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236B1 -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 Google Patents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236B1
KR102045236B1 KR1020160107687A KR20160107687A KR102045236B1 KR 102045236 B1 KR102045236 B1 KR 102045236B1 KR 1020160107687 A KR1020160107687 A KR 1020160107687A KR 20160107687 A KR20160107687 A KR 20160107687A KR 102045236 B1 KR102045236 B1 KR 102045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osed
semiconductor chip
fan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8906A (en
Inventor
김정수
변대정
이두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368,025 priority Critical patent/US9859222B1/en
Priority to TW105140305A priority patent/TWI662661B/en
Priority to JP2016240422A priority patent/JP6443893B2/en
Publication of KR2017013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9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2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57Partial encapsulation or coating
    • H01L23/3171Partial encapsulation or coating the coating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e.g. passivation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11Additional leads joined to the metallisa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e.g. pins, bumps, wires, flat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11Additional leads joined to the metallisa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e.g. pins, bumps, wires, flat leads
    • H01L23/49816Spherical bumps on the substrate for external connection, e.g. ball grid arrays [BG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H01L2021/60007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involving a soldering or an alloying process
    • H01L2021/60022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involving a soldering or an alloying process using bump connectors, e.g. for flip chip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01Bonding areas specifically adapted for bump connectors, e.g. under bump metallisation [UB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관통홀을 갖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의 관통홀에 배치되며 접속패드가 배치된 활성면 및 상기 활성면의 반대측에 배치된 비활성면을 갖는 반도체칩,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반도체칩의 비활성면의 적어도 일부를 봉합하는 봉합재,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상기 반도체칩의 활성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반도체칩의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재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연결부재, 상기 제2연결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의 재배선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패시베이션층, 및 상기 패시베이션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언더범프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반도체칩의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재배선층을 포함하며, 상기 언더범프금속층의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표면에 형성된 도체층 층수가 상기 노출된 재배선층과 상기 개구부의 벽면 상에 형성된 도체층 층수와 다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 first connection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an active surfac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an inactive surface dispos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active surface, the active surface having the connection pad disposed thereon, and the first connection. A second member including a member and an encapsulant for sea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a redistribution layer disposed on an 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pad of the semiconductor chip. A passivation layer having a connecting member, an opening disposed 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an under bump metal layer disposed on the passivation layer and fi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redistribution lay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passivation of the under bump metal layer. A 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ories Orientation layer wherein the conductor layer and other stories fan formed redistribution layer and the expos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opening-out relates to a semiconductor package.

Description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FAN-OUT SEMICONDUCTOR PACKAGE}Fan-Out Semiconductor Packages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본 개시는 반도체 패키지, 예를 들면, 접속단자를 반도체칩이 배치된 영역 외로도 확장할 수 있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emiconductor package, for example,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that can extend the connection terminal beyond the region where the semiconductor chip is disposed.

최근 반도체칩에 관한 기술 개발의 주요한 추세 중의 하나는 부품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이며, 이에 패키지 분야에서도 소형 반도체칩 등의 수요 급증에 따라 소형의 크기를 가지면서 다수의 핀을 구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One of the main trends in the rec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semiconductor chips is to reduce the size of components, and thus, in the field of packaging, it is required to implement a large number of pins with small sizes in response to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small semiconductor chips. .

이에 부합하기 위하여 제안된 패키지 기술 중의 하나가 팬-아웃 패키지이다. 팬-아웃 패키지는 접속단자를 반도체칩이 배치된 영역 외로도 재배선하여, 소형의 크기를 가지면서도 다수의 핀을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One of the proposed package technologies is a fan-out package. The fan-out package reroutes the connection terminals beyond the area where the semiconductor chip is placed, enabling a small number of pins.

본 개시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언더범프금속층의 충분한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One of several obj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capable of ensuring sufficient adhesion of an under bump metal layer.

본 개시를 통하여 제안하는 여러 해결 수단 중 하나는 패시베이션층 표면에 도체층이 부착된 적층체를 이용하여 언더범프금속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One of several solutions proposed through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form an under bump metal layer using a laminate having a conductor layer attached to a surface of a passivation layer.

예를 들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는 관통홀을 갖는 제1연결부재, 제1연결부재의 관통홀에 배치되며 접속패드가 배치된 활성면 및 활성면의 반대측에 배치된 비활성면을 갖는 반도체칩, 제1연결부재 및 반도체칩의 비활성면의 적어도 일부를 봉합하는 봉합재, 제1연결부재 및 반도체칩의 활성면 상에 배치되며 반도체칩의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재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상에 배치되며 제2연결부재의 재배선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패시베이션층, 및 패시베이션층 상에 배치되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언더범프금속층을 포함하며, 제1연결부재는 반도체칩의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재배선층을 포함하며, 언더범프금속층은 패시베이션층의 표면에 형성된 도체층의 층수가 노출된 재배선층과 개구부의 벽면 상에 형성된 도체층의 층수와 다른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may include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 first connection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an active surfac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an inactive surface dispos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active surface. A second encapsulation material for sea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in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a second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 of the semiconductor chip; A passivation layer having an opening disposed on the connecting member,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an under bump metal layer disposed on the passivation layer and fi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The first connection member may include a redistribution lay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under bump metal layer may have a number of layers of the 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It may be different stories of the conductor layer and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wiring layer and the opening.

본 개시의 여러 효과 중 일 효과로서 언더범프금속층의 충분한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One of various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capable of securing sufficient adhesion of an under bump metal layer.

도 1은 전자기기 시스템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전자기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다.
도 3은 팬-인 반도체 패키지의 패키징 전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 4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의 패키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 5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가 인터포저 기판 상에 실장되어 최종적으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 6은 팬-인 반도체 패키지가 인터포저 기판 내에 내장되어 최종적으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 7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개략적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다.
도 8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 9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일례를 대략 나타낸 단면도다.
도 10은 도 9의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개략적인 Ⅰ-Ⅰ' 절단 평면도다.
도 11은 도 9의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개략적인 A 영역 확대도다.
도 12a 내지 12g는 도 9의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개략적인 제조 일례이다.
도 13은 도 12a 내지 12g에서 사용되는 적층체의 개략적인 제조 일례이다.
도 14는 패시베이션층과 금속층의 자가조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5는 통상의 패시베이션층의 경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6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다른 일례를 대략 나타낸 단면도다.
도 17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다른 일례를 대략 나타낸 단면도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system.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before and after packaging of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ckaging process of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se where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is mounted on an interposer substrate and finally mounted on a main 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is embedded in an interposer substrate and finally mounted on a main 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view of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is mounted on a main 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9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FIG. 10 is a schematic II ′ cut top view of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of FIG. 9.
FIG. 11 is an enlarged schematic A region of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of FIG. 9.
12A through 12G are schematic manufacturing examples of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of FIG. 9.
FIG. 13 is an example of the schematic manufacture of the laminate used in FIGS. 12A to 12G.
14 schematically illustrates self-assembly of a passivation layer and a metal layer.
15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curing state of a conventional passivation layer.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ape and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more clear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s

도 1은 전자기기 시스템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system.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기기(1000)는 메인보드(1010)를 수용한다. 메인보드(1010)에는 칩 관련부품(1020), 네트워크 관련부품(1030), 및 기타부품(1040) 등이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은 후술하는 다른 부품과도 결합되어 다양한 신호라인(1090)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lectronic apparatus 1000 accommodates the main board 1010. The chip-related component 1020, the network-related component 1030, and the other component 1040 are physically and /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010. These are also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described below to form various signal lines 1090.

칩 관련부품(1020)으로는 휘발성 메모리(예컨대, DRAM), 비-휘발성 메모리(예컨대,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 칩; 센트랄 프로세서(예컨대, CPU), 그래픽 프로세서(예컨대, G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암호화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칩;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ASIC(application-specific IC) 등의 로직 칩 등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기타 다른 형태의 칩 관련 부품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들 부품(1020)이 서로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chip related component 1020 may include a memory chip such as volatile memory (eg, DRAM), non-volatile memory (eg, ROM), and flash memory; Application processor chips such as central processors (eg, CPUs), graphics processors (eg, GPUs), digital signal processors, cryptographic processors, microprocessors, microcontrollers; Logic chips such as analog-to-digital converters and application-specific ICs (ASICs) may b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other types of chip-related components may be included. Of course, these components 1020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네트워크 관련부품(1030)으로는, Wi-Fi(IEEE 802.11 패밀리 등), WiMAX(IEEE 802.16 패밀리 등), IEEE 802.20, LTE(long term evolution), Ev-DO, HSPA+, HSDPA+, HSUPA+, EDGE, GSM, GPS, GPRS, CDMA, TDMA, DECT, Bluetooth, 3G, 4G, 5G 및 그 이후의 것으로 지정된 임의의 다른 무선 및 유선 프로토콜들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기타 다른 다수의 무선 또는 유선 표준들이나 프로토콜들 중의 임의의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련부품(1030)이 칩 관련 부품(1020)과 더불어 서로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etwork-related components 1030 include Wi-Fi (such as IEEE 802.11 family), WiMAX (such as IEEE 802.16 family), IEEE 802.20, LTE (long term evolution), Ev-DO, HSPA +, HSDPA +, HSUPA +, EDGE, GSM And any other wireless and wired protocols designated as GPS, GPRS, CDMA, TDMA, DECT, Bluetooth, 3G, 4G, 5G, and beyond. Any of the standards or protocol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of course, the network related component 1030 may be combined with the chip related component 1020.

기타부품(1040)으로는, 고주파 인덕터, 페라이트 인덕터, 파워 인덕터, 페라이트 비즈, LTCC(low Temperature Co-Firing Ceramics),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MLCC(Multi-Layer Ceramic Condenser) 등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기타 다른 다양한 용도를 위하여 사용되는 수동부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타부품(1040)이 칩 관련 부품(1020) 및/또는 네트워크 관련 부품(1030)과 더불어 서로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ther components 1040 include high frequency inductors, ferrite inductors, power inductors, ferrite beads,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LTCC),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 filters, multi-layer ceramic condenser (MLCC),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passive components used for various other purposes. In addition, other components 1040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long with the chip-related component 1020 and / or the network-related component 1030.

전자기기(1000)의 종류에 따라, 전자기기(1000)는 메인보드(1010)에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다른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부품의 예를 들면, 카메라(1050), 안테나(1060), 디스플레이(1070), 배터리(1080), 오디오 코덱(미도시), 비디오 코덱(미도시), 전력 증폭기(미도시), 나침반(미도시), 가속도계(미도시), 자이로스코프(미도시), 스피커(미도시), 대량 저장 장치(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미도시), CD(compact disk)(미도시), 및 DVD(digital versatile disk)(미도시) 등이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전자기기(10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용도를 위하여 사용되는 기타 부품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nic device 1000, the electronic device 1000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that may or may not be physically and /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010. Examples of other components include camera 1050, antenna 1060, display 1070, battery 1080, audio codec (not shown), video codec (not shown), power amplifier (not shown), compass ( Not shown), accelerometer (not shown), gyroscope (not shown), speakers (not shown), mass storage (e.g., hard disk drive) (not shown), compact disk (not shown), and DVD (digital versatile disk) (not show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other components used for various purposes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0.

전자기기(10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컴퓨터(computer), 모니터(monitor), 태블릿(tablet), 랩탑(laptop),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비디오 게임(video gam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오토모티브(Automotive)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외에도 데이터를 처리하는 임의의 다른 전자기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electronic device 1000 may includ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digital video camera, a digital still camera, a network system, a computer ( computer, monitor, tablet, laptop, netbook, television, video game, smart watch, automotive,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other electronic device that processes data.

도 2는 전자기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다.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도면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다양한 용도로써 적용된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1100)의 바디(1101) 내부에는 메인보드(1110)가 수용되어 있으며, 메인보드(1110)에는 다양한 부품(1120) 들이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1130)와 같이 메인보드(1010)에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다른 부품이 바디(110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부품(1120) 중 일부는 칩 관련부품일 수 있으며, 반도체 패키지(100)는, 예를 들면, 그 중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기기는 반드시 스마트 폰(1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전자기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emiconductor package is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as described above for various uses. For example, a main board 1110 is accommodated in the body 1101 of the smart phone 1100, and various components 1120 are physically and /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110. In addition, other components, such as camera 1130, may or may not be physically and /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mainboard 1010. Some of the components 1120 may be chip related components, and the semiconductor package 100 may be, for example, an application proces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martphone 1100, and may be other electronic devices as described above.

