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672B1 -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672B1
KR102051672B1 KR1020120098982A KR20120098982A KR102051672B1 KR 102051672 B1 KR102051672 B1 KR 102051672B1 KR 1020120098982 A KR1020120098982 A KR 1020120098982A KR 20120098982 A KR20120098982 A KR 20120098982A KR 102051672 B1 KR102051672 B1 KR 102051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ce making
tank
ic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003A (ko
Inventor
박정철
노용연
최인두
홍영훈
이현우
장민석
정진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2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얼음에 의한 냉수의 제조시 냉수탱크의 물넘침을 방지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을 제빙유닛에 공급하여 제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얼음의 공급과 얼음을 이용한 냉수제조가 독자적으로 이루어지는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시스템은 물저장탱크(200); 상기 물저장탱크(200)로부터 공급된 물로 얼음(I)을 제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하측에 배치된 제빙유닛(300); 상기 물저장탱크(200)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며 상기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 또는 냉각된 냉각수가 공급되어 저장된 물이 냉각되도록 하며, 상기 제빙유닛(300)의 하측에 배치된 냉수탱크(400); 및 상기 냉수탱크(400)에서 냉각된 물을 상기 물저장탱크(20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순환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물저장탱크(200)에는 상기 냉수탱크(400)에서 냉각된 물이 공급되는 순환영역(S1)과 이와 구획되는 저장영역(S2)을 구분하는 구분부재(210)가 구비되며,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순환영역(S1)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된 물이 상기 제빙유닛(300)에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ICE MAK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에 의한 냉수의 제조시 냉수탱크의 물넘침을 방지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물을 제빙유닛에 공급하여 제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얼음의 공급과 얼음을 이용한 냉수의 제조가 독자적으로 이루어지는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빙시스템은 얼음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에는 얼음의 제조를 위해서 제빙유닛이 포함된다.
이러한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0099663호를 들 수 있으며, 이에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의 제조를 위한 제빙유닛(30)이 포함된 제빙시스템(10)이 개시되어 있다.
제빙유닛(30)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사이클에 포함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33)에 연결된 침지부재(31)와, 침지부재(31)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며 얼음(I)이 생성되는 제빙위치와 침지부재(31)로부터 얼음(I)이 분리되는 탈빙위치 사이를 회전하는 트레이부재(3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트레이부재(32)에 물이 담겨서 침지부재(31)가 잠긴 상태에서 냉동사이클을 구동하여 증발기(33)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면, 침지부재(31)에 얼음(I)이 생성된다. 그리고, 소정 크기의 얼음(I)이 생성되면, 트레이부재(32)를 탈빙위치로 회전시키고, 침지부재(31)가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침지부재(31)에 형성된 얼음(I)이 침지부재(31)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종래의 제빙시스템(10)은 제빙유닛(30)에 의해서 제조된 얼음(I)을 냉수탱크(40)에 공급하여 냉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여 냉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2)에는 그릴(7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빙유닛(30)의 아래에는 홈(81)이 형성된 슬라이드판(80)이 구비되고, 슬라이드판(80)의 아래에는 냉수탱크(40)가 구비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20)와 냉수탱크(40)에는 개폐밸브(25)가 구비된 물공급관(24)이 연결된다. 따라서, 개폐밸브(25)가 열리면, 물저장탱크(25)의 물이 물공급관(24)을 통해 냉수탱크(40)에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2)의 탈빙위치에서 트레이부재(32)에 남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잔수는 슬라이드판(80)의 홈(81)을 통해 냉수탱크(4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침지부재(30)로부터 분리된 얼음(I)은 슬라이드판(80) 위로 낙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레이부재(32)가 제빙위치로 회전하면, 트레이부재(32)에 연결된 그릴(70)이 슬라이드판(80) 위에 낙하된 얼음(I)을 슬라이드판(80)의 전방으로 밀어 내게 된다.
이에 따라, 일부의 얼음(I)은 슬라이드판(80)의 홈(81)을 통해 냉수탱크(40)에 공급되어 냉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을 냉각한다. 그리고, 나머지 얼음(I)은 그릴(70)에 의해서 슬라이드판(80)의 전방으로 더 밀리어 배출구(81a)를 통해 얼음저장고(50)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는, 예컨대 얼음저장고(50)에 얼음(I)이 만빙된 상태에 있어도, 냉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제빙유닛(30)에서 얼음(I)을 제조하여, 냉수탱크(40)와 얼음저장고(50)에 모두 공급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이 적정 온도인 경우에도, 즉 소정의 요구되는 온도로 냉각되었다 하더라도 얼음저장고(50)에 얼음(I)이 부족하면, 제빙유닛(30)에서 얼음(I)을 제조하여 냉수탱크(40)와 얼음저장고(50)에 모두 공급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얼음의 공급과 얼음을 이용한 냉수제조가 독자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에서는 냉수탱크(40)에 저장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된 물을 제빙유닛(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40)에 순환관(61)의 일측이 연결되고, 순환관(61)의 타측은 제빙유닛(30)의 트레이부재(3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트레이부재(32)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냉수탱크(40)의 수위가 물보충수위, 즉 저수위가 되면, 물공급관(24)을 통해 냉수탱크(40)에 물저장탱크(20)의 물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40)는 만수위가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침지부재(31)에 얼음(I)이 생성되고 탈빙되어 트레이부재(32)에 담긴 잔수와 얼음(I)이 냉수탱크(40)에 공급되면, 냉수탱크(40)의 물이 넘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냉수탱크(40)의 물넘침은 냉수탱크(40)에 다량의 얼음(I)이 공급되어 저장되고, 냉수탱크(20)에 저장된 얼음(I)이 녹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빙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 또는 제빙유닛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냉수탱크에 공급하여 냉수를 제조하면서도 냉수탱크의 물을 물저장탱크로 공급하여 냉수탱크의 물넘침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물을 제빙유닛에 공급하여 제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얼음저장고로의 얼음의 공급과 얼음을 이용한 냉수제조가 독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얼음의 탈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탈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 또는 냉각된 냉각수를 냉수탱크에 공급하여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며, 얼음의 제조를 위해서 또는 얼음의 제조와는 별도로 제빙유닛에서 냉각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가 냉수탱크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물저장탱크에 공급한 후 제빙유닛에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 상기 물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물로 얼음을 제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저장탱크의 하측에 배치된 제빙유닛; 상기 물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며 상기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 또는 냉각된 냉각수가 공급되어 저장된 물이 냉각되도록 하며, 상기 제빙유닛의 하측에 배치된 냉수탱크; 및 상기 냉수탱크에서 냉각된 물을 상기 