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247B1 - Method and Device to manage electric power estimat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demand response and energy saving actively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to manage electric power estimat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demand response and energy saving active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247B1
KR102052247B1 KR1020170105533A KR20170105533A KR102052247B1 KR 102052247 B1 KR102052247 B1 KR 102052247B1 KR 1020170105533 A KR1020170105533 A KR 1020170105533A KR 20170105533 A KR20170105533 A KR 20170105533A KR 102052247 B1 KR102052247 B1 KR 102052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aily
weight
devices
pow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5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0496A (en
Inventor
김준혁
이상학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0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247B1/en
Publication of KR2019002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4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2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01W1/06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giving a combined indication of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전력 관리 방법 및 전력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전력 관리 방법에 따르면,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을 산출하고,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사용량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며,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만큼 일별 사용 전력이 절감되도록, 결정된 전력절감 적용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 각각에 전력 절감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예측 전력사용량을 제공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자동 전력절감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 전력절감 기능을 통한 전력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요반응 응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ower management apparatu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power management method,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amou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user-importance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the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devices is determined, and the daily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by the required power saving amount.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power savings can be applied to each of a plurality of device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a predicted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an automatic power saving func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automatic power saving function can improve the power usage efficiency and provide demand response response function.

Description

전력사용을 예측하고 능동적으로 수요반응 및 에너지 절감을 제공하는 전력관리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to manage electric power estimat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demand response and energy saving actively}Method and Device to manage electric power estimat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demand response and energy saving actively}

본 발명은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사용을 예측하고 능동적으로 수요반응 및 에너지 절감을 제공하는 전력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power usage and actively providing demand response and energy saving.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전력 시스템에서는 공급과 수요 사이에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이는 제한된 에너지 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수요 관리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현재는 수요 관리의 발전된 형태인 수요 반응(Demand response;DR)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In power systems, there must be a 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This is important for the rational use of limited energy resources. For this purpose, the necessity of demand management is emerging, and research on demand response (DR), an advanced form of demand management, is increasing.

7-8월의 한낮이나 혹한기에는 에어컨이나 히터 등 전기제품의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전력예비율이 5% 아래로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전력예비율이 낮아질 경우, 고장이나 정기점검으로 인해 1-2개 정도의 발전소가 중단되기만 해도 전력공급에 차질이 벌어질 수 있는 만큼, 전력예비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이기 위한 방법을 마련하여야 한다.In mid-August or cold season in July-August, the use of electric appliances such as air conditioners and heaters is rapidly increasing, causing the power reserve to drop below 5%. If the power reserve is lowered, there should be a way to raise the power reserve above a certain level, as the power supply can be disrupted even if one or two power plants are shut down due to failure or periodic inspection.

수요적인 측면에서는 여름철 과도한 에어컨 사용을 자제하고, 가정이나 사무실, 공공시설 등의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기도 한다.On the demand side, there are campaigns to prevent excessive use of air conditioners in the summer and to maintain indoor temperatures of homes, offices, and public facilities above an appropriate level.

이와 같이, 수요적인 측면에서 전력 수요가 높은 시기에 전력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전력 사용량을 절감하게 하는 캠패인을 진행하고, 캠패인에 참여하여 일정 수준 이상 전력 사용량을 절감한 전력 수요자에게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을 수요 반응이라고 한다. As such, demands are given to incentives for power consumers who have reduced their power consumption by a certain amount of time. It is called a reaction.

즉, 수요 반응은 전력 요금의 변화에 따른 소비 사용 형태의 변화로 정의할 수 있고, 또한, 전력 시장 가격이 높을 때 전기 사용을 억제하기 위한 인센티브 지불로써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수요 반응은 전력 소비 행태를 바꾸는 고의적인 과정도 포함한다. In other words, the demand response may be defined as a change in the consumption usage patter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electricity bill, or may be defined as an incentive payment to suppress the electricity use when the power market price is high. Demand response also includes a deliberate process of changing the power consumption behavior.

종래 수요관리 사업은 감축량이 일정규모 이상의 공장, 건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부하 기기나 설비 단위까지 자동화된 수요반응 감축이 아닌 관리자에 의한 수동적 감축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감축량이 오로지 관리자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고 수행되고, 적용 대상이 일정규모 이상의 공장과 건물에 국한되므로, 수요관리 사업 실행에 따른 감축량에 제한이 있으며, 해당 환경 하에서 감축량은 일반적으로 계약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부분이므로, 변화하는 계통이나 소비자의 조건 또는 환경을 능동적으로 반영하는데 한계를 가진다.Conventionally, the demand management project targets factories and buildings with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reduction, and passive reduction by the manager is carried out, rather than automatic reduction of demand response to load equipment or facility units. Accordingly, the amount of reduction is determined and performed only by the manager or the user, and the application target is limited to a factory and a building of a certain size or more, and thus there is a limit to the amount of reduc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emand management business. As it is decided based on a contract, there is a limit in actively reflecting a changing system or a condition or environment of a consumer.

