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653B1 - A Canopy Device - Google Patents

A Canop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653B1
KR102053653B1 KR1020180037201A KR20180037201A KR102053653B1 KR 102053653 B1 KR102053653 B1 KR 102053653B1 KR 1020180037201 A KR1020180037201 A KR 1020180037201A KR 20180037201 A KR20180037201 A KR 20180037201A KR 102053653 B1 KR102053653 B1 KR 10205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groove
coupl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4459A (en
Inventor
권구중
Original Assignee
권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구중 filed Critical 권구중
Priority to KR102018003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653B1/en
Publication of KR2019011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4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6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with material fixed on sections of a collapsible frame especially Florentine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는 양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 형태의 복수의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캐노피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오목하며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되어 이웃하는 지지프레임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프레임결합부재와, 양단이 프레임결합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일단으로 개구된 오목한 제1 홈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1 지지본체와, 상기 제1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막대 형태의 제1 본체와, 상기 제1 홈에 삽입되어 제1 지지본체와 제1 본체 사이에서 가압되는 제1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일단으로 개구된 오목한 제2 홈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2 지지본체와, 상기 제2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막대 형태의 제2 본체와, 상기 제2 홈에 삽입되어 제2 지지본체와 제2 본체 사이에서 가압되는 제2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A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 the form of rods whose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 flexible cover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and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over. A canopy body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The support portion is concave and is open to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frame coupling members into which adjacent support frame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respectively, and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It includes a rotation support portion made of;
The first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body having a rod shape having a concave first groove opened at one end, a first body having a rod shap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1 consists of a first spring pressed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first body;
The second support part includes a second support body having a rod shape having a concave second groove opened at one end, a second body having a rod shap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2 is a canopy device comprising a second spring pressed between a support body and a second body.

Description

캐노피 장치{A Canopy Device}Canopy Device

본 발명은 캐노피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수를 적게하면서 펼침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며, 설치가 용이한 캐노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op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nopy device in which the unfolded state is firmly maintained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캐노피 장치는 상점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비, 눈, 바람 등을 막아주며, 외관을 장식해주는데 사용된다.Canopy devices are installed at the entrances of shops, etc. to prevent rain, snow and wind, and are used to decorate the exterior.

도 1은 종래의 캐노피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캐노피 장치(100)의 프레임부(1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변형된 받침부(160a)를 구비한 도 2의 프레임부(1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다수의 지지프레임(120)이 펼쳐진 상태의 도 2의 프레임부(10)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다수의 지지프레임(120)이 접혀진 상태의 도 2의 프레임부(10)의 측면도이다. 도 1의 캐노피 장치(100)는 고소작업차의 버켓에 설치되는 예로서 설명되고 있으며, 버켓에 설치되어 비, 눈, 바람 등으로부터 막아주는 작용을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anopy device 100,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portion 10 of the canopy device 100 of FIG. 1, and FIG. 3 is a view of FIG. 2 with a modified support 160a.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portion 10 of FIG. 4 is a side view of the frame portion 10 of FIG. 2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20 are unfolded, and FIG. 5 is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20 are folded. It is a side view of the frame part 10 of FIG. The canopy device 100 of FIG. 1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stalled in a bucket of an aerial vehicle, and installed in the bucket to prevent rain, snow, and win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캐노피 장치(100)는 버켓의 상부에 부착되는 메인프레임부(110)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부(110)에 대하여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메인프레임부(110)에 양측 단부가 순차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내지 제 3 지지프레임(120a∼120c) 등의 다수의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부(120)와, 메인프레임부(110)와 지지프레임부(120)를 덮어 씌우도록 배치된 후 하단부는 메인프레임부(110)와 지지프레임부(120)에 부착되는 커버(150a)를 구비한 커버부(15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nventional canopy device 100 includes a main frame unit 110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a bucket, and a main frame unit 110 as shown in FIGS. 4 and 5. A support frame part 120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such as first to third support frames 120a to 120c, in which both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part 110 so as to be unfolded and folded, The lower end part is disposed to cover the frame part 110 and the support frame part 120, and then the lower part is a cover part 150 having a cover 150a attached to the main frame part 110 and the support frame part 120. It is composed.

메인프레임부(110)는 버켓의 상부테두리(2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버켓의 상부에서 버켓에 부착되는 위치에는 작업 공구, 부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부(16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수납부(161)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편(162)이 형성된 받침대(160)와, 받침대(160)의 외측면에 고정 부착되며, 각각의 지지프레임(120a~ 120c)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140)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10a)으로 구성된다.The main frame portion 11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edge 210 of the bucket, the receiving portion 161 is formed in the position attached to the bucket at the top of the bucket to accommodate the work tools, components, etc. A pedestal 160 hav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pieces 162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accommodating part 161 and fixedly attached to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pedestal 160, the support frame 120a to 120c of End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40 is composed of a main frame (110a) each formed on both sides.

메인프레임(110a)에 구성되는 받침대(1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a)의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메인프레임(110a)의 특정 위치에만 형성되는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60)는 상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메인프레임(110a)과 버켓의 테두리가 부착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플랜지(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pedestal 160 of the main frame 110a is form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main frame 110a as shown in FIGS. 2 and 3, or is formed only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main frame 110a. It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In addition, the pedestal 160 may have a flange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protrudes so that the edge of the main frame 110a and the bucket can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longitudinal direction.

메인프레임(110a)은 제 1 내지 제 3 지지프레임(120a∼120c) 등의 다수의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부(120)가 접혀진 경우 지지프레임들을 접혀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고정벨트(15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a는 프레임고정벨트(156)에 의해 커버(150a)가 분리된 캐노피 장치(100)의 프레임부(10)에서 지지프레임부(120)가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프레임고정벨트(156)가 다수의 지지프레임(120a∼120c)을 묶어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고정벨트(156)는 커버(150a)가 분리된 상태로 지지프레임부(120)가 접혀진 상태에서 지지프레임부(120)를 고정한다. 또한 프레임고정벨트(156)는 커버(150a)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프레임부(12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커버(150a)의 하부에서 지지프레임(120a∼120c)들을 서로 묶어서 고정한다. 지지프레임부(120)를 접혀진 상태로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레임고정벨트(156)의 일 예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벨트(156a)와, 버클(156c)을 구비한 제2고정벨트(156b)로 구성된다. The main frame 110a is a frame fixing belt 156 so that the support frames can be fixed in a folded state when the support frame 120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such as the first to third support frames 120a to 120c is fold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5A illustrates a plurality of frame fixing belts 156 such that the support frame portion 120 is fixed in a folded state in the frame portion 10 of the canopy device 100 in which the cover 150a is separated by the frame fixing belt 156. The support frame (120a ~ 120c) of the bundle is fixed. In this case, the frame fixing belt 156 fixes the support frame 120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120 is folded in a state where the cover 150a is separated. In addition, the frame fixing belt 156 bundles and supports the support frames 120a to 120c at the bottom of the cover 150a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120 is folded while the cover 150a is not separated. As an example of the frame fixing belt 156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fixing the support frame unit 120 in a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2, a first fixing belt 156a and a buckle 156c are provided. It consists of two fixing belts 156b.

상술한 메인프레임부(110)의 메인프레임(110a), 작업부(160) 등의 구성은 버켓의 상부테두리에서 일 면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지지프레임부(120)는 커버(150a)가 부착된 경우 작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며, 절곡 형성된 양측 단부는 메인프레임(110a)의 결합부(140)에 힌지 부재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버켓이 상부에서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부(120)를 이루는 지지프레임(120a ~ 120c)들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지는 경우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거나 아치형으로 형성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frame 110a, the working unit 160, etc. of the main frame unit 110 is configured to form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is opened in the upper edge of the bucket. The support frame portion 120 is bent to form a work space when the cover 150a is attached, and both ends of the bent portion are rotatable by a hinge member or the like to the coupling portion 140 of the main frame 110a. Combining sequentially, the bucket is configured to be unfolded and folded at the top. In this case, the support frames 120a to 120c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part 120 are bent or arched to have a 'c' shape so as to form a work space for the worker when the support frame 120a to 120c is unfolded as shown in FIGS. 1 to 5. Is formed.

