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408B1 -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408B1
KR102049408B1 KR1020170181141A KR20170181141A KR102049408B1 KR 102049408 B1 KR102049408 B1 KR 102049408B1 KR 1020170181141 A KR1020170181141 A KR 1020170181141A KR 20170181141 A KR20170181141 A KR 20170181141A KR 102049408 B1 KR102049408 B1 KR 102049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mber
weight
middle layer
sho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150A (ko
Inventor
이예순
Original Assignee
웰바이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바이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바이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4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은, 상부의 갑피와, 갑피의 하부에 형성된 밑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밑창부는, 갑피의 하단부가 절곡되어 매몰되는 상층부재와, 상층부재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층부재보다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 중층부재와, 중층부재의 하부에 부착되며 하부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하층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갑피와 밑창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쿠션 기능이 향상될 수 있어 내구성과 착화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Footwear with Cushioning Function}
개시되는 내용은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갑피와 견고하게 결합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밑창을 구비한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발은 발을 수용하는 갑피와, 갑피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하는 밑창으로 이루어진다.
밑창은 신발에서 지면과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 지면의 모래나 날카로운 이물질로부터 발바닥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하고, 발의 피로도를 줄여주기 위해 운동화같은 경우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갑피의 하단부와 밑창의 결합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오랜 시간 사용하다보면 갑피의 하단부가 밑창과 분리되어 신발을 폐기할 수밖에 없는 상태가 된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20-2000-0000799호
개시되는 내용은 갑피와 밑창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쿠션 기능이 향상될 수 있어 내구성과 착화감이 향상될 수 있는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상부의 갑피와, 갑피의 하부에 형성된 밑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밑창부는, 갑피의 하단부가 절곡되어 매몰되는 상층부재와, 상층부재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층부재보다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 중층부재와, 중층부재의 하부에 부착되며 하부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하층부재를 포함하는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층부재는 폴리우레탄과 스티렌수지의 혼합물이며, 상기 중층부재는 스티렌수지와 부타디엔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층부재는 상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상층부재의 하면이 부착되었을때 공기챔버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층부재는 네오프렌, 폴리우레탄, 부틸아크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층부재는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며, 전방부는 중층부재와 상층부재의 전단을 감싸도록 하며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갑피의 하단부 외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갑피와 밑창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쿠션 기능이 향상될 수 있어 내구성과 착화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단부를 확대한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르는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르는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을 나타낸 단면 분해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는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은, 발등을 감싸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갑피(100)와, 갑피(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닿는 밑창부(A)로 이루어진다.
밑창부(A)는, 갑피(100)의 하단부(130)가 절곡되어 매몰되는 상층부재(200)와, 상층부재(200)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층부재(200)보다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 중층부재(300)와, 중층부재(300)의 하부에 부착되며 하부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하층부재(400);를 포함한다.
상층부재(200)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20~30중량%, 폴리우레탄 30~40중량%, 스티렌수지 30~40중량%의 혼합물이다.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는 20중량% 미만이면 탄성력과 접착력이 저하되고, 30중량% 이상이면 과도한 탄성력과 접착력을 갖게되어 가공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폴리우레탄은 30중량% 미만이면 탄성력이 저하되고, 40중량% 이상이면 과 탄성상태가 되어 착용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스티렌수지는 3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40중량% 이상이면 탄력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중층부재(300)는 스티렌수지 30~50중량%와 부타디엔 50~70중량%의 혼합물이다.
스티렌수지는 3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 이상이면 탄력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부타디엔는 50중량% 미만이면 내열성이 저하되고, 70중량%이면 과도하게 단단하여 쿠션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중층부재(300)는 상면에 다수의 홈(320)이 형성되어 상층부재의 하면이 부착되었을때 공기챔버가 형성되도록 한다.
공기챔버는 공기가 채워지게 되므로 쿠션기능을 강화시키게 된다. 아울러 중층부재(300)의 내부에도 하나 이상의 공기가 충전되는 공동부(340)가 형성됨으로써 쿠션감을 배가시킬 수 있어 충격 흡수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층부재(300)는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부와 후방부가 지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며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전방 굴곡부(362)와 후방 굴곡부(36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방은 발가락에 대응하는 부위이고, 후방은 뒷꿈치가 대응되는 부분이다.
보행시 뒷꿈치부터 지면에 닿을때 충격력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후방을 두껍게 형성하고 후방 굴곡부(366)가 형성됨으로써 후방부, 중앙부, 전방부가 순차적으로 구르듯이 지면에 접촉되면서 보행하게 되어 충격 완화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고 피로감을 줄여 줄 수 있다.
또한 종아리 근육을 사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근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하층부재(400)는 네오프렌 20~30중량%, 폴리우레탄 30~40중량%, 부틸아크릴 20~30중량%의 혼합물이다.
하층부재(400)는 전방부는 중층부재(300)와 상층부재(200)의 전단을 감싸도록 하며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만곡부(420)는 갑피(100)의 하단부 외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만곡부(420)가 갑피(100)의 하단부 외면에 부착됨으로써 앞단에 충격(땅에 부딪치거나 계단에 부딪치는 충격)이 가해질때 갑피(100)의 전단부를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발가락 부상을 방지하는데도 기여하게 된다.
중층부재(300)는 전방 굴곡부(362)와 중앙부(364)를 연결하는 부위에 제1요부(371)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중앙부(364)와 후방 굴곡부(366)를 연결하는 부위에 제2요부(372)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하층부재(400)는 상기 제1요부(371)에 삽입되도록 제1돌부(441)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2요부(372)에 삽입되도록 제2돌부(442)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는 밑창부(A)는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부와 후방부가 지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며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전방의 제1만곡부(R1)와 후방의 제2만곡부(R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갑피 200 : 상층부재
300 : 중층부재 320 : 홈
340 : 공동부 400 : 하층부재