이와 같이, 전력사용량은 전력량계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이에 사용자 확인시점의 전력사용량 파악이 어렵다. 또한, 전력사용량을 파악하더라도 예상비용 산정이 불가하며, 이에 사용자가 산술적으로 전력사용량의 많고 적음을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사용자가 측정시점의 전력사용량을 기준으로 전력사용량을 조절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제어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오로지 사용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전력사용량을 제어해야 하게 된다. 향후, 수요반응 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의 부재로 수요반응 시장의 활성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As such, power consumption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electricity meter, so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power consumption at the time of user confirmation. In addition, even if the power consumption is grasped, it is impossible to calculate the estimated cost, and thus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rithmetically identify the high and low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tries to adjust the power consumption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at the time of measurement, since no separate control is provided,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power consumption only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In the future, the absence of a system that can actively cope with the demand response market may hinder the activation of the demand response market.

이에 따라, 더욱 능동적으로 전력관리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for more actively managing pow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을 산출하고,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사용량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며,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만큼 일별 사용 전력이 절감되도록, 결정된 전력절감 적용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 각각에 전력 절감을 적용하는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lculate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the importance of the user setting, applying the power saving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wer and applying power savings to each of a plurality of device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such that daily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a daily power saving required amount.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에 의한 전력 관리 방법은,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을 산출하는 단계;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사용량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만큼 일별 사용 전력이 절감되도록, 결정된 전력절감 적용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 각각에 전력 절감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ower management method by a power management devic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amount; Determining an application order of power saving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based on power consump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importance of user setting; And applying power saving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so that the daily use power is reduced by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amount.

그리고, 결정 단계는, 전력사용량에 대한 가중치인 제1 가중치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인 제2 가중치를 설정하고,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사용량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와 설정된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The determining may include setting a first weight, which is a weight for power consumption, and a second weight, which is a weight for user setting importance, to the first weight and the second weight set with power consumption and user setting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n the basis of this, the order of applying power saving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may be determined.

또한, 결정 단계는, 전력사용량 순위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한 값과 복수개의 기기의 갯수에서 사용자 설정 중요도를 뺀 값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합산한 계산값을 각 기기별로 산출하고, 산출된 각 기기별 계산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In the determining step, a calculated value obtained by adding a second weighted value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a user-set importance from a number of a plurality of devices by applying a first weight to a power consumption rank is calculated for each device, and is calculated. The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device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calculated values for each device.

그리고,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 산출단계는, 일별 사용가능 전력량과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의 차이를 산출함으로써,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amount calculating step may calculate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amount b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daily available power amount and the expected daily power consumption amount.

또한, 일별 사용가능 전력량은, 월 설정 전력량에서 현재까지 누적 사용 전력량을 제외한 값을 당월 잔여일로 나누어서 산출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aily available power amount may be calculated by dividing the value of the monthly set power amount excluding the cumulative used power amount up to the present by the remaining days of the current month.

그리고,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은, 외기온도 데이터 및 날씨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기존 데이터와 패턴매칭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stimated daily power consumption may be calculated by pattern matching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outdoor temperature data and weather data with existing data.

