR102056369B1 KR 102056369 B1 KR102056369 B1 KR 102056369B1 KR 1020180071924 A KR1020180071924 A KR 1020180071924A KR 20180071924 A KR20180071924 A KR 20180071924A KR 102056369 B1 KR102056369 B1 KR 10205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flow path
height
width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부민
김형모
박태춘
강영석
허재성
이두용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71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369B1/ko
Priority to PCT/KR2019/006317 priority patent/WO2019245178A1/ko
Priority to US17/254,994 priority patent/US119187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에 실링부재(20)를 사이에 두고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체 양을 조절하는 회전다이얼(30);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다이얼은, 제1폭과 제1높이를 갖는 단면 요홈 형상의 조절유로(31)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유로(31)는, 상기 폭은 일정하고 상기 높이는 감소하는 제1영역과, 상기 폭과 높이가 모두 감소하는 제2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조절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는 상기 구성에 의해서, 수액의 유량이 미소량인 영역에서도 정확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저유량 영역 조절 성능 개선을 위한 유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FLOW REGULATOR FOR MEDICAL SOLUTION WITH CROSS-SECTION FOR IMPROVED REGULATE PERFORMANCE IN LOW FLOW RATE AREA}
본 발명은 수액 치료시에 투여할 수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수액유량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액의 통과 거리를 조절하는 원호 유로와 원호 유로를 통과한 수액의 배출을 유도하는 원형 유로를 가지되, 유로 단면을 개선하여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액 유량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수액세트는 일반적으로 수액병에 담긴 수액을 처방에 따른 목표 유량으로
조절하여 환자에게 투여하는 의료 기구로서, 일단이 수액병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주사바늘이 구비되어 인체에 수액을 주입하는 튜브 형의 유로는 갖는 장치로, 수액유량조절기의 튜브 유로는 일반적으로 롤러의 상하 이동으로 튜브의 유로 단면적을 변경하여 수액 유량을 조절하던 롤러클램프가 존재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수액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수액유량조절기로서 많은 도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종래의 수액유량조절기의 예로서 등록특허 제10-1487754호가 유량 조절 원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487754호의 도면 중 일부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수액유량조절기는 수액세트의 절단된 양측 튜브를 각각 체결하여 연결시키는 유입구(110)와 배출구(120)를 구비하여 유입구(110)를 통해 수액을 유입받고 제1 몸체(200)에 의해 유량 조절되게 한 후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제2 몸체(100), 제2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유입구(110)와 배출구(120) 사이에 배치할 유로를 구비하여 회전각의 변경으로 유동저항을 변화시키는 유로에 의해 유량 조절되게 하는 제1 몸체(200), 및 제2 몸체(100)와 제1 몸체(2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몸체(200)의 유로를 밀폐하는 실링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몸체(200)는 배면의 중심에 돌출형성되고 제2 몸체(100)의 체결구(150)에 삽입되어 회전축이 되게 한 삽입편(250)과, 배면 중에서 삽입편(250)의 주변에 단일의 평평한 면으로 조성되어 제2 몸체(100)에 제1 몸체(200)를 장착할 시에 실링부재(300)가 개재된 상태로 제2 몸체(100)의 실링부재 안착면(140)에 밀착되는 유로 형성면(240)과, 유로 형성면(240)에 조성되는 원호 유로(210), 연결 유로(220) 및 원형 유로(230)와, 제2 몸체(100)에 장착할 시에 제2 몸체(100)의 실링부재 안착면(140)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시킨 부위의 외주면을 간격을 두고 감싸게 한 외주면부(260)와, 외주면부(260)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조성하여 제1 몸체(200)를 회전시킬 시에 소정의 회전각에서 스토퍼(160)에 걸려 회전을 멈추게 하는 걸림돌기(261)와, 외주면부(260)의 둘레방향을 따라 새긴 눈금(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형 유로(230)는 요홈으로 조성되며, 회전축인 삽입편(250)을 중심으로 원형을 그리도록 조성되어 원형의 폐곡선을 이룬다. 원호 유로(210)의 경우도 요홈으로 조성되되, 원형 유로(230)의 반경보다는 큰 반경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호 상을 그리도록 조성되어서, 폐곡선으로 되지는 아니한다. 상기 걸림돌기(261) 및 제2 몸체(100)의 스토퍼(160)는 유입 통로(111)를 원호 유로(210)의 타단(212)에 맞춰진 후 원호 유로(210)의 중심각에 벗어나는 지점(즉 원호 유로(210)을 벗어나는 지점)에서 제1 몸체(200)의 회전을 멈추도록 형성 위치를 맞춘다.