Claims (7)

  1. 상부의 갑피와, 상기 갑피의 하부에 형성된 밑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밑창부는,
    상기 갑피의 하단부가 절곡되어 매몰되는 상층부재;
    상기 상층부재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상층부재보다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 중층부재; 및
    상기 중층부재의 하부에 부착되며 하부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하층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층부재는 상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층부재의 하면이 부착되었을 때 공기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중층부재의 내부에는 공기가 충전된 공동부가 포함되며,
    상기 중층부재는 전방부에서 후방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부와 후방부가 지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며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전방 굴곡부와 후방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층부재는 상기 전방 굴곡부와 상기 중앙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제1요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와 상기 후방 굴곡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제2요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층부재는 상기 중층부재와 상기 상층부재의 전단을 감싸고 상기 갑피의 하단부 외면에 부착되는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층부재에는 상기 제1요부에 삽입되도록 제1돌부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요부에 삽입되도록 제2돌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재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20~30중량%, 폴리우레탄 30~40중량%, 스티렌수지 30~40중량%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층부재는 스티렌수지 30~50중량%와 부타디엔 50~70중량%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부재는 네오프렌 20~30중량%, 폴리우레탄 30~40중량%, 부틸아크릴20~30중량%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7. 삭제
KR1020170181141A 2017-12-27 2017-12-27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KR102049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141A KR102049408B1 (ko) 2017-12-27 2017-12-27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141A KR102049408B1 (ko) 2017-12-27 2017-12-27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50A KR20190079150A (ko) 2019-07-05
KR102049408B1 true KR102049408B1 (ko) 2019-11-28

Family

ID=6722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141A KR102049408B1 (ko) 2017-12-27 2017-12-27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4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460B1 (ko) * 2013-10-22 2014-12-01 정상옥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겉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0720A1 (en) * 2013-03-08 2014-09-11 Nike, Inc. Multicolor Sol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460B1 (ko) * 2013-10-22 2014-12-01 정상옥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겉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50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923B1 (ko) 신발 중창
CN201278864Y (zh) 一种带减震鞋垫的鞋底
JP2018153355A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KR20190003004U (ko) 신발 바닥 구조
US5894683A (en) Shock absorbing heel block for shoes
KR100518307B1 (ko) 신발
KR101685112B1 (ko) 하이힐용 안창
KR101166572B1 (ko) 신발창
KR101625917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319821B1 (ko) 신발창
KR102049408B1 (ko)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KR101038052B1 (ko) 신발 바닥의 구조
KR200376979Y1 (ko) 신발용 바닥판
KR200489122Y1 (ko) 등산화 밑창
KR20130130270A (ko) 쿠션부재가 구성된 신발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5568A (ko)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KR200418392Y1 (ko) 보조신발창
KR101435757B1 (ko) 신발깔창
CN216753687U (zh) 一种足弓支撑鞋底
KR102001997B1 (ko) 기능성 신발 밑창을 구비하는 신발
CN220675267U (zh) 一种稳定支撑高防滑的运动鞋
JP5792327B2 (ja) ハイヒール
KR100479224B1 (ko) 밑창과 뒷굽이 일체로 형성된 신발
KR20130091039A (ko) 다단쿠션을 갖는 기능성 신발밑창
KR20130117104A (ko) 충격 흡수형 신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