또한, 적용 단계는, 해당 순서에 대응되는 기기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저전력모드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전력 절감을 적용하고, 전력절감 필요량이 만족된 경우 이후 순서에 해당되는 기기들에는 전력 절감을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pplying step, the power saving is applied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rder or operating in the low power mode, and if the required amount of power saving is satisfied, the power saving is not applied to the devices in the subsequent order. It may no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는, 외기온도 데이터 및 날씨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을 산출하고,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사용량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며,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만큼 일별 사용 전력이 절감되도록, 결정된 전력절감 적용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 각각에 전력 절감을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the outside temperature data and weather data; And calculating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by using the weather information, determining the application order of the power saving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the importance of the user setting, and reducing the daily use power by the required power saving amoun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pply power saving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을 산출하고,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사용량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며,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만큼 일별 사용 전력이 절감되도록, 결정된 전력절감 적용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 각각에 전력 절감을 적용하는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예측 전력사용량을 제공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자동 전력절감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 전력절감 기능을 통한 전력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요반응 응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aily power saving required amount is calculated, based on power consumption and importance of user setting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a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devices is determined, and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amount is used daily. In order to save pow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power savings to each of a plurality of device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a predicted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the user with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automatic power saving function can be provided to improve the power usage efficiency through the automatic power saving function and to provide the demand response response function.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에 초점을 맞춘 경우의 기기별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초점을 맞춘 경우의 기기별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describ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pow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power saving application procedure for each device when focusing on energy sa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power saving application procedure for each device when a user focuses on importance of user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o make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for explaining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o limit the components. Not used.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logically or physically.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other words, although a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nd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indirectly.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the sam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Also, "a or an", "one", "the" and the like are also indicated differently herein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following claims). Unless otherwise expressly contradicted by context, it may be used in the sense including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전력 관리 장치(100)는 하나의 건물이나 주택 내에 설치되어 해당 건물이나 주택 내에서 소요되는 전력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installed in one building or house to perform a function of managing power consumed in the building or hous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관리 장치(100)는 복수개의 기기(1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기기(10)들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에서, 기기(10)는 건물이나 주택 내에 설치되는 가전기기 등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냉장고, TV, 에어컨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전력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데이터베이스(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devices 10 to control the devices 10. Here, the device 10 represents a home appliance installed in a building or a hous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refrigerator, a TV, an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database 120, and a controller 130.

통신부(110)는 외기온도 데이터 및 날씨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하며, 기상정보에는 대응되는 시간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건물 외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로부터 외기온도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날씨정보 제공 사이트 또는 서버 등으로부터 날씨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나 시간정보 제공 사이트 또는 서버 등으로부터 시간 데이터를 수신한다. 하지만, 전력 관리 장치(100)는 시간 데이터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지 않고 자체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outdoor temperature data and weather data, and the weather information may also include time data correspon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outside temperature data from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weather data from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ite or a server.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time data from an external server, a time information providing site or a server. However,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generate time data using its own time information without receiving time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외기온도 데이터는 일정 주기당 외기온도값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단위는 섭씨온도나 화씨온도가 될 수 있다. The outside air temperature data includes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nformation per cycle, and the unit may be Celsius or Fahrenheit.

날씨 데이터는 일정 주기당 해당 지역의 날씨 정보를 포함하며, 맑은/흐림/비/눈 등의 4가지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보다 더 세부적인 날씨로 구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weather data includes weather information of the region per cycle, and may include four types of sunny / cloudy / rain / snow, and may be classified into more detailed weather.

시간 데이터는 월, 일, 요일, 시간, 분, 초 정보를 포함한다. The time data includes month, day, day of the week, hour, minute and second information.

이와 같이, 기상정보는 외기온도 데이터 및 날씨 데이터를 포함하며, 시간 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으며, 시간 데이터에 외기온도 데이터 및 날씨 데이터가 대응되어 있는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정 주기 당 한개의 기상정보가 발전량 정보 및 사용자 전력사용 정보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될 수 있다. As such, the weather information may include ambient temperature data and weather data, and may also include time data, and may be implemented as a database in which the outside temperature data and weather data correspond to the time data, one per fixed period. The weather information of may be matched with the power gener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power usage information and stored in the database 120.

즉, 데이터베이스(120)는 일정 주기로 기존의 기상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20)는 1분에 1개의 기상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1시간에 1개의 기상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That is, the database 120 stores existing weather information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the database 120 may store one weather information data per minute, or one weather information data per hour. May be stored.

또한, 데이터베이스(120)는 기상정보에 대응하는 발전량 패턴, 사용자 전력사용 패턴, 및 사용자 설정 온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저장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database 120 stores a generation amount pattern, a user power usage pattern, and a user set temperatu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weather information as a database.

제어부(130)는 전력 관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복수개의 기기(10)의 동작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을 산출하고,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사용량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며,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만큼 일별 사용 전력이 절감되도록, 결정된 전력절감 적용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 각각에 전력 절감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이하에서 설명할 도 2 내지 도 4의 방법들을 수행하게 된다. The controller 13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and also controls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the daily power saving necessary amount using weather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devices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user setting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amount. In order to reduce daily power consumption, power savings ar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In detail, the controller 130 performs the methods of FIGS. 2 to 4 to be described below.

도 1에 기재된 전력 관리 장치(100)는 그 자체로 물리적으로 독립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장치나 시스템의 일부로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컴퓨터나 서버 등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프레임워크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력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의 기능 형태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described in FIG. 1 may be implemented as a physically independent device itself, or may be implemented as a part included in any device or system, and a program or frame installed in a computer or a server. Of course,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oftware, such as a work or an application. In addition, each component of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as a physical component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ponent of a functional form of software.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전력 관리 장치(100)의 전력 관리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Hereinafter, a power management method of th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2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power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전력 관리 장치(100)는 기상정보를 수신한다(S210). 기상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기온도 데이터 및 날씨 데이터를 포함하며 시간 데이터와 매칭될 수 있다. First, th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the weather information (S210). As described above, the weather information includes outdoor temperature data and weather data and may be matched with time data.