물저장탱크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순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저장탱크에는 상기 냉수탱크에서 냉각된 물이 공급되는 순환영역과 이와 구획되는 저장영역을 구분하는 구분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물저장탱크의 순환영역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된 물이 상기 제빙유닛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제빙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순환부는 냉수탱크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순환관; 및 순환관에 구비되는 펌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관은 적어도 일부가 냉수탱크를 관통하여 물저장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유닛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냉수탱크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탱크에 공급된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순환부를 통해 물저장탱크의 순환영역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부에 포함되는 순환관의 일측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측의 냉수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순환관의 타측은 물저장탱크의 순환영역에 연결되며, 물저장탱크에서 제빙유닛으로의 물의 공급을 위해서 제빙용 물공급관의 일측이 물저장탱크의 순환영역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빙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관의 타측과 제빙용 물공급관의 일측은 물저장탱크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을 통한 냉수탱크에서 물저장탱크로의 냉각수가 포함된 물의 공급과 동시에 또는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제빙용 물공급관을 통한 물저장탱크에서 제빙유닛으로의 냉각수가 포함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순환관에 구비된 펌프와 제빙용 물공급관에 구비된 개폐밸브에 연결되며, 제어부는 펌프를 구동함과 동시에 개폐밸브를 열거나 펌프를 구동하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개폐밸브를 열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구분부재는 순환영역과 저장영역 사이에 물이 유동하도록 물저장탱크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분부재의 상단부는 물저장탱크의 중수위보다 낮고 저수위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탱크에는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존재하는 순환영역과 이와 구획되는 저장영역을 구분하는 구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부재는 순환영역과 저장영역 사이에 물이 유동하도록 냉수탱크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분부재의 하단부는 냉수탱크의 바닥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유닛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유닛은 열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저장탱크에서 냉수탱크로의 물의 공급을 위해서 개폐밸브가 구비된 물공급관의 일측이 물저장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은 냉수탱크에 연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탱크에는 만수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수위센서에 연결된 제어부에서 냉수탱크의 수위가 만수위보다 낮음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개폐밸브를 열어서 물저장탱크의 물을 물공급관을 통해 냉수탱크에 공급함으로써 냉수탱크의 수위가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얼음저장고;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탱크에는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을 냉수탱크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냉수탱크와 얼음저장고 사이에는 제1가이드부재와 연계하여 얼음을 얼음저장고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탱크와 얼음저장고 사이에는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이 냉수탱크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얼음을 얼음저장고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저장탱크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물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물로 얼음을 제조하도록 구성된 제빙유닛과, 상기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 또는 냉각된 냉각수가 공급되어 저장된 물이 냉각되도록 하는 냉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의 수위가 일정수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수탱크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냉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저장탱크로 공급하는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 및 상기 물저장탱크에 수용된 물을 제빙유닛으로 공급하는 제빙유닛으로의 물 공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물저장탱크에는 상기 냉수탱크에서 냉각된 물이 공급되는 순환영역과 이와 구획되는 저장영역을 구분하는 구분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빙유닛으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물저장탱크의 순환영역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된 물을 상기 제빙유닛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냉수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될 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냉수탱크와 상기 물저장탱크 사이의 유로에 구비된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빙유닛으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와 동시에, 또는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가 수행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빙유닛으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물저장탱크와 상기 제빙유닛 사이의 유로에 구비된 개폐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 또는 제빙유닛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냉수탱크에 공급하여 냉수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수탱크의 물을 제빙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저장탱크로 공급하여 냉수탱크의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물을 제빙유닛에 공급하여 제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이드부재를 통해 얼음저장고로의 얼음의 공급과 얼음을 이용한 냉수제조가 독자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얼음의 탈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탈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 내지 도11은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빙시스템의 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종래의 제빙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 또는 냉각된 냉각수를 냉수탱크에 공급하여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며, 얼음의 제조를 위해서 또는 얼음의 제조와는 별도로 제빙유닛에서 냉각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가 냉수탱크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물저장탱크에 공급한 후 제빙유닛에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시스템(100)은 물저장탱크(200), 제빙유닛(300), 냉수탱크(400) 및, 순환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저장탱크(2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물저장탱크(200)에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밸브(230)가 구비된 유입관(22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관(220)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물공급원은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시스템(100)이 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다면, 유입된 물을 여과하도록 정수기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여과부(도시되지 않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입관(220)에 구비된 개폐밸브(230)가 열리면,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이 유입관(220)을 통해 물저장탱크(20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저장탱크(200)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물저장탱크(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이 