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504B1 -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 Google Patents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504B1
KR102043504B1 KR1020170124606A KR20170124606A KR102043504B1 KR 102043504 B1 KR102043504 B1 KR 102043504B1 KR 1020170124606 A KR1020170124606 A KR 1020170124606A KR 20170124606 A KR20170124606 A KR 20170124606A KR 102043504 B1 KR102043504 B1 KR 102043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zinc
conductive polymer
manufacturing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423A (ko
Inventor
최강호
김종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4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5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9/00Electrolytic coating other than with metals
    • C25D9/02Electrolytic coating other than with metals with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8/00Alloys based on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8/00Alloys based on zinc
    • C22C18/04Alloys based on zinc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2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C25D5/50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by heat-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Abstract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과 관련한 발명이 개시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판 제조방법은 알루미늄(Al) 0.01~5.0M, 마그네슘(Mg) 0.001~3.0M, 옥살산(oxalic acid) 0.001~0.5M 및 아닐린(aniline) 0.1~5.0M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전해 중합하여, 전도성 중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중합물을 아연 혼합액에 첨가하여, 도금액을 제조하는 단계; 베이스 강판을 상기 도금액에 침지하고 전기도금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강판을 합금화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MANUFACTURING METHOD FOR ZINC ALLOY ELECTROPLATED STEEL SHEET USING CONDUCTING POLYMER AND ZINC ALLOY ELECTROPLATED STEEL THEREOF}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식성 및 작업 안정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에 관한 것이다.
냉연강판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용융도금법 및 전기화학도금법 등을 적용하여, 아연(Zn) 및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을 냉연강판 표면에 피복시키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에 관한 연구는 응용분야가 한정되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가, 1993년 독일의 지펠링-케슬러(Zipperling-Kessler) 연구진이, 표면부식 현상 억제 효과와 관련한 논문이 발표된 이래로, 이를 실용화하는 기술이 크게 발전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4747호(2017.05.11. 공고, 발명의 명칭: 용기용 강판 및 용기용 강판의 제조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식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금층 구성 성분의 함량과, 도금층 부착량의 제어가 용이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조시 작업 안정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은 알루미늄(Al) 0.01~5.0M, 마그네슘(Mg) 0.001~3.0M, 옥살산(oxalic acid) 0.001~0.5M, 황산(H2SO4) 0.01~1.0M 및 아닐린(aniline) 0.1~5.0M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전해 중합하여, 전도성 중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중합물을 아연 혼합액에 첨가하여, 도금액을 제조하는 단계; 베이스 강판을 상기 도금액에 침지하고 전기도금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강판을 합금화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아연 혼합액은 황산(H2SO4) 0.01~1.0M 및 아연(Zn) 0.05~8.0M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기 도금은, 10~40A/dm2의 전류밀도로 도금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루미늄, 마그네슘, 옥살산, 황산 및 아닐린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0.1~100 쿨롱(coulomb)의 전하량으로 전해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합금화 열처리는, 상기 베이스 강판을 400~600℃의 온도로 열처리 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물의 pH는 1~4이며, 온도는 20~8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강판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아연게 전기합금강판은 베이스 강판; 및 상기 베이스 