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862B1 - 의료용 전기톱 - Google Patents

의료용 전기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862B1
KR102051862B1 KR1020180059904A KR20180059904A KR102051862B1 KR 102051862 B1 KR102051862 B1 KR 102051862B1 KR 1020180059904 A KR1020180059904 A KR 1020180059904A KR 20180059904 A KR20180059904 A KR 20180059904A KR 102051862 B1 KR102051862 B1 KR 102051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eciprocating band
screw
medical
chains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368A (ko
Inventor
정병태
Original Assignee
유니월드오토테크 주식회사
정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월드오토테크 주식회사, 정병태 filed Critical 유니월드오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862B1/ko
Priority to PCT/KR2018/006074 priority patent/WO2018221927A1/ko
Publication of KR20190134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2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9Chain, wire or band s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53Material properties low friction, hydrophobic and corrosion-resistant fluorocarbon resin coating (ptf,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61B2090/081Indication means for contamination or di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전기톱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좌측왕복대, 우측왕복대, 보조왕복대와, 우측왕복대와 보조왕복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엔진과, 장력유지수단과, 좌측왕복대와 장력유지수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스트링 및 피절단물을 자체적으로 고정하는 피절단물홀더를 포함함으로써 톱날이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사람이나 동물의 팔, 다리와 같이 단면적이 일정하지 않고 표면이 평탄하지 않은 피절단물을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절단품질을 높일 수 있고, 오염방지커버를 구비함으로써 구성 부품들의 오염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전기톱{Medical electric saw}
본 발명은 의료용 전기톱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톱날이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사람이나 동물의 팔, 다리와 같이 단면적이 일정하지 않고 표면이 평탄하지 않은 피절단물을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절단품질을 높일 수 있고, 구성 부품들의 오염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전기톱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목재나 금속재 등의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데에는 톱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발전되어 왔다.
종래의 톱은 톱날의 일단에 손잡이가 달린 형태와 홀더에 톱날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형태의 것을 포함하는 수동톱과, 톱날을 모터와 전동기구를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에 의하여 전후진시키는 전기톱으로 구분된다.
홀더를 사용하는 수동톱은 홀더에 띠톱날을 장착하는 띠톱과, 홀더에 실톱날을 장착하는 실톱으로 구분된다.
전기톱은 톱날의 종류에 따라 전동식 띠톱과, 전동식 일자톱, 전동식 원형톱 등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종래의 수동톱과 전기톱은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피절단물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고 유동할 경우 절단 정밀도가 저하된다.
또한 종래의 수동톱과 전기톱은 자체적으로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통상 발로 밟거나 별도의 바이스(vice)를 이용하여 피절단물을 고정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는 조건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전기톱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7603호(2010.03.11. 공개) "휴대용 톱"(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무한궤도벨트를 이용하여 톱날이 왕복운동하도록 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절단 성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치에 설치하여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자체적으로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 전기톱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1182호(2012.01.04. 공개) "전동톱"(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은 전동톱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면서 그 내벽면에 가이드가 장착된 지지다이와;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그 양단의 절곡부에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절단톱이 결합되는 기동기구; 지지다이와 구동기구에 연결되어 구동기구를 이동시키는 회동기구; 회동기구에 체인 또는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기구를 회전시키는 동력기구; 및 지지다이에 장착되어 유동방지수단을 통해 절단톱을 보호함은 물론 물품고정수단을 통해 가공품을 고정하는 보호기구로 이루어져 가공물의 절단에 따른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이 줄어들어 편리성이 향상되고, 절단작업에 따른 정밀도가 향상되어 신뢰성이 증대되도록 한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의 전동톱은 회동기구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왕복운동하는 구동기구에 전후 양단을 고정한 것으로 물품을 절단함에 있어서 절단톱이 구부러질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2의 전동톱은 자체적으로 물품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나, 물품이 절단됨에 따라 물품을 기준으로 할 때, 절단톱은 하강하게 되고, 물품고정수단과 유동방지수단도 하강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물품고정수단과 유동방지수단은 실질적으로 물품을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아니고, 물품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것이므로 물품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절단하고자 하는 물품이 목재나 철재, 합성수지 등과 같이 일정한 단면적을 가지며 표면에 매끄럽고 딱딱한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술한 상대 이동이 이루어지더라도 절단하는 데에 지장이 없으나, 일정한 단면을 가지지 않고 표면이 매끄럽지도 않으며 딱딱한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것도 아닌 팔, 다리 등을 절단하는 의료용으로 사용할 경우 절단하고자 하는 물품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선행기술 2의 전동톱은 의료용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의료용 전기톱에 사용되는 톱날은 목재나 금속재를 절단하는 전기톱에 사용되는 톱날에 비하여 두께가 얇기 때문에 톱날이 왕복운동할 때 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의료용 전기톱은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혈액과 기타 오염물질에 의하여 오염될 수 있는바, 톱날을 제외한 구성 부품들을 재사용하게 되는데, 톱날을 제외한 구성 부품들을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7603호(2010.03.11. 공개) "휴대용 톱"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1182호(2012.01.04. 공개) "전동톱"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톱날이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전기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람이나 동물의 팔, 다리와 같이 단면적이 일정하지 않고 표면이 평탄하지 않은 피절단물을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절단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전기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 부품들의 오염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전기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좌우로 이격배치되는 좌, 우측수직부재와, 상기 좌, 우측수직부재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수평부재와, 상기 좌측수직부재의 하단우측에 우측을 향해 결합되는 좌측하단수평부재 및, 상기 우측수직부재의 하단좌측에 좌측을 향해 수평으로 결합되는 우측하단수평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왕복대와, 상기 우측하단수평부재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측왕복대와, 상기 우측왕복대의 좌측에 이격배치되는 보조왕복대와; 상기 좌측왕복대와 우측왕복대에 양단이 고정되는 톱날과; 상기 우측왕복대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력과 상기 보조왕복대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엔진과; 상기 프레임의 좌측하단과 좌측상단, 우측상단과 우측중단에서 반전되며, 좌측단부가 상기 좌측왕복대에 고정되고, 우측단부가 상기 보조왕복대에 결합된 장력유지수단에 고정되는 스트링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피절단물홀더;를 포함하는 의료용 전기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좌측왕복대는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에 좌측안내수단을 통하여 좌우로 안내되며, 상기 우측왕복대와 보조왕복대는 상기 우측하단수평부재에 우측안내수단을 통하여 좌우로 안내되고, 상기 좌측안내수단은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에 고정되는 좌측가이드와, 상기 좌측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좌측왕복대가 고정되는 좌측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안내수단은 상기 우측하단수평부재에 고정되는 우측가이드와, 상기 우측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우측왕복대과 고정되는 우측슬라이더와 상기 보조왕복대가 고정되는 보조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왕복대는 전면에 반원형 단면의 스트링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슬라이더에 밀착되는 후방편과, 후면에 반원형 단면의 스트링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편에 밀착되는 전방편과, 상기 전방편과 후방편을 관통하여 상기 좌측슬라이더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엔진은 상기 우측하단수평부재에 결합되는 엔진마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랭크판과, 상기 크랭크판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우측왕복대와 보조왕복대 사이에 위치하는 크랭크핀과, 상기 엔진마운트에 장착되어 상기 크랭크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에는 우측왕복대와 보조왕복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보조왕복대의 전면에 결합되어 우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편과, 상기 우측왕복대의 전면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의 우측단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모터축이 상기 엔진마운트를 관통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엔진마운트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크랭크판은 상기 모터축에 직결될 수 있다.
상기 엔진마운트는 모터장착부와 크랭크판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모터축이 우측을 향하도록 상기 모터장착부의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크랭크판은 상기 크랭크판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과 크랭크판은 전동기구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는 구동베벨기어와, 상기 크랭크판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종동베벨기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장력유지수단은 상기 장력유지수단은 상기 보조왕복대에 결합되는 연결브래킷과, 상기 연결브래킷에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트링의 우측단부가 고정되는 스트링연결부재와, 상기 스트링연결부재가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클러치 베어링 및, 상기 스트링연결부재를 반시계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장력유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트링연결부재는 회전중심에 형성된 축공과, 상기 연결브래킷에 고정되어 상기 축공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축공과 볼트 사이에는 상기 스트링연결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클러치 베어링이 삽입된다.
