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565B1 -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 Google Patents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565B1
KR102038565B1 KR1020177019095A KR20177019095A KR102038565B1 KR 102038565 B1 KR102038565 B1 KR 102038565B1 KR 1020177019095 A KR1020177019095 A KR 1020177019095A KR 20177019095 A KR20177019095 A KR 20177019095A KR 102038565 B1 KR102038565 B1 KR 102038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ded structure
overlay
article
braided
foot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7093A (en
Inventor
로버트 엠 브루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566,215 external-priority patent/US10863794B2/en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70097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0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5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rigid, e.g. resis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gluing or thermo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Laminated lay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1Piped openings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결과적인 신발류 물품이 설명되어 있다. 신발류 물품은 제1 편조된 구조체, 제2 편조된 구조체, 및 오버레이 시스템을 갖는 갑피를 포함한다.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에 접합되고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2 편조된 구조체에 접합된다.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보다 내신축성이 크고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2 편조된 구조체보다 내신축성이 크다.Methods of making an article of footwear and the resulting article of footwear are described. The article of footwear includes an upper having a first braided structure, a second braided structure, and an overlay system. The overlay system is bonded to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overlay system is bonded to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The overlay system is more stretch resistant than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overlay system is more stretch resistant than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Figure R1020177019095
Figure R1020177019095

Description

다수의 편조된 구조체를 갖는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ART ARTLE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Cross 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2014년 1월 24일자로 출원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신발류 물품을 위한 오버레이를 갖는 편조된 갑피(Braided Upper with Overlays for Article of Footwear)"인 미국 특허 출원 제14/163,438호(대리인 관리 번호 제51-3427호)의 일부 연속 출원이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고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서 "편조된 갑피" 출원으로서 지칭되고, 상기 출원은 2013년 6월 25일자로 출원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편조된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839,097호(대리인 관리 번호 제51-3210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고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서 "가 편조된 갑피" 출원으로서 지칭된다. 본 출원은 또한 2014년 9월 24일자로 출원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편조된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인 미국 특허 출원 제14/495,252호(대리인 관리 번호 제51-4538호)에 관한 것으로서,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고, 상기 출원은 2014년 1월 24일자로 출원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편조된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인 미국 특허 출원 제14/163,392호(대리인 관리 번호 제51-3642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고, 상기 출원은 2013년 6월 25일자로 출원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편조된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839,097호(대리인 관리 번호 제51-3210호)를 우선권 주장한다.This application was filed on January 24, 2014 and is entitled " Braided Upper with Overlays for Article of Footwear. &Quot; US Patent Application No. 14 / 163,438 (Agency Representative) No. 51-3427),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and referred to as a "braided upper" appl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ich application is filed on June 25, 2013. And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61 / 839,097 (Agent No. 51-3210), entitled "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 in its entirety.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nd is referred to as an "is braided upper" application throughout the description. This application is also filed on September 24, 2014 and is entitled " 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 " US Patent Application No. 14 / 495,252 (Attorney Control No. 51-) 4538,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the application of which is filed on January 24, 2014 and entitled "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 US Patent Application No. 14 / 163,392 (Attorney Management No. 51-3642), the entire contents of which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and filed on June 25, 2013. Priority is claimed to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61 / 839,097 (Agent No. 51-3210) entitled "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

기술분야Technical Field

본 실시예는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류 물품용 갑피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n article of footwea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운동화는 흔히 2개의 주 구성요소, 즉 발을 수용하기 위한 엔클로져를 제공하는 갑피, 및 갑피에 고정되는 밑창을 구비한다. 갑피는 신발끈, 후크 앤드 루프 파스너 또는 신발을 발에 대해 적절하게 고정시키는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조정 가능할 수 있다. 밑창은 플레잉 표면과 일차 접촉을 한다. 밑창은 밑창이 지면 또는 다른 표면과 접촉할 때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갑피는 발에 대해 적절한 유형의 보호를 제공하고 착용자의 안락성을 최대화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Sneakers often have two main components: an upper that provides an enclosure for receiving a foot, and an outsole fixed to the upper. The upper may be adjustable using shoelaces, hook and loop fasteners, or other devices that properly secure the shoe to the foot. The sole is in primary contact with the playing surface. The sole may be designed to absorb shock when the sol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or other surface. The upper may be designed to provide the appropriate type of protection for the foot and to maximize the wearer's comfort.

일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은 갑피와 밑창 시스템을 포함하고, 갑피는 제1 편조된 구조체, 제2 편조된 구조체, 및 오버레이 시스템을 포함한다.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에 접합되고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2 편조된 구조체에 접합된다.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보다 내신축성이 크고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2 편조된 구조체보다 내신축성이 크다.In one aspect, the article of footwear includes an upper and a sole system, and the upper includes a first braided structure, a second braided structure, and an overlay system. The overlay system is bonded to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overlay system is bonded to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The overlay system is more stretch resistant than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overlay system is more stretch resistant than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다른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은 갑피와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제1 편조된 구조체, 제2 편조된 구조체, 부재, 및 오버레이 시스템을 포함한다.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에 접합되고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2 편조된 구조체에 접합된다. 상기 부재는 제1 편조된 구조체와 제2 편조된 구조체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In another aspect, the article of footwear comprises an upper and a sole structure. The upper includes a first braided structure, a second braided structure, a member, and an overlay system. The overlay system is bonded to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overlay system is bonded to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The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다른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용의 갑피는 제1 개구 에지를 포함하는 제1 편조된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제2 개구 에지를 포함하는 제2 편조된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제2 개구 에지는 제1 개구 에지와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게다가, 갑피는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는 오버레이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1 층은 제1 개구 에지에 접합된다. 제2 층은 제2 개구 에지에 접합된다.In another aspect, an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es a first braided structure that includes a first opening edge. The upper further includes a second braided structure comprising a second opening edge, the second opening edge being substantially aligned with the first opening edge. In addition, the upper includes an overlay system that includes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The first layer is bonded to the first opening edge. The second layer is bonded to the second opening edge.

실시예의 다른 시스템, 방법, 피쳐 및 이점은 아래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하거나 명백해질 것이다. 모든 그러한 추가 시스템, 방법, 피쳐 및 이점은 본 설명 및 본 요약 부분 내에 포함되고,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으며,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된다.Other systems, method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embodiments will be or become apparent to one with skill in the art upon reviewing the following figures and detailed description. All such additional systems, methods, features, and advantages are included within this description and this summary, are within the scope of embodiments, and protected by the following claims.

실시예들은 아래의 도면 및 설명을 참조하여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면 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실척이 아니고, 대신에 실시예들의 원리를 설명할 때에 강조된다. 더욱이,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서 대응하는 부품을 가리킨다.
도 1은 오버레이를 갖는 편조된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 등각 투영도이다.
도 3은 오버레이에 대해 배치되는 스트랜드의 확대도를 포함하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4는 오버레이에 접합된 스트랜드의 배열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5는 오버레이의 아이릿의 확대된 단면도를 포함하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6은 아이릿을 포함하는 오버레이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확대도로서, 각 아이릿은 편조된 갑피의 스트랜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도 7은 아이릿을 포함하는 오버레이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확대도로서, 편조된 갑피의 스트랜드는 각 아이릿을 둘러싸지 않는다.
도 8은 오버레이를 갖는 편조된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후방 등각 투영도이다.
도 9는 다수의 별개의 오버레이를 갖는 편조된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분해 등각 투영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신발류 물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신발류 물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2개의 상이한 편조된 구역과 편조된 구역을 덮는 오버레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13은 편조된 갑피와 오버레이의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된, 도 12의 신발류 물품의 개략적인 등각 투영도이다.
도 14는 신발류 물품용의 갑피로서 성형된 미리 절단된 편조된 구조체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에 따른, 갑피에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도 14의 편조된 구조체를 절단하는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예시적인 프로세스에 따른, 도 15의 갑피에 오버레이를 결합시키는 단계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17은 도 14 내지 도 16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구성된 완성된 신발류 물품의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18은 밑창 부재와 관련된 하부면 상에 오버레이를 갖는 편조된 갑피의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19는 밑창 부재와 결합된 도 18의 편조된 갑피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20은 제1 편조된 구조체, 제2 편조된 구조체, 및 오버레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2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20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22는 오버레이에 대해 배치되는 스트랜드의 확대도를 포함하는 도 20의 신발류 물품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에 접합된 스트랜드의 배열의 개략도이다.
도 24는 제1 편조된 구조체와 제2 편조된 구조체의 예시적인 분리의 확대도를 포함하는 도 20의 신발류 물품의 개략도이다.
도 25는 제1 편조된 구조체, 제2 편조된 구조체, 중간층, 및 오버레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2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25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2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25의 신발류 물품의 안쪽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27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1 편조된 구조체, 제2 편조된 구조체, 중간층, 및 오버레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3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29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충격 전에 제1 편조된 구조체, 제2 편조된 구조체, 및 중간층을 갖는 신발류 물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32는 충격 동안에 제1 편조된 구조체, 제2 편조된 구조체, 및 중간층을 갖는 신발류 물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33은 충격 전에 강성 갑피 및 중간층을 갖는 신발류 물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34는 충격 동안에 강성 갑피 및 중간층을 갖는 신발류 물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Embodiments may be better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figures and description below. The components in the figures are not necessarily to scale, emphasis instead being placed upon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embodiments. Moreove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corresponding par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1 is a schematic isometric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braided upper with an overlay.
FIG. 2 is an exploded isometric view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isometric view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1 including an enlarged view of the strands disposed relative to the overlay.
4 is a schematic isometric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arrangement of strands bonded to an overlay.
5 is a schematic isometric view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1 including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eyelet of the overlay.
6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n embodiment of an overlay including an eyelet, with each eyelet partially surrounded by strands of braided upper.
7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overlay including an eyelet, wherein the strands of the braided upper do not surround each eyelet.
8 is a schematic rear isometric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braided upper with overlay.
9 is a schematic exploded isometric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braided upper with a plurality of distinct overlays.
10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9.
FIG. 1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9.
12 is a schematic isometric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two different braided zones and an overlay covering the braided zones.
FIG. 13 is a schematic isometric view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12, with the braided upper and a portion of the overlay shown in cross section. FIG.
1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 precut braided structure molded as an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FIG. 15 is a schematic diagram of cutting the braided structure of FIG. 14 to form an opening in an upper, according to an exemplary process.
FIG. 16 is an isometric view of coupling an overlay to the upper of FIG. 15, according to an example process. FIG.
17 is an isometric view of an embodiment of a finished article of footwear constructed using the example process of FIGS. 14-16.
18 is an isometric view of an embodiment of a braided upper with an overlay on the bottom surface associated with the sole member.
19 is an isometric view of the braided upper of FIG. 18 coupled with the sole member.
20 is an isometric view of an example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irst braided structure, a second braided structure, and an overlay.
21 is an exploded view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20 including an enlarged view of strands disposed relative to the overlay.
2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rrangement of strands bonded to an overlay,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24 is a schematic view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20 including an enlarged view of exemplary separation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5 is an isometric view of an example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irst braided structure, a second braided structure, an intermediate layer, and an overlay.
FIG. 26 is an exploded view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25,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7 is a schematic view of the inside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25,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27,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9 is an isometric view of an example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irst braided structure, a second braided structure, an intermediate layer, and an overlay.
3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ticle of footwear of FIG. 29,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31 i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irst braided structure, a second braided structure, and an intermediate layer prior to impact.
32 i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irst braided structure, a second braided structure, and an intermediate layer during impact.
33 i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rigid upper and an intermediate layer prior to impact.
34 i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rigid upper and an intermediate layer during impact.

도 1은 간단히 물품(100)으로서도 지칭되는 신발류 물품(100)의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이다. 물품(100)은, 제한하지 않지만, 하이킹 부츠, 축구화, 풋볼화, 스니커즈 운동화, 런닝화, 크로스트레이닝화, 럭비화, 농구화, 야구화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신발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신발류에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물품(100)은, 제한하지 않지만, 슬리퍼, 샌들, 하이힐 신발류, 간편화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종류의 신발류, 의류 및/또는 스포츠 장비(예컨대, 글러브, 헬맷 등)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비-스포츠 관련 신발류에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1 is an isometric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100, also referred to simply as article 100. The article 100 may be configured for use in a variety of footwea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hiking boots, football shoes, football shoes, sneakers sneakers, running shoes, cross-training shoes, rugby shoes, basketball shoes, baseball shoes, as well as other types of shoes Can be. Moreover, in some embodiments, article 100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slippers, sandals, high heel footwear, loafer, as well as any other kind of footwear, clothing, and / or sports equipment (eg, gloves, helmets, etc.). Can be configured for use in various types of non-sports related footwear.

몇몇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100)은 갑피(102)와 밑창 시스템(110)을 포함할 수 있다. 밑창 시스템(110)은 갑피(102)에 고정되고 물품(100)을 신었을 때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여러 실시예에서, 밑창 시스템(110)은 상이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밑창 시스템(110)은 바깥창, 중창, 및/또는 안창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이들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은 선택적일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article of footwear 100 may include an upper 102 and a sole system 110. The sole system 110 is secured to the upper 102 and extends between the foot and the ground when the article 100 is worn. In various embodiments, sole system 110 may include different components. For example, sole system 110 may include an outsole, midsole, and / or insole. In some cases, one or more of these components may be optional.

