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912B1 - switch - Google Patents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912B1
KR102050912B1 KR1020190116159A KR20190116159A KR102050912B1 KR 102050912 B1 KR102050912 B1 KR 102050912B1 KR 1020190116159 A KR1020190116159 A KR 1020190116159A KR 20190116159 A KR20190116159 A KR 20190116159A KR 102050912 B1 KR102050912 B1 KR 10205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movable contact
coil spring
hand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성현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9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01H13/22Driving mechanisms acting with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01H13/6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the operating member having only two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tch which is to improve rated capa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includes: a body unit installed to accommodate an outer wire inside and having a guide groove backward to be dented in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side, wherein the body unit also has a pair of stopper units formed on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s a shaft insertion unit at a frame of a front end; a handle unit connected to the shaft insertion unit in the accommodation space by a hinge and integrally having a handle part installed at a front end to be expos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handle unit has a plunger accommodation unit at the center of a rear end and individually has a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on unit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nger accommodation unit; a first coil spring installed in the plunger accommodation unit to elastically support the handle unit and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at a compression critical point when the handle unit rotates; the plunger having the center of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il spring and having a rear sid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wherei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end are connected to the plunger accommodation unit by the hinge to rotate in an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handle unit; a pair of movable contact members inserted and fixed to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on unit to rotate by being linked to the handle unit, wherein one end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has a moving contact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ire; a pair of first current carrying terminal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connected to a first outer wire for an electric current to flow by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by the wire; and a second current carrying terminal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connected to a second outer wire for the electric current to flow and having a fixing contact end at a position facing the moving contact end to be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moving contact end.

Description

스위치{switch}Switch {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격 용량이 개선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tch in which the rated capacity is improved.

일반적으로, 전기용품, 전기장치 및 전기설비 같은 전기 응용품에 불필요한 경우 외에 전기 스위치는 필수적이다. 이때, 공지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스위치 중에서 로커(rocker) 스위치와, 푸시버튼(push-button) 스위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electrical switches are essential in addition to those that are not necessary for electrical applications such as electrical appliances, electrical equipment and electrical equipment. At this time, the rocker (rocker) switch and the push-button (push-button) switch of the various types of known switches are the most widely used.

여기서, 상기 로커 스위치는 서로 다른 선택적인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선택적인 안정 동작 위치들 사이에서 토글(toggle)될 수 있는 로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 스위치는 누른 후에 떼는 것과 같이 순차적인 간단한 선형 동작에 의해 선형으로 구동되는 푸시버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Here, the rocker switch typically includes a rocker member that can be toggled between at least two optional stable operating positions corresponding to different optional operating modes. In addition, the pushbutton switch generally includes a pushbutton driven linearly by a sequential simple linear operation such as releasing after pressing.

또한, 로커형 스위칭 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푸시버튼 구동형 스위치도 이미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한 쌍의 회로라인 중 하나를 교번하여 연결하는 전환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계단의 상하, 베란다나 거실 등 떨어진 위치에서 하나의 전기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두개의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pushbutton driven switches including rocker type switching mechanisms have already been disclosed. Such a switch may be provided with two switches capable of controlling one electric device at a location such as a stairway, a veranda or a living room, as the switch function alternately connects one of the pair of circuit lines.

한편,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가압을 위한 푸시버튼, 회로 사이의 연결을 전환하는 스위칭 기구, 푸시버튼의 동작을 스위칭 기구의 모드 변환에 적합한 동작으로 변환하는 구동변환수단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pushbutton switch includes a pushbutton for pressurization, a switching mechanism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s, and drive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operation of the pushbutton into an operation suitable for mode switching of the switching mechanism.

이때, 상기 구동변환수단은 스위칭 기구에 연결되어 스위칭 기구의 횡방향 구동력을 제공하는 로커부재와, 상기 푸시버튼의 하부에 구비되어 횡방향으로 탄발 이동되는 슬라이드작동부재로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drive conversion means is composed of a rocker member connected to the switching mechanism to provide a lateral driving force of the switching mechanism, and a slide operation member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button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로커부재의 상면부 양측에는 한 쌍의 쐐기형 돌출헤드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작동부재의 하면부 양측에는 상기 각 연결돌기에 대응되는 한 쌍의 가압돌기가 구비된다. Here, a pair of wedge-shaped protruding head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rocker member, and a pair of press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nnecting project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slide operation member.

이러한,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상기 푸시버튼의 하강시 상기 슬라이드작동부재의 연결돌기 중 하나가 돌출헤드 중 하나의 내측면을 따라 다른 돌출헤드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이동된 위치에서 다른 돌출헤드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로커부재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복잡한 과정으로 스위칭 기구의 모드 변환이 이루어진다. In such a conventional pushbutton switch, when the pushbutton is lowered, on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s of the slide operation member slid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one of the protruding heads to the other protruding head side. Then, the mode change of the switching mechanism is made by a complicated process of rotating the rocker member to one side by pressing the other protruding head downward in the slide moved position.

이에 따라, 돌출헤드 사이의 간격과 로커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연결돌기 사이의 간격이 정확하게 설계되는 경우에만 스위칭 기구의 모드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전체적인 스위치의 구조 변경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the mode switching of the switching mechanism can be made only when the spacing between the protrusion heads and the spacing between the connecting protrusions according to the rotational angle of the rocker member are accurately designed,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overall switch.

또한, 스위칭 기구의 모드 변환시 로커부재의 회전각도가 미세하게 어긋난 경우에도 로커부재의 돌출헤드 사이에 슬라이드작동부재의 연결돌기가 걸려 로커부재의 회전 내지는 슬라이드작동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이 불가능해지므로 고장이 잦아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rocker member is minutely shifted during mode switching of the switching mechanism, the connecting projection of the slide operation member is caught between the protrusion heads of the rocker member, so that the rotation of the rocker member or the slide movement of the slide operation member becomes impossible. Frequently there was a problem causing discomfort.

한편, 종래에는 정격 용량이 높은 스위치가 없어 차단기에서 실외기로 곧바로 전원이 들어오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실외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차단기를 내려 전원을 차단해야 하여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ed art, since there is no switch having a high rated capacity, power is directly supplied from the breaker to the outdoor unit. Therefore, when the outdoor unit is not used, the breaker has to be cut down to cut off the power, thereby reducing the convenience of use.

또한, 종래의 스위치는 방수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 누수가 발생하여 사용시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witch is not provided with a waterproof function, when installed outdoo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akage occurs when the safety is used.