지지프레임부(120)는 지지프레임부(120)가 펼쳐지는 경우 각각의 지지프레임(120a∼120c)들이 일정 간격 이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띠(170)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띠(170)는 각각의 지지프레임(120a∼120c)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지지프레임(120a∼120c) 각각에 결합된다. 지지프레임부(120)의 각각의 지지프레임(120a∼120c)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띠(170)가 지지프레임(120a∼120c)들을 연결하는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내지 제 3 지지프레임(120a∼120c)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띠(170)는 일정 영역에서 제 1 내지 제 3 지지프레임(120a∼120c)들을 감싼 후 서로 맞닿는 부분이 재봉, 벨크로, 단추, 클리퍼,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메인프레임(110a)과 가장 인접되는 지지프레임(예, 제 3 지지프레임(120c)을 감싼 후 메인프레임(110a)에 연결된 연결띠(170)는 양측 단부가 각각 메인프레임(110a)과 인접된 지지프레임에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다.The support frame unit 120 includes a connection strip 170 for preventing the respective support frames 120a to 120c from being unfol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r more when the support frame unit 120 is unfolded. 170 is coupled to each of the support frames 120a to 120c to connect the respective support frames 120a to 120c with each other. When the connecting strip 170 connecting the support frames 120a to 120c of the support frame unit 120 to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irst to third support frames will be described. The connection band 170 connecting between the 120a to 120c wraps the first to third support frames 120a to 120c in a predetermined area, and then abuts the parts such as sewing, velcro, buttons, clippers, bolts and nuts, and the like. The connecting strips 170 fixed by the fixtures and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10a after wrapping the support frame (for example, the third support frame 120c) closest to the main frame 110a are each main frame ( 110a)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adjacent by the fastener.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띠(170)는 캐노피 장치(100)의 지지프레임부(120)가 펼쳐지는 경우 지지프레임(120a∼120c)들이 일정 간격 이상으로 벌리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지지프레임들의 과도한 펼쳐짐에 의해 커버가 찢기거나 재봉부가 파손되는 등의 커버(150a)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펼쳐지는 지지프레임이 과도하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connection strip 1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xcessively unfolded of the support frames by preventing the support frames 120a to 120c from spreading beyond a predetermined interval when the support frame portion 120 of the canopy device 100 is unfolded. This prevents damage to the cover 150a such as the cover being torn or the sewing unit is broken, as well as preventing the unfolding support frame from being unfolded excessively.

지지프레임부(120)는 일단부는 결합부(140)에 힌지부재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지지프레임부(120)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프레임부(120)의 펼침 및 접힘을 용이하게 하고, 펼쳐지거나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쇼크 업소버 등의 구동장치(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방부(a)를 이루는 위치에 위치되는 제 1 지지프레임(120a)에 일 단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support frame part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40 by a hinge member,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any one support frame of the support frame part 120. It further comprises a drive device 130 such as a shock absorber to facilitate the unfolding and folding of the 120, and to maintain the unfolded or folded state. One end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20a positioned at the position forming the opening part a.

커버부(150)는 커버(150a)가 메인프레임부(110)와 지지프레임부(120)를 덮어 씌우도록 배치된 후 하단부는 메인프레임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지지프레임부(120)의 다수의 지지프레임(120a∼120c)과 접촉되는 면은 지지프레임(120a∼120c)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지지프레임부(120)가 펼쳐지는 경우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된다.The cover part 150 is disposed so that the cover 150a covers the main frame part 110 and the support frame part 120, and the lower end part is detachably fixed to the main frame part 110, and the support frame part (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20a to 120c of the 120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f the support frames 120a to 120c. When the support frame 120 is unfolded, a space portion is formed inward.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캐노피 장치는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연결띠(170)로 지지프레임(120a∼120c)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쇼크 업소버와 같은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고, 접혀진 상태에서 이웃하는 지지프레임(120a∼120c)이 견고하게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the conventional canopy device is not easy to install, and the support frame 120a to 120c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nd 170, a device such as a shock absorber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firmly and be folded. In the st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eighboring support frames 120a to 120c are not kept firmly folded.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0-0013186호 공개특허공보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2010-001318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며, 적은 부품수로도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캐노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nopy device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that the expanded state and the folded state are firmly maintained even with a small number of parts.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는 양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 형태의 복수의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캐노피 본체를 포함하며;A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d-shaped support frame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 flexible cover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and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over. A canopy body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부는 오목하며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되어 이웃하는 지지프레임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프레임결합부재와, 양단이 프레임결합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며;The support portion is concave and is open to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frame coupling members into which adjacent support frame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respectively, and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It includes a rotation support portion made of;

상기 제1 지지부는 일단으로 개구된 오목한 제1 홈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1 지지본체와, 상기 제1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막대 형태의 제1 본체와, 상기 제1 홈에 삽입되어 제1 지지본체와 제1 본체 사이에서 가압되는 제1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The first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body having a rod shape having a concave first groove opened at one end, a first body having a rod shap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1 consists of a first spring pressed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first body;

상기 제2 지지부는 일단으로 개구된 오목한 제2 홈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2 지지본체와, 상기 제2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막대 형태의 제2 본체와, 상기 제2 홈에 삽입되어 제2 지지본체와 제2 본체 사이에서 가압되는 제2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The second support part includes a second support body having a rod shape having a concave second groove opened at one end, a second body having a rod shap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2 consists of a second spring pressed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second body;

상기 프레임부가 펼쳐져 지지프레임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여 180°보다 커지고, 제1 스프링과 제2 스프링은 압축되다가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의 각도가 180°보다 커지면서 압축량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장치를 제공한다.When the frame part is unfolded and the support frame rotates away from each other,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increases and becomes larger than 180 °, and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are compressed, and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re compressed. Provided is a cano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compression decreases as the angle becomes greater than 180 °.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는 양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 형태의 복수의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캐노피 본체를 포함하며;A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d-shaped support frame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 flexible cover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and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over. A canopy body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부는 오목하며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되어 이웃하는 지지프레임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프레임결합부재와, 양단이 프레임결합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며;The support portion is concave and is open to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frame coupling members into which adjacent support frame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respectively, and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It includes a rotation support portion made of;

상기 제1 지지부는 일단으로 개구되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오목한 제1 홈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1 지지본체와, 상기 제1 홈과 마주하도록 개구되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오목한 제3 홈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1 본체와, 상기 제1 지지본체와 제1 본체 사이에서 제1 홈과 제3 홈에 나사 체결되는 제1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며;The first support part is opened in one end, and a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 first support body having a rod shape having a concave first groove formed therein, and a third thread that is opened to face the first groove so that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is formed. A first adjustment member which is screwed to the first groove and the third groove between the first body having a rod shape and the first support body and the first body;

상기 제2 지지부는 일단으로 개구되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오목한 제2 홈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2 지지본체와, 상기 제2 홈과 마주하도록 개구되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오목한 제4 홈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2 본체와, 상기 제2 지지본체와 제2 본체 사이에서 제2 홈과 제4 홈에 나사 체결되는 제2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며;The second support part is opened in one end, and a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upport body in the form of a rod having a concave second groove formed therein, and is opened to face the second groove so that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a concave fourth groove is formed. A second body having a rod shape and a second adjusting member screwed to a second groove and a fourth groove between the second support body and the second body;

상기 프레임부가 펼쳐져 지지프레임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여 180°보다 커지고, 제1 조절부재와 제2 조절부재는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지지본체와 제1 본체 및 제2 지지본체와 제2 본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장치를 제공한다.When the frame part is unfolded and the support frame rotates away from each other,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is increased to be greater than 180 °, and the first adjusting member and the second adjusting member are rotated in the unscrewing direction to thereby first It provides a cano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suppor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far.

상기에서, 제1 지지부에는 프레임결합부재에 결합되는 반대쪽 단부에 외향하여 돌출된 제1 본체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부에는 프레임결합부재에 결합되는 반대쪽 단부에 외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1 본체연장부와 길이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2 본체연장부를 구비하고; In the above,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body extending outwardly protruding to the opposite end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the second support portion protrudes outwardly to the opposite end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the first body A second main body extension portion overlapping the extension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지지부는 제1 본체연장부와 제2 본체연장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한 제2 지지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제2 지지핀을 회전축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in penetrating the first main body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main body extension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re rotatably provided with the second support pin by a rotation axis. do.

상기에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본체연장부 또는 제2 본체연장부에 인접한 부분에 내향 돌출되며 제1 지지부나 제2 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지지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any o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protrudes inward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main body extension or the second main body extension, and the support catch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or the second support An additional feature is provided.

상기에서, 프레임결합부재는 개구된 반대쪽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결합부재연장부를 구비하며; In the above, the frame coupling member has a coupling member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i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and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through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 지지부는 단부에 상기 결합부재연장부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제1 지지결합부를 구비하여, 양측의 결합부재연장부와 제1 지지결합부를 관통하여 삽입된 제1 지지핀에 의하여 제1 지지부는 프레임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The first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ortions at an end thereof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through both coupling member extension portions and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at both ends.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by a support pin;

상기 제2 지지부는 단부에 상기 결합부재연장부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제2 지지결합부를 구비하여, 양측의 결합부재연장부와 제2 지지결합부를 관통하여 삽입된 제1 지지핀에 의하여 제2 지지부는 프레임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upport part includes a second support coupl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arts at an end thereof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arts and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arts on both sides. The second support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by the support pin.

상기에서, 지지프레임(220)은 3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연장부 사이의 길이 방향 간격은 제1 지지결합부와 제2 지지결합부가 모두 위치할 수 있는 거리로 형성되며;In the above, the support frame 220 is provided with three or more, the longitudinal gap between the coupling member exten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distance that can be located both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양측으로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중간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에는 지지프레임이 삽입된 프레임결합부재가 1개 구비되고, 이 프레임결합부재의 결합부재연장부 사이에는 일측이 회전지지부를 이루는 제1 지지결합부나 제2 지지결합부와 타측의 회전지지부를 이루는 제1 지지결합부나 제2 지지결합부가 위치하여, 양측의 회전지지부가 1개의 프레임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frame positioned in the middle having the support frame on both sides is provided with one frame coupling member into which the support frame is inserted, and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having one side between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arts of the frame coupling member forms a rotational support. A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or a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constituting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rotation support portion is loc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able support portions on both sides rotatably coupled to one frame coupling member.