밑창 시스템(110)은 물품(100)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시스템(110)은 물품(100)에 정지 마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지 마찰을 제공하는 외에, 밑창 시스템(110)은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보행 활동 중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에 지면 반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밑창 시스템(110)의 구성은 다양한 전통적인 또는 비전통적인 구조를 포함하도록 여러 실시예에서 상당히 변경될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밑창 시스템(110)의 구성은 밑창 시스템(110)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종류의 지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지면의 예로는, 제한하지 않지만, 천연 잔디, 합성 잔디, 흙, 뿐만 아니라 다른 표면을 포함한다. Sole system 110 may provide one or more functions to article 100.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sole system 11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static friction to article 100. In addition to providing static friction, the sole system 110 may relieve ground reaction forces when compressed between the foot and the ground during walking, running, or other walking activities. The configuration of sole system 110 can be significantly modified in various embodiments to include various traditional or non-traditional structures. In some cases, the configuration of sole system 110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one or more types of ground on which sole system 110 may be used. Examples of the groun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natural grass, synthetic grass, soil, as well as other surfaces.

일반적으로, 갑피(102)는 임의의 종류의 갑피일 수 있다. 특히, 갑피(102)는 임의의 디자인, 형상, 크기 및/또는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물품(100)이 농구화인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발목에 높은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하이탑 갑피(high top upper)일 수 있다. 물품(100)이 런닝화인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로우탑 갑피(low top upper)일 수 있다. In general, upper 102 may be any kind of upper. In particular, upper 102 may have any design, shape, size, and / or color. For example, in embodiments where article 100 is a basketball shoe, upper 102 may be a high top upper formed to provide high support to the ankle. In embodiments where article 100 is a running shoe, upper 102 may be a low top upper.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를 위해, 갑피(102)와 같은 물품(100)의 구성요소는, 전족 부분(10), 중족 부분(12) 및 뒤꿈치 부분(14)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전족 부분(10)은 대체로 발가락 및 중족골을 지골과 연결하는 관절과 관련될 수 있다. 중족 부분(12)은 대체로 발의 아치와 관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뒤꿈치 부분(14)은 대체로 중골(calcaneus bone)을 비롯한 발의 뒤꿈치와 관련될 수 있다. 게다가, 갑피(102)는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는 물품(10)의 대향하는 측부일 수 있다. 더욱이,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 모두는 전족 부분(10), 중족 부분(12) 및 뒤꿈치 부분(14)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for reference, a component of an article 100, such as upper 102, may be divided into forefoot portion 10, midfoot portion 12, and heel portion 14. Forefoot portion 10 may generally be associated with a joint connecting the toe and metatarsal bone with the phalanx. Midfoot portion 12 may generally be associated with the arch of the foot. Likewise, heel portion 14 may be generally associated with the heel of the foot, including the calcaneus bone. In addition, upper 102 may include a lateral side 16 and a medial side 18. In particular, the outer side 16 and the inner side 18 may be opposite sides of the article 10. Moreover, both lateral side 16 and medial side 18 may extend through forefoot portion 10, midfoot portion 12, and heel portion 14.

전족 부분(10), 중족 부분(12) 및 뒤꿈치 부분(14)은 오직 설명을 위한 것이고, 갑피(102)의 정확한 구역들의 경계를 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는, 갑피(102)의 경계를 2개의 절반으로 정확하게 정하기 보다는 대략적으로 갑피(102)의 2개의 측부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It will be appreciated that forefoot portion 10, midfoot portion 12 and heel portion 14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demarcate precise areas of upper 102. Likewise, the outer side 16 and the medial side 18 are intended to represent approximately two sides of the upper 102 rather than accurately defining the boundary of the upper 102 in two halves.

일관성과 편의성을 위해, 예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이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방향 형용사가 채용된다. 이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컨대, 갑피(102)의 종방향은 갑피(102)의 전족 부분(10)으로부터 뒤꿈치 부분(14)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이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측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의 폭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컨대, 갑피(102)의 측방향은 갑피(102)의 안쪽 측부(18)와 바깥쪽 측부(16)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게다가, 이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수직"이라는 용어는 종방향 및 측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For consistency and convenience, directional adjectives are employed throughout this detailed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roughout this description and in the claims, the term "longitudinal" refers to the direction of extending the length of the component.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102 may extend from the forefoot portion 10 of the upper 102 to the heel portion 14. Also,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nd in the claims, the term "lateral" refers to a direction extending along the width of the component. For example,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102 may extend between the medial side 18 and the lateral side 16 of the upper 102. In addition, the term "vertical" a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nd in the claims refers to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게다가, "근위"라는 용어는 신발류 물품을 착용했을 때에 발의 부분에 더 가까운 신발류 구성요소의 부분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근위 방향이라는 용어는 물품을 착용했을 때에 발을 향해 배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원위"라는 용어는 신발류 물품을 착용했을 때에 발의 부분으로부터 더 먼 신발류 구성요소의 부분을 지칭한다. 원위 방향은 물품을 착용했을 때에 발로부터 멀리 배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In addition, the term "proximal" refers to the portion of the footwear component that is closer to the portion of the foot when wearing the article of footwear. Likewise, the term proximal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that is oriented towards the foot when the article is worn. Likewise, the term "distal" refers to the portion of the footwear component that is further from the portion of the foot when wearing the article of footwear. Distal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oriented away from the foot when the article is worn.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02)는 편조된 직물 또는 다른 편조된 구조체와 같은 편조된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다. 편조된 구조체는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얀, 필라멘트 또는 다른 섬유의 3개 이상의 스트랜드를 서로 얽히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에서 확인되는 갑피(102)는 전체적으로 발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형성하도록 함께 편조되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130)로 형성된다. In some embodiments, upper 102 may be comprised of a braided structure, such as a braided fabric or other braided structure. Braided structures can be formed by intertwining three or more strands of yarn, filament or other fibers to form a structure. As an example, upper 102 identified in FIG. 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trands 130 braided together to form a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foot as a whole.

편조는 성형체 또는 라스트 위에 얀의 스트랜드를 편조함으로써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복수 개의 스트랜드(130)와 같은 편조된 구조체의 스트랜드는, 나일론, 탄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면, 아라미드(예컨대, 케블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스트랜드는 광범위한 용례를 위한 3차원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편조될 수 있다. Braiding can be used to form three-dimensional structures by braiding strands of yarn onto shaped bodies or lasts. Strands of braided structures, such as the plurality of strands 130 of the exemplary embodiment, may be made of fibers such as nylon, carbon, polyurethane, polyester, cotton, aramid (eg, Kevlar®),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have. These strands can be braided to form three-dimensional structures for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편조된 구조체는 수동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미국 특허 제7,252,028호; 제8,261,648호; 제5,361,674호; 제5,398,586호; 및 제4,275,638호에 개시된 기계와 같은 자동화된 편조 기계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문헌 모두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그러한 3차원 편조된 구조체는 또한, 예컨대, TEF Braids사(뉴욕주 워렌스버그 소재) 또는 A&P Technology(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에 의해 특정 디자인으로 제조될 수 있다.Braided structures can be made manually or can be US Pat. No. 7,252,028; No. 8,261,648; 5,361,674; 5,361,674; 5,398,586; 5,398,586; And automated braiding machines, such as those disclosed in US Pat. No. 4,275,638,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Such three-dimensional braided structures can also be manufactured in a specific design, for example, by TEF Braids (Warrensburg, NY) or A & P Technology (Cincinnati, Ohio).

편조를 이용함으로써, 신발류 물품용의 갑피는 특정 운동 또는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맞게 조정된 특정 기능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편조된 갑피는 착용자의 발에 긴밀하고도 편안하게 일치하면서 매우 가벼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의 맞음새는 착용자가 선호할 수 있는 특정한 정도의 장력 또는 견고성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편조된 갑피는 착용자의 발 위에 긴밀한 봉쇄를 특징으로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편조된 직물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류 둘레를 모두 둘러쌀 수 있다. 그러한 구조체는 착용자의 발이 압축 상태에 있기 때문에 장력 무결성 또는 "텐세그리티(tensegrity)"를 갖고, 편조된 스트랜드는 착용자의 발 둘레에서 장력 상태에 있다. By using braiding, an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can be made to have a particular function adapted to a particular athletic or recreational activity. The braided upper can be very light while closely and comfortably matching the wearer's foot. In some embodiments, the fit of the upper may be adjusted to provide a certain degree of tension or firmness that the wearer may prefer. The braided upper is characterized by tight containment on the wearer's foot. In some embodiments, the braided fabric may surround all of the footwear as shown in the figure. Such a structure has tensile integrity or "tensegrity" because the wearer's foot is in a compressed state, and the braided strand is in tension around the wearer's foot.

몇몇 실시예는 발 아래에서 연장됨으로써 발의 몇몇 구역에서 360도 적용 범위를 제공하는 편조된 갑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는 발 아래에서 연장되는 갑피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컨대, 편조된 갑피는 밑창 구조체 및/또는 삭 라이너(sock liner)와 결합되는 하부 주연부를 가질 수 있다. Some embodiments may include braided uppers extending below the foot to provide 360 degree coverage in some areas of the foot. However, other embodiments do not need to include an upper extending under the foot. In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the braided upper may have a lower perimeter that engages the sole structure and / or the sock liner.

도 2는 편조된 구조체로 구성되는 갑피(102)를 포함하는 물품(100)의 실시예의 분해 등각 투영도를 예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갑피(102)는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120)를 갖는 것으로 확인된다. 게다가, 갑피(102)는 체결 구역(124)을 갖는다. 체결 구역(124)은 바깥쪽 체결 에지(126)를 안쪽 체결 에지(127)로부터 분리시키는 체결 간극(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2 illustrates an exploded isometric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rticle 100 that includes an upper 102 composed of a braided structure. 1 and 2, the upper 102 is identified as having an opening 120 that can receive a foot. In addition, upper 102 has a fastening zone 124. The fastening zone 124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gap 125 that separates the outer fastening edge 126 from the inner fastening edge 127 (see FIG. 2).

체결 구역(124)은 또한 체결 부재(160)와 관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체결 부재(160)는 신발끈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체결 부재(160)는, 제한하지 않지만, 스트랩, 스냅, 버튼, 지퍼, 후크 앤드 루프 파스너(예컨대, 벨크로),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파스너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파스너일 수 있다. The fastening zone 124 may also be associated with the fastening member 160.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astening member 160 may be a shoelace.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fastening member 160 may be of any other typ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traps, snaps, buttons, zippers, hook and loop fasteners (eg, Velcro), as well as other types of fasteners. It may be a fastener.

편조된 갑피를 이용하는 실시예는 추가 구조체를 갑피에 제공하는 데에 일조하는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예컨대, 물품은 갑피의 다양한 특성을 강화시키도록 편조된 갑피의 특정 부분에 접합되거나 달리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재료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들 재료 부분은 강도 및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갑피의 특정 지점에서 내신축성을 제공하며, 편조된 구조체와 다른 구성요소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Embodiments that utilize a braided upper may include facilities to assist in providing additional structures to the upper. In some embodiments, for example, the article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material portions that are bonded or otherwise attached to specific portions of the upper braided to enhance the various properties of the upper. For example, these material portions can be used to increase strength and durability, provide stretch resistance at certain points of the upper, and facilitate coupling of the braided structure with other components.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서 그리고 청구범위에서, "오버레이 부분" 또는 간단하게 오버레이라는 용어는 편조된 갑피와 같은 편조된 구조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임의의 재료 부분을 지칭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부분은 편조된 구조체의 스트랜드와 별개의 재료로 구성된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부분은 편조된 구조체의 스트랜드와 실질적으로 상이한 재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부분은 편조된 구조체의 대응하는 부분과 비교하여 내신축성일 수 있다. Throughout the description and in the claims, the term “overlay portion” or simply overlay refers to any material portion tha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braided structure, such as a braided upper. In some embodiments, the overlay portion is comprised of a material separate from the strands of the braided structure. Moreover, in some embodiments, the overlay portion may have material properties that a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 strands of the braided structure.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verlay portion may be stretch resistant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braided structure.

일반적으로, 오버레이 부분은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재료는, 제한하지 않지만, (직물과 부직물을 포함하는) 직물, (천연 가죽과 합성 가죽을 포함하는) 가죽, 폴리머 재료,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재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오버레이 부분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으로 제조될 수 있다.In general, the overlay portion may be formed of any material. Exemplary materia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abrics (including fabrics and nonwovens), leathers (including natural leather and synthetic leather), polymeric materials, as well as other types of materials. 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overlay portions may be made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물품(100)은 오버레이 구성요소(140)와 관련될 수 있다. 오버레이 구성요소(140)는 또한 제1 오버레이 부분(150), 제2 오버레이 부분(152) 및 제3 오버레이 부분(154)을 비롯하여 여러 상이한 오버레이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오버레이 부분은 갑피 상의 특정 지점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은 갑피(102)의 체결 구역(124)과 관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오버레이 부분(152)은 개구(120)와 관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오버레이 부분(154)은 뒤꿈치 부분(14) 뿐만 아니라 갑피(102)의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 양자의 부분과 관련될 수 있다. In an example embodiment, the article 100 may be associated with the overlay component 140. Overlay component 140 may also be comprised of several different overlay portions, including first overlay portion 150, second overlay portion 152, and third overlay portion 154. Each overlay portion may be provided at a specific point on the upper. For example,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can be associated with the fastening zone 124 of the upper 102. Similarly, second overlay portion 152 can be associated with opening 120. Finally, the third overlay portion 154 may be associated with both the lateral portion 16 and the medial side 18 of the upper 102 as well as the heel portion 14.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은 체결 구역(124)의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특히,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은 체결 구역(124)의 바깥쪽 체결 에지(126)와 관련된 제1 섹션(181)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은 체결 구역(124)의 안쪽 체결 에지(127)와 관련된 제2 섹션(182)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간 섹션(183)이 체결 구역(124)의 최전방 에지(129)를 따라 연장되어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의 제1 섹션(181)과 제2 섹션(182)을 결합시킨다. Referring now to FIG. 2,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extends along the edge of the fastening zone 124. In particular,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includes a first section 181 associated with the outer fastening edge 126 of the fastening zone 124.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also includes a second section 182 associated with the inner fastening edge 127 of the fastening zone 124. In some embodiments, the intermediate section 183 extends along the foremost edge 129 of the fastening zone 124 to join the first section 181 and the second section 182 of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

이 구성에 의해,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은 갑피(102)를 위한 바깥쪽 및 안쪽 아이스테이를 형성하거나 그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은 체결 부재(160)와 갑피(102)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체결 구역(124)의 에지를 따른 오버레이 부분의 사용은 체결 부재(160)에 의해 인가된 인장력을 갑피(102)에 보다 균일하게 분배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By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may form or form part of the outer and inner ice stays for the upper 102. In particular,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can facilitate attachment of the fastening member 160 and the upper 102. As discussed in more detail below, the use of an overlay portion along the edge of the fastening zone 124 may help distribute the tensile force applied by the fastening member 160 more uniformly to the upper 102. have.

