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244B1 - A two way frame holder device - Google Patents

A two way frame hold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244B1
KR102047244B1 KR1020170108919A KR20170108919A KR102047244B1 KR 102047244 B1 KR102047244 B1 KR 102047244B1 KR 1020170108919 A KR1020170108919 A KR 1020170108919A KR 20170108919 A KR20170108919 A KR 20170108919A KR 102047244 B1 KR102047244 B1 KR 10204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der
pair
fastening plate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3345A (en
Inventor
신형철
Original Assignee
신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철 filed Critical 신형철
Priority to KR1020170108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244B1/en
Publication of KR2019002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3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2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0Picture hooks; X-hoo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로서, 사진이나 그림을 넣어 진열 또는 장식하는데 사용하는 액자의 후면 커버에 부착 고정되는 홀더 체결 플레이트; 및 상기 홀더 체결 플레이트가 부착 고정된 상기 액자를 벽에 걸거나 또는 탁상에 거치하는 2가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체결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프레임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에 따르면, 액자의 후면 커버에 부착 고정되는 홀더 체결 플레이트와, 홀더 체결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프레임 홀더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 형태의 2가지 방법의 겸용으로 액자를 편리하게 탁상에 거치하거나 벽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 홀더와 하부 프레임 홀더로 구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 홀더를 서로 다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탄성 와이어로 구성함으로써, 홀더 체결 플레이트에 간편하게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의 사용자 사용선택에 대응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조작되는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하나의 액자에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의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액자에서 발생되는 거치의 형식에 따른 획일적인 거치 형태를 벗어난 다양한 거치 형태의 변화를 제공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comprising: a holder fastening plate attached to and fixed to a rear cover of a frame used to display or decorate a picture or a picture; And a pair of frame holders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der fastening plate so that the frame to which the holder fastening plate is attached and fixed can be hanged on a wall or mounted on a table.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two-way frame holder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a holder fastening plate attached to the rear cover of the picture frame and a pair of frame holder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der fastening plate, the user can use the wall hanging or The combination of the two methods of tabletop mounting allows the frame to be conveniently mounted on a table or hanged on a wal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a pair of frame holders consisting of an upper frame holder and a lower frame holder with an elastic wire having a structure of a different form, it is possible to simply fasten to use the holder fastening plate, of course, Corresponding to the user's choice of use of the wall-mounted or table-top moun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by simple oper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being configured to be used as a combination of wall hangings or tabletop mounting on a single picture frame, to provide a variety of mounting form changes beyond the uniform mounting form according to the type of mounting that occurs in the existing picture frame, Can be used.

Description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A TWO WAY FRAME HOLDER DEVICE}Two way frame holder device {A TWO WAY FRAME HOLDER DEVICE}

본 발명은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 형태의 2가지 방법의 겸용으로 액자를 편리하게 거치하거나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mount or hang a picture frame by using a combination of two methods such as a wall-mount or a table-mounted type.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책상이나 가구 위에 간편하게 세워서 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벽에 걸어 벽걸이 형태로 배치하여 볼 수 있도록 그 액자 내부에 사진이나 그림이 수납되는 것으로, 사진이나 그림의 모양에 따라 그 형태나 모양은 다양하게 제작된다. 이러한 액자는 사각 틀의 전면에 유리판 등의 투명재질을 덮개로 사용하여 그 내부에 그림이나 사진을 넣고서 장식장에 올려놓거나 또는 벽이나 걸이대 등에 걸어두고 감상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Generally, a picture frame is a picture or picture that can be easily placed on a desk or furniture, or a wall-mounted type that can be placed on a wall for viewing. Therefore, the form or shape is produced in a variety. Such a picture frame uses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 glass plate on the front of the rectangular frame as a cover and puts a picture or a picture therein and puts it on a cabinet or hangs it on a wall or a hanger for viewing.

즉, 종래의 액자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되는 투명한 유리판(or 투명 아크릴)과, 프레임에 삽입되는 사진 또는 그림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유리판의 후방에서 프레임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로 구성됨이 통상적이다. 그리고 액자의 후면 커버는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립을 통해 고정되게 된다.
That is, the conventional picture frame includes a rectangular frame, a transparent glass plate (or transparent acrylic) installed on the frame, and a rear cover coupled to the frame at the rear of the glass plate to prevent the photo or picture inserted into the frame from being separated. Configured is common. And the rear cover of the picture frame is fixed through a clip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ame.