상기에서, 제1 지지결합부는 단부에 길이 방향 일측으로 제1 지지턱부를 형성하며 연장되고, 제2 지지결합부도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1 지지턱부가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2 지지턱부를 형성하며 연장되어, 제1 지지턱부와 제2 지지턱부는 각각 결합부재연장부의 외면과 마주하고; 중간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이 삽입된 프레임결합부재에 함께 결합되는 제1 지지부나 제2 지지부의 제1 지지턱부와 제2 지지턱부는 제1 지지결합부나 제2 지지결합부의 외면에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extends to form an end of the first support jaw i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also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support jaw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jaw portion Forming and extending, the first supporting jaw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jaw portion respectively facing outer surfaces of the engaging member extension portion; The first support jaw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jaw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or the second support portion coupled together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having the intermediate support frame inserted therein may face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or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It is done.

상기에서, 지지프레임 중 외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에는 프레임관통공이 형성되고;In the above, the fram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support fram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벽체에 고정되어 캐노피 본체가 설치되는 설치부재를 더 포함하며;A fixing member fixed to the wall to which the canopy body is installed;

상기 설치부재는 벽체에 고정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설치부재와, 상기 제1 설치부재의 전방으로 위치하며 제1 설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이 형성된 제2 설치부재와, 상기 제1 설치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제1 설치부재와 제2 설치부재를 차례로 관통하고 프레임의 프레임관통공을 지나 전방에 돌출된 볼트와 돌출된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지며;The installation member is fixed to the wall and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and slidably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and penetr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 second mounting member having a length having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bolt and protrusion protruding forward through the frame through-hole of the frame and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member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member; Consisting of a nut fastened to the bolt;

상기 제1 설치부재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나 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2 설치부재에는 제1 설치부재의 돌기나 홈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홈이나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2 설치부재는 제1 설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is formed with at least one projection or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is coupled to the projection or groove of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and at least one groove or projec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The second mounting member may be slidably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ount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는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캐노피 장치를 이루는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견고하고 일정하게 유지되며 펼친 상태에서는 물론 접힌 상태에서 서로의 상대 회전이 억제되며, 이웃하는 프레임에서 부품이 공유되므로 부품수를 줄이고 작용도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e spacing between the frames constituting the canopy device is kept firm and constant, and the relative rotation of each other in the unfolded state as well as the folded state is suppressed, and the parts in the neighboring frames This sharing reduces the number of parts and has the effect of smooth operation.

도 1은 종래의 캐노피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캐노피 장치의 프레임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변형된 받침부를 구비한 도 2의 프레임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다수의 지지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의 도 2의 프레임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다수의 지지프레임이 접혀진 상태의 도 2의 프레임부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의 캐노피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를 이루는 설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anopy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portion of the canopy device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portion of FIG. 2 with a modified support,
4 is a side view of the frame part of FIG. 2 with a plurality of supporting frames unfolded;
5 is a side view of the frame part of FIG. 2 with a plurality of supporting frames fold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nopy body of the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a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support provided in the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support provided in the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6;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member constituting the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upport provided in the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의 캐노피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를 이루는 설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에 구비되는 지지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nopy body of a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a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support provided in the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upport provided in the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installation member constituting the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 portion of the support provided in the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6에서 지지프레임(220)의 연장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며, 캐노피 본체(C)의 오목한 부분을 "내측"이라 하고, 그 반대 반향을 "외측"이라고 하며, 도 12에서 제1 설치부재(420)에서 제2 설치부재(43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In FIG. 6,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20 is referred to as the “length direction”, the concave portion of the canopy body C is referred to as “inside”,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outside”, and the first installation is illustrated in FIG. 12. The direction from the member 420 toward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430 is referred to as "front",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rear".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캐노피 장치는 캐노피 본체(C)와 설치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캐노피 본체(C)는 설치부재(400)에 의하여 건물의 벽체 등에 고정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 6 and 12, the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sists of a canopy body (C) and the installation member 400. The canopy body (C) is fix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etc. by the installation member 400.

상기 캐노피 본체(C)는 프레임부(200)와, 커버와, 지지부(300)로 이루어진다. 도 6에서 본 발명 캐노피 장치를 이루는 커버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노피 본체(C)가 펼쳐지는 경우, 캐노피 본체(C)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거나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The canopy body C includes a frame part 200, a cover, and a support part 300. In FIG. 6, the cov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opy device is omitted. As shown in FIG. 6, when the canopy main body C is unfolded, the canopy main body C is bent or arched in a 'c' shape.

상기 프레임부(200)는 양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 형태의 복수의 지지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거나 아치형으로 형성된다.The frame part 2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220 of a rod shape that both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support frame 220 is bent or formed in an 'c' shape.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220) 중에서 가장 외측에 구비되며, 벽체의 전방에서 설치부재(400)가 결합되어 건물의 벽체 등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을 메인프레임(210)이라고 한다.A support frame which is provid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220 and fixed to a wall of the building by being coupled to the installation member 400 in front of the wall is called a main frame 2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메인프레임본체(211)와 메인프레임 연결부재(213)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1, the main frame 210 includes a main frame body 211 and a main frame connecting member 213.

상기 메인프레임본체(211)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거나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본체(211)는 중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frame body 2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bent in the '' 'shape or is formed in an arch shape. The main frame body 211 may be made of a hollow body.

상기 메인프레임 연결부재(213)는 상기 메인프레임본체(211)의 양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 연결부재(213)는 리벳 등의 프레임 결합수단으로 상기 메인프레임본체(211)의 양단부에 결합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 연결부재(213)는 메인프레임(210)이 이웃하는 지지프레임(22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The main frame connecting member 213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ain frame body 211. The main frame connecting member 213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in frame body 211 by frame coupling means such as rivets. The main frame connecting member 21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220 adjacent to the main frame 210.

상기 메인프레임 연결부재(213)는 이웃하는 지지프레임(220)을 향하여 돌출된 메인돌출부(213-1)와, 메인프레임본체(2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설치공(213-5)이 형성된 메인연결연장부(2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돌출부(213-1)는 메인프레임본체(211)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 형성된다.The main frame connecting member 213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protrusion 213-1 and the main frame body 211 protruding toward the neighboring support frame 220, and the installation hole 213 penetr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5) is formed of the main connection extension (213-3) formed. The main protrusions 21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body 211.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막대 형태의 지지프레임본체(221)와 지지프레임 연결부재(223)로 이루어진다.The support frame 220 is composed of a rod-shaped support frame body 221 and the support frame connecting member 223.

상기 지지프레임본체(221)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거나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본체(221)는 중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frame body 2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bent in the '' 'shape or is formed in an arch shape. The support frame body 221 may be made of a hollow body.

상기 지지프레임 연결부재(223)는 상기 지지프레임본체(221)의 양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 연결부재(223)는 리벳 등의 프레임 결합수단(225)으로 상기 지지프레임본체(221)의 양단부에 결합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 연결부재(223)는 이웃하는 지지프레임(220) 및 메인프레임(2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The support frame connecting member 223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body 221. The support frame connecting member 223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body 221 by frame coupling means 225 such as rivets. The support frame connecting member 22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support frame 220 and the main frame 210.

상기 지지프레임 연결부재(223)는 이웃하는 지지프레임(220) 또는 메인프레임(210)을 향하여 일측으로 돌출된 프레임제1연장부(223-3)와, 이웃하는 지지프레임(220)을 향하여 타측으로 돌출된 프레임제2연장부(223-1)으로 이루어진다.The support frame connecting member 223 is provided toward the neighboring support frame 220 or the main frame 210. The first extension part 223-3 protrudes toward one side and the other support frame 220 toward the neighboring support frame 220. It consists of a frame second extension portion 223-1 protruding to the side.

상기 프레임제2연장부(223-1)는 지지프레임본체(221)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제1연장부(223-3)는 이웃하는 지지프레임(220)의 프레임제2연장부(223-1) 또는 메인프레임(210)의 메인돌출부(213-1) 사이로 삽입되어 구비된다.The frame second extension parts 22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body 221 and are formed two. The frame first extension part 223-3 is inserted between the frame second extension part 223-1 of the neighboring support frame 220 or the main protrusion 213-1 of the main frame 210.

상기 메인프레임(210)과 프레임제1연장부(223-3) 및 프레임제2연장부(223-1)와 프레임제1연장부(223-3)는 제3 지지핀(230)이 관통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 third support pin 230 penetrates the main frame 210, the frame first extension part 223-3, the frame second extension part 223-1, and the frame first extension part 223-3. Rotatably coupled.

상기 메인프레임(210)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20)의 지지프레임 연결부재(223)는 상기 프레임제2연장부(223-3)만 구비된다.The support frame connecting member 223 of the support frame 220 positioned at the furthest position from the main frame 210 is provided with only the frame second extension portion 223-3.

상기 커버는 상기 프레임부(200)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는 상기 프레임(200)부를 덮어 씌우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버는 전후 방향의 양단부가 메인프레임(210)과 메인프레임(210)으로부터 가장 먼 쪽의 지지프레임(220)에 결합되어 구비된다.The cover is coupled to the frame part 200. The cover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cover is provided to cover the frame 200. Both ends of the cover are coupled to the main frame 210 and the support frame 220 farthest from the main frame 21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커버의 내측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부(200)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프레임부(200)의 길이 방향 중심부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300)는 프레임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6, the support part 300 is coupled to the frame part 200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over. The support part 300 is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part 200. The support part 3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part 200.