적어도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은 체결 구역(124)의 바깥쪽 체결 에지(126), 안쪽 체결 에지(127) 및 최전방 에지(129)를 따라 갑피(102)의 편조된 구조체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조된 구조체의 스트랜드가 바깥쪽 체결 에지(126), 안쪽 체결 에지(127) 또는 최전방 에지(129) 중 임의의 에지에서 개방될 수 있는 실시예에서,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은 이들 에지를 따른 스트랜드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랜드의 단부를 접합, 융합 또는 달리 유지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In at least some embodiments,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is a braided structure of the upper 102 along the outer fastening edge 126, the inner fastening edge 127 and the foremost edge 129 of the fastening zone 124. It can help to finish. Specifically, in embodiments where the strands of the braided structure may be open at any of the outer fastening edge 126, the inner fastening edge 127, or the foremost edge 129,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may be It may help to bond, fuse or otherwise hold the ends of the strands to prevent loosening of the strands along these edges.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오버레이 부분(152)은 개구(120)의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특히, 제2 오버레이 부분(152)은 개구 에지(195)와 관련된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오버레이 부분(152)은 제1 오버레이 부분(150)과 실질적으로 연속되어, 개구(120) 및/또는 체결 구역(124)에서의 개구와 관련된 갑피(102)의 모든 에지는 제1 오버레이 부분(150) 또는 제2 오버레이 부분(152)에 의해 덮인다.In some embodiments, second overlay portion 152 extends along an edge of opening 120. In particular, the second overlay portion 152 is associated with the opening edge 195. Moreover,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overlay portion 152 is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so that the upper 102 of the upper 102 associated with the opening in the opening 120 and / or the fastening zone 124 is provided. All edges are covered by either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or the second overlay portion 152.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2 오버레이 부분(152)에 접합시킴으로써 개구 에지(195)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 게다가, 제2 오버레이 부분(152)은, 개구(120) 근처의 편조된 구조체가 지나치게 신장되지 않을 수 있도록 개구(120)를 보강하키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그러한 보강은, 사용자가 발을 삽입하고 및/또는 빼낼때에 큰 풀링 및 다른 응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개구(120)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opening edge 195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second overlay portion 152. In addition, the second overlay portion 152 may help to reinforce the opening 120 such that the braided structure near the opening 120 may not be overextended. Such reinforcement may be particularly useful in the opening 120 because the user may be subjected to large pulling and other stresses when the user inserts and / or removes the foot.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오버레이 부분(154)은 갑피(102)의 바깥쪽 측부(16)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섹션(171)과 안쪽 측부(18)를 따라 연장하는 제2 섹션(172)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제3 오버레이 부분(154)의 제3 섹션(173)은 뒤꿈치 부분(14)에서 갑피(102) 아래에서(예컨대, 그 하부면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섹션(173)은 제3 오버레이 부분(154)이 갑피(102)의 측부들 및 바닥 둘레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제1 섹션(171)과 제2 섹션(172)을 결합시킨다.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overlay portion 154 has a first section 171 extending along the outer side 16 of the upper 102 and a second section 172 extending along the medial side 18. It may include. In addition, the third section 173 of the third overlay portion 154 may extend below the upper 102 (eg, on its bottom surface) at the heel portion 14. In some embodiments, third section 173 combines first section 171 and second section 172 such that third overlay portion 154 continuously surrounds the sides and bottom of upper 102. Let's do it.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오버레이 부분(154)의 제1 섹션(171)은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의 제1 섹션(181)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섹션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게다가,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오버레이 부분(154)의 제2 섹션(172)은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의 제2 섹션(182)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섹션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제3 오버레이 부분(154)은 그 길이를 따라 신장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구성은 (발의 상단에서) 제1 오버레이 부분(150)과 뒤꿈치 부분(14)의 하부면(199; 도 8 참조) 사이에서 갑피의 신장에 저항함으로써 뒤꿈치 아래에서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ection 171 of the third overlay portion 154 extends from the first section 181 of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and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first section. 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section 172 of the third overlay portion 154 extends from the second section 182 of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and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second section. Since the third overlay portion 154 may act to reduce elongation along its length, this configuration may result in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and the lower surface 199 of the heel portion 14 (at the top of the foot). Resistance to the elongation of the upper can help to increase the support under the heel.

도 3은 몇몇 스트랜드가 제2 오버레이 부분(152)에 접합될 수 있는 물품(100)의 일부의 확대도를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몇몇 스트랜드(304)는 제2 오버레이 부분(152)의 내표면(302)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트랜드(304)는 스트랜드의 임의의 느슨하거나 자유로운 단부가 없는 갑피(102)의 폐쇄된 직물 에지(305)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트랜드(304)는 편조된 구조체의 연속적으로 직조된 섹션을 강화시키도록 제2 오버레이 부분(152)에 접합될 수 있다. 3 illustrate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article 100 in which several strands may be bonded to the second overlay portion 152. Referring to FIG. 3, some strands 304 may be disposed relative to the inner surface 302 of the second overlay portion 152.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the strand 304 may form part of the closed fabric edge 305 of the upper 102 without any loose or free ends of the strand. In this case, strand 304 may be bonded to second overlay portion 152 to reinforce the continuously woven section of the braided structure.

도 4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몇몇 스트랜드(470)는 느슨하거나 자유로운 단부(472)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개방 단부(472)는 스트랜드(470)를 제위치에 유지하고 스트랜드(470)가 느슨해지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일조하도록 오버레이 부분(452)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부분이 편조된 구조체의 에지와 관련된 느슨하거나 자유로운 단부를 유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한 배열은 편조된 구조체의 절단 에지, 또는 풀릴 수 있는 느슨하거나 자유로운 단부를 포함하는 임의의 에지를 마무리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variant shown in FIG. 4, some strands 470 can be configured to have loose or free ends 472. In this configuration, the open end 472 may be secured to the overlay portion 452 to help hold the strand 470 in place and prevent the strand 470 from loosening or loosening. Thus, in some embodiments, it can be seen that the overlay portion can be used to maintain a loose or free end associated with the edge of the braided structure. Such an arrangement can provide a means for finishing the cutting edge of the braided structure, or any edge including a loose or free end that can be loosened.

여기에 설명된 배열은 개구(120)에서 편조된 구조체의 에지를 강화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는 오버레이 부분을 제공한다. 이는 갑피(102)의 구조적 무결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개구(120)에서 갑피의 신장을 감소시키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오버레이 부분(152)은 단부의 마모 및/또는 편조된 구조체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편조된 구조체의 임의의 느슨하거나 개방된 단부를 고정시키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The arrangement described herein provides an overlay portion that can act to reinforce the edge of the braided structure in the opening 120. This may help to reduce the elongation of the upper at the opening 120 to preserv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upper 102. In addition, the second overlay portion 152 may assist in securing any loose or open end of the braided structure to prevent wear of the end and / or loosening of the braided structure.

오버레이 부분을 편조된 갑피 등의 편조된 구조체에 접합하는 다양한 프로세스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된다. 접합에 사용되는 예시적인 재료는 임의의 공지된 접착제, 용융물, 수지 또는 다른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Various processes for bonding the overlay portion to a braided structure, such as a braided upper, are discussed in more detail below. Exemplary materials used for bonding may include any known adhesives, melts, resins or other binders.

도 5는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의 일부 및 체결 부재(160)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를 포함하는 물품(100)의 등각 투영도를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은 복수 개의 아이릿(4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확대 단면으로 도시된 아이릿(402)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아이릿(400)은 체결 부재(16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의 개구이다. 5 illustrates an isometric view of article 100 including a portion of first overlay portion 150 and a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astening member 160.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includes a plurality of eyelets 400.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eyelets 400 including the eyelets 402 shown in an enlarged cross-section are openings of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configured to receive a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160.

갑피(102)의 스트랜드가 체결 부재의 일부를 직접 고정시킬 수 있는 변형예와 달리, 예시적인 실시예는 갑피(102)의 스트랜드가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의 아이릿을 통해 체결 부재(160)에 간접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트랜드(410)는 제1 오버레이 부분(150)에 직접 고정되는 것으로 보이고, 체결 부재(160)는 제1 오버레이 부분(150)의 복수 개의 아이릿(400)을 통해 고정된다. 이 구성은 체결 부재(16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갑피(102)의 편조된 구조체를 가로질러 보다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이는 체결 부재(160)가, 예컨대 특정 스트랜드를 과도치게 잡아당기는 것을 방지하여 발에 대한 물품(100)의 보다 양호한 안락성 및 맞음새를 용이하게 한다.Unlike variants where the strands of upper 102 can directly secure a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an exemplary embodiment provides that the strands of upper 102 can be fastened through the eyelets of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Indirectly fixed). Specifically, the strand 410 appears to be directly fixed to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and the fastening member 160 is fixed through the plurality of eyelets 400 of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This configuration can distribute the force exerted by the fastening member 160 more evenly across the braided structure of the upper 102. This prevents the fastening member 160 from excessively pulling a particular strand, for example, to facilitate better comfort and fit of the article 100 to the foot.

도 6 및 도 7은 오버레이 부분 상의 아이릿 근처에서 스트랜드에 대한 2가지 가능한 구성을 예시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가 아이릿 둘레에서 연장됨으로써, 아이릿을 보강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 제1 스트랜드(512)와 제2 스트랜드(514)는 제1 아이릿(502)과 제2 아이릿(504) 둘레를 각각 둘러싼다. 이는 제1 아이릿(502)과 제2 아이릿(504)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체결 부재(160)와 갑피(102)의 편조된 스트랜드 사이에서 장력의 보다 직접적인 전달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6 and 7 illustrate two possible configurations for the strand near the eyelet on the overlay portion. Referring first to FIG. 6, in some embodiments, one or more strands may extend around the eyelet, thereby acting to reinforce the eyelet. For example, in FIG. 6, the first strand 512 and the second strand 514 surround the first eyelet 502 and the second eyelet 504, respectively. This may have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first eyelet 502 and the second eyelet 504 as well as providing a more direct transfer of tension between the braided strand of the fastening member 160 and the upper 102. .

도 7에 도시된 변형예를 참조하면, 제1 아이릿(502)과 제2 아이릿(504)은 갑피의 임의의 스트랜드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다. 특히, 스트랜드(610)는 제1 아이릿(502)과 제2 아이릿(504)을 둘러싸지 않고 제1 오버레이 부분(150)에 접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몇몇 아이릿은 스트랜드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보강될 수 있고, 다른 아이릿은 둘러싸이거나 보강되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the variant shown in FIG. 7, the first eyelet 502 and the second eyelet 504 are not surrounded by any strand of the upper.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strand 610 is bonded to the first overlay portion 150 without surrounding the first eyelet 502 and the second eyelet 504. Of course, in another embodiment, some eyelets may be surrounded or reinforced by strands, while other eyelets may not be surrounded or reinforced.

도 8은 갑피(102)의 스트랜드(130)가 점선으로 도시된 갑피(102)의 후방 등각 투영도를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오버레이 구성요소(156)는 뒤꿈치 부분(14)에서 갑피(102)의 바닥면(199) 아래를 둘러싸는 것으로 확인된다. 몇몇의 경우에, 이 구성은 제3 오버레이 부분(156)이 발의 뒤꿈치를 감싸게 한다. 따라서, 이 배열은 뒤꿈치 부분(14)을 통한 신장을 감소시킴으로써 물품(100)을 착용할 때에 발의 뒤꿈치에 대해 추가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8 illustrates a rear isometric view of the upper 102 with the strand 130 of the upper 102 shown in dashed lines. Referring to FIG. 8, it is found that the third overlay component 156 surrounds below the bottom surface 199 of the upper 102 at the heel portion 14. In some cases, this configuration causes the third overlay portion 156 to wrap around the heel of the foot. Thus, this arrangement can provide additional support for the heel of the foot when wearing the article 100 by reducing elongation through the heel portion 14.

몇몇 실시예에서, 다수의 별개의 오버레이 구성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별개의 오버레이 구성요소는 갑피의 미리 결정된 부분에서 교차 또는 중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첩하는 오버레이 구성요소의 그러한 구성은 가능하게는 갑피의 전체를 비롯하여 갑피의 큰 부분에 걸쳐서 강도 및 내신축성을 보강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multiple separate overlay components can be used. In some embodiments, the separate overlay components can be configured to intersect or overlap at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upper. Such configuration of overlapping overlay components may possibly provide a means of reinforcing strength and stretch resistance over a large portion of the upper, including the entire upper.