한국 등록특허 제10-102567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2567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격 용량이 개선되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in which the rated capacity is improv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전선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가이드홈이 후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일측에 한쌍의 스토퍼부가 형성되며, 전단측 테두리에 축삽입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축삽입부에 힌지 연결되되, 전단부에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노출 배치되는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후단부 중앙측에 플런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수용부의 폭방향 양측에 가동접촉부재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부의 회동시 압축한계점에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코일스프링; 전단부 중앙측이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연결되되, 상기 핸들부의 회동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전단부 폭방향 양측이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 힌지 연결되며, 후측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플런저; 상기 핸들부와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에 삽입 고정되며, 일단에 이동접촉단이 형성되고 타단이 전선 연결되는 한쌍의 가동접촉부재;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의 타단에 전선 연결되어 제1외부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한쌍의 제1통전단자; 및 상기 수용공간에 제2외부전선과 통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이동접촉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접촉단에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접촉단이 형성되는 제2통전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는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화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의 후단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되 상기 제1코일스프링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최내측단에 후단부가 선접촉된 상태의 상기 플런저의 전단부의 회동방향이 안내되도록 최내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부의 상하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확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the external wire is received inside, the guide groove is formed recessed in the rearward direction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 pair of stopper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shear A body portion having a shaft insertion portion formed at a side edge thereof;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is hinged to the shaft insertion portion, the front e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portion expos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the plung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ear end central side, the width direction both sides of the plunger receiving portion A handle portion having a movable contact member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on; A first coil spring disposed at the plunger accommodating part to elastically support the handle part and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at a compression limit point when the handle part is rotated; A plunger having a front end portion central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il spring, and having both front end portions of the front end portion hinged to the plunger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handle portion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a rear sid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 pair of movable contact member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art so as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handle part, the movable contact end being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ire; A pair of first conducting terminals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s and to be electrically energized with a first external wire; And a second condu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be energized with a second external wire, the second conducting terminal having a fixed contact end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movable contact end to selectively contact the movable contact end, wherein the plunger has a rear end. It is tapered to narrow the width toward the negative portion, the rear end of the plunger is in linear contact with the innermost end of the guide groove, but is pressurized and supported by the resilience of the first coil spring, the guide groove is the rear end at the innermost end It provides a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ext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outer portion from the innermost end so that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lunger of the additional line contact state is guided.

여기서, 상기 플런저 수용부와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는 상기 핸들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쌍의 구획격벽에 의해 각각 구획되며, 각 상기 구획격벽의 폭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플런저가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수용부가 내측단으로부터 연장 돌설되되, 상기 힌지수용부의 후측단에는 개구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전단부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개구홈에 삽입되어 힌지 연결되는 힌지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plunger accommodating portion and each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partitioned by a pair of partition partition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hinge inner side is connected to the plunger in the widthwise inner surface of each partition partition wall to receive the hinge. An additional protrusion protrudes from an inner end, and an opening groove is recessed at a rear end of the hing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hing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groove and hinged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end of the plunger in the width direction.

삭제delete

또한,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대향되는 내측단으로부터 후측방향으로 제1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되고,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의 타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대향되는 전단부에 제2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unger accommodat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end opposite to the first coil spring in a rearward direction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the plunger, and the plunger has the first coil spr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accommodation protrusion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portion facing the first coil spring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is inserted into the hook.

그리고,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에는 상기 핸들부의 전방으로 배치된 상기 이동접촉단의 후면을 향하여 제3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되며, 전단부에 스토퍼단턱이 연장 돌설되고, 상기 제3수용돌기 및 상기 이동접촉단의 후면 사이에는 상기 핸들부의 회동에 따른 상기 이동접촉단 및 상기 고정접촉단 간의 가압 접촉시 상기 이동접촉단이 탄발 지지되도록 제2코일스프링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 third receiving protrusion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art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 end disposed forward of the handle part, and the stopper end jaw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of the handle part. Preferably, a second coil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s of the moving contact ends so that the moving contact ends are elastically supported during the pressurized contact between the moving contact ends and the fixed contact ends due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art.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핸들부에 장착된 가동접촉부재의 이동접촉단과 바디부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접촉단 간의 접촉 하중이 플런저 및 제1코일스프링에 의해 증가됨에 따라 정격 용량이 현저히 개선되므로 높은 정격 용량이 요구되는 실외기 등에 적용 가능하여 범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First, the rated capacity is increased as the contact load between the movable contact end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mounted on the handle part selectively rotated by the user's operation and the fixed contact end fixed inside the body part is increased by the plunger and the first coil spring. Significantly improv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outdoor units requiring a high rated capacity, the versatility can be improved.

둘째, 플런저의 후단부가 테이퍼지게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홈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어 제1코일스프링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플런저의 전단부가 핸들부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이동접촉단 및 고정접촉단 간의 접촉 하중이 증가되므로 제품의 정격 용량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Second, as the front end of the plunger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plunger is in linear contact with the innermost end of the guide groove in which the tapered recess is formed and is pressed by the resilience force of the first coil spring. And the contact load between the fixed contact end is increased so that the rated capacity of the produc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셋째, 핸들부의 회동시 연동되어 이동되는 이동접촉단과 고정접촉단 간의 가압 접촉시 이동접촉단이 제2코일스프링에 의해 탄발 지지됨에 따라 강한 접촉 하중의 작용시에도 완충력이 제공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ird, since the moving contact e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coil spring during pressurized contact between the moving contact end and the fixed contact end interlocked when the handle part is rotated, the cushioning force is provided even when a strong contact load is applied,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넷째, 도어부 및 팩킹부가 바디부의 전단측에 구비된 하우징부의 전후방을 밀폐 커버하며, 커넥터커버가 도어부와 별도로 바디부를 이중으로 커버하는 구조로 스위치가 실외에 설치되더라도 스위치 내부에 수용된 각 전선에 빗물의 유입이 최소화되므로 방수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Fourth, the door part and the packing part hermetically cover the front and rear of the housing part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art, and the connector cover covers the body part separately from the door part, so that even if the switch is installed outdoors, Since the ingress of rainwater is minimized, the waterproof performan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wit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nd Figure 4 is a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00)는 바디부(10), 핸들부(20), 제1코일스프링(30), 플런저(40), 가동접촉부재(50), 제1통전단자(60) 및 제2통전단자(7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switc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portion 10, the handle portion 20, the first coil spring 30, the plunger 40, the movable contact The member 50, the first conducting terminal 60 and the second conducting terminal 70 are included.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00)는 정격 용량이 개선되어 실외기 등의 높은 정격 용량 요구되는 제품에 대하여 선택적인 전원 인가 및 차단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장치이다. Here, the switch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is provided to provide a selective power supply and cut-off function for products requiring high rated capacity, such as outdoor unit is improved by the rated capacity.