상기 지지부(300)는 프레임결합부재(330)와 회전지지부로 이루어진다.The support 300 is composed of a frame coupling member 330 and the rotation support.

상기 지지부(300)의 프레임결합부재(330)는 지지프레임(2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고, 회전지지부는 이웃하는 지지프레임(220) 사이에 각각 1개씩 구비된다.The frame coupling members 330 of the support part 300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support frames 220, and one rotation support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neighboring support frames 220.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부(200)가 2개의 지지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지지부(300)는 2개의 프레임결합부재(330)와 1개의 회전지지부로 이루어지고, 3개의 지지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3개의 프레임결합부재(330)와 2개의 회전지지부로 이루어진다.For example, when the frame part 200 is composed of two support frames 220, the support part 300 is composed of two frame coupling members 330 and one rotation support part, and three support frames 220. ) Is composed of three frame coupling member 330 and two rotational suppor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결합부재(330)는 오목하며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결합부재(330)는 단면이 "U"자 형인 분지된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양측 및 단부로 개구된다. 상기 프레임결합부재(330)는 이웃하는 지지프레임(220)에 각각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결합부재(330)는 분지된 부분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공(330-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결합부재(330)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이 삽입된 후 분지된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330-1)에 분지된 양측의 결합공(330-1)을 지나는 볼트가 체결되어 지지프레임(220)이 프레임결합부재(3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As shown in FIG. 7,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is formed to be concave and open to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is formed in a branched form having a cross-section "U" shape and is open to both sides and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ame coupling members 330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frame 220 adjacent to each other.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has a coupling hole 330-1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ranched portion.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is bolted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s 330-1 of both sides branched to the coupling hole 330-1 formed at the branched end after the support frame 22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frame The 22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상기 프레임결합부재(330)에는 개구된 반대쪽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결합부재연장부(331)가 구비된다. 서로 이격된 양측의 결합부재연장부(331) 사이에는 회전지지부의 단부가 위치된다. 상기 프레임결합부재(330)와 회전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재연장부(331)와 회전지지부의 단부를 관통하여 삽입된 제1 지지핀(340)에 의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extension part 331 which protrude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and is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nd of the rotation support part is position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arts 331 on both si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and the rotation support part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support pin 340 inserted through the end of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art 331 and the rotation support part.

상기 회전지지부는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지지부는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는 상기 프레임결합부재(33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rotation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310 and a second support part 320. The rotation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310 and a second support part 320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respectively.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310)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310)의 일단은 상기 제2 지지부(3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결합부재(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 7 to 9,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d.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3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320,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상기 제1 지지부(310)는 제1 지지본체(313)와, 제1 본체(311)와, 제1 스프링(315)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support part 310 includes a first support body 313, a first body 311, and a first spring 315.

상기 제1 지지본체(313)는 일단으로 개구된 오목한 제1 홈(313-3)이 형성된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본체(313)는 상기 제1 홈(313-3)의 단부에 제1 지지본체(313)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 걸림턱(313-5)이 형성된다.The first support body 31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having a concave first groove 313-3 open to one end. The first support body 313 has a first locking step 313-5 protruding inwardly of the first support body 313 at the end of the first groove 313-3.

상기 제1 본체(311)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 본체(311)에는 상기 제1 홈(313-3)을 향하는 턱면을 형성하며 연장된 제1 지지연장부(311-5)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연장부(311-5)는 상기 제1 홈(31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1 지지연장부(311-5)의 단부에는 외향 돌출된 제1 걸림돌기(311-7)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걸림돌기(311-7)는 상기 제1 홈(313-3)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걸림턱(313-5)에 걸리도록 구비된다.The first body 31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d. The first main body 311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extension portion 311-5 extending to form a jaw surface facing the first groove 313-3. The first support extension part 311-5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313-3. An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extension portion 311-5 is formed with a first locking protrusion 311-7 protruding outwar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311-7 is provided to b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jaw 313-5 inside the first groove 313-3.

상기 제1 스프링(315)은 상기 제1 홈(313-3)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스프링(315)은 상기 제1 지지본체(313)와 제1 지지연장부(311-5) 사이에서 가압 구비된다.The first spring 315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313-3 and provided. The first spring 315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ody 313 and the first support extension portion 311-5.

상기 제2 지지부(320)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부(320)의 일단은 제1 지지부(3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결합부재(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econd support part 3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3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상기 제2 지지부(320)는 제2 지지본체(323)와, 제2 본체(321)와, 제2 스프링(325)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support part 320 includes a second support body 323, a second body 321, and a second spring 325.

상기 제2 지지본체(323)는 일단으로 개구된 오목한 제2 홈(323-3)이 형성된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본체(323)는 상기 제2 홈(323-3)의 단부에 제2 지지본체(323)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2 걸림턱(323-5)이 형성된다.The second support body 32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formed with a concave second groove 323-3 opened in one end. The second support body 323 has a second locking step (323-5) protruding inward of the second support body 323 at the end of the second groove (323-3).

상기 제2 본체(321)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2 본체(321)에는 상기 제2 홈(323-3)을 향하는 턱면을 형성하며 연장된 제2 지지연장부(321-5)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연장부(321-5)는 상기 제2 홈(32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2 지지연장부(321-5)의 단부에는 외향 돌출된 제2 걸림돌기(321-7)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걸림돌기(321-7)는 상기 제2 홈(323-3)의 내측에서 상기 제2 걸림턱(323-5)에 걸리도록 구비된다.The second body 32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d. The second main body 321 is provided with a second support extension portion 321-5 extending to form a jaw surface facing the second groove 323-3. The second support extension part 321-5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323-3. A second locking protrusion 321-7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support extension portion 321-5.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21-7 is provided to be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jaw 323-5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groove 323-3.

상기 제2 스프링(325)은 상기 제2 홈(323-3)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프링(325)은 상기 제2 지지본체(323)와 제2 지지연장부(321-5) 사이에서 가압 구비된다.The second spring 32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323-3 and provided. The second spring 325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ody 323 and the second support extension portion 321-5.

상기 제1 지지부(310)에는 상기 제2 지지부(320)와 결합되는 단부에 제1 본체연장부(313-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본체연장부(313-1)는 상기 제1 지지본체(313)의 단부에 외향하여 돌출 구비된다. 상기 제1 본체연장부(313-1)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The first support part 310 is provided with a first body extension part 313-1 at an end coupled with the second support part 320. The first body extending portion 313-1 protrudes outwardly from an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body 313. The first body extending portion 313-1 is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2 지지부(320)에는 상기 제1 지지부(310)와 결합되는 단부에 제2 본체연장부(323-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본체연장부(323-1)는 상기 제2 지지본체(323)의 단부에 외향하여 돌출 구비된다. 상기 제2 본체연장부(323-1)는 이격 구비된 제1 본체연장부(313-1) 사이로 삽입 구비된다. 상기 제2 본체연장부(323-1)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313-1)와 길이 방향으로 중첩되어 구비된다.The second support part 320 is provided with a second body extension part 323-1 at an end coupled with the first support part 310. The second main body extending part 323-1 protrudes outward from an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body 323. The second main body extending part 323-1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main body extending parts 313-1 provided at a distance. The second main body extending part 323-1 overlaps the first main body extending part 31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313-1)와 제2 본체연장부(323-1)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한 제2 지지핀(317)을 더 포함하여, 제2 지지핀(317)을 회전축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first suppo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320 is th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upport pin 317 penetrating the first main body extending portion (313-1) and the second main body extending portion (32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supporting pins (317) to each other in the rotation axis It is provided rotatably.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프레임부(200)가 펼쳐져 지지프레임(22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여 180°보다 커지고, 제1 스프링(315)과 제2 스프링(325)은 압축되다가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 사이의 각도가 180°보다 커지면서 압축량이 감소하며 회전지지부 및 프레임부(200)가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When the frame support 200 is extended and the support frame 220 rotates away from each other, the rotation support part increases an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to be greater than 180 °. While the spring 315 and the second spring 325 are compressed, the amount of compression decreases a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is greater than 180 °, and the rotation support part and the frame part 200 are unfolded. Is maintained firmly.

상기 회전지지부는 제1 본체연장부(313-1)와 제2 본체연장부(323-1)가 구비되고, 제1 본체연장부(313-1)와 제2 본체연장부(323-1)가 제2 지지핀(317)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가 제1 본체연장부(313-1)와 제2 본체연장부(323-1)의 돌출 방향인 도 9의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가 서로 평행한 각도가 될 때까지 회전될 수 있으며, 제1 본체연장부(313-1)와 제2 본체연장부(323-1)의 돌출 반대 방향인 도 9의 "B"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가 서로 간섭되어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제한된다.The rotation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main body extending part 313-1 and a second main body extending part 323-1, and a first main body extending part 313-1 and a second main body extending part 32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in 317, so that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are the first body extension part 313-1 and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323-1. When rotating in the direction "A" of FIG. 9, which is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the first body extension part 313-may be rotated until the angl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When rotating in the direction “B” of FIG. 9, which i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sion of 1) and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323-1,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may rotate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angle is limited.