이와 같이 원형 유로(230)와 동일한 중심을 갖는 원호 유로(210)의 일단(211)은 안쪽의 원형 유로(230)를 향해 요홈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 유로(220)에 의해서 원형 유로(230)와 이어진다. 원호 유로(210)의 타단(212)은 막힌 상태로 둔다 이에 따라, 원호 유로(210)의 타단(212)에서 시작하여 원호를 그린 후 일단(211)에서 연결 유로(220)에 의해 원형 유로(230)와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원호 유로(210), 연결 유로(220) 및 원형 유로(230)는 실링부재(300)에 덮여 밀폐된 유로를 형성한다. 원호 유로(210), 연결 유로(220) 및 원형 유로(230)의 단면적 형상을 보면 다음과 같다.
원호 유로(210)는 전구간에 걸쳐 폭이 균일하지만, 막혀있는 타단(212)에서 연결 유로(220)에 이어지는 일단(211)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차 깊어져서, 타단(212)에서 일단(211)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한다. 원형 유로(230)는 전구간에 걸쳐 폭과 깊이가 균일하여서, 단면적도 전구간에 걸쳐 균일하다.
수액이 수액조절기 내부에 유입되어 흘러가는 유로를 보면, 유입된 수액은 원호 유로(210)로 유입되고 원호 유로를 거친 후 연결 유로(220)를 통해 원형 유로(230)를 거친 후 수액조절기 외부로 배출되며, 유량 조절은 원호 유로(210)를 지나는 길이를 변경하여 조절하게 되고, 원호 유로 길이 변경은 상기 제1 몸체(200)를 회전시켜서 조절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유량을 조절하는 부분인 원호 유료(210)가 전구간에 걸쳐서 폭은 동일하고 깊이(이하, 설명 편의상 '높이'라고 함)는 변화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이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 도 4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요홈 형상인 상기 원호 유로(210)의 원호을 설명 편의를 위해 펼쳐서 직선형으로 개념적으로 도시한 형태이며, 직선으로 펼친 상태에서 (a)는 상기 원호 유로(210)의 측단면으로 길이에 따른 높이 변화를 보여주고, (b)는 원호 유로(210)를 위에서 바라 본 모습으로 폭이 일정한 것을 보여준다. 그림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원호 유로는 길이에 따라 높이는 선형적으로 감소하나 폭은 항상 일정하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원호 유로(210)는 실링부재(300)에 덮여 밀폐된 유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실링부재는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재질이어서 유로의 개방면을 약간 밀고 들어와서 유로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되는데, 유로의 말단부(미소 유량이 통과하는 부분)에서는 유로의 단면적 감소 영향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고 심하면 유로가 막히게 되어 정확한 미소 유량의 조절이 어렵게 된다. 종래 수액유량 조절기의 경우 매우 소량인 수액의 미소 조절 범위에서는 조절기를 개방하여도 수액이 나오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수액 치료에 사용되는 수액 유량조절기는 내부의 0.15mm 정도의 폭을 가지고 유로에 의해 시간당 수 ~ 수백 ml 의 비교적 낮은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이며, 항암치료나 소아의 경우에 사용되는 수 ml/h 의 아주 낮은 유량을 정확하게 공급하여야 하나 종래 기술로는 이러한 극소 유량 조절이 어려운 면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액조절기 원호 유로의 폭과 높이 변화를 개선하여 극소 유량의 수액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액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에 실링부재(20)를 사이에 두고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체 양을 조절하는 회전다이얼(30);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다이얼은, 제1폭과 제1높이를 갖는 단면 요홈 형상의 조절유로(31)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유로(31)는, 상기 폭은 일정하고 상기 높이는 감소하는 제1영역과, 상기 폭과 높이가 모두 감소하는 제2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조절기를 제공한다.
상기 조절유로에 연통되어 상기 유체를 안내하는 단면 요홈 형상의 콜렉터유로(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콜렉터유로의 폭과 높이는 일정한 것이 좋다.
