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216B1 -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216B1
KR102043216B1 KR1020170103966A KR20170103966A KR102043216B1 KR 102043216 B1 KR102043216 B1 KR 102043216B1 KR 1020170103966 A KR1020170103966 A KR 1020170103966A KR 20170103966 A KR20170103966 A KR 20170103966A KR 102043216 B1 KR102043216 B1 KR 102043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actor
relay
converter
power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288A (ko
Inventor
유재도
안현상
최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3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2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3Converters switched with a phase shift, i.e. interleav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02M3/158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switched with a phase shift, i.e. interleav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 H02M2001/0009
    • H02M2001/0032
    • H02M2003/158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02B70/126
    • Y02B70/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력 변환 장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원에 대해 역률 개선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교류 전원과 정류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리액터, 및 상기 정류부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두 채널을 구성하는 인터리브드 컨버터(interleaved converter)를 구비하는 역률제어부; 상기 역률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DC-링크 커패시터; 및 상기 역률제어부를 제어하여 싱글 컨버터 또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Power trans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power trans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압축기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모터에는 전력 변환 장치로부터 교류 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은 전력 변환 장치는 주로, 정류부, 역률제어부 및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우선, 상용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의 상용 전압은, 정류부에 의하여 정류된다. 이러한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압은 인버터에 공급된다. 이때, 인버터에서는 정류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교류 전력을 생성한다.
경우에 따라, 정류부와 인버터 사이에는 역률 개선을 위한 직류-직류 컨버터(DC-DC converter)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정류부에서 출력된 전압 또는 컨버터에서 출력된 전압은 DC-링크 커패시터에 충전되고, 이렇게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여 인버터에서 모터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높은 전력 밀도가 필요하다면 능동 PFC 회로를 두 단계로 병렬 삽입하고, 각각 전력의 50%씩 처리하도록 하고, 각 단계의 상이 서로 180도를 이루도록 작동하게 만들 수 있는데, 이러한 컨버터를 인터리브드(interleaved) 컨버터라고 한다.
즉, 부하의 소비 전력이 작은 경우에는 단상의 싱글(single) 컨버터를 사용하고 소비 전력이 큰 경우에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싱글 컨버터 또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2297호에는 부하 레벨에 따라 인터리브드 컨버터 중 동작되는 컨버터의 개수를 가변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컨버터의 각 스위칭 소자는 일반적으로 온/오프(ON/OFF)가 반복되는 PWM 신호에 의해 고속 스위칭되는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또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IGBT)로 구현되는데, 그러한 2개의 스위칭 소자 중 하나만을 항시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는 것은 회로 소자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제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역률제어부가 싱글 컨버터 또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 변환 장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원에 대해 역률 개선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교류 전원과 정류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리액터, 및 상기 정류부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두 채널을 구성하는 인터리브드 컨버터(interleaved converter)를 구비하는 역률제어부; 상기 역률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DC-링크 커패시터; 및 상기 역률제어부를 제어하여 싱글 컨버터 또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역률제어부는 복수의 리액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리액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릴레이를 단속하여 각 리액터로의 통전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률제어부는, 상기 정류부에 직렬로 연결되고 서로 병렬 연결되는 제2 리액터와 제3 리액터; 상기 제2 리액터와 제3 리액터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와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리액터와 제1 다이오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3 리액터와 제2 다이오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리액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2 리액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제2 다이오드는 각각 패스트 리커버리 다이오드(FRD: Fast Recovery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소비 전력이 소정값 미만이면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2 릴레이를 온(ON)하여 상기 역률제어부가 싱글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하고, 소비 전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1 릴레이를 온(ON)하고 상기 제2 릴레이를 오프(OFF)하여 상기 역률제어부가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 변환 장치는 상기 교류 전원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 및 상기 DC-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감지부의 전류값과 상기 전압감지부의 전압값으로부터 소비 전력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류부, 상기 역률제어부, 및 상기 DC-링크 커패시터는 하나의 PCB(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한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방법은,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에 연결되어 역률 개선 동작을 수행하며 선택적으로 싱글 컨버터와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기능하는 역률제어부를 구비하는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력 변환 