도 9에서 제2 지지부(320)에는 제2 본체연장부(323-1)가 돌출된 단부에 경사진 제2 턱부(323-2)가 형성되어 제1 지지부(310)의 제1 본체연장부(313-1)의 외면이 제2 턱부(323-2)에 걸리면서 회전이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300)는 일방향(도 9의 "A" 방향)으로는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가 나란하거나 단부가 서로 접하는 각도까지 회전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반대로 회전하는 방향(도 9의 "B"방향)으로는 제2 턱부(323-2)에 제1 본체연장부(313-1)가 접하여 걸리면서 180°보다 10°정도 큰 각도까지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In FIG. 9, a second jaw portion 323-2 that is inclined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at the end where the second body extension portion 323-1 protrudes, such that the first body extension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is formed. Rotation is restricted while the outer surface of 313-1 is caught by the second jaw portion 323-2. The support pa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tated to an angle in which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are parallel to each other or end portions thereof in one direction (“A” direction of FIG. 9), and in this s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B" in FIG. 9), the first main body extension part 313-1 is caught in contact with the second jaw part 323-2 and rotates only up to an angle of about 10 ° greater than 180 °. Will be.

상기 제2 지지본체(232)의 일측 단부에는 내향 돌출된 지지걸림부(323-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걸림부(323-4)는 상기 제1 본체연장부(313-1)와 인접한 부분에서 내향 돌출된다. 상기 지지걸림부(323-4)는 제2 지지부(32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다.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body 232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catching portion (323-4) protruding inward. The support catching portion 323-4 protrudes inward from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body extending portion 313-1. The support catching portion 323-4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상기 지지걸림부(323-4)는 상기 제1 지지부(310)의 단부에 내향 돌출되어 상기 지지걸림부(323-4)는 상기 제2 본체연장부(323-1)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support catching portion 323-4 protrudes inwardly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so that the support catching portion 323-4 is provid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main body extending portion 323-1. It may be.

상기 지지걸림부(323-4)의 통공에는 와이어(wire)가 관통되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결합부재(330)에는 프레임결합부재(330)로부터 내향 돌출되어 지지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걸림보조부(도시하지 않음)가 더 포함될 수 있다.A wire is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catching portion 323-4.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aid (not shown) which protrudes inward from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300.

상기 와이어는 상기 메인프레임(210)부터 메인프레임(210)으로부터 가장 멀리 외측에 있는 지지프레임(220)까지 걸림보조부와 지지걸림부(232-4)를 번갈아 관통하여 구비된다.The wire is alternately penetrated through the locking aid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locking portion 232-4 from the main frame 210 to the supporting frame 220 at the outermost side from the main frame 210.

상기 캐노피 장치가 펼쳐져 있을 때, 캐노피 장치는 상기 지지걸림부(323-4)와 걸림보조부를 관통하는 와이어를 내측으로 당기면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의 단부가 내측으로 당겨지며 캐노피 장치가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접히게 된다.When the canopy device is unfolded, the canopy device pulls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support catching portion 323-4 and the catching aid portion inward, and the end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are pulled inward. The canopy device is easily folded with little force.

상기 제1 지지부(310)의 타측 단부인 제1 본체(311)에는 제1 지지결합부(311-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결합부(311-1)는 제1 본체(311)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 일측으로 제1 지지턱부(311-3)를 형성하며 연장된다. 상기 제1 지지결합부(311-1)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결합부(311-1)는 상기 결합부재연장부(33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지지결합부(311-1)와 양측의 결합부재연장부(331)는 제1 지지핀(340)이 관통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rst support coupling part 311-1 is provided at the first main body 311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310.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311-1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body 311 to form a first support jaw portion 311-3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311-1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support coupling part 311-1 is position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art 331.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311-1 and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ortions 331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311-1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support pin 340.

상기 제2 지지부(320)의 타측 단부인 제2 본체(321)에는 제2 지지결합부(321-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결합부(321-1)는 제2 본체(321)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 일측으로 제2 지지턱부(321-3)를 형성하며 연장된다. 상기 제2 지지결합부(321-1)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결합부(321-1)는 상기 결합부재연장부(33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지지결합부(321-1)와 양측의 결합부재연장부(331)는 제1 지지핀(340)이 관통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 second support coupling part 321-1 is provided at the second main body 321,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320.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321-1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cond body 321 to form a second support jaw portion 32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321-1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321-1 is position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ortions 331.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321-1 and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ortions 331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321-1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support pin 340.

상기 지지프레임(220)이 3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연장부(331) 사이의 길이 방향 간격은 제1 지지결합부(311-1)와 제2 지지결합부(321-1)가 모두 위치할 수 있는 거리로 형성된다.When the support frame 220 is provided with three or more, the longitudinal gap between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ortion 331 is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311-1 and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321-1 All are formed to be a distance that can be located.

양측으로 지지프레임(220)을 구비하는 중간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20)에는 지지프레임(220)이 삽입된 프레임결합부재(330)가 1개 구비되고, 이 프레임결합부재(330)의 결합부재연장부(331) 사이에는 일측이 회전지지부를 이루는 제1 지지결합부(311-1)와 타측의 회전지지부를 이루는 제2 지지결합부(321-1)가 위치하여, 양측의 회전지지부가 1개의 프레임결합부재(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upport frame 220 positioned in the middle having the support frame 220 at both sides is provided with one frame coupling member 330 into which the support frame 220 is inserted, and the coupling member of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Between the extension part 331, a first support coupling part 311-1 forming one side of the rotating support part and a second support coupling part 321-1 forming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upport part are located, and the rotary support parts of both sides are 1. Rotatably coupled to the two frame coupling members 330.

또한, 중간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20)이 삽입된 프레임결합부재(330)의 결합부재연장부(331) 사이에는 일측이 회전지지부를 이루는 제2 지지결합부(321-1)와 타측의 회전지지부를 이루는 제2 지지결합부(321-1)가 위치하거나, 일측이 회전지지부를 이루는 제1 지지결합부(311-1)와 타측의 회전지지부를 이루는 제1 지지결합부(311-1)가 위치하여 양측의 회전지지부가 1개의 프레임결합부재(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coupling member extending portion 331 of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in which the support frame 220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321-1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rotate.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art 321-1 constituting the support part is positioned, or the first support coupling part 311-1 forming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coupling part 311-1 and the other side rotating support part. Is locate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frame coupling member 330.

상기 제1 본체(311)의 단부에 형성된 제1 지지결합부(311-1)와 상기 제2 본체(321)의 단부에 형성된 제2 지지결합부(321-1)는 서로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제1 지지턱부(311-3)와 제2 지지턱부(321-3)를 형성하며 연장된다.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311-1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321-1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body 321 may be formed in the same length direction. The first supporting jaw portion 311-3 and the second supporting jaw portion 321-3 are formed to extend.

상기 제1 지지턱부(311-3)와 제2 지지턱부(321-3)는 각각 결합부재연장부(331)의 외면과 마주하여 구비된다. 3개 이상의 지지프레임(220)이 구비되는 프레임부(200)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20)이 삽입된 프레임결합부재(330)에 함께 결합되는 제1 지지부(310) 또는 제2 지지부(320)의 제1 지지턱부(311-3)와 제2 지지턱부(321-3)는 제1 지지결합부(311-1)나 제2 지지결합부(321-1)의 외면에 마주하여 구비된다.The first support jaw portion 311-3 and the second support jaw portion 321-3 are provided to face the outer surfaces of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ortion 331, respectively. The first support part 310 or the second support part coupled together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into which the support frame 220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rame part 200 having three or more support frames 220 is inserted ( The first support jaw portion 311-3 and the second support jaw portion 321-3 of the 320 are provided fac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311-1 or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321-1. do.

예를 들어, 상기 제2 지지부(320)의 제2 지지턱부(321-3)는 결합부재연장부(331)의 외면과 마주하여 구비되고, 제1 지지부(310)의 제1 지지턱부(311-3)는 제2 지지결합부(321-1)의 외면에 마주하여 구비된다.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jaw portion 321-3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is provided to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ortion 331, and the first support jaw portion 311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is provided. -3) is provided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321-1).

상기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의 변형 예로서, 상기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에는 스프링(315, 325) 대신 조절부재(316, 326)가 구비된다.A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are provided with adjustment members 316 and 326 instead of springs 315 and 325. do.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310)는 제1 지지본체(313)와, 제1 본체(311)와, 제1 조절부재(316)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3, the first support part 310 includes a first support body 313, a first body 311, and a first adjustment member 316.

상기 제1 지지본체(313)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본체(313)에는 일단으로 개구된 오목한 제1 홈(313-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홈(313-3)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first support body 31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d. The first support body 313 is formed with a concave first groove 313-3 which is opened in one end, and a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groove 313-3.