한편, 상기 바디부(10)는 각 외부전선(미도시)의 단부가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되되,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내부에 수용공간(1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디부(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중공형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so that the end of each external wire (not shown) is received in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space 10a is formed in the interior penetr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in a hollow hexahedral shape of the overall shape.

더욱이, 상기 바디부(10)에는 상기 수용공간(10a) 및 외부와 연통되어 각 상기 외부전선(미도시)이 인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연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부전선(미도시)은 제1외부전선(미도시) 및 제2외부전선(미도시)을 포함하며, 입력 및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외부와 연결되는 전선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body portion 10 is preferably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space (10a) and the outsid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ions for each of the external wires (not shown) is drawn. In this case, the external wire (not shown) includes a first external wire (not shown) and a second external wire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as a wire connected to the outside for any one of the input and output.

그리고, 상기 바디부(10) 내부의 상기 수용공간(10a)에는 상기 플런저(40)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홈(11)이 후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1)은 상기 플런저(40)의 테이퍼면(42)이 회동시 안내되도록 최내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홈(11)은 최내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부(10)의 상하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확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1)의 경사면에 상기 플런저(40)의 테이퍼면(42)이 선택적으로 면접촉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groove 11 is recessed in the rearward direction so that the plunger 4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a in the body 10. 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11 is preferably extended to taper toward the outer side from the innermost end so that the tapered surface 42 of the plunger 40 is guided during rotation. That is, the guide groove 11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toward the outer side from the innermost end. In this case, the tapered surface 42 of the plunger 40 may be selective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groove 11.

또한,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가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 접촉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40)의 전단부가 상기 핸들부(20)에 연동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된 상태에서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홈(11)이 별도의 부재가 아닌,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40)를 안내 및 지지하므로 상기 플런저(40)에 대한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lunger 40 in a state th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lunger 40 is pressed against the innermost end of the guide groove 11 by the elastic resilience force of the first coil spring 30 is supported In conjunction with the handle portion 20 may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end of the plunger 40 is supported in a state of being in line contact with the innermost end of the guide groove 11. Through this, the guide groove 11 is not formed as a separate member, but is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body 10 to guide and support the plunger 40,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precision of the plunger 40. Can be.

그리고, 상기 바디부(10)에는 상기 핸들부(20)의 회동 반경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용공간(10a) 일측에 한쌍의 스토퍼부(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12)는 상기 바디부(10)의 폭방향 양측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10a)으로 일체로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 preferably has a pair of stopper portions 12 formed on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a to limit the turning radius of the handle portion 20. At this time, the stopper part 12 preferably extends integrally from the inner ends of both sides of the body part 10 to the accommodation space 10a.

또한, 상기 바디부(10)에는 전단측 테두리에 축삽입부(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축삽입부(13)는 상기 바디부(10)의 전단측 테두리에 일체로 연장 돌설되되 폭방향 내측으로 상기 힌지연결돌기(21)가 걸림되도록 축삽입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축삽입홈은 뒤집힌 'U'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 is preferably the shaft insertion portion 13 is formed on the front edge. Here, the shaft insertion portion 13 is preferably integrally extended to the front end side edge of the body portion 10, the shaft inser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hinge connecting projection 21 in the width direction inside. At this time, the shaft insertion groove is preferably formed in an inverted 'U' shape.

또한,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바디부(10)의 개구된 후방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부(10)의 후방부에 스크류 결합되는 바디커버(85)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디커버(85)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10a)에 연통되도록 복수개의 외부전선 삽입홀(85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witch 10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body cover 85 that is screw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to cover the open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At this time, the lower one side of the body cover 85 is preferably 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external wire insertion hole (85a)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10a).

한편, 상기 핸들부(20)는 상기 수용공간(10a)에 배치되어 상기 축삽입부(13)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축삽입부(13)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20)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축삽입부(13)와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연결돌기(21)가 일체로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portion 20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0a) is hinged to the shaft insertion portion 13 and preferably provided to be selectively rotated based on the shaft insertion portion (13).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connecting protrusion 21 extends integrally on both sides of the handle portion 20 so as to be hinged with the shaft inserting portion 13.

이때, 상기 힌지연결돌기(21)와 상기 핸들부(20)의 하단 사이의 길이는 후술되는 이동접촉단(51) 및 고정접촉단(71) 간의 접촉 하중이 증가되도록 기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length between the hinge connecting projection 21 and the lower end of the handle portion 2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contact load between the mobile contact end 51 and the fixed contact end 71 to be described later increases desirable.

또한, 상기 핸들부(20)의 전단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0a)으로부터 노출 배치되는 손잡이부(22)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손잡이부(22)를 제외한 상기 핸들부(20)는 상기 수용공간(10a)에 배치되되, 상기 손잡이부(22)가 상기 수용공간(10a)으로부터 노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손잡이부(22)는 후술되는 하우징부(80)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스위칭홀부(80a)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노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a handle portion 22 expos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0a). That is, the handle portion 20 except for the handle portion 22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a),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portion 22 is expos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0a). In addition, the handle 22 is preferably exposed to the front through the switching hole 80a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80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힌지연결돌기(12)에서 상기 손잡이부(22)의 전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힌지연결돌기(12)에서 상기 핸들부(20)의 하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2)의 표면에는 사용자의 그립시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복수개의 미세한 요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ength from the hinge connecting protrusion 12 to the front end of the handle portion 22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length from the hinge connecting protrusion 12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portion 2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minute unevenness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andle part 22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of the user is increased.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22)를 상하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핸들부(20)가 상기 축삽입부(13) 및 상기 힌지연결돌기(21)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손잡이부(22)가 도 3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ON 상태, 도 4에서와 같이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OFF 상태가 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Through this, when the user presses the handle part 22 in any one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handle part 20 may be rotated based on the shaft insertion part 13 and the hinge connecting protrusion 21. Hereinafter, the handle portion 22 will be shown in the state of turning to the upper side as shown in FIG. 3, the ON state,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핸들부(20)의 몸체(20a)는 상기 스위칭홀부(80a)의 하부 테두리에 걸림되도록 상기 손잡이부(20)의 상하방향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부(20)에는 상기 핸들부(2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대응되는 몸체(20a) 일측에 복수개의 경량홈(20b)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핸들부(20)의 길이방향 중앙부 무게가 감소됨에 따라 회동이 용이해져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20a of the handle part 20 may be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andle part 20 so as to be caught by the lower edge of the switching hole (80a). In addition, a plurality of lightweight grooves 20b may be recessed in one side of the body 20a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art 20. Through this, as the weight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is reduced, the rotation can be facilitat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한편, 상기 핸들부(20)의 후단부 중앙측에는 플런저 수용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수용부(23)의 폭방향 양측에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nger accommodating part 2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handle part 20,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arts 26 and 27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nger accommodating part 23, respectively. Do.