반도체 패키지Semiconductor package

일반적으로 반도체칩은 수많은 미세 전기 회로가 집적되어 있으나 그 자체로는 반도체 완성품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외부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충격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래서 반도체칩 자체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반도체칩을 패키징하여 패키지 상태로 전자기기 등에 사용하고 있다.
Generally, a semiconductor chip is integrated with a large number of fine electric circuits, but it cannot function as a finished semiconductor by itself,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physical or chemical impact. Therefore, instead of using the semiconductor chip itself, the semiconductor chip is packaged and used for electronic devices in a packaged state.

반도체 패키징이 필요한 이유는, 전기적인 연결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반도체칩과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의 회로 폭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칩의 경우, 접속패드의 크기와 접속패드간의 간격이 매우 미세한 반면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메인보드의 경우, 부품 실장 패드의 크기 및 부품 실장 패드의 간격이 반도체칩의 스케일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반도체칩을 이러한 메인보드 상에 바로 장착하기 어려우며 상호간의 회로 폭 차이를 완충시켜 줄 수 있는 패키징 기술이 요구되는 것이다.
The need for semiconductor packaging is due to the difference in circuit width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mainboard of the electronics, in terms of electrical connection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semiconductor chip, the size of the connection pa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ds are very small, whereas in the case of a main board used in electronic equipment, the size of the component mounting pad and the spacing of the component mounting pads are much larger than the scale of the semiconductor chip. .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irectly mount a semiconductor chip on such a main board and a packaging technology that can buffer a difference in circuit width between each other is required.

이러한 패키징 기술에 의하여 제조되는 반도체 패키지는 구조 및 용도에 따라서 팬-인 반도체 패키지(Fan-in semiconductor package)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Fan-out semiconductor package)로 구분될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package manufactured by the packaging technology may be classified into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and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according to structure and us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팬-인 반도체 패키지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Hereinafter,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and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팬-인 반도체 패키지)(Fan-in Semiconductor Package)

도 3은 팬-인 반도체 패키지의 패키징 전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before and after packaging of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도 4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의 패키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ckaging process of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도면을 참조하면, 반도체칩(2220)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갈륨비소(GaAs) 등을 포함하는 바디(2221), 바디(2221)의 일면 상에 형성된 알루미늄(Al)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접속패드(2222), 및 바디(2221)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접속패드(2222)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산화막 또는 질화막 등의 패시베이션막(2223)을 포함하는, 예를 들면, 베어(Bare) 상태의 집적회로(IC)일 수 있다. 이때, 접속패드(2222)는 매우 작기 때문에, 집적회로(IC)는 전자기기의 메인보드 등은 물론, 중간 레벨의 인쇄회로기판(PCB)에도 실장 되기 어렵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emiconductor chip 2220 may include a body 2221 including silicon (Si), germanium (Ge), gallium arsenide (GaAs), and the like, such as aluminum (A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2221. For example, including a connection pad 2222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a passivation film 2223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2221 and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ad 2222, such as an oxide film or a nitride film. It may be an integrated circuit (IC) in a bare state. At this time, since the connection pad 2222 is very small, the integrated circuit IC may be hardly mounted on a middle level printed circuit board (PCB) as well as a main 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이에, 접속패드(2222)를 재배선하기 위하여 반도체칩(2220) 상에 반도체칩(2220)의 사이즈에 맞춰 연결부재(2240)를 형성한다. 연결부재(2240)는 반도체칩(2220) 상에 감광성 절연 수지(PID)와 같은 절연물질로 절연층(2241)을 형성하고, 접속패드(2222)를 오픈시키는 비아홀(2243h)을 형성한 후, 배선패턴 (2242) 및 비아(2243)를 형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연결부재(2240)를 보호하는 패시베이션층(2250)을 형성하고, 개구부(2251)를 형성한 후, 언더범프금속층(2260) 등을 형성한다. 즉,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예를 들면, 반도체칩(2220), 연결부재(2240), 패시베이션층(2250), 및 언더범프금속층(2260)을 포함하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2200)가 제조된다.
Accordingly, in order to redistribute the connection pads 2222, the connection members 2240 ar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chips 2220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semiconductor chips 2220. The connection member 2240 forms an insulating layer 2241 on the semiconductor chip 2220 with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hotosensitive insulating resin (PID), and forms a via hole 2243h for opening the connection pad 2222. The wiring patterns 2242 and the vias 2243 may be formed and formed. Thereafter, a passivation layer 2250 is formed to protect the connecting member 2240, an opening 2251 is formed, and an under bump metal layer 2260 is formed. That i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for example, the fan-in semiconductor package 2200 including the semiconductor chip 2220, the connection member 2240, the passivation layer 2250, and the under bump metal layer 2260 is manufactured. do.

이와 같이, 팬-인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칩의 접속패드, 예컨대 I/O(Input/Output) 단자를 모두 소자 안쪽에 배치시킨 패키지형태이며, 팬-인 반도체 패키지는 전기적 특성이 좋으며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많은 소자들이 팬-인 반도체 패키지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소형이면서도 빠른 신호 전달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an-in semiconductor package is a package in which all connection pads of semiconductor chips, for example, I / O (Input / Output) terminals are arranged inside the device. have. Therefore, many devices in a smart phone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and in particular, developments have been made to realize a small and fast signal transmission.

다만, 팬-인 반도체 패키지는 I/O 단자를 모두 반도체칩 안쪽에 배치해야 하는바 공간적인 제약이 많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많은 수의 I/O 단자를 갖는 반도체칩이나 크기가 작은 반도체칩에 적용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취약점으로 인하여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팬-인 반도체 패키지가 직접 실장 되어 사용될 수 없다. 반도체칩의 I/O 단자를 재배선 공정으로 그 크기와 간격을 확대하였다 하더라도, 전자기기 메인보드에 직접 실장 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간격을 가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However, in the fan-in semiconductor package, all the I / O terminals must be disposed inside the semiconductor chip. Therefore, such a structure is difficult to apply to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 large number of I / O terminals or a small semiconductor chip. In addition, due to this vulnerability,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cannot be directly mounted and used on the main 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Even if the size and spacing of the I / O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chip are enlarged by the rewiring process, they do not have the size and spacing enough to be directly mounted on the main 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도 5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가 인터포저 기판 상에 실장되어 최종적으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is mounted on an interposer substrate and finally mounted on a main 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도 6은 팬-인 반도체 패키지가 인터포저 기판 내에 내장되어 최종적으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is embedded in an interposer substrate and finally mounted on a main 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도면을 참조하면, 팬-인 반도체 패키지(2200)는 반도체칩(2220)의 접속패드들(2222), 즉 I/O 단자들이 인터포저 기판(2301)을 통하여 다시 한 번 재배선되며, 최종적으로는 인터포저 기판(2301) 상에 팬-인 반도체 패키지(2200)가 실장된 상태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5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솔더볼(2270) 등은 언더필 수지(2280)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외측은 몰딩재(2290) 등으로 커버될 수 있다. 또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2200)는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2302) 내에 내장(Embedded) 될 수 도 있으며, 내장된 상태로 인터포저 기판(2302)에 의하여 반도체칩(2220)의 접속패드들(2222), 즉 I/O 단자들이 다시 한 번 재배선되고, 최종적으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500)에 실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in the fan-in semiconductor package 2200, the connection pads 2222, that is, the I / O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chip 2220 are redistributed again through the interposer substrate 2301.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ard 2500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state where the fan-in semiconductor package 2200 is mounted on the interposer substrate 2301. In this case, the solder ball 2270 may be fixed with the underfill resin 2280, etc., and the outside may be covered with the molding material 2290. Alternatively, the fan-in semiconductor package 2200 may be embedded in a separate interposer substrate 2302, and the connection pads of the semiconductor chip 2220 may be embedded by the interposer substrate 2302 in the embedded state. 2222, that is, the I / O terminals may be redistributed once again and finally mounted on the motherboard 2500 of the electronic device.

이와 같이, 팬-인 반도체 패키지는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직접 실장 되어 사용되기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 상에 실장된 후 다시 패키징 공정을 거쳐 전자기기 메인보드에 실장되거나, 또는 인터포저 기판 내에 내장된 채로 전자기기 메인보드에 실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As such, since the fan-in semiconductor package is difficult to be directly mounted on the main 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fan-in semiconductor package is mounted on a separate interposer board and then again packaged and mounted on the main 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interposer It is mounted on an electronic main board while being embedded in a substrate.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Fan-Out Semiconductor Package)

도 7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개략적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view of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도면을 참조하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2100)는, 예를 들면, 반도체칩(2120)의 외측이 봉합재(2130)로 보호되며, 반도체칩(2120)의 접속패드(2122)가 연결부재(2140)에 의하여 반도체칩(2120)의 바깥쪽까지 재배선된다. 이때, 연결부재(2140) 상에는 패시베이션층(2202)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패시베이션층(2202)의 개구부에는 언더범프금속층(21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언더범프금속층(2160) 상에는 솔더볼(217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칩(2120)은 바디(2121), 접속패드(2122), 패시베이션막(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집적회로(IC)일 수 있다. 연결부재(2140)는 절연층(2141), 절연층(2241) 상에 형성된 재배선층(2142), 접속패드(2122)와 재배선층(2142)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214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2100, for example, the outside of the semiconductor chip 2120 is protected by the encapsulant 2130, and the connection pad 2122 of the semiconductor chip 21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By 2140, the semiconductor chip 2120 is rearranged to the outside of the semiconductor chip 2120. In this case, a passivation layer 2202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connection member 2140, and an under bump metal layer 2160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passivation layer 2202. The solder ball 217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nder bump metal layer 2160. The semiconductor chip 2120 may be an integrated circuit (IC) including a body 2121, a connection pad 2122, a passivation layer (not shown), and the like. The connection member 2140 may include an insulating layer 2141, a redistribution layer 2142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2241, and a via 2143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pad 2122 and the redistribution layer 2142. Can be.

이와 같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칩 상에 형성된 연결부재를 통하여 반도체칩의 바깥쪽에 까지 I/O 단자를 재배선하여 배치시킨 형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인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칩의 I/O 단자를 모두 반도체칩 안쪽에 배치시켜야 하고 이에 소자 사이즈가 작아지면 볼 크기와 피치를 줄여야 하므로 표준화된 볼 레이아웃을 사용할 수 없다. 반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는 이와 같이 반도체칩 상에 형성된 연결부재를 통하여 반도체칩의 바깥쪽에 까지 I/O 단자를 재배선하여 배치시킨 형태인바 반도체칩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표준화된 볼 레이아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 없이도 실장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is a form in which I / O terminals are rearranged to the outside of the semiconductor chip through a connection member formed on the semiconductor chip. As described above, in the fan-in semiconductor package, all the I / O terminals of the semiconductor chip must be disposed inside the semiconductor chip, and as the device size becomes smaller, the ball size and pitch must be reduced, so that a standardized ball layout cannot be used. On the other hand,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is a type in which I / O terminals are rearranged to the outside of the semiconductor chip through a connection member formed on the semiconductor chip. Can be used as it is, it can be mounted on the main 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out a separate interposer board as described below.

도 8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is mounted on a main 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도면을 참조하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2100)는 솔더볼(2170) 등을 통하여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500)에 실장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2100)는 반도체칩(2120) 상에 반도체칩(2120)의 사이즈를 벗어나는 팬-아웃 영역까지 접속패드(2122)를 재배선할 수 있는 연결부재(2140)를 형성하기 때문에, 표준화된 볼 레이아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 등 없이도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500)에 실장 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2100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ard 2500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older ball 2170.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2100 may connect the connection pads 2122 on the semiconductor chip 2120 to a fan-out area beyond the size of the semiconductor chip 2120. Since 2140 is formed, a standardized ball layout may be used as it is, and as a result, it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ard 2500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out a separate interposer substrate.