상기 제1 지지부(310)의 제1 본체(311)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 본체(311)에는 상기 제1 홈(313-3)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한 제3 홈(311-9)이 형성되며, 상기 제3 홈(311-9)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3 홈(311-9)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기 제1 홈(313-3)에 형성된 나사산과 반대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홈(313-3)에 형성된 나사산이 정나사 형태로 형성되면, 제3 홈(311-9)에 형성된 나사산은 역나사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body 311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d. The first body 311 is formed with a concave third groove 311-9 opened toward the first groove 313-3, and a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hird groove 311-9. . The thread formed in the third groove 311-9 is formed to be opposite to the thread formed in the first groove 313-3. For example, when the thread formed in the first groove 313-3 is formed in the form of a forward screw, the thread formed in the third groove 311-9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verse screw.

상기 제1 조절부재(316)는 상기 제1 지지본체(313)와 제1 본체(31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조절부재(316)는 제1 볼트조절부(316-1)와 제1 조절부(31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조절부(316-3)는 제1 볼트조절부(316-1)를 중심으로 제1 볼트조절부(316-1)의 양측에서 제1 지지부(31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볼트조절부(315-1)의 양측으로 구비된 제1 조절부(316-3) 중 하나는 정나사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역나사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볼트조절부(316-1)의 양측으로 구비된 제1 조절부(316-3)는 상기 제1 홈(313-3)과 제3 홈(311-9)에 각각 나사 체결된다.The first adjusting member 316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ody 313 and the first body 311. The first adjusting member 316 is composed of a first bolt adjusting part 316-1 and a first adjusting part 316-3. The first adjusting part 316-3 ext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310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bolt adjusting part 316-1 with respect to the first bolt adjusting part 316-1 and has an outer surface. Threads are formed in the One of the first adjusting units 316-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olt adjusting unit 315-1 is formed as a forward screw, and the other is formed as a reverse thread. The first adjusting part 316-3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bolt adjusting part 316-1 is screwed into the first groove 313-3 and the third groove 311-9, respectively.

상기 제2 지지부(320)는 제2 지지본체(323)와, 제2 본체(321)와, 제2 조절부재(326)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support part 320 includes a second support body 323, a second body 321, and a second adjustment member 326.

상기 제2 지지본체(323)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본체(323)에는 일단으로 개구된 오목한 제2 홈(323-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홈(323-3)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second support body 32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d. The second support body 323 is formed with a concave second groove 323-3 open to one end, and a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roove 323-3.

상기 제2 지지부(320)의 제2 본체(321)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2 본체(321)에는 상기 제2 홈(323-3)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한 제4 홈(321-9)이 형성되며, 상기 제4 홈(321-9)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4 홈(321-9)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기 제2 홈(323-3)에 형성된 나사산과 반대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홈(323-3)에 형성된 나사산이 정나사 형태로 형성되면, 제4 홈(321-9)에 형성된 나사산은 역나사 형태로 형성된다.The second body 321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d. The second main body 321 is formed with a concave fourth groove 321-9 which is open toward the second groove 323-3, and a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ourth groove 321-9. . The thread formed in the fourth groove 321-9 is formed to be opposite to the thread formed in the second groove 323-3. For example, when the thread formed in the second groove 323-3 is formed in the form of a forward screw, the thread formed in the fourth groove 321-9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verse screw.

상기 제2 조절부재(326)는 상기 제2 지지본체(323)와 제2 본체(32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조절부재(326)는 제2 볼트조절부(326-1)와 제2 조절부(32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조절부(326-3)는 제2 볼트조절부(326-1)를 중심으로 제2 볼트조절부(326-1)의 양측에서 제2 지지부(32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볼트조절부(326-1)의 양측으로 구비된 제2 조절부(326-3) 중 하나는 정나사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역나사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볼트조절부(326-1)의 양측으로 구비된 제2 조절부(326-3)는 상기 제2 홈(323-3)과 제4 홈(321-9)에 각각 나사 체결된다.The second adjustment member 326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ody 323 and the second body 321. The second adjusting member 326 includes a second bolt adjusting part 326-1 and a second adjusting part 326-3. The second adjusting part 326-3 ext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 320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bolt adjusting part 326-1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lt adjusting part 326-1 and has an outer surface. Threads are formed in the One of the second adjusting units 326-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olt adjusting unit 326-1 is formed as a forward screw, and the other is formed as a reverse thread. The second adjusting part 326-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olt adjusting part 326-1 is screwed to the second groove 323-3 and the fourth groove 321-9, respectively.

상기 조절부재(316, 326)는 체결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본체(313, 323)와 본체(311, 32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며, 상기 조절부재(316, 326)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본체(313, 323)와 본체(311, 32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When the adjustment member (316, 326)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loose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y (313, 323) and the main body (311, 321) is far,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ustment member (316, 326) is fastened The rotation make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ies 313 and 323 and the main bodies 311 and 321 close.

상기 제1 조절부재(316)와 제2 조절부재(326)가 구비된 회전지지부는 상기 캐노피 장치가 펼쳐지면 상기 조절부재(316, 326)를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2 지지본체(313, 323)와 제1,2 본체(311, 321)가 서로 멀어지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재(316, 326)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캐노피 본체(C)에 구비되는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팽팽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에 손상이 가더라도 조절부재(316, 326)에 의해 캐노피 본체(C)의 형태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The rotation support part provided with the first adjustment member 316 and the second adjustment member 326 rotates in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adjustment members 316 and 326 when the canopy device is unfolded to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odies 313. 323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311 and 32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djusting the adjusting members 316 and 326, a cover (not shown) provided in the canopy body C may be tightly installed. In addition, even if the cover is damaged, the shape of the canopy body (C) is maintained by the adjustment members (316, 326).

상기 설치부재(400)는 메인프레임(210)의 프레임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재(400)를 매개로 상기 캐노피 본체(C)가 벽체에 고정되며 설치된다.The installation member 400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a frame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main frame 210 is formed. The canopy body C is fixed to a wall and installed through the installation member 400.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부재(400)는 제1 설치부재(420)와, 제2 설치부재(430)와, 체결부재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2, the installation member 400 includes a first installation member 420, a second installation member 430, and a fastening member.

상기 제1 설치부재(420)는 판상의 제1 설치본체(421)로 이루어진다.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420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first installation body 421.

상기 제1 설치본체(421)의 후면에는 제1 본체돌기(429)와 제1 본체홈(4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본체돌기(429)는 후방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본체돌기(429)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제1 본체홈(422)은 상기 제1 본체돌기(429)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본체홈(422)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A first body protrusion 429 and a first body groove 422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installation body 421. The first body protrusion 429 protrudes rearward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body protrusions 429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spaced vertically. The first body groove 422 is concavely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protrusions 429. The first body groove 422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 설치본체(421)의 정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돌기와 제1 홈부(427)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제1 돌기(423)와 제2 돌기(425)로 이루어진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first grooves 427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installation body 421. The protrusion is composed of a first protrusion 423 and a second protrusion 425.

상기 제1 돌기(423)는 상기 제1 설치본체(421)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돌기(423)는 전방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돌기(423)에는 턱면인 제1 지지돌기지지면(4235)을 형성하며 전방으로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돌기돌출부(4231)가 구비된다. 상기 제1돌기돌출부(4231)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한 제1돌기홈부(4233)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홈부(4233)는 상기 제1돌기돌출부(4231)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protrusion 423 is provided below the first installation body 421. The first protrusion 423 protrudes forward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protrusion 423 is provided with a first protrusion protrusion 4231 which forms a first support protrusion base 4235 which is a jaw surface and protrudes forward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ower concave first protrusion groove portion 4333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protrusion 4231. The first protrusion groove 4333 may b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protrusion 4231.

상기 제2 돌기(425)는 상기 제1돌기(423)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제1 설치본체(42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돌기(425)는 전방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돌기(425)에는 턱면인 제2 지지돌기지지면(4253)을 형성하며 전방으로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돌기연장부(425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돌기연장부(4251)는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돌기연장부(4251)의 정면에는 제2 설치부재(430)와 마주하며 나란한 제1 연장지지면(4251a)이 형성된다.The second protrusion 425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stallation body 421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protrusion 423. The second protrusion 425 protrudes forward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projection 425 is provided with a first projection extension portion 4251 which protrudes forward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econd support projection ground surface 4403 which is a jaw surface. The first protrusion extension portion 4251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extension portion 4251 is formed with a first extension support surface 4251a facing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430 and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제1 홈부(427)는 상기 제1 돌기(423)와 제2 돌기(425)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홈부(427)는 상기 제1 돌기(423)와 제2 돌기(425)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홈부(427)에는 전후방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홈부(427)에는 상기 관통공의 길이 방향 양측에 전후방으로 관통된 제1 설치공(4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설치공(424)은 제1본체홈(422)이 형성된 위치로 관통 형성된다.The first groove 427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423 and the second protrusion 425. The first groove 427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423 and the second protrusion 425 to be concave. The first groove 427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penetrating back and forth. The first groove 427 is formed with first installation holes 424 penetrating back and forth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The first installation hole 424 is formed to penetrate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body groove 422 is formed.

상기 제1 설치부재(420)는 나사못이 상기 제1 설치공(424)을 관통하여 벽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설치부재(420)가 벽체에 고정된다. 나사못 체결시 후면에 구비된 상기 제1본체돌기(429)는 탄성체로 작용하여 벽체에 안정되게 고정된다.The first mounting member 420 is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wall through the first installation hole 424 and the first mounting member 420 is fixed to the wall. When the screw is fastened, the first body protrusion 429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acts as an elastic body and is stably fixed to the wall.

