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626B1 - 성게 육상수조 양식용 사료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성게 육상수조 양식용 사료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626B1
KR102037626B1 KR1020190024435A KR20190024435A KR102037626B1 KR 102037626 B1 KR102037626 B1 KR 102037626B1 KR 1020190024435 A KR1020190024435 A KR 1020190024435A KR 20190024435 A KR20190024435 A KR 20190024435A KR 102037626 B1 KR102037626 B1 KR 10203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feed
tank
cabbage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헌
김정욱
양재훈
Original Assignee
(주)다오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오넥스 filed Critical (주)다오넥스
Priority to KR102019002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우리나라 연근해의 해저에 분포하는 해적생물의 유용한 활용과 적극적 개체 조정을 위해 해저의 성게를 수집하여 육상에서 중간 축양을 통해 일정의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한 성게에서 성게알을 생산하기 위해 적절한 사료를 제공한다. 사료공급을 통해 해적생물의 부가가치를 높여 해적 퇴치생물이 아닌 수산자원으로의 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연근해의 어족 자원의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연중 안정적인 생산과 출하를 통해 소비 시장의 구축과 매년 늘고 있는 성게의 수입 대체 효과 및 수출을 통한 산업화를 구현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성게 육상수조 양식용 사료 및 제조방법 {Feeds for aqua-culture of Echinoidea.}
본 발명은 연안에서 서식하는 성게를 채집하여 육상 양식장에서 사료를 공급하면서 일정기간 축양하여 성게 축양과정에서 성게의 생식소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성게 육상수조 축양용 양식사료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성게알 채취 산업은 1990년대 일본수출을 통해 수산물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였으나, 2002년 중국, 칠레, 멕시코산에 가격 경쟁에 밀려 한국산의 일본시장에서 퇴출되기에 이르게 되었다.
성게는 극피동물문의 성게 강에 속하는 수산동물로서 섬게라고도 한다. 성게는 모두 바다에서 살며 세계적으로 약 900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 나라 해역에서는 약 30종이 알려져 있다. 몸은 구형·반구형·심장형 또는 편평한 반상(盤狀)이고 불가사리류와는 달리 팔을 가지지 않는다.
체벽의 표면은 섬모가 나 있는 표피로 덮여 있고, 그 안에 탄산칼슘성분을 가지는 두꺼운 골판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단단한 껍데기를 이룬다. 골판은 긴 가시가 있는 다섯 줄의 간보대(間步帶)와 가시가 없는 다섯 줄의 보대로 구분되는데, 보대에는 수많은 관족(管足)들이 두 줄로 배열되어 있다. 간보대의 긴 가지는 움직일 수 있고, 보대의 관족들은 신축성이 있어 성게류는 이들 가시와 관족으로 운동한다.
입은 몸의 아랫면 복판에 열려 있고 항문은 입과 반대쪽인 윗면 또는 뒷면에 열려 있다. 항문 주위에는 다섯 개의 생식판과 한 개의 천공판이 있는데, 생식판에는 각각 한 개의 생식공이 있다. 입이 있는 부위를 위구부(圍口部)라고 하며 이곳의 가시는 이로 변하고, 안에 저작기(咀嚼器)가 있다. 이 저작기는 흔히 아리스토텔레스등이라고 불린다. 소화관은 길고 단순한 관이며, 몸속을 돌고 있다. 성게류는 종류에 따라 식성이 다르기는 하지만, 많은 종류가 암석을 덮는 해조나 고착성 동물을 먹는다. 암수 딴 몸이고 다섯 개의 생식선이 각 간보대의 안쪽에 한 개씩 붙어 있다.
