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262B1 -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262B1
KR102037262B1 KR1020190075126A KR20190075126A KR102037262B1 KR 102037262 B1 KR102037262 B1 KR 102037262B1 KR 1020190075126 A KR1020190075126 A KR 1020190075126A KR 20190075126 A KR20190075126 A KR 20190075126A KR 102037262 B1 KR102037262 B1 KR 102037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evacuation
safety
veranda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건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건축
Priority to KR102019007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82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traction cable inside post or r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실내 주거공간과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인 베란다(1)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난간 본체(100);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끝에 각각 상기 난간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피 난간(200); 및 상기 대피 난간(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에 베란다(1)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난간 본체(200)와 간격을 유지하며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난간(310)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본체는, 상기 베란다의 전면에 세워지는 다수의 전면부 수직바(111) 및 상기 전면부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전면부 수평바(112)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난간 본체(110); 및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111)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측면부 수직바(121) 및 상기 측면부 수직바와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측면부 수평바에 의해 출입구를 형성하는 측면부 수평바(122)로 이루어진 측면부 난간 본체(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피 난간은,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내부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 형성된 발판 삽입부(2)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요철 단면의 대피 발판(210); 상기 대피 발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안전 수직바(220); 상기 다수의 안전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안전 수평바(230); 상기 안전 수평바의 전방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전면부 수평바의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전 수평연결바(240); 상기 안전 수평바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공동주택의 벽체에 형성되는 레일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50); 및 상기 대피 발판의 바닥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면부 난간 본체와의 사이에 세워지는 방화벽(26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난간(310)은, 상기 전면부 수평바(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대(314); 상기 연결대(314)에 지지되고,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110)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부재(312); 상기 프레임부재(312)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부재(312)가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할 때에 상기 프레임부재(312)를 따라 펼쳐지면서 화염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며, 불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크린부재(316); 및 상기 연결대(3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재(316)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부재(316)가 권취되는 권취드럼(3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SAFETY RAIL FOR VERANDA IN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다른 층의 거주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고 자신의 거주공간인 베란다에서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고, 베란다에 피신하는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 사용자가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더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대피공간 내부로 다른 층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계단이 형성된 비상구는 화염과 연기가 통하는 통로를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외부로 대피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화재 시 유일한 피난처는 창가 또는 베란다가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창가 또는 베란다 역시 탈출을 위한 완강기가 비치된 곳을 제외하고는 마땅한 피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구조용 사다리차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화염과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부터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베란다 난간에 사다리를 장착하여 비상시 탈출로를 제공하도록 한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역으로 강도의 침입 경로를 제공하므로 각종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베란다 난간에 사다리를 절첩식으로 마련하여 평상시 안전을 위한 난간으로 활용하다가 비상상황 시 사다리를 펴서 외부와 연결되는 탈출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구조의 베란다 겸용 사다리가 다수의 공개 문헌을 통해 알려진 바 있다.