상기 제2 설치부재(430)는 판상의 제2 설치본체(4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설치본체(431)는 상기 제1 설치본체(421)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제2 설치부재(430)는 상기 제1 설치부재(42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430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second installation body 431. The second installation body 43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irst installation body 421.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430 is provided to b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420.

상기 제2 설치본체(431)의 후면에는 복수의 돌기와 제2 본체홈(437)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 second body groove 437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installation body 431.

상기 돌기는 제3 돌기(433)와 제4 돌기(4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돌기(433)와 제4 돌기(435)는 제2 설치본체(43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3 돌기(433)는 제2 설치본체(431)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1 돌기(423)와 마주하고, 제4 돌기(435)는 제2 설치본체(431)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2 돌기(425)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The protrusion is composed of a third protrusion 433 and a fourth protrusion 435. The third protrusion 433 and the fourth protrusion 435 protrude backward from the second installation main body 431 and are spaced vertically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hird protrusion 433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mounting body 431 to face the first protrusion 423, and the fourth protrusion 435 is provided above the second mounting body 431. It is provided to face the two projections (425).

상기 제3 돌기(433)에는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돌기돌출부(423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돌기홈부(4331)가 형성된다. 상기 제2돌기홈부(4331)를 사이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제3 돌기(433)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돌기돌출부(4333)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돌기돌출부(4333)는 상기 제1돌기홈부(4233)와 제2 지지돌기지지면(42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The third protrusion 433 is formed to be conca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econd protrusion groove portion 4311 into which the first protrusion protrusion 4231 is slidably inserted. A second projection 433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otrudes backward from the third projection 433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protrusion protrusion 4333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groove portion 4333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ground 4235.

상기 제4 돌기(435)는 상기 제2 지지돌기지지면(4253)과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4 돌기(435)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연장홈부(439)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돌기연장부(4251)가 연장홈부(43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된다.The fourth protrusion 435 is provided to face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ground 4425. An extension groove portion 439 extending conca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fourth protrusion 435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extension portion 4251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extension groove portion 439.

상기 제2 본체홈(437)은 상기 제3 돌기(433)와 제4 돌기(425)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본체홈(437)은 상기 제1 홈부(427)와 마주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 본체홈(437)이 형성된 위치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436)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436)은 상기 제1 설치부재(420)에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된다.The second body groove 437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third protrusion 433 and the fourth protrusion 425 to be concave. The second body groove 437 is formed to face the first groove portion 427. A long hole 436 penetr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body groove 437 is formed. The long hole 436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420 is formed.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441)와 너트(4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441)는 상기 제1 설치부재(420)의 후면으로부터 제1 설치부재(420)와 제2 설치부재(430)를 차례로 관통하고 메인프레임(210)의 프레임관통공을 지나 전방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너트(443)는 전방으로 돌출된 볼트(441)에 체결되며 상기 캐노피 본체(C)가 설치부재(400)에 결합된다.The fastening member consists of a bolt 441 and a nut 443. The bolt 441 sequentially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420 and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430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420 and passes forward through the frame through hole of the main frame 210. It is provided. The nut 443 is fastened to the bolt 441 protruding forward, and the canopy body C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member 400.

상기 설치부재(400)는 벽체에 고정된 제1 설치부재(420)에 제2 설치부재(43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제2 설치부재(430)의 위치를 조정하여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The installation member 400 may be easily install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430 by providing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430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420 fixed to the wall. .

또한, 상기 설치부재(400)는 상기 제1 설치부재(420)와 제2 설치부재(430) 사이에 제1 홈부(427)와 제2 본체홈(437)에 의해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캐노피본체(C)가 설치부재(400)에 안정감있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member 40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420 and the second installation member 430 by the first groove portion 427 and the second body groove 437 by the canopy body ( C) is securely coupled to the installation member 400.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canop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200 : 프레임부 210 : 메인프레임
220 : 지지프레임 300 : 지지부
310 : 제1 지지부 320 : 제2 지지부
330 : 프레임 결합부재 400 : 설치부재
420 : 제1 설치부재 430 : 제2 설치부재
200: frame portion 210: main frame
220: support frame 300: support
310: first support portion 320: second support portion
330: frame coupling member 400: mounting member
420: first mounting member 430: second mounting member

Claims (6)