한편, 우리나라 연안의 해저환경은 수온상승 등의 온난화로 인해 오랫동안 갯녹음 현상과 바다의 사막화가 진행되었다. 해조류가 사라진 연안에는 이상 번식한 보라성게의 대군락이 형성되었고 이들 성게는 해저면에 섭식할 먹이가 충분하지 않아 알을 형성하지 못하는 상품성이 없는 성게가 주를 이룸으로서 바위 등에서 자라나는 해조류를 섭이함으로써 해양 생태계의 균형이 깨진 상태의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통계에 의하면 갯녹음 현상의 진행은 동해안 70%, 서해안과 남해안이 30~40% 진행되고 있으며, 경상북도는 해적 생물로 지정하여 매년 불가사리와 같이 성게 퇴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갯녹음 현상(바다의 사막화) 원인은, 바다의 생태계의 변화, 해수온의 상승 등 여러 요인이 있기 때문에 성게만의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가까운 일본 카나카와 현 미우라 만의 사례 등을 보면 성게의 퇴치 작업을 통한 해조류의 복원과 이를 통한 연근해 연안의 어족 자원의 다양성을 회복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이를 근거로 갯녹음 현상 방제 가이드라인 책정과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보라성게의 퇴치 작업을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갯녹음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의 경우, 보라성게의 이상 번식을 확인할 수 있고, 개체수가 많은 보라성게의 적극적 개체 조정을 위한 퇴치물의 중간 축양을 통해 일정의 사료를 공급함으로서 성게 몸체에서 성게알을 생산하여 부가가치를 높여 해적 퇴치생물이 아닌 수산자원으로의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연근해의 해적생물을 수산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고, 해적생물의 관리를 통해 어족 자원의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연중 안정적인 성게알의 생산과 출하를 통해 소비 시장의 구축과 외국으로부터 매년 수입이 늘고 있는 성게의 수입 대체 효과 및 대일본 수출을 통한 산업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라 성게 산업화를 위해 연중 보라 성게의 생식소를 생성하고, 채취 수율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한 축양 실험 및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원발명의 실험으로부터 성게 축양과정에서 성게의 생식소를 생성하기 위해 투여되는 사료를 특정하였다.
국내등록 특허번호 제10-1871507호는 규조류, 담녹조류 및 남조류를 포함하는 미세조류(microalgae)를 이용하여 포복성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배양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무척추동물 유생 배양용 사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0628호는 부착규조류와 미세조류를 자연광을 이용한 실내배양하는 단계와 농축기를 이용한 수확하는 단계를 거쳐 해조류와 혼합하는 단계 및 마이크로 캡슐화를 통해 전복 종묘생산시 초기 사료 및 사료첨가제로 이용함으로써 전복 양식시 부착규조류 배양을 위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동물성단백질을 식물성단백질로 대체하여 식품안정성을 높일뿐만 아니라 성장 및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전복양식용 천연 사료첨가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등록번호 제10-1710301호는 일정 부피를 갖는 수조 바닥에 부착기질을 바닥면에 수평으로 형성하고 제주도 용암해수를 취수하여 소통시켜 부착성 규조류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부착성 규조류가 부착된 부착기질을 실외수조로 이동시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양시키는 단계, 상기 부착기질을 회수하여 홍해삼 양식조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홍해삼 양식조에 홍해삼과 부착성 규조류를 동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착성 미세조류를 이용한 홍해삼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국내등록특허번호 제10-1938942호는 지충이 10중량%, 모자반 5중량%, 다시마 4중량%, 미역 3중량%, 청각분말 2중량%, 단백사료 6중량%, 육성사료 20중량%, 펄 50중량%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절편형태로 반죽하고, 20-25℃의 온도를 유지하며 실온에서 12시간 발효시켜 절편형 고체형태로 건조시키는 어미해삼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우리나라 연근해의 해저에 분포하는 해적생물의 유용한 활용과 적극적 개체 조정을 위해 해저의 성게를 수집하여 육상에서 중간 축양을 통해 일정의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한 성게에서 성게알을 생산하기 위해 적절한 사료를 제공한다. 사료공급을 통해 해적생물의 부가가치를 높여 해적 퇴치생물이 아닌 수산자원으로의 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연근해의 어족 자원의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연중 안정적인 생산과 출하를 통해 소비 시장의 구축과 매년 늘고 있는 성게의 수입 대체 효과 및 수출을 통한 산업화를 구현하고자한다.