상기 피절단물홀더는 상기 좌, 우측수직부재의 상단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하, 한 쌍의 수평안내봉과, 상기 수평안내봉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수평안내봉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상단이 결합되는 좌측승강가이드와, 상기 고정블록에 상단이 결합되는 우측승강가이드와, 상기 좌, 우측승강가이드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좌, 우측홀딩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승강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상단이 고정되는 좌측전면바와, 상기 좌측전면바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좌측측면바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승강가이드는 상기 고정블록에 상단이 고정되는 우측전면바와, 상기 우측전면바의 좌측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우측측면바를 포함하고, 상기 좌, 우측측면바의 하단에는 톱날이 통과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홀딩조는 상기 좌측승강가이드의 전면바의 전면에 후면이 접하는 좌측전면홀딩조와, 상기 좌측전면홀딩조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좌측측면홀딩조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홀딩조는 상기 우측승강가이드의 전면바의 전면에 후면이 접하는 우측전면홀딩조와, 상기 우측전면홀딩조의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우측측면홀딩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홀딩조를 상기 좌측승강가이드에 대하여 승강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좌측홀딩조가 급격하게 승강하지 않도록 하는 좌측승강안내수단과, 상기 우측홀딩조를 상기 우측승강가이드에 승강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우측홀딩조가 급격하게 승상하지 않도록 하는 우측승강안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승강안내수단은 상기 좌측승강가이드의 좌측전면바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좌측승강안내장공과, 상기 좌측승강가이드의 좌측전면바의 후면에 접촉하는 좌측승강판과, 상기 좌측승강판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승강안내장공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성체의 좌측승강안내판과, 상기 좌측전면홀딩조의 전면에 밀착되는 좌측자석편과, 상기 좌측승강판과 좌측승강안내판과 좌측승강안내장공 및 좌측자석편을 관통하는 나사 및, 상기 나사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승강안내수단은 상기 우측승강가이드의 우측전면바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우측승강안내장공과, 상기 우측승강가이드의 우측전면바의 후면에 접촉하는 우측승강판과, 상기 우측승강판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우측승강안내장공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성체의 우측승강안내판과, 상기 우측전면홀딩조의 전면에 밀착되는 우측자석편과, 상기 우측승강판과 우측승강안내판과 우측승강안내장공 및 우측자석편을 관통하는 나사 및, 상기 나사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승강가이드를 우측승강가이드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측승강가이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좌측홀딩조와 우측승강가이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우측홀딩조에 의한 피절단물 조임력을 조절하는 조임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임력조절수단은 좌우로 이격배치되는 좌, 우측수직부재와, 상기 좌, 우측수직부재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수평부재와, 상기 좌측수직부재의 하단우측에 우측을 향해 결합되는 좌측하단수평부재 및, 상기 우측수직부재의 하단좌측에 좌측을 향해 수평으로 결합되는 우측하단수평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좌측에 설치되며, 상기 좌측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좌우로 관통하는 조임력조절스크루와,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좌우로 개방되고 상면에 나사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부에 삽입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암나사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단부에 상기 암나사블록의 하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임력조절스크루에 나사결합 가능한 하프너트홀이 형성된 하프너트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과 하프너트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프너트블록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나사관통공을 관통하여 암나사블록의 나사홀에 체결되며 하단이 상기 하프너트블록의 상면에 접하는 승강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좌, 우측왕복대, 보조왕복대, 좌, 우측안내수단, 구동엔진, 장력유지수단, 스트링, 피절단물홀더에 씌워지는 오염방지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의료용 전기톱에 의하면 프레임과 좌측왕복대, 우측왕복대, 보조왕복대와, 우측왕복대와 보조왕복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엔진과, 장력유지수단과, 좌측왕복대와 장력유지수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스트링 및 피절단물을 자체적으로 고정하는 피절단물홀더를 포함함으로써 톱날이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사람이나 동물의 팔, 다리와 같이 단면적이 일정하지 않고 표면이 평탄하지 않은 피절단물을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절단품질을 높일 수 있고, 오염방지커버를 구비함으로써 구성 부품들의 오염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전기톱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의료용 전기톱의 사시도,
도 2는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보조손잡이를 전면측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 보조손잡이를 후면측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프레임과 좌, 우측왕복대와 보조왕복대와 좌, 우측안내수단과 톱날과 구동엔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장력유지수단과 스트링 및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스트링과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피절단물홀더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절단동작을 보인 것으로,
도 10 내지 도 13은 피절단물홀더의 작용을 보인 것으로,
도 10은 절단준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절단이 진행 중인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2는 절단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3은 피절단물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전기톱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프레임의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전기톱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5는 프레임, 좌, 우측왕복대, 구동엔진을 사시도,
도 16은 구동엔진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전기톱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보인 프레임과 오염방지커버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전기톱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순히 부재 간의 결합을 위한 나사와 나사관통공 및 나사홀에 대해서는 도면에서는 도시하되 나사에 대해서만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나사관통공과 나사홀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전기톱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전기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 좌, 우측왕복대(210, 220), 보조왕복대(230), 좌, 우측안내수단(310, 320), 톱날(400), 구동엔진(500), 장력유지수단(600), 스트링(700), 피절단물홀더(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좌우로 이격배치되는 좌, 우측수직부재(110, 120)와, 상기 좌, 우측수직부재(110, 1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수평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좌, 우측수직부재(110, 120)와 상측수평부재(130)는 내부에 후술하는 스트링(70))이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지 좌, 우측수직부재(110, 120)와 상측수평부재(130)는 도시예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채널(channel)형 부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사각파이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좌, 우측수직부재(110, 120)의 상단과 상측수평부재(130)의 좌우단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좌측수직부재(110)의 하단우측에 우측을 향해 결합되는 좌측하단수평부재(140)와, 상기 우측 수직부재(120)의 하단좌측에 좌측을 향해 결합되는 우측하단수평부재(150) 및, 상기 우측하단수평부재(150)에 결합되는 엔진마운트(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140)는 후술하는 좌측안내수단(31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좌측수직부재(110)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며 전면과 우측면이 개방된 채널형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140)는 상기 좌측수직부재(110)의 하단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우측하단수평부재(150)는 후술하는 우측왕복대(220), 우측안내수단(320)과 구동엔진(500)과 장력유지수단(600)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우측하단수평부재(150)는 후술하는 피절단물홀더(800)의 우측승강가이드(840)를 지지하기 위한 전방연장편(151)을 구비한다.
상기 엔진마운트(160)는 상기 우측수직부재(120)의 하단 후면에 결합되는 판체로 구성된다.
상기 엔진마운트(160)는 나사(B13, B14)를 관통시켜 상기 우측수직부재(120)의 후면과 우측하단수평부재(150)의 후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우측수직부재(120)와 우측하단수평부재(150)에 결합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우측수직부재(120)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우측으로 연장되는 메인손잡이(170)와, 상기 상측수평부재(130)에 설치되어 상방 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보조손잡이(180)를 더 포함한다(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메인손잡이(170)는 파이프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시예에서는 사각파이프로 구성하였으나, 원형파이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손잡이(170)는 도시예와 같이, 상 하 대칭으로 배치되는 브래킷(171)의 수직부를 관통하는 나사(B11)를 우측수직부재(120)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나사홀에 체결하고, 브래킷(171)의 수평부를 관통하는 나사(B12)를 메인손잡이(17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우측수직부재(12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메인손잡이(170)는 우측수직부재(120)의 우측면 중간부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손잡이(180)는 상기 상측수평부재(130)를 감싸며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손잡이용 슬라이더(18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조손잡이용 슬라이더(182)는 상기 상측수평부재(130)의 전후상하면에 접촉하는 짧은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하여 상측수평부재(130)를 따라 이동시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손잡이용 슬라이더(182)는 사각파이프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좌우단부에 좌, 우측수직부재(110, 120)를 결합하기 전에 상측수평부재(130)에 미리 삽입된다.