도 9 내지 도 11은 갑피(802)와 밑창 구조체(805; 도 10에만 도시됨)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800)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갑피(802)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830)로 편조되는 편조된 구조체로 구성된다. 게다가, 제1 오버레이 구성요소(810), 제2 오버레이 구성요소(812), 제3 오버레이 구성요소(814), 및 제4 오버레이 구성요소(816)를 비롯한 다수의 오버레이 구성요소는 갑피(802)와 관련된다. 9-11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800 that includes an upper 802 and a sole structure 805 (shown only in FIG. 10). First, referring to FIG. 9, upper 802 is comprised of a braided structure braided into a plurality of strands 830. In addition, a number of overlay components, including first overlay component 810, second overlay component 812, third overlay component 814, and fourth overlay component 816, may have upper 802. Related to.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오버레이 구성요소는 갑피(802)의 특정 부분과 관련된다. 예컨대, 제1 오버레이 구성요소(810)는 개구(860)의 에지(870) 및 체결 구역(862)과 관련된다. 따라서, 몇몇의 경우에, 제1 오버레이 구성요소(810)는 에지(870)를 따라 복수 개의 스트랜드(830)를 마무리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오버레이 구성요소(810)는 개구(860) 근처에서 내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each overlay component is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portion of upper 802. For example, the first overlay component 810 is associated with the edge 870 of the opening 860 and the fastening zone 862. Thus, in some cases, the first overlay component 810 can be used to finish the plurality of strands 830 along the edge 870. In addition, the first overlay component 810 can provide stretch resistance near the opening 860.

제2 오버레이 구성요소(812)는 갑피(802)의 전방 발가락 부분(868)과 관련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오버레이 구성요소(812)는 전방 발가락 부분(868)에서 내신축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오버레이 구성요소(812)는 전방 발가락 부분(868)에 대해 덮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2 오버레이 구성요소(812)의 존재는 부스러기가 전방 발가락 부분(868)을 통해 갑피(802)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The second overlay component 812 is associated with the front toe portion 868 of the upper 802.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overlay component 812 may help to improve stretch resistance at the front toe portion 868. 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overlay component 812 may provide a cover for the front toe portion 868. In particular, the presence of the second overlay component 812 can help prevent debris from entering the upper 802 through the front toe portion 868.

제3 오버레이 구성요소(814)는 갑피(802)의 전족 부분(811)과 관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오버레이 구성요소(814)는 체결 구역(862)의 전방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도 9에서 명확하게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3 오버레이 구성요소(814)는 갑피(802)[및 갑피(802) 내측의 발]을 완벽하게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오버레이 구성요소(814)는 상단 교차 구역(815)에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제1 밴드(817)와 제2 밴드(819)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이 배열은, 전족 부분(811)이 지면 상에 견고하게 놓일 수 있는 활동 중에 발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목표로 하는 내신축성을 전족 부분(811)에 제공할 수 있다. The third overlay component 814 can be associated with the forefoot portion 811 of the upper 802. In some embodiments, third overlay component 814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fastening zone 862. Moreover, as is clearly seen in FIG. 9, the third overlay component 814 can completely surround the upper 802 (and the foot inside the upper 802).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third overlay component 814 consists of a first band 817 and a second band 819 that are integrally coupled at the top cross section 815. Therefore, this arrangement can provide the forefoot portion 811 with targeted stretch resistance to reinforce the support of the foot during activities in which the forefoot portion 811 can be firmly placed on the ground.

제4 오버레이 구성요소(816)는 갑피(802)의 뒤꿈치 부분(813)과 관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 오버레이 구성요소(816)는 힐 카운터와 같은 오버레이 부분(825) 뿐만 아니라 스트랩과 같은 오버레이 부분(827)을 제공할 수 있다. 조합하여, 오버레이 부분(825)과 오버레이 부분(827)은 뒤꿈치 부분(813)에서 신장을 제한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갑피(802) 내에서 뒤꿈치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The fourth overlay component 816 can be associated with the heel portion 813 of the upper 802. In some embodiments, fourth overlay component 816 may provide an overlay portion 825, such as a heel counter, as well as an overlay portion 827, such as a strap. In combination, overlay portion 825 and overlay portion 827 can help limit the elongation at heel portion 813, thereby enhancing the support of the heel within upper 802.

도 10 및 도 1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갑피(802)와 조립될 때에, 오버레이 구성요소들 중 몇몇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오버레이 구성요소(814)는 중첩 구역(902)에서 제1 오버레이 구성요소(810)의 일부와 중첩하는 것으로 명백하게 확인된다. 게다가, 제3 오버레이 구성요소(814)는 중첩 구역(903)에서 제2 오버레이 구성요소(812)의 일부와 중첩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마찬가지로, 제4 오버레이 구성요소(816)는 중첩 구역(904)에서 제1 오버레이 구성요소(810)의 일부와 중첩하는 것으로 명백하게 확인된다. 이 중첩 배열은, 하나의 오버레이 구성요소의 일부가 중첩하는 오버레이 구성요소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갑피(802)의 구조적 무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더욱이, 상이한 오버레이 구성요소들의 부분들을 함께 중첩 및 결합시킴으로써, 오버레이 구성요소는 갑피(802)의 편조된 구조체를 지지하는 단일 프레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S. 10 and 11, when assembled with the upper 802, some of the overlay components may overlap each other. For example, the third overlay component 814 is clearly identified as overlapping with a portion of the first overlay component 810 in the overlap zone 902. In addition, the third overlay component 814 is identified as overlapping with a portion of the second overlay component 812 in the overlap zone 903. Similarly, fourth overlay component 816 is clearly identified as overlapping with a portion of first overlay component 810 in overlap region 904. This overlapping arrangement can help to improv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upper 802 because some of the overlay components can reinforc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overlapping overlay components. Furthermore, by overlapping and joining portions of different overlay components together, the overlay components can function as a single frame supporting the braided structure of upper 802.

상이한 특성을 갖는 편조된 구역을 이용하는 실시예는 다른 구역은 아니고 일부 구역을 더욱 보강하는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물품은 물품의 미리 결정된 구역을 덮도록 구성된 오버레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Embodiments that utilize braided zon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may include facilities that further reinforce some zones but not others. In some embodiments, the article may include an overlay portion configured to cover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rticle.

도 12 및 도 13은 갑피(1102)의 2개의 특정 구역을 덮는 오버레이 부분을 갖도록 구성되는 물품(1100)의 등각 투영도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물품(1100)의 분해 등각 투영도를 예시하고, 도 13은 확대 단면도를 포함하는 등각 투영도를 예시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물품(1100)은 갑피(1102)와 밑창 시스템(1110)을 포함한다. 갑피(1102)는 또한 제1 구역(1151), 제2 구역(1152), 제3 구역(1153) 및 제4 구역(1154)을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별개의 구역을 갖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구역(1151)은 갑피(1102)의 발가락 구역이다. 제2 구역(1152)은 제1 구역(1151)에 바로 인접하게 그리고 제1 구역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3 구역(1153)은 제2 구역(1152)에 바로 인접하게 그리고 제2 구역의 후방에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제4 구역(1154)은 제3 구역(1153)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제4 구역(1154)은 나머지 구역들보다 실질적으로 큰 구역이고, 갑피(1102)의 중족 부분(1103)과 뒤꿈치 부분(1105) 전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구역, 제2 구역(1152) 및 제3 구역(1153)은 갑피(1102)를 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갑피(1102)의 밴드로서 특징될 수 있다.12 and 13 illustrate an isometric view of an article 1100 configured to have an overlay portion covering two specific regions of upper 1102. Specifically, FIG. 12 illustrates an exploded isometric view of article 1100 and FIG. 13 illustrates an isometric view including an enlarged cross sectional view. 12 and 13, article 1100 includes upper 1102 and sole system 1110. Upper 1102 is also configured to have at least four distinct zones including first zone 1151, second zone 1152, third zone 1153, and fourth zone 1154.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zone 1151 is the toe zone of upper 1102. The second zone 1152 is dispos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first zone 1151 and behind the first zone. The third zone 1153 is dispos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econd zone 1152 and behind the second zone. Finally, the fourth zone 1154 extends rearward of the third zone 1153. Moreover, the fourth zone 1154 is a zone that is substantially larger than the remaining zones and includes the entire midfoot portion 1103 and heel portion 1105 of the upper 1102. Thus, the first zone, second zone 1152 and third zone 1153 may be characterized as a band of upper 1102 extending laterally across upper 1102.

갑피(1102)의 각 구역은 편조 밀도와 같은 특정한 재료 특성과 관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구역(1151) 및 제3 구역(1153) 양자는 제1 편조 밀도와 관련되고, 제2 구역(1152) 및 제4 구역(1154)은 제2 편조 밀도와 관련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편조 밀도는 제2 편조 밀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역(1151)과 제3 구역(1153)은 보다 타이트하게 편조되고 몇몇 실시예에서 증가된 강도의 구역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신장에 저항할 수 있다. Each zone of upper 1102 may be associated with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such as braid density. In an exemplary embodiment, both the first zone 1151 and the third zone 1153 are associated with the first braid density and the second zone 1152 and the fourth zone 1154 are associated with the second braid density. .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braid density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braid density. Thus, the first zone 1151 and the third zone 1153 can be tighter braided and provide zones of increased strength in some embodiments and can also resist stretching.

물품(1000)은 또한 제1 오버레이 부분(1160) 및 제2 오버레이 부분(1162)과 관련될 수 있다. 제1 오버레이 부분(1160)은 갑피(1102)의 제1 구역(1151)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오버레이 부분(1162)은 갑피(1102)의 제3 구역(1153)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오버레이 부분(1162)은 제3 구역(1153)의 스트랜드(117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배열에 의해, 제1 오버레이 부분(1160)과 제2 오버레이 부분(1162)은 제1 구역(1151)과 제2 구역(1152)을 더 보강할 수 있음으로써, 이들 구역에서 지지력과 내신축성을 향상시킨다.The article 1000 may also be associated with the first overlay portion 1160 and the second overlay portion 1162. The first overlay portion 1160 can be formed to cover the first region 1151 of the upper 1102. The second overlay portion 1162 may be formed to cover the third region 1153 of the upper 1102. For example, as shown in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3, second overlay portion 1162 may be disposed over strand 1170 of third region 1153. By this arrangement, the first overlay portion 1160 and the second overlay portion 1162 can further reinforce the first zone 1151 and the second zone 1152, thereby providing support and stretch resistance in these zones. Improve.

예시적인 실시예는 오직 갑피 상에 오버레이 부분들에 대해 몇몇의 가능한 구성을 예시하도록 의도된다. 몇몇의 다른 실시예는 다양하고 상이한 형상, 크기 및 위치에 구성된 오버레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더욱이, 임의의 갯수의 별개의 오버레이 구성요소가 변형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오버레이 구성요소 또는 오버레이 부분의 갯수, 형상, 크기 및 위치는 신발류 물품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내신축성, 향상된 강도, 지지력, 안락성 또는 다른 원하는 특성을 비롯한 원하는 특성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The example embodiment is intended only to illustrate some possible configurations for the overlay portions on the upp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ome other embodiments may include overlay portions configu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shapes, sizes, and positions. Moreover, any number of separate overlay components can be used in the variant. The number, shape, size, and position of the overlay component or overlay portion may be selected to achieve the desired properties, including stretch resistance, improved strength, support, comfort, or other desired properties at any location on the article of footwear.

편조된 갑피 출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편조된 갑피는 다양하고 상이한 피쳐 및 기능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는 오버레이 부분은, 편조된 갑피 출원에서 논의된 피쳐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편조된 갑피의 다양하고 상이한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일례로서, 몇몇 실시예에서, 상이한 재료 특성을 갖는 스트랜드는 갑피의 하나 이상의 구역에서 특정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함께 편조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서로 관련될 수 있다. 예컨대, 갑피는 착용자가 걷는 각 걸음을 통해 착용자의 발이 이동할 때에 특정한 정도로 신장하는 섬유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안락성을 증가시킨다. 그 경우에, 높은 인장 강도의 비-신축성 섬유가 추가적인 구조적 지지력을 필요로 하는 신발류의 특정 구역을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갑피는, 예컨대 통기성 또는 안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몇몇 영역에서 더 개방된 브레이드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추가의 섬유가 브레이드를 통해 끼워져 이들 영역의 특정 부위에서 추가 지지력을 제공하거나, 신발류의 높은 충격 구역에 대해 증가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 구성 중 임의의 구성을 갖는 갑피는 갑피의 다양한 영역에서 지지력 및/또는 내신축성을 비롯한 갑피의 특성 및 기능성을 추가로 제어하도록 하나 이상의 오버레이 부분과 또한 관련될 수 있다.As discussed in the braided upper application, the braided upper can be configured to have a variety of different features and functionalit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verlay portion described in this detailed description can be used in various different embodiments of braided uppers that may or may not include some of the features discussed in the braided upper application. As an example, in some embodiments, strands having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may be braided together or otherwise related to each other to provide specific properties in one or more regions of the upper. For example, the upper can be made from fibers that stretch to a certain degree as the foot of the wearer moves through each step that the wearer walks, thereby increasing the wearer's comfort. In that case, high tensile non-stretch fibers can pass through certain areas of footwear that require additional structural support. As another example, the upper may be made to have a more open braid in some areas, for example to improve breathability or comfort. In that case, additional fibers may be threaded through the braid to provide additional support at certain areas of these areas, or to provide increased durability for high impact areas of footwear. Uppers with any of these configurations may also be associated with one or more overlay portions to further control the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the upper, including support and / or stretch resistance, in various regions of the upper.