그 중,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49394호에는 난간대의 일측에 비상 사다리를 구비하여 비상 상황 발생 시 사다리를 아래 방향으로 펴서 비상계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349394호는 난간대 일측에 비상 사다리가 절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사다리를 통해 외부로 탈출하는 과정에서 극도의 심리적 불안감과 공포감으로 인하여 잡고 있던 사다리를 놓쳤을 경우 탈출자를 보호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추락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난간을 사다리로 변형시 변형된 사다리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이동시에도 흔들림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대피를 위한 사다리는 단순히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들 또한 사다리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침입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현실적이지 못하며, 따라서 화재 시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구급대원을 안전하게 기다릴 수 있도록 피신처를 제공하는 것이 현실적이며 이에 대한 기술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4939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49394호 등록특허 제10-0909447호 등록특허 제10-1080809호 등록특허 제10-0936889호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다른 층의 거주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고 자신의 거주공간인 베란다에서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고, 베란다에 피신하는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 사용자가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더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대피공간 내부로 다른 층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실내 주거공간과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인 베란다(1)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난간 본체(100);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끝에 각각 상기 난간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피 난간(200); 및 상기 대피 난간(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에 베란다(1)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난간 본체(200)와 간격을 유지하며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난간(310)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본체는, 상기 베란다의 전면에 세워지는 다수의 전면부 수직바(111) 및 상기 전면부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전면부 수평바(112)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난간 본체(110); 및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111)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측면부 수직바(121) 및 상기 측면부 수직바와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측면부 수평바에 의해 출입구를 형성하는 측면부 수평바(122)로 이루어진 측면부 난간 본체(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피 난간은,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내부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 형성된 발판 삽입부(2)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요철 단면의 대피 발판(210); 상기 대피 발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안전 수직바(220); 상기 다수의 안전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안전 수평바(230); 상기 안전 수평바의 전방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전면부 수평바의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전 수평연결바(240); 상기 안전 수평바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공동주택의 벽체에 형성되는 레일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50); 및 상기 대피 발판의 바닥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면부 난간 본체와의 사이에 세워지는 방화벽(26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난간(310)은, 상기 전면부 수평바(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대(314); 상기 연결대(314)에 지지되고,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110)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부재(312); 상기 프레임부재(312)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부재(312)가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할 때에 상기 프레임부재(312)를 따라 펼쳐지면서 화염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며, 불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크린부재(316); 및 상기 연결대(3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재(316)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부재(316)가 권취되는 권취드럼(3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방화벽은, 일측이 상기 대피 발판에 힌지 연결되는 제1단 방화벽(261); 상기 제1단 방화벽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단 방화벽 위에 세워지는 제2단 방화벽(262); 및 상기 제2단 방화벽이 상기 제1단 방화벽에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난간이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전면부 수직바에 다른 층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전면부 수직바를 개폐하는 산소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산소공급부는, 상기 전면부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전면부 수직바에 구비되는 홀부에 대향되는 연통홀부를 구비하는 연통파이프; 상기 보조난간의 회전운동을 상기 연통파이프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전면부 수직바의 단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마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은, 화재 발생시 베란다의 좌우 양측이면서 공동주택의 벽체로 막힌 곳에 베란다의 확장에 의한 대피 공간을 마련하여 베란다를 향하는 화염에 의한 사고를 막을 수 있고 다른 층으로 이동하지 않고 자신의 주거 공간에서 안전하게 대피함으로써 주변 거주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은, 난간의 외벽에 보조난간이 설치되고, 보조난간은,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화재 발생 시에 보조난간을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시켜 안전난간과 보조난간 사이에 사용자가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화재 발생 시에 다수의 사용자가 안전난간 또는 보조난간에 의해 제공되는 대피공간을 활용하여 화재에 의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은, 안전난간과 보조난간 사이의 대피공간으로 다른 층의 공기를 제공하는 산소공급부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대피공간에 피신한 상태에서 다른 층의 공기를 흡입하면서 유해가스에 의한 질식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재 발생 시에 피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은, 보조난간을 베란다 측으로 이동시켜 대피공간을 형성하면 보조난간의 회전운동이 산소공급부의 개방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되므로 화재 발생 시에 진행하는 대피작업을 간소화시킬 수 있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의 대피난간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의 보조난간 회전운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의 보조난간 슬라이딩운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의 산소공급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의 대피난간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의 보조난간 회전운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의 보조난간 슬라이딩운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의 산소공급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은, 전면부 난간 본체(110), 좌우측의 측면부 난간 본체(120)로 구성되며, 공동주택에 실내 주거공간과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인 베란다(1)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난간 본체(100) 그리고 베란다(1)의 좌우 양측에 확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피 난간(200) 및 대피 난간(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에 베란다(1)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난간 본체(200)와 간격을 유지하며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난간(310)을 포함한다.
난간 본체(100)의 전면부 난간 본체(110)와 측면부 난간 본체(1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전면부 난간 본체(110)는 베란다(1)의 전면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다수의 전면부 수직바(111) 및 전면부 수직바(11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전면부 수평바(112)로 이루어진다.