상기 보조손잡이(180)의 일단에 보조손잡이 나사봉(181)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손잡이용 슬라이더(182)는 상면과 전면 및 후면에 상기 보조손잡이 나사봉(181)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나사홀(183, 184, 185)을 형성하여 보조손잡이 나사봉(181)을 나사홀(183,184, 185)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하고, 보조손잡이 나사봉(181)이 상측수평부재(130)의 상면 또는 전면 또는 후면에 밀착되게 하는 것에 의하여 보조손잡이용 슬라이더(182)가 상측수평부재(130)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에는 오른손으로 메인손잡이(170)를 잡고, 왼손으로 보조손잡이(180)를 잡을 수 있도록 보조손잡이(180)가 상면측(도 1 참조) 또는 전면측(도 3 참조)에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에는 왼손으로 메인손잡이(170)를 잡고, 오른손으로 보조손잡이(180)를 잡을 수 있도록 보조손잡이(180)가 상면측(도 1 참조) 또는 후면측(도 4 참조)에 고정될 있다.
상기 메인손잡이(170)에는 후술하는 구동엔진(500)의 구동모터(5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90)가 구비된다(도 2 참조).
상기 전원부(190)는 상기 메인손잡이(17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191)와, 상기 메인손잡이(17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위치노브(194)가 외부로 돌출되는 전원스위치(193)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191)는 일반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셀(cell)이 하나로 패킹된 배터리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1)는 상기 메인손잡이(170)의 내부에 내장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시예와 같이 전용 배터리 팩(Battery Pack)으로 형성하여 상기 메인손잡이(170)의 우측단부에 쉽게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193)는 스위치노브(194)를 누르고 있는 동안 온 상태로 되어 배터리(191)의 전원이 구동모터(510)에 인가되고, 스위치노브(194)에서 손을 떼면 오프 상태로 되어 구동모터(510)에 대한 배터리(191)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푸시스위치를 사용하거나 스위치노브(194)를 누르고 손을 떼면 온 상태로 되어 배터리(191)의 전원이 구동모터(510)에 인가되고, 스위치노브(194)를 한 번 더 누르고 손을 떼면 오프 상태로 되어 구동모터(510)에 대한 배터리(191)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푸시로크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1)는 전원스위치(193)와 구동모터(510)는 통상적인 전기배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측왕복대(210)는 후술하는 톱날(400)의 좌측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우측왕복대(220)는 후술하는 톱날(400)의 우측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구동엔진(500)의 크랭크핀(5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는 속이 찬 막대 형태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속이 빈 사각파이프 형태의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전기톱의 중량을 경량화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에는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수단(240)이 구비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240)은 상기 보조왕복대(230)의 전면에 결합되어 우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편(241)과, 상기 우측왕복대(220)의 전면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241)의 우측단에 걸리는 걸림돌기(242)를 포함한다(도 5 참조).
상기 걸림편(241)은 도시예와 같이, 나사(B24)를 관통시켜 보조왕복대(230)의 전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보조왕복대(230)에 결합할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돌기(242)는 도시예와 같이, 우측왕복대(220)의 전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되는 나사의 머리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왕복대(220)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돌기부재를 용접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좌측안내수단(310)은 상기 좌측왕복대(210)를, 상기 우측안내수단(320)은 상기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를 좌우로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좌측안내수단(310)은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140)에 고정되는 좌측가이드(311)와, 상기 좌측가이드(3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슬라이더(312)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안내수단(320)은 상기 우측수직부재(120)와 엔진마운트(160)에 걸쳐서 고정되는 우측가이드(321)와, 상기 우측가이드(3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측슬라이더(322)와 보조 슬라이더(323)를 포함한다(도 5 참조).
상기 좌측가이드(311)는 좌측단과 우측단에 나사(B31)를 관통시켜 좌측하단수평부재(140)의 후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측하단수평부재(14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우측가이드(321)는 우측단부를 관통하는 나사(B32)를 우측수직부재(120)와 우측하단수평부재(130)의 전면에 형성되는 나사홀에 체결함과 아울러 좌측단부를 관통하는 나사(B33)를 상기 우측하단수평부재(150)의 전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우측수직부재(120)와 우측하단수평부재(150)에 걸쳐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안내수단(310, 320)을 구성하는 좌, 우측가이드(311, 321)와 좌, 우측슬라이더(312, 322)는 통상적인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를 사용하여 좌, 우측슬라이더(312, 322, 323)와 이에 결합되는 좌측왕복대(210)와 우측왕복대(220) 및 보조왕복대(230)가 정확하게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 우측안내수단(310, 320)을 구성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는 직선왕복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상적인 부품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측왕복대(210)는 나사(B21)를 관통시켜 좌측슬라이더(312)의 전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측슬라이더(312)에 고정 결합하고, 상기 우측왕복대(220)는 나사(B22)를 관통시켜 우측슬라이더(322)의 후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우측슬라이더(322)에 고정 결합하며, 상기 보조왕복대(230)는 나사(B23)를 관통시켜 보조슬라이더(323)의 후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보조슬라이더(323)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톱날(400)은 양단에 고정공(410, 420)이 형성된 소위 '쇠톱날'이라고 불리는 통상적인 띠톱날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톱날(400)은 상기 고정공(410, 420)을 관통하는 좌, 우측톱날고정나사(430, 440)를 좌, 우측왕복대(210, 220)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 우왕복대(210, 220)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톱날고정나사(430, 440)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손으로 돌릴 수 있는 나비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톱날은 피절단물(WP)이 사람 또는 동물의 팔, 다리 등을 절단하는 것으로, 절단시 톱날에 의하여 소실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목재나 금속재를 절단하는 데에 사용되는 쇠톱날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엔진(500)은 톱날(40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동엔진(500)은 상기 엔진마운트(160)의 후면에 모터축(511)이 상기 엔진마운트(160)를 관통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구동모터(510)와, 상기 구동모터(510)에 의하여 회전하는 크랭크판(520)과, 상기 크랭크판(520)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 사이에 삽입되는 크랭크핀(530)을 포함한다(도 5 참조).
상기 구동모터(510)는 상기 프레임(100)의 엔진마운트(160)에 직각으로 장착되고, 상기 크랭크판(520)은 구동모터(510)의 모터축(511)에 고정된다.
상기 구동모터(510)는 모터축(511)을 엔진마운트(160)에 형성된 축공(513)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플랜지부(512)와 엔진마운트(160) 및 우측하단수평부재(150)에 나사(B51)를 관통시키고, 너트(N51)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엔진마운트(16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판(520)은 상기 모터축(511)을 상기 크랭크판(520)의 중심에 형성된 모터축공(521)에 관통시키고, 모터축(511)의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너트(52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축(511)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모터축(511)과 모터축공(521) 사이에는 키(key)를 삽입하거나 반달형 단면으로 형성하여 상호 헛돌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모터축(511)은 엔진마운트(160)에 베어링(도시생략)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10)는 통상적인 모터와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크랭크핀(530)은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하면서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를 좌우로 작동시킴과 아울러 시계방향으로 자전하면서 상기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에 대한 마찰력을 저감시키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크랭크핀(530)은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크랭크판(520)에 형성된 크랭크핀축공(531)과 크랭크핀(530)에 나사축(532)을 관통시키고, 나사축(532)에 너트(533)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나사축(53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크랭크핀(530)과 나사축(532) 사이에는 베어링(도시생략)을 삽입하여 크랭크핀(5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랭크핀(530)은 좌측중간점에서 하사점을 거쳐서 우측중간점을 향하는 동안에는 우측왕복대(220)를 밀어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우측중간점에서 상사점을 거쳐서 좌측중간점을 향하는 동안에는 보조왕복대(230)를 밀어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장력유지수단(600)은 상기 보조왕복대(230)에 결합되는 연결브래킷(610)과, 상기 연결브래킷(6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트링(700)의 우측단부가 고정되는 스트링연결부재(620)와, 상기 스트링연결부재(620)가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클러치 베어링(630) 및, 상기 스트링연결부재(6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장력유지스프링(640)을 포함한다(도 6 참조).