그리고, 전력 관리 장치(100)는 현재 학습기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만약, 학습기간인 경우(S220-Y), 전력 관리 장치(100)는 기계학습을 통해 발전량 패턴, 사용자 전력 사용 패턴 및 사용자 설정온도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S225). 이 때, 학습기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learning period is present (S220). If, in the learning period (S220-Y), th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builds a database related to the power generation pattern, the user power usage pattern and the user set temperature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S225). At this time, the learning period may be set by the user.

반면, 학습기간이 아닌 경우(S220-N), 전력 관리 장치(100)는 학습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현재 기상정보와 매칭되는 매칭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만약, 매칭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S230-Y), 전력 관리 장치(100)는 매칭데이터 기반 발전량 패턴 및 사용자 전력사용 패턴을 이용하게 된다(S240). 반면, 매칭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S230-N), 전력 관리 장치(100)는 최소오차범위 내 데이터 기반 발전량 패턴 및 사용자 전력 사용 패턴을 이용하게 된다(S245). 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the learning period (S220-N), th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matching data matching the current weath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constructed through learning (S230). If there is matching data (S230-Y),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uses the matching data based generation amount pattern and the user power usage pattern (S240).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matching data (S230-N), th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uses the data-based power generation pattern and the user power usage pattern within the minimum error range (S245).

그 다음, 전력 관리 장치(100)는 일별 사용가능 전력량과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의 차이를 산출함으로써,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을 산출한다(S250). Next,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ily available power amount and the expected daily power consumption amount to calculate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amount (S250).

여기에서, 일별 사용가능 전력량은 월 설정 전력량에서 현재까지 누적 사용 전력량을 제외한 값을 당월 잔여일로 나누어서 산출된다. 월 설정 전력량은 한달에 사용하도록 설정된 전력량으로, 수요반응에 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요반응에서 요구되는 월 설정 전력량에 해당되고, 수요반응에 응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월 설정 전력량에 해당된다. Here, the daily available power amount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value of the monthly set power amount by excluding the cumulative used power amount so far by the remaining day of the month. The monthly set power is the amount of power set to be used per month, and corresponds to the monthly set power required by the demand response if it is responding to the demand, and the monthly set power set by the user if it is not responding to the demand. do.

또한,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은, 외기온도 데이터 및 날씨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기존 데이터와 패턴매칭하여 산출된다. 즉, 전력 관리 장치(100)는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을 과거에 유사한 외기온도와 날씨의 기상정보일 때 하루에 소비되었던 사용자 전력 사용 패턴에 기반하여 예상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태양광 발전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전력 관리 장치(100)는 유사한 기상정보를 가진 과거의 하루 전력 소비량에서 유사한 기상정보를 가진 과거의 하루 발전량을 뺀 나머지 값을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d.tot는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 Pd.user 일일 사용자 사용 전력량, Pd.pv는 일일 태양광 발전량을 나타낸다면,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은 Pd.tot = Pd.user - Pd.pv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stimated daily power consumption is calculated by pattern matching the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the outside temperature data and the weather data with the existing data. That is, th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is to estimate the estimated daily power consumption based on the user power usage pattern that was consumed in the day when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outside temperature and weather similar to the past. In addition, when the photovoltaic device is included, th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calculates the remaining daily power consumption minus the past daily power generation having similar weather information as the estimated daily power consumption. You may. For example, if P d.tot represents the estimated daily power consumption, P d.user daily user power consumption, and P d.pv represents the daily solar power generation, the estimated daily power consumption is P d.tot = P d.user -Can be expressed as an expression such as P d.pv.