되는 경우 냉수탱크(400)에 수용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제빙유닛(300)은 물저장탱크(200)로부터 공급된 물로 얼음(I)을 제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저장탱크(200)로부터 제빙유닛(300)으로의 물의 공급을 위해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밸브(270)가 구비된 제빙용 물공급관(260)의 일측이 물저장탱크(2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빙유닛(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밸브(250)가 열리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제빙용 물공급관(260)을 통해 제빙유닛(300),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빙유닛(300)의 트레이부재(32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빙유닛(300)으로의 물 공급은 제빙유닛(300)의 구동이 필요한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얼음(I)의 제조를 위해서, 제빙유닛(300)은 도1 내지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지의 냉동사이클에 포함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빙유닛(300)은 도1 내지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증발기(330) 이외에도 하나 이상의 침지부재(310) 및 트레이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침지부재(310)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침지부재(310)는 도1 내지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증발기(3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트레이(320)에 담긴 물에 침지부재(310)가 잠긴 상태에서, 증발기(33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면, 침지부재(310)에도 차가운 냉매가 유동한다. 그리고, 제빙트레이(320)에 담긴 물이 냉각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침지부재(310)에 형성된 얼음(I)을 탈빙하기 위해서는 침지부재(310)를 가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우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증발기(330)에 뜨거운 냉매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증발기(330)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증발기(330)에 고온의 냉매를 공급하는 유로와 저온의 냉매를 공급하는 유로 사이에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장착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시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개폐작업이 수행되면 솔레노이드밸브에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는 냉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매가 유동하는 관에 용접을 통해 설치되는데, 고장난 솔레노이드밸브의 수리를 위해서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된 관을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발기(330)에 연결된 가열유닛(7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트레이(320)가 탈빙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 가열유닛(700)을 구동하면, 침지부재(310)가 가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10)에 생성된 얼음(I)이 침지부재(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지부재(310)로부터 얼음(I)이 분리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400)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얼음저장고(5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유닛(70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증발기(330)에 구비되어 얼음(I)이 침지부재(310)로부터 분리되도록 침지부재(310)를 가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따라서, 가열유닛(7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뜨거운 냉매에 의해서 얼음(I)을 탈빙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얼음(I)의 탈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탈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리/교환이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별도의 가열유닛(700)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이지, 뜨거운 냉매에 의해서 얼음(I)을 탈빙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얼음(I)의 제조를 위해서, 제빙유닛(300)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전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빙유닛(300)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열전모듈(330') 이외에도 하나 이상의 침지부재(310) 및 트레이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침지부재(310)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전모듈(3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침지부재(310)와 열전모듈(330')은 콜드싱크(34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모듈(33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팬(360')이 구비된 히트싱크(35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빙트레이(320)에 담긴 물에 침지부재(310)가 잠긴 상태에서 열전모듈(330')을 구동하면, 침지부재(310)로부터 콜드싱크(340'), 열전모듈(330') 및 히트싱크(350')로 순차적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지부재(310)가 냉각되고 침지부재(310)가 잠긴 제빙트레이(320)에 담긴 물이 냉각되어 침지부재(3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모듈(330')을 역구동하면, 즉 침지부재(310)에 얼음(I)이 생성되도록 하는 반대방향의 전원을 열전모듈(330')에 인가하면, 침지부재(310)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침지부재(310)가 가열되어 침지부재(310)에 생성된 얼음(I)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유닛(700)을 구비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탈빙이 이루어질 수 있고 탈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트레이부재(320)는 도6과 도7에 도시된 제빙위치와, 도8과 도9에 도시된 탈빙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다. 제빙위치에서 트레이부재(320)에는 침지부재(310)가 잠기도록 물이 담길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용 물공급관(260)에 구비된 개폐밸브(270)가 열려서 물저장탱크(200)의 물이 제빙용 물공급관(260)을 통해 트레이부재(320)에 공급되어 담길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하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33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거나, 열전모듈(330')에 전원을 인가하면, 침지부재(3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탈빙위치에서는 침지부재(310)로부터 얼음(I)이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도8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탈빙위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유닛(700)을 가열하거나 열전모듈(330')에 반대방향의 전원을 인가하면, 침지부재(310)로부터 얼음(I)이 분리될 수 있다. 즉, 얼음(I)이 탈빙될 수 있다.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320)의 탈빙위치는, 얼음(I)이 생성되고 트레이부재(320)에 남거나 트레이부재(320)에 담기어 침지부재(310)에 의해서 냉각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가 냉수탱크(400)에 공급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부재(320)에 담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가 냉수탱크(40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빙유닛(300)의 구성은 전술한 증발기(330)나 열전모듈(330')에 연결되는 침지부재(310)를 포함하는 침지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빙유닛(300)은 예컨대, 제빙틀(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된 제빙홈(도시되지 않음)에 물을 분사하여 제빙홈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분사식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제빙유닛(300)은 제빙틀의 제빙홈에 물이 흐르도록 하여 제빙홈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유수식이 될 수도 있다. 