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554B1 -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554B1
KR102052554B1 KR1020190012978A KR20190012978A KR102052554B1 KR 102052554 B1 KR102052554 B1 KR 102052554B1 KR 1020190012978 A KR1020190012978 A KR 1020190012978A KR 20190012978 A KR20190012978 A KR 20190012978A KR 102052554 B1 KR102052554 B1 KR 102052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ilter
inlet
outlet
mai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442A (ko
Inventor
천명성
임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9001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5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5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측에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된 필터를 고정하는 필터 커넥터는 원수가 이동되는 입수라인과 출수라인을 포함하는 바이패스유로 및 개폐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입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입수구와 결합되는 제1메인라인과 상기 출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출수구와 결합되는 제2메인라인을 포함하는 메인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가 삽입되도록 일면이 개구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FILTER CONNECTO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체가 용이하고, 원수 유출을 방지하는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이 가속화되고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공기, 물과 같은 인체에 필수적인 물질의 위생 상태 역시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오염된 공기, 물 등에는 세균, 바이러스 등이 번식하게 되므로, 공기, 물의 정화 작업은 필수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특히, 수질오염에 등으로 인하여 수돗물을 직접 식수로 사용하기보다는 정수기를 사용하여 수돗물을 정화한 후 식수로 사용하게 된다.
정수기에는 3-4 가지 종류의 필터가 구비되며, 필터(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60)와 정수가 패출되는 출수구(70)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50)들은 입수구(60)과 출수구(70)가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원수는 여러개의 필터(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점차 정화될 수 있다.
필터(50)의 경우 사용기간이 정해져 있으며, 정화작용이 유지되도록 일정 기간이 지나면 새로운 필터(50)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필터(50)는 나사 형태의 체결부재 등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부재를 분리하려면 별도의 공구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필터(50)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원수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원수 차단 장치를 이용하여 원수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필터 교체 작업이 어렵고,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필터를 쉽게 교체하도록 선행문헌(등록특허 제10-0831027호)에서는 회동하는 브라켓과 연결구를 사용하여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제안하다.
하지만, 선행문헌은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하는 문제만 해결했을 뿐 필터 교체 시 원수가 유출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31027호 (등록일: 2008.05.1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함과 동시에 필터 교체 시 원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일측에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된 필터를 고정하는 필터 커넥터에 있어서, 원수가 이동되는 입수라인과 출수라인을 포함하는 바이패스유로 및 개폐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입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입수구와 결합되는 제1메인라인과 상기 출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출수구와 결합되는 제2메인라인을 포함하는 메인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가 삽입되도록 일면이 개구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필터 커넥터에 포함되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필터가 삽입되는 공간과 상기 메인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유로가 구비된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필터의 상기 입수구와 상기 출수구가 삽입되는 입수홀과 출수홀이 관통 형성되는 구획부재 및 상부면을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유로는 상기 입수구의 상측을 향해 연장된 상기 제1메인라인과 상기 입수구를 연결하는 입수분기라인 및 상기 출수구의 상측을 향해 연장된 상기 제2메인라인과 상기 출수구를 연결하는 출수분기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분기라인 및 상기 출수분기라인과 상기 구획부재 사이에는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홀은 상기 구획부재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홀은 상기 출수홀과 이격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재에는 상기 입수홀을 통과하며, 상기 출수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입수라인과 상기 출수라인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홀의 둘레부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돌출부가 회동하여 결합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홈이 형성된 지지보드 및 상기 양측 지지보드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를 작동하기 위한 핸들부재 및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상기 필터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필터지지부재가 구비된 고정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는 상기 필터와 접촉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가압하는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1메인라인 및 상기 제2메인라인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에 결합되며, 외력을 상기 실린더부재에 전달하는 버튼부 및 탄성 변형되어 상기 버튼부를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결합된 상기 제1메인라인의 일단 및 상기 제2메인라인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돌기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1메인라인 및 상기 제2메인라인을 차폐하는 결합단 및 상기 제1메인라인 및 상기 제2메인라인의 개구 형성된 타단을 차폐하는 차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메인라인 및 상기 제2메인라인에 형성된 돌기는 상기 필터의 상기 입수구 및 상기 출수구와 상기 메인유로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라인 및 상기 출수라인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단과 결합되어 원수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지지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보드에 결합된 타단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가 안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필터를 고정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필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케이스와 브라켓이 회동하여 필터 교체가 용이하다.