상세히, 상기 플런저 수용부(23)와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는 상기 핸들부(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쌍의 구획격벽(28,29)에 의해 각각 구획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plunger accommodating portion 23 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ortions 26 and 27 are respectively partitioned by a pair of partition partitions 28 and 29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desirable.

여기서, 상기 플런저 수용부(23)에는 각 상기 구획격벽(28,29)의 폭방향 내측면에 상기 플런저(40)가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수용부(24)가 내측단으로부터 연장 돌설되되, 상기 힌지수용부(24)의 후측단에는 개구홈(24a)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힌지수용부(24)는 뒤집힌 'U'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축삽입부(13)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hinge receiving portion 24 is protruded from the inner end of the plunger receiving portion 23 so that the plunger 40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partitions 28 and 29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groove 24a is recessed at the rear end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24. That is, the hinge receiving portion 24 is preferably formed in an inverted 'U' shape, it may be formed in a shape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shaft insertion portion (13).

이때, 상기 플런저(40)의 전단부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개구홈(24a)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수용부(24)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돌기(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힌지돌기(41)가 상기 힌지수용부(24)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플런저(40)가 상기 힌지돌기(41) 및 상기 힌지수용부(24)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hinge protrusions 41 inserted into the opening grooves 24a and hinged to the hinge accommodation portion 24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nger 40. Through this, the hinge protrusion 41 is hinged to the hinge receiving portion 24 so that the plunger 40 can be selectively rotated based on the hinge protrusion 41 and the hinge receiving portion 24. .

또한, 상기 플런저 수용부(23)에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대향되는 내측단으로부터 후측방향으로 제1수용돌기(25)가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lunger receiving portion 23 has a first accommodation protrusion 25 in the rearward direction from the inner end opposite to the first coil spring 30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coil spring 30 is inserted and locked. Extension protuberances are preferred.

한편,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은 상기 핸들부(20)를 탄성 지지하도록 일단이 상기 플런저 수용부(23)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플런저(40)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부(20)의 회동시 압축한계점에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first coil spring 30 is disposed in the plunger accommodating portion 23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handle portion 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lunger 40, and the handle portion 20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at the compression limit point at the time of rotation.

여기서,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은 일단이 상기 제1수용돌기(25)에 삽입되어 걸림되며, 타단이 상기 플런저(40)의 전단부 중앙측에 형성되는 제2수용돌기(43)에 삽입되어 걸림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양단부가 상기 제1수용돌기(25) 및 상기 제2수용돌기(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억지 끼움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Here, one end of the first coil spring 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protrusion 25 and is caugh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spring 3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plunger 40. It is preferable to be inserted and locked.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first coil spring 30 may be forcibly fitt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ccommodation protrusion 25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protrusion 43 to prevent the separation.

그리고,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1수용돌기(25) 및 상기 제2수용돌기(43)에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의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의해 상기 핸들부(20)에 탄발 복원력이 항시 작용하여 상기 힌지연결돌기(21)가 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축삽입부(13)에 견고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다. Then, the first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protrusion 25 and the second receiving protrusion 43 by the first coil spring 30 in the locked stat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handle portion 20 As the hinge connection protrusion 21 is pressed forward to act at all times, it may be firmly locked to the shaft insertion part 13.

이를 위해, 상기 제1코일스프링(30)가 완전 탄성복원된 상태에서의 최대 인장 길이는 상기 제1수용돌기(25) 및 상기 개구홈(24a) 사이의 전후방향 간격을 초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이 상기 제1수용돌기(25) 및 상기 제2수용돌기(4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돌기(41)가 상기 상기 개구홈(24a)에 삽입되어 걸림되므로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이 항상 압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maximum tensile length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coil spring 30 is fully elastically restored is preferably provided to exceed the front and rear gap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on protrusion 25 and the opening groove 24a. Do. That is, the hinge protrusion 41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groove 24a while the first coil spring 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protrusion 25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protrusion 43. Since the first coil spring 30 is locked, the first coil spring 30 may be always compressed.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22)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스위칭시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의한 탄발복원력에 의해 회전토크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 간의 접촉 하중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part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oving contact end 51 and the fixed contact are increased as the rotation torque is increased by the resilience force by the first coil spring 30 when switching. The contact load between the stages 71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한편, 상기 플런저(40)는 전단부 중앙측이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연결되되, 상기 핸들부(20)의 회동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전단부 폭방향 양측이 상기 플런저 수용부(23)에 힌지 연결되며, 후측이 상기 가이드홈(11)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lunger 40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coil spring 30, the front end width direction both sides of the plunger receiving portion 23 so as to rotate in the rotation opposite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Hinge is conne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sid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

상세히, 상기 플런저(40)에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타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제1코일스프링(40)에 대향되는 전단부 중앙측에 상기 제2수용돌기(43)가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second accommodating protrusion 43 extends toward the center of the front end portion opposed to the first coil spring 40 such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spring 30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plunger 40. It is desirable to be snowy.

또한, 상기 플런저(40)에는 전단부 폭방향 양측에 상기 개구홈(24a)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수용부(24)에 힌지 연결되는 상기 힌지돌기(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protrusion 41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groove 24a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nger 40 and hinged to the hinge accommodation portion 24.

그리고, 상기 플런저(40)의 후측에는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화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상기 테이퍼면(4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는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되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red surface 42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lunger 40 is tapered to narrow the width toward the rear end porti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end of the plunger 40 is in line contact with the innermost end of the guide groove 11 but is pressed and supported by the resilience resilience force of the first coil spring 30.