상기 연결브래킷(610)은 나사를 관통시켜 보조왕복대(230)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보조왕복대(23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나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걸림편(241)을 보조왕복대(230)에 고정하는 나사(B24)에 의하여 보조왕복대(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연결부재(620)는 상기 연결브래킷(610)을 통해 보조왕복대(230)에 연결되어 보조왕복대(230)와 함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트링연결부재(620)는 회전중심에 형성된 축공(621)과 연결브래킷(610)에 형성된 축공(611)에 볼트(622)를 관통시키고 너트(623)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브래킷(6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 베어링(630)은 원웨이 베어링(Oneway Bearing)이라고도 불리는 통상적인 클러치 베어링(Clutch Bearing)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클러치 베어링(630)은 상기 축공(621)과 볼트(623)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장력유지스프링(640)은 양단에 고리(641, 642)가 달린 인장스프링이 사용이 사용된다.
상기 장력유지스프링(640)은 일단의 고리(641)에 스프링고정나사(643)를 관통시켜 연결브래킷(610)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고, 타단의 고리(642)에 스프링고정나사(644)를 관통시켜 스트링연결부재(620)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브래킷(610)과 스트링연결부재(620) 사이에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스트링연결부재(620)가 장력유지스프링(640)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장력유지스프링(640)의 중심선이 스트링연결부재(620)의 회전중심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스트링(700)은 단일 강선으로 된 단선 와이어(單線 wire)를 사용하거나 복수 가닥의 강선을 꼬아서 만든 연선 와이어(撚線 wire)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 로프 또는 천연섬유 로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트링(7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하단, 좌측상단, 우측상단 및 우측하단에서 반전되며 좌측단부가 상기 좌측왕복대(210)에 고정되고, 우측단부가 상기 회전부재(610)에 고정된다.
상기 스트링(700)의 좌측단부에는 스토퍼(701)가 구비되며, 우측단부에는 고리(702)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701)는 봉 모양의 부재를 스트링(700)의 좌측단부에 용접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고리(702)는 스트링(700)의 우측단부를 감아서 형성하며, 풀리지 않도록 밴드(705)로 결속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700)의 좌측단부를 좌측왕복대(2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좌측왕복대(210)를 전방편(211)과 후방편(212)로 분할하고, 전방편(211)의 후면과 후방편(212)의 전면에 반원형 단면의 스트링삽입홈(703, 704)을 형성하며, 스트링(700)의 좌측단부를 스트링삽입홈(703, 704) 사이에 삽입하고, 전방편(211)과 후방편(212)에 나사(B21)를 관통시켜 좌측슬라이더(312)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한다.
이로써 나사(B21)에 의하여 전방편(211)과 후방편(212)이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스트링(700)의 좌측단부가 좌측왕복대(2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트링(700)의 우측단부를 스트링연결부재(620)에 고정하기 위하여 스트링연결부재(62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홈(624)을 형성하고, 원주홈(624)에서 전방측으로 관통되는 스트링통과공(625)을 형성하며, 우측단부에 고리(702)를 형성하기 전에 스트링(700)의 우측단부를 원주홈(624)에 삽입하고, 전방으로 절곡하여 원주홈(624)에서 스트링통과공(625)을 통해 전방으로 통과시킨 다음, 고리(702)를 형성하고, 고리(702)를 관통하는 나사(B71)를 스트링연결부재(620)의 전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한다(도 6 참조).
또한 스트링연결부재(620)의 원주홈(624)에 형성된 나사홀에 나사(B72)를 체결하여 스트링(700)의 절곡부(706)가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링(7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하단, 좌측상단, 우측상단 및 우측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측하단 반전안내롤러(710), 좌측상단 반전안내롤러(720), 우측상단 반전안내롤러(730) 및 우측하단 반전안내롤러(740)에 의하여 반전 안내된다.
상기 반전안내롤러(710, 720, 730, 740)들은 외주면에 홈이 형성된 홈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좌측수직부재(110)와 상측수평부재(130)와 우측수직부재(120)의 후면벽에 관통되어 너트(N73)가 체결되는 나사(B7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반전안내롤러(710, 720, 730, 740)와 나사(B73) 사이에는 반전안내롤러(710, 720, 730, 740)들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어링(도시생략)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절단물홀더(800)는 별도의 바이스(vice)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전기톱 자체적으로 피절단물(WP)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피절단물홀더(800)는 상기 좌, 우측수직부재(110, 120) 상단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 하 한 쌍의 수평안내봉(810)과, 상기 수평안내봉(810)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블록(830)과, 상기 수평안내봉(810)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블록(840)과, 상기 슬라이딩블록(830)에 상단이 결합되는 좌측승강가이드(850)와, 상기 고정블록(840)에 상단이 결합되는 우측승강가이드(860)와, 상기 좌측승강가이드(85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측홀딩조(Holding Jaw)(870)와, 상기 우측승강가이드(86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우측홀딩조(880)를 포함한다(도 8 참조).
상기 상하 한 쌍의 수평안내봉(810)은 상기 좌측수직부재(110)와 상측수평부재(130) 사이의 구석부분과 상기 우측수직부재(120)와 상측수평부재(130) 사이의 구석부분에 고정되는 좌, 우측고정편(821, 822)을 통하여 좌, 우측수직부재(110, 12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좌측고정편(821)은 나사(B81)를 관통시켜 좌측수직부재(110)의 우측면 상단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되고, 우측고정편(822)은 나사(B82)를 관통시켜 우측수직부재(120)의 좌측면 상단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상하 한 쌍의 수평안내봉(810)은 좌측단부를 좌측고정편(821)의 우측면에 형성된 고정홀(823)에 삽입하고, 우측단부를 우측고정편(822)의 좌측면에 형성된 고정홀(824)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딩블록(830)은 좌우로 관통되어 상기 수평안내봉(810)이 삽입되는 수평안내공(831)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블록(840)은 좌우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평안내봉(810)이 삽입되는 고정공(841)을 구비한다.
상기 좌측승강가이드(850)는 상기 슬라이딩블록(830)에 상단이 고정되는 좌측전면바(851)와, 상기 좌측전면바(851)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좌측측면바(852)를 포함한다.
상기 우측승강가이드(860)는 상기 고정블록(840)에 상단이 고정되는 우측전면바(861)와, 상기 우측전면바(861)의 좌측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우측측면바(862)를 포함한다.
상기 좌, 우측측면바(852, 862)의 하단에는 톱날(400)이 통과하는 슬릿(853, 863)이 형성된다.
상기 좌측승강가이드(850)는 좌측전면바(851)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고정나사(B83)를 상기 슬라이딩블록(830)의 전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슬라이딩블록(83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전면바(851)를 관통하며 슬라이딩블록(830)에 형성된 나사홀(H85)에 체결되고 후단이 수평안내봉(810)의 외주면 전면측에 조여지는 조임나사(B85)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딩블록(830)과 좌측승강가이드(850)를 수평안내봉(810)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임나사(B85)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손으로 돌릴 수 있는 나비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승강가이드(860)는 우측전면바(861)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고정나사(B84)를 상기 고정블록(840)의 전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블록(84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나사(B84)는 그 후단이 상기 수평안내봉(810)의 외주면에 조여지도록 함으로써 고정블록(840)과 우측승강가이드(860)가 수평안내봉(8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좌측홀딩조(870)는 상기 좌측승강가이드(850)의 전면바(851)의 전면에 후면이 접하는 좌측전면홀딩조(871)와, 상기 좌측전면홀딩조(871)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좌측측면홀딩조(872)를 포함한다.
상기 우측홀딩조(880)는 상기 우측승강가이드(860)의 전면바(861)의 전면에 후면이 접하는 우측전면홀딩조(881)와, 상기 우측전면홀딩조(881)의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우측측면홀딩조(88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절단물홀더(800)는 상기 좌측홀딩조(870)를 상기 좌측승강가이드(850)에 대하여 승강안내하는 좌측승강안내수단(873)과, 상기 우측홀딩조(880)를 상기 우측승강가이드(860)에 승강안내하는 우측승강안내수단(88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좌, 우측승강안내수단(873, 883)은 좌, 우측승강가이드(850, 860)에 대한 좌, 우측홀딩조(870, 880)의 승강안내 기능과 좌, 우측승강가이드(850, 860)에 대한 좌, 우측홀딩조(870, 880)의 상대적인 승강작동이 급격히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승강안내수단(873)은 상기 좌측승강가이드(850)의 좌측전면바(851)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좌측승강안내장공(874)과, 상기 좌측승강가이드(850)의 좌측전면바(851)의 후면에 접촉하는 좌측승강판(875)과, 상기 좌측승강판(875)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승강안내장공(874)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성체의 좌측승강안내판(876)과, 상기 좌측전면홀딩조(871)의 전면에 밀착되는 좌측자석편(877)과, 상기 좌측승강판(875)과 좌측승강안내판(876)과 좌측승강안내장공(874) 및 좌측자석편(877)을 관통하는 나사(878) 및, 상기 나사(878)에 체결되는 너트(879)를 포함한다.