둘째, 바이패스유로를 포함하여, 필터 교체 시 원수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필터를 케이스로부터 분리할 필요없이 원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정수기에 사용되는 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를 이용하여 정수기에 필터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에 필터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의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필터 커넥터의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필터 커넥터의 케이스와 브라켓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필터 커넥터의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에 포함되는 메인유로 및 바이패스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필터 커넥터의 핸들부 및 개폐부재에 의하여 메인유로가 개폐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필터 커넥터의 필터와 브라켓의 결합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했듯이 본 발명은 일측에 입수구(60)와 출수구(70)가 형성된 필터(50)를 고정하는 필터 커넥터 및 이러한 필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는 케이스(100)와 브라켓(200)을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며, 도 8을 참조하여 케이스와 브라켓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며, 도 9를 참조하여 브라켓을 설명한다.
또한, 도 10,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여 메인유로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메인유로의 개폐에 대하여 설명하며,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필터와 케이스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커넥터는 케이스(100) 및 브라켓(200)을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필터(50)가 삽입되도록 일면이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 바이패스유로(300)와 메인유로(400)가 구비될 수 있다.
바이패스유로(300)는 원수가 이동하는 입수라인(310)과 출수라인(320)을 포함하며, 정수기와 결합되는 배관과 연통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메인유로(400)는 개폐부재(500)가 구비되어 바이패스유로(3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입수라인(310)으로부터 분기되어 입수구(60)와 결합되는 제1메인라인(410)과 출수라인(320)으로부터 분기되어 출수구(70)와 결합되는 제2메인라인(4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유로(400)는 개폐부재(500)가 개방되면 바이패스유로(300)와 연통되어 바이패스유로(300)에서 이동하던 원수가 필터(50)로 유입되어 정화된 후 배출되도록 하고, 개폐부재(500)가 차단되면 메인유로(400)가 바이패스유로(300)와 구획되어 원수가 필터(5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부재(500)에 대해서는 이후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브라켓(200)은 케이스(100)를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스(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케이스(100)는 구획부재(120)와 커버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50)는 케이스(100)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다.
구획부재(120)는 필터(50)가 삽입되는 공간과 바이패스유로(300) 및 메인유로(400)가 구비된 공간을 구획하며, 필터(50)의 입수구(60)와 출수구(70)가 삽입되는 입수홀(120a)과 출수홀(120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획부재(120)에 의하여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이 바이패스유로(300)와 메인유로(400)가 구비된 공간과 필터(5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이 때, 필터(50)는 케이스(100)의 저면으로부터 케이스(1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바이패스유로(300)와 메인유로(400)는 필터(50)의 상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필터(50)와 메인유로(400)는 구획부재(12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필터(50)의 입수구(60)는 구획부재(120)의 입수홀(120a)에 삽입되고, 필터(50)의 출수구(70)는 구획부재(120)의 출수홀(120b)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메인유로(400)는 입수분기라인(430) 및 출수분기라인(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수분기라인(430)은 입수구(60)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1메인라인(410)과 입수구(60)를 연결할 수 있다.
출수분기라인(440)은 출수구(70)의 상측을 향해 연장된 제2메인라인(420)과 출수구(7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유로(400)가 바이패스유로(300)와 연통되면, 원수가 제1메인라인(410)과 입수분기라인(430)을 통해 필터(50)의 입수구(60)로 유입되어 필터(50)에서 정화될 수 있다.