상기 조절유로는 원호형상의 유로이며, 상기 콜렉터유로는 원형형상의 유로이며, 상기 조절유로와 상기 콜렉터유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조절유로의 높이는 선형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조절유로 길이의 1/3 내지 1/2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에서 높이가 감소하다가 높이와 폭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에서 조절유로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영역에서 조절유로의 단면은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는 상기 구성에 의해서, 수액의 유량이 미소량인 영역에서도 정확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일예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액조절기 원호 형상의 원호 유로의 높이와 폭을 보여주는 모습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본체에 실링부재가 결합된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회전다이얼의 모습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 조절유로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조절유로의 높이와 폭을 보여주는 모습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조절기에서 조절유로를 유동하는 수액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모습이며,
도 10과 도 11은 종래 수액조절기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높이 및 폭의 변화를 대비해서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12은 종래 수액조절기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유량 흐름 상태를 대비해서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13은 종래 수액조절기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미소유량 범위에서 수력면적을 대비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14는 종래 수액조절기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미소유량 범위에서의 조절유로의 단면 형상을 대비하여 보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수액 조절기는 항암치료나 소아의 경우에 사용되는 수 ml/h 의 아주 낮은 유량을 정확하게 공급하여야 하는 극소 유량 조절이 정확하게 조절되는 조절기를 개발한 것이다. 발명자는 종래 조절기에서는 유량 조절시에 사용되는 실링부재(플렉서블 씰)가 요홈 형상의 유로 안쪽으로 파고들게 되는데, 이러한 파고듦에 의한 유로 면적의 감소가 유로 높이가 낮은 저유량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크기 때문인 것을 밝혀내고, 또한, 유로 높이가 낮은 경우는 유로의 폭과 높이 사이의 비(Aspect Ratio)가 커져서 유체역학적인 수력면적(Hydraulic Area)이 더 심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유로의 높이가 낮은 영역에서는 실제 면적의 감소 정도보다 수력면적의 감소가 더 심해서 유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도출하게 되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본체에 실링부재가 결합된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회전다이얼의 모습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 조절유로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조절유로의 높이와 폭을 보여주는 모습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조절기에서 조절유로를 유동하는 수액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모습이며, 도 10과 도 11은 종래 수액조절기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높이 및 폭의 변화를 대비해서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12는 종래 수액조절기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유량 흐름 상태를 대비해서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13은 종래 수액조절기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미소유량 범위에서 수력면적을 대비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14는 종래 수액조절기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미소유량 범위에서의 조절유로의 단면 형상을 대비하여 보여준다.
먼저, 본 발명은 환자에게 수액을 정량 투입하는 수액조절기이며 종래의 수액조절기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취하면서 내부로 주입된 유체(수액)의 흐름 양을 조절하기 위해 유로 단면적의 형상을 새롭게 변경한 것이 특징이므로 수액조절기의 전체적인 형상은 기존과 유사한 점이 있어서 수액조절기의 일반적인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구성품으로서 본체(10)에 실링부재(20)가 결합된 모습이며, 도 6은 회전다이얼(30)의 모습이다.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는 상기 본체(10)에 상기 회전다이얼(30)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서 수액이 유입구(in)에서 유입되어 본체의 하부 배출구(out)로 수액이 배출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다이얼이 회전하면서 수액의 흐름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6을 보면, 상기 회전다이얼(30)에는 조절유로(31)와 연결유로(32)와 콜렉터유로(33)가 각각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유로(31)는 콜렉터유로(33)의 외곽에서 전체적으로 원을 이루지는 않고 원호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콜렉터유로(33)는 전체적으로 원을 이루는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32)는 조절유로와 콜렉터유로를 서로 연결하는 유로이다.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미설명 부호 21, 22, 23은 상기 회전다이얼(30)이 결합되는 경우 조절유로(31), 연결유로(32), 콜렉터유로(33)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의 실링부재(20)에는 조절유로 주입구(21a)가 형성되어 수액이 조절유로(21)로 주입되도록 하고, 콜렉터유로 출구(23a)가 형성되어서 상기 콜렉터유로(23)의 수액이 배출되도록 한다. 즉, 수액조절기의 상측 유입구(in)로 유입된 수액은 조절유로 주입구(21a)를 지나 상기 조절유로(21)로 진입하고, 이후 연결유로(22) 및 콜렉터유로(23)를 거친 후 콜렉터유로 출구(23a)를 지난 후, 최종적으로 상기 하부 배출구(out)로 수액이 배출된다.