즉, Pm.set이 월 설정 전력량, Pcum이 누적 사용 전력량(즉, 매월 1일부터 측정시점까지 누적된 전력 사용량), Dremain이 당월 잔여일, Pd.tot가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을 나타낼 경우,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은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산출된다. That is, P m.set is the monthly set power, P cum is the cumulative power usage (ie, the amount of power accumulated from the 1st of every month to the measurement point), D remain is the remaining day of the month, and P d.tot is the estimated daily power consumption. In this case,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 = | {(Pm.set - Pcum)/Dremain} - Pd.tot |Daily power savings required = | {(P m.set -P cum ) / D remain }-P d.tot |

그 후에,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력사용량에 대한 가중치인 제1 가중치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인 제2 가중치를 설정하고,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사용량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와 설정된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한다(S260). 구체적으로,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력사용량 순위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한 값과 복수개의 기기의 갯수에서 사용자 설정 중요도를 뺀 값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합산한 계산값을 각 기기별로 산출하고, 산출된 각 기기별 계산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게 된다. Thereafter,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sets a first weight, which is a weight for power consumption, and a second weight, which is a weight for user setting importance, and a first weight set with power consumption and user setting importance of a plurality of devices; Based on the second weight, a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devices is determined (S260). In detail,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lculates a calculated value obtained by adding a value obtained by applying a second weight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a user-set importance from a value of applying a first weight to a power usage ranking and a plurality of devices. The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device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rder of the calculated values for each device.

즉, 기기별 전력사용량 순위를 C1, 제1 가중치를 w1, 복수의 기기 갯수를 k, 사용자 설정 중요도를 C2, 제2 가중치를 w2로 지정한 경우,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각 기기별 계산값은 아래의 수식으로 산출된다. That is, when the power consumption rank of each device is C 1 , the first weight is w 1 , the number of devices is k, the user-set importance is C 2 , and the second weight is w 2 , the power saving order is determined. The calculated value for each device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계산값 = (w1×C1)+{w2×(k-C2)}Calculated Value = (w 1 × C 1 ) + {w 2 × (kC 2 )}

전력 관리 장치(100)는 위의 계산값을 모든 기기들에 대해 산출하고, 산출된 각 기기별 계산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복수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게 된다.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above calculated values for all devices, and determines the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calculated calculated values for each device.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예를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에 초점을 맞춘 경우의 기기별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경우 에너지 절감에 초점을 맞춘 경우이므로 제1 가중치를 제2 가중치보다 더 큰값으로 설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for each device when focusing on energy sa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FIG. 3, since the focus is on energy saving,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weight is set to a larger value than the second weight.

도 3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의 수식을 이용하여 전기밥솥, 컴퓨터, 에어컨, 냉장고, TV에 대한 계산값을 산출하고 그 순위를 매겨본 결과, 에너지 절감 적용 순서는 에어컨, TV, 컴퓨터, 냉장고, 전기밥솥 순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table of Figure 3, using the above formula to calculate the calculation value for the rice cooker, computer, air conditioner, refrigerator, TV and ranking the results, the energy saving application order is air conditioner, TV, computer , Fridge, rice cooker in ord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초점을 맞춘 경우의 기기별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for each device when focusing on user setting impor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경우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초점을 맞춘 경우이므로 제1 가중치를 제2 가중치보다 더 작은값으로 설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FIG. 4, since the focus is on user-importance, it may be confirmed that the first weight is set to a value smaller than the second weight.

도 4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의 수식을 이용하여 전기밥솥, 컴퓨터, 에어컨, 냉장고, TV에 대한 계산값을 산출하고 그 순위를 매겨본 결과, 에너지 절감 적용 순서는 에어컨, 컴퓨터, TV, 전기밥솥, 냉장고 순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table of Figure 4, using the above formula to calculate and rank the calculated values for the rice cooker, computer, air conditioner, refrigerator, TV, energy saving application order is air conditioner, computer, TV You can see that the rice cooker, refrigerator.

이와 같이, 에너지 절감에 초점을 맞추는지 아니면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초점을 맞추는지에 따라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조절함으로써, 전력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전력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by adjusting the first weight and the second weight according to whether to focus on energy saving or user-importance importance,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adjust power usage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

이와 같이, 전력 관리 장치(100)는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사용량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게 된다. As such,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e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devices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user setting importance of the plurality of devices.

다시 도 2로 돌아가, 전력 관리 장치(100)는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만큼 일별 사용 전력이 절감되도록, 결정된 전력절감 적용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 각각에 전력 절감을 적용하게 된다(S270). 구체적으로, 전력 관리 장치(100)는 해당 순서에 대응되는 기기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저전력모드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전력 절감을 적용하고, 전력절감 필요량이 만족된 경우 이후 순서에 해당되는 기기들에는 전력 절감을 적용하지 않게 된다. 2,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applies the power saving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in the determined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so as to reduce the daily use power by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amount (S270). Specifically, th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applies power savings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rder or operating in the low power mode, and when the power saving requirement is satisfied, power to the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subsequent order. No savings are applied.