양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 형태의 복수의 지지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200)와, 상기 프레임부(200)에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부(200)에 결합되는 지지부(300)로 이루어지는 캐노피 본체(C)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300)는 오목하며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되어 이웃하는 지지프레임(220)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프레임결합부재(330)와, 양단이 프레임결합부재(33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310, 320)로 이루어지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310)는 일단으로 개구된 오목한 제1 홈(313-3)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1 지지본체(313)와, 상기 제1 홈(31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막대 형태의 제1 본체(311)와, 상기 제1 홈(313-3)에 삽입되어 제1 지지본체(313)와 제1 본체(311) 사이에서 가압되는 제1 스프링(31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지지부(320)는 일단으로 개구된 오목한 제2 홈(323-3)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2 지지본체(323)와, 상기 제2 홈(32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막대 형태의 제2 본체(321)와, 상기 제2 홈(323-3)에 삽입되어 제2 지지본체(323)와 제2 본체(321) 사이에서 가압되는 제2 스프링(32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부(200)가 펼쳐져 지지프레임(22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여 180°보다 커지고, 제1 스프링(315)과 제2 스프링(325)은 압축되다가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 사이의 각도가 180°보다 커지면서 압축량이 감소하며;
상기 제2 지지부(320)에는 제2 본체연장부(323-1)가 돌출된 단부에 경사진 제2 턱부(323-2)가 형성되어 제1 지지부(310)의 제1 본체연장부(313-1)의 외면이 제2 턱부(323-2)에 걸리면서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장치.
Frame portion 20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upport frame 220 of the rod shape that both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 flexible cover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200, and the frame portion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over It includes a canopy body (C) consisting of a support portion 300 coupled to (200); The support part 300 is concave and is open to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frame coupling members 330 into which neighboring support frames 220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both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respectively. It includes a rotation support consisting of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310, 320)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part 31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body 313 having a rod shape having a concave first groove 313-3 open to one end and the first groove 313-3. It consists of a first body 311 in the form of a rod, and a first spring 315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313-3 and pres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ody 313 and the first body 311. ;
The second support part 32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body 323 having a rod shape having a concave second groove 323-3 open in one end, and the second groove 323-3. A second body 321 having a rod shape and a second spring 325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323-3 and press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ody 323 and the second body 321. ;
When the frame part 200 is unfolded and the support frame 220 rotates away from each other,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is increased to be greater than 180 °, and the first spring 315 is provided. And the second spring 325 is compressed and the amount of compression decreases a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320 is greater than 180 °;
The second support part 320 has a second jaw portion 323-2 inclined at an end portion at which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323-1 protrudes, thereby forming a first body extension part 313 of the first support part 310. -1) the cano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s limited while being caught by the second jaw portion (323-2).
양단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 형태의 복수의 지지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200)와, 상기 프레임부(200)에 결합되는 플렉시블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부(200)에 결합되는 지지부(300)로 이루어지는 캐노피 본체(C)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300)는 오목하며 길이 방향 양측으로 개구되어 이웃하는 지지프레임(220)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프레임결합부재(330)와, 양단이 프레임결합부재(33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310, 320)로 이루어지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310)는 일단으로 개구되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오목한 제1 홈(313-3)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1 지지본체(313)와, 상기 제1 홈(313-3)과 마주하도록 개구되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오목한 제3 홈(311-9)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1 본체(311)와, 상기 제1 지지본체(313)와 제1 본체(311) 사이에서 제1 홈(313-3)과 제3 홈(311-9)에 나사 체결되는 제1 조절부재(31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지지부(320)는 일단으로 개구되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오목한 제2 홈(323-3)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2 지지본체(323)와, 상기 제2 홈(323-3)과 마주하도록 개구되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오목한 제4 홈(321-9)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2 본체(321)와, 상기 제2 지지본체(323)와 제2 본체(321) 사이에서 제2 홈(323-3)과 제4 홈(321-9)에 나사 체결되는 제2 조절부재(326)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부(200)가 펼쳐져 지지프레임(22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여 180°보다 커지고, 제1 조절부재(316)와 제2 조절부재(326)는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지지본체(313)와 제1 본체(311) 및 제2 지지본체(323)와 제2 본체(32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며;
상기 제2 지지부(320)에는 제2 본체연장부(323-1)가 돌출된 단부에 경사진 제2 턱부(323-2)가 형성되어 제1 지지부(310)의 제1 본체연장부(313-1)의 외면이 제2 턱부(323-2)에 걸리면서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장치.
Frame portion 20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upport frame 220 of the rod shape that both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 flexible cover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200, and the frame portion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over It includes a canopy body (C) consisting of a support portion 300 coupled to (200);
The support part 300 is concave and is open to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frame coupling members 330 into which neighboring support frames 220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both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respectively. It includes a rotation support consisting of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310, 320)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part 310 is opened in one end, and a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 first support body 313 having a rod shape having a concave first groove 313-3, and the first groove 313-3. The first body 311 in the form of a rod having a concave third groove 311-9 and a thread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to be opened to face the gap, and between the first support body 313 and the first body 311. A first adjustment member 316 screwed into the first groove 313-3 and the third groove 311-9;
The second support part 320 has a rod-shaped second support main body 323 and a second groove 323-3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therein and having a concave second groove 323-3 formed therein. The second body 321 in the form of a rod having a concave fourth groove 321-9 formed therein and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to face the second surface 321, an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ody 323 and the second body 321. A second adjusting member 326 screwed to the second groove 323-3 and the fourth groove 321-9;
When the frame part 200 is unfolded and the support frame 220 rotates away from each other,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20 increases to be greater than 180 °, and the first adjusting member 316 ) And the second adjusting member 326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loosening the screw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body 313 and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support body 323 and the second body 321 is Away;
The second support part 320 has a second jaw portion 323-2 inclined at an end portion at which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323-1 protrudes, thereby forming a first body extension part 313 of the first support part 310. -1) the cano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is limited while being caught by the second jaw portion (323-2).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310)에는 프레임결합부재(330)에 결합되는 반대쪽 단부에 외향하여 돌출된 제1 본체연장부(31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부(320)에는 프레임결합부재(330)에 결합되는 반대쪽 단부에 외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1 본체연장부(313-1)와 길이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2 본체연장부(323-1)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300)는 제1 본체연장부(313-1)와 제2 본체연장부(323-1)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한 제2 지지핀(317)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지지부(310)와 제2 지지부(320)는 제2 지지핀(317)을 회전축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The first support portion 310 is provided with a first body extending portion (313-1) protruding outward at the opposite end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0 protrudes outwardly to the opposite end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and has a second body extension portion 323-1 overlapping the first body extension portion 31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quipped;
The support 300 is The first support part 3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pin 317 penetrating the first body extension part 313-1 and the second body extension part 32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20 is a cano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upport pin 317 is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on the axis of rotatio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결합부재(330)는 개구된 반대쪽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결합부재연장부(331)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부(310)는 단부에 상기 결합부재연장부(331)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제1 지지결합부(311-1)를 구비하여, 양측의 결합부재연장부(331)와 제1 지지결합부(311-1)를 관통하여 삽입된 제1 지지핀(340)에 의하여 제1 지지부(310)는 프레임결합부재(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지지부(320)는 단부에 상기 결합부재연장부(331)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된 제2 지지결합부(321-1)를 구비하여, 양측의 결합부재연장부(331)와 제2 지지결합부(321-1)를 관통하여 삽입된 제1 지지핀(340)에 의하여 제2 지지부(320)는 프레임결합부재(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has a coupling member extension portion (331) which protru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is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support part 310 is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art 331 at an end and has a first support coupling part 311-1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ing member extension parts on both sides. The first support part 3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by the first support pin 340 inserted through the 331 and the first support coupling part 311-1;
The second support part 320 is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extension part 331 at an end thereof and includes a second support coupling part 321-1 having a through-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ing member extension parts on both sides. The second support part 3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by the first support pin 340 inserted through the 331 and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art 321-1. Canopy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지지프레임(220)은 3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재연장부(331) 사이의 길이 방향 간격은 제1 지지결합부(311-1)와 제2 지지결합부(321-1)가 모두 위치할 수 있는 거리로 형성되며;
양측으로 지지프레임(220)을 구비하는 중간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20)에는 지지프레임(220)이 삽입된 프레임결합부재(330)가 1개 구비되고, 이 프레임결합부재(330)의 결합부재연장부(331) 사이에는 일측이 회전지지부를 이루는 제1 지지결합부(311-1)나 제2 지지결합부(321-1)와 타측의 회전지지부를 이루는 제1 지지결합부(311-1)나 제2 지지결합부(321-1)가 위치하여, 양측의 회전지지부가 1개의 프레임결합부재(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upport frame 220 is provided with three or more, the longitudinal spacing between the coupling member extending portion 331 is the first support coupling portion 311-1 and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ortion 321 -1) are formed at a distance where they can all be located;
The support frame 220 positioned in the middle having the support frame 220 at both sides is provided with one frame coupling member 330 into which the support frame 220 is inserted, and the coupling member of the frame coupling member 330. The first support coupling part 311-1 which forms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coupling part 311-1 or the second support coupling part 321-1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part between the extension parts 331. Or a second support coupling part 321-1, and the rotatable support parts on both sides are rotatably coupled to one frame coupling member 33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지지프레임(220) 중 외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20)에는 프레임관통공이 형성되고;
벽체에 고정되어 캐노피 본체(C)가 설치되는 설치부재(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재(400)는 벽체에 고정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설치부재(420)와, 상기 제1 설치부재(420)의 전방으로 위치하며 제1 설치부재(42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436)이 형성된 제2 설치부재(430)와, 상기 제1 설치부재(420)의 배면으로부터 제1 설치부재(420)와 제2 설치부재(430)를 차례로 관통하고 프레임의 프레임관통공을 지나 전방에 돌출된 볼트(441)와 돌출된 볼트(441)에 체결되는 너트(44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설치부재(4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나 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2 설치부재(430)에는 제1 설치부재(420)의 돌기나 홈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홈이나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2 설치부재(430)는 제1 설치부재(42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노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Frame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220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220;
Fixed to the wall further includes an installation member 400 is installed canopy body (C);
The installation member 400 is fixed to a wall and has a first installation member 420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420 and has a length at the first installation member 420. And a second mounting member 430 formed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having a long hole 436 having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ea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member 420. ) And a nut 443 which is fastened to the bolt 441 protruding forward and the bolt 441 protruding forward through the frame through-hole of the frame in order.
The first mounting member 42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projection or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mounting member 430 is coupled to the projection or groove of the first mounting member 420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op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e or more grooves or protrusions, the second mounting member 430 is provided to b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irst mounting member (420).
KR1020180037201A 2018-03-30 2018-03-30 A Canopy Device KR1020536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201A KR102053653B1 (en) 2018-03-30 2018-03-30 A Canop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201A KR102053653B1 (en) 2018-03-30 2018-03-30 A Canop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459A KR20190114459A (en) 2019-10-10
KR102053653B1 true KR102053653B1 (en) 2019-12-09

Family

ID=6820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201A KR102053653B1 (en) 2018-03-30 2018-03-30 A Canop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6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3975A1 (en) * 2020-09-02 2022-03-03 Troy Andritsch Bucket Truck Canopy
KR102296512B1 (en) * 2021-04-20 2021-08-31 김민소 Rotary sunshade device
CN114809485B (en) * 2022-05-24 2023-10-03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Workpiece unit, curved surface canopy grid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of curved surface canopy grid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56B1 (en) * 2005-03-25 2006-03-10 김수환 The tent and frame for automatic umbrella style canopy tent
KR200461501Y1 (en) * 2010-02-23 2012-07-16 권구중 Easy assembling and repair awning apparatus
KR101726217B1 (en) * 2015-06-12 2017-04-12 이동거 Tent replaced one side of truss structure by tent member
KR101753700B1 (en) * 2016-08-19 2017-07-05 박종길 A frame having a prefabricated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186A (en)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Canopy apparatus of bucket for high place 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56B1 (en) * 2005-03-25 2006-03-10 김수환 The tent and frame for automatic umbrella style canopy tent
KR200461501Y1 (en) * 2010-02-23 2012-07-16 권구중 Easy assembling and repair awning apparatus
KR101726217B1 (en) * 2015-06-12 2017-04-12 이동거 Tent replaced one side of truss structure by tent member
KR101753700B1 (en) * 2016-08-19 2017-07-05 박종길 A frame having a prefabricated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459A (en)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653B1 (en) A Canopy Device
US5275188A (en) Modified folding tent
CA2397172C (en)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US4819680A (en) Spring-biased tent frame foot
JP2625255B2 (en) Scissor end captured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with incompressible pivot
US20080087313A1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US4934434A (en) Suspension and actuation systems for specialty window shades
US9174107B2 (en) Customizable enclosure system for tennis courts
AU2002223147A1 (en) Canopy tent with automatic umbrella-type collapsible frame
US4450851A (en) Free-standing collapsible tent frame structure and hub assembly therefor
CA2555861A1 (en) Cart canopy system
US2889840A (en) Awning frame structure
US3216433A (en) Loading dock shelter
CN113338701A (en) Canopy frame including a tensioning member system
US9863163B2 (en) Sled-attached ice shelter with flexible and rigid pole structure
EP0580543A2 (en) A fastening and locking device for tarpaulins and similar covering materials
US20100078135A1 (en) Roll formed shutter system
KR101013609B1 (en) Tent for leisure
ES2199206T3 (en) CABLE ASSEMBLY SECTION WITH RETRACTABLE CONNECTOR AND CONDUCT OBTAINED BY THE ASSEMBLY OF TWO SECTIONS.
CN213953195U (en) Multi-configuration, deployable canopy assembly for mounting to a vehicle
KR102253080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Vehicle Roof Box
CA2347778A1 (en)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US20030213513A1 (en) Expandable framework structure for a canopy
KR101964933B1 (en) Load distribution type bracket, and folding type trailer based on the same
KR102288505B1 (en) Roll Screen Device Comprising Wrinkle Free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