장치에 3상 교류 전력을 사용하는 부하를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역률제어부에 구비된 복수의 리액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역률제어부가 싱글 컨버터로 작동하도록(싱글 모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전력 변환 장치에 구비된 전류감지부와 전압감지부에 의해 전류값과 전압값을 측정하여 소비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소비 전력이 소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 전력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역률제어부가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인터리브드 모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된 소비 전력이 소정값 미만으로 떨어졌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 전력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역률제어부가 싱글 컨버터로 기능하도록(싱글 모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률제어부는, 상기 교류 전원과 정류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리액터; 상기 정류부에 직렬로 연결되고 서로 병렬 연결되는 제2 리액터와 제3 리액터; 상기 제2 리액터와 제3 리액터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와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리액터와 제1 다이오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3 리액터와 제2 다이오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리액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2 리액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싱글 모드에서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2 릴레이를 온(ON)하며, 상기 인터리브드 모드에서 상기 제1 릴레이를 온(ON)하고 상기 제2 릴레이를 오프(OFF)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류부, 싱글 컨버터 또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할 수 있는 역률제어부, 및 DC-링크 커패시터를 하나의 PCB(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소비 전력의 크기에 따라 역률제어부가 싱글 컨버터 또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 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변환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감지부들과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부품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1의 전력 변환 장치에서 싱글 컨버터로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력 변환 장치에서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변환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2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감지부들과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부품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 변환 장치는 교류 전원(10)을 정류하는 정류부(30), 정류부(30)에서 정류된 DC 전압을 승/강압하거나 역률을 제어하는 역률제어부(40), 모터(70)를 구동하기 위한 3상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인버터(60), 및 역률제어부(40)와 인버터(60)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DC-링크(DC-link) 커패시터(C)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30)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10)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정류된 전력을 역률제어부(40) 측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정류부(30)는 브리지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파 정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역률제어부(40)는 직류-직류(DC-DC) 컨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류-직류(DC-DC) 컨버터는 승압 컨버터(boost converter)를 이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역률제어부(40)는 정류부(30)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 역률제어부(40)는 승압 컨버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와 같이, 역률제어부(40)는 정류부(30)에서 정류된 전압 신호를 승압 및 평활화하는 과정에서 역률 개선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역률제어부(40)는, 정류부(30)에 연결되는 인덕터(L), 이 인덕터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IGBT), 및 스위칭 소자와 DC-링크 커패시터(C) 사이에 연결되는 다이오드(D)를 포함할 수 있다.
승압 컨버터는 입력전압보다 높은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는 컨버터로서, 스위칭 소자가 도통되면 다이오드가 차단되면서 인덕터에 에너지가 저장되며, DC-링크 커패시터(C)에 저장되어 있던 전하가 방전하면서 출력단에 출력전압을 발생시킨다.
또한, 스위칭 소자(IGBT)가 차단되면 스위칭 소자 도통 시 인덕터(L)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더해져서 출력단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는 별도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동작을 할 수 있다. 즉, 컨버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PWM 신호가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gate; 또는 베이스) 단에 연결되어, 이 PWM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동작을 할 수 있다.
컨버터 제어부는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PWM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구동부와, 이러한 게이트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 소자는, 전력 트랜지스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IGBT)를 이용할 수 있다.
IGBT는 전력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transistor)의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switching) 소자로서, 구동전력이 작고, 고속 스위칭, 고내압화, 고전류 밀도화가 가능한 소자이다.
이와 같이, 컨버터 제어부는 역률제어부(40) 내의 스위칭 소자의 턴 온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소자의 턴 온 타이밍을 위한 컨버터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버터 제어부는 입력 전압 검출부와 입력 전류 검출부로부터 각각, 입력 전압과 입력 전류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전류 검출부는 정류부(30) 전단에 위치되어 교류 전원(10)으로부터의 입력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입력 전류 검출부는 전류 검출을 위해, 전류센서, CT(current transformer), 션트 저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된 입력 전류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컨버터 제어 신호의 생성을 위해 컨버터 제어부에 인가될 수 있다.
입력 전압 검출부는 정류부(30) 전단에 위치되어 교류 전원(10)으로부터의 입력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입력 전압 검출부는 전압 검출을 위해, 저항 소자, OP 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된 입력 전압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컨버터 제어 신호의 생성을 위해, 컨버터 제어부에 인가될 수 있다.