예를 들어, 전력절감 필요량이 1000kW인 경우를 가정하고, 에어컨은 저전력모드로 300kW를 절감할 수 있고, TV는 동작중지로 300kW를 절감할 수 있고, 컴퓨터는 저전력모드로 100kW를 절감할 수 있고, 냉장고는 저전력 모드로 400kW를 절감할 수 있고, 전기밥솥은 동작중지로 200kW를 절감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For example, suppose the power saving requirement is 1000kW, the air conditioner can save 300kW in low power mode, the TV can save 300kW in inactive mode, the computer can save 100kW in low power mode, It is assumed that the refrigerator can save 400kW in the low power mode, and the rice cooker can save 200kW in shutdown.

그러면, 도 3과 같이 에너지 절감 적용 순서가 에어컨, TV, 컴퓨터, 냉장고, 전기밥솥 순서로 결정된 경우, 전력 관리 장치(100)는 에어컨을 저전력모드(300kW)로 동작시키고, 그다음 TV를 동작중지(300kW)시키고, 그다음 컴퓨터를 저전력모드(100kW)로 동작시키고, 그다음 냉장고를 저전력모드(400kW)로 동작시킴으로써, 총 1100kW를 절감하면서, 전기밥솥은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Then, when the energy saving application order is determined in the order of air conditioner, TV, computer, refrigerator, rice cooker as shown in Figure 3, th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operates the air conditioner in the low power mode (300kW), and then stops the TV ( 300 kW), then the computer is operated in low power mode (100 kW), and then the refrigerator is operated in low power mode (400 kW), saving the total 1100 kW, while the rice cooker is operating normally.

반면, 도 4와 같이 에너지 절감 적용 순서가 에어컨, 컴퓨터, TV, 전기밥솥, 냉장고 순서로 결정된 경우, 전력 관리 장치(100)는 에어컨을 저전력모드(300kW)로 동작시키고, 그다음 컴퓨터를 저전력모드(100kW)로 동작시키고, 그다음 TV를 동작중지(300kW)시키고, 그다음 전기밥솥을 동작중지(200kW)시키고, 그다음 냉장고를 저전력모드(400kW)로 동작시킴으로써, 총 1300kW를 절감하면서, 모든 기기에 전력절감을 적용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nergy saving application order is determined in the order of the air conditioner, computer, TV, rice cooker, refrigerator as shown in Figure 4, th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operates the air conditioner in a low power mode (300kW), then the computer in a low power mode ( 100 kW), then turn off the TV (300 kW), then turn off the rice cooker (200 kW), and then operate the refrigerator in low power mode (400 kW), saving 1300 kW total, saving power to all devices. Will be applie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력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의 값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전력 절감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perform power saving in a form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values of the first weight value and the second weight value set by the user.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100)의 기능 및 전력 관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function and power management method of th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programming language cod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any data storage device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can store data. For exampl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isk, a hard disk drive, a flash memory, a solid state disk (SSD),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code or program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connected between the computers.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Although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describe exemplary device configurations, the functional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types of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or include the structures and structural equivalents disclosed herein. It may be implemented in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m.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Therefo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s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전력 관리 장치
110 : 통신부
120 : 데이터베이스
130 : 제어부
10 : 기기
100: power management device
110: communication unit
120: database
130: control unit
10: appliance

Claims (8)

