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613B1 -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 Google Patents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613B1
KR102044613B1 KR1020170182356A KR20170182356A KR102044613B1 KR 102044613 B1 KR102044613 B1 KR 102044613B1 KR 1020170182356 A KR1020170182356 A KR 1020170182356A KR 20170182356 A KR20170182356 A KR 20170182356A KR 102044613 B1 KR102044613 B1 KR 102044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
reclining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115A (ko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영 filed Critical 이지영
Priority to KR102017018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61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60N2/287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the back-rest being inclin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유아가 앉는 공간을 제공하는 카시트로서, 상기 카시트의 일부분을 이루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해주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좌석시트; 및 상기 등받이와 상기 좌석시트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유닛은, 상기 카시트 내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양손이나 한 손을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CAR SEAT WITH ADJUSTABLE ANGLE OF BACKREST WITH ONE HAND}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경사 조절이 가능한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의 탑승시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맨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된다. 그런데, 대개의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몸집이 적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아용 보호시트, 일 명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장착하여 그 카시트에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을 하고 있다.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차량의 시트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유아가 착석 가능하도록 하는 시트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베이스부는 유아가 착석하는 시트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시트부의 경사각도를 조절한다던가 혹은 시트부의 설치방향을 전방과 후방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시트부는 유아가 안전하게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차량의 안전벨트가 시트부의 일 측을 관통하여 유아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혹은 시트부 자체에 별도의 안전벨트를 구비하여 유아를 감싸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에 있어서, 소비자가 유아용 카시트를 구입 초기에 유아의 연령에 맞는 크기의 유아용 카시트를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며, 유아의 성장에 따라 유아의 신체가 커질 경우에는 연령에 맞는 새로운 유아용 카시트를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유아의 성장에 따라 매번 유아용 카시트를 구입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연령의 유아라 하더라도 발달 정도에 따라 신체 크기가 차이가 나게 되는데,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연령에 따른 평균 신체 크기에 따라 제작이 이루어지므로 소비자의 입장에서 유아의 신체 크기에 따라 유아용 카시트의 크기를 전혀 조절할 수 없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카시트는 리클라이닝이 자립하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의 제품이 많으며, 취급 및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자립한 제품이라도 전면에 설치된 핸들 등을 회전시켜 리클라이닝 상태를 조작해 놓은 구조가 복잡해, 또한 편리성이 결여 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6-0001873호(발명의 명칭 : 폭가변부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양손이나 한손으로 카시트 등받이의 경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유아가 앉는 공간을 제공하는 카시트로서, 상기 카시트의 일부분을 이루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해주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좌석시트; 및 상기 등받이와 상기 좌석시트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유닛은, 상기 카시트 내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양손이나 한 손을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유닛은, 상기 좌석시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서 상기 등받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제어에 의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제어하는 고정부재; 상기 등받이를 관통하면서 양측의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와 함께 일체로 움직이는 리클라이닝 조절부재; 및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를 상기 등받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좌석시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상하 이동을 통해서 상기 등받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작동레버; 및 상기 작동레버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좌석시트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 후 원상복귀가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가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 및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재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을 통한 분리와 결합에 의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로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는, 상기 등받이를 관통하면서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클라이닝 샤프트;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롱 넛트; 및 상기 좌석시트에 설치되면서 상기 등받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가 상기 좌석시트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을 제공하는 회전축리클라이닝 샤프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스프링; 및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스프링을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에 고정시켜주는 스테이;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클라이닝 샤프트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작동부재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의 작동부재의 작동만으로도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2a, 2b는 각각 상기 카시트의 측면상세 개념도이다.
도 3a, 3b는 각각 상기 경사조절유닛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작동부재와 리클라이닝 조절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경사조절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a,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의 측면도이고, 도 2a, 2b는 상기 카시트의 측면상세 개념도이며, 도 3a, 3b는 상기 경사조절유닛의 내부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작동부재와 리클라이닝 조절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경사조절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유아가 앉는 공간을 제공하는 카시트로서, 본 발명은 등받이(100), 좌석시트(200) 및 경사조절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100)는 카시트의 일부분을 이루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해줄 수 있다.
좌석시트(200)는 등받이(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경사조절유닛(300)은 등받이(100)와 좌석시트(200)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등받이(10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경사조절유닛9300)은 카시트(10) 내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양손이나 한 손을 이용하여 등받이(100)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경사조절유닛(300)은 작동부재(310), 고정부재(320),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 및 고정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재(310)는 좌석시트(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서 등받이(1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작동부재(310)는 작동레버(312) 및 지지스프링(314)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레버(312)는 좌석시트(2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상하 이동을 통해서 등받이(1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지지스프링(314)은 작동레버(312)의 하부에 연결되며 좌석시트(200)에 설치되어 작동레버(312)의 작동 후 원상복귀가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재(320)는 작동부재(310)와 등받이(100)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부재(310)의 제어에 의해 등받이(100)의 경사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고정부재(320)는 브라켓(322) 및 로커(324)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322)은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에 연결되어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가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브라켓(322)은 브라켓(322)의 일부분에 형성된 결합홀에 피스(30)나 볼트 등을 통해서 카시트에 고정될 수 있다.
로커(324)는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와 작동부재(310)에 각각 연결되며 작동부재(310)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면서 브라켓(322)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을 통한 분리와 결합에 의해 등받이(1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는 등받이(100)를 관통하면서 양측의 고정부재(320)에 각각 연결되어 등받이(100)와 함께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는 리클라이닝 샤프트(332), 롱 넛트(334), 및 회전축리클라이닝 샤프트(336)을 포함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샤프트(332)는 등받이(100)를 관통하면서 각각의 고정부재(32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롱 넛트(334)는 리클라이닝 샤프트(332)의 양단에 결합되어 리클라이닝 샤프트(332)를 고정부재(3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회전축리클라이닝 샤프트(336)는 좌석시트(200)에 설치되면서 등받이(100)에 연결되어 리클라이닝 샤프트(332)가 좌석시트(200)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축리클라이닝 샤프트(336)는 일부분에 형성된 핀홀에 고정핀(50)이 수용되면서 카시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340)는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와 등받이(100)에 각각 연결되어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를 등받이(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340)는 고정 스프링(342) 및 스테이(34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스프링(342)은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와 등받이(100)에 각각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스테이(344)는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에 설치되어 고정 스프링(342)을 리클라이닝 조절부재(330)에 고정시켜줄 수 있다.
스테이(344)는 스테이(344)에 형성된 결합홀과 이에 대응하여 리클라이닝 샤프트(332)에 형성된 결합홀에 스크류(20)나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시트는 리클라이닝 샤프트(332)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작동부재(31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의 작동부재(310)의 작동만으로도 등받이(100)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카시트
20 : 스크류
30 : 피스
50 : 고정핀
100 : 등받이
200 : 좌석시트
300 : 경사조절유닛
310 : 작동부재
312 : 작동레버
314 : 지지스프링
320 : 고정부재
322 : 브라켓
324 : 로커
330 : 리클라이닝 조절부재
332 : 리클라이닝 샤프트
334 : 롱 넛트
336 : 회전축리클라이닝 샤프트
340 : 고정부재
342 : 고정 스프링
344 : 스테이