이와 같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는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 없이도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 될 수 있기 때문에, 인터포저 기판을 이용하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 대비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는바 소형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열 특성과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모바일 제품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인쇄회로기판(PCB)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POP(Package on Package) 타입 보다 더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고, 휨 현상 발생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can be mounted on the main 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out a separate interposer board,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can be made thinner and thinner than the fan-in semiconductor package using the interposer board. Do. Its excellent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make it particularly suitable for mobile produc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ompactly implemented than a typical package on package (POP) type using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solves a problem due to warpage.

한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는 이와 같이 반도체칩을 전자기기의 메인보드 등에 실장하기 위하여, 그리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반도체칩을 보호하기 위한 패키지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는 스케일, 용도 등이 상이하며, 팬-인 반도체 패키지가 내장되는 인터포저 기판 등의 인쇄회로기판(PCB)과는 다른 개념이다.
Meanwhile,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refers to a package technology for mounting a semiconductor chip on a main 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like, and protecting the semiconductor chip from external shocks. The concept is different from a printed circuit board (PCB) such as an interposer substrate in which a fan-in semiconductor package is embedded.

이하에서는, 언더범프금속층의 충분한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capable of securing sufficient adhesion of the under bump metal lay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9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일례를 대략 나타낸 단면도다.9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도 10은 도 9의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개략적인 Ⅰ-Ⅰ' 절단 평면도다.FIG. 10 is a schematic II ′ cut top view of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of FIG. 9.

도 11은 도 9의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개략적인 A 영역 확대도다.
FIG. 11 is an enlarged schematic A region of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of FIG. 9.

도면을 참조하면,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는 관통홀(110H)을 갖는 제1연결부재(110), 제1연결부재(110)의 관통홀(110H)에 배치되며 접속패드(122)가 배치된 활성면 및 활성면의 반대측에 배치된 비활성면을 갖는 반도체칩(120), 제1연결부재(110) 및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의 적어도 일부를 봉합하는 봉합재(130), 및 제1연결부재(110) 및 반도체칩(120)의 활성면 상에 배치되며 접속패드(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재배선층(142a, 142b)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재(140), 제2연결부재(140) 상에 배치되며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b)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02H)를 갖는 패시베이션층(202), 패시베이션층(202) 상에 배치되며 개구부(202H)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언더범프금속층(160), 및 언더범프금속층(160) 상에 배치되며 접속패드(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단자(170)를 포함한다. 언더범프금속층(160)은 패시베이션층(202)의 표면에 형성된 제1도체층(303), 노출된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b)과 개구부(202H)의 벽면과 제1도체층(303) 상에 형성된 제2도체층(161), 및 제2도체층(161) 상에 형성된 제3도체층(162)을 포함한다. 즉, 언더범프금속층(160)은 패시베이션층(202)의 표면에 형성된 도체층(303, 161, 162)의 층수가 제2연결부재(140)의 노출된 재배선층(142b)과 개구부(202H)의 벽면 상에 형성된 도체층(161, 162)의 층수와 다르다. 패시베이션층(202)의 표면에 형성된 도체층(303, 161, 162)의 층수가 제2연결부재(140)의 노출된 재배선층(142b)과 개구부(202H)의 벽면 상에 형성된 도체층(161, 162)의 층수 보다 많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A according to an example is disposed i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having the through hole 110H, the through hole 110H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nd a connection pad. An encapsulant for sea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nd the in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having an active surface on which the 122 is disposed and an inactive surfac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ctive surface. 130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disposed on an activ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nd the semiconductor chip 120 and including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 122. Passivation layer 202 and passivation layer 202 disposed 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nd having an opening 202H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 142b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n under bump metal layer 160 disposed on and fi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202H, and on the under bump metal layer 16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 122. And a connected access terminal 170. The under bump metal layer 160 may include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202, the redistribution layer 142b of the exposed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nd the wall surface of the opening 202H and the first conductor. A second conductor layer 161 formed on the layer 303, and a third conductor layer 162 formed on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That is, the under bump metal layer 160 has the number of layers of the conductive layers 303, 161, and 16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202, and the openings 202H and the redistribution layer 142b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layers of the conductor layers 161 and 162 formed on the wall surface. The number of layers of the conductor layers 303, 161, and 16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202 is formed on the exposed redistribution layer 142b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40 and the wall surface of the opening 202H. , 162).

이때,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와 같이 패시베이션층(202)의 표면에 형성되어 개구부(202H)의 테두리 주위를 둘러싸는 제1도체층(303)이 배치되는 경우, 제1도체층(303)을 기초 시드층으로 이용하여 언더범프금속층(16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패시베이션층(202)과 제1도체층(30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가조립(Self-Assembly) 등으로 충분한 밀착력을 가지는바, 제1도체층(303)을 시드층으로 이용하여 형성된 언더범프금속층(160) 역시 충분한 밀착력 확보가 가능하다.
In this case, when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202 and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202H, such as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A according to an example, the first conductor is disposed. The under bump metal layer 160 may be formed using the layer 303 as a base seed layer, and the passivation layer 202 and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may be self-assembled as described below. As it has sufficient adhesion, the under bump metal layer 160 formed by using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as a seed layer can also secure sufficient adhesion.

한편,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는 패시베이션층(202) 표면에 제1도체층(303)이 부착된 적층체를 이용하여 최외층 회로, 예를 들면, 언더범프금속층(160) 등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패터닝전의 제1도체층(303)은 일종의 보호층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바, 회로 형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Side Effects), 예를 들면, 최외층 표면의 얼룩 발생, 높은 표면조도로 인한 미세회로 구현의 어려움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170), 예를 들면, 솔더 볼을 형설할 때 공정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층체는 패키지 제조 과정에서 최외층 양면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워피지(Warpage) 문제 등을 개선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A according to an example, the outermost layer circuit, for example, the under bump metal layer 160, is formed by using a laminate in which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is attached to the passivation layer 202. 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before patterning may serve as a kind of protective layer, and various side effects (eg, side effects) that may occur during a circuit formation proces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ccurrence of spots on the surface of the outer layer, the difficulty of implementing the microcircuit due to the high surface roughness. In addition, the process may be advantageous when forming the connection terminal 170, for example, a solder ball.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aminate may be applied to both surfaces of the outermost layer in the package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improving warpage problems that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이하,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A according to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1연결부재(110)는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를 재배선시키는 재배선층(112a, 112b)을 포함하는바 제2연결부재(140)의 층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구체적인 재료에 따라 패키지(100A)의 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봉합재(130)의 두께 균일성 확보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연결부재(110)에 의하여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가 패키지 온 패키지(Package on Package)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110)는 관통홀(110H)을 가진다. 관통홀(110H) 내에는 반도체칩(120)이 제1연결부재(110)와 소정거리 이격 되도록 배치된다. 반도체칩(120)의 측면 주위는 제1연결부재(110)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그 형태에 따라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includes redistribution layers 112a and 112b for redistributing the connection pads 122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layers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If necessary, the rigidity of the package 100A may be maintained according to a specific material, and the role of securing the thickness uniformity of the encapsulant 130 may be performed. In some cases,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A may be used as part of a package on package b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has a through hole 110H. The semiconductor chip 120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10H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may be surrounded b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other forms, and other function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rm.

제1연결부재(110)는 제2연결부재(140)와 접하는 절연층(111), 제2연결부재(140)와 접하며 절연층(111)에 매립된 제1재배선층(112a), 및 절연층(111)의 제1재배선층(112a)이 매립된측의 반대측 상에 배치된 제2재배선층(112b)을 포함한다. 제1연결부재(110)는 절연층(111)을 관통하며 제1 및 제2재배선층(112a, 112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113)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재배선층(112a, 112b)은 접속패드(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재배선층(112a)을 절연층(111) 내에 매립하는 경우, 제1재배선층(112a)의 두께에 의하여 발생하는 단차가 최소화 되는바, 제2연결부재(140)의 절연거리가 일정해진다. 즉,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으로부터 절연층(111)의 하면까지의 거리와,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로부터 접속패드(122)까지의 거리의 차이는, 제1재배선층(112a)의 두께보다 작다. 따라서, 제2연결부재(140)의 고밀도 배선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is insulated from the insulating layer 111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nd embedded in the insulating layer 111, and insulation.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of the layer 111 includes a second rewiring layer 112b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uried sid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includes a via 113 penetrating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111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rewiring layers 112a and 112b. The first and second rewiring layers 112a and 112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s 122. When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is buried in the insulating layer 111, the step difference caused by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is minimized, so that the insulating distanc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40 is constant. .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redistribution layer 142a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111 and the distance from the redistribution layer 142a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to the connection pad 122.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igh density wiring design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is easy.

절연층(111)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절연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절연물질로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폴리이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들 수지가 무기 필러와 함께 유리 섬유(Glass Cloth, Glass Fabric) 등의 심재에 함침된 수지, 예를 들면, 프리프레그(prepreg), ABF(Ajinomoto Build-up Film), FR-4, BT(Bismaleimide Triaz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감광성 절연(Photo Imagable Dielectric: PID)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layer 111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used, wherein the insulating material is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imide, or a core material such as glass cloth or glass fabric together with an inorganic filler. Resin impregnated with, for example, prepreg, Ajinomoto Build-up Film (ABF), FR-4, Bisaleimide Triazine (BT) and the like can be used. If necessary, Photo Imagable Dielectric (PID) resins may be used.

재배선층(112a, 112b)은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를 재배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형성물질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납(Pb), 티타늄(Ti),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재배선층(112a, 112b, 112c)은 해당 층의 설계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GrouND: GND) 패턴, 파워(PoWeR: PWR) 패턴, 신호(Signal: S)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S) 패턴은 그라운드(GND) 패턴, 파워(PWR) 패턴 등을 제외한 각종 신호,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비아 패드, 접속단자 패드 등을 포함한다. 제한되지 않는 일례로서, 재배선층(112a, 112b) 모두 그라운드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 142b)에 그라운드 패턴을 최소화하여 형성할 수 있는바, 배선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and 112b reroute the connection pads 122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redistribution layer 112a and 112b may be copper (Cu), aluminum (Al), silver (Ag), or tin (Sn). ), Gold (Au), nickel (Ni), lead (Pb), titanium (Ti), or an alloy thereof.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112b, and 112c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 design design of the layer.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ground (GrouND) pattern, a power (PoWeR: PWR) pattern, a signal (S) pattern, and the like. Here, the signal S pattern includes various signals except for a ground GND pattern, a power PWR pattern, and the like, for example, a data signal. It also includes via pads, connection terminal pads, and the like. As one example, but not limited to,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and 112b may include a ground pattern. In this case,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and 112b may be formed by minimizing the ground patterns in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Therefore, the degree of freedom of wiring design can be improved.

재배선층(112a, 112b) 중 봉합재(130)에 형성된 개구부(131)를 통하여 노출된 일부 재배선층(112b)에는 필요에 따라 표면처리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표면처리층(미도시)은 공지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전해 금도금, 무전해 금도금, OSP 또는 무전해 주석도금, 무전해 은도금, 무전해 니켈도금/치환금도금, DIG 도금, HASL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A surface treatment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on some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b exposed through the openings 131 formed in the encapsulant 130 among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and 112b. The surface treatment layer (not show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known, for example, electrolytic gold plating, electroless gold plating, OSP or electroless tin plating, electroless silver plating, electroless nickel plating / substituted plating, DIG plating, It may be formed by HASL and the like.

비아(113)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재배선층(112a, 112b)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그 결과 제1연결부재(110) 내에 전기적 경로를 형성시킨다. 비아(113) 역시 형성물질로는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비아(113)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 물질로 완전히 충전될 수 있으며, 또는 도전성 물질이 비아 홀의 벽면을 따라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테이퍼형상뿐만 아니라, 원통형상 등 공지된 모든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공정에서 알 수 있듯이, 비아(113)를 위한 홀을 형성할 때 제1재배선층(112a)의 일부 패드가 스토퍼(stoppe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바, 비아(113)는 윗면의 폭이 아랫면의 폭보다 큰 테이퍼 형상인 것이 공정상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아(113)는 제2재배선층(112b)의 일부와 일체화될 수 있다.
The vias 113 electrically connect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and 112b formed on different layers, thereby forming an electrical path i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The via 113 may also use a conductive material as a forming material. Via 113 may be completely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as shown in FIG. 25, or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formed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via hole. Moreover, not only a taper shape but all well-known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can be applied.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in the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when forming a hole for the vias 113, some of the pads of the first wiring layer 112a may serve as a stopper (bar), the vias 113 is the upper surface It may be advantageous in process that the width of the taper shape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In this case, the via 113 may be integrated with a portion of the second rewiring layer 112b.