본원발명은 양배추, 배추, 당근, 상추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채소를 포함하는 성게 육상수조 축양용 양식사료를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발효된 양배추를 포함하는 성게 육상수조 축양용 양식사료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양배추, 배추, 당근, 상추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채소는 어류 발효액으로 발효된 것으로 어류 발효액은 멸치, 밴댕이, 조기, 고등어, 정어리, 청어, 전갱이, 전어, 꽁치, 새우 또는 까나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어종으로 발효된 성게 육상수조 축양용 양식사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어류 발효액은 생선과 식염을 혼합한 혼합물을 발효하여 제조된 어류 발효물을 여과하여 어류 발효액으로 만드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양배추 발효 사료는 양배추를 채썰기 폭 10~20mm, 길이 3~4cm 크기로 균일하게 절단하여 양배추와 양배추 중량의 0.1 내지 0.5 중량%의 어류 발효액을 첨가 혼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숙성하여 제조하며 상기 어류 발효액은 발효하고자 하는 멸치, 밴댕이, 조기, 고등어, 정어리, 청어, 전갱이, 전어, 꽁치, 새우 또는 까나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어종과 식염을 3 : 1의 중량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5 ~ 25℃의 상온에서 6개월 내지 1년 발효하여 발효된 생선을 여과시켜 어류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발효된 사료의 급이는 개체 중량의 2중량% / 1일의 양을 4일 간격으로 1회 8 중량%를 급이하는 성게 육상수조 축양용 양식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갯녹음 현상이 진행되는 연안에서 번식하는 성게를 채집하여 중간 축양을 통해 일정의 사료를 공급함으로서 성게 몸체에서 성게알을 생산하여 부가가치를 높여 해적 퇴치생물이 아닌 수산자원으로의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해적생물의 관리를 통해 어족 자원의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연중 안정적인 성게알의 생산과 출하를 통해 소비 시장의 구축과 외국으로부터 매년 수입이 늘고 있는 성게의 수입 대체 효과 및 대일본 수출을 통한 신 산업화 창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수온선정 실험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사료선정 실험사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위한 개선된 사육 사료선정 실험사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 전과 후에 얻어진 성게의 난소 사진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성게 육상수조 축양용 양식사료 및 제조방법과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수온 선정 실험
연안의 해저에서 서식하는 보라 성게를 채집하여 육상 축양 시, 가장 적합한 수온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기간은 2018년 1월부터 2월까지 약 30일 동안 본 출원인의 사업장 내 1개 격실에서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성게의 개체 수는 총 150 미로서 지역의 해녀들이 연안에서 채집한 살아 있는 보라 성게를 선발하였다 실험 개체 선발 기준은 움직임이 활발한 건강한 성체(가시 제외한 본체의 지름 5cm 이상 크기)를 선발하여 입식하되, 외관상 가시가 빠지거나 상처가 식별되는 성체는 제외하였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수온선정 실험사진을 나타낸다. 실험은 해수용 전열기를 이용하여 수조 A(8~10℃), 수조 B(12~14℃), 수조 C(16~18℃), 수조 D(20~22℃), 수조 E(24~26℃) 5종류의 수온 조건을 구성하여 상기 수온을 유지한 총 5개의 수조에 성게를 각각 30미씩 입식하였다. 각각의 수조별 고정 조건은 동일한 사료 급이조건으로 절단한 양배추 및 배추를 동일한 사료 급이량으로 급이하였다. 사료 급이량은 개체 중량의 2 중량% / 1일의 양으로 하여 4일 간격으로 1회 8 중량%를 급이하였다.