측면부 난간 본체(120)는 베란다(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전면부 난간 본체(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111)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측면부 수직바(121) 및 측면부 수직바(121)와 전면부 난간 본체(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11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측면부 수평바(122)로 구성되어, 사각형의 출입구를 형성한다. 상기 출입구는 대피 난간으로 대피하기 위한 통로이다.
전면부 난간 본체(110)와 측면부 난간 본체(120)는 원형관, 각관 등으로 구성되며 베란다(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세워짐에 따라 베란다(1)를 안전한 공간으로 조성한다.
대피 난간(200)은 베란다(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확장형으로 설치되어,실내 주거공간과 통하지 않고 공동주택의 벽체를 통해 화재의 발원지와 차단된 대피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거주자가 다른 층으로 이동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고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피신하도록 한다.
대피 난간(200)은, 베란다(1)의 좌우 양측 내부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 형성된 발판 삽입부(2)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요철 단면의 대피 발판(210), 대피 발판(210)의 가장자리에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안전 수직바(220), 다수의 안전 수직바(22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안전 수평바(230), 안전 수평바(230)의 전방측에 직교하는 방향[전면 수평바(112)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전면부 난간 본체(110)의 전면부 수평바(1120)의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전 수평연결바(240), 안전 수평바(230)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공동주택의 벽체(3)에 형성되는 레일(4)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50), 대피 발판(210)의 바닥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면부 난간 본체(120)와의 사이에 세워지는 방화벽(260)으로 구성된다.
대피 발판(210)은 철판과 빔(또는 앵글)의 조립으로 구성되며 하중에 의한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요철 구조의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발판 삽입부(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여유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 수직바(220)와 안전 수평바(230)는 대피 발판(210)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대피 발판(210) 위로 대피한 대피자들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원형관, 각관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안전 수평연결바(240)는 대피 난간(200)을 난간 본체(100)에 연결하여 대피 난간(200)이 베란다(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대피 발판(210)으로 이동한 대피자들이 바깥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하는 것이며, 전면부 수평바(112)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베란다(1) 위에서 대피 난간(200)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전면부 수평바(112)에는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는 손잡이 장홀(112a)이 형성되고, 전면부 수평바(112) 안에 인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 수평연결바(240)에는 손잡이 장홀(112a)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241)가 구성되며, 즉 손잡이(241)를 잡고 안전 수평연결바(240)를 밀어 확장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250)는 안전 수평연결바(240)가 설치되지 않는 곳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공동주택의 벽체(4)에는 횡방향[대피 난간(200)의 확장 이동 방향]의 레일(4)이 앵커링을 통해 설치되고 슬라이더(250)는 안전 수평바(230)의 단부에 고정되면서 레일(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슬라이더(250)는 슬라이딩을 안내함과 더불어 대피 난간(200)이 베란다(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레일(4)과 함께 더브테일(dovetail)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 수직바(220)와 안전 수평바(230)와 안전 수평연결바(240)에 의해 대피 발판(210)의 상부에는 대피공간이 마련되며, 이때, 공동주택(3)의 벽체(4)를 향하는 면은 벽체(4)로 막혀 있기 때문에 상기 대피공간 안의 대피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할 수 있지만 상기 대피공간의 앞쪽[벽체(4)의 반대쪽]은 대피 발판(210)과 안전 수평바(230)와 안전 수직바(220) 및 전면부 수직바(111)로만 이루어져 넓은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통해 대피자가 상기 대피공간의 밖으로 추락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 개폐바(270)가 구성될 수 있다.
수직 개폐바(270)는 상기 공간을 통해 대피공간의 대피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대피자가 사다리차 등으로 옮길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안전 수평연결바(240)와 대피 발판(210)의 마주하는 부분에는 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수직 개폐바(270)는 상하 양단부가 안전 수평연결바(240)와 대피 발판(210)의 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대피 난간(200)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는 도 1에서처럼 안전 수직바(220)에 붙어 있으며 대피 난간(200)이 확장된 상태에서는 도 2에서처럼 중앙으로 이동되어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고 또한 대피자가 사다리차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일측으로 이동되어 넓은 공간을 제공한다.