이때, 상기 회전다이얼을 돌리게 되면, 상기 조절유로(21) 상에서 상기 조절유로 주입구(21a)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즉,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유로(21)의 특정 위치에 조절유로 주입구(21a)가 위치하여 조절유로(21)로 수액이 주입된 후, 수액은 조절유로의 홈을 따라 이동한 후 연결유로(22)로 진입하는데, 회전다이얼의 회전으로 조절유로 주입구(21a)의 위치가 수액이 조절유로(21) 상에서 변경됨으로써 조절유로 상에서 유로의 길이(s)와 폭이 달라지게 되어 유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조절유로(21)는 요홈 형상인데 그 폭과 높이를 각각 제1폭과 제1높이라고 하면 이들 폭과 높이를 고려하여, 조절유로를 제1영역(도 8의 21-1)과 제2영역(도 8의 21-2)으로 구별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1영역은 높이는 감소하지만 폭은 일정한 영역이며, 제2영역에서는 상기 폭과 상기 높이가 모두 감소하는 영역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조절유로의 제2영역(21-2)은 폭과 높이가 모두 감소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콜렉터유로(33)의 폭과 높이는 일정하게 형성된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조절유로(21)의 높이와 폭을 보여주는 모습이며, 상기 원호 형상의 조절유로를 직선형상으로 펼친 모습이며, 도 8의 (a)는 조절유로의 높이를 (b)는 조절유로의 폭을 보여준다. 그림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조절유로는 제1영역(21-1)에서는 높이는 선형적으로 감소하지만 폭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제2영역(21-2)에서는 상기 폭과 높이가 모두 감소하는 영역이다.
상기 조절유로(21)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배분 즉 제2영역이 시작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제2영역이 상기 조절유로 전체 길이의 1/3 내지 1/2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절유로의 제1영역에서 높이가 감소하다가 높이와 폭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영역에서 조절유로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영역에서 조절유로의 단면은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조절유로를 형성하면 극소 유량이 유동하는 영역에서 정확한 유량제어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험데이타로 보여준다.
이를 위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조절기에서 조절유로를 유동하는 수액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모습이다. 도 7과 도 9를 같이 보면, 상기 조절유로 주입구(21a)의 위치는 조절유로(21) 상에서 회전다이얼 회전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7과 도 9는 조절유로 상에서 특정 위치에 조절유로 주입구가 위치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조절유로 주입구(21a)가 상기 연결유로(22)에 위치하는 경우를 설명 편의상 각도(angle) 100%라고 하고, 조절유로 주입구(21a)가 조절유로의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각도 0%라고 하고,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효과를 비교한 데이타를 산출해 보았다. 즉, 각도 100%인 위치에서 가장 많은 유량이 흐르게 된다.
이하에서 보여주는 실험데이타 자료는 상기 조절유로의 제1영역에서 높이가 감소하다가 높이와 폭이 같아지는 지점(30% 각도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이 시작되도록 하여 상기 제2영역에서 조절유로의 단면은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한 실험의 결과이다.
도 10과 도 11은 종래 수액조절기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높이 및 폭의 변화를 대비해서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실선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데이타이며 점선은 종래 수액조절기의 데이타이다. 그래프를 보면, 극소 유량 영역에서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는 유로 높이가 덜 줄어드는 대신 폭이 줄어들면서 유로 단면적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극소 유량 영역에서 폭이 일정하고 높이만 줄어드는 종래 기술에 비해, 폭도 같이 줄어 들기 때문에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단면을 유지하면 작은 치수 부분이 짧아지기 때문에 가공에도 유리한 점이 있다.