전력 관리 장치에 의한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을 산출하는 단계;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사용량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만큼 일별 사용 전력이 절감되도록, 결정된 전력절감 적용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 각각에 전력 절감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결정 단계는,
전력사용량에 대한 가중치인 제1 가중치(w1)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인 제2 가중치(w2)를 설정하고, 전력사용량 순위(C1)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한 값과 복수개의 기기의 개수(k)에서 사용자 설정 중요도(C2)를 뺀 값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합산한 계산값을 아래의 수식에 따라 기기별로 산출하고,
계산값 = (w1×C1)+{w2×(k-C2)}
산출된 각 기기별 계산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며,
복수개의 기기는, 건물이나 주택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전기기이고,
결정 단계는,
에너지 절감에 초점을 맞춘 모드인 경우 제1 가중치를 제2 가중치보다 더 큰값으로 설정하고,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초점을 맞춘 모드인 경우 제1 가중치를 제2 가중치보다 더 작은값으로 설정하며,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 산출단계는,
일별 사용가능 전력량과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의 차이를 산출함으로써,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을 산출하고,
일별 사용가능 전력량은,
월 설정 전력량에서 현재까지 누적 사용 전력량을 제외한 값을 당월 잔여일로 나누어서 산출되며,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은,
외기온도 데이터 및 날씨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기존 데이터와 패턴매칭하여 산출되고,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은,
아래의 수식에 의해 산출되며,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 = | {(Pm.set - Pcum)/Dremain} - Pd.tot |
여기에서, Pm.set이 월 설정 전력량, Pcum이 누적 사용 전력량(즉, 매월 1일부터 측정시점까지 누적된 전력 사용량), Dremain이 당월 잔여일, Pd.tot가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방법.
In the power management method by the power management device,
Calculating a daily power saving requirement;
Determining an application order of power saving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based on power consump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importance of user setting; And
And applying power saving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such that the daily power savings are reduced by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amount.
The decision phase is
A plurality of devices and a value obtained by setting a first weight w 1 , which is a weight for power consumption, and a second weight w 2 , a weight for a user-set importance, and applying a first weight to the power consumption rank C 1 . The calculated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user-importance importance (C 2 ) from the number (k) of the sum and applying the second weighted value is calculated for each device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Calculated Value = (w 1 × C 1 ) + {w 2 × (kC 2 )}
The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device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calculated value of each device,
A plurality of devices are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installed in a building or a house,
The decision phase is
In a mode focused on energy saving, the first weight is set to a value greater than the second weight. In a mode focused on user-set importance, the first weight is set to a value smaller than the second weight.
Daily power saving needs calculation step,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ily available power consumption and the expected daily power consumption,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is calculated.
Daily power available,
It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monthly power setting by the remaining day of the current month, excluding the accumulated power usage.
Estimated daily power consumption,
The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outdoor temperature data and weather data is calculated by pattern matching with existing data,
Daily power savings required
It is calculated by the formula below,
Daily power savings required = | {(P m.set -P cum ) / D remain }-P d.tot |
Where P m.set is the monthly set power, P cum is the cumulative power usage (that is, the accumulated power usage from the 1st of every month to the measurement point), D remain is the remaining day of the month, and P d.tot is the estimated daily power consumption. Power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indicat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용 단계는,
해당 순서에 대응되는 기기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저전력모드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전력 절감을 적용하고, 전력절감 필요량이 만족된 경우 이후 순서에 해당되는 기기들에는 전력 절감을 적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pplication steps are
Power saving is applied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rder or operating in the low power mode, and if the power saving requirement is satisfied, power saving is not applied to the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subsequent order. How to manage.
외기온도 데이터 및 날씨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을 산출하고,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사용량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며,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만큼 일별 사용 전력이 절감되도록, 결정된 전력절감 적용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 각각에 전력 절감을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전력사용량에 대한 가중치인 제1 가중치(w1) 및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인 제2 가중치(w2)를 설정하고, 전력사용량 순위(C1)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한 값과 복수개의 기기의 개수(k)에서 사용자 설정 중요도(C2)를 뺀 값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합산한 계산값을 아래의 수식에 따라 기기별로 산출하고,
계산값 = (w1×C1)+{w2×(k-C2)}
산출된 각 기기별 계산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복수개의 기기들의 전력절감 적용 순서를 결정하며,
복수개의 기기는, 건물이나 주택 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전기기이고,
제어부는,
에너지 절감에 초점을 맞춘 모드인 경우 제1 가중치를 제2 가중치보다 더 큰값으로 설정하고, 사용자 설정 중요도에 초점을 맞춘 모드인 경우 제1 가중치를 제2 가중치보다 더 작은값으로 설정하고,
제어부는,
일별 사용가능 전력량과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의 차이를 산출함으로써,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을 산출하고,
일별 사용가능 전력량은,
월 설정 전력량에서 현재까지 누적 사용 전력량을 제외한 값을 당월 잔여일로 나누어서 산출되며,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은,
외기온도 데이터 및 날씨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기존 데이터와 패턴매칭하여 산출되고,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은,
아래의 수식에 의해 산출되며,
일별 전력절감 필요량 = | {(Pm.set - Pcum)/Dremain} - Pd.tot |
여기에서, Pm.set이 월 설정 전력량, Pcum이 누적 사용 전력량(즉, 매월 1일부터 측정시점까지 누적된 전력 사용량), Dremain이 당월 잔여일, Pd.tot가 예상 일별 전력 소비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outdoor temperature data and weather data; And
Using the weather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daily power saving needs,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the importance of the user setting, determine the application order of the power saving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to reduce the daily power consumption by the daily power saving need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pply power saving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Th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devices and a value obtained by setting a first weight w 1 , which is a weight for power consumption, and a second weight w 2 , a weight for a user-set importance, and applying a first weight to the power consumption rank C 1 . The calculated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user-importance importance (C 2 ) from the number (k) of the sum and applying the second weighted value is calculated for each device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Calculated Value = (w 1 × C 1 ) + {w 2 × (kC 2 )}
The power saving application order of the plurality of device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calculated value of each device,
A plurality of devices are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installed in a building or a house,
The control unit,
In a mode focused on energy saving, the first weight is set to a larger value than the second weight. In a mode focused on a user-set importance, the first weight is set to a smaller value than the second weight.
The control unit,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ily available power consumption and the expected daily power consumption, the daily power saving required is calculated.
Daily power available,
It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monthly set power by the remaining day of the month, excluding the accumulated power.
Estimated daily power consumption,
The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outdoor temperature data and weather data is calculated by pattern matching with existing data,
Daily power savings required
It is calculated by the formula below,
Daily power savings required = | {(P m.set -P cum ) / D remain }-P d.tot |
Where P m.set is the monthly set power, P cum is the cumulative power usage (i.e., the power usage accumulated from the 1st of every month to the measurement point), D remain is the remaining day of the month, and P d.tot is the estimated daily power consumption. Power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presenting.
KR1020170105533A 2017-08-21 2017-08-21 Method and Device to manage electric power estimat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demand response and energy saving actively KR102052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33A KR102052247B1 (en) 2017-08-21 2017-08-21 Method and Device to manage electric power estimat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demand response and energy saving active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33A KR102052247B1 (en) 2017-08-21 2017-08-21 Method and Device to manage electric power estimat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demand response and energy saving active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96A KR20190020496A (en) 2019-03-04
KR102052247B1 true KR102052247B1 (en) 2019-12-04