반도체칩(120)은 소자 수백 내지 수백만 개 이상이 하나의 칩 안에 집적화된 집적회로(Intergrated Circuit: IC)일 수 있다. 집적회로는, 예를 들면, 센트랄 프로세서(예컨대, CPU), 그래픽 프로세서(예컨대, G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암호화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도체칩(120)은 액티브 웨이퍼를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디(121)를 이루는 모재로는 실리콘(Si), 게르마늄(Ge), 갈륨비소(GaA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디(121)에는 다양한 회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접속패드(122)는 반도체칩(120)을 다른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형성물질로는 알루미늄(Al) 등의 도전성 물질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바디(121) 상에는 접속패드(122)를 노출시키는 패시베이션막(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패시베이션막(123)은 산화막 또는 질화막 등일 수 있고, 또는 산화막과 질화막의 이중층일 수도 있다. 패시베이션막(123)을 통하여 접속패드(122) 하면은 봉합재(130) 하면과 단차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봉합재(130)가 접속패드(122) 하면으로 블리딩 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기타 필요한 위치에 절연막(미도시) 등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miconductor chip 120 may be an integrated circuit (IC) in which hundreds to millions of devices are integrated in one chip. The integrated circuit may be, for example, an application processor chip such as a central processor (eg, a CPU), a graphics processor (eg, a GP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cryptographic processor, a microprocessor, a microcontroll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miconductor chip 120 may be formed based on an active wafer. In this case, silicon (Si), germanium (Ge), gallium arsenide (GaAs), or the like may be used as a base material of the body 121. Various circuits may be formed in the body 121. The connection pad 122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miconductor chip 120 with other components, and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may be used as a forming material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The passivation film 123 exposing the connection pad 122 may be formed on the body 121, and the passivation film 123 may be an oxide film, a nitride film, or the like, or a double layer of the oxide film and the nitride fil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d 122 may have a step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ncapsulant 130 through the passivation layer 123, and as a result, the bleeding of the encapsulant 13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d 122 may be prevented to some extent. have. An insulating film (not shown) or the like may be further disposed at other necessary positions.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은 제1연결부재(110)의 제2재배선층(112b)의 상면 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은 제1연결부재(110)의 절연층(111)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과 제1연결부재(110)의 제2재배선층(112b)의 상면의 높이 차이는 2㎛ 이상, 예를 들면, 5㎛ 이상일 수 있다. 이때,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 모퉁이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합재(130)를 적용하는 경우의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 상의 절연거리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An in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may be located below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rewiring layer 112b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For example, the in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may be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111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non-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wiring layer 112b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2 μm or more, for example, 5 μm or more. In this case, cracks generated at corners of the in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may be effectively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encapsulant 130 is applied, variations in the insulation distance on the in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may be minimized.

봉합재(130)는 제1연결부재(110) 및/또는 반도체칩(120)을 보호할 수 있다. 봉합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제1연결부재(110) 및/또는 반도체칩(1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이면 무방하다. 예를 들면, 봉합재(130)는 제1연결부재(110) 및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을 덮을 수 있으며, 관통홀(110H)의 벽면 및 반도체칩(120)의 측면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또한, 봉합재(130)는 반도체칩(120)의 패시베이션막(123)과 제2연결부재(140)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채울 수도 있다. 한편, 봉합재(130)가 관통홀(110H)을 채움으로써, 구체적인 물질에 따라 접착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버클링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encapsulant 130 may protect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nd / or the semiconductor chip 120. The sealing for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form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nd / or the semiconductor chip 120. For example, the encapsulant 130 may cover the inactiv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nd the semiconductor chip 120, and fill a space between the wal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0H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I can fill it. In addition, the encapsulant 130 may fill at least a por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passivation film 123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On the other hand, the encapsulant 130 fills the through-hole (110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ckling at the same time to serve as an adhesive according to the specific material.

봉합재(130)의 구체적인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절연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절연물질로는 마찬가지로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폴리이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들에 무기 필러와 같은 보강재가 포함된 수지, 예를 들면, ABF, FR-4, BT, PID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EMC 등의 공지의 몰딩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열경화성 수지나 열가소성 수지가 무기 필러와 함께 유리 섬유(Glass Cloth, Glass Fabric) 등의 심재에 함침된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The specific material of the encapsulant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used, wherein the insulating material is likewise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imide, or a resin including a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an inorganic filler, for example, ABF, FR-4, BT, PID resin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well-known molding materials, such as EMC, can also be used. If necessary, a resin in which a thermosetting resin or a thermoplastic resin is impregnated with a core material such as glass cloth or glass fabric together with an inorganic filler may be used.

봉합재(130)는 복수의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통홀(110H) 내의 공간을 제1봉합재로 채우고, 그 후 제1연결부재(110) 및 반도체칩(120)을 제2봉합재로 덮을 수 있다. 또는, 제1봉합재를 사용하여 관통홀(110H) 내의 공간을 채움과 더불어 소정의 두께로 제1연결부재(110) 및 반도체칩(120)을 덮고, 그 후 제1봉합재 상에 제2봉합재를 소정의 두께로 다시 덮는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수 있다.
The encapsulant 13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made of a plurality of materials. For example, the space in the through hole 110H may be filled with the first encapsulant, and t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nd the semiconductor chip 120 may be covered with the second encapsulant. Alternatively, the first sealing member may be used to fill the space in the through hole 110H,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and the semiconductor chip 120 may be cover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n the second sealing member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ealing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in the form which covers a sealing material again to predetermined thickness.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봉합재(130)에는 전자파 차단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도전성 입자가 포함될 수 있다. 도전성 입자는 전자파 차단이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납(Pd), 티타늄(Ti), 솔더(solder)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encapsulant 130 may include conductive particles as necessary to block electromagnetic waves. The conductive particles can be used as long as they can block electromagnetic waves. For example, copper (Cu), aluminum (Al), silver (Ag), tin (Sn), gold (Au), nickel (Ni), and lead It may be formed of (Pd), titanium (Ti), solder (solder) and the lik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제2연결부재(140)는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를 재배선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연결부재(140)를 통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수십 수백의 접속패드(122)가 재배선 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접속단자(170)를 통하여 그 기능에 맞춰 외부에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140)는 절연층(141a, 141b), 절연층(141a, 141b) 상에 배치된 재배선층(142a, 142b), 및 절연층(141a, 141b)을 관통하며 재배선층(142a, 142b)을 연결하는 비아(143a, 143b)를 포함한다.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에서는 제2연결부재(140)기 복수의 재배선층(142a, 142b) 층으로 구성되나, 단일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수의 층수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is a configuration for rewiring the connection pad 122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Dozens of hundreds of connection pads 122 having various functions may be redistribut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nd may be physically and /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17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passes through the insulating layers 141a and 141b,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s 141a and 141b, and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vias 143a and 143b connecting 142b. In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bu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single layer.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have a different number of layers.

절연층(141a, 141b)의 물질로는 절연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절연물질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절연물질 외에도 PID 수지와 같은 감광성 절연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절연층(141a, 141b)을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게 비아(143a, 143b)의 파인 피치를 달성할 수 있다. 절연층(141a, 141b)의 물질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절연층(141a, 141b)은 공정에 따라 일체화 되어 경계가 불분명할 수도 있다.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used as a material of the insulating layers 141a and 141b. In this case, a photosensitive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ID resin may be used as the insulating material. In this case, the insulating layers 141a and 141b can be formed thinner, and the fine pitch of the vias 143a and 143b can be more easily achieved. The materials of the insulating layers 141a and 141b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or may be different from one another as necessary. The insulating layers 141a and 141b may be integrated according to a process, and thus the boundary may be unclear.

재배선층(142a, 142b)은 실질적으로 접속패드(122)를 재배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형성물질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납(Pb), 티타늄(Ti),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재배선층(142a, 142b)은 해당 층의 설계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GrouND: GND) 패턴, 파워(PoWeR: PWR) 패턴, 신호(Signal: S) 패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S) 패턴은 그라운드(GND) 패턴, 파워(PWR) 패턴 등을 제외한 각종 신호,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비아 패드, 접속단자 패드 등을 포함한다.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substantially reroute the connection pads 122, and the forming materials include copper (Cu), aluminum (Al), silver (Ag), tin (Sn), and gold (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Au), nickel (Ni), lead (Pb), titanium (Ti), or alloys thereof may be used.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 design design of the layer. For example, a ground (GrouND) pattern, a power (PoWeR: PWR) pattern, a signal (S) pattern, and the like are included. Here, the signal S pattern includes various signals except for a ground GND pattern, a power PWR pattern, and the like, for example, a data signal. It also includes via pads, connection terminal pads, and the like.

재배선층(142a, 142b) 중 일부 노출된 재배선층(142b)에는 필요에 따라 표면처리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표면처리층(미도시)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전해 금도금, 무전해 금도금, OSP 또는 무전해 주석도금, 무전해 은도금, 무전해 니켈도금/치환금도금, DIG 도금, HASL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A surface treatment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on some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b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The surface treatment layer (not show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electrolytic gold plating, electroless gold plating, OSP or electroless tin plating, electroless silver plating, electroless nickel plating / replacement plating , DIG plating, HASL and the like.

비아(143a, 143b)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재배선층(142a, 142b), 접속패드(122)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그 결과 패키지(100B) 내에 전기적 경로를 형성시킨다. 비아(143a, 143b)의 형성 물질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납(Pb), 티타늄(Ti),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비아(143a, 143b)는 도전성 물질로 완전히 충전될 수 있으며, 또는 도전성 물질이 비아의 벽을 따라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형상이 테이퍼 형상, 원통형상 등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모든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The vias 143a and 143b electrically connect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and the connection pads 122 formed in different layers, thereby forming an electrical path in the package 100B. The materials for forming the vias 143a and 143b include copper (Cu), aluminum (Al), silver (Ag), tin (Sn), gold (Au), nickel (Ni), lead (Pb), and titanium (Ti). Or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alloys thereof can be used. Vias 143a and 143b may be completely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or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formed along the walls of the vias. In addition, all shapes known in the art, such as tapered shape and cylindrical shape, can be applied.

제1연결부재(110)의 재배선층(112a, 112b)의 두께는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 142b)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연결부재(110)는 반도체칩(120)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바, 이에 형성되는 재배선층(112a, 112b) 역시 그 스케일에 맞춰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다. 반면,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 142b)은 제2연결부재(140)의 박형화를 위하여 제1연결부재(110)의 재배선층(112a, 112b) 대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and 112b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es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or equal to that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and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and 112b formed thereon may also be formed in a larger size according to the scale. On the other hand,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may be formed relatively smaller than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and 112b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Can be.

패시베이션층(202)은 제2연결부재(140)를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손상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다. 패시베이션층(202)은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 142b) 중 일부 재배선층(142b)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02H)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202H)는 재배선층(142b)의 일면을 완전히 또는 일부만 노출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측면도 노출시킬 수 있다.
The passivation layer 202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from external physical and chemical damage. The passivation layer 202 may have an opening 202H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 142b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The opening 202H may completely or partially expose one surface of the redistribution layer 142b. In some cases, the sides may also be exposed.