갑피는 또한 플로팅 케이블, 즉 갑피의 직물에 편조되지 않아 갑피의 특정 섹션 상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케이블을 가질 수 있다. 플로팅 케이블은 편조된 구조체에서 분리되고 편조된 구조체에 부착되지 않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케이블은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신발류를 발에 고정시키거나, 신발류의 특정 부위를 조이는 신발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블은 신발류의 밑창에 제1 단부가 고정되고, 예컨대 아이릿에 제2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그러한 플로팅 케이블은 또한 발목 개구의 둘레와 같이 신발류의 특정 부위의 지지력 및 안정성에 추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부분은 플로팅 케이블을 통합한 편조된 갑피에 사용될 수 있고, 몇몇의 경우에, 오버레이 부분은 케이블이 있는 부분 또는 케이블이 없는 부분을 보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부분은 플로팅 케이블의 단부를 갑피에 고정시키는 데에 일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The upper may also have a floating cable, ie a cable that is not braided in the fabric of the upper and can be used to relieve stress on a particular section of the upper. The floating cable can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braided structure and that do not adhere to the braided structure. The cable may also be used as a shoelace to secure the footwear to the foot or to tighten a particular portion of the footwear, as described below. For example, the cable may have a first end fixed to the sole of the footwear, for example a second end fixed to the eyelet. Such floating cables can also be used to add to the bearing capacity and stability of certain areas of footwear, such as around the ankle opening. In some embodiments, the overlay portion may be used for braided uppers incorporating floating cables, and in some cases, the overlay portion may be used to reinforce portions with or without cables. In some embodiments, the overlay portion can be used to help secure the end of the floating cable to the upper.

전술하고 도면에 도시된 오버레이 부분과 함께, 편조된 갑피 출원에서 설명된 피쳐들 중 임의의 피쳐를 비롯한 이들 피쳐의 조합은 특정한 운동 또는 레크레이션 활동에 맞게 조정된 갑피의 생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들 피쳐의 조합을 갖는 편조된 갑피는 착용자의 발에 긴밀하고도 편안하게 일치하면서 매우 가벼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의 맞음새는 착용자가 선호할 수 있는 특정한 정도의 장력 또는 견고성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The combination of these features, including any of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braided upper applic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overlay portion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figures, may facilitate the creation of uppers adapted for specific athletic or recreational activities. Braided uppers with a combination of these features can be very light while closely and comfortably matching the wearer's foot. In some embodiments, the fit of the upper may be adjusted to provide a certain degree of tension or firmness that the wearer may prefer.

도 14 내지 도 17은 편조된 갑피 및 오버레이 부분으로 구성되는 물품을 형성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에서의 여러 단계를 예시한다. 초기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조된 갑피(1402)는 임의의 종류의 편조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편조된 물품을 형성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는 이미 논의되었고 참고로 포함되는 편조된 갑피 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개구(1502)는 갑피(1402)로 절단될 수 있다. 이는 개구(1502)와 경계를 이루는 새로운 에지(1504)를 생성할 수 있다. 개구(1502)는 발의 삽입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신발끈 등의 파스너를 위한 구역을 제공할 수 있다. 14-17 illustrate various steps in an example process of forming an article consisting of a braided upper and an overlay portion. Initially, as shown in FIG. 14, braided upper 1402 can be formed using any kind of braiding process. Exemplary processes for forming a braided article are described in the braided upper application already discussed and incorporated by reference. Next, as shown in FIG. 15, in some embodiments, opening 1502 may be cut into upper 1402. This may create a new edge 1504 that is bounded by the opening 1502. The opening 1502 can be used for the insertion of the foot and can provide a zone for fasteners such as shoelaces.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부분(1510)은 그후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402)의 에지(1504; 도 15 참조)를 따라 접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합은 초음파 용접 프로세스와 같은 용접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지(1504)를 따라 노출된 스트랜드는 오버레이 부분(1510)에 융착되어 단부를 마무리할 뿐만 아니라 물품이 체결될 때에 에지(1504)를 보강하고 지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1602)은 아이릿(1610)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시스템(1620)이 갑피(1402)의 바닥에 추가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overlay portion 1510 may then be bonded along edge 1504 (see FIG. 15) of upper 1402 as shown in FIG. 17. In some embodiments, bonding may be accomplished using a welding process, such as an ultrasonic welding process. Thereby, the strands exposed along edge 1504 can be fused to overlay portion 1510 to finish the end, as well as to reinforce and support edge 1504 when the article is fastened. Finally, as shown in FIG. 17, shoelace 1602 may be inserted through eyelet 1610. 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sole system 1620 may be added to the bottom of upper 1402.

몇몇 실시예는 갑피와 밑창 시스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부분이 갑피와 밑창 시스템 사이에 제공됨으로써, 갑피와 밑창 시스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Some embodiments may include a facility to facilitate coupling of the upper and the sole system. In some embodiments, an overlay por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the sole system, thereby facilitating engagement of the upper and the sole system.

도 18 및 도 19는 오버레이 부분이 밑창 시스템을 갑피에 부착시키는 데에 일조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의 등각 투영도를 예시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갑피(1702)는 오버레이 구성요소(1720) 및 오버레이 구성요소(1722)와 관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구성요소(1720)는 갑피(1702)의 개구(1716)와 관련될 수 있다. 오버레이 구성요소(1722)는 갑피(1702)의 하부면(1703)과 관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구성요소(1722)는 하부면(1703)의 전체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구성요소(1722)는 하부면(1703)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몇몇의 경우에, 오버레이 구성요소(1722)는 갑피(1702)의 하부 주연부(1705) 둘레에서 부분적으로 위로 연장될 수 있다.18 and 19 illustrate an isometric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overlay portion can be used to assist in attaching the sole system to the upper. 18 and 19, upper 1702 may be associated with overlay component 1720 and overlay component 1722. In some embodiments, overlay component 1720 may be associated with opening 1716 of upper 1702. Overlay component 1722 may be associated with bottom surface 1703 of upper 1702. In some embodiments, overlay component 1722 may extend throughout the bottom surface 1703, while in other embodiments, overlay component 1722 may extend only over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1703. Can be. Moreover, in some cases, overlay component 1722 may extend partially upward around lower perimeter 1705 of upper 1702.

몇몇 실시예에서, 밑창 시스템(1730)은 갑피(1702)와 관련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구성요소(1722)는 갑피(1702)에 대한 밑창 시스템(1730)의 접합 또는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9의 확대된 단면도에서 명백하게 확인되는 바와 같이, 오버레이 구성요소(1722)는 밑창 시스템(1730)과 갑피(1702)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밑창 시스템(1730)과 갑피(1702)의 하부면(17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sole system 1730 may be associated with upper 1702. Moreover, in some embodiments, overlay component 1722 may facilitate bonding or coupling sole system 1730 to upper 1702. For example, as is evident in th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9, overlay component 1722 is a bottom of sole system 1730 and upper 1702 to facilitate engagement of sole system 1730 and upper 1702. May be disposed between faces 1703.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구성요소(1722)와 밑창 시스템(1730)의 재료 특성은 오버레이 구성요소(1722)와 밑창 시스템(1730)이 접착제 또는 다른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구성요소(1722)는 열가소성 우레탄(TPU)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밑창 구성요소(1730)는 유사한 재료 또는 TPU와 용이하게 접합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구성요소(1722)와 밑창 시스템(1730)은 별개의 접착제에 의해 또는 별개의 접착제가 없이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material properties of overlay component 1722 and sole system 1730 may be selected such that overlay component 1722 and sole system 1730 may be easily bonded using an adhesive or other process. have.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overlay component 1722 may be made of thermoplastic urethane (TPU) material, and sole component 1730 may be made of similar material or a material that readily bonds with the TPU.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verlay component 1722 and sole system 1730 may be made of any other material that may be joined by a separate adhesive or without a separate adhesive.

도 20 내지 도 24는 신발류 물품(2000), 또는 간단하게 물품(2000)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물품은 다수의 편조된 구조체를 갖는 갑피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20을 참조하면, 물품(2000)은 밑창 시스템(2002)과 갑피(2004)를 포함한다. 밑창 시스템(2002)은 도 1의 밑창 시스템(110)과 유사할 수 있다. 갑피(2004)는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를 포함한다. 더욱이, 참조를 위해, 갑피(2004)와 같은 물품(2000)의 구성요소는, 전족 부분(10), 중족 부분(12) 및 뒤꿈치 부분(14)으로 분할될 수 있다.20-24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n article of footwear 2000, or simply 2000. In some embodiments, the article may include an upper having a plurality of braided structures. First, referring to FIG. 20, article 2000 includes sole system 2002 and upper 2004. Sole system 2002 may be similar to sole system 110 of FIG. 1. Upper 2004 includes a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a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Moreover, for reference, a component of an article 2000, such as upper 2004, may be divided into forefoot portion 10, midfoot portion 12, and heel portion 14.

도 1의 갑피(102)와 유사하게, 갑피(2004)는 임의의 디자인, 형상, 크기 및/또는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물품(2000)이 농구화인 실시예에서, 갑피(2004)는 발목에 높은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하이탑 갑피일 수 있다. 물품(2000)이 런닝화인 실시예에서, 갑피(2004)는 로우탑 갑피일 수 있다.Similar to upper 102 of FIG. 1, upper 2004 may have any design, shape, size, and / or color. For example, in embodiments where article 2000 is a basketball shoe, upper 2004 may be a high top upper formed to provide high support to the ankle. In embodiments where article 2000 is a running shoe, upper 2004 may be a low top upper.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얀, 필라멘트, 또는 다른 섬유의 3개 이상의 스트랜드를 서로 얽히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는 전체적으로 발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형성하도록 함께 편조되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예컨대, 스트랜드(2030)]로 형성된다. 유사한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전체적으로 발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형성하도록 함께 편조되는 복수 개의 스트랜드[예컨대, 스트랜드(2040)]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랜드(2030) 및/또는 스트랜드(2040)는 스트랜드(130; 도 1 참조)와 유사한 재료 및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may be formed by intertwining three or more strands of yarn, filament, or other fibers to form a structure. For example,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trands (eg, strand 2030) that are braided together to form a shape that is generally similar to the shape of the foot. Similar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trands (eg, strand 2040) that are braided together to form a shape that is generally similar to the shape of the foot as a whole. Strand 2030 and / or strand 20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and method similar to strand 130 (see FIG. 1).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모두 특정한 직조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모두 특정한 직조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모두 특정한 직조 구조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have a similar structure. For example, both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can use a particular weave pattern. In some embodiments, both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may have a specific weave density. In one embodiment, both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can be formed using a particular woven structure.

특정한 실시예에서, 스트랜드(2030)와 스트랜드(2040)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트랜드(2030)와 스트랜드(2040)는 공통의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랜드(2030)와 스트랜드(2040)는 공통의 재료로 제조된다. 예컨대, 스트랜드(2030)와 스트랜드(2040)는 열가소성 물질이 함침된 필라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 particular embodiment, strand 2030 and strand 2040 have a similar structure. In some embodiments, strand 2030 and strand 2040 have a common thickness. In one embodiment, strand 2030 and strand 2040 are made of a common material. For example, strand 2030 and strand 2040 may comprise filaments impregnated with a thermoplastic.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상이할 수 있다. 그러한 차이는, 예컨대 직조 기법, 구조, 직조 밀도, 필라멘트 종류, 필라멘트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는 부드러운 감촉, 낮은 밀도, 및 소수성이 되도록 추가 처리된 소프트 얀(soft yarn)을 갖는 직조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에서,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내구성, 높은 밀도, 및 수지로 보강되도록 추가 처리된 탄소 섬유를 최대화시키는 직조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may be different. Such differences may include, for example, weaving techniques, structures, weave densities, filament types, filament treatment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may be formed of a weave and structure with soft yarns that have been further treated to be soft to the touch, low density, and hydrophobic. In an example,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may be formed of a weave and structure that maximizes durability, high density, and carbon fibers further processed to be reinforced with resin.