여기서, 상기 플런저(40)는 상기 핸들부(20)에 힌지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상기 손잡이부(22)의 상하방향 가압시 상기 핸들부(20)의 회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테이퍼면(42)이 상기 가이드홈(11)에 면접촉되어 상기 플런저(4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Here, the plunger 40 is hinged to the handle portion 20 is preferably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when the user presses the handle portion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 In this case, the tapered surface 42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11 so that the rotation of the plunger 40 may be limited.

이를 통해,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가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며 상기 플런저(40)의 전측이 상기 핸들부(20)에 연동되어 동시에 회동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lunger 40 is in linear contact with the innermost end of the guide groove 11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lunger 40 is pressed and supported by the resilience force of the first coil spring 30 and the front side of the plunger 40. The handle unit 20 may be rotated at the same time in conjunction with the handle.

따라서,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가 테이퍼지게 함몰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어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40)의 전단부가 상기 핸들부(20)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 간의 접촉 하중이 증가되므로 제품의 정격 용량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lunger 4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most end of the guide groove 11 in whic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lunger 40 is tapered and pressed by the resilience force of the first coil spring 30. A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the contact load between the movable contact end 51 and the fixed contact end 71 increases, so that the rated capacity of the product may be remarkably improved.

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핸들부(20)에 장착된 상기 가동접촉부재(50)의 이동접촉단(51)과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접촉단(71) 간의 접촉 하중이 상기 플런저(40) 및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의해 증가됨에 따라 정격 용량이 현저히 개선되므로 높은 정격 용량이 요구되는 실외기 등에 적용 가능하여 범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각 외부전선(미도시)의 양극이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의 분리시 동시에 차단되므로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fixed contact end fixed inside the movable contact end 51 and the body portion 10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50 mounted on the handle portion 20 selectively rotated by the user's operation. As the contact load between the 71 is increased by the plunger 40 and the first coil spring 30, the rated capacity is remarkably improv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n outdoor unit requiring a high rated capacity and the like, thereby improving versatility. Furthermore, since the anode of each external wire (not shown) is simultaneously blocked when the mobile contact end 51 and the fixed contact end 71 are separated, safety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가동접촉부재(50)는 한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핸들부(20)와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에 삽입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일단에는 이동접촉단(51)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의 내부로 수용 및 고정되는 타단에는 연결전선(52)이 전선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동접촉부재(50) 및 상기 이동접촉단(51)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구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contact member 50 is provided in a pai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and fixed to the movable contact member receiving portion (26, 27) to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handle portion (20). Here, a movable contact end 5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art 26 and 27 in front, and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art 26 and 27 is accommodated and fixed in the interior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art 26 and 27.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wire 52 is connected to the wire. At this time, the movable contact member 50 and the movable contact end 5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it may be provided with copper or the like.

또한,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에는 상기 핸들부(20)의 전방 하부, 즉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의 전방 하부로 배치된 상기 이동접촉단(51)의 후면을 향하여 제3수용돌기(26a)가 각각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ach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arts 26 and 27 includes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art 20, that is, the movable contact end 51 disposed in the front lower part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arts 26 and 27.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third accommodation protrusions 26a extend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plate).

그리고, 상기 제3수용돌기(26a) 및 상기 이동접촉단(51)의 후면 사이에는 상기 핸들부(20)의 회동에 따른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 간의 가압 접촉시 상기 이동접촉단(51)이 탄발 지지되도록 제2코일스프링(53)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ressure contact between the movable contact end 51 and the fixed contact end 7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art 20 is provided between the third accommodation protrusion 26a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 end 51. The second coil spring 53 is preferably disposed so that the moving contact end 51 is elastically supported.

더욱이, 상기 가동접촉부재(50)에는 상기 이동접촉단(51)의 후면에 상기 제3수용돌기(26a)를 향하도록 연장 돌설되는 제4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코일스프링(53)은 상기 제3수용돌기(26a) 및 상기 제4수용돌기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ovable contact member 50 may be extended with a fourth receiv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 end 51 toward the third receiving protrusion 26a. That is, the second coil spring 53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third accommodation protrusion 26a and the fourth accommodation protrusion.

이를 통해, 상기 핸들부(20)의 회동시 연동되어 이동되는 상기 이동접촉단(51)과 상기 고정접촉단(71) 간의 가압 접촉시 상기 이동접촉단(51)이 상기 제2코일스프링(53)에 의해 탄발 지지됨에 따라 강한 접촉 하중의 작용시에도 완충력이 제공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rough this, when the pressure contact between the movable contact end 51 and the fixed contact end 71 which is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handle unit 20 when the movement is the movable contact end 51 is the second coil spring (53) As i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ecause cushioning force is provided even under the action of a strong contact load.

또한,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2코일스프링(53)의 탄발지지력에 의한 상기 이동접촉단(51)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26,27)의 내벽면 양측에 폭방향 내측 스토퍼단턱(26b)이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arts 26 and 27 may include the respectiv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arts so as to prevent the moving contact end 51 from being separated by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second coil spring 53.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direction inner stopper step 26b extends and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surfaces 26 and 27.

한편, 상기 제1통전단자(60)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0a)에 배치되되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50)의 타단에 전선 연결되며, 제1외부전선(미도시)과 통전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0a)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동접촉부재(50)의 타단 및 상기 제1통전단자(60)의 일단 사이에는 상기 연결전선(52)이 용접 결합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ducting terminal 60 is provided in a pair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0a),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50, so as to conduct electricity with the first external wire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10a) is provid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wire 52 is welded and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50 and one end of the first conducting terminal 60.

여기서, 상기 가동접촉부재(50)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지게 구비되되, 도전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전선(52)이 연결된 상기 가동접촉부재(50)의 일측은 상기 바디부(10)의 후방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에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Here, the movable contact member 50 is provided to be bent in a 'b' shape, 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50 to which the connection wire 52 is connected is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and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It may be screwed and fixed.

또한, 상기 가동접촉부(50)의 일측과 일체로 절곡지게 형성된 상기 제1통전단자(60)의 타측은 상기 바디부(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통전단자(60)의 타측면에 제1러그(54)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ducting terminal 60 formed to be bent integrally with one side of the movable contact portion 50 is preferably dispos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ug 54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ducting terminal 60.