패시베이션층(202)의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감광성 절연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솔더 레지스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심재는 포함하지 않으나, 필러는 포함하는 절연수지, 예를 들면, 무기 필러 및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ABF(Ajinomoto Build-up Fil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202)의 표면 조도는 일반적인 경우 보다 낮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표면 조도가 낮은 경우 회로 형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Side Effects), 예를 들면, 표면의 얼룩 발생, 미세회로 구현의 어려움 등을 개선할 수 있다.
The material of the passivation layer 20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photosensitive insulating material may be used. Alternatively, a solder resist may be used. Alternatively, a core material is not included, but an insulating resin including a filler, for example, an inorganic filler and an ABF (Ajinomoto Build-up Film) including an epoxy resin may be use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assivation layer 202 may be lower than in general cases. If the surface roughness is low, various side effects that may occur during the circuit formation process, for example, surface staining, microcircuits Difficulty in implementation can be improved.

언더범프금속층(160)은 접속단자(170)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켜 보드 레벨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성이다. 언더범프금속층(160)은 패시베이션층(202)의 표면에 형성된 제1도체층(303), 개구부(202H)를 통하여 노출된 재배선층(142b)과 개구부(202H)의 벽면과 제1도체층(303) 상에 형성된 제2도체층(161), 및 제2도체층(161) 상에 형성된 제3도체층(162)을 포함한다.
The under bump metal layer 160 i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improving board reliability by improving connection reliability of the connection terminal 170. The under bump metal layer 160 may include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202, the redistribution layer 142b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02H, and the wall surface of the opening 202H and the first conductor layer (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formed on the 303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162 formed on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are included.

제1도체층(303)은 패시베이션층(202)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가조립(Self-Assembly)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충분한 밀착력을 가질 수 있다. 제1도체층(303)은 언더범프금속층(160) 형성을 위한 기초 시드층으로 이용되며, 따라서 언더범프금속층(160) 역시도 충분한 밀착력을 가질 수 있다. 제1도체층(303)은 패터닝전 패키지의 최외층의 보호층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하여 회로 형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부작용들(Side Effects), 예를 들면, 최외층 표면의 얼룩 발생, 미세회로 구현의 어려움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제1도체층(303)은 공지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해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may form a self-assembly with the passivation layer 202 as described below, and thus may have sufficient adhesion.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is used as a base seed layer for forming the under bump metal layer 160, and thus the under bump metal layer 160 may also have sufficient adhesion.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may serve as a protective layer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package before patterning, thereby allowing various side effects that may occur during the circuit formation process, for example, the outermost layer surfa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ccurrence of spots, difficulties in the implementation of microcircuits.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may include a known conductive material, but may preferably include copper (Cu), and may include, for example, electrolytic copper.

제2도체층(161)은 시드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3도체층(162)은 실질적인 언더범프금속층(16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및 제3도체층(161, 162)은 공지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각각 무전해구리 및 전해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체층(161)은 시드층 역할을 수행하는바 두께가 매우 얇다. 즉, 제1도체층(303) 및 제3도체층(162) 보다 두께가 얇다. 두께는 제3도체층(162), 제1도체층(303), 및 제2도체층(161) 순으로 두꺼울 수 있다. 즉, 제3도체층(162)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제2도체층(161)의 두께가 가장 얇을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may serve as a seed layer,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162 may serve as a substantially under bump metal layer 160. The second and third conductor layers 161 and 162 may include a known conductive material, but may preferably include electroless copper and electrolytic copper, respectively.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acts as a seed layer and is very thin. That is, the thickness is thinner than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162. The thickness may be thick in order of the third conductor layer 162,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and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third conductor layer 162 may be the thickest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may be the thinnest.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접속단자(170)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를 외부와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구성이다. 예를 들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는 접속단자(170)를 통하여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될 수 있다. 접속단자(170)는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솔더(solder)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재질이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단자(170)는 랜드(land), 볼(ball), 핀(pin) 등일 수 있다. 접속단자(170)는 다중층 또는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중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구리 필러(pillar) 및 솔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주석-은 솔더나 구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역시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단자(170)의 개수, 간격, 배치 형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설계 사항에 따라 충분히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접속단자(170)의 수는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의 수에 따라서 수십 내지 수천 개일 수 있으며,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수를 가질 수도 있다.
The connection terminal 170 i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physically and / 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A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A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ard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170. The connection terminal 17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solde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The connection terminal 170 may be a land, a ball, a pin, or the like. The connection terminal 170 may be formed of multiple layers or a single layer. If formed in a multi-layer may include a copper pillar (pillar) and solder, when formed in a single layer may include tin-silver solder or copper, but this is also merely an example and not limited thereto. . The number, spacing, arrangement, etc. of the connection terminals 17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sufficiently modified according to design matters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number of connection terminals 170 may be several tens to thousands, or more or less,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nnection pads 122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접속단자(170) 중 적어도 하나는 팬-아웃(fan-out) 영역에 배치된다. 팬-아웃 영역이란 반도체칩(120)이 배치된 영역을 벗어나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일례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A)는 팬-아웃 패키지이다. 팬-아웃(fan-out) 패키지는 팬-인(fan-in) 패키지에 비하여 신뢰성이 우수하고, 다수의 I/O 단자 구현이 가능하며, 3D 인터코넥션(3D interconnection)이 용이하다. 또한, BGA(Ball Grid Array) 패키지, LGA(Land Grid Array) 패키지 등과 비교하여 별도의 기판 없이 전자기기에 실장이 가능한바 두께를 얇게 제조할 수 있으며,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terminals 170 is disposed in the fan-out area. The fan-out area refers to an area outside the area where the semiconductor chip 120 is disposed. That is, the semiconductor package 100A according to the example is a fan-out package. Fan-out packages are more reliable than fan-in packages, enable multiple I / O terminals, and facilitate 3D interconnection. In addition, compared to a ball grid array (BGA) package and a land grid array (LGA) package, a bar that can be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without a separate substrate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thin thickness, and has excellent price competitiveness.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1연결부재(110)의 관통홀(110H)의 내벽에 금속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반도체칩(120)의 측면 주위가 금속층으로 둘러싸일 수도 있다. 금속층을 통하여 반도체칩(12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패키지(100) 상부 및/또는 하부로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전자파 차폐가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1연결부재(110)의 관통홀(110H) 내에 복수의 반도체칩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제1연결부재(110)의 관통홀(110H)이 복수 개고, 각각의 관통홀 내에 반도체칩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반도체칩 외에 별도의 수동부품, 예를 들면, 컨덴서, 인덕터 등이 함께 관통홀(110H) 내에 함께 봉합될 수 있다. 또한, 패시베이션층(202) 상에 표면실장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metal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10H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s needed. That is,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may be surrounded by a metal layer. The heat generated from the semiconductor chip 120 may be effectively emitted to the upper and / or lower portions of the package 100 through the metal layer,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may be effectively performed. In addition, if necessary,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holes 110H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10H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semiconductor chip may be disposed in the hole. In addition to the semiconductor chip, a separate passive component, for example, a capacitor, an inductor, and the like may be sealed together in the through hole 110H. In addition, the surface mount component may be mounted on the passivation layer 202.

도 12a 내지 12g는 도 9의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개략적인 제조 일례이다.
12A through 12G are schematic manufacturing examples of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of FIG. 9.

도 12a를 참조하면, 먼저, 디테치필름(401)을 준비한다. 디테치필름(401)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금속막(402, 403)이 형성될 수 있다. 금속막(402, 403) 사이의 접합면에는 후속하는 분리 공정에서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표면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금속막(402, 403) 사이에 이형층(Release layer)을 구비하여 후속 공정에서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디테치필름(401)은 공지의 절연기판일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금속막(402, 403)은 통상 동박(Cu foi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얇은 박막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드라이 필름(304)을 이용하여 제1재배선층(112a) 형성을 위한 패터닝을 수행한다. 이는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공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드라이 필름(304)은 감광성 재료로 이루어진 공지의 드라이 필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드라이 필름(304)의 패터닝된 공간을 도전성 물질로 채워 제1재배선층(112a)을 형성한다. 도금 공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금속막(403)은 시드층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금 공정으로는 전해도금 또는 무전해도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방법으로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서브트랙티브(Subtractive), 애디티브(Additive), SAP(Semi-Additive Process), MSAP(Modified Semi-Additive Process)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드라이 필름(304)을 제거한다. 이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에칭 공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12A, first, a detach film 401 is prepared. Metal films 402 and 403 may be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detach film 401. The bonding surfaces between the metal films 402 and 403 may be surface treated to facilitate separation in subsequent separation processes. Alternatively, a release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etal films 402 and 403 to facilitate separation in a subsequent process. The detach film 401 may be a known insulating substrate, and any material may be used. The metal layers 402 and 403 may be typically copper foil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thin thin films made of other conductive materials. Next, patterning for forming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is performed using the dry film 304. This can be formed using a known photolithography method. Dry film 304 may be a known dry film made of a photosensitive material. Next, the patterned space of the dry film 304 is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to form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The plating process may be used, and the metal film 403 may serve as a seed layer. Electrolytic plating or electroless plating etc. can be used as a plating process.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Sputtering, Subtractive, Additive, Semi-Additive Process (SAP), Modified Semi-Additive Proces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Next, the dry film 304 is removed. This can use a well-known method, for example, an etching process.

도 12b을 참조하면, 금속막(403) 상에 재배선층(112a)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는 절연층(111)을 형성한다. 그 후, 절연층(111)을 관통하는 비아(113)를 형성한다. 또한, 절연층(111) 상에 제2재배선층(112b)을 형성한다. 절연층(111)은 그 전구체를 공지의 라미네이션 방법으로 라미네이션한 후 경화하는 방법, 또는 공지의 도포 방법으로 전구체 물질을 도포한 후 경화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비아(113) 및 제2 재배선층(112b)은 포토리소그래피, 기계적 드릴, 및/또는 레이저 드릴 등을 이용하여 비아 홀을 형성한 후 드라이 필름 등으로 패터닝하고, 도금 공정 등으로 비아 홀 및 패터닝된 공간을 채우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테치필름(401)을 박리한다. 이때, 박리는 금속막(402, 403)이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분리에는 블레이드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일련의 과정은 디테치필름(401)의 박리 전에 관통홀 형성 전의 제1연결부재(110)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테치필름(401)을 먼저 박리한 후에 제1연결부재(110)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순서가 반드시 설명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12B, an insulating layer 111 may be formed on the metal film 403 to fill at least a por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 112a. Thereafter, the vias 113 penetrating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111 are formed. In addition, the second rewiring layer 112b i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111. The insulating layer 111 may be formed by laminating the precursor by a known lamination method and then curing, or by applying a precursor material by a known coating method and then curing the precursor material. The vias 113 and the second redistribution layer 112b are formed by using a photolithography, a mechanical drill, and / or a laser drill to form via holes, patterning them with a dry film, and the like. It can be formed by filling the space. Next, the detach film 401 is peeled off. In this case, the peeling may be the separation of the metal films 402 and 403. A blade may be used for sepa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l known methods may be used. On the other hand, a series of processes have been described as form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befo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before the detachment of the detach film 40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fter the detachment of the detach film 401 first Of cours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formed. That is, the ord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described.