제빙유닛(300)의 구성은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에도 물저장탱크(200)로부터 공급된 물로 얼음(I)을 제조하도록 구성된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냉수탱크(400)는 도6과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200)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밸브(250)가 구비된 물공급관(240)의 일측이 물저장탱크(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관(240)의 타측은 냉수탱크(400)에 연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공급관(240)의 타측은 냉수탱크(40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냉수탱크(400)로의 물 공급이 필요하여 개폐밸브(250)가 열리면, 도6과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물공급관(240)을 통해 냉수탱크(400)에 공급되어 냉수탱크(4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냉수탱크(400)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만수위센서(4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만수위센서(460)를 통해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때, 만수위센서(460)에 연결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서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만수위보다 낮음이 감지되면(만수위가 아님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도6과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250)를 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저장탱크(200)의 물을 물공급관(240)을 통해 냉수탱크(400)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면, 냉수탱크(400)의 수위와 물배출관(440)의 높이차가 항상 일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450)가 열려서 물배출관(440)을 통해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항상 일정 수량의 물이 물배출관(4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면, 사용자가 냉수를 취수할 때 일정한 양의 냉수를 연속해서 받을 수 있게 되므로,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줄어듦에 따른 냉수 추출유량 감소의 문제가 해결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냉수탱크(400)의 수위를 유지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만수위를 유지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냉수탱크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물배출관(440)을 통한 물의 추출 등을 통하여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낮아져 물보충 수위가 되는 경우 물저장탱크(200)로부터 냉수탱크(400)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개폐밸브(250)를 개방하고, 만수위가 되면 물저장탱크(200)로부터 냉수탱크(400)로의 물 공급이 차단되도록 개폐밸브(250)를 폐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냉수탱크(400)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 또는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유닛(300)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수탱크(400)에는 제빙유닛(300)으로부터 얼음 및/또는 물이 공급되어 냉수탱크(400)에 수용된 물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냉수탱크(400)에 얼음 및/또는 물이 공급되면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냉수탱크(400)에 수용된 물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순환부(600)를 통하여 물저장탱크(200)로 공급하게 된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400)로의 얼음(I)의 공급을 위해서, 냉수탱크(400)에는 제1가이드부재(4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재(420)에 의해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이 냉수탱크(400)로 안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트레이부재(320)의 탈빙위치에서 침지부재(310)로부터 분리된 얼음(I)이 제1가이드부재(420)에 의해서 냉수탱크(400)로 안내될 수 있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10)로부터 분리된 얼음(I)은 제1가이드부재(420)로 낙하되고 제1가이드부재(420)를 따라 이동한 후, 냉수탱크(400)와 제1가이드부재(420) 사이의 간격을 통해 냉수탱크(400) 내부로 이동하여 냉수탱크(40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시스템(100)은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저장고(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얼음저장고(500)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이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냉수탱크(400)와 얼음저장고(500) 사이에는 제2가이드부재(4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이드부재(43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가이드부재(420)와 연계하여 얼음(I)을 얼음저장고(500)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을 냉수탱크(400)로 안내하는 경우에, 제2가이드부재(430)는 냉수탱크(400)와 제1가이드부재(410) 사이에 간격이 있도록 하는 위치에 회전하여 있게 된다. 그리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을 얼음저장고(500)로 안내하는 경우에, 제2가이드부재(430)는 냉수탱크(400)와 제1가이드부재(410) 사이의 간격을 막는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10)로부터 분리된 얼음(I)은 제1가이드부재(420)로 낙하하고, 제1가이드부재(420)와 제2가이드부재(430)를 따라 얼음저장고(500)로 이동한다. 그리고, 얼음저장고(500)로 낙하하여 얼음저장고(500)에 저장된다.
한편, 냉수탱크(400)에 제1가이드부재(410)가 구비되지 않고 냉수탱크(400)와 얼음저장고(500) 사이에 제2가이드부재(4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도,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이 냉수탱크(400)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얼음(I)을 얼음저장고(500)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냉수탱크(400)에 제1가이드부재(410)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가이드부재(430)가 도9에 도시된 회전위치에서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을 얼음저장고(500)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길이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이 얼음저장고(500)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 제2가이드부재(430)가 도8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하면, 냉수탱크(40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이 냉수탱크(4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얼음저장고(500)로의 얼음(I)의 공급과 냉수탱크(400)에 얼음(I)을 공급하여 냉수를 제조하는 얼음(I)을 이용한 냉수제조가 독자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얼음저장고(500)에 저장된 얼음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녹게 되며, 이와 같이 얼음 녹은 물은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순환부(600)를 통하여 물저장탱크(200)로 공급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순환부(60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을 물저장탱크(200)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수탱크(400)에 수용된 물의 냉각을 위하여 제빙유닛(300)으로부터 냉수탱크(400)에 공급된 얼음 및/또는 물로 인하여,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냉수탱크(400)의 물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순환부(600)는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는 경우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을 물저장탱크(20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순환부(600)를 통한 물저장탱크(200)로의 물 공급은 냉수탱크(400)의 만수위가 감지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순환부(600)를 통한 냉수탱크(400)로부터 물저장탱크(200)로의 물 공급의 기준이 되는 만수위는 냉수탱크(400)로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만수위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냉수탱크(400)로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만수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순환부(600)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순환관(610)과 