각각의 실험수조는 동일한 실험 공간 및 장비로서 1톤 물탱크와 300리터 수조 5기를 연결하여 부분 순환식으로 동일한 유수량 유지하여 각 수조별 30미의 동일한 개체량 투입하여 동일한 실험 기간 30일 동안 실험하였다.
실험 및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먹이 활동은 전 수조에서 먹이 활동을 확인되나, 수조 B(12~14℃), 수조 C(16~18℃), 수조 D(20~22℃) 비교적 활발한 먹이 활동을 보였다. 폐사율(입식 후 폐사한 성게 개체수 ÷ 입식한 성게 개체수) × 100, * 실험 간 중간 수율 체크를 위해 임의로 탈각한 개체 수는 제외함. )은 수온이 높은 수조 D(20~22℃/19%), 수조 E(24~26℃/26%)에서 비교적 높은 폐사율이 확인되었고, 성게의 수율(생식소 중량 ÷ 성체의 피중량) × 100, * 생식소의 중량은 탈각 후 나오는 5개 생식소 중량의 합)은 전 수조에서 비슷한 수율(10~12%)을 보였다.
육상 축양 시, 가장 적합한 수온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 연구 결과, 보라 성게는 수온 8~26℃의 비교적 넓은 범위의 수온에서도 먹이 활동 및 활동성에서 문제가 없으나, 20℃ 이상의 수온에서는 폐사율도 비례해서 높아지며, 특히 24℃ 이상의 수온에서는 폐사율이 급격하게 높아지지며, 26 ~ 28℃에서는 먹이 활동이 50% 이하로 떨어지며, 28℃ 이상에서 먹이활동이 거의 없고 폐사가 시작되며, 32℃ 에서 전량 폐사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24℃ 이상의 수온에서는 사료의 부패가 빨라지며, 사육 수질이 악화되는 현상이 관찰되므로, 12~20℃ 미만의 수온 환경이 보라 성게의 축양에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수조 A, B의 조건은 수온이 낮아, 여름철 축양이 곤란하고 수조 D 조건 역시 수온이 높아 겨울철 축양이 곤란하여, 향후 산업화 단계에서 수온조절을 위한 시설비 및 운전비 절감을 위해 연중 수온 15~19℃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지하 해수 관정 유수식 시스템의 적용을 고려하여 수조 C(16~18℃)의 수온 환경을 보라 성게의 육상 축양 수온으로 선정하였다. 지하관정을 통한 해수개발로 17℃ 전후의 안정적인 수원을 공급 가능하며 지하 관정은 25m 이하의 관정깊이에서는 그 지역의 연평균 기온이 관정의 수온을 얻을수 있고 유수식 축양 시스템을 채택하여 1일 2~3회 환수를 조건으로 축양가능하다.
2.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사료 선정 실험
성게 육상 축양 시, 가장 적합한 사료 선정을 위한 사료를 선정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성게 축양용 사료는 해조류의 확보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식물로서 육상에서 확보할 수 있는 채소를 중심으로 선정 실험하였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위한 사육 사료선정 실험사진을 나타낸다.
실험은 2018년 2월부터 04월까지 60일간 본 출원인의 사업장 내 1개 격실에서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성게의 개체 수는 총 285 미로서 지역의 해녀들이 연안에서 채집한 살아 있는 성게를 선발하였다 실험 개체 선발 기준은 움직임이 활발한 건강한 성체(가시 제외한 본체의 지름 5cm 이상 크기)를 선발하여 입식하되, 외관상 가시가 빠지거나 상처가 식별되는 성체는 제외하였다
실험은 총 5개의 수조에 각가 57미씩 성게를 입식하고 4개의 수조에는 양배추, 배추, 당근, 상추의 육상 채소를 사료로 급이하고, 1개의 수조에는 비교군으로 60일간 사료를 공급하지 않고 사육 실험을 병행하였다.