도 1은 종래의 벽걸이 형태의 걸림 고리를 갖는 액자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탁상 거치 형태의 받침대를 갖는 액자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종래의 액자(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10)의 상부 틀에 설치되는 걸림 고리(20) 또는 액자(10)의 후면 커버에 형성되는 홈(미도시)을 이용하여 벽에 걸어 사용하는 벽걸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액자(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10)의 후면 커버에 연결되어 힌지 회동하여 액자(10)가 세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30)를 이용하여 탁상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거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1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having a conventional hanging hook of the wall type,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having a pedestal of the conventional table-mounted form.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picture frame 10 uses a hook ring 20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of the picture frame 10 or a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rear cover of the picture frame 10. It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wall hanging used to hang on the wall.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icture frame 10 is connected to the rear cover of the picture frame 10, as shown in Figure 2 by using a pedestal 30 so that the hinge can rotate to be supported in a standing state.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mounting used by mounting on a tabletop.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자(10)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벽걸이 형태 또는 탁상 거치 형태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어 획일적이고 제한된 형태로 설치 사용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자(10)들은 그 거치의 형식에 있어서 획일적인 거치 형태를 벗어나기 어려우며, 다양한 형태로의 거치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0638호의 다기능 액자와, 등록특허 제10-1034821호의 현수용 양면 액자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icture frame 1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each of which is configured in a fixed form of either a wall hanging form or a table mounted form is limited to install and use in a uniform and limited form there was.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hoto frames 10 are difficult to escape from the uniform mounting form in the form of the mounting, and it is difficult to use the mounting in various forms. The multi-function picture frame of Korean Patent No. 10-1070638 and the double-sided picture frame of Suspension Patent No. 10-1034821 have been disclosed as prior art documents.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액자의 후면 커버에 부착 고정되는 홀더 체결 플레이트와, 홀더 체결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프레임 홀더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 형태의 2가지 방법의 겸용으로 액자를 편리하게 탁상에 거치하거나 벽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methods, a holder fastening plate fixed to the rear cover of the frame, and a pair of frame holders fastened respectively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holder fastening pl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which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mount the picture frame on the table or hang it on the wall by using a combination of two methods of wall hanging or table mounting.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 홀더와 하부 프레임 홀더로 구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 홀더를 서로 다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탄성 와이어로 구성함으로써, 홀더 체결 플레이트에 간편하게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의 사용자 사용선택에 대응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조작되는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a pair of frame holder consisting of the upper frame holder and the lower frame holder with an elastic wire having a structure of a different form, so as to be easily fastened to the holder fastening plate, as well as wall hanging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which can further improve user convenience, which is conveniently operated by simple operation in response to a user use selection of a tabletop moun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하나의 액자에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의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액자에서 발생되는 거치의 형식에 따른 획일적인 거치 형태를 벗어난 다양한 거치 형태의 변화를 제공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o be used as a combination of the wall hangings or tabletop mounting on a single picture frame, to provide a variety of mounting form changes beyond the uniform mounting form according to the type of mounting that occurs in the existing picture fram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that can be utiliz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는,Two-way fram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로서,As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사진이나 그림을 넣어 진열 또는 장식하는데 사용하는 액자의 후면 커버에 부착 고정되는 홀더 체결 플레이트; 및A holder fastening plate fixed to a rear cover of a frame used to display or decorate a picture or a picture; And

상기 홀더 체결 플레이트가 부착 고정된 상기 액자를 벽에 걸거나 또는 탁상에 거치하는 2가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체결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프레임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nd a pair of frame holder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der fastening plate so that the frame to which the holder fastening plate is attached can be fixed to the wall or mounted on a table. Features of the jacket.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 체결 플레이트는,Preferably, the holder fastening plate,

상기 액자의 후면 커버에 부착 고정되는 평판 플레이트;A flat plate attached and fixed to the rear cover of the frame;

상기 평판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서 각각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수직 플레이트; 및A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which are integrally bent at both sides of the flat plate; And

상기 한 쌍의 측면 수직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쌍으로 마주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 삽입 공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insertion balls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facing each other in pairs.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홀더는,Preferably, the pair of frame holders,

서로 다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탄성 와이어로 구성할 수 있다.
It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wire having a structure of different forms.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홀더는,More preferably, the pair of frame holders,