펌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관(61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400)와 물저장탱크(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펌프(620)는 순환관(61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620)가 구동되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순환관(610)을 통해 물저장탱크(20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1 내지 도11에서는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물저장탱크(200)로 공급되는 것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순환부(600)는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뿐만 아니라 얼음저장고(500)에서 생성된 얼음 녹은 물을 물저장탱크(200)로 공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순환부(600)는 상기 얼음저장고(500)에서 생성된 물 및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을 펌프(620)로 유입시키도록 유로를 형성하고, 펌프(620)를 구동시켜 얼음저장고(500) 및 냉수탱크(400)의 물을 물저장탱크(200)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순환부(600)는 얼음저장고(500)에서 생성되는 얼음 녹은 물을 물저장탱크(200)로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펌프나 순환관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순환관(610)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냉수탱크(400)를 관통하여 물저장탱크(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400)와 물저장탱크(200)의 연결을 위한 순환관(61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순환관(610)을 유동하는 물의 온도 상승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순환관(610)을 유동하는 물의 온도가 상승된다고 하더라도,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에 의해서 순환관(610)을 유동하는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관(610)을 유동하는 물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별도의 단열부재가 순환관(610)에 구비되지 않아도, 후술할 바와 같이 냉수탱크(400)에 공급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물이 그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면서 순환관(610)을 통해 물저장탱크(20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관(610)에 응결수가 맺히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후술할 바와 같이 제빙유닛(300)에 0℃에 가까운 물이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제빙유닛(300)에서의 얼음(I)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얼음(I)의 제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비교적 적은 에너지로 얼음(I)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1과 도3, 도4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순환관(610)에는 체크밸브(6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펌프(620)의 구동이 중지된 경우에 순환관(610)과 펌프(620)를 통해 물저장탱크(200)의 물이 냉수탱크(4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순환관(610)에 체크밸브(630)가 없는 경우에는, 순환관(610)의 타측은 물저장탱크(200)의 벽을 넘어 물저장탱크(200)의 내부(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관(610)의 타측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구멍(6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크밸브(630)가 없어도, 펌프(620)의 구동이 중지된 경우에 순환관(610)과 펌프(620)를 통해 물저장탱크(200)의 물이 냉수탱크(4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유닛(300)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냉수탱크(40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I)이 생성되고 트레이부재(320)에 남은 잔수 또는 얼음(I)의 제조와는 별도로 침지부재(310)가 잠기어 냉각된 트레이부재(320)에 담긴 물 등의 냉각수가 탈빙위치에서 냉수탱크(4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수는 얼음(I)이 생성되고 남거나 침지부재(310)가 잠기어 냉각된 것이기 때문에, 그 온도는 0℃에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의 온도는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제빙유닛(300)에서 얼음(I)을 제조하고 남거나 냉각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가 냉수탱크(400)에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빙유닛(300)과 냉수탱크(400)에 연결된 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얼음(I)을 제조하고 남거나 냉각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가 제빙유닛(300)에서 냉수탱크(400)에 공급되도록 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400)에 공급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순환부(600)를 통해 물저장탱크(20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200)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의 냉각을 위해서 냉수탱크(400)에 얼음(I)이 공급된다고 하더라도,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일정수위가 되면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순환부(600)를 통해 물저장탱크(200)에 공급되기 때문에, 제빙유닛(300)에서 냉수탱크(400)에 온도가 낮은 냉각수가 공급되거나 냉수탱크(400)에 공급된 얼음(I)이 녹아서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에도 냉수탱크(400)의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순환부(600)의 순환관(610)의 일측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공급되는 측의 냉수탱크(4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순환관(610)의 일측은 제빙유닛(300)에서 공급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가 존재하는, 도면에서 보아 냉수탱크(400)의 우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빙유닛(300)에서 공급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순환관(610)에 구비된 펌프(620)의 구동에 의해서 물저장탱크(20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200)에 공급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제빙유닛(30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을 이용하여 제빙유닛(300)에서 얼음(I)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유닛(300)에 공급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은 0℃에 가깝기 때문에, 제빙유닛(300)에서의 얼음(I)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얼음(I)의 제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비교적 적은 에너지로 얼음(I)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순환관(610)의 타측은 물저장탱크(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개폐밸브(270)가 구비된 제빙용 물공급관(260)의 일측은 순환관(610)의 타측이 연결된 측의 물저장탱크(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순환관(610)의 타측은 도면에서 보아 물저장탱크(200)의 우측에 연결되고, 제빙용 물공급관(260)의 일측도 도면에서 보아 물저장탱크(200)의 우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용 물공급관(260)의 타측은 제빙유닛(3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빙용 물공급관(260)의 타측이 트레이부재(320)에 인접하도록 제빙유닛(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술하고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270)가 열리면, 순환관(610)을 통해 물저장탱크(200)에 공급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제빙용 물공급관(260)을 통해 제빙유닛(30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빙유닛(300)의 트레이부재(320)에 공급되어 트레이부재(320)에 담길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0℃에 가까운 냉각수가 포함된 물이 트레이부재(32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순환관(610)의 타측과 제빙용 물공급관(260)의 일측은 물저장탱크(2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순환관(610)의 타측과 제빙용 물공급관(260)의 일측은 도면에서 보아 물저장탱크(200)의 우측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냉수탱크(400)로부터 물저장탱크(200)의 