각각의 실험수조는 동일한 실험 공간 및 장비로서 1톤 물탱크와 300리터 수조 5기를 연결하여 부분 순환식으로 동일한 유수량 유지하여 동일한 수온 16~18℃ (해수용 전열기 사용)의 조건을 유지하였다. 사료 급이는 개체 중량의 2중량%/1일의 양을 4일 간격으로 1회 8중량%를 급이하였다.
실험 및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먹이 활동은 수조 E(무사료)를 제외한 수조 A(양배추), 수조 B(배추), 수조 C(당근), 수조 D(상추) 전체 수조에서 활발한 먹이활동을 보였다. 공급된 사료의 잔여량(찌꺼기)은 수조 C(당근) > 수조 D(상추) > 수조 A(양배추) = 수조 B(배추)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무사료군 포함한 각 수조의 폐사율(입식 후 폐사한 성게 개체수 ÷ 입식한 성게 개체수) × 100, * 실험 간 중간 수율 체크를 위해 임의로 탈각한 개체 수는 제외함. )은 전 수조에서 특이점 및 대량 폐사는 확인되지 않았고,
사료 조건별 최종 폐사율은 수조 A(양배추, 13%), 수조 B(배추, 15%), 수조 C(당근, 13%), 수조 D(상추, 12%), 수조 E(무사료, 10%)를 보였고 성게의 수율(생식소 중량 ÷ 성체의 피중량) × 100, * 생식소의 중량은 탈각 후 나오는 5개 생식소 중량의 합)은 수조 E(무사료/6%) 제외하고 전 수조에서 유사한 값의 수율 증가율을(6~8%)을 보였다. 먹이 사료 조건별 최종 수율은 수조 A(양배추, 17%) 수조 B(배추, 16%), 수조 C(당근, 14%), 수조 D(상추, 12%)로 나타났다.
상기 실험결과에 따라 보라 성게는 급이한 육상 채소를 가리지 않고, 활발한 먹이 활동을 보여주었으며, 최적의 육상사료는 사료 섭취율 및 수율을 기준으로 판단하면, 양배추와 배추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근은 타사료 대비 딱딱한 고체 형태로서, 사료 섭취 기간이 비교적 길고, 상추는 타사료 대비 한 덩어리의 사료당 밀도가 낮아, 성게의 빈번한 사료 접근(촉수로 사료를 잡아당겨서 입으로 가져가는 행위)을 요구하므로, 섭식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산업화 단계에서 운전비 절감을 위해, 저비용 고효율이며 연중 가격이 안정되어 있는 양배추를 제1사료로 선정하고, 김치 공장 등에서 나오는 농업 부산물을 활용할 수 있을 시기에는 배추(2순위) 및 당근(3순위)을 활용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3. 성게 축양을 위한 개선된 사육 사료 선정 실험
1년 연중 보존력이 뛰어나고, 먹이 활동에 도움을 주는 개선된 사료를 선정하기 위하여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기간은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약 60일 동안 본 출원인의 사업장 내 1개 격실에서 실시하였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위한 개선된 사육 사료선정 실험사진을 나타낸다.
실험에 사용된 성게의 개체 수는 총 130 미로서 지역의 해녀들이 연안에서 채집한 살아 있는 성게를 선발하였다 실험 개체 선발 기준은 움직임이 활발한 건강한 성체(가시 제외한 본체의 지름 5cm 이상 크기)를 선발하여 입식하되, 외관상 가시가 빠지거나 상처가 식별되는 성체는 제외하였다.
실험은 축양 수조 2개에 수조에 각각 57미씩 성게를 입식하고 기존 양배추 사료(수조 D)와 개선된 발효 양배추 사료(수조 E)를 각각 급이하였다. 기존 양배추 사료는 생양배추를 사용하였고 개선된 발효 양배추 사료는 양배추를 일정량의 어류 발효액을 첨가하여 발효한 것을 사용하였다.