인버터(60)는 인버터 제어부에 의해 구동 신호가 인가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인버터(60)는 3상 교류 전류를 출력하며, 이러한 출력 전류는 모터(70)에 공급된다. 여기서, 모터(70)는 공기 조화기를 구동하는 압축기 모터일 수 있다. 이하, 모터(70)는 공기 조화기를 구동하는 압축기 모터이고, 전력 변환 장치는 이러한 압축기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장치인 것을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모터(70)는 압축기 모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파수 가변된 교류 전압을 이용하는 다양한 응용제품, 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전동차, 자동차, 청소기 등의 교류 모터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모터 구동장치는, DC 전압 검출부와 출력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 구동장치는, 계통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 변환하여, 모터(70)에 변환된 3상 전력을 공급한다.
DC 전압 검출부는 DC-링크 커패시터(C)의 맥동하는 전압을 검출한다. 이러한 전원 검출을 위해, 저항 소자, OP AM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된 DC-링크 커패시터(C)의 전압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에 인가될 수 있으며, DC-링크 커패시터(C)의 직류 전압에 기초하여 인버터 제어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출력 전류 검출부는, 인버터(60)와 모터(7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모터(7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는 각 상의 출력 전류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3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출력 전류 검출부는 인버터(60)와 모터(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CT(current tran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인버터(60)는, 복수 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역률제어부(40)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을 소정 주파수의 3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3상 모터(70)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버터(6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측 스위칭 소자 및 하측 스위칭 소자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측 및 하측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역률제어부(40)와 마찬가지로, 인버터(60)의 스위칭 소자는 전력 트랜지스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IGBT)를 이용할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는, 인버터(6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제어신호를 인버터(60)에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 제어신호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모터(70)에 흐르는 출력 전류 및 DC-링크 커패시터(C) 양단인 DC-링크 전압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의 출력 전류는, 출력전류 검출부로부터 검출될 수 있으며, DC-링크 전압은 DC-링크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는 인버터(60)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에 PWM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구동부(gate driver)와, 이러한 게이트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역률제어부(40)의 게이트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와 인버터(60)의 게이트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는 동일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어부(100, 도 2 참조)가 역률제어부(40)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인버터(60)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제어부(100)가 역률제어부(40)에 구비되는 릴레이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역률제어부(40)는 선택적으로 싱글 컨버터 또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교류 전원(10)과 정류부(3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리액터(L1)와, 정류부(30)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두 채널을 구성하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역률제어부(40)는 복수의 리액터를 포함하고, 제어부(100)는 복수의 리액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릴레이를 단속하여 각 리액터로의 통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역률제어부가 싱글 컨버터 또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싱글 컨버터는, 교류 전원(10)과 정류부(3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리액터(L1), 정류부(30)에 병렬로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IGBT1), 및 스위칭 소자와 DC-링크 커패시터(C)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다이오드(D)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리브드 컨버터는, 정류부(30)에 연결되고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2개의 리액터(L2, L3), 2개의 리액터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2개의 다이오드(D1, D2), 및 리액터와 다이오드 사이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2개의 스위칭 소자(IBGT1, IGBT2)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리브드 컨버터는 리액터, 스위칭 소자,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채널을 2개 구비하는 것이다. 두 채널은 서로 180도의 위상 차이를 갖고 교번적으로 작동된다.
상기 교류 전원(10)과 정류부(3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리액터(L1)를 제1 리액터(L1)라 하고, 정류부(30)에 연결되고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2개의 리액터(L2, L3)를 제2 리액터(L2) 및 제3 리액터(L3)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다이오드(D1)는 제2 리액터(L2)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1 스위칭 소자(IGBT1)는 제2 리액터(L2)와 제1 다이오드(D1)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제2 다이오드(D1)는 제3 리액터(L3)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2 스위칭 소자(IGBT2)는 제3 리액터(L3)와 제2 다이오드(D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제1 릴레이(RY1)는 제1 리액터(L1)에 병렬로 연결되고, 제2 릴레이(RY2)는 제2 리액터(L2)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다이오드(D1)와 제2 다이오드(D2)는 패스트 리커버리 다이오드(FRD: Fast Recovery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스트 리커버리 다이오드(FRD)는 PN형 접합 정류 소자로, 역방향 회복 시간(TRR: Time of Reverse Recovery)이 짧고, 고주파 전원의 정류에 적합한 다이오드이다.