상기 홀더 체결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 수직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2개의 체결 삽입 공에 대해 내부에서 외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상부 삽입부와, 상기 한 쌍의 상부 삽입부에 절곡되어 일체로 연결 형성되되, 상기 상부 삽입부로부터 점점 좁아지다가 끝단 부위가 마름모부로 이루어지는 상부 프레임 홀더; 및A pair of upper insert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two fastening insertion ball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provided in the holder fastening plate, and bent and integrated into the pair of upper inserting portions Is formed in the connection, the upper frame holder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insert portion consisting of a rhombus end portion; And

상기 홀더 체결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 수직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2개의 체결 삽입 공에 대해 내부에서 외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하부 삽입부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삽입부에 절곡되어 일체로 연결 형성되되, 상기 하부 삽입부로부터 좁아지게 경사지는 U자 형태의 하부 프레임 홀더로 구성될 수 있다.
A pair of lower insertion part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two fastening insertion ball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provided in the holder fastening plate, and bent and integrated into the pair of lower inserting parts Is formed in the connection, it may be composed of a U-shaped lower frame holder inclined narrowly from the lower insert.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홀더는,Even more preferably, the pair of frame holders,

상기 액자를 탁상에 거치 시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 홀더의 내측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 홀더가 겹쳐진 상태로 마름모부가 탁상에 지지되어 거치되도록 크로스 될 수 있다.
When the frame is mounted on a tabletop, the rhombus may be cross-supported and mounted on the tabletop while the upper frame holder overlaps the inside of the lower frame holder.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프레임 홀더는,Even more preferably, the lower frame holder,

상기 액자의 탁상 거치 시에 탁상에 지지되는 상기 상부 프레임 홀더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upper frame holder which is supported on the table when the table is mounted on the table may hold a function so as not to slip.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홀더는,Even more preferably, the pair of frame holders,

상기 액자를 벽걸이 형태로 거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 홀더가 겹쳐지지 않은 상태로 상기 상부 프레임 홀더를 상기 액자의 상부 측으로 들어 올린 세워진 상태로 설치하고자 하는 벽에 마름모부를 걸어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hanging the picture frame in the form of a wall, it is possible to use a diamond on a wall to be installed in an upright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holder is raised to the upper side of the picture frame without the lower frame holder overlapping.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에 따르면, 액자의 후면 커버에 부착 고정되는 홀더 체결 플레이트와, 홀더 체결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프레임 홀더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 형태의 2가지 방법의 겸용으로 액자를 편리하게 탁상에 거치하거나 벽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wo-way frame holder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a holder fastening plate attached to the rear cover of the picture frame and a pair of frame holder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der fastening plate, the user can use the wall hanging or The combination of the two methods of tabletop mounting allows the frame to be conveniently mounted on a table or hanged on a w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 홀더와 하부 프레임 홀더로 구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 홀더를 서로 다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탄성 와이어로 구성함으로써, 홀더 체결 플레이트에 간편하게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의 사용자 사용선택에 대응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조작되는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a pair of frame holders consisting of an upper frame holder and a lower frame holder with an elastic wire having a structure of a different form, it is possible to simply fasten to use the holder fastening plate, of course, Corresponding to the user's choice of use of the wall-mounted or table-top moun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by simple operatio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하나의 액자에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의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액자에서 발생되는 거치의 형식에 따른 획일적인 거치 형태를 벗어난 다양한 거치 형태의 변화를 제공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o be used as a combination of the wall hangings or tabletop mounting on a single picture frame, to provide a variety of mounting form changes beyond the uniform mounting form according to the type of mounting that occurs in the existing picture frame, Can be used.