발효 양배추 사료는 채썰기 폭 10~20mm, 길이 3~4cm 크기로 균일하게 절단한 양배추와 양배추 중량의 0.1 내지 0.7 중량%의 어류 발효액을 첨가 혼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숙성, 겨울철은 3일간 발효하여 제조한다. 또한 해수와 양배추를 각각 1kg씩 혼합하고 양배추 중량의 0.3 내지 0.7 중량%의 어류 발효액을 부가적으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숙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효되는 사료 원료는 양배추 대신 각각 배추와 당근으로 변경하여 각각 어류 발효액을 각 재료 중량의 0.1 내지 0.7 중량%을 첨가 혼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숙성하여 발효 제조할 수 있다. 사료 원재료에 0.7 중량% 이상의 어류 발효액을 부가적으로 혼합하면, 발효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나, 사육수의 오염에 따른 폐사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적절하지 않다.
본원발명에서 사용된 어류 발효액은 멸치, 밴댕이, 조기, 고등어, 정어리, 청어, 전갱이, 전어, 꽁치, 새우 또는 까나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어종이 발효된 것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어류 발효액은 발효하고자 하는 생선과 식염을 3 : 1의 중량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발효는 5 ~ 25℃의 상온에서 6개월 내지 1년 발효하고 상기 발효된 생선을 여과시켜 어류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된 생선은 다시 정수한 해수에 넣고 가열 후 생선을 건지고, 다시 여과된 다른 생선을 넣어 가열시키는 단계를 반복 후 얻어진 생선 삶은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선 삶은 물 농축액은 생선 액젓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각각의 실험수조는 동일한 실험 공간 및 장비로서 1톤 물탱크와 300리터 수조 5기를 연결하여 부분 순환식으로 동일한 유수량 유지하여 동일한 수온 16~18℃ (해수용 전열기 및 직수 사용)의 조건을 유지하였다. 사료 급이는 개체 중량의 2중량%/1일의 양을 4일 간격으로 1회 8중량%를 급이하였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먹이 활동은 수조 D(기존 양배추 사료), 수조 E(개선된 발효 양배추 사료) 모두 활발한 먹이 활동을 확인되나, 수조 E에서 1미의 성게 개체가 촉수를 사용하여 여러 조각의 사료를 동시에 잡고 먹이 활동을 하는 모습이 확인됨으로서 특히 높은 사료 접근도를 보였다. 사료 잔여량(찌꺼기)은 수조 D(기존 사료) > 수조 E(개선 사료)로 나타나 수조 E 에서 비교적 빠른 먹이 소비활동이 확인되었다.
전 수조에서 특이한 대량 폐사는 확인되지 않았고, 폐사율(입식 후 폐사한 성게 개체수 ÷ 입식한 성게 개체수) × 100, * 실험 간 중간 수율 체크를 위해 임의로 탈각한 개체 수는 제외함. )은 수조 D(기존 사료, 18%), 수조 E(개선 사료, 17%)의 폐사율이 확인되었고, 성게의 수율(생식소 중량 ÷ 성체의 피중량) × 100, * 생식소의 중량은 탈각 후 나오는 5개 생식소 중량의 합)은 수조 D(기존 사료, 18%)와 수조 E(개선 사료, 21%)의 값을 보였고, 수조 E(개선 사료)가 중간 수율 체크 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결과에 따라 보라 성게는 수조 D(기존 사료)와 수조 E(개선 사료) 의 폐사율은 비슷한 수준이나, 수율은 개선사료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어 개선 사료가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개선사료는 양산화 / 산업화 대비 사료 저장 및 수중 보존성이 좋아, 생양배추 대비 사료의 상온 저장성이 뛰어나고, 수중 보존성이 좋으며, 급이 후, 발생되는 사료 찌꺼기의 부패율이 낮아 수질 관리에 도움을 준다.