상기 우측승강안내수단(883)은 상기 우측승강가이드(860)의 우측전면바(861)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우측승강안내장공(884)과, 상기 우측승강가이드(860)의 우측전면바(861)의 후면에 접촉하는 우측승강판(885)과, 상기 우측승강판(885)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우측승강안내장공(884)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성체의 우측승강안내판(886)과, 상기 우측전면홀딩조(881)의 전면에 밀착되는 우측자석편(887)과, 상기 우측승강판(885)과 우측승강안내판(886)과 우측승강안내장공(884) 및 우측자석편(887)을 관통하는 나사(888) 및, 상기 나사(888)에 체결되는 너트(88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절단물홀더(800)는 좌측승강가이드(850)를 우측승강가이드(860)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측승강가이드(85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좌측홀딩조(870)와 우측승강가이드(86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우측홀딩조(880)에 의한 피절단물 조임력을 조절하는 조임력조절수단(890)을 더 포함한다(도 8 참조).
상기 조임력조절수단(890)은 상기 좌측수직부재(110)의 하단부를 좌우로 관통하는 조임력조절스크루(891)와,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140)의 상면에 고정되는 좌우로 개방되고 상면에 나사관통공(894)이 형성된 하우징(893)과, 상기 하우징(893)의 내부 상단부에 삽입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나사홀(896)이 형성되는 암나사블록(895)과, 상기 하우징(893)의 내부 하단부에 상기 암나사블록(895)의 하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임력조절스크루(891)에 나사결합 가능한 하프너트홀(900)이 형성된 하프너트블록(899)과, 상기 하우징(893)의 바닥과 하프너트블록(899)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프너트블록(899)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902)과, 상기 하우징(893)의 나사관통공(894)을 관통하여 암나사블록(895)의 나사홀(896)에 체결되며 하단이 상기 하프너트블록(899)의 상면에 접하는 승강조절나사(904)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력조절스크루(891)의 좌측단에는 회전손잡이(892)가 결합된다.
상기 조임력조절스크루(891)는 좌측수직부재(110)에 형성된 스크루안내공(111)에 관통된다.
상기 하우징(893)은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140)의 상면판을 관통하는 나사(B86)를 하우징(893)의 하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측하단수평부재(14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좌측하단수평부재(140)의 하면판에는 나사(B86)를 하우징(893)의 나사홀에 체결하기 위한 드라이버가 관통되는 드라이버관통공(H86)이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블록(895)을 하우징(893)에 고정하기 위하여 하우징(893)의 좌우측 개방부에 고정판(897)을 삽입하고, 고정판(897)을 관통하는 나사(B87)를 암나사블록(895)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한다.
상기 고정판(897)에는 상기 조임력조절스크루(891)가 관통되는 관통공(898)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코일스프링(902)은 상기 하프너트블록(899)의 상단 일측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901)와 하우징(893)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하는 것만으로써 상기 하프너트블록(899)을 상향 탄력지지할 수 있으나, 상단이 상기 연장부(901)를 관통함과 아울러 하단이 하우징(893)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봉(903)을 상기 압축코일스프링(902)에 끼움으로써 압축코일스프링((902)의 탄성작용이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조절나사(904)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손으로 돌릴 수 있는 나비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수직부재(110)의 하단부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상기 조임력조절스크루(891)를 안내하는 스크루안내공(907, 908)이 형성된 안내편(905, 906)을 결합한다.
상기 안내편(905, 906)은 안내편(905)과 좌측수직부재(110)에 나사(B88)를 관통시켜 안내편(906)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측수직부재(110)의 좌,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 좌, 우측왕복대(210, 220)와 보조왕복대(230), 피절단물홀더(800)는 모두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구성하거나 철재(자성체)로 구성하고 크롬 도금할 수 있다.
상기 조임력조절스크루(891)의 선단부는 좌측승강가이드(850)의 우측면바(852)에 자력에 의하여 흡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조임력조절스크루(891)에 의하여 좌측승강가이드(850)와 좌측홀딩조(870)를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키거나 좌측으로 당겨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좌측승강가이드(850)를 철재로 구성하고 크롬 도금을 하고, 조임력조절스크루(891)의 선단에 자석편(90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좌측승강가이드(850)가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된 경우에는 좌측승강가이드(850)의 우측면바(852)의 좌측면에 상기 자석편(909)과 다른 극끼리 마주보는 자석편을 부착할 수 있다.
자석편(909)은 도시예와 같이 조임력조절스크루(891)의 선단면에 형성된 홈에 압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며,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전기톱에 의하여 피절단물(WP)을 절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조임나사(B85)를 이완시켜 수평안내봉(810)에 대한 슬라이딩블록(83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슬라이딩블록(830)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딩블록(830)에 결합된 좌측승강가이드(850)와 좌측승강가이드(85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좌측홀딩조(870)가 좌우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좌, 우측홀딩조(870, 880)를 피절단물(WP)의 높이에 따라 좌, 우측승강가이드(850, 860)에 대하여 하강시키고, 우측홀딩조(880)를 피절단물(WP)의 우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피절단물(WP)의 굵기에 따라 슬라이딩블록(830)과 좌측승강가이드(850) 및 좌측홀딩조(870)를 좌우로 이동시켜 피절단물(WP)의 좌측이 좌측홀딩조(870)에 닿도록 한다.
다음, 조임력조절수단(890)의 승강조절나사(904)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승강조절나사(904)의 하단에 접하고 있는 하프너트블록(899)이 하강하여 하프너트홀(900)이 조임력조절스크루(891)에 맞물리게 한 다음, 조임력조절스크루(891)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하프너트홀(900)과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조임력조절스크루(891)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좌측승강가이드(850)를 우측으로 밀게 되고, 좌측승강가이드(850)와 좌측홀딩조(850)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좌측홀딩조(850)가 피절단물(WP)의 좌측에 밀착된다.
이때, 승강조절나사(904)에 의하여 하프너트블록(899)이 하강함에 따라 압축코일스프링(902)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비축하게 된다. 또한 압축코일스프링(902)은 상단이 하프너트블록(899)의 연장부(901)를 관통함과 아울러 하단이 하우징(893)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봉(903)에 의하여 수직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압축코일스프링(902)의 탄성력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임나사(B85)를 조여서 슬라이딩블록(830), 좌측승강가이드(850), 좌측홀딩조(870)를 고정시켜 피절단물(WP)이 좌, 우측홀딩조(870, 88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절단작업의 준비를 완료한다(도 10 참조).
메인손잡이(170)와/또는 보조손잡이(180)를 잡고, 전원스위치(193)의 스위치노브(194)를 누르면, 구동모터(510)가 가동된다. 구동모터(510)는 통상적인 모터에서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동모터(510)가 회전하면, 모터축(11)에 결합되어 있는 크랭크판(520)이 회전하며, 크랭크핀(530)이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하게 된다.
크랭크핀(530)이 좌측중간점에서 하사점을 향하여 공전하는 동안과 하사점에서 우측중간점을 향하여 공전하는 동안에는 우측왕복대(220)가 크랭크핀(530)에 의하여 밀려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크랭크핀(530)이 우측중간점에서 상사점을 향하여 공정하는 동안과 상사점에서 좌측중간점을 향하여 공전하는 동안에는 보조왕복대(230)가 크랭크핀(530)에 의하여 밀려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동작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9의 (a)는 크랭크핀(530)이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이고, 도 9의 (b)는 크랭크핀(530)이 우측중간점에 위치한 상태이며, 도 9의 (c)는 크랭크핀(530)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이고, 도 9의 (d)는 크랭크핀(530)이 좌측중간점에 위치한 상태이다.