Family

ID=6575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533A KR102052247B1 (en) 2017-08-21 2017-08-21 Method and Device to manage electric power estimat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demand response and energy saving active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2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244A (en) 2022-10-06 2024-04-15 정원석 Smart junction box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298B1 (en) * 2019-10-24 2022-01-12 (주)이젝스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for
KR20220057708A (en) * 2020-10-30 2022-05-09 라온프렌즈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dynamic responses data of flexible demand resour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66B1 (en) * 2009-01-21 2010-02-16 주식회사 소프트런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ang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JP2011078182A (en) * 2009-09-29 2011-04-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Power monitoring system
KR101537620B1 (en) * 2009-10-20 2015-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095B1 (en) * 2010-10-25 2017-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Power management apparatus, power management system having electr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46026B1 (en) * 2011-10-25 2018-04-06 한국전력공사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lectric power demand based on prior prediction of electric power dema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66B1 (en) * 2009-01-21 2010-02-16 주식회사 소프트런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ang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JP2011078182A (en) * 2009-09-29 2011-04-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Power monitoring system
KR101537620B1 (en) * 2009-10-20 2015-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244A (en) 2022-10-06 2024-04-15 정원석 Smart junction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96A (en)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6342C (en) Use of demand response (dr) and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r) to mitigate the impact of variable energy resources (ver) in power system operation
Müller et al. Large-scale demonstration of precise demand response provided by residential heat pumps
Xue et al. A fast chiller power demand response control strategy for buildings connected to smart grid
Wang et al. Building power demand response methods toward smart grid
KR1014084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nd providing dispatchable operating reserve energy capacity through use of active load management
US91539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storage management
JP53126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feeder circuit losses using demand response
Parkinson et al. Comfort-constrained distributed heat pump management
US10298056B2 (en) Power control system, powe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3422516B1 (en) Power supply and demand prediction system, power supply and demand prediction method and power supply and demand prediction program
Kang et al. Scheduling-based real time energy flow control strategy for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Pospíšil et al. Potential of predictive control for improvement of seasonal coefficient of performance of air source heat pump in Central European climate zone
US20150153714A1 (en)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and power allocation system
Li et al. Developing smart and real-time demand response mechanism for residential energy consumers
US20190310667A1 (en) System for providing thermostat configuration guidance
WO2016038994A1 (en) Device operation plan creation device, device operation plan cre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device operation plan creation program
Wang et al. Dynamic control strategy of residential air conditionings considering environmental and behavioral uncertainties
US11329602B2 (en) Device and method for simulating power consumption by power load
Pan et al. Impacts of optimization interval on home energy scheduling for thermostatically controlled appliances
KR102052247B1 (en) Method and Device to manage electric power estimat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demand response and energy saving actively
US20230261518A1 (en) Engine System and Methods for Dispatching and Controlling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US20180238572A1 (en) Modeling and controlling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Shi et al. Decentralised frequency‐based control of a population of heterogeneous ACs without power oscillations
Biegel et al. Lumped thermal household model
Koponen et al. Mitigating the weaknesses of machine learning in short–term forecasting of aggregated power system active l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