도 12c를 참조하면, 남아 있는 금속막(403)을 공지의 에칭 방법 등으로 제거한다. 이때, 제1재배선층(112a)이 절연층(111)의 내측 방향으로 리세스 되도록 재배선층(112a)의 일부를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110)에 관통홀(110H)을 형성한다. 관통홀(110H)은 기계적 드릴 및/또는 레이저 드릴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마용 입자를 이용하는 샌드 블라스트법, 플라스마를 이용한 드라이 에칭법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기계적 드릴 및/또는 레이저 드릴을 사용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과망간산염법 등의 디스미어 처리를 수행해서 관통홀(110H) 내의 수지 스미어를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연결부재(110)의 일측에 점착필름(305)을 부착한다. 이때, 재배선층(112a)이 리세스된 경우에는 그 일면이 점착필름(305)의 일면과 단차를 가질 수도 있다. 점착필름(305)은 절연층(111)을 고정할 수 있으면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하며, 제한되지 않는 일례로서 공지의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공지의 테이프의 예로서는 열처리에 의해 부착력이 약화되는 열처리 경화성 접착 테이프, 자외선 조사에 의해 부착력이 약화되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 테이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절연층(111)의 관통홀(110H) 내에 반도체칩(120)을 배치한다. 예를 들면, 관통홀(110H) 내의 점착필름(305) 상에 반도체칩(120)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이를 배치한다. 반도체칩(120)은 접속패드(122)가 점착필름(305)에 부착되도록 페이스-다운(face-down) 형태로 배치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접속패드(122)의 일면이 점착필름(305)의 상면을 기준으로 단차를 가지도록, 즉 점착필름(305) 부착 후에도 접속패드(122)가 반도체칩(120)의 내측 방향으로 리세스 되도록 부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C, the remaining metal film 403 is removed by a known etching method or the like.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 112a may be removed so that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is recess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insulating layer 111. In addition, a through hole 110H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The through hole 110H may be formed by a mechanical drill and / or a laser dril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by a sand blast method using abrasive particles, a dry etching method using plasma, or the like. When formed using a mechanical drill and / or a laser drill, the desmear process, such as a permanganate method, can be performed and the resin smear in the through hole 110H can be removed. Next, the adhesive film 305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In this case, when the redistribution layer 112a is recessed, one surface thereof may have a step with one surface of the adhesive film 305. The adhesive film 305 can be used as long as the insulating layer 111 can be fixed, and a known tape or the like can be used as one example without limitation. As an example of a well-known tape, the heat-hardenable adhesive tape which weakens an adhesive force by heat processing,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tape which weakens an adhesive force by ultraviolet irradiation,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chip 120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10H of the insulating layer 111. 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chip 120 is disposed on the adhesive film 305 in the through hole 110H. The semiconductor chip 120 is disposed in a face-down form so that the connection pad 122 is attached to the adhesive film 305. If necessary,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d 122 may have a step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film 305, that is, the connection pad 122 may be inwardly directed toward the semiconductor chip 120 even after the adhesive film 305 is attached. Can be attached to be recessed.

도 12d를 참조하면, 봉합재(130)를 이용하여 제1연결부재(110) 및 반도체칩(120)의 적어도 일부를 봉합한다. 봉합재(130)는 제1연결부재(110) 및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을 덮으며, 관통홀(110H) 내의 공간을 채운다. 봉합재(130)는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봉합재(130) 형성을 위한 수지를 미경화 상태에서 라미네이션을 한 후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점착필름(305) 상에 제1연결부재 및 반도체칩(120)의 적어도 일부를 봉합할 수 있도록 봉합재(130) 형성을 위한 수지를 미경화 상태로 도포한 후 경화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경화에 의하여 반도체칩(120)은 고정되게 된다. 라미네이션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고온에서 일정시간 가압한 후 감압하여 실온까지 식히는 핫 프레스 후, 콜드 프레스에서 식혀 작업 툴을 분리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퀴즈로 잉크를 도포하는 스크린 인쇄법, 잉크를 안개화하여 도포하는 방식의 스프레이 인쇄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경화 후 봉합재(130)는 일면이 제1재배선층(112a)의 일면 및 접속패드(122)의 일면과의 관계에 있어서 단차를 가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점착필름(305)을 박리한다. 박리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점착필름(305)으로 열처리에 의해 부착력이 약화되는 열처리 경화성 접착 테이프, 자외선 조사에 의해 부착력이 약화되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 테이프 등을 사용한 경우에는, 점착필름(305)을 열처리하여 부착력을 약화시킨 이후에 수행하거나, 또는 점착필름(305)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부착력을 약화시킨 이후에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점착필름(305)을 제거한 제1연결부재(110) 및 반도체칩(120)의 활성면 상에 제2연결부재(140)를 형성한다. 제2연결부재(140)는 절연층(141a, 141b)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되, 각각의 절연층(141a, 141b)을 형성한 후 해당 층에 각각 재배선층(142a, 142b) 및 비아(143a, 143b)를 상술한 바와 같은 도금 공정 등으로 형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nd the semiconductor chip 120 are sealed using the encapsulant 130. The encapsulant 130 covers the inactiv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nd the semiconductor chip 120, and fills a space in the through hole 110H. The encapsulant 130 may be formed by a known method, and for example, the resin for forming the encapsulant 130 may be formed by lamination in an uncured state and then cured. Alternatively, the resin for forming the encapsulant 130 may be formed in an uncured state so as to seal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miconductor chip 120 on the adhesive film 305, and then may be cured. . By hardening, the semiconductor chip 120 is fixed. As the lamination method, for example, a method of pressing a certain time at a high temperature, depressurizing it to cool to room temperature, and then cooling it in a cold press to separate a work tool may be used. As a coating method, the screen printing method of apply | coating ink with a squeeze, the spray printing method of the system which fogs and apply | coats ink, etc. can be used, for example. In some cases, one surface of the encapsulant 130 after curing may have a step in relation to one surface of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and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d 122. Next, the adhesive film 305 is peeled off. The peel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the heat-curable adhesive tape whose adhesive force is weakened by heat treatment with the adhesive film 305, or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tape whose adhesive force is weaken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the adhesive film 305 is heat-treated to obtain the adhesive force. This may be performed after weakening, or after irradiating UV with the adhesive film 305 to weaken the adhesive force. Next,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is form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and the 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from which the adhesive film 305 is remove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sequentially forms the insulating layers 141a and 141b, and after forming the insulating layers 141a and 141b,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and the vias 143a and 143a to the corresponding layers, respectively. 143b) can be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plating process or the like.

도 12e를 참조하면, 제2연결부재(140)의 상에 패시베이션층(202), 제1도체층(303), 이형층(302), 및 캐리어필름(30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패시베이션층(202)이 제2연결부재(140)와 연결되도록 부착한다. 또한, 봉합재(130) 상에 패시베이션층(202), 제1도체층(303), 이형층(302), 및 캐리어필름(30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패시베이션층(202)이 봉합재(130)와 연결되도록 부착한다. 한편, 이와 같이 적층체 상태로 제1도체층(303)이 패시베이션층(202) 표면에 부착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가조립(Self-Assembly)이 가능한바, 우수한 밀착력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연결부재(140)의 일측에 부착된 적층체 및 봉합재(130) 상에 부착된 적층체에서 캐리어필름(301)을 제거한다. 캐리어필름(301)의 제거는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12E, a laminate in which the passivation layer 202,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the release layer 302, and the carrier film 301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is illustrated. The passivation layer 202 is attach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In addition, the passivation layer 202 seals the laminate in which the passivation layer 202,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the release layer 302, and the carrier film 301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encapsulant 130. Attached to connect to the ash (130).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202 in the laminate state, self-assembly is possible as described below, and thus may have excellent adhesion. Next, the carrier film 301 is removed from the laminat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nd the laminate attached to the encapsulant 130. Removal of the carrier film 301 may be performed by a known metho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도 12f를 참조하면, 제2연결부재(140) 상에 부착된 적층체에 있어서, 적층체의 패시베이션층(202), 제1도체층(303), 및 이형층(302)을 관통하며,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c)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02H)를 형성한다. 개구부(202H)는 기계적 드릴 및/또는 레이저 드릴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마용 입자를 이용하는 샌드 블라스트법, 플라스마를 이용한 드라이 에칭법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연결부재(140) 상에 부착된 적층체 및 봉합재(130) 상에 부착된 적층체에서 이형층(302)을 제거한다. 이형층(302)은 디스미어 처리를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부재(140) 상에 부착된 적층체 및 봉합재(130) 상에 부착된 적층체에서 제1도체층(303)은 디스미어 용액으로부터 양측의 패시베이션층(202)의 표면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구부(202H)를 통하여 노출된 재배선층(142b)과 개구부(202H)의 벽면과 제1도체층(303)을 덮는 제2도체층(161)을 형성한다. 제2도체층(161)은 이와 같이 밀착력이 우수한 제1도체층(303)을 기초 시드층으로 이용하여 형성되는바, 보다 우수한 밀착력을 가질 수 있다. 제2도체층(161)은 공지의 도금 공정, 예를 들면, 스퍼터링 등의 무전해도금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연결부재(140) 상에 제2도체층(161)을 형성할 때, 봉합재(130) 상에도 제1도체층(303)을 덮는 제2도체층(16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면에서와 달리 타측에는 제2도체층(161)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2F, in the laminate attached 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40, the passivation layer 202,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and the release layer 302 of the laminate may be penetrated. The opening 202H exposing at least a part of the redistribution layer 142c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is formed. The opening 202H may be formed by a mechanical drill, a laser drill,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by a sand blast method using abrasive particles, a dry etching method using plasma, or the like. Next, the release layer 302 is removed from the laminate attached 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nd the laminate attached on the encapsulant 130. The release layer 302 can be removed through a desmear process. At this time, in the laminate attached 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40 and the laminate attached on the encapsulant 130,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may have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passivation layer 202 from the desmear solution. It can prevent damage. Next, the redistribution layer 142b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02H,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covering the wall surface of the opening 202H and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are formed.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is formed using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having excellent adhesion as a base seed layer, and thus may have better adhesion.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may be performed through a known plating process, for example, electroless plating such as sputtering. Meanwhile, when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is formed 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covering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may also be formed on the encapsulant 130. However, in some cases, unlike the drawing,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may not be formed on the other side.

도 12g을 참조하면, 제2연결부재(140) 상에 있어서, 제2도체층(161) 상에 제3도체층(162)을 형성한다. 또한, 제1도체층(303) 및 제2도체층(161)을 패터닝한다. 이러한 과정은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전해도금을 이용하는 서브트랙티브, 애디티브, 세미어덕티브, 모디파이세미어덕티브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언더범프금속층(160)이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연결부재(140) 상에 제3도체층(162)을 형성할 때, 봉합재(130) 상에도 제3도체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봉합재(130) 상에 형성된 제1도체층(303), 제2도체층(161), 및 제3도체층(미도시)은 공지의 에칭 방법 등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봉합재(130) 상에 부착된 패시베이션층(202)을 관통하며 제1연결부재(110)의 타측에 형성된 재배선층(112c)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31)를 형성한다. 개구부(131)는 마킹(Marking) 등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접속단자, 표면실장부품 등이 형성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봉합재(130) 상에 이와 같이 패시베이션층(202)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개구부(131)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패키지 기준 양측에 패시베이션층(202)이 대략 대칭 형태로 부착된 경우,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워피지를 제어할 수 있다. 봉합재(130) 상에 부착된 패시베이션층(202)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언더범프금속층(160) 상에는 공지의 방법으로 접속단자(170)를 형성한다. 접속단자(170)의 형성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그 구조나 형태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접속단자(170)는 리플로우(reflow)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접속단자(170)의 일부는 패시베이션층(202)에 매몰되고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G, 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 third conductor layer 162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In addition,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and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are patterned. This process can be carried out by known methods, for example, subtractives, additives, semi-additives, modifier semiadducts, etc. using electroplating. As a result, the under bump metal layer 160 is form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third conductor layer 162 is formed 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 third conductor layer (not shown) may also be formed on the encapsulant 130.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the second conductor layer 161,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not shown) formed on the encapsulant 130 may be removed by a known etching method or the like. In addition, the opening 131 penetrates the passivation layer 202 attached on the encapsulant 130 and exp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 112c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The opening 131 may be used for marking or the like, and in some cases, may be used as a space for forming a connection terminal, a surface mount component, or the like. When the passivation layer 202 is attached to the encapsulant 130 in this manner, the opening 131 may be more easily formed. In addition, when the passivation layer 202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ackage reference in a substantially symmetrical form, warpage generated in the process may be controlled. The passivation layer 202 attached on the encapsulant 130 may be removed as shown in the figure, but may be used in an attached state as necessary. Next, the connection terminal 170 is formed on the under bump metal layer 160 by a known method. The formation method of the connection terminal 17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r the form, it can form by a well-known method well known in the art. The connection terminal 170 may be fixed by reflow, and part of the connection terminal 170 is buried in the passivation layer 202 and the remaining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enhance the fixing force,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You can.

한편, 일련의 과정은 대량생산에 용이하도록 대용량 사이즈의 디테치필름(401)을 준비한 후에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복수의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를 제조하고, 그 후 소잉(Sawing)을 통하여 개별적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로 싱귤레이션 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 series of processes to prepare a large-size size of the detach film 401 to facilitate mass production, to manufacture a plurality of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A)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en through sawing (Sawing) The singul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individual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A.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ivity is excellent.