성게의 먹이 활동에서도 수조 단면에 붙어서 촉수를 사용하여, 먹이를 확보하는 성게는 개선 전 육상 채소류와 같이 물 위로 떠오르는 부상 사료에 대한 접근도는 다소 떨어지나, 섭취가 용이하게 작고 균일하게 절단한 형태의 양배추 사료는 성게가 촉수를 사용하여 사료를 확보하기가 용이하여 빠른 속도의 먹이 소비 활동을 보였다. 특히 개선된 사료는 발효과정에서 삼투압에 의해 수분이 빠져나가고 어류 발효액이 스며들어 수중에 침지되어 성게의 사료접근성이 좋은 한편, 어류발효액의 강한 향이 성게의 활발한 먹이 활동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원발명의 실험결과 성게의 1일 개체 당 섭취 가능한 사료는 개체 중량의 2%이며, 사료급이 작업의 효율성과 사료의 수중 부패속도를 감안하여, 1회 급이는 4일 간격으로 개체중량의 8%(2%x4일)로 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료급이에 따른 성게 수율의 평균 증감은 개체 중량의 0.1% / 1일이며, 성게의 섭식 후 완전배설 시간은 약 48시간을 필요로 한다. 도 4에는 본원발명의 성게 축양을 통해 얻어진 성게의 난소 사진을 축양 전과 후로 나타내었다.
갯녹음 현상이 진행되는 연안에서 번식하는 성게를 채집하여 중간 축양을 통해 일정의 사료를 공급함으로서 성게 몸체에서 성게알을 생산하여 부가가치를 높여 해적 퇴치생물이 아닌 수산자원으로의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또한 해적생물의 관리를 통해 어족 자원의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연중 안정적인 성게알의 생산과 출하를 통해 소비 시장의 구축과 외국으로부터 매년 수입이 늘고 있는 성게의 수입 대체 효과 및 대일본 수출을 통한 신 산업화 창출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4)

  1. 가) 멸치, 밴댕이, 조기, 고등어, 정어리, 청어, 전갱이, 전어, 꽁치, 새우 또는 까나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어종과 식염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을 5 ~ 25℃의 상온에서 6개월 내지 1년 발효하여 상기 발효된 발효물을 여과하여 어류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나) 양배추를 일정 크기로 균일하게 절단한 양배추와 가) 단계에서 제조된 어류 발효액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내지 72시간 숙성하여 제조하며,
    상기 어류 발효액과 양배추의 혼합은 양배추 중량의 0.1 내지 0.7 중량%의 어류발효액을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게 육상수조 양식용 사료 제조방법
  2. 청구항 1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성게 육상수조 양식용 사료
  3. 삭제
  4. 삭제
KR1020190024435A 2019-03-01 2019-03-01 성게 육상수조 양식용 사료 및 제조방법 KR102037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35A KR102037626B1 (ko) 2019-03-01 2019-03-01 성게 육상수조 양식용 사료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35A KR102037626B1 (ko) 2019-03-01 2019-03-01 성게 육상수조 양식용 사료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626B1 true KR102037626B1 (ko) 2019-10-31

Family

ID=6842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35A KR102037626B1 (ko) 2019-03-01 2019-03-01 성게 육상수조 양식용 사료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583B1 (ko) 2022-08-02 2023-06-13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성게 양성용 원통형 회전식 사육장치
KR102542581B1 (ko) 2022-08-02 2023-06-13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성게 양성용 사행식 사육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02A (ja) * 1992-07-09 1994-02-01 Kiteii:Kk 海産廃棄物の飼料化保存方法
KR20020042047A (ko) * 2000-11-29 2002-06-05 이영돈 양식용 사료첨가제로서의 감귤발효액
JP2007236230A (ja) * 2006-03-06 2007-09-20 Mita:Kk 野菜を与えるウニの養殖方法
KR20100052761A (ko) * 2008-11-11 2010-05-20 강일 감귤박과 갈파래과 해조류를 이용한 발효 조성물,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284100A (ja) * 2009-06-11 2010-12-24 B & L:Kk ステビア発酵液の製造方法