여기서, 상기 제1통전단자(60)의 타측면과 상기 제1러그(54)의 일면 사이에 상기 제1외부전선(미도시)이 개재되어 상기 제1러그(54)가 스크류에 의해 조임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외부전선(미도시)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통전단자(60)와 상기 제1러그(54)가 상기 수용공간(10a)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외부전선(미도시)은 상기 외부전선 삽입홀(85a)을 통과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outer wire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ducting terminal 60 and one surface of the first lug 54 to fasten the first lug 54 by screw. As the first external wire (not shown) may be fix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ducting terminal 60 and the first lug 54 ar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a. In addition, the first external wire (not shown) is preferably disposed through the external wire insertion hole (85a).

한편, 상기 제2통전단자(70)는 제2외부전선(미도시)과 통전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0a)에 구비되되, 상기 이동접촉단(51)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접촉단(51)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접촉단(7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통전단자(70) 및 상기 고정접촉단(71)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구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ducting terminal 70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10a) so as to energize a second external wire (not shown), the mobile contact end 51 to selectively contact with the mobile contact end 51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contact end 71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At this time, the second conducting terminal 70 and the fixed contact end 7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it may be provided with copper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제2통전단자(70)는 일측에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의 내측에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통전단자(70)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지게 구비되되, 일측에 상기 고정접촉단(71)이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절곡된 타측이 상기 바디부(10)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동접촉부(50)의 타측면에 제2러그(72)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conducting terminal 70 is preferably fastened by screwing into an inner side of the body part 10 through fastening holes formed in one side thereof. In addition, the second conductive terminal 70 is provided to be bent in the 'b' shape, the fixed contact end 71 is provided on one side is dispos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The other side is preferably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lug 72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contact portion 50.

여기서, 상기 제2통전단자(70)의 타측면과 상기 제2러그(72)의 일면 사이에 상기 제2외부전선(미도시)이 개재되어 상기 제2러그(72)가 스크류에 의해 조임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2외부전선(미도시)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통전단자(70)와 상기 제2러그(72)가 상기 수용공간(10a)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외부전선(미도시)은 상기 바디부(10)의 하부에 형성된 연통부를 통과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econd external wire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ng terminal 70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lug 72 to fasten the second lug 72 by screws. As the second external wire (not shown) may be fix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ducting terminal 70 and the second lug 72 ar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a. In addition, the second outer wire (not shown) is preferably dispos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ion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한편,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바디부(10)의 전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0)와 연결되는 하우징부(8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디부(10)의 전단부에는 복수개의 결합홀부(14)가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부(14)에 나사가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부(80)에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바디부(10)와 상기 하우징부(80)가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witch 10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body portion 10 further includes a housing portion 80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0. At this tim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 14 is formed in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screw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4 to be screwed to the housing 80 Body portion 10 and the housing portion 80 may be combined.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80)의 상부에는 외부 벽체 등과의 결합을 위해 삽입된 스크류가 통과되도록 스크류커버 삽입홀(80d)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스크류커버 삽입홀(80d)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류커버(84)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커버(84)는 상기 스크류커버 삽입홀(80d)에 결합시 전면부 프로파일이 상기 하우징부(80)의 전면부 프로파일과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screw cover insertion hole (80d) may b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so that the screw inserted for coupling with the outer wall, etc. pas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80. At this time, the switch 10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crew cover 84 provided to cover the screw cover insertion hole (80d). In addition, when the screw cover 84 is coupled to the screw cover insertion hole 80d, the front part profile may be formed as a substantially continuous surface with the front part profile of the housing part 80.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80)의 중앙부에는 상기 손잡이부(22)의 전단부가 노출되도록 스위칭홀부(80a)가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80)의 하부에는 상기 러그(72)의 스크류 체결을 위한 복수개의 스크류홀(80c)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홀(80c)의 하부에는 상기 외부전선(미도시)가 안내되는 복수개의 안내홈(80b)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홈(80b)의 상단이 관통되어 상기 수용공간(10a)에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ing hole 80a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80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22 is expos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screw holes 80c for screwing the lugs 72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part 80, and the external wires (not shown) are gu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screw holes 80c. Preferably, the plurality of guide grooves 80b are recessed.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80b) is preferably communicated with the receiving space (10a).

여기서,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안내홈(80b) 및 상기 스크류홀(80c)의 전방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부(80)에 힌지 연결되는 커넥터커버(83)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witch 100 is provided to selectively cover the front portion of the guide groove (80b) and the screw hole (80c) further comprises a connector cover (83) hinged to the housing portion (80) desirable.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80)에는 상기 스크류홀(80c)의 폭방향 양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힌지회전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커버(83)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커버(83)의 상부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힌지회전축부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housing part 80 has a hinge rotating shaft par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screw hole 80c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connector cover 83 can be hing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inge connection part hinged to the hinge rotation shaft part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cover 83.

이를 통해, 상기 힌지연결부 및 상기 힌지회전축부가 상호 힌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커넥터커버(83)가 상기 안내홈(80b) 및 상기 스크류홀(80c)의 전방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nnector cover 83 may selectively cover the front portion of the guide groove 80b and the screw hole 80c as the hinge connection part and the hinge rotation shaft part are hinged to each other.

더욱이, 상기 힌지회전축부에는 힌지 회동되어 상기 하우징부(80)로부터 개방된 상기 커넥터커버(83)가 억지 끼움되도록 폭방향 내측에 끼움고정돌기가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커넥터커버(83)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커버(83)가 상기 끼움고정돌기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커넥터커버(83)가 개방 상태에서 고정이 유지되므로 사용자가 전선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inge rotation shaft portion may be hinged rotation protrusion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forcibly fit the connector cover 83 opened from the housing portion 80. Accordingly,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or cover 83 in the open state of the connector cover 83 may be forcibly fitted to the fitting fixing projections. Through this, the connector cover 83 is fixed in the open stat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wire work and the lik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work.

한편,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하우징부(80)의 전방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도어부(8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부(81)는 상기 하우징부(80)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부(81)의 상단에는 고정돌기가 연장 돌설되어 힌지 회동시 상기 하우징부(80)의 상부 일측에 억지 끼움됨에 따라 상기 도어부(81)의 개방 상태에서 고정이 유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witch 100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door portion 81 provided to selectively cover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80. Here, the door portion 81 may be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80 and selectively rotated. In this case,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extended to the upper end of the door part 81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maintained 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part 81 as the hinge part is inserted into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80 during the hinge rotation. .