이어서, 필터(50)에서 정화된 정수는 필터(50)의 출수구(70)로부터 배출되어 출수분기라인(440)과 제2메인라인(420)을 통해 다시 바이패스유로(300)로 유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출수홀(120b)은 상기 구획부재(120)의 중심에 형성되고, 입수홀(120a)은 출수홀(120b)과 이격 형성되며, 구획부재(120)에는 입수홀(120a)을 통과하며, 출수홀(120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상의 가이드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30)은 필터(50)를 조립하는 과정에 필터(50)의 입수구(60)와 출수구(70)를 반대로 조립하는 착오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출수구(70)를 출수홀(120b)에 삽입한 후 필터(50)를 회전하면 입수구(60)가 가이드홈(130)을 따라 이동하며 입수홀(120a)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50)의 입수구(60)와 출수구(70)를 반대로 장착하는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여 보면, 입수분기라인(430) 및 출수분기라인(440)과 구획부재(120) 사이에는 밀봉부재(46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입수분기라인(430)과 입수홀(120a) 사이 및 출수분기라인(440)과 출수홀(120b) 사이에는 밀봉부재(460)가 구비될 수 있다.
밀봉부재(460)는 원수 및 정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밀봉부재(460)는 오링(Oring)일 수 있다. 다만, 밀봉부재(460)는 오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터(50)를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하여 케이스(100)가 브라켓(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케이스(100)와 브라켓(20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케이스(100)는 입수라인(310)과 출수라인(320)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홀(100a)의 둘레부로부터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200)은 돌출부(110)가 회동하여 결합되도록 홈(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100)에 형성된 돌출부(110)가 브라켓(200)의 홈(210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5에서와 같이, 필터(50)를 케이스(100)에 삽입한 후 케이스(100)를 회전시켜 필터(50)와 케이스(100)를 브라켓(2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필터(50)를 교체할 때에는 위의 동작을 반대로 하여 필터(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와 같이, 케이스(100)가 브라켓(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터(50)를 용이하게 교체할 뿐만 아니라 필터(50) 교체 과정에서 원수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브라켓(200)은 지지보드(210)와 고정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보드(210)는 케이스(100)의 양측에 배치되며, 앞서 설명한 홈(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10)가 지지보드(210)에 형성된 홈(210a)에 안착되어 회동함에 따라 케이스(100)가 브라켓(20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 바이패스유로(300)는 입수라인(310)과 출수라인(320)이 돌출부(11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며, 입수라인(310)과 출수라인(320)은 돌출부(110)와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00)가 회동하는 과정에 바이패스유로(300)는 정수기와 결합된 배관과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보드(220)는 양측 지지보드(210) 사이에 형성되고, 개폐부재(500)를 작동하기 위한 핸들부재(700) 및 케이스(100)에 삽입된 필터(5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필터지지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브라켓(200)에 구비된 핸들부재(700)를 이용하여 개폐부재(500)를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부재(700)는 브라켓(200)에 장착되는 필터(50)와 접촉하는 하단부(700a) 및 하단부(700a)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71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부재(500)를 가압하는 상단부(700b)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재(700)를 이용하여 개폐부재(500)를 개폐하기 앞서 개폐부재(500)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500)는 실린더부재(510), 버튼부(520) 및 탄성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재(510)는 제1메인라인(410) 및 제2메인라인(42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버튼부(520)는 실린더부재(510)에 결합되며, 외력을 실린더부재(5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530)는 탄성 변형되어 버튼부(520)를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메인라인(410)과 제2메인라인(420)은 일단은 바이패스유로(300)의 입수라인(310)과 출수라인(320)과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실린더부재(510)가 삽입되도록 개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메인라인(410)과 제2메인라인(420)의 타단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530)는 제1메인라인(410) 및 제2메인라인(420)이 결합된 부위와 버튼부(520) 사이에 구비되어 버튼부(520)가 가압됨에 따라 탄성 수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보면, 필터(50)가 브라켓(200)에 장착됨에 따라 핸들부재(700)가 버튼부(520)를 가압하여 실린더부재(51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탄성부재(530)는 탄성 수축될 수 있다.