일반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고주파에서 스위칭 손실이 크지만, 패스트 리커버리 다이오드(FRD)를 사용하면 고주파에서의 스위칭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 스위칭 소자(IGBT1) 및 제2 스위칭 소자(IGBT2)에 PWM 신호를 인가함은 물론, 상기 제1 릴레이(RY1) 및 제2 릴레이(RY2)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한다.
제어부(100)가 제1 릴레이(RY1)를 열어서(Open) 오프(OFF)하고 제2 릴레이(RY2)를 닫아서(Close) 온(OFF)하면, 역률제어부(40)는 단상(single phase)의 싱글 컨버터로 작동한다.
반대로, 제어부(100)가 제1 릴레이(RY1)를 닫아서(Close) 온(OFF)하고 제2 릴레이(RY2)를 열어서(Open) 오프(OFF)하면, 역률제어부(40)는 2채널(two channel)의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한다.
이렇게 제어부(100)가 역률제어부(40)의 각 릴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소비전력의 크기를 기준으로 달라질 수 있다.
즉, 소비 전력이 소정값 미만이면 싱글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소비 전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하는 컨버터의 종류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소비 전력은 예를 들어 3kW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소비 전력이 3kW 이상이면 제어부(100)는 역률제어부(40)가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각 릴레이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 장치는 교류 전원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20)와 DC-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감지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감지부(20)는 상기한 입력 전류 검출부에 해당될 수 있다.
전압감지부(50)는 상기한 DC 전압 검출부에 해당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전류감지부(20)의 전류값과 전압감지부(50)의 전압값을 곱하여 소비 전력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래서, 소비전력이 3kW 이상이 되면 역률제어부(40)가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각 릴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류부, 싱글 컨버터 또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할 수 있는 역률제어부, 및 DC-링크 커패시터를 하나의 PCB(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4는 도 1의 전력 변환 장치에서 싱글 컨버터로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전력 변환 장치에서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전력 변환 장치에 작동 명령을 인가하면 작동되기 시작한다(S10). 이는 공기 조화기에 교류 전원을 연결하고 작동 스위치를 온(ON)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제1 릴레이(RY1)를 열어서(Open) 오프(OFF)하고 제2 릴레이(RY2)를 닫아서(Close) 온(ON)한다. 이에 따라 역률제어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글 컨버터로 작동한다.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회로 소자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전력 변환 장치가 작동되기 시작한 이후에는 전류감지부와 전압감지부에 의해 전류값과 전압값을 측정하여 소비 전력을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소비 전력이 소정값(예를 들어 3kW)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만약, 소비 전력이 소정값(3kW) 이상이 되면, 제어부(100)는 제1 릴레이(RY1)를 닫아서(Close) 온(ON)하고 제2 릴레이(RY2)를 열어서(Open) 오프(OFF)한다. 이에 따라 역률제어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한다. 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제1 리액터(L1)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계속해서 소비 전력을 계산하여 소비 전력이 소정값 미만으로 떨어지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한다(S50).