KR20120051833A (ko) * 2010-11-15 2012-05-23 (주)창조바이오텍 사료 첨가제용 귤 및 마늘 혼합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1710301B1 (ko) 2016-04-07 2017-03-06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앤씨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해삼양식방법
KR20170090628A (ko) 2016-01-29 2017-08-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복양식용 천연 사료첨가제
KR101938942B1 (ko) 2016-11-01 2019-04-10 이재두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02A (ja) * 1992-07-09 1994-02-01 Kiteii:Kk 海産廃棄物の飼料化保存方法
KR20020042047A (ko) * 2000-11-29 2002-06-05 이영돈 양식용 사료첨가제로서의 감귤발효액
JP2007236230A (ja) * 2006-03-06 2007-09-20 Mita:Kk 野菜を与えるウニの養殖方法
KR20100052761A (ko) * 2008-11-11 2010-05-20 강일 감귤박과 갈파래과 해조류를 이용한 발효 조성물,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284100A (ja) * 2009-06-11 2010-12-24 B & L:Kk ステビア発酵液の製造方法
KR20120051833A (ko) * 2010-11-15 2012-05-23 (주)창조바이오텍 사료 첨가제용 귤 및 마늘 혼합 발효액의 제조방법
KR20170090628A (ko) 2016-01-29 2017-08-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복양식용 천연 사료첨가제
KR101710301B1 (ko) 2016-04-07 2017-03-06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이앤씨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해삼양식방법
KR101938942B1 (ko) 2016-11-01 2019-04-10 이재두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등록 특허번호 제10-1871507호는 규조류, 담녹조류 및 남조류를 포함하는 미세조류(microalgae)를 이용하여 포복성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배양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무척추동물 유생 배양용 사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583B1 (ko) 2022-08-02 2023-06-13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성게 양성용 원통형 회전식 사육장치
KR102542581B1 (ko) 2022-08-02 2023-06-13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성게 양성용 사행식 사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15346B (zh) 南美白对虾的淡水养殖方法
CN101584304B (zh) 生态养殖优质红膏河蟹的方法
Cheng et al. Chinese mitten crab culture: current status and recent progres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KR100991274B1 (ko) 대게의 치게 양식방법
CN104542407B (zh) 一种泥鳅苗种二级培育的方法
CN103314914B (zh) 一种青虾、白鲢和河蟹共生养殖方法
CN103875566A (zh) 一种梭子蟹的池塘生态养殖方法
CN103918615B (zh) 一种室内循环水立体养殖红沙蚕的方法
KR102037627B1 (ko) 성게 육상 축양을 위한 양식수조, 이를 이용한 성게 육상 양식 방법
Liu et al. Sea urchin aquaculture in China
KR102037626B1 (ko) 성게 육상수조 양식용 사료 및 제조방법
CN102919186B (zh) 一种多鳞鱚的人工繁育方法
CN106577371A (zh) 一种黄鳝养殖的梯度饵料训饲方法
CN106035158A (zh) 一种无公害胭脂鱼养殖方法
CN112616739A (zh) 一种盐田虾养殖有效防治桃拉综合征方法
CN112568159A (zh) 一种有机虾养殖病害防控方法
KR20180047632A (ko) 해삼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어미해삼의 육상 관리방법
CN109006605B (zh) 一种南美白对虾淡水生态养殖方法
CN110250047A (zh) 一种工厂化养殖四指马鲅的方法
CN110074019A (zh) 一种暗纹东方鲀、刀鲚和甲鱼立体生态养殖的方法
CN111066695B (zh) 一种暗纹东方鲀、南美白对虾、空心菜立体种养的方法
KR101611139B1 (ko) 엽상자어의 먹이조성물을 이용한 종묘생산방법
CN103636544A (zh) 一种菊黄东方鲀商品鱼中套养当年鱼种的养殖方法
CN114271225A (zh) 一种盐田虾养殖有效防治白斑综合征方法
CN112931332A (zh) 一种绿色食品对虾种虾培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