도 1은 종래의 벽걸이 형태의 걸림 고리를 갖는 액자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탁상 거치 형태의 받침대를 갖는 액자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의 조립 이전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를 이용한 탁상 거치형태로 사용하는 사용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를 이용한 벽걸이 형태로 걸어 사용하는 사용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having a hook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wall hanging.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having a pedestal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tabletop.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configuration before assembly of the two-way fram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state used in the tabletop mounting form using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state to use in the form of a wall hangings using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the term 'comprising' of an element means that the elem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not to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의 조립 이전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를 이용한 탁상 거치형태로 사용하는 사용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를 이용한 벽걸이 형태로 걸어 사용하는 사용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100)는,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 및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two-way fram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before assembly of the two-way fram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of use using a tabletop mounting form using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use state used by hanging in the form of wall hangings using an example. As shown in FIGS. 3 to 6, the two-way frame hold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lder fastening plate 110 and a pair of frame holders 130. Can be.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는, 사진이나 그림을 넣어 진열 또는 장식하는데 사용하는 액자(10)의 후면 커버(11)에 부착 고정되는 연결부의 구성이다. 이러한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는 액자(10)의 후면 커버(11)에 부착 고정되는 평판 플레이트(111)와, 평판 플레이트(111)의 양 측면에서 각각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수직 플레이트(112)와, 한 쌍의 측면 수직 플레이트(112)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쌍으로 마주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 삽입 공(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평판 플레이트(111)는 액자(10)의 후면 커버(11)에 접착제 또는 접착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The holder fastening plate 110 is a constitution of a connection part fixed to the rear cover 11 of the picture frame 10 used to put a picture or a picture to display or decorate. The holder fastening plate 110 is a flat plate 111 attached to the rear cover 11 of the picture frame 10 and a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that are integrally bent at both sides of the flat plate 111.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insertion holes 113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pair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112. Here, the flat plate 111 may be attached to the rear cover 11 of the frame 10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member (not shown).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는,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가 부착 고정된 액자(10)를 벽에 걸거나 또는 탁상에 거치하는 2가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홀더의 구성이다. 이러한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는 서로 다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탄성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탄성 와이어로 구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는 벽걸이 형태 또는 탁상 거치의 형태의 설치에 대응하여 결합 구조가 사용자에 의해 변경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pair of frame holders 1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er fastening plate 110 to be used in two ways to hang the frame 10 attached to the holder fastening plate 110 to the wall or to mount on the table The holder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respectively. The pair of frame holders 130 may be composed of elastic wires having different structures. Here, the pair of frame holders 130 composed of elastic wir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tructures may be understood that the coupling structure is changed and used by the user in correspondence to the installation of the wall hanging type or the table mounting.

또한,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 수직 플레이트(112)의 상부에 형성되는 2개의 체결 삽입 공(113)에 대해 내부에서 외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상부 삽입부(131)와, 한 쌍의 상부 삽입부(131)에 절곡되어 일체로 연결 형성되되, 상부 삽입부(131)로부터 점점 좁아지다가 끝단 부위가 마름모부(132)로 이루어지는 상부 프레임 홀더(133), 및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 수직 플레이트(112)의 하부에 형성되는 2개의 체결 삽입 공(113)에 대해 내부에서 외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하부 삽입부(134)와, 한 쌍의 하부 삽입부(134)에 절곡되어 일체로 연결 형성되되, 하부 삽입부(134)로부터 좁아지게 경사지는 U자 형태의 하부 프레임 홀더(135)로 구성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air of frame holders 130 may include two fastening insertion holes formed on the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112 provided on the holder fastening plate 110. A pair of upper inserting portions 131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inner portion with respect to 113 and a pair of upper inserting portions 131 are ben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gradually become narrower from the upper inserting portions 131.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frame holder 133 consisting of a rhombus 132 and the two fastening insertion holes 113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112 provided in the holder fastening plate 110. A pair of lower inserting portions 134 inser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a pair of lower inserting portions 134 that are bent and connected integrally, but are inclined narrowly from the lower inserting portion 134. The lower frame holder 135 may be configured.

또한,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는 액자(10)를 탁상에 거치 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 홀더(135)의 내측으로 상부 프레임 홀더(135)가 겹쳐진 상태로 마름모부(132)가 탁상에 지지되어 거치되도록 크로스 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 홀더(135)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10)의 탁상 거치 시에 탁상에 지지되는 상부 프레임 홀더(133)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pair of frame holders 130 mount the picture frame 10 on a table, as shown in FIG. 5, the upper frame holder 135 overlaps the inside of the lower frame holder 135 to form a rhombus. The part 132 may be cross to be supported and mounted on the table. 3 and 5, the lower frame holder 135 has a function of holding the upper frame holder 133 supported on the table so as not to slip when the table frame is mounted on the table.