도 13은 도 12a 내지 12g에서 사용되는 적층체의 개략적인 제조 일례이다.
FIG. 13 is an example of the schematic manufacture of the laminate used in FIGS. 12A to 12G.

도면을 참조하면,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는, 이형필름(201) 및 이형필름(201) 상에 부착된 패시베이션층(202)을 포함하는 제1적층필름(200)을 준비하는 단계, 캐리어필름(301) 및 캐리어필름(301) 상에 이형층(302)을 매개로 부착된 제1도체층(303)을 포함하는 제2적층필름(300)을 준비하는 단계, 및 제1도체층(303)이 패시베이션층(202) 표면에 부착되도록 제1적층필름(200) 및 제2적층필름(300)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적층필름(200, 300)의 부착은 공지의 롤러(501, 502)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paring of the laminate may include preparing a first laminated film 200 including a release film 201 and a passivation layer 202 attached on the release film 201, and a carrier film. Preparing the second laminated film 300 including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attached to the carrier film 301 via the release layer 302, and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Attaching the first laminated film 200 and the second laminated film 300 so that the c) adheres to the passivation layer 202 surface. Attaching the first and second laminated films 200 and 300 may be performed using known rollers 501 and 50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형필름(201)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일 수 있으며, 패시베이션층(20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러 및 수지를 포함하는, 예를 들면, 아지노모토필드업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리어필름(301)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형층(302)은, 예를 들면, 알칼리 용해성 수지층(Alkaline-soluble resin lay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체층(303)은, 예를 들면, 전해구리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release film 201 may be, for exampl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nd the passivation layer 202 may be, for example, an ajinomoto fieldup film including filler and resin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carrier film 301 may be, for exampl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lease layer 302 may be, for example, an alkali-soluble resin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may be, for example, an electrolytic copper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4는 패시베이션층과 금속층의 자가조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14 schematically illustrates self-assembly of a passivation layer and a metal layer.

도면을 참조하면, 패시베이션층(202)은 제1도체층(303)이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경화될 수 있으며, 이때, 패시베이션층(202)이 경화할 때 패시베이션층(202)을 구성하는 절연 수지에 포함된 화학반응기(202P) 중 적어도 하나가 패시베이션층(202)의 표면에 부착된 제1도체층(303)의 금속물질(303P)과 자가조립(Self-Assembly)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밀착력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패시베이션층(202)의 절연 수지에 포함된 화학반응기(202P)가 경화 과정에서 제1도체층(303)이 부착된 표면 측으로 풍부하게 되고, 이들은 제1도체층(303)의 금속물질(303P)과 배위결합 및/또는 공유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에 의한 자가조립(Self-Assembly)을 통하여 우수한 밀착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화학반응기(202P)는 배위화합물, 예를 들면, 긴 꼬리를 가지는 방향족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assivation layer 202 may be cur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is attached to the surface, and at this time, the insulation constituting the passivation layer 202 when the passivation layer 202 is cured. At least one of the chemical reactors 202P included in the resin may be self-assembled with the metal material 303P of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202. Therefore, it can have excellent adhesion. More specifically, the chemical reactor 202P included in the insulating resin of the passivation layer 202 is enriched to the surface side where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is attached during the curing process, and these are the metals of the first conductor layer 303. Coordination and / or covalent bonds are formed with the material 303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have excellent adhesion through self-assembly by such a combination. The chemical reactor 202P may be a coordination compound, for example,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long tai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5는 통상의 패시베이션층의 경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15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curing state of a conventional passivation layer.

도면을 참조하면, 패시베이션층(202')이 단순히 이형필름(201')에 부착된 상태에서 경화되는 경우에는, 패시베이션층(202')의 수지에 포함된 화학반응기(202'P)가 랜덤하게 배열되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자가조립(Self-Assembly)을 통한 우수한 밀착력을 구현할 수 없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passivation layer 202 'is cured in a state where it is simply attached to the release film 201', the chemical reactor 202'P contained in the resin of the passivation layer 202 'is randomized. As such,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excellent adhesion through self-assembly as described above.

도 16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다른 일례를 대략 나타낸 단면도다.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B)는 제1연결부재(110)가 제2연결부재(140)와 접하는 제1절연층(111a), 제2연결부재(140)와 접하며 제1절연층(111a)에 매립된 제1재배선층(112a), 제1절연층(111a)의 제1재배선층(112a)이 매립된측의 반대측 상에 배치된 제2재배선층(112b), 제1절연층(111a) 상에 배치되며 제2재배선층(112b)을 덮는 제2절연층(111b), 및 제2절연층(111b) 상에 배치된 제3재배선층(112c)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재배선층(112a, 112b, 112c)은 접속패드(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재배선층(112a, 112b)과 제2및 제3재배선층(112b, 112c)은 각각 제1 및 제2절연층(111a, 111b)을 관통하는 제1 및 제2비아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B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cludes a first insulating layer 111a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140 in whic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40. And a second wiring layer 112a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in which the first wiring layer 112a embedded i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1a and the first wiring layer 112a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1a are embedded. 112b), a second insulating layer 111b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1a and covering the second wiring layer 112b, and a third rewiring layer 112c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11b. It includes. The first to third rewiring layers 112a, 112b, and 112c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s 122.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wiring layers 112a and 112b and the second and third wiring layers 112b and 112c respectively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layers 111a and 111b.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vias.

제1재배선층(112a)이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연결부재(140)의 절연층(141a)의 절연거리가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110)가 많은 수의 재배선층(112a, 112b, 112c)을 포함하는바, 제2연결부재(140)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연결부재(140)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에 따른 수율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제1재배선층(112a)이 제1절연층 내부로 리세스되며, 따라서 제1절연층(111a)의 하면과 제1재배선층(112a)의 하면이 단차를 가진다. 그 결과 봉합재(130)를 형성할 때 봉합재(130) 형성 물질이 블리딩되어 제1재배선층(112a)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is buried, the insulating distance of the insulating layer 141a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may be substantially consta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includes a large number of redistribution layers 112a, 112b and 112c,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may be further simplified. Therefore, a decrease in yield due to defect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may be improved. Since the first wiring layer 112a is recessed into the first insulating layer,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1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wiring layer 112a have a step. As a result, when forming the encapsulant 1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capsulant 130 forming material from bleeding and contaminating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제1연결부재(110)의 제1재배선층(112a)의 하면은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의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과 제1연결부재(110)의 재배선층(112a) 사이의 거리는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과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제1재배선층(112a)이 절연층(111)의 내부로 리세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연결부재(110)의 제2재배선층(112b)은 반도체칩(120)의 활성면과 비활성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110)는 반도체칩(120)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연결부재(110) 내부에 형성된 제2재배선층(112b)은 반도체칩(120)의 활성면과 비활성면 사이의 레벨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locat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d 122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redistribution layer 142a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nd the redistribution layer 112a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equal to the redistribution layer 142a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nd the semiconductor chip 120. It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d 122 of the). This is because the first rewiring layer 112a may be recessed into the insulating layer 111. The second rewiring layer 112b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located between the active surface and the in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so that the second rewiring layer 112b form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formed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It can be placed at a level between the active and inactive surfaces.

제1연결부재(110)의 재배선층(112a, 112b, 112c)의 두께는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 142b)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연결부재(110)는 반도체칩(120)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바, 재배선층(112a, 112b, 112c) 역시 그 스케일에 맞춰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다. 반면,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 142b)는 박형화를 위하여 이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112b and 112c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or equal to that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and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112b, and 112c may also be formed in a larger size according to the scale. On the other hand,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may be formed in this relatively small size for thinning.

그 외에 다른 구성이나 제조 방법은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ther configura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A according to an example,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7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다른 일례를 대략 나타낸 단면도다.
1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C)는 제1연결부재(110)가 제1절연층(111a), 제1절연층(111a)의 양면에 배치된 제1재배선층(112a) 및 제2재배선층(112b), 제1절연층(112a) 상에 배치되며 제1재배선층(112a)을 덮는 제2절연층(111b), 제2절연층(111b) 상에 배치된 제3재배선층(111c), 제1절연층(111a) 상에 배치되어 제2재배선층(112b)을 덮는 제3절연층(111c), 및 제3절연층(111c) 상에 배치된 제4재배선층(112d)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재배선층(112a, 112b, 112c, 112d)는 접속패드(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연결부재(110)가 더 많은 수의 재배선층(112a, 112b, 112c, 112d)을 포함하는바, 제2연결부재(140)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연결부재(140)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에 따른 수율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내지 제4 재배선층(112a, 112b, 112c, 112d)는 제1 내지 제3 절연층(111a, 111b, 111c)을 관통하는 제1 내지 제3비아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C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may include a first rewiring layer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is dis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1a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1a.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11b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12b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2a and coveri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2a. The third wiring layer 111c, the third insulating layer 111c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1a to cover the second wiring layer 112b,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111c. Four rewiring layer 112d is included. The first to fourth rewiring layers 112a, 112b, 112c, and 112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s 122. Sinc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includes a greater number of redistribution layers 112a, 112b, 112c, and 112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may be further simplified. Therefore, a decrease in yield due to a defect occurring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may be improv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to fourth redistribution layers 112a, 112b, 112c, and 112d may pass through the first to third vias penetrating 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layers 111a, 111b, and 111c.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제1절연층(111a)은 제2절연층(111b) 및 제3절연층(111c)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제1절연층(111a)은 기본적으로 강성 유지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으며, 제2절연층(111b) 및 제3절연층(111c)은 더 많은 수의 재배선층(112c, 112d)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일 수 있다. 제1절연층(111a)은 제2절연층(111b) 및 제3절연층(111c)과 상이한 절연물질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절연층(111a)은 심재, 무기 필러, 및 절연 수지를 포함하는, 예컨대, 프리프레그일 수 있고, 제2절연층(111c) 및 제3절연층(111c)은 무기 필러 및 절연 수지를 포함하는 ABF 필름 또는 감광성 절연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1a may be thicker tha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11b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111c.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1a may basically be relatively thick to maintain rigidity,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11b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111c may form a larger number of redistribution layers 112c and 112d. It may be introduced for.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1a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different from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11b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111c. For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1a may be, for example, a prepreg including a core material, an inorganic filler, and an insulating resin,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11c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111c may be inorganic fillers. And an ABF film or a photosensitive insulating film including an insulating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연결부재(110)의 제3재배선층(112c)의 하면은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의 하면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과 제1연결부재(110)의 제3재배선층(112c) 사이의 거리는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과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제3재배선층(112c)이 제2절연층(111b) 상에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2연결부재(140)와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연결부재(110)의 제1재배선층(112a) 및 제2재배선층(112b)은 반도체칩(120)의 활성면과 비활성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110)는 반도체칩(120)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연결부재(110) 내부에 형성된 제1재배선층(112a) 및 제2재배선층(112b)은 반도체칩(120)의 활성면과 비활성면 사이의 레벨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rewiring layer 112c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locat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d 122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redistribution layer 142a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nd the third rewiring layer 112c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equal to the redistribution layer 142a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and the semiconductor chip. It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ds 122 of the (120). This is because the third rewiring layer 112c may be disposed to protrude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11b, and as a result,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The first and second rewiring layers 112a and 112b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located between the active and inactive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rewiring layers 112a and 112b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formed. ) May be disposed at a level between an active surface and an inactiv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제1연결부재(110)의 재배선층(112a, 112b, 112c, 112d)의 두께는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 142b)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연결부재(110)는 반도체칩(120)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바, 재배선층(112a, 112b, 112c, 112d) 역시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다. 반면, 제2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a, 142b)는 박형화를 위하여 이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다.
The thicknesses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112b, 112c and 112d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es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0 may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or equal to that of the semiconductor chip 120, and the redistribution layers 112a, 112b, 112c, and 112d may also have a larger size. On the other hand, the redistribution layers 142a and 142b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140 may be formed in this relatively small size for thinning.