강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합금층;을 포함하며, 상기 합금층은, 아연(Zn), 알루미늄(Al) 및 마그네슘(Mg)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합금층은 알루미늄 0.5~10 중량%, 마그네슘 0.01~5 중량% 및 잔량의 아연(Z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시, 내식성 및 부착성이 우수하며,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하고, 도금층 구성 성분의 함량과, 도금층 부착량의 제어가 용이하며, 제조시 작업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도금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베이스 강판에 도금층을 형성한 것이며, 도 3(b)는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베이스 강판을 합금화 열처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은 (S10) 전도성 중합물 제조 단계; (S20) 도금액 제조 단계; (S30) 전기도금 단계; 및 (S40) 합금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은 (S10) (S10) 알루미늄(Al) 0.01~5.0M, 마그네슘(Mg) 0.001~3.0M, 옥살산(oxalic acid) 0.001~0.5M, 황산(H2SO4) 0.01~1.0M 및 아닐린(aniline) 0.1~5.0M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전해 중합하여, 전도성 중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S20) 상기 전도성 중합물을 아연 혼합액에 첨가하여, 도금액을 제조하는 단계; (S30) 베이스 강판을 상기 도금액에 침지하고 전기도금하는 단계; 및 (S40) 상기 베이스 강판을 합금화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10) 전도성 중합물 제조 단계
상기 단계는 알루미늄(Al) 0.01~5.0M, 마그네슘(Mg) 0.001~3.0M, 옥살산(oxalic acid) 0.001~0.5M 및 아닐린(aniline) 0.1~5.0M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전해 중합하여, 전도성 중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은 수용액 속에서 산화가 급격하게 일어나 폭발 위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이 수소(H)를 기준으로 한 표준전위가 각각 -1.662V 및 -2.363V로 물의 수소발생 전위인 0V보다 훨씬 비(base)하기 때문에 수용액에서 금속 알루미늄이나 금속 마그네슘으로 석출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알루미늄, 마그네슘, 옥살산 및 아닐린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전해 중합하여 전도성 중합물의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강판 표면에 상기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도금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은, 내식성 향상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도성 중합물 제조시, 상기 알루미늄은 상기 혼합물 중 0.01~5.0M의 몰농도(molarity)로 포함된다. 상기 알루미늄을 0.01M 미만으로 포함시, 본 발명의 내식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5.0M을 초과하여 포함시, 도금층의 밀착성, 용접성 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은 내식성 향상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도성 중합물 제조시, 상기 마그네슘은 상기 혼합물 중 0.001~3.0M의 농도로 포함된다. 상기 마그네슘을 0.001M 미만으로 포함시, 내식성 확보가 어려우며, 3.0M를 초과하여 포함시 도금층의 밀착성, 용접성 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옥살산(oxalic acid), 황산(H2SO4) 및 아닐린(aniline)은 전도성 중합물 형성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도성 중합물 제조시, 상기 옥살산은 상기 혼합물 중 0.001~0.5M의 농도로 포함된다. 상기 옥살산을 0.001M 미만으로 포함시, 내식성이 저하되며, 0.5M를 초과하는 농도로 포함시, 전해 중합 효율이 저하되어, 전도성 중합물이 용이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도성 중합물 제조시, 상기 황산은 상기 혼합물 중 0.01~1.0M의 농도로 포함된다. 상기 황산을 0.01M 미만으로 포함시, 전해 중합 효율이 저하되며, 1.0M을 초과하는 농도로 포함시 전도성 중합물이 용이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아닐린은, 단량체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도성 중합물 제조시, 상기 아닐린은 상기 혼합물 중 0.1~5.0M의 농도로 포함된다. 상기 아닐린을 0.1M 미만으로 포함시, 내식성이 저하되며, 5.0M를 초과하는 농도로 포함시, 전해 중합 효율이 저하되어, 전도성 중합물이 용이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중합물은, 상기 알루미늄, 마그네슘, 옥살산, 황산 및 아닐린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0.1~100 쿨롱(coulomb)의 전하량으로 전해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하량으로 전해 중합시, 폴리아닐린(polyaniline)이 용이하게 형성되며, 추후 전기 도금시 강판 표면에 도금층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내식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물의 pH는 1~4이며, 온도는 20~80℃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전해 중합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S20) 도금액 제조 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전도성 중합물을 아연 혼합액에 첨가하여, 도금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아연 혼합액은 황산(H2SO4) 0.01~1.0M 및 아연(Zn) 0.05~8.0M을 포함한다.