방화벽(260)은 화염에 의해 타지 않은 불연재로서 대피 난간(200)을 막는 크기의 판재로 구성되어 대피 발판(210)의 바닥부에 깔린 상태로 설치되며 대피 난간(200)의 사용시 베란다(1)쪽으로 세워져 베란다(1)를 향하는 화염이 대피 난간(200)으로 번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방화벽(260)은 부피를 줄이면서도 넓은 크기의 방화벽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제1단 방화벽(261)과 제2단 방화벽(26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방화벽(260)은 반드시 2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단 이상의 신축형도 가능하다.
제1단 방화벽(261)은 일측이 대피 발판(210)의 바닥부에 힌지(261a) 연결되고, 제2단 방화벽(262)은 제1단 방화벽(261)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또는 신축 가능하도록 겹침]되며 제1단 방화벽(261) 위에 세워짐으로써 제1단 방화벽(261)보다 높은 방화벽을 형성한다.
제2단 방화벽(262)이 제1단 방화벽(261)에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적용된다. 고정수단(263)은 제1단 및 제2단 방화벽(261,262)에 함께 체결되는 고정볼트, 고정핀 등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수단(263)은 제1단 및 제2단 방화벽(261,262)을 함께 고정하면서 측면부 수평바(122)에 체결됨으로써 방화벽(260)의 견고성을 증대할 수도 있다.
또한, 방화벽(260)은 벽체(4)와 방화벽(260) 사이의 틈을 통해 화염이 침투하지 못하고 유독가스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단 방화벽(262)에는 횡방향[벽체(4)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3단 방화벽(264)이 연결될 수 있다. 제3단 방화벽(264)은 제2단 방화벽(262)과 동일한 높이이면서 벽체(4)와 제2단 방화벽(262) 사이를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차단한다.
방화벽(260)은 대피자가 대피 발판(210) 위에서 세워야하는 것이므로 대피 발판(210)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방화벽(260)은 베란다(1)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도 가능하고 물론 불투명도 가능하다.
또한, 제1단 방화벽(261)은 세워진 상태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대피자가 대피 공간으로 피신할 수 있도록 개폐 방화벽(265)이 구성될 수 있다. 제1단 방화벽(261)은 통로가 구비되고 개폐 방화벽(265)은 상기 통로에 배치되면서 상부가 제1단 방화벽(261)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식에 의해 상기 통로를 개폐한다. 제2단 방화벽(262)이 제1단 방화벽(261) 안에 삽입되어도 제2단 방화벽(262)이 제1단 방화벽(261)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개폐 방화벽(265)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은 평상시 도 1과 같이 대피 난간(200)의 대피 발판(210)이 베란다(1) 안에 삽입되고 안전 수직바(220) 등이 난간 본체(100)에 근접되어 있으므로 난간 본체(100)와 일체감을 주게 된다.
실내 주거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베란다(1)에서 대피 난간(200)을 밀어 확장하며, 손잡이(241)를 잡고 확장방향으로 밀면 안전 수평연결바(240)가 전면부 수평바(112)에서 인출되고 따라서 대피 발판(210)이 베란다(1)에서 인출되어 대피 난간(200)이 베란다(1)로부터 확장된다.
대피 난간(200)은 안전 수평연결바(240)와 슬라이더(250) 및 대피 발판(210)에 의해 베란다(1)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확장 이동한다.
대피자는 대피 발판(210)으로 이동한 후 방화벽(260)을 위로 올리고 제2단 방화벽(262)을 세워 제1단 방화벽(261)에 고정함으로써 화염으로부터 안전한 높이의 방화벽을 설치한다. 즉, 대피 난간(200)은 화염의 방향을 벗어난 곳에 위치하고 방화벽(260)이 화염을 막을 수 있는 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대피 공간 안에 있는 대피자는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이와 함께 수직 개폐바(270)를 중앙으로 이동시켜 대피자가 대피 공간에서 밖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안전한 대피 공간에서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하며, 구조대원에 의한 구조시 수직 개폐바(270)를 일측으로 밀어 여유 있는 출입공간을 확보한 후 이 출입공간을 통해 신속하게 구조차량으로 이동한다.