반면, 필터(50)가 브라켓(200)으로부터 분리되면 핸들부재(700)가 버튼부(520)와 분리되며, 버튼부(520)는 탄성부재(530)의 탄성 회복력에 의하여 가압되기 전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실린더부재(510) 역시 이동하기 전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부재(510)는 핸들부재(700)에 의하여 가압되어 이동되거나 탄성부재(530)가 탄성 회복됨에 따라 가압되기 전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실린더부재(510)는 이와 같이 이동하는 과정에 메인유로(400)를 바이패스유로(300)와 연통시키거나 메인유로(400)를 차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부재(510)는 결합단(510a)과 차폐단(510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단(510a)은 바이패스유로(300)와 결합된 제1메인라인(410)의 일단 및 제2메인라인(420)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돌기(450)의 전방에 결합되어 제1메인라인(410) 및 제2메인라인(420)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제1메인라인(410) 및 제2메인라인(420)에 형성된 돌기(450)는 필터(50)의 입수구(60) 및 출수구(70)와 바이패스유로(300)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보면, 결합단(510a)이 돌기(450)와 결합되면 제1메인라인(410)이 차폐되어 바이패스유로(300)와 분리되고, 결합단(510a)이 돌기(450)와 분리되면 바이패스유로(300)와 제1메인라인(410)이 연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합단(510a)이 돌기(450)와 분리되면 바이패스유로(300)와 제2메인라인(420)이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입수라인(310) 및 출수라인(320)의 내부에는 결합단(510a)과 결합되어 원수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돌기(3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단(510a)이 입수라인(310)과 출수라인(320)을 향해 이동하여 제1메인라인(410)과 제2메인라인(420)을 개방함과 동시에 입수라인(310)과 출수라인(320)에 형성된 돌기(330)와 결합되어 입수라인(310)과 출수라인(320)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원수가 입수라인(310)으로부터 출수라인(320)으로 이동되는 대신 입수라인(310)으로부터 제1메인라인(410)에 유입되어 필터(50)를 통과하여 정화된 후 제2메인라인(420)을 통해 출수라인(3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돌기(330)는 입수라인과 상기 출수라인을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의 내부는 중공 형성되고, 상기 입수라인과 연통되는 홀 및 상기 출수라인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홀은 상기 결합단의 끝단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500)가 작동됨에 따라 메인유로(400)와 바이패스유로(300)가 연통되거나 차단되어 원수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핸들부재(700)를 이용하여 개폐부재(500)를 작동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면, 필터(50)가 케이스(100)에 결합된 후 케이스(100)와 함께 브라켓(200)과 분리된 상태에서는 핸들부재(700)의 상단부(700b)는 버튼부(520)와 분리되고, 핸들부재(700)의 하단부(700a)는 필터(50)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부재(510)의 결합단(510a)은 제1메인라인(410) 및 제2메인라인(420)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450)와 결합되어 메인유로(400)를 차단할 수 있다.
반면, 필터(50)가 케이스(100)와 함께 회동하여 브라켓(200)에 장착되면, 핸들부재(700)의 하단부(700b)는 필터(50)에 의하여 필터(5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핸들부재(700)의 하단부(700b)가 가압되면, 상단부(700b)가 회전축(71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부재(500)의 버튼부(520)를 밀어 결합단(510a)이 메인유로(400)에서 바이패스유로(30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결합단(510a)이 바이패스유로(300)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제1메인라인(410)과 제2메인라인(420)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450)와 분리되어 메인유로(400)가 바이패스유로(3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터(50)가 케이스(100)와 함께 회동하여 브라켓(200)에 결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필터(50)가 회동하여 브라켓(50)에 장착될 경우에만 개폐부재(500)가 작동되어 메인유로(400)가 바이패스유로(300)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필터(50)가 브라켓(200)과 분리되면, 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더라도 메인유로(400)가 차단될 수 있으며, 필터(50) 교체 시 원수 공급라인을 차단하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필터(50)가 케이스(100)와 함께 회동하여 브라켓(200)에 장착됨에 따라 메인유로(400)와 바이패스유로(300)를 연통시킬 수 있어 필터(50)에 대한 개별 플러싱(Flushing)이 가능하다.