하기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도금액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금액은 황산 및 아연을 포함하는 아연 혼합액(20)에, 상기 전도성 중합물(10)이 분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황산을 0.01M 미만으로 포함시, 강판 표면에 도금층이 용이하게 형성되지 않으며, 1.0M을 초과하여 포함시, 상기 도금층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아연을 0.05M 미만으로 포함시, 도금층의 내식성이 저하되며, 8.0M를 초과하여 포함시 부착성 및 도금층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도금액은 pH 1~3이며, 온도는 40~70℃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도금층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S30) 전기도금 단계
상기 단계는 베이스 강판을 상기 도금액에 침지하고 전기도금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기 도금은, 베이스 강판 표면에 상기 도금액을 이용하여, 10~40A/dm2의 전류밀도로 도금하여,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류밀도 조건에서, 도금층 부착량과 도금층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S40) 합금화 열처리 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베이스 강판을 합금화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합금화 열처리는, 상기 베이스 강판을 400~600℃의 온도로 열처리 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합금화 효율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베이스 강판에 도금층을 형성한 것이며, 도 3(b)는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베이스 강판을 합금화 열처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강판(100)의 표면에 상기 도금액을 전기 도금하여, 도금층(30, 31)을 형성한 다음, 합금화 열처리를 통해 베이스 강판(100)의 표면에 알루미늄-마그네슘-아연계 합금층(110, 111)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시, 내식성 및 부착성이 우수하며, 가공성 및 용접성이 우수하고, 용융도금 방식보다 도금층 구성 성분의 함량과, 도금층 부착량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제조시 작업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강판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강판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은 베이스 강판; 및 상기 베이스 강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합금층;을 포함하며, 상기 합금층은, 아연(Zn), 알루미늄(Al) 및 마그네슘(Mg)을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합금층은 알루미늄(Al) 0.5~10 중량%, 마그네슘(Mg) 0.01~5 중량% 및 잔량의 아연(Z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0.5~10 중량%, 마그네슘 0.01~5 중량% 및 아연(Zn) 86~9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합금층의 두께는 1~20㎛일 수 있다. 상기 두께에서 부착성, 내식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알루미늄(Al) 0.01~5.0M, 마그네슘(Mg) 0.001~3.0M, 옥살산(oxalic acid) 0.001~0.5M, 황산(H2SO4) 0.01~1.0M 및 아닐린(aniline) 0.1~5.0M을 포함하며, pH 2.5 및 온도 50℃의 혼합물을 0.1~100 쿨롱(coulomb)의 전하량으로 전해 중합하여, 전도성 중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전도성 중합물을 황산(H2SO4) 0.01~1.0M 및 아연(Zn) 0.05~8.0M을 포함하는 아연 혼합액에 첨가하여, pH 1.5 및 온도 55℃의 도금액을 제조하였다.
베이스 강판을 상기 도금액에 침지하고 10~40A/dm2의 전류밀도로 전기도금하여, 상기 베이스 강판의 양면에, 도금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베이스 강판을 400~600℃의 온도로 합금화 열처리하여, 아연(Zn), 알루미늄(Al) 및 마그네슘(Mg)을 포함하는 두께 5㎛의 합금층을 형성하여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강판에 대하여, JIS Z2371에 규정된 방식으로 염수분무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내식성 평가는 5% NaCl로 480시간 동안 염수 분무 실험후 부식감량이 0.05g/cm2 미만이면 양호, 그 이상이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평가 결과, 상기 실시예 강판은 부식감량이 0.05g/cm2 미만으로 측정되어, 내식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전도성 중합물 20: 아연 혼합액
30, 31: 도금층 100: 베이스 강판
110, 111: 합금층

Claims (7)

  1. 알루미늄(Al) 0.01~5.0M, 마그네슘(Mg) 0.001~3.0M, 옥살산(oxalic acid) 0.001~0.5M, 황산(H2SO4) 0.01~1.0M 및 아닐린(aniline) 0.1~5.0M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전해 중합하여, 전도성 중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중합물을 아연 혼합액에 첨가하여, 도금액을 제조하는 단계;
    베이스 강판을 상기 도금액에 침지하고 전기도금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강판을 합금화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아연 혼합액은 황산(H2SO4) 0.01~1.0M 및 아연(Zn) 0.05~8.0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도금은, 10~40A/dm2의 전류밀도로 도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중합물은, 상기 알루미늄, 마그네슘, 옥살산, 황산 및 아닐린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0.1~100 쿨롱(coulomb)의 전하량으로 전해 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화 열처리는, 상기 베이스 강판을 400~600℃의 온도로 열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pH는 1~4이며, 온도는 2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70124606A 2017-09-26 2017-09-26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KR102043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606A KR102043504B1 (ko) 2017-09-26 2017-09-26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606A KR102043504B1 (ko) 2017-09-26 2017-09-26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423A KR20190035423A (ko) 2019-04-03