그 외에 다른 구성이나 제조 방법은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ther configura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00A according to an example,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개시에서 사용된 일례나 변형예 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시된 일례들이나 변형예들은 다른 일례나 변형예들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일례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일례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일례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일례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expression example or variation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mean the same embodiment, but is provided to emphasize different unique features. However, the examples or variations presented above do not exclude implementations in combination with the features of other examples or variations. For example, although a matter described in one particular example is not described in another example, it may be understood as a description related to another example unless otherwise described or contradicted with the matter in another example.

본 개시에서 연결된다는 의미는 직접 연결된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경우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표현은 한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도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connected means a concept including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In addition, electrically connected means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a physical connection and a non-connection case. Also, the first and second expressions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do not limit the order and /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In some cas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개시에서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상면, 하면 등은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1연결부재는 재배선층 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다만, 특허청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직 방향은 상술한 상부 및 하부 방향을 의미하며, 수평 방향은 이와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수직 단면은 수직 방향의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한 단면도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수평 단면은 수평 방향의 평면으로 절단한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도시한 평면도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op, bottom, top, bottom, top, bottom, and the like are determin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located above the redistribution layer. However, the claims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vertical direction refers to the above-mentioned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is. In this case, the vertical cross section means a case cut in a pla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emplified. In addition, a horizontal cross section means the case cut | disconnected to the plane of a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the top view shown by drawing is mentioned.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때,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merely used to describe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1000: 전자기기 1010: 메인보드
1020: 칩 관련 부품 1030: 네트워크 관련 부품
1040: 기타 부품 1050: 카메라
1060: 안테나 1070: 디스플레이
1080: 배터리 1090: 신호 라인
1100: 스마트 폰 1101: 스마트 폰 바디
1110: 스마트 폰 메인보드 1111: 메인보드 절연층
1112: 메인보드 배선 1120: 부품
1130: 스마트 폰 카메라 2200: 팬-인 반도체 패키지
2220: 반도체칩 2221: 바디
2222: 접속패드 2223: 패시베이션막
2240: 연결부재 2241: 절연층
2242: 재배선층 2243: 비아
2250: 패시베이션층 2260: 언더범프금속층
2270: 솔더볼 2280: 언더필 수지
2290: 몰딩재 2500: 메인보드
2301: 인터포저 기판 2302: 인터포저기판
2100: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2120: 반도체칩
2121: 바디 2122: 접속패드
2140: 연결부재 2141: 절연층
2142: 재배선층 2143: 비아
2150: 패시베이션층 2160: 언더범프금속층
2170: 솔더볼 100: 반도체 패키지
100A, 100B, 100C: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110: 제1연결부재 111, 112a, 112b, 112c: 절연층
112a, 112b, 112c, 112d: 재배선층 113: 비아
112: 반도체칩 121: 바디
122: 접속패드 123: 패시베이션막
130: 봉합재 131: 개구부
140: 제2연결부재 141a, 141b: 절연층
142a, 142b: 재배선층 143a, 143b: 비아
201: 이형필름 202: 패시베이션층
301: 캐리어필름 302: 이형층
303: 도체층 200, 300: 적층필름
202H: 개구부 161, 162: 도체층
160: 언더범프금속층 170: 접속단자
1000: electronic device 1010: mainboard
1020: chip-related parts 1030: network-related parts
1040: other components 1050: camera
1060: antenna 1070: display
1080: battery 1090: signal line
1100: smartphone 1101: smartphone body
1110: smartphone motherboard 1111: motherboard insulation layer
1112: motherboard wiring 1120: components
1130: smartphone camera 2200: fan-in semiconductor package
2220: semiconductor chip 2221: body
2222: connection pad 2223: passivation film
2240: connecting member 2241: insulating layer
2242: redistribution layer 2243: vias
2250: passivation layer 2260: under bump metal layer
2270: solder ball 2280: underfill resin
2290: molding material 2500: main board
2301: interposer substrate 2302: interposer substrate
2100: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2120: semiconductor chip
2121: body 2122: connection pad
2140: connecting member 2141: insulating layer
2142: redistribution layer 2143: via
2150: passivation layer 2160: under bump metal layer
2170: solder ball 100: semiconductor package
100A, 100B, 100C: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110: first connecting member 111, 112a, 112b, 112c: insulating layer
112a, 112b, 112c, 112d: Redistribution layer 113: Via
112: semiconductor chip 121: body
122: connection pad 123: passivation film
130: encapsulant 131: opening
140: second connection member 141a, 141b: insulating layer
142a, 142b: redistribution layer 143a, 143b: via
201: release film 202: passivation layer
301: carrier film 302: release layer
303: conductor layer 200, 300: laminated film
202H: Openings 161 and 162: Conductor layer
160: under bump metal layer 170: connection terminal

Claims (20)

접속패드가 배치된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을 갖는 반도체칩;
상기 반도체칩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봉합재;
상기 반도체칩의 제1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반도체칩의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재배선층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재배선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패시베이션층; 및
상기 패시베이션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언더범프금속층; 을 포함하며,
상기 언더범프금속층은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표면에 형성된 도체층의 층수가 상기 노출된 재배선층과 상기 개구부의 벽면 상에 형성된 도체층의 층수와 다르며,
상기 언더범프금속층은,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표면에 형성된 제1도체층, 상기 노출된 재배선층과 상기 개구부의 벽면과 상기 제1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도체층, 및 상기 제2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3도체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제2도체층은 상기 제1도체층 및 상기 제3도체층 보다 두께가 얇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 first surface on which a connection pad is disposed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 encapsulant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chip;
A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including a redistribution lay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pad of the semiconductor chip;
A passivation layer disposed on the connection member and having an opening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An under bump metal layer disposed on the passivation layer and fi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Including;
The under bump metal layer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layers of the 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and the number of layers of the 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exposed redistribution layer and the wall surface of the opening.
The under bump metal layer is formed on a first 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a second 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exposed redistribution layer and the opening, and on the first conductor layer, and on the second conductor layer. A third conductor layer formed;
The second conductor layer is thinner than the first conductor layer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표면에 형성된 도체층의 층수가 상기 노출된 재배선층과 상기 개구부의 벽면 상에 형성된 도체층의 층수 보다 많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number of layers of the 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layers of the 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exposed redistribution layer and the opening,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층은 전해구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체층은 무전해구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3도체층은 전해구리를 포함하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ductor layer comprises electrolytic copper, the second conductor layer comprises electroless copper, and the third conductor layer comprises electrolytic copper,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무기 필러 및 절연 수지를 포함하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passivation layer comprises an inorganic filler and an insulating resi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접속패드가 배치된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을 갖는 반도체칩;
상기 반도체칩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봉합재;
상기 반도체칩의 제1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반도체칩의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재배선층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재배선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패시베이션층; 및
상기 패시베이션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언더범프금속층; 을 포함하며,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무기 필러 및 절연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언더범프금속층은,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표면에 형성된 제1도체층, 상기 노출된 재배선층과 상기 개구부의 벽면과 상기 제1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2도체층, 및 상기 제2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3도체층, 을 포함하며,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절연 수지에 포함된 화학반응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도체층의 금속물질과 자가조립(Self-Assembly)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A semiconductor chip having a first surface on which a connection pad is disposed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 encapsulant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miconductor chip;
A conn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including a redistribution lay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pad of the semiconductor chip;
A passivation layer disposed on the connection member and having an opening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An under bump metal layer disposed on the passivation layer and fi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Including;
The passivation layer includes an inorganic filler and an insulating resin,
The under bump metal layer is formed on a first 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ssivation layer, a second 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exposed redistribution layer and the opening, and on the first conductor layer, and on the second conductor layer. A third conductor layer formed;
At least one of the chemical reactors included in the insulating resin of the passivation layer is self-assembled with the metal material of the first conductor layer,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범프금속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반도체칩의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단자;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단자는 적어도 하나가 팬-아웃 영역에 배치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on the under bump metal lay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pad of the semiconductor chip; More,
At least one connection terminal is disposed in the fan-out area,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제 1 항에 있어서,
관통홀을 갖는 프레임;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칩은 상기 프레임의 관통홀에 배치되며,
상기 봉합재는 상기 관통홀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며,
상기 프레임은, 제1절연층, 상기 연결부재와 접하며 상기 제1절연층에 매립된 제1재배선층, 및 상기 제1절연층의 상기 제1재배선층이 매립된측의 반대측 상에 배치된 제2재배선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재배선층은 상기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1,
A frame having a through hole; More,
The semiconductor chip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frame,
The encapsulant fills at least a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he frame may include a first insulating layer, a first rewiring layer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and embedded i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a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buried sid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2 rewiring layer,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rewiring lay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재배선층을 덮는 제2절연층, 및 상기 제2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3재배선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재배선층은 상기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9,
The frame further includes a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covering the second wiring layer, and a third wiring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The third wiring lay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관통홀을 갖는 프레임;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칩은 상기 프레임의 관통홀에 배치되며,
상기 봉합재는 상기 관통홀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며,
상기 프레임은, 제1절연층, 상기 제1절연층의 양면에 배치된 제1재배선층 및 제2재배선층, 상기 제1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재배선층을 덮는 제2절연층, 및 상기 제2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3재배선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재배선층은 상기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1,
A frame having a through hole; More,
The semiconductor chip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frame,
The encapsulant fills at least a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he frame may include a first insulating layer, a first wiring layer and a second wiring layer dis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a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covering the first wiring layer; And a third rewiring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The first to third rewiring lay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절연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재배선층을 덮는 제3절연층, 및 상기 제3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4재배선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재배선층은 상기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15,
The frame further includes a third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to cover the second wiring layer, and a fourth wiring layer disposed on the third insulating layer,
The fourth wiring lay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07687A 2016-06-08 2016-08-24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KR1020452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68,025 US9859222B1 (en) 2016-06-08 2016-12-02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TW105140305A TWI662661B (en) 2016-06-08 2016-12-07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JP2016240422A JP6443893B2 (en) 2016-06-08 2016-12-12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70900 2016-06-08
KR1020160070900 2016-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906A KR20170138906A (en) 2017-12-18
KR102045236B1 true KR102045236B1 (en) 2019-12-02

Family

ID=6092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687A KR102045236B1 (en) 2016-06-08 2016-08-24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5236B1 (en)
TW (1) TWI66266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560A (en) * 2018-04-18 2019-10-28 삼성전기주식회사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KR102465535B1 (en) 2018-11-26 2022-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KR102632367B1 (en) * 2018-12-04 2024-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Semiconductor pack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1823A1 (en) * 2004-01-27 2005-07-28 Casio Computer Co., Ltd. Semiconductor device
JP2011114079A (en) * 2009-11-25 2011-06-09 Renesas Electronics Corp Semiconductor apparatus,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apparatus
US20110254156A1 (en) * 2007-12-03 2011-10-20 Stats Chippac,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Wafer Level Package Integration
JP2012039090A (en) * 2010-07-15 2012-02-23 Shinko Electric Ind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654B1 (en) * 2005-08-01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ferrite shielding structure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9842798B2 (en) * 2012-03-23 2017-12-12 STATS ChipPAC Pte.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PoP device with embedded vertical interconnect uni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1823A1 (en) * 2004-01-27 2005-07-28 Casio Computer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20110254156A1 (en) * 2007-12-03 2011-10-20 Stats Chippac,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Wafer Level Package Integration
JP2011114079A (en) * 2009-11-25 2011-06-09 Renesas Electronics Corp Semiconductor apparatus,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apparatus
JP2012039090A (en) * 2010-07-15 2012-02-23 Shinko Electric Ind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62661B (en) 2019-06-11
KR20170138906A (en) 2017-12-18
TW201743413A (en) 201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593B1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6494122B2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JP6668403B2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629703B2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52900B1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KR102012443B1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JP6443893B2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JP6497684B2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JP6576383B2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KR102015335B1 (en) Electronic component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10818621B2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KR102109569B1 (en) Electronic component packag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017635B1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KR101999625B1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KR102019351B1 (en) Electronic component package and manufactruing method of the same
KR102019350B1 (en) Electronic component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63278B1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08344B1 (en) Semiconductor package
KR20200117224A (en) Semiconductor package
KR102538182B1 (en) Semiconductor package
KR102045236B1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KR20190140160A (en) Semiconductor package
KR20200130925A (en)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