즉, 플러싱을 진행할 필터(50) 만을 브라켓(200)에 장착하고, 나머지 필터(50)는 케이스(100)와 함께 브라켓(200)으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바이패스유로(300)를 통해 원수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개별 플러싱이 가능하다.
또한, 필터(50)와 케이스(100)를 브라켓(20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필터(50)를 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하더라도 원수가 흐르지 않으므로 필터(50) 교체 시에도 원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터(50)를 브라켓(2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필터지지부재(600) 및 받침부재(800)가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필터지지부재(600)는 브라켓(200)의 고정보드(2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의 내부에 삽입된 일단(600a)으로부터 고정보드(220)에 결합된 타단(600b)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필터(50)는 케이스(100)와 함께 브라켓(200)에 대하여 회동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필터(50)는 케이스(100)의 돌출부(110)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을 하게 되므로 필터지지부재(600)가 경사지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필터지지부재(600)에 의하여 필터(50)의 회전운동이 제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필터지지부재(600)의 일단(600a)이 타단(600b)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필터(50)가 원활하게 회전 이동할 수 있으며, 브라켓(200)에 장착되면 필터지지부재(600)에 의하여 상부면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필터(50)의 저면은 받침부재(8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즉, 받침부재(800)는 필터(50)가 안착되도록 케이스(100)의 저면에 구비되고, 필터지지부재(600)와 함께 필터(5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보면, 필터(50)가 케이스(100)와 함께 회동하여 브라켓(200)에 장착되면, 필터(50)는 앞서 설명한 필터지지부재(600)와 받침부재(800)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케이스(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필터(50)가 케이스(100)와 함께 브라켓(200)에 장착되면 도 16에서와 같이, 케이스(100)의 구획부재(120)를 통과하여 출수분기라인(440)에 삽입된 필터(50)의 출수구(70)는 제2메인라인(420)과의 사이에 이격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지지부재(600)에 의하여 필터(50) 역시 구획부재(120)와 이격되어 이격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이격공간(A)이 형성됨으로써 필터(50)가 회전 이동하여 브라켓(200)에 장착되는 과정에 필터(50)가 출수분기라인(440)이나 구획부재(120)에 걸려 회전이 제한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필터 50a: 상부면
60: 입수구 70: 출수구
100: 케이스 100a: 홀
110: 돌출부 120: 구획부재
120a: 입수홀 120b: 출수홀
130: 가이드홈 150: 커버부재
200: 브라켓 210: 지지보드
210a: 홈 220: 고정보드
300: 바이패스유로 310: 입수라인
320: 출수라인 330: 돌기
400: 메인유로 410: 제1메인라인
420: 제2메인라인 430: 입수분기라인
440: 출수분기라인 450: 돌기
460: 밀봉부재 500: 개폐부재
510: 실린더부재 510a: 결합단
510b: 차폐단 520: 버튼부
530: 탄성부재 600: 필터지지부재
600a: 일단 600b: 타단
700: 핸들부재 700a: 하단부
700b: 상단부 710: 회전축
720: 가압바 800: 받침부재
A: 이격거리

Claims (4)

  1. 일측에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성된 필터를 고정하는 필터 커넥터에 있어서,
    원수가 이동되는 입수라인과 출수라인을 포함하는 바이패스유로 및 개폐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입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입수구와 결합되는 제1메인라인과 상기 출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출수구와 결합되는 제2메인라인을 포함하는 메인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가 삽입되도록 일면이 개구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1메인라인 및 상기 제2메인라인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에 결합되며, 외력을 상기 실린더부재에 전달하는 버튼부; 및
    탄성 변형되어 상기 버튼부를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결합된 상기 제1메인라인의 일단 및 상기 제2메인라인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돌기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제1메인라인 및 상기 제2메인라인을 차폐하는 결합단; 및
    상기 제1메인라인 및 상기 제2메인라인의 개구 형성된 타단을 차폐하는 차폐단;
    을 포함하며,