하부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물저장탱크(200)에 공급된다고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의 온도차이에 의해서 물저장탱크(200)에 대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과 비교적 덜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빙용 물공급관(260)을 통해 용이하게 제빙유닛(30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빙유닛(300)의 트레이부재(320)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제빙용 물공급관(260)과 순환관(610)이 물저장탱크(200)에 설치되는 위치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저장탱크(200)로부터 제빙유닛(300)에 상온보다 낮은 온도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빙시스템(100)은 전술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순환관(610)을 통한 냉수탱크(400)에서 물저장탱크(200)로의 냉각수가 포함된 물의 공급과 동시에 또는 소정 시간(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제빙용 물공급관(260)을 통한 물저장탱크(200)에서 제빙유닛(300)으로의 냉각수가 포함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냉각수가 다량 포함된 물이 순환관(610)을 통해 냉수탱크(400)로부터 물저장탱크(200)로 공급되고, 제빙용 물공급관(260)을 통해 제빙유닛(300),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빙유닛(300)의 트레이부재(32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는 순환관(610)에 구비된 펌프(620)와 제빙용 물공급관(260)에 구비된 개폐밸브(27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펌프(620)를 구동함과 동시에 개폐밸브(270)를 열거나 펌프(620)를 구동하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개폐밸브(270)를 열 수 있다. 이 경우, 소정 시간은 펌프(620)를 구동하여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순환관(610)을 통해 물저장탱크(200)에 공급되는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빙유닛(300)으로부터 냉수탱크(400)에 물이 공급되기 전에 냉수탱크(400)의 수위를 낮추기 위하여 펌프(620)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펌프(620)의 구동 후 다음 제빙을 위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개폐밸브(270)를 열어 물저장탱크(200)로부터 제빙유닛(30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620)나 개폐밸브(270) 이외에도, 트레이부재(320), 증발기(330)가 포함되는 냉동사이클, 열전모듈(330'), 팬(360'), 가열유닛(700), 제2가이드부재(430)를 회전구동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 가열유닛(700) 또는 다른 개폐밸브(230, 250, 290, 450)나 전술한 만수위센서(460) 등 제어가 필요한 구성에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2와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저장탱크(200)에는 구분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부재(210)에 의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저장탱크(200)가 순환영역(S1)과 저장영역(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순환영역(S1)에는 냉수탱크(400)로부터 공급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존재할 수 있다. 도2와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냉수탱크(400)로부터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공급되는, 도면에서 보아 물저장탱크(200)의 우측에 순환영역(S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영역(S2)에는 다른 물, 예컨대 도2와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입관(220)을 통해 물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공급원의 물이 존재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입관(220)을 통해 물공급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이 유입되는, 도면에서 보아 물저장탱크(200)의 좌측에 저장영역(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구분부재(210)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존재하는 순환영역(S1)과 유입관(220)을 통해 물공급원으로부터 유입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이 존재하는 저장영역(S2)이 구분된다. 따라서, 냉수탱크(400)로부터 공급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다른 물, 즉 물저장탱크(200)에 저장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과 온도차에 의한 대류에 의해서 혼합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구분분재(210)는 순환영역(S1)과 저장영역(S2) 사이에 물이 유동하도록 물저장탱크(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구분부재(210)의 상단부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저장탱크(200)의 중수위보다 낮고 저수위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구분부재(210)의 상단부가 물저장탱크(200)의 중수위보다 높으면, 구분부재(210)에 의해서 물저장탱크(200)의 순환영역(S1)과 저장영역(S2) 사이에 물이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구분부재(210)의 상단부가 물저장탱크(200)의 저수위보다 낮으면, 구분부재(210)에 의해서 물저장탱크(200)가 순환영역(S1)과 저장영역(S2)으로 구분되기 어렵게 된다.
이외에도, 구분부재(210)에는 도2와 도3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유동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구멍(211)을 통해 물저장탱크(200)의 순환영역(S1)과 저장영역(S2)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구분부재(210)의 상단부 높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200)의 중수위보다 낮고 저수위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400)에도 구분부재(4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부재(410)에 의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400)도 순환영역(S1)과 저장영역(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순환영역(S1)에는 제빙유닛(300),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빙유닛(300)의 트레이부재(320)로부터 공급되는 얼음(I)이 생성되고 남거나 얼음(I)의 생성과 별도로 침지부재(310)에 의해서 냉각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온도가 0℃에 가까운 냉각수가 존재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빙유닛(300), 즉 제빙유닛(300)의 트레이부재(320)로부터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도면에서 보아 냉수탱크(400)의 우측에 순환영역(S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영역(S2)에는 다른 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물공급관(240)을 통해 물저장탱크(200)로부터 공급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이 존재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물공급관(240)을 통해 물저장탱크(200)로부터 공급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이 유입되는, 도면에서 보아 냉수탱크(400)의 좌측에 저장영역(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구분부재(410)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즉 그 온도가 0℃에 가까운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존재하는 순환영역(S1)과 물공급관(240)을 통해 물저장탱크(200)로부터 유입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이 존재하는 저장영역(S2)이 구분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다량 포함한 물이 순환관(610)을 통해 냉수탱크(400)로부터 물저장탱크(2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각수를 다량 포함한 물이 제빙용 물공급관(260)을 통해 제빙유닛(300),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빙유닛(300)의 트레이부재(32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분재(410)는 순환영역(S1)과 저장영역(S2) 사이에 물이 유동하도록 냉수탱크(4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구분부재(410)의 하단부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400)의 바닥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구분부재(410)에도 하나 이상의 유동구멍(4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부재(410)의 하단부와 냉수탱크(400)의 바닥과의 간격 또는 유동구멍(411)을 통해 냉수탱크(400)의 순환영역(S1)과 저장영역(S2)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다.