화재의 진압이 완료되면 대피 난간(200)을 도 1과 같이 베란다(1)쪽으로 이동시켜 베란다(1)와 일체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인 베란다의 느낌과 동일한 느낌으로 베란다(1)를 사용하도록 하고, 대피 난간(200)은 실내 거주자의 시야를 간섭하지 않으므로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보조난간은, 전면부 수평바(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대(314)와, 연결대(314)에 지지되고, 전면부 난간 본체(110)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부재(312)와, 프레임부재(312)에 일단이 연결되고, 프레임부재(312)가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할 때에 프레임부재(312)를 따라 펼쳐지면서 화염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며, 불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크린부재(316)와, 연결대(3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크린부재(316)의 타단이 연결되어 스크린부재(316)가 권취되는 권취드럼(318)을 포함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에 사용자가 전면부 수평바(112) 상측으로 연장되는 프레임부재(312)의 상단을 잡고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전면부 수평바(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대(314)가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프레임부재(312)의 하단이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프레임부재(312)의 상단을 베란다 내측으로 당기게 되면 프레임부재(312)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312a)를 따라 연결대(314)가 슬라이딩되면서 프레임부재(312)가 베란다 바닥면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부재(312)의 상단에 연결되는 스크린부재(316)가 베란다 바닥면 까지 당겨지게 되므로 권취드럼(318)으로부터 스크린부재(316)가 풀리면서 프레임부재(312) 전체에 스크린부재(316)가 펼쳐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312)가 전면부 수평바(112)로부터 베란다 바닥면까지 경사지게 배치되고, 프레임부재(312) 전에 스크린부재(316)가 펼쳐지므로 프레임부재(312)와 안전난간 사이에 대피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에 베란다로 피신한 사용자가 다수 명인 경우에 베란다 양단부에 구비되는 대피 난간에 사용자가 모두 대피한 후에 보조난간(310)을 사용하여 추가로 대피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화재에 의한 인명 피해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보조난간(310)은 자살을 시도하는 사용자가 전면부 수평바(112)를 넘으려할 때에 베란다 내측으로 당겨지면서 회전되는 프레임부재(312)를 넘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전면부 수평바(112)를 손쉽게 넘지 못하게 하여 자살 시도를 방해하면서 지연시키거나 포기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보조난간(310)이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되면 전면부 수직바(111)에 다른 층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전면부 수직바(111)를 개폐하는 산소공급부(330)를 더 포함하므로 스크린부재(316) 외측에 배치되어 화염을 피하는 사용자가 유해 가스에 의해 질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산소공급부(330)는, 전면부 수직바(1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면부 수직바(111)에 구비되는 홀부에 대향되는 연통홀부(332b)를 구비하는 연통파이프(332)와, 보조난간(310)의 회전운동을 연통파이프(332)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36)와, 동력전달부(336)에 의해 전면부 수직바(111)의 단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마개패널(334)을 포함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에 사용자가 프레임부재(312)를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시켜 대피공간을 형성하면 이때, 동력전달부(336)의 작동에 의해 전면부 수직바(1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통파이프(332)가 회전되면서 연통파이프(332)의 연통홀부(332b)와 전면부 수직바(111)에 형성되는 홀부가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전면부 수직바(111)의 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가 연통파이프(332)를 지나 연통홀부(332b) 및 홀부를 통해 스크린부재(316)로 감싸지는 대피 공간 내부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연통파이프(332)는, 전면부 수직바(111)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통파이프(332)의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며, 연통파이프(332)의 중앙부에 구동축(332a)이 설치되고, 구동축(332a)의 하단에는 전면부 수직바(111)의 하단을 개폐하는 반달 모양의 마개패널(334)이 설치되므로 연통파이프(332)가 회전되어 연통홀부(332b)와 홀부가 대향되게 배치되면 마개패널(334)이 회전되면서 폐쇄되었던 전면부 수직바(111)의 하단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전면부 수직바(111)의 하단이 개방되면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하층의 맑은 공기가 전면부 수직바(111), 연통파이프(332), 연통홀부(332b) 및 홀부를 통해 스크린부재(316)에 의해 형성되는 대피 공간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물론, 전면부 수직바(111) 하단에는 대피 공간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송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부(336)는, 전면부 수평바(11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대(314)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연결대(314)를 회전시키면 연결대(314)와 함께 회전되는 전달축(336a)과, 전달축(336a) 단부에 설치되는 제1기어(336b)와, 제1기어(336b)와 베벨기어 방식으로 기어연결되고, 구동축(332a)의 단부에 설치되어 전달축(336a)의 회전운동을 구동축(332a)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제2기어(336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달축(336a) 및 구동축(332a)은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는 전면부 수평바(112) 및 수직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전면부 수평바(112)와 전면부 수직바(111) 내부에는 전달축(336a) 또는 구동축(332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패널(338)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면부 수평바(112) 및 전면부 수직바(111) 내측에 앉은 상태에서 프레임부재(312)의 상단을 잡고 베란다 내측으로 당기면 프레임부재(312)가 전면부 수평바(112)를 중심으로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되고, 프레임부재(312)의 상단을 베란다 바닥면까지 당기면 연결대(314)가 슬라이딩홀부(312a)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프레임부재(312)가 베란다 내측 바닥면까지 연장된다.