또한,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는 액자(10)를 벽걸이 형태로 거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 홀더(135)가 겹쳐지지 않은 상태로 상부 프레임 홀더(133)를 액자(10)의 상부 측으로 들어 올린 세워진 상태로 설치하고자 하는 벽에 마름모부(132)를 걸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pair of frame holders 130 hang the picture frame 10 in the form of wall hangings, as shown in FIG. 6, the lower frame holders 135 do not overlap the upper frame holders 133. The rhombus 132 can be hung on the wall to be installed in an upright position rais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0.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벽에 걸어 사용하는 벽걸이 형태와, 사용자가 탁상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거치 형태의 겸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two-way frame hold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5 and 6, by using a pair of frame holders 130 and the wall hanging shape that the user is used to hang on the wall ,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combination of the mounting type used by mounting on the tabletop.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는, 액자의 후면 커버에 부착 고정되는 홀더 체결 플레이트와, 홀더 체결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프레임 홀더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 형태의 2가지 방법의 겸용으로 액자를 편리하게 탁상에 거치하거나 벽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프레임 홀더와 하부 프레임 홀더로 구성되는 한 쌍의 프레임 홀더를 서로 다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탄성 와이어로 구성함으로써, 홀더 체결 플레이트에 간편하게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의 사용자 사용선택에 대응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조작되는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하나의 액자에 벽걸이 또는 탁상 거치의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액자에서 발생되는 거치의 형식에 따른 획일적인 거치 형태를 벗어난 다양한 거치 형태의 변화를 제공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wo-way fram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der fastening plate fixed to the rear cover of the picture frame, and a pair of frame holder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der fastening plate, respectively. By doing so, the user can conveniently mount the picture frame on the table or hang it on the wall by using a combination of two methods such as a wall-mount or a table-mount type, and a pair of frames including an upper frame holder and a lower frame holder By configuring the holder with elastic wires having different structures, the holder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holder fastening plate and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by simple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of wall hanging or tabletop mounting. It can be improved further. In particular, by configuring to be used as a wall-mounted or table-top mounting to a single fra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types of mounting beyond the uniform mounting form according to the type of mounting that occurs in the existing frame, and to be utilized It becomes possibl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
110: 홀더 체결 플레이트
111: 평판 플레이트
112: 측면 수직 플레이트
113: 체결 삽입 공
130: 한 쌍의 프레임 홀더
131: 상부 삽입부
132: 마름모부
133: 상부 프레임 홀더
134: 하부 삽입부
135: 하부 프레임 홀더
100: two-way fram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holder fastening plate
111: flat plate
112: side vertical plate
113: fastening insert ball
130: one pair of frame holder
131: upper insertion portion
132: diamond
133: upper frame holder
134: lower insertion portion
135: lower frame holder