한편, 물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과 얼음(I)에 의해서 냉각된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200)와 냉수탱크(400)에 각각 연결된 물배출관(280,4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즉, 물배출관(280,440)에 각각 구비된 개폐밸브(290,450)가 열리면, 물저장탱크(200)에 저장된 물은 물배출관(280)을 통해, 그리고, 얼음(I)에 의해서 냉각된 냉수탱크(400)에 저장된 물은 물배출관(4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서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만수위보다 낮음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250)를 열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200)의 물을 물공급관(240)을 통해 냉수탱크(400)에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제빙시스템의 제어부의 구성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200), 제빙유닛(300), 냉수탱크(400) 및 순환부(600)를 구비한 제빙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물저장탱크(200)로부터 공급된 물로 얼음(I)을 제조하도록 구성된 제빙유닛(300)과, 상기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 또는 냉각된 냉각수가 공급되어 저장된 물이 냉각되도록 하는 냉수탱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일정수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냉수탱크(400)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저장탱크(200)로 공급하는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만수위가 될 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만수위는 냉수탱크(400)로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만수위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냉수탱크(400)로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만수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냉수탱크(400)와 상기 물저장탱크(200) 사이의 순환관(610)에 구비된 펌프(620)를 구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와 동시에, 또는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가 수행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물저장탱크(200)에 수용된 물을 제빙유닛(300)으로 공급하는 제빙유닛으로의 물 공급단계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빙유닛으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물저장탱크(200)와 상기 제빙유닛(300) 사이의 제빙용 물공급관(260)에 구비된 개폐밸브(270)를 개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펌프(620)를 구동함과 동시에, 또는 펌프(620) 구동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개폐밸브(270)를 개방함으로써 물저장탱크(200)에 수용된 물을 제빙유닛(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 또는 제빙유닛에서 냉각된 냉각수를 냉수탱크에 공급하여 냉수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수탱크의 물을 제빙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저장탱크로 공급하여 냉수탱크의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물을 제빙유닛에 공급하여 제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가이드부재를 통해 얼음저장고로의 얼음의 공급과 얼음을 이용한 냉수제조가 독자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열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얼음의 탈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탈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100 : 제빙시스템 20, 200 : 물저장탱크
210,410 : 구분부재 211,411 : 유동구멍
220 : 유입관 24,240 : 물공급관
260 : 제빙용 물공급관
25, 230, 250, 270, 290, 450 : 개폐밸브 280, 440 : 물배출관
300 : 제빙유닛 310 : 침지부재
320 : 트레이부재 330 : 증발기
330' : 열전모듈 340' : 콜드싱크
350' : 히트싱크 360' : 팬
40,400 : 냉수탱크 420 : 제1가이드부재
430 : 제2가이드부재 460 : 만수위센서
500 : 얼음저장고 600 : 순환부
61,610 : 순환관 611 : 공기구멍
62,620 : 펌 630 : 체크밸브
700 : 가열유닛 70 : 그릴
80 : 슬라이드판 81 : 홈
81a : 배출구 I : 얼음
S1 : 순환영역 S2 : 저장영역

Claims (33)

  1.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200);
    상기 물저장탱크(200)로부터 공급된 물로 얼음(I)을 제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하측에 배치된 제빙유닛(300);
    상기 물저장탱크(200)로부터 물공급관(240)을 통해 공급된 물이 저장되며 상기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 또는 냉각된 냉각수가 공급되어 저장된 물이 냉각되도록 하며, 상기 제빙유닛(300)의 하측에 배치된 냉수탱크(400); 및
    상기 냉수탱크(400)에서 냉각된 물을 상기 물저장탱크(20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순환부(600);
    를 포함하며,
    상기 물저장탱크(200)에는 상기 냉수탱크(400)에서 냉각된 물이 공급되는 순환영역(S1)과 이와 구획되는 저장영역(S2)을 구분하는 구분부재(210)가 구비되며,
    상기 냉수탱크(400)에는 상기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존재하는 순환영역(S1)과 이와 구획되는 저장영역(S2)을 구분하는 구분부재(410)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부(600)는, 상기 냉수탱크(400)와 물저장탱크(200)에 연결되는 순환관(610)과, 상기 순환관(610)에 구비되는 펌프(620)를 포함하며,
    상기 순환관(610)의 일측은 상기 냉수탱크(400)의 순환영역(S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순환영역(S1)에 연결되며,
    상기 물공급관(240)의 일측은 상기 물저장탱크(2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냉수탱크(400)의 저장영역(S2)에 연결되며,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순환영역(S1)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된 물이 상기 제빙유닛(300)에 공급되도록 제빙용 물공급관(260)의 일측이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순환영역(S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빙유닛(300)에 연결된 제빙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61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수탱크(400)를 관통하여 상기 물저장탱크(2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300)에서 냉각된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수탱크(400)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400)에 공급된 상기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상기 순환부(600)를 통해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순환영역(S1)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600)에 포함되는 순환관(610)의 일측은 상기 냉각수가 공급되는 측의 상기 냉수탱크(4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610)의 타측과 상기 제빙용 물공급관(260)의 일측은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610)을 통한 상기 냉수탱크(400)에서 상기 물저장탱크(200)로의 상기 냉각수가 포함된 물의 공급과 동시에 또는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제빙용 물공급관(260)을 통한 상기 물저장탱크(200)에서 상기 제빙유닛(300)으로의 상기 냉각수가 포함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관(610)에 구비된 펌프(620)와 상기 제빙용 물공급관(260)에 구비된 개폐밸브(27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620)를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밸브(270)를 열거나 상기 펌프(620)를 구동하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개폐밸브(270)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재(210)는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순환영역(S1)과 저장영역(S2) 사이에 물이 유동하도록 상기 물저장탱크(2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재(210)의 상단부는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중수위보다 낮고 저수위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재(210)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구멍(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재(410)는 상기 냉수탱크(400)의 순환영역(S1)과 저장영역(S2) 사이에 물이 유동하도록 상기 냉수탱크(4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재(410)의 하단부는 상기 냉수탱크(400)의 바닥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재(410)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구멍(4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300)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300)은 열전모듈(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240)에는 상기 물저장탱크(200)에서 상기 냉수탱크(400)로의 물의 공급을 위해서 개폐밸브(2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400)에는 만수위센서(4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만수위센서(460)에 연결된 제어부에서 상기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만수위보다 낮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밸브(250)를 열어서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물을 상기 물공급관(240)을 통해 상기 냉수탱크(400)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얼음저장고(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400)에는 상기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을 상기 냉수탱크(400)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재(420)가 구비되고,