그리고, 상기 도어부(81)는 상기 손잡이부(22)와 이격되도록 내측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테두리부가 상기 하우징부(80)의 테두리를 선택적으로 밀착 커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하우징부(80)의 후방부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팩킹부(82)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oor portion 8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inside is reces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andle portion 22, and the edge portion is preferably provided to selectively cover the edge of the housing portion 80. In addition, the switch 10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packing portion 82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dge of the housing portion 80.

이에 따라, 상기 도어부(81) 및 상기 팩킹부(82)가 상기 바디부(10)의 전단측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부(80)의 전후방을 밀폐 커버하며, 상기 커넥터커버(83)가 상기 도어부(81)와 별도로 상기 바디부(10)를 이중으로 커버하는 구조로 상기 스위치(100)가 실외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스위치(100) 내부에 수용된 각 전선에 빗물의 유입이 최소화되므로 방수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oor part 81 and the packing part 82 seal cover the front and rear of the housing part 80 provid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body part 10, and the connector cover 83 is the In addition to the door part 81, the body part 10 is covered in a double structure, even if the switch 100 is installed outdoors, since the inflow of rain water to each wire accommodated in the switch 100 is minimized, so that the waterproof performance is improved.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스위치(100)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22)가 상기 바디부(10)의 상측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스위치(100)의 ON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이 상호간 가압 접촉되어 통전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3, as the handle part 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n the ON state of the switch 100 in which the handle part 22 is rotated upward of the body part 10, the handle part 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movable contact end 51 and the fixed contact end 71 are energized by pressure contact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핸들부(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어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40)의 전측이 상기 핸들부(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Here, as the handle portion 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lunger 40 is in linear contact with the innermost end of the guide groove 11 to be pressed by the first coil spring 30. Preferably, the front side of the plunger 40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이때,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이 상호간 가압 접촉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코일스프링(53)에 의해 상기 이동접촉단(51)이 탄발지지되므로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이 상호간 견고하게 가압 접촉되면서도 과도한 작용력에 의한 마모가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contact end 51 and the fixed contact end 71 are pressurized with each other by the elastic recovery force of the first coil spring 30 can be maintained firmly. Furthermore, since the mobile contact end 5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coil spring 53, the mobile contact end 51 and the fixed contact end 71 are firmly contacted with each other, and wear due to excessive working force. Can be prevented, so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2)가 상기 스위치(100)의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스위칭 되기 위해 상기 바디부(10)의 하측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손잡이부(22)가 상기 바디부(10)의 수직으로 배치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이 압축한계점에 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이 압축한계점으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이 인장되며 강한 탄발복원력이 작용한다. And, when the handle 22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in order to switch from the ON state of the switch 100 to the OFF state, the handle portion 22 of the body portion 10 The first coil spring 30 reaches the compression limit point at the vertically disposed point. Here, the moment the first coil spring 30 is separated from the compression limit point the first coil spring 30 is tensioned and a strong resilience force acts.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22)가 상기 바디부(10)의 하측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스위치(100)의 OFF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20)가 타방향으로 회전회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접촉단(51) 및 상기 고정접촉단(71)이 상호간 이격되어 전력이 차단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4, in the OFF state of the switch 100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the handle portion 2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ccordingly, the mobile contact end 51 and the fixed contact end 7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ut off power.

여기서, 상기 핸들부(20)가 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40)의 후단부가 상기 가이드홈(11)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어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40)의 전측이 상기 핸들부(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Here, as the handle portion 2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lunger 40 is in line contact with the innermost end of the guide groove 11 and pressed by the first coil spring 30. In the above, the front side of the plunger 40 is preferably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20.

그리고, 상기 핸들부(20)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코일스프링(3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핸들부(20)가 고정 및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핸들부(20)의 후단부가 상기 스토퍼부(12)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핸들부(20)의 회동 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andle part 2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handle part 20 may be fixed and maintained by the resilience force of the first coil spring 30. In addition, as the rear end of the handle part 20 is caught by the stopper part 12, the turning radius of the handle part 20 may be limited.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핸들부(20)에 장착된 가동접촉부재(50)의 이동접촉단(51)과 바디부(10)의 내부에 고정된 제2통전단자(70)의 고정접촉단(71) 간의 접촉 하중이 플런저(40) 및 제1코일스프링(30)에 의해 증가됨에 따라 정격 용량이 현저히 개선되므로 높은 정격 용량이 요구되는 실외기 등에 적용 가능하여 범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econd contact terminal 70 fixed inside the movable contact end 51 and the body portion 10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50 mounted on the handle portion 20 selectively rotated by the user's operation. As the contact load between the fixed contact end 71 of the plunger 40 and the first coil spring 30 is increased, the rated capacity is remarkably improv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n outdoor unit requiring a high rated capacity and the like. have.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includ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스위치 10: 바디부
11: 가이드홈 12: 스토퍼부
13: 축삽입부 14: 결합홀부
20: 핸들부 21: 힌지연결돌기
22: 손잡이부 23: 플런저 수용부
24: 힌지수용부 24a: 개구홈
25: 제1수용돌기 26,27: 가동접촉부재 수용부
26a: 제3수용돌기 28,29: 구획격벽
30: 제1코일스프링 40: 플런저
41: 힌지돌기 42: 테이퍼면
43: 제2수용돌기 50: 가동접촉부재
51: 이동접촉단 52: 연결전선
53: 제2코일스프링 60: 제1통전단자
70: 제2통전단자 71: 고정접촉단
80: 하우징부 81: 도어부
82: 팩킹부 83: 커넥터커버
84: 스크류커버 85: 바디커버
100: switch 10: body portion
11: guide groove 12: stopper part
13: shaft insertion part 14: coupling hole part
20: handle portion 21: hinge connecting projection
22: handle portion 23: plunger receiving portion
24: hinge receiving portion 24a: opening groove
25: first receiving projection 26, 27: movable contact member receiving portion
26a: third receiving protrusion 28, 29: partition bulkhead
30: first coil spring 40: plunger
41: hinge protrusion 42: tapered surface
43: second receiving protrusion 50: movable contact member
51: mobile contact end 52: connecting wire
53: second coil spring 60: first conducting terminal
70: second conducting terminal 71: fixed contact end
80: housing portion 81: door portion
82: packing part 83: connector cover
84: screw cover 85: body cover

Claims (5)