이때, 권취드럼(318)에 권취되었던 스크린부재(316)가 베란다 상단을 따라 펼쳐지면서 안전 난간의 상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베란다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면서 사용자가 화염 및 유독성 가스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부재(312)가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되면 연결대(314)와 연결되는 전달축(336a)이 회전되면서 제1기어(336b), 제2기어(336c)에 의해 구동축(332a)이 회전되고, 구동축(332a)이 회전되면 연통파이프(332)와 마개패널(334)이 동시에 개방되어 전면부 수직바(111)의 하단이 개방됨과 동시에 연통파이프(332)의 연통홀부(332b)가 전면부 수직바(111)의 홀부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아래층의 공기가 전면부 수직바(111)를 따라 상승되고, 연통파이프(332)를 지나 연통홀부(332b) 및 홀부를 통해 스크린부재(316) 내측의 대피 공간에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안전 수평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일에는 마개부재(280)가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레일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마개부재(28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레일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돌출부(284)가 일체로 형성되어 레일의 입구부에 밀착되는 본체패널(282)과, 본체패널(282)과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안전 수평바가 삽입되는 연결홀부(286)와, 본체패널(282)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해제레버(288)를 포함한다.
따라서 안전 수평바가 안전 나간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평상시에는 레일에 삽입돌출부(284)가 삽입되도록 본체패널(282)을 레일 입구부에 밀착시키므로 이물질이 레일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화재 발생 시에는 사용자가 본체패널(282) 일측으로 돌출되는 해제레버(288)를 레일 외측 방향으로 당겨 삽입돌출부(284)를 레일로부터 분리시키므로 안전 수평바를 밀면서 안전 난간을 돌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화재 발생 시 다른 층의 거주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고 자신의 거주공간인 베란다에서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고, 베란다에 피신하는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 사용자가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더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대피공간 내부로 다른 층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난간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베란다
100 : 난간 본체 110 : 전면부 난간 본체
111 : 전면부 수직바 112 : 전면부 수평바
120 : 측면부 난간 본체 121 : 측면부 수직바
122 : 측면부 수평바 200 : 대피 난간
210 : 대피 발판 220 : 안전 수직바
230 : 안전 수평바 240 : 안전 수평연결바
250 : 슬라이더 260 : 방화벽
270 : 수직 개폐바 280 : 마개부재
310 : 보조난간 330 : 산소공급부

Claims (4)

  1. 공동주택에 실내 주거공간과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인 베란다(1)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난간 본체(100);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끝에 각각 상기 난간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피 난간(200); 및
    상기 대피 난간(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에 베란다(1)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난간 본체(200)와 간격을 유지하며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난간(310)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본체는,
    상기 베란다의 전면에 세워지는 다수의 전면부 수직바(111) 및 상기 전면부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전면부 수평바(112)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난간 본체(110); 및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111)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측면부 수직바(121) 및 상기 측면부 수직바와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측면부 수평바에 의해 출입구를 형성하는 측면부 수평바(122)로 이루어진 측면부 난간 본체(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피 난간은,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내부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 형성된 발판 삽입부(2)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요철 단면의 대피 발판(210);
    상기 대피 발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안전 수직바(220);
    상기 다수의 안전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안전 수평바(230);
    상기 안전 수평바의 전방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전면부 수평바의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전 수평연결바(240);
    상기 안전 수평바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공동주택의 벽체에 형성되는 레일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50); 및
    상기 대피 발판의 바닥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면부 난간 본체와의 사이에 세워지는 방화벽(26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난간(310)은,