만약, 소비 전력이 소정값 미만으로 떨어진다면 제1 릴레이(RY1) 및 제2 릴레이(RY2)의 온/오프(ON/OFF) 상태를 반대로 스위칭하여 역률제어부(40)가 싱글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소비 전력이 소정값 이상으로 유지된다면 역률제어부(40)가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는 것을 유지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 전력의 크기에 따라 역률제어부가 싱글 컨버터 또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 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교류 전원 20: 전류감지부
30: 정류부 40: 역률제어부
50: 전압감지부 60: 인버터
70: 모터 100: 제어부

Claims (12)

  1.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원에 대해 역률 개선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교류 전원과 정류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리액터, 및 상기 정류부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서로 병렬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에 각각 연결되어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2 리액터 및 제3 리액터, 그리고 상기 제1 리액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2 리액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두 채널의 승압 컨버터를 구성하는 인터리브드 컨버터(interleaved converter)를 구비하는 역률제어부;
    상기 역률제어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DC-링크 커패시터; 및
    상기 역률제어부를 제어하여 싱글 컨버터 또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제어부는 복수의 리액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리액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릴레이를 단속하여 각 리액터로의 통전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채널의 승압 컨버터는,
    상기 정류부에 직렬로 연결되고 서로 병렬 연결되는 상기 제2 리액터와 제3 리액터;
    상기 제2 리액터와 제3 리액터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와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리액터와 제1 다이오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3 리액터와 제2 다이오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제2 다이오드는 각각 패스트 리커버리 다이오드(FRD: Fast Recovery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비 전력이 소정값 미만이면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2 릴레이를 온(ON)하여 상기 역률제어부가 싱글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하고, 소비 전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1 릴레이를 온(ON)하고 상기 제2 릴레이를 오프(OFF)하여 상기 역률제어부가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 및
    상기 DC-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감지부의 전류값과 상기 전압감지부의 전압값으로부터 소비 전력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 상기 역률제어부, 및 상기 DC-링크 커패시터는 하나의 PCB(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에 연결되어 역률 개선 동작을 수행하고, 선택적으로 싱글 컨버터와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기능하는 역률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역률제어부는 상기 교류 전원과 정류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리액터, 및 서로 병렬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에 각각 연결되어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2 리액터 및 제3 리액터, 그리고 상기 제1 리액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2 리액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는 두 채널의 승압 컨버터를 구성하는 인터리브드 컨버터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력 변환 장치에 3상 교류 전력을 사용하는 부하를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역률제어부에 구비된 복수의 리액터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역률제어부가 싱글 컨버터로 작동하도록(싱글 모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전력 변환 장치에 구비된 전류감지부와 전압감지부에 의해 전류값과 전압값을 측정하여 소비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소비 전력이 소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 전력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역률제어부가 인터리브드 컨버터로 작동하도록(인터리브드 모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소비 전력이 소정값 미만으로 떨어졌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 전력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역률제어부가 싱글 컨버터로 기능하도록(싱글 모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제어부는,
    상기 교류 전원과 정류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리액터;
    상기 정류부에 직렬로 연결되고 서로 병렬 연결되는 상기 제2 리액터와 제3 리액터;
    상기 제2 리액터와 제3 리액터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와 제2 다이오드;
    상기 제2 리액터와 제1 다이오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3 리액터와 제2 다이오드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 모드에서 상기 제1 릴레이를 오프(OFF)하고 상기 제2 릴레이를 온(ON)하며,
    상기 인터리브드 모드에서 상기 제1 릴레이를 온(ON)하고 상기 제2 릴레이를 오프(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103966A 2017-08-17 2017-08-17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4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66A KR102043216B1 (ko) 2017-08-17 2017-08-17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966A KR102043216B1 (ko) 2017-08-17 2017-08-17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288A KR20190019288A (ko) 2019-02-27
KR102043216B1 true KR102043216B1 (ko) 2019-11-11

Family

ID=6556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966A KR102043216B1 (ko) 2017-08-17 2017-08-17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81373A1 (en) * 2021-11-16 2023-05-17 LG Electronics, Inc. Power transform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7875A (ja) 2012-06-25 2014-01-16 Sharp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611474B2 (ja) * 2012-01-31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ターリーブコンバ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1474B2 (ja) * 2012-01-31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ターリーブコンバータ
JP2014007875A (ja) 2012-06-25 2014-01-16 Sharp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ao Kai et al., "A novel control scheme of DCM boost PFC converter", 16th European Converence on Power Electronics and Applications(ECCE Europe) 2014, pp.1-10.(2014.8.2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81373A1 (en) * 2021-11-16 2023-05-17 LG Electronics, Inc. Power transform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288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68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ter-phase short-circuit of three-phase moto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101911263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362713B1 (ko) 열 소손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CN110870198B (zh) 驱动装置、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US10734900B2 (en) Converter device, motor drive device, refrigerator, air conditioner, and heat-pump water heater
KR101911262B1 (ko) 노이즈 저감 기능을 가지는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43216B1 (ko)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174638B1 (ko) 전력 변환 장치,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0068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1276582B1 (ko) 전원 공급 회로를 가지는 인버터 장치
KR102069068B1 (ko)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1973467B1 (ko) 돌입전류 방지기능을 가지는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24602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60069B1 (ko)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1901947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24604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69067B1 (ko) 리플 저감 정류부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160049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197864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36113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122972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464546B1 (ko) 인버터의 직류링크 커패시터의 열화 판단장치
KR20210052428A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20180137994A (ko)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87599A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