도 12는 종래 수액조절기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유량 흐름 상태를 대비해서 보여주기 위해 초저유량 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종래 수액조절기(점선)에서는 각도 2%이하에서 유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지 못하는 문제가 보인다. 이것은 단면의 폭과 높이 사이의 비(Aspect Ratio)가 너무 커서 수력면적(Hydraulic Area)이 과다하게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종래 기술이 각도 0%인영역(초저유량 영역)에서 선형적이지 못한 문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의 결과(실선)를 보면 초저유량 영역에서도 선형적인 그래프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 13은 종래 수액조절기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미소유량 범위에서 수력면적을 대비하여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종래 기술에서는 초저유량 영역에서 수력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도 14에서 보여주듯이 단면이 정사각형인 경우와 직사각형인 경우는 설사 유로의 단면적은 동일하더라도 유동저항은 다르게 되고 그 결과 유체역학적으로는 서로 다른 면적이 되기 때문인데, 도 14에서는 종래 수액조절기의 미소유량 영역에서의 조절유로의 단면(a)과 본 발명에 따른 수액조절기의 미소유량 영역에서의 조절유로의 단면(b)의 형상을 대비하여 보여줌으로써, 본 발명의 수액조절기는 극소 유량 영역에서도 수력면적이 종래에 비해 큰 값을 유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에 실링부재(20)를 사이에 두고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체 양을 조절하는 회전다이얼(30);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다이얼은, 제1폭과 제1높이를 갖는 단면 요홈 형상의 조절유로(31)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유로(31)는,
    상기 폭은 일정하고 상기 높이는 감소하는 제1영역과,
    상기 폭과 상기 높이가 모두 감소하는 제2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조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로에 연통되어 상기 유체를 안내하는 요홈 형상의 콜렉터유로(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콜렉터유로의 폭과 높이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조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로는 원호형상의 유로이며, 상기 콜렉터유로는 원형형상의 유로이며,
    상기 조절유로와 상기 콜렉터유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조절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조절유로의 높이는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조절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조절유로 길이의 1/3 내지 1/2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조절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서 조절유로의 높이가 감소하다가 상기 조절유로의 높이가 조절유로의 폭과 같아지는 지점에서 상기 제2영역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조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서 조절유로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영역에서 조절유로의 단면은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유량조절기.
KR1020180071924A 2018-06-22 2018-06-22 저유량 영역 조절 성능 개선을 위한 유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 KR10205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924A KR102056369B1 (ko) 2018-06-22 2018-06-22 저유량 영역 조절 성능 개선을 위한 유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
PCT/KR2019/006317 WO2019245178A1 (ko) 2018-06-22 2019-05-27 수액 유량조절기
US17/254,994 US11918781B2 (en) 2018-06-22 2019-05-27 Infusion flow reg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924A KR102056369B1 (ko) 2018-06-22 2018-06-22 저유량 영역 조절 성능 개선을 위한 유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369B1 true KR102056369B1 (ko) 2019-12-16

Family

ID=6898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924A KR102056369B1 (ko) 2018-06-22 2018-06-22 저유량 영역 조절 성능 개선을 위한 유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18781B2 (ko)
KR (1) KR102056369B1 (ko)
WO (1) WO201924517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72Y1 (ko) 2001-11-30 2002-02-25 메인텍 주식회사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0468222B1 (ko) 2004-07-16 2005-01-26 메인텍 주식회사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1487754B1 (ko) 2014-10-20 2015-01-29 주식회사한빛엠디 수액유량조절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59Y1 (ko) * 2010-06-09 2013-07-09 조영춘 수액 조절기
KR101333121B1 (ko) * 2011-11-18 2013-11-26 한국기계연구원 수액주입용 선형 2중유량조절장치
KR101409482B1 (ko) * 2012-06-19 2014-06-18 한국기계연구원 링거액 유량 조절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72Y1 (ko) 2001-11-30 2002-02-25 메인텍 주식회사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0468222B1 (ko) 2004-07-16 2005-01-26 메인텍 주식회사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1487754B1 (ko) 2014-10-20 2015-01-29 주식회사한빛엠디 수액유량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60281A1 (en) 2021-08-26
US11918781B2 (en) 2024-03-05
WO2019245178A1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1147B2 (ja) 流れ転向特徴を有する末梢静脈内カテーテル
JP3833657B2 (ja) 静脈注入用薬液の流量調節デバイス
KR940002805B1 (ko) 정맥주사 유량조절밸브
KR102056369B1 (ko) 저유량 영역 조절 성능 개선을 위한 유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
KR101952322B1 (ko) 수액세트용 유량조절장치
KR100421524B1 (ko)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KR102297404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CN213453637U (zh) 一种喷嘴结构及具有该喷嘴结构的引射器
KR102262087B1 (ko) 수액유량조절기
EP4333932A1 (en) Drip chamber for a fluid administration system
KR101706147B1 (ko)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KR100399643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KR200240495Y1 (ko)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US4564171A (en) Flow regulator for setting and maintaining a constant flow of blood, blood-substitute, or similar liquid
KR101800664B1 (ko) 의료용 유량조절 조립체
KR100409020B1 (ko) 링거액 주입량 조절기
KR100399644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KR20200143937A (ko) 유체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셀렉터
KR102247794B1 (ko) 스톱콕
CN220002604U (zh) 精确的滚子夹具组件
KR102354003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JPH052195Y2 (ko)
KR20170111287A (ko)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KR20200144340A (ko) 약액 유량 조절 장치
KR200266086Y1 (ko)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