KR102043504B1 true KR102043504B1 (ko) 2019-11-11

Family

ID=6616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606A KR102043504B1 (ko) 2017-09-26 2017-09-26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50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7275B1 (fr) * 2002-11-19 2006-03-31 Usinor Tole d'acier nu ou d'acier zingue revetue d'une couche de zinc ou d'alliage de zinc comprenant un polymere, et procede de fabrication par electrodeposition
KR100877921B1 (ko) * 2007-05-30 2009-01-12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전해(電解) 중합을 이용한 갈바륨 표면처리강판의 제조방법
KR101223879B1 (ko) * 2010-11-12 2013-01-17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액 조성물 및 상기를 이용한 피막 형성 방법
KR20160083313A (ko) * 2014-12-30 2016-07-12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단면 내식성이 우수한 도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423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shu et al. Influence of electrodeposition conditions on the microstructure and corrosion resistance of Zn–Ni alloy coatings from a deep eutectic solvent
Martins et al. Polypyrrole coatings as a treatment for zinc-coated steel surfaces against corrosion
EP1009868B1 (en) Electrochemical deposition of a composite polymer-metal oxide
Turhan et al. Electrochemical polymer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yrrole on Mg–Al alloy (AZ91D)
Fenelon et al. The electropolymerization of pyrrole at a CuNi electrode: corrosion protection properties
TWI518210B (zh) 電解銅箔、該電解銅箔之製造方法及使用該電解銅箔而得之表面處理銅箔
Contu et al. Further insight into the mechanism of Re–Ni electrodeposition from concentrated aqueous citrate baths
Bajat et al. Protective properties of epoxy coatings electrodeposited on steel electrochemically modified by Zn–Ni alloys
Mrad et al. Effect of doping by corrosion inhibitors on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and the performance against corrosion of polypyrrole electrodeposited on AA6061-T6
Ozyilmaz et al. Electrochemical synthesis of polyaniline films on zinc-cobalt alloy deposited carbon steel surface in sodium oxalate
Bučko et al. The protective properties of epoxy coating electrodeposited on Zn–Mn alloy substrate
Karahan Effects of pH value of the electrolyte and glycine additive on formation and properties of electrodeposited Zn-Fe coatings
Huang et al. Corrosion behavior of Cr/Cu-coated Mg alloy (AZ91D) in 0.1 M H2SO4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Cl
KR102043504B1 (ko)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아연계 전기합금 강판
Zhang et al. Electrodeposition of Cu-Zn alloy from EMImTfO ionic liquid/ethanol mixtures for replacing the cyanide zincate layer on Al alloy
Ozyilmaz et al. Different copolymer films on ZnFeCo particles: Synthesis and anticorrosion properties
US20180079175A1 (en) Coated steel parts and production methods thereof
JP6862316B2 (ja)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85199A (ja) 亜鉛系電気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Ghosh Electrodeposition of Cu, Sn and Cu-Sn alloy from choline chloride ionic liquid
KR100877921B1 (ko) 전도성 고분자 전해(電解) 중합을 이용한 갈바륨 표면처리강판의 제조방법
YuanGang et al. Microarc electrodeposition of ceramic films on double electrodes of AZ91D magnesium alloy by symmetrical ac pulse method
JP2006506531A (ja) 裸鋼板あるいは、亜鉛層であるいはポリマーを含む亜鉛合金層で被覆される亜鉛めっきを施された鋼板、および電気めっきによる製造方法
Anicai et al. Polypyrrole Films Doped with Phosphomolybdate Anions on Al Surfaces–Formation and Corrosion Protection Characterisation
JP6124086B2 (ja) アルミニウム膜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