Claims (6)

  1.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유아가 앉는 공간을 제공하는 카시트로서,
    상기 카시트의 일부분을 이루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해주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좌석시트; 및
    상기 등받이와 상기 좌석시트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유닛은,
    상기 카시트 내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양손이나 한 손을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경사조절유닛은,
    상기 좌석시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에 의한 가압을 통해서 상기 등받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제어에 의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제어하는 고정부재;
    상기 등받이를 관통하면서 양측의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와 함께 일체로 움직이는 리클라이닝 조절부재; 및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를 상기 등받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는,
    상기 등받이를 관통하면서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클라이닝 샤프트;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는 롱 넛트; 및
    상기 좌석시트에 설치되면서 상기 등받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샤프트가 상기 좌석시트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을 제공하는 회전축리클라이닝 샤프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좌석시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상하 이동을 통해서 상기 등받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작동레버; 및
    상기 작동레버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좌석시트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 후 원상복귀가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가 이동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 및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재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을 통한 분리와 결합에 의해 상기 등받이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로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와 상기 등받이에 각각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스프링; 및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스프링을 상기 리클라이닝 조절부재에 고정시켜주는 스테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KR1020170182356A 2017-12-28 2017-12-28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KR102044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356A KR102044613B1 (ko) 2017-12-28 2017-12-28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356A KR102044613B1 (ko) 2017-12-28 2017-12-28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115A KR20190080115A (ko) 2019-07-08
KR102044613B1 true KR102044613B1 (ko) 2019-11-13

Family

ID=6725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356A KR102044613B1 (ko) 2017-12-28 2017-12-28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6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8002B2 (ja) * 1997-01-08 2002-06-04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KR100825110B1 (ko) * 2006-08-16 2008-04-25 주식회사 순성산업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KR20160001873A (ko) 2014-06-27 2016-01-07 (유)삼송 폭가변부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115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6533B2 (en) Torsion bar upper seatback support assembly
JP2020097414A (ja) 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866149B1 (ko) 폭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US9333882B2 (en) Manual upper seatback support
AU2014340935B2 (en) Footrest for car seat
CN105667353B (zh) 可后倾座椅
US9504326B1 (en) Reclining chair
WO2016199919A1 (ja) 移動調整システム
KR102173773B1 (ko) 위치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KR102208169B1 (ko) 차량용 시트
JP5167359B2 (ja) 自動車シート用子供保護システム
KR20180061582A (ko) 자동차 시트의 4웨이 등받이 프레임
KR102044613B1 (ko) 한 손으로 등받이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EP2662235B1 (en) Child vehicle seat and seat and base suitable for such a child vehicle seat
AU2006203692B2 (en) Adjustable recline device for child safety seat
EP0832811A1 (en) Bicycle baby-seat
JP5584035B2 (ja) 育児器具の座席構造および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02201315B1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JPH10258654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CN111565969B (zh) 儿童座椅装置
KR102349798B1 (ko) 무단 미세조정이 가능한 유아용 부스터 시트
JP2006224847A (ja) 車両用シート
KR102107413B1 (ko) 가변형 차량용 시트
KR101572375B1 (ko) 유아용 카시트
KR102647189B1 (ko) 차량용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