편조된 구조체[예컨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 제2 편조된 구조체(2008) 등] 내의 다양한 특성은 구조체 내에서 일관될 수 있거나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전족 부분(1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뒤꿈치 부분(14)에 사용된 직조 기법보다 더 내구성이 있는 직조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전족 부분(1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뒤꿈치 부분(14)에 사용된 구조보다 더 견고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전족 부분(1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뒤꿈치 부분(14)에 사용된 직조보다 더 높은 밀도의 직조를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전족 부분(1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뒤꿈치 부분(14)에 사용된 필라멘트보다 더 강한 필라멘트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한 필라멘트는, 예컨대 필라멘트에 수지를 함침시킴으로써 더 강하게 제조될 수 있다. 위의 예는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에 관한 것이지만, 예는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various properties within the braided structure (eg,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etc.) may be consistent or different within the structure. For example, the forefoot portion 10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may use a more durable weave technique than the weave technique used for the heel portion 14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Similarly, the forefoot portion 10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may use a structure that is more rigid than the structure used for the heel portion 14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In addition, the forefoot portion 10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may use a higher density of weave than the weave used for the heel portion 14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Moreover, the forefoot portion 10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may use a stronger filament than the filament used for the heel portion 14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Such filaments can be made stronger, for example by impregnating the resin with the filaments. Although the above example relates to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the exampl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몇몇 실시예에서, 편조된 구조체들은 조직화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모두 중족 부분(12)보다 뒤꿈치 부분(14)에서 더 조밀한 직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조된 구조체들 중 하나는 다른 편조된 구조체에 대응하지 않는 특성 변화를 갖는다. 예컨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는 전체에 걸쳐서 특정한 직조 기법을 이용하지만,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뒤꿈치 부분(14)과 전족 부분(10)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braided structures can have organized properties. For example, both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may utilize a tighter weave in the heel portion 14 than the midfoot portion 12. In another embodiment, one of the braided structures has a characteristic chang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other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uses a specific weaving technique throughout, but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includes a heel portion 14 and a forefoot portion 10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일 양태에서, 편조된 구조체들은 별개로 형성되고(예컨대, 편조되고) 이후에 결합되거나, 또는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신발 라스트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를 생성하도록 편조 기계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신발 라스트는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를 생성하도록 상기 편조 기계 또는 다른 편조 기계에 삽입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일 신발 라스트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를 생성하도록 편조 기계에 한번 삽입될 수 있다.In one aspect, the braided structures may be formed separately (eg, braided) and then joined or formed simultaneously. For example, a first shoe last can be inserted into a braiding machine to produce a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a second shoe last can be inserted into the braiding machine or another braiding machine to produce a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Can be. Alternatively, a single shoe last can be inserted once into the braiding machine to produce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다양한 경우에,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오버레이 시스템(2140)에 의해 유지된다.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오버레이 구성요소(140)와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 부재(2123)[예컨대, 체결 부재(160)]를 위한 아이릿(2122)을 포함한다. In various cases,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are maintained by the overlay system 2140. Overlay system 2140 may be manufactured similar to overlay component 140. For example, overlay system 2140 may be formed of a thermoplastic and includes eyelets 2122 for fastening member 2123 (eg, fastening member 160).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2140)의 내신축성은 하나 이상의 편조된 구조체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 및/또는 제2 편조된 구조체보다 내신축성이 더 클 수 있다(예컨대, 덜 신장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 및/또는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와 유사한 내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tretch resistance of overlay system 2140 may differ from one or more braided structures.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overlay system 2140 may be more stretch resistant (eg, less stretchable) than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 or second braided structure.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overlay system 2140 may have similar stretch resistance as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 or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특정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가 과도하게 신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층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 상에 형성된 제1 층(2144)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2 편조된 구조체가 과도하게 신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층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 상에 형성된 제2 층(2142)을 포함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overlay system includes a first layer that prevents the first braided structure from being stretched excessive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overlay system 2140 includes a first layer 2144 formed on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Similarly, in some embodiments, the overlay system includes a second layer that prevents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from being excessively stretch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overlay system 2140 includes a second layer 2142 formed on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층은 발의 뒤꿈치 구역을 지지하는 제1 오버레이 부분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2 층(2142)은 뒤꿈치 부분(14)과 관련된 제1 오버레이 부분(2154)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오버레이 부분(2154)은 물품(2000) 내에 삽입된 발을 지지하도록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신장을 제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오버레이 부분은 갑피의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로 연장된다. 예컨대,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버레이 부분(2154)은 바깥쪽 측부(16)와 안쪽 측부(18)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오버레이 부분은 바깥쪽 측부 또는 안쪽 측부 중 어느 한쪽으로 연장된다. 예컨대, 제1 오버레이 부분(2154)은 바깥쪽 측부(16)로 연장되고 안쪽 측부(18; 도시 생략)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오버레이 부분(2154)은 안쪽 측부(18)로 연장되고 바깥쪽 측부(16; 도시 생략)로부터 분리되어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layer includes a first overlay portion that supports the heel region of the foot. For example, the second layer 2142 includes a first overlay portion 2154 associated with the heel portion 14. In one embodiment, the first overlay portion 2154 may limit the elongation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to support the foot inserted into the article 2000.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overlay portion extends to the outer and inner sides of the upper. For example, as illustrated, the first overlay portion 2154 extends to the outer side 16 and the inner side 18.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overlay portion extends to either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ide. For example, the first overlay portion 2154 extends to the outer side 16 and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ide 18 (not shown).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overlay portion 2154 extends to the inner side 18 and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ide 16 (not shown).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층은 발의 삽입 동안에 물품을 지지하는 제2 오버레이 부분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2 층(2142)은 개구(2120)와 관련된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를 과도하게 신장시키지 않으면서 물품(2000) 내에 발을 삽입하게 하도록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신장을 제한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layer includes a second overlay portion that supports the article during insertion of the foot. For example, the second layer 2142 includes a second overlay portion 2152 associated with the opening 2120.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limits the stretching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to allow the foot to be inserted into the article 2000 without excessively stretching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can do.

일 실시예에서, 제2 층은 발에 물품을 체결하게 하도록 체결 구역을 지지하는 제3 오버레이 부분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2 층(2142)은 체결 구역(2124)과 관련된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은 체결 부재(2123)를 수용하기 위한 아이릿(2122)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를 과도하게 신장시키지 않으면서 체결 부재(2123)를 잡아당기게 하도록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신장을 제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layer includes a third overlay portion that supports the fastening zone to fasten the article to the foot. For example, the second layer 2142 includes a third overlay portion 2150 associated with the fastening zone 2124. As shown, in one embodiment, the third overlay portion 2150 may include an eyelet 2122 for receiving the fastening member 2123. Furthermore, 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overlay portion 2150 extends the extension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to pull the fastening member 2123 without excessively stretching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You can limit it.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부분들은 갑피(2004)의 다양한 에지를 덮도록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버레이 부분(2154), 제2 오버레이 부분(2152), 및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은 제2 오버레이 부분(2152)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은 제1 오버레이 부분(2154)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은 제1 오버레이 부분(2154)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은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오버레이 부분(2152)은 제1 오버레이 부분(2154)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은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overlay portions are substantially continuous to cover various edges of upper 200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the first overlay portion 2154,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and the third overlay portion 2150 are substantially continuous. In another embodiment, the third overlay portion 2150 is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and the third overlay portion 2150 is separate from the first overlay portion 2154. In one embodiment, the third overlay portion 2150 is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the first overlay portion 2154 and the third overlay portion 2150 is separate from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overlay portion 2152 is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the first overlay portion 2154 and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is separate from the third overlay portion 2150.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가 과도하게 신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층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 상에 형성된 제1 층(2144)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층(2144)은 제2 층(2142)과 유사하다. 예컨대, 제1 층(2144)은 체결 구역(2124)과 관련된 제6 오버레이 부분(215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층(2144)은 개구(2120)와 관련된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층(2144)은 뒤꿈치 부분(14)과 관련된 제4 오버레이 부분(216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층(2144)과 제2 층(2142)은 상이하다.As noted above, in various embodiments, the overlay system includes a first layer that prevents the first braided structure from being excessively stretch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overlay system 2140 includes a first layer 2144 formed on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In some embodiments, first layer 2144 is similar to second layer 2142. For example, the first layer 2144 can include a sixth overlay portion 2156 associated with the fastening zone 2124.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layer 2144 includes a fifth overlay portion 2158 associated with the opening 2120. In another example, first layer 2144 includes a fourth overlay portion 2160 associated with heel portion 14. In other embodiments, the first layer 2144 and the second layer 2142 are different.

일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 및/또는 제2 편조된 구조체를 지지하도록 개구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은 제1 개구 에지(2296)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에 접합시킴으로써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제1 개구 에지(2296)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 다른 예에서,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은 제2 개구 에지(2196) 상에서 연장된다. 위의 설명과 유사하게,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에 접합시킴으로써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제2 개구 에지(2196)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In one embodiment, the overlay system extends along the opening edge to support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 or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fifth overlay portion 2158 may extend on first opening edge 2296. 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first opening edge 2296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fifth overlay portion 2158. In another exampl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extends on second opening edge 2196. Similar to the above description, 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second opening edge 2196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 및/또는 제2 편조된 구조체를 지지하도록 바깥쪽 중족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은 제1 바깥쪽 중족 에지(2230)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에 접합시킴으로써 제1 바깥쪽 중족 에지(2230)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 다른 예에서,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은 제2 바깥쪽 중족 에지(2130) 상에서 연장된다. 위의 설명과 유사하게,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에 접합시킴으로써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제2 바깥쪽 중족 에지(2130)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overlay system extends along the outer midfoot edge to support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 or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fifth overlay portion 2158 may extend on first outer midfoot edge 2230. 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first outer midfoot edge 2230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fifth overlay portion 2158. In another exampl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extends on second outer midfoot edge 2130. Similar to the above description, 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second outer midfoot edge 2130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

다양한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 및/또는 제2 편조된 구조체를 지지하도록 바깥쪽 중족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은 제1 안쪽 중족 에지(2232)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에 접합시킴으로써 제1 안쪽 중족 에지(2232)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 다른 예에서,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은 제2 안쪽 중족 에지(2132) 상에서 연장된다. 위의 설명과 유사하게,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에 접합시킴으로써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제2 안쪽 중족 에지(2132)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overlay system extends along the outer midfoot edge to support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 or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fifth overlay portion 2158 may extend on first inner midfoot edge 2232. 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first inner midfoot edge 2232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fifth overlay portion 2158. In another exampl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extends on second inner midfoot edge 2132. Similar to the above description, 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second inner midfoot edge 2132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 및/또는 제2 편조된 구조체를 지지하도록 전방 체결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오버레이 부분(2156)은 제1 전방 체결 에지(2229)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6 오버레이 부분(2156)에 접합시킴으로써 제1 전방 체결 에지(2229)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 다른 예에서,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은 제2 전방 체결 에지(2129) 상에서 연장된다. 위의 설명과 유사하게,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에 접합시킴으로써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제2 전방 체결 에지(2129)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overlay system extends along the front fastening edge to support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 or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the sixth overlay portion 2156 may extend on the first forward fastening edge 2229. 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first front fastening edge 2229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sixth overlay portion 2156. In another example, third overlay portion 2150 extends on second front fastening edge 2129. Similar to the above description, 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second front fastening edge 2129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third overlay portion 2150.

일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 및/또는 제2 편조된 구조체를 지지하도록 바깥족 체결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오버레이 부분(2156)은 제1 바깥쪽 체결 에지(2226)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6 오버레이 부분(2156)에 접합시킴으로써 제1 바깥쪽 체결 에지(2226)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 다른 예에서,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은 제2 바깥쪽 체결 에지(2126) 상에서 연장된다. 위의 설명과 유사하게,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에 접합시킴으로써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제2 바깥쪽 체결 에지(2126)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 In one embodiment, the overlay system extends along the outer foot fastening edge to support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 or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the sixth overlay portion 2156 may extend on the first outer fastening edge 2226. 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first outer fastening edge 2226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sixth overlay portion 2156. In another example, third overlay portion 2150 extends on second outer fastening edge 2126. Similar to the above description, 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second outer fastening edge 2126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third overlay portion 2150. .

다양한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 및/또는 제2 편조된 구조체를 지지하도록 안쪽 체결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오버레이 부분(2156)은 제1 안쪽 체결 에지(2227)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6 오버레이 부분(2156)에 접합시킴으로써 제1 안쪽 체결 에지(2227)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 다른 예에서,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은 제2 안쪽 체결 에지(2127) 상에서 연장된다. 위의 설명과 유사하게, 이 배열은 임의의 개방 스트랜드를 제3 오버레이 부분(2150)에 접합시킴으로써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제2 안쪽 체결 에지(2127)를 마무리하는 데에 일조한다. In various embodiments, the overlay system extends along the inner fastening edge to support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 or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the sixth overlay portion 2156 may extend on the first inner fastening edge 2227. 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first inner fastening edge 2227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sixth overlay portion 2156. In another example, third overlay portion 2150 extends on second inner fastening edge 2127. Similar to the above description, this arrangement helps to finish the second inner fastening edge 2127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by joining any open strands to the third overlay portion 2150.

몇몇의 경우에, 제2 편조된 구조체는 제1 편조된 구조체의 외표면과 중첩한다. 예컨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내표면(201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외표면(2012)과 실질적으로 중첩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표면이 다른 표면의 적어도 60%를 덮을 때에 표면이 다른 표면과 실질적으로 중첩한다. 몇몇의 경우에, 내표면(2010)과 외표면(2012)은 60 내지 100% 만큼(예컨대, 70%, 80%, 90%, 95%, 또는 99% 만큼) 중첩할 수 있다. 더욱이, 일 실시예에서, 제2 편조된 구조체의 내표면은 제1 편조된 구조체의 외표면과 직접 접촉한다. 예컨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표면(2010)은 외표면(2012)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몇몇의 경우에, 제2 편조된 구조체의 외표면을 유지하는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의 외표면과 직접 접촉한다. 예컨대,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내표면(2010)을 외표면(2012) 상에 직접 접합시킬 수 있다(도 24 참조).In some cases,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overlap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2, the inner surface 2010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substantially overlaps the outer surface 2012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s used herein, a surface substantially overlaps another surface when the first surface covers at least 60% of the other surface. In some cases, inner surface 2010 and outer surface 2012 may overlap by 60 to 100% (eg, by 70%, 80%, 90%, 95%, or 99%). Moreover, in one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2, the inner surface 2010 is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2012. In some cases, an overlay system that maintain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overlay system 2140 may bond inner surface 2010 directly on outer surface 2012 (see FIG. 24).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조된 구조체(2006)는 스트랜드(220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랜드(2201)는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복수 개의 스트랜드 및/또는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복수 개의 스트랜드를 대표할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제1 편조된 구조체(2006)는 스트랜드(2201)의 당김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스트랜드(2201)의 당김을 방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은 스트랜드(2201)가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may include strands 2201. Strand 2201 may represent a plurality of strands of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 or a plurality of strands of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In some cases,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may be damaged by pulling strand 2201. Thus, as shown in FIG. 23, overlay system 2140 may be used to prevent pulling of strand 2201. In some embodiments, second overlay portion 2152 may be used to prevent strand 2201 from being pulled out.