    상기 입수라인 및 상기 출수라인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단과 결합되어 원수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도록 상기 입수라인과 상기 출수라인을 구획한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내부는 중공형성되고, 상기 입수라인과 연통되는 홀 및 상기 출수라인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홀은 상기 결합단의 끝단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제1메인라인 및 상기 제2메인라인에 형성된 돌기는 상기 필터의 상기 입수구 및 상기 출수구와 상기 바이패스유로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유로는 입수분기라인 및 출수분기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수분기라인은 상기 입수구의 상축으로 연장된 제1메인라인과 상기 필터의 입수구를 연결하고,
    상기 출수분기라인은 상기 출수구의 상축으로 연장된 제2메인라인과 상기 필터의 출수구를 연결하는 필터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따른 필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90012978A 2019-01-31 2019-01-31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52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978A KR102052554B1 (ko) 2019-01-31 2019-01-31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978A KR102052554B1 (ko) 2019-01-31 2019-01-31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309A Division KR101946621B1 (ko) 2017-03-21 2017-03-21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442A KR20190015442A (ko) 2019-02-13
KR102052554B1 true KR102052554B1 (ko) 2019-12-05

Family

ID=6536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978A KR102052554B1 (ko) 2019-01-31 2019-01-31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999B1 (ko) 2020-08-28 2022-06-20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필터선택이 자유로운 휴대용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665B1 (ko) * 2008-07-30 2008-12-12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필터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027B1 (ko) 2007-10-30 2008-05-20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교체가 용이한 정수기 필터 결합구조
BRPI0913488A2 (pt) * 2008-09-05 2017-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istema de filtração"
KR20100119621A (ko) * 2009-05-01 2010-11-10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유로의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정수기 필터 어셈블리
KR101532253B1 (ko) * 2014-08-05 2015-07-09 (주)기성 정수기 필터 탈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665B1 (ko) * 2008-07-30 2008-12-12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필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442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5015Y1 (ko)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역삼투막 필터, 및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JP4621769B2 (ja) コネクターを用いて容易に交替できる浄水用フィル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浄水システム
CN100484603C (zh) 单触装配式单一或复式转接器,与其可拆卸地配合的过滤组件以及使用这些部件的水净化***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KR200384558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KR200384557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JP2011098345A (ja) フィルター組立体
KR100521116B1 (ko) 정수기 필터에 구비된 정수 및 원수의 선별유동제어가가능한 유체차단수단
EP3219372A2 (en) Pre-filter with a detachable filter core for un-interruptible water supply
KR10114805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KR100909377B1 (ko) 필터세척기능을 갖는 정수기 필터
KR102052554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480993B1 (ko) 정수기 필터용 헤드 조립체
KR100944226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101903124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946621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732503B1 (ko) 직수형 정수기
KR20150002961U (ko) 정수 필터용 커넥터
CN213644655U (zh) 一种过滤装置和淋浴阀
KR20160037712A (ko) 정수필터 분리용 가압부가 구비되는 정수기
KR200391700Y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연결구조
KR20090098581A (ko) 원터치 착탈식 어댑터
CN210751529U (zh) 前置过滤组件、前置过滤器和净水***
KR102436117B1 (ko) 정수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N112439236A (zh) 前置过滤组件、前置过滤器和净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