    상기 냉수탱크(400)와 얼음저장고(500) 사이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420)와 연계하여 얼음(I)을 상기 얼음저장고(500)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4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400)와 얼음저장고(500) 사이에는 상기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이 상기 냉수탱크(400)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얼음(I)을 상기 얼음저장고(500)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재(4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탱크(200)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
  29. 물저장탱크(200)로부터 공급된 물로 얼음(I)을 제조하도록 구성된 제빙유닛(300)과, 상기 제빙유닛(300)에서 제조된 얼음(I) 또는 냉각된 냉각수가 공급되어 저장된 물이 냉각되도록 하는 냉수탱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일정수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냉수탱크(400)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저장탱크(200)로 공급하는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 및
    상기 물저장탱크(200)에 수용된 물을 제빙유닛(300)으로 공급하는 제빙유닛으로의 물 공급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물저장탱크(200)에는 상기 냉수탱크(400)에서 냉각된 물이 공급되는 순환영역(S1)과 이와 구획되는 저장영역(S2)을 구분하는 구분부재(210)가 구비되며,
    상기 냉수탱크(400)에는 상기 냉각수를 포함한 물이 존재하는 순환영역(S1)과 이와 구획되는 저장영역(S2)을 구분하는 구분부재(410)가 구비되고,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물은 물공급관(240)을 통하여 상기 냉수탱크(400)의 저장영역(S2)에 공급되며,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냉수탱크(400)의 순환영역(S1)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순환영역(S1)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빙유닛으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물저장탱크(200)의 순환영역(S1)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된 물을 상기 제빙유닛(30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냉수탱크(400)의 수위가 만수위가 될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냉수탱크(400)와 상기 물저장탱크(200) 사이의 유로에 구비된 펌프(620)를 구동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으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와 동시에, 또는 상기 물저장탱크로의 물 공급단계가 수행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으로의 물 공급단계는 상기 물저장탱크(200)와 상기 제빙유닛(300) 사이의 유로에 구비된 개폐밸브(270)를 개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20098982A 2011-09-06 2012-09-06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51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252 2011-09-06
KR20110090252 2011-09-06
KR1020120036988A KR20130026969A (ko) 2011-09-06 2012-04-09 제빙시스템
KR1020120036988 2012-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003A KR20130027003A (ko) 2013-03-14
KR102051672B1 true KR102051672B1 (ko) 2019-12-04

Family

ID=481780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988A KR20130026969A (ko) 2011-09-06 2012-04-09 제빙시스템
KR1020120098982A KR102051672B1 (ko) 2011-09-06 2012-09-06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988A KR20130026969A (ko) 2011-09-06 2012-04-09 제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300269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207A (ko) * 2021-06-04 2022-12-13 윤용길 제빙기를 이용한 냉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470B1 (ko) * 2013-09-13 2020-12-21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KR102181350B1 (ko) * 2013-09-13 2020-11-2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방법
KR102195416B1 (ko) * 2013-11-26 2020-12-29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이송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2285133B1 (ko) * 2014-12-30 2021-08-05 코웨이 주식회사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2648984B1 (ko) * 2017-12-27 2024-03-19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및 냉수저장장치
KR102601476B1 (ko) * 2017-12-27 2023-11-13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GB201904722D0 (en) * 2019-04-03 2019-05-15 Costa Express Ltd Ice dispensing system
KR20210143040A (ko) 2020-05-19 2021-11-26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2674787B1 (ko) * 2021-11-24 2024-06-1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얼음높이조절부를 구비하는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621554B1 (ko) * 2023-06-15 2024-01-04 고한덕 제조되는 얼음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제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98B1 (ko) * 2010-02-18 2010-12-03 주식회사 태성 순환식 투명얼음 제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197B1 (ko) * 1997-11-27 2000-05-15 구자홍 가정용 제빙기
KR20080006427U (ko) * 2007-06-18 2008-12-23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KR101232414B1 (ko) * 2007-08-21 2013-02-12 코웨이 주식회사 이중 냉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1001297B1 (ko) * 2008-04-22 2010-12-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KR101647651B1 (ko) * 2009-11-18 2016-08-11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98B1 (ko) * 2010-02-18 2010-12-03 주식회사 태성 순환식 투명얼음 제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207A (ko) * 2021-06-04 2022-12-13 윤용길 제빙기를 이용한 냉방장치
KR102495859B1 (ko) * 2021-06-04 2023-02-06 윤용길 제빙기를 이용한 냉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003A (ko) 2013-03-14
KR20130026969A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672B1 (ko)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567590B2 (ja) 単一のエバポレーターで製氷と同時に冷水が得られる冷温浄水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101164158B1 (ko) 얼음정수기
US10464802B2 (en) Cold water generat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0795293B1 (ko)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KR100988467B1 (ko) 보조탱크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KR100853445B1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기
JP2013072617A (ja) 冷蔵庫
KR101826875B1 (ko) 얼음저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KR101287306B1 (ko) 제빙기
KR100998198B1 (ko) 순환식 투명얼음 제빙장치
JP2003279210A (ja) 製氷装置及びこの製氷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101488913B1 (ko) 얼음 공급 장치
KR102148457B1 (ko)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20120105662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330936B1 (ko) 냉장고
KR100936610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507037B1 (ko) 제빙기의 함체
JP2012042140A (ja) 冷蔵庫
KR20080061179A (ko) 제빙 장치 및 제빙 방법
KR102649978B1 (ko)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1665138B1 (ko) 얼음정수기용 취수장치
CN113286975A (zh) 具有制冰组件的冷藏器具
JP2007040654A (ja) 冷凍装置
KR100894475B1 (ko) 온수 공급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