게다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스트랜드(220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랜드(2203)는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복수 개의 스트랜드 및/또는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복수 개의 스트랜드를 대표할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스트랜드(2203)의 당김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스트랜드(2203)의 당김을 방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은 스트랜드(2201)가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may include strand 2203. Strand 2203 may represent a plurality of strands of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 or a plurality of strands of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In some cases,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may be damaged by pulling strand 2203. Thus, as shown in FIG. 23, overlay system 2140 may be used to prevent pulling of strand 2203. In some embodiments, fifth overlay portion 2158 may be used to prevent strand 2201 from being pulled out.

다양한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 및/또는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를 특정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스트랜드(2201) 및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스트랜드(2203)를 제위치에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스트랜드(2203)를 제위치에 유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스트랜드(2201)를 제위치에 유지한다.In various embodiments, overlay system 2140 may maintain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 or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in a particular location.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3, overlay system 2140 holds strand 2201 of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strand 2203 of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in place.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holds the strands 2203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in place. In some embodiments, fifth overlay portion 2158 holds strand 2201 of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in place.

일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를 제2 편조된 구조체와의 상대적인 위치에 유지한다. 예컨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제1 편조된 구조체를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와 직접 접촉하게 유지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를 제위치에 유지하고,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를 제위치에 유지하며, 제2 오버레이 부분(2152)과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은 함께 접합되어 제1 편조된 구조체(2006)를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와의 상대적인 위치에 유지한다.In one embodiment, the overlay system maintains the first braided structure in a position relative to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3, overlay system 2140 maintains the first braided structure in direct contact with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In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holds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in place, and the fifth overlay portion 2158 holds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in place.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and the fifth overlay portion 2158 are joined together to maintain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in a position relative to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부분은 제1 편조된 구조체의 스트랜드를 제2 편조된 구조체의 스트랜드와의 소정 위치에 유지한다. 예컨대,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의 제1 스트랜드(2302)를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제2 스트랜드(2304)와 직접 접촉하게 유지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오버레이 부분(2152)은 제2 스트랜드(2304)를 제위치에 유지하고,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은 제1 스트랜드(2302)를 제위치에 유지하며, 제2 오버레이 부분(2152)과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은 함께 접합되어 제1 스트랜드(2302)를 제2 스트랜드(2304)와의 상대적인 위치에 유지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overlay portion keeps the strands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in position with the strands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3, overlay system 2140 directly contacts first strand 2302 of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with second strand 2304 of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Keep it. In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holds the second strand 2304 in place, the fifth overlay portion 2158 holds the first strand 2302 in place, and the second overlay. The portion 2152 and the fifth overlay portion 2158 are joined together to maintain the first strand 2302 in a position relative to the second strand 2304.

몇몇의 경우에,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힘(2402)이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에 인가된다. 더욱이, 예에서, 바깥쪽 힘(2404)이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에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중앙 부분(2406)에서 분리된다. 더욱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가 분리되는 것을 오버레이 부분(2408)에서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오버레이 부분(2152)과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은 함께 접합되어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분리를 방지한다.In some cases, overlay system 2140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separation of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4, an inner force 2402 is applied to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Moreover, in an example, an outer force 2404 can be applied to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Thus,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are separated at the central portion 2406. Furthermore, as shown in FIG. 24, overlay system 2140 prevents separation of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at overlay portion 2408. As noted above,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and the fifth overlay portion 2158 are joined togeth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do.

몇몇 실시예에서, 완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중간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25 내지 도 34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2600), 또는 간단하게 물품(2600)은 물품(2600)이 중간층(2601)을 더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물품(20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In some embodiments, it is desirable to provide an intermediate layer to provide a cushioning function. For example, FIGS. 25-34 illustrate an embodiment that includes an intermediate layer. As shown in FIG. 25, the article of footwear 2600, or simply article 2600, is substantially similar to article 2000 except that article 2600 further includes an interlayer 2601.

일 실시예에서, 중간층은 물품(2600)의 다양한 지점에 배치되는 임의의 갯수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층(2601)은 제1 부재로서 발목 패드(2602)와, 제2 부재로서 뒤꿈치 패드(260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층(2601)은 1개의 부재, 또는 2개보다 많은 부재(도 2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예에서, 중간층(2601)은 신발의 다른 부분, 예컨대 중족 부분(12)과 전족 부분(10; 도시 생략)에 부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interlayer may include any number of members disposed at various points in the article 26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5, the intermediate layer 2601 may include an ankle pad 2602 as a first member and a heel pad 2604 as a second member. In other embodiments, the intermediate layer 2601 may include one member or more than two members (see FIG. 26). Moreover, in some embodiments, the interlayer 2601 includes members in other portions of the shoe, such as the midfoot portion 12 and the forefoot portion 10 (not shown).

몇몇 실시예에서, 바깥쪽 측부(16)는 안쪽 측부(18)의 제1 부재에 대응하는 제3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간층(2601)은 발목 패드(2702)를 포함할 수 있다(도 26 및 도 27 참조). 몇몇의 경우에, 발목 패드(2602)는 발목 패드(270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하나 이상의 피쳐를 갖는다. 다른 경우에, 발목 패드(2602)와 발목 패드(2702)는 상이하다. In some embodiments, lateral side 16 may include a third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member of medial side 18. For example, the intermediate layer 2601 can include ankle pads 2702 (see FIGS. 26 and 27). In some cases, ankle pad 2602 has one or more features substantially similar to ankle pad 2702. In other cases, ankle pad 2602 and ankle pad 2702 are different.

일 실시예에서, 바깥쪽 측부(16)는 안쪽 측부(18)의 제2 부재에 대응하는 제4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간층(2601)은 뒤꿈치 패드(2604)를 포함할 수 있다(도 26 및 도 27 참조). 몇몇의 경우에, 뒤꿈치 패드(2604)는 뒤꿈치 패드(2704)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하나 이상의 피쳐를 갖는다. 다른 경우에, 뒤꿈치 패드(2604)와 뒤꿈치 패드(2704)는 상이하다.In one embodiment, the outer side 16 may include a fourth memb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ember of the inner side 18. For example, the intermediate layer 2601 can include a heel pad 2604 (see FIGS. 26 and 27). In some cases, heel pad 2604 has one or more features substantially similar to heel pad 2704. In other cases, heel pad 2604 and heel pad 2704 are different.

몇몇의 경우에, 사용자의 발에 완충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중간층이 사용자의 발에 완충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패드(2702)는 발목 부분(15)에 위치 설정된다. 더욱이, 도시된 바와 같이, 뒤꿈치 패드(2704)는 발목 부분(14)에 위치 설정된다.In some cases, it may be desirable to provide cushioning to a user's foot. In such a case, an interlayer can be arranged to provide cushioning to the user's fee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7, ankle pad 2702 is positioned at ankle portion 15. Moreover, as shown, heel pad 2704 is positioned at ankle portion 14.

일 실시예에서, 중간층은 발포체로 형성된다. 예컨대, 발목 패드(2602), 뒤꿈치 패드(2604), 발목 패드(2702), 및/또는 뒤꿈치 패드(2704)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예컨대, EVA)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중간층은 폴리머로 형성된다. 예컨대, 발목 패드(2602), 뒤꿈치 패드(2604), 발목 패드(2702), 및 뒤꿈치 패드(2704)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termediate layer is formed of foam. For example, ankle pad 2602, heel pad 2604, ankle pad 2702, and / or heel pad 2704 may be formed of ethylene vinyl acetate (eg, EVA). In other cases, the intermediate layer is formed of a polymer. For example, ankle pad 2602, heel pad 2604, ankle pad 2702, and heel pad 2704 may be formed of thermoplastic resin.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은 중간층(2601)의 하나 이상의 부재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예컨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발목 패드(2702)를 실질적으로 둘러싼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둘러싼다는 것은 60% 이상을 둘러싸는 것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overlay system substantially surrounds one or more members of the interlayer 260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7, overlay system 2140 substantially surrounds ankle pad 2702. As used herein, enclosing substantially includes enclosing at least 60%.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편조된 구조체와 제2 편조된 구조체는 중간층에 의해 분리된다. 예컨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패드(2702)는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다른 예에서, 뒤꿈치 패드(2704)는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are separated by an intermediate lay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8, ankle pad 2702 is positioned between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In another example, heel pad 2704 is positioned between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몇몇 실시예에서, 중간층(2601)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제1 편조된 구조체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패드(2702)는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직접 접촉한다. 다른 예에서, 뒤꿈치 패드(2704)는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직접 접촉한다. 유사하게, 몇몇 실시예에서, 중간층(2601)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제2 편조된 구조체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패드(2702)는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와 직접 접촉한다. 다른 예에서, 뒤꿈치 패드(2704)는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와 직접 접촉한다.In some embodiments, one or more members of intermediate layer 2601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8, ankle pad 2702 is in direct contact with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In another example, heel pad 2704 is in direct contact with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Similarly, in some embodiments, one or more members of intermediate layer 2601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8, ankle pad 2702 is in direct contact with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In another example, heel pad 2704 is in direct contact with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일 실시예에서, 중간층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오버레이 시스템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된다. 예컨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패드(2702)는 제1 편조된 구조체(2154)와 제2 편조된 구조체(2152) 사이에 유지된다. 다른 예에서, 발목 패드(2702)는 제4 오버레이 부분(2160)과 제5 오버레이 부분(2158) 사이에 유지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뒤꿈치 패드는 오버레이 시스템과 밑창 시스템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된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뒤꿈치 패드(2704)는 제1 오버레이 부분(2154)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뒤꿈치 패드(2704)는 제4 오버레이 부분(2160)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members of the interlayer are held in place by the overlay syste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8, ankle pad 2702 is held between first braided structure 2154 and second braided structure 2152. In another example, ankle pad 2702 is maintained between fourth overlay portion 2160 and fifth overlay portion 2158. In some embodiments, the heel pad is held in place by the overlay system and the sole system. For example, as shown, heel pad 2704 may be held in place by first overlay portion 2154. In another example, heel pad 2704 may be held in place by fourth overlay portion 2160.

몇몇 실시예에서, 중간층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오버레이 시스템(2140)에 의해 제위치에 유연하게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층은 중간층의 하나 이상의 부재를 오버레이 시스템(2140)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유연하게 유지된다. 예컨대,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패드(2702)는 제2 오버레이 부분(215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발목 패드(2702)는 제1 오버레이 부분(215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발목 패드(2702)는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일 예에서, 발목 패드(2702)는 제4 오버레이 부분(216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유사하게, 뒤꿈치 패드(2704)는 제1 오버레이 부분(2154), 제2 오버레이 부분(2152), 제3 오버레이 부분(2150), 제4 오버레이 부분(2160), 제5 오버레이 부분(2158), 및 제6 오버레이 부분(2156)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ne or more members of the interlayer are flexibly held in place by the overlay system 2140. In one embodiment, the interlayer remains flexible by separating one or more members of the interlayer from the overlay system 214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7 and 28, ankle pad 2702 is spaced apart from second overlay portion 2152. In another example, ankle pad 2702 is spaced apart from first overlay portion 2154. In another example, ankle pad 2702 is spaced from fifth overlay portion 2158. In one example, ankle pad 2702 is spaced apart from fourth overlay portion 2160. Similarly, heel pad 2704 may include first overlay portion 2154, second overlay portion 2152, third overlay portion 2150, fourth overlay portion 2160, fifth overlay portion 2158,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or more of the sixth overlay portion 2156.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층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오버레이 시스템에 의해 제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패드(2602)는 오버레이 시스템(214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다른 예에서, 발목 패드(2604)는 오버레이 시스템(214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In other embodiments, one or more members of the interlayer may be held firmly in place by the overlay syste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9, ankle pad 2602 is firmly attached to overlay system 2140. In another example, ankle pad 2604 is firmly attached to overlay system 2140.

다양한 실시예에서, 중간층(2601)의 하나 이상의 부재는 오버레이 시스템(214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패드(2602)는 제2 오버레이 부분(2152) 및/또는 제5 오버레이 부분(2158)과 직접 접촉된다. 다른 예에서, 뒤꿈치 패드(2604)는 제2 오버레이 부분(2152) 및/또는 제5 오버레이 부분(2158)과 직접 접촉된다. In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members of interlayer 2601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overlay system 214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0, ankle pad 2602 is in direct contact with second overlay portion 2152 and / or fifth overlay portion 2158. In another example, heel pad 2604 is in direct contact with second overlay portion 2152 and / or fifth overlay portion 2158.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도 20 내지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는, 예컨대 갑피의 재료 특성을 선택적으로 수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오버레이 부분들은 선택 지점에서 내신축성, 강도, 강성 및/또는 다른 재료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갑피의 선택 지점에 적용될 수 있다(다른 지점에는 적용되지 않음). 예컨대,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버레이 시스템(2140)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의 에지들 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오버레이 부분을 포함하지만, 이들 에지 내측의 몇몇 부분(예컨대, 발가락 부분,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의 일부, 및 갑피(2004)의 바닥면의 일부)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오버레이 부분의 선택적 배치는 에지들에서 내신축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지만, 오버레이 부분에 의해 덮이지 않는 부분에서 개선된 가요성, 비교적 낮은 강성, 및 통기성을 유지한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shown in FIGS. 20-30 provide a means for selectively modifying material properties, for example, of the upper. In particular, the overlay portions may be applied to the selection point of the upper (not applicable to other points) to improve stretch resistance, strength, stiffness and / or other material properties at the selection point.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0-24, overlay system 2140 includes an overlay portion that is selectively disposed on the edges of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However, it does not include some parts inside these edges (eg, toe portions, parts of the lateral and medial sides, and portions of the bottom surface of upper 2004). This selective placement of the overlay portion improves stretch resistance and strength at the edges, but maintains improved flexibility, relatively low stiffness, and breathability at the portion not covered by the overlay portion.