Claims (7)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100)로서,
사진이나 그림을 넣어 진열 또는 장식하는데 사용하는 액자(10)의 후면 커버(11)에 부착 고정되는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 및
상기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가 부착 고정된 상기 액자(10)를 벽에 걸거나 또는 탁상에 거치하는 2가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는,
상기 액자(10)의 후면 커버(11)에 부착 고정되는 평판 플레이트(111)와, 상기 평판 플레이트(111)의 양 측면에서 각각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수직 플레이트(112)와, 상기 한 쌍의 측면 수직 플레이트(112)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쌍으로 마주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 삽입 공(113)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는,
상기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 수직 플레이트(112)의 상부에 형성되는 2개의 체결 삽입 공(113)에 대해 내부에서 외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상부 삽입부(131)와, 상기 한 쌍의 상부 삽입부(131)에 절곡되어 일체로 연결 형성되되, 상기 상부 삽입부(131)로부터 점점 좁아지다가 끝단 부위가 마름모부(132)로 이루어지는 상부 프레임 홀더(133)와, 상기 홀더 체결 플레이트(1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 수직 플레이트(112)의 하부에 형성되는 2개의 체결 삽입 공(113)에 대해 내부에서 외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하부 삽입부(134)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삽입부(134)에 절곡되어 일체로 연결 형성되되, 상기 하부 삽입부(134)로부터 좁아지게 경사지는 U자 형태의 하부 프레임 홀더(1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
As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100,
A holder fastening plate 110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rear cover 11 of the picture frame 10 used to display or decorate a picture or a picture; And
A pair is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der fastening plate 110 so that the holder fastening plate 110 can be used in two ways to hang the frame 10 attached to the wall or mounted on a table. Including the frame holder 130,
The holder fastening plate 110,
A flat plate 111 attached to the rear cover 11 of the frame 10 and a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112 integrally bent at both sides of the flat plate 111, and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astening insertion hole 113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112 to face each other,
The pair of frame holders 130,
A pair of upper inserting portions 131 inserted from inside to outside with respect to two fastening insertion balls 113 formed on the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112 provided on the holder fastening plate 110; The upper frame holder 133 is bent to the pair of upper inserting portions 131 and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narr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inserting portion 131 is formed of a rhombus portion 132. A pair of lower inserting portions 134 inserted from inside to outside with respect to two fastening insertion holes 113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side vertical plates 112 provided in the holder fastening plate 110, It is bent to the pair of lower insertion portion 134 is formed integrally connecte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lower frame holder 135 of the U-shape inclined narrowly from the lower insertion portion 134, two-way Frame holder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는,
서로 다른 형태의 구조를 갖는 탄성 와이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frame holders 130,
Two-way frame hold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elastic wire having a structure of different forms.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는,
상기 액자(10)를 탁상에 거치 시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 홀더(135)의 내측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 홀더(133)가 겹쳐진 상태로 마름모부(132)가 탁상에 지지되어 거치되도록 크로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3, wherein the pair of frame holders 130,
When the frame 10 is mounted on a table, the diamonds 132 are cross-supported and mounted on the table in a state where the upper frame holder 133 overlaps with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holder 135. Two-way frame holder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 홀더(135)는,
상기 액자(10)의 탁상 거치 시에 탁상에 지지되는 상기 상부 프레임 홀더(133)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wer frame holder 135,
Two-way frame hold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of holding the upper frame holder (133) supported on the table does not slip when the table is mounted on the tableto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홀더(130)는,
상기 액자(10)를 벽걸이 형태로 거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 홀더(135)가 겹쳐지지 않은 상태로 상기 상부 프레임 홀더(133)를 상기 액자(10)의 상부 측으로 들어 올린 세워진 상태로 설치하고자 하는 벽에 마름모부(132)를 걸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웨이 프레임 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air of frame holders 130,
In the case of hanging the picture frame 10 in the form of a wall, the upper frame holder 133 is lif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icture frame 10 without the overlapping state of the lower frame holder 135, A two-way frame hold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used by hanging a rhombus 132 on the wall.
KR1020170108919A 2017-08-28 2017-08-28 A two way frame holder device KR1020472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919A KR102047244B1 (en) 2017-08-28 2017-08-28 A two way frame hold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919A KR102047244B1 (en) 2017-08-28 2017-08-28 A two way frame hold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345A KR20190023345A (en) 2019-03-08
KR102047244B1 true KR102047244B1 (en) 2019-11-21

Family

ID=6580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919A KR102047244B1 (en) 2017-08-28 2017-08-28 A two way frame hold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24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117A (en) 1999-09-09 2001-03-21 Miya Kagaku Kk Holding frame for both desktop and wall hang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1660Y2 (en) * 1984-12-17 1987-10-24
KR970008001U (en) * 1995-08-23 1997-03-27 석무술 Picture frame stands
KR20090030795A (en) * 2007-09-21 2009-03-25 정명래 Photograph fr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117A (en) 1999-09-09 2001-03-21 Miya Kagaku Kk Holding frame for both desktop and wall han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345A (en)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1298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US20180255952A1 (en) Curtain rod bracket
CN103824517A (en) Wall-mounted thin display
US4790089A (en) Picture frame
KR102047244B1 (en) A two way frame holder device
US2231128A (en) Garment hanger
US5094421A (en) Corner hanger
JPH10207385A (en) Plane display attaching structure
KR200443095Y1 (en) Structure of picture frame
KR200293585Y1 (en) Picture frame hanger board
CN210354060U (en) Aluminum frame glass door display cabinet
KR20100003788U (en) all-purpose bracket Equipement by LCD Monitor VESA mount hole
KR200470100Y1 (en) Picture frame
CN210860555U (en) Adjustable wall-mounted fixing frame device
US5636825A (en) Hanging device for frames
JP3084977U (en) Transparent panel
KR200494119Y1 (en) Holer Means For Hanger Rod
KR19980024799U (en) Frame structure
CN214317859U (en) Hanging rod and hanging rack
CN203240225U (en) Sitting and hanging two-purpose pedestal and display device with pedestal
KR100978919B1 (en) A picture frame
JP3207951U (en) Fixtures
KR200241983Y1 (en) Photo Frame
CN100428356C (en) Fixing device used between panel display device and video-audio player
KR100629372B1 (en) The supp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