우측왕복대(22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우측왕복대(220)에 우측톱날고정나사(440)에 의해 우측단부가 고정된 톱날(400)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톱날(400)의 좌측단이 좌측톱날고정나사(430)에 의해 고정된 좌측왕복대(21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좌측왕복대(210)에 좌측단부가 고정된 스트링(700)이 반시계방향으로 주행하게 되고, 스트링(700)의 우측단부가 고정된 장력조절수단(600)의 스트링연결부재(620)가 우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스트링연결부재(620)에 연결브래킷(610)으로 연결되어 있는 보조왕복대(23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우측왕복대(220)는 크랭크핀(530)의 작동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보조왕복대(230)는 크랭크핀(530)의 작동력이 톱날(400), 좌측왕복대(210), 스트링(700), 장력유지수단(600)의 스트링연결부재(620), 연결브래킷(610)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므로 우측왕복대(220)가 미소 시차를 두고 선행(先行)하고, 보조왕복대(230)가 미소한 시차를 두고 후행(後行)하게 된다.
따라서 톱날(400)의 우측방향 이동은 우측왕복대(220)가 톱날(400)을 우측으로 당기는 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좌측왕복대(210)가 톱날(400)을 우측으로 미는 힘은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톱날(400)의 직진성이 양호하게 되고, 얇은 두께의 톱날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톱날(400)이 휘는 일이 없게 된다.
반대로, 보조왕복대(23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보조왕복대(230)에 연결브래킷(610)으로 연결된 스트링연결부재(62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스트링연결부재(620)에 우측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스트링(700)이 시계방향으로 주행하게 되며, 스트링(700)의 좌측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좌측왕복대(21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좌측왕복대(210)에 좌측단부가 좌측톱날고정나사(430)에 의해 고정된 톱날(40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톱날(400)의 우측단부가 우측톱날고정나사(4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우측왕복대(22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보조왕복대(230)에는 크랭크핀(530)의 작동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우측왕복대(220)에는 연결브래킷(610), 스트링연결부재(620), 스트링(700), 좌측왕복대(210), 톱날(400)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므로 보조왕복대(230)가 미소한 시차를 두고 선행하게 되고, 우측왕복대(220)가 미소한 시차를 두고 후행하게 된다.
따라서 톱날(400)의 좌측방향 이동은 좌측왕복대(210)가 톱날(400)을 좌측으로 당기는 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우측왕복대(220)가 톱날(400)을 좌측으로 미는 힘은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톱날(400)의 직진성이 양호하게 되고, 얇은 두께의 톱날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톱날(400)이 휘는 일이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톱날(400)은 미는 힘을 받지 않고, 당기는 힘에 의해서만 이동하게 되므로 직진성이 양호하게 되고, 얇은 두께의 톱날을 사용할 경우에도 톱날(400)이 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조왕복대(230)에는 걸림편(241)이 결합되어 있고, 우측왕복대(220)에는 걸림돌기(24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에 대한 크랭크핀(530)의 접촉이 항상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톱날(400)이 좌우로 왕복하면서 피절단물(WP)을 절단하게 되는데 좌측왕복대(210)는 좌측가이드(311)와 좌측슬라이더(312)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와 같은 좌측안내수단(310)에 의하여 안내되고,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는 우측가이드(321)와 우측슬라이더(322, 323)를 포함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와 같은 우측안내수단(310)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좌측왕복대(210), 우측왕복대(220) 및 보조왕복대(230)와 톱날(400)의 좌우 왕복이동이 직선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피절단물(WP)의 절단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피절단물(WP)의 절단이 진행되면, 프레임(100), 좌, 우측왕복대(210, 220), 좌, 우측안내수단(310, 320), 톱날(400), 구동수단(500), 장력유지수단(600), 스트링(700)과 피절단물홀더(800) 중 수평안내봉(810), 슬라이딩블록(830, 840), 좌, 우측승강가이드(850, 860)는 절단방향(하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좌, 우측홀딩조(870, 880)는 상대적으로 절단방향과 반대방향(상승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11 참조).
따라서 피절단물(WP)은 준비상태로부터 절단이 진행되는 동안, 그리고 절단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좌, 우측홀딩조(870, 88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피절단물(WP)의 절단이 유동 없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도 12 참조).
상기 좌, 우측홀딩조(870, 880)는 좌, 우측승강안내수단(873, 883)에 의하여 좌, 우측승강가이드(850, 860)에 승강안내됨과 아울러 상대적인 상승작동에 급격히 이루어지지 않고, 절단속도에 대응하여 상대적인 상승작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피절단물(WP)의 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좌, 우측승강안내수단(873, 883)은 좌, 우측승강판(875)에 일체로 형성된 자성체의 좌, 우측승강안내판(876, 886)이 좌, 우측승강가이드(850 860)의 좌, 우측전면바(851, 86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좌, 우측홀딩조(870, 880)의 좌, 우측전면홀딩조(871, 881)의 전면에 좌, 우측자석편(877, 887)이 밀착되며, 좌, 우측승강판(875, 885)과 좌, 우측승강안내판(876, 886)이 나사(878, 888)와 너트(879, 889)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좌, 우측승강판(875, 885)과 좌, 우측승강안내판(876, 886)과 좌, 우측자석편(877, 887) 사이에 흡착력이 작용하게 되어 좌, 우측승강가이드(850, 860)에 대한 좌, 우측홀딩조(870, 880)의 상대적인 상승작용이 급격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절단이 완료되면, 승강조절나사(904)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승강조절나사(904)가 상승하게 되고, 상술한 하프너트블록(899)의 하강과정에서 압축되어 탄성력을 비축하고 있던 압축코일스프링(90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하프너트블록(899)이 상승하여 하프너트홀(900)이 조임력조절스크루(891)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다음, 조임력조절스크루(891)를 좌측으로 당기면 조임력조절스크루(891)의 우측단이 좌측승강가이드(85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임나사(B85)를 이완시키고, 승강가이드(85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좌측홀딩조(870)가 피절단물(WP)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좌, 우측홀딩조(870, 880)에 의하여 피절단물(WP)의 고정이 해제된다(도 13 참조).
한편, 상술한 절단작동이 반복됨에 따라 스트링(700)의 장력이 이완될 수 있는바, 상기 장력유지수단(600)에 의하여 스트링(70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왕복대(230)에 연결브래킷(610)을 통해 결합되며 스트링(700)의 좌측단부가 고정되는 스트링연결부재(620)가 클러치 베어링(630)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어 있고, 연결브래킷(610)과 스트링연결부재(620) 사이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장력유지스프링(64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트링의 장력이 느슨해질 경우 장력유지스프링(640)에 의하여 스트링연결부재(6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트링(700)의 장력을 보강하게 된다.
또한 스트링연결부재(620)는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베어링(63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스트링(700)의 장력이 이완되는 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톱날(400)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때 톱날(400)을 당기는 작용을 하는 스트링(700)의 장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성능이 저하되는 일이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의료용 전기톱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0)은 좌, 우측수직부재(110, 120), 상측수평부재(130)가 사각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수직부재(110)의 하단부와 상기 좌측수직부재(110)와 상측수평부재(130)의 좌측단 사이의 이음부분과 상기 우측수직부재(120)와 상측수평부재(130)의 우측단 사이의 이음부분 및 우측수직부재(120)의 중단부에 상기 반전안내롤러(710, 720, 730, 740)를 설치하기 위한 롤러설치공(711, 721, 731, 741)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롤러설치공(711, 721, 731, 741)의 내경은 반전안내롤러(710, 720, 730, 74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롤러설치공(711, 721, 731, 741)을 통해 반전안내롤러(710, 720, 730, 740)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의료용 전기톱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보인 프레임과 구동엔진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전기톱은 구동엔진(500)의 변형에 따라 구동엔진(500A)을 장착하기 위한 엔진마운트(160A)를 변형한 것이다.