도 31 및 도 32는 갑피(2004)의 몇몇 영역에 오버레이 부분의 선택적 배치를 사용함으로 인한(다른 영역에는 없음) 갑피(2004)의 개선된 기능성을 예시한다. 도 31의 확대 단면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발목 패드(2602)는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 사이에 유지된다. 더욱이, 발목 패드(2602)가 갑피(2004)의 발목 구역 외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도록, 제2 오버레이 부분(2152)과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에 접합되어(그리고 서로 접합되어) 발목 패드(2602)를 갑피(2004)의 미리 결정된 구역에 유지하는 데에 일조한다. 구체적으로, 제2 오버레이 부분(2152)과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은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를 발목 패드(2602) 둘레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서, 발목 패드(2602)는 제2 오버레이 부분(2152)과 제5 오버레이 부분(2158)에 의해 획정된 경계 외측으로 병진될 수 없다. 31 and 32 illustrate the improved functionality of upper 2004 due to the use of selective placement of overlay portions in some areas of upper 2004 (but not in other areas). As seen in th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31, ankle pad 2602 is retained between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Furthermore, to prevent the ankle pad 2602 from moving outside the ankle zone of the upper 2004,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and the fifth overlay portion 2158 are formed with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the second braid. To (and bonded to each other) the structure 2008 to help maintain the ankle pad 2602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upper 2004. Specifically, second overlay portion 2152 and fifth overlay portion 2158 maintain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attached around ankle pad 2602. The ankle pad 2602 can not be translated outside the boundary defined by the second overlay portion 2152 and the fifth overlay portion 2158.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2004)는 충격력을 중간층(2601) 상에 분배함으로써 충격 흡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31은 발목(2706)을 보호하도록 위치 설정되는 발목 패드(2602)를 예시한다. 더욱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발목 패드(2602)를 지지한다. 도 3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에서, 제2 편조된 구조체(2008)와 접촉하는 힘(2708)은 힘(2708)을 분배하도록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를 변형시킨다. 그러한 변형은 충격력(2708)을 중간층(2601)으로 분배함으로써 중간층(2601)[예컨대, 발목 패드(2602)]이 충격을 흡수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upper 2004 may improve shock absorption by distributing impact force on intermediate layer 2601. For example, FIG. 31 illustrates ankle pad 2602 positioned to protect ankle 2706. Moreover, as shown,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support the ankle pad 2602. As illustrated in FIG. 32, in the example, the force 2708 in contact with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deforms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to distribute the force 2708. Such deformation can help the intermediate layer 2601 (eg, ankle pad 2602) absorb shock by distributing the impact force 2708 to the intermediate layer 2601.

제2 편조된 구조체(2008)는 그 낮은 강성 및 상대적 가요성으로 인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이는, 가요성을 제한하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고 제1 편조된 구조체(2006)와 제2 편조된 구조체(2008) 사이의 연결을 강화시키도록 이들 구역의 강성을 대체로 증가시킬 수 있는 오버레이 부분을 포함하는 갑피(2004)의 구역과 대조적일 수 있다. 따라서, 오버레이 부분을 이용하는 갑피의 상이한 구역의 특성의 선택적 수정은 갑피의 다른 구역에서 강도를 증가시키고 내신축성을 감소시키면서 갑피의 몇몇 구역에서 원하는 가요성 및 낮은 강성을 유지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can be easily deformed due to its low stiffness and relative flexibility. It includes an overlay portion that can be specifically designed to limit flexibility and that can generally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se zones to enha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braided structure 2006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2008. This may be in contrast to the region of upper 2004. Thus, selective modific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different zones of the upper using the overlay portion may help to maintain the desired flexibility and low stiffness in some zones of the upper while increasing strength and reducing elasticity in the other zones of the upper. This can be understood.

중간 완충층(2760)과 강성층(2710)을 포함하는 갑피의 일부의 변형예가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 강성층(2710)은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변형예에 의해 제공되는 선택적 재료 특성과 대조적으로 균일한 강성, 내신축성 및/또는 강도를 대체로 가질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갑피(2710)에 인가되는 힘(2708)은 부분적으로 중간 완충층(276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강성 갑피(2710)의 상대적 비가요성 때문에, 힘(2708)의 일부는 중간 완충층(2760)의 주변인 강성 갑피(2710)의 구역(2711)을 따라 전달될 수 있다. 이는, 힘(2708)의 일부만이 중간 완충층(2760)에 의해 흡수되고, 힘(2708)의 나머지는 강성 갑피(2710)의 다른 지점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덜 효율적인 완충을 초래할 수 있다.A modification of a portion of the upper including the intermediate buffer layer 2760 and the rigid layer 2710 is shown in FIGS. 33 and 34. In this variant, the rigid layer 2710 may generally have uniform stiffness, stretch resistance and / or strength in contrast to the optional material properties provided by the variants shown in FIGS. 31 and 32. As shown in FIG. 34, the force 2708 applied to the rigid upper 2710 may be partially transferred to the intermediate buffer layer 2760. However, due to the relative inflexibility of the rigid upper 2710, a portion of the force 2708 can be transferred along the zone 2711 of the rigid upper 2710, which is the periphery of the intermediate buffer layer 2760. This can result in less efficient cushioning since only a portion of the force 2708 is absorbed by the intermediate buffer layer 2760 and the remainder of the force 2708 is transferred to another point in the rigid upper 2710.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그러한 설명은 제한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는 더 많은 실시예 및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관점을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수정 및 변화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While various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rather than limiting, and that more embodiment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that are with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examples are not to be restricted except in light of the attach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lso,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와 밑창 시스템을 포함하고,
갑피는 제1 편조된 구조체, 제2 편조된 구조체, 및 오버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며,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에 접합되고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2 편조된 구조체에 접합되며,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편조된 구조체보다 내신축성이 크고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2 편조된 구조체보다 내신축성이 큰 것이며,
상기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은 제1 편조된 구조체에 접합되며,
제1 층은 제2 층에 접합되고,
제2 층은 제2 편조된 구조체에 접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1 편조된 구조체와 제2 편조된 구조체를 중간층이 분리시키는 것이고,
상기 중간층은 발포체이고,
상기 중간층의 에지는 오버레이 시스템에 접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As a footwear article,
Including upper and sole system,
The upper includes a first braided structure, a second braided structure, and an overlay system,
The overlay system is bonded to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overlay system is bonded to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The overlay system is more stretch resistant than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overlay system is more stretch resistant than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The overlay system comprises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The first layer is bonded to the first braided structure,
The first layer is bonded to the second layer,
The second layer is bonded to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The intermediate layer separates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The intermediate layer is a foam,
Wherein the edge of the interlayer is bonded to an overla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조된 구조체는 제1 편조된 구조체의 외표면과 중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The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overlaps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raided struc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조된 구조체의 실질적인 부분이 제1 편조된 구조체와 중첩되고 직접 접촉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The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overlaps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braided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재는 제1 편조된 구조체와 제2 편조된 구조체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mediate layer further comprises a member,
And the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제1 편조된 구조체와 직접 접촉되고,
상기 부재는 제2 편조된 구조체와 직접 접촉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embe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membe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시스템은 상기 부재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것인 신발류 물품.The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overlay system substantially surrounds the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오버레이 시스템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인 신발류 물품.The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overlay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오버레이 시스템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8. The article of footwear of claim 7, wherein the member is attached to an overlay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발목 패드이고, 발목 패드는 신발류 물품의 발목 부분에 위치 설정되며,
갑피는 뒤꿈치 패드를 더 포함하고, 뒤꿈치 패드는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 부분에 위치 설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8. The device of claim 7, wherein the member is an ankle pad, the ankle pad is positioned at the ankle portion of the article of footwear
The upper further includes a heel pad, wherein the heel pad is positioned at the heel portion of the article of footwea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발포체로 제조되고 오버레이 시스템은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The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member is made of foam and the overlay system is made of thermoplastic. 제1항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갑피로서,
상기 제1 편조된 구조체는 제1 개구 에지를 포함하고,
제2 편조된 구조체는 상기 제1 개구 에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제2 개구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오버레이 시스템은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은 제1 개구 에지에 접합되며,
제2 층은 제2 개구 에지에 접합되는 것인 갑피.
An upper of an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ided structure includes a first opening edge,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includes a second opening edge substantially aligned with the first opening edge,
The overlay system comprises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The first layer is bonded to the first opening edge,
The second layer is bonded to the second opening edge.
제14항에 있어서, 제1 층은 제2 층에 접합되는 것인 갑피.The upper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layer is bonded to the second layer. 제14항에 있어서,
중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제1 편조된 구조체와 제2 편조된 구조체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것인 갑피.
The method of claim 14,
And an intermediate layer, wherein the intermediate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raided structure and the second braided structur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2 개구 에지를 따라 연장되며,
중간층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것인 갑피.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cond layer comprises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e second portion extends along a second opening edge,
The intermediate layer includes a member, wherein the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제2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부재는 제1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인 갑피.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ortion,
And the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r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제2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부재는 제1 부분에 부착되는 것인 갑피.
18. The device of claim 17, wherein the member is attached to the second portion,
Wherein the member is attached to the first por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제4 부분과 제5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5 부분은 제1 개구 에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부재는 제4 부분과 제5 부분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것인 갑피.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econd layer comprises a fourth portion and a fifth portion,
The fifth portion extends along the first opening edge,
And the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portions.
KR1020177019095A 2014-12-10 2015-10-20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KR1020385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66,215 US10863794B2 (en) 2013-06-25 2014-12-10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US14/566,215 2014-12-10
PCT/US2015/056533 WO2016093961A1 (en) 2014-12-10 2015-10-20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093A KR20170097093A (en) 2017-08-25
KR102038565B1 true KR102038565B1 (en) 2019-10-30

Family

ID=5436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095A KR102038565B1 (en) 2014-12-10 2015-10-20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229633B1 (en)
JP (1) JP6527230B2 (en)
KR (1) KR102038565B1 (en)
CN (1) CN107105823B (en)
MX (1) MX2017007446A (en)
TW (1) TWI603687B (en)
WO (1) WO201609396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3794B2 (en) 2013-06-25 2020-12-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EP3491956B1 (en) 2013-06-25 2023-08-09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with braided upper
US9668544B2 (en) 2014-12-10 2017-06-06 Nike, Inc. Last system for articles with braided components
US10674791B2 (en) 2014-12-10 2020-06-09 Nike, Inc. Braided article with internal midsole structure
US20160345675A1 (en) 2015-05-26 2016-12-01 Nike, Inc. Hybrid Braided Article
US11103028B2 (en) 2015-08-07 2021-08-31 Nike, Inc. Multi-layered braided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CN106723657B (en) * 2016-12-21 2019-06-28 东莞市长立纺织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ho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10806210B2 (en) 2017-05-31 2020-10-20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1051573B2 (en) 2017-05-31 2021-07-06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1202483B2 (en) 2017-05-31 2021-12-21 Nike, Inc. Braided 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P4298945A1 (en) 2017-10-19 2024-01-03 NIKE Innovate C.V. Article with at least two layers
US20190150552A1 (en) * 2017-11-20 2019-05-23 Nike, Inc. Multi-layer braided upper
CN116801761A (en) 2021-01-21 2023-09-22 株式会社爱世克私 Vamp and shoes with vam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6561A1 (en) * 2012-12-21 2014-06-26 Salomon Sas. Footwear item having a simplified structure
US20140352173A1 (en) * 2013-05-31 2014-12-04 Nike, Inc.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compon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7197A (en) * 1936-11-25 1939-02-14 Hood Rubber Co Inc Article of footwear
IT1230176B (en) * 1988-12-06 1991-10-18 Superga Spa GYMNASTIC SHOE WITH PERFECTED UPPER
US7347011B2 (en) * 2004-03-03 2008-03-2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textile upper
US7793434B2 (en) * 2004-09-03 2010-09-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a structured intermediate layer
US8490299B2 (en) * 2008-12-18 2013-07-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9149086B2 (en) * 2009-10-07 2015-10-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knitted elements
JP5921038B2 (en) * 2010-01-04 2016-05-24 アプライド エフティー コポジット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Ft Composite Solutions Inc. Single component footwe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20255201A1 (en) * 2011-04-08 2012-10-11 Dashamerica, Inc. D/B/A Pearl Izumi Usa, Inc. Seamless upper for footwea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30025157A1 (en) * 2011-07-27 2013-01-31 Nike, Inc. Upper with Zonal Contouring and Fabrication of Same
TW201427615A (en) * 2013-01-04 2014-07-16 Long John Tsung Right Ind Co Ltd Shoes of automated process production and shoemaking method thereof
DE102013207163B4 (en) * 2013-04-19 2022-09-22 Adidas Ag shoe upp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6561A1 (en) * 2012-12-21 2014-06-26 Salomon Sas. Footwear item having a simplified structure
US20140352173A1 (en) * 2013-05-31 2014-12-04 Nike, Inc.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compon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05823A (en) 2017-08-29
TWI603687B (en) 2017-11-01
EP3229633A1 (en) 2017-10-18
WO2016093961A1 (en) 2016-06-16
TW201628519A (en) 2016-08-16
MX2017007446A (en) 2017-10-20
CN107105823B (en) 2023-04-04
EP3229633B1 (en) 2021-08-18
JP6527230B2 (en) 2019-06-05
JP2017537715A (en) 2017-12-21
KR20170097093A (en)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3794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KR102038565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EP3153048B1 (en) Braided upper with overlays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U2016219621B2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braided tensile strands
CN107048585B (en) Sole structur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lightweight midsole with segmented protective element
TWI552690B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heel portion with knitted component
EP3284362B1 (en) Upper for a shoe
CN106037149A (en) Article of footwear with knitted component having biased inter-toe member
EP2906067B1 (en) Anti-stretch treatment of leather for articles of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