외부전선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가이드홈이 후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일측에 한쌍의 스토퍼부가 형성되며, 전단측 테두리에 축삽입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축삽입부에 힌지 연결되되, 전단부에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노출 배치되는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후단부 중앙측에 플런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수용부의 폭방향 양측에 가동접촉부재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핸들부의 회동시 압축한계점에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코일스프링;
전단부 중앙측이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연결되되, 상기 핸들부의 회동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전단부 폭방향 양측이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 힌지 연결되며, 후측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플런저;
상기 핸들부와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에 삽입 고정되며, 일단에 이동접촉단이 형성되고 타단이 전선 연결되는 한쌍의 가동접촉부재;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의 타단에 전선 연결되어 제1외부전선과 통전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한쌍의 제1통전단자; 및
상기 수용공간에 제2외부전선과 통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이동접촉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이동접촉단에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접촉단이 형성되는 제2통전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는 후단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화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의 후단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최내측단에 선접촉되되 상기 제1코일스프링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가압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최내측단에 후단부가 선접촉된 상태의 상기 플런저의 전단부의 회동방향이 안내되도록 최내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부의 상하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확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An outer wire is provided to be received inward, the guide groove is recessed in the rearward direction in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 pair of stoppers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shaft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t the front edge;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is hinged to the shaft insertion portion, the front e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portion expos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the plunger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ear end central side, the width direction both sides of the plunger receiving portion A handle portion having a movable contact member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on;
A first coil spring disposed at the plunger accommodating part to elastically support the handle part and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at a compression limit point when the handle part is rotated;
A plunger having a front end portion central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il spring, and having both front end portions of the front end portion hinged to the plunger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handle portion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a rear sid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 pair of movable contact member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art so as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handle part, the movable contact end being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ire;
A pair of first conducting terminal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s so as to conduct electricity with a first external wire; And
A second conduction terminal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be energized with a second external wire, the fixed contact end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mobile contact end to selectively contact with the mobile contact end,
The plunger is tapered to narrow the width toward the rear end, and the rear end of the plunger is in line contact with the innermost end of the guide groove, but is pressurized and supported by the resilience of the first coil spring.
The guide groove is a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extension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oward the outside from the innermost end to guid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lunger in the state in which the rear end is in line contact with the innermost en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수용부와 각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는 상기 핸들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한쌍의 구획격벽에 의해 각각 구획되며,
각 상기 구획격벽의 폭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플런저가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수용부가 내측단으로부터 연장 돌설되되, 상기 힌지수용부의 후측단에는 개구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전단부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개구홈에 삽입되어 힌지 연결되는 힌지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nger accommodating portion and each of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partitioned by a pair of partition partition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ortion.
The hinge receiving portion extends from the inner end of the partition bulkhead so that the plunger is hinged to the inner side of the partition bulkhead, and an op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hinge receiving portion.
And a hing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groove and hinged at both sides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lunger in the width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수용부에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대향되는 내측단으로부터 후측방향으로 제1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되고,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제1코일스프링의 타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제1코일스프링에 대향되는 전단부에 제2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nger accommodating portion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end opposite to the first coil spring in a rearward direction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And a second accommodation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portion facing the first coil spring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plu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부재 수용부에는 상기 핸들부의 전방으로 배치된 상기 이동접촉단의 후면을 향하여 제3수용돌기가 연장 돌설되며, 전단부에 스토퍼단턱이 연장 돌설되고,
상기 제3수용돌기 및 상기 이동접촉단의 후면 사이에는 상기 핸들부의 회동에 따른 상기 이동접촉단 및 상기 고정접촉단 간의 가압 접촉시 상기 이동접촉단이 탄발 지지되도록 제2코일스프링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able contact member accommodating part extends and protrudes a third accommodation protrusion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 end disposed in front of the handle part, and a stopper step jaw extends and protrudes in the front end part.
A second coil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accommodation protrusion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 end such that the movable contact end is elastically supported during the pressurized contact between the movable contact end and the fixed contact e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art. Switch.
KR1020190116159A 2019-09-20 2019-09-20 switch KR102050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59A KR102050912B1 (en) 2019-09-20 2019-09-20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59A KR102050912B1 (en) 2019-09-20 2019-09-20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912B1 true KR102050912B1 (en) 2019-12-02

Family

ID=6884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159A KR102050912B1 (en) 2019-09-20 2019-09-20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91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647B1 (en) * 1993-04-07 1998-08-17 미셸 까바레 Multipole circuit breaker with modular assembly
JP2000133111A (en) * 1998-10-21 2000-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KR101025679B1 (en) 2009-06-29 2011-03-30 클리오주식회사 Push button switch
KR20150020709A (en) * 2012-10-11 2015-02-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ircuit breaker
KR101818197B1 (en) * 2017-08-28 2018-01-12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molded case circuit break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647B1 (en) * 1993-04-07 1998-08-17 미셸 까바레 Multipole circuit breaker with modular assembly
JP2000133111A (en) * 1998-10-21 2000-05-12 Mitsubishi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KR101025679B1 (en) 2009-06-29 2011-03-30 클리오주식회사 Push button switch
KR20150020709A (en) * 2012-10-11 2015-02-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ircuit breaker
KR101818197B1 (en) * 2017-08-28 2018-01-12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molded case circuit brea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1796B2 (en) Press switch having a force-to-detach function
CN1819085B (en) Trigger switch
KR101511322B1 (en) Push button switch
KR102050912B1 (en) switch
US20030079980A1 (en) Switch, push-button switch and rotary-lever switch
CN212365886U (en) Binding post and circuit breaker
CN108711525B (en) Change-over switch electric appliance
EP0872867A2 (en) Electrically assembly with actuating device for a switch
CN110932462B (en) Electric push rod with anti-shake and scour protection journey function
CN111446131A (en) State indication structure of distribution electrical appliance
US3482064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pressure contacts
RU2717580C2 (en) Automatic switch with control from push button with swinging working member
CN218677014U (en) Auxiliary contact assembly and circuit breaker
CN114639566B (en) Switch
CN117352328B (en) Load isolating switch
CN216980406U (en) Key hand controller
CN114639568B (en) Switch
CN218182110U (en) Switch with a switch body
RU2816578C1 (en) Mechanism for electric switch, corresponding electric assembly and electric switch
CN219717275U (en) Fence type terminal structure
CN116453881B (en) Switching device
KR101863726B1 (en) switch
CN217588784U (en) Driving structure for switch and switch with same
KR910005411Y1 (en) Push switch equipment
CN218274336U (en) Automatic switching mechanism of dual-power automatic switching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