상기 엔진마운트(160A)는 모터장착부(161A)와 크랭크판장착부(162A)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장착부(161A)는 후방에, 크랭크판장착부(162A)는 전방에 이격 배치되며, 연결부(163A)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엔진(500A)은 상기 모터장착부(161A)에 모터축(511A)이 우측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구동모터(510A)와, 상기 크랭크판장착부(16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랭크판(520A)과, 상기 크랭크판(520A)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 사이에 삽입되는 크랭크핀(530A) 및, 상기 구동모터(510A)의 회전력을 크랭크판(520A)에 전달하는 전동기구(540A)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510A)는 상기 프레임(100)의 엔진마운트(160A)에 평행으로 장착되고, 상기 크랭크판(520A)은 크랭크판장착부(162A)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510A)는 외주부에 형성된 모터베이스(512A)와 모터장착부(161A)에 나사(B52)를 관통시키고 너트(N5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장착부(161A)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판(520A)은 회전중심에 크랭크축공(521A)을 형성하고, 상기 크랭크판장착부(162A)에 형성된 축공(164A)에 관통되는 축볼트(523A)를 상기 크랭크축공(521A)에 관통시키고 너트(524A)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크랭크판장착부(16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축볼트(532A)와 크랭크판(520A) 사이에는 베어링(도시생략)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핀(530A)은 공전하면서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를 좌우로 작동시킴과 아울러 자전하면서 상기 우측왕복대(220)와 보조왕복대(230)에 대한 마찰력을 저감시키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크랭크핀(530A)은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크랭크판(520A)에 형성된 크랭크핀축공(531A)과 크랭크핀(530A)에 나사축(532A)을 관통시키고, 나사축(532A)에 너트(533A)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나사축(53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크랭크핀(530A)과 나사축(532A) 사이에는 베어링(도시생략)을 삽입하여 크랭크핀(530A)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기구(540A)는 상기 모터축(511A)에 결합되는 구동베밸기어(541A)와, 상기 크랭크판(520A)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베벨기어(541A)에 맞물리는 종동베벨기어(542A)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베벨기어(541a)는 축공(541B)을 가지며, 상기 모터축(511A)을 축공(541B)에 관통시키고 모터축(511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도시생략)에 너트(541C)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축(511A)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모터축(511A)과 구동베벨기어(541A)의 축공(541B) 사이에는 키(key)를 삽입하거나 반달형 단면으로 형성하여 상호 헛돌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종동베벨기어(542A)는 상기 크랭크판(520A)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축공(521A)과 크랭크핀축공(531A)은 크랭크판(520A)과 종동베벨기어(542A)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510A)는 통상적인 모터와 마찬가지로 우측면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구동모터(510A)의 회전력이 상기 크랭크판(520A)은 구동베벨기어(541A)와 종동베벨기어(542A)를 통하여 크랭크판(520A)에 전달되므로 크랭크판(520A)은 시게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크랭크핀(530A)은 시계방향으로 공전함과 아울러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구동엔진(500A)에 의하여 좌, 우측왕복대(210, 22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모터(510A)가 가동되어 모터축(511A)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모터축(511A)에 결합된 구동베벨기어(541A)와 크랭크판(520A)에 일체로 형성된 종동베벨기어(542A)의 기어작용에 의하여 크랭크판(520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크랭크핀(530A)은 시계방향으로 공전하게 되고, 좌측중간점에서 상사점을 거쳐서 우측중간점을 향하는 동안에는 우측왕복대(220)를 밀어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우측중간점에서 하사점을 거쳐서 좌측중간점을 향하는 동안에는 보조왕복대(230)를 밀어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타 프레임(100), 좌, 우측안내수단(210, 220), 톱날(400), 장력유지수단(600), 스트링(700)에 의한 절단동작과 피절단물홀더(800)에 의하여 피절단물(WP)을 고정하는 동작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전기톱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프레임(100), 좌, 우측왕복대(210, 220), 보조왕복대(230), 좌, 우측안내수단(310, 320), 톱날(400), 구동엔진(500), 장력유지수단(600), 스트링(700), 피절단물홀더(800)에 씌워지는 오염방지커버(1000)를 더 포함한 것이다.
상기 오염방지커버(1000)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전기톱에 의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팔, 다리 등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비산될 수 있는 피와 분비물 등에 의하여 프레임(100), 좌, 우측왕복대(210, 220), 보조왕복대(230), 좌, 우측안내수단(310, 320), 톱날(400), 구동엔진(500), 장력유지수단(600), 스트링(700), 피절단물홀더(800)가 오염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오염방지커버(1000)는 합성수지시트, 친환경 종이류나 면류, 또는 일회용 알루미늄 시트 또는 재활용이 가능한 알루미늄 시트 등을 주름관 형태로 제작하여 프레임(100), 좌, 우측왕복대(210, 220), 보조왕복대(230), 좌, 우측안내수단(310, 320), 구동엔진(500), 장력유지수단(600), 스트링(700), 피절단물홀더(800)에 씌웠을 때 움직이는 구성요소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염방지커버(1000)는 프레임(100), 좌, 우측왕복대(210, 220), 좌, 우측안내수단(310, 320), 톱날(400), 구동엔진(500), 장력유지수단(600), 스트링(700), 피절단물홀더(800)등의 구성요소별로 분리 제작하여 이들 구성요소들을 조립하기 전에 미리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씌운 다음 조립할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스카치 테이프(상품명) 등의 테이프를 접착하여 봉합한다.
각 구성요소들을 조립하기 위한 나사들은 오염방지커버(1000)를 뚫고 들어가서 나사홀이나 너트등에 체결되도록 하며, 나사들이 뚫고 들어간 자리와 나사들에는 스카치 테이프 등의 테이프를 접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오염방지커버(1000)는 절단작업이 완료된 후, 일회용인 톱날(400)과 함께 폐기함으로써 의료용 전기톱을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오염방지커버(1000)는 병원이나 의료기관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에 감염되어 많은 사람들이 사망에 이르고 있는 소위 원내감염(院內感染, hospital-acquired infection (HAI), nosocomial infection) 또는 병원감염(病院感染)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용뿐만 아니라 목재나 금속재와 같이 일정한 단면적을 가지며 표면이 평탄한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210 : 좌측왕복대
220 : 우측왕복대 230 : 보조왕복대
310 : 좌측안내수단 320 : 우측안내수단
400 : 톱날 500, 500A : 구동엔진
510, 510A : 구동모터 520, 520A : 크랭크판
530, 530A : 크랭크핀 540A : 전동기구
600 : 장력유지수단 610 : 연결브래킷
620 : 스트링연결부재 630 : 클러치 베어링
640 : 장력유지스프링 700 : 스트링
800 : 피절단물홀더 810 : 수평안내봉
830 : 슬라이딩블록 840 : 고정블록
850 : 좌측승강가이드 860 : 우측승강가이드
870 : 좌측홀딩조 880 : 우측홀딩조
890 : 조임력조절수단 1000 : 오염방지커버

Claims (18)

  1. 좌우로 이격배치되는 좌, 우측수직부재와, 상기 좌, 우측수직부재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수평부재와, 상기 좌측수직부재의 하단우측에 우측을 향해 결합되는 좌측하단수평부재 및, 상기 우측수직부재의 하단좌측에 좌측을 향해 수평으로 결합되는 우측하단수평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왕복대와, 상기 우측하단수평부재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측왕복대와, 상기 우측왕복대의 좌측에 이격배치되는 보조왕복대와;
    상기 좌측왕복대와 우측왕복대에 양단이 고정되는 톱날과;
    상기 우측왕복대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력과 상기 보조왕복대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엔진과;
    상기 프레임의 좌측하단과 좌측상단, 우측상단과 우측중단에서 반전되며, 좌측단부가 상기 좌측왕복대에 고정되고, 우측단부가 상기 보조왕복대에 결합된 장력유지수단에 고정되는 스트링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피절단물홀더;를 포함하는 의료용 전기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왕복대는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에 좌측안내수단을 통하여 좌우로 안내되며,
    상기 우측왕복대와 보조왕복대는 상기 우측하단수평부재에 우측안내수단을 통하여 좌우로 안내되고,
    상기 좌측안내수단은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에 고정되는 좌측가이드와, 상기 좌측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좌측왕복대가 고정되는 좌측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안내수단은 상기 우측하단수평부재에 고정되는 우측가이드와, 상기 우측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우측왕복대과 고정되는 우측슬라이더와 상기 보조왕복대가 고정되는 보조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왕복대는
    전면에 반원형 단면의 스트링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슬라이더에 밀착되는 후방편과,
    후면에 반원형 단면의 스트링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편에 밀착되는 전방편과,
    상기 전방편과 후방편을 관통하여 상기 좌측슬라이더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엔진은
    상기 우측하단수평부재에 결합되는 엔진마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랭크판과,
    상기 크랭크판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우측왕복대와 보조왕복대 사이에 위치하는 크랭크핀과,
    상기 엔진마운트에 장착되어 상기 크랭크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왕복대와 보조왕복대에는 우측왕복대와 보조왕복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보조왕복대의 전면에 결합되어 우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편과, 상기 우측왕복대의 전면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걸림편의 우측단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모터축이 상기 엔진마운트를 관통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엔진마운트의 후면에 장착되며,