    상기 전면부 수평바(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대(314);
    상기 연결대(314)에 지지되고,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110)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부재(312);
    상기 프레임부재(312)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부재(312)가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할 때에 상기 프레임부재(312)를 따라 펼쳐지면서 화염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며, 불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크린부재(316); 및
    상기 연결대(3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재(316)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부재(316)가 권취되는 권취드럼(3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은,
    일측이 상기 대피 발판에 힌지 연결되는 제1단 방화벽(261);
    상기 제1단 방화벽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단 방화벽 위에 세워지는 제2단 방화벽(262); 및
    상기 제2단 방화벽이 상기 제1단 방화벽에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난간이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전면부 수직바에 다른 층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전면부 수직바를 개폐하는 산소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부는,
    상기 전면부 수직바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전면부 수직바에 구비되는 홀부에 대향되는 연통홀부를 구비하는 연통파이프;
    상기 보조난간의 회전운동을 상기 연통파이프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전면부 수직바의 단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마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20190075126A 2019-06-24 2019-06-24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203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126A KR102037262B1 (ko) 2019-06-24 2019-06-24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126A KR102037262B1 (ko) 2019-06-24 2019-06-24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262B1 true KR102037262B1 (ko) 2019-12-02

Family

ID=6884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126A KR102037262B1 (ko) 2019-06-24 2019-06-24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899B1 (ko) 2022-12-02 2023-03-02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047A (ja) * 1994-09-26 1996-04-09 Masaru Furuta ベランダ用雨避けスクリーン
KR200349394Y1 (ko) 2004-01-16 2004-05-04 조양일 베란다용 피난 사다리
KR20060007649A (ko) * 2004-07-20 2006-01-26 하형준 보조 난간
KR100909447B1 (ko) 2009-03-13 2009-07-28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0936889B1 (ko) 2002-12-31 2010-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0809B1 (ko) 2009-06-25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412211B1 (ko) * 2014-02-27 2014-06-25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에스그룹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637979B1 (ko) * 2015-03-19 2016-07-11 김상근 방화겸용 롤스크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047A (ja) * 1994-09-26 1996-04-09 Masaru Furuta ベランダ用雨避けスクリーン
KR100936889B1 (ko) 2002-12-31 2010-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349394Y1 (ko) 2004-01-16 2004-05-04 조양일 베란다용 피난 사다리
KR20060007649A (ko) * 2004-07-20 2006-01-26 하형준 보조 난간
KR100909447B1 (ko) 2009-03-13 2009-07-28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080809B1 (ko) 2009-06-25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412211B1 (ko) * 2014-02-27 2014-06-25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에스그룹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637979B1 (ko) * 2015-03-19 2016-07-11 김상근 방화겸용 롤스크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899B1 (ko) 2022-12-02 2023-03-02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719B1 (ko)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KR100998240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1055294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WO2016190488A2 (ko) 고층 건물에서의 안전한 화재 피난 시스템
KR101412211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706609B1 (ko) 고층건물용 안전난간대 겸용 피난 대피장치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975737B1 (ko) 고층 건물에서 갤러리창을 이용한 화재 피난 장치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2005216B1 (ko)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1843842B1 (ko)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KR20080107571A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235308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20100092175A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101793332B1 (ko)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101046271B1 (ko) 건물의 비상계단실용 대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