    상기 크랭크판은 상기 모터축에 직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마운트는 모터장착부와 크랭크판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모터축이 우측을 향하도록 상기 모터장착부의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크랭크판은 상기 크랭크판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축과 크랭크판은 전동기구를 통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는 구동베벨기어와,
    상기 크랭크판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종동베벨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수단은
    상기 장력유지수단은 상기 보조왕복대에 결합되는 연결브래킷과, 상기 연결브래킷에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트링의 우측단부가 고정되는 스트링연결부재와, 상기 스트링연결부재가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클러치 베어링 및, 상기 스트링연결부재를 반시계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장력유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연결부재는 회전중심에 형성된 축공과, 상기 연결브래킷에 고정되어 상기 축공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축공과 볼트 사이에는 상기 스트링연결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클러치 베어링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절단물홀더는
    상기 좌, 우측수직부재의 상단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하, 한 쌍의 수평안내봉과,
    상기 수평안내봉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블록과,
    상기 수평안내봉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상단이 결합되는 좌측승강가이드와,
    상기 고정블록에 상단이 결합되는 우측승강가이드와,
    상기 좌, 우측승강가이드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피절단물을 고정하는 좌, 우측홀딩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승강가이드는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상단이 고정되는 좌측전면바와, 상기 좌측전면바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좌측측면바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승강가이드는 상기 고정블록에 상단이 고정되는 우측전면바와, 상기 우측전면바의 좌측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우측측면바를 포함하고,
    상기 좌, 우측측면바의 하단에는 톱날이 통과하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홀딩조는 상기 좌측승강가이드의 전면바의 전면에 후면이 접하는 좌측전면홀딩조와, 상기 좌측전면홀딩조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좌측측면홀딩조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홀딩조는 상기 우측승강가이드의 전면바의 전면에 후면이 접하는 우측전면홀딩조와, 상기 우측전면홀딩조의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우측측면홀딩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홀딩조를 상기 좌측승강가이드에 대하여 승강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좌측홀딩조가 급격하게 승강하지 않도록 하는 좌측승강안내수단과, 상기 우측홀딩조를 상기 우측승강가이드에 승강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우측홀딩조가 급격하게 승상하지 않도록 하는 우측승강안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승강안내수단은 상기 좌측승강가이드의 좌측전면바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좌측승강안내장공과, 상기 좌측승강가이드의 좌측전면바의 후면에 접촉하는 좌측승강판과, 상기 좌측승강판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좌측승강안내장공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성체의 좌측승강안내판과, 상기 좌측전면홀딩조의 전면에 밀착되는 좌측자석편과, 상기 좌측승강판과 좌측승강안내판과 좌측승강안내장공 및 좌측자석편을 관통하는 나사 및, 상기 나사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승강안내수단은 상기 우측승강가이드의 우측전면바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우측승강안내장공과, 상기 우측승강가이드의 우측전면바의 후면에 접촉하는 우측승강판과, 상기 우측승강판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우측승강안내장공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성체의 우측승강안내판과, 상기 우측전면홀딩조의 전면에 밀착되는 우측자석편과, 상기 우측승강판과 우측승강안내판과 우측승강안내장공 및 우측자석편을 관통하는 나사 및, 상기 나사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승강가이드를 우측승강가이드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측승강가이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좌측홀딩조와 우측승강가이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우측홀딩조에 의한 피절단물 조임력을 조절하는 조임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력조절수단은 좌우로 이격배치되는 좌, 우측수직부재와, 상기 좌, 우측수직부재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수평부재와, 상기 좌측수직부재의 하단우측에 우측을 향해 결합되는 좌측하단수평부재 및, 상기 우측수직부재의 하단좌측에 좌측을 향해 수평으로 결합되는 우측하단수평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좌측에 설치되며,
    상기 좌측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좌우로 관통하는 조임력조절스크루와, 상기 좌측하단수평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좌우로 개방되고 상면에 나사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부에 삽입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암나사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단부에 상기 암나사블록의 하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임력조절스크루에 나사결합 가능한 하프너트홀이 형성된 하프너트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과 하프너트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프너트블록을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나사관통공을 관통하여 암나사블록의 나사홀에 체결되며 하단이 상기 하프너트블록의 상면에 접하는 승강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좌, 우측왕복대, 보조왕복대, 좌, 우측안내수단, 톱날, 구동엔진, 장력유지수단, 스트링, 피절단물홀더에 씌워지는 오염방지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전기톱.
KR1020180059904A 2017-05-30 2018-05-25 의료용 전기톱 KR10205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904A KR102051862B1 (ko) 2018-05-25 2018-05-25 의료용 전기톱
PCT/KR2018/006074 WO2018221927A1 (ko) 2017-05-30 2018-05-29 의료용 전기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904A KR102051862B1 (ko) 2018-05-25 2018-05-25 의료용 전기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68A KR20190134368A (ko) 2019-12-04
KR102051862B1 true KR102051862B1 (ko) 2019-12-05

Family

ID=6900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904A KR102051862B1 (ko) 2017-05-30 2018-05-25 의료용 전기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6247A (zh) * 2022-02-17 2022-05-13 黄井岩 一种智能物流用箱体封箱辅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536Y1 (ko) 2005-03-04 2005-05-31 김만영 석재 수직 절단용 와이어톱 장착장치
KR101384989B1 (ko) 2012-10-23 2014-04-29 이동국 목재 수직 절단장치
JP2015027780A (ja) 2013-06-27 2015-02-12 株式会社ミラノ製作所 ワイヤソ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30341A1 (en) * 2004-12-15 2006-06-15 David Chandler Paul Flush cut saw
KR20100027603A (ko) 2008-09-03 2010-03-11 (주) 제이이티앤드케이 휴대용 톱
KR20120001182A (ko) 2010-06-29 2012-01-04 송영은 전동톱
KR101606339B1 (ko) * 2014-09-19 2016-03-30 주식회사 현성이엔지 러그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536Y1 (ko) 2005-03-04 2005-05-31 김만영 석재 수직 절단용 와이어톱 장착장치
KR101384989B1 (ko) 2012-10-23 2014-04-29 이동국 목재 수직 절단장치
JP2015027780A (ja) 2013-06-27 2015-02-12 株式会社ミラノ製作所 ワイヤソ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68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980B2 (en) Reciprocating saw, such as a jigsaw
US6449851B1 (en) Powered reciprocating saw and clamping mechanism
US5193281A (en) Apparatus for changing the cutting direction in a reciprocating saw
KR102051862B1 (ko) 의료용 전기톱
CA2823758A1 (en) Chain saw
ATE324028T1 (de) Pflanzentrimmer
US4949464A (en) Battery operated coping saw
US5027518A (en) Battery operated coping saw
US4827616A (en) In-line hedge trimmer with planetary gear drive and vibration damping blade assembly
US5509206A (en) Portable or table mounted band saw utilizing dual cutting procedure of band saw blade
CN209349612U (zh) 脉冲控制的锯切锯架
WO2014159025A1 (en) Quick-change tension cable assembly for oscillating tool
KR102036745B1 (ko) 휴대 및 거치 겸용 전기톱
US2962798A (en) Filing attachment for portable power tools
US7024779B1 (en) Power saw
EP1102664B1 (de) Handgeführte laubsägemaschine
CN210148324U (zh) 实木开料机
US2690774A (en) Wire-type power saw
CN217098114U (zh) 一种立式带锯床用便于安装的工作台
CN210059989U (zh) 一种市政用手锯
KR200442289Y1 (ko) 휴대용 전기톱
CN215146090U (zh) 一种金属制品加工用焊接定位机构
CN210850610U (zh) 一种木材表面自动漆膜划格装置
CN114030017B (zh) 提取管切割设备及切割方法
US20230019035A1 (en) Chainsaw Limb Gripping Attach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